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6082A - 모로헤이야와 용과껍질의 점액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모로헤이야와 용과껍질의 점액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6082A
KR20220126082A KR1020210030242A KR20210030242A KR20220126082A KR 20220126082 A KR20220126082 A KR 20220126082A KR 1020210030242 A KR1020210030242 A KR 1020210030242A KR 20210030242 A KR20210030242 A KR 20210030242A KR 20220126082 A KR20220126082 A KR 20220126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roheiya
dragon fruit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0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뷰티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뷰티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뷰티맥스
Priority to KR1020210030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6082A/ko
Publication of KR20220126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60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로헤이야와 용과껍질을 포함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점액성분이 증대된 모로헤이야와 용과껍질 추출물을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2 ~ 12 중량%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점액성분이 증대되어 피부에 우수한 항산화, 재생, 탄력 효과를 나타내므로 화장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모로헤이야와 용과껍질의 점액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Holocene undatus an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모로헤이야와 용과껍질의 점액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모로헤이야와 용과껍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면서도 점액질(Mucilage) 함량이 증대되어 우수한 항산화 기능을 가지고 피부 재생 및 탄력성 개선에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 노화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자연히 발생하는 자연노화(Intrinsic aging, 내인성 노화)와 주위 환경, 특히 자외선에 의한 관노화(Photo aging)로 나눌 수 있다. 광노화(Photo)는 오랫동안 햇빛에 노출된 얼굴, 손등, 목뒤 등의 피부에서 관찰되는 노화현상을 말하는 것으로 내인성 노화 현상과 자외선에 의한 영향이 합쳐진 결과로 발생한다.
자연노화와 광노화 사이에는 주름이 생성되는 기전이 세부적으로는 차이는 있지만, 표피세포의 증식이나 신진대사가 저하되며, 표피-진피 사이의 결함이 약해 조그만 자극에도 손상을 입기 쉽고, 콜라겐 합성감소, 콜라겐 분해 효소인 MMPs(Matrix Metalloproteinase)의 과다한 발현 증가 등의 생리학적 변화들이 나타나 피부가 건조해지며 표피, 진피층의 구조적인 차이로 인해 탄력성을 잃어버리고 점차적으로 주름이 깊어진다.
이러한 피부노화를 방지하기 위해 레이저 치료와 얼굴 성형 등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최근에는 노화에 대한 인위적인 방법이 아닌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피부노화를 방지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천연 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 특허로는, 모로헤이야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항염 화장료 조성물(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08-0020853), 모로헤이야, 은행잎 및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악학조성물(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16-0061601),용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한국등록특허공보 10-1677466), 골드키위 껍질 및 용과껍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한국등록특허공보 10-1954275) 및 애플망고 추출물, 용과 추출물, 레드키위 추출물 및 아떼모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15-0064314) 등이 개시되었다.
모로헤이야(Corchorus olitorius)는 피나무과(Tiliaceae)에 속하는 1년생 아열대성 초본식물이며 물루키야(Mulukhiyah), 몰로키아(Molokhia) 등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모로헤이야는 이집트에서 재배되기 시작하였으나 아프리카 전역과 인도, 아시아 등지에서 자생하며 고대 이집트 왕들은 멜로키아 잎을 약용하였다는 기록이 남아있으며, 클레오파트라도 즐겨 먹었던 미용 식품으로 알려졌다. 또한, 인도의 의학서적인 아유르베다에서는 모로헤이야의 잎이 통증, 종양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모로헤이야에는 다당류의 일종인 mucilage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 잎을 자르면 미끈거리며, 칼륨, 칼슘, 철과 같은 미네랄이 풍부하고 비타민C, 비타민E, 베타카로틴과 루테인 같은 항산화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성인병과 노화방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모로헤이야는 다른 채소들과 성분을 비교해 볼 때 칼륨, 칼슘, 철, 베타카로틴, 비타민 Α, Β1, Β2, Γ, Ε 등의 영양소를 골고루 지니고 있어 성인병과 노화를 방지하며, 아름다움을 지켜 주는 마시는 화장품으로 주목받고 있다. 모로헤이야의 주요성분으로서 베타카로틴 ()이 활성산소제거, 노화방지, 가려움증 방지 역할을 하고, 비타민 Β군은 항산화, 피부보호, 피부 진정의 효과를 나타낸다. 또 폴리사카라이드 ()는 보습 및 피부탄력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졌다.
