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3062A - 착암기에 탈착되는 할암장치 - Google Patents

착암기에 탈착되는 할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3062A
KR20220113062A KR1020210016784A KR20210016784A KR20220113062A KR 20220113062 A KR20220113062 A KR 20220113062A KR 1020210016784 A KR1020210016784 A KR 1020210016784A KR 20210016784 A KR20210016784 A KR 20210016784A KR 20220113062 A KR20220113062 A KR 20220113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ck
connecting shaft
joint
rock drilling
dr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6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5073B1 (ko
Inventor
김일
Original Assignee
현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16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5073B1/ko
Publication of KR20220113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3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5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5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02Drilling rigs characterised by means for land transport with their own drive, e.g. skid mounting or wheel mounting
    • E21B7/025Rock drills, i.e. jumbo drill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02Drilling rigs characterised by means for land transport with their own drive, e.g. skid mounting or wheel mounting
    • E21B7/022Control of the drilling operation;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for activation or oper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상적인 착암기에 탈착되는 할암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회전모터와 감속기를 갖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측방을 착암기의 상단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단결합부와, 상기 구동부의 하단에 결합되는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 또는 수축되는 신축부와, 상기 신축부의 측방을 상기 착암기의 하단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단결합부와, 상기 신축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할암봉과, 선택적으로 상기 신축부와 할암봉 사이에 배치되는 관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하나의 구동 장비로 착암작업과 할암작업을 함께 실시할 수 있는, 착암기에 탈착되는 할암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착암기에 탈착되는 할암장치{Rock splitting device detachable on rock drill}
본 발명은 통상적인 착암기에 탈착되는 할암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회전모터와 감속기를 갖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측방을 착암기의 상단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단결합부와, 상기 구동부의 하단에 결합되는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 또는 수축되는 신축부와, 상기 신축부의 측방을 상기 착암기의 하단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단결합부와, 상기 신축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할암봉과, 선택적으로 상기 신축부와 할암봉 사이에 배치되는 관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하나의 구동 장비로 착암작업과 할암작업을 함께 실시할 수 있는, 착암기에 탈착되는 할암장치에 관한 것이다.
착암기(rock drill)는 암반에 폭약을 장입하거나 락볼트를 설치하기 위하여 착암홀을 뚫는 용도로 사용되는 장비로서, 크기에 따라 사람이 직접 들고 다니면서 착암작업을 하는 소형 착암기로부터 전용 크롤러나 굴삭기에 탑재하여 운용하는 대형 착암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구조 및 종류가 개발 사용되고 있다.
첨부 도 1은 무한 크롤러(C)에 설치된 대형 착암기(D)의 일반적인 구조를 예시한 것으로서, 선단에 드릴비트(1)가 결합된 착암로드(2)와, 상기 착암로드(1)를 타격하거나 회전시키는 드리프터(3)와, 상기 드리프터(3)를 지지하는 승강판(4)과, 체인(5)과 모터(6)를 통해 상기 승강판(4)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락드릴 프레임(7)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크롤러(C)와 착암기(D) 사이에는, 상기 착암기(D)를 지지하는 암(A)과, 방향 및 기울기를 조절하는 유압 실린더들을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유압 실린더들은 상기 암(A)을 통해 착암기(D)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C1)와, 착암기(D)를 앞뒤로 각도를 조절하는 틸팅실린더(C2)로 이루어진다.
한편, 할암기(rock splitter)는 암반에 뚫어 놓은 구멍, 즉 착암홀에다 할암봉을 삽입한 다음, 상기 할암봉을 유압으로 확장시켜서 암반을 절개하는 장치로서, 종래에도 작동방식에 따라 다양한 할암기들이 개발되어 있다. 예를 들면, 공개특허 제10-2004-0087354호(2004년 10월 14일) 등에는 할암봉에 설치된 다수개의 피스톤이 돌출하면서 암반을 절개하는 할암기가 소개되어 있고, 등록특허 제10-0753139호(2007년 08월 22일) 등에는 쐐기를 이용하여 할암봉을 확장시키는 할암기가 소개되어 있다.
