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1306A - 커버 윈도우,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 및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커버 윈도우,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 및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1306A
KR20220121306A KR1020210025120A KR20210025120A KR20220121306A KR 20220121306 A KR20220121306 A KR 20220121306A KR 1020210025120 A KR1020210025120 A KR 1020210025120A KR 20210025120 A KR20210025120 A KR 20210025120A KR 20220121306 A KR20220121306 A KR 20220121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curved
region
cover window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5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무
강병훈
박철민
김승호
이회관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5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1306A/ko
Priority to US17/462,294 priority patent/US20220272855A1/en
Priority to CN202111247171.0A priority patent/CN114973937A/zh
Publication of KR20220121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13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H01L51/524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7/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7/2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non-metallic articles to be ground
    • B24B7/2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non-metallic articles to be ground for grinding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 B24B7/24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non-metallic articles to be ground for grinding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for grinding or polishing glass
    • B24B7/241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9/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 B24B9/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 B24B9/06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 B24B9/08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of 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5/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etc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9/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mechanical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483Contain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ackaging For Recording Disk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부면 및 상기 하부면과 반대되는 상부면을 구비한 커버 윈도우에 있어서, 상기 상부면은, 상기 하부면과 제1간격만큼 이격되고, 제1방향으로 연장된 중심영역, 상기 중심영역의 일측으로부터 곡선 형상으로 연장된 제1곡면영역, 및 상기 제1곡면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하부면과 제2간격만큼 이격된 제1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곡면영역은 상기 중심영역으로부터 오목하게 연장된 제1부분영역 및 상기 제1부분영역으로부터 볼록하게 연장된 제2부분영역을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커버 윈도우,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 및 표시 장치{COVER WINDOW, METHOD OF MANUFACTURING OF THE COVER WINDOW, AND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커버 윈도우,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 및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성을 기반으로 하는 전자 기기가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동용 전자 기기로는 모바일 폰과 같은 소형 전자 기기 이외에도 최근 들어 태블릿 PC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이동형 전자 기기는 다양한 기능, 예를 들어, 이미지 또는 영상과 같은 시각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을 보호하는 커버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최근에는 휘어지거나 접히는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는데, 커버 윈도우가 표시 패널을 충분히 보호하면서 용이하게 접힐 수 있도록 연구되고 있다.
커버 윈도우 중 접히는 영역의 두께를 얇게 제조하고, 나머지 영역을 두껍게 제조하면, 커버 윈도우는 표시 패널을 충분히 보호하면서 용이하게 접힐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영역별로 두께가 상이한 커버 윈도우는 그 두께 차이가 시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영역별로 두께가 상이한 커버 윈도우에서 그 두께 차이가 시인되는 현상을 감소 또는 방지한 커버 윈도우,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 및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부면 및 상기 하부면과 반대되는 상부면을 구비한 커버 윈도우에 있어서, 상기 상부면은, 상기 하부면과 제1간격만큼 이격되고, 제1방향으로 연장된 중심영역, 상기 중심영역의 일측으로부터 곡선 형상으로 연장된 제1곡면영역, 및 상기 제1곡면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하부면과 제2간격만큼 이격된 제1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곡면영역은 상기 중심영역으로부터 오목하게 연장된 제1부분영역 및 상기 제1부분영역으로부터 볼록하게 연장된 제2부분영역을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를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심영역과 상기 제1곡면영역이 만나는 제1지점에서 상기 제1곡면영역의 가상의 제1접선은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1곡면영역이 만나는 제2지점에서 상기 제1곡면영역의 가상의 제2접선은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제1지점 및 상기 제2지점 사이의 거리(X)에 대한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지점 및 상기 제2지점 사이의 거리(Y)의 비(Y/X)는 0.0017 내지 0.0087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부분영역 및 상기 제2부분영역이 만나는 중간지점에서 상기 제1부분영역의 가상의 접선 및 상기 중간지점에서 상기 제2부분영역의 가상의 접선은 일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면은 상기 중심영역의 타측으로부터 곡선 형상으로 연장된 제2곡면영역 및 상기 제2곡면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된 제2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중심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제2곡면영역 및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제1곡면영역 및 상기 제1영역과 각각 대칭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곡면영역 및 상기 제2곡면영역 사이에서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중심영역의 길이는 3mm 내지 20mm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간격는 상기 제1간격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윈도우는 글라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며, 하부면 및 상기 하부면과 반대되는 상부면을 구비한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면은, 상기 하부면과 제1간격만큼 이격되고, 제1방향으로 연장된 중심영역, 상기 중심영역의 일측으로부터 곡선 형상으로 연장된 제1곡면영역, 상기 제1곡면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하부면과 제2간격만큼 이격된 제1영역, 및 상기 중심영역의 타측에 배치된 제2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곡면영역은 상기 중심영역으로부터 오목하게 연장된 제1부분영역 및 상기 제1부분영역으로부터 볼록하게 연장된 제2부분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중심영역과 중첩하는 폴딩축을 중심으로 접히는, 표시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제1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1영역과 제2영역을 포함하는 상부면을 구비한 글라스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글라스를 적어도 일부 제거하여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된 중심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글라스를 적어도 일부 연마하여 상기 중심영역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1영역으로 곡선 형상으로 연장된 제1곡면영역 및 상기 중심영역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제2영역으로 곡선 형상으로 연장된 제2곡면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곡면영역은 상기 중심영역으로부터 오목하게 연장된 제1부분영역 및 상기 제1부분영역으로부터 볼록하게 연장된 제2부분영역을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심영역과 상기 제1곡면영역과 만나는 제1지점에서 상기 제1곡면영역의 가상의 제1접선은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1곡면영역이 만나는 제2지점에서 상기 제1곡면영역의 가상의 제2접선은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제1지점 및 상기 제2지점 사이의 거리(X)에 대한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지점 및 상기 제2지점 사이의 거리(Y)의 비(Y/X)는 0.0017 내지 0.0087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부분영역 및 상기 제2부분영역이 만나는 중간지점에서 상기 제1부분영역의 가상의 접선은 상기 중간지점에서 상기 제2부분영역의 가상의 접선과 일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곡면영역 및 상기 제2곡면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글라스에 구비된 모서리를 연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심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 상에 각각 제1마스크 및 제2마스크를 배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마스크 및 상기 제2마스크 사이에 노출된 상기 상부면을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의 상기 상부면은 교반(agitation)없이 등방성 식각(isotropic etching)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심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제1연마헤드로 상기 상부면을 연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곡면영역 및 상기 제2곡면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연마헤드보다 경도가 낮은 제2연마헤드로 상기 상부면을 연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연마헤드보다 경도가 낮은 제3연마헤드로 상기 상부면을 연마하여 상기 상부면에 형성된 스크래치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는 그 두께가 변경되는 부분에서 매끄러울 수 있다. 따라서, 커버 윈도우의 두께가 변경되는 부분에서 두께 차이가 시인되는 것을 방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를 개략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버 윈도우를 A-A'선을 따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커버 윈도우의 B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4a 내지 4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5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막, 영역, 구성요소들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전기적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100)를 개략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버 윈도우(100)를 A-A'선을 따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커버 윈도우(100)의 B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커버 윈도우(100)는 크랙(crack) 등의 발생없이 외력에 따라 용이하게 휠 수 있다. 커버 윈도우(100)는 하부면(LS) 및 상부면(US)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100)의 하부면(LS) 및 커버 윈도우(100)의 상부면(US)은 서로 반대되는 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커버 윈도우(100)의 하부면(LS)은 제1방향 및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방향은 x 방향 또는 -x 방향일 수 있다. 제2방향은 y 방향 또는 -y 방향일 수 있다. 이를 다시 말하면, 커버 윈도우(100)의 하부면(LS)은 평평하거나 실질적으로 평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커버 윈도우(100)의 하부면(LS)은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커버 윈도우(100)의 하부면(LS)은 커버 윈도우(100)의 상부면(US)과 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커버 윈도우(100)의 하부면(LS)이 제1방향(예를 들어, x 방향 또는 -x 방향) 및 제2방향(예를 들어, y 방향 또는 -y 방향)으로 연장된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커버 윈도우(100)의 상부면(US)은 중심영역(CTA), 제1영역(A1), 제1곡면영역(CA1), 제2영역(A2), 및 제2곡면영역(CA2)을 포함할 수 있다. 중심영역(CTA)은 커버 윈도우(100)의 하부면(LS)과 제1간격(int1)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중심영역(CTA)은 커버 윈도우(100)의 하부면(LS)과 제3방향으로 제1간격(int1)만큼 이격될 수 있다. 제3방향은 제1방향(예를 들어, x 방향 또는 -x 방향) 및 제2방향(예를 들어, y 방향 또는 -y 방향)과 각각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방향은 z 방향 또는 -z 방향일 수 있다.
