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5979A - 선박에의 촉매 선적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선박에의 촉매 선적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5979A
KR20220125979A KR1020210029966A KR20210029966A KR20220125979A KR 20220125979 A KR20220125979 A KR 20220125979A KR 1020210029966 A KR1020210029966 A KR 1020210029966A KR 20210029966 A KR20210029966 A KR 20210029966A KR 20220125979 A KR20220125979 A KR 20220125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ship
girder
catalyst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9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2577B1 (ko
Inventor
김승태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9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2577B1/ko
Publication of KR20220125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5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2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2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5G67/603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B65G63/002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 B65G63/004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2Fil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38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41Barrels,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97Loading or unloading means for shi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선박에의 촉매 선적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박의 베셀에 촉매를 선적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선박에서 이격된 별도의 장소에 마련되고, 공급업체에서 제공되는 드럼통 형태의 촉매를 대용량의 톤백으로 이송하는 1차 선적 시스템; 상기 톤백을 상기 선박 주변의 거치공간으로 운반하는 운반트럭; 및 상기 거치공간에 적재된 상기 톤백을 본선용 크레인을 이용하여 상기 베셀의 상부로 이송한 후 상기 톤백의 하부를 오픈시켜 상기 촉매를 상기 베셀 내로 투입하는 2차 선적 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에의 촉매 선적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선박에의 촉매 선적 시스템 및 방법{Catalyst loading system and method into ship}
본 발명은 선박에의 촉매 선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이 발달하면서 선박을 이용한 해상운송이 확대되고 있다. 또한, 산업 발달과 더불어 환경오염의 우려 역시 대두되고 있으며, 그 대응책으로 많은 환경규제들이 생겨나고 있다.
물류 운송을 위한 선박(예컨대, FLNG 등)은 유류 혹은 가스를 연료로 하는 엔진에 의해 추진되며, 이 경우 배기가스가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배기가스에는 질소산화물과 같이 환경에 악영향을 끼치는 환경규제 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환경보호를 위해 배기가스에 포함된 질소산화물의 경우 지역에 따라 배출등급이 나누어져 있다. 따라서, 배출등급에 따른 규정을 만족시키기 위해 엔진 효율을 높이거나 사용연료를 변경하거나 배기가스 중 질소산화물을 저감시키는 후처리 기술 등이 제시되고 있다.
이 중 배기가스를 후처리하는 기술로서 질소산화물의 저감을 위해 요소수를 이용한 선택적촉매환원법(SCR,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팔라듐(Pd), 백금(Pt), 로듐(Rd), 루테늄(RU) 등과 같은 활성성분으로 이루어진 촉매가 배기가스의 배출경로 상에 배치되고, 배기가스가 촉매로 진입하기 이전에 환원제로 요소수를 분사하여 촉매에서 질소산화물들이 질소로 환원되도록 반응시키게 된다.
따라서, 선박에는 배기가스를 후처리하기 위한 물질 중 하나로 촉매를 선적하고 있어야 할 필요가 있다.
촉매는 일반적으로 소정 용량의 드럼통에 담긴 상태로 공급된다. 이 경우 수백 개의 드럼통을 본선에 올려 일일이 베셀(vessel)에 부어 넣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수백 개의 드럼통을 본선에 적치할 공간이 없어 많은 어려움이 발생한다. 또한, 수백 개의 드럼통을 본선에 올리기 위해 필요한 시간이 상당하며, 이 시간 동안 본선용 크레인이 드럼통 선적에 제한 사용되어야 하여 다른 일정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FLNG, FPSO 등의 선박의 경우에는 가스를 처리하기 위한 과정은 다음과 같다.
몰레큘러 시브(Molecular Sieve)로 채워진 컨트랙터(Contractor, 베셀에 대응)에 수분 함축 가스(wet feed gas)를 지나게 하여 다공질의 몰레큘러 시브 안에 H2O(수분)를 포집하는 역할을 한다. 수은(Mercury)은 액화 설비(Liquefaction facility)의 극저온 열교환기(Cryogenic heat exchanger)의 주재질인 알루미늄(Aluminium)을 부식시킨다. 그래서 수은은 반드시 액화(Liquefaction) 단계 이전에 제거를 해야 한다. 방식은 기둥(Column) 혹은 베셀에 가스를 흘리는 방식이다.
