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5748A - 신규한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균주 및 이의 유청 발효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또는 대장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신규한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균주 및 이의 유청 발효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또는 대장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5748A
KR20220115748A KR1020210019288A KR20210019288A KR20220115748A KR 20220115748 A KR20220115748 A KR 20220115748A KR 1020210019288 A KR1020210019288 A KR 1020210019288A KR 20210019288 A KR20210019288 A KR 20210019288A KR 20220115748 A KR20220115748 A KR 20220115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terococcus faecalis
strain
disease
or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9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0612B1 (ko
Inventor
윤요한
임상동
김슬기
박은영
김근배
엘날 아셀
이주현
이유진
Original Assignee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한국식품연구원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한국식품연구원,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19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0612B1/ko
Publication of KR20220115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5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0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0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9Dairy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J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WORKING-UP PROTEINS FOR FOODSTUFFS; PHOSPHATIDE COMPOSITIONS FOR FOODSTUFFS
    • A23J1/00Obtaining 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Bulk opening of eggs and separation of yolks from whites
    • A23J1/20Obtaining 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Bulk opening of eggs and separation of yolks from whites from milk, e.g. casein; from whey
    • A23J1/205Obtaining 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Bulk opening of eggs and separation of yolks from whites from milk, e.g. casein; from whey from whey, e.g. lactalbum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75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animal origin, e.g. chitin
    • A23L29/281Proteins, e.g. gelatin or collage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20Milk; Whey; Colostr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61K8/986Milk; Derivatives thereof, e.g. but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dental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46Streptococcus ; Enterococcus; Lactococc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yc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ir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rds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ys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청 발효 시 구강질환 또는 대장질환 개선 효능을 나타내는 수탁번호 KACC 81148BP의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nterococcus faecalis) M157 균주, 상기 균주로 바이오컨버전(bioconversion)된 유청 발효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또는 대장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식품첨가제 조성물, 약학적 조성물, 의약외품 조성물 및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M157 균주로 바이오컨버전된 유청 발효물은 치주조직의 총 부피 당 골 부피 증가, 골 부피 당 표면적 감소, 골 소실 수피 감소 효과를 나타내며 치주 조직 및 대장 조직에서 전염증 지표를 감소시키고 항염증 지표를 증가시키는 바, 구강 질환 및 대장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어 산업적 활용 가치가 높다.

Description

신규한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균주 및 이의 유청 발효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또는 대장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Oral Disease or Colorectal Disease, Comprising a new Enterococcus faecalis strain and its whey fermentation product}
본 발명은 유청 발효 시 구강질환 또는 대장질환 개선 효능을 나타내는 수탁번호 KACC 81148BP의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nterococcus faecalis) M157 균주, 상기 균주로 바이오컨버전(bioconversion)된 유청 발효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또는 대장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식품 첨가제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약학적 조성물, 의약외품 조성물 및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유청(whey)"은 우유를 치즈로 가공할 때 형성되는 부산물로, 탈지유에 산 또는 응유효소를 첨가하여 생성되는 응고물, 즉 응유(curd)를 제외한 수용액을 의미한다. 종래에는 유청이 치즈를 생산함에 있어 단지 부산물로 여겨져 매년 다량 폐기되곤 하였으나, 최근에는 그 영양학적 가치를 인정받아 이의 활용도를 높이고 고부가 가치화를 이루고자 하는 노력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유청 단백질의 시장 규모는 2018년 기준, 약 74억 불(한화 약 9조 원)에 달하며, 2025년까지 8.1%의 연평균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유청 단백질은 생리 활성 펩타이드 생산 물질로 주목을 받고 있으며 다양한 고부가가치 산업 분야에서 사용될 가능성이 있어 이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바이오컨버전(bioconversion)" 기술은 생물전환 기술이라고도 불리우며, 미생물 등이 가지고 있는 효소적 기능을 이용하여 전구물질로부터 보다 부가가치가 높은 유용물질을 생산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즉, 미생물 발효 또는 효소 처리 등의 생물학적 방법을 통해 생리활성 물질의 구조적 변화를 유도함으로써 특정 유효성분의 함량을 증가시키거나, 흡수율을 개선하거나, 새로운 유효성분의 생성을 유도하는 기술로서 최근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에 대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실제 최종 제품의 생산으로 이어지는 것은 미미한 실정이었다.
