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2600A - 눈가의 다크서클 개선용의 외용 조성물, 화장품 및 의약부 외품 - Google Patents

눈가의 다크서클 개선용의 외용 조성물, 화장품 및 의약부 외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2600A
KR20220122600A KR1020227015177A KR20227015177A KR20220122600A KR 20220122600 A KR20220122600 A KR 20220122600A KR 1020227015177 A KR1020227015177 A KR 1020227015177A KR 20227015177 A KR20227015177 A KR 20227015177A KR 20220122600 A KR20220122600 A KR 20220122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 oil
eyes
composition
oil
tea s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5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키오 미쯔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호루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호루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호루스
Publication of KR20220122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26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7Vitaceae or Ampelidaceae (Vine or Grape family), e.g. wine grapes, muscadine or pepperv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8Tocopherol, i.e. vitamin 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 필로퀴논과는 달리 화장품이나 의약부 외품에도 배합 가능하고, 식물 유지 유래의 천연 필로퀴논 및 α 토코페롤을 소정량 이상 포함하는 눈 밑 다크서클 개선용의 외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눈가(눈언저리)의 다크서클 개선용의 외용 조성물은, 차씨 기름과, 차씨 기름 이외의 식물유를 포함하고, 차씨 기름 및 식물유 유래의 필로퀴논을 100 ㎍/100 g 이상, 그리고 차씨 기름 및 식물유 유래의 α 토코페롤을 20 ㎎/100 g 이상 함유한다.

Description

눈가의 다크서클 개선용의 외용 조성물, 화장품 및 의약부 외품
본 발명은, 눈가(눈언저리)의 다크서클 개선용의 외용 조성물, 화장품 및 의약부 외품에 관한 것이다.
눈가의 다크서클은, 혈전이 혈액의 흐름을 막는 것에 의해 생긴다. 필로퀴논(바이타민 K1)은, 외용 도포에 의해 눈 밑의 혈전을 용해하는 성분으로서 알려져 있고, 눈가의 다크서클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α(알파) 토코페롤은, 산화 방지 작용을 가지고 필로퀴논의 혈전 용해 기능을 높인다.
여기서, 특허문헌 1에는, 바이타민 K에 산화 방지 작용 등을 가지는 바이타민 A, 바이타민 C, 바이타민 E 중의 1종 이상을 배합하고, 또 필요에 따라 상백피(뽕나무 뿌리껍질), 녹차 엑기스, 대두 레시틴, 호호바유, 글리시리진산 이칼륨( dipotassium glycyrrhizinate) 등의 성분 중 1종 이상의 성분을 더해서 이루어지고, 잡티나 다크서클 등을 개선하는 화장료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바이타민 K1, 바이타민 K2, 바이타민 K3, 바이타민 K4, 바이타민 K5, 바이타민 K6, 바이타민 K7 및 그 동족체, 입체 이성체, 염(鹽)의 바이타민 K군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 화장료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 특개2004-51627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특개평5-320039호 공보
상술한 바와 같이 필로퀴논은 눈가의 다크서클 개선에 유효하다. 그렇지만, 합성 필로퀴논은, 일본에 있어서는 의약품으로 구분되기 때문에, 화장품이나 의약부 외품에는 배합할 수 없다. 화장품이나 의약부 외품에 배합하려면, 식용 식물 유지 유래의 천연 필로퀴논을 사용하는 것이 생각되지만, 함유량이 낮으면 혈전 용해의 기능을 기대할 수 없다.
특허문헌 1은, 바이타민 K를, 피롤로퀴놀린퀴논, 유비퀴논, 또는 아보카도 기름 등으로부터 얻는 것이지만, 필로퀴논 및 α 토코페롤의 함유량에 대하여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또한, 특허문헌 2는, 바이타민 K1을 필수 성분으로 하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식물 유지 유래의 천연 필로퀴논 및 α 토코페롤을 소정량 이상 포함하는 눈 밑의 다크서클 개선용의 외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 기재에 대응한 눈가의 다크서클 개선용의 외용 조성물에 있어서는, 차씨 기름(茶種子油)과, 차씨 기름 이외의 식물유를 포함하고, 차씨 기름 및 식물유 유래의 필로퀴논을 100 ㎍/100 g 이상, 및 차씨 기름 및 식물유 유래의 α 토코페롤을 20 ㎎/100 g 이상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식물 유지 유래의 천연 필로퀴논과 α 토코페롤을 소정량 이상 포함하고, 화장품이나 의약부 외품에 배합 가능한 눈가의 다크서클 개선용의 외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가 있다. 또한, 차씨 기름에 그 이외의 식물유를 조합함으로써, 희소한 차씨 기름의 사용량을 억제할 수가 있다.
