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4758A - 대여 물품을 위한 보증금 잠금 시스템 및 보증금 잠금 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대여 물품을 위한 보증금 잠금 시스템 및 보증금 잠금 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4758A
KR20220124758A KR1020227027040A KR20227027040A KR20220124758A KR 20220124758 A KR20220124758 A KR 20220124758A KR 1020227027040 A KR1020227027040 A KR 1020227027040A KR 20227027040 A KR20227027040 A KR 20227027040A KR 20220124758 A KR20220124758 A KR 20220124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posit
deposit lock
locking element
carriage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7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란츠 비이트
안드레아스 필로시
Original Assignee
프란츠 비이트
안드레아스 필로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란츠 비이트, 안드레아스 필로시 filed Critical 프란츠 비이트
Publication of KR20220124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4758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1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means for safe-keeping of property, left temporarily, e.g. by fastening the propert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3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with key ejection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3/00Devices for locking portable objects against unauthorised removal; Miscellaneous locking de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6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returnable containers, i.e. reverse vending systems in which a user is rewarded for returning a container that serves as a token of value, e.g. bottles
    • G07F7/0618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returnable containers, i.e. reverse vending systems in which a user is rewarded for returning a container that serves as a token of value, e.g. bottles by carts
    • G07F7/0663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ousing of the coin or token activated lock, or of mounting of the coin-lock on the trolley or car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6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returnable containers, i.e. reverse vending systems in which a user is rewarded for returning a container that serves as a token of value, e.g. bottles
    • G07F7/0618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returnable containers, i.e. reverse vending systems in which a user is rewarded for returning a container that serves as a token of value, e.g. bottles by carts
    • G07F7/0672Special lock-activating tokens, serving as replacement of a payment or of a coin
    • G07F7/0681Special lock-activating tokens, serving as replacement of a payment or of a coin in which a card, pay-card or card-like object is used as the special token required to get permission or activate the lock to use the trolley or car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5Output elements of actuators
    • E05B2047/0016Output elements of actuators with linearly reciprocating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5Output elements of actuators
    • E05B2047/0017Output elements of actuators with rotary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 E05B2047/0069Monitoring bolt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 E05B2047/0095Mechanical aspects of locks controlled by telephone signals, e.g. by mobile phon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18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Preliminary Treatment Of Fiber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여 물품, 특히, 손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운반 트롤리를 위한 보증금-작동형 잠금 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및 상기 유형의 보증금-작동형 잠금 시스템과 관련된다.

Description

대여 물품을 위한 보증금 잠금 시스템 및 보증금 잠금 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본 발명은, 대여 물품, 특히 수동으로 이동가능한 운반 트롤리를 위한 보증금 잠금 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과 관련된다. 여기서 보증금 잠금장치의 차단 요소는, 홀딩 위치에서 보증금 잠금장치 내의 키의 제거를 방지하고 그리고 해제 위치에서 상기 키를 해제한다. 여기서 잠금 요소는, 잠금 위치에서 상기 차단 요소가 그의 홀딩 위치로부터 그의 해제 위치로 변위하는 것을 차단하고 그리고 잠금해제 위치에서 상기 차단 요소가 그의 해제 위치로 변위하는 것을 허용한다. 여기서 액추에이터는, 보증금 토큰이 상기 보증금 잠금장치 내에 삽입됨에 의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잠금 요소를 그의 잠금 위치로부터 그의 잠금해제 위치로 변위시킨다. 여기서 상기 잠금 요소가 그의 잠금 위치로 복귀하는 것 및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제1 위치로 복귀하는 것은, 상기 차단 요소가 상기 해제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차단 요소에 의해 차단된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대여 물품을 위한 보증금 잠금 시스템과 관련된다. 상기 시스템은, 보증금 토큰, 보증금 잠금장치 및 키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보증금 잠금장치에 유지된 상기 키는, 상기 보증금 잠금장치 내로 상기 보증금 토큰을 삽입함에 대응하여 해제된다. 여기서 차단 요소는, 상기 보증금 잠금장치가 상기 키의 제거를 방지하는 홀딩 위치와 상기 보증금 잠금장치가 상기 키를 해제하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상기 보증금 잠금장치가 조정가능하도록, 상기 보증금 잠금장치 내에 조정가능하게 장착된다. 여기서 잠금 요소는, 상기 차단 요소를 그의 홀딩 위치로 유지하는 잠금 위치와 상기 차단 요소를 해제하는 잠금해제 위치 사이에서 조정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보증금 잠금장치는, 상기 보증금 토큰이 상기 보증금 잠금장치 내에 삽입됨에 의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잠금 요소를 위한 접촉표면을 구비하고, 이로써, 상기 액추에이터의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의 이동은 상기 잠금 요소를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해제 위치로 변위시킨다. 여기서 상기 해제 위치에 위치한 상기 차단 요소는, 상기 잠금 요소의 그의 잠금 위치로의 경로 및 상기 액추에이터의 초기 위치로의 경로를 차단한다.
