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5651A - Automatic stone processing machi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tone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utomatic stone processing machi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tone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5651A
KR20220125651A KR1020210055477A KR20210055477A KR20220125651A KR 20220125651 A KR20220125651 A KR 20220125651A KR 1020210055477 A KR1020210055477 A KR 1020210055477A KR 20210055477 A KR20210055477 A KR 20210055477A KR 20220125651 A KR20220125651 A KR 20220125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ole cup
jangdol
hole
s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54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79142B1 (en
Inventor
이강암
Original Assignee
이강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암 filed Critical 이강암
Publication of KR20220125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56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9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91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0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 B28B3/08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with two or more rams per moul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6Quartz; San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 Manufacturing Of Tubular Articles Or Embedded Moulded Article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An automatic stone machin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stone using the same are disclosed. The automatic stone machine comprises: a hole cup part having at least one hole cup, a first plate arranged on the hole cup part; a second plat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late and arranged on the hole cup part; and a lifting and lowering control part controlling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plates. At least one hole-forming part is connect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plate, and at least one compaction part is connected to one surface of the second plate. The first plate is lowered by the lifting and lowering control part so that the hole-forming part is inserted into the hole cup of the hole cup part. In a state where the hole-forming part is inserted into the hole cup, a material forming stones fills the hole cup, and as the second plate is lifted and lowered by the lifting and lowering control part, the compaction part compacts the material filling the hole cup. As the second plate and the first plate are lifted by the lifting and lowering control part, a stone with a hole is manufactured.

Description

자동 장돌 머신 및 이를 이용한 장돌 제조 방법{AUTOMATIC STONE PROCESSING MACHI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TONE USING THE SAME}Automatic jangdol machi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jangdo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 장돌 머신 및 이를 이용하여 장돌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jangdol machin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jangdol using the same.

그물을 바다에 가라앉히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장돌은 수작업으로 제조되었다. 따라서, 장돌 제조 시간이 오래걸리고 대량으로 장동을 제조할 수 없었다. The long stone, which plays the role of sinking the net into the sea, was manufactured by hand. Therefore, it took a long time to manufacture Jangdol, and it was not possible to manufacture Jangdong in large quantities.

