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7386A -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7386A
KR20220117386A KR1020210020151A KR20210020151A KR20220117386A KR 20220117386 A KR20220117386 A KR 20220117386A KR 1020210020151 A KR1020210020151 A KR 1020210020151A KR 20210020151 A KR20210020151 A KR 20210020151A KR 20220117386 A KR20220117386 A KR 202201173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area
electrode
light emitting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0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복승룡
김기철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0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7386A/ko
Priority to US17/575,891 priority patent/US11868573B2/en
Priority to CN202210122037.6A priority patent/CN114944415A/zh
Publication of KR20220117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7386A/ko
Priority to US18/521,389 priority patent/US20240094856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ical arrangement of the RGB subpix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H01L27/32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3Connection of the pixel electrodes to the thin film transistors [TF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2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the areas of the RGB subpixels being differ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전자 장치는 전자 모듈, 평면상에서 상기 전자 모듈과 중첩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에 인접한 제2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고 서로 이격된 복수의 제1 발광부들 및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고 서로 이격된 복수의 제2 발광부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제1 영역 상에 배치된 제1 전극, 상기 제2 영역 상에 배치된 제2 전극, 상기 제2 영역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전극으로부터 절연된 제3 전극, 및 상기 제2 영역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제3 전극으로부터 이격된 복수의 도전 패턴들을 포함하는 입력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 패턴들은 상기 제1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패턴 및 전기적으로 플로팅된 제2 패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부 입력을 감지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활성화된다. 전자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유닛이나, 외부 입력을 감지하는 감지 유닛과 같이 다양한 전자 부품들로 구성된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부품들은 다양하게 배열된 신호 라인들에 의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표시 패널은 영상을 생성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한다. 입력 센서는 외부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 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 전극들은 액티브 영역에 배치된다. 입력 센서는 액티브 영역 전면에 대해 고른 감도를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액티브 영역 내에서 영역에 따라 외부 입력에 대해 고른 감도를 제공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자 모듈, 평면상에서 상기 전자 모듈과 중첩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에 인접한 제2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고 서로 이격된 복수의 제1 발광부들 및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고 서로 이격된 복수의 제2 발광부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제1 영역 상에 배치된 제1 전극, 상기 제2 영역 상에 배치된 제2 전극, 상기 제2 영역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전극으로부터 절연된 제3 전극, 및 상기 제2 영역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제3 전극으로부터 이격된 복수의 도전 패턴들을 포함하는 입력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 패턴들은 상기 제1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패턴 및 전기적으로 플로팅된 제2 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제2 전극 및 상기 제3 전극 중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입력 센서는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으로부터 절연된 제4 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전극은 상기 제2 전극 및 상기 제3 전극 중 다른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4 전극은 평면상에서 교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부들은 평면상에서 상기 제2 발광부들과 상이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부들 각각의 크기는 상기 제2 발광부들 각각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부들과 상기 제2 발광부들은 서로 상이한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부들은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고, 상기 제2 발광부들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 교차하는 제3 방향 및 상기 제1 내지 제3 방향 각각에 교차하는 제4 방향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발광부들로부터 이격된 복수의 투과부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투과부들은 상기 제1 발광부들보다 높은 투과율을 가진 전자 장치.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제1 발광부들 각각에 중첩하는 복수의 개구부들을 정의하는 제1 메쉬선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2 발광부들 각각에 중첩하는 복수의 개구부들을 정의하는 제2 메쉬선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메쉬선들의 개구부들은 상기 제2 메쉬선들의 개구부들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 메쉬선들 각각의 선 폭은 상기 제2 메쉬선들 각각의 선 폭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1 영역에 인접하는 제1 패턴 및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1 패턴보다 큰 면적을 가진 제2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패턴에는 복수의 절개부들이 정의되고, 상기 제1 패턴에는 상기 절개부들이 정의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자 모듈, 평면상에서 상기 전자 모듈과 중첩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에 인접한 제2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고 서로 이격된 복수의 제1 발광부들 및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고 서로 이격된 복수의 제2 발광부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된 제1 도전 패턴,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된 제2 도전 패턴, 및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도전 패턴으로부터 이격된 제3 도전 패턴을 포함하는 입력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 패턴은 상기 제1 도전 패턴에 연결된 제1 패턴 및 상기 제1 도전 패턴 및 상기 제2 도전 패턴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된 제2 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도전 패턴은 복수의 제1 센서부들, 상기 제1 센서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1 연결부들, 상기 제1 센서부들과 전기적으로 절연된 복수의 제2 센서부들, 및 상기 제2 센서부들을 연결하고 상기 제1 연결부들과 상이한 층 상에 배치된 복수의 제2 연결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전 패턴은 상기 제1 연결부들 또는 상기 제2 연결부들과 동일한 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 패턴은 서로 이격된 제3 패턴 및 제4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패턴은 상기 제1 센서부들 중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4 패턴은 상기 제2 센서부들 중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패턴은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제3 패턴과 상기 제4 패턴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 패턴은 상기 제1 패턴을 통해 상기 제1 센서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4 패턴은 상기 제3 도전 패턴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상기 제3 패턴과 상기 제4 패턴은 서로 상이한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 패턴 및 상기 제2 도전 패턴 각각은 복수의 개구부들을 정의하는 복수의 메쉬선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전 패턴의 메쉬선들이 정의하는 개구부들의 크기는 상기 제2 도전 패턴의 메쉬선들이 정의하는 개구부들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 패턴의 메쉬선들 각각의 선 폭은 상기 제2 도전 패턴의 메쉬선들 각각의 선 폭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의 투과 영역이 정의된 액티브 영역 내에서 투과 영역에서의 외부 입력에 대한 감지 유닛의 감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투과 영역을 포함하는 액티브 영역 전체에 대해 균일한 감도를 가진 감지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a는 도 2a에 도시된 전자 패널의 일부를 간략히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전자 패널의 일부 영역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센서의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들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센서의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센서의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평면도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패널의 일부 영역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도 8의 일부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c는 도 9b의 XX 영역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YY'영역을 포함하는 일부 영역의 평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이상적인 또는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한, 명시적으로 여기에서 정의될 수 있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2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
전자 장치(1000)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는 장치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0)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0)는 태블릿,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 텔레비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0)는 스마트 폰으로 예시적으로 도시되었다.
전자 장치(1000)는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 각각에 평행한 표시면(IS)에 제3 방향(DR3)을 향해 영상(IM)을 표시할 수 있다. 영상(IM)이 표시되는 표시면(FS)은 전자 장치(EA)의 전면(front surface)과 대응될 수 있으며, 윈도우 부재(100)의 전면(FS)과 대응될 수 있다. 이하, 전자 장치(1000)의 표시면, 전면, 및 윈도우 부재(100)의 전면은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영상(IM)은 동적인 영상은 물론 정지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영상(IM)의 일 예로 시계와 복수의 아이콘들을 도시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영상(IM)이 표시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각 부재들의 전면(또는 전면)과 배면(또는 하면)이 정의된다. 전면과 배면은 제3 방향(DR3)에서 서로 대향(opposing)되고, 전면과 배면 각각의 법선 방향은 제3 방향(DR3)과 평행할 수 있다. 전면과 배면 사이의 제3 방향(DR3)에서의 이격 거리는 표시 패널(DP)의 제3 방향(DR3)에서의 두께와 대응될 수 있다. 한편, 제1 내지 제3 방향들(DR1, DR3, DR3)이 지시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하, 제1 내지 제3 방향들은 제1 내지 제3 방향들(DR1, DR2, DR3)이 각각 지시하는 방향으로 동일한 도면 부호를 참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0)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TC)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TC)은 사용자 신체의 일부, 광, 열, 또는 압력 등 다양한 형태의 외부 입력들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입력(TC)은 전면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손으로 도시되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입력(TC)은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또한, 전자 장치(1000)는 전자 장치(1000)의 구조에 따라 전자 장치(1000)의 측면이나 배면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TC)을 감지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1 영역(A1)은 투과 영역(TA)에 중첩하여 정의될 수 있다. 제1 영역(A1)은 후술하는 표시 모듈(300)에 정의되는 영역일 수 있고, 표시 모듈(300)과 평면상에서 중첩하는 영역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0)는 제1 영역(A1)을 통해 전자 모듈(400)에 필요한 외부 신호를 수신하거나, 전자 모듈(40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외부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영역(A1)이 투과 영역(TA)과 중첩하게 제공됨으로써, 베젤 영역(BZA)의 면적이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0)는 윈도우 부재(100), 하우징 유닛(200), 표시 모듈(300), 및 전자 모듈(40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윈도우 부재(100)와 하우징 유닛(200)은 결합되어 전자 장치(1000)의 외관을 구성한다.
윈도우 부재(100)는 절연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 부재(100)는 유리, 플라스틱,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윈도우 부재(100)의 전면(FS)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EA)의 전면을 정의한다. 투과 영역(TA)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투과 영역(TA)은 약 90% 이상의 가시광선 투과율을 가진 영역일 수 있다.
베젤 영역(BZA)은 투과 영역(TA)에 비해 상대적으로 광 투과율이 낮은 영역일 수 있다. 베젤 영역(BZA)은 투과 영역(TA)의 형상을 정의한다. 베젤 영역(BZA)은 투과 영역(TA)에 인접하며, 투과 영역(TA)을 에워쌀 수 있다.
