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4822A - 재활용이 가능한 포장백 - Google Patents

재활용이 가능한 포장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4822A
KR20220114822A KR1020210018309A KR20210018309A KR20220114822A KR 20220114822 A KR20220114822 A KR 20220114822A KR 1020210018309 A KR1020210018309 A KR 1020210018309A KR 20210018309 A KR20210018309 A KR 20210018309A KR 20220114822 A KR20220114822 A KR 20220114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bag
sealing means
opening
bag body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8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현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성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성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성팩
Priority to KR1020210018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4822A/ko
Publication of KR20220114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48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75/32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 B65D75/321Both sheets being recessed
    • B65D75/323Both sheets being recessed and forming several compartments
    • B65D75/324Both sheets being recessed and forming several compartments the compartments being interconnected, e.g. by small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72Non-integral spouts
    • B65D75/5883Non-integral spouts connected to the package at the sealed junction of two packag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66Inserted or applied tearing-strings or like flexible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기 또는 분리수거 과정에서 재질을 서로 달리하는 부분을 쉽게 절단,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분리수거 후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한 포장백에 관한 것으로, 다층 구조의 합지시트를 접어서 좌,우 변에 열을 가하여 접착부 및 수납공간을 구성하도록 포장백 본체부가 형성되고, 수납공간의 상측 개구부에는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밀봉수단이 형성된 포장백에 있어서, 상기 합지시트는 완충 또는 단열을 위하여 두께를 갖는 PE폼으로 이루어지는 단열시트와, 합지시트에 표면강도 및 인장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단열시트의 양면에 합지되는 보호필름이 합지된 구조를 이루고, 상기 단열시트와 보호필름은 각각 PE소재의 폼과 PE소재의 필름으로 각각 구성되어 동일 재질로 이루어지되, 상기 포장백 본체부에서 밀봉수단이 형성된 경계부에는 밀봉수단만을 포장백 본체부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절취홈이 형성되어 재활용시 절취홈을 이용하여 찢어서 밀봉수단만을 분리하여 분리수거 및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재활용이 가능한 포장백{Recyclable packaging bag}
본 발명은 재활용이 가능한 포장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기 또는 분리수거 과정에서 재질을 서로 달리하는 부분을 쉽게 절단,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분리수거 후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한 포장백에 관한 것이다.
포장백은 물건이나 식료품 등을 보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가장 일반적인 구조는 발포필름과 같은 합성수지 시트를 권취롤을 사용하여 다층 구조로 자동 합지하고 백(bag)의 형태로 접착함으로써 포장백이 완충기능 또는 냉장, 냉동식품 등을 보관할 때 보온, 보냉기능을 갖도록 된다.
이와 같은 포장백은 전체적으로 밀폐된 형태로 이루어져 온기 또는 냉기가 유출되지 않게 함으로써 보온, 보냉기을을 갖도록 하는 것으로서, 밀폐를 위하여 개구된 상면에 접착면을 형성하여 접착하여 밀봉하거나, 또는 지퍼를 장착하여 밀봉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포장, 운반, 보관 하는 과정에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으면서도 냉기유출을 차단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포장백 중에서는 단열기능이나 인쇄효과를 부가하기 위하여 은박필름이나 PVC필름을 합지한 구조의 포장백도 많이 사용되지만, 이러한 합지 구조의 포장백은 재활용이 전혀 불가능하고 전량 소각하거나 매립하여야 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사용을 지양하는 추세이며, 가급적 동일한 물성을 갖는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포장백의 밀봉을 위한 구조, 즉 접착면이나 지퍼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포장백을 구성하는 합지시트와는 다른 재질로 구성됨으로 인하여 여전히 재활용이나 분리수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즉, 포장백은 