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7748A - 기울기 및 방향 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테나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기울기 및 방향 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테나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7748A
KR20220127748A KR1020220027531A KR20220027531A KR20220127748A KR 20220127748 A KR20220127748 A KR 20220127748A KR 1020220027531 A KR1020220027531 A KR 1020220027531A KR 20220027531 A KR20220027531 A KR 20220027531A KR 20220127748 A KR20220127748 A KR 20220127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t
hole
support
sensing device
support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7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호
이주훈
홍영지
김건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to CN202280020724.5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6982221A/zh
Priority to PCT/KR2022/003305 priority patent/WO2022191605A1/ko
Priority to EP22767501.4A priority patent/EP4307469A1/en
Priority to JP2023555529A priority patent/JP2024510444A/ja
Priority to CN202220526492.8U priority patent/CN217134679U/zh
Publication of KR20220127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7748A/ko
Priority to US18/244,221 priority patent/US2023041786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02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2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in response to charging parameters, e.g. current, voltage or electrical 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24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60W20/10Controlling the power contribution of each of the prime movers to meet required power demand
    • B60W20/12Controlling the power contribution of each of the prime movers to meet required power demand using control strategies taking into account route inform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109Braking
    • B60W30/18127Regenerative brak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60/00Operating Modes
    • B60L2260/40Control modes
    • B60L2260/50Control modes by future state prediction
    • B60L2260/54Energy consumption estim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60/00Operating Modes
    • B60L2260/40Control modes
    • B60L2260/50Control modes by future state prediction
    • B60L2260/58Departure time predi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24Energy storage means
    • B60W2510/242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 B60W2510/244Charge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24Energy storage means
    • B60W2510/242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 B60W2510/246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10Historical dat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24Energy storage means
    • B60W2710/242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 B60W2710/244Charge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24Energy storage means
    • B60W2710/242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 B60W2710/246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24Energy storage means
    • B60W2710/242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 B60W2710/248Current for loading or unloading
    • G01J2001/42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2001/4266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for measuring solar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구면을 포함하는 돔구조체; 및 태양광의 광량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광센서를 포함하고, 구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되는 연성 회로기판을 포함하되 연성 회로기판이 구면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복수의 광센서는 서로 다른 방향을 바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및 방향 감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기울기 및 방향 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테나 어셈블리{Apparatus for Detecting Tilt and Direction of Antenna and Antenna Assembly Using the Same}
본 개시는 기울기 및 방향 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테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개시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이동통신 기지국은 망 설계 결과에 따라 적정한 안테나의 설치 위치가 결정된다. 안테나 빔의 수직방향 업/다운 틸팅 및 수평방향의 섹터 지향각도를 고려하여 적합한 안테나의 틸팅각도와 지향각도를 설계할 수 있다. 설치된 안테나가 사이트의 전파환경에 적합하도록 테스트를 하여 틸팅각도와 지향각도가 최적화될 수 있다.
5G 3.5GHz 주파수 대역의 무선신호는 전파 직진성이 강하기 때문에, 미리 설계된 안테나 방위각을 갖도록 안테나를 설치해야 계획된 서비스 커버리지를 얻을 수 있으며, 향후 증설 시에도 일관된 지표를 가지고 설계 및 최적화가 가능하다. 주파수 대역이 높아질수록 방위각 오차를 최소화하는 것이 더욱 중요해진다.
