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8448A - 개선된 운송 비히클 리프팅 장치를 구비하는 랙 적재 시스템 - Google Patents

개선된 운송 비히클 리프팅 장치를 구비하는 랙 적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8448A
KR20220118448A KR1020227023086A KR20227023086A KR20220118448A KR 20220118448 A KR20220118448 A KR 20220118448A KR 1020227023086 A KR1020227023086 A KR 1020227023086A KR 20227023086 A KR20227023086 A KR 20227023086A KR 20220118448 A KR20220118448 A KR 20220118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guide
lift
loading
guide t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3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한네스 샤우어
슈테판 그뤼크
토마스 빔머
Original Assignee
티쥐더블유 메카닉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쥐더블유 메카닉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티쥐더블유 메카닉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20118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84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07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 B65G1/0435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with pulling or pushing means on either stacking crane or stacking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92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cars adapted to travel in storage ais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 B65G1/1373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for fulfilling orders in wareho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6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means for presenting articles for removal at predetermined position or level
    • B65G1/065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means for presenting articles for removal at predetermined position or level with self propelled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5Position control; Position detectors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적재 랙(2a)과 제2 적재 랙(2b), 적재 랙들 사이에 적재 통로(3), 각 경우에서 서로의 상부에 위치하는 구동 평면들에 쌍으로 배치되는 랙 가이드 트랙(4a, 4b), 랙 통로에서 랙 가이드 트랙을 따라 변위될 수 있는 운송 비히클(5), 수직으로 연장하는 가이드 프레임(59)을 구비하는 운송 비히클 리프팅 장치(6) 및 리프트 드라이브에 의해 조정될 수 있도록 그 위에 장착된 리프트 프레임(60)을 포함하며, 리프트 프레임(60) 위에 랙 가이드 트랙이 배치되고, 랙 가이드 트랙에 대해 위치가 설정될 수 있는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a, 110b)을 포함하고, 이에 의해 운송 비히클이 구동 평면들 사이에서 운송될 수 있는 랙 적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수직 제1 가이드 프로파일(112a) 및 수직 제2 가이드 프로파일(112b)은 랙 가이드 트랙에 연결된다. 제1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a) 및 제2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b)은 가이드 장치에 의해 랙 가이드 트랙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리프트 프레임에 장착된다. 제1 리프트 가이드 트랙은 제1 커플링 장치(111a)에 의해 제1 가이드 프로파일에 결합되고, 제2 리프트 가이드 트랙은 제2 커플링 장치(111b)에 의해 제2 가이드 프로파일에 결합된다.

Description

개선된 운송 비히클 리프팅 장치를 구비하는 랙 적재 시스템
본 발명은 청구항 1 및 청구항 22의 전제부에 기재된 단위 적재물용 랙 적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EP 2 673 220 A1호 및 EP 2 673 218 A1호는 다음을 포함하는 랙 적재 시스템을 개시한다.
- 서로의 상부에 위치한 적재 평면에서 서로 나란히 배열되는 단위 적재물을 위한 적재 장소가 있는 제1 적재 랙,
- 서로의 상부에 위치한 적재 평면에서 서로 나란히 배열되는 단위 적재물을 위한 적재 장소가 있는 제2 적재 랙,
- 제1 적재 랙과 제2 적재 랙 사이의 랙 통로,
- 제1 적재 랙과 제2 적재 랙에 부착되어 각각의 경우에서 서로의 상부에 위치한 주행 평면들에 쌍으로 배치되는 랙 가이드 트랙,
- 단위 적재물을 적재 장소에 적재하고 적재 장소에서 회수하기 위해 랙 가이드 트랙을 따라 랙 통로에서 변위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자동 운송 비히클, 및
- 수직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프레임 및 리프트 드라이브에 의해 조정 가능하도록 그 위에 장착된 수용 장치를 갖는 운송 비히클 리프팅 장치로, 이 수용 장치는 랙 가이드 트랙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랙 가이드 트랙에 대해 위치할 수 있는 리프트 가이드 트랙을 포함하며, 이를 통해 운송 비히클이 주행 평면들 사이에서 운송될 수 있는 운송 비히클 리프팅 장치.
FR 2 710 330 A1호, DE 2 113 202 A1호, EP 1 716 060 B1호 및 DE 10 2009 032 406 A1호는 주행 평면들 사이에서 운송 비히클을 운송하기 위한 운송 비히클 리프팅 장치가 제공되는 랙 적재 시스템을 개시한다.
EP 2 673 220 A1호, EP 2 673 218 A1호, FR 2 710 330 A1호, DE 2 113 202 A1호 및 EP 1 716 060 B1호에 따르면, 운송 비히클 리프팅 장치는 랙 통로 앞에 고정 배치되고, DE 10 2009 032 406 A1호에 따른 실시형태는 랙 적재 측면을 따라 변위 가능하고, 운송 비히클이 랙 통로들 사이에서 재배치 가능한 운송 비히클 리프팅 장치를 구비한다.
이러한 운송 비히클 리프팅 장치는 각 랙 통로에 대해 주행 평면들보다 적은 운송 비히클이 있는 경우에 주로 사용된다.
이들 공지의 랙 적재 시스템에서는, 매우 좁은 허용 오차 표준을 준수하여 장착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이것은 노력이 필요하고 비용이 많이 든다. 더 넓은 허용 오차가 허용되는 경우, 적재 랙 상의 랙 가이드 트랙과 운송 비히클 리프팅 장치 상의 리프트 가이드 트랙 사이의 간격 거리는 들어 올리고 내릴 수 있는 수용 장치의 전체 조정 영역에 걸쳐 상당히 심하게 변할 수 있고 및/또는 리프트 가이드 트랙의 제1 리프트 가이드 트랙을 구비하는 들어올리고 내릴 수 있는 수용 장치가 랙 가이드 트랙의 제1 랙 가이드 트랙에 대해 위치하는 경우에 적재 랙 상의 랙 가이드 트랙의 제2 랙 가이드 트랙과 주행 평면에서 운송 비히클 리프팅 장치 상의 리프트 가이드 트랙의 제2 리프트 가이드 트랙 사이의 오프셋이 방지되기 어렵게 될 수 있다. 이는 작동 중 심각한 오류로 이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랙 적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랙 가이드 트랙으로부터 운송 비히클 리프팅 장치의 수용 장치의 리프트 가이드 트랙으로 또는 그 반대로 운송 비히클의 안정적인 이송이 가능해진다. 특히 운송 시간도 최적화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이드 프레임과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1 적재 랙 상의 랙 가이드 트랙에 연결되는 제1 가이드 프로파일이 제공되고, 가이드 프레임과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2 적재 랙 상의 랙 가이드 트랙에 연결되는 제2 가이드 프로파일이 제공되고, 리프트 가이드 트랙들 중 제1 리프트 가이드 트랙은 제1 가이드 장치에 의해 (고정된) 랙 가이드 트랙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에 따라 랙 통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리프트 프레임 상에 장착되고, 제1 커플링 장치를 통해 제1 가이드 프로파일에 연결되고, 리프트 가이드 트랙들 중 제2 리프트 가이드 트랙은 제2 가이드 장치에 의해 (고정된) 랙 가이드 트랙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에 따라 랙 통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리프트 프레임 상에 장착되고, 제2 커플링 장치를 통해 제2 가이드 프로파일에 연결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제1 가이드 프로파일은 제1 적재 랙 상의 랙 가이드 트랙에 연결되고, 제2 가이드 프로파일은 제2 적재 랙 상의 랙 가이드 트랙에 연결된다.
제1 리프트 가이드 트랙과 (수직) 제1 가이드 프로파일 사이의 결합으로 인해, 제1 리프트 가이드 트랙("플로팅" 방식으로 장착됨)은 제1 가이드 프로파일의 길이 방향 연장부를 따를 수 있다. 제2 리프트 가이드 트랙과 (수직) 제2 가이드 프로파일 사이의 결합으로 인해, 제2 리프트 가이드 트랙("플로팅" 방식으로 장착됨)은 제2 가이드 프로파일의 길이 방향 연장부를 따를 수 있다.
제1 랙 가이드 트랙 및 제2 랙 가이드 트랙의 장착은 종래 기술에서 알려진 것보다 훨씬 덜 정교하다. 이것은 주로 주행 평면에서 서로의 상단에 배열된 제1 랙 가이드 트랙의 단부 에지의 정확하게 정렬된 배향과, 서로의 상단에 배열된 제2 랙 가이드 트랙의 단부 에지의 정확하게 정렬된 배향에 대한 요구 사항이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그러하다.
이러한 조치에 의해, 서로 마주하는 랙 가이드 트랙의 단부 에지와 리프트 가이드 트랙 사이의 간격 거리는 들어올리고 내일 수 있는 수용 장치의 전체 조정 영역에 걸쳐 본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제조 공차 및/또는 장착 관련 불일치는 간격 거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온도 변동으로 인해 리프트 가이드 트랙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랙 가이드 트랙에서 길이 변화가 발생하더라도 제1 가이드 프로파일과 제2 가이드 프로파일이 "따라 이동"하고, 제1 가이드 프로파일의 길이 방향 연장부와 제2 가이드 프로파일의 길이 방향 연장부도 조정된다. 이러한 불리한 상황에서도, 제1 리프트 가이드 트랙과 (수직) 제1 가이드 프로파일 사이의 결합으로 인해 및/또는 제2 리프트 가이드 트랙과 제2 가이드 프로파일 사이의 결합으로 인해 제1/제2 리프트 가이드 트랙이 제1/제2 가이드 프로파일의 변경된 길이 방향 연장부를 따르기 때문에, 갭 거리는 본질적으로 변하지 않는다.
이는 랙 적재 시스템의 성능에 특히 유리한 영향을 미친다. 운송 비히클은 이로 인한 주행 휠의 마모 증가를 수용하지 않고, 고속으로 거리 간격에 걸쳐 주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리프트 가이드 트랙 및 제2 리프트 가이드 트랙은 랙 가이드 트랙과 평행한 방향(따라서 랙 통로 방향)으로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리프트 프레임에 장착된다.
이 조치에 의해, 서로 마주하는 제1 랙 가이드 트랙의 단부 에지와 제1 리프트 가이드 트랙 사이의 간격 거리는 승강 및 하강 가능 수용 장치의 전체 조정 영역에 걸쳐 본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고, 제2 랙 가이드 트랙의 단부 에지와 제2 리프트 가이드 트랙 사이의 간격 거리는 본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것은 각각의 주행 평면에서 서로 옆에 배열된 제1 랙 가이드 트랙 및 제2 랙 가이드 트랙의 단부 에지들의 정확한 배향에 대한 요구가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유리한 것으로 입증된다.
더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운송 비히클 리프팅 장치는 제1 수용 장치 및 제2 수용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중 제1 수용 장치는 제1 리프트 프레임에 의해 가이드 프레임에 장착되고, 제2 수용 장치는 제2 리프트 프레임에 의해 가이드 프레임에 장착된다. 제1 리프트 프레임은 제1 리프트 드라이브에 의해 조정 가능하고, 제2 리프트 프레임은 제2 리프트 드라이브에 의해 조정 가능하다. 제어 유닛은 제1 리프트 프레임과 제2 리프트 프레임이 충돌하지 않도록 제1 리프트 구동 및 제2 리프트 구동을 제어한다. 제1 수용 장치 및 제2 수용 장치는 바람직하게 전술한 바와 같이 설계되고, 각각은 제1/제2 커플링 장치에 의해 제1 가이드 프로파일 및 제2 가이드 프로파일에 결합되는 제1 리프트 가이드 트랙 및 제2 리프트 가이드 트랙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개선에 따르면, 제1 커플링 장치는 홀더 및 그 위에 장착되어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 가이드 휠을 포함하고, 가이드 휠은 서로 멀어지는 가이드 평면 위의 제1 가이드 프로파일 위에서 구를 수 있는 방식으로 안착되며, 그리고 제2 커플링 장치는 홀더 및 그 위에 장착되어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 가이드 휠을 포함하고, 가이드 휠은 서로 멀어지는 가이드 평면 위의 제2 가이드 프로파일 위에서 구를 수 있는 방식으로 안착된다.
제1 가이드 프로파일은 가이드 섹션을 포함하며, 가이드 섹션에는 서로 떨어져 있는 가이드 평면이 형성된다. 가이드 섹션은 바람직하게는 랙 통로에 수직으로 배향된 수직 가이드 평면에서 연장된다.
제2 가이드 프로파일은 가이드 섹션을 포함하고, 가이드 섹션에는 서로 떨어져 있는 가이드 평면이 형성된다. 가이드 섹션은 바람직하게는 랙 통로에 수직으로 배향된 수직 가이드 평면에서 연장된다.
이로 인해, 제1 커플링 장치 및 제2 커플링 장치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이는 장기간에 걸쳐 그리고 외부 에너지 없이 안정적으로 작동한다.
유리한 설계에 따르면, 가이드 프레임은 가이드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리프트 드라이브는 리프팅 모터 및 견인 드라이브를 포함하고, 리프트 프레임은 견인 드라이브에 결합되고 가이드 롤러에 의해 가이드 어셈블리에 장착된다.
이러한 구조는 안정적인 작동이 특징이다.
가이드 프레임이 개방형 프로파일 단면을 가지되, 프로파일 단면이 프로파일 베이스, 이로부터 돌출하는 프로파일 림, 및 프로파일 림의 자유 단부에 비스듬한 장착 림을 포함하며, 장착 림 위에서 가이드 프레임이 제1 적재 랙 또는 제2 적재 랙에 고정되면 유리할 수 있다.
프로파일 단면은 특히 C자형(장착 림이 안쪽으로 구부러진 상태) 또는 장착 림이 바깥쪽을 향하는, 특히 바깥쪽으로 구부러진 U자형일 수 있다. 개방형 설계로 인해 가이드 프레임의 연장부에 쉽게 접근할 수 있어서, 운송 비히클 리프팅 장치의 생산뿐만 아니라 유지 보수가 더 쉬워진다. 또한, 재료 사용량이 적고 무게도 최소화되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 기술적인 노력을 거의 들이지 않고도 쉽게 장착할 수 있으며, 운송비용도 저렴해진다.
다음과 같은 경우에도 유리하다.