중심영역(CTA)은 제1방향(예를 들어, x 방향 또는 -x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중심영역(CTA)은 제1방향(예를 들어, x 방향 또는 -x 방향) 및 제2방향(예를 들어, y 방향 또는 -y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중심영역(CTA)은 평평하거나 실질적으로 평평할 수 있다.
중심영역(CTA)은 폴딩축(FAX)과 중첩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100)는 폴딩축(FAX)을 중심으로 접힐 수 있는데, 중심영역(CTA)은 커버 윈도우(100)가 접힐 때 구부러지는 영역일 수 있다. 중심영역(CTA)은 제1방향(예를 들어, x 방향 또는 -x 방향) 및 제2방향(예를 들어, y 방향 또는 -y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평평할 수 있으며, 평평한 중심영역(CTA)은 커버 윈도우(100)가 접힐 때 발생하는 굽힘 반발력 및/또는 응력(stress)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1곡면영역(CA1)은 중심영역(CTA)의 일측으로부터 곡선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곡면영역(CA1)은 제1방향(예를 들어, x 방향 또는 -x 방향) 및 제3방향(예를 들어, z 방향 또는 -z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곡면영역(CA1)은 오목할 수 있다. 제1곡면영역(CA1)이 오목하다는 것의 의미는 제1곡면영역(CA1)의 곡률중심이 커버 윈도우(100)의 상부면(US) 상에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제1곡면영역(CA1)의 곡률중심이 커버 윈도우(100)의 상부면(US)으로부터 z 방향으로 떨어져 있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곡면영역(CA1)은 볼록할 수 있다. 제1곡면영역(CA1)이 볼록하다는 것의 의미는 제1곡면영역(CA1)의 곡률중심이 커버 윈도우(100)의 상부면(US) 하부에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제1곡면영역(CA1)의 곡률중심이 커버 윈도우(100)의 상부면(US)으로부터 -z 방향으로 떨어져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곡면영역(CA1)은 오목하고 볼록할 수 있다.
제1곡면영역(CA1)과 중심영역(CTA)은 제1지점(P1)에서 만날 수 있다. 제1곡면영역(CA1)은 제1지점(P1)으로부터 곡선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곡면영역(CA1)은 제1지점(P1)에서 가상의 제1접선(TL1)을 가질 수 있다. 가상의 제1접선(TL1)은 제1방향(예를 들어, x 방향 또는 -x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중심영역(CTA)과 제1곡면영역(CA1)이 만나는 제1지점(P1)에서 제1곡면영역(CA1)의 가상의 제1접선(TL1)은 제1방향(예를 들어, x 방향 또는 -x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지점(P1)은 커버 윈도우(100)의 상부면(US)의 기울기가 실질적으로 불연속적하게 변경되는 지점이 아닐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다르게 제1지점(P1)에서 커버 윈도우(100)의 상부면(US)의 기울기가 불연속적으로 변경되는 경우, 제3방향(예를 들어, z 방향 또는 -z 방향)으로 커버 윈도우(100)를 바라보았을 때, 또는 평면(예를 들어, xy 평면) 상에서, 중심영역(CTA) 및 제1곡면영역(CA1) 사이의 경계가 시인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100)의 상부면(US)의 기울기는 제1지점(P1)에서 연속적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중심영역(CTA) 및 제1곡면영역(CA1) 사이의 경계가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곡면영역(CA1)은 제1부분영역(PA1) 및 제2부분영역(P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부분영역(PA1)은 중심영역(CTA)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부분영역(PA1)은 오목하게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부분영역(PA1)의 곡률중심(PACT1)은 커버 윈도우(100)의 상부면(US)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부분영역(PA2)은 제1부분영역(PA1)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2부분영역(PA2)은 제1부분영역(PA1)과 중간지점(CP)에서 만날 수 있다. 제2부분영역(PA2)은 중간지점(CP)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부분영역(PA2)은 볼록하게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부분영역(PA2)의 곡률중심(PACT2)은 커버 윈도우(100)의 상부면(US)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부분영역(PA2)은 제1영역(A1)과 만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부분영역(PA2)의 일측은 중간지점(CP)에서 제1부분영역(PA1)과 만나고, 제2부분영역(PA2)의 타측은 제2지점(P2)에서 제1영역(A1)과 만날 수 있다. 따라서, 제1곡면영역(CA1)은 중심영역(CTA)으로부터 제1영역(A1)으로 매끄럽게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중심영역(CTA) 및 제1영역(A1)의 경계가 시인되는 것을 방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곡면영역(CA1)은 제2부분영역(PA2)으로부터 오목하거나 볼록하게 연장된 제3부분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중간지점(CP)에서 제1부분영역(PA1)의 가상의 접선(PTL1) 및 중간지점(CP)에서 제2부분영역(PA2)의 가상의 접선(PTL2)은 일치할 수 있다. 즉, 중간지점(CP)에서 제1부분영역(PA1)의 가상의 접선(PTL1) 및 중간지점(CP)에서 제2부분영역(PA2)의 가상의 접선(PTL2)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를 다시 말하면, 커버 윈도우(100)의 상부면(US)의 기울기는 제1부분영역(PA1)으로부터 제2부분영역(PA2)까지 연속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중간지점(CP)은 커버 윈도우(100)의 상부면(US)의 기울기가 실질적으로 불연속적하게 변경되는 지점이 아닐 수 있다. 커버 윈도우(100)의 상부면(US)의 기울기는 중간지점(CP)에서 연속적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제1부분영역(PA1) 및 제2부분영역(PA2) 사이의 경계가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제1영역(A1)은 제1곡면영역(CA1)으로부터 제1방향(예를 들어, x 방향 또는 -x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영역(A1)은 제1방향(예를 들어, x 방향 또는 -x 방향) 및 제2방향(예를 들어, y 방향 또는 -y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영역(A1)은 평평하거나 실질적으로 평평할 수 있다.