KRUS 10-2013-001670710-2013-0016707 AA

본 발명은 자동 장돌 머신 및 이를 이용한 장돌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jangdol machin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jangdol using the sam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장돌 머신은 적어도 하나의 홀컵을 가지는 홀컵부; 상기 홀컵부 위에 배열되는 제 1 플레이트;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이격되며, 상기 홀컵부 위에 배열되는 제 2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들의 승하강을 제어하는 승하강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플레이트 일면에 적어도 하나의 홀 형성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 2 플레이트 일면에 적어도 하나의 다짐부가 연결되며, 상기 승하강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 1 플레이트가 하강하여 상기 홀 형성부가 상기 홀컵부의 홀컵 내로 삽입되고, 상기 홀 형성부가 상기 홀컵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장돌을 형성하는 물질이 상기 홀컵에 채워지며, 상기 승하강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 2 플레이트가 승하강함에 따라 상기 다짐부가 상기 홀컵 내에 채워진 물질을 다지며, 상기 승하강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 2 플레이트 및 상기 제 1 플레이트가 상승함에 따라 홀이 형성된 장돌이 제조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utomatic jangdol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le cup unit having at least one hole cup; a first plate arranged on the hole cup part; a second plat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late and arranged on the hole cup part; and an elevating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elevating and lowering of the plates. Here, at least one hole forming part is connect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plate, at least one compactor is connected to one surface of the second plate, and the first plate is lowered by the elevating control unit so that the hole forming part is the hole cup It is inserted into the hole cup of the lower portion, and a material forming a long stone is filled in the hole cup while the hole form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hole cup, and as the second plate is raised and lowered by the elevating control unit, the compaction unit is in the hole cup. The filled material is compacted, and as the second plate and the first plate are raised by the elevating control unit, a jangdol having a hole is manufactur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돌 제조 방법은 장돌 받침부 위에 적어도 하나의 홀컵이 형성된 홀컵부를 배열하는 단계; 상기 홀컵 내로 봉 형상의 가이드 핀을 삽입시키는 단계; 상기 가이드 핀이 삽입된 상태로 장돌의 재질인 장돌 물질을 상기 홀컵 내에 채우는 단계; 다짐부를 반복적으로 승하강시켜 상기 홀컵 내의 장돌 물질을 다지는 단계; 및 상기 다짐부 및 상기 가이드 핀을 상승시켜 상기 홀컵으로부터 이탈시킴에 의해 홀이 형성된 장돌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Jangdol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rranging a hole cup portion at least one hole cup is formed on the Jangdol support portion; inserting a rod-shaped guide pin into the hole cup; filling the hole cup with a jangdol material, which is a jangdol material, in a state in which the guide pin is inserted; compacting the jangdol material in the hole cup by repeatedly raising and lowering the compactor; and manufacturing a long stone in which a hole is formed by lifting the compactor and the guide pin to separate them from the hole cup.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장돌 머신은 장돌을 자동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따라서 장돌 제조 시간이 감소하고 대량 생산이 가능할 수 있다. The automatic jangdol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anufacture jangdol automatically, thus reducing the jangdol manufacturing time and enabling mass production.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장돌 머신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은 장돌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짐부의 하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컵의 상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챔퍼를 도시한 도면이다.
1 to 5 are views showing an automatic jangdol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jangdol.
7 is a view illustrating a lower surface of a compa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n upper surface of a hole c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illustrating a side chamf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nsisting of” or “comprising”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various components or various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some of which components or some steps are It should be construed that it may not include, or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본 발명은 자동 장돌 머신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에 수작업으로 하던 장돌을 자동으로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돌은 그물을 바다에 가라앉게 만드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장돌의 홀에 그물을 묶은 후 바다에 던지면 그물은 바다에 가라앉을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jangdol machine, and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manufacture jangdol, which was previously done manually. Here, the jangdol may serve to make the net sink into the sea. For example, if a net is tied to the hall of the Jangdol and thrown into the sea, the net may sink into the sea.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장돌 머신을 도시한 도면들이고, 도 6은 장돌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짐부의 하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컵의 상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챔퍼를 도시한 도면이다. 1 to 5 are views showing an automatic jangdol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6 is a view showing the jangdol. 7 is a view showing a lower surface of the compa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showing an upper surface of a hole c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the side chamfer along.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자동 장돌 머신은 제 1 플레이트(100), 제 2 플레이트(102), 홀컵부(104), 상부 플레이트(106), 적어도 하나의 승하강 제어부(예를 들어, 에어 실린더 또는 모터, 108), 장돌 밑바닥 사이드 챔퍼 블록(116), 장돌 받침부(130) 및 하부 플레이트(118)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승하강 제어부(108)를 에어 실린더로 가정하겠다. 1, the automatic jangdol machine of this embodiment is a first plate 100, a second plate 102, a hole cup part 104, an upper plate 106, at least one elevating control unit (e.g., It may include an air cylinder or motor, 108 , a long stone bottom side chamfer block 116 , a long stone support part 130 and a lower plate 118 .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will be assumed that the elevating control unit 108 is an air cylinder.

장돌 받침부(130)는 완성된 장돌을 받치고 외부로 뺄 수 있는 부재로서, 하부 플레이트(118) 상에 놓이고 홀컵 지지부(104)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된 장돌이 장돌 받침부(130) 상에 놓이게 되고, 장돌 받침부(130)를 상기 자동 장돌 머신으로부터 배출시킴에 의해 장돌(400)이 외부로 반출될 수 있다. 물론, 외부로 배출된 장돌은 자연 건조됨에 따라 최종 완성될 수 있다. The long stone support part 130 is a member that supports the finished long stone and can be removed to the outside, and may be placed on the lower plate 118 and disposed under the hole cup support part 104 . For example, the long stone manufactured as shown in FIG. 5 is placed on the Jangdol support part 130, and the Jangdol 400 is carried out by discharging the Jangdol support part 130 from the automatic Jangdol machine. can Of course, the jangdol discharged to the outside can be finally completed as it is naturally dried.

하부 플레이트(118)는 장돌 받침부(13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장돌 받침부(130)보다 큰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하부 플레이트(118)는 부식 방지를 위하여 서스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하부 플레이트(118)는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The lower plate 118 serves to support the Jangdol support part 130 and may have a larger size than the Jangdol support part 130 . The lower plate 118 may be made of a sus material to prevent corrosion. Of course, the lower plate 118 may be made of metal.