이처럼 수분을 포집하고 수은을 제거하는 몰레큘러 시브도 촉매의 일종으로, 가스를 처리하기 위한 공정 중에 별도의 베셀 혹은 저장소에 적재할 것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63678호 (2015.10.21. 등록) - 배기가스 정화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본 발명은 촉매 선적 과정을 2단계로 구분하여 1차로 복수 드럼통의 촉매를 하나의 대용량 톤백에 담은 후 2차로 대용량 톤백을 본선에 선적하도록 하여 본선에서의 선적 시간을 단축시킨 선박에의 촉매 선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박의 베셀에 촉매를 선적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선박에서 이격된 별도의 장소에 마련되고, 공급업체에서 제공되는 드럼통 형태의 촉매를 대용량의 톤백으로 이송하는 1차 선적 시스템; 상기 톤백을 상기 선박 주변의 거치공간으로 운반하는 운반트럭; 및 상기 거치공간에 적재된 상기 톤백을 본선용 크레인을 이용하여 상기 베셀의 상부로 이송한 후 상기 톤백의 하부를 오픈시켜 상기 촉매를 상기 베셀 내로 투입하는 2차 선적 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에의 촉매 선적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1차 선적 시스템은, 하부에 빈 공간을 가지는 로딩 스테이지를 포함하고, 상기 로딩 스테이지의 일측에 공급 호퍼가 마련된 복수의 1차 로딩부; 및 상기 복수의 1차 로딩부의 배열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제1 수평 지지대와,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에 수직하게 배치된 제1 거더와, 상기 제1 거더를 따라 왕복 이동하는 제1 이송부와, 상기 제1 이송부에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제1 이송암을 포함하는 1차 로딩용 크레인을 포함하되, 상기 공급 호퍼의 하방에는 내부가 빈 상기 톤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송암은 복수의 상기 드럼통을 포함하는 드럼통 모듈에 체결된 와이어를 걸림 체결한 후, 상기 제1 이송암의 길이 가변, 상기 제1 거더를 따른 상기 제1 이송부의 직선 이동, 상기 제1 수평 지지대를 따른 상기 제1 거더의 직선 이동을 조합하여 상기 드럼통 모듈을 상기 로딩 스테이지 상에 안착시킬 수 있다.
상기 2차 선적 시스템은, 한 쌍의 제2 수평 지지대와, 상기 제2 수평 지지대에 수직하게 배치된 제2 거더와, 상기 제2 거더를 따라 왕복 이동하는 제2 이송부와, 상기 제2 이송부에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제2 이송암을 포함하는 본선용 크레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이송암은 상기 거치공간에 적재된 상기 톤백을 걸림 체결한 후, 상기 제2 이송암의 길이 가변, 상기 제2 거더를 따른 상기 제2이송부의 직선 이동, 상기 제2 수평 지지대를 따른 상기 제2 거더의 직선 이동을 조합하여 상기 톤백을 상기 베셀의 상부에 설치된 공급 호퍼 상에 위치시킨 후 상기 톤백의 하부를 오픈시킬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촉매 선적 과정을 2단계로 구분하여 1차로 복수 드럼통의 촉매를 하나의 대용량 톤백에 담은 후 2차로 대용량 톤백을 본선에 선적하도록 하여 본선에서의 선적 시간을 단축시킨 효과가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의 촉매 선적 시스템 중 1차 선적 과정에 이용되는 시스템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의 촉매 선적 시스템 중 1차 선적 이후 운반트럭을 이용한 운반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의 촉매 선적 시스템 중 2차 선적 과정에 이용되는 시스템 일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의 촉매 선적 방법의 순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의 촉매 선적 시스템 중 1차 선적 과정에 이용되는 시스템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의 촉매 선적 시스템 중 1차 선적 이후 운반트럭을 이용한 운반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의 촉매 선적 시스템 중 2차 선적 과정에 이용되는 시스템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의 촉매 선적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드럼통(10), 드럼통 모듈(20), 1차 로딩부(120, 120a, 120b, 이하 '120'으로 통칭함), 로딩 스테이지(121), 이송 호퍼(122), 톤백(50), 1차 로딩용 크레인(110), 제1 수평 지지대(111), 제1 거더(112), 제1 이송부(113), 제1 이송암(114), 지게차(70), 운반트럭(80), 거치공간(140), 본선용 크레인(150), 제2 수평 지지대(151), 제2 거더(152), 제2 이송부(153), 제2 이송암(154), 공급 호퍼(165), 베셀(160)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의 촉매 선적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촉매 