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1973A -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유압블럭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유압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1973A
KR20220121973A KR1020210025949A KR20210025949A KR20220121973A KR 20220121973 A KR20220121973 A KR 20220121973A KR 1020210025949 A KR1020210025949 A KR 1020210025949A KR 20210025949 A KR20210025949 A KR 20210025949A KR 20220121973 A KR20220121973 A KR 20220121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fluid
outlet valve
outlet
flow path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5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7683B1 (ko
Inventor
서유동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5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7683B1/ko
Priority to US17/237,219 priority patent/US11814022B2/en
Priority to CN202110813168.4A priority patent/CN114954397B/zh
Publication of KR20220121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1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04Arrangements of piping, valves in the piping, e.g. cut-off valves, couplings or air h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343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lay-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68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 B60T13/68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in hydraulic system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12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12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liquid
    • B60T13/1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liquid using accumulators or reservoirs fed by pumps
    • B60T13/142Systems with master cyl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12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liquid
    • B60T13/1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liquid using accumulators or reservoirs fed by pumps
    • B60T13/148Arrangements for pressure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5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cting on a hydraulic system, e.g. a master cylin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70/00Further aspects of brake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T2270/40Failsafe aspects of brake control systems
    • B60T2270/413Plausibility monitoring, cross check, redunda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1Braking systems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마스터실린더(master cylinder)로부터 브레이크 액(brake fluid)을 전달받는 제1 입력포트(first input port); 브레이크 액을 휠브레이크에게 토출시키는 제1 출력포트(first output port); 제1 입력포트와 제1 출력포트를 연결하는 제1 인렛유로(first main inlet line) 상에 설치되는 제1 인렛밸브를 수용하는 제1 인렛밸브 포트; 및 브레이크 액을 감압하도록 구성된 제1 아웃렛유로 상에 설치되는 제1 아웃렛밸브를 수용하는 제1 아웃렛밸브 포트를 포함하되, 제1 아웃렛유로는, 제1 아웃렛밸브 내부에 장착된 제1 플런저의 축방향으로 제1 아웃렛밸브를 가압하며 제1 아웃렛밸브에게 브레이크 액을 전달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유압블럭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유압블럭{Hydraulic Block of Electronic Brake System for Vehicle}
본 개시는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유압블럭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개시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차량의 자율주행(autonomous driving) 로드맵(roadmap)은 완전 비자동화인 0 단계, 운전자 보조 가능한 1단계, 부분 자동화가 가능한 2단계, 조건부 자동화가 가능한 3단계, 고도 자동화가 가능한 4단계 및 완전 자동화가 가능한 5 단계로 구분된다.
자율주행 차량은 차량의 주행뿐만 아니라, 제동(braking)의 자동화도 가능하다. 이때, 주제동시스템(main braking system)의 페일(fail) 시, 운전자의 개입 전까지(3 단계) 또는 운전자의 개입이 없더라도(4단계 이상), 리던던시(redundancy)가 가능한 제동 능력이 요구된다. 이를 위하여, 주제동시스템과 별도의 전원(power source)을 사용하는 유압블럭(hydraulic pressure block)을 추가로 설치하여 리던던시 기능을 확보한다.
유압블럭에는 브레이크 액의 증압 및 감압을 위해 인렛밸브 및 아웃렛밸브를 사용한다. 인렛밸브는 마스터실린더로부터 유입되는 브레이크 액이 인렛밸브 내부의 플런저(plunger)를 밀어 올리는 방향으로 브레이크 액이 유입된다. 따라서, 인렛밸브 내부의 플런저가 시트(seath)를 차단하고 있을 때 인렛밸브에 인가되는 전류를 선형적으로 감소시키면 마스터실린더에서 인렛밸브에 유입되는 브레이크 액을 선형적으로 증압시킬 수 있다.
반면, 아웃렛밸브의 경우, 마스터실린더에서 유입되는 브레이크 액이 아웃렛밸브의 측면 방향으로 유입된다. 따라서, 아웃렛밸브 내부의 플런저를 시트방향으로 가압하는 상태로 브레이크 액이 아웃렛밸브 내부에 유입된다. 여기서 아웃렛밸브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브레이크 액이 아웃렛밸브의 플런저를 가압하는 힘보다 큰 힘으로 플런저를 밀어올려야 한다. 즉, 아웃렛밸브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순간적으로 큰 힘이 필요하기 때문에, 제어부는 아웃렛밸브에게 순간적으로 큰 전류를 흘리도록 제어해야 한다. 따라서, 아웃렛밸브는 선형감압제어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이는 작동 노이즈 및 제어 정밀도에 악영향을 미친다.