- 제1 랙 가이드 트랙이 운송 비히클 리프팅 장치에 인접한 단부에 장착 섹션을 형성하고, 장착 섹션에는 제1 랙 가이드 트랙의 단부 에지로부터 간격을 두고 미리 제작된 통로 개구가 제공되고,
- 제1 가이드 프로파일은 일련의 미리 제작된 통로 개구를 형성하고,
- 제1 랙 가이드 트랙과 제1 가이드 프로파일은 통로 개구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수단, 특히 나사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 제2 랙 가이드 트랙은 운송 비히클 리프팅 장치에 인접한 단부에 장착 섹션을 형성하고, 장착 섹션에는 제2 랙 가이드 트랙의 단부 에지로부터 간격을 두고 미리 제작된 통로 개구가 제공되고,
- 제2 가이드 프로파일은 일련의 조립식 통로 개구를 형성하고,
- 제2 랙 가이드 트랙과 제2 가이드 프로파일은 통로 개구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수단, 특히 나사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제1 랙 가이드 트랙에서 통로 개구는 제1 랙 가이드 트랙의 단부 에지 간격을 두고 미리 결정된 (좁은) 공차 내에서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통로 개구는 길이 방향 축이 제1 가이드 프로파일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긴 구멍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장착하는 동안 제1 가이드 프로파일은 제1 랙 가이드 트랙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후속적으로 제1 랙 가이드 트랙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랙 가이드 트랙의 통로 개구는 제2 랙 가이드 트랙의 단부 에지 간격을 두고 미리 결정된 (좁은) 공차 내에서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통로 개구는 길이방향 축이 제2 가이드 프로파일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긴 구멍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장착하는 동안 제2 가이드 프로파일은 제2 랙 가이드 트랙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후에 제2 랙 가이드 트랙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프로파일은 한 줄의 통로 개구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제2 가이드 프로파일은 한 줄의 통로 개구를 포함한다. 열의 통로 개구들은 원하는 그리드 거리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장착 위치 선택의 유연성을 증가시킨다. 특히, 한 줄의 통로 개구는 기준선 위에 일정한 거리로 제공된다. 장착 위치의 높은 가변성이 제공되어야 하는 경우, 그리드 거리만 더 작게 선택해야 한다. 이러한 통로 개구는 예를 들어 원형-원통형 구멍이다.
언급된 통로 개구는 사전에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큰 설치 노력 없이 설치 현장에서 제1 랙 가이드 트랙/제1 가이드 프로파일 및 제2 랙 가이드 트랙/제2 가이드 프로파일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랙 가이드 트랙의 하나의 통로 개구 및 제1 가이드 프로파일의 일 열의 통로 개구들 중 적어도 하나의 통로 개구/제2 랙 가이드 트랙의 하나의 통로 개구 및 제2 가이드 프로파일의 일 열의 통로 개구들 중 적어도 하나의 통로 개구는 언급된 통로 개구들이 연결 수단, 특히 나사에 의해 관통될 수 있도록 서로에 대해 배향되어야 한다.
제1 랙 가이드 트랙/제2 랙 가이드 트랙 및 제1 가이드 프로파일/제2 가이드 프로파일은 공장에서 사전 제작될 수 있으며, 설치 현장에서 후처리가 생략될 수 있다.
유리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구성이 제공될 수 있다.
리프트 드라이브는 주행 평면 위에서 랙 가이드 트랙에 대해 리프트 가이드 트랙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해 제1 위치설정 시스템과 협력하는 리프팅 모터를 포함하고,
리프트 가이드 트랙들 중 하나는 조정 장치에 의해 주행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조정 가능하도록 리프트 프레임에 장착되고, 조정 장치는 작동 모터를 포함하며, 이는 위치설정 시스템과 협력하여 주행 평면들 중 하나의 랙 가이드 트랙들 중 하나에 대해 언급된 리프트 가이드 트랙을 위치시킨다.
일반적으로, 제1 랙 가이드 트랙 및 제2 랙 가이드 트랙에 대한 수용 장치의 높이 위치 설정은 리프트 드라이브에 의해 수행된다. 그러나 예를 들어 적재 랙 배치로 인해 작동 중 랙 가이드 트랙의 높이 변화가 예상되는 경우, 위치 설정이 여전히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리프트 가이드 트랙들 중 하나가 주행 평면의 높이에서 제1 및 제2 랙 가이드 트랙들 중 하나에 대해 배향될 수 있는 "미세한 위치설정 시스템"이 추가로 제공되면 유리한다.
특히, 제1 리프트 가이드 트랙이 제1 랙 가이드 트랙들 중 하나에 대해 배향되도록, 리프트 드라이브에 의해 수용 장치가 제1 랙 가이드 트랙 및 제2 랙 가이드 트랙에 대해 배치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어서, 제2 리프트 가이드 트랙은 제2 리프트 가이드 트랙이 제2 랙 가이드 트랙들 중 하나에 대해 배향되도록 제1 리프트 가이드 트랙과 독립적으로 조정 장치에 의해 위치가 설정된다.
제1 리프트 가이드 트랙이 제1 랙 가이드 트랙에 대해 배향되고, 제2 리프트 가이드 트랙은 제2 랙 가이드 트랙에 대해 배향된다면, 자동화된 방식으로 작동되는 운송 비히클은 이 주행 평면 위의 수용 장치로 이동될 수 있거나 또는 자동화된 방식으로 작동되는 운송 비히클이 수용 장치로부터 이 주행 평면 위의 랙 통로로 이동할 수 있다.
특히, 제1 리프트 가이드 트랙이 리프트 드라이브에 의한 보상 치수만큼 제1 랙 가이드 트랙보다 높게 배향되고, 제2 리프트 가이드 트랙이 조정 장치에 의해 보상 치수만큼 제2 랙 가이드 트랙보다 높게 배향되는 경우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보상 치수(compensation dimension)는 적재되지 않은 운송 비히클 또는 적재된 운송 비히클의 중량 힘(weight force)을 고려한다. 컨트롤러는 그에 따라 리프트 구동 및 조정 장치를 제어하는 중량 힘에 기초하여 보상 치수 및/또는 높이 보상 계수를 계산하도록 구성된다. 운송 비히클이 리프트 가이드 트랙 위로 주행하자마자, 제1 랙 가이드 트랙과 제1 리프트 가이드 트랙뿐만 아니라 제2 랙 가이드 트랙과 제2 리프트 가이드 트랙이 대응하는 주행 평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정확하게 위치한다. 매우 역동적이고 특히 부드러운 방식으로 운송 비히클이 수용 장치 위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운송 비히클 리프팅 장치가 리프트 프레임 및/또는 수용 장치 아래에 고정적으로 배치되는 에너지 흡수 변형 장치를 포함하는 경우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견인 드라이브가 고장 나고(예를 들어, 견인 드라이브의 견인 수단이 찢어짐), 리프트 프레임에 안전 브레이크가 할당되지 않거나 리프트 프레임용 안전 브레이크가 충분히 신속하게 반응하지 않는 경우에, 운송 비히클 리프팅 장치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견인 프레임이 견인 구동 실패 시 안전 브레이크의 지연 시간 또는 적용 시간에 해당하는 높이 아래에 위치하면 안전 브레이크가 완전히 작동하지 않는다. 견인 수단이 찢어지는 시점에서 리프트 프레임이 최대 속도로 하강하는 경우 문제는 더욱 심하게 드러난다. 그러나 변형 장치의 도움으로 리프트 프레임의 충돌이 상당히 완화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변형 장치는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유압 댐퍼보다 구조적인 높이가 낮다. 따라서 정상 작동 중에 리프트 프레임은 예를 들어 유압 댐퍼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더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에너지-흡수 변형 장치가 다음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유리하다.
- 수용 장치용 충격 표면이 있는 힘 분배 플레이트,
- 힘 분배 플레이트 아래에서 힘이 가해질 때 소성 변형될 수 있는 하니컴 바디로, 리프트 프레임 및/또는 수용 장치가 힘 분배 플레이트와 충돌할 때 발생하는 충격 에너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흡수하는, 하니컴 바디.
- 변형 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하니컴 바디 아래에 장착 플레이트.
리프트 프레임은 수직 돌출부의 표면이 작거나 오히려 리프트 프레임과 변형 장치 사이의 접촉 표면이 작다. 힘 분배 플레이트로 인해, 리프트 프레임의 충돌 시 발생하는 힘은 여전히 하니컴 바디에 고르게 도입되고 하니컴 바디는 고르게 변형된다. 일반적으로 리프트 프레임 위에 힘 분배 플레이트를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수용 장치 및/또는 리프트 프레임의 이동 질량을 최소로 유지하기 위해, 힘 분배 플레이트를 하니컴 바디에 고정된 방식으로 장착하는 것이 유리하다. 바람직하게는, 힘 분배 플레이트는 하니컴 바디에 특히 접착 방식으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장착 플레이트는 또한 하니컴 바디에 특히 접착 방식으로 연결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하니컴 바디의 공동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다.
하니컴 구조는 바람직한 강성-대-부피 비율 및/또는 유리한 강성-대-중량 비율을 초래한다. 이는 높은 수준의 에너지 흡수에도 불구하고 변형 시 변형체가 작고 및/또는 경량임을 의미한다. 이로 인해 구조적 높이가 낮은 변형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바닥 높이 바로 위까지 리프트 프레임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일반적으로 하니컴 바디의 구조 높이의 약 75%를 충격 완화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변형체의 압축 거동도 벌집 구조의 영향을 잘 받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것은 또한 생산 및 교체 비용을 저렴하게 한다.
또한 운송 비히클 리프팅 장치에 인접한 랙 통로 끝에 그리고 각 주행 평면 내에, 운송 비히클의 이동 경로로 이동된 정지 위치와 운송 비히클의 이동 경로에서 벗어난 해제 위치 사이에서 각각이 이동할 수 있는 단부 정지 버퍼를 포함하는 정지 장치가 제공되는 경우에도 유리할 수 있다.
각 주행 평면에서, 랙 통로 끝에 정지 장치가 제공된다. 고정 단부 정지 버퍼가 있는 제1 스톱 장치가 운송 비히클 리프팅 장치와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랙 통로 끝에 배치되는 반면, 정지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단부 정지 버퍼가 있는 제2 스톱 장치는 운송 비히클 리프팅 장치를 향하는 랙 통로 끝에 제공된다. 주행 평면의 운송 비히클이 운송 비히클 리프팅 장치의 수용 장치 위에서 인계되거나 수용 장치에서 랙 통로로 이송되는 경우, 단부 정지 버퍼가 정지 위치에서 해제 장치로 이동된다. 해제 위치에서, 운송 비히클은 제2 정지 장치를 지나갈 수 있다. 운송 비히클이 완전히 수용 장치 상에 있거나, 완전히 랙 통로 안에 있는 경우, 단부 정지 버퍼는 운송 비히클이 차단될 수 있는 정지 위치로 다시 이동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정지 장치는 예를 들어 운송 비히클이 적절하게 감속하지 않고 정지 장치들 중 하나에 대하여 주행할 수 있는 경우와 같이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만 유효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유리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각각의 단부 정지 버퍼는 선회 가능한 플랩에 배열되고, 플랩의 선회 축은 랙 통로와 평행하게 연장된다. 정지 장치는 고정되어 있지만, 단부 정지 버퍼는 선회 가능한 플랩에 배치된다. 따라서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공간 절약형 장치가 달성된다.
리프트 프레임 및/또는 수용 장치의 랙 통로에 인접한 측면에 작동 장치가 제공되는 경우에도 유리할 수 있다. 이 작동 장치는 제1 작동 요소 및 제2 작동 요소를 포함한다. 제1 작동 요소는 단부 정지 버퍼들 중 제1 단부 정지 버퍼에 할당되고, 이에 의해 제1 단부 정지 버퍼는 운송 비히클의 이동 경로 내로 이동된 정지 위치로부터 운송 비히클의 이동 경로를 벗어나 이동된 해제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제2 작동 요소는 단부 정지 버퍼들 중 제2 단부 정지 버퍼에 할당되고, 이를 통해 제2 단부 정지 버퍼는 운송 비히클의 이동 경로 내로 이동된 정지 위치로부터 운송 비히클의 이동 경로를 벗어나 이동된 해제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작동 장치의 단부 정지 버퍼가 원격으로 작동되도록, 작동 장치는 운송 비히클 리프팅 장치에 배열된다. 하나의 구동 모터가 제1 작동 요소를 작동시키고, 하나의 구동 모터가 제2 작동 요소를 작동시키면 충분한다. 그러나 구동 모터들이 각 주행 평면의 제1 단부 정지 버퍼와 제2 단부 정지 버퍼에 할당될 필요는 없다. 제1/제2 단부 정지 버퍼의 구조와 제어는 매우 간단하다.
제1 작동 요소가 제1 선회 레버를 구비하되, 그 선회 축이 랙 통로와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2 작동 요소는 제2 선회 레버를 구비하되, 그 선회 축이 랙 통로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이 유리할 수도 있다.
선회 동작으로 짧은 위치 설정 시간과 안정적인 전환 기능이 가능하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작동 요소는 제1 구동 모터와 결합되고, 제2 작동 요소는 제2 구동 모터와 결합된다.
이로 인해, 제1 작동 요소 및 제2 작동 요소는 서로 독립적으로 스위칭될 수 있다. 이는, 리프트 가이드 트랙들 중 하나가 청구항 6에 기술된 바와 같이 주행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조정 장치에 의해 조절 가능하도록 리프트 프레임에 장착되는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의 설계에 따르면, 제1 작동 요소가 제1 리프트 가이드 트랙에 장착되고 및/또는 제2 작동 요소가 제2 리프트 가이드 트랙에 장착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것은, 리프트 가이드 트랙들 중 하나가 청구항 6에 기술된 바와 같이 주행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조정 장치에 의해 조절 가능하도록 리프트 프레임에 장착되는 경우 특히 유리하다. 이는 언급된 리프트 가이드 트랙이 주행 평면에 수직으로 조정되면, 리프트 가이드 트랙 위에 장착된 작동 요소도 함께 이동하기 때문이다. 이는 주행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조정을 한 후에도, 최적의 스위칭 기능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리프트 프레임/수용 장치에는 랙 통로로부터 멀어지는 면에 제1 단부 정지 버퍼 및 제2 단부 정지 버퍼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들 중 제1 단부 정지 버퍼는 제1 리프트 가이드 트랙에 할당되고, 운송 비히클의 주행 경로로 이동된 정지 위치와 운송 비히클의 주행 경로 밖으로 이동된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며, 제2 단부 정지 버퍼는 제2 리프트 가이드 트랙에 할당되고, 운송 비히클의 주행 경로로 이동된 정지 위치와 운송 비히클의 주행 경로 외부로 이동된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운송 비히클이 수용 장치 위로 이동되면, 운송 비히클은 제1 단부 정지 버퍼 및 제2 단부 정지 버퍼에 대항하여 주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운송 비히클은 제1 단부 정지 버퍼와 제2 단부 정지 버퍼에 도달하기 전에 정지한다. 그러나 질량 관성으로 인해 제 시간에 감속되지 않으면 운송 비히클이 제1 단부 정지 버퍼와 제2 단부 정지 버퍼에 대항하여 주행하는 경우가 절대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그렇긴 하지만, 제1 단부 정지 버퍼와 제2 단부 정지 버퍼는 운송 비히클을 수용 장치에서 (추가) 버퍼링 시스템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운송 비히클의 이동 경로 밖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이러한 버퍼링 시스템의 다른 실시형태는 예를 들어 EP 2 673 219 B1호에 설명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수용 장치는 운송 비히클이 수용 장치에서 버퍼링 시스템으로 또는 그 반대로 이동되는 트랜스퍼 평면으로 조정된다. 이에 앞서, 제1 단부 정지 버퍼 및 제2 단부 정지 버퍼는 바람직하게는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정지 위치에서 해제 위치로 이동된다. 제1 단부 정지 버퍼와 제2 단부 정지 버퍼가 해제 위치에 있는 경우, 운송 비히클은 해제 위치와 버퍼링 시스템 사이에서 자동화된 방식으로 또는 수동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단부 정지 버퍼가 제1 리프트 가이드 트랙에 장착되고 및/또는 제2 단부 정지 버퍼가 제2 리프트 가이드 트랙에 장착되면 유리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것은, 리프트 가이드 트랙들 중 하나가 청구항 6에 기술된 바와 같이 주행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액추에이터에 의해 조절 가능하도록 리프트 프레임에 장착되는 경우 특히 유리하다. 이는, 언급된 리프트 가이드 트랙이 주행 평면에 수직으로 조정되면, 리프트 가이드 트랙 위에 장착된 단부 정지 버퍼도 함께 이동하기 때문이다.