제1영역(A1)은 커버 윈도우(100)의 하부면(LS)과 제2간격(int2)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영역(A1)은 커버 윈도우(100)의 하부면(LS)과 제3방향(예를 들어, z 방향 또는 -z 방향)으로 제2간격(int2)만큼 이격될 수 있다. 제2간격(int2)은 제1간격(int1)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제1영역(A1)은 커버 윈도우(100)가 접힐 때 구부러지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커버 윈도우(100)는 표시 패널(미도시) 상에 배치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제1영역(A1)에서 커버 윈도우(100)의 두께는 중심영역(CTA)에서 커버 윈도우(100)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커버 윈도우(100)가 접힐 때 중심영역(CTA)에서 굽힘 반발력을 최소화하면서 상기 표시 패널의 손상을 방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제1영역(A1)은 제1곡면영역(CA1)은 제2지점(P2)에서 만날 수 있다. 제1영역(A1)은 제2지점(P2)으로부터 제1방향(예를 들어, x 방향 또는 -x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곡면영역(CA1)은 제2지점(P2)에서 가상의 제2접선(TL2)을 가질 수 있다. 가상의 제2접선(TL2)은 제1방향(예를 들어, x 방향 또는 -x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제1영역(A1)과 제1곡면영역(CA1)이 만나는 제2지점(P2)에서 제1곡면영역(CA1)의 가상의 제2접선(TL2)은 제1방향(예를 들어, x 방향 또는 -x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지점(P2)은 커버 윈도우(100)의 상부면(US)의 기울기가 실질적으로 불연속적하게 변경되는 지점이 아닐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다르게 제2지점(P2)에서 커버 윈도우(100)의 상부면(US)의 기울기가 실질적으로 불연속적하게 변경되는 경우, 제3방향(예를 들어, z 방향 또는 -z 방향)으로 커버 윈도우(100)를 바라보았을 때, 또는 평면(예를 들어, xy 평면) 상에서, 제1영역(A1) 및 제1곡면영역(CA1) 사이의 경계가 시인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커버 윈도우(100)의 상부면(US)의 기울기는 제2지점(P2)에서 연속적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제1영역(A1) 및 제1곡면영역(CA1) 사이의 경계가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방향(예를 들어, x 방향 또는 -x 방향)으로 제1지점(P1) 및 제2지점(P2) 사이의 제1거리(d1)에 대한 제1방향(예를 들어, x 방향 또는 -x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1지점(P1) 및 제2지점(P2) 사이의 제2거리(d2)의 비는 0.0017 내지 0.0087일 수 있다. 제1거리(d1)가 X이고, 제2거리(d2)가 Y인 경우, 제1거리(d1)에 대한 제2거리(d2)의 비는 Y/X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거리(d2)는 제3방향(예를 들어, z 방향 또는 -z 방향)으로 제1지점(P1) 및 제2지점(P2) 사이의 거리일 수 있다. 제1거리(d1)에 대한 제2거리(d2)의 비가 0.0017보다 작은 경우, 중심영역(CTA)에서 커버 윈도우(100)의 두께와 제1영역(A1)에서 커버 윈도우(100)의 두께의 차이가 실질적으로 없을 수 있다. 제1거리(d1)에 대한 제2거리(d2)의 비가 0.0087보다 큰 경우, 중심영역(CTA) 및 제1영역(A1) 사이의 경계가 시인될 수 있다. 즉, 제1방향(예를 들어, x 방향 또는 -x 방향)으로 커버 윈도우(100)를 바라보았을 때, 또는 단면(예를 들어, yz 단면) 상에서, 중심영역(CTA) 및 제1영역(A1) 사이의 경계가 시인될 수 있다. 또는 제2방향(예를 들어, y 방향 또는 -y 방향)으로 커버 윈도우(100)를 바라보았을 때, 또는 단면(예를 들어, xz 단면) 상에서 중심영역(CTA) 및 제1영역(A1) 사이의 경계가 시인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거리(d1)에 대한 제2거리(d2)의 비가 0.0087보다 작으므로, 중심영역(CTA) 및 제1영역(A1) 사이의 경계가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다시 말하면, 가상의 제1접선(TL1) 및 제1지점(P1) 및 제2지점(P2)을 연결한 가상의 직선이 이루는 사이각(θ)이 0.1도 내지 5도일 수 있다. 제1곡면영역(CA1)이 중심영역(CTA)으로부터 제1영역(A1)으로 완만한 경사를 가지므로, 중심영역(CTA) 및 제1영역(A1) 사이의 경계가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거리(d2)가 30 ㎛ 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제1거리(d1)가 3 mm 내지 13 mm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거리(d2)가 30 ㎛ 보다 크고, 50 ㎛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제1거리(d1)는 5 mm 내지 15 mm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거리(d2)가 50 ㎛ 보다 큰 경우, 제1거리(d1)는 하기의 수학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수학식 1]
(d2/1000)/0.008727≤d1≤(d2/3000)*(1/0.001745)+1/0.017455+1/0.087489
(여기서, 상기 d1은 제1거리이며, 단위는 mm이다. 상기 d2는 제2거리이며, 단위는 ㎛이다.)
따라서, 제1곡면영역(CA1)이 중심영역(CTA)으로부터 제1영역(A1)으로 완만한 경사를 가지므로, 중심영역(CTA) 및 제1영역(A1) 사이의 경계가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제2영역(A2)은 중심영역(CTA)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영역(A1)은 중심영역(CTA)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2영역(A2)은 중심영역(CTA)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다시 말하면, 제1영역(A1) 및 제2영역(A2)은 중심영역(CTA)을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제2영역(A2)은 제1방향(예를 들어, x 방향 또는 -x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영역(A2)은 제1방향(예를 들어, x 방향 또는 -x 방향) 및 제2방향(예를 들어, y 방향 또는 -y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영역(A2)은 평평하거나 실질적으로 평평할 수 있다.
제2곡면영역(CA2)은 중심영역(CTA)의 타측으로부터 제2영역(A2)으로 곡선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곡면영역(CA2) 및 중심영역(CTA)은 제3지점(P3)에서 만날 수 있으며, 제2곡면영역(CA2)은 제3지점(P3)으로부터 곡선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곡면영역(CA2)은 제1방향(예를 들어, x 방향 또는 -x 방향) 및 제3방향(예를 들어, z 방향 또는 -z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곡면영역(CA2)은 오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곡면영역(CA2)은 볼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2곡면영역(CA2)은 오목하고 볼록할 수 있다. 제2곡면영역(CA2)은 제2영역(A2)과 제4지점(P4)에서 만날 수 있다.