홀컵부(104)는 장돌(400)을 생성하기 위한 그릇 역할을 수행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컵부(104)의 상면에 장돌(400)을 만들기 위한 홀컵들(12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홀컵(120) 내부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으로 장돌(400)을 형성하기 위한 시멘트와 물이 공급될 수 있고, 홀컵(120)은 장돌(400)의 높이에 상응하는 높이로 돌출될 수 있다. The hole cup part 104 serves as a bowl for creating the long stone 400, and as shown in FIG. 1, the hole cups 120 for making the long stone 400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le cup part 104. can Here, an empty space is formed inside the hole cup 120 , and cement and water for forming the long stone 400 may be supplied to the space, and the hole cup 120 is raised to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long stone 400 . can protrud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홀컵들(120)이 사각형 형상으로 배열될 수도 있고, 전면에 일렬로 배열될 수도 있다. 다만, 홀컵들(120)의 배열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특별한 배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As shown in FIG. 1 , the four hole cups 120 may be arranged in a rectangular shape or may be arranged in a line on the front side. However, the arrangement of the hole cups 120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is not limited to a special arrangemen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원형 형상의 장돌(4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 테두리가 테이퍼질 수 있다. 이러한 테이퍼진 형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컵(120)의 상면 내측면(800)이 테이퍼져 형성될 수 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짐부(114)의 하면 내측면(700)도 테이퍼져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면 내측면(800) 및 하면 내측면(700)은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ircular shaped jangdol 400 may have a tapered upper edge as shown in FIG. 6 . In order to implement such a tapered shape, as shown in FIG. 8 , the inner surface 800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ole cup 120 may be tapered, and as shown in FIG. 7 , inside the lower surface of the compactor 114 The side surface 700 may also be tapered. In this case, the upper inner surface 800 and the lower inner surface 700 may be formed symmetrically.

제 1 플레이트(100)는 상부 플레이트(106)와 제 2 플레이트(102) 사이에 배열되며, 적어도 하나의 홀 형성부(가이드 핀, 112)가 결합될 수 있으며, 서스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봉 모양의 홀 형성부(112)가 제 1 플레이트(100)의 하면 상에 연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 1 플레이트(100)가 하강하면 홀 형성부(112)가 홀컵(120)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홀 형성부(112)가 홀컵(120)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시멘트가 부어지면 제조된 장돌에 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장돌(400)이 완성된 후, 제 1 플레이트(100)가 상승하며, 그 결과 홀 형성부(112)가 상승되어 홀컵(120)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The first plate 100 is arranged between the upper plate 106 and the second plate 102, and at least one hole forming part (guide pin, 112) may be coupled thereto, and may be made of a suspension or metal. For example, the rod-shaped hole forming part 112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100 . As a result, when the first plate 100 descends, the hole forming part 112 may be inserted into the hole cup 120 . Accordingly, when cement is poured while the hole forming part 112 is inserted into the hole cup 120 , a hole may be formed in the manufactured long stone. On the other hand, after the long stone 400 is completed, the first plate 100 rises, and as a result, the hole forming part 112 is raised to be separated from the hole cup 120 .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홀 형성부(112)는 제 2 플레이트(102) 및 다짐부(114)를 관통하여 홀컵(120)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 2 플레이트(102)가 고정된 상태에서, 홀 형성부(112)가 승하강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hole forming part 112 may pass through the second plate 102 and the compaction part 114 and may be arranged in the direction of the hole cup 120 . As a result,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plate 102 is fixed, the hole forming part 112 may be raised and lowered.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플레이트(106)에는 복수의 실린더들(108)이 형성되고, 실린더들(108) 중 제 1 실린더가 제 1 플레이트(100)를 승하강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실린더의 하면과 제 1 플레이트(100) 사이에 제 1 연결부가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상부 플레이트(106)를 승하강시킬 수 있는 한 다른 제어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 plurality of cylinders 108 are formed on the upper plate 106 , and a first cylinder among the cylinders 108 may raise and lower the first plate 100 . To this end, a first connection portion may be coupl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cylinder and the first plate 100 . Of course, other control methods may be used as long as the upper plate 106 can be raised and lowered.