청구항 2 기재의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눈가의 다크서클 개선용의 외용 조성물에 있어서, 필로퀴논을 300∼1000 ㎍/100 g과 α 토코페롤을 10∼40 ㎎/100 g 함유하는 차씨 기름이 60∼80질량% 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외용 조성물에 함유되는 필로퀴논과 α 토코페롤의 양을 늘려서, 눈가의 다크서클 개선 효과를 보다 높일 수가 있다.
청구항 3 기재의 본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눈가의 다크서클 개선용의 외용 조성물에 있어서, 식물유로서, 필로퀴논을 400∼600 ㎍/100 g 함유하는 포도씨유(葡萄種子油)이 2질량% 이상 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차씨 기름의 사용량을 억제하면서, 천연 필로퀴논의 양을 확보할 수가 있다. 또한, 바이타민 E가 포함되는 포도씨유를 배합함으로써, 필로퀴논의 혈전 용해 작용을 높일 수가 있다.
청구항 4 기재의 본 발명은, 청구항 3에 기재된 눈가의 다크서클 개선용의 외용 조성물에 있어서, 포도씨유의 배합량을 8질량% 이하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포도씨유의 배합량을 소정 이하로 함으로써, 외용 조성물의 품질을 안정시킬 수가 있다.
청구항 5 기재의 본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눈가의 다크서클 개선용의 외용 조성물에 있어서, 식물유로서, 살구씨 기름(杏子核油)이 배합되고, α 토코페롤을 30 ㎎/100 g 이상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눈가의 다크서클 개선 효과를 보다 높일 수가 있다.
청구항 6에 대응한 화장품에 있어서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눈가의 다크서클 개선용의 외용 조성물이 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식물 유지 유래의 천연 필로퀴논이 배합된 화장품을 제공할 수가 있다.
청구항 7에 대응한 의약부 외품에 있어서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눈가의 다크서클 개선용의 외용 조성물이 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식물 유지 유래의 천연 필로퀴논이 배합된 의약부 외품을 제공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눈가의 다크서클 개선용의 외용 조성물에 의하면, 식물 유지 유래의 천연 필로퀴논과 α 토코페롤을 소정량 이상 포함하고, 화장품이나 의약부 외품에 배합 가능한 눈가의 다크서클 개선용의 외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가 있다. 또한, 차씨 기름을 그 이외의 식물유와 조합함으로써, 희소한 차씨 기름의 사용량을 억제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눈가의 다크서클 개선용의 외용 조성물의 각 성분량과, 비교예인 외용 조성물의 각 성분량을 나타내는 표.
도 2는, 지방산에 대하여, 차씨 기름 100%와 실시예 1과 비교예 1을 비교한 표
도 3은, 사람 모니터링자(monitor)에 의한 외용 조성물의 얼굴 피부에의 효과 비교 시험 그 1의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사람 모니터링자에 의한 외용 조성물의 얼굴 피부에의 효과 비교 시험 그 2의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사람 모니터링자에 의한 외용 조성물의 얼굴 피부에의 효과 비교 시험 그 3의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눈가의 다크서클 개선용의 외용 조성물, 화장품 및 의약부 외품에 대하여 설명한다.
아래 표 1은, 차씨 기름 100%와 포도씨유 100% 각각에 대하여 성분의 검출치를 나타내는 표이다. 또한, 검출되지 않는(비검출인) 경우는 「-」로 하고 있다.
Figure pct00001
표 1에 있어서의 차씨 기름으로부터는, 필로퀴논(바이타민 K1)이 546 ㎍/100 g 검출됨과 함께, α 토코페롤(바이타민 E)이 28.8㎎/100 g 검출되고 있다. 차 열매의 종류나 제조 방법 등에 따라서 다르지만, 차씨 기름에는, 필로퀴논이 300∼1000 ㎍/100 g 포함되고, α 토코페롤이 10∼40 ㎎/100 g 포함된다.