예를 들어 도매 및 소매 거래에서, 보증금 잠금 시스템들이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다. 그것들은, 쇼핑 카트 보관소에 쇼핑 카트들을 수집하고 보증금 잠금 시스템을 이용하여 그것들을 함께 잠그는 데에 사용된다. 공지된 보증금 잠금장치들은 수동으로 작동되며 또한 순전히 기계적으로 작동한다. 보증금 잠금장치에 유지된 키는 보증금 잠금장치 내에 보증금 동전 또는 보증금 토큰을 삽입함에 의해 해제된다. 이것은 보증금 잠금장치에 있는 동전을 제거하는 것을 방지한다. 보증금 잠금장치에 적당한 키를 삽입하는 것은 보증금 동전을 다시 해제하고, 이로써, 키는 보증금 잠금장치에서 다시 잠겨진다. 이러한 보증금 잠금장치가 EP 1 035 523 A2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증금 잠금장치가 손으로 조작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적으로도 또는 전자적으로도 트리거될 수 있는, 방법 및 보증금 잠금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제1항에 따른 방법 및 청구항 제7항에 따른 보증금 잠금 시스템에 의해 해결된다. 상기 방법 또는 상기 시스템의 몇몇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종속항들에 의해 다루어진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아이디어는, 초기 위치에서 변위가능하게 잠금 요소 상에 장착되는 캐리지를 전기 드라이브가 이동시킬 때에도, 보증금 잠금장치에 유지된 키의 해제가 발생하며, 여기서 캐리지의 제1 이동 단계에서, 캐리지는 잠금 요소를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해제 위치로 변위시키고, 그리고 캐리지의 제2 이동 단계에서, 캐리지는 초기 위치로 다시 이동되며, 여기서 제1 및/또는 제2 이동 단계 동안에, 캐리지와 잠금 요소 사이에 배열된 스프링 요소가 장력(tension) 하에 놓이게 된다는 것이고, 그리고 차단 요소가 잠금 요소의 잠금 위치로의 복귀를 허용(release)하자마자 스프링 요소의 이완(relaxing)에 의해서 잠금 요소가 잠금 위치로 이동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증금 잠금 시스템은, 전기 드라이브가 잠금 요소 상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캐리지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여기서 차단 요소가 잠금 요소의 잠금 위치로의 복귀 경로를 차단할 때에 장력하에 있는 스프링 요소가 잠금 요소에 배치된다.
