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9075A - 레이저 인자 가능한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포장체 - Google Patents

레이저 인자 가능한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포장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9075A
KR20220119075A KR1020227024262A KR20227024262A KR20220119075A KR 20220119075 A KR20220119075 A KR 20220119075A KR 1020227024262 A KR1020227024262 A KR 1020227024262A KR 20227024262 A KR20227024262 A KR 20227024262A KR 20220119075 A KR20220119075 A KR 20220119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ayer
laser
polyolefin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4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타로 이시마루
마사유키 하루타
Original Assignee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19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90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4Printing or colouring
    • B32B38/145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7Thermal properties
    • B32B7/028Heat-shrink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32B2250/242All polymers belonging to those covered by group B32B27/3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2Oxide or hydr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2Oxide or hydroxide
    • B32B2264/1022Titan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30Particles characterised by physical dimension
    • B32B2264/303Average diameter greater than 1µ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32B2307/4026Coloured within the layer by addition of a colorant, e.g. pigments, dy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5Prin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8Dimensions, e.g. volume
    • B32B2309/10Dimensions, e.g. volume linear, e.g. length, distance, width
    • B32B2309/105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0/00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 B32B2310/08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32B2310/0806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 B32B2310/0843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using la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5/00Closures, end caps, st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70Food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80Medical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19/00Labels, ba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267Marking of plastic artifacts, e.g. with las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J2323/12Polyprop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은 투명성을 갖고, 두께 불균일이 우수한, 레이저에 의한 선명한 인자가 가능한 필름을 제공하는 것, 또한 동시에, 이 필름을 사용하여 직접 인자된 포장체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필름은 레이저 조사에 의한 인자가 가능한 층을 적어도 한층 가지고 있고, 필름 전체층 중에 레이저 조사에 의한 인자를 가능하게 하는 안료가 100 ppm 이상 3000 ppm 이하로 포함되어 있으며, 헤이즈가 1% 이상 30% 이하이고,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 중 어느 한 방향에 있어서의 두께 불균일이 0.1% 이상 2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레이저 인자 가능한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포장체
본 발명은 인자 등의 표시를 포함하는 포장체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필름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레이저에 의한 인자가 가능한 폴리올레핀계 필름에 관한 것으로, 이것에 해당하는 덮개재나 라벨을 포함하는 포장체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종래, 식품, 의약품 및 공업제품으로 대표되는 유통물품에 포장체가 사용되고 있다. 이들 포장체의 대부분은 내용물을 보호할 뿐 아니라, 제품명이나 제조월일, 원재료 등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표시의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잉크나 열전사 등에 의해 인자하는 것이 가능한 기재의 이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라벨(택 라벨)이 널리 사용되어 왔다. 택 라벨은 사전에 표시면이 되는 겉면에 정보가 인자된 상태에서 박리지(대지)에 첩부되고, 사용 시에는 대지로부터 박리하여 포장체에 첩부된다. 택 라벨을 첩부한 후의 대지는 필요없게 되기 때문에, 라벨을 사용한 분량만큼 쓰레기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라벨의 사용자는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 표시 내용이 상이한 라벨을 가져야만 하기 때문에, 내용물의 종류가 증가함에 따라 라벨의 관리가 번잡해져, 라벨의 첩착 미스가 일어날 위험을 안고 있었다. 또한, 통상은 라벨의 부족에 대비하여 여분으로 재고를 가질 필요가 있어, 내용물의 제조·판매가 종료된 시점에서 그 라벨은 쓰임새가 없기 때문에 폐기되고 있었다. 이와 같이, 택 라벨은 다양한 면에서 결점을 안고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특허문헌 2에는 감열 기록층을 가진 감열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의 필름은 열에 의해 변색되기 때문에, 그 자체가 표시성능을 갖는 포장체가 된다. 이 때문에, 상기 택 라벨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또한, 특허문헌 2와 같은 필름을 사용한 포장체를 제대(製袋)하는 공정에, 서멀 프린터 등의 인자기를 편입해 둠으로써 제대와 표시가 한 공정에서 완결되기 때문에, 생력화·비용 절감에도 공헌하고 있다. 이들 장점이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포장체 자체에 직접 인자하는 방식이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기재가 되는 필름 상에 감열층을 설치하면, 외부와의 스침 등에 의해 감열층이 박리되어 떨어질 우려가 있기 때문에, 통상은 감열층 위(표층 측)에 보호층을 설치하고 있다. 이들 기능층을 설치하는 수단으로서, 코팅이 널리 보급되어 있다. 코팅은 적어도 도포·건조·권취의 공정을 거치기 때문에, 각 기능층의 분량만큼 공정수가 늘어나, 생산성이 저하되어 버린다. 또한, 이들 기능층은 입자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층 두께에 따라 투명성이 저하되어 버리는 문제도 있었다.
한편, 최근의 표시(인자) 수단으로서는, 상기에 예로 든 잉크나 열뿐 아니라, 레이저가 트리거가 되는 기술도 보급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3에는, 인쇄층이 레이저광에 의해 인자 가능한 잉크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포함하는 레이저 인자용 다층 적층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이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레이저를 조사한 부분이 변색되어 인자할 수 있게 된다. 단, 특허문헌 3의 필름과 같은 다층 적층 필름은, 특허문헌 2의 필름과 동일하게, 필름 기재 상에 인쇄층을 설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층 박리나 생산성 저하의 문제는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4에는, 산화 비스무트로 이루어지는 레이저 마킹용 첨가제가 개시되어 있다. 이 첨가제를 플라스틱에 반죽하여 넣음으로써, 레이저를 조사한 부분이 변색되어 인자할 수 있게 된다. 통상, 플라스틱 단체는 레이저에는 반응하지 않으나, 이 첨가제가 레이저의 에너지에 의해 여기되어, 플라스틱을 변색시킬 수 있다. 첨가제는 필름 내부에 존재하기 때문에, 코팅으로 발생한 기능층의 박리는 발생하기 어려운 점에서 유용하다. 단, 첨가제는 금속입자이기 때문에, 상기 코팅과 동일하게, 필름의 투명성을 저하시키는 문제는 남아 있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입자를 필름에 반죽하여 넣으면, 필름을 연신할 때 두께 불균일이 커져 버리는 문제를 발견하였다.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2-362027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제2017-209847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제2017-196896호 공보 국제공개 제2014/18882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과제는 높은 투명성을 갖고, 두께 불균일이 우수한, 레이저에 의한 선명한 인자가 가능한 필름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동시에 본 발명의 과제는, 이 필름을 사용하여 직접 인자된 포장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아래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1. 레이저 조사에 의한 인자가 가능한 층을 적어도 한층 가지고 있고,
필름 전체층 중에 레이저 조사에 의한 인자를 가능하게 하는 안료가 100 ppm 이상 3000 ppm 이하로 포함되어 있으며, 헤이즈가 1% 이상 30% 이하이고,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 중 어느 한 방향에 있어서의 두께 불균일이 0.1% 이상 2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필름.