필로퀴논(바이타민 K1)은 외용 도포에 의해 눈 밑의 혈전을 용해하는 성분이고, α 토코페롤은 산화 방지 작용을 가지고 필로퀴논의 혈전 용해 기능을 높이는 성분이기 때문에, 차씨 기름을 눈가의 다크서클 개선용의 외용 조성물에 사용하는 것은 지극히 유용하다. 또한, 식물 유지 유래의 천연 필로퀴논이기 때문에, 화장품이나 의약부 외품에 배합 가능하다.
그렇지만, 차씨 기름은 시장에 그다지 유통되고 있지 않아 공급량이 적기 때문에, 차씨 기름 100%로 이루어지는 외용 조성물을 안정적으로 생산하는 것은 어렵다. 이 때문에, 차씨 기름과, 그 이외의 식물유를 포함하고, 차씨 기름 및 식물유 유래의 필로퀴논을 100 ㎍/100 g 이상, 그리고 차씨 기름 및 식물유 유래의 α 토코페롤을 30 ㎎/100 g 이상 함유하는 외용 조성물로 한다. 이와 같이 차씨 기름을 다른 식물유와 조합함으로써, 희소한 차씨 기름의 사용량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한, 외용 조성물이, 식물 유지 유래의 천연 필로퀴논과 α 토코페롤을 소정량 이상 함유함으로써, 눈가의 다크서클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가 있다.
차씨 기름과 다른 식물유의 혼합은, 예를 들면, 각 기름을 용기에 넣고, 상온 상압 하에서 교반하고, 불순물을 여과하는 것에 의해 행한다.
외용 조성물에는, 필로퀴논을 300∼1000 ㎍/100 g과 α 토코페롤을 10∼40 ㎎/100 g 함유하는 차씨 기름이 60∼80질량% 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외용 조성물에 있어서의 필로퀴논과 α 토코페롤의 양을 늘려서, 눈가의 다크서클 개선 효과를 보다 높일 수가 있다.
또한, 일본차 열매에는 해외차 열매에 비해 필로퀴논이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차씨 기름에 사용하는 차 열매는, 일본차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잘 익은 차 열매가 자연 낙하한(저절로 떨어진) 것을 수확하여, 상온 압착에 의해서 차씨 기름을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필로퀴논을 보다 많이 함유하는 차씨 기름을 얻을 수가 있다.
표 1에 있어서 포도씨유 100%로부터 필로퀴논(바이타민 K1)이 538 ㎍/100 g 검출되고 있는 바와 같이, 포도씨유에는 필로퀴논이 400∼600 ㎍/100 g 포함된다.
그래서, 차씨 기름과 조합하는 식물유로서, 필로퀴논을 400∼600 ㎍/100 g 함유하는 포도씨유를 2질량% 이상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차씨 기름의 사용량을 억제하면서, 천연 필로퀴논의 양을 확보할 수가 있다. 또한, 차씨 기름은, 레티놀(활성 당량), α-카로틴, β-카로틴이라고 하는 바이타민 A를 함유하지만, 포도씨유에는 바이타민 A가 포함되지 않는다. 그 한편으로, 포도씨유는, 차씨 기름에는 포함되지 않는 β-토코페롤, γ-토코페롤, δ-토코페롤이라고 하는 바이타민 E를 함유한다. 따라서, 식물 유래의 바이타민 E가 포함되는 포도씨유를 배합함으로써, 필로퀴논의 혈전 용해 작용을 높일 수가 있다.
여기서, 포도씨유의 배합량은 8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포도씨유의 양이 너무 많으면, 차씨 기름이나 그밖의 식물유와 혼합했을 때에 미스트(박무)와 같은 것이 출현하고, 액체인 외용 조성물의 상측과 하측에서 품질이 일정하지 않을 우려가 있지만, 포도씨유의 배합량을 8질량% 이하로 함으로써, 외용 조성물의 품질을 안정시킬 수가 있다.