제1 단부 정지 버퍼가 제1 선회 레버를 구비하되, 그 선회 축이 랙 통로와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2 단부 정지 버퍼가 제2 선회 레버를 구비하되, 그 선회 축이 랙 통로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경우에 특히 단순한 설계가 가능하다.
선회 동작으로 위치 설정 시간을 짧게 하고, 전환 기능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리프트 가이드 트랙이 러닝 표면 및 그 주행 표면에 오목한 방식으로 배열된 위치설정 개구를 구비하되, 이 위치설정 개구는 랙 통로에서 멀어지는 단부 영역에 배열되고, 운송 비히클이 수용 장치에 위치될 때, 위치설정 개구 내에 운송 비히클의 제1 비히클 측에 배치된 주행 휠이 부분 섹션으로 위치하면, 바람직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위치설정 개구로 인해, 주행 휠들 중 하나의 "잠금"이 가능하고 리프트 프레임의 조정 이동 중에 운송 비히클은 상대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추가적인 기계적 노력 없이 "잠금"이 발생할 수 있다. 운송 비히클이 수용 장치 위로 이동되면, 주행 휠이 리프트 가이드 트랙 상에서 구르며, 운송 비히클이 수용 장치에 있는 경우 주행 휠들 중 하나가 위치설정 개구에 위치된다. 운송 비히클은 주행 휠들 중 하나의 주행 휠과 함께 수용 장치에 대해 제1 비히클 측에 x-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1 리프트 가이드 트랙은 러닝 표면과 러닝 표면에 오목한 방식으로 배열된 제1 위치설정 개구를 구비하되, 제1 위치설정 개구는 랙 통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단부 영역에 배치되고, 운송 비히클의 제1 비히클 측 위에 배치된 러닝 휠들 중 하나는 운송 비히클이 수용 장치 상에 위치할 때 부분 섹션으로 위치하고, 또한 러닝 표면에 오목한 방식으로 배열된 제2 위치설정 개구를 구비하되, 제2 위치설정 개구는 랙 통로에 인접한 단부 영역에 배치되고, 운송 비히클의 제1 비히클 측 위에 배치된 러닝 휠들 중 하나는 운송 비히클이 수용 장치 상에 위치할 때 부분 섹션으로 위치하는 것도 상정할 수 있다.
제2 리프트 가이드 트랙이 러닝 표면과, 러닝 표면 위에 상호 거리를 두고 배열된 슬라이드 라이닝을 갖고, 운송 비히클이 수용 장치 상에 위치할 때, 운송 비히클의 제2 비히클 측에 배열된 주행 휠들이 슬라이드 라이닝 위에 놓이도록 하는 것도 유리한다.
운송 비히클은 제1 비히클 측의 적어도 하나의 러닝 휠에 의해 수용 장치에 "고정"될 수 있지만, 제2 비히클 측의 러닝 휠은 활주할 수 있다. 이것은, 리프트 프레임이 높은 조정 속도로 더 긴 조정 경로를 가로질러 이동되고, 리프트 가이드 트랙이 커플링 장치로 인해 랙 통로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이동될 때 특히 유리하다. 이러한 중첩 작동 이동 중에 리프트 프레임/수용 장치에 진동이 도입되면, 제2 비히클 측의 러닝 휠이 제2 리프트 가이드 트랙에 대해 "활주(glide)"할 수 있다. 제2 비히클 측에 러닝 휠의 부착이 방지되어 진동의 경우에도 운송 비히클은 제1 리프트 가이드 트랙 및 제2 리프트 가이드 트랙의 길이 방향 연장부를 가로질러 급격하게 시프트 되는 것을 경험하지 않는다. 전체적으로, 이에 따라 제1 리프트 가이드 트랙 및 제2 리프트 가이드 트랙에 대한 운송 비히클의 과도한 회전이 사실상 방지된다.
가능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랙 적재 시스템은,
- 단위 적재물을 운송하기 위한 이송 시스템,
- 단위 적재물을 운송하기 위한 이송 시스템이 인접하고 단위 적재물을 적재하기 위한 제1 단위 적재물 운송 장치 및 제1 버퍼 장치와 단위 적재물을 회수하기 위한 제2 단위 적재물 운송 장치 및 제2 버퍼 장치를 갖는 단위 적재물 조작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버퍼 장치는 서로의 상부에 위치한 공급 평면에 배치된 공급 장치를 갖고, 상기 제2 버퍼 장치는 서로의 상부에 위치한 공급 평면에 배치된 공급 장치를 가지며,
상기 제1 단위 적재물 운송 장치는 단위 적재물을 운송하기 위한 이송 시스템과 상기 제1 버퍼 장치의 공급 장치를 운송 측면에서 연결하고,
상기 제2 단위 화물 운송 장치는 단위 적재물을 운송하는 이송 시스템과 상기 제2 버퍼 장치의 공급 장치를 운송 측면에서 연결하고,
적어도 하나의 자동 운송 비히클은 랙 통로에서 랙 가이드 트랙을 따라 적재 장소, 제1 버퍼 장치 및 제2 버퍼 장치 앞에서 변위 가능하고, 제1 버퍼 장치와 적재 장소 사이에서 또는 적재 장소와 제2 버퍼 장치 사이에서 단위 적재물을 수송한다.
단위 적재물을 운송하기 위한 이송 시스템은 특히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 단위 적재물을 제1 단위 적재물 운송 장치로 운송하기 위한 제1 이송 장치, 및
- 제2 단위 적재물 운송 장치로부터 단위 적재물을 운송하기 위한 제2 이송 장치.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리프트 가이드 트랙들 중 하나가 조정 장치에 의해 주행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리프트 프레임에 장착되고, 조정 장치는, 주행 평면들 중 하나의 랙 가이드 트랙들 중 하나에 대해(및/또는 리프트 가이드 트랙들 중 다른 하나에 대해) 언급된 리프트 가이드 트랙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해 위치설정 시스템과 협력하는 작동 모터를 포함하는 것에 달성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제1 랙 가이드 트랙 및 제2 랙 가이드 트랙에 대한 수용 장치의 높이 위치설정은 리프트 드라이브에 의해 수행된다. 그러나 예를 들어 적재 랙 배치로 인해 작동 중 랙 가이드 트랙의 높이 변화가 예상되는 경우와 같이 위치 지정이 여전히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리프트 가이드 트랙들 중 하나가 주행 평면의 높이에서 제1 및 제2 랙 가이드 트랙 중 하나에 대해 배향될 수 있는 "미세한 위치 지정 시스템"이 추가로 제공되면 유리한다.
특히, 제1 리프트 가이드 트랙이 제1 랙 가이드 트랙들 중 하나에 대해 배향되도록, 수용 장치가 리프트 드라이브에 의해 제1 랙 가이드 트랙 및 제2 랙 가이드 트랙에 대해 배치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어서, 제2 리프트 가이드 트랙이 제2 랙 가이드 트랙들 중 하나에 대해 배향되도록, 제2 리프트 가이드 트랙은 제1 리프트 가이드 트랙과 독립적으로 작동 드라이브에 의해 위치가 결정된다.
제1 리프트 가이드 트랙이 제1 랙 가이드 트랙의 반대편에 있고, 제2 리프트 가이드 트랙이 제2 랙 가이드 트랙의 반대편에 있으면, 자동화된 방식으로 작동되는 운송 비히클이 이 주행 평면 위의 수용 장치로 이동할 수 있다.
특히, 제1 리프트 가이드 트랙이 리프트 드라이브에 의해 보상 치수만큼 제1 랙 가이드 트랙보다 높게 배향되고, 제2 리프트 가이드 트랙은 조정 장치에 의해 보상 치수만큼 제2 랙 가이드 트랙보다 높게 배향되는 경우 유리한 것을 판명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보상 치수는 적재되지 않은 운송 비히클 또는 적재된 운송 비히클의 중량 힘을 고려한다. 컨트롤러는 그에 따라 리프트 드라이브 및 조정 장치를 제어하는 중량 힘에 기초하여 보상 치수 및/또는 높이 보상 계수를 계산하도록 구성된다. 운송 비히클이 리프트 가이드 트랙 위로 주행하자마자, 제1 랙 가이드 트랙과 제1 리프트 가이드 트랙뿐만 아니라 제2 랙 가이드 트랙과 제2 리프트 가이드 트랙이 해당 주형 평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정확하게 위치한다. 매우 역동적이고 특히 부드러운 방식으로 운송 비히클이 수용 장치 위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형태에서, 랙 적재 시스템은 이전 실시형태 중 하나에 따라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 나은 이해를 위해, 아래의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은 각각 매우 단순화 하여 도식적으로 표현되었다.
도 1a, 도 1b는 도 1a에 따른 단위 적재물 조작 유닛에 대한 상세도와 도 1b에 따른 운송 비히클 리프팅 장치에 대한 상세도가 있는 랙 적재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a, 도 2b는 도 1a 및 도 1b에 따른 랙 적재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운송 비히클의 부분 섹션이 있는 도 2b에 따른 랙 통로에 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랙 적재 시스템의 단위 적재물 리프팅 장치를 도시한다.
도 5는 제2 리프트 가이드 트랙을 위한 추가 조정 장치가 있는 제1 실시형태의 랙 적재 시스템의 운송 비히클 리프팅 장치를 도시한다.
도 6은 운송 비히클 리프팅 장치의 가이드 프레임에 대한 평면도와 제1 적재 랙에 가이드 프레임을 부착한 도 2b의 확대 상세도이다.
도 7은 가이드 프레임 및 가이드 프레임 세그먼트의 구조가 있는 도 5의 확대된 상세도이다.
도 8은 단면도로 나타낸, 가이드 프레임 및 리프트 프레임용 가이드 어셈블리를 도시한다.
도 9는 리프트 프레임용 리프트 드라이브를 나타내는 운송 비히클 리프팅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0a는 정지 위치로 이동한 단부 정지 버퍼를 표현한 것으로, 랙 적재 시스템의 세부 사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0b, 도 10d는 해제 위치로 이동한 단부 정지 버퍼를 표현한 것으로, 랙 적재 시스템의 확대 상세도이다.
도 10c는 제1 가이드 프로파일 및 랙 가이드 트랙 상의 가이드 프로파일 부착을 나타내는 랙 적재 시스템의 확대 상세도이다.
도 11은 리프팅 프레임 및 운송 비히클 리프팅 장치의 수용 장치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12는 리프트 가이드 트랙, 리프트 프레임 및 운송 비히클 리프팅 장치의 수용 장치 중 하나를 위한 조정 장치의 상세도이다.
도 13은 해제 위치로 이동된 단부 정지 버퍼를 표현한 것으로, 운송 비히클 리프팅 장치의 수용 장치 및 리프트 프레임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14는 도 2b의 확대 상세도이다.
도 15는 제2 리프트 가이드 트랙을 위한 추가 조정 장치가 없는, 제2 실시형태의 랙 적재 시스템의 운송 비히클 리프팅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우선, 설명된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 및/또는 동일한 구성요소 명칭이 제공되며, 전체 설명에 포함된 개시 내용은 동일한 도면부호 및/또는 동일한 구성요소 명칭을 가진 동일한 부분에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설명에서 선택한 상부, 하부, 측면 등의 위치 사양은 직접 기재 및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며,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유사하게 새로운 위치로 이전된다.
도 1a, 도 1b, 도 2a 및 도 2b는 랙 적재 시스템의 가능한 실시형태를 다양한 뷰로 보여준다. 랙 적재 시스템은 제1 적재 랙(2a), 제2 적재 랙(2b), 제1 적재 랙(2a)과 제2 적재 랙(2b) 사이의 랙 적재 시스템(3), 제1 랙 가이드 트랙(4a), 제2 랙 가이드 트랙(4b), 자동화된 방식으로 작동되는 운송 비히클(5)(명확함을 위해 도 2b 및 도 3에만 도시됨) 및 운송 비히클 리프팅 장치(6)를 포함한다. 랙 통로(3)가 x-방향으로 연장한다.
제1 적재 랙(2a) 및 제2 적재 랙(2b)은 각각 서로의 상부에 위치하는 적재 평면(E1)에 배열된 적재 장소(7)를 포함한다. 적재 장소(7) 위에 단위 적재물(8)이 놓일 수 있다.
제1 랙 가이드 트랙(4a) 및 제2 랙 가이드 트랙(4b)은 랙 통로(3) 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의 상부에 위치하는 주행 평면(E2)에 쌍으로 각각 배치된다. 특히, 제1 랙 가이드 트랙(4a)은 제1 적재 랙(2a)에 부착되고, 제2 랙 가이드 트랙(4b)은 제2 적재 랙(2b)에 부착된다.
가능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각각의 주행 평면(E2)에서, 쌍으로 배열된 랙 가이드 트랙(4a, 4b)의 랙 가이드 트랙(4a, 4b) 중 하나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9) 및 제2 가이드(10)를 형성할 수 있다. 쌍으로 배열된 랙 가이드 트랙(4a, 4b) 중 다른 하나는 제1 가이드(9)만을 형성한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랙 가이드 트랙(4a)은 제1 가이드(9) 및 제2 가이드(10)를 형성한다. 제1 가이드(9)는 적재 랙(2a, 2b)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그리고 주행 평면(E2)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 가이드 평면에서 연장된다. 제2 가이드(10)는 적재 랙(2a, 2b)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그리고 주행 평면(E2)과 교차하는 제2 가이드 평면에서 연장된다.
특히, 제1 적재 랙(2a)은 전방 선반 직립부(11a), 후방 선반 직립부(12a), x-방향으로 연장되고 각 적재 평면(E1)에서 전방 선반 직립부(11a)에 연결된 전방 길이 방향 크로스빔, x-방향으로 연결되고 각 적재 평면(E1)의 후방 선반 직립부(12a)에 연결된 후방 길이 방향 크로스빔, 및 각 적재 평면(E1)의 전방 세로 크로스빔과 후방 세로 가로보 사이에 배열된, 적재 장소(7)가 있는 하나의 선반(13a)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랙 가이드 트랙(4a)은 전방 길이 방향 크로스빔 위에 형성된다.