무선환경의 변화 등에 맞춰 안테나의 틸팅각도 및 지향각도는 재조정될 필요가 있으며, 강풍 등의 외부 환경의 영향으로 안테나가 설치되어 있는 기둥(mast)의 기울기가 변하거나, 안테나와 기둥을 결합하기 위한 클램프가 수평방향으로 틀어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및 방향 감지장치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안테나 등 장비에 대한 3차원상 기울어짐 각도를 취득하고, 해당 장비의 현재 지향 방향이 최초 설계한 의도에 맞는지를 바로 확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해당 장비의 유지 보수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및 방향 감지장치는 복수의 광센서를 포함하는 연성 회로기판을 돔구조체에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구면을 포함하는 돔구조체; 및 태양광의 광량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광센서를 포함하고, 구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되는 연성 회로기판을 포함하되 연성 회로기판이 구면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복수의 광센서는 서로 다른 방향을 바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및 방향 감지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기울기 및 방향 감지장치는 태양광을 이용하므로 신뢰성 높은 측정 결과를 제공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기울기 및 방향 감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기울기 및 방향 감지장치는 복수의 광센서를 포함하는 연성 회로기판을 돔구조체에 배치함으로써, 기울기 및 방향 감지장치의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및 방향 감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및 방향 감지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및 방향 감지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및 방향 감지장치의 커버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및 방향 감지장치의 연성 회로기판의 상면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i), ii),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나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안테나 어셈블리(antenna assembly, 1)는 기울기 및 방향 감지장치(tilt and direction detecting apparatus, 11) 및 안테나 장치(antenna apparatus, 12)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기울기 및 방향 감지장치(11)는 안테나 장치(12)에 고정되어 안테나 장치(12)의 3차원 공간방향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3차원 공간방향정보를 기초로, 안테나 어셈블리(1)는 안테나 장치(12)의 방향을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다.
기울기 및 방향 감지장치(11)는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센서, 복수의 광센서(optical sensor), GPS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IMU 센서는 안테나 장치(12)의 기울기(tilt) 및 비틀어짐(roll)을 측정할 수 있다. 복수의 광센서는 태양광의 입사각을 측정할 수 있다. GPS 모듈은 기울기 및 방향 감지장치(11)가 설치된 현재 위치의 위도와 경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GPS 모듈은 출력정보를 수신한 때의 날짜와 시간에 대한 캘린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기울기 및 방향 감지장치(11)는 복수의 광센서, IMU 센서 및 GPS 모듈이 측정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안테나 장치(12)의 절대 수평 방위각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기울기 및 방향 감지장치(11)가 설치된 안테나 장치(12)가 지향하는 전경을 캡쳐하거나 이미지 혹은 비디오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및 방향 감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및 방향 감지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및 방향 감지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기울기 및 방향 감지장치(11)는 돔구조체(dome structure, 111), 연성 회로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12), 커버부재(cover member, 113) 및 메인보드(main board, 114)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돔구조체(111)는 구면(1111) 및 관통홀(1112)을 포함할 수 있다. 구면(1111)은 복수의 지지면(1111a)을 포함하고, 각 지지면(1111a) 상에는 연성 회로기판(112)의 베이스부(1121)가 배치될 수 있다.
돔구조체(111)의 구면(1111)은 다수의 다면체, 예컨대, 원형, 삼각형, 오각형, 육각형,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돔구조체(111)의 구면(1111)은 그 전체가 곡면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연성 회로기판(112)은 돔구조체(111)의 구면(1111)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연성 회로기판(112)은 베이스부(1121)를 포함하고, 베이스부(1121) 상에는 태양광을 수광할 수 있는 광센서(1121a)가 배치될 수 있다. 연성 회로기판(112)의 구조는 이하 자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의 기울기 및 방향 감지장치(11)는 연성 회로기판(112)을 이용하여, 복수의 광센서(1121a)를 돔구조체(111)에 배치함으로써, 기울기 및 방향 감지장치(11)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데 기술적 특징이 있다. 연성 회로기판(112)이 돔구조체(111)를 둘러싸도록 배치함으로써, 복수의 지지면(1111a) 상에 복수의 광센서(1121a)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광센서모듈을 가지는 단위 기판을 각각의 지지면에 설치하는 종래의 경우와 비교하여, 기울기 및 방향 감지장치(11)의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결과적으로 기울기 및 방향 감지장치(11)의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연성 회로기판(112)이 구면(1111)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복수의 광센서(1121a)는 각각 서로 다른 방향을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각 광센서(1121a)는 각 광센서(1121a)가 지향하는 방향으로 태양광을 수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센서(1121a)는 각 지지면(1111a)의 법선방향으로 태양광을 수광할 수 있다.
커버부재(113)는 지지면(1111a)에 배치된 베이스부(112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부재(113)는 광센서(1121a)와 대응되는 수광홀(1131)을 포함할 수 있다. 수광홀(1131)은 광센서(1121a)가 특정한 방향으로 입사하는 태양광만을 수광하도록 도울 수 있다. 예를 들어, 수광홀(1131)은 광센서(1121a)가 지지면(1111a)의 법선방향 및 그와 인접한 방향으로 입사하는 태양광만을 수광하도록 도울 수 있다. 또한, 수광홀(1131)은 지지면(1111a)의 법선방향 및 그와 인접한 방향 이외의 태양광을 차단할 수 있다.