한편, 구강질환은 치아를 포함한 구강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질환을 일컫는 것으로, 흔히 발생하는 구강질환으로는 대표적으로 치아 우식증(dental caries), 즉 충치와 치주염(periodontitis), 치은염(gingivitis) 등의 치주질환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구강질환 또는 치주질환은 국내외를 불문하고 성인 인구에 대해 가장 흔하게 발생할 수 있는 질환에 해당할 뿐만 아니라, 개인 의료 및 사회적인 관리 체계 면에서도 상당한 비용이 요구되는, 공중 보건의 관심질환에 해당하며, 특히 치주 질환은 전신 만성 질병과 관련이 있어 대장 질환과의 상관성이 대두되며 구강-장내 균총에 관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에서 구강 건강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으로 제품에 활용된 프로바이오틱스에는 Lactobacillus reuteri, L. salivarius, L. plantarum, Weisella cibaria 등이 있으나, 국내에서 치주염 개선 혹은 구강 및 대장 건강을 위한 유청발효 산물 제품 개발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종래에 대량 폐기되는 유청의 활용 가능성을 재고함과 동시에, 유청으로부터 보다 부가가치가 높은 구강질환 또는 대장질환 개선 물질을 생산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유청 분말에 대해 원유로부터 분리된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M157 균주 (수탁번호 : KACC 81148BP)를 접종하고 배양시킨 유청 발효물이 바이오컨버전을 통해 구강질환 및 대장질환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54589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이와 연관된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예시적 목적은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nterococcus faecalis) 균주로 바이오컨버전 (bioconversion)된 유청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질환 또는 대장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 목적은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nterococcus faecalis) 균주로 바이오컨버전 (bioconversion)된 유청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질환 또는 대장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 목적은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nterococcus faecalis) 균주로 바이오컨버전 (bioconversion)된 유청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질환 또는 대장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 목적은 유청 발효 시 구강질환 또는 대장질환 개선 효능을 나타내는 수탁번호 KACC 81148BP의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M157 균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 목적은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균주로 바이오컨버전된 유청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질환 또는 대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 목적은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균주로 바이오컨버전된 유청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질환 또는 대장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 목적은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균주로 바이오컨버전된 유청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질환 또는 대장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본 출원에서 개시된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의 다른 설명 및 실시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출원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출원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 기술된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출원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볼 수 없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양태로서, 본 발명은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nterococcus faecalis, E. faecalis) 균주로 바이오컨버전 (bioconversion)된 유청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질환 또는 대장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균주는 수탁번호 KACC 81148BP의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Enterococcus faecalis) M157 균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Enterococcus faecalis) M157 균주는 원유에서 분리되어 구강질환 및 대장질환 개선 효능을 나타내는 균주로, 2020년 11월 25일 자로 국립농업과학원 미생물은행(KACC)에 기탁되어 수탁번호 KACC 81148BP를 부여받았다.