제 2 플레이트(102)는 제 1 플레이트(100) 하부에 위치하며, 실린더(108)에 의해 승하강할 수 있고, 서스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 1 플레이트(100)와 제 2 플레이트(102)를 승하강시키는 실린더들(108)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실린더와 제 2 플레이트(102)가 제 2 연결부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실린더의 제어에 따라 제 2 플레이트(102)가 승하강할 수 있다. The second plate 102 is located below the first plate 100 , and can be raised and lowered by the cylinder 108 , and may be made of a suspension or metal. Here, the cylinders 108 for elevating the first plate 100 and the second plate 102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the second cylinder and the second plate 102 may be connected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plate 102 may be raised and lowere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second cylinder.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플레이트(106)의 하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다짐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다짐부(114)의 수는 홀컵(120)의 수와 동일할 수 있으며, 다짐부(114)는 홀컵(120)에 채워진 시멘트를 다지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다짐부(114)의 하면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혀있을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at least one compaction part 114 may be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106 . Here, the number of compactors 114 may be the same as the number of hole cups 120 , and the compactors 114 may serve to compact the cement filled in the hole cups 120 . To this end, the lower surface of the compactor 114 may be blocked as shown in FIG. 7 .

즉, 실린더(108)의 제어에 의해 제 2 플레이트(102)가 반복적으로 승하강함에 따라 다짐부(114)가 홀컵(120) 내의 시멘트를 다지며, 시멘트가 다져진 후 제 2 플레이트(102)가 상승함에 따라 다짐부(114)가 홀컵(120)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That is, as the second plate 102 is repeatedly raised and lowered under the control of the cylinder 108, the compactor 114 compacts the cement in the hole cup 120, and after the cement is compacted, the second plate 102 rises. Accordingly, the compactor 114 may be separated from the hole cup 120 .

상부 플레이트(106)는 실린더들(108)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플레이트(100)와 제 2 플레이트(102)를 각기 승하강시킬 수 있는 실린더들(108)이 형성될 수 있고, 서스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upper plate 106 is used to support the cylinders 108, and as shown in FIG. 1, the cylinders 108 that can elevate the first plate 100 and the second plate 102, respectively. can be formed, and can be made of sus or metal.

한편, 상부 플레이트(106)의 상면 상에 실린더들(108)의 동작을 제어하는 에어 솔레노이드 밸브(132)가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Meanwhile, an air solenoid valve 132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ylinders 108 may be additional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6 .

장돌 밑바닥 사이드 챔퍼 블록(116)은 홀컵부(104)의 측면에 배열되며 일부분이 홀컵부(104)와 장돌 받침부(130) 사이로 삽입될 수 있고, 장돌(400)의 밑바닥 측면이 테이퍼지도록 형성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홀컵부(104)는 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사면 측면에 장돌 밑바닥 사이드 챔퍼 블록(116)이 각기 배열될 수 있다. The long stone bottom side chamfer block 116 is arranged on the side of the hole cup part 104 and a part can be inserted between the hole cup part 104 and the long stone support part 130, and the bottom side of the long stone 400 is tapered. can do it For example, the hole cup part 104 has a rectangular shape, and the long stone bottom side chamfer blocks 116 may be arranged on the sides of the slopes, respectively.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돌 밑바닥 사이드 챔퍼 블록(116)은 복수의 사이드 챔퍼 실린더들 및 사이드 챔퍼들(810a 및 810b)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홀컵(120)의 밑단의 둘레를 따라서 원형 형상의 2개의 사이드 챔퍼들(810a 및 810b)이 배열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long stone bottom side chamfer block 116 may include a plurality of side chamfer cylinders and side chamfers 810a and 810b. For example, as shown in FIG. 9 , two side chamfers 810a and 810b having a circular shape may be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ottom end of one hole cup 120 .

여기서, 사이드 챔퍼들(810a 및 810b)은 상호 분리된 부재이며, 서로 다른 사이드 챔퍼 실린더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장돌을 형성시킬 동안에는 사이드 챔퍼들(810a 및 810b)이 서로 밀착되는 반면에, 장돌 형성이 완료된 후에는 사이드 챔퍼들(810a 및 810b)은 상호 이격될 수 있다. Here, the side chamfers 810a and 810b are members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may be controlled by different side chamfer cylinders. While the side chamfers 810a and 810b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while the long stone is formed, the side chamfers 810a and 810b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fter the long stone formation is complet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이드 챔퍼들(810a 및 810b)은 테이퍼지며, 그 결과 장돌(400)의 밑면 사이드가 테이퍼져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ide chamfers 810a and 810b are tapered, and as a result, the bottom side of the long stone 400 may be tapered.

