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5027B1 - 카메라가 구비된 구강 내 엑스선 촬영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가 구비된 구강 내 엑스선 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5027B1
KR101175027B1 KR1020110016841A KR20110016841A KR101175027B1 KR 101175027 B1 KR101175027 B1 KR 101175027B1 KR 1020110016841 A KR1020110016841 A KR 1020110016841A KR 20110016841 A KR20110016841 A KR 20110016841A KR 101175027 B1 KR101175027 B1 KR 101175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y
camera
unit
radiator
imag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6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레나
Original Assignee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16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5027B1/ko
Priority to US14/000,979 priority patent/US9386958B2/en
Priority to PCT/KR2012/000958 priority patent/WO2012115372A2/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5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5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1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1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entistry
    • A61B6/512Intraor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05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the apparatus being movable or portable, e.g. handheld or mounted on a troll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29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가 구비된 구강 내 엑스선 촬영장치는 프레임;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게 설치되며 일단부 측이 구강 내로 삽입되며 구강 내에 삽입되는 일단부 측에 엑스선 조사구가 형성되고 상기 엑스선 조사구를 통해 엑스선을 조사하는 엑스선 조사부; 상기 엑스선 조사부의 일단부 측에 구비되며 구강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에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출력하는 모니터부;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엑스선 조사부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엑스선 조사부에서 조사된 엑스선을 구강 외부에서 검출하는 엑스선 검출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가 구비된 구강 내 엑스선 촬영장치는 엑스선 조사부를 구강 내에 위치시키므로, 낮은 엑스선 선량으로도 우수한 품질의 영상을 얻을 수 있으며, 고스트 영상을 제거함으로써 영상 진단 시 혼란을 야기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구강 내에서 촬영하고자 하는 치아를 정확하게 확인하여 촬영하고자 하는 치아에만 엑스선을 조사할 수 있어 환자의 두부에 가해지는 방사선의 피폭량(被曝量 : 인체가 방사능에 분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가 구비된 구강 내 엑스선 촬영장치{X-RAY PANORAMA IMAGING APPARATUS HAVING A CAMERA IN ORAL CAVITY}
본 발명은 카메라가 구비된 구강 내 엑스선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강 내에 위치한 엑스선 조사부를 이용해 낮은 엑스선 선량으로 치과 치료에 필요한 파노라마 영상을 얻는 경우 확대율이 일정하고 정확한 영상을 얻을 수 있는 카메라가 구비된 구강 내 엑스선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에서는 치아/치주질환 치료 및 치열교정을 위해 치아를 포함한 치조골(齒槽骨, 치아 주위구조)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엑스선 촬영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한 엑스선 촬영장치(X-ray equipment)의 사용목적은, 다양한 방사선학적 검사를 통해 악골(顎骨, 턱뼈)의 크기와 외형, 수직적 및 수평적 축을 따라 변화되는 골의 해부학적 변이의 인지와 더불어, 악골내 존재하는 병적인 요소 및 시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보를 시술자(치과의)가 고려하기 위함이며, 이와 같은 영상학적 정보는 최적의 치과 시술과 시술 후 장기적인 성공을 증진시키는 모든 과정에 중요하다 할 수 있다.
그에 따른 영상 촬영법은 대부분이 엑스선(X-ray : 방사선)을 조사하는 방식으로, 치아를 포함한 치조골을 이차원 평면적으로 촬영하는 파노라마 영상(Panoramic x-ray image) 및 그보다 정밀하게 삼차원 입체적으로 촬영하는 CT 영상(Computerized tomography), 환자의 두부(頭部)를 전방에서 후방, 후방에서 전방, 좌측 또는 우측에서 촬영하는 세팔로 영상(Cephalometric image, 두부계측법) 등이 활용되고 있다.
종래의 엑스선 촬영장치는 환자의 두부를 중심으로 엑스선 조사부가 일측에 위치하고 반대쪽인 타측에 엑스선 검출부(Detector)가 위치하게 되므로, 엑스선 조사부에서 조사된 엑스선이 두부 전체를 통과해야 하므로 엑스선의 세기가 강해야 한다. 또한 엑스선 조사부의 치아에 대한 조사각도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고정된 각도에서 촬영한 영상만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두부에 필요 이상의 방사선 피폭량이 가해지는 문제점, 필요한 치아에 대한 영상 이외의 다른 치아의 영상도 함께 촬영되는 고스트(Ghost) 영상이 존재하는 문제점,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한 치아에 대한 영상을 얻을 수 없는 문제점 및 엑스선 촬영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의 엑스선 촬영장치는 치아의 정확한 촬영을 위해서는 엑스선 검출부(Detector)를 구강 내에 위치해야되는데 이 경우 상기 엑스선 검출부의 크기 때문에 촬영 시 환자에게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 구강 내에서 촬영이 필요한 치아를 확인할 수 없어 엑스선 조사 면적이 넓어지고 환자의 두부에 가해지는 방사선의 피폭량(被曝量 : 인체가 방사능에 분량)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엑스선 검출부가 치아에 밀착되지 않아 영상의 정밀도가 낮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가 구비된 구강 내 엑스선 촬영장치는 다음과 같은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한다.