베젤 영역(BZA)은 소정의 컬러를 가질 수 있다. 베젤 영역(BZA)은 투과 영역(TA)을 정의하는 투명 기판과 별도로 제공되는 베젤층에 의해 정의되거나, 투명 기판에 삽입 또는 착색되어 형성된 잉크층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베젤 영역(BZA)은 표시 모듈(300)의 주변 영역(NAA)을 커버하여 주변 영역(NAA)이 외부에서 시인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된 것이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부재(100)에 있어서, 베젤 영역(BZA)은 생략될 수도 있다.
표시 모듈(300)은 전자 패널(EP), 및 구동 회로(IC)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패널(EP)은 이미지(IM)를 표시하고 외부 입력(TC)을 감지할 수 있다. 전자 패널(EP)의 전면(IS)은 액티브 영역(AA) 및 주변 영역(NAA)을 포함한다. 액티브 영역(AA)은 전기적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는 영역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액티브 영역(AA)은 이미지(IM)가 표시되는 영역이며, 동시에 외부 입력(TC)이 감지되는 영역일 수 있다. 액티브 영역(AA)은 후술하는 복수의 발광부들이 배치되는 영역일 수 있다.
투과 영역(TA)은 적어도 액티브 영역(AA)과 중첩한다. 예를 들어, 투과 영역(TA)은 액티브 영역(AA)의 전면 또는 적어도 일부와 중첩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투과 영역(TA)을 통해 영상(IM)을 시인하거나, 외부 입력(TC)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액티브 영역(AA) 내에서 이미지(IM)가 표시되는 영역과 외부 입력(TC)이 감지되는 영역이 서로 분리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주변 영역(NAA)은 베젤 영역(BZA)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일 수 있다. 주변 영역(NAA)은 액티브 영역(AA)에 인접한다. 주변 영역(NAA)은 액티브 영역(AA)을 에워쌀 수 있다. 주변 영역(NAA)은 영상(IM)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주변 영역(NAA)에는 액티브 영역(AA)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나 구동 배선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자 패널(EP)은 액티브 영역(AA) 및 주변 영역(NAA)이 윈도우 부재(100)를 향하는 평탄한 상태로 조립된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전자 패널(EP) 중 주변 영역(NAA)의 일부는 휘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 영역(NAA) 중 일부는 전자 장치(EA)의 배면을 향하게 되어, 전자 장치(EA) 전면에 보여지는 베젤 영역(BZA)이 감소될 수 있다. 또는, 전자 패널(EP)은 액티브 영역(AA)의 일부가 휘어진 상태로 조립될 수도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패널(EP)에 있어서 주변 영역(NAA)은 생략될 수도 있다.
액티브 영역(AA)은 제1 영역(A1) 및 제2 영역(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AA1)은 제2 영역(A2)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투과율을 제공하는 영역일 수 있다. 제1 영역(AA1)은 전자 모듈(400)과 평면상에서 중첩하는 영역에 정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영역(AA1)은 원 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다각형, 타원, 적어도 하나의 곡선변을 가진 도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2 영역(A2)은 제1 영역(A1)에 인접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영역(A2)은 제1 영역(A1)의 가장자리 전체를 에워싸는 형상으로 도시되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제2 영역(A2)은 제1 영역(A1)의 가장자리 중 일부에만 인접하여 정의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2b를 참조하면, 전자 패널(EP)은 표시 패널(310) 및 입력 센서(32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310)은 실질적으로 영상(IM)을 생성하는 구성일 수 있다. 표시 패널(310)이 생성하는 영상(IM)은 투과 영역(TA)을 통해 표시면(IS)에 표시되어 외부에서 사용자에게 시인된다.
입력 센서(320)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외부 입력(TC)을 감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 센서(320)는 윈도우 부재(100)에 제공되는 외부 입력(TC)을 감지할 수 있다.
다시 도 2a를 참조하면, 전자 패널(EP)은 평면부(FN) 및 벤딩부(BN)를 포함할 수 있다. 평면부(BN)는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이 정의하는 평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상태로 조립될 수 있다. 액티브 영역(AA)은 평면부(BN)에 제공될 수 있다.
벤딩부(BN)는 평면부(BN)로부터 연장되어 벤딩될 수 있다. 벤딩부(BN)는 평면부(BN)로부터 벤딩되어 평면부(BN)의 배면 측에 위치하도록 조립될 수 있다. 벤딩부(BN)는 조립될 때, 평면부(BN)와 평면상에서 중첩되므로, 전자 장치(1000)의 베젤 영역이 감소될 수 있다. 한편,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전자 패널(DP)에 있어서, 벤딩부(BN)는 생략될 수도 있다.
구동 회로(IC)는 벤딩부(BN)에 실장될 수 있다. 구동 회로(IC)는 칩 형태로 제공된 실시예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별도의 회로 기판에 제공되어 연성 필름 등을 통해 전자 패널(EP)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구동 회로(IC)는 액티브 영역(A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액티브 영역(AA)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한다. 예를 들어, 구동 회로(IC)는 데이터 구동 회로를 포함할 수 있고, 액티브 영역(AA)에 배치된 화소들에 데이터 신호들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구동 회로(IC)는 터치 구동 회로를 포함할 수 있고, 액티브 영역(AA)에 배치된 입력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이는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구동 회로(IC)는 상술한 회로들 외에도 다양한 회로를 포함하거나 다양한 전기적 신호들을 액티브 영역(AA)에 제공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미 도시되었으나, 전자 장치(1000)는 전자 패널(EP) 및 구동 회로(IC)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인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메인 회로 기판은 전자 패널(EP)을 구동하기 위한 각종 구동 회로나 전원 공급을 위한 커넥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회로 기판은 리지드한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플렉서블한 회로 기판일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전자 모듈(400)은 윈도우 부재(100)의 하 측에 배치된다. 전자 모듈(400)은 평면상에서 제1 영역(A1)과 중첩할 수 있다. 전자 모듈(400)은 제1 영역(A1)을 통해 전달되는 외부 입력을 수신하거나 제1 영역(A1)을 통해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투과율이 높은 제1 영역(A1)을 액티브 영역(AA)에 제공함으로써, 전자 모듈(400)을 액티브 영역(AA)에 중첩하여 배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젤 영역(BZA)의 증가가 방지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0)는 표시 모듈(300), 전원공급 모듈(PM), 제1 전자 모듈(EM1), 및 제2 전자 모듈(EM2)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모듈(300), 전원 공급 모듈(PM), 제1 전자 모듈(EM1), 및 제2 전자 모듈(EM2)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에는 표시 모듈(300)의 구성 중 표시 패널(310) 및 입력 센서(320)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었다.
전원공급 모듈(PM)은 전자 장치(EA)의 전반적인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 모듈(PM)은 통상적인 배터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자 모듈(EM1) 및 제2 전자 모듈(EM2)은 전자 장치(EA)를 동작시키기 위한 다양한 기능성 모듈을 포함한다. 제1 전자모듈(EM1)은 전자 패널(EP)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마더보드에 직접 실장되거나 별도의 기판에 실장되어 커넥터(미 도시) 등을 통해 마더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자모듈(EM1)은 제어 모듈(CM), 무선통신 모듈(TM), 영상입력 모듈(IIM), 음향입력 모듈(AIM), 메모리(MM), 및 외부 인터페이스(IF)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듈들 중 일부는 마더보드에 실장되지 않고, 연성회로기판을 통해 마더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제어 모듈(CM)은 전자 장치(EA)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 모듈(CM)은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CM)은 표시 모듈(300)을 활성화 시키거나, 비활성화 시킨다. 제어 모듈(CM)은 전자 패널(EP)로부터 수신된 터치 신호에 근거하여 영상입력 모듈(IIM)이나 음향입력 모듈(AIM) 등의 다른 모듈들을 제어할 수 있다.
무선통신 모듈(TM)은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회선을 이용하여 다른 단말기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통신 모듈(TM)은 일반 통신회선을 이용하여 음성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통신 모듈(TM)은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TM1)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TM2)를 포함한다.
영상입력 모듈(IIM)은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전자 패널(EP)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음향입력 모듈(AIM)은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한다.
외부 인터페이스(IF)는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에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제2 전자 모듈(EM2)은 음향출력 모듈(AOM), 발광 모듈(LM), 수광 모듈(LRM), 및 카메라 모듈(CM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들은 마더보드에 직접 실장되거나, 별도의 기판에 실장되어 커넥터(미 도시) 등을 통해 전자 패널(EP)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제1 전자 모듈(EM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AOM)은 무선통신 모듈(TM)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MM)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발광 모듈(LM)은 광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발광 모듈(LM)은 적외선을 출력할 수 있다. 발광 모듈(LM)은 LED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수광 모듈(LRM)은 적외선을 감지할 수 있다. 수광 모듈(LRM)은 소정 레벨 이상의 적외선이 감지된 때 활성화될 수 있다. 수광 모듈(LRM)은 CMOS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모듈(LM)에서 생성된 적외광이 출력된 후, 외부 물체(예컨대 사용자 손가락 또는 얼굴)에 의해 반사되고, 반사된 적외광이 수광 모듈(LRM)에 입사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CMM)은 외부의 이미지를 촬영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모듈(400)은 제2 전자 모듈(EM2)의 구성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모듈(400)은 카메라, 스피커, 광 감지 센서, 및 열 감지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모듈(400)은 제1 영역(A1)을 통해 수신되는 외부 피사체를 감지하거나 제1 영역(A1)을 통해 음성 등의 소리 신호를 외부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모듈(400)은 복수의 구성들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자 모듈(400)은 별도의 접착제를 통해 전자 패널(EP)에 부착될 수도 있다.
