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4483Y1 - 굴삭기의 암반 균열장치 - Google Patents

굴삭기의 암반 균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4483Y1
KR200214483Y1 KR2020000027065U KR20000027065U KR200214483Y1 KR 200214483 Y1 KR200214483 Y1 KR 200214483Y1 KR 2020000027065 U KR2020000027065 U KR 2020000027065U KR 20000027065 U KR20000027065 U KR 20000027065U KR 200214483 Y1 KR200214483 Y1 KR 2002144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ck
crusher
actuator
hole
exca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70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동소
Original Assignee
서동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동소 filed Critical 서동소
Priority to KR20200000270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44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44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4483Y1/ko

Links

Landscapes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굴삭기의 암반 균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암반 균열 작업시에 암반상의 홀에 파쇄기 본체를 자동적으로 투입시킴과 아울러 암반 균열 작업후 파쇄기 본체를 자동적으로 픽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굴삭기 본체(10)의 암(11)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됨과 아울러 상부 일측에 유압력으로 작동되는 제 1 액추에이터(13)가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 제 1 부재(12)와, 상기 제 1 부재(12)의 상부 하면에 고정된 지지체(1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 1 액추에이터(13)의 유압력에 의해서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 1 액추에이터(13)의 로드(13')가 측면에 고정되는 제 2 부재(14)와, 상기 제 2 부재(14)의 전방에 지지용 브래킷(17)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면에 드릴(18)과 파쇄기(19)가 설치된 지지부재(16)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굴삭기의 암반 균열장치 {ROCK SPLITTER OF EXCAVATOR}
본 고안은 굴삭기의 암반 균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토목·건설·도로·지하철 공사 등에서의 터파기 작업을 할 때 암반이 출현되게 되는 바, 상기 출현된 암반을 굴착하기 위해서는 암반상에 일정 직경의 홀을 천공함과 아울러 상기 홀에 화약류나 암반 파쇄용 기구 등을 투입하여 암반이 적정하게 균열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홀에 화약류를 투입하여 발파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단시간 내에 적정 크기의 암반을 손쉽게 파쇄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소음과 진동 및 먼지 등의 환경 문제에 결부되는 도심지에서는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홀에 암반 파쇄용 기구를 투입하여 암반을 균열시키는 경우에는 파쇄 효율은 저하되나 소음과 진동 및 먼지 등의 발생이 최소화됨에 따라 그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의 암반 파쇄용 기구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하측에 수평면을 형성한 파쇄기 본체(1)와, 상기 파쇄기 본체(1)의 내측으로 연통되어 유압 공급기(미도시)로 부터 공급되는 오일을 파쇄기 본체(1)로 출입시키는 오일 이동관(2)과, 상기 파쇄기 본체(1)에 형성된 실린더실(미도시)에 설치되고 오일 이동관(2)을 통해 유입된 오일의 압력차로 작동되는 피스톤(3)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파쇄기 본체(1)를 이용하여 암반을 굴착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시하지 않은 드릴을 사용하여 암반상에 적정 직경의 홀을 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천공된 홀 내측으로 파쇄기 본체(1)를 작업자가 직접 투입하는 것이다. 상기 홀에 파쇄기 본체(1)를 투입할 때 파쇄기 본체(1)에 설치된 피스톤(3)이 실린더실에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피스톤(3)의 선단이 파쇄기 본체(1)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홀에 파쇄기 본체(1)를 투입한 후 유압 공급기를 작동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유압 공급기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유압 공급기의 오일이 오일 이동관(2)을 경유하여 파쇄기 본체(1)의 실린더실로 위치하는 것이고, 상기 실린더실에 오일이 위치됨과 동시에 피스톤(3)을 압박하는 것이며, 상기 피스톤(3)은 압박됨과 동시에 파쇄기 본체(1)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홀의 주변 암반을 균열시키는 것이다.
