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6624A - 정보 처리 단말 장치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단말 장치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6624A
KR20220126624A KR1020210178329A KR20210178329A KR20220126624A KR 20220126624 A KR20220126624 A KR 20220126624A KR 1020210178329 A KR1020210178329 A KR 1020210178329A KR 20210178329 A KR20210178329 A KR 20210178329A KR 20220126624 A KR20220126624 A KR 202201266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unit
clerk
input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8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부토모 노데라
Original Assignee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26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66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6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comprising security or operator identification provisions, e.g. password en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6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read by the M-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nesting or stacking, e.g. shopping trolleys
    • B62B3/1408Display devices mounted on it, e.g. advertisement displays
    • B62B3/1424Electronic displa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96Identification of the cart or merchandise, e.g. by barcodes or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2Interconnection or interaction of plural electronic cash registers [ECR] or to host computer, e.g. network details, transfer of information from host to ECR or from ECR to EC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8Input by product or record sensing, e.g. weighing or scanne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6Payment applications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4Identity check for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4Identity check for transactions
    • G06Q20/40145Biometric identity che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7Regula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12Account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0009Details of the software in the checkout register, electronic cash register [ECR] or point of sale terminal [PO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0036Checkout procedures
    • G07G1/0045Checkout procedures with a code reader for reading of an identifying code of the article to be registered, e.g. barcode reader or radio-frequency identity [RFID] reader
    • G07G1/0054Checkout procedures with a code reader for reading of an identifying code of the article to be registered, e.g. barcode reader or radio-frequency identity [RFID] reader with control of supplementary check-parameters, e.g. weight or number of art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0036Checkout procedures
    • G07G1/0045Checkout procedures with a code reader for reading of an identifying code of the article to be registered, e.g. barcode reader or radio-frequency identity [RFID] reader
    • G07G1/0081Checkout procedures with a code reader for reading of an identifying code of the article to be registered, e.g. barcode reader or radio-frequency identity [RFID] reader the reader being a portable scanner or data read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12Cash registers electronically operated
    • G07G1/14Systems including one or more distant stations co-operating with a central processing uni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점포 내를 이동하는 고객에 의해 조작되는 정보 처리 단말 장치에 있어서, 연령 확인이 필요한 특정 상품을 구입하는 경우라도 회계 처리를 신속히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정보 처리 단말 장치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 형태의 정보 처리 단말 장치는, 점포 내를 이동하는 고객에 의해 조작되는 정보 처리 단말 장치이며, 상품을 식별하는 상품 식별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상품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 등록을 행하는 등록부와, 상기 상품을 판매하는 점포의 점원인 것을 식별하는 점원 식별 정보를 접수하는 제1 접수부와, 상기 등록부가 상품 등록한 상품에 연령 확인이 필요한 특정 상품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접수부가 상기 점원 식별 정보를 접수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등록부에서 상품 등록된 상품의 대금의 지불을 행하기 위한 회계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구비한 것이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단말 장치 및 프로그램{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DEVICE AND PROGRAM}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정보 처리 단말 장치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근년, 슈퍼마켓 등의 점포에서는, 태블릿 단말기 및 스캐너를 설치한 쇼핑 카트가 사용되도록 되어 오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점포에서 쇼핑을 행하는 고객은, 점포의 판매장에서 구입하는 상품에 부여된 바코드 등의 코드 심볼을 스캐너로 읽게 해서 상품 등록을 행한다. 상품 등록된 상품의 상품 정보(상품명, 가격 등)는 태블릿 단말기에 기억되고, 고객이 대금을 지불할 때에 회계 처리를 행하는 회계 장치에 전송된다. 고객은, 점원이 조작하는 회계 장치 혹은 고객 자신이 조작하는 회계 장치로 지불을 행한다.
또한, 점포가 준비하는 태블릿 단말기나 스캐너 대신에, 고객이 소유하는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여 쇼핑을 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도 채용되고 있다. 이 시스템에 있어서는, 고객의 스마트폰에 쇼핑용으로 준비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인스톨된다. 그리고, 스마트폰의 카메라 기능을 사용하여 상품에 부여된 코드 심볼을 판독하는 것이다.
상술한 종래 기술에 의하면, 점원 또는 고객 자신이 조작하는 회계 장치, 예를 들어 POS(Point Of Sales) 단말기에서 상품 등록을 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고객이 회계 처리를 대기하는, 소위 계산대 대기를 해소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점포가 판매하는 상품에는, 주류 등 점포가 고객의 연령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한 상품(이하, 「특정 상품」이라고도 말함)이 있다. 상기 종래의 기술에서는, 고객은, 특정 상품을 구입하는 경우, 회계 처리 시에 회계 장치에 있어서 점원에 의해 연령 확인이나 특정 상품의 상품 등록을 하게 하는 것이었다. 이것은, 점원이 조작하는 회계 장치여도 고객 자신이 조작하는 회계 장치여도 마찬가지이다. 이 때문에, 고객이 특정 상품을 구입하는 경우, 회계 처리에 시간을 요하기 때문에, 계산대 대기 해소의 효과가 저감한다는 과제가 있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20-177589호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점포 내를 이동하는 고객에 의해 조작되는 정보 처리 단말 장치에 있어서, 연령 확인이 필요한 특정 상품을 구입하는 경우라도 회계 처리를 신속히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정보 처리 단말 장치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 형태의 정보 처리 단말 장치는, 점포 내를 이동하는 고객에 의해 조작되는 정보 처리 단말 장치이며, 상품을 식별하는 상품 식별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상품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 등록을 행하는 등록부와, 상기 상품을 판매하는 점포의 점원인 것을 식별하는 점원 식별 정보를 접수하는 제1 접수부와, 상기 등록부가 상품 등록한 상품에 연령 확인이 필요한 특정 상품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접수부가 상기 점원 식별 정보를 접수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등록부에서 상품 등록된 상품의 대금의 지불을 행하기 위한 회계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구비한 것이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정보 처리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회계 시스템의 개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정보 처리 단말 장치가 설치된 쇼핑 카트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의 정보 처리 단말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정보 처리 단말 장치의 메모리부에 기억되는 상품 마스터의 데이터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의 정보 처리 단말 장치의 메모리부에 기억되는 점원 마스터의 데이터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의 정보 처리 단말 장치의 메모리부에 기억되는 회원 마스터의 데이터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제1 실시 형태의 정보 처리 단말 장치의 메모리부에 기억되는 연령 확인 관리 파일의 데이터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제1 실시 형태의 정보 처리 단말 장치에 있어서의 제어부의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는 제1 실시 형태의 정보 처리 단말 장치의 제어부에 의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의 정보 처리 단말 장치의 제어부에 의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제3 실시 형태의 정보 처리 단말 장치의 제어부에 의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제4 실시 형태의 정보 처리 단말 장치의 제어부에 의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형태의 정보 처리 단말 장치 및 프로그램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에서는, 정보 처리 단말 장치를 점포가 준비한 태블릿 단말기에 적용한 예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정보 처리 단말 장치는 고객이 소유하는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기이어도 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에서는, 정보 처리 단말 장치는, 상품 등록된 상품의 대금의 지불을 행하기 위한 회계 정보를 고객 자신이 조작하는 회계 장치에 출력하도록 했지만, 점원이 조작하는 회계 장치에 출력해도 된다.