다시 도 2a를 참조하면, 하우징 유닛(200)은 윈도우 부재(100)와 결합된다. 하우징 유닛(200)은 윈도우 부재(100)와 결합되어 소정의 내부 공간을 제공한다. 표시 모듈(300) 및 전자 모듈(400)은 내부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하우징 유닛(200)은 상대적으로 높은 강성을 가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 유닛(200)은 유리, 플라스틱, 또는 금속을 포함하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복수 개의 프레임 및/또는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유닛(200)은 내부 공간에 수용된 전자 장치(1000)의 구성들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도 3a는 도 2a에 도시된 전자 패널의 일부를 간략히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전자 패널의 일부 영역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a에는 액티브 영역(AA: 도 2a 참조) 중 XX' 영역을 도시하였고, 도 3b에는 제1 영역(A1)의 일부와 제2 영역(A2)의 일부를 도시하였다. 이하,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
전자 패널(EP)은 발광부(EP) 및 투과부(TP)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EP)의 평면상 형상은 하나의 발광 소자(EE)에 의한 발광 면적과 대응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형 형상으로 예시적으로 도시되었다. 발광부(EP)는 복수로 구비되어 액티브 영역(AA) 내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발광부(EP)는 제1 발광부(EP1) 및 제2 발광부(EP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발광부(EP1)는 발광부들 중 제1 영역(A1)에 배치되고, 제2 발광부(EP2)는 제2 영역(A2)에 배치된 것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발광부(EP)의 평면상 형상이 사각 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발광부(EP)의 평면상 형상은 다각형, 원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1 발광부(EP1) 및 제2 발광부(EP2)가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진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제1 발광부(EP1) 및 제2 발광부(EP2)는 서로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투과부(TP)는 제1 영역(A1)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투과부(TP)는 복수로 구비되어 제1 영역(A1)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투과부(TP)는 단일로 제1 영역(A1)에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투과부(TP)의 평면상 형상은 발광부(EP)와 대응되는 사각 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투과부(TP)의 평면상 형상은 발광부(EP)와 독립적인 별개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3b를 참조하여 전자 패널(EP)의 단면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3b에는 용이한 설명을 위해 전자 패널(EP)의 구성들 중 투과부(TP)가 배치된 제1 영역(A1)의 일부 및 제2 발광부(EP2, 이하 발광부)가 배치된 제2 영역(A2)의 일부를 도시하였다.
전자 패널(EP)은 표시 패널(310) 및 입력 센서(3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입력 센서(320)는 표시 패널(310) 상에 적층될 수 있다. 표시 패널(310)은 베이스 기판(BS), 복수의 절연층들(10, 20, 30, 40, 50, 60), 발광부(EP2), 및 투과부(TP)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기판(BS)은 광학적으로 투명하고 절연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기판(BS)은 유리, 플라스틱, 고분자 필름, 또는 유기막 및 무기막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절연층들(10, 20, 30, 40, 50, 60)은 베이스 기판(BS) 상에 적층된 제1 내지 제6 절연층들(10, 20, 30, 40, 50, 6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6 절연층들(10, 20, 30, 40, 50, 60) 각각은 유기막 또는 무기막일 수 있다. 한편, 표시 패널(310)은 6 개의 절연층들 외에 추가 절연층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발광부(EP)는 발광 소자(EE) 및 박막 트랜지스터(TR)를 포함한다. 박막 트랜지스터(TR)는 반도체 패턴(SP) 및 제어 전극(CE)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 패턴(SP)은 제1 절연층(10)과 제2 절연층(20) 사이에 배치된다.
반도체 패턴(SP)은 채널부(S1), 입력부(S2), 및 출력부(S3)를 포함할 수 있다. 채널부(S1), 입력부(S2), 및 출력부(S3)는 반도체 패턴(SP)의 평면상에서 구분된 부분들일 수 있다. 채널부(S1)는 입력부(S2) 및 출력부(S3)에 비해 낮은 도전성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입력부(S2) 및 출력부(S3)는 환원된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S2) 및 출력부(S3)는 박막 트랜지스터(TR)의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으로 기능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박막 트랜지스터(TR)는 입력부(S2) 및 출력부(S3)에 접촉하는 별도의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 전극(CE)은 도전성을 가진다. 제어 전극(CE)은 제2 절연층(20)을 사이에 두고 반도체 패턴(SP)으로부터 이격된다. 제어 전극(CE)은 반도체 패턴(SP) 중 채널부(S1)와 평면상에서 중첩한다.
발광 소자(EE)는 박막 트랜지스터(TR) 상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발광 소자(EE)는 제4 절연층(40) 상에 배치되고, 별도로 제공된 연결 전극(BE)을 통해 박막 트랜지스터(TR)에 접속된다. 연결 전극(BE)은 제2 절연층(20) 및 제3 절연층(30)을 관통하여 박막 트랜지스터(TR)의 출력부(S3)에 접속되고, 발광 소자(EE)는 제4 절연층(40)을 관통하여 연결 전극(BE)에 접속될 수 있다. 한편,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310)에 있어서, 연결 전극(BE)은 다른 위치에 배치되거나 생략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발광 소자(EE)는 제1 전극(AN), 제2 전극(CT), 발광 패턴(EM), 및 전하 제어층들(CCL1, CCL2)을 포함한다. 전하 제어층들(CCL1, CCL2)은 제1 전하 제어층(CCL1) 및 제2 전하 제어층(CCL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AN)은 제4 절연층(40)과 제5 절연층(50) 사이에 배치된다. 제1 전극(AN)의 적어도 일부는 제5 절연층(50)에 정의된 개구부(OP)에 의해 노출된다.
발광 패턴(EM)은 개구부(OP)에 배치되어 노출된 제1 전극(AN)과 중첩한다. 발광 패턴(EM)은 저분자 유기발광 물질 또는 고분자 유기발광 물질을 포함하며, 형광 또는 인광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발광 패턴(EM)은 양자점, 나노 로드, 마이크로 LED, 나노 LED 등의 무기 발광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EE)는 광을 생성할 수 있다면 다양한 발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2 전극(CT)은 발광 패턴(EM) 상에 배치되고 제1 전극(AN)과 대향될 수 있다. 제2 전극(CT)은 표시 패널(DP) 전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제2 전극(CT)은 제1 전극(AN)과 유사한 형상으로 발광부(EP) 마다 패터닝되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전하 제어층(CCL1)은 제1 전극(AN)과 발광 패턴(EP) 사이에 배치된다. 제1 전하 제어층(CCL1)은 정공 주입 영역(또는 정공 주입층, HIL) 및 정공 수송 영역(또는 정공 수송층, HTL)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중간층(CCL1)이 정공 주입층(HL) 및 정공 수송층(HT)을 각각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제1 전하 제어층(CCL1)은 오픈 마스크를 이용하여 표시 패널(DP) 전면에 대해 공통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하 제어층(CCL2)은 발광 패턴(EP)과 제2 전극(CT) 사이에 배치된다. 제2 전하 제어층(CCL2)은 전자 주입 영역(또는 전자 주입층, EIL) 및 전자 수송 영역(또는 전자 수송층, ETL)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전하 제어층(CCL2)은 전자 주입층(HL)과 전자 수송층(ET)을 각각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제2 전하 제어층(CCL2)은 오픈 마스크를 이용하여 표시 패널(DP) 전면에 대해 공통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투과부(TP)는 발광부(EP1, EP2)로부터 평면상에서 이격되어 배치된다. 투과부(TP)는 제5 절연층(50)에 정의된 제2 개구부(OP_T)에 정의될 수 있다. 제2 개구부(OP_T)는 제1 개구부(OP)로부터 이격되어 제1 영역(A1)에 형성된다.
