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8274A - 퀵 커넥터 - Google Patents

퀵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8274A
KR20220118274A KR1020210062476A KR20210062476A KR20220118274A KR 20220118274 A KR20220118274 A KR 20220118274A KR 1020210062476 A KR1020210062476 A KR 1020210062476A KR 20210062476 A KR20210062476 A KR 20210062476A KR 20220118274 A KR20220118274 A KR 20220118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quick connector
insertion groove
fixing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2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6682B1 (ko
Inventor
김유미
권구성
염세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아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아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아비스
Priority to DE102022102971.9A priority Critical patent/DE102022102971A1/de
Priority to US17/651,516 priority patent/US11781691B2/en
Publication of KR20220118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8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6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6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1Arrangement of fuel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27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using hooks hinged about an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28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 B60K2015/03453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for fixing or mounting parts of the fuel tank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퀵 커넥터는, 일측에 수커넥터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과 연통되며 상기 삽입홈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통공이 형성된 하우징;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에서 삽입홈의 입구측 방향으로 돌출된 삽입 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가 연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의 하단부가 상기 삽입홈 내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제1고정부; 및 상기 하우징의 연통공에서 고정부재를 향해 연장 형성되며, 자유단이 상기 삽입 가이드의 상측에 배치된 제2고정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차량의 연료 공급 라인에서 저압측 라인에 적용될 수 있고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어 제조가 용이하며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퀵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퀵 커넥터 {Quick connector}
본 발명은 차량의 연료 공급 시스템을 구성하는 부품들이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연료 라인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퀵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솔린 엔진이나 디젤 엔진과 같이 액체 연료를 공급받아 구동되는 차량 등의 장치에는 연료가 저장되는 연료탱크가 구비되고, 연료탱크에는 연료펌프모듈이 설치되며 연료 펌프 모듈은 연료 공급 라인으로 엔진에 연결되어 연료탱크 내부에 저장된 연료를 엔진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외에도 차량의 연료 공급 시스템은 필터 및 밸브 등 다양한 부품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각 부품들은 호스 및 퀵 커넥터 등을 이용하여 연결된다.
여기에서 연료 공급 라인은 상대적으로 유동되는 연료의 압력이 높은 고압측 라인과 압력이 낮은 저압측 라인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고압측 라인뿐만 아니라 저압측 라인에도 연료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복잡한 구조의 퀵 커넥터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저압측 라인에는 필요 이상의 설계가 적용되고 있어 제조비용이 증가하고 퀵 커넥터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커져서 컴팩트한 구성이 어렵다.
KR 2018-0043975 A (2018.05.02)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 따라 차량의 연료 공급 라인에서 저압측 라인에 적용될 수 있고,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어 제조가 용이하며,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퀵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퀵 커넥터는, 일측에 수커넥터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과 연통되며 상기 삽입홈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통공이 형성된 하우징; 및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에서 삽입홈의 입구측 방향으로 돌출된 삽입 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가 연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의 하단이 상기 삽입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제1고정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탄성 변형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걸림부의 상단에서 상기 삽입 가이드가 돌출된 반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레버, 및 상기 걸림부와 레버가 연결된 부분에 일측이 연결되며, 타측은 레버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한 쌍의 결합공이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부의 결합부에는 상기 한 쌍의 결합공에 대응되는 한 쌍의 걸림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 돌기가 결합공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퀵 커넥터는, 상기 하우징과 레버 사이에 개재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서 고정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이 고정 돌기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돌기는 레버의 자유단쪽에 대응되는 부분의 높이가 나머지 부분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의 삽입 가이드는 메인 가이드 및 상기 메인 가이드의 원주방향 양측에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보조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의 걸림부는 메인 가이드 측에서 보조 가이드 측으로 갈수록 걸림 높이가 점점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퀵 커넥터는, 상기 하우징의 삽입홈의 입구측에 상기 삽입홈 보다 직경이 큰 안치홈이 형성되며, 상기 안치홈에 삽입된 오링 및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커넥터가 삽입되는 반대방향으로 상기 안치홈에서 입구쪽으로 가면서 내경이 점차 커지는 형태로 확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확장부의 하측에는 상기 안치홈의 내경에 대응되는 지지 리브가 반경방향 