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1905A - 향미 발생 세그먼트, 및 이를 구비하는 향미 발생 물품 및 향미 흡인 시스템 - Google Patents

향미 발생 세그먼트, 및 이를 구비하는 향미 발생 물품 및 향미 흡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1905A
KR20220121905A KR1020227028591A KR20227028591A KR20220121905A KR 20220121905 A KR20220121905 A KR 20220121905A KR 1020227028591 A KR1020227028591 A KR 1020227028591A KR 20227028591 A KR20227028591 A KR 20227028591A KR 20220121905 A KR20220121905 A KR 20220121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vor
generating
flavor generating
segment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8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0990B1 (ko
Inventor
마나부 야마다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21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1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20Cigarette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CMACHINES FOR MA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C5/00Making cigarettes; Making tipping materials for, or attaching filters or mouthpieces to, cigars or cigarettes
    • A24C5/01Making cigarettes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2Cigars; Cigarettes with special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4Cigars; Cigarettes with mouthpieces or filter-tips
    • A24D1/045Cigars; Cigarettes with mouthpieces or filter-tips with smoke filter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30Devices using two or more structurally separated inhalable precursors, e.g. using two liquid precursors in two cartridg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Landscapes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Manufacture Of Tobacco Products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 Manufacturing Of Cigar And Cigarette Tobacco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제1 향미 발생 부재 및 제2 향미 발생 부재를 구비하는 향미 발생 세그먼트로서, 상기 제1 및 제2 향미 발생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향미 발생 부재는 복수의 적층된 향미 발생 시트를 포함하며, 또 적어도 1쌍의 인접하는 상기 향미 발생 시트 사이에 해당 향미 발생 시트끼리가 접촉하지 않는 비접촉부를 가지며, 상기 시트의 주면이 다른쪽의 향미 발생 부재와 대향해 있는, 향미 발생 세그먼트, 이를 구비하는 향미 발생 물품 및 향미 흡인 시스템. 해당 향미 발생 세그먼트는 양호한 향끽미를 준다.

Description

향미 발생 세그먼트, 및 이를 구비하는 향미 발생 물품 및 향미 흡인 시스템{Flavor generating segment, and flavor generating article and flavor inhalation system equipped therewith}
본 발명은, 향미(香味) 발생 세그먼트(segment), 및 이를 구비하는 향미 발생 물품 및 향미 흡인(吸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담배의 대체(代替)로서 비연소형(非燃燒型) 향미 흡인 시스템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평판 모양 히터를 수납하기 위한 오목부(凹部)를 가지는 케이스 및 해당 케이스 내에 흡연 가능 재료의 적층체(積層體)를 구비하는 담배 카트리지로서, 해당 적층체가 상기 히터와 상기 케이스의 오목부의 벽을 개재하여 근접하도록 케이스 내부 표면에 배치되어 있는 담배 카트리지가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1의 도 4).
특허문헌 1: 국제 공개 제2016/156495호
비연소형 향미 흡인 시스템에서는 더 양호한 향끽미(香喫味)를 얻는 것이 요구되고 있지만,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는 아직 개선의 여지가 있다.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양호한 향끽미를 부여하는 향미 발생 세그먼트, 이를 구비하는 향미 발생 물품 및 향미 흡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발명자 등은 특정 구조를 가지는 향미 발생 세그먼트가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했다. 즉, 상기 과제는 이하의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된다.
[1] 제1 향미 발생 부재 및 제2 향미 발생 부재를 구비하는 향미 발생 세그먼트로서,
상기 제1 및 제2 향미 발생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적층된 향미 발생 시트를 포함하고, 또 적어도 1쌍의 인접하는 상기 향미 발생 시트 사이에 해당 향미 발생 시트끼리가 접촉하지 않는 비접촉부(非接觸部)를 가지며,
상기 향미 발생 시트의 주면(主面)이 다른쪽의 향미 발생 부재와 대향(對向)해 있는,
향미 발생 세그먼트.
[2] 적어도 1쌍의 인접하는 상기 향미 발생 시트 사이에, 해당 향미 발생 시트끼리가 접촉해 있는 접촉부를 더 가지는, [1]에 기재된 향미 발생 세그먼트.
[3] 상기 접촉부를 둘 이상 가지며, 상기 비접촉부가 해당 접촉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2]에 기재된 향미 발생 세그먼트.
[4] 상기 제1 향미 발생 부재와 제2 향미 발생 부재 사이에 공간을 가지는,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향미 발생 세그먼트.
[5] 상기 제1 향미 발생 부재 및 제2 향미 발생 부재가 전열(傳熱) 시트를 포함하며, 해당 전열 시트는 상기 공간에 노출되어 있는, [4]에 기재된 향미 발생 세그먼트.
[6] 상기 복수의 향미 발생 시트 중 적어도 1장(枚)은, 적어도 한쪽 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 표면 가공이 실시되어 있는,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향미 발생 세그먼트.
[7] 상기 표면 가공이 권축(捲縮) 가공인, [6]에 기재된 향미 발생 세그먼트.
[8] 상기 향미 발생 부재의 외측에 래퍼를 구비하는,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향미 발생 세그먼트.
[9] 상기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향미 발생 세그먼트 및 필터를 구비하며, 해당 필터 측으로부터 흡인 가능한 향미 발생 물품.
[10] 상기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향미 발생 세그먼트와, 해당 향미 발생 세그먼트를 가열하는 히터를 구비하는, 향미 흡인 시스템.
[11] 상기 향미 발생 세그먼트가, 상기 제1 향미 발생 부재와 제2 향미 발생 부재 사이에 공간을 가지며, 상기 히터는, 상기 히터의 적어도 일부가 해당 공간 내에 위치하게 하는 것이 가능한 형상을 구비하고 있는, [10]에 기재된 향미 흡인 시스템.
[12] 상기 제1 향미 발생 부재와 제2 향미 발생 부재가, 상기 공간에 노출되는 전열 시트를 포함하며, 해당 상기 전열 시트가 상기 히터와 대면(對面)하는, [11]에 기재된 향미 흡인 시스템.
[13] 상기 히터가 평판형(平板型) 히터인, [10]∼[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향미 흡인 시스템.
[14] 기재(基材) 상에, 상기 제1 향미 발생 부재 및 제2 향미 발생 부재를 이간(離間)하여 재치(載置)하는 공정 A,
해당 2개의 향미 발생 부재의 상면을 서로 대면시키도록 상기 기재를 접어(折疊) 로드 모양의 세그먼트를 형성하는 공정 B를 구비하는,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향미 발생 세그먼트의 제조 방법.
[15] 상기 공정 B가, 상기 2개의 대향하는 향미 발생 부재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14]에 기재된 제조 방법.
[16] 상기 공정 A가, 상기 기재상의, 제1 향미 발생 부재 및 제2 향미 발생 부재와의 사이에 개구부(開口部)를 마련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14] 또는 [15]에 기재된 제조 방법.
[17] 상기 [1]∼[8]에 기재된 향미 발생 세그먼트의 전구체(前驅體)로서,
기재, 및
해당 기재상에, 이간하여 배치된 제1 향미 발생 부재 및 제2 향미 발생 부재를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의 향미 발생 부재는, 기재에 평행하게 적층된 복수의 향미 발생 시트를 포함하고, 또 적어도 1쌍의 인접하는 상기 향미 발생 시트 사이에 해당 향미 발생 시트끼리가 접촉하지 않는 비접촉부를 가지는, 전구체.