특히, 제2 적재 랙(2b)은 전방 선반 직립부(11b), 후방 선반 직립부(12b), x-방향으로 연장되고 각 적재 평면(E1)에서 전방 선반 직립부(11b)에 연결된 전방 길이 방향 크로스빔, x-방향으로 연장되고 각 적재 평면(E1)의 후방 선반 직립부(12b)에 연결된 후방 길이 방향 크로스빔, 각 적재 평면(E1)의 전방 길이 방향 크로스빔과 후방 길이 방향 크로스빔 사이에 배열되는, 적재 위치(7)가 있는 하나의 선반(13b)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 랙 가이드 트랙(4b)은 전방 길이 방향 크로스빔 상에 형성된다.
이 시점에서, 적재 랙과 랙 통로의 수가 다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랙 적재 시스템은 제1 적재 랙, 제2 적재 랙, 제3 적재 랙 및 제4 적재 랙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랙 통로는 제1 적재 랙과 제2 적재 랙 사이에 배치되고, 제2 랙 통로는 제3 적재 랙과 제4 적재 랙 사이에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자동 운송 비히클(5)의 수는 다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운송 비히클(5)이 오로지 랙 통로(3)에만 또는 각 랙 통로(3)에 제공된다.
하나의 운송 비히클(5) 또는 운송 비히클들(5)은 특히 단일-레벨 적재-및-회수 유닛으로 설계되어, 단위 적재물(8)을 적재하고 단위 적재물(8)을 회수하는 역할을 한다.
운송 비히클(5)은, 도 2b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5), 러닝 휠(16), 적어도 하나의 러닝 휠(16)에 결합된 견인 드라이브(도시되지 않음), 및 단위 적재물(8)을 적재하고, 단위 적재물(8)을 회수하기 위해 도 2b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적재 및 회수 장치(19)를 포함한다.
러닝 휠(16)은 베이스 프레임(15)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그 중 제1 러닝 휠(16)은 구를 수 있는 방식으로 제1 랙 가이드 트랙(4a)의 제1 가이드(9) 상의 제1 비히클 측에 놓여지고, 제2 러닝 휠(16)은 구를 수 있는 방식으로 제2 랙 가이드 트랙(4b)의 제1 가이드(9) 상의 제2 비히클 측에 놓여진다.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운송 비히클(5)은 랙 가이드 트랙(4a, 4b) 및 운송 비히클 리프팅 장치(6)(아래에서 설명됨)의 수용 장치의 리프트 가이드 트랙을 따라 주행 동작으로 안내되는 방식으로 운송 비히클(5)을 이동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유닛을 포함한다. 가이드 유닛은 베어링 장치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15)에 장착되고, 제2 가이드(12)의 양측 및 제2 가이드(10) 상에 서로 마주보고 있는 가이드 섹션 상에서 구를 수 있는 방식으로 안착되는 가이드 휠(17)을 포함한다.
도 1a 및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 적재 시스템은 단위 적재물(8)의 적재를 위한 제1 버퍼 장치(22a) 및 제1 단위 적재물 운송 장치(21a)와 단위 적재물(8)을 회수하기 위한 제2 버퍼 장치(22b) 및 제2 단위 적재물 운송 장치(21b)를 갖는 단위 적재물 조작 유닛(2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위 적재물 운송 장치(21a)의 가능한 실시형태가 도 4에 더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가능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단위 적재물 운송 장치(21a)는 다음을 포함한다.
- 제1 적재 랙(2a)에 부착된 리프트 가이드(24)를 갖는 고정적으로 세워진 수직 마스트(23),
- 제1 구동 스테이션(25a) 및 제1 견인 드라이브(26a)를 구비한 제1 리프트 드라이브,
- 리프트 가이드(24)에 장착되고, 제1 리프트 드라이브에 의해 수직으로 이동 가능한 제1 리프트 프레임(27a)으로, 제1 리프트 드라이브의 트랙션 드라이브(26a)에 연결되어 있는 제1 리프트 프레임(27a),
- 제1 리프트 프레임(27a) 상에 배치되어 있는 제1 운송 장치(28a)로, 적어도 공급 장치들(29a)(후술됨) 중 하나와 제1 운송 장치(28a) 사이에서 단위 적재물(8)을 운송하도록 구성된 제1 운송 장치(28a).
가능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단위 적재물 운송 장치(21a)는 (선택적으로) 다음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 제2 구동 스테이션(25b) 및 제2 견인 드라이브(26b)를 구비한 제2 리프트 드라이브,
- 리프트 가이드(24)에 장착되고, 제2 리프트 드라이브에 의해 수직으로 이동 가능한 제2 리프트 프레임(27b)으로, 제2 리프트 드라이브의 트랙션 드라이브(26b)에 연결되어 있는 제2 리프트 프레임(27b),
- 제2 리프트 프레임(27b) 상에 배치되어 있는 제2 운송 장치(28b)로, 적어도 공급 장치들(29a)(후술됨) 중 하나와 제2 운송 장치(28b) 사이에서 단위 적재물(8)을 운송하도록 구성된 제2 운송 장치(28b).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위 적재물 운송 장치(21a)는 또한 리프트 프레임(27a) 아래에 고정적으로 배열되는 에너지 흡수 변형 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견인 드라이브가 고장 나고(예를 들어, 견인 드라이브의 견인 수단이 찢어져서) 리프트 프레임에 안전 브레이크 또는 안전 브레이크가 할당되지 않거나 리프트 프레임에 대한 안전 브레이크가 충분히 신속하지 않은 경우에 단위 적재물 조작 장치의 손상이 최소화된다. 유리하게는, 변형 장치는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유압 댐퍼보다 낮은 구조적 높이를 갖는다. 따라서 정상 작동 중에 리프트 프레임은 예를 들어 유압 댐퍼를 사용할 때보다 더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버퍼 장치(22a)는 주행 평면(E2)의 적어도 일부에서 각각이 공급 장치(29a)를 포함하는데, 이 공급 장치(29a)는 하나의 단위 적재물(8) 또는 여러 단위 적재물(8)의 중간 버퍼링을 위해 설계되고, 제1 단위 적재물 리프팅 장치(21a)의 측면들 중 일 측면에 x-방향으로 인접하게 또는 제1 단위 적재물 리프팅 장치(21a)의 양측에 x-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 2a에만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적재물(8)을 제1 단위 적재물 운송 장치(21a)로 운송하기 위해 제1 이송 시스템(31a)이 단위 적재물 조작 유닛(20)에 연결되며, 여기서 제1 단위 적재물 운송 장치(21a)는 제1 이송 시스템(31a)과 공급 장치(29a)를 운송과 관련하여 연결한다.
제2 단위 적재물 운송 장치(21b)의 가능한 실시형태는 제1 단위 적재물 운송 장치(21a)에 대응하므로 상세히 도시하지 않는다. 도 4와 관련하여 그리고 가능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2 단위 적재물 운송 장치(21b)는 다음을 포함한다.
- 리프트 가이드(24)가 제1 적재 랙(2b)에 부착되어 있는, 고정적으로 세워진 수직 마스트(23),
- 제1 구동 스테이션(25a) 및 제1 견인 드라이브(26a)를 구비하는 제1 리프트 드라이브,
- 리프트 가이드(24)에 장착되고 제1 리프트 드라이브에 의해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며,  제1 리프트 드라이브의 견인 드라이브(26a)에 연결되어 있는 제1 리프트 프레임(27a),
- 제1 리프트 프레임(27a) 상에 배열되며, 적어도 공급 장치(29b)(후술됨) 중 하나와 제1 운송 장치(28a) 사이에서 단위 적재물(8)을 운송하도록 구성된 제1 운송 장치(28a).
가능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2 단위 적재물 운송 장치(21b)는 (선택적으로) 추가적으로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 제2 구동 스테이션(25b) 및 제2 견인 드라이브(26b)를 구비한 제2 리프트 드라이브,
- 리프트 가이드(24)에 장착되고, 제2 리프트 드라이브에 의해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며, 제2 리프트 드라이브의 견인 드라이브(26b)에 연결되어 있는 제2 리프트 프레임(27b),
- 제2 리프트 프레임(27b) 상에 배열되며, 적어도 공급 장치(29b)(후술됨) 중 하나와 제2 운송 장치(28b) 사이에서 단위 적재물(8)을 운송하도록 구성된 제2 운송 장치(28b).
제2 버퍼 장치(22b)는 주행 평면(E2)의 적어도 일부에서, 각각이 하나의 단위 적재물(8) 또는 복수의 단위 적재물(8)의 중간 버퍼링을 위해 설계되고, 제2 단위 적재물 리프팅 장치(21b)의 측면들 중 하나에 x-방향으로 인접하거나 제2 단위 적재물 리프팅 장치(21b)의 양 측면에 x-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된 공급 장치(29b)를 포함한다.
도 2a에만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적재물(8)을 제2 단위 적재물 운송 장치(21b)로부터 멀어지게 운송하기 위해 제2 이송 시스템(31b)이 단위 적재물 조작 유닛(20)에 연결되며, 여기서 제2 단위 적재물 운송 장치(21b)는 제2 이송 시스템(31b)과 공급 장치(29b)를 운송과 관련하여 연결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단위 적재물 운송 장치(21a) 및 제2 단위 적재물 운송 장치(21b)는 서로 별도로 제공된다. 그 외에도, 제1 단위 적재물 운송 장치(21a)와 제2 단위 적재물 운송 장치(21b)가 결합되어 단일의 단위 적재물 운송 장치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운송 장치(28a) 및 제2 운송 장치(28b)는 단일 수직 마스트(23)에 장착된다. 선택적으로, 하나의 운송 장치만이 제공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 따르면, 단위 적재물을 단위 적재물 운송 장치로 운송하기 위한 제1 이송 시스템 및 제2 단위 적재물 운송 장치로부터 멀어지게 단위 적재물(8)을 이송하기 위한 제2 이송 시스템이 단위 적재물 조작 유닛(20)에 연결된다.
도 1a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 적재 시스템은 서로의 상부에 위치한 유지보수 평면(E3)에서 제1 적재 랙(2a)에 제공된 장착 크로스빔(32a)과 제2 적재 랙(2b)에 제공되는 장착 크로스빔(32b)을 가질 수 있다. 장착 크로스빔(32a, 32b) 위에 통로(33)(명확성을 위해 도 2a 및 도 2b에는 도시되지 않음)가 부착된다. 이를 통해 각 유지보수 평면(E3)에서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b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적재 랙들(2a, 2b) 중 하나는 각 유지보수 평면(E3) 위에 전방 선반 직립부(46a), 후방 선반 직립부(47a), 전방 장착 크로스빔(48a) 및 후방 장착 크로스빔(49a)을 추가로 포함한다. 각 유지보수 평면(E3)의 전방 장착 크로스빔(48a) 및 후방 장착 크로스빔(49a)은 랙 가이드 트랙(4a)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전방 선반 직립부(46a)와 후방 선반 직립부(47a)는, 수평으로 연장되며 전방 선반 직립부(46a)의 제1 단부에 그리고 후방 선반 직립부(47a)의 제2 단부에 각각이 부착된 제1 프레임 프로파일(50a)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며, 전방 선반 직립부(11a)의 제1 단부에 그리고 후방 선반 직립부(12a)의 제2 단부에 각각이 부착된 제2 프레임 프로파일(51a)이 전방 선반 직립부(11a) 및 후방 선반 직립부(12b)에 제공될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로(52)는 각 유지보수 평면(E3)의 전방 장착 크로스빔(48a) 및 후방 장착 크로스빔(49a)에 부착되며, 유지보수 평면(E3)은 사다리(53)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 유지보수 평면(E3)에서 운송 비히클 리프팅 장치(6)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아래에서, 도 1b, 도 2b, 도 5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운송 비히클 리프팅 장치(6)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이러한 운송 비히클 리프팅 장치(6)는 랙 통로(3) 내에 주행 평면(E2)보다 더 적은 수의 운송 비히클(5)이 존재하거나 또는 주행 평면(E2)에 추가의 운송 비히클(5)이 필요한 경우에 주로 사용된다. 또한, 이러한 운송 비히클 리프팅 장치(6)는 주행 평면(E2)과 트랜스퍼 평면 사이에서 운송 비히클(5)을 운송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데, 트랜스퍼 평면에서 운송 비히클(5)은 수용 장치(아래에서 설명됨)와 EP 2 673 219 B1호에 개시된 버퍼링 시스템 사이에서 운송될 수 있다.
운송 비히클 리프팅 장치(6)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프레임(59) 및 그 위에 장착되어 리프트 드라이브에 의해 조절 가능하도록 장착된 리프트 프레임(60)을 포함하며, 리프트 프레임(60) 위에는 수용 장치(61)가 배치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 프레임(60)으로부터 멀어지는 후방 측에서, 가이드 프레임(59)은 장착 섹션(62)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운송 비히클 승강 장치(6)가 전방 장착 크로스빔(48a)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프레임(59)과 장착 크로스빔(48a) 사이의 연결은 크랭크 된(두 번 각진 것을 의미함) 고정 요소(63)에 의해 설정된다. 대안적으로, 한번-각진 고정 요소(63)가 사용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프레임(59)은 연결 수단(64)을 통해 장착 크로스빔(48a)에 연결된다. 도시된 예에서, 연결 수단(64)으로 나사가 제공된다. 그러나, 리벳 또는 클램프에 의한 연결도 생각할 수 있다. 가이드 프레임(59)이 서로의 상단에 수직으로 위치한 여러 장착 섹션(62)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아래에 설명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프로파일 단면이 개방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30 내지 40m의 마스트 높이에서 가이드 프레임(59)은 특히 회전에 대해 매우 안정적이다.
도 6은 가이드 프레임(59)의 수직 정렬을 위해 및/또는 가이드 프레임(59)과 장착 크로스빔(48a) 사이의 거리를 보상하기 위해, 가이드 프레임(59)과 장착 크로스빔(48a) 사이에 상이한 개수 및/또는 두께의 척 플레이트(65)가 삽입될 수 있음을 도시한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가이드 프레임(59)은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질적으로 갭 없이 서로의 상부에서 수직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가이드 프레임 세그먼트(70)를 포함한다. 가이드 프레임 세그먼트(70)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연결 플레이트(71a, 71b)를 사용하여 함께 나사 결합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프레임(59)은 프로파일 단면이 개방되어 있고, 프로파일 단면은 프로파일 베이스(72), 이로부터 돌출하는 프로파일 림(73), 및 프로파일 림(73)의 자유 단부에 각진 장착 림(74)을 포함한다. 장착 림(74) 위에서, 전방 장착 크로스빔(48a)을 갖는 가이드 프레임(59)이 제1 적재 랙(2a)에 고정된다.