제2영역(A2)은 제2곡면영역(CA2)으로부터 제1방향(예를 들어, x 방향 또는 -x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영역(A2)은 제4지점(P4)으로부터 제1방향(예를 들어, x 방향 또는 -x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곡면영역(CA2) 및 제2영역(A2)은 중심영역(CTA)을 기준으로 제1곡면영역(CA1) 및 제1영역(A1)과 각각 대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곡면영역(CA1) 및 제2곡면영역(CA2)은 중심영역(CTA) 및/또는 폴딩축(FAX)을 기준으로 대칭일 수 있다. 제1영역(A1) 및 제2영역(A2)은 중심영역(CTA) 및/또는 폴딩축(FAX)을 기준으로 대칭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곡면영역(CA1) 및 제2곡면영역(CA2) 사이에서 제1방향(예를 들어, x 방향 또는 -x 방향)으로 중심영역(CTA)의 길이(L)는 3mm 내지 20 mm일 수 있다. 중심영역(CTA)의 길이(L)는 제1방향(예를 들어, x 방향 또는 -x 방향)으로 제1지점(P1) 및 제3지점(P3) 사이의 거리일 수 있다. 중심영역(CTA)의 길이(L)가 3mm보다 작은 경우, 커버 윈도우(100)를 제조하거나, 커버 윈도우(100)를 표시 패널에 부착하는 라미네이션 공정에서 발생하는 공차에 의해 유리한 접힘 특성을 확보하지 못할 수 있다. 접힘 특성으로는 예를 들어, 낮은 굽힘 반발력 등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커버 윈도우(100)는 글라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윈도우(100)는 초박형 강화 유리(Ultra Thin Glass, UTG)일 수 있다. 커버 윈도우(100)는 물리적 강화 방법 또는 이온 교환법을 이용한 화학적 강화 방법으로 처리된 글라스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커버 윈도우(100)는 사파이어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a 내지 4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c 내지 도 4f는 도 4b의 B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글라스(100-1)를 준비할 수 있다. 글라스(100-1)는 하부면(LS-1) 및 상부면(US-1)을 포함할 수 있다. 글라스(100-1)의 하부면(LS-1) 및 글라스(100-1)의 상부면(US-1)은 서로 반대되는 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글라스(100-1)의 하부면(LS-1) 및 글라스(100-1)의 상부면(US-1)은 제1방향(예를 들어, x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글라스(100-1)의 하부면(LS-1) 및 글라스(100-1)의 상부면(US-1)은 제1방향(예를 들어, x 방향 또는 -x 방향) 및 제2방향(예를 들어, y 방향 또는 -y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를 다시 말하면, 글라스(100-1)의 하부면(LS-1) 및 글라스(100-1)의 상부면(US-1)은 평평하거나 실질적으로 평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글라스(100-1)의 하부면(LS-1) 및 글라스(100-1)의 상부면(US-1) 중 적어도 하나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글라스(100-1)의 상부면(US-1)은 서로 이격된 제1영역(A1-1) 및 제2영역(A2-1)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영역(A1-1) 및 제2영역(A2-1)은 제1방향(예를 들어, x 방향 또는 -x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영역(A1-1) 및 제2영역(A2-1)은 글라스(100-1)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일 수 있다.
도 4b 내지 도 4d를 참조하면, 글라스(100-1)를 적어도 일부 제거하여 중심영역(CTA-1)을 형성할 수 있다. 중심영역(CTA-1)은 제1영역(A1-1) 및 제2영역(A2-1) 사이에 배치되고 제1방향(예를 들어, x 방향 또는 -x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글라스(100-1)의 적어도 일부는 식각 공정으로 제거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제1영역(A1-1) 및 제2영역(A2-1) 상에 각각 제1마스크(M1) 및 제2마스크(M2)를 배치시킬 수 있다. 제1마스크(M1)는 제1영역(A1-1)과 중첩할 수 있다. 제2마스크(M2)는 제2영역(A2-1)과 중첩할 수 있다. 제1마스크(M1) 및 제2마스크(M2)는 서로 이격될 수 있으며, 글라스(100-1)의 상부면(US-1) 중 일부는 제1마스크(M1) 및 제2마스크(M2) 사이에서 노출될 수 있다.
제1마스크(M1) 및 제2마스크(M2) 중 적어도 하나는 내식각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마스크(M1) 및 제2마스크(M2) 중 적어도 하나는 PE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c 및 도 4d를 참조하면, 제1마스크(M1) 및 제2마스크(M2) 사이에 노출된 글라스(100-1)의 상부면(US-1)을 식각할 수 있다. 상기 식각으로 중심영역(CTA-1), 제1연결영역(CNA1-1), 및 제2연결영역(CNA2-1)이 형성될 수 있다. 중심영역(CTA-1)은 평평하거나 실질적으로 평평할 수 있다. 평평한 중심영역(CTA-1)은 커버 윈도우(100)가 접힐 때 발생하는 굽힘 반발력 및/또는 응력(stress)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1연결영역(CNA1-1)은 중심영역(CTA-1)으로부터 제1영역(A1-1)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연결영역(CNA1-1)은 곡선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각된 글라스(100-1)의 상면(US-1)의 기울기는 중심영역(CTA-1) 및 제1연결영역(CNA-1)이 만나는 지점에서 연속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중심영역(CTA-1) 및 제1연결영역(CNA-1)이 만나는 지점이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연결영역(CNA1-1) 및 제1영역(A1-1)은 서로 교차할 수 있다. 서로 교차하는 제1연결영역(CNA1-1) 및 제1영역(A1-1)은 제1모서리(E1)를 정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연결영역(CNA1-1)은 직선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연결영역(CNA1-1) 및 중심영역(CTA-1)은 서로 교차할 수 있다. 또한, 제1연결영역(CNA1-1) 및 제1영역(A1-1)은 서로 교차할 수 있다.
제2연결영역(CNA2-1)은 중심영역(CTA-1)으로부터 제2영역(A2-1)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연결영역(CNA2-1)은 곡선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연결영역(CNA2-1) 및 제2영역(A2-1)은 서로 교차할 수 있다. 서로 교차하는 제2연결영역(CNA2-1) 및 제2영역(A2-1)은 제2모서리(E2)를 정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연결영역(CNA2-1)은 직선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연결영역(CNA2-1)의 형상은 제1연결영역(CNA1-1)의 형상과 유사할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글라스(100-1)는 과식각(over-etch)될 수 있다. 글라스(100-1)에는 언더컷 구조(UC)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글라스(100-1)와 대향하는 제1마스크(M1)의 하부면 및 글라스(100-1)와 대향하는 제2마스크(M2)의 하부면 중 적어도 하나는 노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글라스(100-1)에는 언더컷 구조(UC)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글라스(100-1)의 상부면(US-1)은 습식 식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글라스(100-1)는 교반(agitation)없이 등방성 식각(Isotropic etching)될 수 있다. 글라스(100-1)가 식각될 때, 제1연결영역(CNA1-1)의 곡률 및 제2연결영역(CNA2-1)의 곡률은 식각률(etch rate) 및/또는 식각 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식각 조성물 또는 에천트(Etchant)는 불산(HF), 불화암모늄(NH4F), 및 질산(HNO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글라스(100-1)가 교반없이 등방성 식각되는 경우, 평탄한 중심영역(CTA-1)을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중심영역(CTA-1)에서 높은 표면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글라스(100-1)를 가공하는 공정 및/또는 글라스(100-1)로 제조된 커버 윈도우를 표시 패널에 부착하는 라미네이션 공정에서 공차가 발생하더라도 낮은 굽힘 반발력 등 접힘 특성이 확보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글라스(100-1)는 건식 식각될 수 있다.