본 발명에 따라, 양호한 향끽미를 부여하는 향미 발생 세그먼트, 이를 구비하는 향미 발생 물품 및 향미 흡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본 발명의 향미 흡인 시스템의 개요도
[도 2a] 본 발명의 향미 발생 세그먼트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
[도 2b] 본 발명의 향미 발생 세그먼트의 일부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
[도 2c] 적층된 향미 발생 시트의 일 태양(態樣)을 나타내는 도면
[도 2d] 적층된 향미 발생 시트에 마련된 간극을 나타내는 도면
[도 3] 본 발명의 향미 발생 물품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
[도 4] 히터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5] 본 발명의 향미 발생 세그먼트의 제조 방법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
[도 6] 본 발명의 향미 발생 세그먼트의 제조 방법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
[도 7] 본 발명의 향미 발생 물품의 제조 방법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
[도 8a] 본 발명의 향미 발생 물품의 제조 방법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
[도 8b] 본 발명의 향미 발생 물품의 제조 방법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
[도 9] 본 발명의 향미 흡인 시스템의 제조 방법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 향미 발생 시트의 배치의 일 태양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에서, 향미 발생 세그먼트란 향미를 발생시키기 위한 기재(基材)이다. 향미 발생 물품이란 적어도 향미 발생 세그먼트(segment)를 포함하며, 향미를 발생 가능한 물품 혹은 향미를 흡인 가능한 로드 모양의 물품이다. 향미 발생 물품은 향미 발생 세그먼트를 포함하는데, 향미 발생 세그먼트 자체가 향미 발생 물품이어도 된다. 향미 흡인 시스템이란 향미 발생 물품과, 히터를 구비한 가열 유닛의 조합을 말한다.
1. 향미 발생 세그먼트
본 발명의 향미 발생 세그먼트의 일 태양(態樣)을 도 2a에 나타낸다. 도 2a에서, 1a는 제1 향미 발생 부재, 1b는 제2 향미 발생 부재, 10은 향미 발생 시트, 10out은 최외층(最外層)의 향미 발생 시트, 10in은 최내층(最內層)의 향미 발생 시트, 14는 공간, 16은 전열(傳熱) 시트이다. 제1 향미 발생 부재(1a) 및 제2 향미 발생 부재(1b)는 대향하여 배치된다. 이때, 쌍방의 향미 발생 부재의 주면(主面)이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주면이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도 2a에서는, 2개의 향미 발생 부재가 복수(複數)의 향미 발생 시트로 구성되어 있는데, 한쪽의 향미 발생 부재는, 1장(枚)의 향미 발생 시트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향미 발생 블록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서 시트란, 거의 평행한 1쌍의 주면, 및 측면을 가지는 형상을 말한다. 시트는 초지(抄紙)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향미 발생 블록이란 바람직하게는 사출(射出) 성형이나 압출(押出) 성형 등, 초지 이외의 방법으로 제조된다. 또한, 향미 발생 블록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지만, 입방체(立方體), 직방체(直方體), 원기둥, 타원기둥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으며, 직방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태양(態樣)에서는, 상기 향미 발생 시트의 주면과 향미 발생 블록이 대향하도록 2개의 향미 발생 부재가 배치된다. 향미(香味) 딜리버리 효율을 고려하면, 2개의 향미 발생 부재가 복수의 향미 발생 시트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이하, 이 태양을 예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향미 발생 세그먼트(1)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지만, 기둥 모양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향미 발생 세그먼트(1)는, 이하와 같이 정의되는 어스펙트 비(比)가 1 이상인 형상을 만족시키는 기둥 모양(柱狀)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스펙트 비=h/w
w는 주상체(柱狀體)의 저면(底面)의 폭, h는 높이이며, h≥w인 것이 바람직하다. 저면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며, 다각(多角), 각환(角丸) 다각, 원, 타원 등이어도 되고, 폭 w는 해당 저면이 원형일 경우는 직경, 타원형일 경우는 장축 지름(長徑), 다각형 또는 각환 다각일 경우는 외접원의 직경 또는 외접타원의 장축 지름이다. 예를 들면, 도 2a (i)에 나타내는 태양에서의 향미 발생 시트를 후술하는 래퍼로 감아(卷上) 도 2a (ii)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저면 형상의 향미 발생 세그먼트를 얻었을 경우, 그 저면은 타원 형상이기 때문에, 상술한 저면의 폭 w는, 외접타원의 장축 지름이라고 인정할 수 있다. 해당 장축 지름과 이에 직교하는 길이와 비교하면, 전자가 폭 w, 후자가 높이 h가 된다. 제조 용이성 등을 고려하면, 저면은 다각형(多角形)인 것이 바람직하고, 사각형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향미 발생 세그먼트(1)의 높이 h는 5∼20mm 정도, 폭 w는 2∼5m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향미 발생 세그먼트(1)는 최외부(最外部)에 래퍼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래퍼는 권지(卷紙)여도 되고, 향미 발생 시트(10)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래퍼는 후술하는 것처럼 기재(6)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향미 발생 시트란, 향미를 발생시키는 시트이며, 향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성분을 시트 기재에 담지(擔持)시켜서 이루어지는 시트 또는 향미를 발생하는 재료로 구성된 시트를 들 수 있다. 복수의 향미 발생 시트는 적층되어 향미 발생 부재를 구성한다. 적층된다란 향미 발생 시트의 주면끼리가 겹치도록 배치되는 것을 말한다. 다만, 적어도 1쌍의 인접하는 향미 발생 시트끼리는 비접촉부를 가지므로, 본 발명에서 적층되어 있다란, 모든 인접하는 1쌍의 향미 발생 시트끼리의 전면(全面)이 접촉하고 있는 태양을 포함하지 않는다. 즉, 향미 발생 부재가 3 이상의 향미 발생 시트를 구비할 때, 1쌍의 시트끼리에서 비접촉부를 가지고 있으면 다른 1쌍에서 시트끼리가 전면(全面)에서 접촉하고 있어도 된다. 그러나 향미 딜리버리 효율 등을 고려하면, 본 발명에서는, 모든 시트 사이에 이러한 비접촉부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향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담배 원료에 포함되는 향끽미 성분이나 멘톨 등의 향료 성분 등을 들 수 있다. 시트 기재로서는, 예를 들면, 압축 담배 펠릿이나 담배 분말 등의 담배 재료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시트 기재로서는 담배 재료가 바람직하다. 즉, 향미 발생 시트로서는, 담배 재료의 기재 시트에 필요에 따라 향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성분을 담지한 담배 시트가 바람직하다. 향미 발생 시트는, 가열에 수반하여 에어로졸을 발생해도 된다. 에어로졸의 발생을 촉진하기 위해서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탄디올 등의 폴리올 등의 에어로졸원(源)을 더 첨가해도 된다. 이러한 에어로졸원의 첨가량은, 향미 발생 시트의 건조 중량에 대해서 5∼50중량%가 바람직하며, 10∼30중량%가 더 바람직하다. 또한,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탄디올 등의 폴리올은 향끽미 성분으로서 첨가해도 된다. 에어로졸원을 포함하는 경우 또는 향미 성분이 에어로졸을 발생하는 경우, 향미 발생 시트는 에어로졸 발생 시트이기도 하다.
우선은 적층되기 전의 소재로서의 향미 발생 시트에 대해서 설명한다.