정리하면, 본 실시예의 자동 장돌 머신은 홀컵(120)에 채워진 시멘트를 자동으로 다지고 시멘트에 자동으로 홀을 형성할 수 있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다지는 과정과 홀을 형성하는 과정은 실린더들(108)을 이용하여 플레이트들(100 및 102)을 승하강시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In summary, the automatic jangdol machine of this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a structure capable of automatically compacting the cement filled in the hole cup 120 and automatically forming a hole in the cement. The compaction process and the hole forming process may be performed by elevating the plates 100 and 102 using the cylinders 108 .

이하, 상기 장돌을 제조하는 과정을 살펴보겠다. Hereinafter, a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jangdol will be described.

우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돌 받침부(130)가 하부 플레이트(118) 상에 놓이고, 홀컵부(104)가 장돌 받침부(130) 상에 배열될 수 있다. 이 때, 제 1 플레이트(100) 및 제 2 플레이트(102)는 상승되어 있고, 장돌 밑바닥 사이드 챔퍼 블록(116)이 전진되어 있으며, 즉 사이드 챔퍼 실린더들의 제어에 따라 사이드 챔퍼들(810a 및 810b)이 서로 밀착될 수 있다. First, as shown in FIG. 1 , the Jangdol support part 130 may be placed on the lower plate 118 , and the hole cup part 104 may be arranged on the Jangdol support part 130 . At this time, the first plate 100 and the second plate 102 are raised, and the long stone bottom side chamfer block 116 is advanced, that is, the side chamfers 810a and 810b under the control of the side chamfer cylinders. These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이어서, 실린더(108)에 의해 제 1 플레이트(100)가 하강하여 제 1 플레이트(100) 하면에 연결된 홀 형성부(112)가 홀컵부(104)의 홀컵(120) 밑까지 하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홀 형성부(112)가 장돌 받침부(130)의 상면에 접촉할 수 있다. 이 때, 제 2 플레이트(102)는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Subsequently, the first plate 100 is lowered by the cylinder 108 so that the hole forming part 112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100 can descend to the bottom of the hole cup 120 of the hole cup part 104, For example, the hole forming part 112 may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long stone support part 130 . At this time, the second plate 102 is maintained in a raised state.

계속하여, 홀컵(120)에 시멘트와 물이 적정 비율로 하여 채워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컵(120)에 눈금이 그려져 있을 수 있고, 원하는 눈금까지 시멘트와 물이 채워질 수 있다. Subsequently, the hole cup 120 may be filled with cement and water in an appropriate ratio.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8 and 9 , a scale may be drawn on the hole cup 120 , and cement and water may be filled up to a desired scale.

이어서, 실린더(108)에 의해 제 2 플레이트(102)가 기설정된 횟수만큼 승하강을 반복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 2 플레이트(102) 하면에 연결된 다짐부(114)가 홀컵(120) 내의 시멘트를 다질 수 있다. 이 때, 홀 형성부(112)는 홀컵(120) 내에 그대로 유지되어 있다. Then, the second plate 102 by the cylinder 108 may repeat the elevating and lowering for a preset number of times. As a result, the compactor 114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102 may compact the cement in the hole cup 120 . At this time, the hole forming part 112 is maintained in the hole cup 120 as it is.

계속하여, 장돌 밑바닥 사이드 챔퍼 블록(116)을 후진시켜서 빼며, 즉 사이드 챔퍼 실린더들의 제어에 따라 사이드 챔퍼들(810a 및 810b)이 상호 이격될 수 있다. Subsequently, the long stone bottom side chamfer block 116 is moved backward and removed, that is, the side chamfers 810a and 810b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side chamfer cylinders.

이어서, 제 2 플레이트(102)가 상승하여 다짐부(114)가 홀컵(120)으로부터 멀어진다. Then, the second plate 102 rises so that the compactor 114 moves away from the hole cup 120 .

계속하여,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플레이트(100)가 상승하며, 그 결과 홀 형성부(112)가 홀컵(120)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홀컵(120) 내의 시멘트 구조물에 홀이 형성되며, 즉 장돌(400)이 완성될 수 있다. 완성된 장돌(400)은 장돌 받침부(130) 상에 놓이게 된다. Subsequently, as shown in FIGS. 4 and 5 , the first plate 100 rises, and as a result, the hole forming part 112 may be separated from the hole cup 120 . As a result, a hole is formed in the cement structure in the hole cup 120 , that is, the long stone 400 can be completed. The completed Jangdol 400 is placed on the Jangdol support part 130 .

