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7756A - 잉크, 이 잉크를 이용한 인쇄 정제의 제조 방법 및 정제 인쇄 장치 - Google Patents

잉크, 이 잉크를 이용한 인쇄 정제의 제조 방법 및 정제 인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7756A
KR20220127756A KR1020220028810A KR20220028810A KR20220127756A KR 20220127756 A KR20220127756 A KR 20220127756A KR 1020220028810 A KR1020220028810 A KR 1020220028810A KR 20220028810 A KR20220028810 A KR 20220028810A KR 20220127756 A KR20220127756 A KR 20220127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printing
tablet
pigment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8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츠미 고바야시
나츠키 아사미
Original Assignee
시바우라 메카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201654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2140301A/ja
Application filed by 시바우라 메카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시바우라 메카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27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7756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3Printing on three-dimensional objects not being in sheet or web form, e.g. spherical or cubic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0023Digital printing methods characterised by the inks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C09D11/32Inkjet 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colour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C09D11/36Inkjet printing inks based on non-aqueous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50Sympathetic, colour changing or similar in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Ink J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칼리성 정제에의 인쇄에 적합한 잉크, 이 잉크를 이용한 인쇄 정제의 제조 방법 및 정제 인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형태에 따른 잉크는, 알칼리성 정제에 미리 정해진 색의 식별 정보를 인쇄하기 위한 잉크젯용의 잉크로서, 물과, 에탄올과, 수용성 고비점 유기 용제와, 알칼리성 정제에 인쇄하기 전에는 미리 정해진 색과 상이한 색을 나타내고 알칼리성 정제에 인쇄된 후에 미리 정해진 색으로 변화하는 색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잉크, 이 잉크를 이용한 인쇄 정제의 제조 방법 및 정제 인쇄 장치{INK, METHOD FOR MANUFACTURING PRINTING TABLET USING THE SAME, AND TABLET PRINTING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잉크, 이 잉크를 이용한 인쇄 정제의 제조 방법 및 정제 인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제에 있어서, 문자나 기호 등의 식별 정보를 인쇄함으로써, 정제의 식별성을 높여, 조제자에 의한 조제의 미스 방지나, 사용자의 오음(誤飮) 방지 등이 도모되고 있다.
정제에의 인쇄 방법으로서는, 잉크젯 방식의 인쇄를 들 수 있다. 잉크젯 방식의 인쇄에 의하면, 정제에 대해 비접촉으로 인쇄를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예컨대 OD정(錠)(구강내 붕괴정)과 같은 붕괴의 우려가 높은 정제에 대해서도 적합하게 인쇄를 행할 수 있다.
이러한 잉크젯 방식의 인쇄에 있어서, 염료를 포함하는 잉크(염료 잉크)를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염료 잉크에 의하면, 안료를 포함하는 잉크와 비교하여, 인쇄된 문자 등이 진하게 발색되기 쉬워, 식별 정보의 시인성이 좋아진다. 또한, 안료를 포함하는 잉크는, 안료가 용매에 분산된 상태이기 때문에, 잉크젯 헤드의 노즐로부터의 토출성이 나빠, 토출 불량을 일으켜, 인쇄 불량이 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염료 잉크에 있어서는, 염료가 용매에 용해되어 있기 때문에, 잉크젯 헤드의 노즐로부터의 토출성이 확보되기 쉬워, 인쇄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1-236279호 공보
본 발명은 알칼리성 정제에의 인쇄에 적합한 잉크, 이 잉크를 이용한 인쇄 정제의 제조 방법 및 정제 인쇄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잉크는, 알칼리성 정제에 미리 정해진 색의 식별 정보를 인쇄하기 위한 잉크젯용의 잉크로서, 물과, 에탄올과, 수용성 고비점 유기 용제와, 상기 알칼리성 정제에 인쇄하기 전에는 상기 미리 정해진 색과 상이한 색을 나타내고 상기 알칼리성 정제에 인쇄된 후에 상기 미리 정해진 색으로 변화하는 색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정제의 제조 방법은, 노즐로부터 잉크를 토출하는 인쇄 헤드에,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잉크를 공급하고, 상기 인쇄 헤드를 이용하여, 알칼리성 정제에 대해 상기 잉크로 식별 정보를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정제 인쇄 장치는, 알칼리성 정제를 반송하는 반송 장치와, 상기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알칼리성 정제에 대해, 노즐로부터 잉크를 토출함으로써 인쇄를 행하는 인쇄 헤드를 갖고, 상기 인쇄 헤드는,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잉크를 토출함으로써, 식별 정보를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잉크젯 방식의 인쇄에서는, 잉크젯 헤드 내에 충전된 잉크를 잉크젯 헤드 선단의 노즐에 있는 개구로부터 토출한다. 이 노즐의 개구 내 혹은 개구 주변에서 잉크가 건조되어 부착되어, 개구의 형상이 변형하거나, 막히거나 하면, 토출 불량이 된다. 또한, 잉크의 점성이 높으면, 노즐로부터 정상적으로 토출할 수 없어, 토출 불량이 된다. 인쇄 대상인 정제의 표면에는, 잉크젯 헤드의 노즐로부터 토출된 잉크의 액적이 착탄(着彈)되고, 이 착탄된 액적에 의해 형성되는 인쇄 도트(점)를 조합하여, 점묘로 문자나 기호 등이 인쇄된다. 이때, 토출 불량이 있으면, 문자나 기호가 되는 패턴으로 인쇄 도트가 형성되지 않아, 인쇄가 흐리게 보이거나, 원하는 문자나 기호로 보이지 않거나 하여, 인쇄 불량이 된다.