다층 구조의 합지시트로 이루어지므로 비닐류로 분류되는데 반하여, 밀봉을 위한 접착면은 다른 조성물이 도포 구성되고, 지퍼의 경우에도 플라스틱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복합재질로 분류됨으로 인하여 포장백을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분리공정 등이 필요하기때문에 여전히 재활용이 불가능하거나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재활용을 위해서는 작업자들이 접착제 부분만을 제거하거나 지퍼를 잡고 뜯어서 분류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매우 떨어지고, 매우 경제적이지 못하여서 실효성이 매우 떨어지기 때문에 결국은 보온보냉팩을 분리수거하기 보다는 폐기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는 환경적으로나 경제적으로나 사회에 큰 손실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KR 10-1493299 B1 KR 10-1558170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단일 계열의 소재로 포장백을 제조하여 폐기물로 처리되던 포장백을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별도의 도구가 필요없이도 포장백의 밀봉을 위하여 형성되는 이형 재질을 쉽게 절단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분리수거가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다층 구조의 합지시트를 접어서 좌,우 변에 열을 가하여 접착부 및 수납공간을 구성하도록 포장백 본체부가 형성되고, 수납공간의 상측 개구부에는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밀봉수단이 형성된 포장백에 있어서, 상기 합지시트는 완충 또는 단열을 위하여 두께를 갖는 PE폼으로 이루어지는 단열시트와, 합지시트에 표면강도 및 인장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단열시트의 양면에 합지되는 보호필름이 합지된 구조를 이루고, 상기 단열시트와 보호필름은 각각 PE소재의 폼과 PE소재의 필름으로 각각 구성되어 동일 재질로 이루어지되, 상기 포장백 본체부에서 밀봉수단이 형성된 경계부에는 밀봉수단만을 포장백 본체부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절취홈이 형성되어 재활용시 절취홈을 이용하여 찢어서 밀봉수단만을 분리하여 분리수거 및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재활용이 가능한 포장백에 의하면, 포장백 본체가 동일한 물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재활용이 가능하고, 포장백이 보온 보냉 기능을 갖도록 하기 위한 접착면이나 지퍼와 같이 밀봉구조가 일부의 이형재질로 제작되더라도 이를 재활용하는 과정에서 이형재질을 쉽게 분리하여 재활용가능한 부분만을 분리수거할 수 있으므로 재활용에 따른 환경오염을 방지함은 물론, 원가절감으로 인한 경제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포장백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관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의 포장백의 분리구조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포장백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외관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합지시트의 융착구조를 나타낸 단면구조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합지시트의 코로나 방전에 의한 합지구조도
도 9는 본 발명의 포장백에 손잡이가 형성된 다른 실시 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지시트(100)를 접어서 접착부(122)와 수납공간(124)을 구성하는 포장백 본체부(120)를 구성하고, 수납공간의 개구부에는 밀봉수단(140)이 형성된 포장백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합지시트(100)는 동일 계열의 소재인 단열시트(100a)와 보호필름(100b)의 합지구조로 이루어지고, 밀봉수단(140)에 근접하게 절취홈(160)을 형성하여 포장백을 폐기할 때 포장백 본체부(120)로부터 밀봉수단(140)을 제거하여 분리 배출 및 분리수거를 통한 재활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합지시트(100)는 다층 구조로 적층 구성되는 것으로, 완충 또는 단열을 위하여 소정의 두께를 갖는 PE폼으로 구성되는 단열시트(100a)와, 그 단열시트에 합지되어 표면강도 및 인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호필름(10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합지시트(100)는 PE폼으로 구성되는 단열시트(100a)의 내,외측 양면에 보호필름(100b)이 합지되며, 다층 구조의 합지시트(100)를 접어서 포장백 본체부(120)를 제조하는 것으로, 접힌 상태의 합지시트(100)의 좌,우 변에 열을 가하여 접착부(122)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때 접착부(122)는 재단과 동시에 열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접착부(122)에 의하여 양측변이 막힌 상태로 수납공간(124)이 형성되고, 수납공간(124) 상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밀봉수단(140)이 형성되는 것으로, 이 밀봉수단(140)은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면이나 지퍼가 융착되어 개폐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밀봉수단(140)의 하단에는 밀봉수단(140)만을 포장백 본체부(120)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절취홈(160)이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절취홈(160)은 V자 형으로 홈이 형성되어 수평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절단하도록 구성된다.