따라서, 프로파일 단면은 특히 C자형(장착 림이 안쪽으로 구부러짐) 또는 장착 림이 바깥쪽, 특히 바깥쪽으로 구부러진 U자형일 수 있다. 개방형 설계로 인해 가이드 프레임(59)의 연장부에 쉽게 접근할 수 있으므로, 운송 비히클 리프팅 장치(6)의 생산뿐만 아니라 유지 관리도 더 쉬워진다. 장착 림은 가이드 프레임(59)의 수직 축을 중심으로 바깥쪽 또는 안쪽으로 향하고(특히 수직 축을 중심으로 구부러짐), 가이드 프레임(59)을 전방 장착 크로스빔(48a)에 장착하기 위한 받침 면을 제공한다. 가이드 프레임(59)의 안정성은 연결 스트럿(75)에 의해 더욱 증가될 수 있다. 이들은 가이드 프레임(59)의 후방에 배열되고, 도 8에서 볼 수 있듯이, 연결 수단, 특히 나사에 의해 장착 림(74)에 고정된다.
가이드 프레임(59)이 제1 적재 랙(2a), 특히 서로의 상부에 수직으로 위치하는 다수의 장착 섹션(62)에 부착되기 때문에, 가이드 프레임(59)은 개방형 설계에도 불구하고 심지어 30 내지 40m의 마스트 높이에서 안정적인데 특히 회전에 대해 매우 안정적이다. 또한, 재료 사용량이 적고 무게도 최소화되는 장점이 있다. 이것은 가능한 적은 기술적 노력으로 더 쉽게 장착할 수 있게 하고 운송 비용도 저렴하게 한다. 일반적으로, 수직 마스트는 폐쇄된 단면을 갖고 특히 직사각형 튜브로 설계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면 가이드 프레임(59)은 특히 높은 정도의 비틀림 강성을 갖는다.
가이드 프레임(59)의 개방형 설계가 유리할지라도, 일반적으로 가이드 프레임(59)이 폐쇄형 프로파일 단면을 갖고 특히 직사각형 튜브로서 설계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도 5,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가이드 프레임(59)에는 리프트 프레임(60)을 통해 수용 장치(61)가 장착되는 가이드 어셈블리가 제공됨을 잘 알 수 있다. 이 예에서 가이드 어셈블리는 제1 가이드 슬랫(81a) 및 제2 가이드 슬랫(81b)을 포함을 포함하는데, 이들은 서로 별도로 연장되고, 가이드 프레임(59)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며, 바람직하게는 해제 가능한 방식으로 연결 수단(82)에 의해 가이드 프레임(59)에 연결되어 있다. 특히 제1 가이드 슬랫(81a) 및 제2 가이드 슬랫(81b)은 브라이트 인발 또는 연마된 평강으로 형성되며, 나사의 도움으로 가이드 프레임(59)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 구멍이 있다. 비용 효율적이고, 모듈형 설계에도 불구하고, 리프트 프레임(60)은 가이드 어셈블리에서 원활하게 작동하며, 가이드 프레임(59)에는 낮은 진동만 도입된다.
추가로, 제1 리프트 프레임(60)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어셈블리는 형상이 상보적인 맞대기 조인트(83)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세분되는 것이 유리하다. 특히, 본 예의 경우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가이드 어셈블리의 맞대기 조인트(83)에 오프셋 된 가이드 프레임 세그먼트(70) 사이에 분할부가 배열될 수 있다.
제안된 조치에 의해 한편으로는 가이드 프레임(59)의 운송 및 설치 위치에서 건물 내로의 도입이 용이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가이드 프레임의 분할은 운송 비히클 리프팅 장치(6)의 모듈식 설계를 허용한다. 구체적으로, 요구되는 리프트 높이에 따라, 다양한 수량의 가이드 프레임 세그먼트(70)가 조립되어 가이드 프레임(59)을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프레임 세그먼트(70)는 예를 들어 연결 플레이트(71a, 71b)를 사용하여 함께 나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어셈블리의 맞대기 조인트(83)는 두 개의 가이드 프레임 세그먼트(70) 사이의 분할부와 동일한 높이에 배열되지 않기 때문에, 가이드 프레임 세그먼트(70)의 서로에 대한 (원치 않는) 이동은 서로에 대한 가이드 프레임 세그먼트(70)는 가이드 어셈블리의 맞대기 조인트(83)에 영향을 미치지 않거나 약간만 영향을 미친다. 이에 의해, 리프트 프레임(60)의 이동에 따른 떨림(vibration) 및/또는 진동(oscillation)의 발생이 최소한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리프트 프레임(60)에 의해 가이드 프레임(59)에서 가이드 어셈블리 내로 도입된 굽힘 부하는 가이드 프레임 세그먼트(70)의 맞대기 조인트 위로 지향된다.
도 5 및 도 9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리프트 드라이브는 구동 스테이션 및 견인 드라이브를 포함한다. 구동 스테이션은 적어도 하나의 리프팅 모터(89)를 포함한다. 리프팅 모터(89)는 예를 들어 회전 인코더, 예를 들어 증분 인코더를 갖는 서보모터이다.
견인 드라이브는 구동 휠(90), 하부 편향 휠(91a), 상부 편향 휠(91b), 가능하게는 가이드 휠(92), 및 구동 휠(90), 하부 편향 휠(91a), 상부 편향 휠(91b) 및 가능하기로는 가이드 휠(92) 주위로 안내되는 견인 휠(93)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휠(90)은 리프팅 모터(89)와 결합된다. 리프트 프레임(60)은 클램프(94)에 의해 견인 수단(93)에 결합된다.
하부 편향 휠(91a)은 가이드 프레임(59)의 발 영역에 배치되고, 상부 편향 휠(91b)은 가이드 프레임(59)의 헤드 영역에 배치된다.
가이드 휠(92)이 제공되는 경우, 하부 편향 휠(91a)과 구동 휠(90) 사이의 가이드 프레임(59)의 발 영역에 배치된다. 구동 휠(90)은 가이드 프레임(59)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가이드 프레임(59)의 발 영역에 배치된다.
도 9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운송 비히클 리프팅 장치(6)는 수용 장치(61) 아래 및/또는 리프트 프레임(60) 아래에 고정적으로 배치되는 에너지 흡수 변형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형 장치(100)는 바닥 위에 직접 장착된다.
유리하게는, 에너지 흡수 변형 장치(100)는 수용 장치(61) 및/또는 리프트 프레임(60)을 위한 충격 표면을 갖는 힘 분배 플레이트(101) 및 힘 분배 플레이트(101) 아래에서 힘의 인가에 의해 소성 변형 가능한 하니컴 바디(102), 및 변형 장치(100)를 장착하기 위해 하니컴 바디(102) 아래에 장착 플레이트(103)를 포함한다. 하니컴 바디(102)는 힘 분배 플레이트(101)와 수용 장치(61) 및/또는 리프트 프레임(60)의 충돌 시 발생하는 충격 에너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흡수한다.
하니컴 바디(102)의 공동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10a 내지 도 10d, 도 11 및 도 12에는 리프트 프레임(60)에 의해 가이드 프레임(59)에 장착된 수용 장치(61)가 더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리프트 프레임(60)은 가이드 슬랫(81a, 81b) 위에 구를 수 있는 방식으로 안착된 가이드 휠(104a, 104b)을 포함하고, 견인 수단(93)에 체결되어 있다. 명료함을 위해, 도 11은 도 10a의 단순화된 표현을 도시한다.
수용 장치(61)는 랙 가이드 트랙(4a, 4b)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랙 가이드 트랙(4a, 4b)에 대해 위치가 설정될 수 있는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a, 110b)을 포함한다. 수용 장치(61)에 의해, 운송 비히클(5)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주행 평면(E2)과 제2 주행 평면(E2) 사이 또는 주행 평면(E2)과 이송 평면 사이에서 버퍼링 시스템으로 운송될 수 있다.
제1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a)은 제1 가이드 장치(x-가이드 장치)에 의해 랙 가이드 트랙(4a)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리프트 프레임(60)에 장착되고, 제1 커플링 장치(111a)에 의해 제1 가이드 프로파일(112a)에 체결된다.
제2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b)은 제2 가이드 장치(x-가이드 장치)에 의해 랙 가이드 트랙(4b)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리프트 프레임(60)에 장착되고, 제2 커플링 장치(111b)에 의해 제2 가이드 프로파일(112b)에 체결된다.
제1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a) 및/또는 제2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b)은, 후방 상대 위치(도 5의 점선 평면 X1 참조)와 전방 상대 위치(도 5의 점선 평면 X2 참조) 사이에서 특히 매끄럽게 조정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프로파일(112a)은 가이드 프레임(59)에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1 적재 랙(2a) 상의 랙 가이드 트랙(4a)에 연결된다. 제2 가이드 프로파일(112b)은 가이드 프레임(59)에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2 적재 랙(2b) 상의 랙 가이드 트랙(4b)에 연결된다.
특히, 제1 가이드 프로파일(112a)은 연결 수단(113a)에 의해 랙 가이드 트랙(4a)에 연결되고, 제2 가이드 프로파일(112b)은 연결 수단(113b)에 의해 랙 가이드 트랙(4b)에 연결된다. 도시된 예에서, 연결 수단(113a, 113b)으로 나사가 제공된다. 그러나 리벳 또는 클램프를 통한 연결도 생각할 수 있다.
도 10c 및 도 1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랙 가이드 트랙(4a)은 운송 비히클 승강 장치(6)에 인접한 단부에서 장착 섹션을 형성하고, 장착 섹션에는 미리 제작된 통로 개구(114a)가 제공된다. 통로 개구(114a)는 제1 랙 가이드 트랙(4a)의 단부 에지(115a)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통로 개구(114a)는 제1 가이드 프로파일(112a)의 길이 방향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 방향 슬롯으로서 설계된다. 제2 랙 가이드 트랙(4b)은 운송 비히클 리프팅 장치(6)에 인접한 단부에서 장착 섹션을 형성하고, 장착 섹션에는 미리 제작된 통로 개구(114b)가 제공된다. 통로 개구(114b)는 제2 랙 가이드 트랙(4b)의 단부 에지(115b)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통로 개구(114b)는 제2 가이드 프로파일(112b)의 길이 방향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 방향 슬롯으로서 설계된다.
제1 가이드 프로파일(112a)이 미리 제작된 일 열의 통로 개구(116a)를 포함하되, 이 통로 개구 열은 제1 가이드 프로파일(112a)의 길이 방향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유리하다. 유사하게, 미리 제작된 일 열의 통로 개구(116b)를 포함하되, 이 통로 개구 열은 제2 가이드 프로파일(112b)의 길이 방향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유리하다. 통로 개구들(116a, 116b)은 제1 가이드 프로파일(112a)/제2 가이드 프로파일(112b)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속적으로 하나의 열로 배열되거나, 각각의 경우에 제1 가이드 프로파일(112a)/제2 가이드 프로파일(112b)의 장착 섹션에만 하나의 열로 단속된 방식으로 배열된다. 그러나, 후자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각각의 제1 가이드 프로파일(112a)/제2 가이드 프로파일(112b)의 각각의 장착 섹션에 복수의 통로 개구(116a, 116b)가 존재한다. 통로 개구(116a, 116b)는 불규칙한 격자 거리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로 개구(116a, 116b)는 관통 구멍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 가이드 프로파일(112a)은 장착 섹션에서 미리 제작된 통로 개구의 열을 형성하고, 바람직하게는 제2 가이드 프로파일(112b)은 장착 섹션에서 미리 제작된 통로 개구의 열을 형성한다.
제1 가이드 프로파일(112a)은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는 가이드 평면(117a)을 형성하고, 제2 가이드 프로파일(112b)은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는 가이드 평면(117b)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가이드 프로파일(112a)은 (제1) 가이드 섹션에서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는 가이드 평면(117a)을 형성하고, 바람직하게는, 제2 가이드 프로파일(112b)은 (제2) 가이드 섹션에서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는 가이드 평면(117b)을 형성한다.
(제1) 가이드 섹션은 랙 통로(3)에 수직으로 배향된 수직 가이드 평면(FE)에서 연장된다. 마찬가지로, (제2) 가이드 섹션(114b)은 랙 통로(3)에 수직으로 배향된 수직 가이드 평면(FE)에서 연장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가이드 프로파일(112a) 및 제2 가이드 프로파일(112b)은 L-형 단면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제1 가이드 프로파일(112a) 및 제2 가이드 프로파일(112b)이 직사각형 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
도 12 및 도 14는 제1 커플링 장치(111a) 및 제2 커플링 장치(111b)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다. 제1 커플링 장치(111a)는 홀더(120a) 및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그 위에 장착된 가이드 휠(121a)을 포함하며, 가이드 휠(121a)은 제1 가이드 프로파일(112a) 상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이드 평면(117a) 상에 구를 수 있는 방식으로 안착된다. 홀더(120a)는 제1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a)에 고정되는데 특히 나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커플링 장치(111b)는 홀더(120b) 및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그 위에 장착된 가이드 휠(121b)을 포함하며, 가이드 휠(121b)은 제2 가이드 프로파일(112b) 상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이드 평면(117b) 상에 구를 수 있는 방식으로 안착된다. 홀더(120b)는 제2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b)에 고정되는데, 특히 나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가이드 장치(x-가이드 장치)는 랙 가이드 트랙(4a)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선형 가이드(122a)를 포함한다. 선형 가이드(122a)는 각각 가이드 트랙 및 그 위에 장착된 가이드 캐리지를 포함한다. 가이드 트랙은 바람직하게는 리프트 프레임(60)에 장착되고,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a)은 가이드 캐리지에 장착된다. 특히, 가이드 캐리지는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a)에 연결되는데, 특히 나사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2 가이드 장치(x-가이드 장치)는 랙 가이드 트랙(4b)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선형 가이드(122b)를 포함한다. 선형 가이드(122b) 각각은 가이드 트랙 및 그 위에 장착된 가이드 캐리지를 포함한다. 가이드 트랙은 바람직하게는 리프트 프레임(60)에 장착되고,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b)은 가이드 캐리지에 장착된다. 특히, 가이드 캐리지는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b)에 연결되는데, 특히 나사 결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 프로파일(112a)은 각각의 주행 평면(E2)에서 제1 랙 가이드 트랙(4a)의 단부 에지(115a)에 대해 위치되고, 각각의 주행 평면(E2)에서 단부 에지(115a)로부터 정의된 간극에서 제1 랙 가이드 트랙(4a)에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제2 가이드 프로파일(112b)은 각 주행 평면(E2)에서 제2 랙 가이드 트랙(4b)의 단부 에지(115b)에 대해 위치되고, 각 주행 평면(E2)의 단부 에지(115b)로부터 정의된 간격으로 제2 랙 가이드 트랙(4b)에 연결된다.
