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4311U - 지반 굴착용 오거 비트 - Google Patents

지반 굴착용 오거 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4311U
KR20160004311U KR2020150003676U KR20150003676U KR20160004311U KR 20160004311 U KR20160004311 U KR 20160004311U KR 2020150003676 U KR2020150003676 U KR 2020150003676U KR 20150003676 U KR20150003676 U KR 20150003676U KR 20160004311 U KR20160004311 U KR 2016000431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
tip
excavation
ground
au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36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형식
Original Assignee
오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형식 filed Critical 오형식
Priority to KR20201500036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4311U/ko
Publication of KR201600043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31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0/00Drill bits
    • E21B10/42Rotary drag type drill bits with teeth, blades or like cutting elements, e.g. fork-type bits, fish tail bit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0/00Drill bits
    • E21B10/42Rotary drag type drill bits with teeth, blades or like cutting elements, e.g. fork-type bits, fish tail bits
    • E21B10/43Rotary drag type drill bits with teeth, blades or like cutting elements, e.g. fork-type bits, fish tail bi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eeth or other cut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0/00Drill bits
    • E21B10/46Drill bits characterised by wear resisting parts, e.g. diamond inserts
    • E21B10/54Drill bits characterised by wear resisting parts, e.g. diamond inserts the bit being of the rotary drag type, e.g. fork-type bit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0/00Drill bits
    • E21B10/62Drill bits characterised by parts, e.g. cutting elements, which are detachable or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반 굴착을 위한 굴착장비에 장착되어 호박돌 등과 같이 큰 돌덩어리나 암반 등을 파쇄하는 오거 비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몸체의 단부에 형성된 삽입공간에 비트팁을 삽입 설치함으로써 지반 굴착시 돌덩어리나 암반과의 강한 충격에도 비트팁이 몸체로부터 탈락되지 않는 지반 굴착용 오거 비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지반 굴착을 위한 굴착장비에 장착되는 오거 비트에 있어서, 상기 굴착장비에 고정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단부에 설치되는 비트팁으로 구성되되, 상기 비트팁은 상기 몸체의 단부에 양측이 개구된 형태로 함몰 형성된 비트팁삽입홈에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굴착용 오거 비트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지반 굴착용 오거 비트{Auger bit}
본 고안은 지반 굴착을 위한 굴착장비에 장착되어 호박돌 등과 같이 큰 돌덩어리나 암반 등을 파쇄하는 오거 비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몸체의 단부에 형성된 삽입공간에 비트팁을 삽입 설치함으로써 지반 굴착시 돌덩어리나 암반과의 강한 충격에도 비트팁이 몸체로부터 탈락되지 않는 지반 굴착용 오거 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약지반을 개량하거나 건축구조물을 축조하거나 터널을 시공하기 위해 지반을 수직 혹은 수평으로 굴착할 때 굴착 구경에 맞는 크기를 가진 굴착장비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굴착장비는 전진 및 회전 운동을 의해 지반 내부를 강한 압력으로 굴착하는 것이다. 이때 굴착장비의 선단이나 외면에는 지반 굴착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굴착 중에 자갈이나 암반 등을 파쇄하는 오거 비트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의 오거 비트는 굴착로드에 고정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단부에 설치되어 돌덩어리나 암반 등을 파쇄하는 비트팁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오거 비트는 몸체에 의해 굴착로드에 장착된 상태에서 비트팁이 굴착로드의 전진 및 회전 운동에 따라 돌덩어리나 암반을 파쇄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오거 비트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트팁(T)이 몸체(B)의 단부에 형성된 상호 수직을 이루는 한 쌍의 안착면(F)에 얹혀진 상태에서 좁합 고정되는 구조임에 따라 지반 굴착시 호박돌 등과 같이 비교적 큰 돌덩어리나 암반과의 강한 충격에 의해 비트팁이 몸체로부터 탈락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지반 굴착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탈락된 비트팁에 의해 굴착로드가 파손 및 손상되는 폐단을 초래하고 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11902호, 2006.02.03.자 공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지반 굴착시 비교적 큰 돌덩어리나 암반 등으로부터 강한 압력과 충격이 전달되더라도 비트팁이 몸체로부터 탈락되는 폐단을 해소할 수 있도록 비트팁이 몸체에 설치되는 설치구조를 개선한 지반 굴착용 오거 비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지반 굴착용 오거 비트는 지반 굴착을 위한 굴착장비에 장착되는 오거 비트에 있어서, 상기 굴착장비에 고정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단부에 설치되는 비트팁으로 구성되되, 상기 비트팁은 상기 몸체의 단부에 양측이 개구된 형태로 함몰 형성된 비트팁삽입홈에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트팁은 상기 비트팁삽입홈에 적어도 절반 이상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트팁은 상기 비트팁삽입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은납을 이용한 브레이징 용접에 의해 상기 몸체와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의 단부 일측에는 보강팁삽입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보강팁삽입홈에는 보강팁이 외부로 돌출되게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팁은 상기 보강팁삽입홈에 압입되어 상기 몸체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하기와 같은 효과들을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비트팁이 몸체의 단부에 함몰 형성된 삽입공간에 삽입 설치됨에 따라 강한 압력이나 충격에도 비트팁이 몸체로부터 쉽게 탈락되지 않게 됨으로써 지반 굴착 작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몸체의 단부 일측면에 보강팁이 외부로 돌출되게 압입 설치됨에 따라 모래나 자갈이나 암반 등과 강하게 접촉하는 몸체의 일측면을 보강하게 됨으로써 마모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반 굴착용 오거 비트를 도시한 일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반 굴착용 오거 비트를 도시한 타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반 굴착용 오거 비트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종래의 지반 굴착용 오거 비트를 도시한 일측면도.