잠금 요소에 변위가능하게 장착된 슬라이드는, 보증금 토큰을 삽입함에 의해 순전히 기계적으로 유도된 이동과는 관계없이, 전기 드라이브에 의해서 잠금 요소가 이동될 수 있게 한다. 제1 이동 단계에서, 잠금 요소에 변위가능하게 유지된 캐리지가 잠금 요소를 구동하고, 이로써, 잠금 요소를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해제 위치로 이동시킨다. 제1 이동 단계 동안에, 잠금 요소와 전기 드라이브에 고정적으로 배치된 스톱 사이에 있는 스프링 요소가 장력을 받는다. 제2 이동 단계에서, 캐리지는, 대안적인 또는 보충적인 제2 실시예에서, 스프링 요소를 통해서 잠금 요소에 작용한다. 차단 요소가 해제 위치에 있어서 잠금 요소의 잠금 위치로의 복귀 경로를 차단할 때, 캐리지는, 초기 위치로 복귀하는 경로 도중에, 잠겨져 있는 잠금 요소에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제2 실시예에서, 이것은 캐리지와 잠금 요소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 요소가 장력하에 놓이도록 한다. 차단 요소가 잠금 요소의 경로를 해제하면, 잠금 요소는, 제1 실시예에서는 잠금 요소와 스톱 사이에 작용하는 스프링 힘에 의해 그리고 제2 실시에에서는 잠금 요소와 캐리지 사이에 작용하는 스프링 힘에 의해, 그것의 잠금 위치로 다시 이동되고, 이에 의해, 스프링 요소는 이완된다. 잠금 요소가 잠금해제 위치로 이동할 때에 잠금 요소의 잠금 위치로 스프링으로 유발된 복귀를 하기에 충분한 스프링 힘이 확충될 수 있도록, 스프링 요소가 잠금 요소의 잠금 위치에서 미리 장력을 받는다면, 특별히 유리하다.
보증금 잠금장치에 보증금 토큰을 삽입함에 의해 키가 해제되면, 액추에이터의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의 이동은 잠금 요소의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해제 위치로의 변위를 또한 일으킨다. 잠금 요소에 변위가능하게 유지된 캐리지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초기 위치에 잔류한다. 이는, 제1 실시예에서 잠금 요소와 스톱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 요소를 장력하에 놓이게 하고, 그리고 제2 실시예에서 잠금 요소와 캐리지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 요소를 장력하에 놓이게 한다. 상기한 바에 따라서, 스프링 힘은, 차단 요소가 경로를 다시 해제(clear)하자마자, 잠금 요소가 잠금 위치로 복귀하게 한다.
따라서, 잠금 요소에 변위가능하게 유지된 캐리지는 잠금 요소의 위치와는 관계없이 이동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잠금 요소는 캐리지의 위치와는 관계없이 이동할 수 있다. 이로써, 보증금 토큰의 삽입 및 전기 드라이브의 활성화의 둘 다에 의해서 키를 보증금 잠금장치로부터 해제시킬 수 있는, 보증금 잠금 시스템이 가능하게 된다.
보증금 토큰에 의해 작동되는 보증금 잠금 시스템의 작동 모드와 특징들에 대해서는, EP 1 035 523 B1(이하, EP 1이라 함)을 참조하며, 상기 문헌의 특징들 및 방법 단계들은 한 가지를 제외하고 본 출원에 의해 채택되며, 상기 특징들 및 방법 단계들은 본 출원의 일부를 구성한다. 상기 예외는, EP 1에서 액추에이터라고 불리는 본 발명에 따른 액추에이터와 EP 1에서 중간 요소 특히 회전부라고 불리는 본 발명에 따른 차단 요소 사이에서의 상호작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단 요소는 직접적으로가 아니라 액추에이터에 의해 간접적으로만 작동되거나 해제된다. 액추에이터는 잠금 요소에 작용하고 그것을 조정한다.
유리하게는, 전기 액추에이터는, 전기 드라이브의 이동을 트리거하는 무선으로 전송된 신호를 감지하는 센서에 의해 제어된다. 이러한 센서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통신 단말기로부터 NFC를 통해 전송된 신호를 감지하고 이에 응답하여 전기 드라이브를 트리거하는 NFC 센서일 수 있다. 이에 대한 가능한 대안들 및/또는 추가 사항들은 EP 3491 602 A1(EP 2)에서 찾을 수 있다.
