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0346A - 구조물 단차 방지구조 - Google Patents

구조물 단차 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0346A
KR20220120346A KR1020210024345A KR20210024345A KR20220120346A KR 20220120346 A KR20220120346 A KR 20220120346A KR 1020210024345 A KR1020210024345 A KR 1020210024345A KR 20210024345 A KR20210024345 A KR 20210024345A KR 20220120346 A KR20220120346 A KR 20220120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er
filling
pad
plate
inj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4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5869B1 (ko
Inventor
정동진
Original Assignee
(주)세한테크
반디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한테크, 반디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세한테크
Priority to KR1020210024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5869B1/ko
Publication of KR20220120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0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5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5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8Temporary pavings
    • E01C9/083Temporary pavings made of metal, e.g. plates, net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0Paving elements having build-in shock absorb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구조물 단차 방지구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단차 방지구조는, 차량이나 사람이 통행할 수 있는 상부구조, 상부구조를 지지하는 지지부, 지지부의 하부에 마련된 하부구조를 포함하고, 지지부와 상부구조 사이 또는 지지부와 하부구조 사이에 미리 설정된 간격의 단차가 발생할 경우, 단차에 충진패드가 삽입 후 충진패드에 충진재가 주입되고 양생되어 단차를 메우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구조물 단차 방지구조{GAP PREVENTION STRUCTURE}
본 발명은 구조물 단차 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복공판이나 교량의 하부에 발생하는 빈 공간에 충진패드를 설치할 수 있는, 구조물 단차 방지구조에 관한 발명이다.
건설구조물이 시공되는 과정에서 설계상의 결함이나 건설구조물의 사용에 따라 지지하는 구조물과 지지되는 구조물 사이에 단차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공판과 거더 사이, 교량 받침과 교량 상부구조물 사이에 단차가 발생가능하다.
복공판은 지하시설물의 공사를 위해 도로를 파헤치는 경우나 가설교량을 설치할 경우에 공사 지점 위로 차량 또는 사람이 다닐 수 있도록 임시로 마련되는 것이다.
복공판의 하면과 거더의 상면을 단순하게 볼트결합하거나 복공판의 하면에 복공판 패드를 부착하여 복공판과 거더를 체결하게 된다. 이때, 거더와 복공판간의 높이의 불일치 또는 거더의 표면의 휨 등으로 복공판의 하면과 거더의 상면이 수평으로 완전하게 맞대어지지 않게 되어 이격이 발생하거나, 복공판 패드를 부착하는 경우에도 복공판 패드의 표면이 균일하지 못하여 복공판 패드와 복공판의 하면 또는 거더의 상면간 이격이 발생하기도 한다.
복공판 패드와 복공판의 하면 또는 복공판 패드와 거더의 상면 사이의 이격공간은, 복공판 상부에서 차량 등의 주행으로 이동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에 복공판, 복공판 패드, 거더간의 진동으로 인한 충돌로 소음을 발생시키고, 지속적인 이동하중은 복공판과 거더의 피로하중으로 작용하여 복공판 및 거더의 내구성을 약화시켜 구조적인 안정성의 문제를 일으킨다. 또한 이격공간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진동은 복공판과 거더간 볼트결합의 풀림을 초래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73464호 "복공판 이음부용 연결패드"가 개시되었다. 이 발명은 복공판 설치 후 복공판 사이에 복공판 이음부용 연결패드를 삽입하는 공법으로, 복공판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복공판 사이의 충격을 줄여 전체적으로 소음을 줄이는 공법이다. 그러나 이 공법은 복공판의 불균형(덜컹거림)을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못하고, 복공판 상부 차량 운행으로 인한 파손이 우려되고 설치시 차량 운행을 중단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는 발명이다.
