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3618A - 방화단열댐퍼를 구비한 화재확산 방지용 덕트관연결구 - Google Patents

방화단열댐퍼를 구비한 화재확산 방지용 덕트관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3618A
KR20220113618A KR1020210017142A KR20210017142A KR20220113618A KR 20220113618 A KR20220113618 A KR 20220113618A KR 1020210017142 A KR1020210017142 A KR 1020210017142A KR 20210017142 A KR20210017142 A KR 20210017142A KR 20220113618 A KR20220113618 A KR 20220113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damper
flame
fire insulation
sp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7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1777B1 (ko
Inventor
신승용
Original Assignee
신승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승용 filed Critical 신승용
Priority to KR1020210017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1777B1/ko
Publication of KR20220113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3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1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1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63Insulation for air duc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2Hinged damp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8Fireproof paints including high temperature resistant paints
    • C09D5/185Intumescent pa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16L55/1026Fire protecti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81Multilayer du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Abstract

본 발명은 방화단열댐퍼를 구비한 화재확산방지용 덕트관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건물의 배기덕트를 통해 침투되는 화염에 의해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방화격벽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방화단열댐퍼를 구비한 화재확산 방지용 덕트관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방화단열댐퍼를 구비한 화재확산방지용 덕트관연결구(1)는, 중심부(102)에 방화단열댐퍼(110)를 구비하고 중앙부에 위치되는 댐퍼실(100)과; 침투된 화염이 상기 댐퍼실(100) 방화단열댐퍼(110)의 차단판(112)에 부딪쳐 역진되도록 상기 댐퍼실(100)의 좌우측에 각 일단이 체결되어 구비되는 좌,우 복수개의 화염역진실(200)(200')과; 상기 좌,우 화염역진실(200)(200')과 배기덕트(a)와의 용이한 결합과 분리를 위해 상기 좌,우 화염역진실(200)(200')의 각 타단에 각 일단이 체결되어 구비되는 좌,우 복수개의 배기덕트연결실(300)(300')을 포함하고, 상기 댐퍼실(100) 외주면과 좌,우 화염역진실(200)(200')의 외주면은 소정 두깨의 세라믹울시트(sw)가 피복되고, 상기 좌,우 배기덕트연결실(300)(300') 외주면은 소정 두깨의 난연PE폼시트(p)로 피복되며, 상기와 같이 피복된 피복체 전체의 외부에는 소정 두께의 알루미늄필름(af)이 소정 두께로 밴딩되어 일체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배기덕트를 통해 침투된 화염의 고열로 인해 방화격벽 너머에 결합된 배기덕트의 외부에 접한 인화물질에 불이 옮겨붙으면서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방화단열댐퍼의 내면과 방화단열댐퍼의 열차단판 접변과의 틈새를 통해 고온의 화염이 침투되면서 화재가 방화격벽 너머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철재로 된 덕트관연결구의 전도열에 의해 화재가 방화격벽 너머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설치 및 보수의 편의성을 제고시킨 방화단열댐퍼를 구비한 화재확산방지용 덕트관연결구가 제공되게 된다.

Description

방화단열댐퍼를 구비한 화재확산 방지용 덕트관연결구{The duct pipe connector for the fire diffusion prevention equipped with the fireproof insulation damper}
본 발명은 방화단열댐퍼를 구비한 화재확산방지용 덕트관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건물의 배기덕트를 통해 침투되는 화염에 의해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방화격벽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방화단열댐퍼를 구비한 화재확산방지용 덕트관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건물 건축시에는 건물의 실내에서 발생되는 고열, 다습, 악취, 먼지, 유해가스 또는 연기 등을 건물 외부로 배출하여 건물 실내의 거주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도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건물 내부에 배기설비(A)를 시공하게 된다.
상기 배기설비(A)는, 배기덕트(a)와; 방화격벽의 일측과 타측의 배기덕트(a)를 연결해 주기 위해 방화격벽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배기덕트연결구(b)와; 및 건물 외부에 설치되는 브로워(c);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건물의 실내에서 발생되는 고열, 다습, 악취, 먼지, 유해가스 또는 연기 등을 흡기하여 건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배기설비이다.
상기 배기덕트(a)는, 건물 실내의 내벽에 단부가 인출되어 인출된 단부를 통하여 또는 인출된 단부에 연결된 플렉시블덕트를 통하여 흡기되는 건물의 각 실내에서 발생되는 고열, 다습, 악취, 먼지, 유해가스 또는 연기 등의 이동 통로가 된다.
또한, 상기 배기덕트연결구(b)는, 상기 배기덕트(a)와 인접 배기덕트(a)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이다.
또한, 상기 브로워(c)는, 건물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덕트(a)를 통해 건물의 실내에서 발생되는 고열, 다습, 악취, 먼지, 유해가스 또는 연기 등을 흡기하여 건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흡기팬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건물의 배기설비(A)는, 평상시에는 건물의 실내에서 발생되는 고열, 다습, 악취, 먼지, 유해가스 또는 연기 등을 흡기하여 건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건물 각 실내의 거주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해 주는 역할을 하게된다.
그러나, 상기 배기설비(A)는,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에는, 배기덕트(a)를 통해 침투되는 고열의 화염이 배기덕트(a)를 통해 빠른 속도로 이동하며 건물 내의 방화격벽을 넘나들며 전파되어 화재 확산의 통로로서의 기능을 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배기덕트연결구로써 철재로 된 방화댐퍼(철재의 통체 중간에 차단판이 설치된 공지의 종래 방화댐퍼를 말함, 이하 '종래 방화댐퍼'라 함)를 건물의 방화격벽에 설치함으로써 화재가 건물의 방화격벽을 넘나들며 확산되는 것을 저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화염의 고열은 1000℃를 상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배기설비(A)의 일측 배기덕트(a)를 통해 침투되는 화염의 온도가 1000℃를 상회하게 되므로, 화염이 침투되는 쪽의 배기덕트(a)는 고열로 인해 덕트의 외부에 접한 인화물질에 불이 옮겨 붙으면서 화재는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되게 된다.
또한, 배기설비(A)의 배기덕트연결구인 종래 방화댐퍼의 화염 차단 효과로 인해 화염은 차단되어 종래 방화댐퍼 타측의 배기덕트(a)에는 고온의 화염이 더이상 진행되지는 못할 것이나, 종래 방화댐퍼의 내면과 종래 방화댐퍼 차단판의 접변과의 틈새를 통하여 고온의 화염이 침투되면서 화재는 방화격벽 너머로 확산될 수도 있다.