첫째, 엑스선 조사부를 구강 내에 위치시켜서, 촬영하고자 하는 치아를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고 낮은 엑스선 선량으로 우수한 품질의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둘째, 엑스선 조사부를 구강 내에 위치시켜서, 고스트 영상을 제거함으로써 영상 진단 시 혼란을 야기하지 않도록 한다.
셋째, 엑스선 조사부를 구강 내에 위치시켜 엑스선 촬영을 할 경우 엑스선 촬영부와 엑스선 검출부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치아의 각 부분을 촬영한 영상의 확대율을 일정하게 한다.
넷째, 엑스선 조사부를 구강 내에 위치시켜 엑스선 촬영을 할 경우 엑스선 검출부가 최대한 촬영되는 치아에 밀착되어 왜곡없는 정확한 치아 영상을 얻을 수 있게 한다.
다섯째, 엑스선 조사부에서 낮은 선량의 엑스선을 조사하므로, 두부에 가해지는 방사선의 피폭량(被曝量 : 인체가 방사능에 분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섯째, 엑스선 조사부의 조사각도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각도의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일곱째, 엑스선 조사부가 소형이므로, 엑스선 촬영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이 작아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가 구비된 구강 내 엑스선 촬영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게 설치되며 일단부 측이 구강 내로 삽입되며 구강 내에 삽입되는 일단부 측에 엑스선 조사구가 형성되고 상기 엑스선 조사구를 통해 엑스선을 조사하는 엑스선 조사부; 상기 엑스선 조사부의 일단부 측에 구비되며 구강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에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출력하는 모니터부; 및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엑스선 조사부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엑스선 조사부에서 조사된 엑스선을 구강 외부에서 검출하는 엑스선 검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엑스선 조사부에는 구강 내부를 조명할 수 있는 광원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엑스선 조사부는, 길이방향이 구강 내부로 삽입되게 배치된 본체; 상기 본체의 단부에서 상부 또는 하부로 돌출되며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엑스선 조사구가 구비되는 엑스선 조사체;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조사체를 회전시키는 조사체 회전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엑스선 조사체에 장착되며, 상기 카메라부와 엑스선 조사구는 상기 엑스선 조사체의 회전 중심에서 각도 차이를 두고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엑스선 조사체는 상기 본체에 틸팅(Tilting)되게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엑스선 조사구에는 상기 엑스선 조사구의 개방 크기를 조절하는 조리개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엑스선 조사구는 상기 엑스선 조사체의 회전 중심에서 상기 카메라부와 각도 차이를 두고 이격되게 복수로 배치되며, 각각 크기가 달라 엑스선 선량이 다르게 조사되는 것이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복수의 엑스선 조사구는 각각 개폐 가능하여 촬영 대상을 향한 엑스선 조사구만 개방되고 다른 엑스선 조사구는 닫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엑스선 조사체에서 상기 카메라부와 상기 엑스선 조사구는 동일한 원주에 배치되고, 서로 180도 회전된 위치에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가 구비된 구강 내 엑스선 촬영장치는 상기 엑스선 조사부와 상기 엑스선 검출부를 연결하는 지지암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엑스선 검출부는 상기 지지암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게 상기 지지암에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가 구비된 구강 내 엑스선 촬영장치는 상기 엑스선 조사부와 상기 엑스선 검출부를 연결하는 지지암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암은 길이 조절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엑스선 검출부는 일측이 상기 지지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부재와, 상기 링크부재의 타 측에 구비되며 엑스선을 검출하는 검출 패널부재를 포함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지지암에 연결되는 제 1 링크와, 힌지 연결부로 상기 제 1 링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검출 패널부재가 구비된 제 2 링크를 포함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힌지 연결부는 상기 제 2 링크를 탄성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가 구비된 구강 내 엑스선 촬영장치는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부에 상기 엑스선 조사부가 결합되는 베이스 지지구가 구비된 받침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받침판은 하부에 홈이 형성된 가이드블럭을 구비하여,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고 원호 형태의 가이드레일에 상기 가이드블럭의 홈이 끼워져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엑스선 조사부는 상기 받침판에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제2구동부를 구비하여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가 구비된 구강 내 엑스선 촬영장치는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의 하부가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을 더 포함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가 구비된 구강 내 엑스선 촬영장치는 엑스선 조사부를 구강 내에 위치시키므로, 낮은 엑스선 선량으로도 우수한 품질의 영상을 얻을 수 있으며, 고스트 영상을 제거함으로써 영상 진단 시 혼란을 야기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구강 내에서 촬영하고자 하는 치아를 정확하게 확인하여 촬영하고자 하는 치아에만 엑스선을 조사할 수 있어 환자의 두부에 가해지는 방사선의 피폭량(被曝量 : 인체가 방사능에 