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0128A - Chicken coop with improved usability using solar power - Google Patents

Chicken coop with improved usability using solar pow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0128A
KR20220120128A KR1020210023843A KR20210023843A KR20220120128A KR 20220120128 A KR20220120128 A KR 20220120128A KR 1020210023843 A KR1020210023843 A KR 1020210023843A KR 20210023843 A KR20210023843 A KR 20210023843A KR 20220120128 A KR20220120128 A KR 202201201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cken
swash plate
solar power
c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38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02327B1 (en
Inventor
원종운
박주용
황현택
Original Assignee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23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2327B1/en
Publication of KR20220120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01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2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23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1/00Housing birds
    • A01K31/22Poultry runs ; Poultry houses, including auxiliary features, e.g. feeding, watering, demanur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1/00Housing birds
    • A01K31/002Poultry cages, e.g. transport boxes
    • A01K31/005Battery breeding cages, with or without auxiliary features, e.g. feeding, watering, demanuring, heating, venti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50Livestock or poultry management
    • Y02P60/52Livestock or poultry management use of renewable energi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icken coop with improved usability using solar power generation, which not only greatly improves the ease of ventilation and cleaning of the chicken coop, but also can greatly improve the beauty of appearance. The chicken coop with improved usability using solar power generation comprises: a solar cell module; a chicken cage; a lower cover; a transfer screw; a chicken manure accommodating unit; and a driving unit.

Description

태양발전을 이용한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닭장{Chicken coop with improved usability using solar power}Chicken coop with improved usability using solar power

본 발명은 닭케이지의 통풍의 용이성 및 청소의 용이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관의 미려함 또한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태양발전을 이용한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닭장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icken coop with improved convenience of use using solar power, which can greatly improve the easiness of ventilation and cleaning of the chicken cage as well as the aesthetics of the appearance.

일반적으로, 집에서 기르는 날짐승을 가금(家禽)이라 하며, 오리, 닭, 거위 등이 이에 해당된다.In general, domestic poultry is called poultry, and includes ducks, chickens, geese, and the like.

이와 같은 오리, 닭, 거위 등의 가금은 통상적으로 함석이나 합판 같은 재료로 만들어진 울타리 안에서 사육되어지고, 배설물의 청소가 용이하도록 그 바닥이 콘크리트로 포장된다.Such poultry, such as ducks, chickens, and geese, is usually raised in a fence made of materials such as tin or plywood, and the floor is paved with concrete to facilitate cleaning of excrement.

그러나, 이러한 종래 사육장은 함석이나 합판 등의 울타리로 인하여 통풍이 어렵고, 배설물이 콘크리트 바닥에 달라붙어 청소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se conventional breeding grounds have problems in that ventilation is difficult due to a fence made of tin or plywood, and the excrement is not easy to clean because the excrement sticks to the concrete floor.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통풍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배설물의 처리가 용이하여 항상 청결한 상태로 사유갈 수 있도록 한 가금류 사육장이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861446호로 제안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recently, a poultry breeding facility that not only provides easy ventilation but also facilitates disposal of excrement so that it can be kept clean at all times has been proposed as Domestic Registration Patent Publication No. 10-0861446.

그러나, 상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861446호의 경우, 사육장의 바닥면과 측벽 모두를 그물망으로 형성하여 통풍의 용이성이 향상 및 배설물 처리 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오리, 닭, 거위 등의 가금류를 사육하는 과정 중에 상기 그물망에 오리, 닭, 거위 등의 가금류의 털이 끼어 상기 그물망의 외관의 미려함이 저하 및 상기 그물망의 청소용이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861446, both the bottom and side walls of the breeding house are formed with a net to improve ventilation and ease of excreta disposal, but ducks, chickens, geese, etc. During the process of breeding of poultry, the hairs of poultry such as ducks, chickens, and geese are caught in the net,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esthetics of the appearance of the net is lowered and the ease of cleaning of the net is lowered.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861446호Domestic Patent Publication No. 10-0861446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닭케이지의 통풍의 용이성 및 청소의 용이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관의 미려함 또한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태양발전을 이용한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닭장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the convenience of use using solar power generation that can greatly improve the easiness of ventilation and cleaning of the chicken cage as well as the aesthetics of the appearance can be greatly improved. Its purpose is to provid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태양전지모듈과; 상기 태양전지모듈이 상부에 구비되고, 계분이 통과가능한 바닥판을 포함하는 닭케이지와; 상기 닭케이지의 바닥판을 통해 낙하되는 계분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상측으로 개방형성되는 하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의 수용홈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이송스크류와; 상기 하부커버의 타측부에 배치되는 계분수용부와; 상기 태양전지모듈로부터 발전된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이송스크류를 회전시켜 상기 하부커버의 수용홈에 수용되는 계분을 상기 계분수용부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발전을 이용한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닭장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olar cell module; a chicken cage provided on the solar cell module and including a bottom plate through which chicken meat can pass; a lower cover in which a receiving groove for accommodating chicken meal falling through the bottom plate of the chicken cage is opened upwardly; a transfer screw disposed in the receiving groove of the lower cov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fertilization accommodating part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lower cover; Using solar pow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riving unit for receiving the power generated from the solar cell module and rotating the transfer screw to transfer the manur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of the lower cover in the direction of the manure receiving unit; It relates to a chicken coop with improved convenience.

여기서, 상기 닭케이지의 상부에 상기 태양전지모듈을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하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측에 축결합되며,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후측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후측 사이에 상기 태양전지모듈과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a support frame for supporting the solar cell module at a predetermined height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hicken cage, and a lower portion of the solar cell module is shaft-coupled to the front side of the support frame, and the rear side of the solar cell module and the It is preferable that an angle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an angle between the solar cell module and the support frame is provided between the rear side of the support frame.

그리고, 상기 닭케이지의 상부에 상기 지지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it is preferable that a height adjustment unit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upport frame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hicken cage.

또한, 상기 닭케이지의 하부에 경사판부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커버는 상기 경사판부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wash plate portion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hicken cage, and the lower cover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swash plate portion.

나아가,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이송스크류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계분수용부에 수용된 계분을 교반하는 교반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it is preferable that a stirring unit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conveying screw rotated by the driving unit and stirring the chicken meal received in the chicken component receiving unit; is provided.

더불어, 상기 닭케이지 내부의 닭에게 사료를 공급하는 사료공급부와; 상기 닭케이지 내부의 닭에게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feed supply unit for supplying feed to the chickens inside the chicken cage; It is preferable that a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water to the chickens inside the chicken cage is provided.

아울러, 상기 닭케이지의 전면부는 투명창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ront portion of the chicken cage is preferably made of a transparent window.

또는, 상기 닭케이지의 전측에 투명창과; 상기 투명창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망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r, a transparent window on the front side of the chicken cage; It is preferable that a mesh member position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transparent window is provided.

또는, 상기 닭케이지의 전면부 상부에 개방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구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닭케이지의 전면부는 투명창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lternatively, it is preferable that an opening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portion of the chicken cage, and the front portion of the chicken cage locat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opening is made of a transparent window.