이에,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유압블럭은, 브레이크 액이 아웃렛밸브에 유입될 때 아웃렛밸브 내부에 장착된 플런저를 밀어올리는 방향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아웃렛유로의 설계를 변경함으로써 제어부가 아웃렛밸브를 이용하여 선형감압제어를 수행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마스터실린더(master cylinder)로부터 브레이크 액(brake fluid)을 전달받는 제1 입력포트(first input port); 브레이크 액을 휠브레이크에게 토출시키는 제1 출력포트(first output port); 제1 입력포트와 제1 출력포트를 연결하는 제1 인렛유로(first main inlet line) 상에 설치되는 제1 인렛밸브를 수용하는 제1 인렛밸브 포트; 및 브레이크 액을 감압하도록 구성된 제1 아웃렛유로 상에 설치되는 제1 아웃렛밸브를 수용하는 제1 아웃렛밸브 포트를 포함하되, 제1 아웃렛유로는, 제1 아웃렛밸브 내부에 장착된 제1 플런저의 축방향으로 제1 아웃렛밸브를 가압하며 제1 아웃렛밸브에게 브레이크 액을 전달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유압블럭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브레이크 액이 아웃렛밸브에 유입될 때 아웃렛밸브 내부에 장착된 플런저를 밀어올리는 방향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아웃렛유로의 설계를 변경함으로써 제어부가 아웃렛밸브를 이용하여 선형감압제어를 수행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의 일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의 유압회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유압블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유압블럭 내부에서의 브레이크 액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i), ii),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나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의 일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1)은 페달(pedal, 10; 도 2 참조), 레저버(reservoir, 11; 도 2 참조), 마스터실린더(master cylinder, 12), 제1 서킷(first circuit, Ⅰ)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제1 유압블럭(first hydraulic block, 100) 및 제2 서킷(second circuit, Ⅱ)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제2 유압블럭(second hydraulic block, 20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레저버(11)는 브레이크 오일(brake oil)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마스터실린더(12)는 레저버(11)와 유체 연통되며(fluid communication), 레저버(11)로부터 토출된 브레이크 오일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된다. 마스터실린더(12)는 운전자에 의해 페달(10)의 답입이 있는 경우, 운전자의 요구 제동력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마스터실린더(12)는 텐덤타입(tandem type)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실린더(미도시)로부터 토출되는 브레이크 오일은 각각 제1 서킷(Ⅰ) 및 제2 서킷(Ⅱ)에게 전달된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 아니하나, 진공부스터(vacuum booster)가 페달(10) 및 마스터실린더(1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진공부스터에 의해 페달의 답입력(pedal stroke)이 배력(boosting)될 수 있다.
제1 유압블럭(100)은 제1 서킷(Ⅰ)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며, 마스터실린더(12) 및 복수의 휠브레이크 기구(FR, FL, RR 및 RL)의 사이에 배치된다. 마스터실린더(12)로부터 토출된 브레이크 오일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서킷(Ⅰ)을 통과하여 복수의 휠브레이크 기구(FR, FL, RR 및 RL)에 공급된다. 즉, 제1 유압블럭(100)은 제1 서킷(Ⅰ) 상에 배치되며, 제1 유압블럭(100)에 의해 제1 서킷(Ⅰ)을 유동하는 브레이크 오일의 유압(hydraulic pressure)이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다.
제1 유압블럭(100)은 바람직하게는 ESC(electronic stability control) 모듈일 수 있다.
복수의 휠브레이크 기구(FR, FL, RR 및 RL; 도 2 참조)는 레저버(11)로부터 토출된 브레이크 오일의 유압을 이용하여 복수의 차륜(wheel, 미도시)에 제동력(braking force)을 발생시킨다.
제2 유압블럭(200)은 제2 서킷(Ⅱ)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며, 마스터실린더(12) 및 복수의 휠브레이크 기구(FR, FL, RR 및 RL)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2 서킷(Ⅱ) 및 제2 유압블럭(200)의 구조 및 기술적 특징은 제1 서킷(Ⅰ) 및 제1 유압블럭(100)의 그것과 동일하거나 이에 준하는 것이므로, 이에 관한 설명은 제1 서킷(Ⅰ) 및 제1 유압블럭(100)에 관한 설명으로 갈음하도록 한다. 한편, 제1 유압블럭(100) 및 제2 유압블럭(200)은 동일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동일한 알고리즘으로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제품 개발 시, 로직 복잡성(logic complexity)이 감소하고, 오류 발생 가능성이 감소할 수 있다.
마스터실린더(12)의 내부에 구비된 복수의 실린더(미도시)에 제1 서킷(Ⅰ) 및 제2 서킷(Ⅱ)이 각각 연결된다. 제1 서킷(Ⅰ) 및 제2 서킷(Ⅱ)은 유체적으로 연통되지 아니한다.