2. 레이저 조사에 의한 인자를 가능하게 하는 안료가 금속을 함유하고, 그 금속으로서, 비스무트, 가돌리늄, 네오디뮴, 티탄, 안티몬, 주석, 알루미늄 중 어느 하나의 금속 단체 또는 금속 산화물 중 어느 하나가 적어도 1종류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필름.
3. 레이저 조사에 의한 인자가 가능한 층의 두께가 5 ㎛ 이상 10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또는 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필름.
4. 컬러 L*값이 90 이상 98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필름.
5. 레이저 조사에 의한 인자가 가능한 층에 인접하는 적어도 한쪽 층에, 레이저 조사로 인자되지 않는 층을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필름.
6.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 중 어느 한쪽에 있어서, 140℃ 열풍에 30분 폭로한 후의 열수축률이 -0.5% 이상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필름.
7.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필름을 사용하고 있는 덮개재나 라벨을 포함하는 포장체.
8. 적어도 일부분에 인자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7.에 기재된 포장체.
본 발명의 필름은 높은 투명성을 갖고, 두께 불균일이 우수한, 레이저에 의한 선명한 인자가 가능한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동시에 본 발명의 과제는, 이 필름을 사용하여 직접 인자된 포장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필름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인자한 화상이다.
아래에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필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필름은, 적어도 레이저 조사에 의한 인자가 가능한 층을 1층 갖는 동시에, 아래의 바람직한 특성 및 바람직한 구성을 갖는다.
1. 필름을 구성하는 원료
1. 1. 레이저 인자용 안료
본 발명의 필름을 레이저 인자 가능한 것으로 하기 위해서는, 레이저 조사에 의해 필름을 변색시키는 기능을 갖는 안료(이하, 간단히 안료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를 첨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통상,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자체는, 레이저광에는 거의 반응하지 않기 때문에, 레이저 조사에 의해 인자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안료는 레이저광의 에너지에 의해 여기되어, 주위에 있는 폴리올레핀 수지를 탄화시킨다(레이저 조사의 바람직한 조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폴리올레핀 수지의 탄화에 더하여, 안료의 종류에 따라서는 그 자체가 흑색으로 변화되는 것도 있다. 이들 단독 또는 복합의 색 변화에 의해, 필름으로 인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필름으로의 인자 정밀도를 고려하면, 안료 자체도 변색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료의 종류로서는, 비스무트, 가돌리늄, 네오디뮴, 티탄, 안티몬, 주석, 알루미늄 중 어느 하나의 금속 단체 또는 금속 산화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안료의 입경은 0.1 ㎛ 이상 10 ㎛ 이하면 바람직하다. 안료의 입경이 0.1 ㎛ 미만이면, 레이저 조사 시의 색 변화가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다. 또한, 입경이 10 ㎛를 초과하면, 필름의 헤이즈가 30%를, 컬러 b값이 2를 초과하기 쉬워지게 된다. 입경은 0.5 ㎛ 이상 9 ㎛ 이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조건을 만족시키는 안료로서는, 「TOMATEC COLOR」(토칸 머티리얼·테크놀로지 제조), 「Iriotec(등록상표)」(머크 퍼포먼스 머티리얼즈사 제조) 등이 판매되고 있어, 이들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레이저 인자층 중에 첨가하는 안료량으로서는, 100 ppm 이상 3000 ppm 이하일 필요가 있다. 안료의 첨가량이 100 ppm 미만이면, 레이저에 의한 인자농도가 불충분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안료의 첨가량이 3000 ppm을 초과하면, 필름의 헤이즈나 컬러값, 두께 불균일이 소정의 범위를 초과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안료 첨가에 의한 헤이즈나 컬러값으로의 영향에 대해서는, 안료 자체가 착색되어 있는 점에 더하여, 안료 입자가 빛을 산란하기 때문에 일어난다.
또한, 필름을 연신한 경우, 안료 입자를 함유하면 필름의 두께 불균일이 악화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필름의 두께 불균일으로의 영향에 대해서는, 안료 입자를 포함하는 필름을 연신하는 경우에, 연신응력이 저하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안료의 첨가량은 150 ppm 이상 2950 ppm 이하면 보다 바람직하고, 200 ppm 이상 2900 ppm 이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필름 전층당으로 환산하였을 때에 필요해지는 안료의 첨가량도 100 ppm 이상 3000 ppm 이하여도 된다. 레이저 인자층 이외의 다른 층을 설치한 경우, 필름 전층당으로 환산한 안료량은, 레이저 인자층의 양보다도 적어지는 계산이 된다. 단,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전층 두께의 대부분(50% 이상)이 레이저 인자층에 의해 구성되는 점과, 다른 층의 두께를 늘리면 상대적으로 레이저 인자층이 지나치게 얇아져 버려 인자 정밀도가 희생이 되는 점을 고려하면, 필름 전층당으로 환산한 안료량이 레이저 인자층에 포함되는 안료량과 근사해도 된다.
본 발명의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중에 레이저 안료를 배합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 레진을 제조하는 임의의 단계에 있어서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벤트 부착 혼련 압출기를 사용하여 용매에 분산시킨 입자의 슬러리와 폴리올레핀계 수지 원료를 블렌드하는 방법이나, 입자와 폴리올레핀을 혼련 압출기를 사용하여 블렌드하는 방법 등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입자와 폴리올레핀을 혼련 압출기를 사용하여 블렌드하는 방법(마스터배치화)이 바람직하다.
1. 2. 폴리올레핀 원료의 종류
본 발명의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 원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 원료의 예로서는, 폴리프로필렌(PP)이나 폴리에틸렌(PE) 등의 호모폴리머를 들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는 경우, 입체 규칙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아이소택틱, 신디오택틱, 어택틱 중 어느 것이어도 되며, 각각이 임의의 비율로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폴리에틸렌을 사용하는 경우, 그 밀도(분기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고밀도(HDPE), 직쇄상 저밀도(LLDPE), 저밀도(LDPE)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호모폴리머 이외에도, 이종(異種)의 모노머를 2종류 이상 공중합한 원료를 사용해도 되며, 공중합에 사용되는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이나 α―올레핀 등을 들 수 있고, α―올레핀으로서는,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1-노넨, 1-데센, 4-메틸-1-펜텐, 4-메틸-1-헥센 등을 들 수 있다. 공중합의 형태는 랜덤 공중합, 블록 공중합 중 어느 것이어도 상관없다. 추가로, 상기에 예로 든 원료 이외에도,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나 아이오노머를 사용해도 된다.