제1 내지 제5 절연층(10, 20, 30, 40, 50)은 투과부(TP)와 대응되는 영역에서 제거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절연층들(10, 20, 30, 40)에 베이스 기판(BS)을 노출시키는 소정의 개구부(OP_I)가 형성되고, 발광 패턴(EM) 및 제2 전극(CT)을 개구부(OP_I)로부터 제거함으로써, 발광부(EP2)에 비해 높은 투과율을 가진 투과부(TP)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투과부(TP)는 개구부들(OP_I, OP_T)을 통해 절연층들(10, 20, 30, 40, 50)이 제거되고, 발광 소자(EE)를 구성하는 층들도 제거됨으로써, 발광부(EP2)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이는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투과부(TP)는 발광부(EP2)에 비해 높은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면, 전하 제어층들(CCL1, CCL2) 중 일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6 절연층(60)은 제5 절연층(50) 상에 배치되어 제1 영역(A1) 및 제2 영역(A2)에 형성된다. 제6 절연층(60)은 봉지층(Encapsulation layer)일 수 있다. 제6 절연층(60)은 제1 무기층(61), 유기층(62), 및 제2 무기층(63)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6 절연층(60)은 복수의 무기층들 및 유기층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무기층(61)은 제2 전극(CT)을 커버할 수 있다. 또한, 제1 무기층(61)은 제1 영역(A1)의 개구부들(OP_T, OP_I)의 내면을 커버할 수 있다. 제1 무기층(61)은 외부 수분이나 산소가 발광 소자(EE)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무기층(61)은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또는 이들이 조합된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무기층(61)은 증착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유기층(62)은 제1 무기층(61) 상에 배치되어 제1 무기층(61)에 접촉할 수 있다. 유기층(61)은 제1 무기층(61) 상에 평탄면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무기층(61) 상면에 형성된 굴곡이나 제1 무기층(61) 상에 존재하는 파티클(particle) 등은 유기층(62)에 의해 커버되어, 제1 무기층(61)의 상면의 표면 상태가 유기층(62) 상에 형성되는 구성들에 미치는 영향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영역(A1)이나 제2 영역(A2) 상면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유기층(62)은 접촉하는 층들 사이의 응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유기층(62)은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고, 스핀 코팅, 슬릿 코팅, 잉크젯 공정과 같은 용액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제2 무기층(63)은 유기층(62) 상에 배치되어 유기층(63)을 커버한다. 제2 무기층(63)은 제1 무기층(61) 상에 배치되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평탄한 면에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무기층(63)은 유기층(62)으로부터 방출되는 수분 등을 봉지하여 외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 무기층(63)은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또는 이들이 조합된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무기층(63)은 증착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입력 센서(320)는 제6 절연층(6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입력 센서(320)는 복수의 도전 패턴들(P1, P2), 및 제8 절연층(80)을 포함할 수 있다. 제8 절연층(80)은 제1 감지 절연층(81) 및 제2 감지 절연층(82)을 포함할 수 있다.
도전 패턴들(P1, P2) 각각은 도전성을 가진다. 도전 패턴들(P1, P2)은 후술하는 감지 전극들을 구성한다. 도전 패턴들(P1, P2) 각각은 단일의 층, 예를 들어 제1 감지 절연층(71)과 제2 감지 절연층(72) 사이에 배치된 층 상에 제공되거나, 복수의 층들, 예를 들어 제6 절연층(60) 상부와 제1 감지 절연층(71) 상에 각각 제공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도전 패턴들(P1, P2)은 투과부(TP) 및 발광부(EP2)와 비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전 패턴들(P1, P2)이 광학적으로 불투명하더라도 발광부(EP2)에서의 발광이나 투과부(TP)에서의 투과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전 패턴들(P1, P2)이 광학적으로 투명한 경우, 투과부(TP)나 발광부(EP2)와 평면상에서 중첩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전 패턴들(P1, P2)은 제1 도전 패턴(321) 및 제2 도전 패턴(3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전 패턴(321)은 제1 영역(A1)에 배치되고 제2 도전 패턴(322)은 제2 영역(A2)에 배치된다. 제1 도전 패턴(321)과 제2 도전 패턴(322)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액티브 영역(AA)에 발광부(EP1) 및 투과부(TP)를 가진 제1 영역(A1)을 형성함으로써, 영상(IM)을 표시하면서도 높은 투과율을 가진 제1 영역(A1)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센서의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들이다. 도 4a에는 제1 영역(A1)이 포함된 일부 영역을 도시하였고, 도 4b에는 제2 영역(A2) 중 일부 영역을 도시하였다. 이하,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입력 센서는 제1 감지 전극(TE1) 및 감지 제2 전극(TE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감지 전극(TE1)은 제2 감지 전극(TE2)과 평면상에서 절연 교차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감지 전극(TE1)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되고 제2 감지 전극(TE2)은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된 것으로 도시되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 센서는 제1 감지 전극(TE1)과 제2 감지 전극(TE2) 사이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통해 외부 입력을 감지한다.
제1 감지 전극(TE1) 및 제2 감지 전극(TE2) 각각은 제1 도전 패턴(321), 제2 도전 패턴(322), 및 제3 도전 패턴(3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전 패턴(321), 제2 도전 패턴(322), 및 제3 도전 패턴(323) 각각은 도전성을 가진다. 제1 도전 패턴(321), 제2 도전 패턴(322), 및 제3 도전 패턴(323) 각각은 복수의 개구부들을 형성하는 메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제1 도전 패턴(321), 제2 도전 패턴(322), 및 제3 도전 패턴(323)은 투명 도전성 산화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도전 패턴(321)은 제1 영역(A1)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도전 패턴(321)은 복수로 구비되어 평면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도전 패턴들(321)은 각각 제2 도전 패턴(3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도전 패턴들(321)은 제1 감지 전극(TE1)을 구성하는 제1 서브 도전 패턴들(P11) 및 제2 감지 전극(TE2)을 구성하는 제2 서브 도전 패턴들(P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도전 패턴(322)은 제2 영역(A2)에 배치된다. 제2 도전 패턴(322)은 복수로 구비되어 각각이 제1 감지 전극(TE1)을 구성하거나 제2 감지 전극(TE2)을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도전 패턴들(322) 중 복수의 제1 센서부들(SP1) 및 복수의 제2 연결부들(BP1)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 감지 전극(TE1)을 구성한다. 제2 도전 패턴들(322) 중 복수의 제2 센서부들(SP2) 및 복수의 제2 연결부들(BP2)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2 감지 전극(TE2)을 구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도전 패턴(322) 중 제1 영역(A1)에 인접하는 제1 및 제2 센서부들(SP1a, SP2a)은 제2 도전 패턴(322) 중 제1 영역(A1)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진 센서부들(SP1, SP2)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센서부들(SP1)과 제2 센서부들(SP2)은 평면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비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센서부들(SP1)과 제2 센서부들(SP2)은 동일한 층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제1 센서부들(SP1)과 제2 센서부들(SP2)은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면, 서로 다른 층 상에 배치될 수도 있고, 평면상에서 중첩하여 배치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연결부들(BP1)과 제2 연결부들(BP2)은 서로 다른 층 상에 배치되어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연결부들(BP1)은 제2 연결부들(BP2)과 평면상에서 교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제1 연결부들(BP1)은 제1 센서부들(SP1)과 일체로 형성되고, 제2 연결부들(BP2)은 제2 센서부들(SP2)과 다른 층 상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제1 연결부들(BP1)은 제2 연결부들(BP2)과 평면상에서 비 중첩할 수도 있고, 제2 연결부들(BP2)이 제2 센서부들(SP2)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제1 연결부들(BP1)과 제2 연결부들(BP2) 각각이 대응되는 센서부들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3 도전 패턴(323)은 제2 영역(A2)에 배치된다. 제3 도전 패턴(323)은 복수로 구비되어 평면상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의 제3 도전 패턴들(323)은 각각 제1 센서부들(SP1) 또는 제2 센서부들(SP2)에 의해 에워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센서부들(SP1) 및 제2 센서부들(SP2) 각각이 중앙에 홀을 정의하는 형상을 갖고 제3 도전 패턴들(323)은 홀들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3 도전 패턴들(323)은 복수의 제1 패턴들(P31) 및 복수의 제2 패턴들(P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턴들(P31)은 각각 제2 도전 패턴들(322)과 평면상에서 이격된다. 제1 패턴들(P31)은 제3 도전 패턴들(323) 중 제1 영역(A1)에 인접하는 패턴들일 수 있다.
제1 패턴들(P31)은 제1 도전 패턴들(321) 중 인접하는 도전 패턴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패턴들(P31) 중 제2 방향(DR2)에서 서로 이격된 패턴들은 제1 도전 패턴들(321) 중 제1 서브 도전 패턴들(321)에 연결되고 제1 방향(DR1)에서 서로 이격된 패턴들은 제2 서브 도전 패턴들(P1b)에 연결된다. 제1 패턴들(P31)은 제3 도전 패턴들(323) 중 제1 영역(A1)에 인접하고 제1 도전 패턴(3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패턴들일 수 있다.
제2 패턴들(P32)은 각각 제2 도전 패턴들(322)과 평면상에서 이격된다. 제2 패턴들(P32)은 제3 도전 패턴들(323) 중 제1 패턴들(P31)에 비해 상대적으로 제1 영역(A1)으로부터 멀리 배치된 패턴들일 수 있다. 제2 패턴들(P32)은 각각 제1 센서부들(SP1) 및 제2 센서부들(SP2)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 센서는 제1 감지 전극(TE1)과 제2 감지 전극(TE2) 사이의 커패시턴스 차이를 통해 외부 입력을 감지한다. 제1 감지 전극(TE1)은 제1 센서부들(SP1) 및 제1 연결부들(BP1)을 포함하고, 제2 감지 전극(TE2)은 제2 센서부들(SP2) 및 제2 연결부들(BP2)을 포함한다.
