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1369B1 - 낚싯대 받침구 - Google Patents

낚싯대 받침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1369B1
KR100511369B1 KR10-2003-0070956A KR20030070956A KR100511369B1 KR 100511369 B1 KR100511369 B1 KR 100511369B1 KR 20030070956 A KR20030070956 A KR 20030070956A KR 100511369 B1 KR100511369 B1 KR 100511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rod
support
fishing
rod
ro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0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0382A (ko
Inventor
송화석
Original Assignee
송화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화석 filed Critical 송화석
Priority to KR10-2003-0070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1369B1/ko
Publication of KR20040030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0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1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13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대의 낚싯대를 한꺼번에 거치하면서, 높이를 상하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거치되는 낚싯대의 방향을 상하 및 좌우로 조절할 수 있는 낚싯대 받침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구성은 높이가 조절되고 일측 단부가 바닥에 고정되는 다수의 다리들과 다리들의 타측 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다리지지대로 이루어진 다리부재와, 다리지지대의 상측표면에 조립설치되는 수평부재와, 수평부재의 상부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된 다수의 받침부재와, 받침부재에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양 단부에는 낚싯대를 고정시키는 낚싯대 고정구가 각각 설치된 낚싯대 지지부재 및 받침부재에 대응되는 수평부재의 상부에는 낚싯대 지지부재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낚싯대의 종류에 관계없이 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낚싯대 받침구{Fishing Rod Support}
본 발명은 낚싯대를 한 대이상 거치 할 수 있는 낚싯대 받침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여러대의 낚싯대를 한꺼번에 거치하면서, 높이를 상하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거치되는 낚싯대의 방향을 상하 및 좌우로 조절할 수 있는 낚싯대 받침구에 관한 것이다.
낚시는 민물낚시와 바다낚시로 구분되어지고 이러한 낚시의 종류에 따라 낚싯대의 종류도 장대낚싯대와 릴낚싯대로 구분되어진다. 이러한 낚싯대는 원하는 낚시 포인트나 낚고자 하는 어종과 조사(釣士)의 취향에 따른 여러 조건에 따라 낚싯대의 길이를 달리하면서 여러대의 낚싯대를 동시에 걸어 사용하고 있음은 통상적이다.
그러나 종래에 사용되는 낚시용 받침대는 낚싯대의 숫자만큼 지면에 세워서 고정설치하고, 이에 낚싯대를 개별적으로 받쳐 주는 형태로 구성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낚싯대의 숫자만큼의 낚싯대 받침대가 필요하여 휴대가 복잡하였다,
이러한 애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174195호에서는 낚싯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구를 조립식으로 설치하여 여러대의 낚싯대를 장착할 수 있는 낚싯대 받침구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낚싯대 받침구는 한번에 여러대의 낚싯대를 고정할 수 있으나, 낚싯대 고정구의 구멍이 일정하여 장대낚싯대와 릴낚싯대와 같이 낚싯대의 크기가 다른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을 뿐만아니라 장착된 낚싯대의 높이를 상하방향으로만 조절하능하기 때문에 언제나 거치된 낚싯대는 동일한 방향으로만 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조립으로 다수의 낚싯대를 고정할 수 있는 낚싯대 받침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여러대의 낚싯대를 한꺼번에 거치하면서, 받침구의 높이를 상하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거치되는 낚싯대의 방향을 상하 및 좌우로 조절할 수 있는 낚싯대 받침구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낚싯대 받침구는 높이가 조절되고 일측 단부가 바닥에 고정되는 다수의 다리들과 다리들의 타측 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다리지지대로 이루어진 다리부재와, 다리지지대의 상측표면에 조립설치되는 수평부재와, 수평부재의 상부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된 다수의 받침부재와, 받침부재에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양 단부에는 낚싯대를 고정시키는 낚싯대 고정구가 각각 설치된 낚싯대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받침부재에 대응되는 수평부재의 상부에는 낚싯대 지지부재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재가 더 설치되며, 바람직하게, 높이조절부재는 수평부재를 관통하는 볼트와 수평부재의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볼트와 결합되는 나비너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낚싯대 지지부재의 일측 단부에 설치된 낚싯대 고정구는 중앙에 낚싯대를 감싸는 반원형 지지대로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 설치된 낚싯대 고정구는 낚싯대가 상부에 얹혀지는 직선형 걸이대로 형성되며, 반원형 지지대와 직선형 걸이대는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직선형 걸이대는 탄성수단에 의해 낚싯대 지지부재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 받침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낚싯대 받침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받침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부재에 설치되는 받침부재와 낚싯대 지지부재의 확대 분해사시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재의 작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낚싯대 지지부재가 회전되어 사용하는 것을 도시한 이동상태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낚싯대 지지부재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낚싯대가 장착된 사용상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낚싯대 받침구는 다리부재(10), 수평부재(20), 받침부재(30), 낚싯대 지지부재(40) 및 높이조절부재(60)로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리부재(10)는 높이가 조절되는 다수의 다리들과 다리들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다리지지대(13)로 이루어진다. 또한, 바닥에 고정되는 다리의 하단은 고정된 상태에서 쉽게 움직일 수 없도록 날카로운 첨단부(12)가 형성되며, 다리의 상단은 다리의 조작만으로도 기울어진 바닥에서도 수평을 잡을 수 있도록 다리지지대(13)에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다리부재(10)의 길이는 다리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2단 또는 3단으로 설치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부재(20)는 다리지지대(13)의 중앙에 결합나사(50)로서 조립설치된다. 이때, 많은 낚싯대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낚싯대의 개수와 동일하거나 또는 그 이상의 받침부재(30)가 설치된 수평부재(20)를 사용한다.