안쪽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퀵 커넥터는, 외주면에서 단턱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제1고정부의 걸림부에 걸려 결합되는 수커넥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연통공에서 상기 제1고정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며, 자유단이 상기 삽입 가이드의 상측에 배치된 제2고정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레버의 자유단에 대응되는 부분의 양쪽 측벽이 일부 삭제되어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퀵 커넥터는 간단하면서도 확실한 결합 구조로 형성되어 차량의 연료 공급 라인에서 상대적으로 유동되는 연료의 압력이 낮은 저압측 라인에 적용되어 연료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어 제조가 용이하며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퀵 커넥터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므로, 연료 라인이 배치된 공간이 협소한 곳에서도 사용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퀵 커넥터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분해사시도 및 정면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커넥터가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의 퀵 커넥터를 나타낸 정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커넥터가 제1고정부에 걸려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퀵 커넥터를 나타낸 좌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커넥터가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좌측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퀵 커넥터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및 분해사시도 및 수커넥터가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의 퀵 커넥터를 나타낸 정면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퀵 커넥터프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퀵 커넥터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분해사시도 및 정면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커넥터가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의 퀵 커넥터를 나타낸 정면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퀵 커넥터는 크게 하우징(100) 및 제1고정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400), 오링(500), 스페이서(600), 수커넥터(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수커넥터(700)가 삽입되는 길이방향으로 일측면에서 오목하게 삽입홈(110)이 형성되고, 타측면에서는 연결 포트(160)가 연장되어 삽입홈(110)과 연결 포트(160)의 내부 유로가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삽입홈(110)의 입구쪽 측면에서부터 길이방향으로 일부 영역에는 삽입홈(110)의 직경보다 큰 안치홈(130)이 형성되어, 안치홈(130)에는 오링(500) 및 스페이서(600)가 차례대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은 높이방향 상측면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연통공(120)이 형성되어, 연통공(120)과 삽입홈(110)이 연통된다. 또한, 하우징(100)의 상측에는 폭방향 양측에 폭방향으로 양면을 관통하는 결합공(140)이 형성될 수 있으며, 길이방향으로 결합공(140)을 기준으로 연통공(120)의 반대측에는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고정 돌기(15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고정부(200)는 걸림부(210) 및 삽입 가이드(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레버(230), 결합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210)는 하우징(100)의 상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통공(120)에 삽입되어 걸림부(210)가 연통공(12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걸림부(210)는 하단이 높이방향으로 삽입홈(110)의 상단에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삽입 가이드(220)는 걸림부(210)의 하단부에서 삽입홈(110)의 입구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하여 걸림부(210)의 일측면에서 삽입 가이드(220)가 돌출되어 있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이때 삽입 가이드(220)의 하단부는 삽입홈(110)의 입구측으로 가면서 상측으로 경사진 형태 또는 라운드 형태로 형성되어, 수커넥터(700)가 삽입홈(110)에 삽입되기 용이할 수 있다. 레버(230)는 걸림부(210)의 상단부에서 삽입홈(110)의 입구측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240)는 걸림부(210)와 레버(230)가 연결된 부분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레버(230)와 이격되어 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결합부(240)가 하우징(10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부(24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 하우징(10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일례로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240)는 레버(230)와 나란하게 이격 배치된 수평부의 폭방향 양측에서 상부 방향으로 수직부가 각각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수직부들은 레버(230)와 폭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부(240)의 수직부들은 폭방향 바깥쪽에 걸림 돌기(241)가 돌출 형성되어, 걸림 돌기(241)들이 하우징(100)의 결합공(140)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에는 결합공(140)이 형성되는 부분에서 결합부(240)들이 삽입될 수 있도록 격벽이 형성되어, 격벽에 의해 둘러싸인 내측에 결합부(240)가 삽입되어 결합부(240)가 길이방향으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결합부(240)의 수평부의 하면은 하우징(100)의 상면에 접촉되어 받쳐질 수 있다.
그리하여 제1고정부(200)는 레버(230)를 누르면 결합부(240)가 탄성 변형되면서 결합부(240)를 기준으로 제1고정부(200)가 회전되어 걸림부(210)가 상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때 삽입 가이드(220)가 제2고정부(300)를 밀고 올라가면서 제2고정부(300)가 탄성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레버(230)를 놓으면 탄성에 의해 걸림부(210)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탄성부재(400)는 일례로 압축 코일스프링이 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400)는 하단부가 하우징(100)의 고정 돌기(150)에 끼워지고 상단은 레버(230)의 하면에 접촉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제1고정부(200)의 레버(230)가 탄성부재(400)에 의해 탄성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돌기(150)는 제1고정부(200)의 레버(230)의 자유단쪽에 대응되는 부분의 높이가 나머지 부분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돌기(150)의 우측이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단차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제1고정부(200)의 레버(230)가 눌려서 회전되었을 때 보다 깊게 레버(230)가 눌릴 수 있어 걸림부(210)가 더 높게 들어 올려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레버(230)를 누른 상태에서 수커넥터(700)를 삽입된 반대방향으로 탈거하기 용이할 수 있다.
