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5209A - 산양삼 응축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산양삼 응축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5209A
KR20220115209A KR1020210018905A KR20210018905A KR20220115209A KR 20220115209 A KR20220115209 A KR 20220115209A KR 1020210018905 A KR1020210018905 A KR 1020210018905A KR 20210018905 A KR20210018905 A KR 20210018905A KR 20220115209 A KR20220115209 A KR 202201152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ld ginseng
condensed water
cosmetic composition
skin
ginse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8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2122B1 (ko
Inventor
박준성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18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2122B1/ko
Publication of KR20220115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5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2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2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양삼 응축수의 피부개선 용도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산양삼 응축수는 유의적으로 미백, 주름개선, 보습 및 항염증 활성을 나타냄으로써, 피부개선을 위한 기능성 소재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산양삼 응축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OF SKIN COMPRISING WOOD-CULTIVATED GINSENG CONDENSED WATER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산양삼 응축수의 피부개선 용도에 관한 것이다.
삼(ginseng)은 재배환경에 따른 인위적인 성장과 자연적인 성장의 차이와 형태학적 차이에 의해 인삼, 산삼 또는 산양삼으로 구분한다. 특히, 산양삼은 「산지관리법」제2조제1호에서 정의하고 있는 산지에서 차광막 등 인공시설을 설치하지 않고 생산된 삼을 의미한다.
산양삼은 오가피과에 속하며 다년산 초목인 인삼(Panax ginseng)이 산간 삼림하의 야생상태에서 자연적으로 성장한 산삼의 씨앗이나 유삼을 인위적으로 산에서 재배한 것을 말한다. 한편, 예로부터 야생에서 자생한 산삼은 최고의 산삼으로 인정받았으며 장뇌삼이라고도 알려져 있다. 특히, 산양삼은 숲에서 자연상태 그대로 장기간에 걸쳐 청정(무농약, 무비료)하게 생산되는 임산물로서 임업 및 산촌진흥촉진에 관한 법률에서 자연성 및 청정성이 보장되도록 육성 관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인삼은 대부분 노두(머리부분)가 3 내지 7개이나 산양삼은 연령에 따라 그 이상인 것이 많고, 인삼의 뿌리는 굵고 짧은 반면 산양삼은 길고 가늘다. 또한, 산양삼은 효능 면에서 재배인삼보다 효과가 더욱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한의학에서는 산양삼을 자연삼 다음으로 우수한 효능을 가진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또한, 재배 인삼과 비교하였을 때, 인삼 사포닌 형태의 진세노사이드 함량도 높다고 보고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917128호는 산양삼 추출물이 알츠하이머병 동물모델에서 기억력 증가, 학습능력 증가, 해마의 콜린성 신경계 기능 향상 등을 나타냄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산양삼 추출물이 알츠하이머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
한편, 식품 속에 존재하는 수분은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는 수분과 식품 성분에 결합한 수분의 두가지 형태로 구분될 수 있다.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는 수분을 유리수(free water) 또는 자유수라고 하며 식품으르 건조시키는 과정에서 쉽게 제거되고, 0℃ 이하의 온도에서는 어는 보통 형태의 수분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유리수는 식품 중에서 염류, 당류, 수용성 단백질 등을 용해하는 용매로서 작용한다. 반면, 식품 성분에 결합한 수분은 결합수(bound water) 또는 수화수(water of hydration)라고 한다. 상기 결합수는 식품 중의 구성성분인 탄수화물이나 단백질 분자에 강하게 흡착되어 있거나, 이들과 수소결합으로 밀접하게 결합된 형태의 물로서 보통의 방법으로는 쉽게 분리할 수 없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91712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산양삼 응축수의 피부개선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산양삼 응축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산양삼 응축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양삼 응축수는 유의적으로 미백, 주름개선, 보습 및 항염증 활성을 나타냄으로써, 피부개선을 위한 기능성 소재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산양삼 응축수를 제조하는데 사용한 증기화 응축 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된 6년근(A) 또는 8년근(B) 산양삼을 촬영한 결과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6년근 산양삼 응축수의 ABTS 라디칼 소거능을 확인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6년근 산양삼 응축수의 NO 생성 억제 활성을 확인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6년근 산양삼 응축수의 세포독성을 확인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6년근 산양삼 응축수의 AQP3 유전자 발현 촉진 효과를 확인한 결과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산양삼 응축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산양삼 응축수(condesed water)"란 산양삼 내 존재하는 유리수를 특정 압력 및 온도 조건하에서 증발시킨 뒤, 이를 다시 응축하여 수득된 것을 의미한다. 