글라스(100-1)를 적어도 일부 식각하는 공정은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 내에 평탄한 중심영역(CTA-1)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 윈도우를 제조하는 방법의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그 다음, 제1마스크(M1) 및 제2마스크(M2)를 제거할 수 있다.
도 4e 및 도 4f를 참조하면, 글라스(100-1)를 적어도 일부 연마하여 제1곡면영역(CA1-1) 및 제2곡면영역(CA2-1)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마헤드(300)는 글라스(100-1)의 적어도 일부를 연마할 수 있다. 도 4e에서 연마헤드(300)가 제2방향(예를 들어, y 방향 또는 -y 방향)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연마헤드(300)는 제1방향(예를 들어, x 방향 또는 -x 방향) 또는 제3방향(예를 들어, z 방향 또는 -z 방향)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마헤드(300)는 글라스(100-1)에 구비된 모서리를 연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마헤드(300)는 제1모서리(E1) 및/또는 제2모서리(E2)를 연마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모서리(E1) 및/또는 제2모서리(E2)는 제거될 수 있다. 도 4e에서 제1모서리(E1) 및 제2모서리(E2)가 연마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연마헤드(300)는 글라스(100-1)의 상부면(US-1)에 구비된 다른 모서리들도 연마할 수 있다. 따라서, 글라스(100-1)의 상부면(US-1)은 매끄러워질 수 있다.
중심영역(CTA-1)은 글라스(100-1)의 하부면(LS-1)과 제1간격(int1-1)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중심영역(CTA-1)은 글라스(100-1)의 하부면(LS-1)과 제3방향(예를 들어, z 방향 또는 -z 방향)으로 제1간격(int1-1)만큼 이격될 수 있다.
제1곡면영역(CA1-1)은 중심영역(CTA-1)의 일측으로부터 곡선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곡면영역(CA1-1)은 제1방향(예를 들어, x 방향 또는 -x 방향) 및 제3방향(예를 들어, z 방향 또는 -z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곡면영역(CA1-1)은 오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곡면영역(CA1-1)은 볼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곡면영역(CA1-1)은 오목하고 볼록할 수 있다.
제1곡면영역(CA1-1)과 중심영역(CTA-1)은 제1지점(P1-1)에서 만날 수 있다. 제1곡면영역(CA1-1)은 제1지점(P1-1)으로부터 곡선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곡면영역(CA1-1)은 제1지점(P1-1)에서 가상의 제1접선(TL1-1)을 가질 수 있다. 가상의 제1접선(TL1-1)은 제1방향(예를 들어, x 방향 또는 -x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중심영역(CTA-1)과 제1곡면영역(CA1-1)이 만나는 제1지점(P1-1)에서 제1곡면영역(CA1-1)의 가상의 제1접선(TL1-1)은 제1방향(예를 들어, x 방향 또는 -x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글라스(100-1)의 상부면(US-1)의 기울기는 제1지점(P1-1)에서 연속적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중심영역(CTA-1) 및 제1곡면영역(CA1-1) 사이의 경계가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곡면영역(CA1-1)은 제1부분영역(PA1-1) 및 제2부분영역(PA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부분영역(PA1-1)은 중심영역(CTA-1)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부분영역(PA1-1)은 오목하게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부분영역(PA2-1)은 제1부분영역(PA1-1)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2부분영역(PA2-1)은 제1부분영역(PA1-1)과 중간지점(CP-1)에서 만날 수 있다. 제2부분영역(PA2-1)은 중간지점(CP-1)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부분영역(PA2-1)은 볼록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제2부분영역(PA2-1)의 일측은 중간지점(CP-1)에서 제1부분영역(PA1-1)과 만나고, 제2부분영역(PA2-1)의 타측은 제2지점(P2-1)에서 제1영역(A1-1)과 만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곡면영역(CA1-1)은 제2부분영역(PA2-1)으로부터 볼록하거나 오목하게 연장된 제3부분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중간지점(CP-1)에서 제1부분영역(PA1-1)의 가상의 접선(PTL1-1) 및 중간지점(CP-1)에서 제2부분영역(PA2-1)의 가상의 접선(PTL2-1)은 일치할 수 있다. 즉, 중간지점(CP-1)에서 제1부분영역(PA1-1)의 가상의 접선(PTL1-1) 및 중간지점(CP-1)에서 제2부분영역(PA2-1)의 가상의 접선(PTL2-1)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를 다시 말하면, 글라스(100-1)의 상부면(US-1)의 기울기는 제1부분영역(PA1-1)으로부터 제2부분영역(PA2-1)까지 연속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중간지점(CP-1)은 글라스(100-1)의 상부면(US-1)의 기울기가 불연속적으로 변경되는 지점이 아닐 수 있다. 글라스(100-1)의 상부면(US-1)의 기울기는 중간지점(CP-1)에서 연속적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제1부분영역(PA1-1) 및 제2부분영역(PA2-1) 사이의 경계가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제1영역(A1-1)은 글라스(100-1)의 하부면(LS-1)과 제2간격(int2-1)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영역(A1-1)은 글라스(100-1)의 하부면(LS-1)과 제3방향(예를 들어, z 방향 또는 -z 방향)으로 제2간격(int2-1)만큼 이격될 수 있다. 제2간격(int2-1)은 제1간격(int1-1)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제1영역(A1-1)은 제1곡면영역(CA1-1)과 제2지점(P2-1)에서 만날 수 있다. 제1곡면영역(CA1-1)은 제2지점(P2-1)에서 가상의 제2접선(TL2-1)을 가질 수 있다. 가상의 제2접선(TL2-1)은 제1방향(예를 들어, x 방향 또는 -x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제1영역(A1-1)과 제1곡면영역(CA1-1)이 만나는 제2지점(P2-1)에서 제1곡면영역(CA1-1)의 가상의 제2접선(TL2-1)은 제1방향(예를 들어, x 방향 또는 -x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글라스(100-1)의 상부면(US-1)의 기울기는 제2지점(P2-1)에서 연속적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제1영역(A1-1) 및 제1곡면영역(CA1-1) 사이의 경계가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방향(예를 들어, x 방향 또는 -x 방향)으로 제1지점(P1-1) 및 제2지점(P2-1) 사이의 제1거리(d1-1)에 대한 제1방향(예를 들어, x 방향 또는 -x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1지점(P1-1) 및 제2지점(P2-1) 사이의 제2거리(d2-1)의 비는 0.0017 내지 0.0087일 수 있다. 제1거리(d1-1)가 X이고, 제2거리(d2-1)가 Y인 경우, 제1거리(d1-1)에 대한 제2거리(d2-1)의 비는 Y/X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거리(d2-1)는 제3방향(예를 들어, z 방향 또는 -z 방향)으로 제1지점(P1-1) 및 제2지점(P2-1) 사이의 거리일 수 있다. 제1거리(d1-1)에 대한 제2거리(d2-1)의 비가 0.0017보다 작은 경우, 중심영역(CTA-1)에서 글라스(100-1)의 두께와 제1영역(A1-1)에서 글라스(100-1)의 두께의 차이가 실질적으로 없을 수 있다. 제1거리(d1-1)에 대한 제2거리(d2-1)의 비가 0.0087보다 큰 경우, 중심영역(CTA-1) 및 제1영역(A1-1) 사이의 경계가 시인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거리(d1-1)에 대한 제2거리(d2-1)의 비가 0.0087보다 작으므로, 중심영역(CTA-1) 및 제1영역(A1-1) 사이의 경계가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제1거리(d1-1)에 대한 제2거리(d2-1)의 비는 글라스(100-1)를 연마하여 조절할 수 있다.