분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엑스선 조사부와 엑스선 검출부(Detector)의 사이 거리가 최소화되어 촬영된 치아의 각 부분에서 확율이 일정한 영상을 얻을 수 있고, 왜곡되지 않고 정확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엑스선 조사부의 조사각도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각도의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가 구비된 구강 내 엑스선 촬영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엑스선 조사부에 대한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승강부가 구비된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엑스선 검출부가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엑스선 검출부가 각도 조절 가능하게 구비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엑스선 검출부가 분리 가능하게 구비된 예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3은 도 1의 프레임 내부를 나타낸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환자의 두부에 엑스선 조사부의 조사각도 변화에 따른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7 내지 도 18은 엑스선 조사부의 조사 각도를 조절하여 촬영하는 예를 나타낸 개략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가 구비된 구강 내 엑스선 촬영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가 구비된 구강 내 엑스선 촬영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가 구비된 구강 내 엑스선 촬영장치는, 프레임(100)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00)에는 환자손잡이(120)가 구비되어 환자가 환자손잡이(120)를 잡고 촬영 시 자세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0)은 차폐유리(700)를 구비하여 엑스선 조사부(400)에서 조사되는 엑스선의 유출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 이외의 다른 사람이 방사선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가 구비된 구강 내 엑스선 촬영장치는, 상기 프레임(100)에 지지되게 설치되며 일단부 측이 구강내로 삽입되는 엑스선 조사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엑스선 조사부(400)는 구강 내로 삽입된 일단부 측에 엑스선을 방출시키는 엑스선 조사구(410)가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면에는 상기 엑스선 조사부(400)가 결합되는 베이스 지지구(440)가 구비된다. 본 발명인 엑스선 촬영장치는 상기 프레임(100)에 구비되며 상기 엑스선 조사부(400)의 일단부 측에 배치되는 턱 받침부(6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턱 받침부(600)는 사용자 즉, 엑스선 촬영이 필요한 환자의 턱을 받침으로써 엑스선 촬영 시 환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엑스선 촬영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상기 엑스선 조사부(400)는 상기 베이스 지지구(440)에 길이 방향을 회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엑스선 조사구(410)의 위치를 360도 회전시켜 자유롭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엑스선 조사구(410)는 상기 엑스선 조사부(400)의 일 단부에서 구강 외부를 향해 개구되어 촬영하고자 하는 치아가 위치한 방향으로 엑스선을 조사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엑스선 조사부(400)에는 카메라부(300)가 구비되어 구강 내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카메라부(300)는 모니터부(310)에 연결되어 상기 모니터부(310)로 촬영된 영상을 전달한다. 상기 엑스선 조사부(400)에는 구강 내부를 조명할 수 있는 광원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카메라부(300)로 환자의 구강 내부를 촬영하여 모니터부(310)로 전송함으로써 구강 내부에서 치아를 확인할 수 있으며, 촬영하고자 하는 치아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을 참조하면, 상기 엑스선 조사부(400)는 길이방향이 구강 내부로 삽입되게 배치된 본체(401)와, 상기 본체(401)의 단부에서 상부 또는 하부로 돌출되며 상기 본체(40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엑스선 조사구(410)가 구비된 엑스선 조사체(402)와, 상기 본체(401)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조사체(402)를 회전시키는 조사체 회전 모터(403)를 포함한다. 상기 엑스선 조사체(402)는 상기 조사체 회전 모터(403)의 작동에 의해 회전된다.
또 상기 카메라부(300)는 상기 엑스선 조사체(402)에 장착되며, 상기 카메라부(200)와 엑스선 조사구(410)는 상기 엑스선 조사체(402)의 회전 중심에서 각도 차이를 두고 배치된다. 일 예로 상기 엑스선 조사체(402)에서 상기 카메라부(300)와 상기 엑스선 조사구(410)는 동일한 원주 상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엑스선 조사체(402)에서 상기 카메라부(300)와 상기 엑스선 조사구(410)는 동일한 원주에 배치되고, 서로 정반대편 즉, 서로 180도 회전된 위치에 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상기 예에서 상기 엑스선 조사체(402)가 구강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단 카메라부(300)가 치아를 향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카메라부(300)가 치아를 촬영하여 엑스선 촬영하고자 하는 치아의 위치를 확인한다. 그리고 카메라부(300)로 치아의 위치가 확인된 위치에서 상기 엑스선 조사체(402)는 상기 조사체 회전 모터(403)에 의해 180도로 회전되어 도 3을 참조하면, 카메라부(300)가 위치된 그 위치로 상기 엑스선 조사구(410)를 위치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카메라부(300)로 확인된 위치로 엑스선 조사구(410)를 정확하게 위치시켜 촬영하고자 하는 치아를 향해 엑스선을 조사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엑스선 조사구(410)에는 상기 엑스선 조사구(410)의 개방 크기를 조절하는 조리개가 구비된다. 상기 조리개는 상기 카메라부(300)에서 확인된 치아 크기 및 개수 등의 촬영 범위에 따라 상기 엑스선 조사구(410)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엑스선 조사구(410)를 통해 조사되는 상기 엑스선의 조사량을 조절한다.