절취홈(160)은 상기 합지시트(100)를 이용하여 포장백 본체부(120)를 제조하는 재단 공정에서 해당부위에 재단칼을 부가하여 한 번의 공정으로 포장백 본체부(120)의 접착과 절취홈(160)의 재단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취홈(160)은 포장백 본체부(120)의 일측변 또는 양측변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포장, 보관, 운반할 때에는 포장백에 식료품과 같은 내용물을 담아서 밀봉하여 보관하다가 포장백을 버리고자 하는 경우 또는 폐기된 포장백의 분리수거가 필요한 경우에는 가위나 칼과 같은 도구가 필요없이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백 본체부(120)에서 밀봉수단(140)이 형성된 경계부, 즉 상기 절취홈(160)을 기점으로 하여 횡방향을 찢어서 밀봉수단(140)을 포장백 본체부(120)로부터 간단하게 분리한 후 밀봉수단(140)이 형성된 부분만을 제거함으로써 매우 편하게 분리수거가 이루어지며 밀봉수단이 제거된 포장백 본체부(120) 만을 재활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합지시트(100)는 절취홈(160)을 통한 절개시 부드럽게 절단되고 분리수거 및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구조로서, 단열시트(100a)와 보호필름(100b)이 각각 PE소재의 폼과 PE소재의 필름으로 구성되어 동일류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단열시트(100a)는 가격이 저렴하고 절단이 용이하며 열전도율이 낮아 보온 및 보냉의 효과가 뛰어난 PE폼이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고분자수지를 압출기에 가열, 용융시켜 발포성 가스와 혼합하여 압출 및 압력에 의해 가교되지 않은 상태로 연속 발포시켜 제작될 수 있고, 상기 보호필름(100b)은 고밀도폴리에틸렌(HDPE,High Density Polyethylene)으로 동일 계열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단열시트(100a)가 보호필름(100b)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용융점으로 이루어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면에서 열을 가하여 합지할 때 단열시트의 표면이 용융되면서 보호필름과 열 합지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PE폼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Low Density Polyethylene)수지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는 인열 충격에 약한 단점이 있으나, HDPE 필름을 합지하여 인장 인열 충격에 대한 성능을 크게 향상시켜 포장백이 찢어지거나 터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절취홈(160)을 이용하여 질긴 보호필름을 보다 쉽게 찢어서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포장백 본체부(120)와 밀봉수단(140)을 쉽게 분리하여 포장백이 이형 재질, 또는 복합 재질로 이루어짐에도 불구하고 분리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합지시트(100)를 접어 양변만을 열접착으로 테두리 접착부(122)를 형성하여 포장용 백(bag)의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밀봉수단(1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의 상단 또는 개구부를 덮개로 감싸는 덮개의 내면에 접착면(142)을 형성하거나,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공간(124)의 개구부의 상부의 내면으로는 보호필름의 내면에 암, 수 결합되는 지퍼(144)를 서로 마주보게 위치시켜 일정한 온도와 압력으로 가열가압하여 용융되면서 열접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그 접착면(142) 또는 지퍼(144)의 직하방에 절취홈(160)을 형성하여 포장백 본체부(120)로부터 밀봉수단(140)을 분리,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밀봉수단(140)을 접착제를 도포한 접착면으로 구성하는 경우 비닐류로부터 접착제성분을 제거하여 포장백의 재활용이 가능하고, 밀봉수단(140)을 지퍼로 구성하는 경우에도 비닐류에서 플라스틱류를 제거하여 포장백을 비닐류로 재활용이 가능하게 되므로 분리 배출이 가능하며, 이때 상기 절취홈(160)은 밀봉수단(140)의 직하방에 최대한 근접하게 위치시킴으로써 포장백에서 밀봉수단(140)을 분리, 제거할 때 스크랩의 크기를 최소로 하고 재활용 비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포장백 본체부(120)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에 횡방향으로 가로질러서 걸이손잡이(180)가 더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 걸이손잡이(180)는 포장백 본체부(120)의 양측변을 접착할 때 동시에 접착하여 일체로 구성되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이손잡이(180)는 내인장력을 갖도록 HDPE로 이루어지는 표면필름(182)과, 그 표면필름보다 융점이 낮는 LDPE를 코팅한 코팅층(184)을 구비한 상태에서 표면필름(182)의 상면에 열을 가해 코팅층이 용융되면서 포장백 본체부(120)의 양변에 열접착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동일한 재질의 걸이손잡이(180)를 구현하여 사용후 재활용이 가능하고 일시에 열접착에 의하여 제조가 가능하기 때문에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가 가능하다.
