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5483A - 낚시받침대 각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낚시받침대 각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5483A
KR20220115483A KR1020210037883A KR20210037883A KR20220115483A KR 20220115483 A KR20220115483 A KR 20220115483A KR 1020210037883 A KR1020210037883 A KR 1020210037883A KR 20210037883 A KR20210037883 A KR 20210037883A KR 20220115483 A KR20220115483 A KR 20220115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adjustment
angle
fishing rod
fish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7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산
Original Assignee
(주)다마스쿠스
박동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마스쿠스, 박동산 filed Critical (주)다마스쿠스
Publication of KR20220115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54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받침대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개인용 낚시의자 또는 낚시용 좌대에 설치되어 낚시대의 좌,우방향에 대한 각도를 소망하는 각도만큼만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각도조절용 고정핀에 의해 각도조절판이 고정되므로 인해 외력에 의해 낚시대 받침구의 각도가 변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낚시받침대 각도 조절장치{Fishing stand angle adjustment device}
본 발명은 낚시받침대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인용 낚시의자 또는 낚시용 좌대에 설치되어 낚시대의 좌,우방향에 대한 각도를 소망하는 각도만큼만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각도조절용 고정핀에 의해 각도조절판이 고정되므로 인해 외력에 의해 낚시대 받침구의 각도가 변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낚시받침대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는 강이나 호수 또는 바다에서 낚시꾼들이 신선한 공기를 마시고 넓은 경치를 만끽하면서 휴식 및 안식을 주는 등 매우 건전한 레저 중 하나이다.
이러한 낚시는, 오랜 시간 인내를 요구하는 것으로 물고기를 잡기 위해서는 낚싯대를 수면과 일정한 각도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낚싯바늘에 물고기가 걸릴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그러나, 물고기를 잡기 위해서는 채비, 즉 찌와 봉돌, 그리고 미끼를 단 바늘을 물에 던져 잠기게 한 후 낚싯대를 손으로 장시간 동안 잡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낚시꾼들이 낚시를 위하여 장시간 동안 낚싯대를 잡고 있으면 큰 피로를 주게 되므로 이를 위하여 낚싯대를 바닥에 고정하기 위한 장비가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낚싯대를 고정하기 위하여 낚싯대 중간 부분을 받쳐주는 낚시받침대와 낚싯대의 손잡이 부분을 받쳐주는 뒷받침대를 주로 사용한다.
일 예로 특허출원번호 10-2019-0079327호에 낚싯대용 받침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살펴보면, 종래의 일반적인 낚싯대용 받침장치는, 낚시용 좌대에 대응되게 후단부 또는 전단부를 고정 설치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상면에 안착되어 일단이 상기 고정부재와 연결된 좌,우방향조절용 가압레버를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회동시켜 조절하는 것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방향이 조절됨에 따른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는 좌,우방향조절부재와, 상기 좌,우방향조절부재의 상면에 일단이 각 고정되는 것에 의해 서로에 대하여 이격 설치되되, 중앙부는 각각 관통된 제1,2상,하방향 각도조절편으로 구비되는 상,하방향 각도조절용 연결부재와, 상기 상,하방향 각도조절용 연결부재의 제1,2상,하방향 각도조절편을 일단이 관통하여 제2상,하방향 각도조절편에 위치되고, 중앙부는 제1상,하방향 각도조절편에 회동가능게 연결되며, 타단은 낚시받침대 일단을 수용가능하게 구비되는 낚시받침대 수용부재와, 상기 상,하방향 각도조절용 연결부재의 제2상,하방향 각도조절편 상면을 일단이 나사방식으로 관통하여 상기 낚시받침대 수용부재의 일단을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상,하방향 각도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일반적인 