선적을 필요로 하는 본선(예를 들어, FLNG 등)에 촉매를 선적하기에 앞서 별도의 공간에서 드럼통 내의 촉매를 대용량의 톤백 내에 옮겨 담고, 본선에서는 상대적으로 수량이 적어진 대용량의 톤백 내에 담겨진 촉매를 촉매가 수용될 베셀 내로 투입함으로써 본선용 크레인의 운용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의 촉매 선적 시스템은 1차 선적 시스템, 운반트럭(80), 2차 선적 시스템을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의 촉매 선적 시스템에 의한 촉매 선적 방법은 1차 선적 시스템을 이용해 촉매 공급업체에서 공급하는 드럼통 내의 촉매를 상대적으로 대용량인 톤백으로 옮겨 담는 1차 로딩 단계(S210)와, 운반트럭(80)을 이용해 하나 이상의 톤백을 본선 근처로 운반하는 운반 단계(S220)와, 본선 근처에서 본선용 크레인을 이용하여 톤백을 들어올려 베셀 내로 촉매가 투입되게 하는 2차 로딩 단계(S230)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1차 로딩 단계(S210)에 이용되는 1차 선적 시스템으로, 1차 로딩부(120) 및 1차 로딩용 크레인(110)이 도시되어 있다.
배기가스 정화 등을 위해 선박에서 필요로 하는 촉매는 공급업체에서 제공될 때 드럼통(10)에 실려 공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4개의 드럼통(10)이 하나의 팔레트 상에 거치된 드럼통 모듈(20)이 운반을 위한 기본 단위가 되어 지게차 등에 의해 운반될 수 있다.
1차 선적 시스템은 본선에서는 이격된 별도의 장소에 마련될 수 있다.
1차 로딩부(120)는 하나 혹은 둘 이상이 나란히 배열되어 있을 수 있다.
1차 로딩부(120)는 하부에 빈 공간을 가지도록 소정 높이만큼 이격된 로딩 스테이지(121)를 포함한다. 로딩 스테이지(121)의 일측에는 하부 공간으로 연결되는 이송 호퍼(122)가 설치될 수 있다. 로딩 스테이지(121)의 타측에는 하나 이상의 드럼통 모듈(20)이 거치될 수 있는 모듈 거치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1차 로딩부(120)의 상부에는 드럼통 모듈(20)을 바닥에서 로딩 스테이지(121)로 이송하기 위한 1차 로딩용 크레인(110)이 배치된다.
1차 로딩용 크레인(110)은 한 쌍의 제1 수평 지지대(111)와, 제1 수평 지지대(111) 사이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제1 거더(112)와, 제1 거더(112)를 따라 왕복 이동하는 제1 이송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1차 로딩부(120)가 일렬로 배열된 경우, 한 쌍의 제1 수평 지지대(111)는 복수의 1차 로딩부(120)가 배열된 방향(A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거더(112)는 A 방향에 수직한 B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거더(112)는 제1 수평 지지대(111)를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 제1 수평 지지대(111)에는 제1 주행축이 마련되어 있어, 제1 거더(112)가 제1 주행축을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제1 주행축은 A 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 수평 지지대(111)의 측면에 가이드레일이 형성되어 있어 제1 주행축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경우에 따라 제1 수평 지지대(111)의 하면에 가이드레일이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1 거더(112)에는 제2 주행축이 마련되어 있어, 제1 이송부(113)가 제2 주행축을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제2 주행축은 B 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 거더(112)의 하면에 가이드레일이 형성되어 있어 제2 주행축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경우에 따라 제1 거더(112)의 측면에 가이드레일이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1 이송부(113)는 제1 거더(112)를 따라 B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으며, 하방에는 상하 방향으로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제1 이송암(114)이 설치되고, 제1 이송암(114)의 끝단에 후크가 결합되어 있다.
드럼통 모듈(20)에는 와이어(25)가 체결되어 있어, 제1 이송암(114)의 후크에 걸림 체결됨으로써, 드럼통 모듈(20)이 바닥에서 들어 올려져 전후좌우 혹은 상하로 이송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이송암(114)의 길이 가변(수직 방향), 제1 이송부(113)의 제1 거더(112)를 따른 직선 이동(B 방향), 제1 거더(112)의 제1 수평 지지대(111)를 따른 직선 이동(A 방향)의 조합에 의해 3차원 상에 원하는 위치로 드럼통 모듈(20)을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바닥에 있던 드럼통 모듈(20)은 1차 로딩용 크레인(110)에 의해 1차 로딩부(120)의 로딩 스테이지(121) 상에 안착되게 이송될 수 있다.