제조 공차 및 장착-관련 불일치로 인해 서로의 위에 배열된 제1 랙 가이드 트랙(4a)의 단부 에지(115a)/서로 위에 배열된 제2 랙 가이드 트랙(4b)의 단부 에지(115b)가 서로에 대해 정확히 정렬될 수 없고, 그 보다는 랙 통로(3) 방향으로 수직 평면에 대해 오프셋 된다. 한편, 제1 주행 평면(E2)에서, 제1 랙 가이드 트랙(4a)의 단부 에지(115a)/제2 랙 가이드 트랙(4b)의 단부 에지(115b)는 수직 평면에서 돌출할 수 있고, 제2 주행 평면(E2)에서, 제1 랙 가이드 트랙(4a)의 단부 에지(115a)/제2 랙 가이드 트랙(4b)의 단부 에지(115b)는 수직 평면 전에서 종결될 수 있다.
각각의 주행 평면(E2)에서, 제1 가이드 프로파일(112a)은 제1 랙 가이드 트랙(4a)의 제1 단부 에지(115a)(수직 평면으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음)에 대해 위치되고, 제1 가이드 프로파일(112a)이 제1 단부 에지(115a)의 코스를 따르도록 각 주행 평면(E2)에서 단부 에지(115a)로부터 정의된 간격으로 제1 랙 가이드 트랙(4a)에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제2 가이드 프로파일(112b)은 각 주행 평면(E2)에서 제2 랙 가이드 트랙(4b)의 제2 단부 에지(115b)(수직 평면으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음)에 대해 위치되고, 제2 가이드 프로파일(112b)이 제2 단부 에지(115b)의 코스를 따르도록 각 주행 평면(E2)에서 단부 에지(115b)로부터 정의된 간격에서 제2 랙 가이드 트랙(4b)에 연결된다.
제1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a) 및 제2 리프트 가이드 트랙(119b)이 랙 가이드 트랙(4a, 4b)과 평행한 방향으로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리프트 프레임(60)에 장착되는 경우 특히 유리하다.
따라서, 각각의 주행 평면(E2)에서 제1 랙 가이드 트랙(4a)의 제1 단부 에지(115a)와 제2 랙 가이드 트랙(4b)의 제2 단부 에지(115b) 사이의 위치 편차가 허용될 수 있다.
제1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a)과 (수직) 제1 가이드 프로파일(112a) 사이의 결합으로 인해, 제1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a)은 제1 가이드 프로파일(112a)의 길이 방향 연장부를 따를 수 있다. 동일하게, 제2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a)과 (수직) 제2 가이드 프로파일(112b) 사이의 결합으로 인해, 제2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b)은 제2 가이드 프로파일(112b)의 길이 방향 연장부를 따를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a)이 러닝 표면(123a) 및 러닝 표면(123a)에 오목한 방식으로 배열된 위치설정 개구(124)를 갖는 경우 유리한 것으로 판명된다. 위치설정 개구(124)는 랙 통로(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제1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a)의 단부 영역에 배열되며, 여기서 운송 비히클(5)이 수용 장치(61) 상에 위치할 때 운송 비히클(5)의 제1 비히클 측에 배열된 러닝 휠(16) 중 하나가 부분 섹션으로 위치된다. 제2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b)은 러닝 표면(123b)과 그 위에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된 슬라이드 라이닝(125)들을 구비하여, 운송 비히클(5)이 수용 장치(61)에 위치할 때, 운송 비히클(5)의 제2 비히클 측에 배치된 러닝 휠(16)이 슬라이드 라이닝(125) 상에 안착되도록 한다.
도 5, 도 11 및 도 14는 또한 주행 평면(E2) 위에서 리프트 가이드 트랙(4a, 4b) 중 하나를 제1 및 제2 랙 가이드 트랙(4a, 4b) 중 하나에 대해 (수직으로) 위치시키기 위해 리프트 드라이브의 리프팅 모터(89)와 협력하는 제1 위치설정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제1 리프트 가이드 트랙(4a)은 주행 평면(E2) 상에서 제1 랙 가이드 트랙(4a) 중 하나에 대해 (수직으로) 위치된다.
제1 위치설정 시스템은 "거친 위치설정 시스템(rough positioning system)" 및 "미세한 위치설정 시스템(fine positioning system)"을 포함할 수 있다.
"거친 위치설정 시스템"은 도 5에만 개략적으로 도시된 광학 레이저 측정 시스템(131)(광학 레이저 거리 측정장치)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리프팅 모터(89)와 협력하고, 이를 통해 리프트 프레임(60)이 리프팅 모터(89)에 의해 기준 위치로 위치가 설정된다. 광학 레이저 측정 시스템(131)의 레이저 센서는 바람직하게는 리프트 프레임(60)에 장착된다.
그러나, 예를 들어 적재 랙(2a, 2b) 배치로 인해 작동 중에 랙 가이드 트랙(4a, 4b)의 높이 변화가 예상되는 경우, 이러한 높이 위치설정은 여전히 불충분할 수 있다. 이 경우 '미세한 위치 결정 시스템'이 추가로 제공되는 것이 유리하다.
"미세한 위치설정 시스템"은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a)에 장착된 제1 포크형 라이트 배리어(132a)와 랙 가이드 트랙(4a)에 할당된 위치 마커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마커는, 예를 들어 기준 개구(133a)이다. 기준 개구(133a)는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각진 시트 상에 제공된다. 대안적으로, 기준 개구(133a)는 랙 가이드 트랙(4a)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명확성을 위해 위치 마커는 도 11에서 하나의 주행 평면(E2)에만 도시되어 있음을 지적한다. 일반적으로 각 랙 가이드 트랙(4a)(따라서 각 주행 평면(E2))에는 하나의 위치 마커가 할당된다.
제1 포크형 라이트 배리어(132a)는 하부 광빔(레이저 광) 및 상부 광빔(레이저 광)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작업 영역이 정의된다. 기준 개구(133a)가 제1 포크형 라이트 배리어의 작업 영역에 위치하여 하부 광빔 및 상부 광빔이 기준 개구(133a) 내에 속하는 경우, 실제 위치는 기준 위치에 대응한다. 실제 위치와 기준 위치가 일치하면,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a)은 랙 가이드 트랙(4a)에 대해 정확히 위치된다. 하부 및 상부 광빔 중 하나가 각진 시트의 기준 개구(133a) 외부에 위치하면,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에서 광빔 중 하나가 차단되고, 하부 광빔 및 상부 광빔이 다시 기준 개구(133a) 내에 있을 때까지 리프팅 모터(89)가 제어되고 리프트 프레임(60)이 조정된다.
하부 광빔 및 상부 광빔이 리프트 프레임(60)/수용 장치(61)의 위치 결정 후에 기준 개구(133a) 내에 있는 경우, 실제 위치는 수정된 기준 위치에 대응한다. 수정된 기준 위치는 컨트롤러에 의해 저장되어, 이 주행 평면(E2)의 반복되는 높이 위치가 수정된 기준 위치에 의해 정의된다. 따라서, 수정된 기준 위치의 갱신된 결정이 실제 위치가 수정된 기준 위치에서 벗어날 때에만 다시 수행될 필요가 있기 되기 때문에 랙 가이드 트랙(4a)에 대한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a)의 위치 결정 프로세스가 가속화 될 수 있다.
설명된 제1 위치설정 시스템은 제1 랙 가이드 트랙(4a)에 대한 제1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a)의 높이 위치설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많은 가능성 중 하나이다. 카메라와 이미지 처리 프로그램, 또는 바코드와 바코드 판독기를 포함하는 "미세한 위치 지정 시스템"도 선행 기술로부터 알려져 있다. 이 경우, 제1 위치설정 시스템은 "미세한 위치설정 시스템"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0a, 도 10b 및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 장치는 운송 비히클 리프팅 장치(6)에 인접한 랙 통로 단부 및 각 주행 평면(E2)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 정지 장치는 운송 비히클(5)의 이동 경로 내로 이동된 정지 위치(도 10a)와 운송 비히클(5)의 이동 경로 밖으로 이동된 해제 위치(도 10b, 도 10d)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단부 정지 버퍼(150a, 150b)를 포함한다. 각 단부 정지 버퍼(150a, 150b)는 피벗 축이 랙 통로(3)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피벗 가능한 플랩 상에 배치된다.
명료함을 위해, 단부 정지 버퍼(150a, 150b)는 도 1b에서 주행 평면(E2) 중 하나에만 도시되어 있음이 지적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단부 정지 버퍼(150a, 150b)는 각 주행 평면(E2)에 배열된다.
리프트 프레임(60)에는, 랙 통로(3)에 인접한 측면에 작동장치가 제공되며, 이 작동 장치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작동 요소(151a) 및 제2 작동 요소(151b)를 포함한다.
제1 작동 요소(151a)는 제1 단부 정지 버퍼(150a)에 할당되고, 제1 피벗 레버를 가지며, 그 피벗 축은 랙 통로(3)와 평행하게 연장된다. 제1 단부 정지 버퍼(150a)는 제1 작동 요소(151a)에 의해 운송 비히클(5)의 이동 경로로 이동된 정지 위치로부터 운송 비히클(5)의 이동 경로 밖으로 이동된 해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유용하게는, 제1 작동 요소(151a)는 제1 구동 모터(152a)에 결합된다. 제1 작동 요소(151a)가 제1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a)에 장착되는 경우에도 유리할 수 있다.
제2 작동 요소(151b)는 제2 단부 정지 버퍼(150b)에 할당되고 제2 피벗 레버를 가지며, 그 피벗 축은 랙 통로(3)와 평행하게 연장된다. 제2 단부 정지 버퍼(150b)는 제2 작동 요소(151b)에 의해 운송 비히클(5)의 이동 경로로 이동된 정지 위치로부터 운송 비히클(5)의 이동 경로 밖으로 이동된 해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유용하게, 제2 작동 요소(151b)는 제2 구동 모터(152b)에 결합된다. 제2 작동 요소(151b)가 제2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b)에 장착되는 경우에도 유리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 프레임(60)은 랙 통로(3)와 반대되는 측에 제1 단부 정지 버퍼(160a) 및 제2 단부 정지 버퍼(160b)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단부 정지 버퍼(160a)는 제1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a)에 할당되고 운송 비히클(5)의 주행 경로로 이동된 정지 위치(도 12)와 외부로 이동된 해제 위치(도 13)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제1 단부 정지 버퍼(160a)는 제1 피벗 레버를 가질 수 있으며, 그 피벗 축은 랙 통로(3)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제1 단부 정지 버퍼(160a)가 제1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a) 위에 장착되는 경우에도 유리할 수 있다.
제2 단부 정지 버퍼(160b)는 제2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b)에 할당되고 운송 비히클(5)의 주행 경로로 이동된 정지 위치(도 12)와 외부로 이동된 해제 위치(도 13)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제2 제1 단부 정지 버퍼(160b)는 제2 피벗 레버를 가질 수 있으며, 그 피벗 축은 랙 통로(3)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제2 단부 정지 버퍼(160b)가 제2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b) 위에 장착되는 경우에도 유리할 수 있다.
도 5,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운송 비히클 리프팅 장치(6)의 특히 유리한 디자인을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에 따르면,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a, 110b) 중 하나가 조정 장치(170)에 의해 주행 평면(E2)에 수직인 방향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리프트 프레임(60)에 장착되어 제공된다.
조정 장치(170)는 주행 평면(E2)들 중 하나의 랙 가이드 트랙(4a, 4b)들 중 하나에 대해 언급된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a, 110b)을 위치 설정하기 위해 제2 위치 설정 시스템과 협력하는 작동 모터(171)를 포함한다. 작동 모터(171)는 예를 들어 회전 인코더, 예를 들어 증분 인코더를 갖는 서보모터이다.
언급된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b)은 하부 상대 위치(도 12의 점선 평면 Y1 참조)와 상부 상대 위치(도 12의 점선 평면 Y2 참조) 사이에서 특히 매끄럽게 조정될 수 있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제2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b)은 조정 장치(170)에 의해 주행 평면(E2)에 수직한 방향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리프트 프레임(60)에 장착되고, 제2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b)은 주행 평면(E2)들 중 하나의 제2 랙 가이드 트랙(4b)들 중 하나에 대해 위치가 설정된다.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a, 110b)들 중 하나는 가이드 장치(z-가이드 장치)에 의해 주행 평면(E2)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리프트 프레임(60)에 장착된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제2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b)은 가이드 장치(z-가이드 장치)에 의해 주행 평면(E2)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리프트 프레임(60)에 장착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랙 가이드 트랙(4a)들 중 하나에 대한 제1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a)의 "높이 위치설정" 외에도, 제2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b)은 제1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a)과 독립적으로 주행 평면(E2)에 수직 방향으로 제2 랙 가이드 트랙(4b)들 중 하나에 대해 이동될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 따르면, 가이드 장치(z-가이드 장치)는 주행 평면(E2)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형 가이드(172)를 포함한다. 선형 가이드(172) 각각은 가이드 트랙 및 그 위에 장착된 가이드 캐리지를 포함한다. 가이드 트랙은 바람직하게는 리프트 프레임(60)에 장착되고,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b)은 가이드 캐리지에 장착된다.
제2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b)이 제2 커플링 장치(110b)에 의해 랙 통로(3)에 평행한 방향으로 제2 랙 가이드 트랙(4b)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면, 제2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b)이 x-가이드 장치를 통해 z-가이드 장치에 장착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x-가이드 장치의 가이드 트랙은 장착 브래킷(173)에 의해 z-가이드 장치의 가이드 캐리지에 고정되는데, 특히 나사로 고정된다.
도 11 및 도 12의 조합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위치설정 시스템은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b)에 장착된 제2 포크형 라이트 배리어(132b)를 포함할 수 있고, 랙 가이드 트랙(4b)에 할당되는 위치 마커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마커는, 예를 들어 기준 개구(133b)이다. 기준 개구(133b)는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각진 시트 상에 제공된다. 대안적으로, 기준 개구(133b)는 랙 가이드 트랙(4b)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제2 포크형 라이트 배리어(132b)는 하부 광빔(레이저 광) 및 상부 광빔(레이저 광)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작업 영역이 정의된다. 기준 개구(133b)가 제2 포크형 라이트 배리어의 작업 영역에 위치하여 하부 광빔 및 상부 광빔이 기준 개구(133b) 내에 속한다면, 실제 위치는 기준 위치에 해당한다. 실제 위치와 기준 위치가 일치하면,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b)은 랙 가이드 트랙(4b)에 대해 정확히 위치된다. 하부 및 상부 광빔 중 하나가 각진 시트의 기준 개구(133b) 외부에 위치하면,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의 광선 중 하나가 차단되고, 하부 및 상부 광빔이 다시 기준 개구(133b) 내에 있게 될 때까지 작동 모터(171)가 제어되고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b)이 조정된다.
제2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b)의 위치 설정 후에, 하부 광빔 및 상부 광빔이 기준 개구(133a) 내에 있는 경우, 실제 위치는 수정된 기준 위치에 대응한다. 수정된 기준 위치는 컨트롤러에 의해 저장되어, 이 주행 평면(E2)의 반복된 높이 위치가 수정된 기준 위치에 의해 정의된다. 따라서, 수정된 기준 위치의 갱신된 결정이 실제 위치가 수정된 기준 위치에서 벗어날 때에만 다시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랙 가이드 트랙(4b)에 대한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b)의 위치 설정 프로세스가 가속화될 수 있다.