(제1 실시 형태)
이하, 제1 실시 형태의 정보 처리 단말 장치 및 프로그램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정보 처리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회계 시스템의 개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의 회계 시스템(1)은 특정 상품을 판매하는 점포, 예를 들어 주류나 담배를 판매하는 슈퍼마켓 등에 적용된다. 회계 시스템(1)은 복수의 회계 장치(2), 점포 서버(3) 및 태블릿 단말기(20)가 설치된 복수의 쇼핑 카트(10)를 구비한다. 회계 장치(2) 및 점포 서버(3)는 LAN(Local Area Network)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각 태블릿 단말기(20)는 무선 LAN 등을 통하여 회계 장치(2) 및 점포 서버(3)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회계 장치(2)는, 예를 들어 고객 C가 자신이 회계 조작을 행하는, 소위 셀프식의 회계 장치이다. 회계 장치(2)는 태블릿 단말기(20)로부터 수신한 상품 정보에 기초하여, 현금 결제, 혹은 크레디트 결제 등의 캐시리스 결제에 의한 지불에 관한 회계 처리를 실행한다. 회계 처리란, 고객 C가 구입하는 상품의 대금의 지불을 행하기 위한 처리이다. 또한, 회계 장치(2)는 점원이 조작하는 POS 단말기이어도 된다.
점포 서버(3)는, 각 회계 장치(2)로부터, 회계 처리에서 지불된 상품의 상품 정보나 결제 방법 등에 관한 결제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점포 서버(3)는 각 회계 장치(2)로부터, 소정 기간(예를 들어 1일)의 매상 금액을 나타낸 매출 정보를 수신한다. 점포 서버(3)는 각 회계 장치(2)로부터 수신한 상품 정보, 결제 정보, 매출 정보 등을 집중적으로 관리하여, 1점포에서의 매출 관리 등을 행한다. 또한, 점포 서버(3)는 점포에서 취급하고 있는 상품에 대해서, 상품 코드와 상품 정보(상품명, 가격 등)를 대응지은 상품 마스터를 기억하여, 적절히 태블릿 단말기(20)에 송신한다.
쇼핑 카트(10)는 점포의 판매장에 설치되어 고객 C가 구입하는 상품의 운반에 사용된다. 고객 C는, 쇼핑 카트(10)를 밀어 판매장 내를 이동시키면서, 쇼핑 카트(10)에 구입하는 상품을 수납한다.
도 2는, 태블릿 단말기(20)가 설치된 쇼핑 카트(10)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쇼핑 카트(10)는 핸들(11), 바구니 적재부(12) 및 캐스터(13)를 구비하고, 태블릿 단말기(20)가 설치된다. 핸들(11)은 고객 C가 파지하여 쇼핑 카트(10)를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바구니 적재부(12)는 상하 2단 구성으로 되어 있고, 각각 고객 C가 구입하는 상품을 수납하는 바구니 K를 적재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쇼핑 카트(10)에 일체적으로 바구니 K를 마련해도 된다. 캐스터(13)는 쇼핑 카트(10)의 하부 네 코너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이들 캐스터(13)가 개별로 회전함으로써, 쇼핑 카트(10)는 점내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쇼핑 카트(10)는 태블릿 단말기(20)를 구비하는 이동체이다.
태블릿 단말기(20)는 디스플레이(21), 터치 패널(22), 스캐너(23) 및 카드 리더(24)를 구비한다. 태블릿 단말기(20)는 정보 처리 단말 장치의 일례이다. 또한, 스캐너(23)나 카드 리더(24)는 태블릿 단말기(20)를 구성하지 않고, 당해 태블릿 단말기(20)에 접속되는 외부 장치로 해도 된다. 디스플레이(21)는, 예를 들어 액정 패널로 구성되어 있고,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로서 기능한다. 디스플레이(21)는, 예를 들어 상품 등록된 상품의 상품 정보나 사용자인 고객 C가 조작하기 위한 조작자 등을 표시한다. 터치 패널(22)은 디스플레이(21)의 표면에 마련되어, 접촉한 위치에 따른 정보를 태블릿 단말기(20)의 제어부(200)(도 3 참조)에 입력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하는 조작 입력부로서 기능한다. 터치 패널(22)은, 예를 들어, 회계 정보를 회계 장치(2)에 송신하는 것을 지시하는 회계 지시를 제어부(200)에 입력한다. 회계 정보란, 고객 C가 구입하는 상품의 대금의 지불을 행하기 위한 회계 처리에 필요한 정보이다.
스캐너(23)는 쇼핑 카트(10)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스캐너(23)는 상품에 부여된 코드 심볼로부터 상품을 식별하는 상품 코드를 판독한다. 구체적으로는, 스캐너(23)는 고객 C가 구입하는 상품에 부여된 바코드나 이차원 코드 등의 코드 심볼을 광학적으로 또는 촬상하여 인식한다. 그리고, 스캐너(23)는 인식한 코드 심볼을 디코드하여, 코드 심볼이 나타내는 상품 코드를 판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상품에 부여된 코드 심볼은 바코드인 것으로 한다. 또한, 스캐너(23)는 판독한 상품 코드를 태블릿 단말기(20)의 제어부(200)에 송신한다. 또한, 스캐너(23)가 인식한 코드 심볼의 디코드는, 태블릿 단말기(20)의 제어부(200)에서 행해도 된다. 또한, 스캐너(23)는 상품에 부여된 무선 태그로부터 상품 코드를 판독하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판독 장치이어도 된다.
카드 리더(24)는 고객 C의 회원 카드 또는 포인트 카드 등의 매체로부터 회원 코드를 판독한다. 회원 코드는, 점포의 회원을 식별하는 회원 식별 정보의 일례이다. 카드 리더(24)는 자기 카드로부터 회원 정보를 판독하는 자기 카드 리더이어도 되고, IC 칩을 내장한 카드로부터 정보를 판독하는 IC 카드 리더이어도 된다.