또한, 도 4을 참고하면, 상기 엑스선 조사구(410)는 상기 엑스선 조사체(402)의 회전 중심에서 상기 카메라부(300)와 각도 차이를 두고 이격되게 복수로 배치되며, 각각 크기가 달라 엑스선 선량이 다르게 조사되는 것이 배치된다.
즉, 상기 카메라부(300)에서 확인된 촬영 범위에 따라 상기 회전부(900)에서 회전되는 회전체(800)의 각도를 조절하여 복수의 엑스선 조사구(410) 중 치아의 크기 개수에 따른 촬영 범위 맞는 엑스선 선량을 조사하는 엑스선 조사구(410)를 선택해서 조사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엑스선 조사구(410)는 각각 개폐 가능하여 촬영 대상을 향한 엑스선 조사구(410)만 개방되고 다른 엑스선 조사구는 닫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부(300)에서 엑스선 촬영이 필요한 치아를 확인하고, 해당 치아의 촬영 범위에 맞게 상기 엑스선 조사부(400)에서 조사되는 상기 엑스선 조사량을 조절하여 엑스선을 조사함으로써 신체의 내부에서 신체로 가해지는 방사선의 피폭량(被曝量 : 인체가 방사능에 분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엑스선 조사체(402)는 상기 본체(401)에 유니버셜조인트(Universal joint) 또는 볼-엔드-소켓 조인트(Ball and socket joint) 등 다양한 형태로 결합되어 틸팅(Tilting)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401)와 상기 엑스선 조사체(402)가 이루는 사이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므로, 상기 엑스선 조사부(400)는 구강 내에서 촬영대상 치아의 위치에 따라 상기 엑스선 조사체(402)의 각도를 조절하여 촬영대상 치아를 향해 엑스선을 정확하게 조사할 수 있다.
엑스선 조사부(400)의 내부에는 엑스선 조사를 위한 콜리메이터(Collimator)가 장착된 엑스선 광원부(미도시)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엑스선 광원부(미도시)에서 발생한 엑스선은 엑스선 조사부(400)에 형성된 엑스선 조사구(410)를 통해 기준방향으로 조사된다. 여기서 기준방향이란 상기 엑스선 조사부(400)에서 촬영하고자 하는 치아가 위치한 방향을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가 구비된 구강 내 엑스선 촬영장치는, 상기 엑스선 조사부(400)에서 조사된 엑스선을 구강 외부에서 검출하는 엑스선 검출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엑스선 검출부(500)는 상기 프레임(100)에서 상기 엑스선 조사부(400)와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엑스선 조사부(400)와의 간격이 조절되게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본 발명인 엑스선 촬영장치는,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엑스선 조사부(400)와 상기 엑스선 검출부(500)를 연결하는 지지암(52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엑스선 검출부(500)는 상기 엑스선 조사부(400)와의 간격이 조절되게 상기 지지암(52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엑스선 검출부(500)는 상기 엑스선 조사부(400)의 엑스선 조사구(410)와 대향되게 위치된다. 또, 엑스선 검출부(500)는 상기 엑스선 조사부(400)와 상기 지지암(520)을 통해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엑스선 조사부(400)가 베이스 지지구(440)에서 회전될 때 함께 회전된다.
즉, 상기 엑스선 검출부(500)는 상기 엑스선 조사부(400)가 회전되어 상기 엑스선 조사구(410)의 위치가 변경될 때 상기 엑스선 조사부(400)와 함께 일체로 회전되어 상기 엑스선 조사구(410)와 대향되게 위치된 상태로 계속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엑스선 조사부(400)에서 조사된 엑스선은 상기 엑스선 검출부(500)에 직각으로 조사된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100)은 승강부(210)에 결합되고, 상기 승강부(210)는 하부 프레임(200)과 결합된다. 즉 상기 승강부(210)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상기 프레임(100)이 결합되고, 길이방향의 타측에는 상기 하부 프레임(200)이 결합된다. 상기 승강부(210)는 길이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한 지지수단으로 유압실린더 등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프레임(200)의 하부에는 바퀴(220)를 구비하여, 상기 프레임(100)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도 있다.
따라서 환자의 신장에 따라 상기 프레임(100)의 높이를 조절하여 환자의 치아를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퀴(220)와 이동용 손잡이(140)를 이용하여 필요한 장소로 상기 프레임(100)을 이동할 수 있어, 공간활용도를 극대화 할 수 있다.
상기 엑스선 검출부(500)는 상기 엑스선 조사부(400)와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이동되어 환자의 안면에 밀착되어 엑스선 촬영되는 대상체(object) 즉, 치아와의 거리가 최소화된다.