상기 산양삼 응축수는 통상의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고, 이때 상기 방법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히 변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산양삼 응축수는 산양삼 내 유리수를 증발 및 응축시켜 수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증발은 산양삼 내 유리수를 증발시킬 수 있는 온도 및 압력 조건이라면 어떠한 조건으로도 수행될 수 있고, 이는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히 변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증발은 80 ㎪ 이상, 80 내지 300 ㎪, 80 내지 200 ㎪, 80 내지 150 ㎪, 90 내지 300 ㎪, 90 내지 200 ㎪ 또는 90 내지 150 ㎪의 진공 압력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증발은 30℃ 이상, 30 내지 200℃, 30 내지 150, 30 내지 100℃ 또는 30 내지 60℃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응축은 증발된 산양삼의 유리수를 응축시킬 수 있는 조건이라면 어떠한 조건으로도 수행될 수 있고, 이는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히 변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응축은 20℃ 이하, -20 내지 20℃, -20 내지 15℃, -20 내지 10℃, -20 내지 5℃, -15 내지 20℃, -15 내지 15℃, -15 내지 10℃ 또는 -15 내지 5℃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산양삼은 통상의 기술분야에 알려진 모든 종류의 산양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어, "산양삼"은 야생상태에서 산삼의 씨앗이나 유삼을 인위적으로 산에서 재배한 것을 의미한다. 상기 산양삼은 재배된 것 또는 시판된 것을 모두 포함할 수 있고, 수확된 것이나 수확 후 건조된 것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산양삼 응축수는 본 발명에 따른 증기화 응축 장치를 이용하여 수득될 수 있다.
상기 증기화 응축 장치는 도 1에 도시하였다. 일례로, 상기 증기화 응축장치는 산양삼을 담을 수 있는 증기 발생기(100), 상기 증기 발생기의 내부를 가열하는 히터(110), 상기 증기 발생기 내부와 연결되는 감압기(120), 증기화된 산양삼 유리수를 응축시키는 응축기(130) 및 수득된 산양삼 응축수를 회수하는 회수탱크(14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증기 발생기(100)는 내부에 산양삼을 적치시켜 특정 압력 및 온도에서 산양삼 내 유리수를 증발시킬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상기 증기 발생기(100)는 내부가 밀폐되어 진공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용기 형태이며, 상기 증기 발생기(100)를 가열할 수 있는 히터(110)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증기 발생기(100)는 산양삼을 적치할 수 있는 건조대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히터(110)는 증기 발생기(100)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가열하는 것으로, 상기 증기 발생기(100) 내부로 연결되는 공기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공기통로를 따라 가열된 공기가 통과하면서 증기 발생기(100) 내부로 열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전달되도록 연결된다.
상기 감압기(120)는 산양삼 응축수의 제조과정에서 가해진 압력을 낮추기 위한 장치를 의미한다. 증기 발생기(100)에서 생성된 산양삼 유리수의 증기는 상기 감압기(120)를 통해 응축기(13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감압기는 내부에서 가열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인 증기 배출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축기(130)는 감압기(120)를 통해 증기 발생기(100)로부터 공급된 증기를 응축시켜 산양삼 응축수를 포집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상기 응축기(130)는 산양삼 응축수를 수득하기 위해 적절한 온도로 조절될 수 있고, 이를 위해 온도조절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축기(130)에서 수득된 산양삼 응축수는 회수탱크(14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회수탱크(140)는 응축기(130)에 포집된 산양삼 응축수를 저장하는 장치로 응축기(130)의 하류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미백, 주름개선, 보습 또는 항염증 활성을 통해 피부를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산양삼 응축수를 0.1 내지 50 중량%, 구체적으로 1 내지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개선을 목적으로 피부에 직접 도포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화장료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크림,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가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하이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로 클로로플루오로하이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에테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로서 용매, 용매화제, 유탁화제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의 예로는,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카보네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벤질알코올, 벤질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트라가칸트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설페이트, 알칼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 유도체,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담체 성분 이외에도, 보조제로서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보습제, 안료, 향료, 자외선 차단제, 발색제, 계면활성제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이라면 모두 사용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산양삼 응축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외용제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산양삼 응축수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산양삼 응축수는 산양삼 내 유리수를 증발 및 응축시켜 수득될 수 있다.