또한, 종래 방화댐퍼의 차단판에 의해 고열의 화염은 차단되어 더이상 진행되지는 못하지만, 종래 방화댐퍼에 침투된 화염의 고열로 인해 가열된 종래 방화댐퍼 자체의 수백도에 이르는 고열이 차단판 건너편으로 전파되며 건너편 배기덕트(a)의 외부에 접한 인화물질을 발화시키면서 방화격벽 너머로 화재가 확산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또한, 배기설비(A)의 배기덕트연결구인 철재의 종래 방화댐퍼와 배기덕트(a)가 직접 직결되어 있어서 열전도 효과가 매우 커 고열에 의한 화재 확산 위험이 클 뿐더러 설치와 보수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 배기덕트를 통해 침투된 화염의 고열로 인해 방화격벽 너머에 결합된 배기덕트의 외부에 접한 인화물질에 불이 옮겨붙으면서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댐퍼실의 내면과 방화단열댐퍼 차단판의 접변과의 틈새를 통해 고온의 화염이 침투되면서 화재가 방화격벽 너머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철재로 된 덕트관연결구의 전도열에 의해 화재가 방화격벽 너머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설치 및 보수의 편의성을 제고시킨 방화단열댐퍼를 구비한 화재확산방지용 덕트관연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본 발명인 방화단열댐퍼를 구비한 화재확산방지용 덕트관연결구(1)는, 중심부(102)에 방화단열댐퍼(110)를 구비하고 중앙부에 위치되는 댐퍼실(100)과; 침투된 화염이 상기 댐퍼실(100) 방화단열댐퍼(110)의 차단판(112)에 부딪쳐 역진되도록 상기 댐퍼실(100)의 좌우측에 각 일단이 체결되어 구비되는 좌,우 복수개의 화염역진실(200)(200')과; 상기 좌,우 화염역진실(200)(200')과 배기덕트(a)와의 용이한 결합과 분리를 위해 상기 좌,우 화염역진실(200)(200')의 각 타단에 각 일단이 체결되어 구비되는 좌,우 복수개의 배기덕트연결실(300)(300')을 포함하고, 상기 댐퍼실(100) 외주면과 좌,우 화염역진실(200)(200')의 외주면은 소정 두깨의 세라믹울시트(sw)가 피복되고, 상기 좌,우 배기덕트연결실(300)(300')의 외주면은 소정 두깨의 난연PE폼시트(p)로 피복되며, 상기와 같이 피복된 피복체 전체의 외부에는 소정 두께의 알루미늄필름(af)이 소정 두께로 밴딩되어 일체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배기덕트를 통해 침투된 화염의 고열로 인해 방화격벽 너머에 결합된 배기덕트의 외부에 접한 인화물질에 불이 옮겨붙으면서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댐퍼실의 내면과 방화단열댐퍼 차단판의 접변과의 틈새를 통해 고온의 화염이 침투되면서 화재가 방화격벽 너머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철재로 된 덕트관연결구의 전도열에 의해 화재가 방화격벽 너머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설치 및 보수의 편의성을 제고시킨 방화단열댐퍼를 구비한 화재확산방지용 덕트관연결구가 제공되게 된다.
첨부한 도1은, 본 발명인 방화단열댐퍼를 구비한 화재확산방지용 덕트관연결구 프레임의 분리도이다.
도2는, 도1의 결합도이다.
도3은, 댐퍼실과 방화단열댐퍼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로써, 도3a는, 댐퍼실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3b는, 방화단열댐퍼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3c는, 방화단열댐퍼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3d는, 방화단열댐퍼 차단판의 일면에 세라믹울(Ce)을 접착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3e는, 방화단열댐퍼 차단판의 양면에 세라믹울(Ce)을 접착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3f는, 장방형 차단판의 외면 전체를 세라믹울(Ce)로 감싸 형성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4는, 방화단열댐퍼 차단판의 양면에 형성되는 팽창흑연층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5는, 방화단열댐퍼 차단판의 접변에 난연 소재의 팽창흑연테가 개재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6은, 댐퍼실과 화염역진실과 배기덕트연결실의 각 체결부에 테 형상의 세라믹가스켓이 개재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인 방화단열댐퍼를 구비한 화재확산방지용 덕트관연결구의 프레임 외부를 세라믹울시트에 의해 피복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8은, 도7 피복체의 외부에 알루미늄필름이 밴딩되어 형성된 본 발명인 방화단열댐퍼를 구비한 화재확산방지용 덕트관연결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인 방화단열댐퍼를 구비한 화재확산방지용 덕트관연결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설명도이다.
도10은, 건물 내부에 시공 된 배기설비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방화단열댐퍼를 구비한 화재확산방지용 덕트관연결구(1)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원 발명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 동일한 명칭으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첨부한 도1은, 본 발명인 방화단열댐퍼를 구비한 화재확산방지용 덕트관연결구 프레임의 분리도이고, 도2는, 도1의 결합도이고, 도3은, 댐퍼실과 방화단열댐퍼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로써, 도3a는, 댐퍼실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3b는, 방화단열댐퍼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3c는, 방화단열댐퍼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3d는, 방화단열댐퍼 차단판의 일면에 세라믹울(Ce)을 접착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3e는, 방화단열댐퍼 차단판의 양면에 세라믹울(Ce)을 접착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3f는, 장방형 차단판의 외면 전체를 세라믹울(Ce)로 감싸 형성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4는, 방화단열댐퍼 차단판 양면에 형성되는 팽창흑연층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5는, 차단판의 접변에 난연 소재의 팽창흑연테가 개재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6은, 댐퍼실과 화염역진실과 배기덕트연결실의 각 체결부에 테 형상의 세라믹가스켓이 개재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7은 본 발명인 방화단열댐퍼를 구비한 화재확산방지용 덕트관연결구의 프레임 외부를 세라믹울시트에 의해 피복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8은 도7 피복체의 외부에 알루미늄필름이 밴딩되어 형성된 본 발명인 방화단열댐퍼를 구비한 화재확산방지용 덕트관연결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9는, 본 발명인 방화단열댐퍼를 구비한 화재확산방지용 덕트관연결구의 단면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첨부한 도1 내지 도9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인 방화단열댐퍼를 구비한 화재확산방지용 덕트관연결구(1)는, 중심부(102)에 방화단열댐퍼(110)를 구비하고 중앙부에 위치되는 댐퍼실(100)과; 침투된 화염이 상기 댐퍼실(100) 방화단열댐퍼(110)의 차단판(112)에 부딪쳐 역진되도록 상기 댐퍼실(100)의 좌우측에 각 일단이 체결되어 구비되는 좌,우 복수개의 화염역진실(200)(200')과; 상기 좌,우 화염역진실(200)(200')과 배기덕트(a)와의 용이한 결합과 분리를 위해 상기 좌,우 화염역진실(200)(200')의 각 타단에 각 일단이 체결되어 구비되는 좌,우 복수개의 배기덕트연결실(300)(300')을 포함하고, 상기 댐퍼실(100) 외주면과 좌,우 화염역진실(200)(200')의 외주면은 소정 두깨의 세라믹울시트(sw)가 피복되고, 상기 좌,우 배기덕트연결실(300)(300')의 외주면은 소정 두깨의 난연PE폼시트(p)로 피복되며, 상기와 같이 피복된 피복체 전체의 외부에는 소정 두께의 알루미늄필름(af)이 소정 두께로 밴딩되어 일체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좀더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첨부된 도1 및 도2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인 방화단열댐퍼를 구비한 화재확산방지용 덕트관연결구(1)의 프레임(1')은, 소정 두께의 철판으로 형성된 동일 단면 형상의 길이 200mm, 300mm 및 400mm 길이의 통형체로 형성되고, 상기 각 통형체의 양단부는 각각 외향 절곡하여 소정 폭의 프렌지부(frange, f)를 형성하여, 200mm길이의 통형체는 중앙부의 댐퍼실(100)이 되고, 400mm길이의 통형체는 상기 댐퍼실 양 단부에 일단부가 결합되어 좌,우 화염역진실(200)(200')을 형성하고, 300mm길이의 통형체는 상기 좌,우 화염역진실(200)(200')의 각 타단부에 일단부가 결합되어 좌,우 배기덕트연결실(300)(300')을 형성하여 결합에 의해 일체로써 형성된다.