오링(500)은 수커넥터(700)가 삽입홈(110)에 삽입되었을 때 유체의 기밀 유지를 위해 안치홈(130)에 삽입될 수 있다.
스페이서(600)는 오링(500)이 길이방향으로 이탈 및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스페이서(600)는 오링(500)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수커넥터(700)를 삽입하는 방향으로 오링(500)의 후방쪽에 스페이서(60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스페이서(600)는 상하 양쪽에 걸림 돌기(610)가 돌출 형성되고, 하우징(100)에는 걸림 돌기(610)에 대응되는 고정홀(190)이 형성되어, 스페이서(600)를 안치홈(130)에 밀어넣어 압입하면 걸림 돌기(610)가 고정홀(190)에 삽입되어 스페이서(600)가 하우징(100)의 안치홈(130)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수커넥터(700)는 관 형태로 형성되며 외주면에서 단턱(710)이 링 형태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도 4와 같이 수커넥터(700)가 하우징(100)의 삽입홈(110)의 끝까지 삽입되었을 때 수커넥터(700)의 단턱(710)이 걸림부(210)에 걸려서 삽입된 반대방향으로 쉽게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수커넥터(700)를 하우징(100)의 삽입홈(110)에 삽입할 때에는, 수커넥터(700)의 단턱(710)이 삽입 가이드(220)에 접촉된 상태에서 수커넥터(700)를 더 안쪽으로 밀어 삽입하면 단턱(710)이 걸림부(210)를 위쪽으로 밀어 올리면서 수커넥터(700)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수커넥터(700)가 삽입홈(110)에 삽입되어 걸림부(210)에 걸려있는 상태에서 수커넥터(700)를 분리하는 경우에는, 레버(230)를 아래쪽으로 눌러 걸림부(210)가 위쪽으로 올라가게 한 후 수커넥터(700)를 잡아당기면 용이하게 수커넥터(700)를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퀵 커넥터는 간단하면서도 확실한 결합 구조로 형성되어 차량의 연료 공급 라인에서 상대적으로 유동되는 연료의 압력이 낮은 저압측 라인에 적용되어 연료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어 제조가 용이하며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퀵 커넥터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므로 연료 라인이 배치된 공간이 협소한 곳에서도 사용이 용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커넥터가 제1고정부에 걸려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퀵 커넥터를 나타낸 좌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커넥터가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좌측 단면도이다.
또한, 제1고정부(200)의 삽입 가이드(220)는 메인 가이드(221) 및 메인 가이드(221)의 원주방향 양측에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보조 가이드(22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메인 가이드(221)는 폭방향으로 걸림부(210)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고, 보조 가이드(222)는 메인 가이드(221)에서 폭방향 바깥쪽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가이드(221)보다 보조 가이드(222)들이 높이방향으로 아래쪽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하여 수커넥터(700)가 삽입홈(110)에 삽입될 때 보다 균형있게 걸림부(210)를 들어올릴 수 있어 수커넥터(700)의 삽입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제1고정부(200)의 걸림부(210)는 메인 가이드(221) 측에서 보조 가이드(222) 측으로 갈수록 걸림 높이가 점점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7과 같이 수커넥터(700)의 단턱(710)이 걸림부(210)에 걸리는 영역을 보면, 메인 가이드(221) 측에서의 걸림 높이(h1)보다 보조 가이드(221) 측에서의 걸림 높이(h2)가 더 작게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그리하여 수커넥터(700)를 삽입홈(110)에 삽입하여 결합하거나 빼서 분리할 때 걸림부(210)를 상측으로 들어 올려야하는 최대 높이는 h1만큼의 높이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걸림부(210)의 하단 내주면 직경을 수커넥터(700)의 외경에 대응되게 형성했을 때 보다 걸림부(210)를 들어 올려야하는 걸림 높이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은 수커넥터(700)가 삽입되는 반대방향으로 안치홈(130)에서 입구쪽으로 가면서 내경이 점차 커지는 형태로 확장부가 형성되어 수커넥터(700)를 하우징(100)의 삽입홈(110) 및 안치홈(130)에 삽입하기 용이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00)의 확장부의 하측에는 안치홈(130)의 내경에 대응되는 지지 리브(180)가 반경방향 안쪽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외력이나 내압에 의해 수커넥터(700)가 삽입된 반대방향으로 약간 밀려 나오더라도 지지 리브(180)에 의해 수커넥터(700)가 아래쪽으로 처지는 것이 방지되어 수커넥터(700)가 쉽게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즉, 하나의 제1고정부(200)가 수커넥터(700)의 단턱(710)을 직경방향으로 한쪽에서만 잡아 고정시켜주는 구조에서, 지지 리브(180)가 직경방향으로 제1고정부(200)의 반대쪽을 받쳐줘 수커넥터(700)의 이탈 방지를 보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은 레버(230)의 자유단에 대응되는 부분의 양쪽 측벽이 일부 삭제된 형태로 형성되어 레버(230)를 누르기 용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부재(400)의 강성을 증가시켜 수커넥터(700)가 삽입된 상태에서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탄성부재의 강성이 상대적으로 크더라도 보다 용이하게 레버를 눌러 