또한, 정제의 표면에 착탄된 잉크가 좀처럼 건조되지 않으면, 인쇄 후의 반송 등에서 잉크가 벗겨지거나, 다른 정제나 반송 장치 등에 부착되어 더럽혀 버리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정제의 인쇄에 사용하는 잉크젯용의 잉크의 특성으로서, 노즐로부터의 토출성과, 인쇄 후의 건조성을 겸비할 필요가 있다.
정제에는, 알칼리성의 원료를 함유하고 있거나, 혹은 알칼리성의 성분으로 코팅되어 있거나 하여, 그 표면(적어도 인쇄 대상 부위)이 알칼리성을 나타내는 정제(이하, 간단히 「알칼리성 정제」라고 함)가 있다. 알칼리성 정제에 대해, 염료 잉크를 이용하여 인쇄를 행하면, 염료에 따라서는, 경시적으로, 인쇄한 문자 등이 변색이나 번짐을 일으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청색의 잉크에 있어서는, 예컨대 청색의 염료로서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식용 청색 1호(브릴리언트 블루 FCF)를 포함하는 잉크로 알칼리성 정제에 인쇄하여, 온도 40도, 습도 75% RH의 환경하에 보관하면, 인쇄된 식별 정보가, 1∼2일에 연보라색으로 변색되고, 번짐이 발생한다. 즉, 인쇄 직후의 색 혹은 원하는 색(미리 정해진 색)과 상이한 색으로 변화해 버리기 때문에, 예컨대 청색을 포함하는 기업의 로고 마크나, 일러스트 등을 인쇄한 경우에는, 그 인상이 변해 버린다. 또한, 문자를 인쇄했을 때에는, 발생한 번짐에 의해, 문자가 선명하지 않게 되어, 정제의 식별성이 저하된다.
또한, 보라색의 잉크에 있어서는, 예컨대 적색의 염료로서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식용 적색 3호와 청색의 염료로서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식용 청색 1호를 혼합하여 보라색을 만들어내고, 이것을 알칼리성 정제에 인쇄하고 있었다. 그러나, 청색의 잉크와 마찬가지로, 온도 40도, 습도 75% RH의 환경하에 보관하면, 인쇄된 식별 정보가, 1∼2일에 적색으로 변색되거나, 혼합한 2개의 색소가 분리되어 얼룩진 형상이 되거나, 번짐이 발생하거나 한다.
주황색의 잉크에 있어서는, 예컨대 적색의 염료로서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식용 적색 3호와 황색의 염료로서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식용 황색 4호를 혼합하여 주황색을 만들어내고, 이것을 알칼리성 정제에 인쇄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다른 색과 마찬가지로, 온도 40도, 습도 75% RH의 환경하에 보관하면, 인쇄된 식별 정보가, 1∼2일에 황색으로 변색되거나, 혼합한 2개의 색소가 분리되어 얼룩진 형상이 되거나, 번짐이 발생하거나 한다.
그래서, 본원 발명자는, 미리 정해진 색(미리 결정한 인쇄 후의 식별 정보의 색)과는 상이한 색을 나타내는 색소를 잉크에 배합함으로써, 알칼리성 정제에 대해 상기 잉크를 이용하여 인쇄했을 때에, 미리 정해진 색의 인쇄가 가능해지는 잉크를 발명하였다. 예컨대 미리 정해진 색이 청색(또는 푸른 기를 포함하는 색)인 잉크의 색소로서, 식용 녹색 3호를 적용하였다. 식용 녹색 3호는, 일반적으로는, 예컨대 식품에, 녹색의 착색료로서 사용되는 색소이다. 그러나, 본원 발명자는, 식용 녹색 3호가 알칼리 조건하에서는 청색을 나타내는 것에 주목하여, 식용 녹색 3호를 배합함으로써, 알칼리성 정제 상에서 청색으로 발색하는 잉크를 발명하였다.
