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0605A -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 - Google Patents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20605A KR20220120605A KR1020227024313A KR20227024313A KR20220120605A KR 20220120605 A KR20220120605 A KR 20220120605A KR 1020227024313 A KR1020227024313 A KR 1020227024313A KR 20227024313 A KR20227024313 A KR 20227024313A KR 20220120605 A KR20220120605 A KR 2022012060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oduct
- movable shelf
- shelf plate
- movable
- shelf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00—Racks for dispensing merchandise; Containers for dispensing merchandise
- A47F1/04—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 A47F1/12—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dispensing from the side of an approximately horizontal stack
- A47F1/125—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dispensing from the side of an approximately horizontal stack with an article-pushing devic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00—Racks for dispensing merchandise; Containers for dispensing merchandise
- A47F1/04—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 A47F1/12—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dispensing from the side of an approximately horizontal stack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6—Show cases or show cabinets with movable or removable shelves or receptac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8—Show cases or show cabinets with arrangements for continuously or intermittently moving the merchandis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Landscapes
- Display Racks (AREA)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Abstract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은, 선반 본체와, 상기 선반 본체에 지지되어 상품을 재치(載置) 가능한 이동 선반판으로서, 상기 선반 본체에 근접한 제1 위치와, 상기 선반 본체로부터 이격한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이동 선반판과, 상기 이동 선반판의 상기 선반 본체와 대향하는 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설치된 펜스와, 상기 선반 본체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위치에 있는 상기 이동 선반판 상에서 상기 펜스의 근방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제1 결합부와, 상기 이동 선반판의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이동 선반판 상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상품에 맞닿는 접촉부를 갖는 하나 이상의 밀어내기 부재와, 상기 하나 이상의 밀어내기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결합부와 결합 가능한 하나 이상의 제2 결합부로서, 상기 이동 선반판이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할 때에 상기 펜스에 맞닿은 상기 상품으로부터의 하중으로 상기 제1 결합부와의 결합을 해제 가능한 하나 이상의 제2 결합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선반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품을 밀어내는 것이 가능한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에 관한 것이다.
상품 보충 시에 선반판을 앞으로 빼내는 것이 가능한 상품 진열 선반이 있다. 이 상품 진열 선반은, 브래킷 사이에 걸쳐진 선반판 본체와, 선반판 본체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 선반판을 구비한다.
상품 진열 선반은, 복수 단의 선반판을 갖는 것이 통상이다. 이 때문에, 보충 대상이 되는 선반판의 상측에도, 다른 선반판이 존재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점포 관리자는, 슬라이드 선반판을 앞쪽으로 빼낸 상태에서, 슬라이드 선반판 상에 상품을 보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부의 선반판이 작업의 방해가 되는 일이 없다.
그런데, 식료품이나 음료 등의 상품에는, 소비 기한이 존재한다. 이 때문에, 점포 관리자는, 새롭게 보충하는 상품을 진열 선반의 선반판의 안쪽에 보충하고, 소비 기한이 가까운 상품을 선반판의 전방에 배치할 필요가 있다. 이에 의해, 소비 기한이 가까운 상품부터 고객의 손에 잡히는 것이, 소비 기한을 경과하여 폐기가 되는 상품의 수량을 저감하기 위해서도 바람직하다. 한편, 상점에 놓이는 상품 수는 방대하여, 모든 상품으로 이러한 점포 관리를 행하는 것은, 점포 관리자에게 있어 큰 부담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 중 하나는, 점포 관리자의 관리 부담을 저감할 수 있는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는, 이하의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된다. 즉, 본 발명 (1)의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은,
선반 본체와,
상기 선반 본체에 지지되어 상품을 재치(載置) 가능한 이동 선반판으로서, 상기 선반 본체에 근접한 제1 위치와, 상기 선반 본체로부터 이격한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이동 선반판과,
상기 이동 선반판의 상기 선반 본체와 대향하는 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설치된 펜스와,
상기 선반 본체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위치에 있는 상기 이동 선반판 상에서 상기 펜스의 근방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제1 결합부와,
상기 이동 선반판의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이동 선반판 상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상품에 맞닿는 접촉부를 갖는 하나 이상의 밀어내기 부재와,
상기 하나 이상의 밀어내기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결합부와 결합 가능한 하나 이상의 제2 결합부로서, 상기 이동 선반판이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할 때에 상기 펜스에 맞닿은 상기 상품으로부터의 하중으로 상기 제1 결합부와의 결합을 해제 가능한 하나 이상의 제2 결합부
를 구비한다.
또, 본 발명 (2)의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은, (1)에 기재된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으로서,
상기 상품이 직접 재치되는 하나 이상의 레일 부재와,
상기 하나 이상의 밀어내기 부재 각각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편으로서, 상기 레일 부재에 가이드되어, 상기 이동 선반판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편
을 구비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결합부 각각은, 상기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편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결합부는, 상기 레일 부재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또, 본 발명 (3)의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은, (1)에 기재된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으로서,
상기 제1 결합부는, 강자성체 및 자석 중 어느 한쪽이며,
상기 제2 결합부는, 강자성체 및 자석 중 어느 다른 쪽이다.
또, 본 발명 (4)의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은, (1)에 기재된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으로서,
상기 레일 부재는, 상기 이동 선반판의 이동 방향을 따라 가늘고 길게 연장되는 관통 구멍부를 갖고,
상기 슬라이드편은, 상기 관통 구멍부 내에 끼워져 있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오목부 및 볼록부 중 어느 한쪽이며,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1 결합부와 끼워맞춰지는 오목부 및 볼록부 중 어느 다른 쪽이다.
또, 본 발명 (5)의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은, (4)에 기재된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으로서,
상기 오목부는, 반구형상으로 패여 있고, 상기 볼록부는, 반구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 본 발명 (6)의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은, (1)에 기재된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으로서,
상기 레일 부재는, 상기 이동 선반판의 이동 방향을 따라 가늘고 길게 연장되는 관통 구멍부를 갖고,
상기 슬라이드편은, 상기 관통 구멍부 내에 끼워져 있고,
상기 제1 결합부는, 벨크로의 한쪽이며,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하는 벨크로의 다른 쪽이다.