또한, 쇼핑 카트(10)에 크레디트 결제 등의 캐시리스 결제를 행하기 위한 결제 단말기(도시하지 않음)를 마련해도 된다. 이 경우, 결제 단말기는, 회계 장치를 구성하고, 네트워크를 통하여 결제를 행하는 기업의 결제 서버에 접속된다. 또한, 태블릿 단말기(20)에 결제 서버와 통신하여 캐시리스 결제를 행하기 위한 회계 처리부를 마련해도 된다. 이 경우, 카드 리더(24)를 신용 카드의 카드 정보나 전자 화폐 카드의 전자 화폐 정보를 판독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도 3은, 태블릿 단말기(20)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태블릿 단말기(20)는 제어부(200)와, 메모리부(210)와, 디스플레이(21)와, 터치 패널(22)과, 스캐너(23)와, 카드 리더(24)와, 통신부(220)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200), 메모리부(210), 디스플레이(21), 터치 패널(22), 스캐너(23), 카드 리더(24) 및 통신부(220)는, 버스(230) 등을 통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20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201), ROM(Read Only Memory)(202), RAM(Random Access Memory)(203)을 구비한 컴퓨터로 구성되어 있다. CPU(201), ROM(202) 및 RAM(203)은, 서로 버스(230)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CPU(201)는 태블릿 단말기(20)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ROM(202)은, CPU(201)의 구동에 사용되는 프로그램 등의 각종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를 기억한다. RAM(203)은, CPU(201)의 워크에어리어로서 사용되고, ROM(202)과 메모리부(210)에 기억된 각종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를 전개한다. 제어부(200)는 CPU(201)가 ROM(202)이나, 메모리부(210)에 기억되고 RAM(203)에 전개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서 동작함으로써, 태블릿 단말기(20)의 각종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메모리부(210)는 HDD(Hard Disk Drive)나 플래시 메모리 등의 기억 매체로 구성되어 있고, 전원을 차단해도 기억 내용을 유지한다. 메모리부(210)는 제어 프로그램(211), 상품 마스터(212), 점원 마스터(213), 회원 마스터(214) 및 연령 확인 관리 파일(215)을 기억한다.
제어 프로그램(211)은 태블릿 단말기(20)를 회계 시스템(1)에 있어서의 상품 등록 장치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등이다.
상품 마스터(212)는 점포에서 취급하고 있는 상품의 정보를 기억한 마스터 파일이다. 도 4는, 상품 마스터(212)의 데이터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품 마스터(212)에 등록되는 각 데이터는, 상품 코드, 상품명, 가격 및 특정 상품 플래그가 대응지어져 있다. 또한, 점포에서 취급하는 상품은 매일 변화하므로, 상품 마스터(212)는 통신부(220)를 통하여 접속되는 점포 서버(3)에 의해 적절히 갱신된다.
상품 코드는, 상품을 식별하기 위한 코드이며, 상품 식별 정보의 일례이다. 상품명은, 상품의 명칭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가격은, 상품의 단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특정 상품 플래그는, 상품이 특정 상품, 즉, 고객 C가 상품을 구입함에 있어서 점포에 의한 연령 확인(이하, 단순히 「연령 확인」이라고도 말함)이 필요한 상품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특정 상품 플래그의 레코드에 「1」이 등록된 상품은 특정 상품이며, 「0」이 등록된 상품은 특정 상품이 아닌 것을 나타내고 있다. 특정 상품은, 예를 들어 주류나 담배 등이다.
점원 마스터(213)는 점원의 정보를 기억한 마스터 파일이다. 도 5는, 점원 마스터(213)의 데이터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품 마스터(212)에 등록되는 각 데이터는, 점원 코드 및 성명이 대응지어져 있다.
점원 코드는, 점원을 식별하는 코드이다. 바꿔 말하면, 점원 코드는, 상품을 판매하는 점포의 점원인 것을 식별하는 정보이며, 점원 식별 정보의 일례이다. 성명은, 점원의 성명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메모리부(210)에 점원 마스터(213)를 기억하여 점원 코드를 점원 식별 정보로 했지만, 점원 식별 정보는 점원 개인을 특정하는 정보가 아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메모리부(210)에 점포 코드와 성명을 대응지은 파일을 기억하여, 점포 코드를 점원 식별 정보로 해도 된다.
회원 마스터(214)는 점포의 회원 정보를 기억한 마스터 파일이다. 도 6은, 회원 마스터(214)의 데이터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회원 마스터(214)에 등록되는 각 데이터는, 회원 코드, 성명 및 회원 정보가 대응지어져 있다.
회원 코드는, 회원을 식별하는 코드이며, 점포의 회원을 식별하는 회원 식별 정보의 일례이다. 성명은, 회원의 성명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회원 정보는, 회원의 성별, 연령, 연락처(전화 번호나 메일 어드레스 등) 등의 회원에 관한 정보이다. 또한, 회원 정보로서, 과거의 구매 이력이나 현재의 포인트수 등을 등록해도 된다.
연령 확인 관리 파일(215)은 회원이 특정 상품의 구입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관리하는 파일이다. 도 7은, 연령 확인 관리 파일(215)의 데이터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연령 확인 관리 파일(215)에 등록되는 각 데이터는, 회원 코드 및 연령 확인 플래그가 대응지어져 있다. 연령 확인 관리 파일(215)에 등록된 정보는, 회원 식별 정보와 점원 식별 정보를 접수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대응지은 연령 확인 정보이다. 또한, 회원 마스터(214)에 연령 확인 플래그의 항목을 마련하여, 회원 마스터(214)에 연령 확인 정보를 등록해도 된다.
회원 코드는, 점포의 회원을 식별하는 코드이다. 연령 확인 플래그는, 점원에 의해 특정 상품의 구입이 가능하다는 취지의 연령 확인이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연령 확인 플래그의 레코드에 「1」이 등록된 회원은 점원에 의해 연령 확인이 이루어진 회원이며, 「0」이 등록된 회원은 당해 연령 확인이 이루어져 있지 않은 회원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특정 상품 구입 시에 점원에 의해 연령 확인이 이루어졌을 때에 연령 확인 플래그의 레코드에 「1」이 등록된다. 그러나, 회원 등록 시에 회원의 연령을 확인할 수 있는 경우, 예를 들어 확인한 회원의 연령이 20세 이상이면 회원 등록 시에 연령 확인 플래그의 레코드에 「1」을 등록하게 해도 된다.
또한, 상품 마스터(212), 점원 마스터(213), 회원 마스터(214) 및 연령 확인 관리 파일(215)은 메모리부(210)가 아니라, 점포 서버(3)의 메모리부에 기억되어 있어도 된다.
도 3으로 되돌아가서 설명한다. 디스플레이(21), 터치 패널(22), 스캐너(23) 및 카드 리더(24)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통신부(220)는 회계 장치(2)나 점포 서버(3) 등의 외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제어부(200)는 통신부(220)를 통하여 외부 장치와 접속됨으로써, 외부 장치와 정보(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계속해서, 태블릿 단말기(20)의 제어부(200)의 기능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태블릿 단말기(20)의 제어부(2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제어부(200)는 CPU(201)가 ROM(202)과 메모리부(210)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서 동작함으로써, 입력부(2001), 등록부(2002), 판정부(2003), 제1 접수부(2004), 출력부(2005), 제2 접수부(2006), 기억부(2007) 및 통지부(2008)로서 기능한다. 또한, 이들 각 기능을 전용 회로 등의 하드웨어로 구성해도 된다.