1) 조제(調製)
향미 발생 시트가 에어로졸 발생 시트, 바람직하게는 담배 시트일 경우, 담배 시트는 초조(抄造), 슬러리, 압연, 등의 공지 방법으로 적당히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초조의 경우는, 이하의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1) 건조 잎담배 원료를 조쇄(粗碎)하고, 물로 추출하여 물추출물(水抽出物)과 찌꺼기(殘渣)로 분리한다. 2) 물추출물을 감압(減壓) 건조하여 농축한다. 3) 찌꺼기에 펄프를 가하고, 리파이너에서 섬유화한 후, 초지(抄紙)한다. 4) 초지한 시트에 물추출물의 농축액을 첨가하여 건조시킨 담배 시트로 한다. 이 경우, 니트로소아민 등의 일부 성분을 제거하는 공정을 가해도 된다(일본 특표 2004-510422호 공보 참조). 슬러리법의 경우는, 이하의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1) 물펄프 바인더와, 잘게 부순 담배를 혼합한다. 2) 해당 혼합물을 얇게 펴서(캐스팅하여) 건조한다. 이 밖에, 국제 공개 제2014/104078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하의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부직포 모양의 담배 시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1) 분립(粉粒) 모양의 담배 원료와 결합제를 혼합한다. 2) 해당 혼합물을 부직포에 의해 끼운다. 3) 해당 적층물(積層物)을 열용착(熱溶着)에 의해 일정 형상으로 성형하여, 부직포 모양의 담배 시트를 얻는다. 담배 시트의 조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담배 원료의 함유량은 담배 시트 전체 중량에 대해서 50∼9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담배 시트는 바인더를 포함해도 되고, 이러한 바인더로서는, 예를 들면, 구아 검, 크산탄 검, CMC(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CMC-Na(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나트륨염) 등을 들 수 있다. 바인더 양으로서는, 담배 시트 전체 중량에 대해서 2∼2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담배 시트는 또한 다른 첨가물을 포함해도 된다. 첨가물로서는, 예를 들면 펄프 등의 필러를 들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담배 시트는 향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담배 시트를 이용하지만, 이러한 담배 시트는 모두 같은 조성 혹은 물성(物性)을 가지고 있어도 되고, 각(各) 담배 시트 중 일부 또는 전부가 다른 조성 혹은 물성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향미 발생 시트가 담배 시트 이외일 경우, 예를 들면 담배 원료 이외의 식물 펄프를 시트 기재로서 사용한 시트를 이용할 수 있다.
2) 치수 등
향미 발생 시트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지만 시트 주면의 형상이 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는 한정되지 않지만, 고효율의 열교환이나 향미 발생 세그먼트의 강도 등을 고려하면, 200㎛∼2mm가 바람직하며, 200∼600㎛가 더 바람직하다. 각(各) 향미 발생 시트의 두께는 같아도 되고 달라도 된다. 향미 발생 세그먼트(1)로 했을 때에 그 높이 h 방향으로 평행한 길이를 향미 발생 시트 길이 L이라고 하며, 이에 직교하는 길이를 폭 W라고 한다. 높이 h와 향미 발생 시트 길이 L은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예를 들면 향미 발생 세그먼트가 길이 h의 래퍼를 구비하는 경우, 향미 발생 세그먼트의 높이는 h이다. 해당 래퍼에 포접(包接)되는 향미 발생 시트의 길이 L은 h보다 짧아도 된다. L은 모든 향미 발생 시트에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2a처럼 향미 발생 시트가 적층될 경우, W는 모든 향미 발생 시트에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향미 발생 시트의 양 장변(長邊)이 절곡(折曲)되어 적층되는 경우 또는 향미 발생 시트가 만곡(灣曲)되어 적층되는 경우는, 최외층을 구성하는 향미 발생 시트의 W가, 최내층을 구성하는 향미 발생 시트의 W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도 2c에 나타내는 태양에서는, 대향하는 향미 발생 시트 끝끼리가 접촉해 있어도 된다.
3) 표면 가공
복수의 향미 발생 시트 중 적어도 1장은, 적어도 한쪽 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 표면 가공이 실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표면 가공이란, 향미 발생 시트의 적어도 한쪽 주면, 즉 표면 또는 이면(裏面)에 복수의 요철(凹凸)을 형성하는 가공을 말한다. 표면 가공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권축(捲縮) 가공, 엠보스 가공, 디보스 가공, 하프 컷 가공 등의 공지의 가공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권축 가공이란 시트에 주름을 형성하는 가공이다. 예를 들면, 표면에 복수의 볼록부(凸部)를 가지는 한 쌍의 롤러 사이에 향미 발생 시트를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향미 발생 시트의 표면과 이면의 양쪽 모두에 시트 반송(搬送) 방향에 직교하여 연장되는 주름을 형성해서 권축 가공을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롤러에 형성된 볼록부는, 시트 반송 방향에 직교하여 연장되어 있다. 롤러에 형성된 볼록부의 정점(頂点) 사이의 피치는 0.5∼2.0mm가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향미 발생 시트의 피치는 0.5∼2.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향미 발생 시트의 피치는, 향미 발생 세그먼트의 폭에 대해서 1.5∼20%인 것이 바람직하다. 권축에 의해 생긴 요철의 높이 H는 시트의 평균 두께를 Tav라고 할 때, 1.05Tav∼1.59Tav인 것이 바람직하다. 높이 H는, 권축 가공된 시트를 수평한 면에 재치(載置)했을 때에 시트 저부(底部)에서부터 시트 정점(頂点)까지의 거리로서 정의된다. 엠보스 가공이나 디보스 가공이란, 볼록 모양의 가공구(加工具)를 시트에 눌러 시트의 편면(片面) 또는 양면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가공이며, 하프 컷 가공이란, 시트의 편면 또는 양면에, 시트가 절단되지 않을 정도의 깊이, 바람직하게는 시트 두께의 절반 이하 깊이의 노치를 형성하는 가공이다. 하프 컷 가공에는 나이프나 레이저를 이용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향미 발생 시트에 표면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향미 발생 부재로 했을 경우에 효율적으로 비접촉부, 바람직하게는 후술하는 간극을 형성할 수 있다. 향미 발생 시트의 볼록부의 정점 사이의 피치는 동일 시트 내에서 모두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또한, 각 향미 발생 시트의 볼록부의 정점 사이의 피치는, 시트마다 달라도 되고, 동일해도 된다.
다음으로, 적층된 향미 발생 시트에 대해서 설명한다.
1) 적층된 복수의 향미 발생 시트
적어도 하나의 향미 발생 부재는, 복수의 향미 발생 시트(10)가 적층되어 구성된다. 적층된 향미 발생 시트(10)의 수는 2장∼15장인 것이 바람직하다. 향미 발생 시트의 수를 이러한 수로 하는 것에 의해, 충분한 양의 향미 성분을 발생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후술하는 간극으로서 충분한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고, 발생된 향미의 딜리버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향미 발생 세그먼트에 포함되는 향미 발생 부재(1a 및 1b)의 총중량은 130mg∼685mg인 것이 바람직하며, 200mg∼350mg인 것이 바람직하다. 각 향미 발생 시트(10)의 중량은, 이 총중량을 달성할 수 있도록 적절하게 선택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향미 발생 시트는 글리세린 등의 에어로졸원을 포함하는데, 흡인하는 내내 에어로졸의 딜리버리가 균일해지도록 각 향미 발생 시트에 포함되는 에어로졸원의 중량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10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향미 발생 세그먼트의 중심에서부터 외측으로 향하여 A∼C의 위치를 특정하고, 해당 위치를 포함하는 영역에 각각 동일한 두께의 시트가 존재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이 경우, 각 시트의 에어로졸원의 중량이 같다면, 시트 두께당 에어로졸원의 중량은 같아진다. 이 때문에 A, B, C의 위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에어로졸원의 양을 거의 동일하게 할 수 있다.