보증금 잠금장치의 전자 제어 요소, 예를 들어 회로 기판 또는 마이크로컨트롤러(MCU)가 원칙적으로 대기 모드(standby mode)에 있고, NFC 또는 회로 기판 또는 MCU 사이의 통신이 모바일 통신 단말기가 디바이스 상에 위치할 때까지 시작하지 않는다면, 특히 유리하다. 이어서, 전자 제어 요소는 대기 상태로 복귀한다. 따라서, 그것은, 수동적 NFC 태그와 모바일 통신 단말기의 능동적 NFC 사이의 통신이 확립됨에 의해, 일시적으로 웨이크업된다. 이를 통해, 낮은 전력 소모와 긴 수명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캐리지의 전기 드라이브는, 전자기장에 의해서 캐리지를 조정함으로써, 전자기적일 수 있다. 특별한 장점은, 보증금 잠금 시스템에 쉽게 통합될 수 있는, 전기 모터로서의 전기 드라이브의 설계이다. 전기 모터의 회전 이동이 캐리지의 선형 이동으로 변환되도록, 전기 모터가 회전 모터이고 편심기구(eccentric)가 전기 모터와 캐리지 사이에 배치된 설계가 특히 유리하다. 이로써, 360도 모터 회전에 의해서 캐리지의 이동을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데, 여기서, 제1 이동 단계에서는 모터 회전의 첫번째 180도를 따르고(along) 그리고 제2 이동 단계에서는 두번째 180도를 따라 캐리지가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이것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제1 이동 단계 동안의 모터 회전은 180도 미만이고, 특히 30도와 150도 사이이고, 바람직하게는 110도이다. 이로써, 캐리지를 위한 스톱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 스톱은 캐리지에 근접하여 제1 이동 단계의 종료시 형성된다. 스톱에 의해서, 이 위치에 도달했는지를 쉽게 감지할 수 있다. 캐리지가 스톱에 대항하여 이동하면, 아직 구동중인 모터의 추가적인 이동이 차단되고; 스톱에 도달했다는 신호로서 이로 인한 모터의 증가된 전력 소비가 측정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한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전기 모터는 리니어 모터이고, 이에 의해 회전 이동의 변환이 생략될 수 있다. 리니어 모터의 경우에도, 회전 모터에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위치 결정이, 스톱에 의해 제1 이동 단계의 종료시 사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센서들이, 캐리지가 초기 위치에 도달했음 및/또는 잠금 요소가 잠금해제 위치에 도달했음을 감지하면, 이로써 전기 드라이브의 정밀한 작동(pricise actuation) 및/또는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이 목적에 특히 적합한 센서는, 캐리지 또는 잠금 요소에 연결된 자석의 존재를 검출하는 홀 센서이다. 따라서, 홀 센서는, 보증금 잠금장치에 키가 존재하는지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센서, 특히 홀 센서의 또 다른 가능한 용도는, 잠금 요소가 잠금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것이다. 특정 위치의 검출은, 각각의 이동가능한 요소들의 원하지 않는 또는 일치하지 않는 위치들을 검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응하는 오류 메시지가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적절한 실시예에서, 잠금 요소는 핀이다. 코일 스프링 형태의 스프링 요소가 여기에 위치하여 유지될 수 있다.
특히, EP 3 491 602 A1(EP 2)로부터 공지된 가르침을 채택하고 그것을 보완하거나 그에 대한 대안을 보여주는 본 출원의 추가적인 기본 아이디어는, 전자 보증금 잠금장치의 기능 또는 작동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보증금 잠금 시스템과 그것의 작동 방법에 대해서, 다음의 사항들이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한 참고가 필수적인 것은 아니므로, 다음의 사항들은 전술한 보증금 잠금 시스템과 별개로 고려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다음의 사항들은 위에서 언급한 사항에 의해 구속되지 않는다.
전자 보증금 잠금장치의 기능은, 보증금 잠금 시스템에 의해 함께 결속된 두 개의 대여 물품, 예를 들어 쇼핑카트 저장소에 배치된 쇼핑 카트들의 행렬로부터 시작하여 설명된다. 고객은, 대여 물품의 특별히 표시된 영역, 예를 들어 쇼핑카트의 손잡이에 모바일 통신 단말기를 접근시키거나 위치시킴으로써, 전자 보증금 잠금장치를 활성화한다. 이것은 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앱과 보증금 잠금장치가 포함하는 NFC 트랜스폰더와의 통신을 개시한다. 이러한 NFC는 그것을 개별화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는 일련번호를 구비한다. 통신의 기반은, NFC에 명령을 전송하고 그것의 상태를 판독하는 데에 사용할 수 있는 NDEF(NFC Data Exchange Format)이다. 전자 보증금 잠금장치의 NFC는, 특히, 회로 기판 형태의 제어 유닛을 통해서 전자 보증금 잠금장치의 센서들 및/또는 모터에 연결된다. 이를 통해서, 그것(전자 보증금 잠금장치의 NFC)은, 상태 메시지들을 수신하거나, 고객의 모바일 통신 장치에서 전송된 신호들을 전자 보증금 잠금장치의 제어 유닛으로 전송할 수 있다.
