KR20220128693A - 슬림형 액추에이터 - Google Patents
슬림형 액추에이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28693A KR20220128693A KR1020210033079A KR20210033079A KR20220128693A KR 20220128693 A KR20220128693 A KR 20220128693A KR 1020210033079 A KR1020210033079 A KR 1020210033079A KR 20210033079 A KR20210033079 A KR 20210033079A KR 20220128693 A KR20220128693 A KR 2022012869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rier
- magnet
- coils
- facing
- ball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102100039856 Histone H1.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1
- 102100039855 Histone H1.2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1
- 101001035402 Homo sapiens Histone H1.1 Proteins 0.000 description 11
- 101001035375 Homo sapiens Histone H1.2 Protein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355 Hal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72 electromagnet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04 medi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07 modif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41 stabili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8—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coil systems moving upon intermittent or reversed energisation thereof by interaction with a fixed field system, e.g. permanent magnet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3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Synchronous motors; Motors moving step by step; Reluctance moto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Synchronous motors; Motors moving step by step; Reluctance motors
- H02K41/031—Synchronous motors; Motors moving step by step; Reluctance motors of the permanent magnet typ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5—DC motors; Unipolar motors
- H02K41/0352—Unipolar motors
- H02K41/0354—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 H02K41/0356—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moving along a straight path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 H04N5/2253—
-
- H04N5/23287—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림형 액추에이터는 제1캐리어; 상기 제1캐리어를 기준으로 광축과 수직한 제1방향 또는 광축 및 제1방향 모두와 수직한 제2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캐리어; 상기 제1 및 제2캐리어 사이를 물리적으로 지지하는 지지수단; 상기 제2캐리어에 구비되되, 서로 직교하는 방향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마그네트; 상기 제1마그네트와 대면하는 n(n은 2이상의 자연수)개 제1코일; 상기 제2마그네트와 대면하는 m(m은 1이상의 자연수)개 제2코일; 상기 제1마그네트와 대면하되,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되는 k(k는 2이상의 자연수)개 제1홀센서; 및 k개 제1홀센서 각각으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의 차이에 따라 상기 n개 제1코일 각각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등적으로 제어하는 구동드라이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카메라용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다원화된 코일을 적용하여 OIS의 각 방향별 선형성을 구현할 수 있는 슬림형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영상 처리에 대한 하드웨어 기술이 발전하고 영상 촬영 등에 대한 사용자 니즈가 높아짐에 따라, 독립된 카메라 장치는 물론, 휴대폰, 스마트폰 등과 같은 모바일 단말에 장착된 카메라 모듈 등에 오토포커스(AF, Auto Focus), 손떨림 보정(OIS, Optical Image Stabilization) 등의 기능이 구현되고 있다.
오토포커스(자동초점조절) 기능은 렌즈 등이 탑재된 캐리어를 광축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여 피사체와의 초점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렌즈 후단에 구비된 이미지센서(CMOS, CCD 등)에 선명한 이미지가 생성되도록 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또한, 손떨림 보정 기능은 손떨림에 의하여 렌즈의 흔들림이 발생하는 경우 그 흔들림을 보상하는 방향으로 렌즈가 탑재된 캐리어를 적응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영상의 선명도를 개선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오토포커스 또는 OIS 기능을 구현하는 대표적인 방법 중 하나는 이동체(캐리어)에 마그네트(코일)를 설치하고 고정체(하우징, 또는 다른 형태의 캐리어 등)에 코일(마그네트)을 설치한 후, 코일과 마그네트 사이에 전자기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이동체를 광축 방향 또는 광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이다.
OIS 기능은 광축과 수직을 이루는 평면상의 2축인 제1방향 또는/및 제2방향으로 렌즈 또는 이미지센서가 탑재된 이동체를 상대적 고정체를 기준으로 역 이동시킴으로써 흔들림을 보정한다.