제1 유압블럭(100) 및 제2 유압블럭(200)은 상호 독립적으로 작동한다. 제1 유압블럭(100)은 제1 유압블럭(100)에 구비된 제1 제어부(first electronic control unit, 150)에 의해 제어되고, 제2 유압블럭(200)은 제2 유압블럭(200)에 구비된 제2 제어부(second electronic control unit, 250)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제1 제어부(150) 및 제2 제어부(250)는 별도의 독립적인 전원(power supply, 미도시)를 구비하므로, 제1 유압블럭(100) 및 제2 유압블럭(200)은 별도의 독립적인 전력계통(power line)을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브레이크 시스템(1)은 독립적으로 제어 및 구동되는 복수의 모듈(100 및 200)을 포함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모듈에 페일(fail)이 발생하는 경우라도, 다른 하나의 모듈을 이용하여 브레이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 의한 브레이크 시스템(1)은 리던던시 기능이 확보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의 유압회로도이다. 본 개시에서, 유로의 상대적 위치와 관련하여, "전방(forward)" 또는 "후방(backward)"으로 지칭되는 것은 브레이크 오일이 유동할 때, 레저버(11)로부터 더 가까운 거리에 배치된 영역을 "전방"이라 지칭하고, 더 먼 거리에 배치된 영역을 "후방"이라 지칭한다. 그러나 이는 직접적으로 연속하여 전방 또는 후방인 것을 의미하는 것뿐만 아니라, 이격되어 있더라도 상대적으로 더 먼 유로를 의미한다.
또한, 본 개시에서는 제1 유압블럭(100)이 제1 휠브레이크 기구(FL) 및 제2 휠브레이크 기구(RR)에 유압을 제공하고, 제2 유압블럭(200)이 제3 휠브레이크 기구(FR) 및 제4 휠브레이크 기구(RL)에 유압을 제공하는, X-split 형태의 도관(conduit)인 것으로 도시되었다. 그러나, 본 개시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H-split 형태의 도관이 채택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복수의 유압블럭(100 및 200)의 구성요소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유압블럭(100)은 제1 메인 인렛유로(first main inlet line, 110), 제1 구동부(first actuating unit, 120), 제1 메인 아웃렛유로(first main outlet line, 130), 제1 순환유로(first circulation line, 140) 및 제1 제어부(first electronic control unit, 15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제1 메인 인렛유로(110)는 제1 유압블럭(100)의 내부에 형성되며, 제1 서킷(Ⅰ)으로부터 유입된 브레이크 오일을 하나 이상의 휠브레이크 기구(FL 및 RR)에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제1 메인 인렛유로(110) 상의 일 지점에는 제1 트랙션 컨트롤밸브(first traction control valve, TCV1)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트랙션 컨트롤밸브(TCV1)에 의해 제1 메인 인렛유로(110)의 개폐가 조절된다. 제1 트랙션 컨트롤밸브(TCV1)는 노멀오픈타입(normal open type)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동신호가 인가되지 않을 때인 비전원모드(non-powered mode)인 경우, 제1 트랙션 컨트롤밸브(TCV1)는 개방된다. 제1 트랙션 컨트롤밸브(TCV1)가 폐쇄되는 경우, 제1 구동부(120)에 의해 증압된 브레이크 오일의 일부가 마스터실린더(12)로 역류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메인 인렛유로(110)는 제1 인렛유로(112) 및 제2 인렛유로(114)로 분기(branched out)된다. 제1 인렛유로(112) 및 제2 인렛유로(114)는 제1 유압블럭(100)의 내부에 형성되며 각각 제1 휠브레이크 기구(FL) 및 제2 휠브레이크 기구(RR)에 연결된다.
제1 인렛유로(112) 상의 일 지점에는 제1 인렛밸브(FLIV)가 배치되며, 제1 인렛밸브(FLIV)에 의해 제1 인렛유로(112)의 개폐가 조절된다. 제1 인렛유로(112) 및 제1 펌프(SP1)의 출구부가 연결되는 지점의 전방에 제1 인렛밸브(FLIV)가 배치된다. 제1 인렛밸브(FLIV)는 노멀오픈타입(normal open type)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비전원모드인 경우, 제1 인렛밸브(FLIV)는 개방된다. 제1 인렛밸브(FLIV)가 폐쇄되는 경우, 제1 펌프(SP1)에 의해 증압된 브레이크 오일의 일부가 제1 휠브레이크 기구(FL)에게 전달되지 않는다.