상기 암반을 균열시킨 후 암반상에서 파쇄기 본체(1)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먼저, 유압 공급기를 작동시켜 오일이 파쇄기 본체(1)에서 유압 공급기로 귀환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오일이 귀환될 때 피스톤(3)은 실린더실 내측으로 복귀하는 것으로서, 상기 피스톤(3)의 위치가 원래의 상태로 전환되게 되면 파쇄기 본체(1)의 외주연에 피스톤(3)의 선단면이 대향되는 것이다. 상기한 피스톤(3)을 파쇄기 본체(1) 내측으로 위치시킨 후 작업자가 직접 파쇄기 본체(1)를 잡고 당기므로써 암반과의 분리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암반 파쇄용 기구는, 작업자가 직접 파쇄기 본체(1)를 픽업하여 암반상의 홀에 투입한 후 암반을 균열시킴과 아울러 상기 암반 균열 후 작업자가 재차 파쇄기 본체(1)를 직접 픽업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파쇄기 본체(1)의 하측이 평면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암반의 홀에 파쇄기 본체(1)를 투입할 때 홀 주변부에 파쇄기 본체(1)의 하측면이 접촉되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게 되고, 상기 접촉 현상이 발생될 때는 파쇄기 본체(1)를 재차 들어 올린후 홀에 대향시켜야 하므로 투입 작업이 불편한 단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시정하여, 암반 균열 작업시에 암반상의 홀에 파쇄기 본체를 자동적으로 투입시킴과 아울러 암반 균열 작업후 파쇄기 본체를 자동적으로 픽업할 수 있도록 한 굴삭기의 암반 균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굴삭기 본체의 암이 결합됨과 아울러 일측에 유압력으로 작동되는 제 1 액추에이터가 고정된 제 1 부재와, 상기 제 1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 1 액추에이터의 로드가 고정된 제 2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방에 드릴과 파쇄기가 설치된 지지부재로 구성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것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요부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지지부재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사용 상태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사용 상태 평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암반 파쇄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굴삭기 본체 11: 암
12: 제 1 부재 14: 제 2 부재
16: 지지부재 18: 드릴
19: 파쇄기 28: 지지핀
30: 와이어 31: 스프링
본 고안은 도 2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굴삭기 본체(10)의 암(11)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됨과 아울러 상부 일측에 유압력으로 작동되는 제 1 액추에이터(13)가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 제 1 부재(12)와, 상기 제 1 부재(12)의 상부 하면에 고정된 지지체(1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 1 액추에이터(13)의 유압력에 의해서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 1 액추에이터(13)의 로드(13')가 측면에 고정되는 제 2 부재(14)와, 상기 제 2 부재(14)의 전방에 지지용 브래킷(17)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면에 드릴(18)과 파쇄기(19)가 설치된 지지부재(16)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제 1 부재(12)에 결합되는 굴삭기 본체(10)의 암(11)에는 암 연결핀(20)을 고정하고, 상기 암(11) 상측에는 유압력으로 작동되는 유압 실린더(21)를 설치하고, 상기 유압 실린더(21)의 로드(21')에 링크 연결핀(22)을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암 연결핀(20)과 링크 연결핀(22)을 제 1 부재(12)에 고정된 브래킷(23)에 위치시킴과 아울러 고정체(24)를 위치시켜 볼트(25)로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제 1 부재(12)에 고정된 브래킷(23)은 핀 안착부(26)를 형성하여 상기 암 연결핀(20)과 링크 연결핀(22)을 위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 1 액추에이터(13)는 제 1 부재(12)의 지지체(15)에 지지된 제 2 부재(14)를 적정 범위 내에서 회동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 액추에이터(13)의 로드(13')를 하향으로 밀면 제 2 부재(14)의 하면이 우측으로 향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 제 1 액추에이터(13)의 로드(13')를 상향으로 당기면 제 2 부재(14)의 하면이 좌측으로 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 2 부재(14)의 하면을 좌우측으로 향하도록 하는 경우는 암반의 형성 위치와 굴착방향 또는 굴삭기 본체(10)의 정차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제 2 부재(14)에 설치되는 지지부재(16)는 지지용 브래킷(17)을 통해서 안정적으로 지지됨과 아울러 일정 범위 내로 회전되는 것이고, 상기 지지부재(16)의 회전을 단속하기 위하여 제 2 부재(14)와 지지부재(16)를 제 2 액추에이터(27)로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제 2 액추에이터(27)는 상기 제 1 액추에이터(13)와 동일하게 유압력으로 작동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 2 액추에이터(27)를 제 2 부재(14)에 고정함과 동시에 제 2 액추에이터(27)의 로드(27')를 지지부재(16)에 고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2 부재(14)의 하측에 지지핀(28)을 형성하여 제 1 부재(12) 및 제 2 부재(14)를 암반상에 지지핀(28)을 통해 지지시킨 후 지지부재(16)에 설치된 드릴(18)과 파쇄기(19)를 작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지지핀(28)을 암반상에 지지시키게 되면 드릴(18) 작업시 드릴(18)의 천공 방향이 일지점을 향하게 됨과 아울러 천공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천공후 지지부재(16)를 회전시키게 되면 파쇄기(19)가 이미 천공된 홀(h)에 대향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부재(16)에 