종래 장치 내지 액추에이터의 경우 제1방향 및 제2방향의 독립된 이동이 구현되도록 이동체와 고정체 사이에 미들 가이드를 적용하고, 이동체와 미들 가이드 사이 그리고 미들 가이드와 고정체 사이에 각각 볼을 배치하는 구조가 주로 적용된다.
이러한 종래 액추에이터의 경우, 이동체, 미들 가이드 및 고정체가 적층되는 구조를 가지며 이들 사이에 각각의 볼들이 배치되므로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그 높이가 증가하게 된다.
카메라용 액추에이터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 단말의 메인 기판에 입설(立設)되는 형태로 설치되므로 액추에이터의 높이 증가는 곧 휴대 단말의 두께 증가를 의미하므로 종래 장치 내지 액추에이터의 경우 휴대 단말의 슬림화 경향에 부합되지 못하며 공간 활용성이 낮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액추에이터의 경우 이동체(캐리어), 미들 가이드, 고정체(하우징 내지 베이스)를 상호 적층시키고 이들 사이에 각각 볼들을 배치하여야 하므로 장치가 더욱 복잡해지며 부품 수 증가, 비용 증가 등이 발생함은 물론, 조립 공정의 효율성도 저하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미들 가이드를 배제시켜 장치 내지 액추에이터의 높이 내지 부피 소형화를 최적화시킴과 동시에 각 방향별 선형적 이동을 정밀하게 구현할 수 있는 슬림형 액추에이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아래의 설명에 의하여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구성과 그 구성의 조합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슬림형 액추에이터는 제1캐리어; 상기 제1캐리어를 기준으로 광축과 수직한 제1방향 또는 광축 및 제1방향 모두와 수직한 제2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캐리어; 상기 제1 및 제2캐리어 사이를 물리적으로 지지하는 지지수단; 상기 제2캐리어에 구비되되, 서로 직교하는 방향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마그네트; 상기 제1마그네트와 대면하는 n(n은 2이상의 자연수)개 제1코일; 상기 제2마그네트와 대면하는 m(m은 1이상의 자연수)개 제2코일; 상기 제1마그네트와 대면하되,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되는 k(k는 2이상의 자연수)개 제1홀센서; 및 k개 제1홀센서 각각으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의 차이에 따라 상기 n개 제1코일 중 하나 이상의 제1코일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등적으로 제어하는 구동드라이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캐리어와 대접하는 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캐리어 또는 제2캐리어 중 하나 이상은 상기 볼을 수용하며 상기 볼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는 포켓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형태에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제1캐리어를 수용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내측면에 형성된 홈부레일과 상기 제1캐리어의 외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레일 사이에 배치되는 제2볼; 상기 제1캐리어에 구비되는 AF마그네트; 및 상기 AF마그네트와 대면하며 상기 제1캐리어가 광축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AF코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상기 n개 제1코일 중 일부는 상기 제1방향 OIS 구동을 위한 구동용 코일이며, 상기 n개 제1코일 중 다른 일부는 상기 제1방향 및 제2방향의 선형성 보정을 위한 보정용 코일로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상기 k개 제1홀센서는 상기 제1마그네트와 대면하되, 상기 제1마그네트의 좌측 및 우측 단부 방향으로 서로 편향된 위치에 각각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할 때, 미들 가이드 또는 이에 준하는 다른 추가 구성을 배제시킬 수 있어 액추에이터 전체의 구조와 형상을 더욱 공간 집약된 형태로 구성할 수 있어 전체적인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모바일 단말의 소형화 등에 더욱 최적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때, 이원화 내지 다원화되는 홀센서의 신호 체계를 유기적으로 접목시킴으로써, 이동체가 회전하거나 비틀어지는 등 선형성이 와해되는 현상이 발생되더라도 즉각적인 보정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어 OIS의 선형성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제1방향 및 제2방향의 독립된 이동을 위한 미들가이드 또는 이에 준하는 부재 등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부품 수 감소 및 그에 따른 가격 경쟁력 확보는 물론, 조립 공정의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액추에이터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제1캐리어와 