여기서, 상기 개방구에 망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a mesh member is provided in the opening.

그리고, 상기 닭케이지의 투명창의 하부는 상기 닭케이지의 바닥판 전측에 축결합되고, 상기 투명창의 상부는 상기 닭케이지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위치조절된 상태로 위치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transparent window of the chicken cage is shaft-coupled to the front side of the bottom plate of the chicken cage,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transparent window is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hicken cage to be positioned in a controlled state.

또한, 상기 닭케이지의 내부에 산란하우스가 형성되고, 상기 산란하우스의 전측에 산란하고자 하는 닭이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산란하우스의 후측방향의 상기 닭케이지의 후면부에 상기 산란하우스를 개폐하는 도어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spawning house is formed in the inside of the chicken cage,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chicken to be spawned passes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spawning house, and the spawning house is opened and closed on the rear part of the chicken cage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spawning house It is preferable that a door is provided.

그리고, 상기 경사판부의 내측면에 상기 경사판부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왕복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경사판부의 내측면을 청소하는 청소부재와, 상기 청소부재를 좌우왕복이동시키는 이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청소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a cleaning member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wash plate part to be reciprocally movable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of the swash plate part to clean the inner surface of the swash plate part, and a moving member for moving the cleaning member left and right. It is preferable that a cleaning unit is provided.

여기서, 상기 청소부의 청소부재는 상기 경사판부의 상하방향으로 연장 및 상기 경사판부를 따라 경사진 상태로 상기 경사판부의 내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경사판부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왕복이동하는 이동바와; 상기 경사판부의 내측면과 마주보는 상기 이동바의 외주면에 구비되고, 상기 이동바를 따라 좌우왕복이동하여 상기 경사판부의 내측면을 청소하는 브러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청소부의 이동부재는 상기 경사판부의 내측면 상부에 상기 경사판부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된 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이동바의 상부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상기 청소부재를 좌우왕복이동시키는 트래버스가이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cleaning member of the cleaning unit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wash plate portion in an inclined state along the swash plate portion an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wash plate portion, and a moving bar that reciprocates left and right from one side of the swash plate portion to the other side; a brush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ving bar opposit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wash plate part, and reciprocally moved left and right along the moving bar to clean the inner surface of the swash plate part; It is provided in a state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swash plate part to the other side by a certain length on the upper inner surface, and rotates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part in a state coupled with the upper part of the moving bar to move the cleaning member left and right It is preferable to consist of a traverse guide.

또한, 상기 이동바의 하부에 웨이트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weight is provided under the moving bar.

여기서, 상기 웨이트는 상기 이동바의 하부에 축결합되는 롤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weight is preferably made of a roller shaft-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oving bar.

본 발명은 태양전지모듈로부터 발전된 전력을 공급받는 구동부가 회전시키는 이송스크류를 통해 닭케이지의 바닥판을 통과하여 하부커버의 수용홈에 수용된 계분을 계분 수용부로 이송할 수 있어 청소의 용이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망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바닥판 및 상기 닭케이지의 전측에 구비되는 망부재로 인해 통풍의 용이성 또한 크게 향상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닭케이지의 전측에 구비된 투명창의 상부를 하부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망부재에 끼인 닭 등의 가금류의 털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어 상기 닭케이지의 전측에 구비된 망부재의 외관의 미려함이 더욱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hicken manur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of the lower cover can be transferred to the chicken manure accommodating unit through the bottom plate of the chicken cage through the transfer screw rotated by the driving unit receiving power generated from the solar cell module,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ease of cleaning. The ease of ventilation can also be greatly improved due to the mesh member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bottom plate and the chicken cage, which can be made of a mesh member, and furthermore, the upper part of the transparent window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chicken cage It is possible to easily remove the fur of poultry, such as chicken, caught in the mesh member in a state in which the mesh member is rotated in the lower direction, so that the aesthetics of the mesh member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chicken cage can be further improved. hav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태양발전을 이용한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닭장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절개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일부절개측면도이고,
도 4는 계분수용부방향으로 계분이 이송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정면도이고,
도 5는 닭케이지의 일예의 전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측면도이고,
도 6은 닭케이지의 다른예의 전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측면도이고,
도 7은 닭케이지의 또 다른예의 전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일부절개측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투명창의 상부가 닭케이지의 하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위치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2는 산란하우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3은 경사판부의 내측면에 청소부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일부분리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3의 평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이동바의 하부에 웨이트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3의 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hicken coop with improved ease of use using solar power gen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ly cut-away front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 partially cut-away side view of Figure 1,
4 is a partially cut-away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chicken meat is transferred in the direction of the chicken fraction receiving unit;
5 is a partially cut-away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front part of an example of a chicken cage,
6 is a partially cut-away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front part of another example of a chicken cag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front part of another example of a chicken cage,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ation of Figure 7,
9 and 10 are partially cut-away side views of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part of the transparent window of FIG. 10 is rotat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chicken cage to adjust the posi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 - A of FIG. 1 schematically showing a scattering house;
1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cleaning unit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wash plate unit;
Fig. 14 is a partial lisa perspective view of Fig. 13;
15 is a plan view of FIG. 13;
16 is a side view of FIG. 13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weight is provided under the moving bar of FIG. 15 .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cour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태양발전을 이용한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닭장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절개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일부절개측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hicken coop with improved usability using solar power gen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artially cut-away front view of FIG. 1, and FIG. 3 is a partially cut-away side view of FIG.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닭장은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태양전지모듈(5), 닭케이지(10), 하부커버(30), 이송스크류(40), 계분수용부(50) 및 구동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1 to 3 , the chicken coop with improved ease of use,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 with a solar cell module 5 , a chicken cage 10 , a lower cover 30 , a transfer screw 40 , and a chicken coop. It comprises a unit 50 and a driving unit 60 .

먼저, 상기 태양전지모듈(5)은 태양광을 집광 또는 태양열을 집열하여 발전하게 된다.First, the solar cell module 5 generates power by concentrating sunlight or collecting solar heat.

다음으로, 상기 닭케이지(10)의 상부는 개방될 수 있으며, 상기 닭케이지(10)의 하부 각 모서리에는 상기 닭케이지(10)를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다리(101)가 각각 수직형성될 수 있다.Next, the upper portion of the chicken cage 10 may be opened, and at each lower corner of the chicken cage 10, the support legs 101 for supporting the chicken cage 10 at a certain height are vertically formed. can

상기 닭케이지(10)의 내부에는 닭이 사육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오리,거위 등 다양한 종류의 가금류가 사육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Chickens are bred in the inside of the chicken cage 10, but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various types of poultry such as ducks and geese may be bred of course.

상기 닭케이지(10)의 바닥판(110)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그물망 등의 망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bottom plate 110 of the chicken cage 10 may be made of a mesh member such as a mesh that can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metal or synthetic resin material.

상기 닭케이지(10)의 내부에 사육되는 닭의 계분은 망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바닥판(110)을 통과하여 상기 닭케이지(10)의 하부방향으로 자중에 의해 낙하할 수 있다.Chicken manure raised inside the chicken cage 10 may pass through the bottom plate 110 which may be made of a mesh member and may fall under its own weight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chicken cage 10 .