상기 댐퍼실(100)은, 도2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인 방화단열댐퍼를 구비한 화재확산방지용 덕트관연결구(1) 프레임(1')의 중앙부에 위치되고, 그 좌우측벽의 중심부(102)에는 침투된 화염을 차단하기 위하여 방화단열댐퍼(110)가 구비된다.
도3은, 댐퍼실(100)과 방화단열댐퍼(110)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로써, 도3a는, 댐퍼실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3b는, 방화단열댐퍼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3c는, 방화단열댐퍼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3d는, 방화단열댐퍼 차단판의 일면에 세라믹울(Ce)을 접착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3e는, 방화단열댐퍼 차단판의 양면에 세라믹울(Ce)을 접착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3f는, 장방형 차단판의 외면 전체를 세라믹울(Ce)로 감싸 형성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상기 댐퍼실(100)은, 도3a에 나타낸 것과 같이, 0.5mm 내지 2mm두께의 철판으로 된 중공의 단면 사각통형 또는 단면 원형의 통형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통형상으로 형성된다.
다만, 상기 댐퍼실(100)의 단면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통형상으로 된 것이면 어느 단면 형상으로 된 것이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댐퍼실(100)이 단면 사각통형인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댐퍼실(100)의 단면 형상은, 인접하여 체결되는 좌,우 화염역진실(200)(200') 및 상기 좌,우 화염역진실(200)(200')에 채결되는 좌,우 배기덕트연결실(300)(300')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댐퍼실(100)의 양단부에는, 도3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외향 절곡하여 결합부인 플렌지부(f)를 형성한다.
상기 댐퍼실(100)의 플렌지부(f)에는, 도3a에 나타낸 것과 같이, 내면에 너트체를 형성한 체결공(f1)이 소정 갯수 통공되고, 상기 체결공(f1)에는 좌,우 화염역진실(200)(200')과의 체결을 위해 소정 개수의 체결볼트(f2)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댐퍼실(100)의 길이는 200mm길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댐퍼실(100) 외주면의 일 단부 영역 또는 양 단부 영역 중 선택되는 일 영역에는, 도3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소정 크기의 장공으로 된 열전도지연공(101)이 소정 간격 이격되어 일련 또는 복수련 이상으로 통공될 수 있다.
첨부된 도3a는, 상기 댐퍼실(100)의 일단부 영역에 복수련으로 통공된 열전도지연공(101)을 통공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때 상기 열전도지연공(101)이 복수련 이상으로 통공되는 경우에는, 도3a에 나타낸 것과 같이, 홀수련의 열전도지연공(101) 중심부와 짝수련의 열전도지연공(101) 중심부는 서로 엇갈리도록 통공되는 것이 열전도 지연효과가 더 커지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댐퍼실(100)의 열전도지연공(101)에 의해 일측의 배기덕트(a)를 통해 침투된 화염의 고열이 철재로 된 댐퍼실(100)의 외벽을 타고 열전도지연공(101) 하부로 전도되는 것을 지연 및 열전도량을 감쇄시켜 주게 되어 일측의 배기덕트(a)를 통해 침투된 화염의 고열이 방화격벽 너머로 전도되는 것을 막아주게 된다.
상기 댐퍼실(100)의 중앙부에는 방화단열댐퍼(110)가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방화단열댐퍼(110)란, 도3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댐퍼실(100) 좌우측벽 중심부(102)에 댐퍼축(111)이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고 상기 댐퍼축(111)에 차단판(112)을 결합하여 구성된 것을 말한다.
이때, 상기 방화단열댐퍼(110)의 차단판(112)은, 도3c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일체로 된 철판의 좌우 중심선을 절개하여 댐퍼축결합공(113)을 형성한 후 댐퍼축(111)을 상기 댐퍼축결합공(113)에 견고하게 결합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첨부된 도4는, 상기 방화단열댐퍼(110)의 차단판(112) 양면에 형성되는 팽창흑연층(g, 117)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상기 방화단열댐퍼(110)의 차단판(112) 양면에는, 도4에 나타낸 것과 같이, 팽창흑연혼합액이 도포 또는 분사되어 팽창흑연층(g, 117)을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여 상기 방화단열댐퍼(110)의 차단판(112)이 차단되었을 때, 상기 차단판(112)의 양면에 형성된 팽창흑연층(g, 117)이 팽창되며 난연층을 형성하게 되어 일측 배기덕트(a)를 통해 침투된 고온의 화염이 방화격벽 너머로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저지 내지 막아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방화단열댐퍼(110) 차단판(112)의 일면에 팽창흑연혼합액이 도포 또는 분사되어 팽창흑연층(g, 117)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방화단열댐퍼(110)는, 도3a 및 도3b에서 유추할 수 있는 것과 같이, 상기 댐퍼실(100) 좌우측벽 중심부(102)의 상,하부에 복수개의 댐퍼축(111)(111' 미도시)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복수개의 댐퍼축(111)(111' 미도시)에 각각 차단판(112)(112' 미도시)을 결합하여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댐퍼실(100)은, 좌우측벽에 복수개 이상의 방화단열댐퍼(11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에도 상기 방화단열댐퍼(110)의 차단판(112)(112'미도시)은, 도3c에서 유추할 수 있는 것과 같이, 일체로 된 철판의 중심선을 절개하여 댐퍼축결합공(113)을 형성한 후 상기 각 댐퍼축결합공(113)에 댐퍼축(111)(111'미도시)을 견고하게 결합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상기 방화단열댐퍼(110)의 차단판(112)(112' 미도시) 양면에는, 도4에 나타낸 것과 같이, 팽창흑연혼합액이 도포 또는 분사되어 팽창흑연층(g, 117)을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때에도, 상기 방화단열댐퍼(110) 차단판(112)의 일면에 팽창흑연혼합액이 도포 또는 분사되어 팽창흑연층(g, 117)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방화단열댐퍼(110)는, 도3(d) 내지 도3(f)에 나타낸 것과 같이, 댐퍼축(111)에 차단판(112)을 결합하여 구성되되, 상기 차단판(112)은 도3(d)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일면에 세라믹울(Ce)이 접착되어 형성 될 수도 있고, 도3(e)에 나타낸 것과 같이 두 장의 철판 사이에 세라믹울(Ce)이 개재되어 구성될 수도 있고, 도3(f)에 나타낸 것과 같이 세라믹울(Ce) 분진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세라믹울(Ce)을 육면체의 철판으로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세라믹울(Ce)은, 두께 3mm이상 40mm이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세라믹울(Ce)의 두께가 3mm 미만일 경우에는 화염의 전파되기 쉬워 단열효과가 미흡했고, 상기 세라믹울(Ce)의 두께가 40mm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차단판(111)의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워 그 무게로 인해 차단판(111)의 운용이 어려워 바람직하지 못하였다.