드럼통 모듈(20)이 로딩 스테이지(121) 상에 안착되면, 로딩 스테이지(121)에서는 작업자가 드럼통(10)을 이송 호퍼(122) 주변으로 옮긴 후 눕힘으로써, 드럼통(10) 내의 촉매가 이송 호퍼(122)를 통해 하방으로 내려가게 한다.
이송 호퍼(122)의 하방에는 촉매를 옮겨 담을 톤백(50)이 배치될 수 있다. 톤백(50)은 드럼통(10)에 비해 상대적으로 대용량이 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톤백(50)의 용량은 드럼통(10)의 4배 이상일 수 있다.
로딩 스테이지(121) 상에서 이송 호퍼(122) 내로 투입된 드럼통(10)의 촉매는 이송 호퍼(122)의 아래에 놓인 톤백(50)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전술한 1차 로딩 단계(S210)는 일렬로 배열된 복수의 1차 로딩부(120)에서 개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 때 드럼통 모듈(20)을 로딩 스테이지(121) 상으로 이송하는 1차 로딩용 크레인(110)은 제1 거더(112)를 A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다수의 1차 로딩부(120)에 대해서도 촉매 이송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일렬로 배열된 복수의 1차 로딩부(120) 각각에서 이송 호퍼(122)를 통한 톤백(50)으로의 촉매 투입은 동시 다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톤백(50)으로의 촉매 이송이 완료된 경우, 운반 단계(S220)으로 넘어가 촉매로 가득찬 톤백(50)을 지게차(70)를 이용하여 운반트럭(80) 상에 옮겨 싣는다.
운반트럭(80)은 다수의 톤백(50)을 싣고 운행할 수 있는 대형트럭으로, 예를 들어 24톤 트럭일 수 있다.
선적하고자 하는 양의 촉매로 가득찬 톤백(50)들은 운반트럭(80)에 의해 본선 근처로 운반될 수 있다. 본선 근처에는 다수의 톤백(50)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공간(140)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거치공간(140)은 예를 들어 선박이 건조되고 있거나 운항 중인 선박이 정박 중인 안벽에 마련될 수 있다.
운반트럭(80)에서 거치공간(140)으로의 이동은 지게차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거치공간(140)에 적재된 다수의 톤백(50)은 본선용 크레인(150)을 이용하여 본선의 베셀(160)에 투입함으로써 본선에 선적하는 2차 로딩 단계(S230)가 수행될 수 있다.
2차 로딩 단계에서는 본선에 설치되어 있거나 본선이 정박하고 있는 안벽에 설치되어 있는 대형 크레인인 본선용 크레인(150)에 의해 톤백(50)이 운반될 수 있다.
본선용 크레인(150)은 한 쌍의 제2 수평 지지대(151)와, 제2 수평 지지대(151)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제2 거더(152)와, 제2 거더(152)를 따라 왕복 이동하는 제2 이송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2 수평 지지대(151)가 C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거더(152)는 C 방향에 수직한 방향(D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거더(152)는 제2 수평 지지대(151)를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 제2 수평 지지대(151)에는 제3 주행축이 마련되어 있어, 제2 거더(152)가 제3 주행축을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제3 주행축은 C 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2 수평 지지대(151)의 측면에 가이드레일이 형성되어 있어 제3 주행축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경우에 따라 제2 수평 지지대(151)의 하면에 가이드레일이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2 거더(152)에는 제4 주행축이 마련되어 있어, 제2 이송부(153)가 제4 주행축을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제4 주행축은 D 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2 거더(152)의 하면에 가이드레일이 형성되어 있어 제4 주행축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경우에 따라 제2 거더(152)의 측면에 가이드레일이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2 이송부(153)는 제2 거더(152)를 따라 D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으며, 하방에는 상하 방향으로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제2 이송암(154)이 설치되고, 제2 이송암(154)의 끝단에 후크가 결합되어 있다.
