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0866A - 디버링 브러쉬 회전 장치 - Google Patents

디버링 브러쉬 회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0866A
KR20220120866A KR1020210024586A KR20210024586A KR20220120866A KR 20220120866 A KR20220120866 A KR 20220120866A KR 1020210024586 A KR1020210024586 A KR 1020210024586A KR 20210024586 A KR20210024586 A KR 20210024586A KR 20220120866 A KR20220120866 A KR 20220120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wheel
pair
unit
rotational force
sa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4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4008B1 (ko
Inventor
최충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
Priority to KR1020210024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4008B1/ko
Publication of KR20220120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0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4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4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9/00Machines or devices for polish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ools made of soft or flexible material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solid or liquid polishing agents
    • B24B29/005Machines or devices for polish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ools made of soft or flexible material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solid or liquid polishing agents using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7/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7/06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conveyor belts, a sequence of travelling work-tabl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7/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7/2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non-metallic articles to be gr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대상물을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가공대상물에 발생된 버(burr)를 제거함과 아울러 상기 가공대상물의 에지영역을 샌딩가공하는 디버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이송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본체 및 상기 이송부의 상부에 설치되되,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축 부재와, 상기 축 부재에 결합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양면에 서로 대각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롤 브러쉬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브러쉬 휠 유닛 및 상기 복수 개의 브러쉬 휠 유닛의 축 부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회전력제공부 및 상기 각 롤 브러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회전력제공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브러쉬 휠 유닛은 2행 2열 구조로 배치되고, 각 브러쉬 휠 유닛은 이웃한 열과 이웃한 행에 위치한 브러쉬 휠 유닛과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2행 2열 구조로 배치된 각 브러쉬 휠 유닛이 이웃한 열과 이웃한 행에 위치한 브러쉬 휠 유닛과 다른 방향으로 충돌없이 회전되도록 하여 각 브러쉬 휠 유닛의 샌딩가공이 중복되는 교차 회전구간이 많이 확보되어 가공대상물의 샌딩 가공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2행 2열 구조로 배치된 각 브러쉬 휠 유닛이 이웃한 열과 이웃한 행에 위치한 브러쉬 휠 유닛과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는 구조에 의해 샌딩가공 과정에서 가공대상물의 공급 초기 정렬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보다 원활한 에지 샌딩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샌딩작업 효율이 크게 향상된다.
아울러, 2행 2열 구조로 배치된 각 브러쉬 휠 유닛이 이웃한 열과 이웃한 행에 위치한 브러쉬 휠 유닛과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는 구조에 의해 홀의 내경을 따라 형성되는 버를 보다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버링 브러쉬 회전 장치{Deburring apparatus}
본 발명은 디버링 브러쉬 회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2행 2열 구조로 배치된 각 브러쉬 휠 유닛이 이웃한 열과 이웃한 행에 위치한 브러쉬 휠 유닛과 다른 방향으로 충돌없이 회전되도록 하여 각 브러쉬 휠 유닛의 샌딩가공이 중복되는 교차 회전구간을 많이 확보함과 아울러, 에지 샌딩가공 과정에서 가공대상물의 공급 초기 정렬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디버링 브러쉬 회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든 기계, 기구는 여러 개의 부품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이들에 사용되는 금속 또는 비금속 부품들은 각각 그에 적합한 가공방법에 따라 가공되는 과정을 거친다.
이중 금속 부품들은 주조나 단조 등과 같은 비절삭가공에 의해 제작되어 버(burr)가 발생하지 않는 부품도 있지만, 선삭이나 드릴링, 레이저 커팅 등과 같은 절삭가공에 의해 제작되어 필연적으로 가공에 따른 버가 발생되는 부품도 존재한다.
이와 같은 버는 그다지 큰 정밀도가 요구되지 않는 장치에서 별다른 문제가 되지 않지만, 고정밀도가 요구되는 장치에 있어서는 장치의 동작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바 상기한 버(burr)를 확실히 제거(디버링: deburring)하지 않으면 안 된다.