수광홀(1131)이 수광하는 태양광의 수광범위는 기울기 및 방향 감지장치(11)에 구비된 광센서(1121a)의 개수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센서(1121a)의 개수가 상대적으로 많다면, 각 광센서(1121a)의 센싱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수광홀(1131)은 상대적으로 좁은 범위의 태양광을 수광하거나 특정한 방향, 예컨대, 지지면(1111a)의 법선방향의 태양광을 수광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반면 광센서(1121a)의 개수가 상대적으로 적다면, 각 광센서(1121a)의 센싱범위를 넓히기 위해, 수광홀(1131)은 상대적으로 넓은 범위의 태양광을 수광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수광홀(1131)이 수광하는 태양광의 수광범위는 수광홀(1131)의 직경 또는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메인보드(114)는 복수의 광센서(1121a)의 출력정보로부터 태양광의 입사각을 산출할 수 있다. 메인보드(114)는 돔구조체(111)와 인접한 제1면(1141), 제1면(1141)의 반대인 제2면(1142) 및 관통홈(1143)을 포함할 수 있다.
연성 회로기판(112)의 제2연결부(1124)의 적어도 일부는 관통홈(1143)을 통과할 수 있고, 제2연결부(1124)의 일단은 메인보드(114)의 제2면(1142)과 연결될 수 있다.
종래의 기울기 및 방향 감지장치의 경우, 광센서모듈을 가지는 단위 기판을 각각의 지지면에 설치하여 각 단위 기판으로부터 연장되는 전선들은 메인보드의 제1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돔구조체의 내면과 메인보드 사이에서 전선들이 산재되므로, 기울기 및 방향 감지장치의 조립성이 악화될 수 있다.
이와 비교하여, 본 개시의 기울기 및 방향 감지장치(11)는 연성 회로기판(112)의 제2연결부(1124)를 메인보드(114)의 제2면(1142)에 연결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기울기 및 방향 감지장치(11)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울기 및 방향 감지장치(11)는 하우징(housing, 115), 보호캡(protective cap, 116), 서지보드(surge board, 117) 및 제어 케이블(control cable, 1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5)은 기울기 및 방향 감지장치(11)의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에 여러 부품이 설치될 수 있다. 보호캡(116)은 돔구조체(111)의 구면(1111)의 전체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호캡(116)은 외력으로부터 내부 부품들을 보호하고 기울기 및 방향 감지장치(11)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서지보드(117)는 메인보드(114)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서지보드(117)는 기울기 및 방향 감지장치(11)의 부품들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기울기 및 방향 감지장치(11)는 제어 케이블(118)을 이용하여 측정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및 방향 감지장치의 커버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커버부재(113)는 수광홀(1131), 복수의 지지부(1132), 돌기부(1133) 및 커버바디(1135)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수광홀(1131)은 광센서(1121a)가 지지면(1111a)의 법선방향 및 그와 인접한 방향으로 입사하는 태양광만을 수광하도록 도울 수 있다. 또한, 수광홀(1131)은 지지면(1111a)의 법선방향 및 그와 인접한 방향 이외의 태양광을 차단할 수 있다. 이 경우, 광센서(1121a)의 센싱 범위는 넓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센서(1121a)의 센싱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수광홀(1131)의 태양광의 수광범위는 특정한 방향으로 한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광홀(1131)의 수광범위는 지지면(1111a)의 법선방향, 또는 그와 매우 인접한 좁은 범위로 한정될 수도 있다.
복수의 지지부(1132)는 베이스부(1121)와 대면하는 커버부재(113)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커버바디(1135)를 돔구조체(111)의 지지면(1111a)에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부(1132)는 지지면(1111a) 상에 레이저 융착될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지지부(1132)는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지지면(1111a) 상에 고정될 수도 있다.