원료로서의 폴리올레핀 수지의 용융 흐름 지수(MFR)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는데, 1∼10 g/10분이면 바람직하다. MFR이 1 g/10분 미만이면 원료의 용융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지기 때문에, 제막 중의 압출공정에 있어서의 수지 압력이 지나치게 높아져 버려, 필터 번형 등을 일으키기 쉬워져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MFR이 10 g/10분을 초과하면 분자량이 극단적으로 저하되어 버리기 때문에, 제막 중에 파단이 일어나기 쉬워지거나, 내블로킹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MFR은 2 g/10분 이상 8 g/10분이면 보다 바람직하고, 3 g/10분 이상 7 g/10분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1. 3. 레이저 안료 이외의 첨가제
본 발명의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중에는, 필요에 따라 각종 첨가제, 예를 들면, 왁스류, 산화방지제, 대전방지제, 결정핵제, 감점제, 열안정제, 착색용 안료, 착색방지제, 자외선흡수제, 윤활제(안티블로킹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필름의 미끄럼성을 양호하게 하는 윤활제를 적어도 필름의 최표층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윤활제로서는, 실리카 등의 미립자나 지방산 아미드류나 알킬설폰산염, 스테아르산류, 에루크산 아미드류 등의 저분자량 화합물 등, 임의의 것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중에 첨가제를 배합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 레진을 제조하는 임의의 단계에 있어서 첨가할 수 있는데, 첨가제와 폴리올레핀을 혼련 압출기를 사용하여 블렌드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2. 필름의 층 구성
2. 1. 층 구성
본 발명의 필름은, 1. 1. 「레이저 인자용 안료」에서 기재한 안료를 포함하는, 레이저 조사에 의한 인자가 가능한 층(이하, 레이저 인자층으로 기재)을 적어도 1층 가지고 있을 필요가 있다. 필름의 층 구성으로서는, 레이저 인자층 단독의 단층이어도 되고, 레이저 인자층 이외의 층을 적층시켜도 된다. 레이저에 의한 인자는 상기와 같이, 레이저 인자층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 수지를 탄화시킴으로써 성립한다. 이 때문에, 레이저 인자층 단독의 단층 구성이면, 인자 부분을 손가락 등으로 만진 경우, 촉감이 까칠까칠한 감촉이 되기 쉽다. 이에, 레이저 인자층의 적어도 한쪽의 편면에, 레이저 조사에 반응하지 않는 층을 적층시킴으로써, 레이저 인자에 의한 손에 닿는 감촉의 차이가 발생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한 층 구성은 레이저 조사에 반응하지 않는 층으로, 레이저 인자층을 사이에 끼운(중심층으로 한) 2종 3층 구성이다.
본 발명의 필름에는, 필름 표면의 인쇄성이나 미끄럼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코로나 처리, 코팅 처리나 화염 처리 등을 실시한 층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본 발명의 요건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로 설치할 수 있다. 필름의 층 구성이 2종 3층인 경우, 중심층을 레이저 인자층으로 하고, 예를 들면 최표층에는 윤활제를 함유시키거나,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거나 하여, 층별로 상이한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필름은 포장체로서의 디자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레이저 조사에 의한 인자 이외에, 문자나 무늬를 마련해도 된다. 이들 문자나 무늬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그라비아 인쇄용 잉크나 플렉소 인쇄용 잉크 등,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인쇄층 수는 1층이어도 되고, 복수 층이어도 된다. 인쇄를 복수 색으로 하여 디자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복수 층으로 이루어지는 인쇄층이 있으면 바람직하다. 인쇄층은 최표층, 중간층 중 어느 것에 위치해도 상관없다.
2. 2. 레이저 인자층의 두께
레이저 인자층의 두께는 5 ㎛ 이상 100 ㎛ 이하면 바람직하다. 레이저 인자층의 두께가 5 ㎛ 미만이면, 레이저광을 조사하였을 때의 인자농도가 저하되어, 문자를 시인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레이저 인자층의 두께가 100 ㎛를 초과하면, 헤이즈나 컬러값이 소정의 범위를 초과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레이저 인자층의 두께는 10 ㎛ 이상 95 ㎛ 이하면 보다 바람직하고, 15 ㎛ 이상 90 ㎛ 이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3. 필름의 특성
3. 1. 헤이즈
본 발명의 필름은 헤이즈가 1% 이상 30% 이하면 바람직하다. 헤이즈가 30%를 초과하면, 필름의 투명성이 상실되어, 포장체로 하였을 때 내용물의 시인성이 열등할 뿐 아니라, 레이저 조사에 의해 얻어지는 문자가 시인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종래 개시되어 있는 단순한 레이저 마킹에 의한 변색의 기술에 대해, 본 발명의 필름은 레이저 조사에 의해 생긴 문자를 읽을 수 있을 필요가 있기 때문에, 고도의 선명성을 필요로 한다. 헤이즈는 25% 이하면 보다 바람직하고, 20% 이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헤이즈의 값은 낮으면 낮을수록 투명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나, 본 발명의 기술수준에서는 1%가 하한이고, 하한이 2%가 되어도 실용상은 충분하다.
3. 2. 컬러 L*값
본 발명의 필름은 컬러 L*값이 90 이상 98 이하면 바람직하다. 컬러 L*값은 필름의 명도를 나타내고 있고, 값이 높을수록 명도는 높아진다. 컬러 L*값이 90 미만이면, 필름이 어두운 색조를 나타내게 되어, 포장체로 하였을 때 볼품없이 보일 뿐 아니라, 레이저 조사에 의해 얻어지는 문자가 시인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헤이즈에서 기재한 내용과 동일하게, 본 발명의 필름은 레이저 조사에 의해 생긴 문자를 읽을 수 있을 필요가 있기 때문에, 고도의 선명성을 필요로 한다. 컬러 L*값은 90.5 이상이면 보다 바람직하고, 91 이상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컬러 L*값은 본 발명의 기술수준에서는 98이 상한이고, 상한이 97.5가 되어도 실용상은 충분하다.