엑스선 촬영 시 엑스선 촬영되는 대상체(object) 즉, 치아와 상기 엑스선 검출부(500)의 거리는 근접될수록 바람직하다. 이는 엑스선 촬영 시 대상체에 상기 엑스선 검출부(500)가 최대한 밀착되어야 실제 치아의 실물 크기에 가까운 배율 즉, 1 : 1 배율로 촬영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 각기 다른 치아를 촬영할 경우 실체 치아의 확대비율이 일정해야 각각의 치아를 정확하게 비교 확인할 수 있어 확대비율을 일정하게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확대 비율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엑스선 촬영되는 대상체(object) 즉, 치아와 상기 엑스선 검출부(500)의 거리(ODD ; Object Detector Distance)가 일정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엑스선 촬영 시 상기 엑스선 검출부(500)를 이동시켜 환자의 안면에 밀착시킴으로써 치아와 상기 엑스선 검출부(500)의 거리를 최소화하고 각각의 다른 치아에서 치아와 엑스선 검출부(500)의 거리를 거의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엑스선 검출부(500)는 상기 지지암(52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게 상기 지지암(520)에 결합된다. 본 발명은 상기 지지암(52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스크류(800)와, 상기 스크류(800)에 나사 결합하여 상기 지지암(5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엑스선 검출부(500)가 연결되는 검출 지지부(810)를 포함한다.
상기 스크류(800)의 단부에는 스크류(800)의 회전 조작을 위한 핸들부(82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스크류(800)에 연결되어 상기 스크류(800)를 정, 역 회전시키는 스크류 회전 모터(830), 상기 엑스선 검출부(500)에 구비되어 상기 엑스선 검출부(500)가 안면에 접촉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840), 및 상기 감지 센서(840)와 상기 스크류 회전 모터(830)에 연결되어 상기 스크류 회전 모터(830)의 작동을 제어하는 모터 제어부(85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검출 지지부(810)는 상기 스크류(800)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스크류(80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이동된다. 즉, 상기 엑스선 검출부(500)는 상기 스크류(800)의 회전으로 상기 검출 지지부(810)와 일체로 이동되어 안면에 밀착되는 것이다. 그리고 검출 지지부(810)가 이동되어 안면에 밀착되면 감지 센서(840)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모터 제어부(850)에 전달하여 모터 제어부(850)가 상기 스크류 회전 모터(83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지지암(520)을 길이 조절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엑스선 조사부(400)와 상기 엑스선 검출부(500)의 사이 거리를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 지지암(520)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유압 실린더와 같이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기기를 사용할 수도 있고, 중공의 관 형태의 몸체가 다단으로 삽입된 구조로 삽입된 몸체를 인출하여 길이를 조절하는 구조로 실시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엑스선 검출부(500)는 상기 지지 암부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엑스선 검출부(500)를 이동시켜 환자의 안면에 밀착된다.
또한,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엑스선 검출부(500)는 일측이 상기 지지암(5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부재(510)와, 상기 링크부재(510)의 타 측에 구비되며 엑스선을 검출하는 검출 패널부재(530)를 포함한다.
상기 링크부재(510)는 상기 지지암(5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각도가 조절된다.
상기 엑스선 검출부(500)는 이동되어 환자의 안면과 최대한 근접된 후 상기 링크부재(510)의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검출 패널부재(530)를 엑스선 촬영하고자 하는 위치에 더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링크부재(510)는 상기 지지암(520)에 연결되는 제 1 링크(511)와, 힌지 연결부(13)로 상기 제 1 링크(5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검출 패널부재(530)가 구비된 제 2 링크(512)를 포함한다.
상기 링크부재(510)는 상기 제 1 링크(511)와 제 2 링크(512)의 힌지 연결부(513)로 제 2 링크(512)의 각도를 별도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엑스선 검출부(500)는 상기 제 1 링크(511)의 각도 조절 및 상기 제 2 링크(512)의 각도 조절로 상기 검출 패널부재(530)를 엑스선 촬영하고자 하는 위치에 더 정확하게 위치시키고 안면에 최대한 넓은 면적으로 밀착시켜 안정적인 엑스선 촬영이 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 1 링크(511)와 제 2 링크(512)의 힌지 연결부(513)는 탄성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 연결부(513)는 일 단이 상기 제 1 링크(511)의 회전축에 고정되고, 타 단이 상기 제 2 링크(512)의 회전축에 고정된 리턴 스프링(미도시)를 포함하여 상기 제 2 링크(512)를 탄성 지지한다. 상기 제 2 링크(512)는 환자의 안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기울여진 상태로 상기 힌지 연결부(513)에 의해 탄성 지지됨으로써 탄성 지지된 상태로 각도조절되면서 상기 검출 패널부재(530)를 환자의 안면에 확실하게 밀착시킨다.