여기서, 상기 닭케이지(10)의 상부에 상기 태양전지모듈(5)을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프레임(6);이 구비될 수 있다.Here, a support frame (6) for supporting the solar cell module (5)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hicken cage (10); may be provided.

그리고,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태양전지모듈(5)의 후측과 상기 지지프레임(6)의 후측 사이에 상기 태양전지모듈(5)과 상기 지지프레임(6) 사이의 상하각도(α)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7);가 구비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 3, between the rear side of the solar cell module 5 and the rear side of the support frame 6, the vertical angle α between the solar cell module 5 and the support frame 6 is An angle adjusting unit 7 to adjust; may be provided.

상기 각도조절부(7)는 일예로, 상기 태양전지모듈(5)의 후측과 상기 지지프레임(6)의 후측 사이에 구비되는 각도조절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angle adjusting unit 7 may be, for example, an angle adjusting rod provided between the rear side of the solar cell module 5 and the rear side of the support frame 6 .

상기 각도조절부(7)를 이룰 수 있는 각도조절봉의 상부는 상기 태양전지모듈(5)의 후측 하부 중간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The upper part of the angle adjusting rod that can form the angle adjusting part 7 may be shaft-coupled to the lower middle part of the rear side of the solar cell module 5 .

상기 각도조절부(7)를 이룰 수 있는 각도조절봉의 하부는 상기 지지프레임(6)의 후측 중간부에 형성되는 관통구(61)내에 끼움고정 또는 접합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된 고무재질 등의 탄성몸체(611)를 관통할 수 있다.The lower part of the angle adjustment rod that can form the angle adjustment part 7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fixed in various ways such as fitting or bonding fixation in the through hole 61 formed in the middle part of the rear side of the support frame 6, etc. It may penetrate the elastic body 611 .

상기 탄성몸체(611)의 내측에는 상기 각도조절부(7)를 이룰 수 있는 각도조절봉의 하부가 관통하는 관통공(611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공(611a)의 내주면이 상기 각도조절부(7)를 이룰 수 있는 각도조절봉의 하부 외주면에 탄성력에 의해 밀착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관통공(611a)의 내경크기는 상기 각도조절부(7)를 이룰 수 있는 각도조절봉의 외경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A through hole 611a through which the lower part of the angle adjustment rod that can form the angle adjustment part 7 passes may be formed inside the elastic body 611,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611a is the angle adjustment The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611a is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angle adjusting rod that can form the angle adjusting part 7 so that it can be tightly fixed to the low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ngle adjusting rod that can form the part 7 by elastic force. can be formed.

이 밖에도 상기 각도조절부(7)는 다른예로서, 상기 태양전지모듈(5)의 후측과 상기 지지프레임(6)의 후측 사이에 구비되는 턴버클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angle adjusting unit 7 may be formed of various types such as a turnbuckle provided between the rear side of the solar cell module 5 and the rear side of the support frame 6 as another example.

또한, 상기 닭케이지(10)의 상부에 상기 지지프레임(6)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8)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height adjustment unit 8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upport frame 6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hicken cage 10 .

상기 높이조절부(8)는 일예로, 고정프레임(81), 고정관체(82), 상하이동관체(83) 및 위치고정부재(84)로 구성될 수 있다.The height adjustment unit 8 may be composed of, for example, a fixed frame 81 , a fixed tube body 82 , a vertical moving tube body 83 , and a position fixing member 84 .

상기 고정프레임(81)은 상기 닭케이지(10)의 상부 중심부에 수평상태로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The fixing frame 81 may be fixed to the upper center of the chicken cage 10 in various ways such as horizontally bolted.

상기 고정관체(82)는 상기 고정프레임(81)의 중심부에 수직형성될 수 있다.The fixed tube body 82 may be vertically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ixed frame 81 .

상기 상하이동관체(83)는 상기 고정관체(82)의 내부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The vertical moving tube body 83 may be provided to be vertically movable inside the fixed tube body 82 .

상기 상하이동관체(83)의 상부는 상기 지지프레임(6)의 하부 중심부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moving tube body 83 may be fixed to the lower cent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6 in various ways, such as bolt fixing.

상기 위치고정부재(84)는 일예로, 상기 고정관체(82)의 전측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상하이동관체(83)의 외주면에 밀착고정되는 볼트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position fixing member 84 may be, for example, a bolt member screwed to the front side of the fixed tube body 82 and closely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ertical moving tube body 83 .

상기 위치고정부재(84)를 이룰 수 있는 볼트부재를 관리자 등이 보다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볼트부재의 전측에 손잡이축(841)이 상기 볼트부재와 직교를 이룬 상태로 수평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enable a manager or the like to more easily rotate the bolt member that can form the position fixing member 84, the handle shaft 841 is horizontally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bolt member in a state perpendicular to the bolt member. can be

그리고, 상기 닭케이지(10)의 바닥판(11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닭케이지(10)의 하부에 경사판부(20)가 설치될 수 있다.And, the swash plate part 20 may be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chicken cage 10 so as to be locat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bottom plate 110 of the chicken cage 10 .

상기 경사판부(20)는 일예로, 전측경사판(210)과 후측경사판(220)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swash plate unit 20 may include, for example, a front swash plate 210 and a rear swash plate 220 .

상기 전측경사판(210)은 상기 닭케이지(10)의 하부 전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전측경사판(210)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전측경사판(210)은 상기 닭케이지(10)의 전측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질 수 있다.The front swash plate 210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front side of the chicken cage 10 , and as it goes from the lower part of the front swash plate 210 to the upper direction, the front swash plate 210 is the front side of the chicken cage 10 . It can be inclined upward in the upward direction.

상기 후측경사판(220)은 상기 닭케이지(10)의 하부 후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후측경사판(220)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후측경사판(220)은 상기 닭케이지(10)의 후측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질 수 있다.The rear swash plate 220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rear side of the chicken cage 10 , and as it goes from the lower part of the rear swash plate 220 to the upper direction, the rear swash plate 220 is the rear side of the chicken cage 10 . It can be inclined upward in the upward direction.

다음으로, 상기 하부커버(30)의 전측 상부가 상기 전측경사판(210)의 하단부에 일체연결 또는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고정 및 상기 하부커버(30)의 후측 상부가 상기 후측경사판(220)의 하단부에 일체연결 또는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고정된 상태로 상기 경사판부(20)의 하단부에 상기 하부커버(30)가 설치될 수 있다.Next, the upper part of the front side of the lower cover 30 is connected and fixed in various ways such a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ront swash plate 210 or fixed with bolts, and the upper part of the rear side of the lower cover 30 is the rear swash plate 220 . The lower cover 30 may be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swash plate part 20 in a state where it is connected and fixed in various ways, such a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 or fixed by bolts.

상기 하부커버(30)의 내측에는 수용홈(310)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수용홈(310)의 상측은 개방형성될 수 있다.An accommodating groove 310 may be formed inside the lower cover 30 , and an upper side of the accommodating groove 310 may be opened.