예를 들어, 작동에 필요한 치형과 구멍 등을 절삭가공에 의해 형성한 기계부품은 발생한 버를 확실히 제거하지 않을 경우 동작 시 상대부품에 손상을 입히거나 고온에 의해 고착되어 고장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제작 시 매우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한편, 버(Burr)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종래에는 드릴링 공구나 사포와 같은 수공구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제거(de-burring)하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더욱이 내부 형상이 복잡한 경우에는 버(Burr)를 제거하기 위한 자동화 설비를 기구적으로 설계하기 매우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어 통상 수작업으로 버(Burr)의 제거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수작업에 의존한 버(Burr)을 제거하는 방식은 완성된 제품의 생산 시간을 길어지게 하며, 이로 인한 생산 원가가 비싸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최근에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버(Burr)를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자동화 설비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디버링 브러쉬 회전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디버링장치(100)는 설치대상영역에 설치되는 본체(110)와, 본체(110)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면에 안착된 가공대상물을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벨트컨베이어(120)와, 벨트컨베이어(12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벨트컨베이어(120)에 의해 이송되는 가공대상물의 상면을 샌딩가공하는 샌딩부(130)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디버링장치(100)는 벨트컨베이어(120)의 상면에 가공대상물이 안착된 상태에서 가공대상물이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경우 회전하는 샌딩부(130)에 의해 가공대상물의 상면, 즉 버 발생면이 샌딩가공되면서 가공대상물 일측에 형성된 버를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디버링장치(100)는 가공대상물의 이송방향을 따라 수평배치된 샌딩부(130)가 가공대상물을 평면가공하므로 가공대상물의 에지영역이 예리하게 형성되어 가공대상물의 에지영역을 샌딩하기 위한 별도의 에지 샌딩작업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종래의 디버링 브러쉬 회전 장치(100)를 통해 가공된 가공대상물은 작업자가 준비된 사포로 가공대상물의 에지영역을 샌딩하는 추가적인 작업시간이 소요될 뿐 아니라 작업자가 에지영역을 샌딩하는 과정에서 예리한 에지에 신체 일부가 접촉되는 경우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본 출원인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버링장치용 에지샌딩유닛(한국등록특허 제10-2061089호)을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위와 같은 디버링장치용 에지샌딩유닛(1')은 상면에 가공대상물(G)이 안착되어 이를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부(Y)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11')와, 지지플레이트(11')의 하부에 설치되고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플레이트(12a')와 회전플레이트(12a')의 하부에 설치되어 회전플레이트(12a')와 동반회전하는 하우징(12b')을 포함하는 회전몸체(12')로 이루어진 몸체부(10') 및 하우징(12b')의 양측방에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에지샌딩부(20') 및 지지플레이트(11')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몸체부(10')의 회전을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모터(31')와 에지샌딩부(20')의 회전을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모터(32')를 포함하는 회전력제공수단(30') 및 제2모터(32')와 에지샌딩부(20') 사이에 개재되어 제2모터(32')으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을 에지샌딩부(20')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미도시)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디버링장치용 에지샌딩유닛(1')은 회전하면서 가공대상물(G)의 상면을 샌딩가공하는 다수의 에지샌딩부(20')가 몸체부(10')에 의해 가공대상물(G)의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가공대상물(G)의 상면 뿐 아니라 가공대상물(G)의 에지영역도 용이하게 샌딩할 수 있어 가공이 완료된 가공대상물(G)의 에지영역을 샌딩하는 추가적인 샌딩작업이 요구되지 않는다.