한편, 해당 위치를 포함하는 영역에 다른 두께의 시트가 존재하는 경우(도 10 (b)), 각 시트의 에어로졸원의 중량이 같아도 시트 두께당 에어로졸원의 중량은 다르므로, A, B, C의 위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에어로졸원의 양도 다르다. 이 경우, 이하의 관계를 만족시키도록 시트를 설계하면, A, B, C의 위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에어로졸원의 양을 거의 같게 할 수 있다.
X/a=Y/b=Z/c
a: A의 위치를 커버하는 시트 A의 두께,
X: A의 위치를 커버하는 시트 A에 포함되는 에어로졸원의 중량
b: B의 위치를 커버하는 시트 B의 두께,
Y: B의 위치를 커버하는 시트 B에 포함되는 에어로졸원의 중량
c: C의 위치를 커버하는 시트 C의 두께,
Z: C의 위치를 커버하는 시트 C에 포함되는 에어로졸원의 중량
예를 들면 시트의 내외표면에서 표면 가공에 차(差)를 두는 등에 의해서도 이러한 설계가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내표면에 하프 컷을 많이 형성하고, 외표면에는 하프 컷을 적게 형성하는 등의 태양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내측에 배치되는 해당 시트와 외측에 배치되는 해당 시트에서, 해당 시트에 포함되는 향끽미 성분 및 향료 성분의 중량을 변화시킴으로써, 흡인 시에 소망의 타이밍에서 향끽미를 변화시킬 수도 있다.
각 향미 발생 시트는 인접하는 시트 사이에 비접촉부를 가지도록 적층되므로, 적어도 1쌍의 인접하는 상기 향미 발생 시트 사이에 해당 향미 발생 시트끼리가 접촉하지 않는 비접촉부를 가진다.
2) 비접촉부
1쌍의 인접하는 상기 향미 발생 시트 사이에는, 해당 시트끼리가 접촉하는 접촉 부분을 둘 이상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당 접촉 부분과의 사이에 형성된 비접촉 부분을 「간극」이라고 한다. 일부 또는 전부의 간극은, 향미 발생 세그먼트의 선단부에서부터 후단부에 걸쳐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향미 유로를 확보하여 향미 딜리버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 접촉 부분을 통해 히터로부터의 열을 외측의 향미 발생 시트에 전달할 수 있으므로 전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인접하는 1쌍의 향미 발생 시트 사이에 상기 간극을 마련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전술한 표면 가공을 적어도 하나의 향미 발생 시트에 실시하는 것 등에 의해서 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표면 가공에 의해 요철이 형성된 향미 발생 시트와 평평한 향미 발생 시트의 조합이나(도 2d (i)), 표면 가공에 의해 요철이 형성된 향미 발생 시트끼리의 볼록부의 위치를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게 하지 않는, 즉 요철의 위상(位相)을 겹치지 않게 하는 것(도 2d (ii)) 등에 의해, 간극을 마련할 수 있다. 도 2d에서 C는 접촉부, V는 간극이다. 위상을 어긋나게 하는 방법은 한정되지 않는데, 예를 들면 향미 발생 시트마다 표면 가공의 피치를 변화시키는 등의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접촉부는 접착되어 있어도 되고 접착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향미 발생 시트가 표면 처리에 의해 형성된 볼록부를 복수 구비하는 경우, 적어도 이러한 볼록부 중 하나가 인접하는 향미 발생 시트와 접촉해 있으면 된다. 권축 가공된 시트에 형성된 볼록부의 길이방향은 향미 발생 세그먼트의 길이방향과 평행 또는 대략 평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볼록부의 길이방향이란 능선(稜線)이 연장되는 방향이며, 권축 롤러에 의한 가공 시의 시트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인접하는 2개의 향미 발생 시트의 층간(層間) 거리의 최대값 Gmax는, 해당 인접하는 2개의 향미 발생 시트 중 적어도 한쪽의 향미 발생 시트 두께의 최대값 Tmax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이하의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향미 발생 세그먼트(1)의 어느 단면(斷面)에서 n번째 시트와 (n+1)번째 시트 사이에 형성되는 층간 거리 n을 측정하여 최대값 G(n)max를 결정한다. 이어서 n번째 시트와 (n+1)번째 시트의 두께를 측정하여 최대값 T(n)max 및 T(n+1)max를 결정해서 비교한다. 이 측정을 모든 층간에 대해서 실시한다. 예를 들면, 시트 매수가 4장일 경우, 3개의 층간에 대해 측정을 실시한다. 그리고 해당 단면에서 이하를 만족시키는 것을 확인한다.
G(1)max>T(1)max 또는 G(1)max>T(2)max
G(2)max>T(2)max 또는 G(2)max>T(3)max
G(3)max>T(3)max 또는 G(3)max>T(4)max
이 관계가 임의의 단면에서 만족될 때, 인접하는 2개의 향미 발생 시트의 층간 거리의 최대값 Gmax는, 해당 인접하는 2개의 향미 발생 시트 중 적어도 한쪽의 향미 발생 시트 두께의 최대값 Tmax보다 크다고 한다. 향미 발생 시트(10)가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측정이 곤란할 경우는, 다음과 같이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향미 발생 세그먼트(1)를 저점도의 경화성 수지(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에 함침(含浸)시켜 비접촉부를 수지로 충전한 후에 해당 수지를 경화하여 측정용 샘플을 조제(調製)한다. 이어서, 해당 샘플을 절단하면서 상기 측정을 실시한다.
향미 발생 세그먼트에서의 비접촉부의 총량의 비율(이하 「공극률(空隙率)」이라고도 한다)은, 0.10∼0.40인 것이 바람직하고, 0.15∼0.36인 것이 더 바람직하며, 0.25∼0.33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공극률을 바람직한 범위로 하는 것에 의해, 효율적으로 향미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공극률을 더 바람직한 범위로 하는 것에 의해, 흡인 초기에서부터 종기(終期)에 걸쳐, 향미 발생 세그먼트 중의 시트에 포함되는 향끽미 성분의 효율적인 방출을 유지할 수 있다.