또한, 상기 엑스선 검출부(500)는 상기 프레임(100)에서 분리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엑스선 검출부(500)는 상기 지지암(52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일 예로한다. 즉,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엑스선 검출부(500)는 상기 지지암(520)에 연결되는 고정 암(540)과, 상기 고정 암(54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엑스선을 검출할 수 있는 검출 패널부재(530)가 구비된 장착 암(55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 암(540)에는 길이 방향으로 상기 장착 암(550)이 삽입되어 결합하는 암 삽입 레일(541)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 암(550)은 상기 고정 암(540)의 단부 측에서 상기 암 삽입 레일(541)을 통해 고정 암(540)의 길이 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상기 엑스선 검출부(500)는 상기 검출 패널부재(530)를 환자의 안면에 밀착시키기 어려운 부분을 엑스선 촬영할 경우 상기 장착 암(550)을 상기 고정 암(540)에서 분리하여 상기 검출 패널부재(530)를 안면에 용이하게 밀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엑스선 조사부(400)는 길이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좌우로 회전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엑스선 조사부(400)는 상기 베이스 지지구(440)를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후측으로 연장바(420)가 돌출된다. 상기 엑스선 조사부(400)와 상기 엑스선 검출부(500)는 상기 지지암(520)으로 지지되어 항상 일체로 움직이게 되므로, 언제나 상기 엑스선 조사부(400)에서 조사된 엑스선은 상기 엑스선 검출부(500)에 조사된다. 상기 엑스선 조사부(400)는 연장바(420)에 기어, 풀리 등의 동력전달수단을 이용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제1구동부(460)를 구비하여 회전된다.
즉,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엑스선 조사부(400)는 촬영대상 치아에 다양한 조사각도로 엑스선을 조사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된 치아의 영상을 획득하여 환자의 치료에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부에 상기 베이스 지지구(440)가 결합된 받침판(150)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판(150)은 하부에 홈이 형성된 가이드블럭(180)을 구비하여, 상기 프레임(100)에 결합된 가이드레일(160)에 상기 가이드블럭(180)의 홈이 끼워져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레일(160)은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나, 원호의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엑스선 조사부(400)는 상기 받침판(150)에 기어, 풀리 등의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제2구동부(480)를 구비하여 이동할 수 있다.
사람의 치아는 반원 형태로 배열되어 있으므로 각각의 치아를 촬영하기 위해서는 상기 엑스선 조사부(400)의 조사방향이 촬영대상 치아를 향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상기 엑스선 조사부(400)는 구강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도 원호 형태의 상기 가이드 레일(160)을 따라 이동되면서 엑스선 조사방향이 촬영대상 치아를 향하도록 이동하여 촬영하고자 하는 치아를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가 구비된 구강 내 엑스선 촬영장치를 이용한 촬영방법은 프레임에 지지되며 단부 측에 형성된 엑스선 조사구(410)를 통해 엑스선을 조사하는 엑스선 조사부(400)의 단부를 환자의 구강 내에 삽입하는 조사부 구강 삽입 단계(S1); 엑스선 조사부(400)에 구비된 카메라부(300)에서 촬영된 영상을 모니터부(310)에서 확인하여 촬영하고자 하는 치아를 확인하는 촬영 치아 확인 단계(S2); 카메라부(300)로 확인된 치아에 엑스선 조사구(410)를 위치시키는 조사구 위치 이동 단계(S3); 엑스선 조사부(400)에서 조사된 엑스선을 검출하도록 구강 외부에 엑스선 검출부(500)를 배치하는 검출부 배치단계(S4); 엑스선 조사부(400)에서 엑스선 조사구(410)를 통해 조사한 엑스선을 엑스선 검출부(500)로 검출하는 촬영 단계(S5)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가 구비된 구강 내 엑스선 촬영장치를 이용한 촬영방법은 상기 조사부 구강 삽입 단계는 상기 카메라부(300)로 엑스선 촬영되는 치아의 위치를 확인한 후 상기 엑스선 조사부(400)로 상기 카메라부(300)로 확인된 촬영 부분에 엑스선을 조사하는 것이다.
도 17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즉, 상기 엑스선 조사체(402)에서 상기 카메라부(300)가 치아를 향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부(300)로 엑스선 촬영되는 치아의 위치를 확인한 후 상기 엑스선 조사체(402)를 180도로 회전시키면 상기 엑스선 조사부(400)가 상기 카메라부(300)가 촬영되는 위치에 대응되게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엑스선 조사부(400)에서 엑스선을 조사하면 엑스선 촬영하고자 하는
또 상기 엑스선 조사체(4002)의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카메라부(300) 및 상기 엑스선 조사구(410)가 향하는 방향을 다양하게 변경하여 구강 내부의 치아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하고,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구강 내에서 엑스선이 조사되는 기준 방향을 조절하여 엑스선 촬영해야하는 치아를 정확하게 촬영한다.