또, 본 발명 (7)의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은, (1)에 기재된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으로서,
상기 이동 선반판의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이동 선반판 상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밀어내기 부재를 상기 선반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빼내기 가능한 하나 이상의 레버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점포 관리자의 관리 부담을 저감할 수 있는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의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의 레일 부재, 밀어내기 부재, 레버 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의 레일 부재, 밀어내기 부재, 펜스, 제1 결합부의 바, 및 제2 결합부 등을 관통 구멍부를 따르는 면에서 절단하고, 이동 선반판을 절단하지 않고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의 이동 선반판을 제2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의 이동 선반판을 제1 위치로 되돌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의 이동 선반판을 제2 위치로 다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의 레일 부재 상에 상품을 보충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내는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의 이동 선반판을 제1 위치로 다시 되돌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나타내는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의 이동 선반판을 제1 위치로 다시 되돌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나타내는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의 상품을 보충하기 전 상태를 측방으로부터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내는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을 상품을 보충하는 공정을 측방으로부터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에 나타내는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의 레버를 수납 위치로부터 인출 위치로 빼내어 상품의 개별적인 밀어내기를 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나타내는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의 레버를 인출 위치로부터 수납 위치로 되돌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1 변형예의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에 있어서, 이동 선반판이 제1 위치에 있고,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가 분리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제1 변형예의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에 있어서, 이동 선반판이 제2 위치에 있고,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가 결합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제2 변형예의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에 있어서, 이동 선반판이 제1 위치에 있고,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가 분리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제2 변형예의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에 있어서, 이동 선반판이 제2 위치에 있고,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가 결합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제3 변형예의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에 있어서, 이동 선반판이 제1 위치에 있고,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가 분리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제3 변형예의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에 있어서, 이동 선반판이 제2 위치에 있고,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가 결합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의 레일 부재, 밀어내기 부재, 레버 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의 레일 부재, 밀어내기 부재, 펜스, 제1 결합부의 바, 및 제2 결합부 등을 관통 구멍부를 따르는 면에서 절단하고, 이동 선반판을 절단하지 않고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의 이동 선반판을 제2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의 이동 선반판을 제1 위치로 되돌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의 이동 선반판을 제2 위치로 다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의 레일 부재 상에 상품을 보충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내는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의 이동 선반판을 제1 위치로 다시 되돌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나타내는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의 이동 선반판을 제1 위치로 다시 되돌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나타내는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의 상품을 보충하기 전 상태를 측방으로부터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내는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을 상품을 보충하는 공정을 측방으로부터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에 나타내는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의 레버를 수납 위치로부터 인출 위치로 빼내어 상품의 개별적인 밀어내기를 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나타내는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의 레버를 인출 위치로부터 수납 위치로 되돌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1 변형예의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에 있어서, 이동 선반판이 제1 위치에 있고,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가 분리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제1 변형예의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에 있어서, 이동 선반판이 제2 위치에 있고,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가 결합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제2 변형예의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에 있어서, 이동 선반판이 제1 위치에 있고,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가 분리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제2 변형예의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에 있어서, 이동 선반판이 제2 위치에 있고,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가 결합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제3 변형예의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에 있어서, 이동 선반판이 제1 위치에 있고,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가 분리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제3 변형예의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에 있어서, 이동 선반판이 제2 위치에 있고,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가 결합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 1~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은, 상점 내에 설치되고, 상품을 앞쪽으로 밀어내는 작업(전진 진열 작업)을 간단하게 실현하면서, 상품의 보충성의 향상도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 형태]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11)은, 한 쌍의 지지부(12)를 갖는 선반 본체(13)와, 한 쌍의 지지부(12) 사이에 걸쳐짐으로써 선반 본체(13)에 지지되어 상품을 재치 가능한 하나 이상의 이동 선반판(14)과, 하나 이상의 이동 선반판(14) 각각에 설치된 레일 부재(15)와, 하나 이상의 이동 선반판(14) 각각에 설치된 펜스(16)와, 후술하는 제1 위치(P1)에 있는 이동 선반판(14) 상에서 펜스(16)의 근방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제1 결합부(21)와, 이동 선반판(14)의 이동 방향(A)을 따라 이동 선반판(14) 상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하나 이상의 밀어내기 부재(22)와, 하나 이상의 밀어내기 부재(22)에 설치되어 하나 이상의 제1 결합부(21)와 결합 가능한 하나 이상의 제2 결합부(23)와, 레일 부재(15)에 장착되어 밀어내기 부재(22)를 개별로 앞쪽으로 빼내기 위한 레버(24)를 구비한다.
선반 본체(13)는, 다리부(25)와, 다리부(25)로부터 기립한 기둥형상의 한 쌍의 프레임(26)과, 한 쌍의 프레임(26) 사이에 걸쳐진 배면판(27)과, 한 쌍의 프레임(26)에 각각 장착된 1세트 이상의 한 쌍의 지지부(12)를 갖는다. 프레임(26) 각각은,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결합 구멍(28)을 갖는다. 프레임(26)은, 이들 결합 구멍(28)에 삽입된 한 쌍의 지지부(12)나 제1 결합부(21)의 한 쌍의 브래킷(31)을 지지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부(12) 각각은, 브래킷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26)에 지지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한 쌍의 지지부(12)는, 이들 사이에서 이동 선반판(14)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동 선반판(14)의 두께의 범위 내에는, 한 쌍의 지지부(12)에 대해 이동 선반판(14)을 이동 방향(A)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하는 도시하지 않은 한 쌍의 레일이 설치되어 있다.
하나 이상의 이동 선반판(14) 각각은, 예를 들면, 금속 재료, 예를 들면, 스틸 등의 금속판에 의해 사각형의 평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동 선반판(14)은, 목제 재료나 수지 재료에 의해 사각형의 평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동 선반판(14)은, 예를 들면, 금속 재료 등으로 형성된 선재를 절곡하여 평판형상(그물선반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이동 선반판(14)이 그물선반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이동 선반판(14)은, 그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부를 갖고 있어도 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 선반판(14)은, 선반 본체(13)와 대향하는 제1 단부(32)와, 제1 단부(32)와는 반대측의 제2 단부(33)를 갖는다. 도 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 선반판(14)은, 선반 본체(13)에 근접한 제1 위치(P1)와 선반 본체(13)로부터 이격한 제2 위치(P2)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 선반판(14)의 제2 단부(33)는, 상방을 향해 상승한 기립편(34)과, 하방을 향해 연장되어 이동 선반판(14)을 빼낼 때에 손가락을 거는 것이 가능한 걸림부(35)를 갖는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제1 결합부(21) 각각은, 프레임(26)의 결합 구멍(28)에 삽입 가능한 한 쌍의 브래킷(31)과, 한 쌍의 브래킷(31) 사이에 걸쳐진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바(36)를 갖는다. 제1 결합부(21)의 한 쌍의 브래킷(31) 및 바(36)는, 강자성체, 예를 들면 스틸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결합부(21)의 바(36)는, 이동 선반판(14)의 전폭에 걸쳐 설치되어 있는데, 레일 부재(15)에 대응하는 위치에도 설치되어 있다.
