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5966A - 줌렌즈용 액추에이터 - Google Patents
줌렌즈용 액추에이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15966A KR20180015966A KR1020160099652A KR20160099652A KR20180015966A KR 20180015966 A KR20180015966 A KR 20180015966A KR 1020160099652 A KR1020160099652 A KR 1020160099652A KR 20160099652 A KR20160099652 A KR 20160099652A KR 20180015966 A KR20180015966 A KR 2018001596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zoom lens
- magnet
- lens barrel
- ois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6641 stabilis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355 Hal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44 ada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389 magnet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4—Vertical adjustment of lens; Rising front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2—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linear motion, e.g. actuators; Linear positioners ; Linear motors
- H02N2/04—Constructional details
- H02N2/043—Mechanical transmission means, e.g. for stroke amplification
- H02N2/046—Mechanical transmission means, e.g. for stroke amplification for conversion into rotary motion
-
- H04N5/2254—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줌렌즈용 액추에이터는 수직 길이 방향인 광축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줌렌즈배럴; 개방구를 통하여 유입된 광의 경로를 변경시켜 상기 광을 상기 줌렌즈배럴로 유입시키는 광학계; 상기 광학계가 설치되며 제1OIS마그네트가 구비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이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 및 상기 제1OIS마그네트에 전자기력을 발생시켜 상기 광학계를 상기 광축에 수직한 제1방향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시키는 제1OIS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광학용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자동초점 또는 손떨림 보정의 구동 정밀성을 향상시키는 구조와 광 경로를 변경시키는 구조를 적용한 줌렌즈용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하드웨어 기술의 발전, 사용자 환경 등의 변화에 따라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모바일 단말)에는 통신을 위한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 다양하고 복합적인 기능이 통합적으로 구현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로 오토포커스(AF, Auto Focus), 손떨림 보정(OIS, Optical Image Stabilization) 등의 기능이 구현된 카메라 모듈을 들 수 있으며 근래에는 인증이나 보안 등을 위한 음성 인식, 지문 인식, 홍채 인식 기능 등도 휴대 단말에 탑재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초점 거리를 다양하게 가변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복수 개 렌즈 그룹이 집합되어 있는 줌렌즈의 장착도 시도되고 있다.
줌렌즈의 경우, 일반 렌즈와는 달리 광이 유입되는 방향인 광축 방향으로 복수 개 렌즈 또는 렌즈군들이 배열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일반 렌즈보다 광축 길이 방향으로 그 길이가 길다는 특성을 가진다.
줌렌즈를 통과한 광(Light)은 CCD(Charged-coupled Device),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와 같은 촬상소자로 유입되고 후속 프로세싱을 통하여 이미지 데이터로 생성된다.
그러므로 줌 렌즈가 휴대 단말에 설치되는 경우 휴대 단말의 메인 기판에서 입설(立設)되는 방향 즉, 메인 기판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어야 하므로 휴대 단말은 줌 렌즈의 높이(광축 방향 길이)만큼의 공간이 확보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휴대 단말에 장착되는 종래 줌렌즈는 휴대 단말이 지향하는 장치 소형과 경량화의 본질적 특성에 최적화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종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공개공보 2009-0049482호와 한국등록특허공보 10-0758291호 등에 개시된 방법과 같이 렌즈의 각도, 크기, 이격된 간격, 초점 거리 등을 조정하여 광학계 자체의 크기를 축소시키는 시도도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줌 렌즈의 본질적인 특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자동초점기능(AF, Auto Focus)을 구현하는 경우 줌렌즈의 광축 방향 길이가 길어지고 자체 무게가 무거워짐에 따라 줌렌즈가 탑재된 배럴 내지 캐리어의 선형 이동이 정밀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틸트 등의 불량이 발생하여 자동초점기능 자체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한편, 종래 손떨림 보정(OIS) 방법은 광축 방향(Z축)과 수직한 평면상의 두 방향(X축, Y축 방향)으로 렌즈 또는 렌즈모듈 자체를 보정 이동시키는 방법인데, 이 방법을 줌렌즈에 그대로 적용하는 경우 줌렌즈의 형상, 구조, 기능 등의 특성에 의하여 공간 활용도가 낮고, 장치의 부피를 증가시키며 구동의 정밀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손떨림 보정을 위한 구동 중 일 방향 구동만 렌즈에서 구현하고 다른 방향의 구동은 렌즈 측으로 광을 유입시키는 광학계에서 구현하여 손떨림 보정을 위한 구동 구조를 이원화시킴으로써 줌렌즈의 손떨림 보정을 줌렌즈에 최적화시킬 수 있는 줌렌즈용 액추에이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할 때, 본 발명은 줌렌즈의 자동초점 구동을 위한 마그네트와 이에 대응되는 코일을 분산시켜 줌렌즈의 무게 균형 효율성을 높이고 선형 이동 시 발생될 수 있는 틸트를 원천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줌렌즈의 자동 초점 기능을 최적화시킬 수 있는 줌렌즈용 액추에이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아래의 설명에 의하여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구성과 그 구성의 조합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줌렌즈용 액추에이터는 수직 길이 방향인 광축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줌렌즈배럴; 개방구를 통하여 유입된 광의 경로를 변경시켜 상기 광을 상기 줌렌즈배럴로 유입시키는 광학계; 상기 광학계가 설치되며 제1OIS마그네트가 구비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이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 