제2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b)의 위치설정 프로세스가 제1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a)의 위치설정 프로세스 후에 이루어지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판명된다.
설명된 제2 위치설정 시스템은 랙 가이드 트랙(4b)에 대한 제2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b)의 높이 위치설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많은 가능성 중 하나이다. 카메라와 이미지 처리 프로그램, 또는 바코드와 바코드 판독기를 포함하는 위치설정 시스템은 또한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져 있다.
도 11, 도 12 및 도 13의 조합으로부터, 조정 장치(170)가 함께 수집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 따르면, 조정 장치(170)는 리프트 프레임(60)에 장착된 작동 모터(171), 리프트 프레임(6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회전축(174), 토크-방지 방식으로 이에 연결된 제1 작동 레버(175) 및 제2 토크-방지 방식으로 연결된 작동 레버(176)를 포함한다. 제1 작동 레버(175)는 제3 작동 레버(177) 및 제4 작동 레버(178)를 통해 조정 장치(170)에 체결된다. 제2 작동 레버(176)는 제5 작동 레버(179)를 통해 각각 z-선형 가이드 특히 캐리지 및 장착 브래킷(173)에 결합된다.
설명된 조정 장치(170)는 제2 랙 가이드 트랙(4b)에 대한 제2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b)의 높이 위치 설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방법의 많은 가능성 중 하나이다. 예를 들어,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선형 가이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동시에 z-가이드 장치를 형성한다. 이 경우, x-가이드 장치는 장착 브래킷(173)에 의해 선형 드라이브의 캐리지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조정 장치(170)는 선형 드라이브만을 포함하고, 선형 드라이브와 별개인 z-가이드 장치는 사용할 필요가 없다.
중량 힘(weight force)(적재되지 않은 운송 비히클 또는 적재된 운송 비히클)이 고려되도록, 제1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a)에 대한 수정된 기준 위치 및/또는 제2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b)에 대한 수정된 기준 위치가 컨트롤러에 의해 미리 결정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중량 힘에 기초하여 높이 보상 인자를 계산하도록 구성된다. 제1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a)에 대해 수정된 기준 위치 및/또는 제2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b)에 대해 수정된 기준 위치가 높이 보상 계수와 함께 적용된다. 일반적으로 수정된 기준 위치는 주행 평면(E2)보다 약간 위에 있다. 운송 비히클(5)이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a, 110b) 위에서 주행하자마자, 제1 랙 가이드 트랙(4a)과 제1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a)은 물론 제2 랙 가이드 트랙(4b)과 제2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b)이 대응하는 주행 평면(E2)에서 수직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정확하게 위치하게 된다. 수용 장치(61) 위로 주행하는 운송 비히클(5)은 매우 역동적이고 특히 부드러운 방식으로 주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15는 운송 비히클 리프팅 장치(6')를 도시하며, 이에 따라 위에서 설명된 실시형태와 대조적으로, 제1 리프팅 장치(110a)는 제1 커플링 장치(110a)에 의해 제1 가이드 프로파일(112a)에 결합되고, 제2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b)은 제2 커플링 장치(111b)에 의해 제2 가이드 프로파일(112b)에 결합되고, 이들은 랙 가이드 트랙(4a, 4b)에 평행한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다. 주행 평면(E2)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제2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b)의 조정은 제공되지 않는다. 이러한 실시형태는 독립적인 본 발명 솔루션의 주제가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설명 및 도면이 청구범위를 해석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시되고 설명된 상이한 예시적인 실시형태로부터의 개별 특징 또는 특징 조합은 독립적인 발명 솔루션을 나타낼 수 있다.
특히, 도시된 장치는 실제로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일부 경우에, 도시된 장치 및/또는 그 구성요소는 축척에 맞춰 도시되지 않거나 및/또는 확대되어 도시되거나 및/또는 축소되어 도시될 수 있다.
E1 적재 평면(storage plane)
E2 주행 평면(driving plane)
E3 유지보수 평면(maintenance plane)
FE 가이드 평면(guide plane)
2a, 2b 적재 랙(storage rack)
3 랙 통로(rack aisle)
4a, 4b 랙 가이드 트랙(rack guide track)
5 운송 비히클(transport vehicle)
6, 6' 운송 비히클 리프팅 장치(transport vehicle lifting device)
7 적재 장소(storage place)
8 단위 적재물(unit load)
9 제2 가이드(second guide)
10 제2 가이드(second guide)
11a, 11b 전방 선반 직립부(front shelf upright)
12a, 12b 후방 선반 직립부(rear shelf upright)
13a, 13b 선반(shelf)
15 베이스 프레임(base frame)
16 러닝 휠(running wheel)
17 가이드 휠(guide wheel)
19 적재 및 회수 장치(storage and retrieval device)
20 단위 적재물 조작 유닛(unit load operation unit)
21a, 21b 단위 적재물 운송 장치(적재, 회수)(unit load transport device(storage, retrieval))
22a, 22b 버퍼 장치(적재, 회수)(buffer device(storage, retrieval))
23 수직 마스트(vertical mast)
24 리프트 가이드(lift guide)
25a, 25b 구동 스테이션(drive station)
26a, 26b 견인 드라이브(traction drive)
27a, 27b 리프트 프레임(lift frame)
28a, 28b 운송 장치(transport device)
29a, 29b 공급 장치(provisional device)
30 변형 장치(deformation device)
31a, 31b 이송 시스템(conveying system)
32a, 32b 장착 크로스빔(mounting crossbeam)
33 통로(walkway)
46a 전방 선반 직립부(front shelf upright)
47a 후방 선반 직립부(rear shelf upright)
48a 전방 장착 크로스빔(front mounting crossbeam)
49a 후방 장착 크로스빔(rear mounting crossbeam)
50a 제1 프레임 프로파일(first frame profile)
51a 제2 프레임 프로파일(second frame profile)
52 통로(walkway)
53 사다리(ladder)
59 가이드 프레임(guide frame)
60 리프트 프레임(lift frame)
61 수용 장치(receiving device)
62 장착 섹션(mounting section)
63 고정 요소(fastening element)
64 연결 수단(connecting means)
65 척 플레이트(chuck plate)
70 가이드 프레임 세그먼트(guide frame segment)
71a, 71b 연결 플레이트(connecting plate)
72 프로파일 베이스(profile base)
73 프로파일 림(profile limb)
74 장착 림(mounting limb)
75 연결 지주(connecting strut)
81a, 81b 가이드 슬랫(guide slat)
82 연결 수단(connecting means)
83 맞대기 조인트(butt joint)
89 리프팅 모터(lifting motor)
90 러닝 휠(drive wheel)
91a, 91b 하부 편향 휠/상단 편향 휠(lower deflection wheel/upper deflection wheel)
92 가이드 휠(guide wheel)
93 견인 수단(traction means)
94 클램프(clamp)
100 변형 장치(deformation device)
101 힘 분배 판(force distribution plate)
102 하니컴 바디(honeycomb body)
103 장착 플레이트(mounting plate)
104a, 104b 가이드 휠(guide wheel)
110a, 110b 리프트 가이드 트랙(lift guide track)
111a, 111b 커플링 장치(coupling device)
112a, 112b 가이드 프로파일(guide profile)
113a, 113b 연결 수단(connecting means)
114a, 114b 통로 개구(passage opening)
115a, 115b 단부 에지(end edge)
116a, 116b 통로 개구(passage opening)
117a, 117b 가이드 평면(guideway)
120a, 120b 홀더(holder)
121a, 121b 가이드 휠(guide wheel)
122a, 122b 선형 가이드(linear guide)
123a, 123b 러닝 면(running surface)
124 위치설정 개구(positioning opening)
125 슬라이드 라이닝(slide lining)
131 레이저 측정 시스템(laser measuring system)
132a, 132b 포크형 라이트 배리어(forked light barrier)
133a, 133b 기준 개구(referencing opening)
150a, 150b 단부 정지 버퍼(end stop buffer)
151a, 151b 작동 요소(actuating element)
152a, 152b 구동 모터(drive motor)
160a, 160b 단부 정지 버퍼(end stop buffer)
170 조정 장치(adjusting device)
171 작동 모터(actuating motor)
172 선형 가이드(linear guide)
173 장착 브래킷(mounting bracket)
174 회전축(rotation axle)
175 제1 작동 레버(first actuating lever)
176 제2 작동 레버(second actuating lever)
177 제3 작동 레버(third actuating lever)
178 제4 작동 레버(fourth actuating lever)
179 제5 작동 레버(fifth actuating lever)

Claims (23)

  1. 랙 적재 시스템으로, 상기 랙 적재 시스템은,
    - 서로의 상부에 위치한 적재 평면(E1)에서 서로 나란히 배열되는, 단위 적재물(8)을 위한 적재 장소(7)가 있는 제1 적재 랙(2a),
    - 서로의 상부에 위치한 저장 평면(E1)에서 서로 나란히 배열되는, 단위 적재물(8)을 위한 적재 장소(7)가 있는 제2 적재 랙(2b),
    - 제1 적재 랙(2a)과 제2 적재 랙(2b) 사이의 랙 통로(3),
    - 제1 적재 랙(2a)과 제2 적재 랙(2b)에 부착되며, 모든 경우에 있어서 서로의 상단에 위치한 주행 평면(E2)에서 쌍으로 배열되어 있는 랙 가이드 트랙(4a, 4b),
    - 적재 장소(7)에 단위 적재물(8)을 보관하고, 적재 장소(7)로부터 단위 적재물(8)을 회수하기 위해, 랙 가이드 트랙(4a, 4b)을 따라 랙 통로(3)에서 변위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자동 운송 비히클(5), 및
    - 수직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프레임(59)과 리프트 드라이브에 의해 조정 가능하도록 장착된 리프트 프레임(60)이 있는 운송 비히클 리프팅 장치(6; 6'), 그 위에 리프트 프레임(60) 랙 가이드 트랙(4a, 4b)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랙 가이드 트랙(4a, 4b)에 대해 위치 지정 가능한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a, 110b)을 포함하는 수용 장치(61)가 배치되며, 이를 통해 운송 비히클(5)은 구동 평면(E2) 사이에서 운송될 수 있는, 랙 적재 시스템에 있어서,
    가이드 프레임(59)에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1 적재 랙(2a) 상에서 랙 가이드 트랙(4a, 4b)에 연결되는 제1 가이드 프로파일(112a)이 제공되고,
    가이드 프레임(59)에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2 적재 랙(2b) 상에서 랙 가이드 트랙(4a, 4b)에 연결되는 제2 가이드 프로파일(112b)이 제공되고,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a,110b)의 제1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a)이 제1 가이드 장치에 의해 랙 가이드 트랙(4a)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리프트 프레임(60)에 장착되고, 제1 커플링 장치(111a)에 의해 제1 가이드 프로파일(112a)에 연결되어 있고,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a,110b)의 제2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b)이 제2 가이드 장치에 의해 랙 가이드 트랙(4b)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리프트 프레임(60)에 장착되고, 제2 커플링 장치(111b)에 의해 제2 가이드 프로파일(112b)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적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커플링 장치(111a)는 홀더(120a) 및 그 위에 수평축 주위로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 가이드 휠(121a)을 포함하고, 가이드 휠(121a)은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는 가이드통로(117a) 위에서 제1 가이드 프로파일(112a) 위에 구를 수 있는 방식으로 안착되어 있으며, 제2 커플링 장치(111b)는 홀더(120b) 및 그 위에 수평축 주위로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 가이드 휠(121b)을 포함하고, 가이드 휠(121b)은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는 가이드통로(117b) 위에서 제2 가이드 프로파일(112b) 위에 구를 수 있는 방식으로 안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적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가이드 프레임(59)은 가이드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리프트 드라이브는 리프팅 모터(89) 및 견인 드라이브를 포함하고, 리프트 프레임(60)은 견인 드라이브에 체결되어 있고, 가이드 롤러(104a, 104b)에 의해 가이드 어셈블리 상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적재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가이드 프레임(59)은 개방된 프로파일 단면을 구비하고, 프로파일 단면은 프로파일 베이스(72), 프로파일 베이스(72)로부터 돌출하는 프로파일 림(73), 프로파일 림(73)의 자유 단부 상에 경사진 장착 림(74)을 포함하고, 장착 림(74) 위에서 가이드 프레임(59)이 제1 적재 랙(2a) 및 제2 적재 랙(2b)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적재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제1 랙 가이드 트랙(4a)이 운송 비히클 리프팅 장치(6; 6')에 인접하는 단부에서 장착 섹션을 형성하되, 장착 섹션 내에서 미리 제작된 통로 개구(114a)가 제1 랙 가이드 트랙(4a)의 단부 에지(115a)로부터 간격을 두고 제공되어 있고,
    - 제1 가이드 프로파일(112a)은 일 열의 미리 제작된 통로 개구(116a)를 형성하고,
    - 제1 랙 가이드 트랙(4a) 및 제1 가이드 프로파일(112a)은 적어도 하나의 연결 수단(113a) 특히 통로 개구(114a, 116a)를 침투하는 나사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고,
    - 제2 랙 가이드 트랙(4b)이 운송 비히클 리프팅 장치(6; 6')에 인접하는 단부에서 장착 섹션을 형성하되, 장착 섹션 내에서 미리 제작된 통로 개구(114b)가 제2 랙 가이드 트랙(4b)의 단부 에지(115b)로부터 간격을 두고 제공되어 있고,
    - 제2 가이드 프로파일(112b)은 일 열의 미리 제작된 통로 개구(116b)를 형성하고,
    - 제2 랙 가이드 트랙(4b) 및 제2 가이드 프로파일(112b)은 적어도 하나의 연결 수단(113b) 특히 통로 개구(114b, 116b)를 침투하는 나사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적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리프트 드라이브는 주행 평면(E2) 상에서 랙 가이드 트랙(4a, 4b)에 대해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a, 110b)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해, 제1 위치설정 시스템과 협력하는 리프팅 모터(89)를 포함하고,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a, 110b)들 중 하나는 조정 장치(170)에 의해 주행 평면(E2)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도록 리프트 프레임(60) 상에 장착되고,
    조정 장치(170)는 주행 평면(E2) 상에서 랙 가이드 트랙(4a, 4b)들 중 하나에 대해 언급된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a, 110b)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해, 제2 위치설정 시스템과 협력하는 작동 모터(17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적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운송 비히클 리프팅 장치(6; 6')는 리프트 프레임(60) 아래에 고정 배치되어 있는 에너지-흡수 변형 장치(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적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에너지-흡수 변형 장치(100)는,
    - 리프트 프레임(60)에 대한 충격 면을 구비하는 힘 분배 플레이트(101),
    - 힘이 인가될 때 소성 변형할 수 있으며 힘 분배 플레이트(101) 아래에 배치되는 하니컴 바디(102)로, 상기 하니컴 바디(102)는 리프트 프레임(60)이 힘 분배 플레이트(101)와 충돌할 때 발생되는 충격 에너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흡수하는, 하니컴 바디(102), 및