낚싯대용 받침장치는, 좌,우방향조절용 가압레버를 회동시킨 후, 좌,우방향조절부재를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낚시대의 방향 즉, 각도를 조절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낚시대의 방향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좌,우방향조절부재를 사용자가 일방향 타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낚시대의 방향 각도를 정확하게 소망하는 각도만큼만 회동시키는 것이 어렵다라는 단점과 함께, 좌,우방향조절용 가압레버에 의해 상기 좌,우방향조절부재를 고정부재에 가압 고정시키게 되어 있어서, 강한 바람에 의해 낚시대가 일방향으로 휘어질 때, 좌,우방향조절부재가 회동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특허출원번호 10-2019-0079327호, 출원일자 2019년07월02일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개인용 낚시의자 또는 낚시용 좌대에 설치되어 낚시대의 좌,우방향에 대한 각도를 소망하는 각도만큼만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각도조절용 고정핀에 의해 각도조절판이 고정되므로 인해 외력에 의해 낚시대 받침구의 각도가 변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낚시받침대 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기술이 진행되면서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낚시받침대 각도 조절장치는, 개인용 낚시의자에 장,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편(10) 또는 낚시 좌대에 고정되어 낚시대받침대 설치부재(30)를 설치하기 위해 구비되는 연결부재(20)에 분리 및 결합가능하게 판상으로 형성되되, 판상에는 방사방향으로 일정 간격 복수 개의 각도절용 위치결정홀(111)이 형성되고, 상기 각도절용 위치결정(111)홀 일측에는 회동축(40)의 일단을 관통시킬 수 있도록 고정홀(113)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각도조절용 고정부재(110)와, 상기 각도조절용 고정부재(110)의 상면에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안착되도록 판상으로 형성되되, 판상 일측에는 각도조절 위치결정핀 고정나사홀(13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낚시대 앞,뒤받침대를 설치하기 위한 낚시대받침대 설치부재(30)를 안착시켜 복수 개의 고정스크류(150)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설치부재용 고정홀(132)이 형성어 구비되는 각도조절용 회동판(130)과, 상기 각도조절용 회동판(130)에 형성된 각도조절 위치결정핀 고정나사홀(131)에 나사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에 의해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각도조절용 위치결정핀(151)이 상기 각도절용 위치결정홀(111)에 삽입됨에 따른 상기 각도조절용 회동판(130)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각도조절용 위치고정부재(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각도조절용 고정부재(110)의 각도절용 위치결정홀(111) 타측에는 상기 각도조절 위치결정핀 고정나사홀(131)이 형성된 각도조절용 회동판(130)의 회동각도 범위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방사방향으로 복수 개의 각도조절용 홈(112)이 더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각도조절 위치결정핀 고정나사홀(131)과 일직선상에 위치되는 각도조절용 회동판(130)의 전단부에는, 상기 각도조절용 회동판(130)을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회동시 상기 각도조절용 고정부재(110)에 형성된 각도조절용 홈(112)과 일치되는 것에 의해 회동각도 범위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각도조절용 위치결정홈(133)이 더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낚시받침대 각도 조절장치에 따르면, 개인용 낚시의자 또는 낚시용 좌대에 설치되어 낚시대의 좌,우방향에 대한 각도를 소망하는 각도만큼만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고정핀에 의해 각도조절판이 고정되므로 인해 외력에 의해 낚시대 받침구의 각도가 변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받침대 각도 조절장치가 개인용 낚시의자에 고정되는 고정편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받침대 각도 조절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받침대 각도 조절장치가 낚시좌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받침대 각도 조절장치의 