설치되는 드릴(18)과 파쇄기(19)는 유압력에 의해서 작동되는 것으로서, 상기 드릴(18)은 회전되면서 하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암반을 천공하는 것이고, 상기 파쇄기(19)는 지지부재(16)에 고정된 제 3 액추에이터(29)의 작동 로드(29')에 와이어(30)를 통해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와이어(30)의 외측에는 스프링(31)을 설치함과 아울러 스프링(31)의 상하측에 작동 로드(29')와 파쇄기(19)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파쇄기(19)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때 회동되지 않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파쇄기(19)는 봉상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하측을 원추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천공된 홀(h)로 파쇄기(19)가 안정적으로 투입되게 하는 것이고, 상기 파쇄기(19) 내부는 유체가 출입되는 실린더실(32)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실린더실(32)에 피스톤(33)을 설치하여 유체 압력차로 피스톤(33)이 파쇄기(19) 내외측으로 이동되게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암반 균열 작업시에 암반상의 홀(h)에 파쇄기(19)를 자동적으로 투입시킴과 아울러 암반 균열 작업후 파쇄기(19)를 자동적으로 픽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암반상에 홀(h)을 천공하기 위해서는 굴삭기 본체(10)를 적정 위치에 정차시킨 후 암(11)과 유압 실린더(21)를 작동시킨다. 상기 암(11)과 유압 실린더(21)를 작동시켜 암반 상측에 제 1, 2 부재(12,14)를 위치시킴과 아울러 지지핀(28)을 암반상에 지지시킨다.
상기한 제 1, 2 부재(12,14)의 위치가 암반 경사 각도에 대응되지 않는 경우에는 유압 실린더(21)와 제 1 액추에이터(13)를 작동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유압 실린더(21)를 작동시키면 암 연결핀(20)을 지점으로 제 1 부재(12)가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고, 상기 제 1 액추에이터(13)를 작동시키면 지지체(15)를 지점으로 제 2 부재(14)가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다.
상기 암반상에 지지핀(28)을 지지시켜 제 1, 2 부재(12,14)의 위치 세팅이 완료되게 한 후 드릴(18)을 작동시킨다. 상기 드릴(18)을 작동시키게 되면 암반상에 적정 크기의 홀(h)이 천공되는 것이고, 상기 천공후 드릴(18)의 작동을 정지시키면 원래의 상태로 드릴(18)이 복귀하는 것이다. 상기 드릴(18)을 이용하여 홀(h)을 천공한 후 제 2 액추에이터(27)를 작동시켜 지지부재(16)가 회전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부재(16)가 제 2 액추에이터(27)에 의해서 회전되게 되면 상기 홀(h)에 파쇄기(19)의 하단부가 대향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홀(h)에 파쇄기(19)를 대향시킨 후 제 3 액추에이터(29)를 작동시켜 와이어(30)에 지지된 파쇄기(19)를 홀(h) 내측으로 투입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 파쇄기(19)가 하향할 때 스프링(31)의 지지력에 의해서 파쇄기(19)가 흔들리지 않고 일정 지점으로 하향되는 것이고, 상기 홀(h) 주변부에 파쇄기(19)의 하측면이 접촉되더라도 하측면이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홀(h) 내측으로 자동 투입되는 것이다.
상기 홀(h)에 파쇄기(19)를 투입한 후 유압력으로 파쇄기(19)의 피스톤(33)을 작동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유압력이 실린더실(32)의 피스톤(33)에 전달됨과 동시에 파쇄기(19) 외측으로 피스톤(33)이 돌출되면서 홀(h)의 주변 암반을 균열시키는 것이며, 상기 암반을 균열시킨 후 파쇄기(19)에 가하던 유압을 제거하면 피스톤(33)이 파쇄기(19)의 실린더실(32) 내측으로 복귀하는 것이다. 상기 피스톤(33)의 위치를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킨 후 제 3 액추에이터(29)를 작동시켜 와이어(30)에 지지된 파쇄기(19)를 홀(h) 외측으로 당겨 올리므로써 암반과 분리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 천공된 홀(h) 주변의 암반을 균열시킨 후 암반상에 또다른 홀을 천공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굴삭기 본체(10) 또는 암(11)과 유압 실린더(21)를 작동시킴과 아울러 지지핀(28)을 통해 지지시킨 후 적정 지점에 홀(h)을 천공하는 것이고, 상기 홀(h)을 천공한 후 지지부재(16)를 회전시켜 파쇄기(19)를 자동 투입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암반을 균열시키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굴삭기 본체의 암에 제 1, 2 부재를 결합함과 아울러 상기 제 2 부재에 드릴과 파쇄기가 설치된 지지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암반을 굴착할 때 암반상에 홀을 천공한 후 파쇄기를 자동 투입한 후 균열시킬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암반을 균열시킨 후 파쇄기를 자동적으로 픽업할 수 있어 암반 균열 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부재 하측에 지지핀을 형성함으로써 드릴을 통한 천공 작업시 안정적인 천공 지지가 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천공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암반상의 홀에 파쇄기를 투입할 때 홀 주변부에 파쇄기의 하측면이 접촉되더라도 하측면에 형성된 원추부분이 홀 내측으로 안내됨에 따라 파쇄기가 간단하게 홀 내측으로 투입되는 것이며, 상기 파쇄기가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에 스프링의 지지력에 의해서 파쇄기가 회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위치 이동하는 것이다.