또한, 외용 조성물에는, 식물유로서 살구씨 기름이 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 표 2는, 아보카도 기름과, 살구씨 기름(행인유(杏仁油))과, 장미씨 기름의 각각에 대한 성분의 검출치를 나타내는 표이다.
Figure pct00002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특히 살구씨 기름에는 α 토코페롤이 많이 포함되기 때문에, 살구씨 기름을 배합함으로써, 차씨 기름의 사용량을 억제함과 함께, α 토코페롤의 함유량을 늘려서 눈가의 다크서클 개선 효과를 보다 높일 수가 있다.
또한, 아보카도 기름, 살구씨 기름, 및 장미씨 기름은, 차씨 기름에는 포함되지 않는 β-토코페롤, γ-토코페롤, δ-토코페롤 등이라고 하는 바이타민 E를 함유한다. 따라서, 식물 유래의 바이타민 E가 포함되는 아보카도 기름, 살구씨 기름, 또는 장미씨 기름을 배합함으로써, 필로퀴논의 혈전 용해 작용을 높일 수가 있다.
또한, 외용 조성물은, 불포화 지방산을 60∼85 g/100 g 함유하고, 불포화 지방산 중의 60∼80%는 올레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용 조성물을 화장품 또는 의약부 외품에 배합함으로써, 식물 유지 유래의 천연 필로퀴논이 배합된 화장품 또는 의약부 외품을 제공할 수가 있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눈가의 다크서클 개선용의 외용 조성물의 각 성분량과, 비교예인 외용 조성물의 각 성분량을 나타내는 표이다. 또한,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성분치는 검출치이고, 실시예 2 내지 6의 성분치는 계산치이다. 또한, 검출되지 않는 경우는 「-」로 하고 있다.
실시예 1의 외용 조성물은, 차씨 기름(차기름(茶實油))이 60질량%, 아보카도 기름이 12질량%, 장미씨 기름(리즈힙 오일)이 12질량%, 살구씨 기름(행도유(persic oil))이 12질량%, 포도씨유가 4질량%로 이루어진다.
실시예 2의 외용 조성물은, 차씨 기름이 40질량%, 아보카도 기름이 18.67질량%, 장미씨 기름이 18.67질량%, 살구씨 기름이 18.67질량%, 포도씨유가 4질량%로 이루어진다.
실시예 3의 외용 조성물은, 차씨 기름이 80질량%, 아보카도 기름이 5.33질량%, 장미씨 기름이 5.33질량%, 살구씨 기름이 5.33질량%, 포도씨유가 4질량%로 이루어진다.
실시예 4의 외용 조성물은, 차씨 기름이 60질량%, 콩기름(대두유)이 36질량%, 포도씨유가 4질량%로 이루어진다.
실시예 5의 외용 조성물은, 차씨 기름이 60질량%, 올리브유가 36질량%, 포도씨유가 4질량%로 이루어진다.
실시예 6의 외용 조성물은, 차씨 기름이 60질량%, 콩기름이 18질량%, 올리브유가 18질량%, 포도씨유가 4질량%로 이루어진다.
비교예 1의 외용 조성물은, 차씨 기름 및 포도씨유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고, 아보카도 기름이 33질량%, 장미씨 기름이 33질량%, 살구씨 기름이 33질량%, 해바라기씨유가 1질량%로 이루어진다.
필로퀴논의 함유량은, 실시예 1에서 368 ㎍/100 g, 실시예 2에서 269 ㎍/100 g, 실시예 3에서 467 ㎍/100 g, 실시예 4에서 373 ㎍/100 g, 실시예 5에서 361 ㎍/100 g, 실시예 6에서 369 ㎍/100 g으로 되어 있고, 어느것이나(모두) 100 ㎍/100 g 이상이다. 한편, 비교예 1의 필로퀴논의 함유량은, 30 ㎍/100 g으로 되어 있고, 100 ㎍/100 g을 밑돌고 있다.
또한, α 토코페롤의 양은, 실시예 1에서 35.7㎎/100 g, 실시예 2에서 40 ㎎/100 g, 실시예 3에서 32 ㎎/100 g, 실시예 4에서 22 ㎎/100 g, 실시예 5에서 27 ㎎/100 g, 실시예 6에서 21 ㎎/100 g으로 되어 있고, 어느것이나 20 ㎎/100 g 이상이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6에는 바이타민 A가 함유되어 있지만, 비교예 1에는 바이타민 A가 함유되어 있지 않다.