앱과 보증금 잠금장치 사이의 통신이 시작되면, NDEF 태그가 판독된다. 이 NDEF 태그는, URL 태그들, 텍스트 태그들 등과 같은 몇몇 고객-관련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요소들 중 하나는, 예를 들어 "SXYZ" 변수들과 같은 몇몇 변수들을 포함하는, 명령 태그로서의 텍스트 태그이다. 예시로서, "S"는 상태를 나타내고, X = "1"은 닫힌 전자 보증금 잠금장치를 나타내고, Y = "1"은 보너스가 존재할 때를 나타내고, Z = "1"은 전자 보증금 잠금장치가 준비되 있을 때를 나타낸다. 전자 보증금 잠금장치가 열려 있으면, X는 예를 들어 "0"과 같은 다른 값을 취하고, 보너스가 없으면 Y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보증금 잠금장치가 준비되지 않으면, 보증금 잠금장치에 의해 감지된 오류들에 따라, Z의 값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값은 에너지 저장 장치가 감퇴하여 가고 있음을 신호할 수 있고, 반면에, 다른 값은 외부 온도가 적절히 작동하기에 너무 높거나 너무 낮다는 것을 신호할 수 있다. 명령 태그가 상태 메시지가 아닌 명령어를 포함하는 경우, 이 태그는 S 대신에 다른 값, 예를 들어 C를 포함한다.
전자 보증금 잠금장치를 열기 위해서는, 보증금 잠금장치가 작동중(Z = "1")이고 닫혀 있음(X = "1")을 나타내는 X 및 Z 값이 존재하는지를 알기 위해, 판독하는 동안에 명령 태그를 체크해야 한다. 그리고 나서, 보증금 잠금장치를 열기 위해서, 앱은, 명령 태그를 열림 신호를 포함하는 전자 보증금 잠금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보너스 발행에 있어서, 대여 물품이 바람직하게는 특정 단위의 시간 동안, 특히 적어도 1분 동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분 동안 사용된 후 반납될 때에만, 예를 들어 쇼핑카트가 특정 단위의 시간 동안 예를 들어 30초 동안 다시 결합되고, 명령 태그를 판독할 때 닫힘을 나타내는 X 값과 보너스의 존재를 나타내는 Y 값을 포함하는 콘텐츠가 존재한다면, 유리하다. 이제, 보너스를 회수하기(retrieve) 위해서, 보증금 잠금장치를 닫은 상태로 유지하고 Y 값을 리셋함으로써 보너스를 해제하는 전자 보증금 잠금장치에 명령 태그가 전송될 수 있다. 주어진 예시에서, 이러한 명령 태그는, 따라서 "C011"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NFC에 고객-관련 콘텐츠를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에 설치된 앱은, 예를 들어,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다른 마켓들 또는 소매 체인들 사이를 구별할 수 있다.
상기 보증금 시스템이 서두에서 설명한 특징들을 포함하는 경우, 그 시스템은 보증금을 삽입함으로써 수동으로 잠금해제될 수도 있다. 하지만, 이 경우, 고객은 나중에 보너스를 회수할 수 없다.
또한, 사용 빈도, 소비전력, 전압 이력 등에 대한 데이터가 NFC에 저장될 수 있다. 이로써, 서비스 앱을 사용하여, 전자 보증금 잠금장치의 현재 작동 시간 및 예상 잔여 작동 시간을 판정할 수 있게 된다.