한편, 용과(Hylocereus undatus (Haw.) Britt. & Rose)는 선인장과에 속하며 원산지는 멕시코 및 과테말라이나 중남미를 포함한 열대 및 아열대 지역, 최근 아시아 지역에서도 재배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용과는 레드피타야, 드래곤프루트(Dragon fruit)로도 불리며 적색타원형의 큰 과실을 가지고 있으며 단백질, 칼륨과 인, 섬유질이 풍부하며 비타민C와 플라보노이드, 안토시아닌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슈퍼 푸드로 불리며 항산화 기능이 뛰어나 활성산소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용과는 표면이 울퉁불퉁한 용과껍질로 덮여 있어 껍질은 먹지 않고 버려진다. 그러나 과육보다 용과껍질에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더 높으며 우수한 항암, 항산화 작용을 가진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최근 용과의 껍질에 mucilage가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모로헤이야와 용과껍질에 포함된 점액물질 mucilage(점질물)는 갈락투론산, 글루쿠론산, 그 밖의 당으로부터 이루어지는 헤테로다당류을 포함하는 당단백질(glycoprotein)로 구성되어 있어 소화촉진에 도움을 주며 콜레스테롤 감소와 해독기능이 있다. 또한, 합성 소재 및 동물 유래 소재보다 자극 없이 얇은 막을 형성하여 피부에 보호막 역할을 하며 피부의 수분손실을 막고 피부에 난 상처의 재생에 효과적이며 피부 주름개선에도 효과를 나타낸다.
한편, 용과껍질을 포함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선행특허가 있으나(한국등록특허번호 10-1954275) 아직까지 모로헤이야와 용과껍질의 점액질(Mucilage) 함량이 증대된 화장료 조성물과 그에 대한 효능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모로헤이야와 용과껍질의 유용성분을 함유하면서도 특히나 점액질(Mucilage)함량이 증대되어 우수한 항산화 기능을 가지며, 피부 재생과 피부 주름개선에 우수한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118994호(2019.02.26)
본 발명은 점액 성분이 증대된 모로헤이야와 용과껍질을 포함한 화장료 조성물로서, 피부에 우수한 항산화, 재생, 탄력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점액 성분이 증가한 모로헤이야와 용과껍질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모로헤이야와 용과껍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로헤이야와 용과껍질의 복합 추출물은, 모로헤이야와 용과껍질의 생과를 주정 추출한 점액성분을 포함한다.
상기 모로헤이야와 용과껍질의 배합비는 1:5 내지 5:1이다.
상기 모로헤이야와 용과껍질의 배합비는 2:1이다.
상기 모로헤이야와 용과껍질의 복합 추출물은 전체 중량에 대해 0.02~12중량 %를 포함한다.
상기 모로헤이야와 용과껍질의 복합 추출물은,
(a) 상기 모로헤이야와 용과껍질의 생과를 세척 및 절단하여 주정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모로헤이야와 용과껍질의 추출액을 원심분리하여 침전액을 수득하는 단계;
(c) 상기 수득된 침전액에 물과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및 부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용매로 희석하는 단계; 및
(d) 상기 희석액을 살균하는 단계를 통해서 점액성분이 증대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로헤이야와 용과껍질의 복합 추출물은 우수한 피부 항산화, 재생 및 탄력 효과를 나타내는 점액성분이 크게 증대되어 주름개선용 화장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액 성분이 증가한 모로헤이야와 용과껍질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액 성분이 증가한 모로헤이야와 용과껍질 추출물의 Woundhealing 효과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액 성분이 증가한 모로헤이야와 용과껍질의 추출물의 Type Ⅰ collagen 합성 효과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는 실시 예를 통해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모로헤이야는 몰로키아(Molokhia), 아랍식 발음인 무루키아로 알려졌으며 이집트 지중해 연안에서 자생하는 녹황색 채소이다. 모로헤이야 잎은 이집트 왕들이 질병치료에 사용된 것으로 전해져 왕가의 수프로 알려졌으며, 단백질 함량이 높으며 다양한 무기질과 아미노산과 비타민 B1, B2, C, E와 항산화 물질인 베타카로틴, lutein, caffeoylquinic acid, quercetin을 함유하고 있다. 또한, 다량의 칼슘이 함유되어 있어 건강식, 피부미용 용도로 활용도가 높은 식물이다.