복공판 고정장치나 복공판용 고무패드, 복공용 이음부용 패드 등이 제안되었으나, 복공판 고정장치의 경우 복공판 사이를 용접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므로 반복적인 진동에 의해 용접부위에 취성파괴가 발생할 확률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복공판용 고무패드와 이음부용 패드와 같은 종래기술의 경우, 복공판 시공 이후에 복공판과 거더 사이의 단차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구조는 아니어서 복공판의 불균형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373464호(2005.01.17)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복공판과 거더 사이 혹은 교량 받침과 교량 상부구조에 단차가 발생할 경우 이 단차로 인해 발생되는 공간에 충진패드를 마련하고 단차 크기와 형상에 따라 맞춤형으로 단차를 메울 수 있는, 구조물 단차 방지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발명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단차 방지구조는, 차량이나 사람이 통행할 수 있는 상부구조;상기 상부구조를 지지하는 지지부;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마련된 하부구조;를 포함하고,상기 지지부와 상기 상부구조 사이 또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하부구조 사이에 미리 설정된 간격의 단차가 발생할 경우, 상기 단차에 충진패드가 삽입 후 상기 충진패드에 충진재가 주입되고 양생되어 상기 단차를 메우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진패드는, 길이와 폭에 비해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충진재가 충진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내부에 주입된 충진재가 외부로 새지 않도록 마련된 차단부; 및 상기 본체부에 충진재가 주입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에 마련된 주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단부는 상기 본체부의 중심부를 향하여 상기 본체부의 테두리와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며 봉제선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진재는 미리 설정된 경화강도를 갖는 에폭시 충진재 또는 탄성적 성질을 갖는 우레탄 충진재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진패드는, 길이와 폭에 비해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충진재가 충진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내부에 주입된 충진재가 외부로 새지 않도록 마련된 제1 차단부; 상기 제1 차단부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 차단부와 상이한 충진재가 충진되도록 마련된 제2 차단부; 및 상기 제1 차단부와 상기 제2 차단부의 일단부에 각각 마련된 주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차단부 내부에는 충진재가 주입되는 제1 충진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제1 차단부와 상기 제2 차단부 사이에 충진재가 주입되는 제2 충진공간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충진공간에 미리 설정된 경화강도를 갖는 에폭시 충진재가 도넛 모양으로 주입된 후 상기 제1 충진공간에 탄성적 성질을 갖는 우레탄 충진재가 충진되어 양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충진공간은 상기 제1 충진공간의 중심에 마련되고, 충진재의 충진 및 양생 후 상기 제1 충진공간의 단부의 높이와 인접한 상기 제2 충진공간의 단부의 높이는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구조는 복공판으로, 상기 지지부는 복공판 패드로, 상기 하부구조는 주형거더로 마련되며, 상기 복공판과 상기 주형거더의 상부 플랜지 사이 또는 상기 복공판 패드와 상기 주형거더의 상부 플랜지 사이에 단차가 발생될 때 상기 단차에 상기 충진패드가 삽입되어 상기 단차를 메우며, 상기 충진패드의 상부는 상기 복공판 패드의 하부 또는 상기 복공판의 하부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구조는 교량 상부구조물로, 상기 지지부는 교량 받침에 연결된 솔플레이트로, 상기 하부구조는 교량 하부구조물로 마련되며, 상기 교량 상부구조물과 상기 솔플레이트 사이에 단차가 발생될 때 상기 단차에 상기 충진패드가 삽입되어 상기 단차를 메울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용중인 복공판을 해체하거나 차량통행을 방해하지 않고 진동이 심한 복공판을 선별하여 소음 방지장치를 마련할 수 있어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공판과 주형거더 혹은 복공판과 복공판을 강결할 필요없이 단차 부분에만 충진패드를 삽입할 수 있어 복공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시공속도가 빠르고 소음 및 진동방지에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획일적인 두께로 충진패드를 부착하는 것이 아닌 단차의 크기와 형태에 맞게 충진패드를 마련할 수 있어 맞춤시공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교량 받침과 교량 상부구조물 사이에 단차가 발생할 경우 단차의 형상과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충진패드를 삽입하여 단차를 메울 수 있어 교량의 시공성을 개선하고 교량의 장기적인 구조적 안전성과 사용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단차 방지구조에서 복공판 패드가 마련된 복공판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복공판 패드가 결합된 복공판과 주형거더가 이격되고 단차가 발생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단차 방지구조에서 복공판에 충진패드가 삽입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는 개략도,
도 4는 도 3에 따른 충진패드에 충진재가 주입되고 있는 것은 나타내고 있는 개략도,
도 5는 충진패드에 충진재가 주입되고 충진호스가 제거된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진패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진패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진패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단차 방지구조에서 교량 상부구조물과 솔플레이트 사이에 단차가 발생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단차 방지구조에서 도 9의 단차에 충진패드가 삽입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는 개략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0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단차 방지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단차 방지구조는, 차량이나 사람이 통행할 수 있는 상부구조, 상부구조를 지지하는 지지부, 지지부의 하부에 마련된 하부구조를 포함하고, 지지부와 상부구조 사이 또는 지지부와 하부구조 사이에 미리 설정된 간격의 단차가 발생할 경우, 단차에 충진패드가 삽입 후 충진패드에 충진재가 주입되고 양생되어 단차를 메우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단차 방지구조에서 상부구조는 복공판(40)으로, 지지부는 복공판 패드(50)로, 하부구조는 주형거더(10)로 마련될 수 있다.