그러나, 몸체부(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다수의 에지샌딩부(20') 전체가 몸체부(10')의 회전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에지 샌딩가공 과정에서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다수의 에지샌딩부(20')에 의해 막대형상의 가공대상물의 경우, 이송부를 통해 공급되는 초기 정렬상태가 흐트러져 원활한 에지 샌딩작업을 수행할 수 없을 뿐 아니라 홀의 내경을 따라 형성되는 버의 경우 이와 같은 일방향 회전방식으로는 샌딩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2b')의 양측에 다수의 에지샌딩부(20')가 설치됨에 따라 에지샌딩부(20')가 설치되는 않은 하우징(12b')의 하부영역은 샌딩작업횟수가 상대적으로 적어 샌딩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10-1506867호에는 이송방향을 따라 병렬배치되고, 회전축이 교차되도록 설치되는 2개의 회전 브러쉬를 1조의 헤드로 하는 2조의 헤드가 이송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구조를 통해 이송되는 소재에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 브러쉬가 작동되도록 하여 샌딩 작업효율이 향상되도록 한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한국등록특허 제10-1506867호는 각각의 회전 브러쉬의 회전반경 사이에 여전히 샌딩작업이 누락되는 영역이 발생되어 샌딩 작업효율이 크게 향상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각각의 회전 브러쉬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방식으로 막대형상의 가공대상물을 가공하는 경우, 가공과정에서 가공대상물의 공급 초기 정렬상태가 흐트러져 원활한 에지 샌딩작업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될 뿐 아니라, 회전 브러쉬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방식으로는 홀의 내경을 따라 형성되는 버에 대해 샌딩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61089호 한국등록특허 제10-150686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2행 2열 구조로 배치된 각 브러쉬 휠 유닛이 이웃한 열과 이웃한 행에 위치한 브러쉬 휠 유닛과 다른 방향으로 충돌없이 회전되도록 하여 각 브러쉬 휠 유닛의 샌딩가공이 중복되는 교차 회전구간을 많이 확보함과 아울러, 에지 샌딩가공 과정에서 가공대상물의 공급 초기 정렬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디버링 브러쉬 회전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공대상물을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가공대상물에 발생된 버(burr)를 제거함과 아울러 상기 가공대상물의 에지영역을 샌딩가공하는 디버링장치용 에지샌딩유닛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본체 및 상기 이송부의 상부에 설치되되,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축 부재와, 상기 축 부재에 결합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양면에 서로 대각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롤 브러쉬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브러쉬 휠 유닛 및 상기 복수 개의 브러쉬 휠 유닛의 축 부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회전력제공부 및 상기 각 롤 브러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회전력제공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브러쉬 휠 유닛은 2행 2열 구조로 배치되고, 각 브러쉬 휠 유닛은 이웃한 열과 이웃한 행에 위치한 브러쉬 휠 유닛과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버링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축 부재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수평브라켓 및 상기 수평브라켓의 하부로 연장형성되고,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이 수직브라켓을 포함하되, 각각의 수직브라켓은 상기 롤 브러쉬가 설치되는 영역에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각 브러쉬 휠 유닛의 한 쌍의 롤 브러쉬는 이웃한 열과 이웃한 행에 위치한 브러쉬 휠 유닛의 한 쌍의 롤 브러쉬와 회전축이 교차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각 브러쉬 휠 유닛의 한 쌍의 롤 브러쉬는 이웃한 열과 이웃한 행에 위치한 브러쉬 휠 유닛의 한 쌍의 롤 브러쉬와 대각 방향으로 설치되는 위치가 서로 어긋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2행 2열 구조로 배치된 각 브러쉬 휠 유닛이 이웃한 열과 이웃한 행에 위치한 브러쉬 휠 유닛과 다른 방향으로 충돌없이 회전되도록 하여 각 브러쉬 휠 유닛의 샌딩가공이 중복되는 교차 회전구간이 많이 확보되어 가공대상물의 샌딩 가공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2행 2열 구조로 배치된 각 브러쉬 휠 유닛이 이웃한 열과 이웃한 행에 위치한 브러쉬 휠 유닛과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는 구조에 의해 샌딩가공 과정에서 가공대상물의 공급 초기 정렬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보다 원활한 에지 샌딩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샌딩작업 효율이 크게 향상된다.