또한, 알칼리성 정제에 대해, 미리 정해진 색이 보라색인 잉크 색소로서, 코치닐 색소를 적용하였다. 코치닐 색소는, 일반적으로는, 예컨대 식품에 적색(연지색)의 착색료로서 사용되는 색소이다. 그러나, 본원 발명자는, 코치닐 색소가 알칼리 조건하에서는 보라색을 나타내는 것에 주목하여, 코치닐 색소를 배합함으로써, 알칼리성 정제 상에서 보라색으로 발색하는 잉크를 발명하였다.
또한, 미리 정해진 색이 주황색인 잉크의 색소로서, 식용 적색 102호를 적용하였다. 식용 적색 102호는, 일반적으로는, 예컨대 식품에, 적색의 착색료로서 사용되는 색소이다. 그러나, 본원 발명자는, 식용 적색 102호가 알칼리 조건하에서는 주황색을 나타내는 것에 주목하여, 식용 적색 102호를 배합함으로써, 알칼리성 정제 상에서 주황색으로 발색하는 잉크를 발명하였다.
또한, 「미리 정해진 색과는 상이한 색을 나타내는 색소」란, 색소가 분체일 때의 색에 한하지 않고, 상기 색소가 물에 용해된 후, 그 후 다른 첨가물을 첨가하여 잉크로서 완성된 시점에서의 색이 미리 정해진 색과는 상이한 것을 포함한다.
[잉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잉크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잉크는, 잉크젯용의 잉크이며, 예컨대 식용 녹색 3호와 코치닐 색소, 식용 적색 102호 중 어느 하나의 색소 외에, 적어도 물과, 에탄올과, 수용성 고비점 유기 용제를 포함한다. 그 외에, 필요에 따라, 유화제, 착향료나 방부제 등을 배합해도 좋다. 이들 잉크의 조성물은, 모두 식용인 것이 바람직하다.
(색소)
본 실시형태의 잉크는, 미리 정해진 색이 청색인 경우에는, 색소로서 적어도 식용 녹색 3호(패스트 그린 FCF)를 포함하고, 미리 정해진 색이 보라색인 경우에는, 색소로서 적어도 코치닐 색소를 포함하며, 미리 정해진 색이 주황색인 경우에는, 색소로서 적어도 식용 적색 102호(뉴콕신)를 포함한다.
색소의 함유량은, 잉크의 조성물 전체에 대해 0.1∼10 중량 퍼센트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8 중량 퍼센트이다. 색소의 함유량이 0.1 중량 퍼센트보다 적으면 인쇄색이 연하여 시인성이 나빠진다. 또한, 10 중량 퍼센트보다 많으면 잉크 점도의 상승에 의해, 잉크가 정상적으로 토출되지 않기 때문에 인쇄 불량이 된다. 또한, 상기 함유량의 색소는, 인쇄 대상물인 알칼리성 정제의 pH값에 상관없이, 항상 미리 정해진 색이 얻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에탄올)
에탄올은, 천연 양조의 발효 에틸 알코올이나 사탕수수 알코올 등이 바람직하다. 에탄올의 함유량은, 잉크의 조성물 전체에 대해 5∼60 중량 퍼센트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40 중량 퍼센트이다. 에탄올의 함유량이 5 중량 퍼센트보다 적으면 잉크의 건조성이 나빠, 예컨대, 건조에 인쇄 후 3초 이상의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인쇄 후의 반송 등에서 잉크가 벗겨지거나, 다른 정제나 반송 장치 등에 부착되어 더럽혀 버린다. 또한, 잉크의 표면 장력이 높아져 인쇄된 잉크가 정제의 표면에 튕겨지기 쉬워진다. 즉, 정제의 표면에 젖어 퍼지지 않기 때문에 좀처럼 건조되지 않고, 정제 표면과의 접촉 면적이 적기 때문에 부착력이 작아져, 예컨대 24시간 후에도 문지르면 벗겨져 버린다. 또한, 60 중량 퍼센트보다 많으면 잉크젯 노즐의 개구 내 혹은 개구부 주변에서, 잉크가 건조되어 부착되어, 개구부를 막음으로써, 토출 불량이나, 토출된 잉크의 비상(飛翔) 방향의 어긋남이 발생하여, 인쇄 불량이 된다.