세라믹 물질의 가장 잘 알려진 특성은 내열성(thermostability)이다.
세라믹 물질은 제조 공정에서 고온(1,000°이상)의 열처리를 통해 소결 과정을 거쳤기 때문에 온도변화에 대한 높은 안정성을 가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방화단열댐퍼(110) 차단판(111)의 일면 또는 양면에 세라믹울(Ce)을 접착하거나 또는 장방형 차단판(111)의 외면 전체를 세라믹울(Ce)로 감싸 형성함으로써 일측 배기덕트(a)를 통해 침투된 고온의 화염이 방화격벽 너머로 전파되며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세라믹울(Ce)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무기섬유계 단열재이면 종류를 가리지 않고 적용이 가능하다.
첨부된 도5는, 상기 방화단열댐퍼(110) 차단판(112)의 접변에 난연 소재의 팽창흑연테(115)가 개재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상기 방화단열댐퍼(110) 차단판(112)은, 도5에 나타낸 것과 같이, 댐퍼축(111) 결합부를 제외하고, 댐퍼실(100)의 내면과 접하는 상하좌우의 4접변(114)에는 테 형상으로 된 난연 소재의 팽창흑연테(115)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팽창흑연테(115)는,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여 상기 방화단열댐퍼(110)의 차단판(112)이 차단되었을 때, 상기 차단판(112)의 상하좌우 4접변(114)에 개재된 팽창흑연테(115)의 팽창흑연이 팽창되며 댐퍼실(100)의 내면과 댐퍼실(100)의 내면에 접하는 차단판(112)의 상하좌우 4접변(114)과의 밀폐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일측 배기덕트(a)를 통해 침투된 고온의 화염이 방화격벽 너머로 전파되어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댐퍼실(100)의 내면과 상기 댐퍼실(100) 내면에 접하는 차단판(112)의 상하좌우 4접변(114)과의 틈새로 침투되는 화염을 차단하여 건물의 화재 확산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팽창흑연테(115)는, 부직포 또는 글라스울 등 유연성 있는 섬유소재의 양면에 바인더와 팽창흑연분말을 1:1 비율로 혼합한 팽창흑연혼합액을 도포 또는 분사하여 테 형상으로 형성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댐퍼실(100)의 방화단열댐퍼(110)에 의해 화염, 연기 및 유독가스를 차단하여 줌으로써 화재발생시 화재현장으로부터 사람들이 탈출할 수 있는 초기대피시간을 확보하여 인명피해를 막을 수 있고, 특히 발화 지점에 산소의 공급을 차단해 줌으로써 불길이 확산되는 현상과 화재가 인근 건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상기 댐퍼실(100)의 양단부에는, 도3a에 나타낸 것과 같이, 프렌지부(f)가 외향 절곡 형성되고, 상기 플렌지부(f)에는 내면에 너트체를 형성한 소정 개수의 체결공(f1)이 소정 간격으로 통공되며, 상기 체결공(f1)에는 각각 체결볼트(f2)가 구비된다.
이는, 상기 화염역진실(200)(200')과 배기덕트연결실(300)(300')의 경우도 또한 같다.
첨부된 도6은, 댐퍼실(100)과 화염역진실(200)(200')과 배기덕트연결실(300)(300')의 각 체결부에 테 형상의 세라믹가스켓(sg)이 개재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상기 댐퍼실(100)의 좌,우 플렌지부(f)에는, 좌,우 화염역진실(200)(200') 일단의 플렌지부(f)가 각각 체결되며, 이때 서로 체결되는 플렌지부(f)와 플렌지부(f)의 사이공간에는, 도6에 나타낸 것과 같이, 테 형상의 세라믹가스켓(sg)이 삽입되어 개재된다.
첨부된 도7과 도8은 본 발명인 방화단열댐퍼를 구비한 화재확산방지용 덕트관연결구(1)의 프레임(1') 외부가 피복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로써, 도7은, 댐퍼실(100)과 화염역진실(200)(200')의 외부에는 세라믹울시트(sw)에 의해 피복되고, 배기덕트연결실(300)(300')의 외부에는 난연PE폼시트(P)에 의해 피복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8은 도7 피복체의 외부 전체에 알루미늄필름(af)이 밴딩되어 형성된 본 발명의 방화단열댐퍼를 구비한 화재확산방지용 덕트관연결구(1)를 도시하고 있는 설명도이다.
상기 댐퍼실(100) 외주면의 플렌지(f)와 플렌지(f)의 사이 영역에는 , 도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절연재인 소정 두께의 세라믹울시트(sw)에 의해 피복된다.
상기와 같이 피복된 피복체의 외부에는, 도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전체적으로 소정두께의 알루미늄필름(af)으로 소정 두께 밴딩되어 보호되게 된다.
한펀, 상기 좌,우 화염역진실(200)(200')은, 도1 및 도2에 나타낸 것과 같이, 댐퍼실(100)의 양 단부에 각각 일단부가 체결되어 복수개로 구비된다.
상기 좌,우 화염역진실(200)(200')은, 화재로 인한 화염이 어느 방향에서 침투될 것인지 예측할 수가 없는 것이므로 중앙부의 댐퍼실(100)을 중심으로 댐퍼실(100) 양쪽에 좌우 대칭되게 복수개가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좌,우 화염역진실(200)(200')은, 건물 화재발생시에 일측의 배기덕트(a)를 통해 침투된 화염이 상기 댐퍼실(100)의 방화단열댐퍼(110) 차단판(112)에 부딪쳐 더이상 진행하지 못하고 역진되는 곳이다.
상기 좌,우 화염역진실(200)(200')은, 1mm 두께의 철판으로 된 중공의 단면 사각형 또는 원통형의 통형상으로 형성된다.
다만, 상기 좌,우 화염역진실(200)(200')의 단면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통형상으로 된 것이면 어느 단면 형상으로 된 것이어도 무방하다.
상기 좌,우 화염역진실(200)(200')의 단면 형상은, 상기 댐퍼실(100) 및 좌,우 배기덕트연결실(300)(300')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좌,우 화염역진실(200)(200')의 각 양 단부에는 결합부인 플렌지부(f)가 외향 절곡 형성된다.