제2 인렛유로(114) 및 제2 인렛밸브(RRIV)에 관한 설명은 각각 제1 인렛유로(112) 및 제1 인렛밸브(FLIV)에 관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제1 구동부(120)는 제1 펌프(SP1) 및 제1 펌프(SP1)를 구동하도록 형성된 모터(M)를 포함한다. 제1 펌프(SP1)의 출구부는 제1 메인 인렛유로(110) 상의 일 지점에 연결된다. 이때, 제1 펌프(SP1)의 출구부 및 제1 메인 인렛유로(110)가 연결되는 지점은, 제1 인렛유로(112) 및 제2 인렛유로(114)의 분기점(bifurcation)의 전방에 형성된다. 제1 펌프(SP1)가 구동되면, 인렛유로들(110, 112 및 114) 중 하나 이상의 내부 유압이 증가할 수 있다.
제1 메인 아웃렛유로(130)는 제1 인렛유로(112) 및 제2 인렛유로(114)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토출된 브레이크 오일의 적어도 일부를 제1 구동부(120)에게 전달하도록 형성된다.
제1 아웃렛유로(132)의 일단은 제1 인렛밸브(FLIV)의 후방에 형성된 제1 인렛유로(112) 상의 분기점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1 메인 아웃렛유로(130) 상의 일 지점에 연결된다.
제1 아웃렛유로(132) 상의 일 지점에는 제1 아웃렛밸브(FLOV)가 배치된다. 제1 아웃렛밸브(FLOV)가 개방되면, 제1 인렛유로(112)를 유동하는 브레이크 오일의 적어도 일부가 제1 아웃렛유로(132)로 토출된다.
제2 아웃렛유로(134) 및 제2 아웃렛밸브(RROV)에 관한 설명은 각각 제1 아웃렛유로(132) 및 제1 아웃렛밸브(FLOV)에 관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제1 아웃렛유로(132) 및 제2 아웃렛유로(134)는 제1 메인 아웃렛유로(130) 상에 형성된 일 지점에서 합류된다.
제1 메인 아웃렛유로(130) 상에는 제1 어큐뮬레이터(A1)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어큐뮬레이터(A1)는 제1 아웃렛유로(132) 및 제2 아웃렛유로(134)의 합류점의 후방에 배치된다. 제1 아웃렛유로(132) 및 제2 아웃렛유로(134)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토출된 브레이크 오일의 전부 또는 일부가 제1 어큐뮬레이터(A1)에 일시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브레이크 오일의 맥동(pulsation)으로 인해 복수의 아웃렛유로(130, 132 및 134)에 발생하는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아웃렛유로(130, 132 및 134)에 발생하는 피해라 함은, 예컨대 지속적인 맥동에 유로가 장기간 노출된 경우, 유로의 적어도 일부에 발생하는 피로(fatigue), 변형(deformation) 또는 마모(abrasion) 등을 포함한다.
제1 순환유로(140)는, 일단이 제1 트랙션 컨트롤밸브(TCV1)의 전방에 형성된 제1 메인 인렛유로(110) 상의 일 지점에 연결된다. 제1 순환유로(140)의 타단은 제1 펌프(SP1)의 입구부에 인접한 제1 메인 아웃렛유로(130) 상의 일 지점에 연결된다. 이때, 제1 순환유로(140)의 타단이 제1 메인 아웃렛유로(130)에 연결되는 지점은, 바람직하게는 제1 어큐뮬레이터(A1)의 후방에 형성된다. 레저버(11)로부터 공급된 브레이크 오일의 전부 또는 일부가 제1 순환유로(140)를 통과하여 제1 구동부(120)에게 공급될 수 있다.
제1 순환유로(140) 상의 일 지점에는 제1 고압 스위칭밸브(first high pressure switching valve, HSV1)가 배치되고, 제1 고압 스위칭밸브(HSV1)는 제1 순환유로(140)의 개폐를 조절한다. 제1 고압 스위칭밸브(HSV1)는 노멀클로즈타입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비전원모드인 경우, 제1 고압 스위칭밸브(HSV1)는 폐쇄된다. 제1 고압 스위칭밸브(HSV1)가 개방되면, 레저버(11)로부터 공급된 브레이크 오일의 전부 또는 일부가 제1 구동부(120)에 공급될 수 있다.
제1 메인 아웃렛유로(130) 상에는 제1 체크밸브(first check valve, ACV1)가 배치된다. 이때, 제1 체크밸브(ACV1)는 제1 순환유로(140) 및 제1 메인 아웃렛유로(130)의 합류점의 전방에 형성된 일 지점에 배치된다. 이때, 제1 체크밸브(ACV1)는 제1 어큐뮬레이터(A1)의 후방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제1 순환유로(140)로부터 유입된 브레이크 오일이 제1 어큐뮬레이터(A1)로의 유입이 방지될 수 있다.