상기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미백, 주름개선, 보습 또는 항염증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및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및 부형제는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유화 촉진제 및 완충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부형제는 유당, 덱스트린, 전분, 만니톨, 소르비톨, 글루코스, 사카로스, 미세결정 셀룰로스, 젤라틴, 폴리비닐피롤리돈 또는 이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피부외용제는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방법에 따라 적절히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피부외용제는 파우더, 젤, 연고, 크림, 액체 및 에어로졸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 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실시예 1. 6년근 산양삼 응축수 제조
증기화 응축 장치(도 1)를 사용하여 6년근 산양삼(도 2A)으로부터 응축수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200 g의 6년근 산양삼을 증기발생기에 넣고, 100 ㎪의 진공압력 및 40℃의 온도하에서 산양삼 내 포함된 유리수를 증기화하였다. 이후, 상기 증기화된 유리수를 응축기에서 -10℃에서 1 내지 5시간 동안 응축함으로써, 102.4 g의 6년근 산양삼 응축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8년근 산양삼 응축수 제조
6년근 산양삼 대신 8년근 산양삼(도 2B)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94.7 g의 8년근 산양삼 응축수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산양삼 응축수의 항산화 활성 확인
상기에서 제조된 산양삼 응축수의 항산화 활성을 ABTS(2,2-Azino-bis(3-ethylbensothiazoline-6-sulfonic acid)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먼저, 증류수를 용매로 사용하여 7.4 mM 농도의 ABTS 및 2.45 mM 농도의 과황산칼륨(potassium persulfate) 용액을 각각 제조하고, 이를 동일한 부피비로 혼합하여 혼합액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혼합액을 암실에서 24시간 동안 반응시켜 푸른색을 띄는 ABTS 라디칼 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ABTS 라디칼 용액을 증류수를 이용하여 20배 희석하고, 190 ㎕의 상기 희석액을 96웰 플레이트에 분주하였다. 여기에 10 ㎕의 6년근 산양삼 응축수를 첨가하고, 이를 암실에서 10분 동안 두었다. 반응이 끝난 후, 상기 반응액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를 이용하여 730 ㎚의 파장하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양성 대조군으로 L-아스코르브산(L-ascorbic acid, A.A)를 10 또는 25 ppm의 농도로 사용하였고, 음성 대조군으로 무처리군을 사용하였다. 측정된 흡광도 값을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하여 ABTS 라디칼 제거 활성을 백분율(%, inhibition)로서 도 3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A: 시료 첨가군의 흡광도 변화
B: 시료 무첨가군의 흡광도 변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6년근 산양삼 응축수는 양성 대조군인 10 ppm 농도의 아스코르브산과 유사한 정도의 ABTS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냄으로써, 추가 농축 없이도 유의적인 항산화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항염증 활성 확인
상기 제조된 산양삼 응축수의 항염증 활성을 NO 생성 억제 효과를 통해 확인하였다.
먼저, RAW 264.7 세포주를 10% FBS(fetal bovine serum)이 포함된 DMEM 배지를 이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배양하여 준비하였다. 상기 준비된 RAW 264.7 세포주를 96웰 플레이트에 웰당 4×104개가 되도록 분주하고 24시간 동안 37℃ 및 5% CO2 조건하에서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된 세포에 6년근 산양삼 응축수를 1, 5 또는 10 %(v/v)가 되도록 처리하고, 1시간 후에 1 ㎍/㎖의 LPS(lipopolysaccharide)를 처리하여 염증반응을 유도하였다. 24시간 후, 세포 배양액을 일부 취하여 이와 동량의 그리스(griess) 시약을 첨가하고 10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물을 540 ㎚의 파장하에서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NO 생성율(%)을 확인한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세포의 생존율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확인하여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이때, 양성 대조군으로서 5 μM의 퀘르세틴(quercetin)을 사용하였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6년근 산양삼 응축수는 농도 의존적으로 NO 생성을 억제하였다. 특히, 10%(v/v)의 농도로 처리한 경우에도 71.04%의 높은 NO 생성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6년근 산양삼 응축수는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산양삼 응축수는 세포독성이 없으면서도 우수한 항염증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미백 활성 확인
상기 제조된 산양삼 응축수의 미백 활성을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통해 확인하였다.