본 발명에 따른 지반 굴착용 오거 비트는 지반 굴착을 위해 사용되는 굴착장비의 단부나 외주면에 장착되어 지반 굴착시 모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강도 강하여 저항력이 강한 돌덩어리나 암반 등을 파쇄 굴착하기 위한 장치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지반 굴착용 오거 비트는 몸체의 단부에 설치되어 돌덩어리나 암반 등을 파쇄하는 주기능을 하는 비트팁이 돌덩어리나 암반 등에 의한 강한 저항력에 의해 몸체로부터 탈락되지 않게 한 것이 큰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은 몸체와 비트팁 간의 결합 구조를 개선 보완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즉, 비트팁을 몸체의 단부에 단순 재치시킨 종래의 결합구조와 달리, 비트팁을 몸체의 단부에 형성된 비트팁삽입홈에 삽입한 결합구조에 의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반 굴착용 오거 비트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반 굴착용 오거 비트를 도시한 일측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반 굴착용 오거 비트를 도시한 타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반 굴착용 오거 비트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반 굴착용 오거 비트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와 비트팁(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100)는 굴착장비(미도시)의 단부나 외주면에 설치되어 비트팁(200)을 굴착장비에 일체화시키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몸체(100)는 굴착장비에 장착되는 장착부(110)와, 상기 장착부(110)의 단부에 연장 형성되어 비트팁(200)이 설치되는 설치부(120)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몸체(100)의 설치부(120) 단부 일측에는 비트팁(200)을 삽입 설치하기 위한 비트팁삽입홈(110)이 소정깊이로 함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비트팁삽입홈(121)은 비트팁(200)을 통해 돌덩어리나 암반 등을 원활한 파쇄 굴착할 수 있도록 비트팁(200)의 단부 모서리단들을 포함한 전면부와 양측면이 모두 외부로 노출되도록 양측이 개구된 형태로 함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비트팁삽입홈(121)은 비트팁(200)을 삽입 설치할 때 설치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비트팁(200)의 상면과 하면 및 후면이 면접되는 몸체(100)의 내상면(122)과 내하면(123) 및 내저면(124)에 의해 그 형태를 이루게 된다. 단, 몸체(100)의 내상면(122)과 내하면(123)은 상호 평행을 이루고, 몸체(100)의 내저면(124)은 내상면(122) 또는 내하면(123)과 수직을 이룬다.
상기 비트팁(200)은 몸체(100)의 단부에 설치되어 몸체(100)에 의해 굴착장비에 일체화된 상태에서 굴착장비가 전진 및 회전 운동하면서 지반을 굴착할 때 돌덩어리나 암반 등을 파쇄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비트팁(200)은 초경으로 이루어지되, 몸체(100)의 비트팁삽입홈(121)에 삽입 설치되는 삽입부(210)와, 삽입부(210)의 일단에 연장 형성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파쇄부(220)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비트팁(200)은 비트팁삽입홈(121)에 견고하게 삽입 설치되도록 그 전체 중에서 삽입되는 부분이 절반 이상이 되는 것이 바람지하다. 즉, 비트팁(200)은 삽입부(210)가 파쇄부(220)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비트팁(200)은 비트팁삽입홈(121)에 삽입 설치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은납으로 브레이징 용접(brazing welding)하여 상기 몸체(100)와 접합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비트팁(200)의 상면과 하면 및 후면 가장자리가 브레이징 용접에 의해 용융 고착된 은납에 의해 몸체(100)의 내상면(120)과 내하면(130) 및 내저면(140) 가장자리에 접합 고정된다.
여기서 브레이징 용접을 행하는 이유는 브레이징 용접시에는 은납을 녹여서 비트팁(200)과 몸체(100)를 상호 접합시킴으로써 몸체(100)와 비트팁(200)의 변형 등을 유발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비트팁(200)은 몸체(100)의 비트팁삽입홈(121) 내측에 절반 이상이 삽입 설치되어 은납으로 브레이징 용접되어 몸체(100)와 견고하게 접합 고정됨으로써 지반 굴착시 호박돌과 같이 비교적 큰 돌덩어리나 암반 등과 강하게 부딪히더라도 몸체(100)로부터 쉽게 탈락하지 않게 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반 굴착용 오거 비트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반 굴착시 지반과 강하게 접촉되는 몸체(100)의 일측면을 보호하는 보강팁(30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보강팁(300)은 몸체(100)의 단부 일측에 소정깊이로 함몰 형성된 보강팁삽입홈(125)에 단부가 외부로 돌출되게 삽입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보강팁(300)은 몸체(100)보다 기계적 강도가 높은 초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보강팁(300)은 보강팁삽입홈(125)에 설치할 때는 별도로 브레이징 용접하지 않고 강한 압력을 순간적으로 가하는 압입식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브레이징 용접이 필요하지 않는 이유는 지반 굴착시 지반과의 접촉으로 인한 강한 압력이 보강팁(300)을 보강팁삽입홈(125) 측으로 밀어넣는 방향으로 가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반 굴착시 보강팁(300)이 몸체(100)에 앞서 지반과 접촉하게 됨으로써 몸체(100)의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지반 굴착용 오거 비트는 몸체에 비트팁이 삽입 설치된 형태로 구성됨에 따라 지반 굴착시 강한 압력에도 비트팁이 몸체에서 쉽게 탈락되지 않아 원활한 지반 굴착이 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몸체의 일측면에 보강팁이 돌출되게 설치됨에 따라 몸체와 지반 간의 마찰을 줄여 사용 수명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0: 몸체
110: 장착부
120: 설치부
121: 비트팁삽입홈
122: 내상면
123: 내하면
124: 내저면
125: 보강팁삽입홈
200: 비트팁
210: 삽입부
220: 파쇄부
300: 보강팁

