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4713A - 난폭운전 방지용 감지시스템 - Google Patents

난폭운전 방지용 감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4713A
KR20220114713A KR1020210018045A KR20210018045A KR20220114713A KR 20220114713 A KR20220114713 A KR 20220114713A KR 1020210018045 A KR1020210018045 A KR 1020210018045A KR 20210018045 A KR20210018045 A KR 20210018045A KR 20220114713 A KR20220114713 A KR 20220114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housing
detection system
driving
reckless driving
measurement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8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2946B1 (ko
Inventor
김기영
Original Assignee
김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영 filed Critical 김기영
Priority to KR1020210018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2946B1/ko
Publication of KR20220114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4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2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2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00Details of instruments
    • G01P1/06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e.g. for remote ind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7/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7/1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00Details of instruments
    • G01P1/02Hous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00Details of instruments
    • G01P1/12Record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02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 G01P3/42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P3/44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폭운전 방지용 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코너링 또는 방지턱 등과 같은 돌발 상황이 연출되는 구간에서의 안전운전 및 급가속, 급제동 등과 같은 난폭운전 여부를 차량 운전자 본인이 스스로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되어 안전운전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정 크기의 평면 형상을 이루는 하부 받침대(10)와; 상기 하부 받침대(10)의 상부에 일체로 구성되는 본체 하우징(20)과; 상기 본체 하우징(2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뚜껑체(30)와; 상기 본체 하우징(20) 내부에 구성되어 뚜껑체(30)의 이탈을 일정 탄성력으로 제한하기 위해 연결된 탄성부재(50)와; 상기 본체 하우징(20)에 구비되어 유동량을 측정하는 측정센서부(40)와; 상기 측정센서부(40)의 측정된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부(60);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난폭운전 방지용 감지시스템{DETECTION SYSTEM FOR PREVENTING VIOLENT DRIVING}
본 발명은 난폭운전 방지용 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운행 과정에서 코너링 또는 방지턱 등과 같은 돌발 상황이 나타나는 구간에서 난폭 운전을 예방하고 보다 안정적인 운행을 도와줄 수 있도록 하는 차량 난폭운전 방지용 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운전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사고 및 환경(기후, 재난 등) 변화를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통지하고 운전자 주행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운전 중 차선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차선을 유지하는 기술을 비롯하여, 전방의 교통 신호를 감지하거나 신호등과의 통신을 통하여 신호 위반을 예방하고 보행자의 안전 등을 보장하는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기술을 활용하여 특정 상황에서 운전자에게 통지 및 경고하는 기술은 이미 상당히 연구가 진행된 상황이다.
하지만, 난폭 운전에 관해서는 그 심각성과 위험성에 비해 연구가 더딘 실정이다. 난폭 운전을 탐지하고 예방하는 기술은 운전자 및 보행자의 안전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대형 참사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보복 운전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특히, 코너링 또는 과속방지턱 등과 같은 예측하지 못한 돌발 상황 구간을 지나는 과정에서 운전자 본인으로 하여금 난폭운전 여부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917827호(2018.11.06.등록)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276886호(2000.10.05.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난폭운전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차량의 실내에 구비함과 함께 데이터 저장이 이루어질 수 있는 시스템을 구촉하여 보다 효과적인 난폭운전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난폭운전 방지용 감지시스템은, 일정 크기의 평면 형상을 이루는 하부 받침대와; 상기 하부 받침대의 상부에 일체로 구성되는 본체 하우징과;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뚜껑체와; 상기 본체 하우징 내부에 구성되어 뚜껑체의 이탈을 일정 탄성력으로 제한하기 위해 연결된 탄성부재와; 상기 본체 하우징에 구비되어 유동량을 측정하는 측정센서부와; 상기 측정센서부의 측정된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정센서부는 가속도 센서와 각속도 센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센서에서 측정된 데이터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이 이루어지게 되며, 설정된 수치를 초과하였을 때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스피커부를 통해 음성안내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난폭운전 방지용 감지시스템은, 코너링 또는 방지턱 구간 등과 같은 주행 중 돌발상황이 발생되는 구간에서의 안전운전 및 급가속, 급제동 등과 같은 난폭운전 여부를 차량 운전자 본인이 