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7585A - 커튼봉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커튼봉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7585A
KR20220117585A KR1020210021115A KR20210021115A KR20220117585A KR 20220117585 A KR20220117585 A KR 20220117585A KR 1020210021115 A KR1020210021115 A KR 1020210021115A KR 20210021115 A KR20210021115 A KR 20210021115A KR 20220117585 A KR20220117585 A KR 202201175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piece
fixing
curtain rod
bracket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1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9898B1 (ko
Inventor
형남인
Original Assignee
형남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형남인 filed Critical 형남인
Priority to KR1020210021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9898B1/ko
Publication of KR20220117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7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9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9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1/00Curtain suspension devices
    • A47H1/10Means for mounting curtain rods or rails
    • A47H1/102Means for mounting curtain rods or rails for mounting curtain ro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1/00Curtain suspension devices
    • A47H1/10Means for mounting curtain rods or rails
    • A47H1/12Adjustable mountings
    • A47H1/122Adjustable mountings for curtain ro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1/00Curtain suspension devices
    • A47H1/10Means for mounting curtain rods or rails
    • A47H1/14Brackets for supporting rods or rails
    • A47H1/142Brackets for supporting rods or rails for supporting rods

Landscapes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튼봉을 복수로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고정장치로 커튼봉의 높이와 간격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커튼봉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중심부에 길이방향으로 고정장공(15)을 유지하는 단면기준편(11)의 한쪽 끝단면에서 직각으로 연결구성하되 중심부에 길이방향으로 고정장공(15)을 유지하는 장면기준편(12)이 직각으로 구성된 브라켓(10)과;
직사각형의 보조기준편(31)의 중심부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다수의 브라켓고정공(34)과 고정구고정공(33)을 형성하고 넓이방향의 양측 끝단에 한쪽방향으로 직각을 유지하는 보조리브(32)를 형성한 보조브라켓(30)과;
한쪽면이 개방되는 사각형태의 수용공간(21)을 유지하는 수용공간부재(22)의 한쪽 끝단에 외부로 직각으로 구성된 일차고정면(23)을 구성하되 일차고정면(23)의 다른 쪽 끝단면 또한 외부로 직각으로 구성된 이차고정면(24)을 일체로 구성한 커튼봉고정구(20)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커튼봉 고정장치{curtain rod fixing equipment}
본 발명은 커튼봉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커튼봉을 복수로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고정장치로 커튼봉의 높이와 간격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커튼봉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택이나 사무실과 같은 건축물은 건축법상 필수적으로 창문이 설치되는 데, 실내로 조사되는 햇빛을 차단하거나 또는 외부의 시선으로부터 실내를 차단할 때는 통상적으로 커튼과 블라인드 중에서 어느 하나를 사용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반투명커튼과 암막 커튼을 이중으로 구성하는 이중커튼의 설치가 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통상적으로 커튼봉을 설치하기 위해서 별도의 브라켓을 창틀 상부의 벽면이나 천장 또는 창틀 상단부에 고정한 다음 브라켓에 커튼봉 고정구를 장착 고정하는 기본적인 방법으로 커튼봉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본적인 방법은 커튼봉을 설치하기 위해 천장이나 벽면 또는 창문틀에 천공을 하거나 접착제를 사용하여 장착구성하게 되므로 이사와 같은 이유로 커튼봉을 교체하게 될 때 블라인드 장착으로 인한 천공과 같은 표시나 이물질이 남아 커튼 설치위치에 미관을 나쁘게 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이에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가 선출원한 등록특허 제10-2166037호 "블라인드 및 커튼 설치용 브라켓 고정장치"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일정한 면적을 유지하는 지지편(10a)의 한쪽 측면 끝단에 상부로 굽혀진 기준편(10b)을 구성하고, 다른 쪽 끝단에 상부로 굽혀진 연결편(10c)을 구성하되 연결편(10c) 중심부에 형성한 분리공간(13) 내측에서부터 지지편(10a) 내측에서 상부로 굽혀진 고정편(10d)을 일체로 구성하는 고정본체(10)와;