그래서 할암작업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먼저 착암기를 이용하여 암반에 다수개의 착암홀을 뚫어 놓고, 상기 착암기를 철수한 다음, 할암기를 투입하여 암반을 절개해야 한다. 따라서 서로 다른 두 종류의 구동장비를 교대로 투입 및 운용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지연되고 공사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에도 착암기와 할암기를 함께 운용할 수 있는 복합형 장치들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등록실용신안 제20-0214483호(2000년 12월 11일)에는 굴삭기 암의 선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부재에다 착암기와 할암기를 함께 설치한 암반 균열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1666994호(2016년 10월 11일)에는, 굴삭기나 유압드릴의 암 단부에 체결되는 암체결부와, 상기 암체결부에서 힌지 결합되어 있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하부에 체결되어 암반을 받쳐주는 지지축과, 상기 회전판을 중심으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일측편 및 타측편에 각각 구축된 제1 및 제2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프레임에 각각 구축된 착암기와 할암기로 구성되는 멀티 스플리터(multi-splitter)가 소개되어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214483호(2000년 12월 11일) 등록특허 제10-1666994호(2016년 10월 11일)
상술한 바와 같이 착암기와 할암기를 갖는 복합장치들은 하나의 구동장비로 암반에 착암홀을 뚫는 착암작업과 그 암반을 쪼개는 할암작업을 연속적으로 실시함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복합장치는 착암기와 할암기가 한몸으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장비의 부피가 크고, 중량이 무거워서 거동이나 보관이 불편한 단점이 있고, 특히 착암기로 착암작업을 할 때 할암기가 구조적인 장애를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착암작업에서 착암홀과 할암봉 사이에는 유격이 거의 없기 때문에 종래의 복합장치는 착암홀에 할암봉을 삽입할 때 할암봉의 각도가 착암홀의 각도와 정확히 일치하지 않으면 할암봉이 잘 들어가지 않는 어려움이 있고, 나아가 암반의 결에 따라 할암봉을 회전시켜서 할암방향을 변경할 필요가 있을 때 종래의 복합장치는 이러한 할암방향의 변경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구동 장비로 착암작업과 할암작업을 연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복합장비에 있어서, 착암기에 할암기를 탈착할 수 있어서 필요에 따라 전체적인 장비의 크기와 중량을 간소화 할 수 있고, 특히 착암 작업시에 할암기로 인한 구조적인 장애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할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할암작업을 실시할 때 착암홀에다 할암기의 할암봉을 삽입하기가 용이하고, 특히 상기 할암봉의 할암방향을 임의로 변경할 수 있어서 할암작업이 용이한 할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착암기에 탈착되는 할암장치는, 회전모터와 감속기를 갖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측방을 착암기의 상단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단결합부와; 상기 구동부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에 의해서 회전되는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 또는 수축되는 신축부와; 상기 신축부의 측방을 상기 착암기의 하단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단결합부와; 상기 신축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할암봉;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할암장치는, 추가적으로 상기 신축부와 할암봉 사이에 관절부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관절부는 신축부의 회전력을 할암봉으로 전달하면서 상기 할암봉을 외력에 의해 절곡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절부는, 상기 신축부의 하단에 구비된 관절헤드와, 상기 할암봉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관절헤드를 수용하는 관절컵과, 상기 관절컵의 상단 테두리에 결합되어 상기 관절헤드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상기 할암봉의 절곡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관절헤드와 관절컵은 각각 횡단면(A-A’선 단면)의 형상이 서로 대응하는 다각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축부는, 상기 연결축의 하단에 결합된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의 하단에서 신장 또는 수축하는 신축로드와, 상기 유압실린더와 신축로드를 수용하는 승강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파이프는 하단부가 상기 신축로드의 하단에 지지되어 있어서 상기 신축로드가 신장 또는 수축하면, 상기 승강파이프가 상기 유압실린더의 외경부를 따라 승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할암장치는, 상단결합부와 하단결합부를 이용하여 통상적인 착암기에 탈착할 수 있어서 하나의 구동 장비로 착암작업과 할암작업을 연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장비의 크기와 중량을 간소화 할 수 있으며, 특히 착암 작업시에 할암기로 인한 구조적인 장애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할암장치는, 암반의 착암홀에 할암봉을 삽입할 때 착암홀의 각도와 할암봉의 각도가 다소 상이하더라도 관절부로 인해 할암봉이 절곡될 수 있기 때문에 할암봉을 쉽게 삽입할 수 있고, 나아가 착암홀에 할암봉을 삽입한 상태에서도 구동부를 이용하여 할암봉을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암반의 결에 따라 할암방향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무한 크롤러(C)에 설치된 대형 착암기(D)의 일반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착암기에 탈착되는 할암장치의 구성 도면,