한편, 제1 영역(A1)을 경유하는 경우, 제1 감지 전극(TE1) 및 제2 감지 전극(TE2) 각각은 제1 도전 패턴들(321) 및 제3 도전 패턴들(323)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감지 전극(TE1)은 제1 센서부들(SP1), 제1 연결부들(BP1), 제1 도전 패턴들(321) 중 제1 서브 도전 패턴(P1a), 및 제3 도전 패턴들(323) 중 제1 패턴들(P31), 특히 제1 패턴들(P3a) 중 제1 센서부들(SP1)에 인접하는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감지 전극(TE2)은 제2 센서부들(SP2), 제2 연결부들(BP2), 제1 도전 패턴들(321) 중 제2 서브 도전 패턴(P1b), 및 제3 도전 패턴들(323) 중 제1 패턴들(P3a), 특히 제1 패턴들(P3a) 중 제2 센서부들(SP2)에 인접하는 패턴들, 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영역(A1)은 제2 영역(A2)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투과율을 제공하는 영역일 수 있다. 제1 영역(A1)의 투과율을 높이기 위해 제1 영역(A1)에 배치되는 제1 도전 패턴들(321)은 제2 도전 패턴들(322), 특히 제1 영역(A1)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제1 센서부(SP1)나 제2 센서부(SP2)보다 작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에서 의미하는 면적은 도전성을 갖는 실면적으로, 도전 패턴들이 메쉬 형상을 가진 경우 면적은 개구부를 제외한 메쉬선들의 면적일 수 있다.
제1 영역(A1)을 포함하는 단위 영역(UC_A, 이하 대상 단위 영역)과 제2 영역(A2)에서의 단위 영역(UC_B, 이하 노말 단위 영역)을 비교해보면, 대상 단위 영역(UC_A)에 제공된 제1 센서부들(SP1, SP1a), 제2 센서부들(SP2, SP2a), 또는 제1 도전 패턴들(321)의 면적이 노말 단위 영역(UC_B)에 제공된 제1 센서부들(SP1)이나 제2 센서부들(SP2)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입력 센서의 제1 영역(A1)에서의 감도가 제2 영역(A2)에서의 감도보다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영역(A2)에 존재하는 제3 패턴들(323) 중 일부를 제1 감지 전극(TE1)이나 제2 감지 전극(TE2)으로 구성시킴으로써, 제1 영역(A1)에서의 감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제1 도전 패턴들(321) 중 제1 서브 도전 패턴들(P1a)은 연결부들(BB11, BB12)을 통해 제1 센서부(SP1a)와 제3 패턴(P3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 감지 전극(TE1)을 구성한다.
제1 도전 패턴들(321) 중 제2 서브 도전 패턴들(P1b)은 연결부들(BB21, BB22)을 통해 제2 센서부(SP2a)와 제3 패턴(P3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2 감지 전극(TE2)을 구성한다.
노말 단위 영역(UC_B)에서의 실시예(이하, 제1 실시예), 대상 단위 영역(UC_A)에서의 실시예(이하, 제2 실시예), 및 대상 단위 영역(UC_A)에서의 비교예(이하, 비교예) 각각의 정전 용량(Cm) 및 정전 용량 변화(dCm)를 하기 표에 도시하였다.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는 제3 도전 패턴들(323) 중 일부가 제2 도전 패턴들(322)이나 제1 도전 패턴들(321)에 연결되어 제1 감지 전극(TE1)이나 제2 감지 전극(TE2)을 구성하는 구조를 가진다. 비교예는 제3 도전 패턴들(323)이 제2 도전 패턴들(322)이나 제1 도전 패턴들(321)로부터 이격되어 전기적으로 절연된 구조를 가진다.
Cm(fF) dCm(fF)
제1 실시예 490 74
비교예 259 34
제2 실시예 290 39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비교예에 비해 제2 실시예의 정전 용량이나 정전 용량 변화가 증가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실시예와의 차이도 비교예에 비해 제2 실시예에 대해 더 감소된 것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제3 패턴들(323) 중 일부를 외부 입력 감지를 위한 전극의 구성으로 제공함으로써, 제1 영역(A1)에서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상 단위 영역(UC_A)에 배치된 제3 패턴들(P3a)을 제1 감지 전극(TE1)이나 제2 감지 전극(TE2)을 구성하는 구성원으로 설계함으로써, 노말 단위 영역(UC_B)에 제공된 제1 센서부들(SP1)이나 제2 센서부들(SP2)의 면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면적이 제1 영역(A1)을 포함하는 단위 영역(UC_A)에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영역(A1)에서의 감도 저하가 방지되고 액티브 영역(AA) 전 영역에서 고른 감도 분포를 가진 입력 센서가 제공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센서의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들이다. 도 5a 내지 도 5d에는 도 4a와 대응되는 영역들을 도시하였다. 이하,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입력 센서(320-1)에 있어서, 제3 도전 패턴들(323-1)은
제2 도전 패턴들(322-1) 중 제1 센서부들(SP1-1)과 제2 센서부들(SP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도전 패턴들(330-1) 각각은 제1 센서부들(SP1-1), 제2 센서부들(SP2-1), 제1 연결부들(BP1-1), 및 제2 연결부들(BP2-1)에 의해 에워싸인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도전 패턴들(323-1)은 복수의 제1 패턴들(P31-1) 및 복수의 제2 패턴들(P3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턴들(P31-1)은 제 영역(A1)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제1 감지 전극(TE1) 또는 제2 감지 전극(TE2)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패턴들(P31-1) 중 일부는 연결 패턴(BB12-1)을 통해 제1 센서부(SP1a-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 감지 전극(TE1-1)을 구성한다. 제1 패턴들(P31-1) 중 다른 일부는 연결 패턴(BB22-1)을 통해 제2 센서부(SP2a-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2 감지 전극(TE2-1)을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3 도전 패턴들(P323-1) 중 제1 영역(A1)에 인접하는 적어도 일부의 패턴들을 감지 전극들(TE1-1, TE2-1)의 구성으로 이용함으로써, 제1 영역(A1)에서의 감도 저하 정도를 보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에서 고른 터치 감도가 제공될 수 있다.
또는,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입력 센서(320-2)에 있어서, 제1 도전 패턴들(321-2)은 서로 상이한 크기로 제공될 수도 있다. 제1 영역(A1)이 정의되는 위치에 따라, 제1 영역(A1)에 인접하는 센서부들(SP1a-2, SP2a-2)의 면적들이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이와 대응하여, 제1 도전 패턴들(321-2)의 면적들도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 센서(320-2)는 제1 센서부(SP1-2)와 제1 연결부(BP1-2)를 포함하는 제1 감지 전극(TE1-2) 및 제2 센서부(SP2-2)와 제2 연결부(BP2-2)를 포함하는 제2 감지 전극(TE2-2)을 포함한다. 제1 도전 패턴(321-2)은 서로 상이한 형상들을 가진 제1 내지 제4 패턴들(P11, P12, P13, P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감지 전극(TE1-2)은 제1 도전 패턴들(321-2) 중 인접하여 배치된 제1 및 제3 패턴들(P11, P13)을 포함한다. 제1 및 제3 패턴들(P11, P13)은 제1 영역(A1)에 인접하는 제1 센서부들(SP1a-2, SP1b-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감지 전극(TE2-2)은 제1 도전 패턴들(321-2) 중 인접하여 배치된 제2 및 제4 패턴들(P12, P14)을 포함한다. 제2 및 제4 패턴들(P12, P14)은 제1 영역(A1)에 인접하는 제2 센서부들(SP2a-2, SP2b-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영역(A1)에 인접하는 센서부들(SP1a-2, SP2a-2) 중 작은 면적을 가진 경우, 제1 도전 패턴들(321-2) 중 대응되는 센서부에 연결되는 도전 패턴은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도전 패턴들(321-2) 중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의 센서부들(SP1a-2, SP1b-2)에 인접하는 제2 및 제3 패턴들(P12, P13)은 상대적으로 큰 면적들을 갖고, 상대적으로 큰 면적의 센서부들(SP1a-2, SP1b-2)에 인접하는 제1 및 제4 패턴들(P11, P14)은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들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제3 도전 패턴(323-2)은 제5 내지 제7 패턴들(P31, P32, P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5 패턴들(P31)은 제1 도전 패턴(321-2)이나 제2 도전 패턴(322-2)과 전기적으로 절연된 플로팅 패턴들일 수 있다. 제6 패턴들(P32)은 제1 영역(A1)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제1 감지 전극(TE1-2)이나 제2 감지 전극(TE2-2)을 구성하는 패턴들일 수 있다. 제7 패턴들(P33)은 제1 영역(A1)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제1 도전 패턴(321-2)이나 제2 도전 패턴(322-2)과 전기적으로 절연된 플로팅 패턴들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3 도전 패턴들(323-2) 중, 특히 제1 영역(A1)에 인접하는 제1 패턴들(P32, P33) 중 일부는 감지 전극들(TE1-2, TE2-2)을 구성하고, 다른 일부는 전기적으로 플로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패턴들(P32, P33) 중 상대적으로 큰 면적의 센서부들(SP1a-2, SP1b-2)에 인접하는 제7 패턴들(P33)은 제1 도전 패턴들(321-2) 및 제2 도전 패턴들(322-2)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의 센서부들(SP1a-2, SP1b-2)에 인접하는 제6 패턴들(P32)은 대응되는 센서부들(SP1a-2, SP1b-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감지 전극들(TE1-2, TE2-2)을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부들의 면적이 불균일해지는 위치에 제1 영역(A1)이 정의되더라도 제3 도전 패턴들(323-2) 중 일부를 감지 전극으로 구성하고, 다른 일부는 플로팅 전극으로 설계함으로써, 제1 영역(A1)에서의 감도 편차를 완화할 수 있다.