제2캐리어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선형적 보정을 구현하는 복수 개 홀센서 및 코일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선형성 보정을 수행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액추에이터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제1캐리어와 제2캐리어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선형적 보정을 구현하는 복수 개 홀센서 및 코일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선형성 보정을 수행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액추에이터(1000)로서, AF 및 OIS 기능이 함께 통합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의 액추에이터(1000)는 실시형태에 따라서 OIS기능만을 위한 액추에이터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 및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슬림형 액추에이터(이하 '액추에이터'라 지칭한다)(1000)는 제1캐리어(100), 제2캐리어(200), 베이스(300), 회로기판(400), AF요크(500) 및 케이스(6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 등에 도시된 Z축 방향은 렌즈 또는 렌즈조립체(50)로 빛이 유입되는 방향인 광축 방향으로서 AF가 구동되는 경우 제1캐리어(100)가 진퇴 이동하는 방향에 해당하며, 광축과 수직을 이루는 X축 및 Y축은 OIS가 구동되는 경우 제2캐리어(200)가 이동하는 방향에 해당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광축과 수직을 이루는 두 방향 중 하나를 제1방향(X축 방향)으로, 나머지 하나를 제2방향(Y축 방향)으로 지칭하나, 이는 상대적 관점에 따른 하나의 예시일 뿐, X축 방향과 Y축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이 제1방향이며, 나머지 하나의 방향이 제2방향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베이스(300)는 본 발명에 의한 액추에이터(1000)의 내부 구성품을 수용하는 기본 프레임 구조에 해당하며, 실시형태에 따라서 쉴드 캔(shield can)으로 기능하는 케이스(600)가 결합될 수 있다.
제2캐리어(200)는 제1캐리어(100)를 기준으로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의 조합된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체이며, 제2캐리어(200)에 렌즈 또는 이미지센서가 장착되는 경우 제2캐리어(200)의 이동에 따라 렌즈 또는 이미지센서가 이동함으로써 손떨림 등의 외적 교란 현상을 해소하는 OIS가 구현된다.
이러한 점에서 제2캐리어(200)는 제1캐리어(100)를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이동체에 해당하며, 이에 상응하는 관점에서 제1캐리어(100)는 상대적 고정체에 해당한다.
제1캐리어(100)와 제2캐리어(200) 사이에는 제1캐리어(100)를 기준으로 이동하는 제2캐리어(200)를 물리적으로 지지하는 지지수단(700)이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수단(700)은 제1캐리어(100)와 제2캐리어(200) 각각에 대접하는 볼(이하 다른 종류의 볼과 구분하기 위하여 제1볼(B1)로 지칭한다)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볼(B1)이 제1 및 제2캐리어(100, 200) 사이에 구비되는 경우, 제2캐리어(200)는 제1볼(B1)을 통하여 제1캐리어(100)와 적절한 간격을 유지하며 제1볼(B1)의 이동(moving) 또는 구름(rolling) 등에 의한 최소화된 마찰력으로 더욱 유연하게 선형 이동할 수 있어 소음 감소, 구동력 최소화, 구동 정밀성 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캐리어(100) 또는 제2캐리어(200)중 하나 이상은 상기 제1볼(B1)을 수용하며 상기 제1볼(B1)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는 포켓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캐리어(100)와 제2캐리어(200)를 물리적으로 지지하는 지지수단(700)으로 제1볼(B1)이 적용되는 경우, 제1캐리어(100)와 제1볼(B1) 사이, 그리고 제1볼(B1)과 제2캐리어(200)의 사이의 접촉 관계를 효과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제2캐리어(200)에 설치되는 제1마그네트(M1) 및/또는 제2마그네트(M2)와 인력을 발생시키는 금속재질 등의 인력 요크가 제1캐리어(100)에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형태에 따라서 지지수단(700)은 제2캐리어(200)의 OIS에 의한 이동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와이어, 스프링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동체인 제2캐리어(200)에는 제1마그네트(M1) 및 제2마그네트(M2)가 설치되며, 이들 제1마그네트(M1)와 제2마그네트(M2)는 도 1 및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직교하는 방향에 구비된다.