도 2는 지방산에 대하여, 차씨 기름 100%와, 실시예 1(차씨 기름 60%)과, 비교예 1(차씨 기름 0%)을 비교한 표이다. 또한, 검출되지 않는 경우는 「-」로 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외용 조성물은, 불포화 지방산을 79.4 g/100 g 함유하고, 불포화 지방산 중의 약 70.8%는 올레산이다. 한편, 비교예 1은 불포화 지방산을 80.5 g/100 g 함유하고, 불포화 지방산 중의 올레산은, 약 52.7%밖에 없다.
도 3은 사람 모니터링자에 의한 외용 조성물의 얼굴 피부에의 효과 비교 시험 그 1의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3의 (a)는 피부의 기미에 대한 결과를 도시하고, 도 3의 (b)는 눈 밑의 주름에 대한 결과를 도시하고 있다.
시험 방법으로서, 피험자 5명에게, 통상의 손질에 추가해서, 얼굴 반쪽(半顔)만, 실시예 1의 외용 조성물을 배합한 크림을, 2회/일(日), 세안 후, 눈 밑에 쌀 2알갱이(粒) 정도 도포하게 했다. 로보 스킨 애널라이저 RSA 50 SⅡ((주)엠엠 앤드 니이크사(MM&NIIC CO.,LTD.)제)에 의해, 사용 개시 전(0주째), 4주 사용 후(4주째), 및 8주 사용 후(8주째)에 있어서의 피부의 기미(면적 1.2 ㎟ 이상에서, 색이 연한 것부터 진한 것까지 모든 수)와, 사용 개시 전(0주째), 및 4주 사용 후(4주째)에 있어서의 눈 밑의 주름(개수)을 측정했다. 비교 대상은, 크림을 도포하지 않는(무도포) 측의 얼굴 반쪽(半顔)이다.
도 3에 있어서, 「◆」은 실시예 1의 외용 조성물이 배합된 크림을 도포한 측의 얼굴 반쪽 결과의 평균치, 「■」은 무도포 측의 얼굴 반쪽 결과의 평균치이고, 0주를 100%로 했을 때의 상대치로 표시하고 있다.
도 3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도포 측의 얼굴 반쪽에서는 기미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데 비해, 크림을 도포한 측의 얼굴 반쪽에서는 기미의 수에 유의(有意)한(p<0.05) 감소가 보여졌다.
또한, 도 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도포 측의 얼굴 반쪽에서는 눈 밑 주름의 개수가 증가하고 있는 데 비해, 크림을 도포한 측의 얼굴 반쪽에서는 감소하고 있다. 또한, 1명의 피험자는 해석 불가(不可)였기 때문에, 4명의 평균치로 하고 있다.
도 4는 사람 모니터링자에 의한 외용 조성물의 얼굴 피부에의 효과 비교 시험 그 2의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4의 (a)는 피부의 기미에 대한 결과를 도시하고, 도 4의 (b)는 눈 밑 주름에 대한 결과를 도시하고 있다.
시험 방법으로서, 피험자 12명을 3군으로 나누고, 통상의 손질에 추가해서, 실시예 1의 외용 조성물을 배합한 크림, 실시예 2의 외용 조성물을 배합한 크림, 또는 실시예 3의 외용 조성물을 배합한 크림을, 2회/일, 세안 후, 눈 밑에 쌀 2알갱이 정도 도포하게 했다. 로보 스킨 애널라이저 RSA 50 SII((주)엠엠 앤드 니이크사제)에 의해, 사용 개시 전(0주째), 4주 사용 후(4주째), 및 8주 사용 후(8주째)에 있어서의 피부의 기미(면적 1.2 ㎟ 이상에서, 색이 연한 것부터 진한 것까지 모든 수)와, 사용 개시 전(0주째), 및 4주 사용 후(4주째)에 있어서의 눈 밑 주름(개수)을 측정했다.
도 4에 있어서, 「◆」은 실시예 1의 외용 조성물을 배합한 크림을 도포한 결과의 평균치, 「■」은 실시예 2의 외용 조성물을 배합한 크림을 도포한 결과의 평균치, 「▲」은 실시예 3의 외용 조성물을 배합한 크림을 도포한 결과의 평균치이고, 0주를 100%로 했을 때의 상대치로 표시하고 있다.