바(36)는, 가늘고 긴 평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36)는, 예를 들면, 단면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36)는, 제1 위치(P1)에 있는 이동 선반판(14)의 상측이며 펜스(16)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바(36)의 하면과 이동 선반판(14)의 정상면 사이에는, 0.1mm~2mm 정도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바(36)의 재질은, 강자성체(스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후술하는 제2 결합부(23)가 예를 들면 강자성체(스틸)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바(36)는, 예를 들면 자석(예를 들면, 네오디뮴 자석, 그 외의 자석)으로서 형성되어도 된다.
브래킷(31) 각각은, 프레임(26)에 지지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한 쌍의 브래킷(31)은, 비대칭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 1에서 좌측에 나타내는 브래킷(31)의 세로벽의 높이 치수가 우측에 나타내는 브래킷(31)의 세로벽의 높이 치수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도 1에서 좌측에 나타내는 브래킷(31)의 세로벽의 높이는, 레일 부재(15)의 측판부(37)의 높이와 대략 동등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레일 부재(15)의 우측단에 설치되는 측판부(37)는, 도 1에서 좌측에 나타내는 브래킷(31)의 세로벽과 동일한 상품 가이드 기능을 갖고 있기 때문에, 도 1에서 우측에 나타내는 브래킷(31)의 세로벽을 좌측의 브래킷(31)과 같이 높게 형성할 필요는 없다. 오히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에 나타내는 브래킷(31)의 세로벽의 높이를 낮게 함으로써, 점포 관리자가 레버(24)의 손가락 걸림부(24B)에 액세스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우측에 나타내는 브래킷(31)의 세로벽의 높이를 낮게 하는 것이 유용하다.
레일 부재(15)는, 하나 이상의 밀어내기 부재(22)의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편(43)을, 이동 선반판(14)의 이동 방향(A)을 따라 가이드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일 부재(15)는, 평탄한 저판부(41)와, 저판부(41)의 중앙에 가늘고 길게 형성된 관통 구멍부(42)와, 저판부(41)의 하나의 변부로부터 기립한 측판부(37)를 갖는다. 레일 부재(15)의 각 부 및 펜스(16)는, 합성수지 재료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펜스(16)는, 제2 단부(33)에 설치되어 있다. 펜스(16)는, 레일 부재(15)의 저판부(41) 및 측판부(37)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부(42)는, 이동 선반판(14)의 이동 방향(A)을 따라 가늘고 길게 연장되어 있고, 레일 부재(15)를 관통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관통 구멍부(42)는, 레일 부재(15)를 관통하지 않는 바닥이 있는 오목한 부분으로서 형성되어도 된다. 도 2,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펜스(16)는, 이동 선반판(14)의 기립편(34)을 따르도록, 레일 부재(15)의 단부(전단)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측판부(37)의 상부에는, 레버(24)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홈부(37A)가 설치되어 있다. 저판부(41)의 상면에는, 상품(17)이 직접 재치된다.
레버(24)는, 이동 선반판(14)의 이동 방향(A)을 따르는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되는 판형상의 레버 본체(24A)와, 레버 본체(24A)의 앞쪽 단부에 설치되는 손가락 걸림부(24B)와, 레버 본체(24A)의 선반 본체(13) 측의 단부에 설치되는 후크부(24C)(도 13 참조)를 갖는다. 도 12,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24)는, 이동 선반판(14)의 이동 방향(A)을 따라, 이동 선반판(14) 상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레버(24)는, 측판부(37) 내에 수납된 수납 위치(S1)와, 측판부(37) 내로부터 앞쪽으로 빼내어진 인출 위치(S2)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후크부(24C)는, 밀어내기 부재(22)의 등받이부(44)의 이면과 맞닿아 밀어내기 부재(22) 및 상품(17)을 개별로 앞쪽(선반 본체(1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빼낼 수 있다.
레버(24)는, 레버 본체(24A)를 수납 위치(S1)로 되돌리기 위한 스프링 부재를 갖고 있어도 된다. 스프링 부재는, 측판부(37)와, 후크부(24C) 사이에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링 부재는, 인장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스프링 부재를 이용하는 일 없이, 점포 관리자가 수동으로 수납 위치(S1)와, 인출 위치(S2) 사이에서 이동시켜도 된다.
도 2,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밀어내기 부재(22) 각각은, 관통 구멍부(42) 내에 끼워지는 사각형판 형상의 슬라이드편(43)과, 슬라이드편(43)으로부터 기립한 등받이부(44)를 갖는다. 슬라이드편(43)은, 이동 선반판(14)의 이동 방향(A)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등받이부(44)는, 이동 선반판(14)의 정상면에 대해 비스듬하게 되도록 형성된다. 밀어내기 부재(22)는, 예를 들면, 합성수지 재료에 의해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다. 등받이부(44)는, 상품(17)과 맞닿는 접촉부의 일례이다.
하나 이상의 제2 결합부(23) 각각은, 밀어내기 부재(22)의 슬라이드편(43)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제2 결합부(23)는, 예를 들면 자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2 결합부(23)는, 예를 들면 네오디뮴 자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결합부(23)의 재질로서는, 자석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결합부(21)의 바(36)가 예를 들면 자석(예를 들면, 네오디뮴 자석)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제2 결합부(23)는, 예를 들면 강자성체(스틸)로서 형성되어도 된다.
계속해서, 도 1~도 13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의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11)을 이용한 상품 밀어내기 공정 및 상품 보충·밀어내기 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1~도 13에서는, 이동 선반판(14) 상에 레일 부재(15), 밀어내기 부재(22), 제2 결합부(23)가 각각 1개만 나타내어져 있는데, 이들이 이동 선반판(14) 상에 복수 설치되어 있어도 당연히 된다.