입력부(2001)에는, 상품을 식별하는 상품 식별 정보가 입력된다. 구체적으로는, 입력부(2001)에는, 상품에 부여된 바코드로부터 스캐너(23)가 판독한 상품 코드가 입력된다. 또한, 입력부(1001)에는, 터치 패널(22)로부터 각종 정보가 입력된다.
등록부(2002)는, 입력부(2001)에 입력된 상품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 등록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등록부(2002)는 입력부(2001)에 입력된 상품 코드 대응하는 상품 정보(상품명, 가격 등)를 상품 마스터(212)로부터 취득하고, RAM(103)에 기억한다. 상품 등록이란, 입력부(2001)에 입력된 상품 코드로 식별되는 상품의 상품 정보를 기억하는 것을 말한다.
판정부(2003)는 입력부(2001)에 입력된 상품 코드로 식별되는 상품이 특정 상품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판정부(2003)는 입력부(2001)에 상품 코드가 입력되면, 상품 마스터(212)를 참조하여 입력된 상품 코드에 대응하는 특정 상품 플래그의 레코드에 「1」이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상기 특정 상품 플래그의 레코드에 「1」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 판정부(2003)는 입력부(2001)에 입력된 상품 코드로 식별되는 상품이 특정 상품이라고 판정한다. 또한, 상기 특정 상품 플래그의 레코드에 「0」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 판정부(2003)는 입력부(2001)에 입력된 상품 코드로 식별되는 상품이 특정 상품이 아니라고 판정한다.
제1 접수부(2004)는 상품을 판매하는 점포의 점원인 것을 식별하는 점원 식별 정보를 접수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접수부(2004)는 점원의 네임 플레이트에 인쇄된 바코드로부터 스캐너(23)가 판독한 점원 코드를 접수한다. 제1 접수부(2004)는 터치 패널(22)에 입력된 점원 코드를 접수해도 된다.
출력부(2005)는 등록부(2002)에서 상품 등록된 상품의 대금의 지불을 행하기 위한 회계 정보를 회계 장치(2)에 출력한다. 또한, 출력부(2005)는 등록부(2002)가 상품 등록한 상품에 연령 확인이 필요한 특정 상품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1 접수부(2004)가 점원 식별 정보를 접수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이하, 「확인 완료의 정보」라고도 함)와, 등록부(2002)에서 상품 등록된 상품의 대금의 지불을 행하기 위한 회계 정보를 회계 장치(2)에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출력부(2005)는 등록부(2002)가 상품 등록한 상품에 연령 확인이 필요한 특정 상품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1 접수부(2004)가 점원 코드를 접수하였으면 확인 완료의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회계 정보란, 고객 C가 구입하는 상품의 대금의 지불을 행하기 위한 회계 처리에 필요한 정보이며, 예를 들어 등록부(2002)에 의해 상품 등록된 상품의 상품 코드, 상품명, 가격 등을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출력부(2005)는 확인 완료의 정보를 새롭게 생성하지 않고, 제1 접수부(2004)가 접수한 점원 코드를 출력한다. 바꿔 말하면, 출력부(2005)는 제1 접수부(2004)가 접수한 점원 코드를 확인 완료의 정보로서 겸용하고 있다.
출력부(2005)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회계 장치(2)는 수신한 회계 정보에 특정 상품이 포함되는 경우에 맞추어 확인 완료의 정보를 수신하면, 당해 특정 상품에 대해서 연령 확인이 이루어져 있다고 인식하여 회계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한편, 회계 장치(2)는 수신한 회계 정보에 특정 상품이 포함되는 경우에 확인 완료의 정보를 수신하지 않으면, 즉시는 회계 처리를 행하지 않고 고객 C에 대하여 연령 확인을 촉구하는 통지 등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태블릿 단말기(20)에 결제 서버와 통신하여 캐시리스 결제를 행하기 위한 회계 처리부를 설치한 경우, 출력부(2005)는 확인 완료의 정보 및 결제 정보를 당해 회계 처리부에 출력한다.
제2 접수부(2006)는 점포의 회원을 식별하는 회원 식별 정보를 접수한다. 구체적으로는, 제2 접수부(2006)는 회원 카드로부터 카드 리더(24)가 판독한 회원 코드를 접수한다. 제2 접수부(2006)는 회원 코드가 입력된 터치 패널(22)로부터 당해 회원 코드를 접수해도 된다.
기억부(2007)는 제1 접수부(2004)가 점원 코드를 접수하면, RAM(203)에 점원 코드를 기억한다. 구체적으로는, 기억부(2007)는 제2 접수부(2006)가 회원 코드를 접수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1 접수부(2004)가 점원 코드를 접수하면, RAM(203)에 당해 점원 코드를 기억한다.
또한, 기억부(2007)는 제2 접수부(2006)가 접수한 회원 식별 정보와 제1 접수부(2004)가 점원 식별 정보를 접수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대응지은 연령 확인 정보를 메모리부(210)에 기억한다. 구체적으로는, 기억부(2007)는 제2 접수부(2006)가 카드 리더(24)로부터 회원 코드를 취득한 후, 제1 접수부(2004)가 점원 코드를 접수하면, 연령 확인 관리 파일(215)을 참조한다. 그리고, 기억부(2007)는 제2 접수부(2006)가 취득한 회원 코드에 대응하는 연령 확인 플래그의 레코드가 「0」이면, 당해 연령 확인 플래그의 레코드에 「1」을 등록하여 연령 확인 관리 파일(215)을 갱신한다. 기억부(2007)는 제2 접수부(2006)가 취득한 회원 코드에 대응하는 연령 확인 플래그의 레코드가 「1」이면, 연령 확인 관리 파일(215)을 갱신하지 않는다.
통지부(2008)는 입력부(2001)에 입력된 상품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상품이 특정 상품인 경우, 점원 식별 정보의 입력을 촉구하는 통지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통지부(2008)는 입력부(2001)에 입력된 상품 코드로 식별되는 상품이 특정 상품이며 제2 접수부(2006)가 회원 코드를 접수하고 있지 않은 경우, RAM(203)에 점원 코드가 기억되어 있지 않으면 점원 코드의 입력을 촉구하는 통지를 행한다. 또한, 통지부(2008)는 입력부(2001)에 입력된 상품 코드로 식별되는 상품이 특정 상품이며 제2 접수부(2006)가 회원 코드를 접수한 경우, 연령 확인 관리 파일(215)을 참조하여 점원 식별 정보의 입력을 촉구하는 통지를 행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억부(2007)는 제2 접수부(2006)가 취득한 회원 코드에 대응하는 연령 확인 플래그의 레코드에 「0」이 등록되어 있으면, 점원 코드의 입력을 촉구하는 통지를 행하고, 당해 레코드에 「1」이 등록되어 있으면 당해 통지는 행하지 않는다. 통지부(2008)에 의한 통지는, 예를 들어 「점원에 의한 연령 확인을 부탁합니다」 등의 메시지를 디스플레이(21)에 표시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통지부(2008)는, 음성을 출력함으로써 점원 코드의 입력을 촉구하는 통지를 행해도 된다.