도 4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어느 실시예에 있어서도 기미의 수가 감소하고 있다. 또한, 도 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어느 실시예에 있어서도 눈 밑 주름의 개수가 감소하고 있다. 따라서, 실시예 1 내지 3의 어떤 외용 조성물도 눈가의 다크서클에 대해서 유효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특히 기미의 수에 대하여, 실시예 2(차씨 기름 40% 함유)는, 실시예 1(차씨 기름 60% 함유) 및 실시예 3(차씨 기름 80% 함유)에 비해 효과가 약간(다소) 작다. 따라서, 차씨 기름은, 60∼80질량% 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시예 1과 실시예 3에서는 기미의 감소 효과의 차가 비교적 작다는 점에서 본다면, 희소한 차씨 기름의 사용량이 보다 적은 실시예 1의 외용 조성물이, 눈가의 다크서클 개선 효과, 안정 공급성, 및 코스트 면에 있어서 가장 밸런스가 양호하다고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차씨 기름은, 60질량% 배합되어 있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에 사용하는 차씨 기름이 희소한 이유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유의 하나로서는, 이하 (1) 내지 (3)과 같은 배경으로 인해, 차씨 기름의 원료가 되는 차 열매 자체의 생산량이 적다는 것을 들 수 있다.
(1) 차는 통상, 찻잎에 영양을 살려 두게 하기(충분히 함유시키기) 위해서, 꽃을 피우거나, 열매를 맺게 하는 바와 같은 재배를 행하지 않는다.
(2) 또한, 열매를 맺지 않게 하려면 손질을 빠뜨리지 않고 행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열매가 맺히는 것은 차 농원에 있어 손질을 게을리하고 있었다는 증거로서, 부끄러워해야 할 일이다. 따라서, 한층 더 열매를 맺게 하지 않는 재배가 철저히 이루어졌다.
(3) 차나무는 원래 스트레스가 가해지지 않는 한 꽃이 잘 피지 않고, 자가 불화합성(自家不和合性)에 의해서 동일한 나무 속에서는 열매를 맺지 않기 때문에, 손질을 게을리하지 않는 한 좀처럼(쉽사리는) 열매를 맺는 일이 없다.
또한, 다른 하나의 이유로서는, 열매로부터의 추출에 수고가 드는 것을 들 수 있다. 표 1에 있는 바와 같이 성분을 남김없이(모조리) 추출하기 위해서는, 특히 필로퀴논이 많이 함유되도록 추출하기 위해서는, 유기 용제 등으로의 추출이 아니라, 상온 압착에 의한 추출을 행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만 상온 압착에서는, 열매의 중량 당 10질량% 정도의 유지밖에 얻을 수가 없다.
이 때문에, 차씨 기름이 시장에 나도는 양은 매우 적다. 그래서 본 발명은, 차씨 기름을 다른 식물의 유지와 혼합함으로써, 눈가의 다크서클 개선 효과의 유지와 안정 공급을 양립시키고 있다.
도 5는 사람 모니터링자에 의한 외용 조성물의 얼굴 피부에의 효과 비교 시험 그 3의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5의 (a)는 피부의 기미에 대한 결과를 도시하고, 도 5의 (b)는 눈 밑 주름에 대한 결과를 도시하고 있다.
시험 방법으로서, 피험자 16명을 4군으로 나누고, 통상의 손질에 추가해서, 실시예 1의 외용 조성물을 배합한 크림, 실시예 4의 외용 조성물을 배합한 크림, 실시예 5의 외용 조성물을 배합한 크림, 또는 실시예 6의 외용 조성물을 배합한 크림을, 2회/일, 세안 후, 눈 밑에 쌀 2알갱이 정도 도포하게 했다. 로보 스킨 애널라이저 RSA 50 SII((주)엠엠 앤드 니이크사제)에 의해, 사용 개시 전(0주째), 4주 사용 후(4주째), 및 8주 사용 후(8주째)에 있어서의 피부의 기미(면적 1.2 ㎟ 이상에서, 색이 연한 것부터 진한 것까지 모든 수)와, 사용 개시 전(0주째), 및 4주 사용 후(4주째)에 있어서의 눈 밑 주름(개수)을 측정했다.