상기 좌,우 화염역진실(200)(200')의 플렌지부(f)에는, 도3에 나타낸 것과 같은 방식으로, 내면에 너트체를 형성한 체결공(f1)이 소정 갯수 통공되고 상기 체결공(f1)에는 댐퍼실(100) 및 좌,우 배기덕트연결실(300)(300')과의 체결을 위해 소정 개수의 체결볼트(f2)가 구비된다.
상기 좌,우 화염역진실(200)(200')은, 상기 댐퍼실(100) 양 단부의 플렌지부(f)에 각각 일단의 플렌지부(f)가 체결되어 결합되게 된다.
즉, 상기 좌,우 화염역진실(200)(200') 일단의 플렌지부(f)는 댐퍼실(100) 일단의 플렌지부(f)에 체결되고, 상기 좌,우 화염역진실(200)(200') 타단의 플렌지부(f)는 좌,우 배기덕트연결실(300)(300') 일단의 플렌지부(f)와 체결된다.
이때 서로 체결되는 플렌지부(f)의 사이공간에는, 도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절연재인 테 형상의 세라믹가스켓(sg)이 삽입 개재되어 밀폐 및 단열 효과를 증진시키게 된다.
도9는, 본 발명인 방화단열댐퍼를 구비한 화재확산방지용 덕트관연결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설명도이다.
상기 플렌지부(f)의 사이공간에 삽입 개재되는 절연재인 테 형상의 세라믹가스켓(sg)에 의해 화재발생시, 도9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일측 배기덕트(a)를 통해 침투된 화염의 고열이 체결부의 하부로 전도되는 것을 지연 및 열전도량을 감쇄시켜 주게 되어 하부에 체결되어 있는 좌,우 배기덕트연결실(300)(300')의 외주면에 근접한 발화물질이 고열에 의해 발화되어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막아주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좌,우 화염역진실(200)(200')의 길이는 400mm길이로 형성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의 길이는 400mm 길이인 것을 제시하였지만, 상기 좌,우 화염역진실(200)(200')의 길이는 이보다 더 길게 형성할 수도 있다.
이는, 일측의 배기덕트(a)를 통해 침투된 화염이 방화단열댐퍼(110)의 차단판(112)에 부딪쳐 역진을 시작할 때 고열의 화염이 관내에 머무르는 공간이 이보다 더 길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체결된 좌,우 화염역진실(200)(200') 외주면의 각 플렌지부(f)와 플렌지부(f)의 사이 영역에는, 도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절연재인 소정 두께의 세라믹울시트(sw)가 피복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피복된 피복체의 외부에는, 도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전체적으로 소정두께의 알루미늄필름(af)이 소정 두께 밴딩되어 보호되게 된다.
다음, 상기 좌,우 배기덕트연결실(300)(300')은, 상기 좌,우 화염역진실(200)(200')과 이에 체결되는 각 배기덕트(a)와의 사이에 체결되어 상기 화염역진실(200)(200')과 배기덕트(a)와의 이격부를 형성함으로써 일측의 배기덕트(a)를 통해 침투된 고열의 화염이 상기 좌,우 배기덕트연결실(300)(300')을 통해 하향 전도되는 것을 지연 및 열전도량을 감쇄시켜 주고 배기덕트(a)의 설치 및 보수의 편리성을 기하기 위해, 도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좌,우 화염역진실(200)(200')의 각 타단부에 각각 일단이 체결되어 복수개로 구비된다.
본 실시예의 상기 좌,우 배기덕트연결실(300)(300')의 길이는 300mm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좌,우 배기덕트연결실(300)(300')은, 상기 댐퍼실(100) 및 상기 좌,우 화염역진실(200)(200')과 동일하게 1mm 두께의 철판으로 된 중공의 단면 사각통형 또는 원통형의 통형상으로 형성된다.
다만, 상기 좌,우 배기덕트연결실(300)(300')의 단면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통형상으로 된 것이면 어느 단면 형상이든 무방하다.
즉, 상기 좌,우 배기덕트연결실(300)(300')의 단면 형상은 상기 댐퍼실(100) 및 상기 좌,우 화염역진실(200)(200')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단부에는 외향 절곡하여, 도3a와 같은 방식으로, 플렌지부(f)를 형성한다.
상기 각 플렌지부(f)에는 좌,우 화염역진실(200)(200') 및 배기덕트(a)와의 체결을 위해 각각 소정 개수의 체결공(f1)이 통공되고 상기 체결공(f1)에는 각각 체결볼트(f2)가 구비된다.
상기 좌,우 배기덕트연결실(300)(300') 각 일단의 플렌지부(f)는 상기 좌,우 화염역진실(200)(200') 각 타단의 플렌지부(f)에 체결되고, 상기 좌,우 배기덕트연결실(300)(300') 각 타단의 플렌지부(f)는 각각 배기덕트(a)의 일단과 체결 결합된다.
이때, 서로 체결되는 플렌지부(f)와 플렌지부(f)의 사이공간에는,도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절연재인 테 형상의 세라믹가스켓(sg)이 삽입 개재되어 밀폐 및 단열 효과를 증진시켜 주게 된다.
상기와 같이 체결된 상기 좌,우 배기덕트연결실(300)(300') 각 외주면의 플렌지부(f)와 플렌지부(f) 사이 영역에는, 도7에 나타낸 것과 같이, 난연처리된 소정 두께의 난연PE폼시트(p)가 소정 두께로 피복된다.
사실, 배기덕트(a) 전체 외주면을 절연재인 세라믹울시트(sw)로 피복할 수 있다면 화재발생시 화재의 확산 위험은 크게 줄어들게 될 것이다.
그러나, 절연재인 세라믹울시트(sw)는 타 피복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가이다.
따라서, 배기덕트(a) 전체 외주면을 절연재인 세라믹울시트(sw)로 피복을 하게 된다면 결국 건축비용의 증가로 이어지게 되어 경제적 부담이 크게 증가할 것이므로 업계에서는 건축경제상의 이유로 일반적으로 받아 들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현실의 건축현장에서는 단열효과가 크고 비용이 저렴한 단열재인 PE폼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PE폼은 화재에 취약하여 상기 PE폼에 발화시에는 유독가스가 발생되어 인체에 치명적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PE폼에 난연처리를 한 난연PE폼을 사용 한다.
상기 난연PE폼은, 소정 온도 이하에서는 용융되지 않으므로 화재발생시 화재의 확산을 어느 정도 저지 내지 지연시킬 수 있고, 건축비용 또한 저렴하게 건축 가능하여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어 일거양득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난연PE폼시트(p)는, 상기 난연PE폼을 시트화 하여 복수개 이상 다수개의 난연PE폼시트를 적층 열융착한 후 적층체의 일면에는 알루미늄필름(af)을 열융착 접합하고 타면에는 바인더와 팽창흑연 분말을 혼합하여 형성한 팽창흑연혼합액을 도포 또는 분사한 후 응고시켜 팽창흑연층(g, 117)을 형성한 것이다.