상기 구성의 회계 시스템(1)의 동작의 개략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고객 C는, 쇼핑 카트(10)를 밀어 판매장 내를 이동하고, 구입하고자 하는 상품에 부여된 바코드가 나타내는 상품 코드를 스캐너(23)로 판독하고, 당해 상품을 바구니 K에 수납한다. 고객 C는 구입하고자 하는 상품 모두에 대하여 마찬가지의 조작을 행한다.
상품 코드가 판독된 상품은, 그 상품 정보가 태블릿 단말기(20)에 기억되어 상품 등록된다. 태블릿 단말기(20)는 스캐너(23)가 판독한 상품 코드로 식별되는 상품이 주류 등의 특정 상품이며, 점원에 의한 연령 확인 정보가 필요한 경우, 점원 코드의 입력을 촉구하는 통지를 행한다. 고객 C는, 점내에 있는 점원에게 말을 걸어 연령 확인을 요청한다. 점원은, 고객 C의 연령을 확인한 후, 특정 상품의 구입에 문제 없는 고객 C라고 판단하면 태블릿 단말기(20)에 점원 코드를 입력한다. 이때, 태블릿 단말기(20)는 점원 코드의 입력에 추가하여 점원이 연령 확인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별도 입력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태블릿 단말기(20)는, 입력된 점원 코드 또는 점원 코드가 입력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한다.
또한, 태블릿 단말기(20)는 스캐너(23)가 판독한 상품 코드로 식별되는 상품이 주류 등의 특정 상품이며, 점원에 의한 연령 확인 정보가 필요한 경우, 점포 서버(3)에 연령 확인이 필요한 고객 C가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해도 된다. 상기 정보를 수신한 점포 서버(3)는 판매장 내의 표시기(도시하지 않음)에 당해 정보를 표시하거나, 혹은, 점원이 소지하는 휴대 단말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당해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점원은 연령 확인이 필요한 고객 C가 있는 것을 인식하여, 특정 상품의 진열장을 향할 수 있으므로, 고객 C가 점원을 찾아서 말을 걸 필요가 없다.
고객 C는, 구입한 상품의 대금을 지불하기 위해 회계 장치(2)의 설치 장소에 쇼핑 카트(10)와 함께 이동한다. 그리고, 고객 C의 조작에 의해 태블릿 단말기(20)에 회계 지시가 입력되면, 회계 정보가 태블릿 단말기(20)로부터 회계 장치(2)에 송신되어, 고객 C는 회계 장치(2)에서 상품의 대금 지급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회계 장치(2)가 수신한 결제 정보에 특정 상품의 상품 정보가 포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회계 장치(2)가 점원 코드를 수신하고 있지 않은 경우, 회계 장치(2)는 특정 상품의 연령 확인이 이루어져 있지 않다고 판단하여, 이대로는 회계 처리를 실행할 수 없다는 취지의 에러 표시를 행한다. 아울러 회계 장치(2)는 점원에 의한 연령 확인을 촉구하는 표시를 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고객 C는 회계 시스템(1)을 사용하여 쇼핑을 할 수 있다.
다음에, 태블릿 단말기(20)의 제어부(200)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태블릿 단말기(20)의 제어부(200)에 의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제어부(200)는 입력부(2001)에 상품 코드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S1), 입력되지 않았으면(S1의 "아니오"), S1의 처리로 복귀하여 대기한다. 바꿔 말하면, 제어부(200)는 스캐너(23)가 상품에 부여된 바코드로부터 상품 코드를 판독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입력부(2001)에 상품 코드가 입력되면(S1의 "예"), 판정부(2003)는 입력된 상품 코드로 식별되는 상품이 특정 상품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2). 구체적으로는, 판정부(2003)는 상품 마스터(212)를 참조하여, 입력된 상품 코드에 대응하는 특정 상품 플래그의 레코드에 「1」이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입력된 상품 코드에 대응하는 특정 상품 플래그의 레코드에 「1」이 기억되어 있어서 당해 상품 코드로 식별되는 상품이 특정 상품인 경우(S2의 "예"), 제어부(200)는 RAM(203)에 점원 코드가 기억되어 있지 않은지를 판단한다(S3). 바꿔 말하면, 제어부(200)는 금회의 1거래에 있어서 이미 점원에 의한 연령 확인이 행해져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RAM(203)에 점원 코드가 기억되어 있지 않으면(S3의 "예"), 통지부(2008)는 디스플레이(21)에 점원 코드의 입력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표시한다(S4). 예를 들어, 통지부(2008)는 「점원에 의한 연령 확인을 부탁합니다」라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계속해서, 제어부(200)는 제1 접수부(2004)가 점원 코드를 접수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5). 바꿔 말하면, 제어부(200)는 S5에서 표시한 메시지에 대응하여 점원에 의한 연령 확인이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점원 코드가 접수되면(S5의 "예"), 기억부(2007)는 접수한 점원 코드를 RAM(203)에 기억한다(S6). 이어서, 등록부(2002)는 S1의 처리에서 입력된 상품 코드로 식별되는 상품에 대해서 상품 등록을 행한다(S7).
또한, 입력부(2001)에 입력된 상품 코드로 식별되는 상품이 특정 상품이 아닌 경우(S2의 "아니오"), 제어부(200)는 S3 내지 S6의 처리를 스킵하고 S7로 이행한다. 또한, RAM(203)에 점원 코드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S3의 "아니오"), 제어부(200)는 S4 내지 S6의 처리를 스킵하고 S7로 이행한다. 또한, 제1 접수부(2004)가 점원 코드를 접수하지 않은 경우(S5의 "아니오"), 제어부(200)는 S6의 처리를 스킵하고 S7로 이행한다.