모로헤이야의 잎에는 약 8-20%의 점액(Mucilage)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40,000~500,000 dalton 정도의 크기이며 주로 rhamnose, uronic acid, galacturonic, glucuronic acid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용과는 선인장과에 속하는 귀화재배작물이며 원산지는 중앙아메리카 아열대지역이나 피타야로 불리며 국내 제주에서도 재배되고 있다. 용과는 열매가 익을수록 알칼로이드 색소 성분이 증가하며 병해충에 강하여 무농약 재배가 가능하고 탄수화물, 섬유질, 단백질과 지방산이 풍부하여 건강식으로 이용되고 있다.
용과 주로 열매를 식용하며 껍질은 버려지나, 용과껍질에는 isorhamnetin 배당체를 포함한 18종의 flavonol 유도체가 함유되어 있으며 주로 galacturonic acid로 구성된 0.5-20mg/mL의 mucilage를 포함하고 있다.
모로헤이야와 용과껍질에 포함된 mucilage는 단백질, 당류, 무기염류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동물유래 당단백질에 비해 Galactose, monnose, N-acetylglucosamine 이외에 arabinose, fucose(α1,3), xylose가 추가되어 있다. mucilage는 단백질의 흡수를 촉진하고 피부에 적용 시 점막의 보호와 가려움 등의 자극을 완화해주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천연보습제로도 이용된다. 또한, 식물로부터 유래하여 알러지나 부작용이 적다.
본 발명은 주정추출 및 분리에 의하여 모로헤이야와 용과껍질에 포함된 점질액을 고효율로 추출하여 화장료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점액성분이 증대된 모로헤이야와 용과껍질 추출물을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2 ~ 12 중량%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유효성분으로서 점액성분을 포함한 상기 모로헤이야, 용과껍질 추출물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먼저, 모로헤이야와 용과를 세척한 후 용과껍질을 과육으로부터 분리하고 모로헤이야와 용과껍질을 절단한 다음 모로헤이야와 용과껍질 10배에 해당하는 주정에 침지하여 추출액을 제조한다.
이때, 모로헤이야와 용과껍질은 각각 1~5:1~5의 중량비율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2:1의 중량비율로 적용하는 경우에 가장 많은 점액성분을 추출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추출액을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을 버리고 침전된 점액질액을 수득한다.
이어, 점액질액에 물과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및 부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용매로 혼합한다.
얻어진 혼합물을 살균 후 감압 농축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점액성분이 증대된 모로헤이야와 용과껍질의 추출물을 제조한다.