본 발명에서 용어 "유청(whey)"은 우유를 치즈로 가공할 때 형성되는 부산물로, 탈지유에 산 또는 응유효소를 첨가하여 생성되는 응고물, 즉 응유(curd)를 제외한 수용액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발효물"은 미생물을 이용한 효소적 또는 대사적 분해의 결과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서는 유청에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M157 균주를 접종한 후 배양한 산물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내에서 '발효물' 또는 '유청 발효물'은 '바이오컨버전 산물'과 혼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바이오컨버전(bioconversion)"은 생물전환이라고도 하며, 미생물이 가지고 있는 효소적 기능을 이용하여 전구물질로부터 보다 부가가치가 높은 유용물질을 생산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미생물 발효 또는 효소 처리 등의 생물학적 방법을 통해 생리활성 물질의 구조적 변화를 유도하여 유효성분의 함량 증가, 흡수율 개선 및 새로운 유효성분의 생성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바이오컨버전 산물은 유청에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M157균주를 접종한 후 배양한 유청 발효물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바이오컨버전 산물을 통해 구강질환 및 대장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청 발효물은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균주로 바이오컨버전된 것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수탁번호 KACC 81148BP의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M157 균주로 바이오컨버전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구강질환"은 치아를 포함하여 구강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질환을 의미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구강 조직 내에서 파골세포 수 감소, 조골세포 수 증가, 해면골 소실 부피 감소, 치조골 부피 증가, 염증세포 수 감소 및 구강 유해세균에 대한 항균 효과로 인해 예방, 개선 및/또는 치료될 수 있는 모든 질환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강질환은 치조골 파손(alveolar bone breakage), 치조골다공증(alveolar bone osteoporosis), 치조골연화증(alveolar bone osteomalacia), 치조골감소증(alveolar bone osteopenia), 치아 우식증(dental caries), 치은염(gingivitis) 및 치주염(periodontitis)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질환일 수 있으며, 이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대장질환"은 대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질환을 의미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대장암, 대장용종, 과민성장증후군, 궤양성대장염 및 크론병, 결핵성장염, 감염성 설사 및 대장염, 혈관성장질환, 대장게실증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질환일 수 있으며, 이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예방"은 본 발명 조성물의 투여로 구강질환 또는 대장질환과 관련된 증상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 용어 "개선"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적용하여 구강질환 또는 대장질환의 증상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치주염을 유발한 랫드에 대해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M157 균주에 의한 바이오컨버전 산물을 경구투여 및 치아도포한 결과, 바이오컨버전 산물을 투여한 군에서 치주 조직의 총 부피 당 골 부피 증가, 골 부피 당 표면적 감소, 골 소실 부피 감소로 인한 치주염 치료 효과가 현저히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치주조직과 대장조직에서 전사체 및 단백질 발현량을 분석한 결과,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M157 균주에 의한 바이오컨버전 산물을 처리한 랫드에서 전염증 지표 발현량이 낮게 관찰되고, 항염증 및 항산화 지표 발현량이 높게 관찰되어, 치주 조직 및 대장 조직의 염증 개선 효과가 현저히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어떠한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정제, 캡슐, 환, 과립, 액상, 분말, 편상, 페이스트상, 시럽, 겔, 젤리, 바 등의 건강기능식품 제제류, 음료류, 껌류 및 캔디류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제형일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그 유효성분 이외에 식품 첨가물이 포함될 수 있다. 식품 첨가물은 일반적으로 식품을 제조, 가공 또는 보존함에 있어 식품에 첨가되어 혼합되거나 침윤되는 물질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식품과 함께 매일 그리고 장기간 섭취되므로 그 안전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상기 식품 첨가물은 기능 면에 있어서 감미제, 풍미제, 보존제, 유화제, 산미료, 점증제 등으로 구분되며,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에 부합하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식품 첨가물 이외에 기능성과 영양 보충의 목적으로 당업계에 공지되고 식품 첨가물로서 안정성이 보장된 생리활성 물질 또는 미네랄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리활성 물질 또는 미네랄류는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에 부합하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전술한 바의 식품 첨가물이 제품 유형에 따라 그 첨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유효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기타의 식품 첨가물과 관련하여서는 각국 식품공전이나 식품 첨가물 공전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nterococcus faecalis) 균주로 바이오컨버전 (bioconversion)된 유청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질환 또는 대장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용어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균주, 바이오컨버전, 유청, 발효물, 구강질환, 대장질환 및 예방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용어 "건강기능식품"이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한다. 