전자 보증금 잠금장치의 NDEF 태그는, 배송될 때, 소거된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객 앱으로 액세스하면, 포맷(formatting) 명령 태그가 전송된다. 이제, 전자 보증금 잠금장치는 이 태그로써 포맷되고, 상기 고객이 더는 다른 콘텐츠로 덮어쓰기 하거나 삭제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앱의 관점에서 볼 때, 3가지 상황들이 존재한다. 1. 빈 태그가 있는 전자 보증금 잠금장치, 2. 고객 태그와 명령 태그가 있는 전자 보증금 잠금장치, 또는, 3. 고객 태그와 다른 고객의 명령 태그, 예를 들어 다른 매장의 명령 태그가 있는 전자 보증금 잠금장치.
앱의 응답은, 감지된 상황에 따라 다르다: 제1 상황에서는, 고객 태그와 명령 태그가 포맷을 위해 전송된다. 제2 상황에서는, 고객 태그 및 예를 들어 전자 보증금 잠금장치를 열기 위한 컨텐츠 "C101"을 포함하는 명령 태그가 전송된다. 제3 상황에서는, 아무 행동도 수행되지 않는다.
따라서, 전자 보증금 잠금장치를 작동시키는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닫힌 상태에서 에너지-절약 대기 상태에 있는 전자 보증금 잠금장치로부터 시작하고, 대여 물품을 사용하기를 원하는 고객은 전자 보증금 잠금장치 상에 모바일 통신 단말기를 놓는다. 전자 보증금 잠금장치의 NFC 태그는 NFC 트랜스폰더의 일련번호, 고객별 태그 및 전자 보증금 잠금장치의 상태를 저장한다. 고객의 모바일 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앱은, NFC 태그를 읽음으로써 NFC 태그와 통신하고, 그에 의해 일련번호, 고객별 태그 및 전자 보증금 잠금장치의 상태를 학습한다.
주어진 예시에서, 전자 보증금 잠금장치의 상태는, 전자 보증금 잠금장치가 오류 메시지를 포함하지 않고, 쇼핑 카트가 전자 보증금 잠금장치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발행될 보너스가 없음을 나타낸다.
이것은, 쇼핑카트를 분리될 수 있는 조건들을 충족한다. 이를 위해, 앱은 NFC 태그와 통신하여 쇼핑카트의 전자 보증금 잠금장치를 열기 위한 신호를 전송한다.
특히, MCU를 포함하는 제어 유닛은, 통신에 의해 대기 상태로부터 깨어나서 전송 신호를 체크한다. 그것이 전송된 열림 신호를 수신하면, 모터가 작동되어 잠금장치를 잠금해제한다.
쇼핑카트가 반납될 때, 고객은 보증금 잠금 시스템의 자유 키(free key)를 전자 보증금 잠금장치에 밀어 넣어서 쇼핑카트를 다시 결합시킨다.
키를 보증금 잠금장치 내에 삽입시 키를 누름으로써 쇼핑카트가 결합되고, 이 작동은 홀센서를 통해서 시스템에 신호하게 되고, 해당하는 값이 명령 태그에 기록된다. 이제, 예를 들어 30초의 타이머가 시작된다. 타이머의 시간이 만료될 때까지 보너스가 회수되지 않으면, 값은 다시 삭제된다.
상태는 고객의 모바일 통신 단말기를 통해 판독된다. 고객이 타이머에 의해 지정된 시간 내에 명령 태그를 판독하면, 제어 유닛은, 통신을 통해 대기 상태로부터 웨이크업되어 전송 신호를 체크한다. 앱은, 일련번호, 고객별 태그 및 전자 보증금 잠금장치의 상태 메시지를 수신한다. 신호가 전송되면, 보너스가 리셋된다. 이것은 NFC 태그의 상태에서 보너스의 값을 리셋함으로써 수행된다.