3) 전열(傳熱) 시트
향미 발생 부재(1a 및 1b)는, 전열 시트(16)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전열 시트(16)의 위치는 한정되지 않지만, 일 태양에 있어서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간(14)에 노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열 시트로서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 시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4) 공간
향미 발생 세그먼트(1)는,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향미 발생 부재(1a 및 1b) 사이에 공간(14)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향미 발생 세그먼트(1)는, 적층방향에 수직한 방향이 향미 발생 물품(2)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되도록, 즉 높이 h가 향미 발생 물품(2)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공간(14)도 향미 발생 물품(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재(延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간의 단면적은, 향미 발생 세그먼트(1)의 단면적의 5∼46%인 것이 바람직하고, 15∼46%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공간(14)의 중심은, 향미 발생 세그먼트(1)의 단면 중앙을 통과하는 축 즉 중심축 상에 있어도 되지만, 중심축 상에 없어도 된다. 예를 들면, 향미 발생 세그먼트(1)의 적층방향의 두께가 2R일 경우, 공간(14)의 중심 O'는, 향미 발생 세그먼트(1)의 중심 O로부터 적층방향으로 0.1R∼0.7R 정도 어긋나 있어도 된다. 공간(14)의 중심 O'의 위치는, 향미 발생 부재(1a와 1b) 두께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서도, 향미 발생 세그먼트(1)의 중심 O로부터 어긋나게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2개의 향미 발생 부재가 복수의 향미 발생 시트로 구성되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전술한 대로, 하나의 향미 발생 부재는 복수의 향미 발생 시트로 구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해당 향미 발생 부재는, 한 장의 향미 발생 시트(10)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향미 발생 시트보다 더 두꺼운 향미 발생 블록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향미 발생 블록의 두께는 한정되지 않지만, 향미 발생 시트의 두께의 2∼10배 정도여도 된다. 향미 발생 블록은, 예를 들면, 담배 재료와 바인더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소망의 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그 형상으로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원기둥, 타원기둥 등을 들 수 있다. 성형 방법으로서는, 초지 이외의 방법, 예를 들면 압출 성형, 사출 성형, 슬러리 발포 성형, 및 3D 프린터에 의한 성형을 들 수 있다. 향미 발생 블록은, 길이방향으로 통기 가능한 오픈 셀 구조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2. 향미 발생 물품
도 3에 향미 발생 물품의 일 태양을 나타낸다. 도 3에서, 2는 향미 발생 물품, 1은 향미 발생 세그먼트, 20은 마우스피스, 22는 필터, 24는 캐비티, 26은 지지부재이다. 상기와 같이, 지지부재나 캐비티는 향미 발생 물품에 임의로 마련해도 된다. 마우스피스(20)는 흡구부(吸口部)를 구비하는 부재이며 필터(22)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마우스피스(20)의 치수도 한정되지 않지만, 향미 발생 세그먼트(1)와 같은 폭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길이는 26∼5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흡구부로 향하는 방향을 하류(下流)방향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필터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 등의 해당 분야에서 통상 사용되는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22)의 길이는 마우스피스(20)의 전체 길이의 12∼60%인 것이 바람직하다.
캐비티(24)는 공간이며, 캐비티(24)를 형성하는 래퍼의 측면에는 벤틸레이션(ventilation)이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캐비티(24)는 가열된 향미를 냉각하는, 향미와 공기를 알맞게 혼합하여 향끽미를 조제하는 등의 기능을 담당한다. 캐비티(24)의 길이는 마우스피스(20)의 전체 길이의 8∼77%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캐비티(24)를 냉각 요소로 치환해도 된다. 냉각 요소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 유산 시트 등을 들 수 있으며, 복수의 폴리 유산 시트에 권축 가공을 실시한 것을 냉각 요소로서 사용할 수 있다.
지지부재(26)는, 향미 발생 물품의 강도(强度)를 높여 형상을 유지한다. 지지부재(26)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등의 내열성 플라스틱, 실리콘, 세라믹 등, 해당 분야에서 통상 사용되는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지지부재의 주면이 대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지지부재(26)의 길이는 마우스피스(20)의 전체 길이의 14∼77%인 것이 바람직하다.
3. 향미 흡인 시스템
본 발명의 향미 흡인 시스템은, 히터를 구비한다. 히터는, 바람직하게는 비연소식으로, 더 바람직하게는 전기적으로 향미 발생 세그먼트를 가열한다. 히터는 전원 등을 구비하는 가열 유닛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본 발명의 향미 흡인 시스템의 일 태양을 나타낸다. 도면 가운데, 1은 향미 발생 세그먼트, 20은 마우스피스, 22는 필터, 30은 히터, 32는 가열 유닛이다.
히터(30)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고, 히터(30)의 일부가 향미 발생 세그먼트에서의 상기 공간(14)에 배치 가능한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시트 모양 히터, 평판 모양 히터, 통 모양 히터여도 된다. 시트 모양 히터란 유연한 시트형의 히터이며, 예를 들면 폴리이미드 등의 내열성 폴리머 필름(두께 20∼225㎛ 정도)을 포함하는 히터를 들 수 있다. 평판 모양 히터란 강직한 평판형의 히터(두께 200∼500㎛ 정도)이며, 예를 들면 평판 기재상에 저항 회로를 가지며 해당 부분을 발열부로 하는 히터를 들 수 있다. 통 모양 히터란 중공(中空) 또는 중실(中實)의 통 모양 히터이며, 예를 들면, 외주면에 저항 회로를 가지며 해당 부분을 발열부로 하는 히터를 들 수 있다. 통 모양 히터의 단면 형상은 원, 타원, 다각, 각환 다각 등이어도 된다.
히터는 임의의 배치여도 되지만, 이하, 도 4를 이용하여 바람직한 태양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향미 흡인 시스템의 길이방향 끝에서 본 단면을 나타낸다. 도 4에서 30은 히터, 10은 향미 발생 시트이다.
도 4 (A,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히터(30)는 공간(14)에 배치할 수 있다. 도 4 (A)는 해당 공간에 평판 모양 히터(30)가 배치된 태양을 나타낸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향미 발생 세그먼트(1)는 향미 발생 시트(10)와 함께 적층되어 있는 전열 시트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해당 전열 시트는 히터(30)와 대면(對面)해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처럼, 평판 모양 히터는 향미 발생 시트(10)를 내측으로부터 가열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도 4 (B,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히터(30)는, 최외층의 향미 발생 시트(10out)의 외측에 배치할 수 있다. 향미 발생 세그먼트(1)가 래퍼를 구비하는 경우, 히터(30)는 래퍼의 외측에 배치해도 된다. 이처럼, 시트 모양 히터는, 향미 발생 시트(10)를 외측으로부터 또는 중간에서부터 가열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본 태양에서도, 향미 발생 세그먼트(1)는, 향미 발생 시트(10)와 함께 적층되어 있는 전열 시트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해당 전열 시트는 히터(30)와 인접해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4. 제조 방법
모두(冒頭)에서 설명한 대로 향미 발생 세그먼트(1)는 향미 발생 물품(2)이어도 되지만, 여기서는 향미 발생 세그먼트(1)와 필터 등을 구비하는 물품을 향미 발생 물품(2)으로 하여 설명한다.
(1) 향미 발생 세그먼트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향미 발생 세그먼트(1)의 제조 방법은 한정되지 않지만, 이하의 공정을 거쳐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정 A: 기재상에, 상기 제1 향미 발생 부재 및 제2 향미 발생 부재를 이간하여 재치하는 공정
공정 B: 해당 2개의 향미 발생 부재의 상면을 서로 대면시키도록 상기 기재를 접어, 향미 발생 세그먼트(1)를 형성하는 공정
해당 방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 중, 100은 향미 발생 세그먼트 전구체(前驅體), 1a는 제1 향미 발생 부재, 1b는 제2 향미 발생 부재, 6은 기재(基材)이다. 도 5 (i)에서는, 제1 향미 발생 부재(1a) 및 제2 향미 발생 부재(1b)의 양쪽 모두가, 기재에 평행하게 적층된 복수의 향미 발생 시트(10)를 포함하고 또 인접하는 향미 발생 시트(10) 사이에 간극을 가지고 있지만, 적어도 한쪽의 향미 발생 부재가 복수의 적층된 향미 발생 시트(10)를 포함하고 또 인접하는 향미 발생 시트(10) 사이에 간극을 가지고 있으면 된다. 제1 향미 발생 부재(1a)와 제2 향미 발생 부재(1b)는 이간(離間)해서 재치되어 있다. 이간해서 재치한다란, 공정 B에 의해 향미 발생 부재의 상면을 서로 대면할 수 있도록 재치하는 것을 말한다. 복수의 적층된 향미 발생 시트(10)는, 시트 사이에 간극이 형성될 수 있을 정도로 부분적으로 접촉해 있어도 된다.