제2곡면영역(CA2-1)은 중심영역(CTA-1)의 타측으로부터 제2영역(A2-1)으로 곡선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곡면영역(CA2-1) 및 중심영역(CTA-1)은 제3지점(P3-1)에서 만날 수 있으며, 제2곡면영역(CA2-1)은 제3지점(P3-1)으로부터 곡선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곡면영역(CA2-1)은 제1방향(예를 들어, x 방향 또는 -x 방향) 및 제3방향(예를 들어, z 방향 또는 -z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곡면영역(CA2-1)은 오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곡면영역(CA2-1)은 볼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2곡면영역(CA2-1)은 오목하고 볼록할 수 있다. 제2곡면영역(CA2-1)은 제2영역(A2-1)과 제4지점(P4-1)에서 만날 수 있다.
제2영역(A2-1)은 제2곡면영역(CA2-1)으로부터 제1방향(예를 들어, x 방향 또는 -x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영역(A2-1)은 제4지점(P4-1)으로부터 제1방향(예를 들어, x 방향 또는 -x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중심영역(CTA-1)을 기준으로 제2곡면영역(CA2-1) 및 제2영역(A2-1)은 제1곡면영역(CA1-1) 및 제1영역(A1-1)과 각각 대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곡면영역(CA1-1) 및 제2곡면영역(CA2-1)은 중심영역(CTA-1)을 기준으로 대칭일 수 있다. 제1영역(A1-1) 및 제2영역(A2-1)은 중심영역(CTA-1)을 기준으로 대칭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추가적으로, 글라스(100-1)의 상부면(US-1)을 연마하여 글라스(100-1)의 상부면(US-1)에 형성된 스크래치를 제거할 수 있다.
도 5a 내지 5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e에 있어서, 도 4a 내지 도 4f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부재를 의미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글라스(100-1)를 준비할 수 있다. 글라스(100-1)는 하부면(LS-1) 및 상부면(US-1)을 포함할 수 있다. 글라스(100-1)는 지그(jig, 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글라스(100-1) 및 지그(10) 사이에는 서포터(20)가 배치될 수 있다. 서포터(20)는 글라스(100-1)의 하부면(LS-1)과 대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포터(20)는 왁스, 즉 지방산 에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서포터(20)는 글라스(100-1)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 또는 감소할 수 있다.
글라스(100-1)의 상부면(US-1)은 서로 이격된 제1영역(A1-1) 및 제2영역(A2-1)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영역(A1-1) 및 제2영역(A2-1)은 제1방향(예를 들어, x 방향 또는 -x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글라스(100-1)를 적어도 일부 제거하여 중심영역(CTA-1)을 형성할 수 있다. 중심영역(CTA-1)은 제1영역(A1-1) 및 제2영역(A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중심영역(CTA-1)은 제1방향(예를 들어, x 방향 또는 -x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중심영역(CTA-1)은 제1영역(A1-1) 및 제2영역(A2-1) 사이에서 제2방향(예를 들어, y 방향 또는 -y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글라스(100-1)의 적어도 일부는 연마 공정으로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연마 공정은 기계적 연마 공정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연마 공정은 화학적 기계적 연마 공정일 수 있다.
제1연마헤드(310)는 글라스(100-1)의 상부면(US-1)을 연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연마헤드(310)는 제3방향(예를 들어, z 방향 또는 -z 방향)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연마헤드(310)는 제1방향(예를 들어, x 방향 또는 -x 방향) 또는 제2방향(예를 들어, y 방향 또는 -y 방향)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연마헤드(310)는 제1방향(예를 들어, x 방향 또는 -x 방향), 제2방향(예를 들어, y 방향 또는 -y 방향), 및/또는 제3방향(예를 들어, z 방향 또는 -z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글라스(100-1)를 적어도 일부 연마하여 제1곡면영역(CA1-1) 및 제2곡면영역(CA2-1)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연마헤드(320)는 글라스(100-1)의 상부면(US-1)을 연마할 수 있다. 제1곡면영역(CA1-1) 및 제2곡면영역(CA2-1)은 도 4f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곡면영역(CA1-1) 및 제2곡면영역(CA2-1)의 형상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연마헤드(320)는 제1연마헤드(310, 도 5b 참조)보다 경도가 낮은 연마헤드일 수 있다. 제2연마헤드(320)가 글라스(100-1)의 상부면(US-1)을 연마함으로써, 중심영역(CTA-1) 및 제1영역(A1-1) 사이의 단차가 줄어들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연마헤드(320)는 제3방향(예를 들어, z 방향 또는 -z 방향)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연마헤드(320)는 제1방향(예를 들어, x 방향 또는 -x 방향) 또는 제2방향(예를 들어, y 방향 또는 -y 방향)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연마헤드(320)는 제1방향(예를 들어, x 방향 또는 -x 방향), 제2방향(예를 들어, y 방향 또는 -y 방향), 및/또는 제3방향(예를 들어, z 방향 또는 -z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연마헤드(320)는 글라스(100-1)에 구비된 모서리를 연마할 수 있다. 따라서, 글라스(100-1)의 상부면(US-1)은 매끄러워질 수 있다.
제1연마제(411)는 글라스(100-1)의 상부면(US-1)에 공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연마제(411)는 초순수(DIW, De-lonized Water), 계면활성제(surfactant), 및 슬러리(Slurry)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1연마제(411)는 제2연마헤드(320)가 글라스(100-1)를 연마하는 동안 또는 연마를 수행하기 전에 글라스(100-1)의 상부면(US-1)에 공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글라스(100-1)는 화학적 기계적 연마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급배관(400)은 상기 제1연마제(411)를 공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연마제(411)는 제2연마헤드(320) 내부에 구비된 유로를 통하여 공급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노즐(미도시)이 상기 제1연마제(411)를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연마헤드(310)로 글라스(100-1)를 연마하여 중심영역(CTA-1)을 형성한 후, 제2연마헤드(320)로 글라스(100-1)를 연마하여 제1곡면영역(CA1-1) 및 제2곡면영역(CA2-1)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글라스(100-1)는 지그(10) 상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부면이 매끄럽고 중심영역(CTA-1)의 두께가 작은 커버 윈도우를 제조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를 제조하는 도중 글라스(100-1)를 지그(10)로부터 탈착시키고 다른 화학 공정을 진행한다면, 글라스(100-1)를 운반하는 과정에서 글라스(100-1)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글라스(100-1)를 동일한 지그(10) 상에서 기계적 연마 및/또는 화학적 기계적 연마가 진행되므로, 글라스(100-1)의 운반을 최소화하면서 커버 윈도우를 제조할 수 있다.