이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컵부(104)와 장돌 밑바닥 사이드 챔퍼 블록(116)이 상승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장돌 받침부(130)를 외부로 뺄 수 있는 공간이 만들어진다. Subsequently, as shown in FIG. 4 , the hole cup part 104 and the long stone bottom side chamfer block 116 may rise. As a result, a space in which the long stone support part 130 can be removed to the outside is created.

계속하여, 장돌 받침부(130)를 빼서 장돌(400)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Subsequently, the long stone supporting part 130 is removed to discharge the long stone 400 to the outside.

게속하여, 장돌(400)이 놓이지 않은 장돌 받침부(130)가 하부 플레이트(118) 상에 다시 놓인다.Subsequently, the long stone support part 130 on which the long stone 400 is not placed is placed again on the lower plate 118 .

이어서, 실린더(108)에 의해 홀컵부(104)가 하강하여 장돌 받침부(130) 위에 배열될 수 있다. Subsequently, the hole cup portion 104 may be lowered by the cylinder 108 to be arranged on the long stone support portion 130 .

계속하여, 장돌 밑바닥 사이드 챔퍼 블록(116)을 전진시킬 수 있다. Subsequently, the long stone bottom side chamfer block 116 may be advanced.

이러한 과정들을 반복시킴에 의해 장돌들(400)이 자동으로 제조될 수 있다. By repeating these processes, the long stones 400 may be automatically manufactured.

한편, 위에서는 시멘트로 언급하였지만 장돌(400)의 재질인한 시멘트로 한정되지 않는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mentioned as cement above, it is not limited to cement as long as it is a material of the long stone 400 .

한편, 전술된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프로세스적인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즉, 각각의 구성 요소는 각각의 프로세스로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실시예의 프로세스는 장치의 구성 요소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mponent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can be easily grasped from a process point of view. That is, each component may be identified as a respective process. In addition, the proces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can be easily understood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components of the apparatus.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will be possible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having ordinary knowledg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should be regarded as belonging to the following claims.

100 : 제 1 플레이트 102 : 제 2 플레이트
104 : 홀컵부 106 : 상부 플레이트
108 : 승하강 제어부(에어 실린더) 112 : 홀 형성부
114 : 다짐부 116 : 장돌 밑바닥 사이드 챔퍼 블록
118 : 하부 플레이트 120 : 홀컵
130 : 장돌 받침부 810a, 810b : 사이드 챔퍼
100: first plate 102: second plate
104: hole cup portion 106: upper plate
108: elevating control unit (air cylinder) 112: hole forming unit
114: compaction unit 116: long stone bottom side chamfer block
118: lower plate 120: hole cup
130: long stone support part 810a, 810b: side chamfer

Claims (10)