상기 닭케이지(10)의 바닥판(110)을 통해 낙하되는 계분은 상기 경사판부(20)에 의해 상기 하부커버(30)의 수용홈(310) 방향으로 안내되어 상기 수용홈(310)내에 수용될 수 있다.Chicken manure falling through the bottom plate 110 of the chicken cage 10 is guided in the direction of the receiving groove 310 of the lower cover 30 by the swash plate part 20 and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310 . can be

다음으로, 상기 이송스크류(40)는 상기 하부커버(30)의 수용홈(310)에 길이방향, 즉, 상기 수용홈(3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수평배치될 수 있다.Next, the transfer screw 40 may be horizontally disposed in the receiving groove 310 of the lower cover 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from one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310 to the other side.

다음으로, 상기 계분수용부(50)는 상기 하부커버(30)의 타측부 하부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Next, the fraction accommodating part 50 may be dispos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lower cover 30 .

상기 계분수용부(50)는 상부가 개방된 사각함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raction accommodating part 5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square box shape with an open top.

다음으로, 상기 구동부(60)는 상기 이송스크류(40)의 일측과 결합되어 상기 하부커버(30)의 일측부에 수평형성되는 지지판(320)의 상부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안착고정될 수 있는 구동모터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Next, the driving unit 6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transfer screw 40 to be seated and fix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320 horizont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cover 30 in various ways, such as bolt fixing. It can be made of various types, such as a driving motor with

도 4는 계분수용부방향으로 계분이 이송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정면도이다.4 is a partially cut-away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chicken powder is transported in the direction of the chicken fraction accommodating part.

상기 구동부(60)는 상기 태양전지모듈(5)로부터 발전된 전력이 축전되는 축전지(미도시)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이송스크류(40)를 회전시켜 상기 하부커버(30)의 수용홈(310)에 수용되는 계분(3)을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계분수용부(50)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The driving unit 60 receives power from a storage battery (not shown) in which the electric power generated from the solar cell module 5 is stored and rotates the transfer screw 40 to receive the lower cover 30 accommodating groove 310 . As shown in FIG. 4 , the chicken manure 3 accommodated in the cage may be transferred in the direction of the chicken manure accommodating part 50 .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닭케이지(10)의 바닥판(110)을 통과한 계분(3)이 상기 경사판부(20)에 의해 상기 하부커버(30)의 수용홈(310)에 수용된 후 상기 태양전지모듈(5)로부터 발전된 전력을 공급받는 상기 구동부(60)가 회전시키는 상기 이송스크류(40)의해 상기 계분수용부(50)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어 청소의 용이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fter the chicken manure 3 passing through the bottom plate 110 of the chicken cage 10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310 of the lower cover 30 by the swash plate part 20, the sun Since the driving unit 60 receiving power generated from the battery module 5 can be transferred in the direction of the fertilization receiving unit 50 by the rotating transfer screw 40, the ease of cleaning can be greatly improved.

다음으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60)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이송스크류(4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계분수용부(50)에 수용된 계분(3)의 퇴비화를 위해 상기 계분(3)을 교반하는 교반부(70)가 구비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4 , the chicken manure 3 for composting the chicken manure 3 accommodated in the manure accommodating part 50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transfer screw 40 rotated by the driving unit 60 . ) may be provided with a stirring unit 70 for stirring.

상기 교반부(70)는 일예로, 베벨기어(710), 회전축(720), 교반날개(730) 및 기어박스(7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stirring unit 70 may include, for example, a bevel gear 710 , a rotation shaft 720 , a stirring blade 730 , and a gear box 740 .

상기 베벨기어(710)는 일측베벨기어(711)와 하부베벨기어(712)로 구성될 수 있다.The bevel gear 710 may include one side bevel gear 711 and a lower bevel gear 712 .

상기 일측베벨기어(711)는 상기 이송스크류(4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스크류(40)를 따라 회전될 수 있다.The one-side bevel gear 711 may be coupled to one side of the transfer screw 40 and rotate along the transfer screw 40 .

상기 하부베벨기어(712)는 상기 일측베벨기어(711)와 직교를 이루도록 상기 일측베벨기어(711)의 하부에 치합되어 상기 일측베벨기어(711)를 통해 상기 이송스크류(4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다.The lower bevel gear 712 is meshed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one-side bevel gear 711 so as to be orthogonal to the one-side bevel gear 711 and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transfer screw 40 through the one-side bevel gear 711 . can be received and rotated.

상기 회전축(720)의 상부에 상기 하부베벨기어(712)가 결합될 수 있다.The lower bevel gear 712 may b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tion shaft 720 .

상기 회전축(720)은 상기 하부베벨기어(712)를 따라 회전될 수 있다.The rotation shaft 720 may rotate along the lower bevel gear 712 .

상기 교반날개(730)는 상기 회전축(720)의 하부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수평형성되어 상기 회전축(720)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계분수용부(50)에 수용된 계분(3)을 교반할 수 있다.The stirring blades 730 are horizontally formed at equal intervals on the low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tation shaft 720 and rotate along the rotation shaft 720 to stir the chicken meat 3 accommodated in the chicken fraction accommodating part 50 .

상기 기어박스(740)는 상기 이송스크류(40)의 일측과 상기 회전축(720)의 상부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The gearbox 740 may be provided between one side of the transfer screw 40 and an upper portion of the rotation shaft 720 .

상기 기어박스(740)의 내부 일측에 상기 일측베벨기어(711)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기어박스(740)의 내부 하측에 상기 하부베벨기어(712)가 구비될 수 있다.The one-side bevel gear 711 may be provided on one inner side of the gearbox 740 , and the lower bevel gear 712 may be provided on an inner lower side of the gearbox 740 .

상기 기어박스(740)로 인해 상기 계분수용부(50)내로 이송되는 계분(3)이 상기 베벨기어(710)로 유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Due to the gear box 740 , it is possible to easily prevent the chicken manure 3 transferred into the manure accommodating part 50 from flowing into the bevel gear 710 .

다음으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닭케이지(10)의 내부 타측에는 상기 닭케이지(10) 내부의 닭에게 사료를 공급하기 위한 사료공급부(80)와; 상기 닭케이지(10)의 내부의 닭에게 물을 공급하는 니플식 급수기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물공급부(9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사료공급부(80) 및 물공급부(90)는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9-0089467호 등을 통해 널리 공지된 사항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Next, as shown in Fig. 4, the other side of the inside of the chicken cage 10, the chicken cage 10 and a feed supply unit 80 for supplying feed to the inside of the chicken; A water supply unit 90 that can be made of various types such as a nipple waterer for supplying water to the chickens inside the chicken cage 10 may be provided, and such a feed supply unit 80 and water supply unit 90 are Since it is a matter widely known through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9-0089467,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below.

도 5는 닭케이지의 일예의 전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측면도이다.5 is a partially cut-away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front part of an example of a chicken cage.