이와 같은 추출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모로헤이야와 용과껍질의 복합 추출물은 열수 추출된 모로헤이야와 용과껍질의 추출물에 비하여 더욱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얻어진 모로헤이야와 용과껍질의 복합 추출물은 단일추출물, 혹은 열수 추출물과 비교해 볼 때, 더욱 우수한 항산화 효과, 재생효과, 탄력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제한되지는 않으나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제형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유화 제형의 화장품으로는 영양화장수, 크림, 에센스 등이 있으며, 가용화제형의 화장품으로는 유연화장수가 있다. 또한, 화장품 이외에도 피부 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및 기제를 함유함으로써 피부 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국소 적용 및 전신 적용할 수 있는 보조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모로헤이야와 용과껍질 1:1 점액추출물의 제조
모로헤이야와 용과를 세척한 다음, 용과는 껍질을 분리하여 모로헤이야 15g, 용과껍질 15g을 적당한 크기로 절단한다. 중량 대비 10배의 60~80% 주정에 넣고 교반하면서 25~45℃에서 18 ~ 48시간 동안 추출한 다음, 5,000 rpm에서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을 버리고 침전된 점액질액을 수득한다. 이어, 점질액에 10~30% 물과 5~10%의 글리세린으로 희석하여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모로헤이야와 용과껍질 1:2 점액추출물의 제조
모로헤이야와 용과를 세척한 다음 껍질을 분리하여 모로헤이야 10g, 용과껍질 20g을 적당한 크기로 절단한다. 중량 대비 10배의 60~80% 주정에 넣고 교반하면서 25~ 45℃에서 18 ~ 48시간 동안 추출한 다음, 5,000 rpm에서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을 버리고 침전된 점액질액을 수득한다. 이어, 점질액에 10~30% 물과 5~10%의 글리세린으로 희석하여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모로헤이야와 용과껍질 1:5 점액추출물의 제조
모로헤이야와 용과를 세척한 다음, 용과는 껍질을 분리하여 모로헤이야 5g, 용과껍질 25g을 적당한 크기로 절단한다. 중량 대비 10배의 60~80% 주정에 넣고 교반하면서 25~45℃에서 18~48시간 동안 추출한 다음, 5,000 rpm에서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을 버리고 침전된 점액질액을 수득한다. 이어, 점질액에 10~30% 물과 5~10%의 글리세린으로 희석하여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모로헤이야와 용과껍질 2:1 점액추출물의 제조
모로헤이야와 용과를 세척한 다음, 용과는 껍질을 분리하여 모로헤이야 20g, 용과껍질 10g을 적당한 크기로 절단한다. 중량 대비 10배의 60~80% 주정에 넣고 교반하면서 25~45℃에서 18 ~ 48시간 동안 추출한 다음, 5,000 rpm에서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을 버리고 침전된 점액질액을 수득한다. 이어, 점질액에 10~30% 물과 5~10%의 글리세린으로 희석하여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모로헤이야와 용과껍질 5:1 점액추출물의 제조
모로헤이야와 용과를 세척한 다음, 용과는 껍질을 분리하여 모로헤이야 25g, 용과껍질 5g을 적당한 크기로 절단한다. 중량 대비 10배의 60~80% 주정에 넣고 교반하면서 25~45℃에서 18 ~ 48시간 동안 추출한 다음, 5,000 rpm에서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을 버리고 침전된 점액질액을 수득한다. 이어, 점질액에 10~30% 물과 5~10%의 글리세린으로 희석하여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모로헤이야 점액추출물의 제조
30g의 모로헤이야를 중량 대비 10배의 60~80% 주정에 넣고 교반하면서 25~ 45℃에서 18 ~ 48시간 동안 추출한 다음, 5,000 rpm에서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을 버리고 침전된 점액질액을 수득한다. 이어, 점질액에 10~30% 물과 5~10%의 글리세린으로 희석하여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용과껍질 점액추출물의 제조
30g의 용과껍질을 중량 대비 10배의 60~80% 주정에 넣고 교반하면서 25~ 45℃에서 18 ~ 48시간 동안 추출한 다음, 5,000 rpm에서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을 버리고 침전된 점액질액을 수득한다. 이어, 점질액에 10~30% 물과 5~10%의 글리세린으로 희석하여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모로헤이야, 용과껍질 추출물의 제조
모로헤이야 15g과 용과껍질 15g을 중량 대비 10배의 물에 넣고 교반하면서 25~ 45℃ 에서 18 ~ 48시간동안 추출한 다음 감압 농축하여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점도 측정
Haake viscometer를 이용하여 실시 예 1~5, 비교예 1~3에서 제조된 추출물의 mucilage(점질액)의 점성을 측정하여 표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에3
Apparentviscosity
(Pa.s)
0.072 0.077 0.074 0.086 0.078 0.071 0.068 0.095
상기 표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실시 예 1~5 및 비교 예 1~3의 점도측정 결과, 열수추출 및 단독 추출물에 비해 본 발명에 따라 주정 추출된 실시예의 모로헤이야 용과껍질 점액 추출물의 점도가 높게 측정되어 Mucilage 함량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모로헤이야와 용과껍질이 2:1 비율인 실시 예 4의 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시험예 2> 항산화 활성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 예에서 제조된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DPPH 라디칼소거능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추출물당 여러 농도별 시료를 준비하고 시료 0.1 mL와 DPPH (1,1-diphenyl-2-picryl hydrazyl) 용액 0.1 ml를 혼합 후 30분 동안 방치한 다음, ELASA Reader를 이용하여 520nm에서 시료의 라디칼 소거 활성을 평가하였다. 이때 양성 대조군으로는 대표적인 Ascorbic acid를 사용하였으며, 하기의 식으로 DPPH 라디칼 소거 활성(A(%))을 계산하였다.