톤백(50)에는 후크가 걸릴 수 있는 걸림부가 마련되어 있어, 제2 이송암(154)의 후크에 걸림 체결됨으로써, 톤백(50)이 거치공간(140)에서 들어 올려져 전후좌우 혹은 상하로 이송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이송암(154)의 길이 가변(수직 방향), 제2 이송부(153)의 제2 거더(152)를 따른 직선 이동(D 방향), 제2 거더(152)의 제2 수평 지지대(151)를 따른 직선 이동(C 방향)의 조합에 의해 3차원 상에 원하는 위치로 톤백(50)을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거치공간(140)에 있던 톤백(50)은 본선용 크레인(150)에 의해 베셀(160) 상부의 공급 호퍼(165) 상으로 이송되며, 톤백(50)의 하부를 오픈시켜 톤백(50) 내에 수용된 촉매가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낙하하여 공급 호퍼(165)를 통해 베셀(160) 내부로 투입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촉매 선적 방법에 의하면, 공급업체에서 공급된 드럼통 형태의 촉매를 별도의 장소에서 대용량의 톤백 형태로 1차 로딩하고, 이후 적은 수량의 대용량 톤백만을 본선용 크레인으로 이송하면 되도록 함으로써, 본선용 크레인에 대한 점유 시간을 단축시켜 본선에서 본선용 크레인을 이용한 타 작업에 미치는 영향을 줄여 전체 작업 시간을 줄여줄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드럼통 20: 드럼통 모듈
50: 톤백 70: 지게차
80: 운반트럭 25: 와이어
110: 1차 로딩용 크레인 111: 제1 수평 지지대
112: 제1 거더 113: 제1 이송부
114: 제1 이송암 120, 120a, 120b: 1차 로딩부
121: 로딩 스테이지 122: 이송 호퍼
150: 본선용 크레인 140: 거치공간
151: 제2 수평 지지대 152: 제2 거더
153: 제2 이송부 154: 제2 이송암
160: 베셀 165: 공급 호퍼

Claims (5)

  1. 선박의 베셀에 촉매를 선적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선박에서 이격된 별도의 장소에 마련되고, 공급업체에서 제공되는 드럼통 형태의 촉매를 대용량의 톤백으로 이송하는 1차 선적 시스템;
    상기 톤백을 상기 선박 주변의 거치공간으로 운반하는 운반트럭; 및
    상기 거치공간에 적재된 상기 톤백을 본선용 크레인을 이용하여 상기 베셀의 상부로 이송한 후 상기 톤백의 하부를 오픈시켜 상기 촉매를 상기 베셀 내로 투입하는 2차 선적 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에의 촉매 선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선적 시스템은,
    하부에 빈 공간을 가지는 로딩 스테이지를 포함하고, 상기 로딩 스테이지의 일측에 공급 호퍼가 마련된 복수의 1차 로딩부; 및
    상기 복수의 1차 로딩부의 배열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제1 수평 지지대와,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에 수직하게 배치된 제1 거더와, 상기 제1 거더를 따라 왕복 이동하는 제1 이송부와, 상기 제1 이송부에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제1 이송암을 포함하는 1차 로딩용 크레인을 포함하되,
    상기 공급 호퍼의 하방에는 내부가 빈 상기 톤백이 배치되는 선박에의 촉매 선적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암은 복수의 상기 드럼통을 포함하는 드럼통 모듈에 체결된 와이어를 걸림 체결한 후, 상기 제1 이송암의 길이 가변, 상기 제1 거더를 따른 상기 제1 이송부의 직선 이동, 상기 제1 수평 지지대를 따른 상기 제1 거더의 직선 이동을 조합하여 상기 드럼통 모듈을 상기 로딩 스테이지 상에 안착시키는 선박에의 촉매 선적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선적 시스템은,
    한 쌍의 제2 수평 지지대와, 상기 제2 수평 지지대에 수직하게 배치된 제2 거더와, 상기 제2 거더를 따라 왕복 이동하는 제2 이송부와, 상기 제2 이송부에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제2 이송암을 포함하는 본선용 크레인을 포함하는 선박에의 촉매 선적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송암은 상기 거치공간에 적재된 상기 톤백을 걸림 체결한 후,
    상기 제2 이송암의 길이 가변, 상기 제2 거더를 따른 상기 제2이송부의 직선 이동, 상기 제2 수평 지지대를 따른 상기 제2 거더의 직선 이동을 조합하여 상기 톤백을 상기 베셀의 상부에 설치된 공급 호퍼 상에 위치시킨 후 상기 톤백의 하부를 오픈시키는 선박에의 촉매 선적 시스템.