S7의 상품 등록에 이어서, 제어부(200)는 회계 지시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S8), 입력되지 않았으면(S8의 "아니오"), S1의 처리로 복귀한다. 회계 지시가 입력되었으면(S8의 "예"), 출력부(2005)는 회계 정보 및 점원 코드를 회계 장치(2)에 출력한다(S9). 여기서, 출력부(2005)가 출력하는 점원 코드는, 제1 접수부(2004)가 점원 코드를 접수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의 일례이다. 또한, RAM(203)에 점원 코드가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 출력부(2005)는 점원 코드는 출력하지 않는다. 이어서, 기억부(2007)는 RAM(203)에 점원 코드가 기억되어 있으면 당해 점원 코드를 소거한다(S10). 이에 의해, 쇼핑 카트(10)를 다른 고객 C가 이용할 때, 연령 확인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남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처리를 종료한다.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특정 상품의 구입 시에, 회계 장치(2)에 의한 회계 처리 전에 점원이 연령 확인을 행할 수 있으므로, 회계 처리를 신속히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고객 C의 계산대 대기 시간이 길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만일 판매장에 점원이 눈에 띄지 않는다는 등의 이유에 의해 판매장에서 연령 확인이 행해지지 않은 경우, 고객 C는 회계 장치(2)에서 연령 확인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점원에 의한 연령 확인은, 1거래에 있어서 1회 이루어지면 되고, 특정 상품의 상품 등록할 때마다 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고객 C나 점원을 번거롭게 하는 일은 없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제2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는, 고객 C가 과거의 거래에 있어서 연령 확인이 이루어져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 당해 연령 확인을 요하지 않게 한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와 다르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의 제어부(200)에 의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제어부(200)는 입력부(2001)에 상품 코드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S21), 입력되지 않았으면(S21의 "아니오"), S21의 처리로 복귀하여 대기한다. 바꿔 말하면, 제어부(200)는 스캐너(23)가 상품에 부여된 바코드로부터 상품 코드를 판독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입력부(2001)에 상품 코드가 입력되었으면(S21의 "예"), 판정부(2003)는 입력된 상품 코드로 식별되는 상품이 특정 상품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22). 구체적으로는, 판정부(2003)는 상품 마스터(212)를 참조하여, 입력된 상품 코드에 대응하는 특정 상품 플래그의 레코드에 「1」이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입력된 상품 코드에 대응하는 특정 상품 플래그의 레코드에 「1」이 기억되어 있어서 당해 상품 코드로 식별되는 상품이 특정 상품인 경우(S22의 "예"), 제어부(200)는 제2 접수부(2006)가 회원 코드를 접수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3). 바꿔 말하면, 제어부(200)는 카드 리더(24)가 회원 코드를 판독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제2 접수부(2006)가 회원 코드를 접수한다(S23의 "예"), 제어부(200)는 연령 확인 관리 파일(215)을 참조하여 당해 회원 코드에 대응하는 연령 확인 플래그의 레코드에 「0」이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4). 바꿔 말하면, 제어부(200)는 제2 접수부(2006)가 접수한 회원 코드로 식별되는 회원에 대하여 금회 혹은 과거의 거래에 있어서 연령 확인이 이루어져 있지 않은지 여부를 판단한다.
연령 확인 플래그에 「0」이 등록되어 있으면(S24의 "예"), 통지부(2008)는 디스플레이(21)에 점원 코드의 입력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표시한다(S25). 통지부(2008)에 의한 메시지의 표시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계속해서, 제어부(200)는 제1 접수부(2004)가 점원 코드를 접수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6). 바꿔 말하면, 제어부(200)는 S25로 표시한 메시지에 대응하여 점원에 의한 연령 확인이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점원 코드가 접수되면(S26의 "예"), 기억부(2007)는 연령 확인 플래그에 「1」을 등록한다(S27). 구체적으로는, 기억부(2007)는 연령 확인 관리 파일(215)에 있어서, S23에서 제2 접수부(2006)가 취득한 회원 코드에 대응하는 연령 확인 플래그의 레코드를 「0」으로부터 「1」로 재기입한다. 이어서, 등록부(2002)는 S21의 처리에서 입력된 상품 코드로 식별되는 상품에 대해서 상품 등록을 행한다(S28).
또한, 입력부(2001)에 입력된 상품 코드로 식별되는 상품이 특정 상품이 아닌 경우(S22의 "아니오"), 제어부(200)는 S23 내지 S27의 처리를 스킵하고 S28로 이행한다. 또한, 연령 확인 관리 파일(215)에 있어서 입력부(2001)에 입력된 회원 코드에 대응하는 연령 확인 플래그에 「0」이 등록되어 있지 않은, 즉 이미 「1」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S24의 "아니오"), 제어부(200)는 S25 내지 S27의 처리를 스킵하고 S28로 이행한다. 또한, 제1 접수부(2004)가 점원 코드를 접수하지 않은 경우(S26의 "아니오"), 제어부(200)는 S27의 처리를 스킵하고 S28로 이행한다.
또한, S23의 처리에서 제2 접수부(2006)가 회원 코드를 접수하지 않은 경우(S23의 "아니오"), 제어부(200)는 RAM(203)에 점원 코드가 기억되어 있지 않은지 판단한다(S29). 바꿔 말하면, 제어부(200)는 금회의 1거래에 있어서 이미 점원에 의한 연령 확인이 행해져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RAM(203)에 점원 코드가 기억되어 있지 않으면(S29의 "예"), 통지부(2008)는 S25의 처리와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21)에 점원 코드의 입력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표시한다(S30). 계속해서, 제어부(200)는 제1 접수부(2004)가 점원 코드를 접수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1). 바꿔 말하면, 제어부(200)는 S30에서 표시한 메시지에 대응하여 점원에 의한 연령 확인이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점원 코드가 접수되면(S31의 "예"), 기억부(2007)는 접수한 점원 코드를 RAM(203)에 기억한다(S32). 이어서, 제어부(200)는 S28의 처리로 이행한다. 또한, RAM(203)에 점원 코드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S29의 "아니오"), 제어부(200)는 S30 내지 S32의 처리를 스킵하고 S28로 이행한다. 또한, 제1 접수부(2004)가 점원 코드를 접수하지 않는 경우(S31의 "아니오"), 제어부(200)는 S32의 처리를 스킵하고 S28로 이행한다.
S28의 상품 등록에 이어서, 제어부(200)는 회계 지시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S33), 입력되지 않았으면(S33의 "아니오"), S21의 처리로 복귀한다. 회계 지시가 입력되었으면(S33의 "예"), 출력부(2005)는 회계 정보 및 점원 코드를 회계 장치(2)에 출력한다(S34). 출력부(2005)가 출력하는 점원 코드는 제1 접수부(2004)가 점원 코드를 접수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의 일례인 점 및 RAM(203)에 점원 코드가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출력부(2005)가 점원 코드를 출력하지 않는 점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이어서, 기억부(2007)는 RAM(203)에 점원 코드가 기억되어 있으면 당해 점원 코드를 소거한다(S35). 이에 의해, 쇼핑 카트(10)를 다른 고객 C가 이용할 때, 연령 확인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남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처리를 종료한다.
제2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의하면, 고객 C에 대하여 과거의 거래에 있어서 점원에 의한 연령 확인이 이루어져 있는 것을 확인한 경우에 당해 연령 확인을 불필요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고객 C의 수고나 점원의 작업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이어서, 제3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3 실시 형태는, 특정 상품에 대해서는 연령 확인이 이루어진 것을 조건으로 상품 등록을 가능하게 한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와 다르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의 제어부(200)의 처리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처리가 많으므로, 당해 마찬가지의 처리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은, 제3 실시 형태의 제어부(200)에 의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S5의 처리에 있어서 제1 접수부(2004)가 점원 코드를 접수하지 않는 경우(S5의 "아니오"), 통지부(2008)는 디스플레이(21)에 에러 표시를 행한다(S11). 즉, 입력부(2001)에 입력된 상품 코드로 식별되는 상품이 특정 상품이며, 금회의 거래에서 연령 확인이 행해져 있지 않은 경우, 통지부(2008)는 디스플레이(21)에 에러 표시를 행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상품 등록이 된 경우에 발하는 확인음을 발하지 않는다. 또한, 디스플레이(21)에 표시되는 에러 표시는, 예를 들어 「연령 확인이 되어 있지 않으므로, 상품 등록이 안됩니다」 등, 상품 등록이 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표시이다. 그 후, 제어부(200)는 S8의 처리로 이행한다.