(수용성 고비점 유기 용제)
수용성 고비점 유기 용제는, 잉크젯 헤드의 노즐의 건조를 방지할 목적으로 사용한다. 수용성 고비점 유기 용제로서는, 예컨대,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에서 1종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 수용성 고비점 유기 용제의 함유량은, 잉크 조성물 전체에 대해 1∼60 중량 퍼센트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5 중량 퍼센트이다. 수용성 고비점 유기 용제가 1 중량 퍼센트보다 적으면, 잉크젯 노즐에서의 잉크의 건조에 의한 인쇄 불량이 된다. 또한, 60 중량 퍼센트보다 많으면, 잉크 점도의 상승에 의해, 잉크가 정상적으로 토출되지 않기 때문에 인쇄 불량이 된다.
(유화제)
유화제는, 예컨대, 레시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자당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에서 수용성의 것을,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 유화제는 반드시 배합하지 않아도 좋으나, 배합하는 경우의 유화제의 함유량은, 잉크의 조성물 전체에 대해 0.01∼5 중량 퍼센트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2 중량 퍼센트이다. 함유량이, 0.01 중량 퍼센트보다 적으면, 잉크의 표면 장력이 커져, 노즐 개구부에서 적절한 메니스커스 상태가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노즐로부터 잉크가 토출되지 않거나, 토출되어도 미리 정해진 위치에 착탄되지 않거나 함으로써 인쇄 불량이 발생한다. 또한 5 중량 퍼센트보다 많으면, 잉크의 증점이나, 시간의 경과와 함께 석출물이 발생함으로써, 노즐이 막히거나 하여, 역시 인쇄 불량이 발생한다.
(잉크의 제조)
다음으로, 표 1에 나타내는 실시예 및 비교예를 가지고, 본 실시형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일례이며,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5 및 비교예 1∼5는, 표 1에 나타내는 각 조성물을, 표 1에 나타내는 배합 비율로 조제하였다. 또한, 표 1에 나타내는 배합 비율은, 전부 중량 퍼센트에 의한 표시이다. 실시예 1∼3은, 미리 정해진 색이 청색(푸른 기를 포함하는 색이고, 예컨대 진한 청색, 청록색을 포함함)인 경우이고, 식용 녹색 3호를 배합한 잉크이다. 비교예 1∼3은, 각각, 청색의 염료로서 널리 사용되는 색소를 염료로서 배합한 잉크이다. 실시예 4는, 미리 정해진 색이 보라색인 경우이고, 코치닐 색소를 배합한 잉크이다. 비교예 4는 식용 청색 1호 및 식용 적색 3호를 배합한 잉크이다. 실시예 5는, 미리 정해진 색이 주황색인 경우이고, 식용 적색 102호를 배합한 잉크이다. 비교예 5는, 식용 적색 3호 및 식용 황색 4호를 배합한 잉크이다.
조제의 조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표 1에 나타내는 색소를 제외한 모두를, 50℃로 가온하면서 교반하여 용해시켰다. 각 성분이 용해된 후, 표 1에 나타내는 색소를 혼합하고, 또한 50℃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그 후 1시간 정치(靜置)하여, 실온이 될 때까지 냉각하고 나서 여과함으로써 잉크를 조제하였다.
또한, 혼합하는 색소는, 분체인 채여도 좋고, 물 등의 액체에, 용해시킨 용액이나, 분산시킨 페이스트형으로 해도 좋다. 최종적으로, 색소가 균등하게 용해 혹은 혼합되면 된다.
Figure pat00001
(잉크의 평가)
조제한, 실시예 1∼5 및 비교예 1∼5의 잉크에 대해, 잉크젯 헤드를 이용하여, 노즐로부터의 토출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인쇄 대상의 정제에 문자를 인쇄하고, 인자의 내광성, 인자의 경시 안정성을 평가하였다(각 평가 방법은 후술함). 각 평가에 있어서는, 알칼리성 정제의 1종인, 산화마그네슘을 주요 성분으로 하는 OD정을 인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또한, 비교예 3에 대해서는, 여과할 수 없었기 때문에, 각 측정 및 평가의 대상에서는 제외하였다.
<노즐로부터의 토출성 평가>
노즐로부터의 토출성은, 잉크젯 헤드에 잉크를 충전하고, 15분 방치한 후에, 인쇄 테스트를 행하여, 인쇄 불량의 유무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 각 인쇄 도트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 인쇄 도트의 결손이 있거나, 또는(/및) 각 인쇄 도트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 착탄되어 있지 않다.
<인자의 내광성 평가>
인자의 내광성은, 정제에 인쇄 후, 무포장의 상태에서 1000 룩스로, 50일간 폭광(曝光)시켜, 인자의 퇴색의 유무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 인자에 퇴색은 보이지 않았다.
×: 인자가 퇴색되었다.
<인자의 경시 안정성 평가>
인자의 경시 안정성은, 인쇄한 정제를 40℃, 75% RH의 환경하에, 2주간 보관하고, 인쇄 직후와 비교하여, 문자의 번짐의 유무와, 색의 변화의 유무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 번짐은 없고, 변색도 없었다.