또, 상기 엑스선 조사부(400)와 상기 엑스선 검출부(500)는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지지암(520)으로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검출부 배치단계(S2)는 상기 엑스선 검출부(500)를 배치할 때 상기 엑스선 조사부(400)가 일체로 함께 이동하여 서로 대향되게 위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엑스선 검출부(500)의 위치에 따라 상기 엑스선 조사부(400)의 위치를 재조정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검출부 조정 단계는 이동된 엑스선 검출부(500)의 각도를 조절하여 엑스선 검출부(500)를 환자의 안면에 밀착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가 구비된 구강 내 엑스선 촬영장치를 이용한 촬영방법을 이용하면, 환자의 치아 중 엑스선 촬영이 필요한 치아만을 정확하게 확인하고 선택해서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가 구비된 구강 내 엑스선 촬영장치를 이용한 촬영방법을 이용하면, 환자의 치아 중 환자의 치아 중 엑스선 촬영이 필요한 치아만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고, 재촬영이 없어 환자의 두부에 가해지는 방사선의 피폭량(被曝量 : 인체가 방사능에 분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엑스선 조사부(400)와 엑스선 검출부(500)(Detector)의 사이 거리가 최소화되어 촬영된 치아의 각 부분에서 확율이 일정한 영상을 얻을 수 있고, 왜곡되지 않고 정확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가 구비된 구강 내 엑스선 촬영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프레임 120 : 환자손잡이
140 : 이동용 손잡이 150 : 받침판
160 : 가이드레일 180 : 가이드블럭
200 : 하부 프레임 210 : 승강부
220 : 바퀴 300 : 카메라부
310 : 모니터부 400 : 엑스선 조사부
401 : 본체 402 : 엑스선 조사체
410 : 엑스선 조사구 420 : 연장바
440 : 베이스 지지구 460 : 제1구동부
480 : 제2구동부 500 : 엑스선 검출부
510 : 링크부재 511 : 제 1 링크
512 : 제 2 링크 513 : 힌지 연결부
520 : 지지암 530 : 검출 패널부재
540 : 고정 암 541 : 암 삽입 레일
550 : 장착 암 600 : 턱받침대
700 : 차폐유리 800 : 스크류
810 : 검출 지지부 820 : 핸들부
830 : 스크류 회전 모터 840 : 감지 센서
850 : 모터 제어부

Claims (16)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게 설치되며 일단부 측이 구강 내로 삽입되며 구강 내에 삽입되는 일단부 측에 엑스선 조사구가 형성되고 상기 엑스선 조사구를 통해 엑스선을 조사하는 엑스선 조사부;
    상기 엑스선 조사부의 일단부 측에 구비되며 구강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에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출력하는 모니터부; 및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엑스선 조사부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엑스선 조사부에서 조사된 엑스선을 구강 외부에서 검출하는 엑스선 검출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구강 내 엑스선 촬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조사부에는 구강 내부를 조명할 수 있는 광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구강 내 엑스선 촬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조사부는,
    길이방향이 구강 내부로 삽입되게 배치된 본체;
    상기 본체의 단부에서 상부 또는 하부로 돌출되며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엑스선 조사구가 구비되는 엑스선 조사체;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조사체를 회전시키는 조사체 회전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엑스선 조사체에 장착되며,
    상기 카메라부와 엑스선 조사구는 상기 엑스선 조사체의 회전 중심에서 각도 차이를 두고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구강 내 엑스선 촬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조사체는 상기 본체에 틸팅(Tilting)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구강 내 엑스선 촬영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조사구에는 상기 엑스선 조사구의 개방 크기를 조절하는 조리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구강 내 엑스선 촬영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조사구는 상기 엑스선 조사체의 회전 중심에서 상기 카메라부와 각도 차이를 두고 이격되게 복수로 배치되며, 각각 크기가 달라 엑스선 선량이 다르게 조사되는 것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구강 내 엑스선 촬영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엑스선 조사구는 각각 개폐 가능하여 촬영 대상을 향한 엑스선 조사구만 개방되고 다른 엑스선 조사구는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구강 내 엑스선 촬영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조사체에서 상기 카메라부와 상기 엑스선 조사구는 동일한 원주에 배치되고, 서로 180도 회전된 위치에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구강 내 엑스선 촬영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조사부와 상기 엑스선 검출부를 연결하는 지지암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엑스선 검출부는 상기 지지암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게 상기 지지암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구강 내 엑스선 촬영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조사부와 상기 엑스선 검출부를 연결하는 지지암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암은 길이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구강 내 엑스선 촬영장치.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검출부는 일측이 상기 지지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부재와, 상기 링크부재의 타 측에 구비되며 엑스선을 검출하는 검출 패널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구강 내 엑스선 촬영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지지암에 연결되는 제 1 링크와, 힌지 연결부로 상기 제 1 링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검출 패널부재가 구비된 제 2 링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구강 내 엑스선 촬영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연결부는 상기 제 2 링크를 탄성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구강 내 엑스선 촬영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부에 상기 엑스선 조사부가 결합되는 베이스 지지구가 구비된 받침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받침판은 하부에 홈이 형성된 가이드블럭을 구비하여,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고 원호 형태의 가이드레일에 상기 가이드블럭의 홈이 끼워져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구강 내 엑스선 촬영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조사부는 상기 받침판에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제2구동부를 구비하여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구강 내 엑스선 촬영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의 하부가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구강 내 엑스선 촬영장치.