먼저, 인간 흑색종 세포주(human melanoma cell line)인 B16F1 세포주(한국세포주은행, 한국)를 10% FBS, 페니실린 및 스트렙토마이신이 첨가된 RPMI1640 배지를 이용하여 37℃ 및 5% CO2 조건하에서 배양하여 준비하였다. 준비된 B16F1 세포주를 T-75 플라스크에 플라스크당 2.0×104 cell/10 ㎖이 되도록 분주하여 하룻밤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배지를 제거하고 여기에 100 ppm 농도의 6년근 산양삼 응축수를 처리하고 상기와 동일한 조건을 배양하였다. 배양 6일 후, 배지를 제거하고 세포를 PBS로 세척한 후, 트립신을 처리하여 세포를 원심분리하여 회수하였다. 회수된 세포 펠렛(pellet)을 1 N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현탁하고 80℃ 항온조에서 30분 동안 용해시킨 다음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기를 이용하여 400 ㎚의 파장하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양성 대조군으로 50 ppm의 알부틴(arbutin)을 사용하였다. 측정된 흡광도 값을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계산하여 멜라닌 생성 억제율로서 표 1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2
샘플 멜라닌 생성 억제율(%)
6년근 산양삼 응축수 57.1
알부틴 58.7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6년근 산양삼 응축수는 알부틴과 동일한 수준으로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하였다.
따라서, 상기 결과로부터 산양삼 응축수가 우수한 미백 활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4. 주름개선 활성 확인
상기 제조된 산양삼 응축수의 주름개선 활성을 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를 통해 확인하였다.
먼저, 인간 섬유아세포(PromoCell, 독일)를 24웰 플레이트에 웰당 105개가 되도록 분주하고 통상적인 방법으로 배양하였다. 플레이트의 90% 정도까지 세포가 배양된 후, 혈청이 포함되지 않은 DMEM 배양배지로 배지를 교체하고, 50 ppm의 6년근 산양삼 응축수를 처리하였다. 24시간 후, 세포 배양액을 일부 취하여 프로콜라겐 I형 ELISA 키트(procollagen type I ELISA kit)를 이용하여 프로콜라겐의 함량을 제조사의 프로토콜에 따라 확인하였다. 이때, 양성 대조군은 동일한 농도의 토코페롤 및 EGCG(epigallocatechin gallate)를, 음성 대조군은 무처리군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측정된 프로콜라겐의 함량을 비처리군을 100으로 하여 계산하여 콜라겐 합성능(%)으로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샘플 콜라겐 합성능(%)
음성 대조군 100
토코페롤 118
EGCG 127
산양삼 응축수 125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6년근 산양삼 응축수는 양성 대조군인 토코페롤과 EGCG와 동일한 수준으로 콜라겐 생합성량을 증가시켰다.
따라서, 상기 결과로부터 6년근 산양삼 응축수가 유의적인 주름개선 활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5. 보습활성 확인
상기 제조된 산양삼 응축수의 보습활성을 아쿠아포린 3(aquaporins 3, AQP3) 단백질의 생성 증가 효과를 통해 확인하였다. AQP3 단백질은 세포와 세포 사이의 수분 및 글리세롤의 이동을 조절하는 단백질로서, AQP3 유전자의 발현이 억제된 동물모델에서 표피층의 수분 유지 과정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 보고된 바 있다.
구체적으로, 각질형성세포(human epidermal keratinocyte neonatal)인 HEKn 세포주(C-001-5C, invitrogen, 미국)를 10% FBS(fetal bovine serum, Lonza, 스위스), 페니실린 및 스트렙토마이신이 첨가된 DMEM 배양배지에서 배양하였다. 배양된 HEKn 세포주에 100 ppm의 6년근 산양삼 응축수를 처리하고, 12시간을 더 배양하였다. 배양 후, 트리졸(TRIzol™, invitrogen, 미국)을 이용하여 제조사의 프로토콜에 따라 전체 RNA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RNA의 농도는 분광광도법으로, 무결성(integrity)은 바이오아날라이저 2100(BioAnalyzer 2100, Agilent Technologies, 미국)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4 ㎍의 분리된 RNA를 주형으로 슈퍼스크립트® III(SuperScript® III, invitrogen, 미국) 역전사효소를 이용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cDNA를 주형으로 정량적 실시간 택맨 RT-PCR(TaqMan RT-PCR, 7500Fast, Applied Biosystems, 미국) 기기를 이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RT-PCR을 수행함으로써 AQP3 유전자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였다. 증폭은 95℃에서 10분, 95℃에서 15분(50회), 및 60℃에서 1분의 조건으로 수행되었다. 그 결과, AQP3 유전자의 발현량 대조군인 RPLPO 유전자의 발현량과 비교하여 상대적 값으로 계산하여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6년근 산양삼 응축수는 AQP3 유전자의 발현을 촉진시킴으로써, 피부보습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00: 증기발생기
110: 히터
120: 감압기
130: 응축기
140: 회수탱크

Claims (6)

  1. 산양삼 응축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양삼 응축수는 산양삼 내 유리수를 증발 및 응축시켜 수득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은 80 ㎪ 이상의 진공 압력 및 30℃ 이상의 온도 하에서 수행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은 20℃ 이하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미백, 주름개선, 보습 또는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산양삼 응축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20210018905A 2021-02-10 2021-02-10 산양삼 응축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32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905A KR102632122B1 (ko) 2021-02-10 2021-02-10 산양삼 응축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905A KR102632122B1 (ko) 2021-02-10 2021-02-10 산양삼 응축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5209A true KR20220115209A (ko) 2022-08-17