아울러, 2행 2열 구조로 배치된 각 브러쉬 휠 유닛이 이웃한 열과 이웃한 행에 위치한 브러쉬 휠 유닛과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는 구조에 의해 홀의 내경을 따라 형성되는 버를 보다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디버링 브러쉬 회전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출원인이 선등록받은 디버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버링장치의 개략적인 설치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버링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버링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버링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버링장치의 개략적인 저면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버링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버링장치의 각 브러쉬 휠 유닛의 회전력이 가공대상물에 작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버링장치의 개략적인 설치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버링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버링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버링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버링장치의 개략적인 저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버링장치(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대상물을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부(Y)의 일측에 설치되어 가공대상물의 에지영역을 샌딩가공하는 것으로서, 본체(10), 브러쉬 휠 유닛(20), 제1회전력제공부(30), 제2회전력제공부(4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설치공간(S)이 형성된 박스형상으로서, 가공대상물이 이송되는 이송부(Y)의 일측에 설치되고, 브러쉬 휠 유닛(20) 및 제1회전력제공부(30)의 설치영역을 제공한다.
브러쉬 휠 유닛(2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Y)의 상부에 설치되되, 복수 개가 이송부(Y)의 이송방향을 따라 2행 2열 구조로 배치된다.
이러한 브러쉬 휠 유닛(2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 부재(21), 브라켓(22) 및 한 쌍의 롤 브러쉬(23)를 포함한다.
축 부재(21)는 상단부가 본체(10)의 상면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부가 하방으로 연장형성되어 본체(10)의 설치공간(S) 내에 배치된다.
이러한 축 부재(21)는 후술하는 제1회전력제공부(30)를 통해 이웃한 열과 이웃한 행에 위치한 축 부재(21)와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된다.
브라켓(22)은 축 부재(21)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수평브라켓(22a)과, 수평브라켓(22a)의 하부로 연장형성되고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브라켓(22b)을 포함한다.
여기서, 한 쌍의 수직브라켓(22b)은 한 쌍의 롤 브러쉬(23)와 제2회전력제공부(40)의 설치영역을 제공하며, 각각의 수직브라켓(22b)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 브러쉬(23)가 설치되는 영역에 절개부(ba)가 형성된다.
위와 같이, 각각의 수직브라켓(22b)의 롤 브러쉬(23)가 설치되는 영역에 절개부(ba)를 형성하는 이유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수직브라켓(22b)에 설치되는 한 쌍의 롤 브러쉬(23)의 내측단이 서로 이격되지 않고 중첩되도록 하여 가공대상물에 한 쌍의 롤 브러쉬(23)에 의한 샌딩영역이 누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 쌍의 롤 브러쉬(2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수직브라켓(22b)의 하단부에 회전축(23a)과, 회전축(23a)에 결합되는 원통형상의 샌딩롤(23b)을 포함한다.
이러한 한 쌍의 롤 브러쉬(2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수직브라켓(22b)에 서로 대각방향으로 설치되며, 이를 통해 보다 넓은 샌딩 영역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각 브러쉬 휠 유닛(20)에 설치되는 한 쌍의 롤 브러쉬(23)는 이웃한 열과 이웃한 행에 위치한 브러쉬 휠 유닛(20)에 설치되는 한 쌍의 롤 브러쉬(23)와 회전축(23a)이 교차되게 형성된다.