제1 제어부(150)는 제1 유압블럭(100)에 장착된다. 제1 제어부(150)는 제1 유압블럭(100)에 장착된 복수의 밸브들 및 구동부 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다시 말해, 제1 제어부(150)는 제동에 필요한 유압이 복수의 휠브레이크 기구(FR, FL, RR 및 RL) 중 적어도 일부에게 제공되도록 제1 유압블럭(100)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한다.
제2 유압블럭(200)의 구성 및 기술적 특징은 제1 유압블럭(100)과 동일하거나 이에 준하는 것이므로, 제2 유압블럭(200)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제1 유압블럭(100)에 관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제1 제어부(150)는 제1 전원(미도시)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고, 제2 제어부(250)는 제2 전원(미도시)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는다. 따라서, 제1 전원 및 제2 전원 중 어느 하나에 페일(fail)이 발생할 경우, 다른 하나의 전원에 연결된 제어부가 제동을 위한 유압을 생성하도록 유압블럭에 제어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개시에 의한 브레이크 시스템(1)은 리던던시가 확보된다.
본 개시에 의한 브레이크 시스템(1)은 제1 메인 인렛유로(110) 또는 제2 메인 인렛유로(210) 중 어느 하나의 내부 압력을 센싱(sensing)하도록 형성된 유압센서(도면부호 미표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력센서는 페달(10)이 가압 되거나, 자율주행 중 복수의 모듈(100 및 200)의 강제 구동이 있는 경우, 마스터실린더(12)의 압력을 측정함으로써, 시스템의 비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달(10)의 답입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압력센서에 의해 마스터실린더(12)의 압력이 변동하지 아니하는 경우, 브레이크 시스템(1)의 적어도 일부에 페일(fail)이 검출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제1 유압블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제1 유압블럭(100)은 제1 입력포트(first input port, 301), 제1 출력포트(first output port, 302), 제2 출력포트(second output port, 303), 제1 인렛유로(first main inlet line, 112), 제2 인렛유로(second main inlet line), 제1 아웃렛유로(first outlet line, 132), 제1 선형감압유로(first linear pressure reducing flow line, 132a), 제2 아웃렛유로(second outlet line, 134), 제2 선형감압유로(second linear pressure reducing flow line, 134a), 제1 트랙션 컨트롤밸브 포트(311), 제1 인렛밸브 포트(first inlet valve port, 312), 제2 인렛밸브 포트(second inlet valve port, 313), 제1 아웃렛밸브 포트(first outlet valve port, 314) 및 제2 아웃렛밸브 포트(second outlet valve port, 315)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제1 입력포트(301)는 마스터실린더(도 2의 12)로부터 브레이크 액을 전달받도록 형성된다.
제1 출력포트(302) 및 제2 출력포트(303)는 제1 입력포트(301)가 전달받은 브레이크 액을 복수의 휠브레이크 기구(FR, FL, RR 및 RL) 중 적어도 일부에게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출력포트(302)는 제1 입력포트(301)에 유입된 브레이크 액을 휠브레이크 기구, 예컨대, 제1 휠브레이크 기구(FL)에게 전달한다. 또한 제2 출력포트(303)는 제1 입력포트(301)에 유입된 브레이크 액을 휠브레이크 기구, 예컨대, 제2 휠브레이크 기구(RR)에게 전달한다.
제1 트랙션 컨트롤밸브 포트(311)는 제1 트랙션 컨트롤밸브(TCV1)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1 인렛밸브 포트(312)에는 제1 인렛밸브(FLIV)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제2 인렛밸브 포트(313)는 제2 인렛밸브(RRIV)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1 아웃렛밸브 포트(314)는 제1 아웃렛밸브(FLOV)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제2 아웃렛밸브 포트(315)는 제2 아웃렛밸브(RROV)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1 인렛유로(112)는 제1 입력포트(301)와 제1 출력포트(302)를 상호 연결하는 유로이고, 제2 인렛유로(114)는 제1 입력포트(301)와 제2 출력포트(303) 사이를 연결하는 유로이다.
일반적인 솔레노이드 밸브는 플런저(plunger, 미도시)를 포함한다. 브레이크 액이 솔레노이드 밸브 내부로 유입될 때 플런저는 브레이크 액에 의해 가압된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인렛밸브의 경우, 브레이크 액이 인렛밸브 내부로 유입될 때 브레이크 액은 플런저의 축방향, 즉, 인렛밸브 내부에 설치된 플런저를 밀어 올리는 방향으로 압력을 가한다. 한편 일반적인 아웃렛밸브의 경우, 브레이크 액이 아웃렛밸브 내부로 유입될 때 브레이크 액은 플런저 축의 수직방향, 즉, 아웃렛밸브 내부에 설치된 플런저를 제1 유압블럭 연직아래 방향으로 압력을 가한다.