KR1020210029966A 2021-03-08 2021-03-08 선박에의 촉매 선적 시스템 및 방법 KR102652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966A KR102652577B1 (ko) 2021-03-08 2021-03-08 선박에의 촉매 선적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966A KR102652577B1 (ko) 2021-03-08 2021-03-08 선박에의 촉매 선적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5979A true KR20220125979A (ko) 2022-09-15
KR102652577B1 KR102652577B1 (ko) 2024-03-28

Family

ID=83281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9966A KR102652577B1 (ko) 2021-03-08 2021-03-08 선박에의 촉매 선적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257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0335A (ja) * 1993-04-09 1994-12-13 Eurecat Europ De Retraitement De Catalyseurs 粉末状触媒の積荷および荷降ろし方法
KR101563678B1 (ko) 2012-11-22 2015-10-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기가스 정화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JP2015196556A (ja) * 2014-03-31 2015-11-09 三井造船株式会社 コンテナターミナル及びコンテナターミナルの運用方法
KR20180081740A (ko) * 2015-11-11 2018-07-17 오카도 이노베이션 리미티드 로봇식 피킹 시스템 및 장치
KR20190017962A (ko) * 2016-06-13 2019-02-20 디시젼 사이언시스 인터내셔날 코퍼레이션 항구에서의 화물 컨테이너들의 효율적인 프로세싱 및 스캐닝을 위한 검사 스캐너들의 통합
KR20210006791A (ko) * 2019-07-09 2021-01-19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물김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0335A (ja) * 1993-04-09 1994-12-13 Eurecat Europ De Retraitement De Catalyseurs 粉末状触媒の積荷および荷降ろし方法
KR101563678B1 (ko) 2012-11-22 2015-10-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기가스 정화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JP2015196556A (ja) * 2014-03-31 2015-11-09 三井造船株式会社 コンテナターミナル及びコンテナターミナルの運用方法
KR20180081740A (ko) * 2015-11-11 2018-07-17 오카도 이노베이션 리미티드 로봇식 피킹 시스템 및 장치
KR20190017962A (ko) * 2016-06-13 2019-02-20 디시젼 사이언시스 인터내셔날 코퍼레이션 항구에서의 화물 컨테이너들의 효율적인 프로세싱 및 스캐닝을 위한 검사 스캐너들의 통합
KR20210006791A (ko) * 2019-07-09 2021-01-19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물김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2577B1 (ko) 2024-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46894B1 (en) Port storage and distribution system for international shipping containers
KR102435562B1 (ko) 로봇 컨테이너 핸들링 디바이스 및 방법
TWI601679B (zh) 用於將貨櫃倉庫的貨櫃入倉及出倉的方法及貨櫃-轉運設施
CN101130406B (zh) 一种采用气垫设备搬运钢板的方法和装置
KR101328193B1 (ko) 화물선에서의 화물 취급 장치
KR102652577B1 (ko) 선박에의 촉매 선적 시스템 및 방법
CN1156432A (zh) 货物转运的方法和设备
JP2002068481A (ja) コンテナの段積貯蔵装置
JPH08324709A (ja) 立体自動倉庫付輸送機器
RU209344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грузки штучных грузов в форме транспортных упаковок
US3297175A (en) Bulkhead structure
US20030095844A1 (en) Vehicle transportation module
CN112074475B (zh) 用于集装箱的收纳和转移装置
JP5589512B2 (ja) コンテナターミナル
SU1532441A1 (ru) Поддон
CN113895974B (zh) 一种循环式集装箱水平运输系统及方法
NL1027518C2 (nl) Container alsmede werkwijze voor het vervoer van goederen onder gebruikmaking van een dergelijke container.
US20160278516A1 (en) Product shipping system
KR200451984Y1 (ko) 다용도 팔레트
JPS584686A (ja) 多目的貨物船におけるコンテナ等積み付け方法
JP3227655B2 (ja) 長尺貨物の船積み方法及びコンテナ船
Teorey A ship off-loading problem
GB2342093A (en) Container loading/unloading system for a multi level depot
JP2022085294A (ja) 船舶燃料供給方法、燃料供給元船舶及び船舶燃料供給システム
KR20220124647A (ko) 컨테이너 수송선 및 컨테이너의 반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