또는, 도 5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입력 센서(320-3)에 있어서, 제1 영역(A1)은 제1 연결부(BP1-3)와 제2 연결부(BP2-3)가 절연 교차하는 위치에 정의될 수도 있다. 이때, 제1 도전 패턴(311-3)은 서로 다른 층 상에 배치된 복수의 도전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도전 패턴(321-3)은 제1 패턴(P11-3), 제2 패턴(P12-3), 및 제3 패턴(P1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턴(P11-3)은 제3 도전 패턴들(323-3) 중 제1 영역(A1)에 인접하고 제1 방향(DR1)에서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는 두 개의 제3 도전 패턴들(P31a-3)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3 도전 패턴들(P31a-3)은 연결부들(BB11-3, BB12-3)을 통해 제1 패턴(P11-3)과 제1 센서부들(SP1a-3)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제2 패턴(P12-3)은 복수로 제공되어, 제3 도전 패턴들(323-3) 중 제1 영역(A1)에 인접하고 제2 방향(DR2)에서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는 두 개의 제3 도전 패턴들(P31b-3)에 각각 연결된다.
제3 도전 패턴들(323-3)은 연결부들(BB21-3, BB22-3)을 통해 제2 패턴들(P12-3)과 제2 센서부들(SP2a-3)을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제3 패턴(P13-3)은 제1 패턴(P11-3)이나 제2 패턴(P12-3)과 다른 층 상에 배치된 패턴일 수 있다. 제3 패턴(P13-3)은 제1 패턴(P11-3)과 다른 층 상에 배치되어 제1 패턴(P11-3)과 절연 교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영역(A1)이 제1 감지 전극(TE1-3)과 제2 감지 전극(TE2-3)이 교차하는 영역에 정의되더라도, 제1 영역(A1)에 인접하는 제3 도전 패턴(P31-3)을 통해 센서 면적이 보상됨으로써, 제1 영역(A1)에서의 감도 저하를 완화시킬 수 있다. 또는, 도 5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입력 센서(320-4)에 있어서, 제1 내지 제3 도전 패턴들(321-4, 322-4, 323-4) 각각은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메쉬선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입력 센서(320-4)는 도 4a에 도시된 입력 센서(320)와 동일 형상이나 메쉬선들로 이루어진 것에 차이가 있는 실시예일 수 있다. 메쉬선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도 6을 통해 설명될 수 있어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5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입력 센서(320-4)에 절개부들(CTP)이 정의될 수 있다. 절개부들(CTP)은 메쉬선들 중 일부를 컷팅하여 형성될 수 있다. 입력 센서(320-4)는 절개부들(CTP)을 포함함으로써, 제1 센서부들(SP1)과 제2 센서부들(SP2) 사이의 경계가 사용자에 의해 용이하게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절개부들(CTP)은 입력 센서(320-4) 중 제2 도전 패턴(322-4) 및 제3 도전 패턴(323-4)에 형성된다. 이때, 절개부들(CTP)은 제2 도전 패턴(322-4) 중 제1 영역(A1)에 인접하는 패턴에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도전 패턴(322-4) 중 제1 영역(A1)에 인접하는 패턴들(SP1a, SP1b, SP2a, SP2b)과 제3 도전 패턴(323-4) 중 제1 패턴(P31)에는 절개부들(CTP)이 형성되지 않는다. 이와 달리, 제1 영역(A1)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진 패턴들(SP1, SP2)과 제3 도전 패턴(323-4) 중 제2 패턴(P32)에는 절개부들(CTP)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영역(A1)에 인접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갖게 되는 패턴들(SP1a, SP1b, SP2a, SP2b, P31)에 절개부들(CTP)을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제1 영역(A1)에서의 센싱 면적이 과도하게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 전반에 걸쳐, 사용자가 고른 감도로 인식할 수 있는 센싱 환경이 제공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센서의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에는 용이한 설명을 위해 일부 구성을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입력 센서(320-M)는 제1 도전 패턴(321_M), 제2 도전 패턴(322_M), 및 제3 도전 패턴(323_M)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도전 패턴(322_M)은 제1 센서부들(SP1_M), 제1 연결부들(BP1_M), 제2 센서부들(SP2_M), 및 제2 연결부들(BP2_M)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부들(SP1_M)과 제1 연결부들(BP1_M)은 제1 감지 전극(TE1_M)을 구성하고 제2 센서부들(SP2_M) 및 제2 연결부들(BP2_M)은 제2 감지 전극(TE2_M)을 구성한다.
도 6에는 용이한 설명을 위해 제1 감지 전극(TE1_M)과 제2 감지 전극(TE2_M)을 서로 구별되도록 음영 처리하여 도시하였다. 제1 내지 제3 도전 패턴들(321_M, 322_M, 323_M)은 복수의 메쉬선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도전 패턴(321_M)은 제2 도전 패턴(322_M)이나 제3 도전 패턴(323_M)보다 낮은 밀도의 메쉬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도전 패턴(321_M)의 메쉬선들이 정의하는 개구부들의 크기는 제2 도전 패턴(322_M)의 메쉬선들이 정의하는 개구부들의 크기나 제3 도전 패턴(323_M)의 메쉬선들이 정의하는 개구부들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도 6에는 용이한 설명을 위해, 상대적으로 큰 개구부들을 정의하는 제1 도전 패턴(321_M)의 메쉬선들(MSA1, MSA2)만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메쉬선들(MSA1, MSA2)은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메쉬선들(MSA1, MSA2)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1 도전 패턴(321_M)의 평면상 면적이 제2 도전 패턴(322_M)의 평면상 면적이나 제3 도전 패턴(323_M)의 평면상 면적보다 크게 도시되더라도, 도전성을 가진 실질적인 센싱 면적은 작거나 같을 수도 있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도전 패턴(321_M)의 메쉬선들(MSA1, MSA2)과 제2 도전 패턴(322_M)의 메쉬선들은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도전 패턴(321_M)의 메쉬선들(MSA1, MSA2)은 상하/좌우 방향으로 도시되었으나, 제2 도전 패턴(322_M)의 메쉬선들은 제1 도전 패턴(321_M)의 메쉬선들(MSA1, MSA2)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영역(A1)에 배치된 제1 도전 패턴(321_M) 중 제1 패턴(P1a_M)은 제1 센서부(SP1_M)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 감지 전극(TE1_M)을 구성하고, 제2 패턴(P1b_M)은 제2 센서부(SP2_M)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2 감지 전극(TE2_M)을 구성한다. 제1 패턴(P1a_M) 및 제2 패턴(P1b_M)은 제2 도전 패턴(322_M)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밀도의 메쉬선들을 포함함으로써, 제1 영역(A1)이 제2 영역(A2)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투과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3 도전 패턴(323_M)은 제3 내지 제5 패턴(P31A, P32A, P33A)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패턴(P31A)은 제1 도전 패턴(321_M)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패턴일 수 있다. 제4 패턴(P32A)은 제1 영역(A1)에 인접하나 플로팅 패턴일 수 있다. 제6 패턴(P33A)은 제1 영역(A1)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배치되고 전기적으로 플로팅된 패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영역(A1)에 인접하여 낮은 면적을 가진 센서부(SP2a_M)는 제3 패턴(P31A)과 제2 패턴(P1b_M)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싱 면적을 넓힐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영역(A1)에서의 터치 감도 저하 문제가 완화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평면도들이다. 도 7a 내지 도 7c에는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에서의 발광부들 및 투과부들의 배열을 도시하였다. 이하,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영역(A1)에서의 발광부들(이하, 제1 발광부들)의 배열은 제2 영역(A2)에서의 발광부들(이하, 제2 발광부들)의 배열과 상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영역(A1)에서의 투과율을 제2 영역(A2)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영역(A1)에는 제1 발광부들(EP1A) 및 투과부들(TPA)이 배열되고 제2 영역(A2)에는 제2 발광부들(EP2A)만 배열될 수 있다. 제1 발광부들(EP1A)은 서로 상이한 컬러들을 발광하는 세 개의 서브 발광 패턴들(E11-A, E12-A, E13-A)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발광부들(EP2A)은 서로 상이한 컬러들을 발광하는 세 개의 서브 발광 패턴들(E21, E22, E23)을 포함할 수 있다. 투과부(TPA)는 제1 영역(A1)에 배치된다.
도 7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발광부들(EP1A)의 배열은 제2 발광부들(EP2A)과 대체로 유사하고, 일부 서브 발광 패턴들이 투과부들(TPA)로 치환된 배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투과부들(TPA)은 다양한 크기들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7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투과부(TPB)는 제1 영역(A1) 중 제1 발광부들(EP1A) 이외의 영역에 정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영역(A1) 중 제1 발광부들(EP1A) 이외의 영역이 투과부(TPB)가 되어, 패터닝된 투과부들(TPA)과 함께 제1 영역(A1)의 투과 영역을 정의할 수 있다. 투과부들(TPA, TPB)은 발광부들(EP1A, EP1B)이나 제2 영역(A2) 중 제2 발광부들(EP2A) 이외의 영역에 비해 높은 투과율을 가진다. 투과부(TPA, TPB)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는, 도 7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발광부들(EP1B)은 제2 발광부들(EP2B)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평면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투과부(TP)는 제1 영역(A1) 중 제1 발광부들(EP1B) 이외의 영역으로 도시되었다. 세 개의 서브 발광 패턴들(E11-B, E12-B, E13-B)은 대응되는 컬러들을 발광하는 제2 발광부(EP2B)의 서브 발광 패턴들(E21, E22, E23)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면적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서브 발광 패턴들(E11-B, E12-B, E13-B) 사이의 간격도 제2 발광부(EP2B)의 서브 발광 패턴들(E21, E22, E23)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설계될 수 있다.