적어도 하나의 홀컵을 가지는 홀컵부;
상기 홀컵부 위에 배열되는 제 1 플레이트;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이격되며, 상기 홀컵부 위에 배열되는 제 2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들의 승하강을 제어하는 승하강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플레이트 일면에 적어도 하나의 홀 형성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 2 플레이트 일면에 적어도 하나의 다짐부가 연결되며,
상기 승하강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 1 플레이트가 하강하여 상기 홀 형성부가 상기 홀컵부의 홀컵 내로 삽입되고, 상기 홀 형성부가 상기 홀컵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장돌을 형성하는 물질이 상기 홀컵에 채워지며,
상기 승하강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 2 플레이트가 승하강함에 따라 상기 다짐부가 상기 홀컵 내에 채워진 물질을 다지며,
상기 승하강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 2 플레이트 및 상기 제 1 플레이트가 상승함에 따라 홀이 형성된 장돌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장돌 머신.
a hole cup portion having at least one hole cup;
a first plate arranged on the hole cup part;
a second plat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late and arranged on the hole cup part; and
Including an elevat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levation of the plates,
At least one hole forming part is connect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plate, and at least one compactor is connected to one surface of the second plate,
The first plate is lowered by the elevating control unit so that the hole forming part is inserted into the hole cup of the hole cup part, and a material forming a long stone is filled in the hole cup while the hole forming part is inserted into the hole cup,
As the second plate ascends and descends by the elevating control unit, the compactor compacts the material filled in the hole cup,
Automatic jangdol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as the second plate and the first plate are raised by the elevating control unit, a jangdol having a hole formed therein is manufactur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제어부는 에어 실린더이고, 상기 제 2 플레이트는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홀컵부 사이에 배열되며, 상기 홀 형성부는 가이드 핀이되,
상기 홀 형성부는 상기 제 2 플레이트 및 상기 다짐부를 관통하여 상기 홀컵부 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장돌 머신.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evating control unit is an air cylinder, the second plate is arranged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hole cup portion, the hole forming portion is a guide pin,
The hole forming part penetrates the second plate and the compaction part and is arranged in the direction of the hole cup par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컵의 상단은 테이퍼져 형성되고 상기 다짐부의 하단이 테이퍼져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조된 장돌의 상면은 테이퍼져 형성되되,
상기 홀컵의 상단과 상기 다짐부의 하단은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장돌 머신.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upper end of the hole cup is tapered, and as the lower end of the compactor is tapered, the upper surface of the manufactured jangdol is tapered.
Automatic jangdol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end of the hole cup and the lower end of the compactor are formed symmetrical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제어부가 배열되는 상부 플레이트;
상기 홀컵부 밑에 배열된 장돌 받침부; 및
상기 장돌 받침부를 지지하는 하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홀 형성부 및 상기 다짐부에 의해 형성된 장돌은 상기 장돌 받침부 위에 놓인 상태로 외부로 반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장돌 머신.
According to claim 1,
an upper plate on which the elevating control unit is arranged;
Jangdol support part arranged under the hole cup part; and
Further comprising a lower plate for supporting the long stone support,
The long stone formed by the hole forming part and the compacting part is automatically carried out in a state of being placed on the long stone supporting part.
제1항에 있어서,
사이드 챔퍼 실린더들 및 사이드 챔퍼들을 가지는 장돌 밑바닥 사이드 챔퍼 블록를 더 포함하되,
상기 사이드 챔퍼들은 상호 분리된 소자로서 상기 홀컵 하단에 원형 형상을 가지고 배열되고, 상기 장돌을 형성할 때는 상기 사이드 챔퍼 실린더들의 제어에 따라 상기 사이드 챔퍼들이 밀착되며, 상기 장돌이 완성된 후에는 상기 사이드 챔퍼 실린더들의 제어에 따라 상기 사이드 챔퍼들이 상호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장돌 머신.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long stone bottom side chamfer block having side chamfer cylinders and side chamfers,
The side chamfer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re arranged in a circular shape at the bottom of the hole cup. When the long stone is formed, the side chamfers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under the control of the side chamfer cylinders, and after the long stone is completed, the side chamfers are arranged. Automatic jangdol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chamfer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ylinders.
장돌 받침부 위에 적어도 하나의 홀컵이 형성된 홀컵부를 배열하는 단계;
상기 홀컵 내로 봉 형상의 가이드 핀을 삽입시키는 단계;
상기 가이드 핀이 삽입된 상태로 장돌의 재질인 장돌 물질을 상기 홀컵 내에 채우는 단계;
다짐부를 반복적으로 승하강시켜 상기 홀컵 내의 장돌 물질을 다지는 단계; 및
상기 다짐부 및 상기 가이드 핀을 상승시켜 상기 홀컵으로부터 이탈시킴에 의해 홀이 형성된 장돌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돌 제조 방법.
arranging a hole cup portion in which at least one hole cup is formed on the long stone support portion;
inserting a rod-shaped guide pin into the hole cup;
filling the hole cup with a jangdol material, which is a jangdol material, in a state in which the guide pin is inserted;
compacting the jangdol material in the hole cup by repeatedly raising and lowering the compactor; and
and manufacturing a long stone having a hole formed by lifting the compactor and the guide pin to separate them from the hole cup.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돌 물질이 다져진 후 상기 가이드 핀, 상기 다짐부 및 상기 장돌 받침부를 순차적으로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돌 제조 방법. [Claim 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guide pin, the compaction part, and the Jangdol support part are sequentially raised after the Jangdol material is compact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핀은 제 1 플레이트 하면에 연결되고, 상기 다짐부는 제 2 플레이트 하면에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 핀은 상기 제 2 플레이트 및 상기 다짐부를 관통하여 상기 홀컵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플레이트들은 에어 실린더에 의해 승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돌 제조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guide pin is connected to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the compactor is connected to a low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and the guide pin passes through the second plate and the compactor and is arranged in the hole cup direction, The plates are jangdol manufactu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elevating by the air cylind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돌 받침부 위에 놓은 장돌을 외부로 반출하는 단계; 및
상기 장돌이 반출된 후 상기 장돌 받침부를 상기 홀컵부 하부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돌 제조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discharging the jangdol placed on the jangdol support part to the outside; and
Jangdol manufactu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locating the Jangdol support part under the hole cup part after the Jangdol is taken out.
제6항에 있어서, 사이드 챔퍼들이 상기 홀컵 하단에 원형 형상을 가지고 배열되고, 상기 장돌을 형성할 때는 상기 사이드 챔퍼들이 밀착되며, 상기 장돌이 완성된 후에는 상기 사이드 챔퍼들이 상호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돌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side chamfers are arranged in a circular shape at the bottom of the hole cup, the side chamfers are in close contact when the long stone is formed, and the side chamfer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fter the long stone is completed How to make a stone quarry.