복공판(40)은 주형거더(10)의 상부 플랜지에 단부가 결합하며, 주형거더(10)는 가로형 보강빔(20)의 상면에 결합할 수 있다. 가로형 보강빔(20)은 파일(미도시)의 상단부와 결합할 수 있으며, 주형거더(10) 사이에는 횡방향빔(30)이 마련될 수 있다.
복공판(40)과 주형거더(10) 사이에는 복공판 패드(50)가 마련되어 복공판(40)의 상부의 차량 통행에 따른 진동을 흡수하고 소음을 방지하게 된다. 복공판 패드(50)에는 체결부(60)가 마련되어 복공판 패드(50)와 주형거더(10)의 상부를 고정하게 된다.
그런데 복공판(40) 상면으로 차량이 통행함에 따라 복공판(40)에 평탄성이 불량하게 되고, 주형거더(10)의 솟음 등에 의해 도 2와 같이 복공판(40)과 주형거더(10)의 상부 플랜지 사이에 단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단차로 인해 복공판이 덜컹거리게 되고 복공판(40)과 주형거더(10)의 마찰과 진동으로 인해 소음이 발생되어 민원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단차 방지구조는 이러한 단차가 발생한 경우 도 3 내지 도 8과 같은 충진패드(110, 120, 130)를 삽입한 후 충진패드(110, 120, 130)에 충진재(R, E)를 충진하고 양생하여 단차를 메우게 된다. 이렇게 단차를 충진패드(110, 120, 130)를 통해 메우게 되면 복공판(40)과 주형거더(10)의 상부 플랜지 사이는 충진재(R, E)에 의해 충진되어 단차 발생에 따른 소음발생을 원천 차단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공판(40)에 소음이 발생하게 되면, 도 2와 같이 단차 발생으로 소음이 발생된 복공판(40)이 확인되고 복공판(40) 혹은 복공판(40)의 하부에 부착된 복공판 패드(50)와 주형거더(10) 거더 사이의 단차의 크기와 단차의 형상이 측정된다.
단차의 크기와 단차의 형상에 따라 충진재(R, E)는 미리 설정된 경화강도를 갖는 에폭시 충진재(R) 또는 탄성적 성질을 갖는 우레탄 충진재(E)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에폭시 충진재(R)와 우레탄 충진재(E)가 동시에 충진되도록 복합 충진패드(130)가 마련될 수 있다.
단차가 발생된 복공판(40)의 단부에는 유압클램프(미도시) 혹은 고임목(미도시)을 이용하여 복공판(40)이 움직이지 않게 고정한다. 여기서 복공판(40)의 단부란 복공판(40)과 주형거더(10)의 상부 플랜지 사이에 이격이 발생한 부분의 복공판(40)의 단부를 의미한다.
미도시하였지만, 충진패드(110, 120, 130)의 상부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복공판 패드(50)의 하부 또는 복공판(40)의 하부에 충진패드(110, 120, 130)의 상부를 접착하게 된다. 이 경우 충진패드(110, 120, 130)의 하부에는 접착제를 도포하지 않는데 이는 복공판(40)의 해체 또는 재시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도 4와 같이 충진재를 주입하기 위한 펌프(미도시)와 연결된 주입호스(150)를 충진패드(110, 120, 130)에 연결하고 펌프(미도시)를 통해 충진패드(110, 120, 130)에 충진재를 주입하게 된다.
도 5와 같이 주입된 충진재가 충분히 양생되면 주입호스(150)를 제거하고, 유압클램프(미도시) 혹은 고임목(미도시)을 제거하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충진패드(110)는 길이와 폭에 비해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충진재가 충진되는 본체부(111), 본체부(111) 내부에 주입된 충진재가 외부로 새지 않도록 마련된 차단부(117), 본체부(111)에 충진재가 주입되도록 본체부(111)의 일단부에 마련된 주입부(113)를 포함한다.