×: 원하는 색과 상이한 색으로 변색되었다. 또는(/및) 인자가 번져, 읽는 것이 곤란해졌다.
(결과)
표 1에 나타내는 실시예 1∼5의 실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색소로서 식용 녹색 3호, 코치닐 색소, 식용 적색 102호 중 어느 하나를 배합한 잉크는, 노즐의 토출성이 양호하였다. 또한, 알칼리성 정제에의 인쇄에 사용한 경우에, 내광성, 경시 안정성이 우수한 잉크였다. 이하, 결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3>
알칼리성 정제에의 인쇄에 있어서, 실시예 1은 청색, 실시예 2는 청록색, 실시예 3은 진한 청색으로 정색(呈色)하는 잉크이다. 실시예 1, 실시예 3은, 식용 녹색 3호의 양을 변경한 것이고, 실시예 2는, 식용 녹색 3호에 더하여, 식용 적색 102호, 식용 황색 4호를 포함하는 것이다. 실시예 1∼3의 각 잉크를 이용하여, 인쇄를 행한 결과, 정제의 표면에, 각 인쇄 도트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 형성되었다. 인쇄된 정제의 인자는, 내광성 평가에 있어서, 인쇄 직후의 색과 변화가 없었다. 경시 안정성 평가에 있어서는, 인자의 번짐이 없어 양호하게 읽을 수 있었다. 또한, 경시적인 변색도 없고, 푸른 기가 유지되었다.
<비교예 1>
비교예 1은, 알칼리성 정제에의 인쇄에 있어서, 인쇄 직후에는 청색을 나타내는 잉크이다. 색소로서는 치자 청색소를 포함한다. 치자 청색소를 비롯한 천연 색소에서는, 인자에 충분한 농도를 얻기 위해서, 다량으로 배합할 필요가 있다. 비교예 1의 잉크에서는, 인자의 시인에 충분한 양의 치자 청색소를 배합한 결과, 잉크의 점도가 높아져, 노즐로부터의 토출성이 나빠졌다. 또한, 내광성 평가에 있어서는, 인자에 퇴색이 발생하여, 인자가 거의 소실되었다. 경시 안정성 평가에서는, 인자의 번짐이나, 변색은 보이지 않았다.
<비교예 2>
비교예 2는, 알칼리성 정제에의 인쇄에 있어서, 인쇄 직후에는 청색을 나타내는 잉크이다. 색소로서는 식용 청색 1호를 포함한다. 비교예 2의 잉크를 이용하여, 정제에 인쇄한 결과, 정제의 표면에, 각 인쇄 도트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 형성되었다. 내광성 평가에서는, 퇴색은 발생하지 않았다. 그러나, 경시 안정성 평가에 있어서, 1∼2일 정도로, 인자가 연보라색으로 변색되었다. 또한, 인자의 번짐도 발생하여, 인자를 읽는 것이 곤란한 상태가 되었다.
<비교예 3>
비교예 3은, 색소로서는 식용 청색 2호를 포함한다. 식용 청색 2호는, 청색의 색소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염료의 하나이다. 그러나, 비교예 3에 있어서, 식용 청색 2호의 용해성이 나빠, 잉크화해도 여과할 수 없었다.
<실시예 4>
알칼리성 정제에의 인쇄에 있어서, 실시예 4는 보라색으로 정색하는 잉크이다. 실시예 4의 잉크를 이용하여, 인쇄를 행한 결과, 정제의 표면에, 각 인쇄 도트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 형성되었다. 인쇄된 정제의 인자는, 내광성 평가에 있어서, 인쇄 직후의 색과 변화가 없었다. 경시 안정성 평가에 있어서는, 인자의 번짐이 없어 양호하게 읽을 수 있었다. 또한, 경시적인 변색도 없고, 보라색이 유지되었다.
<비교예 4>
비교예 4는, 알칼리성 정제에의 인쇄에 있어서, 인쇄 직후에는 보라색을 나타내는 잉크이다. 색소로서는 식용 청색 1호와 식용 적색 3호를 포함한다. 색소로서 이들 2개의 색소를 혼합하여 배합한 잉크로 정제에 인쇄한 결과, 정제의 표면에, 각 인쇄 도트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 형성되었다. 내광성 평가에서는, 퇴색은 발생하지 않았다. 그러나, 경시 안정성 평가에 있어서, 서서히 인자가 2색으로 분리되기 시작하여, 1∼2일에 인자가 적색이 되는 것이나 얼룩진 형상이 되는 것이 있었다.