3. 4. 두께 불균일
본 발명의 필름은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 중 어느 한 방향에 있어서의 두께 불균일이 0.1% 이상 25% 이하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의 두께 불균일이란, 연속 접촉식 두께계를 사용하여 필름의 두께를 임의의 길이에 걸쳐 측정하였을 때,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를 평균값으로 나눈 값을 가리킨다. 두께 불균일의 값이 작으면 작을수록 두께 정밀도가 양호해진다. 두께 불균일이 25%를 초과하면, 롤으로서 권취하였을 때 주름이나 느슨해짐, 요철 등 권취 불량이 발생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두께 불균일은 23% 이하면 보다 바람직하고, 21% 이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두께 불균일의 하한에 관하여, 본 발명의 기술수준에 있어서는 0.1%가 한계이다. 두께 불균일의 하한은 1%여도 충분하다.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양방향에 있어서, 상기 두께 불균일의 범위 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3. 5. 두께
본 발명의 필름 전층의 두께는 8 ㎛ 이상 200 ㎛ 이하면 바람직하다. 필름의 두께가 8 ㎛보다 얇으면 핸들링성이 나빠져, 인쇄 등의 이차 가공 시에 취급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필름 두께가 200 ㎛를 초과하더라도 상관없으나, 필름의 사용 중량이 증가하여 화학적 비용이 높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필름의 두께는 13 ㎛ 이상 195 ㎛ 이하면 보다 바람직하고, 18 ㎛ 이상 190 ㎛ 이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3. 6. 열수축률
본 발명의 필름은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 중 어느 한쪽에 있어서, 140℃ 열풍에 30분 폭로한 후의 열수축률이 -0.5% 이상 10% 이하면 바람직하다. 열수축률이 10%를 초과하면, 히트 실링 등의 가열을 포함하는 가공 시에 필름이 변형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열수축률의 상한은 9.8% 이하면 보다 바람직하고, 9.6% 이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열수축률은 낮으면 낮을수록 바람직하나, 본 발명의 기술수준에서는 -0.5%가 하한이다. 열수축률의 하한이 -0.3%이더라도 실용상은 충분하다.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양방향에 있어서, 상기 열수축률의 범위 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4. 필름의 제조조건
4. 1. 원료 혼합, 공급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필름을 제조하는 데 있어서, 상기 「1. 필름을 구성하는 원료」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필름에는 레이저 조사에 의해 인자 가능해지는 안료를 함유시킬 필요가 있다. 안료는 마스터배치화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통상은 2종류 이상의 원료를 혼합한다. 종래, 압출기에 2종 이상의 원료를 혼합하여 투입하면, 원료의 공급에 편차(편석)가 생겨, 그로 인해 두께 불균일이 악화되는 문제가 생기고 있었다. 이것을 방지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의 소정 범위 내의 두께 불균일로 하기 위해, 압출기 바로 위의 배관이나 호퍼에 교반기를 설치하여 원료를 균일하게 혼합한 후에 용융압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2. 용융압출
본 발명의 필름은 상기 1. 「필름을 구성하는 원료」에서 기재한 원료를, 상기 4. 1. 「원료 혼합, 공급」에서 기재한 방법으로 압출기에 원료를 공급하고, 압출기로부터 원료를 용융압출하여 미연신의 필름을 형성하고, 그것을 아래에 나타내는 소정의 방법에 의해 연신함으로서 얻을 수 있다. 또한, 필름이 레이저 인자층과 그 이외의 층을 포함하는 경우, 각층을 적층시키는 타이밍은 연신 전후 어느 것이어도 상관없다. 연신 전에 적층시키는 경우, 각층의 원료가 되는 수지를 각각의 압출기에 의해 용융압출하고, 수지 유로의 도중에서 피드블록 등을 사용하여 접합시키는 방법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 후에 적층시키는 경우, 각각 따로 따로 제막한 필름을 접착제에 의해 첩합하는 라미네이트, 단독 또는 적층시킨 필름의 표층에 용융시킨 폴리올레핀 수지를 흘려 적층시키는 압출 라미네이트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산성의 관점에서는, 연신 전에 각층을 적층시키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원료 수지의 용융압출의 방법으로서는 공지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배럴과 스크루가 구비된 압출기를 사용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압출은 T 다이법, 튜블러법 등, 기존의 임의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압출온도는 200℃ 이상 300℃ 이하면 바람직하다. 압출온도가 200℃ 미만이면, 폴리올레핀 수지의 용융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압출압력이 증가하고, 멜트라인 중의 필터가 변형되어 버리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가열온도가 300℃를 초과하면, 수지의 열분해가 진행되어 버려, 연신 중에 파단이 일어나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다이 개구부로부터 수지를 토출할 때의 전단속도는 높은 쪽이 필름 폭방향의 두께 불균일(특히 최대 오목부)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전단속도가 높은 쪽이 T 다이 출구에서의 수지 토출 시의 압력이 안정하기 때문이다. 바람직한 전단속도는 100 sec-1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sec-1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70 sec-1 이상이다. 드래프트비는 높은 쪽이 길이방향의 두께 불균일이 양호해져 바람직하나, 드래프트비가 높으면 다이의 수지 토출부에 수지 찌꺼기 등이 부착되어, 생산성이 나빠지기 때문에 지나치게 높은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다이 출구에서의 전단속도는 아래의 식(1)로부터 구할 수 있다.
Figure pct00001
그 후, 압출로 용융된 필름을 급랭함으로써, 미연신의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용융 수지를 급랭하는 방법으로서는, 용융 수지를 구금에서 회전 드럼 상으로 캐스팅하여 급랭 고화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미배향의 수지 시트를 얻는 방법을 적합하게 채용할 수 있다.
필름은 무연신, 일축연신(세로(길이)방향 또는 가로(폭)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의 연신), 이축연신 중 어느 방식으로 제막되어도 된다. 아래에서는 처음에 종연신, 다음으로 횡연신을 실시하는 종연신―횡연신에 의한 축차 이축연신법에 주안을 두고 설명한다.
4. 3. 제1 (종)연신
제1 방향(세로 또는 길이방향)의 연신은, 미연신 필름을 복수의 롤군을 연속적으로 배치한 종연신기로 도입하면 된다. 종연신에 있어서는, 예열 롤로 필름온도가 100℃∼180℃가 될 때까지 예비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온도가 100℃보다 낮으면, 세로방향으로 연신할 때 연신하기 어려워져, 파단이 발생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180℃보다 높으면 롤에 필름이 점착되기 쉬워져, 롤으로의 필름의 감김이나 연속 생산에 의한 롤의 오염이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필름온도가 100℃∼180℃가 되면 종연신을 행한다. 종연신배율은 1배 이상 10배 이하로 하면 된다. 1배는 종연신을 하고 있지 않다고 하는 것이기 때문에, 가로 일축연신 필름을 얻는 데는 세로의 연신배율을 1배로, 이축연신 필름을 얻는 데는 1.1배 이상의 종연신이 된다. 종연신배율을 1.1배 이상으로 하면, 필름의 길이방향으로 분자배향을 부여하여 기계강도를 증강시킬 수 있기다. 한편, 종연신배율의 상한은 몇배여도 상관없으나, 너무 높은 종연신배율이면 횡연신하기 어려워져 파단이 발생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10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종연신배율은 1.5배 이상 9.5배 이하면 보다 바람직하고, 2배 이상 9배 이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4. 4. 제2 (횡)연신
제1 (종)연신 후, 텐터 내에서 필름의 폭방향(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양끝 가장자리를 클립에 의해 파지한 상태로, 120℃∼180℃에서 3∼20배 정도의 연신배율로 횡연신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횡방향의 연신을 행하기 전에는, 예비 가열을 행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비 가열은 필름 표면온도가 110℃∼170℃가 될 때까지 행하면 된다.