도 1~도 3은, 상점에 있어서 상품(17)이 팔려, 이동 선반판(14) 상의 상품(17)이 적게 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앞쪽의 상품(17)이 없어지고, 이동 선반판(14)의 후측(제1 단부(32) 측)에 상품(17)이 남아 있다. 또, 도 1에서는, 레일 부재(15), 밀어내기 부재(22), 그 외의 부재를 1개만 나타내고 있는데, 실제의 이동 선반판(14) 상에는, 복수의 레일 부재(15), 복수의 밀어내기 부재(22), 복수의 제2 결합부(23) 등이 배치되는 경우가 많다. 또, 도 10에 나타내는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11)은, 다른 일반적인 형태의 진열 선반과 마찬가지로, 보충 대상이 되는 이동 선반판(14)(위에서 3단째의 이동 선반판(14))의 상하에 다른 이동 선반판(14)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이대로는 상품(17)의 보충을 할 수 없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점포 관리자는, 상품(17)의 보충에 앞서 상품 밀어내기 공정을 행한다. 우선, 점포 관리자는, 이동 선반판(14)의 걸림부(35)에 하측으로부터 손가락을 걸고, 도 1, 도 3에 나타내어지는 이동 선반판(14)을 선반 본체(13)에 근접한 제1 위치(P1)로부터, 도 4에 나타내어지는 앞쪽으로 빼내어진 제2 위치(P2)로 빼낸다. 이에 의해, 이동 선반판(14)과 함께, 이동 선반판(14) 상의 상품(17), 레일 부재(15), 밀어내기 부재(22), 및 제2 결합부(23)가 앞쪽으로 빼내어진다. 그리고, 앞쪽으로 빼내어진 밀어내기 부재(22) 및 제2 결합부(23)는, 제2 결합부(23)의 자석의 자력에 의해, 제1 결합부(21)의 바(36)에 결합한다.
점포 관리자는, 이동 선반판(14)의 제2 단부(33)를 밀어넣어, 이동 선반판(14)을, 도 4에 나타내어지는 제2 위치(P2)로부터 도 5에 나타내어지는 제1 위치(P1)로 되돌리도록 한다. 이에 따라, 밀어내기 부재(22) 및 제2 결합부(23)는, 제1 결합부(21)의 바(36)에 유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품(17)을 이동 선반판(14) 상의 제1 단부(32) 근처의 위치로부터 제2 단부(33) 근처의 위치로 상대 이동시킨다. 이동 선반판(14)이 제1 위치(P1)의 근방으로까지 이동하면, 상품(17)의 전측이 펜스(16)에 맞닿아, 펜스(16)의 압압력(하중)이 상품(17)을 경유하여 밀어내기 부재(22)에 전달된다. 이에 의해, 제1 결합부(21)의 바(36)에 대한 밀어내기 부재(22) 및 제2 결합부(23)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고, 펜스(16)의 압압력에 의해 상품(17)과 함께 밀어내기 부재(22)가 이동 선반판(14) 상을 제1 단부(32)를 향해 이동한다. 이동 선반판(14)이 제1 위치(P1)까지 이동함으로써, 상품 밀어내기 공정(상품 전진 진열 공정)이 완료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상품(17)의 전측은, 펜스(16)에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레일 부재(15) 상에 상품(17)이 복수 잔존해 있는 경우에도, 맨 앞줄의 상품(17)의 전측은, 펜스(16)에 맞닿은 상태를 유지한다. 또, 이동 선반판(14) 상에 레일 부재(15), 밀어내기 부재(22), 제2 결합부(23), 상품(17)이, 복수 가로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모든 레일 부재(15) 상의 상품(17)의 전측이 펜스(16)에 맞닿은 상태를 유지한다(즉, 상품(17)이 전진 진열되어 있다).
계속해서, 점포 관리자는, 상품 보충·밀어내기 공정을 행한다. 점포 관리자는, 이동 선반판(14)의 걸림부(35)에 하측으로부터 손가락을 걸고, 이동 선반판(14)을 도 5에 나타내는 제1 위치(P1)로부터, 도 6에 나타내는 제2 위치(P2)로 빼낸다. 그때, 상품(17)의 전측은, 펜스(16)에 맞닿은 상태(상품(17)이 전진 진열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 밀어내기 부재(22) 및 제2 결합부(23)는, 제1 결합부(21)의 바(36)에 다시 결합한다.
이 상태에서, 점포 관리자는, 도 7,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방으로부터 레일 부재(15) 상에서 맨 앞줄의 상품(17)보다 후측이고, 밀어내기 부재(22)보다 전측에 상품(17)을 보충한다. 이동 선반판(14) 상에 복수의 레일 부재(15), 밀어내기 부재(22), 및 제2 결합부(23)가 있는 경우에는, 각각의 레일 부재(15) 상에 대상의 상품(17)을 보충한다.
점포 관리자는, 이동 선반판(14)의 제2 단부(33)를 밀어넣어, 이동 선반판(14)을, 도 7에 나타내는 제2 위치(P2)로부터, 도 8, 도 9에 나타내는 제1 위치(P1)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밀어내기 부재(22) 및 제2 결합부(23)는, 제1 결합부(21)의 바(36)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밀어내기 부재(22)는, 상품(17)의 뒤쪽에 맞닿아, 이동 선반판(14) 상에서 상품(17)을 제2 단부(33) 근처의 위치로 상대 이동시킨다. 밀어내기 부재(22)에 의해 밀려나온 상품(17) 중, 맨 앞줄의 상품(17)의 전측이 펜스(16)에 맞닿았을 때에는, 상품(17)은 펜스(16)로부터의 압압력을 받게 된다. 펜스(16)로부터 압압력(하중)을 받은 상품(17)은, 밀어내기 부재(22) 및 제2 결합부(23)를 제1 결합부(21)의 바(36)로부터 분리시킨다. 이동 선반판(14)이 제1 위치(P1)까지 이동함으로써, 상품 보충 공정이 완료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맨 앞줄의 상품(17)의 전측은, 펜스(16)에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또, 레일 부재(15) 상의 모든 상품(17)은, 전측으로 밀려나온(전진 진열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동 선반판(14) 상에 복수의 레일 부재(15), 밀어내기 부재(22), 및 제2 결합부(23)가 있는 경우에는, 각각의 레일 부재(15) 상에서 상품(17)이 전측으로 밀려나온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점포 관리자는, 상기와 같이, 이동 선반판(14)을 제1 위치(P1)와 제2 위치(P2) 사이에서 2 왕복시킴으로써, 이동 선반판(14) 상의 모든 상품(17)을 일제히 전방으로 밀어내기(전진 진열)할 수 있다.