다음으로, 상기 닭케이지(10)의 내부에 사육되는 닭의 사육 상태를 육안으로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일예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닭케이지(10)의 전면부 전체는 투명창(1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Next, in order to make it easier to check the breeding state of the chickens raised inside the chicken cage 10 with the naked ey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 the entire front part of the chicken cage 10 is transparent. It may be made of a window 120 .

도 6은 닭케이지의 다른예의 전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측면도이다.6 is a partially cut-away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front part of another example of a chicken cage.

또는, 다른예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닭케이지(10)의 전측에 상기 투명창(120)이 구비되고, 상기 투명창(120)의 상부방향에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그물망 등의 망부재(130)가 구비될 수 있다.Alternatively, 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6 , the transparent window 120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chicken cage 10 , and the upper direction of the transparent window 120 is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metal or synthetic resin material. A mesh member 130 such as a net that can be provided may be provided.

망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닭케이지(10)의 바닥판(110) 및 상기 닭케이지(10)의 전측에 구비되는 상기 망부재(130)로 인해 통풍의 용이성 또한 크게 향상될 수 있게 된다.Due to the bottom plate 110 of the chicken cage 10, which may be made of a mesh member, and the mesh member 130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chicken cage 10, the ease of ventilation can also be greatly improved.

도 7은 닭케이지의 또 다른예의 전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결합사시도이다.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ront part of another example of a chicken cage, and FIG. 8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FIG.

또 다른예로,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닭케이지(10)의 전면부 상부에 개방구(140)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개방구(14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닭케이지(10)의 전면부는 상기 투명창(1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n opening 140 may b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portion of the chicken cage 10 as shown in FIGS. 7 and 8 , and the chicken locat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opening 140 . The front portion of the cage 10 may be formed of the transparent window 120 .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일부절개측면도이다.9 and 10 are partially cut-away side views of FIG.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투명창(120)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개방구(140)로 인해 통풍의 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겠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방구(140)를 통해 곤충 등의 이물질이 상기 닭케이지(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개방구(140)에 상기 망부재(130)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As shown in FIG. 9 , the ease of ventilation may be improved due to the opening 140 locat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transparent window 120 . In order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chicken cage 10, it is preferable that the mesh member 130 is provided in the opening 140 as shown in FIG.

도 11은 도 10의 투명창의 상부가 닭케이지의 하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위치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portion of the transparent window of FIG. 10 is rotat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chicken cage to adjust the position.

그리고, 상기 닭케이지(10)의 투명창(120)의 하부는 상기 닭케이지(10)의 바닥판(110) 전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transparent window 120 of the chicken cage 10 may be shaft-coupled to the front side of the bottom plate 110 of the chicken cage 10 .

상기 투명창(120)의 일측과 타측에는 상기 닭케이지(10)의 내면 일측 및 내면 타측과 접하는 일측판(121) 및 타측판(122)이 형성될 수 있다.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transparent window 120, one side plate 121 and the other side plate 122 in contact with the inner side and the other inner side of the chicken cage 10 may be formed.

상기 투명창(120)의 상부는 관리자 등에 의해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닭케이지(10)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위치조절된 상태로 위치고정부재(100)에 의해 위치고정될 수 있다.The upper portion of the transparent window 120 may be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hicken cage 10 and fixed by the position fixing member 100 in a position adjusted state by an administrator or the like, as shown in FIG. 11 .

상기 투명창(120)의 상부의 상하회전각도조절용이성을 위해, 상기 투명창(120)의 일측판(121)의 상부 및 타측판(122)에는 상기 투명창(120)의 상부방향으로 볼록한 호형상의 가이드슬릿(123)이 각각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위치고정부재(100)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볼트(100a)와 너트(100b)로 구성될 수 있다.For ease of adjusting the vertical rotation angl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transparent window 120 , the upper portion and the other side plate 122 of the one side plate 121 of the transparent window 120 have arcs convex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transparent window 120 . A guide slit 123 of a shape may be formed, respectively, and the position fixing member 100 may be composed of a fixing bolt 100a and a nut 100b as shown in FIG. 7 .

상기 고정볼트(100a)는 상기 닭케이지(10)의 일측과 타측 및 상기 가이드슬릿(123)을 순차적으로 수평관통할 수 있다.The fixing bolt 100a may horizontally penetrat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chicken cage 10 and the guide slit 123 sequentially.

상기 너트(100b)는 상기 고정볼트(100a)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일측판(121)의 내측면 및 상기 타측판(122)의 내측면에 밀착고정될 수 있다.The nut 100b may be screwed to the fixing bolt 100a to be closely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ne side plate 12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other side plate 122 .

관리자 등은 상기 닭케이지(10)의 전측에 구비된 상기 투명창(120)의 상부를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닭케이지(10)의 전측 하부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망부재(130)에 끼인 닭 등의 가금류의 털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어 상기 닭케이지(10)의 전측에 구비된 상기 망부재(130)의 외관의 미려함이 더욱 크게 향상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11 , the upper part of the transparent window 120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chicken cage 10 is rotated and mov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front side of the chicken cage 10, and the mesh member 130 ) It is possible to easily remove the hair of poultry, such as a chicken, caught in the chicken cage 10, the aesthetics of the appearance of the mesh member 130 provided on the front side can be further improved.

도 12는 산란하우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 - A of FIG. 1 schematically showing a scattering house.

다음으로, 도 1 및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닭케이지(10)의 내부 일측에는 닭의 산란을 위한 산란하우스(200)가 형성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S. 1 and 12 , a spawning house 200 for spawning chickens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chicken cage 10 .

상기 산란하우스(200)의 전측에는 1개 또는 복수의 관통공(201)이 상기 산란하우스(20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One or a plurality of through-holes 201 may be formed in the front side of the scattering house 200 in a direction from one side of the scattering house 200 to the other at regular intervals.

상기 닭케이지(10) 내부의 닭은 산란을 위해 상기 관통공(201)을 통과하여 상기 산란하우스(200)이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The chickens inside the chicken cage 10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201 for spawning so that the spawning house 200 can move inside.

상기 산란하우스(200)의 후측방향의 상기 닭케이지(10)의 후면부 일측에 관통구(202)가 형성될 수 있다.A through hole 202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rear portion of the chicken cage 10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spawning house 200 .

상기 닭케이지(10)의 후면부 일측에는 상기 산란하우스(200)의 후측방향에 위치한 상기 관통구(202)를 개폐하는 도어(300)가 구비될 수 있다.A door 30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through hole 202 located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spawning house 20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ear part of the chicken cage 10 .

일예로, 상기 도어(300)의 타측이 상기 관통구(202)의 타측 주변의 상기 닭케이지(10)의 후면부 부위에 축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300)의 일측은 관리자 등에 의해 상기 닭케이지(10)의 후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관통구(202)를 개방 및 상기 닭케이지(10)의 전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관통구(202)를 폐쇄한 상태로 공지된 잠금수단에 위해 잠금고정될 수 있다.For example, in a state in which the other side of the door 300 is shaft-coupl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chicken cage 10 around the other side of the through hole 202, one side of the door 300 is installed by an administrator or the like. (10) to open the through hole 202 by rotating in the rear direction, and by rotating the through hole 202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chicken cage 10 to close the through hole 202 and lock it for a known locking means. can be fixed.