종연신과 동일하게, 횡연신배율도 1.1배 이상으로 하면, 필름의 폭방향으로 분자배향을 부여하여 기계강도를 증강시킬 수 있다. 횡연신배율의 상한은 몇배여도 상관없으나, 너무 높은 연신배율이면 횡연신하기 어려워져 파단이 발생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20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종연신배율은 1.5배 이상 19.5배 이하면 보다 바람직하고, 2배 이상 19배 이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횡연신 후에는, 필름을 적극적인 가열조작을 실행하지 않는 중간 구역을 통과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텐터의 횡연신 구역에 대해, 그 다음의 최종 열처리 구역에서는 온도가 높기 때문에, 중간 구역을 설치하지 않으면 최종 열처리 구역의 열(열풍 그 자체나 복사열)이 횡연신공정으로 흘러들어가 버린다. 이 경우, 횡연신 구역의 온도가 안정하지 않기 때문에, 필름의 두께 불균일이 25%를 초과하기 쉬워질 뿐 아니라, 열수축률 등의 물성에도 편차가 생기게 된다. 이에, 횡연신 후의 필름은 중간 구역을 통과시켜서 소정 시간을 경과시킨 후, 최종 열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중간 구역에 있어서는, 필름을 통과시키지 않은 상태로 직사각형상의 종이조각을 늘어뜨렸을 때, 그 종이조각이 거의 완전하게 연직방향으로 아래로 드리워지도록, 필름의 주행에 수반되는 수반류, 횡연신 구역이나 최종 열처리 구역으로부터의 열풍을 차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중간 구역의 통과시간은 1초∼5초 정도면 충분하다. 1초보다 짧으면, 중간 구역의 길이가 불충분해져, 열의 차단효과가 부족하다. 한편, 중간 구역은 긴 쪽이 바람직하나, 너무 길면 설비가 커져 버리기 때문에, 5초 정도면 충분하다.
4. 5. 열처리
중간 구역의 통과 후에는 열처리 구역에서, 130℃ 이상 190℃ 이하로 열처리하면 바람직하다. 열처리에서는 필름의 결정화가 촉진되기 때문에, 연신공정에서 발생한 열수축률을 저감시키기 쉬워진다. 열처리온도가 130℃ 미만이면, 열수축률을 10% 이하로 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열처리온도가 190℃를 초과하면, 헤이즈가 30%를 초과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열처리온도는 135℃ 이상 185℃ 이하면 보다 바람직하고, 130℃ 이상 180℃ 이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열처리 구역의 통과시간은 2초 이상 20초 이하면 바람직하다. 통과시간이 2초 이하면, 필름의 표면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하지 않은 채로 열처리 구역을 통과해 버리기 때문에, 열처리의 의미를 이루지 못하게 된다. 통과시간은 길면 길수록 열처리의 효과가 올라가기 때문에, 5초 이상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단, 통과시간을 길게 하고자 하면, 설비가 거대화되어 버리기 때문에, 실용상은 20초 이하면 충분하다.
열처리 시, 텐터의 클립 간 거리를 임의의 배율로 단축하는 것(폭방향으로의 릴랙스)에 의해 폭방향의 열수축률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최종 열처리에서는, 0% 이상 20% 이하의 범위에서 폭방향으로의 릴랙스를 행하면 바람직하다(릴랙스율 0%는 릴랙스를 행하지 않는 것을 가리킨다). 폭방향으로의 릴랙스율이 높을수록 폭방향의 수축률은 내려가지만, 릴랙스율(횡연신 직후 필름의 폭방향으로의 수축률)의 상한은 사용하는 원료나 폭방향으로의 연신조건, 열처리온도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이를 초과하여 릴랙스를 실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필름에 있어서는, 폭방향으로의 릴랙스율은 20%가 상한이다. 또한, 열처리 시에,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클립 간 거리를 임의의 배율로 단축하는 것(길이방향으로의 릴랙스)도 가능하다.
4. 6. 냉각
열처리 구역 통과 후에는, 냉각 구역에서 10℃ 이상 30℃ 이하의 냉각풍을 사용하여, 통과시간 2초 이상 20초 이하에서 필름을 냉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필름 양단부를 재단 제거하면서 권취하면, 필름 롤이 얻어진다.
5. 다른 필름과의 적층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필름은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다른 폴리올레핀계 필름이나, 다른 소재로 이루어지는 필름과 적층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소재로 이루어지는 필름의 수지종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나일론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을 복합적으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필름과 적층시키는 필름은, 적어도 일부에 가스 배리어층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가스 배리어층의 원료종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부터 공지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고, 목적으로 하는 가스 배리어성 등을 만족시키기 위해 목적에 맞게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가스 배리어층의 원료종으로서는, 예를 들면, 규소, 알루미늄, 주석, 아연, 철, 망간 등의 금속, 이들 금속의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무기 화합물이 있고, 해당하는 무기 화합물로서는, 산화물, 질화물, 탄화물, 불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무기물 또는 무기 화합물은 단체로 사용해도 되고, 복수로 사용해도 된다.
6. 포장체의 구성, 제조방법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필름, 또는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필름과 다른 필름의 적층체(이 항목 6.에서는, 이들을 통틀어 「본 발명의 필름」이라 기재한다)는, 포장체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포장체로서는 예를 들면, 세로 필로, 가로 필로, 가제트 봉지 등 히트 실링에 의해 제대되는 봉지, 용단 실링에 의해 제대되는 용단 봉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 용기의 덮개재나, 센터 실링에 의해 통형상으로 형성된 보틀용 라벨도 포장체에 포함된다.
포장체는 적어도 일부가 본 발명의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필름은 포장체의 어느 층에 설치해도 되지만, 인자의 시인성을 고려하면, 본 발명의 필름보다 외측에 불투명한 필름을 배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필름을 갖는 포장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히트 바(히트 조)를 사용한 히트 실링, 핫멜트를 사용한 접착, 용제에 의한 센터 실링 등의 종래 공지의 제조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7. 레이저의 종류
본 발명의 필름에 조사하는 레이저의 종류(파장)로서는, 예를 들면 CO2 레이저(10600 ㎚), YAG 레이저(1064 ㎚), YVO4 레이저(1064 ㎚), 파이버 레이저(1090 ㎚), 그린 레이저(532 ㎚), UV 레이저(355 ㎚)를 들 수 있다. 이들 레이저종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에서도, YAG 레이저, YVO4 레이저, 파이버 레이저, 그린 레이저, UV 레이저의 사용이 바람직하고, Nd:YAG 레이저, 파이버 레이저, 그린 레이저, UV 레이저의 사용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필름을 갖는 포장체는 식품, 의약품, 공업제품 등의 다양한 물품의 포장재료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다음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를 사용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의 태양에 조금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당히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폴리올레핀 원료>
[원료 A]
폴리올레핀 A로서, 스미토모 노브렌(등록상표) FS2011DG3(스미토모 화학 제조의 폴리프로필렌(PP))를 사용하였다.