또는, 도 7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발광부들(EP1C)은 제2 발광부들(EP2C)과 상이한 배열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투과부(TP)는 제1 영역(A1) 중 제1 발광부들(EP1C) 이외의 영역으로 도시되었다. 제1 발광부들(EP1C)의 서브 발광 패턴들(E11-C, E12-C, E13-C)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 각각에 나란한 스트라이프 형태로 배열되고, 제2 발광부들(EP2C)의 서브 발광 패턴들(E21, E22, E23)은 방향(DR1) 및 제2 방향(DR2) 각각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영역(A1)에서의 발광부들(EP1C) 사이의 간격을 넓힐 수 있어 제1 영역(A1)에서의 광 투과율이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영역(A1)에서의 발광부들의 배열을 제2 영역(A2)에 비해 적은 밀도로 배열하고, 제1 영역(A1)에 투과부들(TPA, TPB, TP)을 제공함으로써, 제1 영역(A1)이 높은 광 투과율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패널의 일부 영역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도 8의 일부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c는 도 9b의 XX 영역의 단면도이다. 도 8에는 용이한 설명을 위해 발광부들(EP1M, EP2M)과 메쉬선들(MS1, MS2), 및 투과부들(TP)을 간략히 도시하였고 다른 구성들은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도 9a에는 제1 영역(A1)의 일부와 제2 영역(A2)의 일부에 해당되는 영역들을 도시하였고, 도 9b에는 제1 영역(A1) 중 연결부(bridge)가 배치된 영역을 도시하였다. 이하, 도 8 내지 도 9c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입력 센서를 구성하는 메쉬선들(MS1, MS2)은 발광부들(EP1M, EP2M) 사이에 배치된다. 메쉬선들(MS1, MS2) 각각은 발광부들(EP1M, EP2M), 상세하게는 서브 발광 패턴들(E11M, E12M, E13M, E21M, E22M, E23M) 각각에 중첩하는 복수의 개구부들을 정의한다. 메쉬선들(MS1, MS2)은 서브 발광 패턴들(E11M, E12M, E13M, E21M, E22M, E23M)을 에워싸는 형상으로 메쉬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영역(A1)에 배치된 제1 메쉬선들(MS1)과 제2 영역(A2)에 배치된 제2 메쉬선들(MS2)은 서로 상이한 크기의 개구부들을 정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영역(A1)의 서브 발광 패턴들(E11M, E12M, E13M)과 제2 영역(A2)의 서브 발광 패턴들(E21M, E22M, E23M)이 서로 상이한 크기 및 상이한 배열을 가짐에 따라, 제1 메쉬선들(MS1)과 제2 메쉬선들(MS2)의 형상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영역(A1)의 서브 발광 패턴들(E11M, E12M, E13M)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배열을 갖고, 제2 영역(A2)의 서브 발광 패턴들(E21M, E22M, E23M)은 제4 방향(DR4) 및 제5 방향(DR5)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배열을 가질 수 있다. 즉, 제2 영역(A2)의 서브 발광 패턴들(E21M, E22M, E23M)은 제1 영역(A1)의 서브 발광 패턴들(E11M, E12M, E13M)에 대해 대각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와 대응하여, 제1 메쉬선들(MS1)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된 제1 도전 선들(M11) 및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된 제2 도전 선들(M12)로 구성된 메쉬선들일 수 있다. 제2 메쉬선들(MS2)은 제5 방향(DR4)을 따라 연장된 제3 도전 선들(M21) 및 제5 방향(DR5)을 따라 연장된 제4 도전 선들(M22)로 구성된 메쉬선들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메쉬선들(MS1)과 제2 메쉬선들(MS2)의 연장 방향은 상이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서브 발광 패턴들(E11M, E12M, E13M, E21M, E22M, E23M)의 배열 형태에 따라 제1 메쉬선들(MS1)과 제2 메쉬선들(MS2)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 도전 선들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메쉬선들(MS1)을 구성하는 메쉬선들(M11, M12)은 제2 메쉬선들(MS2)을 구성하는 메쉬선들(M21, M22) 대비 동일 면적에 대해 상대적으로 낮은 밀도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영역(A2)에 배치된 메쉬선들(MS2)에 비해 제1 영역(A1)에 배치된 메쉬선들(MS1)이 상대적으로 낮은 센싱 면적을 가지므로, 상술한 제3 도전 패턴을 센싱 면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제1 영역(A1)에서의 감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메쉬선들(MS1)은 투과부들(TP)을 에워싸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메쉬선들(MS1)을 투과부들(TP)과 비 중첩하여 배치시킴으로써, 제1 영역(A1)의 광 투과율이 향상될 수 있다.도 9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메쉬선들(MS1)은 제2 메쉬선들(MS2)에 비해 큰 선 너비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메쉬선들(MS1) 중 하나의 선 폭(LD_1)은 제2 메쉬선들(MS2) 중 하나의 선 폭(LD_2)에 비해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메쉬선들(MS1)이 제2 메쉬선들(MS2)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개구부들을 정의하더라도, 센싱 면적의 과도한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Cm(fF) dCm(fF)
제2 메쉬선 선 폭 4μm 490 74
제1 메쉬선 선 폭 4μm 290 39
제1 메쉬선 선 폭 5μm 318 42
제1 메쉬선 선 폭 6μm 337 43
제1 메쉬선 선 폭 7μm 360 45
제1 메쉬선 선 폭 8μm 377 46
제1 메쉬선 선 폭 10μm 411 49
상기 표 2에는 메쉬선 폭에 따른 정전용량 및 정전 용량 변화에 대한 결과를 도시하였다. 표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메쉬선의 선 폭(LD_1)이 제2 메쉬선 선 폭(LD_2)에 비해 증가할수록 높은 정전 용량 및 정전 용량 변화를 보이며, 제1 영역(A1)에서의 감도가 제2 영역(A2)에서의 감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정도로 향상되는 것을 볼 수 있다.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메쉬선의 선 폭(LD_1)은 서브 발광 패턴들(E11M, E12M, E13M)의 간격(WD_1)보다 작고 제2 메쉬선의 선 폭(LD_2)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메쉬선의 선 폭(LD_1)은 5μm 이상 10μm 이하일 수 있으나,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영역(A1)에서의 메쉬선 선 폭을 제2 영역(A2)에서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함으로써, 제1 영역(A1)에서의 감도 저하를 완화하고 액티브 영역 전면에 대해 고른 감도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9b 및 도 9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감지 전극과 제2 감지 전극이 교차하는 영역이 제1 영역(A1)에 위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패턴(MP1)은 제1 감지 전극을 구성하고 제2 패턴(MP2) 및 제3 패턴(MP3)은 제2 감지 전극을 구성한다. 제1 패턴(MP1), 제2 패턴(MP2), 및 제3 패턴(MP3)은 복수의 메쉬선들로 연결된 일체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패턴(MP1)은 센서부들 및 연결부가 일체로 제공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패턴(MP1)은 제2 패턴(MP2) 및 제3 패턴(MP3)과 동일한 층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하나의 공정을 통해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패턴(MP2) 및 제3 패턴(MP3)은 연결 패턴(BMP)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연결 패턴(BMP)은 제2 패턴(MP2) 및 제3 패턴(MP3)과 다른 층 상에 배치되고 제1 패턴(MP1)과 평면상에서 절연 교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용이한 설명을 위해 연결 패턴을 음영 처리하여 도시하였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3 패턴들(MP1, MP2, MP3)은 제3 층(L3)과 제4 층(L4) 사이에 배치되고 연결 패턴(BMP)은 제2 층(L2)과 제3 층(L3) 사이에 배치된 것으로 예시적으로 도시되었다. 제1 내지 제4 층들(L1, L2, L3, L4)은 봉지층(60)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입력 센서를 구성하는 절연층들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 패턴(BMP)은 발광부들과 평면상에서 비 중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패턴(BMP)은 메쉬선 일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이는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연결 패턴(BMP)은 제2 패턴(MP2)과 제3 패턴(MP3)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으로 설계될 수 있고, 제1 영역(A1)은 제1 감지 전극과 제2 감지 전극이 교차하지 않는 영역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YY'영역을 포함하는 일부 영역의 평면도이다. 이하,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도 1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자 장치(1000_P)는 연성 회로 기판(CF) 및 메인 회로 기판(M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성 기판(CF)은 전자 패널(EP)에 연결된다. 연성 기판(CF)은 전자 패널(EP)과 메인 회로 기판(MB)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연성 기판(CF)은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TCP) 또는 칩 온 필름(chip on film, COF)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연성 기판(CF)은 전자 패널(EP)에 형성된 패드들(PD)에 접속될 수 있다. 연성 기판(CF)은 패드들(PD)을 통해 전자 패널(EP)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한다. 전기적 신호는 연성 기판(CF)에서 생성되거나 메인 회로 기판(MB)에서 생성된 것일 수 있다. 전기적 신호는 표시 패널(310: 도 2b 참조)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 및/또는 입력 센서(320: 도 2b 참조)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회로 기판(MB)은 연성 기판(CF)을 통해 전자 패널(EP)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메인 회로 기판(MB)은 전자 패널(EP)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메인 회로 기판(MB)은 전기적 신호를 전자 패널(EP)에 제공한다. 전기적 신호는 메인 회로 기판(MB)에서 생성된 것일 수 있다. 전기적 신호는 표시 패널(310)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 및/또는 입력 센서(320)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전자 장치(1000_P)는 도 2a에 도시된 전자 패널(EP: 도 2a 참조)과 동일한 구조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자 장치(1000_P)는 도 2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0) 대비 복수의 전자 모듈들(400-1, 400-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티브 영역(AA)은 복수의 제1 영역들(A11, A1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영역들(A11, A12)은 제1 방향(DR1)에서 서로 이격되어 정의된다. 제1 영역들(A11, A12) 사이에는 제1 감지 전극(TE1_P)의 일부 또는 제2 감지 전극(TE2_P)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감지 전극(TE1_P) 및 제2 감지 전극(TE2_P) 각각은 제1 도전 패턴(321_P) 중 일부, 제2 도전 패턴(322_P) 중 일부, 및 제3 도전 패턴(323_P) 중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감지 전극(TE1_P)은 제1 도전 패턴(321_P) 중 제1 패턴(P11_P), 제2 도전 패턴(322_P) 중 제1 센서부들(SP1, SP1a), 제1 연결부들(BP1), 및 제3 도전 패턴(323_P) 중 제2 패턴(P31a_P)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패턴들(BB11, BB12)은 제2 패턴(P31a_P)을 제1 센서부들(SP1, SP1a)과 제1 패턴(P11_P)에 각각 연결한다. 제2 감지 전극(TE2_P)은 제1 도전 패턴(321_P) 중 제3 패턴(P12_P), 제2 도전 패턴(322_P) 중 제2 센서부들(SP2, SP2a), 제2 연결부들(BP2), 및 제3 도전 패턴(323_P) 중 제4 패턴(P31b_P)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패턴들(BB21, BB22)은 제4 패턴(P31b_P)을 제2 센서부들(SP2, SP2a)과 제3 패턴(P12_P)에 각각 연결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제1 영역들(A11, A12)이 정의되더라도, 제3 도전 패턴(323_P)을 감지 전극들(TE1_P, TE2_P)의 구성으로 설계함으로써, 제1 영역들(A11, A12)에서의 터치 감도 저하를 완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액티브 영역(AA)에 대해 고른 감도 분포를 가진 전자 장치(1000_P)가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0: 전자 장치 100: 윈도우