이어서 적층체(100)를, 해당 2개의 향미 발생 부재의 상면을 서로 대면시키도록 점선부(点線部)에서 절곡(折曲)하여 로드 모양의 향미 발생 세그먼트(1)를 형성한다. 향미 발생 세그먼트(1)에서 대향하는 제1 향미 발생 부재(1a)와 제2 향미 발생 부재(1b) 사이에는 공간(14)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간(14)의 크기는 향미 발생 부재의 두께 등에 의해 조정할 수 있고, 이렇게 해서 얻은 향미 발생 세그먼트(1)의 저면(底面)에 개구부(開口部)를 마련해도 되지만,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리 이간 부분에 개구부(60)를 형성한 적층체(100)를 이용하여 향미 발생 세그먼트(1)를 형성해도 된다. 해당 제조 방법은, 향미 발생 세그먼트(1)를 래퍼로 감싸는 공정을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도 2c처럼 향미 발생 시트(10)를 만곡(灣曲)하여 적층하는 경우는, 각 향미 발생 시트(10)를 미리 만곡시킨 후에 적층해도 되고, 평평한 향미 발생 시트(10)를 적층한 후에 만곡시켜도 된다.
공정 B에서의 접는 회수(回數)는, 제1 향미 발생 부재(1a) 및 제2 향미 발생 부재(1b)의 배치되는 태양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 (ii)처럼, 기재(6)상에 제1 향미 발생 부재(1a) 및 제2 향미 발생 부재(1b)를 각각의 중심선이 동일선상에 없도록 배치해도 된다. 도 5 (ii)는 향미 발생 세그먼트 전구체(100)를 위에서 본 도면이다. 이 경우는 4개소의 점선 부분을 접음(折疊)으로써 향미 발생 세그먼트(1)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도 5 (iii)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6)상에 복수의 제1 향미 발생 부재(1a) 및 제2 향미 발생 부재(1b)를 배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공정 A에서의 이간하여 배치한다란, 기재(6)의 반송(搬送)방향(도면 중 화살표로 나타낸다)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1 향미 발생 부재(1a) 및 제2 향미 발생 부재(1b)를 이간하여 배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태양에서는 일점쇄선(一点鎖線)에서 절단한 후에 도 5 (i)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여 향미 발생 세그먼트(1)를 제조할 수 있다.
기재(6)는 임의의 재료로 구성할 수 있지만, 절곡 가능한 정도의 가요성(可撓性)을 가지는 것, 향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성분이 외표면(外表面)으로 스며 나오지(染出) 않을 정도의 배리어성(性)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재료로서, 해당 특성을 만족시키는 시가렛용의 권지(卷紙)나 시가렛 필터용의 팁페이퍼를 이용할 수 있다.
(2) 향미 발생 물품의 제조 방법
전술한 대로 제조한 향미 발생 세그먼트(1)의 저부(底部)에 필터 등을 삽입함으로써 향미 발생 물품(2)을 제조할 수 있다. 혹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향미 발생 물품(2)을 제조해도 된다. 도 7은 적층체를 옆에서 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는, 이간 부분에 필터 부재(22) 및 냉각 부재(26)를 재치한 적층체(100)를 준비하고, 2개의 향미 발생 부재의 상면을 서로 대면시키도록 해당 기재를 접는다.
또한 향미 발생 물품(2)을 래퍼로 감싸는 공정을 더 구비해도 된다. 혹은, 기재(6)의 폭방향으로 여백(62)을 충분히 두고, 기재를 접은 후에, 해당 여백(62)을 접어서 측벽을 형성하면, 기재(6)로 래퍼를 형성할 수도 있다(도 8a (a)). 이 태양에서는 기재(6)를 래퍼로서 인정할 수 있지만, 이러한 래퍼의 더 외측에 래퍼(최외(最外) 부재)를 별도 마련해도 된다. 또한, 래퍼로 감싼 향미 발생 세그먼트와 래퍼로 감싼 필터를 따로따로 준비하고, 이들을 공지의 방법으로 접합해도 된다(도 8a (b)). 예를 들면 시가렛의 팁페이퍼 등을 이용해서, 리크(leak)가 생기지 않도록 접합부를 감싸는 것에 의해 양자를 접합할 수 있다.
또한 도 8b (i)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여백(餘白)(62)에 개구부를 마련하여 히터 삽입구(揷入口)(64)를 형성해도 된다. 게다가 또한, 도 8b (ii)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여백(62)에 절곡부(折曲部)(66)를 마련해도 된다. 도 8b (iii)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곡부(66)와 향미 발생 물품(2)의 측벽을 접착하여 향미 발생 물품(2)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3) 향미 흡인 시스템(3)의 제조 방법
전술한 대로 제조한 향미 발생 세그먼트(1) 또는 향미 발생 물품(2)에 히터(30)를 설치함으로써 향미 흡인 시스템(3)을 제조할 수 있다. 히터(30)의 설치 방법은 한정되지 않지만,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히터(30)를 향미 발생 세그먼트(1)의 공간(14)에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실시예 1]
두께가 300㎛, 폭이 7mm, 길이 12mm의 담배 시트(10)를 8장 준비한다. 기재(6)로서, 폭이 14mm, 길이 95mm의 권지를 준비하고, 해당 권지 상에 담배 시트(10)를 기재에 평행하게 적층해서 제1 담배 부재(1a)를 형성한다. 마찬가지로 담배 시트(10)를 3장 준비하고 권지 상에 제2 담배 부재(1b)를 형성한다. 다만, 제1 담배 부재(1a)와 제2 담배 부재(1b)의 근접하는 단면(端面)끼리가 71mm 떨어지도록 한다. 이하, 각 부재에서, 기재(6)의 폭방향으로 평행한 길이를 「폭」, 기재(6)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한 길이를 「길이」라고 한다.
다음으로, 상기 이간 부분의 중앙부에 폭이 4mm, 길이가 2mm인 개구부를 마련하고, 또한 개구부와 제2 담배 부재(1b) 사이에, 지지부재, 냉각 요소, 필터 부재를 재치한다. 여기서, 지지부재의 치수는, 폭이 7mm, 길이가 8mm, 두께가 5mm이며, 냉각 요소의 치수는, 폭이 7mm, 길이가 18mm, 두께가 5mm이며, 필터 부재의 치수는, 폭이 7mm, 길이가 7mm, 두께가 5mm이다. 그리고 제1 담배 부재(1a)와 제2 담배 부재(1b)의 상면이 서로 대면하도록 상기 기재를 접어 로드 모양의 담배 세그먼트(1)를 구비하는 향미 발생 물품(2)을 제조한다.
두께가 320㎛, 폭이 4.9mm, 길이 13mm의 평판 모양 히터(30)를 준비하고, 담배 세그먼트(1)의 제1 담배 부재(1a)와 제2 담배 부재(1b) 사이에 형성된 공간(14) 내에 삽입한다. 히터(30)를 전원을 구비하는 가열 유닛(32)에 접속하여, 담배 세그먼트(1)를 전기적으로 가열한다.