본체부(111)는 충진재가 주입되고 양생된 후 충분히 복공판(40)으로부터 전해지는 진동에 견딜 수 있는 소재로 마련되며, 전체적으로 파우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주입부(113)와 인접한 부분에는 고압으로 분사되는 충진재로부터 본체부(111)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115)가 마련될 수 있다.
차단부(117)는 본체부(111)의 중심부를 향하여 본체부(111)의 테두리와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며, 본체부(111)의 내부에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진패드(110)는 차단부(117)에 의해 하나의 내부공간이 마련되며, 이 내부공간에 미리 설정된 경화강도를 갖는 에폭시 충진재(R) 또는 탄성적 성질을 갖는 우레탄 충진재(E)가 주입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진패드(120)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진패드(110)와 대부분의 구성이 대응되며 주입될 충진재만 상이하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진패드(110)에는 에폭시 충진재(R)가 주입되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진패드(120)에는 우레탄 충진재(E)가 주입될 수 있다.
충진패드(110, 120)에는 에폭시 충진재(R)와 우레탄 충진재(E)가 미리 설정된 비율로 혼합되어 주입될 수 있다. 즉 2액형 타입의 고탄성 우레탄 충진재가 형성되어 진동이 심한 복공판(40)의 하부의 충진패드(110, 120)에 주입될 수 있다. 여기서 에폭시 충진재(R)와 우레탄 충진재(E)가 1:1의 비율로 배합될 수 있으나, 현장 여건에 따라 다양한 비율로 배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진패드(130)는 길이와 폭에 비해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충진재가 충진되는 본체부(131), 본체부(131) 내부에 주입된 충진재가 외부로 새지 않도록 마련된 제1 차단부(136), 제1 차단부(136) 내부에 마련되며 제1 차단부(136)와 상이한 충진재가 충진되도록 마련된 제2 차단부(137) 및 제1 차단부(136)와 제2 차단부(137)의 일단부에 각각 마련된 주입부(133, 134)를 포함한다.
제2 차단부(137) 내부에는 충진재가 주입되는 제1 충진공간이 마련되고, 제1 차단부(136)와 제2 차단부(137) 사이에 충진재가 주입되는 제2 충진공간이 마련된다.
제2 충진공간은 도넛 모양으로 마련되어 미리 설정된 경화강도를 갖는 에폭시 충진재(R)가 주입될 수 있다. 즉 제2 충진공간에는 탄성적 성질 또는 신축성이 있는 성질 보다는 시멘트와 같이 미리 설정된 경화강도를 갖는 재료가 충진되어 위치를 잡아주게 되고, 이후 제1 충진공간에 탄성적 혹은 신축성이 있는 재료가 충진되어 복공판(40)의 진동 및 소음을 경감시키게 할 수 있다.
제2 충진공간은 제1 충진공간의 중심에 마련되고, 충진재의 충진 및 양생 후 상기 제1충진공간의 단부의 높이와 인접한 상기 제2 충진공간의 단부의 높이는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나, 현장 여건에 따라 제2 충진공간의 단부의 높이가 제1 충진공간의 단부의 높이 보다 높도록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공용중인 복공판을 해체하거나 차량통행을 방해하지 않고 진동이 심한 복공판을 선별하여 소음 방지장치를 마련할 수 있어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복공판과 주형거더 혹은 복공판과 복공판을 강결할 필요없이 단차 부분에만 충진패드를 삽입할 수 있어 복공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시공속도가 빠르고 소음 및 진동방지에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획일적인 두께로 충진패드를 부착하는 것이 아닌 단차의 크기와 형태에 맞게 충진패드를 마련할 수 있어 맞춤시공이 가능하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단차 방지구조에서, 상부구조는 교량 상부구조물(240)로, 지지부는 교량 받침(220)과 교량 받침(220)에 연결된 솔플레이트(230)로, 하부구조는 교량 하부구조물(210)로 마련된다.
교량 상부구조물(240)과 솔플레이트(230) 사이에 단차가 발생될 때, 단차에 충진패드(110, 120, 130)가 삽입되어 단차를 메울 수 있다. 충진패드(110, 120, 130)에 관한 내용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단차 방지구조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교량의 시공시 솔플레이트(230)는 교량 상부구조물(240)과 교량 받침(220) 사이에 마련되는 것인데, 교량 받침(220)과 교량 상부구조물(240) 사이에 단차가 발생할 경우에는 솔플레이트(230)를 단차에 맞게 가공하여 시공할 수는 있다.