도 5에 있어서, 「◆」은 실시예 1의 외용 조성물을 배합한 크림을 도포한 결과의 평균치, 「■」은 실시예 4의 외용 조성물을 배합한 크림을 도포한 결과의 평균치, 「▲」은 실시예 5의 외용 조성물을 배합한 크림을 도포한 결과의 평균치, 「×」은 실시예 6의 외용 조성물을 배합한 크림을 도포한 결과의 평균치이고, 0주를 100%로 했을 때의 상대치로 표시하고 있다.
도 5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어느 실시예에 있어서도 기미의 수가 감소하고 있다. 또한, 도 5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어느 실시예에 있어서도 눈 밑 주름의 개수가 감소하고 있다. 따라서, 실시예 4 내지 6의 어떤 외용 조성물도 눈가의 다크서클에 대해서 유효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4 내지 6에 있어서 필로퀴논의 함유율은 60질량%로 동일하지만, 특히 기미의 수에 대하여, 실시예 1(α 토코페롤을 30 ㎎/100 g 이상 함유)은, 실시예 4 내지 6(α 토코페롤이 30 ㎎/100 g 미만)에 비해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외용 조성물은, α 토코페롤을 30 ㎎/100 g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람 모니터링자의 피험자 중 8명에 대해, 실시예 1의 외용 조성물을 배합한 크림을 8주 사용한 결과, 사용 전에 비해 어떠한 효과가 느껴졌는지를 설문조사(앙케이트)한 결과, 거의 전원의 피험자로부터, 눈가(눈언저리)가 촉촉한 것을 실감할 수 있었다, 피부의 질감이나 탄력이 개선되었다, 등의 의견이 모아졌다(전해졌다). 이러한 의견들로부터, 실시예 1의 외용 조성물을 배합한 크림을 도포함으로써, 보습 효과나 피부질 개선도 기대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Claims (7)

  1. 차씨 기름(茶種子油)과, 상기 차씨 기름 이외의 식물유를 포함하고,
    상기 차씨 기름 및 상기 식물유 유래의 필로퀴논을 100 ㎍/100 g 이상, 그리고 상기 차씨 기름 및 상기 식물유 유래의 α 토코페롤을 20 ㎎/100 g 이상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가의 다크서클 개선용의 외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로퀴논을 300∼1000 ㎍/100 g과 상기 α 토코페롤을 10∼40 ㎎/100 g 함유하는 상기 차씨 기름이 60∼80질량% 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가의 다크서클 개선용의 외용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유로서, 상기 필로퀴논을 400∼600 ㎍/100 g 함유하는 포도씨유(葡萄種子油)가 2질량% 이상 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가의 다크서클 개선용의 외용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도씨유의 배합량을 8질량% 이하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가의 다크서클 개선용의 외용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유로서 살구씨 기름(杏子核油)이 배합되고, 상기 α 토코페롤을 30 ㎎/100 g 이상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가의 다크서클 개선용의 외용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눈가의 다크서클 개선용의 외용 조성물이 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눈가의 다크서클 개선용의 외용 조성물이 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부 외품.