또, 점포 관리자는,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특정 상품(17)에 대해서만, 개별로 전방으로 밀어내기(전진 진열)할 수도 있다. 점포 관리자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24)를 앞쪽으로 빼내고, 수납 위치(S1)로부터 인출 위치(S2)로 이동시킴으로써, 레일 부재(15) 상에서 밀어내기 부재(22)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점포 관리자는, 특정 상품(17)만을 전방으로 밀어낼 수 있다. 점포 관리자는, 이 밀어내기 작업이 완료된 후에,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시 레버(24)를 원래의 수납 위치(S1)로 되돌려, 개별적인 상품(17)의 밀어내기(전진 진열)를 완료할 수 있다. 측판부(37)와 후크부(24C) 사이에 스프링 부재가 개재되는 경우에는, 점포 관리자가 손가락 걸림부(24B)로부터 손가락을 뗌으로써, 레버가 자동적으로 수납 위치(S1)로 되돌려진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이하의 점을 말할 수 있다.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11)은, 선반 본체(13)와, 선반 본체(13)에 지지되어 상품(17)을 재치 가능한 이동 선반판(14)으로서, 선반 본체(13)에 근접한 제1 위치(P1)와, 선반 본체(13)로부터 이격한 제2 위치(P2)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이동 선반판(14)과, 이동 선반판(14)의 선반 본체(13)와 대향하는 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설치된 펜스(16)와, 선반 본체(13)에 고정되고, 제1 위치(P1)에 있는 이동 선반판(14) 상에서 펜스(16)의 근방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제1 결합부(21)와, 이동 선반판(14)의 이동 방향(A)을 따라 이동 선반판(14) 상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품(17)에 맞닿는 접촉부를 갖는 하나 이상의 밀어내기 부재(22)와, 하나 이상의 밀어내기 부재(22)에 설치되어 하나 이상의 제1 결합부(21)와 결합 가능한 하나 이상의 제2 결합부(23)로서, 이동 선반판(14)이 제2 위치(P2)로부터 제1 위치(P1)로 이동할 때에 펜스(16)에 맞닿은 상품(17)으로부터의 하중으로 제1 결합부(21)와의 결합을 해제 가능한 하나 이상의 제2 결합부(23)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이동 선반판(14)을 제1 위치(P1)와 제2 위치(P2) 사이에서 1 왕복시킴으로써, 제1 결합부(21)에 제2 결합부(23)가 결합하고, 이동 선반판(14)이 제2 위치(P2)로부터 제1 위치(P1)로 이동할 때에, 펜스(16)에 대해 밀어내기 부재(22)가 가까워지도록 상대 이동하여 상품(17)을 펜스(16)를 향해 밀어낼 수 있다. 그에 의해 상품(17)이 펜스(16)에 맞닿으면, 펜스(16)에 맞닿은 상품(17)으로부터의 하중으로 제1 결합부(21)와 제2 결합부(23)의 결합이 해제되고, 이동 선반판(14)과 함께 상품(17)이 제1 위치(P1)를 향해 후퇴한다. 이에 의해 상품(17)을 펜스(16)를 향해 밀어낼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품(17)의 밀어내기에 더하여, 다시, 이동 선반판(14)을 제1 위치(P1)와 제2 위치(P2) 사이에서 왕복시킴으로써, 상품(17)의 보충·밀어내기를 행할 수 있다. 즉, 2회째에 이동 선반판(14)을 제2 위치(P2)로 이동시켰을 때에는, 초회의 왕복과 동일하게, 제1 결합부(21)에 제2 결합부(23)가 결합한다. 또, 이동 선반판(14)에 잔존하는 상품(17)은, 이미 펜스(16)를 향해 밀려나온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점포 관리자는, 이들 잔존하는 상품(17)의 후측(선반 본체(13) 측)이고 밀어내기 부재(22)보다 전측에 새로운 상품(17)을 보충할 수 있다. 상품(17)의 보충 완료 후, 점포 관리자가 이동 선반판(14)을 제2 위치(P2)로부터 제1 위치(P1)로 되돌림으로써, 펜스(16)에 대해 밀어내기 부재(22)가 가까워지도록 상대 이동하고, 보충된 상품(17)을 포함하는 복수의 상품(17)을 펜스(16)를 향해 밀어낼 수 있다. 그에 의해 상품(17)이 펜스(16)에 맞닿으면, 펜스(16)에 맞닿은 상품(17)으로부터의 하중으로 제1 결합부(21)와 제2 결합부(23)의 결합이 해제되고, 이동 선반판(14)과 함께 상품(17)이 제1 위치(P1)를 향해 후퇴한다. 이상에 의해, 상품(17)의 보충·밀어내기를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이동 선반판(14)을 왕복시킨다는 간단한 작업에 의해, 상품(17)의 밀어내기 공정과, 상품(17)의 보충·밀어내기 공정을 실현할 수 있다. 이들은, 특히, 이동 선반판(14) 상에, 복수 종류의 상품(17), 복수의 밀어내기 부재(22), 복수의 제2 결합부(23)가 있는 경우에, 복수 종류의 상품(17)의 밀어내기와, 복수 종류의 상품(17)의 보충·밀어내기를 일괄하여 실시할 수 있는 점에서 매우 유용하다. 이에 의해, 점포 관리자의 관리 부담을 현저하게 저감할 수 있다. 최근, 특히, 상점 내에 놓이는 상품(17)의 수가 방대해지고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11)과 같이, 일괄하여 복수 종류의 상품(17)을 밀어내기하고, 또한, 보충·밀어내기까지도 일괄하여 행할 수 있는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을 도입함으로써, 점포 관리의 효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점포 관리자의 부담을 저감할 수 있다.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11)은, 이동 선반판(14)의 이동 방향을 따라 가늘고 길게 연장되는 관통 구멍부(42)를 가짐과 더불어 상품(17)이 직접 재치되는 하나 이상의 레일 부재(15)와, 하나 이상의 밀어내기 부재(22) 각각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편(43)으로서, 관통 구멍부(42) 내에 끼워지고, 이동 선반판(14)의 이동 방향(A)을 따라 이동 가능한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편(43)을 구비하고, 하나 이상의 제2 결합부(23) 각각은,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편(43) 각각에 설치되고, 하나 이상의 제1 결합부(21)는, 관통 구멍부(42)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레일 부재(15)에 의해 상품(17) 및 밀어내기 부재(22)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이동 선반판(14)의 이동 방향(A)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밀어내기 부재(22)가 어긋나버리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 관통 구멍부(42)를 통해 제1 결합부(21)와 제2 결합부(23)를 결합시킬 수 있다. 이들에 의해, 밀어내기 부재(22)에 의해 상품(17)을 안정적으로 밀어내기할 수 있는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제1 결합부(21)는, 강자성체 및 자석 중 어느 한쪽이며, 제2 결합부(23)는, 강자성체 및 자석 중 어느 다른 쪽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결합부(21)와 제2 결합부(23) 사이에서 결합하는 구성을 자석을 이용한 구조에 의해 간단 또한 저비용으로 실현할 수 있다.
이동 선반판(14)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이동 선반판(14) 상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나 이상의 밀어내기 부재(22)를 선반 본체(1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빼내기 가능한 하나 이상의 레버(24)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특정 상품(17)에 관해서만 밀어내기(전진 진열)를 행하고 싶은 경우에, 개별적으로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더욱 사용자 친화적인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11)을 실현할 수 있다.