또한, 각 브러쉬 휠 유닛(20)에 설치되는 한 쌍의 롤 브러쉬(23)는 이웃한 열과 이웃한 행에 위치한 브러쉬 휠 유닛(20)에 설치되는 한 쌍의 롤 브러쉬(23)와 대각 방향으로 설치되는 위치가 서로 어긋나게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웃한 열과 이웃한 행에 위치한 축 부재(21)가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조, 각 브러쉬 휠 유닛(20)에 설치되는 한 쌍의 롤 브러쉬가 서로 대각방향으로 설치되는 구조, 이웃한 열과 이웃한 행에 위치한 브러쉬 휠 유닛에 설치되는 한 쌍의 롤 브러쉬들의 회전축이 교차되는 구조 및 이웃한 열과 이웃한 행에 위치한 브러쉬 휠 유닛에 설치되는 한 쌍의 롤 브러쉬들의 대각 방향으로 설치되는 위치가 어긋나게 형성되는 구조에 의해, 각 브러쉬 휠 유닛(20)에 설치되는 한 쌍의 롤 브러쉬(23)들의 회전반경이 서로 중첩되더라도 회전과정에서 서로 간섭되어 충돌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각 브러쉬 휠 유닛(20)에 설치되는 한 쌍의 롤 브러쉬(23)들이 충돌 없이 회전하면서 교차되는 회전구간을 많이 확보하여 가공대상물에 각 브러쉬 휠 유닛에 설치되는 한 쌍의 롤 브러쉬들이 접촉되는 회수를 늘릴 수 있어 가공대상물의 샌딩 가공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제1회전력제공부(30)는 본체(10) 일측에 설치되고, 각각의 브러쉬 휠 유닛(20)의 축 부재(21)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제1구동모터(31)와 제1동력전달수단(32)을 포함한다.
제1구동모터(31)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10)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고, 각각의 브러쉬 휠 유닛(20)의 축 부재(21)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제1동력전달수단(32)은 제1구동모터(31)와 각각의 축 부재(21)에 연결되어 제1구동모터(31)의 회전력을 각각의 축 부재(21)에 전달하는 것으로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동기어(32a), 종동기어(32b), 방향전환기어(32c) 및 동력전달체인(32d)을 포함한다.
주동기어(32a)는 제1구동모터(31)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고, 도면에 도시하진 않았으나 제1구동모터(31)의 구동축에 대해 수직하게 설치되어 제1구동모터(31)의 회전에 의해 동반회전하는 동력전달축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평기어로, 제1구동모터(31)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동력전달체인(32d)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1구동모터(31)의 회전력을 동력전달축으로 전달하는 구조는 스크류 기어, 웜과 웜기어 및 베벨 기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동력전달기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게는 상용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임이 자명한 것으로 구체적인 구성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종동기어(32b)는 각각의 축 부재(21)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동력전달체인(32d)을 통해 주동기어(32a)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각각의 축 부재(21)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방향전환기어(32c)는 2행 2열로 배치되는 4개의 축 부재(21) 중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2개의 축 부재(21)의 측방에 설치되어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2개의 축 부재(21)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종동기어(32b)와 동력전달체인(32d)의 접촉면을 반전시켜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2개의 축 부재(21)가 주동기어(32a)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회전방향을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즉,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방향전환기어(32c)를 통해 2행 2열로 배치되는 4개의 축 부재(21) 각각이 이웃한 열과 이웃한 행에 위치한 축 부재(21)와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각 브러쉬 휠 유닛(20)이 이웃한 열과 이웃한 행에 위치한 브러쉬 휠 유닛(20)과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동력전달체인(32d)은 주동기어(32a), 종동기어(32b) 및 방향전환기어(32c)에 결합되어 제1구동모터(31)의 회전력을 브러쉬 휠 유닛(20)의 각각의 축 부재(21)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제2회전력제공부(40)는 각각의 롤 브러쉬(23)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제2구동모터(41) 및 제2동력전달수단(42)을 포함한다.
제2구동모터(4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수직브라켓(22b)의 상단부, 각각의 롤 브러쉬(23)의 상부에 설치되고, 각각의 롤 브러쉬(23)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제공한다.
제2동력전달수단(42)은 제2구동모터(41)의 회전력을 각각의 롤 브러쉬(23)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2구동모터(41)에 구동축에 결합되는 주동풀리(42a)와, 각각의 롤 브러쉬(23)의 회전축(23a)에 결합되는 종동풀리(42b) 및 주동풀리(42a)와 종동풀리(42b) 간에 연결되어 주동풀리(42a)의 회전력을 종동풀리(42b)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벨트(42c)를 포함한다.