복수의 지지부(1132)의 각 지지부(1132)는 수광홀(1131)의 주위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웃하는 두 지지부(1132)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연성 회로기판(112)의 제1연결부(1123)는 공간을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부(1132)는 제1지지부(1132a), 제1지지부(1132a)와 이웃하는 제2지지부(1132b) 및 제2지지부(1132b)와 이웃하는 제3지지부(1132c)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재(113)는 세 개의 지지부(1132)를 이용하여 3점 지지됨으로서, 견고하게 지지면(1111a)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제1지지부(1132a)와 제2지지부(1132b) 사이의 공간인 제1공간(1134a)은, 제2지지부(1132b)와 제3지지부(1132c) 사이의 공간인 제2공간(1134b)보다 클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울기 및 방향 감지장치(11)는 제1공간(1134a)을 이용하여, 제1연결부(1123)의 연장 방향에 대한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제3지지부(1132c)는 제1지지부(1132a)에 대하여 제2지지부(1132b)와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지지부(1132a)와 제3지지부(1132c) 사이의 공간인 제3공간(1134c)의 크기는 제2공간(1134b)의 크기와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3지지부(1132c)는 제1지지부(1132a)에 대하여 제2지지부(1132b)와 대칭적으로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지지부(1132)의 개수가 3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커버부재(113)는 두 개 또는 네 개 이상의 지지부(1132)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돌기부(1133)는 돔구조체(111)의 관통홀(1112)에 끼움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돌기부(1133)가 관통홀(1112)에 끼움 결합함으로써, 커버부재(113)는 돔구조체(111) 상에 고정될 수 있다.
관통홀(1112)은 제1관통홀(1112a) 및 제2관통홀(1112b)을 포함할 수 있고, 돌기부(1133)는 제1관통홀(1112a)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1돌기부(1133a) 및 제2관통홀(1112b)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2돌기부(113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관통홀(1112a)은 제2관통홀(1112b)과 다른 크기 또는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돌기부(1133a)는 제2돌기부(1133b)와 다른 크기 또는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관통홀(1112a) 및 제1돌기부(1133a)는 제2관통홀(1112b) 및 제2돌기부(1133b)와 비교하여 각각 더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1관통홀(1112a) 및 제1돌기부(1133a)가 제2관통홀(1112b) 및 제2돌기부(1133b)와 각각 다른 크기 또는 다른 형상을 가짐으로써, 각 지지면(1111a) 상에서의 커버부재(113)의 설치방향이 특정한 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
각 지지면(1111a) 상에서의 커버부재(113)의 설치방향이 특정한 방향으로 고정되는 경우, 각 지지부(1132) 사이의 공간이 형성되는 방향도 특정한 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
각 커버부재(113)의 설치방향은 연성 회로기판(112)의 형상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자세히는 연성 회로기판(112)의 제1연결부(1123)의 연장방향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성 회로기판(112)의 설계 자유도는 보다 높아질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및 방향 감지장치의 연성 회로기판의 상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기울기 및 방향 감지장치(11)의 연성 회로기판(112)은 복수의 베이스부(base unit, 1121), 복수의 제1연결부(1123) 및 복수의 제2연결부(1124)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1121)는 광센서(1121a), 광센서(1121a)가 배치되는 회로부(1121b) 및 회로부(1121b)의 하부에 배치되는 보강판(1122)을 포함할 수 있다. 보강판(1122)은 회로부(1121b)가 형성된 연성 회로기판(112)의 영역을 두껍게 함으로써, 회로부(1121b)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보강판(1122)은 회로부(1121b)가 외력 등에 의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문제가 최소화할 수 있으며, 회로부 상에 배치된 광센서(1121a) 등이 파손되는 문제도 최소화할 수 있다.
복수의 베이스부(1121)의 각 베이스부(1121)는 복수의 지지면(1111a)의 각 지지면(1111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광센서(1121a)의 각 광센서(1121a)는 복수의 베이스부(1121)의 각 베이스부(112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광센서(1121a)는 베이스부(1121)의 회로부(1121b)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부(1121)는 보강판(1122)을 이용하여 회로부(1121b)의 강성을 보강하므로, 제1연결부(1123)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부(1121)가 외력 등으로 의도치 않게 구부러짐으로써 베이스부(1121)에 배치된 광센서(1121a) 등이 파손되는 문제가 최소화될 수 있다.