도면에는 제1마그네트(M1)의 일 실시예로 N극과 S극이 하나씩 노출되는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형태에 따라 이와 다르게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제1마그네트(M1)와의 관계에서 상호 차등적인 제어가 가능하도록 제1마그네트(M1)와 대면하는 제1코일(C1)은 n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n은 2이상의 자연수이며, 도면에는 이에 대한 일 예로 2개의 제1코일(C1-1, C1-2)이 도시되어 있다.
n개의 제1코일(C1) 중 하나 이상에 적절한 크기와 방향의 전원이 인가되면 제2캐리어(200)에 설치된 제1마그네트(M1)에 전자기력이 발생하고 이 발생된 전자기력을 구동력으로 제2캐리어(200)는 제1캐리어(100)를 기준으로 제1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실시형태에 따라서 제1홀센서(H1)와 같은 감지 센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홀센서(H1)가 홀효과(hall effect) 등을 이용하여 제2캐리어(200)의 제1마그네트(M1)의 위치를 감지하고 그에 해당하는 신호를 구동 드라이버로 전달하면 구동 드라이버는 이에 대응되는 크기와 방향의 전원이 제1코일(C1)에 순환적으로 인가되도록 제어한다.
구동드라이버는 SOC 등을 통하여 제1홀센서(H1) 등과 함께 단일 부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 액추에이터(1000)의 외부에 구비될 수도 있으므로 도면에는 구동드라이버가 독립적으로 표시되지 않았을 뿐이다.
또한, 구동드라이버는 전자 소자 또는 전자 부품의 조합을 통하여 설계될 수 있으므로 각 홀센서마다 개별적인 구동드라이버가 하나의 칩(chip)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신호 처리를 위한 채널(channel)의 수를 확장하는 방법 등을 통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드라이버가 동수(同數) 또는 그 이상의 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 도시된 각 홀센서는 그 크기나 형태 등에서 개별 구동 드라이버가 통합된 형태에 해당하기는 하나, 설명과 이해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각 홀센서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파싱(parsing)하고 각 코일에 인가되는 전원의 크기와 방향을 제어하는 본 발명의 구동드라이버(D)는 제2홀센서(H2)와 통합되어 있는 것으로 전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1홀센서(H1)는 제2캐리어(200)가 회전하거나 비틀어지는 등의 선형성이 와해되는 현상을 감지 및 보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마그네트(M1)와 대면하되,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되는 k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k는 2이상의 자연수이다.
도면에는 이에 대한 일 예로 2개의 제1홀센서(H1) 즉, 제1-1홀센서(H1-1) 및 제1-2홀센서(H1-2)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동드라이버(D)는 이와 같이 k개 제1홀센서(H1) 각각으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의 차이에 따라 상기 n개 제1코일(C1) 각각 또는 상기 n개 제1코일(C1) 중 하나 이상의 제1코일(C1)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등적으로 제어함으로써 그에 상응하는 크기와 방향을 가지는 전자기력이 발생되도록 하여 제2캐리어(200)가 회전하거나 비틀어지는 등의 선형성이 와해되는 현상을 보정하도록 구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일 예를 기준으로 할 때, 본 발명의 구동드라이버(D)는 제1-1홀센서(H1-1) 및 제1-2홀센서(H1-2) 각각으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적 신호의 차이를 이용하여 제1-1코일(C1-1) 및 제1-2코일(C1-2) 각각에 인가되는 전원의 크기와 방향 등을 차등적으로 제어하거나 또는 제1-1코일(C1-1) 및 제1-2코일(C1-2) 중 하나의 코일에 인가되는 전원의 크기와 방향을 제어한다.
이러한 점에서 n개의 제1코일(C1)은 k개의 제1홀센서(H1)와 동수(n=k)인 것이 바람직하나, 실시형태에 따라서 이와 다르게 구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2캐리어(200)가 제1캐리어(100)를 기준으로 제2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동 방식도 이와 대응된다.