도 3 내지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부재(30)는 하부 중앙이 수평부재(20)의 상부 일측에서 수평부재(20)의 폭보다 적은 폭을 갖으며,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볼트(32)와 너트(33)를 이용하여 결합된다. 따라서 받침부재(30)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전방으로 늘어놓는 낚싯대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받침부재(30)의 측면에는 낚싯대를 고정시키는 낚싯대 지지부재(40)가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나사결합되고, 양 단부는 낚싯대가 놓여지도록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며, 각 단부에는 낚싯대를 고정하기 위하여 낚싯대 고정구가 설치된다. 이러한 낚싯대의 하부가 위치하는 낚싯대 고정구는 낚싯대를 감싸는 반원형 지지대(41)로 이루어지고, 낚싯대의 상부가 위치하는 낚싯대 고정구는 상부에 낚싯대가 얹혀지는 직선형 걸이대(42)로 이루어지며, 반원형 지지대(41)와 직선형 걸이대(42)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직선형 걸이대(42)에는 단부에 지지된 탄성부재(43)가 결합되어 반원형 지지대(41)와 직선형 걸이대(42)를 함께 회전시킨다. 이때, 탄성부재는 스프링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부재(30)의 전방에는 낚싯대 지지부재(4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높이조절부재(60)가 수평부재에 설치된다. 이러한 높이조절부재(60)는 수평부재(20)를 관통하는 볼트(61)와 수평부재(20)의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볼트(61)와 결합되는 나비너트(62,63)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수평부재(20)의 상부에 위치하는 나비너트(62)와 하부에 위치하는 나비너트(63)를 조절하면 볼트(6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는 낚싯대 지지부재(40)의 전방부가 볼트(61)에 지지되어 낚싯대 지지부재(40)의 높이가 자연스럽게 조절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낚싯대 받침구의 설치상태를 살펴보면,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되는 지형이나 지면을 따라 다수의 다리들을 위치를 조절하여 수평을 유지하고, 날카로운 첨단부(12)를 이용하여 단단하게 고정한다. 또한, 도 2와 같이, 다리가 2단 또는 3단 등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다리를 상하로 이동시켜 높이를 사용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조절한다.
그 후, 낚싯대의 개수에 적합한 받침부재(30)가 설치된 수평부재(20)를 선택하여 다리지지대(13)에 결합나사(50)를 이용하여 부착한다. 이와 같은 수평부재(20)에는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부재(30)의 전방에 하나의 볼트(61)와 두 개의 나비너트(62,63)를 이용하여 높이가 조절되는 높이조절부재(60)를 설치되며, 받침부재(30)에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는 낚싯대 지지부재(40)가 설치되어 있다.
도 6a 및 도 6b와 같이 낚싯대(70)가 낚싯대 지지부재(40)에 놓여지면 낚싯대 상부는 낚싯대 지지부재(4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직선형 걸이대(42) 위에 얹혀지고, 낚싯대 하부는 낚싯대 지지부재(40)의 타측 단부에 형성된 반원형 지지대(41) 하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낚싯대 지지부재(40)의 일측 단부에 놓여지는 낚싯대는 직선형 걸이대(42)에 놓여지면서 낚싯대의 무게 때문에 아래로 내려가고, 동시에 타측 단부에 놓여지는 낚싯대(70)는 윗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여 들려지지만 낚싯대를 감싸는 반원형 지지대(41)에 의해 더 이상 들려지지 않는 상태에서 고정된다. 또한, 낚싯대(70)를 낚싯대 지지부재(40)에서 제거하면 직선형 걸이대(42)와 반원형 지지대(41)는 원래의 상태로 이동한다.
또한, 낚싯대가 놓여지는 낚싯대 지지부재(40)의 경사는 도 4a 내지 도 4c와 같이, 받침부재(30)의 전방에서 수평부재(20)의 상부에 위치하는 나비너트(62)와 하부에 위치하는 나비너트(63)를 조절하여 볼트의 높이(61)를 조절하여 조절한다.
한편, 다리부재(10)가 바닥에 설치된 후에 낚싯대 각각이 놓여지는 방향을 바꾸기 위해서는 도 5a 내지 도 5b와 같이, 수평부재(20)에 결합된 해당 낚싯대 지지부재가 결합된 받침부재(30)의 볼트(32)와 너트(33)를 느슨하게 한 후에 원하는 방향으로 낚싯대 지지부재(40)를 회전시키고 다시 볼트(32)와 나비너트(33)를 단단하게 고정하여 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낚싯대 지지부재(40)에 놓여지는 낚싯대의 방향을 전부 바꾸기 위해서는 다리부재(10)의 다리지지대(13)에 설치된 수평부재(20)에 결합된 결합나사(50)를 느슨하게 한 후에 원하는 방향으로 수평부재(20)를 회전시킨 후에 고정하는 것으로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낚싯대 받침구는 간단한 조립으로 다수의 낚싯대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거치하고자 하는 낚싯대의 개수에 따라 낚싯대 지지부재가 장착된 수평받침부재를 선택함으로써 다양한 낚싯대를 한꺼번에 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지역 또는 위치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높이를 상하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거치되는 낚싯대의 방향을 상하 및 좌우로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낚싯대 받침구는 낚싯대의 크기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낚싯대 받침구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받침부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부재에 설치되는 받침부재와 낚싯대 지지부재의 확대 분해사시도.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재의 작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낚싯대 지지부재가 회전되어 사용하는 것을 도시한 이동상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낚싯대 지지부재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낚싯대가 장착된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다리부재 20 : 수평부재
30 : 받침부재 40 : 낚싯대 지지부재
50 : 결합나사 60 : 높이조절부재