<실시예 5>
알칼리성 정제에의 인쇄에 있어서, 실시예 5는 주황색으로 정색하는 잉크이다. 실시예 5의 잉크를 이용하여, 인쇄를 행한 결과, 정제의 표면에, 각 인쇄 도트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 형성되었다. 인쇄된 정제의 인자는, 내광성 평가에 있어서, 인쇄 직후의 색과 변화가 없었다. 경시 안정성 평가에 있어서는, 인자의 번짐이 없어 양호하게 읽을 수 있었다. 또한, 경시적인 변색도 없고, 주황색이 유지되었다.
<비교예 5>
비교예 5는, 알칼리성 정제에의 인쇄에 있어서, 인쇄 직후에는 주황색을 나타내는 잉크이다. 색소로서는, 식용 적색 3호와 식용 황색 4호를 포함한다. 색소로서 이들 2개의 색소를 혼합하여 배합한 잉크로 정제에 인쇄한 결과, 정제의 표면에, 각 인쇄 도트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 형성되었다. 내광성 평가에 있어서는, 인자에 퇴색이 발생하였다. 또한, 경시 안정성 평가에 있어서, 서서히 인자가 2색으로 분리되기 시작하여, 1∼2일에 인자가 황색이 되는 것이나 얼룩진 형상이 되는 것이 있었다.
(정리)
이상, 서술한 결과로부터, 잉크젯 방식으로 인쇄를 행하는 경우에, 식용 녹색 3호, 코치닐 색소, 식용 적색 102호 중 어느 하나를 배합한 잉크에 의하면, 노즐로부터의 토출성이 안정되어, 인쇄 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알칼리성 정제에 대해, 식용 녹색 3호, 코치닐 색소, 식용 적색 102호 중 어느 하나를 배합한 잉크를 이용하여 인쇄함으로써, 알칼리성 정제 상에서 미리 정해진 색(식용 녹색 3호의 경우에는 청색 또는 푸른 기를 포함하는 색, 코치닐 색소의 경우에는 보라색, 식용 적색 102호의 경우에는 주황색)으로 정색시킬 수 있다. 즉, 식용 녹색 3호, 코치닐 색소, 식용 적색 102호 중 어느 하나를 배합한 잉크에 의하면, 알칼리성 정제에, 미리 정해진 색의 식별 정보를 인쇄할 수 있다. 또한, 이 잉크는, 내광성 및 경시 안정성이 높고, 인쇄된 식별 정보의 변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인쇄의 번짐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인쇄 후에, 정제를 보관한 후에도 식별 정보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어, 조제 미스나, 오음을 방지할 수 있다.
[정제 인쇄 장치]
정제에의 식별 정보의 인쇄에는, 정제 인쇄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정제 인쇄 장치는, 반송 장치와, 잉크젯 방식의 인쇄 헤드를 갖는다. 반송 장치는, 예컨대 정제를 흡인 유지하면서 반송하는 흡인 반송 장치이다. 인쇄 헤드는, 반송 장치의 반송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인쇄 헤드의 하방을 통과하는 정제를 향해, 노즐로부터 잉크를 토출하여, 정제에 식별 정보를 인쇄한다. 이 정제 인쇄 장치의 인쇄 헤드에, 전술한 색소를 배합한 잉크를 공급하여, 반송되는 알칼리성 정제에 대해 인쇄를 행함으로써, 알칼리성 정제에 대해, 미리 정해진 색으로 식별 정보를 인쇄할 수 있다.
[그 외의 실시형태]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미리 정해진 색이 청색, 보라색, 주황색인 예를 나타내었으나, 이것에 한하지 않고, 다른 색이어도 좋다. 예컨대, 미리 정해진 색이 보라색인 경우에는, 코치닐 색소 외에 랙 색소를 이용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색이 연한 주황색인 경우에는 홍화 황색소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정해진 색이 적갈색인 경우에는, 울금 색소를 이용할 수 있다. 각각, 랙 색소는, 예컨대 식품에 적색의 착색료로서 사용되는 색소이고, 홍화 황색소 및 울금 색소는 황색의 착색료로서 사용되는 색소이다.