및 상기 제1OIS마그네트에 전자기력을 발생시켜 상기 광학계를 상기 광축에 수직한 제1방향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시키는 제1OIS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상기 베이스프레임은 상기 제1OIS마그네트에 인력을 발생시키는 제1요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지지프레임은 힌지결합부가 구비되는 몸체부, 상기 제1OIS마그네트가 설치되는 제1면부와, 상기 광학계가 설치되는 제2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발명의 상기 베이스프레임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회전 이동을 위하여 상기 힌지결합부와 결합되는 힌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줌렌즈용 액추에이터는 상기 줌렌즈배럴에 설치되는 제2OIS마그네트; 상기 줌렌즈배럴을 수용하는 제1프레임(AF캐리어); 및 상기 제2OIS마그네트에 전자기력을 발생시켜 상기 줌렌즈배럴을 상기 제1프레임 내에서 상기 광축 및 제1방향 모두에 수직한 제2방향으로 선형 이동시키는 제1OIS코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상기 줌렌즈배럴과 제1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볼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본 발명의 상기 줌렌즈배럴 또는 제1프레임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제1볼의 상기 제2방향 이동을 가이딩하는 가이딩홈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줌렌즈배럴에 구비되는 보조 마그네트 또는 상기 제2OIS마그네트에 인력을 발생시키는 제2요크가 구비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제1프레임에 구비되는 AF마그네트; 상기 제1프레임을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AF마그네트에 전자기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1프레임을 상기 하우징 내에서 광축 방향으로 선형 이동시키는 AF코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하우징과 제1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 개 제2볼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발명의 상기 하우징 또는 제1프레임 중 하나 이상은 상기 복수 개 제2볼의 광축 방향 이동을 가이딩하는 홈부라인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하우징은 상기 AF마그네트에 인력을 발생시키는 제3요크가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상기 AF마그네트 및 AF코일은 광축 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AF마그네트 중 일부는 상기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프레임의 상측에 배치되며,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1프레임의 하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때, 손떨림 보정을 위한 일 방향의 구동을 광의 경로를 변경시키는 광학계에서 구현하도록 하여, 종래와 같이 모든 방향의 손떨림 보정을 위한 구동을 렌즈에서 구현하는 방법을 지양할 수 있어 손떨림 보정의 정밀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액추에이터 장치의 공간 활용도를 더욱 높이고 이를 통하여 장치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할 때, 손떨림 보정을 위한 구동 중 일 축방향 구동은 광학계 측에서, 다른 축 방향 구동은 렌즈 측에서 이원화하여 구현되도록 구조를 개선시킴으로써, 종래 X 및 Y 방향에 대한 손떨림 보정을 렌즈 측에서 모두 구현하기 위한 복잡한 구조에서 벗어나 더욱 간단한 구조로 손떨림 보정을 위한 액추에이터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할 때, 줌렌즈배럴에 구비되는 마그네트와 이 마그네트에 대응하는 구동코일을 다원화 내지 분산시켜 줌렌즈 또는 줌렌즈를 수용하는 캐리어 내지 프레임의 무게를 더욱 효과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자동초점 구동 시 선형 이동의 정밀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자동초점 구동 시 발생되는 틸트 불량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줌렌즈용 액추에이터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광학계 및 광학계를 이용한 OIS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분해 결합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광학계, 지지프레임 및 베이스프레임 등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광학계를 이용하여 구현되는 Y축 OIS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줌렌즈배럴 및 줌렌즈배럴을 이용한 OIS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분해 결합도,
도 6은 줌렌즈배럴에서 구현되는 X축 OIS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AF 관련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제1프레임의 광축 방향 선형이동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AF의 작동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줌렌즈용 액추에이터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광학계 및 광학계를 이용한 OIS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분해 결합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광학계, 지지프레임 및 베이스프레임 등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광학계를 이용하여 구현되는 Y축 OIS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줌렌즈배럴 및 줌렌즈배럴을 이용한 OIS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분해 결합도,
도 6은 줌렌즈배럴에서 구현되는 X축 OIS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AF 관련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제1프레임의 광축 방향 선형이동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AF의 작동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줌렌즈용 액추에이터(1000)(이하 ‘액추에이터’라 지칭한다)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두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상부에 위치하는 구성은 광학계 및 광학계를 이용하여 광 경로의 변경 및 OIS(손떨림보정)를 구현하는 파트에 해당하며, 하부에 위치하는 구성은 렌즈 또는 줌렌즈가 구비된 렌즈배럴을 이용하여 AF(오토포커스, 자동초점조절기능)와 OIS를 구현하는 파트에 해당한다.
이하 설명과 이해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하여 본 발명의 액추에이터(1000)에서 상부에 위치하는 구성 파트를 제1파트(100)로 지칭하며 하부에 위치하는 파트를 제2파트(200)로 지칭한다.