수커넥터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에는 원판 형태의 플랜지(170)가 형성될 수 있으며, 플랜지(170)는 연결 포트(160)에 인접하여 레버(23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수커넥터(700)를 삽입한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겨 분리할 때 작업자가 플랜지(170) 부분을 손으로 잡고 당기기 용이하여 수커넥터(700)를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퀵 커넥터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및 분해사시도 및 수커넥터가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의 퀵 커넥터를 나타낸 정면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퀵 커넥터는 상기한 제1실시예에서 제2고정부(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고정부(300)는 하우징(100)의 연통공(120)에서 제1고정부(200)의 걸림부(210) 측을 향해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제2고정부(300)는 자유단이 삽입 가이드(22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제1고정부(200)의 걸림부(210)가 연통공(120)에 삽입되었을 때 제2고정부(300)에 삽입 가이드(220)가 걸려서 상부 방향으로 쉽게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력이나 내압에 의해 수커넥터(700)가 삽입된 반대방향으로 밀려나오려고 할 때 제2고정부(300)에 의해 제1고정부(200)의 걸림부(210) 측이 변형되거나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어 수커넥터(700)가 쉽게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수커넥터(700)가 삽입홈(110)에 삽입되어 걸림부(210)에 걸려있는 상태에서 수커넥터(700)를 분리하는 경우에는, 레버(230)를 아래쪽으로 누르면 걸림부(210)가 제2고정부(300)를 위쪽으로 밀어서 제2고정부(300)가 변형되면서 걸림부(210)가 위쪽으로 올라가도록 한 후 수커넥터(700)를 잡아당기면 용이하게 수커넥터(700)를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하우징 110 : 삽입홈
120 : 연통공 130 : 안치홈
140 : 결합공 150 : 고정 돌기
160 : 연결 포트 170 : 플랜지
180 : 지지 리브 190 : 고정홀
200 : 제1고정부 210 : 걸림부
220 : 삽입 가이드 221 : 메인 가이드
222 : 보조 가이드 230 : 레버
240 : 결합부 241 : 걸림 돌기
300 : 제2고정부
400 : 탄성부재
500 : 오링
600 : 스페이서 610 : 걸림 돌기
700 : 수커넥터 710 : 단턱

Claims (14)

  1. 일측에 수커넥터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과 연통되며 상기 삽입홈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통공이 형성된 하우징; 및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에서 삽입홈의 입구측 방향으로 돌출된 삽입 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가 연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의 하단이 상기 삽입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제1고정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퀵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탄성 변형이 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걸림부의 상단에서 상기 삽입 가이드가 돌출된 반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레버, 및
    상기 걸림부와 레버가 연결된 부분에 일측이 연결되며, 타측은 레버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퀵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한 쌍의 결합공이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부의 결합부에는 상기 한 쌍의 결합공에 대응되는 한 쌍의 걸림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 돌기가 결합공에 삽입되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커넥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레버 사이에 개재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퀵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서 고정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이 고정 돌기에 끼워져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돌기는 레버의 자유단쪽에 대응되는 부분의 높이가 나머지 부분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의 삽입 가이드는 메인 가이드 및 상기 메인 가이드의 원주방향 양측에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보조 가이드를 포함하는 퀵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의 걸림부는 메인 가이드 측에서 보조 가이드 측으로 갈수록 걸림 높이가 점점 작아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삽입홈의 입구측에 상기 삽입홈 보다 직경이 큰 안치홈이 형성되며, 상기 안치홈에 삽입된 오링 및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퀵 커넥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커넥터가 삽입되는 반대방향으로 상기 안치홈에서 입구쪽으로 가면서 내경이 점차 커지는 형태로 확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확장부의 하측에는 상기 안치홈의 내경에 대응되는 지지 리브가 반경방향 안쪽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커넥터.