KR102632122B1 KR102632122B1 (ko) 2024-01-31

Family

ID=83111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8905A KR102632122B1 (ko) 2021-02-10 2021-02-10 산양삼 응축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212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21947A (ja) * 2001-07-04 2004-07-22 ハンコック コスメティッ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山蔘不定根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KR20150017198A (ko) * 2013-08-06 2015-02-16 조창수 약재의 진액추출물 및 그 추출방법
KR20150143940A (ko) * 2014-06-13 2015-12-24 (주)바이오벤 인삼 표면의 오염 감소방법
KR101917128B1 (ko) 2017-04-28 2018-11-09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산양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츠하이머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90024203A (ko) * 2017-08-31 2019-03-08 (주)아모레퍼시픽 상온 진공건조공법으로 얻은 인삼 응축수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21947A (ja) * 2001-07-04 2004-07-22 ハンコック コスメティッ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山蔘不定根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KR20150017198A (ko) * 2013-08-06 2015-02-16 조창수 약재의 진액추출물 및 그 추출방법
KR20150143940A (ko) * 2014-06-13 2015-12-24 (주)바이오벤 인삼 표면의 오염 감소방법
KR101917128B1 (ko) 2017-04-28 2018-11-09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산양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츠하이머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90024203A (ko) * 2017-08-31 2019-03-08 (주)아모레퍼시픽 상온 진공건조공법으로 얻은 인삼 응축수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명욱 외 4명. 산양삼(Panax ginseng C.A. Meyer) 지상부위의 미용식품 활성. J Appl Biol Chem (2018) 61(1), 33-38*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2122B1 (ko) 2024-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26646A (ko) 피부 생기 부여 및 활력 증대를 위한 식물세포 컴플렉스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US20110212041A1 (en) Skin-Whitening Agent, Anti-Aging Agent and Skin-Care Cosmetic Agent
KR20130010904A (ko) 아르가니아 나무의 탈분화, 미발현된 세포들의 시험관내 배양으로부터 제조되는 조제물, 피부 노화, 염증 및 흉터형성을 치료하는 그의 용도, 및 그의 생산 방법
EP0986370A1 (fr) Produit cosmetique comprenant des extraits de plantes
KR20200014570A (ko) 피부 생기 부여 및 활력 증대를 위한 윙스템패션플라워 캘러스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14788B1 (ko) 식물 부채파초의 추출물과 화장 보습제로서의 이들의 용도
JP2009040757A (ja) ラミニン5産生促進剤、皮膚基底膜正常化剤及び皮膚損傷回復促進剤
KR102440460B1 (ko) 상온 진공건조공법으로 얻은 인삼 응축수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2007509133A (ja) アカメガシワ抽出物を含有する皺改善用化粧料組成物{CosmeticCompositionsComprisingExtractfromMallotusjaponicusforImprovingSkinWrinkle}
KR102632122B1 (ko) 산양삼 응축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8135823A (zh) 包含肌肽、大豆肽及穿心莲提取物的抗老化用组合物
KR101949956B1 (ko) 벼메뚜기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94500B1 (ko) 벼뿌리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56710B1 (ko) 활성물질이 증진된 인삼 꽃 복합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256180B1 (ko) 수세미오이 종자의 박막 외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50173A (ko) 맹그로브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2017132694A (ja) 月下美人のカルス作出方法及び、その抽出物を有効成分とする皮膚外用剤や内用剤など
KR102002169B1 (ko) 장수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16400B1 (ko) 천화분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외용제 조성물
EP3381441B1 (en) External use skin composition for antiaging containing germinated glycine gracilis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JP2010065007A (ja) クローディン−1産生促進剤及び皮膚バリア機能改善剤
US11684564B2 (en)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containing taraxacum coreanum phytoplacenta culture extract that has moisturizing and soothing effects for extremely dry skin such as atopic dermatitis, and skin barrier strengthening effect
KR102481996B1 (ko) 로스팅 삼백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81285B1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53731B1 (ko) 스피룰리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온도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