따라서, 일반적인 아웃렛밸브가 플런저 축의 수직방향으로 가압되는 압력을 해제하고 아웃렛밸브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순간적으로 큰 힘이 필요하다.
인렛밸브의 경우 브레이크 액이 솔레노이드 밸브에게 플런저 축의 수직방향으로 압력을 서서히 가압하기 때문에 선형증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반면, 일반적인 아웃렛밸브의 경우 브레이크 액이 솔레노이드 밸브에게 플런저 축의 수직방향으로 큰 힘을 순간적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선형감압이 어렵다.
그러나,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유압블럭은 내부의 제1 아웃렛유로(132) 및 제2 아웃렛유로(134)의 설계를 변경함으로써 선형감압이 가능해진 효과가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유압블럭은 제1 유압블럭(100) 및 제2 유압블럭(200)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유압블럭 내부는 종래의 단일모듈보다 구성이 간소화되어 여유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유압블럭은 이러한 여유공간을 활용하도록 제1 아웃렛유로(132) 및 제2 아웃렛유로(134)의 설계를 변경한다. 예컨대, 제1 아웃렛유로(132)는 제1 선형감압유로(132a)를 더 포함하고, 제2 아웃렛유로(134)는 제2 선형감압유로(134a)를 더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제1 아웃렛밸브(FLOV) 및 제2 아웃렛밸브(RROV)에게 플런저의 축방향으로 브레이크 액이 전달될 수 있다.
플런저의 축방향으로 브레이크 액을 아웃렛밸브에게 전달하면, 브레이크 액이 솔레노이드 밸브 내부로 유입될 때 플런저를 서서히 밀어올리기 때문에 브레이크 액을 선형감압할 수 있다.
제1 아웃렛유로(132)는 제1 선형감압유로(132a)를 포함하고, 제1 선형감압유로(132a)는 제1 아웃렛유로(132)로부터 전달받은 브레이크 액을 우회시켜 제1 아웃렛밸브 포트(314)와 평행한 방향으로 제1 아웃렛밸브(FLOV)에게 브레이크 액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제1 선형감압유로(132a)는 제1 입력포트(101) 또는 제1 아웃렛유로(132)로부터 연직 아래방향으로 브레이크 액을 전달받는다. 제1 선형감압유로(132a)는 브레이크 액을 우회시켜 제1 아웃렛밸브(FLOV)에 설치된 제1 플런저(미도시)를 밀어올리는 방향으로 제1 아웃렛밸브(FLOV)에게 브레이크 액을 공급한다.
마찬가지로, 제2 선형감압유로(134a)는 제1 입력포트(101) 또는 제2 아웃렛유로(134)로부터 연직 아래방향으로 브레이크 액을 전달받는다. 제2 선형감압유로(134a)는 브레이크 액을 우회시켜 제2 아웃렛밸브(RROV)에 설치된 제2 플런저(미도시)를 밀어올리는 방향으로 제2 아웃렛밸브(RROV)에게 브레이크 액을 공급한다.
즉, 제1 아웃렛밸브(FLOV) 및 제2 아웃렛밸브(RROV)에 브레이크 액이 공급될 때 제1 플런저 및 제2 플런저는 축방향으로 서서히 밀어올려지기 때문에 아웃렛밸브는 브레이크 액을 선형감압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유압블럭 내부에서의 브레이크 액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에 도시된 화살표는 브레이크 액의 흐름을 나타낸다.
제1 제어부(150)는 제1 아웃렛밸브 포트(314)에 장착된 제1 아웃렛밸브(FLOV)를 이용하여 브레이크 액을 감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입력포트(101)로부터 유입된 브레이크 액은 제1 인렛밸브 포트(312)에 장착된 제1 인렛밸브(FLIV)를 통과한다. 통과된 브레이크 액의 일부는 제1 아웃렛유로(132)에 토출되고, 토출된 브레이크 액은 아래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선형감압유로(132a)에 유입된다.
여기서 제1 선형감압유로(132a)는 아래방향으로 흐르는 브레이크 액을 우회시킨다. 예를 들어, 제1 선형감압유로(132a)는 브레이크 액이 제1 플런저를 밀어올리는 방향으로 브레이크 액을 우회시킨 후 제1 아웃렛밸브(FLOV)에게 브레이크 액을 공급한다.
따라서, 제1 제어부(150)는 제1 아웃렛밸브(FLOV)에 흐르는 전류를 서서히 변화시킴으로써 제1 아웃렛밸브(FLOV)에 유입되는 브레이크 액을 선형감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아웃렛밸브(FLOV)에 흐르는 전류를 증가시켜 감압을 수행하거나, 제1 아웃렛밸브(FLOV)에 흐르는 전류를 감소시켜 감압을 수행하는 방법 모두가 적용될 수 있다.