즉, m(m은 1이상의 자연수)개 제2코일(C2)에 적절한 크기와 방향의 전원이 인가되면 제2캐리어(200)의 제2마그네트(M2)에 전자기력이 발생하고 이 발생된 전자기력을 구동력으로 제2캐리어(200)는 제1캐리어(100)를 기준으로 제2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2캐리어(200)의 선형적 이동이 와해되는 현상은 제1방향 구동에서도 발생될 수 있고 제2방향 구동에서도 발생될 수 있으므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2코일(C2) 및 제2홀센서(H2) 또한, 다원화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캐리어(200)의 회전, 비틀어짐 등은 2차원 평면을 기준으로 이루어지는 현상이므로 제2캐리어(200)의 일측에서만 보정 구동이 이루어져도 선형성이 와해되는 현상을 충분히 보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구조의 복잡성 등을 피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제2마그네트(M2)와 대면하는 방향의 제2홀센서(H2)와 제2코일(C2)을 단일(single) 개수로 구현하는 방법과 같이 제1마그네트(M1) 및 제2마그네트(M2) 중 하나의 대상으로 선형성 보정에 대한 프로세싱이 수행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n개 제1코일(C1) 중 일부는 상기 제1방향 OIS 구동을 위한 구동용 코일로 구현하고, 상기 n개 제1코일(C1) 중 다른 일부는 상기 제1방향 및 제2방향의 선형성 보정을 위한 보정용 코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손떨림 자체를 위한 OIS 기능과 제2캐리어(200)의 선형성 왜곡을 보정하는 기능을 독립적으로 구현함으로써 응답 특성은 물론, OIS의 본질적 기능이 더욱 조화롭게 향상될 수 있다.
제1코일(C1), 제1홀센서(H1), 제2코일(C2) 및 제2홀센서(H2), 구동드라이버(D) 등은 회로기판(400)에 실장되는 형태로 베이스(300)에 구비될 수 있다. 후술되는 AF코일(C3) 및 제3홀센서(H3) 또한, 이와 같다.
한편, 제1캐리어(100)의 일측면에서는, 베이스(300)에 구비되는 AF코일(C3)과 대면하는 AF마그네트(M3)가 구비되며, 베이스(300)의 내측면에 형성된 홈부레일(310)과 제1캐리어(100)의 외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20) 사이에는 제2볼(B2)이 배치될 수 있다.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AF코일(C3)에 적절한 크기와 방향의 전원이 인가되면 AF코일(C3)과 AF마그네트(M3) 사이에 전자기력이 발생하게 되며 이 발생된 전자기력에 의하여 제1캐리어(100)는 베이스(300)를 기준으로 광축 방향(Z축 방향)으로 선형 이동한다.
그러므로 AF의 구동과 관련하여 제1캐리어(100)는 상대적 이동체가 되며, 이에 상응하는 관점에서 베이스(300)는 상대적 고정체가 된다.
제1캐리어(100)가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캐리어(100)에 수용된 제2캐리어(200) 또한, 제1캐리어(100)와 함께 광축으로 이동함으로써 제2캐리어(200)에 탑재된 렌즈조립체(50)가 광축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캐리어(100)가 광축방향으로 이동하면 액추에이터(1000) 후단에 구비된 CCD(Charged-coupled Device),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와 같은 이미지센서(미도시)와 렌즈조립체(50) 사이의 초점 거리가 조정됨으로써 자동 초점 기능이 구현된다.
이러한 AF 기능의 구현에서도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3홀센서(H3) 등을 이용한 피드백 순환 제어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캐리어(100)는 AF의 구동에서는 상대적 이동체로 기능하며, OIS의 구동에서는 상대적 고정체로서 기능하게 된다.
실시형태에 따라서 본 발명의 베이스(300)에는 AF마그네트(M3)와 인력을 발생시키는 AF요크(500)가 구비될 수 있다.