일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낚시받침대 각도 조절장치(100)는, 개인용 낚시의자에 장,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편(10) 또는 낚시 좌대에 고정되어 낚시대받침대 설치부재(30)를 설치하기 위해 구비되는 연결부재(20)에 분리 및 결합가능하게 판상으로 형성되되, 판상에는 방사방향으로 일정 간격 복수 개의 각도절용 위치결정홀(111)이 형성되고, 상기 각도절용 위치결정(111)홀 일측에는 회동축(40)의 일단을 관통시킬 수 있도록 고정홀(113)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각도조절용 고정부재(110)와, 상기 각도조절용 고정부재(110)의 상면에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안착되도록 판상으로 형성되되, 판상 일측에는 각도조절 위치결정핀 고정나사홀(13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낚시대 앞,뒤받침대를 설치하기 위한 낚시대받침대 설치부재(30)를 안착시켜 복수 개의 고정스크류(150)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설치부재용 고정홀(132)이 형성어 구비되는 각도조절용 회동판(130)과, 상기 각도조절용 회동판(130)에 형성된 각도조절 위치결정핀 고정나사홀(131)에 나사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에 의해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각도조절용 위치결정핀(151)이 상기 각도절용 위치결정홀(111)에 삽입됨에 따른 상기 각도조절용 회동판(130)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각도조절용 위치고정부재(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각도조절용 고정부재(110)의 각도절용 위치결정홀(111) 타측에는 상기 각도조절 위치결정핀 고정나사홀(131)이 형성된 각도조절용 회동판(130)의 회동각도 범위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방사방향으로 복수 개의 각도조절용 홈(112)이 더 형성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 위치결정핀 고정나사홀(131)과 일직선상에 위치되는 각도조절용 회동판(130)의 전단부에는 상기 각도조절용 회동판(130)을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회동시 상기 각도조절용 고정부재(110)에 형성된 각도조절용 홈(112)과 일치되는 것에 의해 회동각도 범위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각도조절용 위치결정홈(133)이 더 형성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한 각도조절용 위치고정부재(150)는 상기 각도조절용 회동판(130)에 형성된 각도조절 위치결정핀 고정나사홀(131)에 일단이 나사 결합되도록 결합나사부(151a)가 형성되고, 중심축 방향으로 관통홀(미도시함)이 형성되되, 상기 관통홀 내측에는 걸림턱을 갖도록 구비되는 각도조절용 위치고정편(151)과, 상기 각도조절용 위치고정편(151)의 관통홀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에 의해 일단이 걸림턱에 걸림가능하게 구비되는 압축스프링(미도시함)과, 상기 관통홀 내측으로 일단이 삽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 압축스프링의 타단을 지지하고, 타단은 상기 결합나사부(151a)를 지나 외부로 노출되어 각도절용 위치결정홀(111)에 삽입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각도조절용 위치고정핀(152)과, 상기 각도조절용 위치고정핀(152)의 타단을 저면에 고정시키도록 고정홈(미도시함)이 저면에 형성되고, 상면은 사용자가 파지하여, 상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파지부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각도조절용 위치결정편(153)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낚시받침대 각도 조절장치를 이용하여 낚시대받침대 설치부재(30)를 우측방향으로 15°의 각도로 회동시키고자 할 경우,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 먼저, 각도조절용 위치고정부재(150)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회동시켜 걸림시킨다.
그로 인해, 상기 각도조절용 위치고정부재(150)의 각도조절용 위치결정핀(151)이 상기 각도절용 위치결정홀(111)로부터 이탈된다.
상기 각도조절용 위치결정핀(151)이 상기 각도절용 위치결정홀(111)로부터 이탈되면, 낚시대받침대 설치부재(30)를 우측방향으로 회동 즉, 각도조절용 회동판(130)에 형성된 각도조절용 위치결정홈(133)이 각도조절용 고정부재(110)에 형성된 각도조절용 홈(112) 중에서 중앙부를 기준으로 좌측에 형성된 각도조절용 홈(112)에 위치되면, 각도조절용 위치고정부재(150)를 상방향으로 들어 올린 후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가 각도조절용 위치결정핀(151)이 각도절용 위치결정홀(111)에 삽입된다.
그로 인해 낚시대받침대 설치부재(30)가 우측방향으로 15°의 각도로 회동된다.