먼저, 폴리에틸렌 수지에 흑연 분말을 혼합한 후 발포하여 난연PE폼을 형성하고 상기 난연PE폼을 1mm이상 50mm이하의 두께로 시트화 한다.
상기에서 형성된 난연PE폼시트의 두께를 1mm미만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시트가 지나치게 엷어서 피복 공정이 지연되어 작업 효율이 떨어질 수 있고, 난연PE폼시트의 두께가 50mm를 초과할 경우에는 피복공정이 섬세하지 않아 불량 피복이 될 염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다음, 상기의 난연PE폼시트 복수개 이상 다수개를 적층 열융착하여 적층체의 일면에는 알루미늄필름(af)을 열융착 접합하고, 타면에는 바인더에 팽창흑연분말을 혼합한 팽창흑연혼합액(117)을 도포 내지 분사한 후 응고시켜 팽창흑연층(g)을 형성함으로써 난연PE폼시트(p)의 형성을 완료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좌,우 배기덕트연결실(300)(300') 및 이에 체결 결합되는 각 배기덕트(a)의 외주면은 모두 상대적으로 저가인 난연처리된 난연PE폼시트(p)로 피복되게 된다.
상기 난연PE폼시트(p)는 상대적 저가이므로, 화재안전성을 추구하면서도 건축비용을 절약할 수 있어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으므로 업계에서 환영을 받고 있다.
이로써, 상기 좌,우 배기덕트연결실(300)(300')은 상기 좌,우 화염역진실(200)(200')과 배기덕트(a) 사이에 개재되어 이격공간 기능을 하게 되므로 침투된 화염의 고열이 상기 좌,우 배기덕트연결실(300)(300')을 통해 하부로 전도되는 것을 지연 내지 감쇄시켜 화재 확산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모두 외부 피복이 같은 재질인 난연PE폼시트(p)로 되어 있어 피복작업과 서로 체결 및 분리 작업이 수월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피복된 피복체의 외부에는,도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전체적으로 소정두께의 알루미늄필름(af)으로 소정 두께 밴딩되어 보호되게 된다.
다음은 본 발명인 방화단열댐퍼를 구비한 화재확산방지용 덕트관연결구(1)의 작용 효과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소정 두께의 철판으로 형성된 동일 단면 형상의 길이 200mm, 300mm 및 400mm 길이의 통형체를 형성하고, 상기 각 통형체의 양단부는 각각 외향 절곡하여 소정 폭의 프렌지부(frange, f)를 형성한다.
이때, 200mm길이의 통형체는 중앙부의 댐퍼실(100)이 되고, 400mm길이의 통형체는 상기 댐퍼실 양 단부에 일단부가 결합되어 화염역진실(200)(200')을 형성하고, 300mm길이의 통형체는 상기 화염역진실(200)(200')의 각 타단부에 일단부가 결합되어 배기덕트연결실(300)(300')이 된다.
즉, 본 발명의 방화단열댐퍼를 구비한 화재확산방지용 덕트관연결구(1)의 프레임(1')은, 중심부에 방화단열댐퍼(110)를 구비하고 중앙부에 위치되는 댐퍼실(100)과; 침투된 화염이 상기 댐퍼실(100) 방화단열댐퍼(110)의 차단판(112)에 부딪쳐 역진되도록 상기 댐퍼실(100)의 좌우측에, 플렌지부(f)와 플렌지부(f)의 사이공간에는 절연재인 테 형상의 세라믹가스켓(sg)이 삽입 개재되고, 각 일단이 체결되어 구비되는 좌,우 복수개의 화염역진실(200)(200')과; 상기 좌,우 화염역진실(200)(200')과 배기덕트(a)와의 용이한 결합과 분리를 위해 상기 좌,우 화염역진실(200)(200')의 각 타단에, 플렌지부(f)와 플렌지부(f)의 사이공간에는 절연재인 띠 형상의 세라믹가스켓(sg)이 삽입 개재되고, 좌,우 복수개의 배기덕트연결실(300)(300')의 일단이 체결 결합되어 일체로써 형성된다.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서로 체결되는 플렌지부(f)와 플렌지부(f)의 사이공간에는 절연재인 테 형상의 세라믹가스켓(sg)이 삽입 개재되어 밀폐 및 단열 효과를 증대시켜 주게 된다.
상기와 같이 체결 형성된 본 발명의 방화단열댐퍼를 구비한 화재확산방지용 덕트관연결구(1) 프레임(1')의, 댐퍼실(100) 및 좌,우 화염역진실(200)(200') 외주면의 플렌지부(f)와 플렌지부(f)의 사이 영역에는 절연재인 소정 두께의 세라믹울시트(sw)가 피복되고, 상기 좌,우 화염역진실(200)(200')에 체결되는 좌,우 배기덕트연결실(300)(300') 외주면의 플렌지부(f)와 플렌지부(f)의 사이 영역에는 난연PE폼시트(p)가 피복된다.
상기와 같이 피복된 피복체의 전체 외주면에는 소정 두께의 알루미늄필름(af)이 소정 두께로 밴딩되어 본 발명인 일체로서의 방화단열댐퍼를 구비한 화재확산방지용 덕트관연결구(1)의 구성을 완성한다.