하단부 중심부에 함몰하여 형성한 걸림홈(21)의 양측 끝단 부에 하단부에 내측으로 돌출시킨 걸림돌기(22)를 구성한 밀착편(20)을 각각 구성하여;
상기 지지편(10a) 상단부에 밀착편(20)이 걸림홈(21)과 걸림돌기(22)에 의해 걸림 구성된 상태에서 지지편(10a)과 고정편(10d) 사이로 이동가능 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및 커튼 설치용 브라켓 고정장치.'(이하 '선 출원'이라 함)를 통해 알 수 있듯이 " 창문틀의 두께나 고정위치는 물론 고정 방향에 구애받지 않고 용이하고 신속하게 탈부착할 수 있으며, 특히 부착시 창문틀에 별도의 천공 없이도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음은 물론 창문틀에 고정된 고정장치가 설치된 상태에서도 창문의 열고 닫을 때도 걸리는 현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커튼이나 블라인드 해체시에도 창문틀에 별도의 표시가 남지 않는 구조이므로 커튼에서 블라인드로 또는 블라인드에서 커튼으로 교체할 때, 별도의 고정장치 교체 없이도 하나의 고정장치로 부담없이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위 선출원에서 제시하는 장치는 벽이나 천장 또는 창틀에 표시없이 고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뿐 실제로 커튼을 이중으로 설치하기 위한 고정봉 고정창치에 대한 구성이 부족하여 상기 블라인드 및 커튼 설치용 브라켓 고정장치의 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어 이를 보완하고자 선 출원한 등록특허 제10-2107553호 "스크류를 사용하지 않고 커튼과 블라인드를 함께 장착 가능한 브래"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수직부재(21)와 수평부재(22)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재(22)에 제1결속돌기(22a)와 제2결속돌기(22b)가돌출되게 형성되는 메인프레임(2);
고정판(31) 단부에 커튼봉(B)을 수용할 수 있도록 오목한 수용부재(32)가 연장되고, 상기 고정판(31)에는 제1결속돌기(22a)를 구속하는 장공(31a)이 관통되는 커튼 고정부재(3);
제2결속돌기(22b)를 구속하는 장공(41)에 의해 상기 메인프레임(2)의 제2결속돌기(22b)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고, 블라인드의 하우징(7a)을 고정할 수 있도록 양측면에 탄성파지부(42)가 형성되는 블라인드 고정클립(4); 및
상기 메인프레임(2)의 수직부재(21)와 설치장소(A)의 구조물을 수용하는 공간(51)을 형성할 수 있도록 몸체 양측에 지지대(52)와 체결편(53)이 연장되는 마운팅부재(5);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마운팅부재(5)의 지지대(52)와 체결편(53) 사이 공간(51)에 설치장소(A)의 구조물과 메인프레임(2)의 수직부재(21)를 삽입한 상태에서 체결편(53)에 형성된 나사공(53a)에 볼트(6)를 체결하여 이 볼트(6) 선단부가 수직부재(21)에 밀착될 때까지 체결하여 마운팅부재(5)와 메인프레임(2)을 구조물에 고정시키고;
상기 커튼 고정부재(3)를 메인프레임(2)에 장착할 때, 커튼 고정부재(3)의 장공(31a)에 메인프레임(2)의 제1결속돌기(22a)가 관통되게 커튼 고정부재(3)를 메인프레임(2)에 위치시킨 후 상기 커튼 고정부재(3)를 회전시켜 제1결속돌기(22a)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턱(22a-1)이 커튼 고정부재(3)의 고정판(31)을 구속시키고;
상기 블라인드 고정클립(4)을 메인프레임(2)에 장착할 때, 블라인드 고정클립(4)의 장공(41)에 메인프레임(2)의 제2결속돌기(22b)가 관통되게 블라인드 고정클립(4)을 메인프레임(2)에 위치시킨 후 상기 블라인드 고정클립(4)을 회전시켜 제2결속돌기(22b)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턱(22b-1)이 블라인드 고정클립(4)을 구속시키는 것;'(이하 '선 출원'이라 함)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커튼, 블라인드 또는 이들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고, 커튼 고정부재와 블라인드 고정클립을 메인프레임에 설치할 때 스크류를 사용하지 않고도 회전방식으로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으므로 조립과 분해를 간편하게 할 수 있고, 간편하게 커튼과 블라인드를 탈거하여 청소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부수적인 장점을 가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를 사용하지 않고 커튼과 블라인드를 함께 장착 가능한 효과가 있지만, 커튼을 이중으로 구성한다든지 필요에 따라 커튼봉의 고정위치를 결정하지 못하는 등이 다양한 문제점이 있음에도 커튼을 생산하는 제조업체나 설치하는 설비업체에서는 이를 해결할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KR 등록특허 제 10-2107553호 KR 공개특허 제 10-2166037호
에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일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천공 없이 창문틀에 고정하는 브라켓고정구에 장착설치하도록 하는 브라켓이 고정방향에 따라 높낮이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커튼봉을 장착하는 커튼봉고정구의 고정면을 직각으로 이루어지는 두방향으로 구성하여 커튼봉고정구의 설치방향과 위치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브라켓과 커튼봉고정구의 설치방향에 따라 커튼봉의 고정 높이가 결정됨은 물론 브라켓이 고정위치에 따라 커튼봉의 고정높이를 미세하게 결정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보조브라켓를 구비하여 복수로 구비하는 커튼봉고정구의 간격의 폭을 넓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상세 목적이 있다.