이하의 변형예에서는, 주로 상기 실시 형태와 상이한 부분에 대해 설명하고, 상기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시 또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1 변형예]
도 14, 도 15를 참조하여,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11)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변형예의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11)은, 제1 결합부(21)의 바(36)의 구성과, 제2 결합부(23)의 구성이 상기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바(36)는, 제1 위치(P1)에 있는 이동 선반판(14) 상에서 펜스(16)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바(36)는, 가늘고 긴 평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36)는, 예를 들면 합성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바(36)는, 예를 들면, 단면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36)는, 그 정상면에서, 관통 구멍부(42)에 대응하는 위치에, 반구형으로 패인 오목부(51)를 갖는다. 바(36)의 재질로서는, 합성수지 재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금속 재료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1 결합부(21)의 오목부(51)의 형상은, 반구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타원 반구형이나 사각뿔 등의 뿔형으로 패여 있어도 된다.
제2 결합부(23)는, 밀어내기 부재(22)의 사각형판 형상의 슬라이드편(43)과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다. 제2 결합부(23)는, 슬라이드편(43)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2 결합부(23)는, 슬라이드편(43)의 하면으로부터 반구형상으로 돌출된 볼록부(52)로 구성된다. 제2 결합부(23)는, 제1 결합부(21)의 내측에 끼워질 수 있도록, 제1 결합부(21)(오목부(51))에 대해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다. 또한, 제2 결합부(23)의 볼록부(52)의 형상은, 반구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타원 반구형이나 사각뿔 등의 뿔형으로 돌출되어 있어도 된다.
계속해서, 도 14, 도 15 등을 참조하여, 본 변형예의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11)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1~도 3은, 상점에 있어서 상품(17)이 팔려, 이동 선반판(14) 상의 상품(17)이 적게 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앞쪽의 상품(17)이 없어지고, 이동 선반판(14)의 후측(제1 단부(32) 측)에 상품(17)이 남아 있다.
이 상황하에서, 점포 관리자는, 상품 보충에 앞서, 상품 밀어내기 공정을 행한다. 우선, 점포 관리자는, 이동 선반판(14)의 걸림부(35)에 하측으로부터 손가락을 걸고, 도 1, 도 3에 나타내어지는 이동 선반판(14)을 선반 본체(13)에 근접한 제1 위치(P1)로부터, 도 4에 나타내어지는 앞쪽으로 빼내어진 제2 위치(P2)로 빼낸다. 이에 의해, 이동 선반판(14)과 함께, 이동 선반판(14) 상의 상품(17), 레일 부재(15), 밀어내기 부재(22), 및 제2 결합부(23)가 앞쪽으로 빼내어진다. 그리고, 도 14,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쪽으로 빼내어진 밀어내기 부재(22) 및 제2 결합부(23)는, 제1 결합부(21)의 바(36)의 슬로프(36A)를 타고 넘어, 바(36)의 오목부(51)에 끼워지고, 제1 결합부(21)와 결합한다.
점포 관리자는, 이동 선반판(14)의 제2 단부(33)를 밀어넣고, 이동 선반판(14)을, 도 4에 나타내어지는 제2 위치(P2)로부터 도 5에 나타내어지는 제1 위치(P1)로 되돌리도록 한다. 이에 따라, 밀어내기 부재(22) 및 제2 결합부(23)는, 제1 결합부(21)의 바(36)에 유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품(17)을 이동 선반판(14) 상의 제1 단부(32) 근처의 위치로부터 제2 단부(33) 근처의 위치로 상대 이동시킨다. 이동 선반판(14)이 제1 위치(P1)의 근방으로까지 이동하면, 상품(17)의 전측이 펜스(16)에 맞닿아, 펜스(16)의 압압력(하중)이 상품(17)을 경유하여 밀어내기 부재(22)에 전달된다. 이에 의해, 제1 결합부(21)의 바(36)에 대한 밀어내기 부재(22) 및 제2 결합부(23)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고, 도 14에 나타내는 상태가 되어, 펜스(16)의 압압력에 의해 상품(17)과 함께 밀어내기 부재(22)가 이동 선반판(14) 상을 제1 단부(32)를 향해 이동한다. 이동 선반판(14)이 제1 위치(P1)까지 이동함으로써, 상품 밀어내기 공정(상품 전진 진열 공정)이 완료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상품(17)의 전측은, 펜스(16)에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계속해서, 점포 관리자는, 상품 보충·밀어내기 공정을 행한다. 점포 관리자는, 이동 선반판(14)의 걸림부(35)에 하측으로부터 손가락을 걸고, 이동 선반판(14)을 도 5에 나타내는 제1 위치(P1)로부터, 도 6에 나타내는 제2 위치(P2)로 빼낸다. 그때, 상품(17)의 전측은, 펜스(16)에 맞닿은 상태(상품(17)이 전진 진열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 밀어내기 부재(22) 및 제2 결합부(23)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결합부(21)의 바(36)에 다시 결합한다.
이 상태에서, 점포 관리자는, 도 7,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방으로부터 레일 부재(15) 상에서, 맨 앞줄의 상품(17)보다 후측이고, 밀어내기 부재(22)보다 전측에 상품(17)을 보충한다. 이동 선반판(14) 상에 복수의 레일 부재(15), 밀어내기 부재(22), 및 제2 결합부(23)가 있는 경우에는, 각각의 레일 부재(15) 상에 상품(17)을 보충한다.
점포 관리자는, 이동 선반판(14)의 제2 단부(33)를 밀어넣고, 이동 선반판(14)을, 도 7에 나타내는 제2 위치(P2)로부터, 도 8, 도 9에 나타내는 제1 위치(P1)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밀어내기 부재(22) 및 제2 결합부(23)는, 제1 결합부(21)의 바(36)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밀어내기 부재(22)는, 상품(17)의 뒤쪽에 맞닿아, 이동 선반판(14) 상에서 보충된 상품(17)을 포함하는 복수의 상품(17)을 제2 단부(33) 근처의 위치로 상대 이동시킨다. 밀어내기 부재(22)에 의해 밀려나온 상품(17)의 전측이 펜스(16)에 맞닿았을 때에는, 상품(17)은 펜스(16)로부터의 압압력을 받게 된다. 펜스(16)로부터 압압력을 받은 상품(17)은, 밀어내기 부재(22) 및 제2 결합부(23)를,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결합부(21)의 바(36)로부터 분리시킨다. 이동 선반판(14)이 제1 위치(P1)까지 이동함으로써, 상품 보충 공정이 완료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상품(17)의 전측은, 펜스(16)에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또, 레일 부재(15) 상의 모든 상품(17)은, 전측으로 밀려나온(전진 진열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점포 관리자는, 상기와 같이, 이동 선반판(14)을 제1 위치(P1)와 제2 위치(P2) 사이에서 2 왕복시킴으로써, 이동 선반판(14) 상의 모든 상품(17)을 일제히 전방으로 밀어내기(전진 진열)할 수 있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이하의 점을 말할 수 있다. 제1 결합부(21)는, 오목부(51)이며, 제2 결합부(23)는, 제1 결합부(21)와 끼워맞춰지는 볼록부(52)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오목부(51)와 볼록부(52)를 이용한 간단한 구조에 의해, 제1 결합부(21)와 제2 결합부(23)를 실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자석을 이용하지 않는 구조로 할 수 있고, 상기 실시 형태에 비해 더욱 저비용화를 실현할 수 있다.