  12. 제10항에 있어서,
    외주면에서 단턱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제1고정부의 걸림부에 걸려 결합되는 수커넥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퀵 커넥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연통공에서 상기 제1고정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며, 자유단이 상기 삽입 가이드의 상측에 배치된 제2고정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퀵 커넥터.
  1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레버의 자유단에 대응되는 부분의 양쪽 측벽이 일부 삭제되어 있는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커넥터.
KR1020210062476A 2021-02-18 2021-05-14 퀵 커넥터 KR102586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2102971.9A DE102022102971A1 (de) 2021-02-18 2022-02-09 Schnellverbinder
US17/651,516 US11781691B2 (en) 2021-02-18 2022-02-17 Quick conn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21832 2021-02-18
KR1020210021832 2021-0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8274A true KR20220118274A (ko) 2022-08-25
KR102586682B1 KR102586682B1 (ko) 2023-10-11

Family

ID=83111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2476A KR102586682B1 (ko) 2021-02-18 2021-05-14 퀵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6682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3268A (en) * 1986-09-01 1988-06-28 S.A. Des Establissements Staubli Double coupling for removably joining twin pipes
JPH08503288A (ja) * 1992-10-27 1996-04-09 コールダー・プロダクツ・カンパニー 早連結接続弁アセンブリ
JP2001526611A (ja) * 1996-04-12 2001-12-18 コールダー・プロダクツ・カンパニー 弁及び該弁からなる結合体、並びに該結合体の組立て方法
JP2010509553A (ja) * 2006-11-15 2010-03-25 レグリ ソシエテ パ アクシオンス シンプリフィエ クイックコネクタ
KR101714313B1 (ko) * 2016-04-18 2017-03-22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 유체통로용 퀵 커넥터
KR20180043975A (ko) 2016-10-21 2018-05-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퀵 커넥터
KR102110981B1 (ko) * 2017-11-30 2020-05-14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온수매트의 호스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
JP6783270B2 (ja) * 2017-06-29 2020-11-11 キャディラック ラバー アンド プラスチ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クイックコネクタ及び使用方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3268A (en) * 1986-09-01 1988-06-28 S.A. Des Establissements Staubli Double coupling for removably joining twin pipes
JPH08503288A (ja) * 1992-10-27 1996-04-09 コールダー・プロダクツ・カンパニー 早連結接続弁アセンブリ
JP2001526611A (ja) * 1996-04-12 2001-12-18 コールダー・プロダクツ・カンパニー 弁及び該弁からなる結合体、並びに該結合体の組立て方法
JP2010509553A (ja) * 2006-11-15 2010-03-25 レグリ ソシエテ パ アクシオンス シンプリフィエ クイックコネクタ
KR101714313B1 (ko) * 2016-04-18 2017-03-22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 유체통로용 퀵 커넥터
KR20180043975A (ko) 2016-10-21 2018-05-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퀵 커넥터
JP6783270B2 (ja) * 2017-06-29 2020-11-11 キャディラック ラバー アンド プラスチ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クイックコネクタ及び使用方法
KR102110981B1 (ko) * 2017-11-30 2020-05-14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온수매트의 호스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6682B1 (ko) 2023-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5020B2 (en) Coupling with latch mechanism
US7159576B2 (en) Fuel feed apparatus
US20190271427A1 (en) Quick-connection device having double locking mechanism
US11746939B2 (en) Blind mate fluid connector
US20100244433A1 (en) Connector
US6945422B2 (en) In-tank fuel line quick connector assembly
WO2019188242A1 (ja) 燃料タンク用蓋
US20080184970A1 (en) Fuel pump modul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20220118274A (ko) 퀵 커넥터
JP4798247B2 (ja) コネクタ
JP6260865B2 (ja) 燃料供給装置
US11781691B2 (en) Quick connector
US11578828B2 (en) Connector having a guided pilot
US6338506B1 (en) Evaporation valve pipe-fastening structure
CN108700232B (zh) 具有推入配合式流体耦合器的家用电器系统
US7195464B2 (en) Hydraulic axial piston pump
KR200393535Y1 (ko) 오일 저장용 탱크의 오일 주입 구조체
GB2465438A (en) Pressurised water storage tank having a rubber valve
JP3179314U (ja) 配管接続装置
CN220205013U (zh) 连接接头及快速接头组件
CN211343184U (zh) 低安装高度电动燃油泵总成
JPH0869832A (ja) 燃料タンク用コネクタの取付構造
CN210599232U (zh) 一种燃油泵总成结构
CN210106041U (zh) 法兰支撑片燃油泵
JP2011102550A (ja) 燃料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