창틀에 체결구 없이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 브라켓고정구(50)와;
중심부에 길이방향으로 고정장공(15)을 유지하는 단면기준편(11)의 한쪽 끝단면에서 직각으로 연결구성하되 중심부에 길이방향으로 고정장공(15)을 유지하는 장면기준편(12)이 'ㄱ'자로 구성된 브라켓(10)과;
한쪽면이 개방되는 사각형태의 수용공간(21)을 유지하는 수용공간부재(22)의 한쪽 끝단에 외부로 직각으로 구성된 일차고정면(23)을 구성하되 일차고정면(23)의 다른 쪽 끝단면 또한 외부로 직각으로 구성된 이차고정면(24)을 일체로 구성한 커튼봉고정구(20)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봉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때, 상기 브라켓(10)은 직각으로 구성된 단면기준편(11)과 장면기준편(12)의 폭방향 양측 끝단에 내면 측으로 직각을 유지하는 기준편리브(13)를 돌출시키되 단면기준편(11)과 장면기준편(12)이 서로 인접하는 기준편리브(13)의 끝단에 45°를 유지하는 인접면(14)을 구성하여 단면기준편(11)과 장면기준편(12)이 기준편리브(13)를 통해 직각을 유지하도록 하며;
직사각형의 보조기준편(31)의 중심부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다수의 브라켓고정공(34)과 고정구고정공(33)을 형성하고 넓이방향의 양측 끝단에 한쪽방향으로 직각을 유지하는 보조리브(32)를 형성한 보조브라켓(30)를 구성하고;
상기 커튼봉고정구(20)의 일차고정면(23)과 이차고정면(24) 중심부에 연통하는 체결공(25)을 형성하고 수용공간(21)의 한쪽 끝단 부에 유지하는 수용공간부재(22)에 복수 이상의 고정공(22b)을 형성하며, 수용공간부재(22)와 일차고정면(23), 일차고정면(23)과 이차고정면(24)을 연결하는 모서리 중심부에 내측으로 돌출하는 리브(26)를 형성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은 직각으로 구성된 복수의 기준편을 브라켓고정구에 체결하는 방향에 따라 커튼봉의 고정 높이가 결정됨은 물론 브라켓이 고정위치에 따라 커튼봉의 고정높이를 미세하게 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튼봉고정구의 고정면을 직각으로 이루어지는 두방향으로 구성함으로써, 커튼봉고정구의 설치방향과 위치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별도의 보조브라켓를 구비하여 복수로 구비하는 커튼봉고정구의 간격의 폭을 넓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발명이다.
또한, 각각 별도로 구성하는 브라켓고정구와, 브라켓, 및 보조브라켓과 커튼봉고정구를 커튼을 설치하는 장소와 조건에 따라 용이하게 조립설치할 수 있는 구조로 커튼의 처짐 현상이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실내공간의 미관에 영향을 많이 주는 커튼봉을 바르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실제 커튼의 설치가 전문가 없이 사용자가 신속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는 등 커튼 설치에 효율적인 다양한 효과가 있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도시한 구성의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도시한 브라켓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단면 사시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도시한 브라켓과 커튼봉고정구를 조립한 상태를 구성한 상태의 단면 구성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 예를 도시한 보조브라켓 추가 조립하여 구성한 상태의 단면 구성도.