도 5d 및 도 5e를 참조하면, 글라스(100-1)의 상부면(US-1)을 연마하여 글라스(100-1)의 상부면(US-1)에 형성된 스크래치를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연마헤드(330)는 글라스(100-1)의 상부면(US-1)을 연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연마헤드(330)는 솔(Brush)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솔은 글라스(100-1)의 상부면(US-1)과 접촉할 수 있다.
제2연마제(412)는 글라스(100-1)의 상부면(US-1)에 공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연마제(412)는 초순수(DIW, De-lonized Water), 계면활성제(surfactant), 및 슬러리(Slurry)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연마제(412)는 제1연마제(411, 도 5c 참조)보다 입자 사이즈가 작을 수 있다.
상기 제2연마제(412)는 제3연마헤드(330)가 글라스(100-1)를 연마하는 동안 또는 연마를 수행하기 전에 글라스(100-1)의 상부면(US-1)에 공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글라스(100-1)는 화학적 기계적 연마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연마헤드(330)는 제2연마헤드(320, 도 5e 참조)보다 경도가 낮은 연마헤드일 수 있다. 제3연마헤드(330)가 글라스(100-1)의 상부면(US-1)을 연마함으로써, 글라스(100-1)의 상부면(US-1)에 형성된 스크래치를 제거할 수 있으며, 글라스(100-1)의 상부면(US-1)이 더욱 매끄러워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연마헤드(330)는 제1방향(예를 들어, x 방향 또는 -x 방향), 제2방향(예를 들어, y 방향 또는 -y 방향), 및/또는 제3방향(예를 들어, z 방향 또는 -z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 다음, 서포터(20)와 지그(10)는 분리될 수 있으며, 서포터(20)와 글라스(100-1)는 분리될 수 있다. 그 다음, 글라스(100-1)를 세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글라스(100-1)로부터 커버 윈도우를 제조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a는 표시 장치(1)가 펴진(unfold)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b는 표시 장치(1)가 접힌(fold)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3과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부재를 의미하는 바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커버 윈도우(100), 표시 패널(200), 및 수지재(RS)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100)는 크랙(crack) 등의 발생없이 외력에 따라 용이하게 휠 수 있다. 커버 윈도우(100)는 하부면(LS) 및 상부면(US)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100)의 하부면(LS) 및 커버 윈도우(100)의 상부면(US)은 서로 반대되는 면일 수 있다.
표시 패널(200)은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 패널(200)은 표시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표시요소를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요소는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일 수 있다. 또는, 상기 표시요소는 발광 다이오드(LED)일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LED)의 크기는 마이크로(micro) 스케일 또는 나노(nano) 스케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는 마이크로(micro)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또는, 발광 다이오드는 나노로드(nanorod)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나노로드 발광 다이오드는 갈륨질소(GaN)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나노로드 발광 다이오드 상에 색변환층을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색변환층은 양자점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표시요소는 양자점 발광층을 포함하는 양자점 발광 다이오드(Quantum dot Light Emitting Diode)일 수 있다. 또는, 상기 표시요소는 무기 반도체를 포함하는 무기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표시 패널(200)은 커버 윈도우(100)와 중첩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100)는 표시 패널(2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커버 윈도우(100)의 하부면(LS)은 표시 패널(200)의 상면과 대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커버 윈도우(100)의 상부면(US)은 표시 패널(200)의 상면과 대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200)은 표시 패널(200)의 상면으로부터 커버 윈도우(100)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빛을 방출할 수 있다.
표시 패널(200)은 벤딩영역(BA), 제1연장영역(EXA1), 및 제2연장영역(EXA2)을 포함할 수 있다. 벤딩영역(BA)은 표시 패널(200)이 접히는 영역일 수 있다. 벤딩영역(BA)은 커버 윈도우(100)의 중심영역(CTA)과 중첩할 수 있다. 제1연장영역(EXA1)은 벤딩영역(BA)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영역일 수 있다. 제1연장영역(EXA1)은 커버 윈도우(100)의 제1영역(A1)과 중첩할 수 있다. 제2연장영역(EXA2)은 벤딩영역(BA)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된 영역일 수 있다. 제2연장영역(EXA2)은 커버 윈도우(100)의 제2영역(A2)과 중첩할 수 있다.
수지재(RS)는 커버 윈도우(100)의 상부면(US)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지재(RS)는 중심영역(CTA)과 중첩할 수 있다. 수지재(RS)는 커버 윈도우(100)의 중심영역(CTA), 제1곡면영역(CA1), 및 제2곡면영역(CA2)으로 정의되는 그루브를 채울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지재(RS)의 상면, 제1영역(A1), 및 제2영역(A2)은 전체적으로 평탄할 수 있다.
수지재(RS)는 OCR(Optical Clear Resin)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지재(RS)는 아크릴, 에폭시, 실리콘, 우레탄, 우레탄합성물, 우레탄아크릴 합성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중심영역(CTA)과 중첩하는 폴딩축(FAX)을 중심으로 접힐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펴진(unfold)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접힌(fold)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1)는 인 폴딩 방식으로 접힐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는 커버 윈도우(100)의 제1영역(A1) 및 커버 윈도우(100)의 제2영역(A2)이 서로 대향하도록 접힐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1)는 아웃 폴딩 방식으로 접힐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는 커버 윈도우(100)의 제1영역(A1) 및 커버 윈도우(100)의 제2영역(A2)이 서로 반대 방향을 바라보도록 접힐 수 있다.
제2간격(int2)은 제1간격(int1)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따라서, 제1영역(A1)에서 커버 윈도우(100)의 두께는 중심영역(CTA)에서 커버 윈도우(100)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으며, 커버 윈도우(100)까 접힐 때 중심영역(CTA)에서 굽힘 반발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200)의 제1연장영역(EXA1) 및 표시 패널(200)의 제2연장영역(EXA2)을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100)는 그 두께가 변경되는 부분에서 매끄러울 수 있다. 따라서, 커버 윈도우(100)의 두께가 변경되는 부분에서 두께 차이가 시인되는 것을 방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지점(P1), 제2지점(P2), 제3지점(P3), 및 제4지점(P4)에서 커버 윈도우(100)의 상부면(US)의 인접한 영역들의 경계가 시인되는 것을 방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표시 장치
100: 커버 윈도우
100-1: 글라스
200: 표시 패널
300: 연마헤드
310, 320: 제1연마헤드, 제2연마헤드, 제3연마헤드
A1, A1-1: 제1영역
A2, A2-1: 제2영역
CA1, CA1-1: 제1곡면영역
CA2, CA2-1: 제2곡면영역
CP, CP-1: 중간지점
CTA, CTA-1: 중심영역
M1: 제1마스크
P1, P1-1: 제1지점
P2, P2-1: 제2지점
PA1, PA1-1: 제1부분영역
PA2, PA2-1: 제2부분영역
TL1, TL1-1: 가상의 제1접선
TL2, TL2-1: 가상의 제2접선
d1, d1-1: 제1거리
d2, d2-1: 제2거리
int1, int1-1: 제1간격
int2, int2-1: 제2간격
FAX: 폴딩축

Claims (20)

  1. 하부면 및 상기 하부면과 반대되는 상부면을 구비한 커버 윈도우에 있어서,
    상기 상부면은,
    상기 하부면과 제1간격만큼 이격되고, 제1방향으로 연장된 중심영역,
    상기 중심영역의 일측으로부터 곡선 형상으로 연장된 제1곡면영역, 및
    상기 제1곡면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하부면과 제2간격만큼 이격된 제1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곡면영역은 상기 중심영역으로부터 오목하게 연장된 제1부분영역 및 상기 제1부분영역으로부터 볼록하게 연장된 제2부분영역을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영역과 상기 제1곡면영역이 만나는 제1지점에서 상기 제1곡면영역의 가상의 제1접선은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된, 커버 윈도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1곡면영역이 만나는 제2지점에서 상기 제1곡면영역의 가상의 제2접선은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된, 커버 윈도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제1지점 및 상기 제2지점 사이의 거리(X)에 대한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지점 및 상기 제2지점 사이의 거리(Y)의 비(Y/X)는 0.0017 내지 0.0087인, 커버 윈도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분영역 및 상기 제2부분영역이 만나는 중간지점에서 상기 제1부분영역의 가상의 접선 및 상기 중간지점에서 상기 제2부분영역의 가상의 접선은 일치하는, 커버 윈도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면은 상기 중심영역의 타측으로부터 곡선 형상으로 연장된 제2곡면영역 및 상기 제2곡면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된 제2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중심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제2곡면영역 및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제1곡면영역 및 상기 제1영역과 각각 대칭인, 커버 윈도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곡면영역 및 상기 제2곡면영역 사이에서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중심영역의 길이는 3mm 내지 20mm인, 커버 윈도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간격는 상기 제1간격보다 큰, 커버 윈도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윈도우는 글라스인, 커버 윈도우.