상기와 같이 완성된 본 발명인 방화단열댐퍼를 구비한 화재확산방지용 덕트관연결구(1)를 방화격벽에 관통하여 설치하고, 좌,우 배기덕트연결실(300)(300')의 각 타단부에 각각 배기덕트(a)를 순차적으로 체결 결합하여 건물 옥상에 설치된 브로워(c)에 연결함으로써 건물 배기설비(A)의 설치를 완료한다.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배기설비(A)의 배기덕트(a)를 통해 화재가 급속히 확산될 수 있을 뿐더러, 배기덕트(a)를 통해 침투된 화염의 고열은 철재로 된 댐퍼실(100)의 반대편으로도 전도 되고, 댐퍼실(100)의 반대편으로 전도된 고열이 철재로 된 댐퍼실(100) 반대편의 화염역진실(200') 및 공조덕트연결실(300')로 차례로 전도되어 화염역진실(200') 및 공조덕트연결실(300')의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이 되면 화염역진실(200') 및 공조덕트연결실(300')의 외주면에 근접한 인화물질이 발화하면서 건물 방화격벽의 반대편으로 화재가 확산 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인 방화단열댐퍼를 구비한 화재확산방지용 덕트관연결구(1)에 의하면,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 상기 방화단열댐퍼를 구비한 화재확산방지용 덕트관연결구(1)의 일측 배기덕트(a)를 통해 침투된 화염은, 댐퍼실(100) 방화단열댐퍼(110)의 차단판(122)에 가로막혀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고 역진하게 되어 방화격벽 너머로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일측 배기덕트(a)를 통해 침투된 화염의 고열에 의해 상기 방화단열댐퍼(110)의 차단판(112) 양면에 도포 또는 분사된 팽창흑연혼합액(p)이 팽창되어 단열층을 형성함으로써 고열로 달구어진 철재 차단판(122)의 전도열에 의해 방화격벽 너머로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때 일측 배기덕트(a)를 통해 침투된 화염의 고열에 의해 댐퍼실(100)의 내면과 댐퍼실(100) 내면에 접하는 차단판(112)의 접변(114)에 개재된 팽창흑연테(115)의 팽창흑연이 팽창되면서 댐퍼실(100) 내면과 차단판(112)의 접변(114)이 밀접히 밀폐되어 댐퍼실(100)의 내면과 상기 댐퍼실(100) 내면에 접하는 차단판(122)의 접변(114)과의 틈새를 통한 화염의 침투를 막아 방화격벽 너머로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댐퍼실(100) 외주면의 일 단부 영역 또는 양 단부 영역 중 선택되는 일 영역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일련 또는 복수련 이상으로 통공된 소정 크기의 장공으로 된 열전도지연공(123)으로 인해 침투된 화염의 고열이 반대편의 화염역진실(200') 및 공조덕트연결실(300')로 전도되는 것을 지연 및 감쇄시켜 방화격벽 너머로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저지 및 지연함으로써 사람들이 화재 현장으로부터 탈출할 수 있는 조기 대피시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방화단열댐퍼를 구비한 화재확산방지용 덕트관연결구(1)의 댐퍼실(100)과 좌,우 화염역진실(200)(200')과 및 좌,우 배기덕트연결실(300)(300')은 연결부인 각 플렌지부(f)와 플렌지부(f)의 사이에 절연재로 된 테 형상의 세라믹가스켓(sg)이 개재됨으로 인해 침투된 화염의 고열이 반대편의 화염역진실(200') 및 배기덕트연결실(300')로 전도되는 것을 저지 및 감쇄시켜 전도열로 인해 방화격벽 너머로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저지 및 지연함으로써 사람들이 화재 현장으로부터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는 조기 대피시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인 방화단열댐퍼를 구비한 화재확산방지용 덕트관연결구(1)는, 댐퍼실(100) 및 좌,우 화염역진실(200)(200') 외주면의 플렌지부(f)와 플렌지부(f)의 사이 영역에는 절연재인 소정 두께의 세라믹울시트(sw)로 피복되고, 좌,우 배기덕트연결실(300)(300') 외주면의 플렌지부(f)와 플렌지부(f) 사이 영역에는 난연PE폼시트(p)로 피복되며, 상기와 같이 피복된 피복체의 전체 외주면에는 소정 두께의 알루미늄필름(af)이 소정 두께로 밴딩되어 보호됨으로써, 덕트관 내부로 침투된 화염의 고열이 덕트관 외부로 전도되는 것을 저지 및 지연함으로써 사람들이 화재 현장으로부터 탈출할 수 있는 조기 대피시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인 방화단열댐퍼를 구비한 화재확산방지용 덕트관연결구(1)는, 좌,우 배기덕트연결실(300)(300')과 배기덕트(a)의 외주면은 동일 재질인 난연PE폼시트로 피복되고, 좌,우 화염역진실(200)(200')과 배기덕트(a)와의 사이 영역에 좌,우 배기덕트연결실(300)(300')을 체결 결합으로써 좌,우 화염역진실(300)(300')과 배기덕트(a)와의 사이에 소정 길이의 이격부를 형성하여 설치 및 보수시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 비록 상기에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인 방화단열댐퍼를 구비한 화재확산방지용 덕트관연결구(1)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가하는 것은 항상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하는 것임은 극히 자명한 것이다.
1 방화단열댐퍼를 구비한 화재확산방지용 덕트관연결구
A 배기설비 a 배기덕트 b 배기덕트연결구 c 브로워 f 플렌지부 f1 체결공 f2 체결볼트 g 팽창흑연층 sg 세라믹가스켓 sw 세라믹울시트 af 알루미늄필름 p 난연PE폼시트
100 댐퍼실 101 열전도지연공 102 중심부
110 방화단열댐퍼 111,111' 댐퍼축 112,112' 차단판 113 댐퍼축결합공 114 접변 115 팽창흑연테 116 섬유소재 117 팽창흑연층
200.200' 좌,우 화염역진실
300,300' 좌,우 배기덕트연결실

Claims (12)

  1. 중심부(102)에 방화단열댐퍼(110)를 구비하고 중앙부에 위치되는 댐퍼실(100)과; 침투된 화염이 상기 댐퍼실(100) 방화단열댐퍼(110)의 차단판(112)에 부딪쳐 역진되도록 상기 댐퍼실(100)의 좌우측에 각 일단이 체결되어 구비되는 좌,우 복수개의 화염역진실(200)(200')과; 상기 좌,우 화염역진실(200)(200')과 배기덕트(a)와의 용이한 결합과 분리를 위해 상기 좌,우 화염역진실(200)(200')의 각 타단에 각 일단이 체결되어 구비되는 좌,우 복수개의 배기덕트연결실(300)(300');을 포함하고, 상기 댐퍼실(100) 외주면과 좌,우 화염역진실(200)(200')의 외주면은 소정 두깨의 세라믹울시트(sw)가 피복되고, 상기 좌,우 배기덕트연결실(300)(300')의 외주면은 소정 두깨의 난연PE폼시트(p)로 피복되며, 상기와 같이 피복된 피복체 전체의 외부에는 소정 두께의 알루미늄필름(af)이 소정 두께로 밴딩되어 일체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단열댐퍼를 구비한 화재확산방지용 덕트관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실(100) 외주면의 일 단부 영역 또는 양 단부 영역 중 선택되는 일 영역에는, 소정 크기의 장공으로 된 열전도지연공(101)이 소정 간격 이격되어 일련 또는 복수련 이상으로 통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단열댐퍼를 구비한 화재확산방지용 덕트관연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지연공(101)이 복수련 이상으로 통공되는 경우에는, 홀수련의 열전도지연공(101) 중심부와 짝수련의 열전도지연공(101) 중심부는 서로 엇갈리도록 통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단열댐퍼를 구비한 화재확산방지용 덕트관연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단열댐퍼(110)의 차단판(112) 양면에는, 팽창흑연혼합액이 도포 또는 분사되어 팽창흑연층(g, 117)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단열댐퍼를 구비한 화재확산방지용 덕트관연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단열댐퍼(110) 차단판(112)의 일면에 팽창흑연혼합액이 도포 또는 분사되어 팽창흑연층(g, 117)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단열댐퍼를 구비한 화재확산방지용 덕트관연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실(100)은, 좌우측벽에 복수개 이상의 방화단열댐퍼(11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단열댐퍼를 구비한 화재확산방지용 덕트관연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단열댐퍼(110)는, 댐퍼축(111)에 차단판(112)을 결합하여 구성되되, 상기 차단판(112)은 일면에 세라믹울(Ce)이 접착되어 형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단열댐퍼를 구비한 화재확산방지용 덕트관연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단열댐퍼(110)의 차단판(112)은, 두 장의 철판 사이에 세라믹울(Ce)이 개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단열댐퍼를 구비한 화재확산방지용 덕트관연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단열댐퍼(110)의 차단판(112)은, 세라믹울(Ce) 분진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육면체의 철판으로 세라믹울(Ce)을 감싸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단열댐퍼를 구비한 화재확산방지용 덕트관연결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단열댐퍼(110)의 차단판(112)은, 댐퍼축(111) 결합부를 제외하고, 댐퍼실(100)의 내면과 접하는 상하좌우의 4접변(114)에는 테 형상으로 된 난연 소재의 팽창흑연테(115)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단열댐퍼를 구비한 화재확산방지용 덕트관연결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실(100)과; 상기 댐퍼실(100)의 좌우측에 각 일단이 체결되어 구비되는 좌,우 복수개의 화염역진실(200)(200')과; 상기 좌,우 화염역진실(200)(200')의 각 타단에 각 일단이 체결되어 구비되는 좌,우 복수개의 배기덕트연결실(300)(300');이 서로 체결되는 각 플랜지부(f)의 사이공간에는 밀폐 및 단열 효과를 높여 줄 수 있도록 테 형상의 세라믹가스켓(sg)이 삽입되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단열댐퍼를 구비한 화재확산방지용 덕트관연결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배기덕트연결실(300)(300')의 외주면에 피복되는 난연PE폼시트(p)는, 난연PE폼을 소정 두께로 시트화 하여 복수개 이상 다수개를 적층 열융착한 적층체의 일면에는 알루미늄필름(af)을 열융착 접합하고 타면에는 바인더와 팽창흑연 분말을 1:1로 혼합하여 형성한 팽창흑연혼합액을 도포 또는 분사한 후 응고시켜 팽창흑연층(g, 117)을 형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단열댐퍼를 구비한 화재확산방지용 덕트관연결구.