제1연결부(1123)에는 보강판(1122)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연결부(1123)는 제1두께(W1)를 가지는 베이스부(1121)보다 더 작은 제2두께(W2)를 가질 수 있다. 제1연결부(1123)는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짐으로써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으므로, 연성 회로기판(112)은 돔구조체(111) 상에 보다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회로부(1121b)는 연성 회로기판(112)의 통상적인 재질인 폴리이미드(polyimide)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회로부(1121b)는 그 외의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보강판(1122)은 PET, 글래스 에폭시(glass epoxy) 및 폴리이미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강판(1122)은 그 외의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도 6에서는 베이스부(1121)의 개수가 16 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일 뿐, 본 개시의 베이스부(1121)의 개수가 16 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개시에 따른 연성 회로기판(112)은 16 개보다 적거나 더 많은 개수의 베이스부(1121)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베이스부(1121)에 배치되는 광센서(1121a)의 개수 또는 돔구조체(111)의 지지면(1111a)의 개수도 베이스부(1121)의 개수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제1연결부(1123)는 복수의 베이스부(1121) 중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베이스부(1121)를 연결할 수 있다. 제1연결부(1123)는 베이스부(1121)와 달리 보강판(1122)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베이스부(1121)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연결부(1123)는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연성 회로기판(112)은 보다 용이하게 돔구조체(111)의 구면을 둘러쌀 수 있다.
제2연결부(1124)는 복수의 광센서(1121a)와 메인보드(114)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2연결부(1124)는 신호선, 전원 공급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연결부(1124)의 일단에는 메인보드(1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단자 또는 커넥터가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부(1121), 보강판(1122), 제1연결부(1123) 및 제2연결부(1124)를 포함하는 연성 회로기판(112)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광센서(1121a)에 급전 내지 전원 공급을 위한 전선 라인의 배치는 보다 단순화 될 수 있다.
베이스부(1121)는 장착홀을 포함할 수 있다. 장착홀은 커버부재(113)에 형성된 돌기부(1133)가 관통할 수 있다. 돌기부(1133)가 서로 다른 크기 또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는 제1돌기부(1133a) 및 제2돌기부(1133b) 를 포함하는 경우, 장착홀은 제1돌기부(1133a)에 대응되는 제1장착홀(1121c) 및 제2돌기부(1133b)에 대응되는 제2장착홀(1121d)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재(113)가 지지면(1111a)에 결합될 때, 제1돌기부(1133a)는 제1장착홀(1121c)을 관통하고, 제2돌기부(1133b)는 제2장착홀(1121d)을 관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부재(113)가 지지면(1111a)에 결합될 때, 제1돌기부(1133a)는 베이스부(1121)의 제1장착홀(1121c) 및 지지면(1111a)의 제1관통홀(1112a)을 관통하고, 제2돌기부(1133b)는 베이스부(1121)의 제2장착홀(1121d) 및 지지면(1111a)의 제2관통홀(1112b)을 관통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는, 돔구조체(111)의 구면(1111) 상에 배치되는 연성 회로기판(112)의 개수가 하나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연성 회로기판(112)이 돔구조체(111)의 구면(1111)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복수의 광센서(1121a)는 복수의 연성 회로기판(112)에 분산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연성 회로기판(112)의 형상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일 뿐, 본 개시의 연성 회로기판(112)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 이외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안테나 어셈블리
11: 기울기 및 방향 감지장치
12: 안테나 장치
111: 돔구조체
112: 연성 회로기판
113: 커버부재
114: 메인보드
115: 하우징
116: 보호캡
117: 서지보드
118: 제어 케이블

Claims (16)

  1. 구면을 포함하는 돔구조체; 및
    태양광의 광량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광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구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되는 연성 회로기판을 포함하되,
    상기 연성 회로기판이 상기 구면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광센서는 서로 다른 방향을 바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및 방향 감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회로기판은,
    복수의 베이스부 및 상기 복수의 베이스부 중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베이스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1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광센서의 각 광센서는 상기 복수의 베이스부의 각 베이스부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및 방향 감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베이스부 및 상기 복수의 제1연결부를 포함하는 상기 연성 회로기판은 일체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및 방향 감지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두께는 상기 제1연결부의 두께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및 방향 감지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면은 복수의 지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베이스부의 각 베이스부는 상기 복수의 지지면의 각 지지면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및 방향 감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베이스부의 각 베이스부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광센서와 대응되는 수광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기울기 및 방향 감지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돔구조체 및 상기 커버부재 중 어느 하나는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돔구조체 및 상기 커버부재 중 다른 하나는 상기 관통홀에 끼움 결합 가능한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및 방향 감지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제1홀 및 제2홀을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제1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1돌기부 및 상기 제2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2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및 방향 감지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은 상기 제2홀과 크기 및 형상 중 하나 이상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및 방향 감지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커버바디; 및