전술한 구조를 통해 본 발명의 각 브러쉬 휠 유닛(20)는 각각의 롤 브러쉬(23)가 자체적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축 부재(21)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가공대상물의 에지영역에 접촉되어 가공대상물의 에지영역을 가공하게 된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버링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버링장치의 각 브러쉬 휠 유닛의 회전력이 가공대상물에 작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버링장치(1)의 동작을 살펴보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동모터의 의해 제1회전력제공부의 주동기어(32a)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2행 2열 구조로 배치된 각각의 축 부재(21)가 이웃한 열과 이웃한 행에 위치한 축 부재(21)와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각각의 축 부재(21)의 하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브라켓(22b)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어느 한 쌍의 롤 브러쉬(23)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한 열과 이웃한 행에 위치한 한 쌍의 롤 브러쉬(23)와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위와 같은 구조를 통해 본 발명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되는 막대형상의 가공대상물의 에지 샌딩가공이 이루어지는 경우, 전단에 위치한 2행의 브러쉬 휠 유닛(20)에 의한 반대방향의 회전력이 각각 가공대상물의 양단부에 작용하고, 후단에 위치한 2행의 브러쉬 휠 유닛(20)에 의한 반대방향의 회전력이 각각 가공대상물의 양단부에 작용하므로 에지 샌딩가공 과정에서 가공대상물의 공급 초기 정렬상태가 유지된다.
이에 따라 가공대상물의 보다 원활한 에지 샌딩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가공대상물의 샌딩작업 효율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각 브러쉬 휠 유닛이 이웃한 열과 이웃한 행에 위치한 브러쉬 휠 유닛과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조를 통해 홀의 내경을 따라 형성되는 버를 보다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바람직한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디버링장치 10 : 본체
20 : 브러쉬 휠 유닛 21 : 축 부재
22 : 브라켓 22a : 수평브라켓
22b : 수직브라켓 22ba : 절개부
23 : 롤 브러쉬 23a : 회전축
23b : 샌딩롤 30 : 제1회전력제공부
31 : 제1구동모터 32 : 제1동력전달수단
32a : 주동기어 32b : 종동기어
32c : 방향전환기어 32d : 동력전달체인
40 : 제2회전력제공부 41 : 제2구동모터
42 : 제2동력전달수단 42a : 주동풀리
42b : 종동풀리 42c : 동력전달벨트
Y : 이송부 S : 설치공간

Claims (4)

  1. 가공대상물을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가공대상물에 발생된 버(burr)를 제거함과 아울러 상기 가공대상물의 에지영역을 샌딩가공하는 디버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이송부의 상부에 설치되되,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축 부재와, 상기 축 부재에 결합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양면에 서로 대각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롤 브러쉬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브러쉬 휠 유닛과;
    상기 복수 개의 브러쉬 휠 유닛의 축 부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회전력제공부와;
    상기 각 롤 브러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회전력제공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브러쉬 휠 유닛은 2행 2열 구조로 배치되고, 각 브러쉬 휠 유닛은 이웃한 열과 이웃한 행에 위치한 브러쉬 휠 유닛과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버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축 부재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수평브라켓과;
    상기 수평브라켓의 하부로 연장형성되고,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이 수직브라켓을 포함하되,
    각각의 수직브라켓은 상기 롤 브러쉬가 설치되는 영역에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버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각 브러쉬 휠 유닛의 한 쌍의 롤 브러쉬는 이웃한 열과 이웃한 행에 위치한 브러쉬 휠 유닛의 한 쌍의 롤 브러쉬와 회전축이 교차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버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각 브러쉬 휠 유닛의 한 쌍의 롤 브러쉬는 이웃한 열과 이웃한 행에 위치한 브러쉬 휠 유닛의 한 쌍의 롤 브러쉬와 대각 방향으로 설치되는 위치가 서로 어긋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버링장치.