이때, 상기 보호필름(100b)으로 사용되는 고밀도폴리에틸렌은 0.940~0.965 g/cc의 밀도를 가지고 130~134℃의 용융점을 가지며, 저밀도콜리에틸렌 수지는 0.910~0.925 g/cc의 밀도를 가지고 108~112℃의 용융점을 가지므로 합지필름의 변형이나 손상을 방지하고 낮은 온도로 열접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보호필름의 이면에는 코로나 방전에 의하여 인쇄층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인쇄층의 이면에 PE코팅층을 도포한 상태에서 열에 의하여 단열시트와 함지함으로써 인쇄층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때 PE코팅층을 저밀도폴리에틸렌을 사용함으로써 단열시트와 열접착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100: 합지시트 100a: 단열시트 100b: 보호필름
120: 포장백 본체부 122: 접착부 124: 수납공간
140: 밀봉수단 142: 접착면 144: 지퍼
160: 절취홈
180: 걸이손잡이 182: 표면필름 184: 코팅층

Claims (3)

  1. 다층 구조의 합지시트(100)를 접어서 좌,우 변에 열을 가하여 접착부(122) 및 수납공간(124)을 구성하도록 포장백 본체부(120)가 형성되고, 수납공간의 상측 개구부에는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밀봉수단(140)이 형성된 포장백에 있어서,
    상기 합지시트(100)는 완충 또는 단열을 위하여 두께를 갖는 PE폼으로 이루어지는 단열시트(100a)와, 합지시트에 표면강도 및 인장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단열시트의 양면에 합지되는 보호필름(100b)이 합지된 구조를 이루고,
    상기 단열시트(100a)와 보호필름(100b)은 각각 PE소재의 폼과 PE소재의 필름으로 각각 구성되어 동일 재질로 이루어지되,
    상기 포장백 본체부(120)에서 밀봉수단(140)이 형성된 경계부에는 밀봉수단(140)만을 포장백 본체부(120)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절취홈(160)이 형성되어 재활용시 절취홈(160)을 이용하여 밀봉수단(140) 만을 분리하여 분리수거 및 재활용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이 가능한 포장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합지시트(100)는 보호필름(100b)은 고밀도폴리에틸렌(HDPE,High Density Polyethylene)으로 동일 계열의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열시트(100a)는 보호필름(100b)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용융점으로 이루어져 외면에서 열을 가하여 합지할 때 단열시트의 표면이 용융되면서 보호필름과 열 합지가 이루어지며,
    상기 밀봉수단(140)은 포장백 본체부(120)의 개구부에 근접하게 접착면이 형성되어 개구부를 덮개로 감싸 밀봉이 이루어지거나, 개구부 내면에 암수구조로 조립되는 지퍼로 밀봉이 이루어지도록 되되, 상기 절취홈(160)은 접착면 또는 지퍼를 포장백 본체부(120)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접착면 또는 지퍼에 근접한 하단에 절취홈(16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이 가능한 포장백.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백 본체부(120)에는 일측면에 횡방향으로 가로질러서 걸이손잡이(180)가 더 구성되고,
    걸이손잡이(180)는 포장백 본체부(120)의 양측변을 접착할 때 동시에 접착하여 일체로 구성될 수 있도록 HDPE로 이루어지는 표면필름(182)과, 그 표면필름보다 융점이 낮는 LDPE를 코팅한 코팅층(184)으로 이루어져 가해지는 열에 의하여 코팅층이 용융되면서 포장백 본체부(120)의 양변에 걸이손잡이(180)가 열접착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이 가능한 포장백.