[원료 B]
폴리올레핀 B로서, 스미카센(등록상표) FV407(스미토모 화학 제조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을 사용하였다.
[혼합예 1]
폴리올레핀 A와 레이저 안료 「IRIOTEC(등록상표)8825」(머크 퍼포먼스 머티리얼즈사 제조)를 중량비 95:5로 혼합(드라이 블렌드)하여, 아래 혼합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올레핀 C를 얻었다.
[혼합예 2]
상기 폴리올레핀 A와, 레이저 안료 「TOMATEC COLOR42-920A(주성분 Bi2O3)」(토칸 머티리얼·테크놀로지사 제조)를 중량비 95:5로 혼합(드라이 블렌드)하여 스크루 압출기에 투입하고, 용융·혼합시켰다. 이 용융 수지를 스트랜드 다이로부터 원기둥형상으로 연속적으로 토출하고, 스트랜드 커터로 재단함으로써 칩형상의 폴리올레핀 D를 얻었다.
Figure pct00002
[실시예 1]
레이저 인자층(A층)의 원료로서 폴리올레핀 A와 폴리올레핀 B를 질량비 95:5로 혼합하고, 그 이외의 층(B층)의 원료로서 폴리올레핀 A를 단독(100%)으로 사용하였다.
A층 및 B층의 혼합 원료는 각각의 스크루 압출기에 투입하고, A층, B층 모두 250℃에서 용융시켜서 T 다이로부터 전단속도 280 sec-1으로 압출하였다. 또한, 압출기 바로 위에는 교반기를 장착하고 있어, 이 교반기에 의해 혼합 원료를 교반하면서 압출기에 투입하였다. 각각의 용융 수지는 유로의 도중에서 피드블록에 의해 접합시켜서 T 다이로부터 토출하고, 표면온도 30℃로 설정한 칠드 롤 상에서 냉각함으로써 미연신의 적층 필름을 얻었다. 적층 필름은 중심층이 A층, 양쪽의 최표층이 B층(B/A/B의 2종 3층 구성)이 되도록 용융 수지의 유로를 설정하고, A층과 B층의 두께 비율이 90/10(B/A/B=5/90/5)이 되도록 토출량을 조정하였다.
냉각 고화하여 얻은 미연신의 적층 필름을 복수의 롤군을 연속적으로 배치한 종연신기에 도입하고, 예열 롤 상에서 필름온도가 155℃가 될 때까지 예비 가열한 후에 4.5배로 연신하였다.
종연신 후의 필름을 횡연신기(텐터)에 도입하여 표면온도가 125℃가 될 때까지 5초간의 예비 가열을 행한 후, 폭방향(가로방향)으로 8.2배로 연신하였다. 횡연신 후의 필름은 그대로 중간 구역으로 도입하여, 1.0초에 통과시켰다. 또한, 텐터의 중간 구역에 있어서는, 필름을 통과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직사각형상의 종이조각을 늘어뜨렸을 때, 그 종이조각이 거의 완전하게 연직방향으로 아래로 드리워지도록, 열처리 구역으로부터의 열풍과 횡연신 구역으로부터의 열풍을 차단하였다.
그 후, 중간 구역을 통과한 필름을 열처리 구역으로 도입하고, 165℃에서 7초간 열처리하였다. 이때, 열처리를 행하는 동시에 필름 폭방향의 클립 간격을 좁힘으로써, 폭방향으로 7% 릴랙스 처리를 행하였다. 최종 열처리 구역을 통과 후에는 필름을 30℃의 냉각풍으로 5초간 냉각하였다. 양 가장자리부를 재단 제거하여 폭 400 ㎜로 롤형상으로 권취함으로써, 두께 20 ㎛의 이축연신 필름을 소정의 길이에 걸쳐 연속적으로 제조하였다. 얻어진 필름의 특성은 상기 방법에 의해 평가하였다. 제조조건과 평가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2∼7]
실시예 2∼7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원료의 혼합조건, 토출조건, 종연신온도, 종연신배율, 횡연신온도, 횡연신배율, 열처리온도를 각종 변경한 폴리올레핀 필름을 연속적으로 제막하였다. 또한, 실시예 4∼7은 무연신 필름이다. 또한, 실시예 5의 필름은 A층과 B층의 2종 2층 구성(두께 비율이 A/B=80/20)이고, 실시예 6의 필름은 A층 단독의 단층 필름이다. 각 필름의 제조조건과 평가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1∼4]
비교예 1∼4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원료의 혼합조건, 토출조건, 종연신온도, 종연신배율, 횡연신온도, 횡연신배율, 열처리온도를 각종 변경한 폴리올레핀 필름을 연속적으로 제막하였다. 또한, 비교예 2는 무연신 필름이다. 각 필름의 제조조건과 평가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필름의 평가방법>
필름의 평가방법은 아래와 같다. 측정 샘플로서는, 필름 폭방향 중앙부의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필름의 면적이 작은 등의 이유로 길이방향과 폭방향을 바로 특정할 수 없는 경우는, 임시로 길이방향과 폭방향을 정하여 측정하면 되고, 임시로 정한 길이방향과 폭방향이 진짜 방향에 대해 90도 다르다고 해도, 특별히 문제를 발생시키는 일은 없다.
[필름의 두께]
필름을 A4 사이즈(21.0 ㎝×29.7 ㎝)로 1장 잘라내어 시료로 하였다. 이 시료의 두께를 마이크로미터를 사용하여 장소를 바꿔 10점 측정하여, 두께(㎛)의 평균값을 구하였다.
[필름 전층에 포함되는 레이저 인자 안료의 종류, 양]
·Nd, Bi, Sb, Sn, P의 정량
시료 0.1 g을 마이크로웨이브 시료 분해장치(안톤파사 제조, Multiwavepro)의 테플론(등록상표) 용기에 정밀하게 칭량하여, 농질산 6 mL를 첨가하고, 전용 덮개, 외용기에 넣어 장치에 설치하였다. 장치 중에서 최종 200℃에서 60분간 가열처리를 행하였다. 그 후, 실온까지 냉각하여 처리액을 50 mL 디지튜브에 넣고, 처리 후의 테플론(등록상표) 용기를 초순수로 세정하면서 같은 튜브에 넣고, 50 mL 정용으로 하여, 측정 샘플을 준비하였다. 그 후, 처리액을 고주파 유도결합 플라즈마 발광분석장치(히타치 하이테크사이언스사 제조, SPECTROBLUE)로 측정하여, 목적 원소의 표준액으로 작성한 검량선에 의해 시료 중의 금속 원소량을 정량하였다. 시료 중의 원소 함유량을 A(ppm), 전처리액 중의 원소농도를 B(㎎/L), 공시험액 중의 원소농도(측정 블랭크)를 C(㎎/L)로 하고, 시료 0.1 g 중의 금속 원소량을 아래 식(2)에 의해 구하였다.