KR1020210024586A 2021-02-24 2021-02-24 디버링 브러쉬 회전 장치 KR102524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586A KR102524008B1 (ko) 2021-02-24 2021-02-24 디버링 브러쉬 회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586A KR102524008B1 (ko) 2021-02-24 2021-02-24 디버링 브러쉬 회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0866A true KR20220120866A (ko) 2022-08-31
KR102524008B1 KR102524008B1 (ko) 2023-04-20

Family

ID=83061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4586A KR102524008B1 (ko) 2021-02-24 2021-02-24 디버링 브러쉬 회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400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4147Y1 (ko) * 2001-04-18 2001-10-11 (주)세종 인쇄용 필름의 표면 연마 장치
JP2010058241A (ja) * 2008-09-05 2010-03-18 Murata Machinery Ltd バリ取り装置
KR20140099030A (ko) * 2013-02-01 2014-08-11 한국브라스트 주식회사 플라스틱 재질로 성형된 사출물의 버어 및 단차 제거장치
KR20150020766A (ko) * 2013-08-19 2015-02-27 김영근 디버링 머신
KR20190022145A (ko) * 2017-08-25 2019-03-06 최충호 버 자동제거장비
KR102061089B1 (ko) 2017-12-28 2019-12-31 한국세라믹기술원 압전복합체용 압전세라믹 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4147Y1 (ko) * 2001-04-18 2001-10-11 (주)세종 인쇄용 필름의 표면 연마 장치
JP2010058241A (ja) * 2008-09-05 2010-03-18 Murata Machinery Ltd バリ取り装置
KR20140099030A (ko) * 2013-02-01 2014-08-11 한국브라스트 주식회사 플라스틱 재질로 성형된 사출물의 버어 및 단차 제거장치
KR20150020766A (ko) * 2013-08-19 2015-02-27 김영근 디버링 머신
KR101506867B1 (ko) 2013-08-19 2015-03-30 김영근 디버링 머신
KR20190022145A (ko) * 2017-08-25 2019-03-06 최충호 버 자동제거장비
KR102061089B1 (ko) 2017-12-28 2019-12-31 한국세라믹기술원 압전복합체용 압전세라믹 제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4008B1 (ko) 2023-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1086B1 (ko) 디버링장치용 에지샌딩유닛
US20190329375A1 (en) Revolving multi- axis polishing apparatus
US8257144B2 (en) Neck portion grinding apparatus and grinding device employed in the neck portion grinding apparatus
KR20170011793A (ko) 다축 시프트 파이프 가공기
KR20130130798A (ko) 실린더의 축방향 단부 상에 반경 표면의 연삭 및 연마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20120866A (ko) 디버링 브러쉬 회전 장치
KR102520991B1 (ko) 디버링 브러쉬 회전장치
JP2003025200A (ja) バリ取り方法及び装置
JP5799119B2 (ja) 軸物ワークの加工装置
US10500658B2 (en) Gear chamfering device and gear processing machine equipped with said gear chamfering device
KR102097478B1 (ko) 호환성이 향상된 디버링장치
EP3838479B1 (en) Deburring machine for the finishing of elements made of wood, metal, plastic material or the like
KR101600415B1 (ko) 용접 개선용 면취기 및 이를 이용한 용접 개선방법
JP2843501B2 (ja) バリ取り装置
JPH02124220A (ja) 歯車歯面の打傷修正装置
JP4140777B2 (ja) センタレス研削方法およびセンタレス研削盤
JP3455411B2 (ja) 両頭平面研削盤
KR101896237B1 (ko) 디버링 머신
KR20120036675A (ko) 디버링 장치 및 디버링 휠
CN219901632U (zh) 四砂架对砂斜置式错位砂光机
JP2000271842A (ja) 両頭平面研削盤のワークキャリヤ装置
WO2019119522A1 (zh) 万向滚刷去毛刺机
JP6027664B2 (ja) 研磨装置
JP7240013B2 (ja) 立型研削盤
CN212371819U (zh) 高精度研磨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