KR1020210055477A 2021-03-05 2021-04-29 Automatic stone processing machi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tone using the same KR10247914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29513 2021-03-05
KR1020210029513 2021-03-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5651A true KR20220125651A (en) 2022-09-14
KR102479142B1 KR102479142B1 (en) 2022-12-20

Family

ID=83279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5477A KR102479142B1 (en) 2021-03-05 2021-04-29 Automatic stone processing machi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tone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9142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2033A (en) * 1994-09-06 1996-04-20 Semiconductor memory
KR100784468B1 (en) * 2007-08-01 2007-12-13 주식회사 대한콘설탄트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lope block and slope block
KR20120067908A (en) * 2010-12-16 2012-06-26 권화숙 Precast block for draining water,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therof
KR20130016707A (en) 2011-08-08 2013-02-18 이상근 A loess brick
KR20190030356A (en) * 2017-09-14 2019-03-22 강선길 Gyratory Compactor
KR102033713B1 (en) * 2018-09-19 2019-10-17 최미현 Automatic forming machine for branch pipe of extinguishing fir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2033A (en) * 1994-09-06 1996-04-20 Semiconductor memory
KR100784468B1 (en) * 2007-08-01 2007-12-13 주식회사 대한콘설탄트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lope block and slope block
KR20120067908A (en) * 2010-12-16 2012-06-26 권화숙 Precast block for draining water,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therof
KR20130016707A (en) 2011-08-08 2013-02-18 이상근 A loess brick
KR20190030356A (en) * 2017-09-14 2019-03-22 강선길 Gyratory Compactor
KR102033713B1 (en) * 2018-09-19 2019-10-17 최미현 Automatic forming machine for branch pipe of extinguishing fi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9142B1 (en) 202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5583B1 (en) Automatic retaining wall block manufacturing device with improved productivity
CN205600922U (en) Soil cement test block making devices
CN110567777A (en) hollow cylinder remolded soil sample bidirectional sample pressing device and method
US615502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ing material
KR20220125651A (en) Automatic stone processing machi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tone using the same
CN201922496U (en) Concrete inspection well forming machine with vibrating core mold
CN104404958A (en) Construction method for precast hollow pedestal piles
US3932100A (en) Vibratory device
CN210923214U (en) Hollow cylinder remolded soil sample bidirectional sample pressing device
CN105133568A (en) Improved dynamic compaction hammer
CN206926295U (en) A kind of automatic fertilizer charge bar forming machine
US1416691A (en) Manufacture of hollow cementitious products
JP2009255112A (en) Powder press
CN103123306B (en) Device for preparing triaxial test sample capable of accelerating suction force balance
KR100632156B1 (en) Ecological block and the manufacture method
JP2005007439A (en) Method for molding mold
RU179830U1 (en) Tamped foundation with central packed pile with increased load bearing capacity
KR20210015359A (en) A Method of manufacture of hwangto brick for use in the field
CN114541358B (en) Foundation treatment method based on vibroflotation compaction method
FI63687B (en) PROCEDURE FOR THE FRAMEWORK OF FRAMEWORK
KR2006011805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of shore protection block with planting hole and solidarity hole
US6758665B2 (en) Concrete block vibrator
JPH07104336B2 (en) Ground model loading test device
CN215038665U (en) Automatic batch distribution forming device for concrete prefabricated parts
CN218905813U (en) High-frequency vibration forming device for reinforced concrete pi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