상기 "기능성" 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 가능하며, 제조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제형 또한 건강기능식품으로 인정되는 제형이면 제한없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바이오컨버전된 유청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청 발효물은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균주로 바이오컨버전된 것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수탁번호 KACC 81148BP의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M157균주로 바이오컨버전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용어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M157 균주, 바이오컨버전, 유청 및 발효물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용어 "식품 첨가제"는 식품을 제조, 가공 또는 보존함에 있어 보존성의 향상, 품질 향상, 영양 강화, 풍미 및 외관을 좋게 하는 등의 목적으로 식품에 첨가, 혼합, 침윤 기타의 방법으로 사용되는 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식품 첨가제는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히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M157 균주로 바이오컨버전된 유청 발효물을 포함하는 식품 첨가제 조성물은 첨가되는 식품 또는 식품 성분에 더하여 구강질환 또는 대장 질환의 예방, 개선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유청 발효 시 구강질환 또는 대장질환 개선 효능을 나타내는 수탁번호 KACC 81148BP의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M157 균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M157 균주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균주로 바이오컨버전된 유청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질환 또는 대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용어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균주, 바이오컨버전, 유청, 발효물, 구강질환, 대장질환 및 예방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균주로 바이오컨버전된 유청 발효물 이외에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즈, 수크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또는 광물유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및 동결 건조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형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형태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고형제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컨대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컨대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또는 좌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 약학적 조성물의 개별적인 투약의 최적량 및 투약 간격은 구강질환 또는 치주질환의 성질 및 정도, 투여 제형, 경로 및 부위, 그리고 적용 대상의 나이와 건강상태에 의해 결정될 것이고, 의사가 궁극적으로 사용될 적절한 투약을 결정할 것이라는 것은 당해 분야의 당업자가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투약은 적절할 정도로 자주 반복될 수 있고, 보통의 임상 진료에 따라서 투여량 및 빈도를 변경하거나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복강내 투여, 정맥내 투여, 피하 투여, 피내 투여, 경구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용어 "치료"는 본 발명 조성물의 투여로 구강질환 또는 대장질환의 증상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균주로 바이오컨버전된 유청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질환 또는 대장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의약외품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의약외품일 수 있다. 상기 의약외품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치약, 구강청결제, 껌, 캔디류, 구강스프레이, 구강용 연고제, 구강용 바니쉬(varnish), 구강필름 및 잇몸 마사지 크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제형일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균주로 바이오컨버전된 유청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질환 또는 대장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사료 조성물은 사료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는 사료관리법상의 보조사료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사료"는 특히 동물이 먹고, 섭취하며, 소화시키기 위한 또는 이에 적당한 임의의 천연 또는 인공 규정식, 한끼식 등 또는 상기 한끼식의 성분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사료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료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곡물류, 근과류, 식품 가공 부산물류, 조류, 섬유질류, 제약 부산물류, 유지류, 전분류, 박류 또는 곡물 부산물류 등과 같은 식물성 사료; 단백질류, 무기물류, 유지류, 광물성류, 유지류, 단세포 단백질류, 동물성 플랑크톤류 또는 음식물 등과 같은 동물성 사료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M157 균주로 바이오컨버전된 유청 발효물은 치주조직의 총 부피 당 골 부피 증가, 골 부피 당 표면적 감소, 골 소실 수피 감소 효과를 나타내며 치주 조직 및 대장 조직에서 전염증 지표를 감소시키고 항염증 지표를 증가시키는 바, 구강 질환 및 대장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어 산업적 활용 가치가 높다.
도 1은 정상군, 대조군 및 M157군에 대한 치주 조직의 Micro-CT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정상군, 대조군 및 M157군에 대한 치주 조직의 광학 현미경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정상군, 대조군 및 M157군에 대한 치주 조직에서의 면역 지표 전사체 발현량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정상군, 대조군 및 M157군에 대한 대장 조직에서의 면역 지표 전사체 발현량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정상군, 대조군 및 M157군에 대한 치주 조직에서의 면역 지표 단백질 발현량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는 정상군, 대조군 및 M157군에 대한 대장 조직에서의 면역 지표 단백질 발현량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M157 균주를 활용한 유청발효 산물 제조
분리균주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M157을 이용하여 유청발효 산물(이하 바이오컨버전 산물)을 제조하였다. 10 mL의 MRS broth에서 37℃, 24시간 호기 배양한 뒤, 유청 분말을 이용해 제조 후 살균한 10% whey 용액에 1%의 농도가 되도록 접종하였다. 37℃, 24시간 배양한 뒤, 1N NaOH (Duksan general science, Seoul, Korea)를 이용하여 pH 6.5로 조정한 후 30%로 농축하여 분무건조기로 분말화하여 바이오컨버전 산물로 사용하였다. 바이오컨버전 산물을 1,500 mg/10 mL/kg의 농도가 되도록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로 현탁하여 경구 투여 및 치아 도포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유청 바이오컨버전 산물에 의한 구강질환 및 대장질환 개선 효과 확인
2-1. 치주염 동물모델 제조
1주간 적응기간과 2일간 항생제 식수 제공 기간 후 7 주령의 랫드에 zoletile (1 mg/mL) (Virbac, France)과 rompun (Bayer, Germany)[4:1(v/v)]을 1 mL/kg으로 복강 내 주사하여 마취시킨 후 우측 하악 제 1 대구치에 멸균된 봉합사로 결찰하여 치주염을 유발하였다. 구체적인 실험 모델은 표 1에서 나타낸 바와 같다.