KR1020210017142A 2021-02-06 2021-02-06 방화단열댐퍼를 구비한 화재확산 방지용 덕트관연결구 KR102551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142A KR102551777B1 (ko) 2021-02-06 2021-02-06 방화단열댐퍼를 구비한 화재확산 방지용 덕트관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142A KR102551777B1 (ko) 2021-02-06 2021-02-06 방화단열댐퍼를 구비한 화재확산 방지용 덕트관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3618A true KR20220113618A (ko) 2022-08-16
KR102551777B1 KR102551777B1 (ko) 2023-07-04

Family

ID=83064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7142A KR102551777B1 (ko) 2021-02-06 2021-02-06 방화단열댐퍼를 구비한 화재확산 방지용 덕트관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17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23122A (zh) * 2023-05-09 2023-06-06 北京承启通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化学分析法的自提样水质检测装置
KR102618800B1 (ko) 2023-01-05 2023-12-28 최홍범 파이어 댐퍼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8404A (ja) * 1994-12-20 1996-07-12 Takasago Thermal Eng Co Ltd 空調および排煙用ダクト
KR20010105925A (ko) * 2000-05-19 2001-11-29 박기석 기밀방화댐퍼
JP2002256649A (ja) * 2001-02-28 2002-09-11 Daiwa House Ind Co Ltd 軒天部防耐火構造及び防火ダンパー及び軒天ガラリ
EP1779901A2 (en) * 2005-10-27 2007-05-02 Ciat Sp. z o. o. Fire damper
JP2012149713A (ja) * 2011-01-19 2012-08-09 Nihon Glassfiber Industrial Co Ltd 積層断熱材及び鉄道車両の空調ダクト用断熱材
JP2017226962A (ja) * 2016-06-20 2017-12-28 中松 義郎 膨張防火扉換気口シャッタ
KR20200114961A (ko) * 2019-03-29 2020-10-07 신승용 섬유내화재 덕트관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단열덕트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8404A (ja) * 1994-12-20 1996-07-12 Takasago Thermal Eng Co Ltd 空調および排煙用ダクト
KR20010105925A (ko) * 2000-05-19 2001-11-29 박기석 기밀방화댐퍼
JP2002256649A (ja) * 2001-02-28 2002-09-11 Daiwa House Ind Co Ltd 軒天部防耐火構造及び防火ダンパー及び軒天ガラリ
EP1779901A2 (en) * 2005-10-27 2007-05-02 Ciat Sp. z o. o. Fire damper
JP2012149713A (ja) * 2011-01-19 2012-08-09 Nihon Glassfiber Industrial Co Ltd 積層断熱材及び鉄道車両の空調ダクト用断熱材
JP2017226962A (ja) * 2016-06-20 2017-12-28 中松 義郎 膨張防火扉換気口シャッタ
KR20200114961A (ko) * 2019-03-29 2020-10-07 신승용 섬유내화재 덕트관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단열덕트 설치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8800B1 (ko) 2023-01-05 2023-12-28 최홍범 파이어 댐퍼
CN116223122A (zh) * 2023-05-09 2023-06-06 北京承启通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化学分析法的自提样水质检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1777B1 (ko) 202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86878T3 (es) Dispositivo de bloqueo contra incendios
KR102551777B1 (ko) 방화단열댐퍼를 구비한 화재확산 방지용 덕트관연결구
KR101217257B1 (ko) 건물의 외벽화재 연소확대 방지구조 및 건물의 외벽화재 연소확대 방지를 위한 외장재 시공방법
AU2010254688B2 (en) Method for fire blocking in a ventilation device and a fireblocking ventilation device
JP5311686B2 (ja) 壁/天井貫通孔に対する換気ダクトの絶縁材
JP2009215721A (ja) 耐火断熱シート
US11147993B2 (en) Fire protection element
KR101995447B1 (ko) 알루미늄 박판층과 유리섬유 망층을 이용하여 무기질 평탄층이 고도의 일체성을 가지는 건축용 조립식 복합 외장구조체
JP2019525030A (ja) 火炎遮断製品
KR20090066087A (ko) 건축용 복합기능의 진공 방화심재
KR100778359B1 (ko) 친환경소재를 이용한 방화용 단열패드
KR102003327B1 (ko) 습식 불연 외장 단열 마감 공법
KR20190066388A (ko) 건식 내화 벽체
KR102042337B1 (ko) 층간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수직배관관통공 내화충전구조
WO2014125838A1 (ja) 防火区画貫通部構造
JP6433358B2 (ja) 耐火扉
KR20110123451A (ko) 조립식 패널 방화시스템 및 소화캡
KR20160053606A (ko) 방화용 조립식 패널
KR20150144166A (ko) 패널연결재를 이용한 연소 확대 방지용 복합패널
KR20120124096A (ko) 방화구획체의 구조
JP2006077551A (ja) 不燃断熱フォーム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285647A (ja) 複合板材
KR102472897B1 (ko) 단열성능이 탁월하고 유독가스 발생량이 저감되는 복합무기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JPH01256640A (ja) 消火性マット
JP2021008712A (ja) 断熱パネルで構成された壁の耐火被覆構造、および断熱パネル耐火用被覆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