Claims (5)

  1. 지반 굴착을 위한 굴착장비에 장착되는 오거 비트에 있어서,
    상기 굴착장비에 고정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단부에 설치되는 비트팁으로 구성되되, 상기 비트팁은 상기 몸체의 단부에 양측이 개구된 형태로 함몰 형성된 비트팁삽입홈에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굴착용 오거 비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팁은 상기 비트팁삽입홈에 적어도 절반 이상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굴착용 오거 비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팁은 상기 비트팁삽입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은납을 이용한 브레이징 용접에 의해 상기 몸체와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굴착용 오거 비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단부 일측에는 보강팁삽입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보강팁삽입홈에는 보강팁이 외부로 돌출되게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굴착용 오거 비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팁은
    상기 보강팁삽입홈에 압입되어 상기 몸체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굴착용 오거 비트.
KR2020150003676U 2015-06-08 2015-06-08 지반 굴착용 오거 비트 KR2016000431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676U KR20160004311U (ko) 2015-06-08 2015-06-08 지반 굴착용 오거 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676U KR20160004311U (ko) 2015-06-08 2015-06-08 지반 굴착용 오거 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311U true KR20160004311U (ko) 2016-12-16

Family

ID=57708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3676U KR20160004311U (ko) 2015-06-08 2015-06-08 지반 굴착용 오거 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4311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2681A (ko) * 2020-10-21 2022-04-28 강태영 트렌치커터의 커팅바이트
KR102543806B1 (ko) * 2022-12-31 2023-06-15 이중하 용접 육성부위가 형성되는 천공기의 bc커터 투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1902A (ko) 2006-01-14 2006-02-03 주식회사 동아지질 굴착력을 증대시킨 굴착비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1902A (ko) 2006-01-14 2006-02-03 주식회사 동아지질 굴착력을 증대시킨 굴착비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2681A (ko) * 2020-10-21 2022-04-28 강태영 트렌치커터의 커팅바이트
KR102543806B1 (ko) * 2022-12-31 2023-06-15 이중하 용접 육성부위가 형성되는 천공기의 bc커터 투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20414B2 (ja) 縦挽き鋸ブーツ
EP3184729B1 (en) Excavation tool
CN110073063A (zh) 具有带有支承肋部的末端的器具末端组件
KR20160004311U (ko) 지반 굴착용 오거 비트
JP2007224549A (ja) ビット
EP2523782B1 (en) Percussion rock drilling machine and drill rig
JP6460777B2 (ja) 補強鋼管及び拡径治具のセット並びに補強鋼管を用いた掘削補助工法
JP2021038545A (ja) ケーシングビット及びケーシングパイプの先端構造
KR20160058811A (ko) 내균열성 플러싱 홀을 구비하는 섕크 어뎁터
KR20100052400A (ko) 충격굴착장치를 장착한 터널천공기계
KR100948756B1 (ko) 암반천공장치의 암반절삭공구
CN101506438A (zh) 包括高强尖端的改进的掘进靴
CN211819264U (zh) 一种建筑工程用基桩钻掘套管
US7278692B2 (en) Bit block with shroud protector
JP2002371782A (ja) 掘削ビット
JP6489705B2 (ja) 掘削ビット
CN212454241U (zh) 一种软岩隧道自钻管棚钻头结构
CN114320362B (zh) 一种复杂区穿山公路隧道初支结构及支护方法
CN217399777U (zh) 便于安装的具备防漏土功能的挖掘机挖斗
KR102062137B1 (ko) 충격흡수를 향상시킨 굴삭기용 투스 바디조립체
KR20120111208A (ko) 지반 천공장치의 해머비트 구조
CN110637138B (zh) 钢筋混凝土结构物破碎用空气锤钻头
KR20220010375A (ko) 지반 굴착용 오거 비트
JP6589374B2 (ja) 掘削工具
JP2017133328A (ja) カッタービ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