Figure pct00003
·기타 금속 원소의 정량
시료 0.1 g을 백금제 도가니에 칭량하여, 핫플레이트 상에서 400℃까지 예비 탄화를 행하였다. 그 후, 야마토 과학사 제조 전기로 모델 FO610을 사용하여, 550℃에서 8시간 회화처리를 실시하였다. 회화 후, 6.0 N의 염산을 3 mL 첨가하고, 핫플레이트 상에서 100℃로 산분해를 행하고, 염산이 완전히 휘발될 때까지 가열처리를 행하였다. 산분해 종료 후에, 1.2 N의 염산 20 mL를 사용하여 정용하였다. 그 후, 처리액을 고주파 유도결합 플라즈마 발광분석장치(히타치 하이테크사이언스사 제조, SPECTROBLUE)로 측정하여, 목적 원소의 표준액으로 작성한 검량선에 의해 시료 중의 금속 원소량을 정량하였다. 시료 중의 원소 함유량을 A(ppm), 전처리액 중의 원소농도를 B(㎎/L), 공시험액 중의 원소농도(측정 블랭크)를 C(㎎/L)로 하여, 시료 0.1 g 중의 금속 원소량을 아래 식(3)에 의해 구하였다.
Figure pct00004
[헤이즈]
JIS-K-7136에 준거하여, 헤이즈미터(닛폰 덴쇼쿠 공업 주식회사 제조, 300A)를 사용해서 측정하였다. 측정은 2회 행하여, 그 평균값을 구하였다.
[컬러 L*값]
분광식 색차계(닛폰 덴쇼쿠 주시획사 제조, ZE-6000)를 사용하여, 반사법에 의해 필름 샘플 1장으로 L*값을 측정하였다.
[길이방향의 두께 불균일]
필름을 길이방향 11 m×폭방향 40 ㎜의 롤형상으로 샘플링하고, 미크론 측정기 주식회사 제조의 연속 접촉식 두께계를 사용하여, 측정속도 5 m/min.로 필름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두께를 측정하였다(측정길이는 10 m). 측정 시의 최대 두께를 Tmax., 최소 두께를 Tmin., 평균 두께를 Tave.로 하고, 아래 식(4)로부터 필름 길이방향의 두께 불균일을 산출하였다.
Figure pct00005
[폭방향의 두께 불균일]
필름을 길이방향 40 ㎜×폭방향 500 ㎜의 폭이 넓은 띠형상으로 샘플링하고, 미크론 측정기 주식회사 제조의 연속 접촉식 두께계를 사용하여, 측정속도 5 m/min.로 필름 시료의 폭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두께를 측정하였다(측정길이는 400 ㎜). 측정 시의 최대 두께를 Tmax., 최소 두께를 Tmin., 평균 두께를 Tave.로 하고, 상기 식(4)로부터 필름 폭방향의 두께 불균일을 산출하였다.
[열수축률]
길이방향 및 폭방향에 대해 폭 10 ㎜, 길이 250 ㎜로 잘라내고, 200 ㎜ 간격으로 표시를 하여, 5 gf의 일정 장력하에서 표시의 간격(A)를 측정한다. 이어서, 필름을 무하중하의 상태로, 140℃에서 30분간 가열처리한 후, 5 gf의 일정 장력하에서 표시의 간격(B)를 측정하여, 식(5)로부터 열수축률을 구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구한 열수축률에 대해,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열수축률을 구하였다.
Figure pct00006
[레이저 조사에 의한 인자 평가(육안 관찰)]
필름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문자를 「0123456789」로 인자하고, 인자농도를 육안 관찰로 평가하였다. 인자기에는 파장 355 ㎚의 자외선(UV) 레이저 마커(MD-U1000, 키엔스사 제조)를 사용하여, 레이저 파워 40%, 스캔 스피드 1000 ㎜/초, 펄스 주파수 40 ㎑, 스폿 가변 -20의 조건에서 레이저를 조사하였다. 인자농도는 아래의 기준으로 판정하였다.
판정 ○  육안 관찰로 문자를 인식할 수 있다
판정 ×  육안 관찰로 문자를 인식할 수 없다
Figure pct00007
[필름의 제조조건과 평가결과]
실시예 1에서 7까지의 필름은 모두 표 2에 게재한 물성이 우수하여, 양호한 평가결과가 얻어졌다.
한편, 비교예 1∼4는 아래의 이유에 의해 모두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가 되었다.
비교예 1은 레이저 안료를 함유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레이저를 조사하더라도 인자되지 않았다.
비교예 2는 레이저 인자층의 두께가 113 ㎛로 두껍기 때문에, 헤이즈와 컬러 L*값이 소정의 범위를 초과해 버려, 포장체로서 사용하였을 때의 외관 적성에는 맞지 않게 되어 버렸다.
비교예 3은 레이저 안료의 농도가 0.3%로 높고, 금속(Bi)가 4200 ppm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에, 헤이즈와 컬러 L*값이 소정의 범위를 초과해 버릴 뿐 아니라, 폭방향의 두께 불균일이 25%를 초과해 버렸다. 비교예 3의 필름은 롤으로서 권취하였을 때도 두께 불균일의 좋지 않음에 기인한 주름이 발생해 버렸다.
비교예 4는 원료를 용융압출할 때에 교반기를 사용하지 않고, 전단속도가 낮은 조건으로 하였기 때문에, 길이방향의 두께 불균일이 악화되었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필름은, 높은 투명성을 갖고, 두께 불균일이 우수한, 레이저에 의한 선명한 인자가 가능한 필름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라벨 등의 용도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동시에 이 필름을 사용하여 직접 인자된 포장체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레이저 조사에 의한 인자가 가능한 층을 적어도 한층 가지고 있고,
    필름 전체층 중에 레이저 조사에 의한 인자를 가능하게 하는 안료가 100 ppm 이상 3000 ppm 이하로 포함되어 있으며, 헤이즈가 1% 이상 30% 이하이고,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 중 어느 한 방향에 있어서의 두께 불균일이 0.1% 이상 2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레이저 조사에 의한 인자를 가능하게 하는 안료가 금속을 함유하고, 그 금속으로서, 비스무트, 가돌리늄, 네오디뮴, 티탄, 안티몬, 주석, 알루미늄 중 어느 하나의 금속 단체 또는 금속 산화물 중 어느 하나가 적어도 1종류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레이저 조사에 의한 인자가 가능한 층의 두께가 5 ㎛ 이상 10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필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컬러 L*값이 90 이상 98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필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레이저 조사에 의한 인자가 가능한 층에 인접하는 적어도 한쪽 층에, 레이저 조사로 인자되지 않는 층을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필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 중 어느 한쪽에 있어서, 140℃ 열풍에 30분 폭로한 후의 열수축률이 -0.5% 이상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필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필름을 사용하고 있는 덮개재나 라벨을 포함하는 포장체.