KR1020210018309A 2021-02-09 2021-02-09 재활용이 가능한 포장백 KR202201148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309A KR20220114822A (ko) 2021-02-09 2021-02-09 재활용이 가능한 포장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309A KR20220114822A (ko) 2021-02-09 2021-02-09 재활용이 가능한 포장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822A true KR20220114822A (ko) 2022-08-17

Family

ID=83110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8309A KR20220114822A (ko) 2021-02-09 2021-02-09 재활용이 가능한 포장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1482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4079A (ko) 2022-09-06 2024-03-13 이승현 점착 강도의 선택적 조절을 통하여 팩 용기의 실링 조절이 가능한 패키지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3299B1 (ko) 2013-05-07 2015-02-23 주식회사 우성팩 냉장,냉동 식품 포장용 백 및 그 제조방법
KR101558170B1 (ko) 2014-05-28 2015-10-08 주식회사 우성팩 손잡이 벌어짐 방지수단이 구비된 냉장,냉동 식품 포장용 백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3299B1 (ko) 2013-05-07 2015-02-23 주식회사 우성팩 냉장,냉동 식품 포장용 백 및 그 제조방법
KR101558170B1 (ko) 2014-05-28 2015-10-08 주식회사 우성팩 손잡이 벌어짐 방지수단이 구비된 냉장,냉동 식품 포장용 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4079A (ko) 2022-09-06 2024-03-13 이승현 점착 강도의 선택적 조절을 통하여 팩 용기의 실링 조절이 가능한 패키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89123B1 (en) A method for producing a detachably connected container having barrier properties
EP0760340B1 (en) A snap fastener and a bag for packaging with a snap fastener
KR20090042933A (ko) 컷 테이프가 부착된 척 테이프, 그 제조 방법, 및 척 테이프가 부착된 포장 주머니
JP6537979B2 (ja) ガゼット袋、ガゼット袋の製造方法、及び積層体の接合方法
WO1997010159A1 (en) Packag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combination of packaging device and storage box
DK158504B (da) Forsendelsespose, isaer til anvendelser med haardt slid
JP2006199337A (ja) ガセット包装袋
JP2006264746A (ja) ジッパー付包装袋
JP6259351B2 (ja) 包装袋及びその製造方法
CA2450519A1 (en) Packaging apparatus and method
KR20220114822A (ko) 재활용이 가능한 포장백
CN114423610A (zh) 包装体
US20090184017A1 (en) Packaging unit for articles with opening feature
JP5450956B2 (ja) 包装袋、その製造装置、および包装袋の製造方法
JP2021155050A (ja) 紙製チューブ容器
JP2007091265A (ja) 易開封性包装袋
KR20230004555A (ko) 용기 형성 방법
KR200489112Y1 (ko) 진공 포장용 필름, 상기 필름으로 된 식품포장용기 및 상기 용기 내에 포장된 식품
KR102504232B1 (ko) 재활용 보냉포장팩
JP4530404B2 (ja) ファスナー付き包装材料および包装体
KR102364875B1 (ko) 재활용성이 향상된 손잡이가 구비된 포장백 및 그 제조방법
JP2001310433A (ja) 易開封性複合フィルム及び包装容器
JP2019156462A (ja) 包装袋
JP7436167B2 (ja) 樹脂組成物、シーラントフィルム、包装用積層体及び包装袋
JP2004359293A (ja) 易開封性包装袋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