    - 변형 장치(100)를 장착하기 위해 하니컴 바디(102)에 배치되는 장착 플레이트(10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적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하니컴 바디(102)의 공동이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적재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운송 비히클 리프팅 장치(6)에 인접하는 랙 통로 단부 위에 그리고 각 구동 평면(E2)에 정지 장치가 제공되고, 상기 정지 장치는 각각이 운송 비히클(5)의 이동 경로 내로 이동되는 정지 위치와 운송 비히클(5)의 이동 경로 밖으로 이동되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단부 정지 버퍼(150a, 15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적재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각 단부 정지 버퍼(150a, 150b)가 선회 가능한 플랩 상에 배치되고, 플랩의 선회 축은 랙 통로(3)와 평행하게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적재 시스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프트 프레임(60) 및/또는 수용 장치(61)에는 랙 통로(3)에 인접한 측면 위에 작동 장치가 제공되고, 작동 장치는 제1 작동 요소(151a) 및 제2 작동 요소(151b)를 포함하되, 제1 작동 요소(151a)는 단부 정지 버퍼(150a, 150b)의 제1 단부 정지 버퍼(150a)에 할당되고, 이에 의해 제1 단부 정지 버퍼(150a)는 운송 비히클(5)의 이동 경로 내에 이동된 정지 위치에서 운송 비히클(5)의 이동 경로 밖으로 이동된 해제 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제2 작동 요소(151b)는 단부 정지 버퍼(150a, 150b)의 제2 단부 정지 버퍼(150b)에 할당되고, 이에 의해 제2 단부 정지 버퍼(150b)는 운송 비히클(5)의 이동 경로 내에 이동된 정지 위치에서 운송 비히클(5)의 이동 경로 밖으로 이동된 해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적재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제1 작동 요소(151a)는 제1 선회 레버를 구비하되, 제1 선회 레버의 선회 축은 랙 통로(3)와 평행하게 연장하고, 제2 작동 요소(151b)는 제2 선회 레버를 구비하되, 제2 선회 레버의 선회 축은 랙 통로(3)와 평행하게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적재 시스템.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제1 작동 요소(151a)는 제1 구동 모터(152a)에 연결되고, 제2 작동 요소(151b)는 제2 구동 모터(152b)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적재 시스템.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작동 요소(151a)는 제1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a) 상에 장착되고, 제2 작동 요소(151b)는 제2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b) 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적재 시스템.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프트 프레임(60) 및/또는 수용 장치(61)에는 랙 통로(3)로부터 반대 방향을 향하는 측면 위에 제1 단부 정지 버퍼(160a) 및 제2 단부 정지 버퍼(160b)가 제공되고, 제1 단부 정지 버퍼(160a)는 제1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a)에 할당되고, 운송 비히클(5)의 이동 경로 내에 이동된 정지 위치와 운송 비히클(5)의 이동 경로 밖으로 이동된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고, 제2 단부 정지 버퍼(160b)는 제2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b)에 할당되고, 운송 비히클(5)의 이동 경로 내에 이동된 정지 위치와 운송 비히클(5)의 이동 경로 밖으로 이동된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적재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제1 단부 정지 버퍼(160a)는 제1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a) 상에 장착되고, 제2 단부 정지 버퍼(160b)는 제2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b) 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적재 시스템.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제1 단부 정지 버퍼(160a)는 제1 선회 레버를 포함하되, 제1 선회 레버의 선회 축은 랙 통로(3)와 평행하게 연장하고, 제2 단부 정지 버퍼(160b)는 제2 선회 레버를 포함하되, 제2 선회 레버의 선회 축은 랙 통로(3)와 평행하게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적재 시스템.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a)은 러닝 면(123a) 및 오목한 방식으로 러닝 면(123a) 내에 배치된 위치설정 개구(124)를 포함하고, 위치설정 개구(124)는 랙 통로(3)로부터 반대 방향을 향하는 단부 영역에 배치되고, 운송 비히클(5)이 수용 장치(61) 내에 위치할 때, 그 영역 내에서 운송 비히클(5)의 제1 비히클 측면 상에 배치된 러닝 휠(16)들 중 하나가 부분 섹션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적재 시스템.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b)은 러닝 면(123b) 및 그 위에 서로 거리를 두고 배치된 슬라이드 라이닝(125)을 구비하여, 운송 비히클(5)이 수용 장치(61) 내에 위치할 때, 운송 비히클(5)의 제2 비히클 측면 상에 배치된 러닝 휠(16)이 슬라이드 라이닝(125) 위에 안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적재 시스템.
  21. 제1항에 있어서,
    - 단위 적재물(8)을 운송하기 위한 이송 시스템,
    - 단위 적재물(8)을 운송하기 위한 이송 시스템에 인접하고, 단위 적재물(8)을 적재하기 위해 제1 단위 적재물 운송 장치(21a) 및 제1 버퍼 장치(22a) 및 단위 적재물(8)을 회수하기 위해 제2 단위 적재물 운송 장치(21b) 및 제2 버퍼 장치(22b)를 구비하는, 단위 적재물 조작 유닛(20)을 포함하고,
    제1 버퍼 장치(22a)는 서로의 상부 위에 위치하는 공급 평면 내에 배치된 공급 장치(29a)를 구비하고, 제2 버퍼 장치(22b)는 서로의 상부 위에 위치하는 공급 평면 내에 배치된 공급 장치(29b)를 구비하고,
    제1 단위 적재물 운송 장치(21a)는 단위 적재물(8)을 운송하기 위한 이송 시스템을 제1 버퍼 장치(22a)의 공급 장치(29a)에 운송 측면에서 연결하고,
    제2 단위 적재물 운송 장치(21b)는 단위 적재물(8)을 운송하기 위한 이송 시스템을 제2 버퍼 장치(22b)의 공급 장치(29b)에 운송 측면에서 연결하며,
    적어도 하나의 자동화된 운송 장치(5)가 적재 장소(7)의 전방에서 랙 가이드 트랙(4a, 4b)을 따라 랙 통로(3) 내에서 변위될 수 있고, 제1 버퍼 장치(22a) 및 제2 버퍼 장치(22b)는 단위 적재물(8)을 제1 버퍼 장치(22a)와 적재 장소(7) 사이에서 또는 적재 장소(7)와 제2 버퍼 장치(22b) 사이에서 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적재 시스템.
  22. 랙 적재 시스템으로, 상기 랙 적재 시스템은,
    - 서로의 상부에 위치한 적재 평면(E1)에서 서로 나란히 배열되는, 단위 적재물(8)을 위한 적재 장소(7)가 있는 제1 적재 랙(2a),
    - 서로의 상부에 위치한 저장 평면(E1)에서 서로 나란히 배열되는, 단위 적재물(8)을 위한 적재 장소(7)가 있는 제2 적재 랙(2b),
    - 제1 적재 랙(2a)과 제2 적재 랙(2b) 사이의 랙 통로(3),
    - 제1 적재 랙(2a)과 제2 적재 랙(2b)에 부착되며, 모든 경우에 있어서 서로의 상단에 위치한 주행 평면(E2)에서 쌍으로 배열되어 있는 랙 가이드 트랙(4a, 4b),
    - 적재 장소(7)에 단위 적재물(8)을 보관하고, 적재 장소(7)로부터 단위 적재물(8)을 회수하기 위해, 랙 가이드 트랙(4a, 4b)을 따라 랙 통로(3)에서 변위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자동 운송 비히클(5), 및
    - 수직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프레임(59)과 리프트 드라이브에 의해 조정 가능하도록 그 위에 장착된 수용 장치(61)가 있는 운송 비히클 리프팅 장치(6)로, 수용 장치(61)는 랙 가이드 트랙(4a, 4b)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랙 가이드 트랙(4a, 4b)에 대해 위치 지정 가능한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a, 110b)을 포함하며, 이에 의해 운송 비히클(5)이 구동 평면(E2)들 사이에서 운송될 수 있는, 운송 비히클 리프팅 장치(6)를 포함하고,
    리프트 드라이브는 구동 평면(E2) 상에서 랙 가이드 트랙(4a, 4b)에 대해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a, 110b)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해 제1 위치설정 시스템과 협력하는 리프팅 모터(89)를 포함하는, 랙 적재 시스템에 있어서,
    조정 장치(170)에 의해 구동 평면(E2)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도록,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a, 110b)들 중 하나가 리프트 프레임(60) 상에 장착되고,
    조정 장치(170)는 구동 평면(E2)들 하나의 랙 가이드 트랙(4a, 4b)들 중 하나에 대해 리프트 가이드 트랙(110a, 110b)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해 제2 위치설정 시스템과 협력하는 작동 모터(17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적재 시스템.
  23. 제22항에 있어서, 랙 적재 시스템이 제1항 내지 제5항 또는 제7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적재 시스템.
KR1020227023086A 2019-12-06 2020-12-04 개선된 운송 비히클 리프팅 장치를 구비하는 랙 적재 시스템 KR202201184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51067/2019 2019-12-06
ATA51067/2019A AT522434B1 (de) 2019-12-06 2019-12-06 Regallagersystem mit verbesserter Transportfahrzeug-Hebevorrichtung
PCT/AT2020/060434 WO2021108827A1 (de) 2019-12-06 2020-12-04 Regallagersystem mit verbesserter transportfahrzeug-hebevorricht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8448A true KR20220118448A (ko) 2022-08-25

Family

ID=73149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3086A KR20220118448A (ko) 2019-12-06 2020-12-04 개선된 운송 비히클 리프팅 장치를 구비하는 랙 적재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402699A1 (ko)
EP (1) EP4069610A1 (ko)
KR (1) KR20220118448A (ko)
CN (1) CN114746349A (ko)
AT (1) AT522434B1 (ko)
CA (1) CA3163469A1 (ko)
WO (1) WO20211088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24700A1 (de) 2021-01-29 2022-08-15 Tgw Mechanics Gmbh Verfahren zum Einlagern mehrerer Lagerobjekte unterschiedlicher Lagerobjekttype in ein Lagerregal und ein Regallagersystem hierfür
US11932488B2 (en) * 2021-07-06 2024-03-19 Intelligrated Headquarters, Llc Modular vertical lift system
AT525764A1 (de) 2021-12-22 2023-07-15 Tgw Mechanics Gmbh Regallagersystem
WO2023115090A1 (de) 2021-12-22 2023-06-29 Tgw Mechanics Gmbh Regallagersystem
CN115535514A (zh) * 2022-12-05 2022-12-30 沈阳新松机器人自动化股份有限公司 一种料箱提升机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113202B2 (de) * 1971-03-18 1976-09-02 Hoffmann geb. Chvala, Maria, 5000Köln Warenlager
JPS56162207U (ko) * 1980-05-06 1981-12-02
FR2710330B1 (fr) 1993-09-23 1995-11-24 Etude Mecanisation Automatisat Magasin de stockage automatisé.
DE102004007412A1 (de) 2004-02-16 2005-09-01 Knapp Logistik Automation Ges.M.B.H. Verfahren und System zum Bedienen eines Regals vorzugsweise in einer Kommissionieranlage
DE102004031581B4 (de) * 2004-06-29 2015-02-05 Sew-Eurodrive Gmbh & Co Kg Spurgeführtes Transportsystem
DE102009032406A1 (de) * 2009-07-09 2011-01-13 Psb Intralogistics Gmbh Regallagersystem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Regallagersystems
AT511137B1 (de) 2011-02-08 2020-10-15 Tgw Mechanics Gmbh Regallagersystem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sselben
AT511162A1 (de) * 2011-02-08 2012-09-15 Tgw Mechanics Gmbh Regallagersystem
AT511138B1 (de) 2011-02-08 2015-01-15 Tgw Mechanics Gmbh Einebenenregalbediengerät zum ein- bzw. auslagern von ladegütern in ein bzw. aus einem regallager
AT513930B1 (de) * 2012-12-20 2020-10-15 Tgw Mechanics Gmbh Regallagersystem mit Förderfahrzeug-Hebevorrichtung
JP6241400B2 (ja) * 2014-09-19 2017-12-06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保管設備
JP6156409B2 (ja) * 2015-02-25 2017-07-05 村田機械株式会社 搬送装置
CN105151617A (zh) * 2015-08-07 2015-12-16 上海浦门电子科技有限公司 仓储订单拣选系统
AT516612B1 (de) * 2015-10-06 2016-07-15 Tgw Mechanics Gmbh Automatisiertes Lagersystem und Verfahren zum Lagern von Hängewaren in diesem Lagersystem
DE102017219431A1 (de) * 2017-10-30 2019-05-02 FB Industry Automation GmbH Regalsystem mit Shuttlefahrzeug
WO2019183249A1 (en) * 2018-03-20 2019-09-26 Bastian Solutions, Llc Robotic shuttle system
JP6825600B2 (ja) * 2018-04-17 2021-02-03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CN108820663A (zh) * 2018-06-11 2018-11-16 江苏高科物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化仓储及堆垛机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08827A1 (de) 2021-06-10
US20220402699A1 (en) 2022-12-22
AT522434B1 (de) 2020-11-15
CN114746349A (zh) 2022-07-12
AT522434A4 (de) 2020-11-15
CA3163469A1 (en) 2021-06-10
EP4069610A1 (de) 2022-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18448A (ko) 개선된 운송 비히클 리프팅 장치를 구비하는 랙 적재 시스템
CN113365930B (zh) 具有改善的装载物操纵单元的货架仓库系统
US20160229630A1 (en) Pallet transport device
EP2673218B1 (de) Regallagersystem
EP2709933B1 (de) Regallagersystem
KR20160024984A (ko) 차량의 배터리 교환 방법 및 장치
CN105705441A (zh) 自动存储和取回系统
EP2419354A1 (de) Anlage zur tauchbehandlung
DE19534291A1 (de) Regalanlage mit an Schienen geführtem Regalbediengerät
AT511138B1 (de) Einebenenregalbediengerät zum ein- bzw. auslagern von ladegütern in ein bzw. aus einem regallager
EP2523878B1 (de) Fördervorrichtung
CN107207230A (zh) 负载固定装置
IT9021469A1 (it) Dispositivo per l'allineamento e/o selezione di elementi singoli.
KR101328131B1 (ko) 천정타입 물품 운반용 유연 구동 시스템
WO2022089812A1 (en) An automated small parts shuttle racking system
JP5332337B2 (ja) 搬送装置及び自動倉庫
US11370609B2 (en) Store for the single-location storage of parcelled goods
AT522800B1 (de) Regallagersystem mit verbesserter Transportfahrzeug-Hebevorrichtung
US20100104414A1 (en) Workpiece Transport Assembly And Method Of Using Same
US5001987A (en) Lightweight car-on-track system
KR102148578B1 (ko) 팔레트 랙의 가이드 시스템
CN209209955U (zh) 装卸设备和装卸系统
CN216582306U (zh) 输送装置
NZ215345A (en) Track guided transportation system with upper and lower rails:retractable guide whe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