오목부(51)는, 반구형상으로 패여 있고, 볼록부(52)는, 반구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소정의 부하가 걸렸을 때에 오목부(51)로부터 볼록부(52)를 탈락할 수 있는 기구를 매우 간단한 구조로 실현할 수 있다.
[제2 변형예]
도 16, 도 17을 참조하여,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11)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변형예의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11)은, 제1 결합부(21)의 바(36)의 구성과, 제2 결합부(23)의 구성이 제1 변형예와 상이하다.
바(36)는, 제1 위치(P1)에 있는 이동 선반판(14) 상에서 펜스(16)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바(36)는, 가늘고 긴 평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36)는, 예를 들면 합성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바(36)는, 예를 들면, 단면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36)는, 그 정상면에서, 관통 구멍부(42)에 대응하는 위치에, 반구형으로 돌출된 볼록부(52)를 갖는다. 바(36)의 재질로서는, 합성수지 재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금속 재료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1 결합부(21)의 볼록부(52)의 형상은, 반구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타원 반구형이나 사각뿔 등의 뿔형으로 돌출되어 있어도 된다.
제2 결합부(23)는, 밀어내기 부재(22)의 사각형판 형상의 슬라이드편(43)에 설치되어 있다. 제2 결합부(23)는, 슬라이드편(43)의 하면으로부터 상향으로 패이는 오목부(51)로서 설치되어 있다. 제2 결합부(23)는, 슬라이드편(43)의 하면으로부터 반구형상으로 패여 있다. 제2 결합부(23)는, 제1 결합부(21)와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다. 또한, 제2 결합부(23)의 오목부(51)의 형상은, 반구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타원 반구형이나 사각뿔 등의 뿔형으로 패여 있어도 된다.
본 변형예의 작용은, 제1 변형예의 작용과 대략 동일하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이하의 점을 말할 수 있다. 제1 결합부(21)는, 볼록부(52)이며, 제2 결합부(23)는, 제1 결합부(21)와 끼워맞춰지는 오목부(51)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오목부(51)와 볼록부(52)를 이용한 간단한 구조에 의해, 제1 결합부(21)와 제2 결합부(23)를 실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자석을 이용하지 않는 구조로 할 수 있고, 상기 실시 형태에 비해 더욱 저비용화를 실현할 수 있다.
[제3 변형예]
도 18, 도 19를 참조하여,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11)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변형예의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11)은, 제1 결합부(21)의 바(36)의 구성과, 제2 결합부(23)의 구성이 상기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바(36)는, 제1 위치(P1)에 있는 이동 선반판(14) 상에서 펜스(16)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바(36)는, 가늘고 긴 평판형상이며, 단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36)는, 예를 들면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된 기재(36B)와, 기재(36B)의 정상면에서 레일 부재(15)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벨크로의 한쪽(36C)을 갖는다. 벨크로의 한쪽(36C)은, 예를 들면 루프면으로 구성된다. 바(36)의 기재(36B)의 재질로서는, 금속 재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합성수지 재료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바(36)의 정상면에 설치되는 벨크로의 한쪽(36C)은, 예를 들면 후크면이어도 된다. 바(36)는, 벨크로의 한쪽(36C) 대신에, 겔상의 점착 시트를 갖고 있어도 된다.
제2 결합부(23)는, 밀어내기 부재(22)의 사각형판 형상의 슬라이드편(43)의 하면에 설치되어 있다. 제2 결합부(23)는, 벨크로의 다른 쪽이고, 예를 들면 후크면으로 구성된다. 제1 결합부(21)의 벨크로의 한쪽(36C)이 후크면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벨크로의 다른 쪽인 제2 결합부(23)는, 예를 들면 루프면이어도 된다. 또, 바(36)가, 벨크로의 한쪽(36C) 대신에, 겔상의 점착 시트를 갖고 있는 경우에는, 제2 결합부(23)는, 벨크로의 다른 쪽 대신에, 당해 점착 시트에 흡착되는 것이 가능한 평탄면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혹은, 제2 결합부(23)의 벨크로의 다른 쪽 대신에 겔상의 점착 시트를 설치하고, 바(36)의 정상면에 설치되는 벨크로의 한쪽(36C) 대신에, 당해 겔상의 점착 시트에 흡착되는 것이 가능한 평탄면을 설치해도 된다.