그룹 치주염 유발 여부 투여 물질
정상군(normal) X PBS 8
대조군(control) O PBS 8
M157군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M157 유청발효산물
8
2-2. Micro-CT 분석에 의한 치주염 개선 효과 확인
바이오컨버전 산물의 치주염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치주 조직에서 정상군, 대조군 및 M157 유청발효산물 처리군 (이하, M157군) 각각 3 마리를 이용하여 micro-CT 분석을 실시하였다. Micro-CT 분석을 위해 치주 조직을 10% 중성 formalin으로 고정시킨 후 치조골 소실 부피를 측정하기 위해 Quantum FX microCT scanner(Perkin-Elmer, Waltham, MA, USA)를 이용하여 2차원 평면 영상을 측정하였고 CTAn software(Skyscan, AaRTselaar, Belgium)를 사용하여 치주 조직의 총 부피 당 골 부피(BV/TV), 골 부피 당 표면적(BS/BV), 골 소실 부피 등을 분석하였다.
Micro-CT 분석 결과, 표 2 및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질골의 양과 비례하는 총 부피 당 골 부피(BV/TV)가 대조군 대비 정상군, M157군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측정되었다(p<0.05). 소주골의 양과 비례하는 골 부피 당 표면적(BS/BV)은 대조군 대비 정상군, M157군에서 유의적으로 낮게 측정되었다(p<0.05). 골 소실 부피(Bone loss volume) 분석 결과, 대조군 대비 정상군 및 M157군에서 유의적으로 낮게 측정되었다(p<0.05).
결과적으로, M157군에서 BS/TV, BS/BV, Bone loss volume이 정상군과 유의적 차이가 없으며 대조군보다 개선된 상태를 나타내어, E. faecalis M157로 제조한 바이오컨버전 산물이 치주염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룹 총 부피 당 골 부피 (BV/TV) (%) 골 부피 당 표면적
(BS/BV) (1/mm)
골 소실 부피
(mm 3 )
정상군 87.392 ± 1.374a 12.078 ± 0.222a 0.045 ± 0.005a
대조군 53.057 ± 0.573b 18.667 ± 3.035b 0.157 ± 0.021b
M157군 80.712 ± 13.695a 12.825 ± 3.647a 0.069 ± 0.049a
2-3. 조직병리학적 분석에 의한 치주염 개선 효과 확인
바이오컨버전 산물 투여와 도포에 따른 치주염 개선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치주염 유발 랫드의 치주 조직에서 조직형태학적 변화, 치조골, 파골세포, 조골세포 수 등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치주염으로 인한 염증 발생 유무 확인을 위해 Mecklenburg et al.(2013)을 참고하여 조직병리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삭정, 탈수, 파라핀 포매, 박절 등 일반적인 조직처리과정을 거쳐 제작한 검체에 H&E staining 후 광학현미경(Olympus BX53, Japan)을 이용하여 조직병리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표 3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에서 염증세포 침윤과 상피증식이 가장 많이 관찰되었으며, M157군에서 정상군과 마찬가지로 병변이 확인되지 않아 E. faecalis M157로 제조한 바이오컨버전 산물의 우수한 치주염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정상군 대조군 M157군
개체번호 2 4 5 1 6 7 4 6 8
치은 점수(Total score) - - - - -
- 염증세포 침윤 + ± ± ±
- 상피증식 + + ±
-: 병변 없음 , ±: 경증, +: 중증
2-4. 전사체 분석에 의한 구강질환 및 대장질환 개선 효과 확인
바이오컨버전 산물 투여로 인한 치주 조직 및 대장 조직에서의 염증 및 산화적 스트레스 개선을 확인하기 위해 전사체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치주 조직과 대장 조직에서 RNeasy mini kit(Qiagen)을 이용하여 mRNA를 추출하였고 Quantitect Reverse Transcription kit(Qiagen)을 이용하여 cDNA를 합성한 후 전사체 분석에 이용하였다. cDNA로 RT-PCR을 진행하여 Ct 수치를 구하였고 2 -ΔΔCt 방법으로 전사체 발현량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치주조직에서 전염증 지표 TNF-α, IL-6 및 IL-1β의 전사체 발현량은 대조군 대비 M157군에서 유의적으로 낮게 관찰되었다(p<0.05).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장조직에서 전염증 지표 TNF-α 및 IL-1β의 전사체 발현량은 대조군 대비 M157군에서 낮게 관찰되었다(p<0.05).