Claims (15)

  1. 대여 물품, 특히, 수동으로 이동가능한 운반 트롤리를 위한 보증금 잠금 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보증금 잠금장치의 차단 요소는, 홀딩 위치에서 보증금 잠금장치 내의 키를 제거하는 것을 방지하고 그리고 해제 위치에서 상기 키를 해제하고,
    잠금 요소는, 잠금 위치에서 상기 차단 요소가 그의 홀딩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변위하는 것을 차단하고 그리고 잠금해제 위치에서 상기 차단 요소가 그의 해제 위치로 변위하는 것을 허용하고,
    액추에이터는, 보증금 토큰이 상기 보증금 잠금장치 내에 삽입됨에 의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잠금 요소를 그의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해제 위치로 변위시키고,
    상기 잠금 요소가 그의 잠금 위치로 복귀하는 것 및 상기 액추에이터가 그의 상기 제1 위치로 복귀하는 것은, 상기 차단 요소가 상기 해제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차단 요소에 의해 차단되고,
    상기 보증금 잠금장치 내에 유지된 상기 키의 다른 쪽으로의 해제는, 초기 위치에서 상기 차단 요소 상에 변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캐리지를 전기 드라이브가 구동시킬 때 수행되고,
    상기 캐리지의 제1 이동 단계에서, 상기 캐리지는 상기 잠금 요소를 그의 잠금 위치로부터 그의 잠금해제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캐리지의 제2 이동 단계에서, 상기 캐리지는 다시 그의 초기 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제1 및/또는 제2 이동 단계 동안에, 스프링 요소는 장력하에 놓이고, 그리고
    상기 차단 요소가 상기 잠금 요소의 그의 잠금 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허용하자마자 상기 스프링 요소를 이완함으로써 상기 잠금 요소는 그의 잠금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드라이브는, 상기 전기 드라이브의 이동을 트리거하는 무선 전송 신호를 검출하는 센서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센서는, 상기 잠금 요소가 상기 잠금해제 위치에 도달함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센서는, 상기 캐리지가 상기 초기 위치에 도달함 및/또는 상기 캐리지가 상기 제1 이동 단계의 종료 위치에 도달함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요소는, 해제 위치에서, 상기 액추에이터가 그의 제1 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증금 잠금장치는, 상기 보증금 잠금장치의 상태 메시지들을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메시지들을 상기 보증금 잠금장치의 NFC 태그로 전송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특히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대여 물품을 위한 보증금 잠금 시스템으로서,
    보증금 토큰, 보증금 잠금장치 및 키를 포함하고,
    상기 보증금 잠금장치에 유지된 상기 키의 해제는, 상기 보증금 잠금장치 내로 상기 보증금 토큰을 삽입함에 대항하여 발생하고,
    차단 요소는, 상기 보증금 잠금장치가 상기 키의 제거를 방지하는 홀딩 위치와 상기 보증금 잠금장치가 상기 키를 해제하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상기 보증금 잠금장치가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보증금 잠금장치 내에 조정가능하게 장착되고,
    잠금 요소는, 상기 차단 요소를 그의 홀딩 위치로 유지하는 잠금 위치와 상기 차단 요소를 해제하는 잠금해제 위치 사이에서 조정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보증금 잠금장치는, 상기 보증금 토큰이 상기 보증금 잠금장치 내에 삽입됨에 의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잠금 요소를 위한 접촉표면을 구비하고, 이로써, 상기 액추에이터의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의 이동은 상기 잠금 요소를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해제 위치로 변위시키고,
    상기 해제 위치에 위치한 상기 차단 요소는, 상기 잠금 요소의 그의 잠금 위치로의 경로 및 상기 액추에이터의 초기 위치로의 경로를 차단하고,
    전기 드라이브는, 이동가능하게 상기 잠금 요소에 장착된 캐리지에 연결되고,
    상기 차단 요소가 상기 잠금 요소의 상기 잠금 위치로의 복귀 경로를 차단할 때 장력하에 있는 스프링 요소는 상기 잠금 요소 상에 배치되는, 보증금 잠금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요소는 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증금 잠금 시스템.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요소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증금 잠금 시스템.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드라이브는 전기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증금 잠금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모터는 로터리 모터이고, 편심기구(eccentric)가 상기 전기 모터와 상기 캐리지 사이에 배치되고, 이로써, 상기 전기 모터의 회전 운동이 상기 캐리지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증금 잠금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모터는 리니어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증금 잠금 시스템.
  13.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증금 잠금장치는 제어 유닛, 특히, MCU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증금 잠금 시스템.
  14. 제7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요소의 일측단 구역은 상기 캐리지에 인접하여 있고, 타측단 구역은 상기 잠금 요소에 인접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증금 잠금 시스템.