도 3은 도 2에서 관절부(170)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관절헤드(171)와 관절컵(172)의 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한 것이므로 이들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꼭 필요한 구성이라 하더라도 종래기술에 소개되어 있거나, 통상의 기술자가 공지기술로부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사항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할암장치(100)는 첨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통상적인 착암기(20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구동부(110)와, 상단결합부(120), 연결축(130), 신축부(140), 하단결합부(150) 및 할암봉(160)으로 구성되며, 추가적으로 관절부(17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할암장치(100)는 전체적으로 상기 구동부(110)와 연결축(130), 신축부(140) 및 할암봉(160)이 위에서 부터 아래쪽으로 순서대로 나열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상단결합부(120)와 하단결합부(150)는 각각 구동부(110)와 신축부(140)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관절부(170)는 신축부(140)와 할암봉(16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착암기(200)는 통상적인 굴삭기나 크롤러(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음)의 암(210)에 지지되어 있으며, 승강실린더(211)에 의해서 상하방향으로 승강하고, 또한 틸팅실린더(212)에 의해서 앞뒤 방향으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암기(200)는, 드릴로드(220)와, 상기 드릴로드(220)의 하단부에 설치된 드릴비트(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음)가 착암홀을 뚫을 수 있도록 상기 드릴로드(220)를 타격하거나 회전시키는 드리프터(230)와, 상기 드릴로드(220)와 드리프터(230)를 지지하면서 상기 드리프터(230)를 승강시키는 락드릴 프레임(2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인 상기 할암장치(100)의 구성요소들을 순서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구동부(110)는 상기 할암봉(160)을 회전시켜서 할암방향, 즉 상기 할암봉(160)이 확장되는 방향을 조절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회전모터(111)와 감속기(112)를 갖는다. 상기 감속기(112)는 상기 회전모터(111)의 회전속도를 적절히 감속하여 그 하부구조인 연결축(130)에 전달한다.
다음으로 상단결합부(120)는 상기 할암장치(100)의 상반부를 상기 착암기(200)의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지지해 주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분리판(121)과 고정판(122) 및 결합볼트(12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분리판(121)은 상기 구동부(110), 바람직하기로는 감속기(112)의 케이싱 일측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고정판(122)은 상기 착암기(200), 바람직하기로는 락드릴 프레임(240)의 상측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분리판(121)과 고정판(122)은 다수개의 결합볼트(123)에 의해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연결축(130)은 상기 구동부(110)의 하단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구동부(110)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축(130)은 상부연결축(131)과 하부연결축(132)으로 분할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부연결축(131)과 하부연결축(132)은 상부프랜지(133)와 하부프랜지(134) 및 결합볼트(135)에 의해서 하나의 축으로 연결된다.
상기 연결축(130)이 분할구조로 이루어지면, 상기 할암장치(100)는 상부파트와 하부파트를 분리할 수 있어서 보관이나 운반 및 설치작업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때, 상부파트는 구동부(110)와, 상단결합부(120) 및 상부연결축(131)으로 구성되고, 하부파트는 하부연결축(132)과 신축부(140), 하단결합부(150) 및 할암봉(160)으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신축부(140)는 상기 연결축(130)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 또는 수축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래서 예컨대 상기 할암봉(160)을 착암홀 속으로 삽입할 때는 상기 신축부(140)가 신장되고, 상기 할암봉(160)을 회수 할 때는 상기 신축부(140)가 수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신축부(140)는 유압실린더(141)와 신축로드(142) 및 승강파이프(14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압실린더(141)는 상단부가 상기 연결축(130)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신축로드(142)는 상기 유압실린더(141)의 하단을 통해 출몰하면서 신장 또는 수축된다.