본 변형예의 작용은, 바(36)에 슬로프(36A)가 설치되어 있지 않지만, 제1 변형예의 작용과 대략 동일한 작용을 발휘한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이하의 점을 말할 수 있다. 레일 부재(15)는, 이동 선반판(14)의 이동 방향(A)을 따라 가늘고 길게 연장되는 관통 구멍부(42)를 갖고, 슬라이드편(43)은, 관통 구멍부(42) 내에 끼워져 있고, 제1 결합부(21)는, 벨크로의 다른 쪽이며, 제2 결합부(23)는, 제1 결합부(21)와 결합하는 벨크로의 다른 쪽이다. 이에 의해, 자석을 이용하지 않는 구조로 할 수 있어, 상기 실시 형태에 비해 더욱 저비용화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 형태는, 다양한 치환이나 변형을 추가로 실시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 형태 및 상기 변형예를 적절히 조합하여 발명을 실현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11: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
12: 지지부
13: 선반 본체 14: 이동 선반판
15: 레일 부재 16: 펜스
17: 상품 21: 제1 결합부
22: 밀어내기 부재 23: 제2 결합부
24: 레버 42: 관통 구멍부
43: 슬라이드편 51: 오목부
52: 볼록부 P1: 제1 위치
P2: 제2 위치 A: 이동 방향
13: 선반 본체 14: 이동 선반판
15: 레일 부재 16: 펜스
17: 상품 21: 제1 결합부
22: 밀어내기 부재 23: 제2 결합부
24: 레버 42: 관통 구멍부
43: 슬라이드편 51: 오목부
52: 볼록부 P1: 제1 위치
P2: 제2 위치 A: 이동 방향
Claims (7)
- 선반 본체와,
상기 선반 본체에 지지되어 상품을 재치(載置) 가능한 이동 선반판으로서, 상기 선반 본체에 근접한 제1 위치와, 상기 선반 본체로부터 이격한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이동 선반판과,
상기 이동 선반판의 상기 선반 본체와 대향하는 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설치된 펜스와,
상기 선반 본체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위치에 있는 상기 이동 선반판 상에서 상기 펜스의 근방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제1 결합부와,
상기 이동 선반판의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이동 선반판 상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상품에 맞닿는 접촉부를 갖는 하나 이상의 밀어내기 부재와,
상기 하나 이상의 밀어내기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결합부와 결합 가능한 하나 이상의 제2 결합부로서, 상기 이동 선반판이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할 때에 상기 펜스에 맞닿은 상기 상품으로부터의 하중으로 상기 제1 결합부와의 결합을 해제 가능한 하나 이상의 제2 결합부
를 구비하는,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품이 직접 재치되는 하나 이상의 레일 부재와,
상기 하나 이상의 밀어내기 부재 각각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편으로서, 상기 레일 부재에 가이드되어, 상기 이동 선반판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편
을 구비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결합부 각각은, 상기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편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결합부는, 상기 레일 부재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강자성체 및 자석 중 어느 한쪽이며,
상기 제2 결합부는, 강자성체 및 자석 중 어느 다른 쪽인,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일 부재는, 상기 이동 선반판의 이동 방향을 따라 가늘고 길게 연장되는 관통 구멍부를 갖고,
상기 슬라이드편은, 상기 관통 구멍부 내에 끼워져 있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오목부 및 볼록부 중 어느 한쪽이며,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1 결합부와 끼워맞춰지는 오목부 및 볼록부 중 어느 다른 쪽인,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반구형상으로 패여 있고, 상기 볼록부는, 반구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일 부재는, 상기 이동 선반판의 이동 방향을 따라 가늘고 길게 연장되는 관통 구멍부를 갖고,
상기 슬라이드편은, 상기 관통 구멍부 내에 끼워져 있고,
상기 제1 결합부는, 벨크로의 한쪽이며,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하는 벨크로의 다른 쪽인,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 선반판의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이동 선반판 상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밀어내기 부재를 상기 선반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빼내기 가능한 하나 이상의 레버를 구비하는,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20001155A JP7397474B2 (ja) | 2020-01-08 | 2020-01-08 | 商品押出し陳列棚 |
JPJP-P-2020-001155 | 2020-01-08 | ||
PCT/JP2020/002353 WO2021140679A1 (ja) | 2020-01-08 | 2020-01-23 | 商品押出し陳列棚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20605A true KR20220120605A (ko) | 2022-08-30 |
Family
ID=76788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7024313A KR20220120605A (ko) | 2020-01-08 | 2020-01-23 |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7397474B2 (ko) |
KR (1) | KR20220120605A (ko) |
WO (1) | WO2021140679A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761366B2 (ja) | 2003-11-14 | 2011-08-31 | 河淳株式会社 | スライド式商品陳列棚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69516Y2 (ja) * | 1992-03-19 | 1998-04-28 | 株式会社コーキ工芸 | 陳列ケース |
JPH10272039A (ja) * | 1997-03-31 | 1998-10-13 | Kawajun Kk | 商品陳列具 |
US6142317A (en) * | 1997-11-12 | 2000-11-07 | Merl; Milton J. | Gravity feed shelving system with track and pusher |
JP4169225B2 (ja) * | 1998-08-07 | 2008-10-22 | 河淳株式会社 | 商品陳列具 |
JP4693011B2 (ja) * | 1999-02-16 | 2011-06-01 | 河淳株式会社 | 商品陳列具 |
US6889854B2 (en) * | 1999-08-24 | 2005-05-10 | Burke Display Systems, Inc. | Snap-fit adjustable display system |
US20040140279A1 (en) * | 2003-01-21 | 2004-07-22 | Fasteners For Retail, Inc. | Shelving system |
JP2016187480A (ja) * | 2015-03-30 | 2016-11-04 | 三協立山株式会社 | 物品前出し装置 |
-
2020
- 2020-01-08 JP JP2020001155A patent/JP7397474B2/ja active Active
- 2020-01-23 KR KR1020227024313A patent/KR20220120605A/ko unknown
- 2020-01-23 WO PCT/JP2020/002353 patent/WO2021140679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761366B2 (ja) | 2003-11-14 | 2011-08-31 | 河淳株式会社 | スライド式商品陳列棚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21108801A (ja) | 2021-08-02 |
JP7397474B2 (ja) | 2023-12-13 |
WO2021140679A1 (ja) | 2021-07-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169225B2 (ja) | 商品陳列具 | |
KR100635336B1 (ko) | 음료수 진열형 인출서랍 | |
US6823997B2 (en) | Arrangement in a supporting device for goods | |
US20090066207A1 (en) | Telescopic pull-out shelf for a refrigeration device | |
US8602230B2 (en) | Modular merchandise display system | |
KR101941540B1 (ko) | 파렛트 랙 | |
CN112205825A (zh) | 产品管理陈列系统 | |
JP2002065419A (ja) | 商品陳列棚における棚板の前面ストッパー装置 | |
JPH11313737A (ja) | 陳列棚用商品仕切板 | |
CN101171490A (zh) | 带有拉出式冷藏物品容器的冰箱 | |
KR20220120605A (ko) | 상품 밀어내기 진열 선반 | |
JP7546279B2 (ja) | 商品押出し陳列棚 | |
JP6172801B2 (ja) | 商品前出し装置 | |
JP2016187480A (ja) | 物品前出し装置 | |
JP2019092912A (ja) | 棚装置 | |
JP3205996U (ja) | 商品陳列用具 | |
CN108125422B (zh) | 置物架及储藏柜用置物架 | |
JP6050956B2 (ja) | 収納什器 | |
CN217690179U (zh) | 一种补货装置及包括其的售货机 | |
JP4225439B2 (ja) | 商品前出し具 | |
JP4182179B2 (ja) | 商品陳列具 | |
JP3219875U (ja) | 物品前出し器具 | |
JP6986423B2 (ja) | 棚装置 | |
JP7253234B2 (ja) | 商品前出し具 | |
CN111946706B (zh) | 搁板按压件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