  15. 제7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요소의 일측단 구역은 상기 잠금 요소에 인접하여 있고, 타측단 구역은 상기 전기 드라이브에 고정적으로 배치된 스톱에 인접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증금 잠금 시스템.
KR1020227027040A 2020-03-06 2021-03-08 대여 물품을 위한 보증금 잠금 시스템 및 보증금 잠금 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KR202201247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0106211.7 2020-03-06
DE102020106211.7A DE102020106211A1 (de) 2020-03-06 2020-03-06 Pfandschlosssystem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s Pfandschlosssystems für einen Entleihungsgegenstand
PCT/EP2021/055820 WO2021176105A1 (de) 2020-03-06 2021-03-08 Pfandschlosssystem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s pfandschlosssystems für einen entleihungsgegenstan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4758A true KR20220124758A (ko) 2022-09-14

Family

ID=74870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7040A KR20220124758A (ko) 2020-03-06 2021-03-08 대여 물품을 위한 보증금 잠금 시스템 및 보증금 잠금 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30123206A1 (ko)
EP (1) EP4115400A1 (ko)
KR (1) KR20220124758A (ko)
CN (1) CN115053273A (ko)
AU (1) AU2021231365A1 (ko)
BR (1) BR112022013244A2 (ko)
CA (1) CA3165202A1 (ko)
DE (1) DE102020106211A1 (ko)
IL (1) IL295760A (ko)
WO (1) WO2021176105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11013A1 (de) 1999-03-12 2000-09-14 Systec Pos Technology Gmbh Pfandschloß für Transportwagen
DE102016114050A1 (de) 2016-07-29 2018-02-01 Andreas Filosi Verfahren zur Ausgabe und Rückgabe eines Entleihungsgegenstandes
DE102018108116B4 (de) * 2018-04-05 2023-04-27 J.D. Geck Gmbh Einkaufswagenpfandschloss
DE202018003172U1 (de) * 2018-07-07 2018-08-01 Jonas Franz Verriegelbarer Einkaufswagen
CN108824997A (zh) * 2018-08-02 2018-11-16 罗朋鹏 购物车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76105A1 (de) 2021-09-10
CA3165202A1 (en) 2021-09-10
BR112022013244A2 (pt) 2022-09-06
US20230123206A1 (en) 2023-04-20
EP4115400A1 (de) 2023-01-11
DE102020106211A1 (de) 2021-09-09
AU2021231365A1 (en) 2022-07-21
IL295760A (en) 2022-10-01
CN115053273A (zh) 2022-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1326550B2 (en) Electronically monitored safety lockout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20090282876A1 (en) Portable lock with electronic lock actuator
US20090031766A1 (en) Object securing system
CN102842161A (zh) 电子及手动锁组件
US4972694A (en) Lock with an electromechanical release mechanism
CA2568329A1 (en) Switching element for securing weapons
US4932228A (en) Locking device having a large number of locking combinations
US5074135A (en) System for the use of lockers or the like
JPS63501829A (ja) クレジットカ−ド等のデ−タ媒体の不正使用防止装置
KR20220124758A (ko) 대여 물품을 위한 보증금 잠금 시스템 및 보증금 잠금 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JPH01152596A (ja) ロッカー等の利用のための装置
EP1222349B1 (en) A method for control of in and out passage by means of a locking system, a locking system for performing the method and a motor-lock integrated into said locking system
JP4723618B2 (ja) ロック装置
US20020011085A1 (en) Anti-shock mechanism for an electronic lock
WO1990012378A1 (en) Trolley vending system
RU236678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хранения и выдачи предметов
JP3756962B2 (ja) 扉付き遊戯機
US11734984B2 (en) Electronically actuated coin slider device
JP2001123719A (ja) 扉用錠装置
JPH0422442Y2 (ko)
JPS63194082A (ja) 旋錠組み合わせ数の大きい旋錠装置
JP4011291B2 (ja) 引出し検知装置
WO2004016888A1 (en) Security system and lock
JP3484616B2 (ja) 引戸用電気錠
JPH04118481A (ja) ロッカ用電子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