상기와 같이 우측방향으로 15°의 각도로 회동된 낚시대받침대 설치부재(30)는 사이 각도조절용 위치고정부재(150)의 각도조절용 위치고정핀(152)이 각도절용 위치결정홀(111)에 삽입되므로 인해 강한 바람과 같은 외력에 의해 회동하지 않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낚시받침대 각도 조절장치
110 ; 각도조절용 고정부재
130 ; 각도조절용 회동판
150 ; 각도조절용 위치고정부재

Claims (3)

  1. 낚시받침대 각도 조절장치는,
    개인용 낚시의자에 장,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편(10) 또는 낚시 좌대에 고정되어 낚시대받침대 설치부재(30)를 설치하기 위해 구비되는 연결부재(20)에 분리 및 결합가능하게 판상으로 형성되되, 판상에는 방사방향으로 일정 간격 복수 개의 각도절용 위치결정홀(111)이 형성되고, 상기 각도절용 위치결정(111)홀 일측에는 회동축(40)의 일단을 관통시킬 수 있도록 고정홀(113)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각도조절용 고정부재(110)와;
    상기 각도조절용 고정부재(110)의 상면에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안착되도록 판상으로 형성되되, 판상 일측에는 각도조절 위치결정핀 고정나사홀(13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낚시대 앞,뒤받침대를 설치하기 위한 낚시대받침대 설치부재(30)를 안착시켜 복수 개의 고정스크류(150)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설치부재용 고정홀(132)이 형성어 구비되는 각도조절용 회동판(130)과;
    상기 각도조절용 회동판(130)에 형성된 각도조절 위치결정핀 고정나사홀(131)에 나사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에 의해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각도조절용 위치결정핀(151)이 상기 각도절용 위치결정홀(111)에 삽입됨에 따른 상기 각도조절용 회동판(130)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각도조절용 위치고정부재(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받침대 각도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용 고정부재(110)의 각도절용 위치결정홀(111) 타측에는 상기 각도조절 위치결정핀 고정나사홀(131)이 형성된 각도조절용 회동판(130)의 회동각도 범위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방사방향으로 복수 개의 각도조절용 홈(112)이 더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받침대 각도 조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 위치결정핀 고정나사홀(131)과 일직선상에 위치되는 각도조절용 회동판(130)의 전단부에는, 상기 각도조절용 회동판(130)을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회동시 상기 각도조절용 고정부재(110)에 형성된 각도조절용 홈(112)과 일치되는 것에 의해 회동각도 범위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각도조절용 위치결정홈(133)이 더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받침대 각도 조절장치.
KR1020210037883A 2021-02-10 2021-03-24 낚시받침대 각도 조절장치 KR202201154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866 2021-02-10
KR20210018866 2021-02-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5483A true KR20220115483A (ko) 2022-08-17

Family

ID=83111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7883A KR20220115483A (ko) 2021-02-10 2021-03-24 낚시받침대 각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1548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9327A (ko) 2017-12-27 2019-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독출 방법, 메모리 컨트롤러의 제어 방법 및 이들을 포함하는 저장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9327A (ko) 2017-12-27 2019-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독출 방법, 메모리 컨트롤러의 제어 방법 및 이들을 포함하는 저장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1964B2 (en) Multiple use fishing assembly
US8453372B1 (en) Articulating fishing rod holder
KR101300009B1 (ko) 낚시받침대용 거치틀
KR20220115483A (ko) 낚시받침대 각도 조절장치
KR101213327B1 (ko) 낚시받침대 거치장치
KR20170095001A (ko) 낚싯대 거치장치
US4097017A (en) Fishing rod holding device
KR20220124465A (ko) 낚시받침대 회동 각도 제어장치
KR101800808B1 (ko) 낚시용 무게추 조립체
KR102275316B1 (ko) 낚싯대용 받침장치
JP3158482U (ja) 四脚、及び竿保持セット
KR20180115479A (ko) 앞받침대와 낚시대받침구가 일체로 구비된 관절형 낚시받침대
KR200444030Y1 (ko) 의자 장착용 낚시 거치대
KR102418561B1 (ko) 낚시대용 받침대의 고정장치
KR200458634Y1 (ko) 낚시받침대 거치장치
KR102501239B1 (ko) 간소화된 낚시대용 받침대의 고정장치
JP2009195252A (ja) 釣竿受具の使用方法
KR100511369B1 (ko) 낚싯대 받침구
KR102070226B1 (ko) 낚시보트 정박용 폴대 고정장치
EP0230418A1 (en) RUDDER FOR A YACHT.
KR102215087B1 (ko) 낚시대 받침장치
KR20170002936U (ko) 낚시용 좌대
KR20220115485A (ko) 낚시 좌대용 낚시대 받침구 연결장치
KR101970232B1 (ko) 받침장치
JP2002017226A (ja) 釣竿保持具及びそれを備えた釣用具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