도 7의 (가)(나)는 또 다른 일실시 예를 보인 브라켓 고정구의 장착위치에 따른 커튼봉 고정장치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공지된 구성 및 그와 관련된 작용은 생략 또는 간단히 설명하였고,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우선 본원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에 길이방향으로 고정장공(15)을 유지하는 단면기준편(11)의 한쪽 끝단면에서 직각으로 연결구성하되 중심부에 길이방향으로 고정장공(15)을 유지하는 장면기준편(12)이 직각으로 구성된 브라켓(10)과;
직사각형의 보조기준편(31)의 중심부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다수의 브라켓고정공(34)과 고정구고정공(33)을 형성하고 넓이방향의 양측 끝단에 한쪽방향으로 직각을 유지하는 보조리브(32)를 형성한 보조브라켓(30)과;
한쪽면이 개방되는 사각형태의 수용공간(21)을 유지하는 수용공간부재(22)의 한쪽 끝단에 외부로 직각으로 구성된 일차고정면(23)을 구성하되 일차고정면(23)의 다른 쪽 끝단면 또한 외부로 직각으로 구성된 이차고정면(24)을 일체로 구성한 커튼봉고정구(20)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봉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때, 상기 브라켓(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으로 구성된 단면기준편(11)과 장면기준편(12)의 폭방향 양측 끝단에 내면 측으로 직각을 유지하는 기준편리브(13)를 돌출시키되 단면기준편(11)과 장면기준편(12)이 서로 인접하는 기준편리브(13)와 장면리브(14)의 끝단에 45°를 유지하는 인접면(14)을 구성하여 단면기준편(11)과 장면기준편(12)이 기준편리브(13)를 통해 직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구조이다.
즉 단면기준편(11)과 장면기준편(12)이 인접하는 기준편리브(13)에 45°를 유지하는 인접면(14)을 형성함으로써, 일체로 구성되는 단면기준편(11)과 장면기준편(12)을 직각으로 절곡하여 인접면(14)이 서로 밀착된 상태로 브라켓(10)이 구성됨으로써, 직각으로 형성된 단면기준편(11)과 장면기준편(12)이 인접면(14)이 서로 밀착한 기준편리브(13)에 의해 외부의 압력에도 직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단면기준편(11)과 장면기준편(12)을 구분하는 직각 부분의 중심부에 내면으로 함몰시킨 함몰돌기(16)를 형성하여 직각으로 굽혀진 단면기준편(11)과 장면기준편(12)이 임의로 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기준편리브(13)와 함께 브라켓(10)이 직각을 유지하도록 하며, 단면기준편(11)과 장면기준편(12)의 중심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한 고정장공(15)을 통해 브라켓(10)의 고정위치와 커튼봉고정구(20)의 체결위치를 설치자가 용이하게 결정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구성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튼봉고정구(20)는 한쪽면이 개방되는 사각형태의 수용공간(21)을 유지하는 수용공간부재(22)의 한쪽 끝단에 외부로 직각으로 구성된 일차고정면(23)과 이차고정면(24)을 일체로 구성하되, 일차고정면(23)과 이차고정면(24) 중심부에 연통하는 체결공(25)을 형성하고, 수용공간부재(22)의 한쪽 끝단 부에 유지하는 고정면(22a)에 복수 이상의 고정공(22b)을 형성하며, 수용공간부재(22)와 일차고정면(23), 일차고정면(23)과 이차고정면(24)을 연결하는 모서리 중심부에 내측으로 돌출하는 리브(26)를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구성이다.
이는, 브라켓(10)에 커튼봉고정구(20)를 장착 고정할 때, 필요에 따라 브라켓(10)에 일차고정면(23)을 밀착고정할 수 있도록 하거나 브라켓(10)에 이차고정면(24)을 밀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용공간부재(22)에 유입되어 구비되는 커튼봉(2)의 위치와 높이를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는 유용한 구성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수용공간부재(22)의 고정면(22a)에 복수이상의 고정공(22b)을 형성함으로써, 수용공간부재(22)에 내장되는 커튼봉(2)의 외경 지름에 따라 체결구(B)를 선택적으로 고정공(22b)에 체결하여 커튼봉(2) 고정이 용이하도록 하는 구성임을 알 수 있다.