도 13은 경사판부의 내측면에 청소부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일부분리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3의 평면도이다.1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cleaning unit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wash plate part, FIG. 14 is a partial lisa perspective view of FIG. 13 , and FIG. 15 is a plan view of FIG. 13 .

다음으로, 상기 경사판부(20)의 내측면에는 점성에 의해 일부 계분(3)이 부착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상기 경사판부(20)의 내측면에 부착된 일부 계분(3)을 상기 경사판부(20)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청소부(400)가 구비될 수 있다.Next, some chicken parts 3 may be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wash plate part 20 by viscosity. In this way, the swash plate part ( 20) may be provided with a cleaning unit 400 for removal from.

상기 청소부(400)는 일예로, 도 13 내지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예로, 청소부재(410)와 이동부재(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cleaning unit 4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for example, a cleaning member 410 and a moving member 420 as shown in FIGS. 13 to 15 .

상기 청소부재(410)는 상기 경사판부(20)의 내측면에 상기 경사판부(2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왕복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경사판부(20)의 내측면에 부착된 일부 계분(3)을 제거하면서 청소할 수 있다.The cleaning member 410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wash plate part 20 to be movable left and right reciprocally from one side of the swash plate part 20 to the other side, and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wash plate part 20. It can be cleaned while removing (3).

상기 청소부재(410)는 이동바(411)와 브러쉬(4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cleaning member 410 may include a moving bar 411 and a brush 412 .

상기 이동바(411)는 상기 경사판부(2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 및 상기 경사판부(20)를 따라 경사진 상태로 상기 경사판부(20)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경사판부(2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왕복이동할 수 있다.The moving bar 411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wash plate part 20 in a state of extending for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wash plate part 20 and inclined along the swash plate part 20, and the swash plate part ( 20) can be moved left and right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상기 브러쉬(412)는 상기 경사판부(20)의 내측면과 마주보는 상기 이동바(411)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바(411)를 따라 좌우왕복이동하면서 상기 경사판부(20)의 내측면에 부착된 일부 계분(3)을 제거하면서 청소할 수 있다.The brush 412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ving bar 411 facing the inner surface of the swash plate part 20 and moves left and right along the moving bar 411 while reciproca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swash plate part 20 . It can be cleaned while removing some chicken manure (3) attached to it.

상기 브러쉬(412)는 상기 경사판부(20)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겠으나, 상기 경사판부(20)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기 브러쉬(412)가 상기 이동바(411)를 따라 좌우왕복이동하는 과정 중에 소음이 발생될 우려가 다분함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바(411)의 외주면에서 상기 경사판부(20)의 내측면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상기 브러쉬(412)의 연장길이는 상기 브러쉬(412)가 상기 경사판부(20)의 내측면에 밀착되지 않으면서 상기 경사판부(20)에 부착된 일부 계분(3)과는 접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연장되는 것이 좋다.The brush 412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wash plate part 20 , but the brush 412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wash plate part 20 reciprocates left and right along the moving bar 411 . Sinc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noise may be generated during the moving process, preferably, the extension length of the brush 412 extending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oving bar 411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wash plate part 20 for a certain length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brush 412 extends to a length enough to be in contact with the part of the chicken 3 attached to the swash plate part 20 without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wash plate part 20 .

상기 이동부재(420)는 상기 청소부재(410)를 좌우왕복이동시키는 트래버스가이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moving member 420 may be made of a traverse guide for moving the cleaning member 410 left and right reciprocally.

상기 이동부재(420)는 전측트래버스가이드(421)와 후측트래버스가이드(422)로 구성될 수 있다.The moving member 420 may include a front traverse guide 421 and a rear traverse guide 422 .

상기 전측트래버스가이드(421)는 상기 경사판부(20)의 전측경사판(210)의 내측면 상부에 상기 경사판부(20)의 전측경사판(210)의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The front traverse guide 421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front swash plate 210 of the swash plate part 20 to the other side by a predetermined length on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front swash plate 210 of the swash plate part 20. can be provided with

상기 전측트래버스가이드(421)의 일측과 타측은 각각 상기 전측경사판(210)의 내측면 상부 일측과 내측면 상부 타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베어링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front traverse guide 421 may be respectively rotatably coupled to the inner side upper side and the inner side upper other side of the front side swash plate 210 in various ways such as bearing coupling.

상기 후측트래버스가이드(422)는 상기 경사판부(20)의 후측경사판(220)의 내측면 상부에 상기 경사판부(20)이 후측경사판(22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The rear traverse guide 422 is a state in which the swash plate part 20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rear swash plate 220 to the other side by a predetermined length on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rear swash plate 220 of the swash plate part 20. can be provided with

상기 후측트래버스가이드(422)의 일측과 타측은 각각 상기 후측경사판(220)의 내측면 상부 일측과 내측면 상부 타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베어링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rear traverse guide 422 may be respectively rotatably coupled to the inner side upper side and the inner side upper other side of the rear swash plate 220 in various ways such as bearing coupling.

상기 이동바(411)의 상부가 상기 전측트래버스가이드(421) 및 후측트래버스가이드(422)에 각각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전측트래버스가이드(421) 및 후측트래버스가이드(422)는 상기 구동부(6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상기 청소부재(410)를 좌우왕복이동시킬 수 있다.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portion of the moving bar 411 is coupled to the front traverse guide 421 and the rear traverse guide 422 , respectively, the front traverse guide 421 and the rear traverse guide 422 are the It can be rotated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to move the cleaning member 410 left and right reciprocally.

상기 구동부(60)의 회전력을 상기 이동부재(420)를 이룰 수 있는 트래버스가이드로 전달하는 회전력전달부(500)가 구비될 수 있다.A rotational force transmitting unit 500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unit 60 to a traverse guide capable of forming the moving member 420 may be provided.

상기 회전력전달부(500)는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가팅 구동회전체(510), 피동회전체(520) 및 감김부재(530)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5 , the rotational force transmission unit 500 may include a garting driving rotation body 510 , a driven rotation body 520 , and a winding member 530 .

상기 구동회전체(510)는 상기 이송스크류(40)의 일측에 상기 이송스크류(4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각각 결합되어 상기 이송스크류(40)를 따라 회전될 수 있다.The driving rotating body 510 may be coupled to one side of the transfer screw 40 at regular intervals from one side of the transfer screw 40 to the other side, and rotate along the transfer screw 40 .

상기 피동회전체(520)는 상기 전측트래버스가이드(421)의 일측 및 상기 후측트래버스가이드(422)의 일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구동회전체(510)를 따라 회전하여 상기 전측트래버스가이드(421) 및 상기 후측트래버스가이드(422)를 각각 회전시킬 수 있다.The driven rotating body 52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front traverse guide 421 and one side of the rear traverse guide 422 and rotates along the driving rotating body 510 to rotate the front traverse guide 421 and the The rear traverse guide 422 may be rotated, respectively.