상기 승강파이프(143)는 상기 유압실린더(141)와 신축로드(142)를 함께 수용하여 보호하는 것으로, 상기 신축로드(142)의 하단부가 상기 승강파이프(143)의 하단에 지지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신축로드(142)가 신장 또는 수축하면, 승강파이프(143)는 유압실린더(141)를 둘러싼 상태에서 그 상단부가 상기 유압실린더(141)의 외경부를 따라 승강하게 된다.
상기 하단결합부(150)는 할암장치(100)의 하반부를 착암기(200)의 하단에 탈착 가능하게 지탱시켜 주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인 구조는 상기 상단결합부(120)와 유사하며, 분리판(151)과 고정판(152) 및 결합볼트(15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분리판(151)은 신축부(140), 바람직하기로는 유압실린더(141)의 케이싱 일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고정판(152)은 착암기(200), 바람직하기로는 락드릴 프레임(240)의 하측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분리판(151)과 고정판(152)은 다수개의 결합볼트(153)에 의해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하단결합부(150)는 추가적으로 상기 유압실린더(141)의 상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링(154)을 가질 수 있다. 그래서 하단결합부(150)가 신축부(140)를 지지한 상태에서도 상기 연결축(130)이 회전하면, 상기 신축부(140)도 함께 회전한다.
상기 할암봉(160)은 상기 신축부(140)의 하단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착암기(200)가 미리 뚫어놓은 착암홀 속에 삽입되어 암반을 쪼개는 기능을 한다. 즉, 상기 할암봉(160)에 설치된 다수개의 피스톤(161)들이 유압에 의해 돌출하면서 암반을 절개하는 것이다. 첨부 도 2에서는 피스톤(161)이 설치된 할암봉(160)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할암봉(160)은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할암봉 중 어떤 것을 사용해도 좋다.
마지막으로 상기 관절부(170)는 상기 신축부(140)와 할암봉(160)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신축부(140)의 회전력을 할암봉(160)으로 전달하면서 동시에 할암봉(160)에 외력이 미치면 상기 할암봉(160)이 절곡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할암작업을 위하여 천공홀에 할암봉(160)을 삽입할 때 천공홀의 각도와 할암봉(160)의 각도가 정확히 일치하지 않더라도 입구만 맞춘 상태에서 천공홀 속으로 할암봉(160)을 밀어 넣으면, 상기 관절부(170)로 인해 할암봉(160)의 각도가 적절히 절곡되면서 천공홀 속으로 용이하게 삽입된다.
또한, 천공홀 속에 할암봉(160)을 삽입한 상태에서 암반의 결에 따라 할암방향을 변경할 필요가 있을 경우, 구동부(110)를 이용하여 할암봉(160)을 회전시켜서 할암방향, 즉 상기 할암봉(160)에서 피스톤(161)들이 돌출되는 방향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첨부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부(170)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관절헤드(171)와 관절컵(172) 및 스토퍼(17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관절헤드(171)는 상기 신축부(140)의 하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대체로 구(球)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관절컵(172)은 상기 할암봉(160)의 상단에 구비되는 컵 형상으로서 상기 관절헤드(171)를 수용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173)는 상기 관절컵(172)의 상단 테두리에 결합되어 상기 관절헤드(171)가 관절컵(172) 밖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동시에 상기 할암봉(160)의 절곡각도를 제한한다.