이때, 고정공(22b)을 나사 산이 형성된 탭으로 형성하여 고정공(22b)에 수나사로 구성되는 볼트와 같은 체결구(B)로 용이하게 고정하여 지름이 다른 커튼봉(2)이 수용공간(21)에서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수용공간부재(22)와 일차고정면(23), 일차고정면(23)과 이차고정면(24)을 연결하는 모서리 중심부에 내측으로 돌출하는 리브(26)를 형성함으로써, 수용공간부재(22)와 일차고정면(23)이 외부의 압력에도 직각을 유지하게 하고, 일차고정면(23)과 이차고정면(24) 또한 외부의 압력에도 직각을 유지하게 하여, 커튼봉고정구(20)의 내구성을 향상하여 형상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커튼봉(2)의 처짐이나 흔들림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임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직사각형의 보조기준편(31)의 중심부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다수의 브라켓고정공(34)과 브라켓고정공(34)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장공으로 구성하는 고정구고정공(33)을 형성하고 넓이방향의 양측 끝단에 한쪽 방향으로 직각을 유지하는 보조리브(32)를 형성한 보조브라켓(30)을 별도로 구성함으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10)의 단면기준편(11)에 체결 고정하여 단면기준편(11)의 길이를 연장하는 구성을 도출함에 따라 복수의 커튼봉고정구(20)를 체결고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브라켓고정공(34)을 통해 보조브라켓(30)을 브라켓(10)에 안착고정하고, 고정구고정공(33)에 커튼봉고정구(20)를 체결고정하도록 함으로써, 커튼봉고정구(20)의 고정위치를 고정구고정공(33)의 장공 길이만큼 이동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커튼봉고정구(20)의 고정위치를 필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원발명의 커튼봉 고정장치를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본원 출원인이 선 등록한 등록특허공보 제10-2166037호 '블라인드 및 커튼설치용 브라켓 고정장치'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구성되는 브라켓 고정장치(50)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락하기로 한다.
상기의 브라켓 고정장치(50)를 창틀(3)에 고정하되 건물 내부의 환경에 따라 브라켓 고정장치(50)의 고정위치를 창틀(3)의 상부뿐만 아니라 창틀(3)의 측면에 용이하게 설정하여 장착고정할 수 있어, 본원발명의 커튼봉 고정장치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장착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7 참조)
상기와 같이 선등록된 브라켓 고정장치(50)와 함께 사용할 경우 본원의 커튼봉 고정장치의 사용을 더욱 다양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우선 도 3에서와 같이 브라켓(10)의 단면기준편(11)을 브라켓 고정장치(50)에 장착하고 장면기준편(12)에 커튼봉고정구(20)를 장착하여 사용할 경우 커튼봉(2)을 창틀 및 벽면에서 최대한 멀어지게 장착구성할 수 있으며, 도 4에서와 같이 브라켓(10)의 장면기준편(12)을 브라켓 고정장치(50)에 장착하고 단면기준편(11)에 커튼봉고정구(20)를 장착하여 사용할 경우 커튼봉(2)을 창틀(3)의 상부 즉 천장에 좀더 가까이 구성하여 커튼봉(2)을 높게 설치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10)의 장면기준편(12)을 브라켓 고정장치(50)에 장착하고 단면기준편(11)에 보조브라켓(30)를 추가 설치하여 구성함으로써, 커튼봉고정구(20)를 단면기준편(11)과 보조브라켓(30)에 장착하여 사용할 경우 커튼봉(2)을 창틀(3)의 상부 즉 천장에 좀 더 가까워지도록 커튼봉(2)을 높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커튼봉고정구(20)를 복수로 구성하기 용이한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때,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라켓(10)의 단면기준편(11)을 브라켓 고정장치(50)에 장착하고 장면기준편(12)에 보조브라켓(30)를 추가 설치하여 구성하게 되면, 복수로 고정하는 커튼봉고정구(20)의 간격을 좀 더 여유있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커튼봉고정구(20)의 고정위치를 좀 더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브라켓(10)에 형성한 기준편리브(13)와, 보조브라켓(30)에 형성한 보조리브(32)는 브라켓(10)과 보조브라켓(3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브라켓(10)과 보조브라켓(30)에 체결하는 커튼봉고정구(20)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도 같이 겸비한 구조이다.