그러나 단차의 크기와 형상에 맞게 솔플레이트(230)를 정확하게 제작하는 것은 불가능하여, 교량 상부구조물(240)과 교량 받침(220) 사이에 단차라 존재하기 마련이어서 장기적인 관점에서 교량의 안전성과 사용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교량 받침과 교량 상부구조물 사이에 단차가 발생할 경우 단차의 형상과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충진패드를 삽입하여 단차를 메울 수 있어 교량의 시공성을 개선하고 교량의 장기적인 구조적 안전성과 사용성을 개선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주형거더
20: 가로형 보강빔
30: 횡방향빔
40: 복공판
50: 복공판 패드
60: 체결부
110: 충진패드
120: 충진패드
130: 충진패드
150: 주입호스
210: 교량 하부구조물
220: 교량 받침
230: 솔플레이트
240: 교량 상부구조물

Claims (10)

  1. 차량이나 사람이 통행할 수 있는 상부구조;
    상기 상부구조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마련된 하부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와 상기 상부구조 사이 또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하부구조 사이에 미리 설정된 간격의 단차가 발생할 경우, 상기 단차에 충진패드가 삽입 후 상기 충진패드에 충진재가 주입되고 양생되어 상기 단차를 메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단차 방지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패드는,
    길이와 폭에 비해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충진재가 충진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내부에 주입된 충진재가 외부로 새지 않도록 마련된 차단부; 및
    상기 본체부에 충진재가 주입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에 마련된 주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단차 방지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본체부의 중심부를 향하여 상기 본체부의 테두리와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며 봉제선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단차 방지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재는 미리 설정된 경화강도를 갖는 에폭시 충진재 또는 탄성적 성질을 갖는 우레탄 충진재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단차 방지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패드는,
    길이와 폭에 비해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충진재가 충진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내부에 주입된 충진재가 외부로 새지 않도록 마련된 제1 차단부;
    상기 제1 차단부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 차단부와 상이한 충진재가 충진되도록 마련된 제2 차단부; 및
    상기 제1 차단부와 상기 제2 차단부의 일단부에 각각 마련된 주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단차 방지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단부 내부에는 충진재가 주입되는 제1 충진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제1 차단부와 상기 제2 차단부 사이에 충진재가 주입되는 제2 충진공간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단차 방지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충진공간에 미리 설정된 경화강도를 갖는 에폭시 충진재가 도넛 모양으로 주입된 후 상기 제1 충진공간에 탄성적 성질을 갖는 우레탄 충진재가 충진되어 양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단차 방지구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충진공간은 상기 제1 충진공간의 중심에 마련되고, 충진재의 충진 및 양생 후 상기 제1 충진공간의 단부의 높이와 인접한 상기 제2 충진공간의 단부의 높이는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단차 방지구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구조는 복공판으로, 상기 지지부는 복공판 패드로, 상기 하부구조는 주형거더로 마련되며,
    상기 복공판과 상기 주형거더의 상부 플랜지 사이 또는 상기 복공판 패드와 상기 주형거더의 상부 플랜지 사이에 단차가 발생될 때 상기 단차에 상기 충진패드가 삽입되어 상기 단차를 메우며,
    상기 충진패드의 상부는 상기 복공판 패드의 하부 또는 상기 복공판의 하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단차 방지구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구조는 교량 상부구조물로, 상기 지지부는 교량 받침에 연결된 솔플레이트로, 상기 하부구조는 교량 하부구조물로 마련되며,
    상기 교량 상부구조물과 상기 솔플레이트 사이에 단차가 발생될 때 상기 단차에 상기 충진패드가 삽입되어 상기 단차를 메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단차 방지구조.