본 발명은 피사체 등의 광(light)이 바로 줌렌즈배럴(210)로 유입되지 않고 본 발명의 액추에이터(1000) 상부에 구비되는 광학계(도 2의 120)를 통하여 빛의 경로가 변경(굴절, 반사 등)된 후 줌렌즈배럴(210)로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도 1에서, 외계에서 들어오는 빛의 경로가 Z1이며, 이 빛(Z1)이 광학계(120)에 의하여 굴절 내지 반사되어 줌렌즈배럴(210)로 들어가는 빛의 경로가 Z이다. 이하 설명에서 Z를 광축 내지 광축 방향이라고 지칭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액추에이터(1000)가 2개의 제1파트(100)와 제2파트(200)로 구분되고 이들 구성이 상호 결합되어 조립되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설치 내지 조립 공정 등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실시형태에 따라 단일의 케이스에 함께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에 도시된 커넥터(15, 251)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전원 공급, 구동 제어, 데이터 통신 등을 위한 커넥터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장치와의 효과적인 인터페이싱을 위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줌렌즈배럴(210) 아래쪽으로는 빛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는 CCD, CMOS 등과 같은 촬상소자가 구비될 수 있으며, 특정 대역의 빛 신호를 차단하거나 투과시키는 필터가 함께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광학계에 대한 구성 및 광학계를 이용하여 광 경로의 변경 및 제1방향(Y축 방향)의 OIS를 구현하는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렌즈를 OIS 구동의 대상으로 하여 광축(Z)와 수직한 두 방향 즉, Y축 방향(제1방향) 및 X축 방향(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종래의 OIS 방법을 지양하고 빛의 경로를 변경시키는 광학계에서 OIS 구동 중 하나의 축 방향 OIS를 구현하는 기술에 해당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광학계 및 광학계를 이용한 OIS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분해 결합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추에이터(1000)는 줌렌즈배럴(210), 광학계(120), 지지프레임(130), 베이스프레임(110) 및 제1OIS코일(1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줌렌즈배럴(120)은 복수 개의 렌즈 내지 렌즈군 또는 프리즘, 미러 등과 같은 광학부재가 내부에 포함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이룬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줌렌즈배럴(210)의 수직축 방향 즉, 줌렌즈배럴(210)로 빛이 들어가는 경로에 대응되는 축을 광축(Z축)으로 정의하며, 이 광축(Z축)과 수직한 평면상의 두 축을 X축과 Y축으로 정의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Z1 경로의 광(light)이 제1케이스(180)의 개방부(181)를 통하여 본 발명의 액추에이터(1000)로 유입되면 본 발명의 광학계(120)는 유입된 광의 경로를 광축 방향(Z)으로 변경(굴절 내지 반사 등)시켜 광(light)을 줌렌즈배럴(210) 측으로 유입시킨다.
상기 광학계(120)는 미러(mirror) 또는 프리즘(prism) 중 선택된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으며 외계에서 유입된 빛을 광축 방향으로 변경시킬 수 있는 다양한 부재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광학계(120)에 의하여 빛의 경로가 굴절된 후 줌렌즈배럴(210) 측으로 유입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줌렌즈배럴(210) 자체를 휴대 단말의 두께 방향으로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줌렌즈를 휴대 단말에 장착하더라도 휴대 단말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아 휴대 단말의 소형화 등에 최적화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광학계(120)는 본 발명의 지지프레임(130)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프레임(130)은 본 발명의 베이스프레임(110)에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지지프레임(130)은 몸체부(131), 제1면부(132) 및 제2면부(도 3의 1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몸체부(131)는 베이스프레임(110)과의 회전 이동을 위한 힌지결합부(137)가 구비되며, Y축 방향 전면을 향하고 있는 지지프레임(130)의 제1면부(131)에는 광학계(120)가 설치된다.
지지프레임(130)의 제2면부(도 3의 133)에는 Y축 방향의 손떨림 보정을 위한 제1OIS마그네트(140)가 구비된다. 즉, 도 2를 기준으로 할 때, 본 발명의 지지프레임(130)의 Y축 방향 후면에 제1OIS마그네트(140)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베이스프레임(110)은 지지프레임(130)이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지지프레임(130)이 베이스프레임(110)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부(137)과 결합되는 힌지부(117)가 지지프레임(130)의 힌지결합부(137)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힌지결합부(137)와 힌지부(117)의 구성은 홈부와 돌출부의 결합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가 가능함은 물론이며, 조립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30)이 베이스프레임(110)에 안착된 후, 지지프레임(130)의 힌지결합부(137)과 베이스프레임(110)의 힌지부(117)에 샤프트(170)가 공통의 축으로 끼움 결합되는 방식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프레임(110)의 후방으로는 제1OIS코일(150), 제1구동드라이버(157), 제1회로기판(155)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제1OIS구동부가 구비된다. 이 제1OIS코일(150)은 외부에서 적절한 크기와 방향의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제1OIS마그네트(140)에 인가된 전원의 크기와 방향에 대응되는 전자기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1OIS마그네트(140)에 구동력을 전달한다.