또한, S8의 처리에 있어서 회계 지시가 입력되면(S8의 "예"), 출력부(2005)는 회계 정보를 회계 장치(2)에 대하여 출력한다(S12).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연령 확인이 이루어져 있지 않아 특정 상품이 상품 등록되는 일이 없으므로, 제1 접수부(2004)가 점원 코드를 접수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 즉 연령 확인이 행해진 것을 나타내는 정보의 출력은 불필요하다. 출력부(2005)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회계 장치(2)가 특정 상품에 대해서 연령 확인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제3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에 의하면, 연령 확인이 이루어진 것을 조건으로 특정 상품의 상품 등록이 실행되므로, 점포가 특정 상품을 판매함에 있어서 확실하게 연령 확인을 행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다음에, 제4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4 실시 형태는, 특정 상품에 대해서는 점원에 의한 연령 확인이 이루어진 것을 조건으로 상품 등록을 가능하게 한 점에서 제2 실시 형태와 다르다. 또한, 제4 실시 형태의 제어부(200)의 처리는,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처리가 많으므로, 당해 마찬가지의 처리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는, 제4 실시 형태의 제어부(200)에 의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S26의 처리에 있어서 제1 접수부(2004)가 점원 코드를 접수하지 않은 경우(S26의 "아니오"), 통지부(2008)는 디스플레이(21)에 에러 표시를 행한다(S41). 즉, 입력부(2001)에 입력된 상품 코드로 식별되는 상품이 특정 상품이며, 또한, 고객 C가 회원이며 금회 혹은 과거의 거래에서 연령 확인이 행해지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통지부(2008)는 디스플레이(21)에 에러 표시를 행한다. 에러 표시는, 제3 실시 형태의 에러 표시와 마찬가지로, 상품 등록이 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표시이다.
S31의 처리에 있어서 제1 접수부(2004)가 점원 코드를 접수하지 않은 경우(S31의 "아니오"), 제어부(200)는 S41의 처리로 이행한다. 즉, 입력부(2001)에 입력된 상품 코드로 식별되는 상품이 특정 상품이며, 또한, 고객 C가 회원이 아니라 금회의 거래에서 연령 확인이 행해지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통지부(2008)는 디스플레이(21)에 에러 표시를 행한다.
또한, S33의 처리에 있어서 회계 지시가 입력되면(S33의 "예"), 출력부(2005)는 회계 정보를 회계 장치(2)에 대하여 출력한다(S12). 제1 접수부(2004)가 점원 코드를 접수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 즉 연령 확인이 행해진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지 않는 점은 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제4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제4 실시 형태에 의하면, 연령 확인이 이루어진 것을 조건으로 특정 상품의 상품 등록이 실행되므로, 점포가 특정 상품을 판매함에 있어서 확실하게 연령 확인을 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 형태의 태블릿 단말기(20)는 점포 내를 이동하는 고객 C에 의해 조작되는 정보 처리 단말 장치이며, 상품을 식별하는 상품 식별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2001)와, 입력부(2001)에 입력된 상품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 등록을 행하는 등록부(2002)와, 상기 상품을 판매하는 점포의 점원인 것을 식별하는 점원 식별 정보를 접수하는 제1 접수부(2004)와, 등록부(2002)가 상품 등록한 상품에 연령 확인이 필요한 특정 상품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1 접수부(2004)가 상기 점원 식별 정보를 접수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 및 등록부(2002)에서 상품 등록된 상품의 대금의 지불을 행하기 위한 회계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2005)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점포 내를 이동하는 고객 C에 의해 조작되는 태블릿 단말기(20)를 사용하여, 특정 상품을 구입하는 고객 C의 연령 확인을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회계 장치(2) 등에 의한 회계 처리 전에 연령 확인을 행할 수 있으므로, 회계 처리를 신속히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태블릿 단말기(20)는 점포 내를 이동하는 고객 C에 의해 조작되는 정보 처리 단말 장치이며, 상품을 식별하는 상품 식별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2001)와, 입력부(2001)에 입력된 상품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 등록을 행하는 등록부(2002)와, 상기 상품을 판매하는 점포의 점원인 것을 식별하는 점원 식별 정보를 접수하는 제1 접수부(2004)와, 등록부(2002)에서 상품 등록된 상품의 대금의 지불을 행하기 위한 회계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2005)를 구비하고, 등록부(2002)는 입력부(2001)에 입력된 상품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상품이 연령 확인이 필요한 특정 상품인 경우, 제1 접수부(2004)가 상기 점원 식별 정보를 접수한 것을 조건으로 상품 등록을 행한다.
이에 의해, 점포 내를 이동하는 고객 C에 의해 조작되는 태블릿 단말기(20)를 사용하여, 특정 상품을 구입하는 고객 C의 연령 확인을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회계 장치(2) 등에 의한 회계 처리 전에 연령 확인을 행할 수 있으므로, 회계 처리를 신속히 행할 수 있다. 또한, 태블릿 단말기(20)는 연령 확인이 이루어진 것을 조건으로 특정 상품의 상품 등록을 실행하므로, 점포는 특정 상품을 판매함에 있어서 확실하게 연령 확인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태블릿 단말기(20)는 점포의 회원을 식별하는 회원 식별 정보를 접수하는 제2 접수부(2006)와, 제2 접수부(2006)가 접수한 회원 식별 정보와 상기 제1 접수부(2004)가 상기 점원 식별 정보를 접수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대응지은 연령 확인 정보를 메모리부(210)에 기억하는 기억부(2007)를 더 구비한다.
이에 의해, 태블릿 단말기(20)는 고객 C에 대하여 과거의 거래에 있어서 연령 확인이 이루어져 있는 경우에 당해 연령 확인을 불필요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고객 C의 수고나 점원의 작업을 저감시킬 수 있다.
덧붙여, 상기 실시 형태의 태블릿 단말기(20)는 입력부(2001)에 입력된 상품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상품이 특정 상품인 경우, 점원 식별 정보의 입력을 촉구하는 통지를 행하는 통지부(2008)를 더 구비한다.