이러한 결과에 따라 E. faecalis M157로 제조한 바이오컨버전 산물은 치주 및 대장 조직에서 염증 억제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2-5. 단백질 분석에 의한 구강질환 및 대장질환 개선 효과 확인
바이오컨버전 산물 투여로 인한 치주 조직 및 대장 조직의 염증 및 산화적 스트레스의 개선을 확인하기 위해 단백질 발현량을 이용하여 면역 지표(TNF-α, IL-6, IL-10, SOD1, GPx1)를 분석하였다.
치주 조직 단백질에서의 면역 지표 분석 결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M157군에서 전염증 지표 TNF-α 및 IL-6는 대조군 대비 유의적으로 낮게 관찰되었고, 정상군 대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또한 항산화 지표 GPx1 분석 결과, 대조군 대비 M157군에서 높은 발현량이 확인되었다(p<0.05).
대장 조직 단백질에서의 면역 지표 분석 결과,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M157군에서 전염증 지표 TNF-α는 대조군 대비 유의적으로 낮은 발현량이 확인되었다(p<0.05). 항염증 지표 IL-10 및 SOD1의 경우, 대조군 대비 M157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발현량이 확인되었다(p<0.05).
이러한 결과를 통해 E. faecalis M157 균주로 제조한 바이오컨버전 산물이 치주 조직에서 염증 억제와 산화적 스트레스에 효과가 있으며, 대장 조직의 염증 개선 및 예방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국립농업과학원 미생물은행(KACC) KACC81148BP 20201125

Claims (14)

  1.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nterococcus faecalis) 균주로 바이오컨버전 (bioconversion)된 유청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질환 또는 대장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균주는 수탁번호 KACC 81148BP의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M157 균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질환은 치조골 파손(alveolar bone breakage), 치조골다공증(alveolar bone osteoporosis), 치조골연화증(alveolar bone osteomalacia), 치조골감소증(alveolar bone osteopenia), 치아 우식증(dental caries), 치은염(gingivitis) 및 치주염(periodontitis)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질환인 것인, 식품 조성물.
  4.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nterococcus faecalis) 균주로 바이오컨버전 (bioconversion)된 유청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질환 또는 대장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균주는 수탁번호 KACC 81148BP의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M157 균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캡슐, 환, 과립, 액상, 분말, 편상, 페이스트상, 시럽, 겔, 젤리, 바 등의 건강기능식품 제제류, 음료류, 껌류 및 캔디류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제형인 것인, 건강기능식품.
  7.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nterococcus faecalis) 균주로 바이오컨버전 (bioconversion)된 유청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질환 또는 대장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첨가제 조성물.
  8. 유청 발효 시 구강질환 또는 대장질환 개선 효능을 나타내는 수탁번호 KACC 81148BP의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M157 균주.
  9.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균주로 바이오컨버전된 유청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질환 또는 대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균주는 수탁번호 KACC 81148BP의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M157 균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질환은 치조골 파손(alveolar bone breakage), 치조골다공증(alveolar bone osteoporosis), 치조골연화증(alveolar bone osteomalacia), 치조골감소증(alveolar bone osteopenia), 치아 우식증(dental caries), 치은염(gingivitis) 및 치주염(periodontitis)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질환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12.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균주로 바이오컨버전된 유청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질환 또는 대장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은 치약, 구강청결제, 껌, 캔디류, 구강스프레이, 구강용 연고제, 구강용 바니쉬(varnish), 구강필름 및 잇몸 마사지 크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제형인 것인, 의약외품 조성물.