이와 같이 제1OIS마그네트(140)에 구동력이 전달되면 제1OIS마그네트(140)가 결합되어 있는 지지프레임(130) 및 지지프레임(130)에 장착된 광학계(120)가 구동력을 받아 이동하게 되며,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이 지지프레임(130)은 베이스프레임(110)에 회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결국 광학계(120)는 제1OIS코일(150)의 전자기력에 의하여 회전 이동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홀 효과(hall effect)를 이용하여 제1OIS마그네트(140)의 위치(광학계(120)의 위치)를 감지하는 홀센서가 감지 신호를 제1구동드라이버(157)로 전달하면 구동드라이버(157)는 입력된 홀센서의 신호를 이용하여 적절한 크기와 방향의 전원이 제1OIS코일(150) 측으로 인가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광학계(120)의 정확한 위치를 피드백 제어함으로써 제1방향(Y축 방향)의 손떨림보정기능이 정밀하게 구현될 수 있다. 제1구동드라이버(157)는 홀센서와는 독립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홀센서를 내장하여 하나의 칩 내지 모듈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광학계(120)가 장착된 지지프레임(130)과 베이스프레임(110)은 축 결합 등에 의하여 회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결합 구조 상 유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유격은 광학계(120) 자체의 흔들림, 진동 등과 같은 현상을 발생시키므로 손떨림 보정을 위한 구동 이외에는 정해진 기준 위치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 등과 같이 자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제1요크(160)는 이러한 현상을 해소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OIS마그네트(140)와 대향하는 방향에 설치되어 제1OIS마그네트(140)와 상호 인력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제1OIS마그네트(140)가 구비되는 광학계(120) 자체의 위치 내지 자세가 기준 위치 내지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광학계(120), 지지프레임(130) 및 베이스프레임(110) 등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지프레임(130) 후면으로는 제1OIS마그네트(140)가 장착되는 제2면부(133)이 구비되며, 광학계(120)가 설치되는 지지프레임(130)은 베이스프레임(110)과 샤프트(170)에 의하여 결합되어 베이스프레임(110)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때, 지지프레임(130)이 베이스프레임(110)을 기준으로 더욱 유연하고 정밀하게 회전 이동하도록 베이스프레임(110)의 힌지부(117)에 소정의 베어링(171)이 결합되도록 하고 이 베어링(171)을 통하여 샤프트(170)가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광학계를 이용하여 구현되는 Y축 OIS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의 가운데 그림은 손떨림 보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의 광학계(12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가운데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계의 빛은 Z1 경로로 유입되며 광학계(120)에 의하여 그 경로가 변경되어 광축 방향(Z)으로 줌렌즈배럴(210)에 유입된다.
손떨림 등에 의한 외부의 흔들림이 본 발명의 액추에이터(1000)에 전달되어 광학계(120)가 Y축 방향으로 흔들리게 되면, 본 발명의 제1구동드라이버(157)는 광학계(120), 구체적으로 광학계(120)와 물리적으로 일체화되어 있는 제1OIS마그네트(140)의 위치를 센싱하는 홀센서에 의한 피드백 제어를 통하여 위치를 보정하기 위한 적절한 크기와 방향의 전원이 제1OIS코일(150)에 인가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은 피드백 제어를 통하여 제1OIS코일(150)과 제1OIS마그네트(140) 사이에 전자기력이 발생되면 발생된 전자기력을 구동력으로 하여 광학계(120)가 회전 이동하게 되어 손떨림에 의한 움직임이 보정되도록 한다.
도 4의 좌측 그림과 같이 제1OIS코일(150)에서 발생된 전자기력이 광학계(12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유입된 빛은 왼쪽으로 변이(d1)를 발생시키므로 렌즈 또는 CCD 등의 촬상소자의 관점에서는 Y축 방향의 보정 이동이 이루어진다.
대응되는 관점에서 도 4의 우측 그림과 같이 제1OIS코일(150)에서 발생된 전자기력이 광학계(12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유입된 빛은 오른쪽으로 변이(d2)를 발생시키므로 렌즈 또는 CCD 등의 촬상소자의 관점에서는 Y축 방향의 보정 이동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광학계(120)를 회전 이동시킴으로써 특정 방향으로의 손떨림 보정을 구현하는 것이며 이는 렌즈 자체를 이동시키는 종래 방법과는 본질적인 차이를 가지게 된다.
또한, 홀센서는 감지 대상이 되는 마그네트와의 거리에 따른 자기장 변화를 감지하는데 마그네트와의 이격 거리가 너무 작은 경우 홀센서의 분해능이 낮아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광학계(120)가 기준 축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하므로 회전 이동되는 크기가 커질수록 홀센서와의 이격 거리가 비선형적으로 더 커지게 되므로 홀센서와의 감지를 더욱 뚜렷이 구분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방향(X축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OIS 구동 및 이를 위한 구체적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줌렌즈배럴(210) 및 줌렌즈배럴(210) 이용한 OIS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분해 결합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줌렌즈배럴(210), 제2OIS마그네트(230), 제1프레임(220) 및 제2OIS코일(2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OIS마그네트(230)가 구비되는 줌렌즈배럴(210)은 제1프레임(220)에 수용되는 형태로 제1프레임(220) 내부의 공간에 설치되며, 실시 형태에 따라서 광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적절히 제한하는 스토퍼(217)가 구비될 수 있다.
제2OIS마그네트(230)와 대향하는 방향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제2OIS코일(240)은 인가되는 전원의 크기와 방향에 따른 전자기력을 발생시키고 이 전자기력은 상기 제2OIS마그네트(230)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제2OIS마그네트(230)가 설치된 줌렌즈배럴(210)을 제1프레임(220) 내에서 이동시킨다.