AF요크(500)와 AF마그네트(M3) 사이의 인력에 의하여, 제2볼(B2)이 매개된 제1캐리어(100)가 베이스(300) 방향으로 당겨지게 되므로 제2볼(B2)과 제1캐리어(100) 사이 및 제2볼(B2)과 베이스(300) 사이의 접촉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제2캐리어(200)가 회전 현상 등과 같이 선형성이 와해되는 현상을 보정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충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캐리어(200)에는 제1마그네트(M1)와 제2마그네트(M2)가 구비되어 있으며, 제1마그네트(M1)와 대면하는 방향에는 제1-1코일(C1-1), 제1-2코일(C1-2), 제1-1홀센서(H1-1) 및 제1-2홀센서(H1-2)가 배치된다. 제2코일(C2)과 제2홀센서(H2)는 제2캐리어(200)에 설치된 제2마그네트(M2)와 대면하도록 배치된다.
제1방향 또는/및 제2방향에 의한 OIS가 구동되면(S500, 도 5참조), 본 발명의 제1-1홀센서(H1-1)와 제1-2홀센서(H1-2) 각각은 자신이 설치된 위치에서 자신과 대면하는 제1마그네트(M1)의 거리(정확하게 제1마그네트(M1) 중 자신이 대면하는 부위의 자기장 크기/방향)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구동드라이버(D)로 출력한다(S510).
제1방향 및 제2방향 OIS 구동 시 제2캐리어(200)의 선형성이 유지된다면 제1-1홀센서(H1-1)와 제1마그네트(M1) 사이의 거리(D1)와 제1-2홀센서(H1-2)와 제1마그네트(M1) 사이의 거리(D2)는 일치 내지 대응할 것이므로 제1-1홀센서(H1-1)와 제1-2홀센서(H1-2)가 출력하는 전기적 신호는 동일하게 된다(S520).
환언하면, 제1-1홀센서(H1-1)와 제1-2홀센서(H1-2)가 출력하는 전기적 신호가 동일하다는 것은 제2캐리어(200)의 이동(제1방향 또는/및 제2방향)이 선형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제2캐리어(200)가 회전하거나 비틀어지는 현상이 없는 정상 구동을 의미한다.
전원 차단, 구동 OFF 등과 같은 OIS 종료 조건이 아니라면(S540) 상술된 프로세싱 과정은 순환적으로 적용된다.
만약, S520단계에서 제1-1홀센서(H1-1)와 제1-2홀센서(H1-2)가 출력하는 전기적 신호가 동일하지 않다면, 이는 D1과 D2가 일치되지 않는다는 것이므로 제2캐리어(200)가 회전하거나 뒤틀어지는 교란 현상이 발생된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구동드라이버(D)는 제1-1홀센서(H1-1)와 제1-2홀센서(H1-2) 각각의 전기적 신호값의 차이에 따라 제1-1코일(C1-1)과 제1-2코일(C1-2) 각각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등적으로 제어한다(S530).
만약, 제1-2코일(C1-2)이 제1방향 OIS 구동용 코일이고 제1-1코일(C1-1)이 보정용 코일이라면, 본 발명의 구동드라이버(D)는 제1-1홀센서(H1-1)와 제1-2홀센서(H1-2) 각각의 전기적 신호값의 차이에 기반하여 제1-1코일(C1-1)에 인가되는 전원의 크기와 방향 등을 차등적으로 제어한다(S530).