1 향미 발생 세그먼트
1a 제1 향미 발생 부재
1b 제2 향미 발생 부재
10 향미 발생 시트
14 공간
16 전열 시트
18 이간부
100 적층체
G 향미 발생 시트 사이 거리
T 향미 발생 시트 두께
V 간극
C 접촉부
2 향미 발생 물품
20 마우스피스
22 필터
24 캐비티
26 지지부재
3 향미 흡인 시스템
30 히터
32 가열 유닛
6 기재
60 개구부
62 여백
64 히터 삽입구
66 절곡부

Claims (16)

  1. 제1 향미(香味) 발생 부재 및 제2 향미 발생 부재를 구비하는 향미 발생 세그먼트(segment)로서,
    상기 제1 향미 발생 부재와 제2 향미 발생 부재 사이에, 히터가 삽입되고 또한 향미가 길이 방향으로 흐르기 위한 공간을 가지고,
    상기 제1 및 제2 향미 발생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적층된 향미 발생 시트를 포함하며, 또 적어도 1쌍의 인접하는 상기 향미 발생 시트 사이에 해당 향미 발생 시트끼리가 접촉하지 않는 비접촉부(非接觸部)를 가지며,
    상기 향미 발생 시트의 주면(主面)이 다른쪽의 향미 발생 부재와 대향(對向)해 있고,
    상기 제1 향미 발생 부재의 상기 공간에 노출되어 있는 면과, 상기 제2 향미 발생 부재의 상기 공간에 노출되어 있는 면은, 향미 발생 세그먼트의 길이 방향과 평행인,
    향미 발생 세그먼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적어도 1쌍의 인접하는 상기 향미 발생 시트 사이에, 해당 향미 발생 시트끼리가 접촉해 있는 접촉부를 더 가지는 향미 발생 세그먼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를 둘 이상 가지며, 상기 비접촉부가 해당 접촉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향미 발생 세그먼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향미 발생 부재 및 제2 향미 발생 부재가 전열(傳熱) 시트를 포함하고,
    해당 전열 시트는 상기 공간에 노출해 있는 향미 발생 세그먼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향미 발생 시트 중 적어도 1장(枚)은, 적어도 한쪽 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 표면 가공이 실시되어 있는 향미 발생 세그먼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표면 가공이 권축(捲縮) 가공인 향미 발생 세그먼트.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향미 발생 부재의 외측에 래퍼를 구비하는 향미 발생 세그먼트.
  8. 청구항 1에 기재된 향미 발생 세그먼트 및 필터를 구비하며, 해당 필터 측으로부터 흡인(吸引) 가능한 향미 발생 물품.
  9. 청구항 1에 기재된 향미 발생 세그먼트와, 해당 향미 발생 세그먼트를 가열하는 히터를 구비하는, 향미 흡인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히터의 적어도 일부가 해당 공간 내에 위치하게 하는 것이 가능한 형상을 구비하고 있는 향미 흡인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향미 발생 부재와 제2 향미 발생 부재가, 상기 공간에 노출되는 전열 시트를 포함하며, 해당 상기 전열 시트가 상기 히터와 대면(對面)하는 향미 흡인 시스템.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히터가, 평판형(平板型) 히터인 향미 흡인 시스템.
  13. 기재상에, 상기 제1 향미 발생 부재 및 제2 향미 발생 부재를 이간하여 재치(載置)하는 공정 A,
    해당 2개의 향미 발생 부재의 상면을 서로 대면(對面)시키도록 상기 기재를 접어 로드 모양의 세그먼트를 형성하는 공정 B를 구비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향미 발생 세그먼트의 제조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공정 B가, 상기 2개의 대향(對向)하는 향미 발생 부재 사이에 상기 공간을 형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제조 방법.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공정 A가, 상기 기재상의, 제1 향미 발생 부재 및 제2 향미 발생 부재 사이에 개구부(開口部)를 마련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제조 방법.
  16. 청구항 1에 기재된 향미 발생 세그먼트의 전구체(前驅體)로서,
    기재, 및
    해당 기재상에, 이간(離間)해서 배치된 제1 향미 발생 부재 및 제2 향미 발생 부재를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향미 발생 부재는, 기재에 평행하게 적층된 복수의 향미 발생 시트를 포함하며, 또 적어도 1쌍의 인접하는 상기 향미 발생 시트 사이에 해당 향미 발생 시트끼리가 접촉하지 않는 비접촉부를 가지는,
    전구체.
KR1020227028591A 2017-06-22 2018-06-22 향미 발생 세그먼트, 및 이를 구비하는 향미 발생 물품 및 향미 흡인 시스템 KR1025809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PCT/JP2017/023076 2017-06-22
PCT/JP2017/023076 WO2018235241A1 (ja) 2017-06-22 2017-06-22 香味発生セグメント、ならびにこれを備える香味発生物品および香味吸引システム
KR1020197037111A KR20200007938A (ko) 2017-06-22 2018-06-22 향미 발생 세그먼트, 및 이를 구비하는 향미 발생 물품 및 향미 흡인 시스템
PCT/JP2018/023896 WO2018235959A1 (ja) 2017-06-22 2018-06-22 香味発生セグメント、ならびにこれを備える香味発生物品および香味吸引システ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7111A Division KR20200007938A (ko) 2017-06-22 2018-06-22 향미 발생 세그먼트, 및 이를 구비하는 향미 발생 물품 및 향미 흡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1905A true KR20220121905A (ko) 2022-09-01
KR102580990B1 KR102580990B1 (ko) 2023-09-21

Family

ID=6473600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8591A KR102580990B1 (ko) 2017-06-22 2018-06-22 향미 발생 세그먼트, 및 이를 구비하는 향미 발생 물품 및 향미 흡인 시스템
KR1020197037111A KR20200007938A (ko) 2017-06-22 2018-06-22 향미 발생 세그먼트, 및 이를 구비하는 향미 발생 물품 및 향미 흡인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7111A KR20200007938A (ko) 2017-06-22 2018-06-22 향미 발생 세그먼트, 및 이를 구비하는 향미 발생 물품 및 향미 흡인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1154093B2 (ko)
EP (2) EP3643190B1 (ko)
JP (3) JP7071355B2 (ko)
KR (2) KR102580990B1 (ko)
CN (1) CN110799048B (ko)
PL (1) PL3643190T3 (ko)
WO (2) WO20182352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8902A1 (ja) * 2019-01-18 2020-07-23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積層再構成たばこシートの製造方法
GB201903272D0 (en) * 2019-03-11 2019-04-24 Nicoventures Trading Ltd An article for use in an aerosol provision system
CA3125821A1 (en) * 2019-04-08 2020-10-15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substrate comprising an aerosol-generating film
HUE062036T2 (hu) 2019-05-03 2023-09-28 Jt Int Sa Aeroszolképzõ eszköz hõhíddal
CN112074342A (zh) * 2020-03-05 2020-12-11 徐毅 气溶胶发生芯条、气溶胶发生基材及气溶胶发生装置
WO2022024310A1 (ja) * 2020-07-30 2022-02-03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香味吸引器用のカートリッジ及び香味吸引器
WO2022024311A1 (ja) * 2020-07-30 2022-02-03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香味吸引器用のカートリッジ及び香味吸引器
EP4295711A1 (en) * 2021-02-17 2023-12-27 Japan Tobacco Inc. Heating unit for non-combustion heating-type flavor inhaler, and non-combustion heating-type flavor inhaler
WO2022224434A1 (ja) * 2021-04-23 2022-10-27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香味吸引器用の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
TW202241293A (zh) * 2021-04-23 2022-11-01 瑞士商傑太日煙國際股份有限公司 氣溶膠產生製品及其製造方法
CN117320583A (zh) * 2021-04-23 2023-12-29 日本烟草产业株式会社 香味吸取器用的烟弹的制造方法以及使用于香味吸取器用的烟弹的冷却部
JP2024514443A (ja) * 2021-04-23 2024-04-02 ジェイティー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エスエイ エアロゾル生成物品及びそれを製造する方法
WO2022224435A1 (ja) * 2021-04-23 2022-10-27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香味吸引器用の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
EP4108108A1 (en) * 2021-06-22 2022-12-28 Nerudia Limited Aerosol generating system
EP4316281A1 (en) * 2021-06-28 2024-02-07 Japan Tobacco, Inc. Aerosol generation system
CN117425416A (zh) * 2021-06-28 2024-01-19 日本烟草产业株式会社 气溶胶生成系统
KR20240027610A (ko) * 2021-06-30 2024-03-04 제이티 인터내셔널 소시에떼 아노님 적어도 2개의 층을 포함하는 플랫형 담배 물품 및 이러한 물품을 가진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GB202111269D0 (en) * 2021-08-04 2021-09-15 Nicoventures Trading Ltd A consumable for use with a non-combustible aerosol provisioin device