제1 제어부(150)가 제2 아웃렛밸브(RROV)를 이용하여 선형갑압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은 제1 아웃렛밸브(FLOV)의 선형감압과정에 관한 설명으로 갈음하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브레이크 시스템 10: 페달
11: 레저버 12: 마스터실린더
100: 제1 유압블럭 200: 제2 유압블럭
110: 제1 메인 인렛유로 112: 제1 인렛유로
114: 제2 인렛유로 120: 제1 구동부
130: 제1 메인 아웃렛유로 132: 제1 아웃렛유로
134: 제2 아웃렛유로 140: 제1 순환유로
150: 제1 제어부 301: 제1 입력포트
302: 제1 출력포트 303: 제2 출력포트
311: 제1 트랙션 컨트롤밸브 포트 312: 제1 인렛밸브 포트
313: 제2 인렛밸브 포트 314; 제1 아웃렛밸브 포트
315: 제2 아웃렛밸브 포트 132a 제1 선형감압유로
134a: 제2 선형감압유로(134a)

Claims (10)

  1. 마스터실린더(master cylinder)로부터 브레이크 액(brake fluid)을 전달받는 제1 입력포트(first input port);
    상기 브레이크 액을 휠브레이크에게 토출시키는 제1 출력포트(first output port);
    상기 제1 입력포트와 상기 제1 출력포트를 연결하는 제1 인렛유로(first main inlet line) 상에 설치되는 제1 인렛밸브를 수용하는 제1 인렛밸브 포트; 및
    상기 브레이크 액을 감압하도록 구성된 제1 아웃렛유로 상에 설치되는 제1 아웃렛밸브를 수용하는 제1 아웃렛밸브 포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아웃렛유로는,
    상기 제1 아웃렛밸브 내부에 장착된 제1 플런저의 축방향으로 상기 제1 아웃렛밸브를 가압하며 상기 제1 아웃렛밸브에게 상기 브레이크 액을 전달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유압블럭.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웃렛밸브는,
    상기 제1 아웃렛유로로부터 상기 제1 플런저의 축방향으로 상기 브레이크 액을 전달받아 상기 브레이크 액을 선형감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유압블럭.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웃렛유로는 제1 선형감압유로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선형감압유로는,
    상기 제1 입력포트로부터 연직 아래방향으로 상기 브레이크 액을 전달받고, 상기 브레이크 액을 우회시켜 상기 제1 아웃렛밸브 포트와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브레이크 액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유압블럭.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형감압유로는,
    상기 제1 아웃렛유로로부터 수직으로 연통되어 상기 브레이크 액을 전달받고,
    상기 브레이크 액을 우회시켜 상기 제1 플런저를 밀어올리는 방향으로 상기 브레이크 액을 상기 제1 아웃렛밸브에게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유압블럭.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웃렛밸브 포트는,
    상기 제1 선형감압유로와 동일 평면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유압블럭.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포트로부터 상기 브레이크 액을 휠브레이크에게 토출시키는 제2 출력포트(first output port);
    상기 제1 입력포트와 상기 제2 출력포트를 연결하는 제2 인렛유로(second main inlet line) 상에 설치되는 제2 인렛밸브를 수용하는 제2 인렛밸브 포트;
    상기 브레이크 액을 감압하도록 구성된 제2 아웃렛유로 상에 설치되는 제2 아웃렛밸브를 수용하는 제2 아웃렛밸브 포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아웃렛유로는,
    상기 제2 아웃렛밸브 내부에 장착된 제2 플런저의 축방향으로 상기 제2 아웃렛밸브를 가압하며 상기 제2 아웃렛밸브에게 상기 브레이크 액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유압블럭.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아웃렛밸브는,
    상기 제2 아웃렛유로로부터 상기 제2 플런저의 축방향으로 상기 브레이크 액을 전달받아 상기 브레이크 액을 선형감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유압블럭.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아웃렛유로는 제2 선형감압유로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선형감압유로는,
    상기 제1 입력포트로부터 연직 아래방향으로 상기 브레이크 액을 전달받고, 상기 브레이크 액을 우회시켜 상기 제2 아웃렛밸브 포트와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브레이크 액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유압블럭.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선형감압유로는,
    상기 제2 아웃렛유로로부터 수직으로 연통되어 연직 아래방향으로 상기 브레이크 액을 전달받고,
    상기 브레이크 액을 우회시켜 상기 제2 플런저를 밀어올리는 방향으로 상기 브레이크 액을 상기 제2 아웃렛밸브에게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유압블럭.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아웃렛밸브 포트는,
    상기 제2 선형감압유로와 동일 평면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유압블럭.