    상기 커버바디를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와 대면하는 상기 커버부재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지지부의 각 지지부는 상기 수광홀의 주위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및 방향 감지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부는,
    제1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와 이웃하는 제2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와 이웃하는 제3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 사이의 공간인 제1공간은, 상기 제2지지부와 상기 제3지지부 사이의 공간인 제2공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및 방향 감지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면 상에 레이저 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및 방향 감지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센서의 출력정보로부터 태양광의 입사각을 산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돔구조체와 인접한 제1면 및 상기 제1면의 반대인 제2면을 포함하는 메인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성 회로기판은 상기 복수의 광센서와 상기 메인보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2연결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연결부의 일단은 상기 제2면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및 방향 감지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보드는 관통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관통홈을 통과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및 방향 감지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GPS 모듈 및 카메라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및 방향 감지장치.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기울기 및 방향 감지장치 및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안테나 어셈블리로서,
    상기 기울기 및 방향 감지장치는 상기 안테나 장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어셈블리.
KR1020220027531A 2021-03-11 2022-03-03 기울기 및 방향 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테나 어셈블리 KR20220127748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280020724.5A CN116982221A (zh) 2021-03-11 2022-03-08 用于感测倾斜和方向的装置及利用其的天线组件
PCT/KR2022/003305 WO2022191605A1 (ko) 2021-03-11 2022-03-08 기울기 및 방향 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테나 어셈블리
EP22767501.4A EP4307469A1 (en) 2021-03-11 2022-03-08 Slope and direction detecting apparatus and antenna assembly using same
JP2023555529A JP2024510444A (ja) 2021-03-11 2022-03-08 傾き及び方向感知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アンテナアセンブリ
CN202220526492.8U CN217134679U (zh) 2021-03-11 2022-03-11 用于感测倾斜和方向的装置及利用其的天线组件
US18/244,221 US20230417867A1 (en) 2021-03-11 2023-09-09 Tilt and direction detecting apparatus and antenna assembly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222 2021-03-11
KR20210032222 2021-03-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7748A true KR20220127748A (ko) 2022-09-20

Family

ID=83005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7531A KR20220127748A (ko) 2021-03-11 2022-03-03 기울기 및 방향 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테나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2774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1635B2 (en) Antenna installation apparatus and method
WO2019160184A1 (ko) 360도 방위각 회전구조를 가지는 위성 및 지상파 동시 수신 오토 트래킹 안테나
US20100231450A1 (en) Aisg inline tilt sensor system and method
EP3340586B1 (en) Dual-camera module assembly and mobile terminal
US10637150B2 (en) Radio wave reflection device
KR101824220B1 (ko) 안테나 정렬 가이드 장치
US20170207539A1 (en) Antenna arrangement and connector for an antenna arrangement
KR20220127748A (ko) 기울기 및 방향 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테나 어셈블리
CN110783697A (zh) 天线阵列及电子设备
JP2024510444A (ja) 傾き及び方向感知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アンテナアセンブリ
CN102474003B (zh) 天线设备
CN116982221A (zh) 用于感测倾斜和方向的装置及利用其的天线组件
KR102347788B1 (ko) Uwb 안테나 모듈
CN112087850B (zh) 光感模组和电子设备
RU2545058C1 (ru) Антенна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контроля и диагностики линии энергоснабжения
JP7573750B2 (ja) 移動通信基地局アンテナの指向方向を管理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JPH10126125A (ja) アンテナ装置
US921951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217403648U (zh) 板型拉力传感器及工程机械
KR200444584Y1 (ko) 모듈화된 평면 안테나 구조
WO2022119400A1 (ko) 이동통신 기지국 안테나의 지향 방향을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7038305B2 (ja) 電子機器
CN117784261A (zh) 一种微波探测设备
CN116636084A (zh) 移动通信基站天线的取向方向的管理方法和系统
KR20080034331A (ko) 안테나가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