이러한 제2OIS마그네트(230)와 제2OIS코일(240) 사이의 전자기력에 의한 이동은 광축(Z) 및 제1방향(Y) 모두에 수직한 방향인 제2방향(X)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X축 방향 OIS 구동 및 앞서 설명된 광학계(120)를 이용한 OIS 구동(Y축 방향)이 조합적으로 적용됨으로써 광축과 수직한 두 방향(X축 방향, Y축 방향) 모두의 OIS 구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제2OIS코일(240)은 제2회로기판(250) 상에 제2구동드라이버(241)와 함께 탑재되며 상기 제2회로기판(25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프레임(22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제2구동드라이버(241)는 앞서 설명된 제1구동드라이버(157)와 같이 줌렌즈배럴(210)의 X축 방향 위치 즉, 제2OIS마그네트(230)의 위치를 감지하고 감지된 위치에 대응되는 피드백 제어를 수행한다.
커넥터(251)는 제2회로기판(250)의 단부로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외부 장치 등과의 효과적인 인터페이싱을 위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줌렌즈배럴(210)과 제1프레임(220) 사이에는 복수 개의 제1볼(260)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줌렌즈배럴(210)과 제1프레임(220) 사이에 복수 개의 제1볼(260)이 배치되고 줌렌즈배럴(210)이 제1볼(260)의 상부와 점접촉(point contact)하고 제1프레임(220)이 제1볼(260)의 하부와 점접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제1볼(260)의 구름 운동(rolling) 및 점접촉(point-contact)에 의하여 최소화된 마찰력으로 줌렌즈배럴(210)이 X축 방향으로 선형 이동할 수 있어 소음의 감소는 물론, 줌렌즈배럴(210)의 선형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줌렌즈배럴(210)의 선형 이동을 더욱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 개 제1볼(260)과 점접촉하며 복수 개 제1볼(260)의 이동을 가이딩하는 가이딩홈부(221)가 줌렌즈배럴(210) 또는 제1프레임(220)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딩홈부(221)를 통하여 줌렌즈배럴(210)은 더욱 정확하고 유연하게 X축 방향(제2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프레임(220)의 하면에는 제2요크(270)가 구비되는데 이 제2요크(270)는 줌렌즈배럴(210)에 구비되는 제2OIS마그네트(230)와 인력을 발생시켜 줌렌즈배럴(210)이 제1볼(260)과의 점접촉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줌렌즈배럴(210)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제1볼(260)의 직경에 대응되는 정확한 이격 거리를 제1프레임(220)과 유지하게 된다.
제2요크(270)가 발생시키는 흡입력 내지 인력을 더욱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줌렌즈배럴(210)의 하부에는 제2요크(270)와 인력을 발생시키는 보조 마그네트(215)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제2요크(270)는 이 보조 마그네트(215)와 광축 방향 즉, 줌렌즈배럴(210)의 수직한 방향으로 인력을 발생시켜 줌렌즈배럴(210)을 수직 하방으로 당김으로써 줌렌즈배럴(210)이 복수 개의 제1볼(260)과 점접촉을 효과적으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제2케이스(205)는 상기 제1프레임(220) 또는 후술되는 하우징(28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 구성들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6은 줌렌즈배럴(210)에서 구현되는 X축 OIS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줌렌즈배럴(210)에는 제2OIS마그네트(230)가 구비되며, 제1프레임(220)에는 이 제2OIS마그네트(230)에 대면 내지 대향하는 제2OIS코일(240)이 구비된다.
제2구동드라이버(241)의 피드백 제어에 의하여 제2OIS코일(240)에 전원이 인가되면 제2OIS코일(240)과 제2OIS마그네트(230) 사이에는 인가된 전원의 크기와 방향에 따른 전자기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 전자기력에 의하여 제2OIS마그네트(230)가 구비된 줌렌즈배럴(210)이 광축(Z축) 및 제1방향(Y축 방향) 모두와 수직한 방향인 제2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6의 왼쪽 그림은 제2OIS코일(240)와 제2OIS마그네트(230) 사이에 인력이 발생하여 줌렌즈배럴(210)이 D2만큼 좌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6의 오른쪽 그림은 제2OIS코일(240)와 제2OIS마그네트(230) 사이에 척력이 발생하여 줌렌즈배럴(210)이 D1만큼 우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의한 액추에이터(1000)의 AF구동 및 AF구동을 위한 구체적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AF 관련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추에이터(1000)는 AF 구동을 위하여 AF마그네트(283), 하우징(280) 및 AF코일(2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초점(AF) 구동은 상술된 본 발명의 제1프레임(220)을 하우징(280)을 기준으로 광축 방향으로 선형이동시킴으로써 구현된다. 즉, 하우징(280)을 고정체로 하고 하우징(280)에 수용되는 제1프레임(220)이 하우징(280)을 기준으로 이동체가 되어 광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제1프레임(220) 내부에 줌렌즈배럴(210)이 장착되므로 제1프레임(220)이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줌렌즈배럴(210) 또한, 그 물리적 이동을 함께 하게 되므로 줌렌즈배럴(210)이 광축 방향(Z)을 기준으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선형이동하게 되어 자동초점 기능이 구현된다.