  14.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균주로 바이오컨버전된 유청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질환 또는 대장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
KR1020210019288A 2021-02-10 2021-02-10 신규한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균주 및 이의 유청 발효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또는 대장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630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9288A KR102630612B1 (ko) 2021-02-10 2021-02-10 신규한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균주 및 이의 유청 발효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또는 대장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9288A KR102630612B1 (ko) 2021-02-10 2021-02-10 신규한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균주 및 이의 유청 발효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또는 대장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5748A true KR20220115748A (ko) 2022-08-18
KR102630612B1 KR102630612B1 (ko) 2024-01-31

Family

ID=83112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9288A KR102630612B1 (ko) 2021-02-10 2021-02-10 신규한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균주 및 이의 유청 발효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또는 대장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061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3039A (ko) * 1997-08-07 1999-03-25 오종석 인체 구강내 치태형성을 억제하는 신규한 유산균
KR101604633B1 (ko) * 2015-08-28 2016-03-18 주식회사 락토메이슨 유산균 배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유산균 분말의 제조 방법
KR20190041864A (ko) * 2017-10-13 2019-04-23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54589A (ko) 2018-11-12 2020-05-2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kacc 92220p 및 이를 이용한 비피토박테리움 롱검 고함량 치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3039A (ko) * 1997-08-07 1999-03-25 오종석 인체 구강내 치태형성을 억제하는 신규한 유산균
KR101604633B1 (ko) * 2015-08-28 2016-03-18 주식회사 락토메이슨 유산균 배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유산균 분말의 제조 방법
KR20190041864A (ko) * 2017-10-13 2019-04-23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54589A (ko) 2018-11-12 2020-05-2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kacc 92220p 및 이를 이용한 비피토박테리움 롱검 고함량 치즈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NNALS OF MICROBIOLOGY 제64권 321_332쪽, 2013년 05월 21일. *
Appl Microbiol Biotechnol (2015) 99:6183-6196.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0612B1 (ko) 2024-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8595B1 (ko)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bnr17을 포함하는 갱년기 질환 치료용 조성물
JP6285687B2 (ja) 口腔内疾患予防剤
CN110235943A (zh) 一种含变性淀粉的抗衰老酸奶及其制备方法
Bertkova et al. The effect of probiotic microorganisms and bioactive compounds on chemically induced carcinogenesis in rats
KR101770036B1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IL-1β에 의한 관절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JP2005013211A (ja) 乳酸菌含有食品組成物
KR102217525B1 (ko) 치주염 예방 또는 치료용 유산균 및 그의 용도
KR102333226B1 (ko)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프로바이오틱스 및 이를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JP4498924B2 (ja) ラクトバシラス・カゼイ亜種カゼイ増殖促進用組成物
KR101518445B1 (ko) 장관면역 조정제
JP6865682B2 (ja) 抗う蝕剤及び抗う蝕用組成物
CN112889924A (zh) 防龋齿的奶片及其制备方法
KR101659927B1 (ko) 본초의 약효 증대방법, 면역증강용 발효 키토산의 제조방법 및 그 이용
JP2006111573A (ja) バチルス・サブチルス菌株の使用及びその使用に用いられる菌株を含む食品
JP5502449B2 (ja) 腸内フローラバランス改善剤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630612B1 (ko) 신규한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균주 및 이의 유청 발효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또는 대장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630615B1 (ko) 신규한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균주 및 락토코커스 락티스 균주, 및 이의 유청 발효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또는 대장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JP2007126399A (ja) グルタチオン増加用組成物
KR101779719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케피아노파시엔스 dn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변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azemi et al. Evaluation the effect of royal jelly on the growth of two members of gut microbiota; Bacteroides fragillis and Bacteroides thetaiotaomicron.
KR101577732B1 (ko) 황백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성 골질환 또는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avithra et al. Probiotics–A Miracle in Periodontal Therapy
KR102554209B1 (ko) 반려동물 구강질환 예방 효능을 갖는 대체육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대체육
KR102581570B1 (ko) 신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균주를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101564668B1 (ko) 본초 발효 키토산의 제조방법 및 그 이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