Claims (5)

  1. 높이가 조절되고 일측 단부가 바닥에 고정되는 다수의 다리들과 상기 다리들의 타측 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다리지지대로 이루어진 다리부재;
    상기 다리지지대의 상측표면에 조립설치되는 수평부재;
    상기 수평부재의 상부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된 다수의 받침부재; 및
    상기 받침부재에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양 단부에는 낚싯대를 고정시키는 낚싯대 고정구가 각각 설치된 낚싯대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받침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에 대응되는 상기 수평부재의 상부에는 상기 낚싯대 지지부재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재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받침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상기 수평부재를 관통하는 볼트와 수평부재의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상기 볼트와 결합되는 나비너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받침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와 상기 수평부재는 볼트와 나비너트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받침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낚싯대 지지부재의 일측 단부에 설치된 낚싯대 고정구는 중앙에 낚싯대를 감싸는 반원형 지지대로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 설치된 낚싯대 고정구는 낚싯대가 상부에 얻혀지는 직선형 걸이대로 형성되며, 상기 반원형 지지대와 직선형 걸이대는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직선형 걸이대는 탄성수단에 의해 낚싯대 지지부재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받침구.
KR10-2003-0070956A 2003-10-13 2003-10-13 낚싯대 받침구 KR100511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0956A KR100511369B1 (ko) 2003-10-13 2003-10-13 낚싯대 받침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0956A KR100511369B1 (ko) 2003-10-13 2003-10-13 낚싯대 받침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9508U Division KR200300725Y1 (ko) 2002-10-02 2002-10-02 낚싯대 받침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0382A KR20040030382A (ko) 2004-04-09
KR100511369B1 true KR100511369B1 (ko) 2005-08-30

Family

ID=37331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0956A KR100511369B1 (ko) 2003-10-13 2003-10-13 낚싯대 받침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136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91861A1 (en) * 2006-02-09 2007-08-16 Young Il Kim A support for fishing rod
KR101051830B1 (ko) 2010-12-22 2011-07-25 이해도 낚시대 거치대
KR101480854B1 (ko) * 2013-07-30 2015-01-13 임종환 낚싯대 지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505Y1 (ko) * 2008-07-14 2009-08-06 유창복 선반 및 조명장치가 구비된 낚시대 받침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91861A1 (en) * 2006-02-09 2007-08-16 Young Il Kim A support for fishing rod
KR101051830B1 (ko) 2010-12-22 2011-07-25 이해도 낚시대 거치대
KR101480854B1 (ko) * 2013-07-30 2015-01-13 임종환 낚싯대 지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0382A (ko) 2004-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9411B1 (ko) 낚시대용 받침장치
KR200426550Y1 (ko) 낚시대 받침틀
KR100511369B1 (ko) 낚싯대 받침구
KR200300725Y1 (ko) 낚싯대 받침구
JP2005058020A (ja) 植木鉢転倒防止用スタンド
KR20090004006U (ko) 낚시 받침대 고정장치
US5970655A (en) Christmas tree support apparatus and method
GB2178931A (en) Supports
GB2177882A (en) Supports
KR920001658Y1 (ko) 분해, 조립식 낚싯대 받침
KR200442339Y1 (ko) 낚싯대 받침장치
KR100388092B1 (ko) 낚싯대 지지용 받침대
KR200260491Y1 (ko) 낚싯대 받침장치
KR200188470Y1 (ko) 낚시대 받침장치
KR200260389Y1 (ko) 낚시받침대
KR200310803Y1 (ko) 낚시 받침대 고정 장치
KR200361685Y1 (ko) 의자부착식 낚시받침대
KR200174195Y1 (ko) 낚시대 받침구
KR200321983Y1 (ko) 낚시받침틀
KR200361593Y1 (ko) 낚시 받침대
KR950005936Y1 (ko) 낚시용 바구니
KR200235432Y1 (ko) 낚시용 받침대
JP3059054U (ja) 花 器
KR920001659Y1 (ko) 낚시대용 뒷받침대
KR200366997Y1 (ko) 낚시대 지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