스스로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되어 안전운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난폭운전 감지장치 외관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 난폭운전 감지장치 내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난폭운전 감지장치 블럭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감지장치의 동작 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감지장치의 동작 상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뚜껑체 단면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감지장치 단면 구조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술의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난폭운전 방지용 감지시스템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서의 낙폭운전 방지용 감지시스템은, 일정 크기의 평면 형상을 이루는 하부 받침대(10)와, 상기 하부 받침대(10)의 상부에 일체로 구성되는 본체 하우징(20)과, 상기 본체 하우징(2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뚜껑체(30)와, 상기 본체 하우징(20) 내부에 구성되어 뚜껑체(30)의 이탈을 일정 탄성력으로 제한하기 위해 연결된 탄성부재(50)와, 상기 본체 하우징(20)에 구비되어 유동량을 측정하는 측정센서부(40)와, 상기 측정센서부(40)의 측정된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부(60)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부재(50)는 지지와이어(51,52) 및 탄성스프링(53)의 연결 구조를 이루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측정센서부(40)는 가속도 센서(41)와 각속도 센서(42)로 이루어지며, 상기 센서에서 측정된 데이터는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데이터 저장부(60)에 저장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추가적으로 스피커부(80)를 구성하여 상기 측정된 수치에 따라 음성안내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 차량 운전 감지시스템의 동작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감지시스템은 차량의 운전석 데쉬보드 등과 같은 실내에 설치한 상태에서 차량 운행이 이루어지게 되며, 차량의 진동 또는 관성력 등의 작용에 의해 뚜껑체(30)의 이탈을 통해 난폭운전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즉, 차량이 운행하는 동안 가속도 센서(41) 및 각속도 센서(42)에서는 가속도와 각속도 변화량을 측정하여 데이터 저장부(60)에 저장이 이루어지게 되며, 특히 차량의 코너링 또는 과속방지턱을 지나가는 과정에서 급격한 유동력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뚜껑체(30)가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본체 하우징(20)으로 부터 이탈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뚜껑체(30)가 이탈된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난폭운전을 인지할 수 있게 되며, 이는 데이터 저장부(60)에 저장된 측정 수치를 통해서도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가속도 변화량 수치 또는 각속도 변화량 수치가 설정된 값을 초과하였을 때는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스피커부(80)를 통해 경고음성이 안내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탈된 뚜껑체(30)는 지지와이어(51,52) 및 탄성스프링(53)의 탄성 작용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난폭운전 방지용 감지시스템은, 코너링 또는 방지턱 구간에서의 안전운전 및 급가속, 급제동 등과 같은 난폭운전 여부를 차량 운전자 본인이 스스로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되어 안전운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뚜껑체(30)는 충격력 전달에 따른 파손 방지를 위한 완충기능 및 소음 발생 방지를 위한 경량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지고, 내부에는 관성력 유지를 위한 중량 철판(31)이 매입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완충재질로 이루어진 뚜껑체(30)가 이탈되었을 때 주변 구조물과의 충격에 따른 파손 발생이 방지되어질 수 있게 되며, 내부에는 일정 중량의 중량 철판(31)이 매입되어 있기 때문에 관성 작용에 의한 이탈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이점을 나타낸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체 하우징(20)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구경(L)이 점차 증가하도록 내벽면이 일정 경사면을 이루어 구비되며, 상기 내벽면에는 뚜껑체(30)의 이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윤활층(21)이 코팅 형성된다.
이때 윤활층(21)은 폴리올레핀 10~20중량%, 알긴산 칼슘 10~20중량%, 플루오로수지 10~30중량%, 카보나이드 10~20중량%, 폴리올레핀 1~10중량%, 다이메톡시다이메틸실레인 1~10중량%, 소듐벤조에이트 1~10중량%, 질화갈륨 1~5중량%, 페녹시에탄올 1~3중량%, 알콕시실란1~2중량%의 비율로 혼합 조성을 이룸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윤활층(21) 작용으로 인해 뚜껑체(30)가 본체 하우징(20)에 억지끼움 형태로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이탈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특히, 윤활층(21)에는 윤활성 향상을 위한 플루오르수지 외에도 폴리올레핀 및 알긴산 칼슘이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발수성 및 플루오르수지 활성화에 따른 코팅층의 표면 광택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카보나이드는 윤활층(21)의 내구성 강화에 따른 크랙 발생을 방지하며, 폴리올레핀은 폴리올레핀의 경화 현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다이메톡시다이메틸실레인은 윤활층(21)의 부착성을 강화시키고, 소듐벤조에이트 및 질화갈륨은 성분들 상호간의 결합력을 강화하여 윤활층(21)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페녹시에탄올은 표면 살균기능을 나타내고, 알콕시실란은 전체적인 코팅층이 균일한 두께를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장치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예에서는 코너링 및 방지턱 구간에서 동작에 따른 작용효과 중심으로 설명이 이루어졌으나, 이 외에도 일반도로에서 발생하는 모든 종류의 난폭운전에 대한 측정 및 경고 기능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하부 받침대 20 : 본체 하우징
30 : 뚜껑체 40 : 측정 센서부
41 : 가속도 센서 42 : 각속도 센서
50 : 탄성부재 51, 52 : 지지와이어
53 : 탄성스프링 60 : 데이터 저장부
70 : 제어부 80 : 스피커부

Claims (5)