상기 감김부재(530)의 상부와 하부는 각각 상기 피동회전체(520)의 외면 및 상기 구동회전체(510)의 외면에 감겨져 상기 구동회전체(510)의 회전력을 상기 피동회전체(520)로 전달할 수 있다.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winding member 530 are wound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driven rotor 52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driving rotor 510 , respectively,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rotor 510 to the driven rotation body 520 . can

상기 구동회전체(510)와 상기 피동회전체(520)는 풀리, 스프로켓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driving rotating body 510 and the driven rotating body 520 may be formed of various types such as a pulley and a sprocket.

상기 감김부재(530)는 풀리에 감겨지는 벨트, 스프로켓에 감겨지는 체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winding member 530 may be formed of various types such as a belt wound on a pulley, a chain wound on a sprocket, and the like.

도 16은 도 15의 이동바의 하부에 웨이트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3의 측면도이다.16 is a side view of FIG. 13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weight is provided under the moving bar of FIG. 15 .

한편,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경사판부(20)의 내측면 하부에는 상기 청소부재(410)의 이동바(411)의 좌우왕복이동을 안내하는 별도의 가이드봉 등의 가이드부재가 구비될수도 있겠으나, 이 경우, 별도의 가이드봉 등의 가이드부재에 일부 계분(3)이 걸리거나 끼이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guide member such as a separate guide rod for guiding the left and right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moving bar 411 of the cleaning member 410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swash plate part 20 . However,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part of the chicken powder 3 is caught or caught in a guide member such as a separate guide rod.

이에 별도의 가이드봉 등의 가이드부재의 설치할 필요없이 상기 청소부재(410)의 이동바(411)의 좌우왕복이동을 보다 용이하게 안내 및 상기 청소부재(410)의 들뜸현상을 방지하여 상기 경사판부(20)의 내측면에 부착된 일부 계분(3)을 청소하는 상기 청소부재(410)의 청소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웨이트(600)가 상기 이동바(411)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ly, without the need to install a guide member such as a separate guide rod, the left and right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moving bar 411 of the cleaning member 410 is more easily guided and the lifting phenomenon of the cleaning member 410 is prevented, so that the swash plate part A weight 600 for preventing a decrease in the cleaning efficiency of the cleaning member 410 for cleaning some chicken manure 3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20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moving bar 411 . have.

상기 웨이트(600)는 상기 이동바(411)의 하부에 구비되는 중량의 무게추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상기 경사판부(20)와 중량의 상기 무게추와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이동바(411)의 좌우왕복이동효율이 저하될 우려가 다분함으로, 상기 이동바(411)의 좌우왕복이동효율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웨이트(600)는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동바(411)와 직교를 이룬 상태로 상기 이동바(411)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는 중량의 금속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롤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weight 600 may be made of various types such as a weight provided under the moving bar 411, but the moving bar may be formed by friction between the swash plate 20 and the weight of the weight. Sinc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left and right reciprocating movement efficiency of 411 is lowered, in order to prevent the left and right reciprocating movement efficiency of the moving bar 411 from lowering, the weight 600 is the moving bar 411 as shown in FIG. 16 . ) and may be made of a roller which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a heavy metal material that is rotatably shaft-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oving bar 411 in a state orthogonal to it.

5; 태양전지모듈, 10; 닭케이지,
30; 하부커버, 40; 이송스크류,
50; 계분수용부, 60; 구동부.
5; solar cell module, 10; chicken cage,
30; lower cover, 40; transfer screw,
50; fertility receptor, 60; drive part.

Claims (16)

태양전지모듈과;
상기 태양전지모듈이 상부에 구비되고, 계분이 통과가능한 바닥판을 포함하는 닭케이지와;
상기 닭케이지의 바닥판을 통해 낙하되는 계분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상측으로 개방형성되는 하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의 수용홈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이송스크류와;
상기 하부커버의 타측부에 배치되는 계분수용부와;
상기 태양전지모듈로부터 발전된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이송스크류를 회전시켜 상기 하부커버의 수용홈에 수용되는 계분을 상기 계분수용부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발전을 이용한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닭장.
a solar cell module;
a chicken cage provided on the solar cell module and including a bottom plate through which chicken meat can pass;
a lower cover in which a receiving groove for accommodating chicken meal falling through the bottom plate of the chicken cage is opened upwardly;
a transfer screw disposed in the receiving groove of the lower cov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fertilization accommodating part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lower cover;
Using solar pow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riving unit for receiving the power generated from the solar cell module and rotating the transfer screw to transfer the manur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of the lower cover in the direction of the manure receiving unit; Chicken coop with improved convenien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닭케이지의 상부에 상기 태양전지모듈을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하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측에 축결합되며,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후측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후측 사이에 상기 태양전지모듈과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발전을 이용한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닭장.
The method of claim 1,
A support frame for supporting the solar cell module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hicken cage; is provided,
A lower portion of the solar cell module is shaft-coupled to the front side of the support frame,
A chicken coop with improved ease of use using solar power, characterized in that; between the rear side of the solar cell module and the rear side of the support frame, an angle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angle between the solar cell module and the support fram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닭케이지의 상부에 상기 지지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발전을 이용한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닭장.
3. The method of claim 2,
A chicken coop with improved ease of use using solar power, characterized in that a height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upport frame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hicken cag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닭케이지의 하부에 경사판부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커버는 상기 경사판부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발전을 이용한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닭장.
The method of claim 1,
A sloping plate part is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chicken cage,
The lower cover is a chicken coop with improved ease of use using solar pow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swash pla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이송스크류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계분수용부에 수용된 계분을 교반하는 교반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발전을 이용한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닭장.
The method of claim 1,
A chicken coop with improved ease of use using solar pow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stirring unit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transfer screw rotated by the driving unit and stirring the chicken manure accommodated in the chicken manure accommodating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닭케이지 내부의 닭에게 사료를 공급하는 사료공급부와;
상기 닭케이지 내부의 닭에게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발전을 이용한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닭장.
The method of claim 1,
a feed supply unit for supplying feed to the chickens inside the chicken cage;
A chicken coop with improved ease of use using solar pow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a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water to the chickens inside the chicken cag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닭케이지의 전면부는 투명창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발전을 이용한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닭장.
The method of claim 1,
The chicken coop with improved ease of use using solar pow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part of the chicken cage is made of a transparent window.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닭케이지의 전측에 투명창과;
상기 투명창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망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발전을 이용한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닭장.
The method of claim 1,
a transparent window on the front side of the chicken cage;
A chicken coop with improved ease of use using solar pow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mesh member locat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transparent window.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닭케이지의 전면부 상부에 개방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구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닭케이지의 전면부는 투명창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발전을 이용한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닭장.
The method of claim 1,
An opening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front part of the chicken cage,
The chicken coop with improved ease of use using solar pow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part of the chicken cage locat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opening is made of a transparent window.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구에 망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발전을 이용한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닭장.
10. The method of claim 9,
A chicken coop with improved ease of use using solar power, characterized in that a mesh member is provided in the opening.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닭케이지의 투명창의 하부는 상기 닭케이지의 바닥판 전측에 축결합되고,
상기 투명창의 상부는 상기 닭케이지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위치조절된 상태로 위치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발전을 이용한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닭장.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lower part of the transparent window of the chicken cage is shaft-coupled to the front side of the bottom plate of the chicken cage,
The chicken coop with improved ease of use using solar power,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transparent window is fixed in a position adjusted by rotational move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hicken cag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닭케이지의 내부에 산란하우스가 형성되고,
상기 산란하우스의 전측에 산란하고자 하는 닭이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산란하우스의 후측방향의 상기 닭케이지의 후면부에 상기 산란하우스를 개폐하는 도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발전을 이용한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닭장.
The method of claim 1,
A spawning house is formed inside the chicken cage,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chicken to spawn is formed in front of the spawning house,
A chicken coop with improved ease of use using solar power, characterized in that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pawning house is provided on the rear part of the chicken cage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spawning hous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부의 내측면에 상기 경사판부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왕복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경사판부의 내측면을 청소하는 청소부재와, 상기 청소부재를 좌우왕복이동시키는 이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청소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발전을 이용한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닭장.
The method of claim 1,
A cleaning unit comprising a cleaning member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wash plate portion to be reciprocally movable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of the swash plate portion to clean the inner surface of the swash plate portion, and a moving member for moving the cleaning member left and right; A chicken coop with improved ease of use using solar pow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부의 청소부재는 상기 경사판부의 상하방향으로 연장 및 상기 경사판부를 따라 경사진 상태로 상기 경사판부의 내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경사판부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왕복이동하는 이동바와;
상기 경사판부의 내측면과 마주보는 상기 이동바의 외주면에 구비되고, 상기 이동바를 따라 좌우왕복이동하여 상기 경사판부의 내측면을 청소하는 브러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청소부의 이동부재는 상기 경사판부의 내측면 상부에 상기 경사판부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된 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이동바의 상부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상기 청소부재를 좌우왕복이동시키는 트래버스가이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발전을 이용한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닭장.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cleaning member of the cleaning unit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wash plate portion in an inclined state along the swash plate portion an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wash plate portion, and a moving bar that reciprocates from one side of the swash plate portion to the other side;
A brush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ving bar facing the inner surface of the swash plate portion, and reciprocating left and right along the moving bar to clean the inner surface of the swash plate portion; and
The moving member of the cleaning unit is provided in a state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swash plate unit to the other side by a predetermined length on an upper inner surface of the swash plate unit, and rotates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unit in a stat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oving bar A chicken coop with improved ease of use using solar pow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raverse guide for moving the cleaning member left and right to reciprocate.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바의 하부에 웨이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발전을 이용한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닭장.
15. The method of claim 14,
A chicken coop with improved ease of use using solar power, characterized in that a weight is provided under the moving bar.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는 상기 이동바의 하부에 축결합되는 롤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발전을 이용한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닭장.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weight is a chicken coop with improved ease of use using solar pow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roller that is shaft-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moving bar.
KR1020210023843A 2021-02-23 2021-02-23 Chicken coop with improved usability using solar power KR1026023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843A KR102602327B1 (en) 2021-02-23 2021-02-23 Chicken coop with improved usability using solar pow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843A KR102602327B1 (en) 2021-02-23 2021-02-23 Chicken coop with improved usability using solar pow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0128A true KR20220120128A (en) 2022-08-30
KR102602327B1 KR102602327B1 (en) 2023-11-14