이를 위하여 AF마그네트(283)가 제1프레임(220)에 구비되며, 본 발명의 AF코일(290)은 이 AF마그네트(283)에 전자기력을 발생시켜 제1프레임(220)을 하우징(280)에서 광축 방향으로 선형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상기 AF마그네트(283)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줌렌즈배럴(210) 즉, 제1프레임(220)의 광축 방향을 따라 상하 방향에 제1AF마그네트(283-1)와 제2AF마그네트(283-2)로 다원화되어 제1프레임(220)에 구비될 수 있다.
AF마그네트(283)는 줌렌즈배럴(210)이 장착된 제1프레임(220)에 대한 구동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면 다양한 개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 설명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복수 개 AF마그네트(283)를 제1AF마그네트(283-1) 및 제AF2마그네트(283-2)로 예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AF코일(290)은 AF마그네트(283)와 대향하도록 상기 광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AF마그네트(283)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데 상술된 AF마그네트(283)와 같이 복수 개로 하우징(280)에 구비될 수 있다.
즉, AF코일(290) 또한, 상기 제1AF마그네트(283-1)와 제2AF마그네트(283-2)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AF코일(290-1)과 제2AF코일(290-2)로 다원화되어 하우징(280) 측에 구비된다.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줌렌즈배럴(210)은 광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게 되므로 이에 적응적인 구조를 구현하기 위하여 제1프레임(220) 또한 광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게 된다.
종래와 같이 줌렌즈배럴(210)의 자동초점구동과 관련하여 단일의 AF마그네트와 단일의 AF코일을 배치하는 경우 줌렌즈배럴(210) 또는 줌렌즈배럴(210)를 수용하는 제1프레임(220)의 선형 이동 시, 선형 이동 방향에 따라 제1프레임(220)의 윗방향 또는 아래 방향에 미세한 틸트 현상 즉, 자세 불균형에 의한 기울어짐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제1프레임(220) 내부에 줌렌즈배럴(210)이 수용되며 이 줌렌즈배럴(210) 내부에 복수 개의 렌즈 등이 구비되어 있어 줌렌즈배럴(210) 자체의 전체 광축이 길므로 틸트 현상이 미세하더라도 촬상소자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AF마그네트(283)와 AF코일(290)을 다원화시켜 상하 방향으로 배치하고 제1프레임(220)의 수직 길이 방향의 가운데 부분을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에 각각 제1AF마그네트(283-1)와 제2AF마그네트(283-2)를 배치하고 이들 각각과 제1AF코일(290-1)과 제2AF코일(290-2) 사이에 전자기력이 발생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하중이 상대적으로 무거워지고 광축 방향으로 길어진 줌렌즈배럴(120) 및 제1프레임(220)의 상하 선형 이동의 구동력을 높임과 동시에 선형 이동 방향에 따라 상측 또는 하측에서 발생되는 틸트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1AF코일(290-1)과 제2AF코일(290-2)은 AF회로기판(291)을 통하여 외부에서 전원이 인가되면 인가되는 전원의 크기와 방향에 대응되는 각각의 전자기력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전자기력에 의하여 제1AF마그네트(283-1)와 제2AF마그네트(283-2) 각각에 구동력을 분산 발생시킨다. 이와 같이 구동력이 발생되면 제1AF마그네트(283-1)와 제2AF마그네트(283-2)가 구비된 제1프레임(220)은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선형 이동하게 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AF회로기판(291)에는 AF마그네트(283)의 위치를 감지하고 감지된 위치에 따른 피드백 제어를 위한 제3구동드라이버(293)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80)의 개방부 측으로는 제1프레임(2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프레임(220)에 구비되는 AF마그네트(283)에 인력을 발생시키는 제3요크(295)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AF마그네트(283)에 인력을 발생시키는 제3요크(295)는 독립된 구성으로 구비되어 하우징(280)에 결합되는 형태는 물론, 인서트 사출에 의하여 하우징(280)에 구비되거나 또는 하우징(280) 프레임 자체가 요크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일체형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의 활용도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하우징(280)의 일측에, X축 방향 OIS 구동을 위한 구동부(제2OIS코일(240), 제2구동드라이버(241), 제2회로기판(250))가 구비되며, 그 반대편에 상술된 AF구동부(AF코일(290), AF회로기판(291), 제3구동드라이버(293) 등)가 구비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제1프레임(220)의 광축 방향(Z축 방향) 선형이동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80)과 제1프레임(220) 사이에는 복수 개의 제2볼(281)이 구비된다. 이 제2볼(281)은 앞서 기술된 제1볼(260)과 같이 점접촉(point-contact)과 구름 운동(rolling)에 의한 최소화된 마찰력으로 제1프레임(220)이 하우징(280) 내부에서 광축 방향으로 유연하게 선형 이동하도록 조력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제1프레임(220)과 하우징(280) 사이에 복수 개의 제2볼(281)이 배치되고 제1프레임(220)이 제2볼(281)과 점접촉(point contact)하고 하우징(280)이 제2볼(281)과 점접촉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제2볼(281)의 구름 운동(rolling)과 점접촉에 의하여 최소화된 마찰력으로 제1프레임(220)이 선형 이동할 수 있어 소음의 감소는 물론, 제1프레임(220)의 선형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제1프레임(220)의 선형 이동을 더욱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 개의 제2볼(281)과 점접촉하며 복수 개 제2볼(281)의 이동을 가이딩하도록 측면에 일종의 벽부가 형성된 홈부라인(285)이 제1프레임(220)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응되도록 하우징(280)의 양측에 복수 개의 제2볼(281)과 점접촉하며 복수 개 제2볼(281)의 이동을 가이딩하는 홈부라인(285)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볼(281)의 이탈을 방지하고 제2볼(281)의 이동을 가이딩하는 홈부라인(285)을 통하여 제1프레임(220)은 더욱 정확하게 광축방향으로 선형이동하게 된다.