전술한 실시형태의 잉크는 또한, 다른 색소를 병용함으로써, 미리 정해진 색으로 조색(調色)할 수 있다. 그 외의 색소로서는, 종래 공지된 합성 식용 색소, 천연 식용 색소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
합성 식용 색소로서, 예컨대, 타르계 색소, 천연 색소 유도체, 천연계 합성 색소, 이산화티탄 등을 들 수 있다. 타르계 색소로서는, 식용 적색 2호, 식용 적색 3호, 식용 적색 40호, 식용 적색 102호, 식용 적색 104호, 식용 적색 105호, 식용 적색 106호, 식용 황색 4호, 식용 황색 5호, 식용 청색 2호, 식용 적색 2호 알루미늄 레이크, 식용 적색 3호 알루미늄 레이크, 식용 적색 40호 알루미늄 레이크, 식용 황색 4호 알루미늄 레이크, 식용 황색 5호 알루미늄 레이크, 식용 청색 2호 알루미늄 레이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식용 청색 2호에 대해서는, 비교예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용해성이 나쁘지만, 미량이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식용 적색 3호는, 비교예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식용 청색 1호와 병용하여, 보라색의 잉크를 조제하면, 색의 분리가 보이지만, 그 외의 색소와의 병용이면, 사용할 수 있다. 천연 색소 유도체로서는, 구리클로로필, 구리클로로필린나트륨, 노르빅신칼륨 등, 천연계 합성 색소로서는, β-카로틴, 리보플라빈 등을 들 수 있다.
천연 식용 색소로서는, 예컨대, 식물 탄말 색소, 안토시아닌계 색소, 카로티노이드계 색소, 퀴논계 색소, 플라보노이드계 색소, 베타인계 색소, 모나스커스 색소, 그 외의 천연물을 기원으로 하는 색소를 들 수 있다. 안토시아닌계 색소로서는, 적무 색소, 적양배추 색소, 적미(赤米) 색소, 엘더베리 색소, 카우베리 색소, 구스베리 색소, 크랜베리 색소, 새먼베리 색소, 차조기 색소, 팀블베리 색소, 스트로베리 색소, 다크 스위트 체리 색소, 체리 색소, 하이비스커스 색소, 허클베리 색소, 포도 과즙 색소, 포도 과피 색소, 블랙커런트 색소, 블랙베리 색소, 블루베리 색소, 플럼 색소, 홀틀베리 색소, 보이젠베리 색소, 멀베리 색소, 자색 고구마 색소, 자색 옥수수 색소, 자색 참마 색소, 라즈베리 색소, 레드커런트 색소, 로간베리 색소, 그 외의 안토시아닌계 색소를 들 수 있다. 카로티노이드계 색소로서는, 아나토 색소, 치자 황색소, 그 외의 카로티노이드계 색소를 들 수 있다. 퀴논계 색소로서는, 코치닐 색소, 자근 색소, 랙 색소, 그 외의 퀴논계 색소를 들 수 있다. 플라보노이드계 색소로서는 홍화 황색소, 고량 색소, 양파 색소, 그 외의 플라보노이드계 색소를 들 수 있다. 베타인계 색소로서는, 비트 레드 색소를 들 수 있다. 모나스커스 색소로서는, 홍국 색소, 홍국 황색소를 들 수 있다. 그 외의 천연물을 기원으로 하는 색소로서는 울금 색소, 누리장나무 색소, 치자 적색소, 스피룰리나 청색소 등을 들 수 있다.
잉크에는, 필요에 따라, 착향료, 방부제(정균제), 소포제, 계면 활성제 등의 첨가제를 배합해도 좋다. 물론, 인쇄 대상이 약제나 식품 등인 경우에는, 이들도 식용 가능한 것을 선택하면 된다. 또한, 잉크의 각 조성물을 혼합할 때에, 가열 등의 전처리나 후처리를 행할 수도 있다.
잉크의 조제에 있어서의 교반에는, 마그네틱 스터러, 프로펠러 교반기 등,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교반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잉크에는, 식물 탄말 색소, 이산화티탄, 알루미늄 레이크 등, 이른바 안료도 배합해도 좋다. 안료를 배합한 잉크의 조제에는, 안료의 분산 처리를 행할 필요가 있다. 이 분산 처리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분산기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볼밀, 롤밀, 샌드밀, 비드밀 등을 들 수 있다.
