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2909A - 의료영상 촬영장치 - Google Patents

의료영상 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2909A
KR20220112909A KR1020210016289A KR20210016289A KR20220112909A KR 20220112909 A KR20220112909 A KR 20220112909A KR 1020210016289 A KR1020210016289 A KR 1020210016289A KR 20210016289 A KR20210016289 A KR 20210016289A KR 20220112909 A KR20220112909 A KR 20220112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ntry
present
bed
imaging apparatus
medical im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6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우
김광선
이희신
김진국
Original Assignee
제이피아이헬스케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피아이헬스케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이피아이헬스케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16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2909A/ko
Publication of KR20220112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29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23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hygiene 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61B6/0407Supports, e.g. tables or beds, for the body or part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29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 A61B6/4435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the source unit and the detector unit being coupled by a rigid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4Medical instruments, e.g. endoscopes, catheters, shar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영상 장비의 가용 효율을 향상시키고 유지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의료영상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 중앙부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하우징, 적어도 1개 이상의 촬영수단과 적어도 1개 이상의 제 1살균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 구동하는 환형의 갠트리 및 상기 갠트리 내로 출입하도록 슬라이딩 이동하는 베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료영상 촬영장치{Medical Imag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료영상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비의 가용 효율을 향상시키고 유지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의료영상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료영상 촬영장치는 환자 등의 대상자의 내부 구조를 영상으로 획득하기 위한 장비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신체 내의 조직 및 유체 흐름 등을 촬영하고 이를 처리하여 의사 등의 사용자에게 개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의료영상 촬영장치에 의하여 출력되는 영상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건강 상태 및 질병을 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의료영상 촬영장치는 컴퓨터 단층 촬영장치(CT: Computed Tomography), 자기공명 영상장치(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양전자 단층 촬영장치(PET: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C-ARM형 촬영장치 등이 있다.
이에 대한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88742호에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11) 내부에 회전 구동하는 원통형 갠트리(12), 상기 갠트리(12)의 일측에 서로 대향되도록 설치되는 엑스선 소스(13) 및 엑스선 디텍터(14), 상기 갠트리(12) 내부로 출입하는 베드(15)를 구비하는 컴퓨터 단층 촬영장치(10) 및 상기 컴퓨터 단층 촬영장치(10)의 동작 제어와 영상 복원 등을 수행하는 제어콘솔(20)을 포함하는 의료영상 촬영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의료영상 촬영장치는 대상자(P)가 누운 상태로 위치하는 상기 베드(15)가 상기 갠트리(12) 내부(12`)로 진입하여 관심 영역이 상기 엑스선 소스(13) 측에 도달하면 상기 갠트리(12)와 함께 회전하는 엑스선 소스(13) 및 상기 엑스선 디텍터(14)에 의하여 대상자의 관심 영역이 촬영된다.
이러한 종래의 의료영상 촬영장치는 상기 갠트리(12) 내부와 상기 베드(14) 등 대상자에 의한 접촉 또는 비접촉 오염이 쉽게 발생하므로 대상자가 교체될 때 마다 상기 갠트리(12) 내부와 상기 베드(15) 등에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작업을 수행해야한다.
이에 따라, 이러한 종래의 의료영상 촬영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은 오염물질 제거 작업에 따라 장비의 사용율이 저하되는 것은 물론 유지 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88742호(공개일 2017.08.02.)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대상자의 교체에 따라 수행되는 오염물질 제거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의료영상 촬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료영상 촬영장치는 중앙부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하우징, 적어도 1개 이상의 촬영수단과 적어도 1개 이상의 제 1살균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 구동하는 환형의 갠트리 및 상기 갠트리 내로 출입하도록 슬라이딩 이동하는 베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베드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제 2살균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살균수단과 상기 제 2살균수단은 각각 UV살균기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료영상 촬영장치는 대상자의 교체에 따라 수행되는 오염물질 제거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함으로써 장비의 회전 효율 향상과 유지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종래의 의료영상 촬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영상 촬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영상 촬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 예에 따른 의료영상 촬영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와 도 3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영상 촬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의료영상 촬영장치는 하우징(100)과 갠트리(200) 및 베드(300)를 포함하는 컴퓨터 단층 촬영장치(CT: Computed Tomography), 자기공명 영상장치(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양전자 단층 촬영장치(PET: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등과 같은 의료영상 쵤영장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100)은 중앙부에 관통홀(110)이 형성되며, 상기 갠트리(200)의 회전시킬 수 있는 구동부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갠트리(200)는 전체적으로 환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적어도 1개 이상의 촬영수단(210)과 적어도 1개 이상의 제 1살균수단(220)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110)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100)에 대하여 회전 구동한다.
이에 따라, 상기 촬영수단(210)과 상기 제 1살균수단(220)은 상기 갠트리(200)와 함께 회전 구동한다.
또한, 상시 촬영수단(210)은 다양한 종류의 신호를 조사하여 대상자의 내부 조직 및 유체 흐름 등을 촬영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영상 촬영장치인 경우 상기 촬영수단(210)은 엑스선을 조사하는 엑스선 소스와 상기 엑스선 소스와 대향되도록 상기 갠트리(200)에 설치되는 엑스선 디텍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살균수단(220)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갠트리(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하여 2개사 설치될 수도 있는 1개만 설치되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제 1살균수단(220)은 살균 대상물에 자외선을 쐬어 바이러스, 대장균, 곰팡이 등의 세균 증식을 방지하고 살균할 수 있는 UV살균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살균수단(220)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베드(300) 측으로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베드(300)는 촬영 대상자가 누운 상테로 위치하면 상기 갠트리(200) 내부로 출입하도록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에 따라, 상기 베드(300)의 폭은 상기 갠트리(20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드(300)는 좌우측으로도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드(300)는 측면 또는 저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설치되는 제 2살균수단(310)을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기 상기 제 2살균수단(310)은 상기 제 1살균수단(220)과 마찬가지로 살균 대상물에 자외선을 쐬어 바이러스, 대장균, 곰팡이 등의 세균 증식을 방지하고 살균할 수 있는 UV살균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살균수단(310)은 상기 갠트리(200)이 내주면 측으로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영상 촬영장치의 작동방법은 하기와 같다.
대상자가 상기 베드(300)에 누운 상태로 대기한다.
이때, 대상자는 인간과 동물을 포함하여 인간이나 동물의 생체 또는 혈관, 뼈, 근육 등과 같은 생체 내 조직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후, 상기 베드(300)는 상기 갠트리(200) 내측으로 진입하고 관심영역에 도달하면 상기 촬영수단(210)에 의하여 대상자의 관심영역에 대한 촬영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갠트리(200)는 회전함에 따라 상기 촬영수단(210) 역시 같이 회전하면서 대상자의 관심영역을 360°촬영할 수 있다.
이후, 촬영이 완료되면 상기 베드(300)는 초기 위치로 복귀하고 대상자는 상기 배드(300)로부터 벗어난다.
이후, 상기 제 1살균수단(220)과 상기 제 2살균수단(310)은 각각 자외선을 상기 베드(300) 측과 상기 갠트리(200) 내부 측으로 조사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갠트리(200)는 회전 구동하고 상기 베드(300)는 상기 갠트리(200) 내로 왕복 이동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의료영상 촬영장치는 쵤영을 마친 대상자에 의한 접촉 또는 비접촉으로 쉽게 오염이 발생되는 상기 갠트리(200) 내측과 상기 베드(300)를 자동으로 살균함에 따라 장비의 회전 효율 향상과 유지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하우징
110. 관통홀
200. 갠트리
210. 촬영수단
220. 제 1살균수단
300. 베드
310. 제 2살균수단