  10.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며, 하부면 및 상기 하부면과 반대되는 상부면을 구비한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면은,
    상기 하부면과 제1간격만큼 이격되고, 제1방향으로 연장된 중심영역,
    상기 중심영역의 일측으로부터 곡선 형상으로 연장된 제1곡면영역,
    상기 제1곡면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하부면과 제2간격만큼 이격된 제1영역, 및
    상기 중심영역의 타측에 배치된 제2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곡면영역은 상기 중심영역으로부터 오목하게 연장된 제1부분영역 및 상기 제1부분영역으로부터 볼록하게 연장된 제2부분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중심영역과 중첩하는 폴딩축을 중심으로 접히는, 표시 장치.
  11. 제1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1영역과 제2영역을 포함하는 상부면을 구비한 글라스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글라스를 적어도 일부 제거하여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된 중심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글라스를 적어도 일부 연마하여 상기 중심영역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1영역으로 곡선 형상으로 연장된 제1곡면영역 및 상기 중심영역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제2영역으로 곡선 형상으로 연장된 제2곡면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곡면영역은 상기 중심영역으로부터 오목하게 연장된 제1부분영역 및 상기 제1부분영역으로부터 볼록하게 연장된 제2부분영역을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영역과 상기 제1곡면영역과 만나는 제1지점에서 상기 제1곡면영역의 가상의 제1접선은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된,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1곡면영역이 만나는 제2지점에서 상기 제1곡면영역의 가상의 제2접선은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된,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제1지점 및 상기 제2지점 사이의 거리(X)에 대한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지점 및 상기 제2지점 사이의 거리(Y)의 비(Y/X)는 0.0017 내지 0.0087인,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분영역 및 상기 제2부분영역이 만나는 중간지점에서 상기 제1부분영역의 가상의 접선은 상기 중간지점에서 상기 제2부분영역의 가상의 접선과 일치하는,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곡면영역 및 상기 제2곡면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글라스에 구비된 모서리를 연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 상에 각각 제1마스크 및 제2마스크를 배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마스크 및 상기 제2마스크 사이에 노출된 상기 상부면을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의 상기 상부면은 교반(agitation)없이 등방성 식각(isotropic etching)되는,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제1연마헤드로 상기 상부면을 연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곡면영역 및 상기 제2곡면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연마헤드보다 경도가 낮은 제2연마헤드로 상기 상부면을 연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마헤드보다 경도가 낮은 제3연마헤드로 상기 상부면을 연마하여 상기 상부면에 형성된 스크래치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
KR1020210025120A 2021-02-24 2021-02-24 커버 윈도우,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 및 표시 장치 KR2022012130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120A KR20220121306A (ko) 2021-02-24 2021-02-24 커버 윈도우,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 및 표시 장치
US17/462,294 US20220272855A1 (en) 2021-02-24 2021-08-31 Cover window,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over window, and display device
CN202111247171.0A CN114973937A (zh) 2021-02-24 2021-10-26 盖窗、盖窗的制造方法以及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120A KR20220121306A (ko) 2021-02-24 2021-02-24 커버 윈도우,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 및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1306A true KR20220121306A (ko) 2022-09-01

Family

ID=82900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5120A KR20220121306A (ko) 2021-02-24 2021-02-24 커버 윈도우,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 및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272855A1 (ko)
KR (1) KR20220121306A (ko)
CN (1) CN114973937A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7582B1 (ko) * 2016-08-30 2023-11-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커버 윈도우의 제조 방법
KR102491515B1 (ko) * 2017-07-07 2023-01-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용 글래스 부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200060655A (ko) * 2018-11-22 2020-06-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원장보호필름의 박리방법,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및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210150651A (ko) * 2020-06-03 2021-12-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의 제조 방법,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72855A1 (en) 2022-08-25
CN114973937A (zh) 202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03292B (zh) 行動型電子機器用保護玻璃之玻璃基板、行動型電子機器用畫像顯示裝置、行動型電子機器、以及行動型電子機器用保護玻璃之玻璃基板之製造方法
CN111384101B (zh) 柔性显示设备和包括柔性显示设备的电子装置
CN109301084B (zh) 封装结构、电子装置及封装方法
JP5029523B2 (ja) ガラス積層体、支持体付き表示装置用パネル、表示装置用パネル、表示装置およびこれらの製造方法
KR101895591B1 (ko) 휴대형 전자기기용 커버 유리의 유리기판, 휴대형 전자기기용 화상표시장치, 휴대형 전자기기, 및 휴대형 전자기기용 커버 유리의 유리기판 제조방법
CN111758102A (zh) 指纹识别模组及其制作方法和电子装置
US9023716B2 (en) Methods for processing substrates
US10234630B2 (en) Method for creating a high refractive index wave guide
KR20170122554A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JP6025156B2 (ja) 電子機器用カバーガラスのガラス基板及び電子機器用カバーガラス、並びに電子機器用カバーガラスの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
CN113614816B (zh) 阵列基板及其制造方法、显示面板、显示装置
CN113066820B (zh) 显示装置
WO2012018013A1 (ja) サポート基板
US11269209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04151551A (ja) 電気光学パネル、電気光学パネルの保持構造、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KR20220121306A (ko) 커버 윈도우,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 및 표시 장치
JP2008009356A (ja) 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およびパネル体の製造方法
US20180099904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strengthened glass, strengthened glass obtained by the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trengthened glass
TWI759441B (zh) 光電半導體裝置的製造方法
US20210202853A1 (en) Display apparatus
CN115206189A (zh) 一种显示装置及显示终端
CN100565839C (zh) 不同厚度的栅氧化层的制造方法
JP5175118B2 (ja) 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JP6749608B2 (ja) 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
KR101415805B1 (ko) 유리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