Claims (4)

  1. 굴삭기 본체(10)의 암(11)이 결합됨과 아울러 일측에 유압력으로 작동되는 제 1 액추에이터(13)가 고정된 제 1 부재(12)와, 상기 제 1 부재(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 1 액추에이터(13)의 로드(13')가 고정된 제 2 부재(14)와, 상기 제 2 부재(1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방에 드릴(18)과 파쇄기(19)가 설치된 지지부재(1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암반 균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재(14)와 지지부재(16)를 제 2 액추에이터(27)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암반 균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재(14)의 하측에 지지핀(28)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암반 균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기(19)의 하측을 원추형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파쇄기(19)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와이어(30)에 스프링(31)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암반 균열장치.
KR2020000027065U 2000-09-27 2000-09-27 굴삭기의 암반 균열장치 KR2002144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065U KR200214483Y1 (ko) 2000-09-27 2000-09-27 굴삭기의 암반 균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065U KR200214483Y1 (ko) 2000-09-27 2000-09-27 굴삭기의 암반 균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4483Y1 true KR200214483Y1 (ko) 2001-02-15

Family

ID=73089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7065U KR200214483Y1 (ko) 2000-09-27 2000-09-27 굴삭기의 암반 균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448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9671B1 (ko) * 2001-06-19 2004-07-12 정순자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암반파쇄기
KR101666994B1 (ko) * 2015-06-08 2016-10-18 지준모 멀티스플리터
KR20210007555A (ko) 2019-07-12 2021-01-2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무진동 무소음 할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연속 할암 방법
KR20220113062A (ko) 2021-02-05 2022-08-12 현일산업 주식회사 착암기에 탈착되는 할암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9671B1 (ko) * 2001-06-19 2004-07-12 정순자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암반파쇄기
KR101666994B1 (ko) * 2015-06-08 2016-10-18 지준모 멀티스플리터
KR20210007555A (ko) 2019-07-12 2021-01-2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무진동 무소음 할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연속 할암 방법
KR20220113062A (ko) 2021-02-05 2022-08-12 현일산업 주식회사 착암기에 탈착되는 할암장치
KR102515073B1 (ko) 2021-02-05 2023-03-29 현일산업 주식회사 착암기에 탈착되는 할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504198A (ja) 重機用アタッチメントカップリング装置
JP2012503114A (ja) 岩石物質に亀裂を入れる方法および破壊装置
CN101105037A (zh) 建筑机械
KR200214483Y1 (ko) 굴삭기의 암반 균열장치
AU783852B2 (en) Percussive apparatus such as a rock breaker
KR102195905B1 (ko) 다방향 플라즈마-유압 할암봉을 구비한 할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할암 방법
WO1995006786A1 (fr) Systeme de pelle hydraulique
KR102340894B1 (ko) 무진동 무소음 할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연속 할암 방법
KR100911914B1 (ko) 건설장비용 진동 파쇄기
KR100478029B1 (ko) 무진동 암반파쇄기용 브라켓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암반굴착 방법
KR102271931B1 (ko) 굴삭기 장착용 천공장치
KR102245287B1 (ko) 하이브리드 수중 암반 파쇄 장치 및 공법
JP6834041B1 (ja) 杭抜き方法
KR101313318B1 (ko) 천공기
KR100855709B1 (ko) 리퍼 기능을 갖는 유압브레이커
JP3132747U (ja) 管の周方向破断分離装置
KR101938252B1 (ko) 할암기 가이드 장치
KR20160004311U (ko) 지반 굴착용 오거 비트
KR100574561B1 (ko) 출선구 센터 굴착 장치
KR102613542B1 (ko) 확공 오거 및 이를 이용한 확공말뚝 시공 방법
TW479097B (en) Excavation construction method and excavation device
JPS63184612A (ja) 拡底掘削機
KR102668516B1 (ko) 내부 파일절단기를 갖는 굴착일체형 해저관입파일 절단장비 및 그 작동방법
JPH11200763A (ja) 地中掘削機
KR100797582B1 (ko) 암반 굴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0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