Claims (3)

  1. 중앙부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하우징;
    적어도 1개 이상의 촬영수단과 적어도 1개 이상의 제 1살균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 구동하는 환형의 갠트리; 및
    상기 갠트리 내로 출입하도록 슬라이딩 이동하는 베드;를 포함하는 의료영상 촬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제 2살균수단을 포함하는 의료영상 촬영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살균수단과 상기 제 2살균수단은 각각 UV살균기인 의료영상 촬영장치.
KR1020210016289A 2021-02-04 2021-02-04 의료영상 촬영장치 KR202201129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289A KR20220112909A (ko) 2021-02-04 2021-02-04 의료영상 촬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289A KR20220112909A (ko) 2021-02-04 2021-02-04 의료영상 촬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2909A true KR20220112909A (ko) 2022-08-12

Family

ID=82803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6289A KR20220112909A (ko) 2021-02-04 2021-02-04 의료영상 촬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1290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8742A (ko) 2016-01-25 2017-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워크스테이션 이를 포함하는 의료영상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8742A (ko) 2016-01-25 2017-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워크스테이션 이를 포함하는 의료영상 장치,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7821B1 (ko) 치과 의료진단용 복합영상 촬영장치
JP4859446B2 (ja) 回転血管撮影のための血管撮影x線診断装置
JP6297504B2 (ja) デジタルラジオグラフィ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EP1893090B1 (de) Verfahren und system zur knochendichtekalibrierung
WO2018138329A1 (de) Desinfektionsautomat zur desinfektion der haut und verfahren
JP2003522583A (ja) 臨床スクリーニングctシステム
Sheth et al. A mobile isocentric C‐arm for intraoperative cone‐beam CT: technical assessment of dose and 3D imaging performance
US20140336495A1 (en) Medical imaging device with disinfection unit
KR20070104924A (ko) 가변 재구성 기하적 구조를 포함하는 단층촬영기기
KR101175027B1 (ko) 카메라가 구비된 구강 내 엑스선 촬영장치
JP3929217B2 (ja) X線ct撮影方法及びその装置
KR102022477B1 (ko) 방사선영상 촬영을 위한 검사용 카세트 트레이 일체형 병실 침대
CN111513744A (zh) 医疗扫描装置、控制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Ritschl et al. The rotate‐plus‐shift C‐arm trajectory. Part I. Complete data with less than 180° rotation
JP2007190132A (ja) X線検査装置
US20230346328A1 (en) Imaging device and method for multiple image acquisition
KR20220112909A (ko) 의료영상 촬영장치
JP5806812B2 (ja) X線ct装置
KR101525503B1 (ko) C-암 헤드 커버
AU2021392614A1 (en) Multi-axis medical imaging
Badea et al. A 3D imaging system for dental imaging based on digital tomosynthesis and cone beam CT
KR102403652B1 (ko) 방사선 검사 장치
EP1688084A1 (en) Antimicrobial patient support device for medical equipment
Goodsitt The history of tomosynthesis
KR20220112910A (ko) 컴퓨터단층 이미지와 열화상 이미지 병합을 통한 환부위치 측정 및 체온 모니터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