제2볼(281)이 제1프레임(220)의 가운데 부분을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 방향에서 제1프레임(220)을 더욱 균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제2볼(281) 또한, 상측과 하측으로 다원화하여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측에 배치되거나 하측에 배치되는 제2볼(281)이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적정한 범위 이상 그 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상기 홈부라인(285) 에는 제2볼(281)의 수직 방향 이동 내지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딩벽부(287)가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프레임(220)은 하우징(280)에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1프레임(220)과 하우징(280) 사이에 AF코일(290)과 AF마그네트(283)가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는 상태에서 제1프레임(220)과 하우징(280)이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케이스(205)는 위와 같이 제1프레임(220)과 하우징(280)이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될 수 있으나, 실시형태에 따라 제2케이스(205)는 하우징(28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AF의 작동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센서와 제3구동드라이버(293)의 제어에 의하여 적절한 크기와 방향의 전원이 제1AF코일(290-1) 및 제2AF코일(290-2)에 인가되면 제1AF코일(290-1) 및 제2AF코일(290-2)은 제1AF마그네트(283) 및 제2AF마그네트(283)와의 관계에서 인가된 전원에 대응되는 각각의 전자기력을 발생시키고 이 전자기력에 의하여 제1AF마그네트(283) 및 제2AF마그네트(283)가 구비된 제1프레임(220)이 광축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1프레임(220)은 줌렌즈배럴(210)을 수용하며 줌렌즈배럴(210)과 그 광축 방향으로의 물리적 이동을 함께 하므로 제1프레임(220)이 광축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줌렌즈배럴(210) 또한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러한 줌렌즈배럴(210)의 광축 방향 이동에 의하여 자동초점 기능이 구현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 제1, 제2 또는 상, 하 등과 같은 표현은 상호 간의 각 구성(요소)을 상대적으로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도구적 개념의 용어일 뿐, 특정의 순서, 우선순위 등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용어이거나, 절대적인 기준에서 각각의 구성(요소)을 물리적으로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용어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설명과 그에 대한 실시예의 도시를 위하여 첨부된 도면 등은 본 발명에 의한 기술 내용을 강조 내지 부각하기 위하여 다소 과장된 형태로 도시될 수 있으나, 앞서 기술된 내용과 도면에 도시된 사항 등을 고려하여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 수준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 적용 예가 가능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000 : 줌렌즈용 액추에이터
110 : 베이스프레임 120 : 광학계
130 : 지지프레임 131 : 몸체부
132 : 제1면부 133 : 제2면부
137 : 힌지결합부 140 : 제1OIS마그네트
150 : 제1OIS코일 160 : 제1요크
170 : 샤프트 180 : 제1케이스
205: 제2케이스 210 : 줌렌즈배럴
215 : 보조 마그네트 220 : 제1프레임
230 : 제2OIS마그네트 240 : 제2OIS코일
260 : 제1볼 270 : 제2요크
280 : 하우징 281 : 제2볼
283 : AF마그네트 285 : 홈부라인
287 : 가이딩벽부 290 : AF코일
295 : 제3요크
110 : 베이스프레임 120 : 광학계
130 : 지지프레임 131 : 몸체부
132 : 제1면부 133 : 제2면부
137 : 힌지결합부 140 : 제1OIS마그네트
150 : 제1OIS코일 160 : 제1요크
170 : 샤프트 180 : 제1케이스
205: 제2케이스 210 : 줌렌즈배럴
215 : 보조 마그네트 220 : 제1프레임
230 : 제2OIS마그네트 240 : 제2OIS코일
260 : 제1볼 270 : 제2요크
280 : 하우징 281 : 제2볼
283 : AF마그네트 285 : 홈부라인
287 : 가이딩벽부 290 : AF코일
295 : 제3요크
Claims (13)
- 수직 길이 방향인 광축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줌렌즈배럴;
개방구를 통하여 유입된 광의 경로를 변경시켜 상기 광을 상기 줌렌즈배럴로 유입시키는 광학계;
상기 광학계가 설치되며 제1OIS마그네트가 구비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이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 및
상기 제1OIS마그네트에 전자기력을 발생시켜 상기 광학계를 상기 광축에 수직한 제1방향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시키는 제1OIS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용 액추에이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은,
상기 제1OIS마그네트에 인력을 발생시키는 제1요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용 액추에이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힌지결합부가 구비되는 몸체부, 상기 광학계가 설치되는 제1면부와, 상기 제1OIS마그네트가 설치되는 제2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회전 이동을 위하여 상기 힌지결합부와 결합되는 힌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용 액추에이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줌렌즈배럴에 설치되는 제2OIS마그네트;
상기 줌렌즈배럴을 수용하는 제1프레임(AF캐리어); 및
상기 제2OIS마그네트에 전자기력을 발생시켜 상기 줌렌즈배럴을 상기 제1프레임 내에서 상기 광축 및 제1방향 모두에 수직한 제2방향으로 선형 이동시키는 제2OIS코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용 액추에이터.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줌렌즈배럴과 제1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용 액추에이터.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줌렌즈배럴 또는 제1프레임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제1볼의 상기 제2방향 이동을 가이딩하는 가이딩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용 액추에이터.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줌렌즈배럴에 구비되는 보조 마그네트 또는 상기 제2OIS마그네트에 인력을 발생시키는 제2요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용 액추에이터. - 제 4항에 있어서,
제1프레임에 구비되는 AF마그네트;