Figure pat00001
그리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상기 비교예에 비해 실시예에서 더 높은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그 중에서도 모로헤이야와 용과껍질이 2:1 비율인 실시예 4의 추출물에서 에서 더욱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시험예 3> Wound healing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추출물의 Wound healing 효과를 측정하였다. HaCaT 세포를 6 well plate에 1×106 cells/well의 농도로 분주하여 배양한 후, FBS가 첨가되지 않은 배지로 교체하여 18시간 Starvation 시키고, 24시가 동안 배양하였다. 대조군은 FBS가 포함된 배지를 이용하였으며 HaCaT 세포에 시료를 2%씩 처리하고, 24시간 배양한 후 전자현미경 100배율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Wound healing을 조사한 결과 상기 비교예에 비해 실시예에서 세포 간 간격이 좁음을 확인하였으며, 실시예 2와 4에서 가장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시험예 4> Type Ⅰ collagen 합성량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추출물의 Type Ⅰ collagen 합성량을 측정하였다. HDFa cell을 6 well plate에 1×104 cells/well의 농도로 분주하여 배양한 후, 대조군 배지를 사용하였으며, 시료를 2%씩 처리하고, 12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200mJ의 UVB 처리하여 12시간 배양한 다음 배양 배지를 800 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 후 Procollagen Tyoe Ⅰ C-peptide ELA kit를 이용하여 합성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냈어사.
본 발명 실시예의 모로헤이야와 용과껍질 점액 추출물은 일반 추출물이나 단일 추출물에 비하여 우수한 콜라겐 생성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실시예 4에서 가장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시험예 5> MMP-1 생성량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추출물을 이용하여 주름생성에 관여하는 유전자 Matrix metalloproteinase-1 (MMP-1)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HDFa cell을 6 well plate에 1×104cells/well의 농도로 분주하여 배양한 후, 대조군 배지를 사용하였으며, 시료를 2%씩 처리하고, 12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200mJ의 UVB 처리하여 12시간 배양한 다음 배양 배지를 800 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 후 Human Pro-MMP-1 Quantikine ELISA Kit를 이용하여 합성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냈었다.
구분 UVB 처리농도(w/v%) MMP-1 생성량(%)
Control - 100%
Negative control(대조군) + - 112.1%
실시예 1 + 2.0 84.8%
실시예 2 + 2.0 88.6%
실시예 3 + 2.0 82.4%
실시예 4 + 2.0 79.7%
실시예 5 + 2.0 81.2%
비교예 1 + 2.0 90.1%
비교예 2 + 2.0 92.2%
비교예 3 + 2.0 97.4%
상기 표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모로헤이야와 용과껍질을 2:1의 비율로 주정 추출한 추출물이 일반 추출물 혹은 단일추출물에 비하여 우수한 MMP-1 생성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모로헤이야와 용과껍질 점액추출물을 함유하는 크림 제조
하기 표 3의 조성에 따라 통상의 방법으로 모로헤이야와 용과껍질 2:1 점액추출물을 함유하는 크림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대조예 실시예
1 2 3 6
비교예 1 4.0 - - -
비교예 2 - 4.0 - -
비교예 3 - - 4.0 -
실시예 4 - - - 4.0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2.5 2.0 2.0 2.0
스테아릴알콜 2.4 2.2 2.2 2.2
스테아린산 1.5 1.5 1.5 1.5
호호바오일 1.0 1.0 1.0 1.0
폴리솔베이트 80 2.5 1.5 1.5 1.5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6 0.6 0.6 0.6
스쿠알란 3.5 3.0 3.0 3.0
MCT 오일 4.0 5.0 5.0 5.0
시어버터 4.0 5.0 5.0 5.0
디메치콘 3.0 1.0 1.0 1.0
시트릭애씨드 0.3 0.1 0.1 0.1
프로필렌글라이콜 5.0 5.0 5.0 5.0
부틸렌글라이콜 3.0 3.0 3.0 3.0
1,2-헥산디올 2.0 1.0 1.0 1.0
소듐히아루네이트(1%) 4.0 4.0 4.0 4.0
미량 미량 미량 미량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시험예 6> 피부탄력개선 평가
피부 탄력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각 10명씩 나누어 상기 대조예 1, 2, 3 또는 실시예 6의 크림을 이용하여 하루 2회씩(아침 및 저녁) 4주간 도포하였다. 4주 후 탄력개선 정도를 Dermalab combo의 Elastin probe를 통해 평가하여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초기 평균(MPa) 4주 후 평균(MPa) 탄력증가(%)
대조예 1 4.8 5.1 6.25
대조예 2 5.6 6.2 10.7
대조예 3 6.4 6.8 6.25
실시예 6 4.9 5.8 18.4

Claims (6)