200: 하우징 유닛 300: 표시 모듈
310: 표시 패널 320: 입력 센서
A1: 제1 영역 A2: 제2 영역
400: 전자 모듈

Claims (20)

  1. 전자 모듈;
    평면상에서 상기 전자 모듈과 중첩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에 인접한 제2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고 서로 이격된 복수의 제1 발광부들 및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고 서로 이격된 복수의 제2 발광부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제1 영역 상에 배치된 제1 전극, 상기 제2 영역 상에 배치된 제2 전극, 상기 제2 영역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전극으로부터 절연된 제3 전극, 및 상기 제2 영역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제3 전극으로부터 이격된 복수의 도전 패턴들을 포함하는 입력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 패턴들은 상기 제1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패턴 및 전기적으로 플로팅된 제2 패턴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제2 전극 및 상기 제3 전극 중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자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센서는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으로부터 절연된 제4 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전극은 상기 제2 전극 및 상기 제3 전극 중 다른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자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4 전극은 평면상에서 교차하는 전자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부들은 평면상에서 상기 제2 발광부들과 상이한 크기를 가진 전자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부들 각각의 크기는 상기 제2 발광부들 각각의 크기보다 큰 전자 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부들과 상기 제2 발광부들은 서로 상이한 형태로 배열된 전자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부들은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고,
    상기 제2 발광부들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 교차하는 제3 방향 및 상기 제1 내지 제3 방향 각각에 교차하는 제4 방향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 전자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발광부들로부터 이격된 복수의 투과부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투과부들은 상기 제1 발광부들보다 높은 투과율을 가진 전자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제1 발광부들 각각에 중첩하는 복수의 개구부들을 정의하는 제1 메쉬선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2 발광부들 각각에 중첩하는 복수의 개구부들을 정의하는 제2 메쉬선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메쉬선들의 개구부들은 상기 제2 메쉬선들의 개구부들보다 큰 전자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쉬선들 각각의 선 폭은 상기 제2 메쉬선들 각각의 선 폭보다 큰 전자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1 영역에 인접하는 제1 패턴 및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1 패턴보다 큰 면적을 가진 제2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패턴에는 복수의 절개부들이 정의되고, 상기 제1 패턴에는 상기 절개부들이 정의되지 않는 전자 장치.
  13. 전자 모듈;
    평면상에서 상기 전자 모듈과 중첩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에 인접한 제2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고 서로 이격된 복수의 제1 발광부들 및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고 서로 이격된 복수의 제2 발광부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된 제1 도전 패턴,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된 제2 도전 패턴, 및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도전 패턴으로부터 이격된 제3 도전 패턴을 포함하는 입력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 패턴은 상기 제1 도전 패턴에 연결된 제1 패턴 및 상기 제1 도전 패턴 및 상기 제2 도전 패턴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된 제2 패턴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 패턴은 복수의 제1 센서부들, 상기 제1 센서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1 연결부들, 상기 제1 센서부들과 전기적으로 절연된 복수의 제2 센서부들, 및 상기 제2 센서부들을 연결하고 상기 제1 연결부들과 상이한 층 상에 배치된 복수의 제2 연결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전 패턴은 상기 제1 연결부들 또는 상기 제2 연결부들과 동일한 층 상에 배치된 전자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 패턴은 서로 이격된 제3 패턴 및 제4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패턴은 상기 제1 센서부들 중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4 패턴은 상기 제2 센서부들 중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자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은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제3 패턴과 상기 제4 패턴에 각각 연결되는 전자 장치.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패턴은 상기 제1 패턴을 통해 상기 제1 센서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4 패턴은 상기 제3 도전 패턴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된 전자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패턴과 상기 제4 패턴은 서로 상이한 면적을 가진 전자 장치.
  19.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 패턴 및 상기 제2 도전 패턴 각각은 복수의 개구부들을 정의하는 복수의 메쉬선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전 패턴의 메쉬선들이 정의하는 개구부들의 크기는 상기 제2 도전 패턴의 메쉬선들이 정의하는 개구부들의 크기보다 큰 전자 장치.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 패턴의 메쉬선들 각각의 선 폭은 상기 제2 도전 패턴의 메쉬선들 각각의 선 폭보다 큰 전자 장치.
KR1020210020151A 2021-02-15 2021-02-15 전자 장치 KR20220117386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151A KR20220117386A (ko) 2021-02-15 2021-02-15 전자 장치
US17/575,891 US11868573B2 (en) 2021-02-15 2022-01-14 Electronic apparatus
CN202210122037.6A CN114944415A (zh) 2021-02-15 2022-02-09 电子设备
US18/521,389 US20240094856A1 (en) 2021-02-15 2023-11-28 Electronic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151A KR20220117386A (ko) 2021-02-15 2021-02-15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7386A true KR20220117386A (ko) 2022-08-24

Family

ID=82800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0151A KR20220117386A (ko) 2021-02-15 2021-02-15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1868573B2 (ko)
KR (1) KR20220117386A (ko)
CN (1) CN114944415A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21288B (zh) * 2013-03-07 2016-02-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一種觸控單元陣列以及觸控顯示面板
KR102336971B1 (ko) 2014-04-29 2021-12-09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정전용량방식 터치패널
KR102533131B1 (ko) * 2018-05-08 2023-05-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력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
KR20200039889A (ko) 2018-10-05 2020-04-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표시 장치
KR20200044264A (ko) 2018-10-18 2020-04-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0379356B (zh) 2019-08-29 2022-04-22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0658952B (zh) 2019-09-29 2023-10-03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触控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1666001B (zh) * 2020-07-31 2023-03-31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控制方法、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61115A1 (en) 2022-08-18
CN114944415A (zh) 2022-08-26
US20240094856A1 (en) 2024-03-21
US11868573B2 (en) 2024-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258444B (zh) 电子面板和包括该电子面板的电子装置
KR102618279B1 (ko) 전자 장치
US11402899B2 (en) Electronic apparatus
KR20200145976A (ko) 전자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05625B1 (ko) 전자 장치
US20210026046A1 (en) Window member,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window member
KR20210016217A (ko) 전자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169213A1 (zh) 指纹识别模组及显示终端
KR20230169910A (ko) 전자 장치
US11698664B2 (en) Electronic apparatus
CN112151581A (zh) 显示面板和显示设备
US20230345774A1 (en) Display panel,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display panel
TWI818069B (zh) 輸入感測單元及包含其之顯示裝置
KR20220117386A (ko) 전자 장치
US20220263054A1 (en) Window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11409325B2 (en) Electronic apparatus
US20210280975A1 (en) Electronic apparatus
US11742341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using a laser and display panel perforation
KR20220147764A (ko) 표시 패널,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조 방법
KR20210111942A (ko) 윈도우 부재의 제조방법
KR20210124570A (ko) 광 감지 센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