상기 제1프레임을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AF마그네트에 전자기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1프레임을 상기 하우징 내에서 광축 방향으로 선형 이동시키는 AF코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용 액추에이터.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제1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 개 제2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용 액추에이터.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또는 제1프레임 중 하나 이상은,
상기 복수 개 제2볼의 광축 방향 이동을 가이딩하는 홈부라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용 액추에이터.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AF마그네트에 인력을 발생시키는 제3요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용 액추에이터.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AF마그네트 및 AF코일은,
광축 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용 액추에이터.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AF마그네트 중 일부는,
상기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프레임의 상측에 배치되며,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1프레임의 하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용 액추에이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99652A KR20180015966A (ko) | 2016-08-04 | 2016-08-04 | 줌렌즈용 액추에이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99652A KR20180015966A (ko) | 2016-08-04 | 2016-08-04 | 줌렌즈용 액추에이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15966A true KR20180015966A (ko) | 2018-02-14 |
Family
ID=61229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99652A KR20180015966A (ko) | 2016-08-04 | 2016-08-04 | 줌렌즈용 액추에이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015966A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79920B1 (ko) | 2020-02-10 | 2021-07-22 | 삼성전기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 |
KR102334584B1 (ko) * | 2020-07-17 | 2021-12-06 | 자화전자(주) |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CN114660875A (zh) * | 2019-08-30 | 2022-06-24 | 三星电机株式会社 | 相机模块 |
EP3979616A4 (en) * | 2019-09-18 | 2022-08-10 |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 IMAGING METHOD, IMAGING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
CN115185144A (zh) * | 2018-10-26 | 2022-10-14 | 三星电机株式会社 | 相机模块 |
-
2016
- 2016-08-04 KR KR1020160099652A patent/KR20180015966A/ko unknown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185144A (zh) * | 2018-10-26 | 2022-10-14 | 三星电机株式会社 | 相机模块 |
CN114660875A (zh) * | 2019-08-30 | 2022-06-24 | 三星电机株式会社 | 相机模块 |
EP3979616A4 (en) * | 2019-09-18 | 2022-08-10 |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 IMAGING METHOD, IMAGING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
KR102279920B1 (ko) | 2020-02-10 | 2021-07-22 | 삼성전기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 |
KR20210102124A (ko) | 2020-02-10 | 2021-08-19 | 삼성전기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 |
US11874594B2 (en) | 2020-02-10 | 2024-01-16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Camera module |
KR102334584B1 (ko) * | 2020-07-17 | 2021-12-06 | 자화전자(주) |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00386B1 (ko) | 줌렌즈용 구동장치 | |
KR102423363B1 (ko) | 줌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 |
US10564442B2 (en) | Apparatus for driving optical-reflector for OIS with multi-axial structure | |
KR101942743B1 (ko) |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
US10921552B1 (en) | Autofocus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
KR102140582B1 (ko) | 다축 구조의 반사계 구동장치 | |
CN113050341B (zh) | 相机模块 | |
US10931857B2 (en) | Aperture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
KR20180015966A (ko) | 줌렌즈용 액추에이터 | |
KR101862228B1 (ko) | Ois를 위한 반사계 구동장치 | |
EP3584624B1 (en) | Reflection system driving device having multi-axis structure | |
KR20170051928A (ko) | 카메라 모듈 | |
CN113050340B (zh) | 相机模块 | |
KR20200012421A (ko) | 모듈 결합형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 |
US11860445B2 (en) | Actuator for driving reflector | |
KR20210014875A (ko) | 렌즈 어셈블리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
KR101729543B1 (ko) | 듀얼 렌즈용 싱글 액츄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
KR101571037B1 (ko) | 카메라 렌즈 모듈 | |
US11543675B2 (en) | Actuator for optical image stabilization with reflector | |
CN219245920U (zh) | 相机模块 | |
KR101945710B1 (ko) | Ois를 위한 반사계 구동장치 | |
KR102423685B1 (ko) | 렌즈 구동장치 | |
KR20220036786A (ko) | 카메라 모듈 | |
KR101955010B1 (ko) | 카메라 렌즈 모듈 | |
KR20230025979A (ko) | 하이브리드 줌 구동 액추에이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