시계열적이며 연속적인 제어가 가능하도록 상술된 프로세싱 또한, 순환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D1과 D2의 차이 즉, 제2캐리어(200)의 선형성 와해 현상에 대한 분해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도 4의 아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1홀센서(H1-1)는 제1마그네트(M1)를 기준으로 좌측(Y축 기준)으로 편향되며(A1), 제1-2홀센서(H1-2)는 제1마그네트(M1)를 기준으로 우측으로 편향되는(A2)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제2캐리어(200)가 회전하는 경우, 제2캐리어(200)의 외측 부분에서 상대적으로 더 큰 변위가 발생하게 되므로 제1-1홀센서(H1-1)와 제1-2홀센서(H1-2) 사이의 신호값 차이를 더욱 대별시킬 수 있으므로 이를 기반으로 한 후속 프로세싱의 정밀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된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 제1 및 제2 등과 같은 수식어는 상호 간의 구성요소를 상대적으로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도구적 개념의 용어일 뿐이므로, 특정의 순서, 우선순위 등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용어가 아니라고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설명과 그에 대한 실시예의 도시를 위하여 첨부된 도면 등은 본 발명에 의한 기술 내용을 강조 내지 부각하기 위하여 다소 과장된 형태로 도시될 수 있으나, 앞서 기술된 내용과 도면에 도시된 사항 등을 고려하여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 수준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 적용 예가 가능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000 : 본 발명의 액추에이터
50 : 렌즈조립체
100 : 제1캐리어 120 : 가이드레일
150 : 포켓부 200 : 제2캐리어
300 : 베이스 310 : 홈부레일
400 : 회로기판 500 : AF요크
600 : 케이스 700 : 지지수단
B1 : 제1볼 B2 : 제2볼
M1 : 제1마그네트 M2 : 제2마그네트
M3 : AF마그네트 H1 : 제1홀센서
H2 : 제2홀센서 H3 : 제3홀센서
C1 : 제1코일 C2 : 제2코일
C3 : AF코일
100 : 제1캐리어 120 : 가이드레일
150 : 포켓부 200 : 제2캐리어
300 : 베이스 310 : 홈부레일
400 : 회로기판 500 : AF요크
600 : 케이스 700 : 지지수단
B1 : 제1볼 B2 : 제2볼
M1 : 제1마그네트 M2 : 제2마그네트
M3 : AF마그네트 H1 : 제1홀센서
H2 : 제2홀센서 H3 : 제3홀센서
C1 : 제1코일 C2 : 제2코일
C3 : AF코일
Claims (6)
- 제1캐리어;
상기 제1캐리어를 기준으로 광축과 수직한 제1방향 또는 광축 및 제1방향 모두와 수직한 제2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캐리어;
상기 제1 및 제2캐리어 사이를 물리적으로 지지하는 지지수단;
상기 제2캐리어에 구비되되, 서로 직교하는 방향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마그네트;
상기 제1마그네트와 대면하는 n(n은 2이상의 자연수)개 제1코일;
상기 제2마그네트와 대면하는 m(m은 1이상의 자연수)개 제2코일;
상기 제1마그네트와 대면하되,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되는 k(k는 2이상의 자연수)개 제1홀센서; 및
k개 제1홀센서 각각으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의 차이에 따라 상기 n개 제1코일 중 하나 이상의 제1코일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등적으로 제어하는 구동드라이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액추에이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캐리어와 대접하는 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액추에이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캐리어 또는 제2캐리어 중 하나 이상은,
상기 볼을 수용하며 상기 볼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는 포켓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액추에이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캐리어를 수용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내측면에 형성된 홈부레일과 상기 제1캐리어의 외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레일 사이에 배치되는 제2볼;
상기 제1캐리어에 구비되는 AF마그네트; 및
상기 AF마그네트와 대면하며 상기 제1캐리어가 광축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AF코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액추에이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개 제1코일 중 일부는 상기 제1방향 OIS 구동을 위한 구동용 코일이며, 상기 n개 제1코일 중 다른 일부는 상기 제1방향 및 제2방향의 선형성 보정을 위한 보정용 코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액추에이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k개 제1홀센서는,
상기 제1마그네트와 대면하되, 상기 제1마그네트의 좌측 및 우측 단부 방향으로 서로 편향된 위치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액추에이터.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3079A KR20220128693A (ko) | 2021-03-15 | 2021-03-15 | 슬림형 액추에이터 |