KR1020227015177A 2019-12-27 2020-12-10 눈가의 다크서클 개선용의 외용 조성물, 화장품 및 의약부 외품 KR202201226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238748A JP7333606B2 (ja) 2019-12-27 2019-12-27 目元のくま改善用の外用組成物、化粧品及び医薬部外品
JPJP-P-2019-238748 2019-12-27
PCT/JP2020/046083 WO2021131750A1 (ja) 2019-12-27 2020-12-10 目元のくま改善用の外用組成物、化粧品及び医薬部外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2600A true KR20220122600A (ko) 2022-09-02

Family

ID=76575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5177A KR20220122600A (ko) 2019-12-27 2020-12-10 눈가의 다크서클 개선용의 외용 조성물, 화장품 및 의약부 외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333606B2 (ko)
KR (1) KR20220122600A (ko)
CN (1) CN114727944A (ko)
TW (1) TW202128140A (ko)
WO (1) WO2021131750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0039A (ja) 1991-09-20 1993-12-03 Taiyo Kagaku Co Ltd 美白化粧料
JP2004051627A (ja) 2002-05-28 2004-02-19 Japan Natural Laboratory Co Ltd ビタミンk等を有効成分とするくすみ、くま、目下のたるみ、紫斑、打撲によるあざ、レーザー治療後の紫斑等の改善化粧料、全身化粧料、パック類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3587A (en) * 1996-02-15 1997-07-01 Avon Products, Inc. Composition and method for under-eye skin lightening
JP2004196759A (ja) * 2002-12-18 2004-07-15 Takashi Suzuki ビタミンk類とビタミンe複合の美肌化粧料
CN101756849A (zh) * 2008-11-12 2010-06-30 孙延明 一种消除黑眼圈的美容膏
CN106983700A (zh) * 2017-03-29 2017-07-28 北海市宝珠林海洋科技有限公司 一种有效去除黑眼圈的眼霜
CN107397700A (zh) * 2017-06-12 2017-11-28 上海清轩生物科技有限公司 山茶花润肤油滋养化妆品及其制备方法
CN109316392A (zh) * 2018-11-26 2019-02-12 张庆 一种含有多种植物油的颜和悦舒活乐精油
CN109820792A (zh) * 2019-01-18 2019-05-31 东晟源研究院(广州)有限公司 一种改善黑眼圈的美白肌肤用品及其制备方法
CN109602686A (zh) * 2019-02-02 2019-04-12 西安力邦制药有限公司 一种水凝胶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0075014A (zh) * 2019-05-31 2019-08-02 广东盛美化妆品有限公司 一种美白淡斑精华油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0039A (ja) 1991-09-20 1993-12-03 Taiyo Kagaku Co Ltd 美白化粧料
JP2004051627A (ja) 2002-05-28 2004-02-19 Japan Natural Laboratory Co Ltd ビタミンk等を有効成分とするくすみ、くま、目下のたるみ、紫斑、打撲によるあざ、レーザー治療後の紫斑等の改善化粧料、全身化粧料、パック類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107342A (ja) 2021-07-29
WO2021131750A1 (ja) 2021-07-01
CN114727944A (zh) 2022-07-08
JP7333606B2 (ja) 2023-08-25
TW202128140A (zh) 2021-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ilali et al. Influence of origin and extraction method on argan oil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composition
US6391345B1 (en) Cranberry seed oil, cranberry seed flour and a method for making
CN106109274A (zh) 橡胶树种子油的应用及其制备方法
CN107929206A (zh) 一种具有抗皱活化多糖蛋白密集抗氧化护肤品
US20130316993A1 (en) Triglyceride compositions of plant origin for cosmetic applications obtained from olive oil deodorization distillate
CN105147551B (zh) 一种含牡丹活性成分的护肤品及其生产方法
CN113057902B (zh) 一种含水解植物蛋白的油茶籽油面霜及其制备方法
KR101002205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입술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122600A (ko) 눈가의 다크서클 개선용의 외용 조성물, 화장품 및 의약부 외품
EP2859882A1 (en) Natural skin care composition
KR101631695B1 (ko) 발 마사지 크림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A3085429A1 (en) Additive composition for improving feel on skin of cosmetics material
RU2801098C1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наружного применения для уменьшения тёмных кругов вокруг глаз, космет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и лечебно-профилактический препарат
US6646144B1 (en) Dimethicone copolyol cranberriate as a delivery system for natural antioxidants
KR20190075405A (ko) 비즈왁스와 동식물성 오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30069232A (ko) 적어도 하나의 하이드록시티로솔 및 적어도 하나의 설포라판을 함유하는 시너지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101877179B1 (ko) 유성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US7157104B1 (en) Guerbet cranberry esters as a delivery system for natural antioxidants
KR20210041784A (ko) 화장품 원료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CN108567729A (zh) 具有增加皮肤弹性及抗皱功能的化妆品组合物及其应用
KR102593971B1 (ko) 사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조성물
KR102537101B1 (ko) 스쿠알렌을 포함하는 나노 에멀젼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17606B1 (ko) 청유자 오일 유래 성분을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CN106999402A (zh) 睫毛用清洗剂
KR20220097029A (ko) 유지의 산패 억제용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