상기에 기술한 다양한 실시 예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커튼을 설치하고자 하는 창문(4)의 크기와 위치뿐만 아니라 물리적 또는 개인의 취향에 따라 커튼의 설치위치가 다양해 짐에 따라 본원발명의 커튼봉 고정장치만으로 미세하고 다양한 커튼의 설치위치와 방향을 용이하고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천공 없이 창문틀(3)에 고정하는 브라켓고정구(50)에 장착설치하도록 하는 브라켓(10)이 고정방향에 따라 높낮이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커튼봉(2)을 장착하는 커튼봉고정구(20)의 고정면을 직각으로 이루어지는 두방향으로 구성하여 커튼봉고정구(20)의 설치방향과 위치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브라켓(10)과 커튼봉고정구(20)의 설치방향에 따라 커튼봉(2)의 고정 높이가 결정됨은 물론 브라켓(10)이 고정위치에 따라 커튼봉(2)의 고정높이를 미세하게 결정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보조브라켓(30)를 구비하여 복수로 구비하는 커튼봉고정구(20)의 간격의 폭을 넓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발명이다.
이에 브라켓(10)이 고정위치에 따라 커튼봉(2)의 고정높이를 미세하게 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튼봉고정구(20)의 설치방향과 위치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별도의 보조브라켓(30)을 필요에 따라 적용하여 커튼봉고정구(20)의 간격의 폭을 넓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며, 각각 별도로 구성하는 브라켓고정구(50)와, 브라켓(10), 및 보조브라켓(30)과 커튼봉고정구(20)를 커튼을 설치하는 장소와 조건에 따라 용이하게 조립설치할 수 있는 구조로 커튼의 처짐 현상이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실내공간의 미관에 영향을 많이 주는 커튼봉(2)을 바르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실제 커튼의 설치가 전문가 없이 사용자가 신속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는 등 커튼 설치에 효율적인 다양한 효과가 있는 발명이다.
1: 커튼봉고정장치 2: 커튼봉
3: 창문틀 4: 창문
10: 브라켓
11: 단면기준편 12: 장면기준편
13: 기준편리브 14: 인접면
15: 고정장공 16: 함몰돌기
20: 커튼봉고정구
21: 수용공간 22: 수용공간부재
22a: 고정면 22b: 고정공
23: 일차고정면 24: 이차고정면
25: 체결공 26: 리브
30: 보조브라켓
31: 보조기준편 32: 보조리브
33: 고정구고정공 34: 브라켓고정공
50: 브라켓고정구

Claims (5)

  1. 중심부에 길이방향으로 고정장공(15)을 유지하는 단면기준편(11)의 한쪽 끝단면에서 직각으로 연결구성하되 중심부에 길이방향으로 고정장공(15)을 유지하는 장면기준편(12)이 'ㄱ'자로 구성된 브라켓(10)과;
    한쪽면이 개방되는 사각형태의 수용공간(21)을 유지하는 수용공간부재(22)의 한쪽 끝단에 외부로 직각으로 구성된 일차고정면(23)을 구성하되 일차고정면(23)의 다른 쪽 끝단면 또한 외부로 직각으로 구성된 이차고정면(24)을 일체로 구성한 커튼봉고정구(20)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봉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직사각형의 보조기준편(31)의 중심부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다수의 브라켓고정공(34)과 고정구고정공(33)을 형성하고 넓이방향의 양측 끝단에 한쪽 방향으로 직각을 유지하는 보조리브(32)를 형성한 보조브라켓(3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봉 고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0)은 직각으로 구성된 단면기준편(11)과 장면기준편(12)의 폭방향 양측 끝단에 내면 측으로 직각을 유지하는 기준편리브(13)를 돌출시키되 단면기준편(11)과 장면기준편(12)이 서로 인접하는 기준편리브(13)의 끝단에 45°를 유지하는 인접면(14)을 구성하여 단면기준편(11)과 장면기준편(12)이 기준편리브(13)를 통해 직각을 유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봉 고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봉고정구(20)은 일차고정면(23)과 이차고정면(24) 중심부에 연통하는 체결공(25)을 형성하고 수용공간(21)의 한쪽 끝단 부에 유지하는 수용공간부재(22)에 복수 이상의 고정공(22b)을 형성하며, 수용공간부재(22)와 일차고정면(23), 일차고정면(23)과 이차고정면(24)을 연결하는 모서리 중심부에 내측으로 돌출하는 리브(26)를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봉 고정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또한 단면기준편(11)과 장면기준편(12)을 구분하는 직각 부분의 중심부에 내면으로 함몰시킨 함몰돌기(16)를 형성하여 직각으로 굽혀진 단면기준편(11)과 장면기준편(12)이 임의로 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봉 고정장치.