Family

ID=83114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3843A KR102602327B1 (en) 2021-02-23 2021-02-23 Chicken coop with improved usability using solar pow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2327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7157U (en) * 1993-01-20 1994-08-09 東洋システム株式会社 Defecation equipment
KR0130893Y1 (en) * 1996-05-08 1998-12-01 윤창근 Nest for birds
KR100200932B1 (en) * 1997-02-28 1999-06-15 천상석 The movable cattle shed
KR100861446B1 (en) 2003-06-04 2008-10-02 김순영 Farm of domestic fowls
CN108782277A (en) * 2018-06-05 2018-11-13 芜湖秀成机械科技有限公司 A kind of aquacultural machinery with recovery and rinsing excrement function
KR20190029391A (en) * 2017-09-12 2019-03-20 김철수 The Module type Cage structure for flock
KR102176641B1 (en) * 2020-04-08 2020-11-09 이유식 Auto Chicken Farm
KR20210017608A (en) * 2019-08-09 2021-02-17 배일규 Moving house with solar light power gener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7157U (en) * 1993-01-20 1994-08-09 東洋システム株式会社 Defecation equipment
KR0130893Y1 (en) * 1996-05-08 1998-12-01 윤창근 Nest for birds
KR100200932B1 (en) * 1997-02-28 1999-06-15 천상석 The movable cattle shed
KR100861446B1 (en) 2003-06-04 2008-10-02 김순영 Farm of domestic fowls
KR20190029391A (en) * 2017-09-12 2019-03-20 김철수 The Module type Cage structure for flock
CN108782277A (en) * 2018-06-05 2018-11-13 芜湖秀成机械科技有限公司 A kind of aquacultural machinery with recovery and rinsing excrement function
KR20210017608A (en) * 2019-08-09 2021-02-17 배일규 Moving house with solar light power generation device
KR102176641B1 (en) * 2020-04-08 2020-11-09 이유식 Auto Chicken Far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2327B1 (en) 2023-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54431A (en) Adjustable animal feeder
CN110404905B (en) Livestock trough inner wall cleaning device for livestock breeding
CN203912840U (en) A kind of livestock-raising room scrape excrement device
CN108157198A (en) A kind of sheep hurdle cleaning device
CN213639220U (en) Pig house excrement and urine cleaning device
CN113163738A (en) Automatic feeding device for marine ranching
CN108935199A (en) A kind of mechanizing poultry farming equipment
CN114097659B (en) Automatic feeding and feeding robot for pigeon breeding
KR20220120128A (en) Chicken coop with improved usability using solar power
CN210869355U (en) A intelligent pouity dwelling place for forest and fruit garden poultry is bred
CN212306447U (en) Livestock farm excrement and urine cleaning device
CN112273277A (en) Clear excrement degassing unit of chicken coop breed
CN108812387B (en) Novel poultry drinking bowl
CN213153425U (en) Automatic material scattering device for livestock breeding
CN214430904U (en) Livestock-raising excrement and urine collection processing apparatus
CN112997919A (en) Breeding device capable of increasing poultry exercise amount for animal husbandry breeding
CN211353525U (en) Automatic device of taking exercise of donkey is fed in whole barn
CN211379266U (en) Chicken farm feeds and eats device
CN210808791U (en) A clear excrement collection egg device of pouity dwelling place for poultry is bred
CN208509836U (en) A kind of livestock rearing feeding groove being convenient to clean
CN210538116U (en) Livestock cleaning device for animal husbandry
CN111226799B (en) Pig raising room with functions of cleaning and collecting pig manure
CN111802278A (en) Broiler chicken feeding equipment based on Internet of things
CN112970595A (en) Animal husbandry waste treatment device convenient to change
CN112655570A (en) Hu sheep breeding shed flush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