잉크의 여과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원심 여과, 필터 여과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전술한 정제로서는, 적어도 인쇄 대상 부위가 알칼리성이면, 의약용, 음식용, 세정용, 공업용 혹은 방향용으로서 사용되는 정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제로서는, 전술한 나정(裸錠)[소정(素錠)]이나 필름 코팅정(필름 코트정) 외에도, 예컨대, 당의정, 장용정, 젤라틴 피포정, 다층정, 유핵정 등이 있고, 경캡슐이나 연캡슐 등 각종의 캡슐정도 정제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제의 형상으로서는, 원반형이나 렌즈형, 삼각형, 타원형 등 각종의 형상이 있다. 또한, 인쇄 대상의 정제가 약제용이나 음식용인 경우에는, 사용하는 잉크의 조성으로서 식용 가능한 것이 적합하지만, 당연히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식용 가능하지 않은 조성이어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으나, 이 실시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고 있지 않다. 이 신규의 실시형태는, 그 외의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1)

  1. 알칼리성 정제에 미리 정해진 색의 식별 정보를 인쇄하기 위한 잉크젯용의 잉크로서,
    물과,
    에탄올과,
    수용성 고비점 유기 용제와,
    상기 알칼리성 정제에 인쇄하기 전에는 상기 미리 정해진 색과 상이한 색을 나타내고, 상기 알칼리성 정제에 인쇄된 후에 상기 미리 정해진 색으로 변화하는 색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색소는, 상기 미리 정해진 색이 청색일 때, 식용 녹색 3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색소는, 상기 미리 정해진 색이 보라색일 때, 코치닐 색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색소는, 상기 미리 정해진 색이 주황색일 때, 식용 적색 102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색소의 함유량이 0.1∼10 중량 퍼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의 함유량이, 5∼60 중량 퍼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고비점 유기 용제는,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인 것인 잉크.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고비점 유기 용제의 함유량이, 1∼60 중량 퍼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성 정제는, 산화마그네슘을 주요 성분으로 하는 정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10. 노즐로부터 잉크를 토출하는 인쇄 헤드에,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잉크를 공급하고,
    상기 인쇄 헤드를 이용하여, 상기 알칼리성 정제에 대해 상기 잉크로 식별 정보를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정제의 제조 방법.
  11. 알칼리성 정제를 반송하는 반송 장치와,
    상기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알칼리성 정제에 대해, 노즐로부터 잉크를 토출함으로써 인쇄를 행하는 인쇄 헤드
    를 갖고,
    상기 인쇄 헤드는,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잉크를 토출함으로써, 식별 정보를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인쇄 장치.
KR1020220028810A 2021-03-11 2022-03-07 잉크, 이 잉크를 이용한 인쇄 정제의 제조 방법 및 정제 인쇄 장치 KR202201277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39471 2021-03-11
JP2021039471 2021-03-11
JPJP-P-2021-104862 2021-06-24
JP2021104862 2021-06-24
JP2022016548A JP2022140301A (ja) 2021-03-11 2022-02-04 インク、これを用いた印刷錠剤の製造方法及び錠剤印刷装置
JPJP-P-2022-016548 2022-02-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7756A true KR20220127756A (ko) 2022-09-20

Family

ID=83245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8810A KR20220127756A (ko) 2021-03-11 2022-03-07 잉크, 이 잉크를 이용한 인쇄 정제의 제조 방법 및 정제 인쇄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20127756A (ko)
CN (1) CN115073971A (ko)
TW (1) TW20223554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6279A (ja) 2010-05-07 2011-11-24 Union Chemicar Co Ltd 可食性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44154B2 (ja) * 2018-04-04 2022-03-30 凸版印刷株式会社 青色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及び錠剤
CN110415603A (zh) * 2019-06-24 2019-11-05 武汉大学 印刷型食品新鲜度智能标签、其制作方法和应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6279A (ja) 2010-05-07 2011-11-24 Union Chemicar Co Ltd 可食性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235545A (zh) 2022-09-16
CN115073971A (zh) 2022-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5335471B (zh) 非水性墨液组合物、喷墨记录方法和印刷物的制造方法
JP7084145B2 (ja) インクジェット用水性インク組成物及び固体製剤
CN102529353B (zh) 喷墨记录方法及记录物
JP6264190B2 (ja) インクジェット印刷用インクおよび錠剤
US20230203329A1 (en) Inkjet ink and tablet
AU2017350235B2 (en) Method for producing quinacridone solid solution pigment, pigment dispersion, and inkjet ink
JP2009173853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セット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2010047625A (ja) 可食性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組成物
EP4209556A1 (en) Inkjet ink and tablet
WO2014203524A1 (ja) 固形製剤被印刷物とその製造方法
CN112262183A (zh) 喷墨油墨和片剂
JP7243887B2 (ja) 青色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及び錠剤
EP4209558A1 (en) Edible ink-jet ink and tablet
JP2010047626A (ja) 可食性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組成物
JP7246207B2 (ja) 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
KR20220127756A (ko) 잉크, 이 잉크를 이용한 인쇄 정제의 제조 방법 및 정제 인쇄 장치
TWI825795B (zh) 油墨、使用其的印刷片劑的製造方法及片劑印刷裝置
JP2022140301A (ja) インク、これを用いた印刷錠剤の製造方法及び錠剤印刷装置
CN113453906B (zh) 喷墨用油墨及被印刷物
JP4889655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物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方法によって得られるインクジェット記録物
JP6574065B2 (ja) インクジェット用水性インク組成物及び固体製剤
TW202409217A (zh) 鹼性片劑
JP7061805B2 (ja) 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
JP2004196833A (ja) 紫外線照射により判別可能なインキ
JP2024020909A (ja) 錠剤用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