KR1020210021115A 2021-02-17 2021-02-17 커튼봉 고정장치 KR102459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115A KR102459898B1 (ko) 2021-02-17 2021-02-17 커튼봉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115A KR102459898B1 (ko) 2021-02-17 2021-02-17 커튼봉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7585A true KR20220117585A (ko) 2022-08-24
KR102459898B1 KR102459898B1 (ko) 2022-10-26

Family

ID=83111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1115A KR102459898B1 (ko) 2021-02-17 2021-02-17 커튼봉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98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4279B1 (ko) 2022-10-11 2023-02-28 (주)감성다는남자 커튼봉 고정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0294A (en) * 1977-06-08 1979-02-20 Zwarts Andrew R Drapery suspension bracket
JP3079314U (ja) * 2001-01-31 2001-08-17 トーソー株式会社 カーテンレール用ブラケット
KR102017263B1 (ko) * 2019-07-22 2019-09-02 박성욱 비천공식 커튼 브래킷
KR102107553B1 (ko) 2020-02-20 2020-05-07 전영미 스크류를 사용하지 않고 커튼과 블라인드를 함께 장착 가능한 브래킷
KR102166037B1 (ko) 2020-05-28 2020-10-15 형남인 블라인드 및 커튼 설치용 브라켓 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9314B2 (ja) * 1990-12-10 2000-08-21 コニカ株式会社 放射線撮像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0294A (en) * 1977-06-08 1979-02-20 Zwarts Andrew R Drapery suspension bracket
JP3079314U (ja) * 2001-01-31 2001-08-17 トーソー株式会社 カーテンレール用ブラケット
KR102017263B1 (ko) * 2019-07-22 2019-09-02 박성욱 비천공식 커튼 브래킷
KR102107553B1 (ko) 2020-02-20 2020-05-07 전영미 스크류를 사용하지 않고 커튼과 블라인드를 함께 장착 가능한 브래킷
KR102166037B1 (ko) 2020-05-28 2020-10-15 형남인 블라인드 및 커튼 설치용 브라켓 고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4279B1 (ko) 2022-10-11 2023-02-28 (주)감성다는남자 커튼봉 고정장치
EP4353132A1 (en) 2022-10-11 2024-04-17 Kamdanam Co., Ltd. Curtain rod fix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9898B1 (ko) 2022-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7939B2 (en) Shower door assembly
JP4934868B2 (ja) 把持機能を備えた構造部材及びその接合システム
PT2774519T (pt) Conjunto de porta de chuveiro
GB2423328A (en) Window blind system
US10538148B2 (en) Window or door covering assembly for a vehicle
KR102166037B1 (ko) 블라인드 및 커튼 설치용 브라켓 고정장치
KR20120004980U (ko) 천장용 스크린 루바조립구조
KR102459898B1 (ko) 커튼봉 고정장치
JP6756642B2 (ja) 改装サッシ
US5667178A (en) Bracket assembly for mounting a shade
KR20090037222A (ko) 패널고정장치
JP4508911B2 (ja) ルーバー装置
KR101721223B1 (ko) 갤러리 창호
JP2005226375A (ja) 改装サッシ
JP2001280005A (ja) 連窓方立
AU2016291070B2 (en) Window or door covering assembly for a vehicle
KR20200114953A (ko) 슬라이딩 높이 조절 창
KR200373398Y1 (ko) 블라인드용 브래킷의 설치구조
KR20110107949A (ko) 폭 조절이 가능한 커튼레일용 브라켓
JP2009114654A (ja) 目隠しパネルの固定機構
KR200314076Y1 (ko) 보조 스크린 판을 구비한 칸막이
JP2009191549A (ja) 屋外ユニットを備えた建具及びその屋外ユニットの取付方法
JP2022126044A (ja) 建具
JP2022133518A (ja) 建具
KR0126396Y1 (ko) 건물용 셔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