  8. 제7항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분에 인자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KR1020227024262A 2019-12-20 2020-12-14 레이저 인자 가능한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포장체 KR202201190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229924 2019-12-20
JPJP-P-2019-229924 2019-12-20
PCT/JP2020/046564 WO2021125135A1 (ja) 2019-12-20 2020-12-14 レーザー印字可能な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9075A true KR20220119075A (ko) 2022-08-26

Family

ID=76477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4262A KR20220119075A (ko) 2019-12-20 2020-12-14 레이저 인자 가능한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포장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038115A1 (ko)
EP (1) EP4079519A4 (ko)
JP (2) JP7251662B2 (ko)
KR (1) KR20220119075A (ko)
CN (1) CN114846059B (ko)
TW (1) TW202140281A (ko)
WO (1) WO20211251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40075719A1 (en) * 2021-01-18 2024-03-07 Toyobo Co., Ltd. Laser-printed packag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2027A (ja) 2001-06-07 2002-12-18 Oji Paper Co Ltd 感熱記録ラベル
WO2014188828A1 (ja) 2013-05-20 2014-11-27 東罐マテリアル・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酸化ビスマス系レーザーマーキング用添加剤
JP2017196896A (ja) 2016-04-26 2017-11-0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レーザ印字用多層積層フィルム並びにそれよりなる包装体及び印字体
JP2017209847A (ja) 2016-05-24 2017-11-30 大阪シーリング印刷株式会社 感熱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97240B2 (en) * 1985-02-05 1990-05-31 Ciba-Geigy Ag Laser marking of pigmented systems
DE19630478A1 (de) * 1996-07-27 1998-01-29 Quarzwerke Gmbh Verfahren zur Laserbeschriftung von Folien
AUPO656397A0 (en) * 1997-05-01 1997-05-29 First Green Park Pty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tretch wrap plastic film
DE19905415A1 (de) * 1999-02-10 2000-08-17 Hoechst Trespaphan Gmbh Transparente biaxial orientierte Polyolefinfolie
DE60014530T2 (de) * 1999-07-27 2006-03-09 SKC Co., Ltd., Suwon Wärmeschrumpfbarer Polyesterfilm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JP2002052604A (ja) * 2000-08-09 2002-02-19 Teijin Ltd 化粧金属板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WO2002068192A1 (de) * 2001-02-26 2002-09-06 Trespaphan Gmbh Lasermarkierbares laminat
WO2003093008A1 (fr) * 2002-05-02 2003-11-13 Teijin Dupont Films Japan Limited Film lamelle a usage optique
JP4018929B2 (ja) * 2002-05-09 2007-12-05 三菱樹脂株式会社 熱収縮性ポリオレフィン系積層フィルム
JP4522655B2 (ja) * 2003-01-15 2010-08-1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積層材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包装用袋
JP2005060618A (ja) * 2003-08-19 2005-03-10 Toyobo Co Ltd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5239799A (ja) * 2004-02-25 2005-09-08 Toyobo Co Ltd 熱収縮性ポリオレフィン系フィルム
DE102006045495A1 (de) * 2006-09-27 2008-04-03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Laser-markierbare Folie
US20100203300A1 (en) * 2007-05-09 2010-08-12 Actega Ds Gmbh Use of Spherical Metal Particles as Laser Marking Additives for Sealing, Closure or Coating Materials or Paints Comprising Polymer, and also Laser-Markable Sealing, Closure or Coating Material or Laser-Markable Paint Comprising Polymer
JP6260265B2 (ja) * 2013-12-25 2018-01-17 味の素株式会社 レーザーマーキングが可能な樹脂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8883604B (zh) * 2016-04-01 2021-09-03 凸版印刷株式会社 阻气膜
JP6750291B2 (ja) * 2016-04-28 2020-09-0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レトルト処理用包材として使用するためのレーザ印字用多層積層フィルム、並びにそれよりなる包装体及び印字体
JP6785322B2 (ja) * 2017-01-30 2020-11-18 株式会社ユポ・コーポレーション 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及び粘着ラベル
EP3594275A4 (en) * 2017-03-10 2021-01-20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MOVIE
WO2019187578A1 (ja) * 2018-03-28 2019-10-03 大日精化工業株式会社 レーザーマーキング用インキ組成物及び包装材
WO2021215348A1 (ja) * 2020-04-24 2021-10-28 東洋紡株式会社 レーザー印字された表示材料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2027A (ja) 2001-06-07 2002-12-18 Oji Paper Co Ltd 感熱記録ラベル
WO2014188828A1 (ja) 2013-05-20 2014-11-27 東罐マテリアル・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酸化ビスマス系レーザーマーキング用添加剤
JP2017196896A (ja) 2016-04-26 2017-11-0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レーザ印字用多層積層フィルム並びにそれよりなる包装体及び印字体
JP2017209847A (ja) 2016-05-24 2017-11-30 大阪シーリング印刷株式会社 感熱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25135A1 (ja) 2021-06-24
EP4079519A4 (en) 2024-01-17
US20230038115A1 (en) 2023-02-09
JP7456531B2 (ja) 2024-03-27
JP2023081940A (ja) 2023-06-13
CN114846059A (zh) 2022-08-02
TW202140281A (zh) 2021-11-01
JP7251662B2 (ja) 2023-04-04
JPWO2021125135A1 (ko) 2021-06-24
CN114846059B (zh) 2024-04-26
EP4079519A1 (en) 2022-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68863B2 (en) Non-chemical thermally printable film
CN114502480B (zh) 能够激光印字的膜及使用了该膜的包装体
JP7456531B2 (ja) レーザー印字可能な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体
EP3040197A1 (en) Easily peelable laminate film, easily peelable laminate label, high-concealment easily peelable laminate film, and high-concealment easily peelable laminate label
EP4140755A1 (en) Display material on which laser printing is performed and packaging body using same
JP6184823B2 (ja) 樹脂延伸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樹脂延伸フィルムを用いた積層体
WO2021125136A1 (ja) レーザー印字可能な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体
WO2022080211A1 (ja) レーザー印字された表示体および包装体
KR20230159405A (ko) 레이저 인자된 포장체
KR20230157359A (ko) 레이저 인자된 적층 표시체
US20240075719A1 (en) Laser-printed packaging
EP4328895A1 (en) Laser-printed in-mold lab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