KR1020210025949A 2021-02-25 2021-02-25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유압블럭 KR102507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949A KR102507683B1 (ko) 2021-02-25 2021-02-25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유압블럭
US17/237,219 US11814022B2 (en) 2021-02-25 2021-04-22 Hydraulic block of electronic brake system for vehicle
CN202110813168.4A CN114954397B (zh) 2021-02-25 2021-07-19 车辆的电子制动系统的液压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949A KR102507683B1 (ko) 2021-02-25 2021-02-25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유압블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1973A true KR20220121973A (ko) 2022-09-02
KR102507683B1 KR102507683B1 (ko) 2023-03-08

Family

ID=82900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5949A KR102507683B1 (ko) 2021-02-25 2021-02-25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유압블럭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814022B2 (ko)
KR (1) KR102507683B1 (ko)
CN (1) CN11495439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7683B1 (ko) * 2021-02-25 2023-03-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유압블럭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7889A (ko) * 2007-10-02 2010-06-01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트랙션 제어 가능한 유압식 차량 브레이크 시스템용 유압 어셈블리
KR20170111310A (ko) * 2016-03-28 2017-10-12 주식회사 만도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밸브블록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3945A (en) * 1990-05-25 1994-08-02 Alfred Teves Gmbh Brake pressure control apparatus
JP2005096592A (ja) 2003-09-24 2005-04-14 Hitachi Unisia Automotive Ltd ブレーキ液圧制御装置
JP4841884B2 (ja) 2005-07-19 2011-12-21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ブレーキユニット
US8038230B2 (en) * 2006-03-31 2011-10-18 Nissin Kogyo Co., Ltd. Vehicle brake hydraulic pressure controller
DE102013203594A1 (de) 2012-03-06 2013-09-12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remsanlage für Kraftfahrzeuge sowie Bremsanlage
DE102015205543A1 (de) * 2015-03-26 2016-09-29 Robert Bosch Gmbh Hydraulikblock für ein Hydroaggregat einer Bremsregelung einer hydraulischen Fahrzeugbremsanlage
DE102019210260A1 (de) * 2019-07-11 2021-01-14 Robert Bosch Gmbh Pumpengehäuse eines Hydraulikaggregats mit einer Auslassventilaufnahme
DE102020208958A1 (de) * 2020-07-17 2022-01-20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Hydraulikblock für ein Hydraulikaggregat für eine Schlupfregelung einer hydraulischen Fahrzeugbremsanlage
KR102507683B1 (ko) * 2021-02-25 2023-03-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유압블럭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7889A (ko) * 2007-10-02 2010-06-01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트랙션 제어 가능한 유압식 차량 브레이크 시스템용 유압 어셈블리
KR20170111310A (ko) * 2016-03-28 2017-10-12 주식회사 만도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밸브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954397B (zh) 2023-11-14
US20220266809A1 (en) 2022-08-25
KR102507683B1 (ko) 2023-03-08
CN114954397A (zh) 2022-08-30
US11814022B2 (en) 2023-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1141B2 (en) Electric brake system
US20200139949A1 (en) Braking system
CN110520339B (zh) 液压式机动车制动装置和用于运行和用于检查该机动车制动装置的方法
US7469974B2 (en) Vehicle brake control device
CN113573957B (zh) 具有至少两个液压回路和至少两个压力供应装置的液压系统
US202202345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ctric hydraulic brake
CN112572380A (zh) 汽车的制动系统、汽车及制动系统的控制方法
KR102507683B1 (ko)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유압블럭
CN113525320B (zh) 汽车中制动系统的液压调节单元、制动系统及控制方法
KR102507730B1 (ko) 차량용 전자제동장치의 유압블럭
CN112572381B (zh) 汽车的分布式制动系统、汽车及其控制方法
KR102441937B1 (ko) 전자유압식 브레이크 시스템
US20220363229A1 (en) Brake system for a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a brake system
US20240001899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brake system and brake system for motor vehicles
KR20210121857A (ko) 보조제동부용 유압블록을 포함하는 차량의 브레이크 장치
CN114771478B (zh) 电动液压制动系统及其控制方法
KR20220098060A (ko) 회생제동이 가능한 자율주행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230144112A1 (en) Electronic brake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230148031A1 (en) Control method for electronic hydraulic brake
US11926295B2 (en) Electro-hydraulic brake device
CN112744203B (zh) 电液制动系统及应用于电液制动系统的方法、车辆
KR20210117689A (ko) 자율주행 차량용 전자 유압식 브레이크 장치
KR20210115983A (ko) 전자식 유압 브레이크 장치
KR20210117691A (ko) 4 휠 제어가 가능한 전자 유압식 브레이크 장치
CN117261852A (zh) 电动液压制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