상기 관절헤드(171)와 관절컵(172)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 횡단면(A-A’선 단면)의 형상이 서로 대응하는 다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횡단면(A-A’선 단면)은 상기 할암봉(160)의 길이방향 단면과 직교하는 지름방향 단면을 의미한다. 상기 관절부(170)는 관절헤드(171)와 관절컵(172)의 횡단면(A-A’선 단면)이 서로 대응하는 다각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 인해서 상기 신축부(140)의 회전력이 그대로 할암봉(160)으로 전달된다.
한편, 상기 할암봉(160)의 절곡방향은 상기 횡단면(A-A’선 단면)의 형상에 의해서 결정된다. 예컨대 상기 횡단면(A-A’선 단면)이 사각 구조이면 할암봉(160)이 4 방향으로 절곡되고, 오각 구조이면 5 방향, 육각 구조이면 6 방향, 그리고 팔각 구조이면 8 방향으로 각각 절곡된다. 첨부 도 4에서는 상기 관절헤드(171)와 관절컵(172)의 횡단면(A-A’선 단면)이 각각 육각 구조인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사각이나 오각 또는 팔각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할암장치(100)는 통상적인 착암기(200)에 부착된 상태로 할암작업을 실시하고, 할암작업이 끝나면 상기 착암기(200)에서 분리하여 별도로 보관 및 운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신축부(140)와 상기 할암봉(160)을 구동하는데 필요한 유압은 별도의 유압호스(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음)를 통해서 착암기(200)를 구동하는 굴착기나 크롤러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다.
(100) 할암장치 (110) 구동부
(111) 회전모터 (112) 감속기
(120) 상단결합부 (121,151) 분리판
(122,152) 고정판 (123,153) 결합볼트
(130) 연결축 (131) 상부연결축
(132) 하부연결축 (133) 상부프랜지
(134) 하부프랜지 (135) 결합볼트
(140) 신축부 (141) 유압실린더
(142) 신축로드 (143) 승강파이프
(150) 하단결합부 (154) 지지링
(160) 할암봉 (161) 피스톤
(170) 관절부 (171) 관절헤드
(172) 관절컵 (173) 스토퍼
(200) 착암기 (210) 암
(211) 승강실린더 (212) 틸팅실린더
(220) 드릴로드 (230) 드리프터
(240) 락드릴 프레임

Claims (7)

  1. 회전모터와 감속기를 갖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측방을 착암기의 상단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단결합부와;
    상기 구동부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에 의해서 회전되는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 또는 수축되는 신축부와;
    상기 신축부의 측방을 상기 착암기의 하단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단결합부와;
    상기 신축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할암봉;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암기에 탈착되는 할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와 할암봉 사이에는 추가적으로 관절부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관절부는 상기 신축부의 회전력을 상기 할암봉으로 전달하면서 상기 할암봉을 외력에 의해 절곡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암기에 탈착되는 할암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부는, 상기 신축부의 하단에 구비된 관절헤드와, 상기 할암봉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관절헤드를 수용하는 관절컵과, 상기 관절컵의 상단 테두리에 결합되어 상기 관절헤드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상기 할암봉의 절곡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관절헤드와 관절컵은 각각 횡단면(A-A’선 단면)의 형상이 서로 대응하는 다각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암기에 탈착되는 할암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결합부와 하단결합부는 각각 상기 착암기의 락드릴 프레임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암기에 탈착되는 할암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은 상부연결축과 하부연결축으로 분할되어 있고, 상기 상부연결축과 하부연결축은 상부프랜지와 하부프랜지 및 결합볼트에 의해서 하나의 축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암기에 탈착되는 할암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는, 상기 연결축의 하단에 결합된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의 하단에서 신장 또는 수축하는 신축로드와, 상기 유압실린더와 신축로드를 수용하는 승강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파이프는 하단부가 상기 신축로드의 하단에 지지되어 있어서 상기 신축로드가 신장 또는 수축하면, 상기 승강파이프가 상기 유압실린더의 외경부를 따라 승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암기에 탈착되는 할암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결합부는 상기 유압실린더의 상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둘러싸는 지지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암기에 탈착되는 할암장치.