  1. 일정 크기의 평면 형상을 이루는 하부 받침대(10)와;
    상기 하부 받침대(10)의 상부에 일체로 구성되는 본체 하우징(20)과;
    상기 본체 하우징(2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뚜껑체(30)와;
    상기 본체 하우징(20) 내부에 구성되어 뚜껑체(30)의 이탈을 일정 탄성력으로 제한하기 위해 연결된 탄성부재(50)와;
    상기 본체 하우징(20)에 구비되어 유동량을 측정하는 측정센서부(40)와;
    상기 측정센서부(40)의 측정된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부(60);
    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폭운전 방지용 감지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50)는 지지와이어(51,52) 및 탄성스프링(53)의 연결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폭운전 방지용 감지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정센서부(40)는 가속도 센서(41)와 각속도 센서(42)로 이루어지며, 상기 센서에서 측정된 데이터는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데이터 저장부(60)에 저장이 이루어지게 되며, 설정된 수치를 초과하였을 때는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스피커부(80)를 통해 음성안내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폭운전 방지용 감지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뚜껑체(30)는 완충 기능을 위한 경량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지고, 내부에는 관성력 유지를 위한 중량 철판(31)이 매입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폭운전 방지용 감지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20)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구경(L)이 점차 증가하도록 내벽면이 일정 경사면을 이루어 구비되며, 상기 내벽면에는 뚜껑체(30)의 이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윤활층(21)이 코팅 형성되되, 상기 윤활층(21)은 폴리올레핀, 알긴산 칼슘, 플루오로수지, 카보나이드, 폴리올레핀, 다이메톡시다이메틸실레인, 소듐벤조에이트, 질화갈륨, 페녹시에탄올, 알콕시실란의 혼합 조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폭운전 방지용 감지시스템.
KR1020210018045A 2021-02-09 2021-02-09 난폭운전 방지용 감지시스템 KR102552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045A KR102552946B1 (ko) 2021-02-09 2021-02-09 난폭운전 방지용 감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045A KR102552946B1 (ko) 2021-02-09 2021-02-09 난폭운전 방지용 감지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713A true KR20220114713A (ko) 2022-08-17
KR102552946B1 KR102552946B1 (ko) 2023-07-06

Family

ID=83110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8045A KR102552946B1 (ko) 2021-02-09 2021-02-09 난폭운전 방지용 감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294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2733A (ja) * 1997-05-27 1998-12-18 Yaskawa Electric Corp 加速度センサ
KR100276886B1 (ko) 1996-12-31 2001-02-01 정몽규 난폭운전 경고장치 및 그 방법
JP2002251699A (ja) * 2001-02-23 2002-09-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走行警告案内装置
KR101917827B1 (ko) 2017-03-27 2019-01-3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난폭 운전 탐지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6886B1 (ko) 1996-12-31 2001-02-01 정몽규 난폭운전 경고장치 및 그 방법
JPH10332733A (ja) * 1997-05-27 1998-12-18 Yaskawa Electric Corp 加速度センサ
JP2002251699A (ja) * 2001-02-23 2002-09-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走行警告案内装置
KR101917827B1 (ko) 2017-03-27 2019-01-3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난폭 운전 탐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2946B1 (ko) 2023-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2539B2 (en) Rumble strip responsive systems
KR101782368B1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7109850B2 (en) Rumble strip responsive systems
EP3342665B1 (en) Pedestrian collision prevention apparatus and method considering pedestrian gaze
US20150191176A1 (en) Drive assist device
US10919536B2 (en) Emergency control device for vehicle
JP5813689B2 (ja) 車両制御システム
CN113734161B (zh) 车辆制动控制方法、装置、设备、介质及程序产品
WO2021005645A1 (ja) 車両の制御システム、車両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996420B1 (ko) 보행자 충돌 시 충격 완화 장치 및 방법
KR101478068B1 (ko) 차량 충돌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WO2017017764A1 (ja) 制動制御装置及び制動制御方法
JP2005173909A (ja) 車両用速度制御装置
JP2014201120A (ja) 車両制御システム
KR101996416B1 (ko) 보행자 충돌 시 충격 완화 장치 및 방법
US7468681B2 (en) Deceleration warning light assembly
KR20220114713A (ko) 난폭운전 방지용 감지시스템
JP4301084B2 (ja) 運転支援方策決定方法および運転支援装置
JP2006298310A (ja) 車両用走行制御装置
KR101469132B1 (ko) 충돌 예방 시스템 시험 평가 시스템
CA2701440A1 (en) Pedestrian warning system
WO2021010213A1 (ja) 車両用通知制御装置及び車両用通知制御方法
JP5985295B2 (ja) 車室内状況観察装置及び車室内事故予防装置
US20230271606A1 (en) Method and System for Handling a Situation Relating to a Vehicle and/or a Third Party
JP2019189177A (ja) 自動運転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