KR1020210024345A 2021-02-23 2021-02-23 구조물 단차 방지구조 KR102495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345A KR102495869B1 (ko) 2021-02-23 2021-02-23 구조물 단차 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345A KR102495869B1 (ko) 2021-02-23 2021-02-23 구조물 단차 방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0346A true KR20220120346A (ko) 2022-08-30
KR102495869B1 KR102495869B1 (ko) 2023-02-06

Family

ID=83114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4345A KR102495869B1 (ko) 2021-02-23 2021-02-23 구조물 단차 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5869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7318A (ja) * 1996-02-15 1997-08-19 Nitta Ind Corp 道路橋における橋桁間段差除去装置
KR20020023018A (ko) * 2000-09-22 2002-03-28 이선구 복합소재 또는 프리캐스트 상판과 지지보와의 연결 방법
KR200373464Y1 (ko) 2004-11-03 2005-01-17 손기원 복공판 이음부용 연결패드
JP2006057256A (ja) * 2004-08-17 2006-03-02 Ps Mitsubishi Construction Co Ltd PCa床版の支承部施工方法
KR20090022502A (ko) * 2007-08-30 2009-03-04 (주)한맥기술 모멘트 재분배를 통한 장경간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거더형 라멘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20100013071A (ko) * 2008-07-30 2010-02-09 장지건 철도노반용 간격 채움구
KR101043191B1 (ko) * 2003-01-16 2011-06-22 알렌 가부시키 가이샤 가변 패드 및 레일 높이 조정 방법
JP2013040439A (ja) * 2011-08-11 2013-02-28 Shinsei Kaihatsu:Kk 建物の持上げ用袋体及び当該袋体を用いた建物の修復方法
KR20150009791A (ko) * 2013-07-17 2015-01-2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무도상 궤도의 노반침하 복원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7318A (ja) * 1996-02-15 1997-08-19 Nitta Ind Corp 道路橋における橋桁間段差除去装置
KR20020023018A (ko) * 2000-09-22 2002-03-28 이선구 복합소재 또는 프리캐스트 상판과 지지보와의 연결 방법
KR101043191B1 (ko) * 2003-01-16 2011-06-22 알렌 가부시키 가이샤 가변 패드 및 레일 높이 조정 방법
JP2006057256A (ja) * 2004-08-17 2006-03-02 Ps Mitsubishi Construction Co Ltd PCa床版の支承部施工方法
KR200373464Y1 (ko) 2004-11-03 2005-01-17 손기원 복공판 이음부용 연결패드
KR20090022502A (ko) * 2007-08-30 2009-03-04 (주)한맥기술 모멘트 재분배를 통한 장경간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거더형 라멘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20100013071A (ko) * 2008-07-30 2010-02-09 장지건 철도노반용 간격 채움구
JP2013040439A (ja) * 2011-08-11 2013-02-28 Shinsei Kaihatsu:Kk 建物の持上げ用袋体及び当該袋体を用いた建物の修復方法
KR20150009791A (ko) * 2013-07-17 2015-01-2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무도상 궤도의 노반침하 복원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5869B1 (ko) 202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21044A1 (zh) 一种预制板式减振轨道结构系统及配套施工方法
JP5220752B2 (ja) レール用弾性支持ブロックアセンブリ
KR20120029625A (ko)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적용한 강합성 거더교 시공방법
US20170058469A1 (en) Joint structure at end of concrete floor slab of bridge
KR20220120346A (ko) 구조물 단차 방지구조
JP2007321419A (ja) 繊維強化補強材料を用いた張出床版の補強方法
JPH08144206A (ja) 枕木軌道の築造方法
JP3102683B2 (ja) 伸縮性ジョイント構造
JP2012149399A (ja) H型鋼を用いたスラブの補強工法
KR20120097636A (ko) 탄성수지 고정방식의 저진동 철도교
KR101983716B1 (ko) 내진보강을 위한 교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JP2005076399A (ja) ジャケット構造体及びジャケット構造体と杭の接合方法
JP2004011226A (ja) 改修パネル
KR100443283B1 (ko) 프리캐스트 상판과 지지보와의 연결 방법
KR100622008B1 (ko) 일체식 교대 교량의 합성구조
JPH0913694A (ja) 既存柱の耐震補強構造
JP2014148813A (ja) 横架部構造
KR101985285B1 (ko) 철도차량용 궤도상판본체의 설치방법
JP2012041708A (ja) 橋梁ジョイント構造
JP5165139B1 (ja) 免震装置の取付方法と取付構造
JP2010261239A (ja) 柱梁接合部の補強構造
JP2004211315A (ja) 枠付き鉄骨ブレースによる耐震補強構造及び補強工法
JP2005282079A (ja) 高架橋の防振構造および施工方法
TW201943925A (zh) 無道碴軌道之修補方法
JP6579902B2 (ja) トンネル補強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