KR1020210016784A 2021-02-05 2021-02-05 착암기에 탈착되는 할암장치 KR102515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784A KR102515073B1 (ko) 2021-02-05 2021-02-05 착암기에 탈착되는 할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784A KR102515073B1 (ko) 2021-02-05 2021-02-05 착암기에 탈착되는 할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3062A true KR20220113062A (ko) 2022-08-12
KR102515073B1 KR102515073B1 (ko) 2023-03-29

Family

ID=82803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6784A KR102515073B1 (ko) 2021-02-05 2021-02-05 착암기에 탈착되는 할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507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4483Y1 (ko) 2000-09-27 2001-02-15 서동소 굴삭기의 암반 균열장치
JP2001073662A (ja) * 1999-09-07 2001-03-21 Yamamoto Rock Machine Co Ltd 岩盤破砕装置
KR100294476B1 (ko) * 1998-07-22 2001-07-12 석철기 암반파쇄장치
KR20080072128A (ko) * 2007-02-01 2008-08-06 김형구 중장비용 암반파쇄기
KR101448294B1 (ko) * 2013-12-27 2014-10-07 (주)한진디엔비 방향제어가 가능한 수평천공방법 및 그 장치.
KR101666994B1 (ko) 2015-06-08 2016-10-18 지준모 멀티스플리터
KR101938252B1 (ko) * 2018-07-09 2019-01-14 김준성 할암기 가이드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4476B1 (ko) * 1998-07-22 2001-07-12 석철기 암반파쇄장치
JP2001073662A (ja) * 1999-09-07 2001-03-21 Yamamoto Rock Machine Co Ltd 岩盤破砕装置
KR200214483Y1 (ko) 2000-09-27 2001-02-15 서동소 굴삭기의 암반 균열장치
KR20080072128A (ko) * 2007-02-01 2008-08-06 김형구 중장비용 암반파쇄기
KR101448294B1 (ko) * 2013-12-27 2014-10-07 (주)한진디엔비 방향제어가 가능한 수평천공방법 및 그 장치.
KR101666994B1 (ko) 2015-06-08 2016-10-18 지준모 멀티스플리터
KR101938252B1 (ko) * 2018-07-09 2019-01-14 김준성 할암기 가이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5073B1 (ko) 2023-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41235B2 (ja) 孔掘削工法及び孔掘削装置
US891072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illing large-diameter hole in ground
JP5535894B2 (ja) 地中障害物の撤去方法とこれに用いる地中障害物の撤去用吊上げ装置
EP175139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dified horizontal directional drilling assembly
CN201843132U (zh) 大孔径深桩长螺旋桩机
KR20220113062A (ko) 착암기에 탈착되는 할암장치
CN116146098A (zh) 一种道路桩基施工钻孔装置
JP4649518B2 (ja) 回転式削孔機用ロータリテーブル及び削孔装置並びに削孔機の抜取方法
JPH03158593A (ja) 自動推進式装置
CN113236113B (zh) 槽孔钻进装置和钻井机
JPS6137411B2 (ko)
CN114790738A (zh) 一种基于装配式大直径管桩的基坑支护施工装置及方法
JP2903053B2 (ja) 基礎ぐい打込み機械
CN104453720A (zh) 两段式旋挖扩底钻头
JP4588732B2 (ja) 反力ウエイト付きチュービング装置
JP4926134B2 (ja) トンネル間連結掘削工法およびトンネル間連結掘削装置
EP2434057B1 (en) Equipment for drilling secant holes
KR100479514B1 (ko) 굴착 장치 및 방법
JP7214265B1 (ja) オールケーシング工法における地中孔掘削装置
KR102477617B1 (ko) 레미콘 주입 및 고화제 분사용 다단 배관이 삽입된 켈리바
US20230332367A1 (en) Drilling apparatus for creating a borehole
CN220202821U (zh) 矩形孔挖掘破碎工作装置及挖掘设备
JP5127274B2 (ja) 二重管式掘削装置およびその施工方法
US20220403702A1 (en) Vibro-anchoring system integrated into horizontal directional rig
CN109630029B (zh) 一种旋挖钻机的桅杆和桅杆升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