WO2023188377A1 (ja) * 2022-03-31 2023-10-05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霧化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吸引具
WO2023188374A1 (ja) * 2022-03-31 2023-10-05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霧化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吸引具
WO2023188375A1 (ja) * 2022-03-31 2023-10-05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霧化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吸引具
WO2023188373A1 (ja) * 2022-03-31 2023-10-05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霧化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吸引具
WO2023188372A1 (ja) * 2022-03-31 2023-10-05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霧化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吸引具
WO2023188376A1 (ja) * 2022-03-31 2023-10-05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霧化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吸引具
WO2024057478A1 (ja) * 2022-09-15 2024-03-21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香味発生物品、香味発生システムおよび香味発生物品の製造方法
WO2024057515A1 (ja) * 2022-09-16 2024-03-21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香味発生物品
WO2024157480A1 (ja) * 2023-01-27 2024-08-02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香味スティック、非燃焼加熱式香味吸引製品、及び香味ロッドの製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4324A (ko) * 2012-05-31 2015-03-06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 사용하기 위한 배합된 로드
JP2016156495A (ja) 2015-02-24 2016-09-01 株式会社リケン 内燃機関用ピストンリング
WO2016156495A2 (en) * 2015-03-31 2016-10-06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imited Article for use with apparatus for heating smokable material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4883A (en) * 1987-03-06 1990-05-15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Smoking article
US5327915A (en) * 1992-11-13 1994-07-12 Brown & Williamson Tobacco Corp. Smoking article
EP1322191B2 (en) 2000-10-05 2018-08-01 Schweitzer-Mauduit International, Inc. Reduction of nitrosamines in tobacco and tobacco products
WO2010113702A1 (ja) * 2009-04-03 2010-10-07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非燃焼型喫煙物品用シートおよび非燃焼型喫煙物品、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US9345268B2 (en) * 2012-04-17 2016-05-24 R.J. Reynolds Tobacco Company Method for preparing smoking articles
JP6580485B2 (ja) * 2012-05-31 2019-09-25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エアロゾル発生物品で使用するための香味付きロッド
WO2014021310A1 (ja) * 2012-08-03 2014-02-06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非加熱型香味吸引器
JP6014684B2 (ja) 2012-12-28 2016-10-25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非燃焼吸引型たばこ製品用香味源及び非燃焼吸引型たばこ製品
WO2014136872A1 (ja) * 2013-03-08 2014-09-12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非燃焼型香味吸引器
US9220294B2 (en) * 2014-02-11 2015-12-29 Timothy McCullough Methods and devices using cannabis vapors
EP3000339B1 (en) * 2014-09-23 2017-03-01 Fontem Holdings 1 B.V. Electronic smoking device
GB201503411D0 (en) * 2015-02-27 2015-04-15 British American Tobacco Co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n inhalable medium, and a cartridge for use therewith
GB201505593D0 (en) * 2015-03-31 2015-05-13 British American Tobacco Co Article for use with apparatus for heating smokable material
GB201505592D0 (en) * 2015-03-31 2015-05-13 British American Tobacco Co Apparatus for heating smokable material
US20170055576A1 (en) * 2015-08-31 2017-03-02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Smoking article
GB201607474D0 (en) * 2016-04-29 2016-06-15 British American Tobacco Co Article, apparatus and method of heating a smokable material
CA3047236C (en) * 2016-12-16 2023-01-03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on method and apparatus
RU2752636C2 (ru) * 2017-02-20 2021-07-29 Филип Моррис Продактс С.А. Устройство, генерирующее аэрозоль, и способ использования листа субстрата, образующего аэрозоль, в устройстве, генерирующем аэрозоль
WO2019030272A1 (en) * 2017-08-09 2019-02-14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 GENERATING ARTICLE HAVING A ROD COMPRISING MULTIPLE TOBACCO MATERIAL SHEET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4324A (ko) * 2012-05-31 2015-03-06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 사용하기 위한 배합된 로드
JP2016156495A (ja) 2015-02-24 2016-09-01 株式会社リケン 内燃機関用ピストンリング
WO2016156495A2 (en) * 2015-03-31 2016-10-06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imited Article for use with apparatus for heating smokable 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235241A1 (ja) 2018-12-27
WO2018235959A1 (ja) 2018-12-27
EP4316275A2 (en) 2024-02-07
JP7071355B2 (ja) 2022-05-18
CN110799048B (zh) 2023-02-17
JPWO2018235959A1 (ja) 2020-04-23
CN110799048A (zh) 2020-02-14
EP3643190A4 (en) 2021-04-14
EP3643190A1 (en) 2020-04-29
PL3643190T3 (pl) 2024-04-15
US20220000177A1 (en) 2022-01-06
US11154093B2 (en) 2021-10-26
KR102580990B1 (ko) 2023-09-21
EP3643190B1 (en) 2023-12-27
EP4316275A3 (en) 2024-04-10
US20200120981A1 (en) 2020-04-23
JP7353348B2 (ja) 2023-09-29
US11690403B2 (en) 2023-07-04
JP2023134695A (ja) 2023-09-27
JP2022033996A (ja) 2022-03-02
KR20200007938A (ko) 2020-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21905A (ko) 향미 발생 세그먼트, 및 이를 구비하는 향미 발생 물품 및 향미 흡인 시스템
KR102422165B1 (ko) 향미 발생 세그먼트, 및 이를 구비하는 향미 발생 물품 및 향미 흡인 시스템
JP7271506B2 (ja) たばこ材料の複数の長軸方向に細長い要素を備えたロッドを有するエアロゾル発生物品
CN107690288A (zh) 气溶胶生成制品和用于制造气溶胶生成制品的方法
CN112218548B (zh) 气溶胶生成制品和用于形成气溶胶生成制品的设备
WO2020157934A1 (ja) 香味発生セグメント、ならびにこれを備える香味発生物品および香味吸引システム
KR102419878B1 (ko) 향미 흡인기용의 담배 로드
WO2019030272A1 (en) AEROSOL GENERATING ARTICLE HAVING A ROD COMPRISING MULTIPLE TOBACCO MATERIAL SHEETS
WO2019030274A1 (en) AEROSOL GENERATING ARTICLE HAVING A ROD COMPRISING MULTIPLE TRANSVERSE LEAVES OF TOBACCO MATERIAL
JP2020516236A (ja) シート様のたばこ材料の製造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WO2022102046A1 (ja) 香味発生物品
TW201906543A (zh) 香味產生節段、以及具有該節段之香味產生物品與香味吸嚐系統
WO2020157935A1 (ja) 香味発生セグメント、ならびにこれを備える香味発生物品および香味吸引システム
US20240277039A1 (en) Non-combustion-heating-type stick, and inhalation system
RU2809813C2 (ru) Генерирующее аэрозоль изделие, содержащее полый трубчатый опорный элемент и генерирующая аэрозоль система
WO2022102048A1 (ja) 香味発生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