  1. 모로헤이야와 용과껍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로헤이야와 용과껍질의 복합 추출물은, 모로헤이야와 용과껍질의 생과를 주정 추출한 점액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로헤이야와 용과껍질의 배합비는 1:5 내지 5: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로헤이야와 용과껍질의 배합비는 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모로헤이야와 용과껍질의 복합 추출물은 전체 중량에 대해 0.02~12중량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모로헤이야와 용과껍질의 복합 추출물은,
    (a) 상기 모로헤이야와 용과껍질의 생과를 세척 및 절단하여 주정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모로헤이야와 용과껍질의 추출액을 원심분리하여 침전액을 수득하는 단계;
    (c) 상기 수득된 침전액에 물과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및 부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용매로 희석하는 단계; 및
    (d) 상기 희석액을 살균하는 단계를 통해서 점액성분이 증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10030242A 2021-03-08 2021-03-08 모로헤이야와 용과껍질의 점액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202201260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0242A KR20220126082A (ko) 2021-03-08 2021-03-08 모로헤이야와 용과껍질의 점액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0242A KR20220126082A (ko) 2021-03-08 2021-03-08 모로헤이야와 용과껍질의 점액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6082A true KR20220126082A (ko) 2022-09-15

Family

ID=83281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0242A KR20220126082A (ko) 2021-03-08 2021-03-08 모로헤이야와 용과껍질의 점액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2608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8994A (ko) 2017-04-24 2018-11-01 재단법인 베리앤바이오식품연구소 구강 병원균의 증식에 의한 치아우식증 또는 치주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8994A (ko) 2017-04-24 2018-11-01 재단법인 베리앤바이오식품연구소 구강 병원균의 증식에 의한 치아우식증 또는 치주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9375B2 (en) Skin care compositions containing combinations of natural ingredients
US10675233B2 (en) Compositions containing natural extracts and use thereof for skin and hair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019632B1 (ko) 미숙 과일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12904A (ko) 유방확대 또는 피부탄력 향상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KR101055963B1 (ko)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50310A (ko) 청호, 님잎, 병풀 및 녹차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KR20200124986A (ko) 죽순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73313A (ko) 유성온천수를 이용한 능이와 신이의 온천수발효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
KR101319997B1 (ko) 분홍바늘꽃 및 구슬꽃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22092B1 (ko) 알로에베라 잎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열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72123B1 (ko) 갈산 및 당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미 추출물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06356B1 (ko)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76147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747202B1 (ko) 홍삼 다당체 또는 홍삼 올리고당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10301B1 (ko) 쉬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N113631227A (zh) 抗老化剂、抗氧化剂、抗炎剂、及美白剂、以及化妆品
KR20170099096A (ko)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53702B1 (ko) 해조류 성분 및 해수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KR20220126082A (ko) 모로헤이야와 용과껍질의 점액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20150089234A (ko) 왕호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68533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82058A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23372A (ko) 여우구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81428B1 (ko) 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약학적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