이에 의해, 태블릿 단말기(20)는 특정 상품을 구입하는 고객 C에 대하여 연령 확인을 촉구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점포는 특정 상품을 판매함에 있어서 확실하게 연령 확인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태블릿 단말기(20)(정보 처리 단말기를 고객 C가 소유하는 휴대 단말기로 한 경우에는 당해 휴대 단말기를 포함함)에서 실행되는 제어 프로그램은, CD-ROM 등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하여 제공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상기 태블릿 단말기(20)에서 실행되는 제어 프로그램을,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컴퓨터 상에 저장하고, 네트워크 경유로 다운로드시킴으로써 제공하도록 구성해도 되고, 또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경유로 제공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이 실시 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고 있지 않다. 이 실시 형태는, 그 밖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코드나 점원 코드의 판독용 프로그램이 인스톨된 스마트폰으로 정보 처리 단말 장치를 구성하는 경우, 스마트폰의 카메라 기능을 사용하여 바코드 등으로부터 상기 상품 코드나 점원 코드를 판독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 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됨과 함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
20: 태블릿 단말기(정보 처리 단말 장치)
210: 메모리부
2001: 입력부
2002: 등록부
2004: 제1 접수부
2005: 출력부
2007: 기억부
2008: 통지부

Claims (6)

  1. 점포 내를 이동하는 고객에 의해 조작되는 정보 처리 단말 장치이며,
    상품을 식별하는 상품 식별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상품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 등록을 행하는 등록부와,
    상기 상품을 판매하는 점포의 점원인 것을 식별하는 점원 식별 정보를 접수하는 제1 접수부와,
    상기 등록부가 상품 등록한 상품에 연령 확인이 필요한 특정 상품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접수부가 상기 점원 식별 정보를 접수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등록부에서 상품 등록된 상품의 대금의 지불을 행하기 위한 회계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단말 장치.
  2. 점포 내를 이동하는 고객에 의해 조작되는 정보 처리 단말 장치이며,
    상품을 식별하는 상품 식별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상품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 등록을 행하는 등록부와,
    상기 상품을 판매하는 점포의 점원인 것을 식별하는 점원 식별 정보를 접수하는 제1 접수부와,
    상기 등록부에서 상품 등록된 상품의 대금의 지불을 행하기 위한 회계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등록부는,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상품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상품이 연령 확인이 필요한 특정 상품인 경우, 상기 제1 접수부가 상기 점원 식별 정보를 접수한 것을 조건으로 상품 등록을 행하는,
    정보 처리 단말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점포의 회원을 식별하는 회원 식별 정보를 접수하는 제2 접수부와,
    상기 제2 접수부가 접수한 회원 식별 정보와 상기 제1 접수부가 상기 점원 식별 정보를 접수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대응지은 연령 확인 정보를 메모리부에 기억하는 기억부를 더 구비하는, 정보 처리 단말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상품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상품이 상기 특정 상품인 경우, 상기 점원 식별 정보의 입력을 촉구하는 통지를 행하는 통지부를 더 구비하는, 정보 처리 단말 장치.
  5. 점포 내를 이동하는 고객에 의해 조작되는 정보 처리 단말 장치를 컴퓨터로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이며,
    상기 컴퓨터를,
    상품을 식별하는 상품 식별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상품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 등록을 행하는 등록부와,
    상기 상품을 판매하는 점포의 점원인 것을 식별하는 점원 식별 정보를 접수하는 제1 접수부와,
    상기 등록부가 상품 등록한 상품에 연령 확인이 필요한 특정 상품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접수부가 상기 점원 식별 정보를 접수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등록부에서 상품 등록된 상품의 대금의 지불을 행하기 위한 회계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6. 점포 내를 이동하는 고객에 의해 조작되는 정보 처리 단말 장치를 컴퓨터로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이며,
    상기 컴퓨터를,
    상품을 식별하는 상품 식별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상품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 등록을 행하는 등록부와,
    상기 상품을 판매하는 점포의 점원인 것을 식별하는 점원 식별 정보를 접수하는 제1 접수부와,
    상기 등록부에서 상품 등록된 상품의 대금의 지불을 행하기 위한 회계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등록부는,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상품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상품이 연령 확인이 필요한 특정 상품인 경우, 상기 제1 접수부가 상기 점원 식별 정보를 접수한 것을 조건으로 상품 등록을 행하도록 기능시키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KR1020210178329A 2021-03-09 2021-12-14 정보 처리 단말 장치 및 프로그램 KR202201266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37343 2021-03-09
JP2021037343A JP2022137713A (ja) 2021-03-09 2021-03-09 情報処理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6624A true KR20220126624A (ko) 2022-09-16

Family

ID=80035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8329A KR20220126624A (ko) 2021-03-09 2021-12-14 정보 처리 단말 장치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721182B2 (ko)
EP (1) EP4057208A1 (ko)
JP (1) JP2022137713A (ko)
KR (1) KR20220126624A (ko)
CN (1) CN11504938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137713A (ja) * 2021-03-09 2022-09-22 東芝テック株式会社 情報処理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7299404B1 (ja) * 2022-11-28 2023-06-27 PayPay株式会社 決済装置、決済方法及び決済プログラム
JP7320119B1 (ja) * 2022-12-01 2023-08-02 PayPay株式会社 決済装置、決済方法、決済プログラム及び決済システ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77589A (ja) 2019-04-22 2020-10-29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カートpos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21033B2 (ja) 2016-11-08 2019-12-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年齢確認システム、及びそれを備えた買物支援システム
JP6908545B2 (ja) 2018-03-02 2021-07-28 東芝テック株式会社 端末管理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7095876B2 (ja) * 2019-02-20 2022-07-05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942765B2 (ja) 2019-08-22 2021-09-29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ユーザ端末、買物支援方法、買物支援プログラム
WO2021066000A1 (ja) * 2019-09-30 2021-04-08 日本電気株式会社 店舗システム、店舗サーバ及び店舗システムの処理方法
JP2022137713A (ja) * 2021-03-09 2022-09-22 東芝テック株式会社 情報処理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77589A (ja) 2019-04-22 2020-10-29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カートpos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21182B2 (en) 2023-08-08
US20230351866A1 (en) 2023-11-02
CN115049386A (zh) 2022-09-13
EP4057208A1 (en) 2022-09-14
US20220292935A1 (en) 2022-09-15
JP2022137713A (ja) 2022-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53988B2 (en) Method for self-checkout with a mobile device
KR20220126624A (ko) 정보 처리 단말 장치 및 프로그램
JP2023063538A (ja) 商品データ処理システム、情報端末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23021217A (ja) 商品データ処理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商品販売システム
JP7163171B2 (ja) 店舗サーバ、店舗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24028307A (ja) チェックアウトシステム
JP7478635B2 (ja) 商品購入システム、中継サーバ及び登録装置
US20230410141A1 (en) Sales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sales data processing system
JP7420989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WO2023037650A1 (ja) 情報処理装置、登録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2269855A1 (ja) 販売支援システム、方法、及び、記録媒体
WO2023144990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特典付与方法、及び、記録媒体
KR20160073942A (ko) 코드 인식을 이용한 결제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22139457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端末、及び情報処理装置並びにその制御プログラム
JP2022178574A (ja) 登録装置、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2163452A (ja) 商品登録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3059798A (ja) 商品登録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22138564A (ja) 登録装置、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2053098A (ja) 商品購入システム及び中継サー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