KR1020210097509A KR20220128924A (ko) | 2021-03-15 | 2021-07-26 | 슬림형 액추에이터 |
PCT/KR2022/003567 WO2022197056A1 (ko) | 2021-03-15 | 2022-03-15 | 슬림형 액추에이터 |
CN202290000226.XU CN220273502U (zh) | 2021-03-15 | 2022-03-15 | 薄型致动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3079A KR20220128693A (ko) | 2021-03-15 | 2021-03-15 | 슬림형 액추에이터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97509A Division KR20220128924A (ko) | 2021-03-15 | 2021-07-26 | 슬림형 액추에이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28693A true KR20220128693A (ko) | 2022-09-22 |
Family
ID=8332144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33079A KR20220128693A (ko) | 2021-03-15 | 2021-03-15 | 슬림형 액추에이터 |
KR1020210097509A KR20220128924A (ko) | 2021-03-15 | 2021-07-26 | 슬림형 액추에이터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97509A KR20220128924A (ko) | 2021-03-15 | 2021-07-26 | 슬림형 액추에이터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2) | KR20220128693A (ko) |
CN (1) | CN220273502U (ko) |
WO (1) | WO2022197056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119376A (ko) | 2023-01-30 | 2024-08-06 | 자화전자(주) | 슬림형 카메라 액추에이터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963596B2 (ja) * | 2012-07-27 | 2016-08-03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移動体を保持するための保持機構、およびこの保持機構を備えた撮像装置 |
KR101651458B1 (ko) * | 2014-07-08 | 2016-08-26 | 자화전자(주) | 카메라 렌즈 모듈 |
KR102457389B1 (ko) * | 2017-11-28 | 2022-10-21 | 삼성전기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 |
KR102460755B1 (ko) * | 2017-11-30 | 2022-10-31 | 삼성전기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 |
KR102632362B1 (ko) * | 2019-02-21 | 2024-02-02 | 삼성전기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 |
-
2021
- 2021-03-15 KR KR1020210033079A patent/KR2022012869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21-07-26 KR KR1020210097509A patent/KR2022012892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22
- 2022-03-15 CN CN202290000226.XU patent/CN220273502U/zh active Active
- 2022-03-15 WO PCT/KR2022/003567 patent/WO2022197056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119376A (ko) | 2023-01-30 | 2024-08-06 | 자화전자(주) | 슬림형 카메라 액추에이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28924A (ko) | 2022-09-22 |
CN220273502U (zh) | 2023-12-29 |
WO2022197056A1 (ko) | 2022-09-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40582B1 (ko) | 다축 구조의 반사계 구동장치 | |
US9726899B2 (en) | Camera lens module | |
CN109964173B (zh) | 具有非对称支撑结构的自动聚焦设备 | |
KR102316052B1 (ko) |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
CN211123574U (zh) | 用于照相机的致动器和照相机模块 | |
CN114731371B (zh) | 传感器驱动装置 | |
CN114114483A (zh) | 透镜驱动装置、相机模块及光学装置 | |
JP2016118755A (ja) | カメラモジュール | |
US10866394B2 (en) | Optical system | |
KR102003282B1 (ko) | 틸트 성능이 개선된 통합액추에이터 | |
KR102710155B1 (ko) |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 |
KR20180015966A (ko) | 줌렌즈용 액추에이터 | |
KR20220128693A (ko) | 슬림형 액추에이터 | |
KR20160103680A (ko) | 듀얼 렌즈용 싱글 액츄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
KR20220105759A (ko) | 반사계 액추에이터 | |
US20240040254A1 (en) | Camera actuator | |
KR102494325B1 (ko) | 카메라 모듈 | |
KR20180002433A (ko) | 듀얼 액추에이터 | |
KR20210070504A (ko) | 듀얼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
KR102663494B1 (ko) | 센서 구동 액추에이터 | |
KR20240084783A (ko) | 미들가이드 프리 액추에이터 | |
KR20220129732A (ko) | 미들가이드 프리 액추에이터 | |
KR102602738B1 (ko) | 센서 구동 액추에이터 | |
CN117426103A (zh) | 无引导图像传感器致动器 | |
KR20230013809A (ko) | 이미지센서 쉬프트 방식의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