KR1020110016841A 2011-02-25 2011-02-25 카메라가 구비된 구강 내 엑스선 촬영장치 KR101175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841A KR101175027B1 (ko) 2011-02-25 2011-02-25 카메라가 구비된 구강 내 엑스선 촬영장치
US14/000,979 US9386958B2 (en) 2011-02-25 2012-02-09 Intra-oral X-ray imaging device equipped with camera
PCT/KR2012/000958 WO2012115372A2 (ko) 2011-02-25 2012-02-09 카메라가 구비된 구강 내 엑스선 촬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841A KR101175027B1 (ko) 2011-02-25 2011-02-25 카메라가 구비된 구강 내 엑스선 촬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5027B1 true KR101175027B1 (ko) 2012-08-17

Family

ID=46721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6841A KR101175027B1 (ko) 2011-02-25 2011-02-25 카메라가 구비된 구강 내 엑스선 촬영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386958B2 (ko)
KR (1) KR101175027B1 (ko)
WO (1) WO2012115372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737B1 (ko) * 2015-08-06 2016-01-21 유대현 스마트폰 부착형 구강 촬영 보조 장치
KR20220010324A (ko) * 2020-07-17 2022-01-2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구강검진용 자동 구강 스캔 장치 및 방법
KR102400437B1 (ko) * 2020-12-18 2022-05-20 주식회사 제이코퍼레이션 치아 관측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740B1 (ko) * 2012-11-08 2013-12-06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구강용 엑스선 디텍터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구강용 엑스선 촬영 장치
US11051771B2 (en) * 2014-06-17 2021-07-06 Xintek, Inc. Stationary intraoral tomosynthesis imaging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three dimensional dental imaging
ES2572333B2 (es) * 2015-06-23 2017-03-16 Universidade De Santiago De Compostela Dispositivo para la réplica de imágenes intraorales y uso del mismo
JP7078210B2 (ja) * 2016-05-09 2022-05-31 サラウンド メディカル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3次元歯科用イメージングのための固定式口腔内トモシンセシスイメージングシステム、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US20230404709A1 (en) * 2020-11-03 2023-12-21 Alta Smiles Llc System and method for orthodontic treatment times while minimizing in-office visits for orthodontic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4260A (ja) 2003-05-20 2004-12-09 J Morita Tokyo Mfg Corp 歯科光診断装置
JP2005519719A (ja) 2001-04-06 2005-07-07 デンツプリー・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歯科治療室におけるイメージングシステムのための汎用ドッキングステーション
JP4732332B2 (ja) 2003-03-24 2011-07-27 カルテンバッハ ウント ホイクト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X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506630A1 (de) * 1975-02-17 1976-08-26 Siemens Ag Zahnaerztliche roentgendiagnostikeinrichtung
US4259583A (en) * 1979-05-03 1981-03-31 Albert Richard D Image region selector for a scanning X-ray system
FI89313C (fi) * 1985-09-13 1995-12-04 Planmeca Oy Styrsystem foer panoramatomografiroentgenanordning
EP0372122A1 (en) * 1988-12-08 1990-06-1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ental X-ray image detection system
WO2004084732A1 (de) 2003-03-24 2004-10-07 Kaltenbach & Voigt Gmbh & Co. Kg Röntgengerät
US7029176B2 (en) * 2003-09-12 2006-04-18 Instrumentarium Corp. X-ray apparatus for intraoral imaging applications
WO2006051619A1 (ja) * 2004-11-15 2006-05-18 Kabushiki Kaisha Morita Tokyo Seisakusho 歯科用光診断装置
FI122093B (fi) * 2007-03-19 2011-08-31 Planmeca Oy Röntgensädekeilan rajaaminen hammaslääketieteellisen kuvantamisen yhteydessä
JP4739278B2 (ja) * 2007-05-11 2011-08-03 株式会社モリタ製作所 X線ct撮影装置
KR100941125B1 (ko) 2007-11-23 2010-02-10 (주)덱스코윈 휴대용 구강 촬영 장치
EP2130491B1 (en) * 2008-06-06 2015-08-05 Cefla S.C. Method and apparatus for radiographic imaging
US8430563B2 (en) * 2009-12-22 2013-04-30 Real Time Imaging Technologies, Llc Dental fluoroscopic imaging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19719A (ja) 2001-04-06 2005-07-07 デンツプリー・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歯科治療室におけるイメージングシステムのための汎用ドッキングステーション
JP4732332B2 (ja) 2003-03-24 2011-07-27 カルテンバッハ ウント ホイクト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X線装置
JP2004344260A (ja) 2003-05-20 2004-12-09 J Morita Tokyo Mfg Corp 歯科光診断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737B1 (ko) * 2015-08-06 2016-01-21 유대현 스마트폰 부착형 구강 촬영 보조 장치
KR20220010324A (ko) * 2020-07-17 2022-01-2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구강검진용 자동 구강 스캔 장치 및 방법
KR102422746B1 (ko) 2020-07-17 2022-07-19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구강검진용 자동 구강 스캔 장치
KR102400437B1 (ko) * 2020-12-18 2022-05-20 주식회사 제이코퍼레이션 치아 관측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50298A1 (en) 2014-02-20
WO2012115372A2 (ko) 2012-08-30
WO2012115372A3 (ko) 2012-12-06
US9386958B2 (en) 2016-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5027B1 (ko) 카메라가 구비된 구강 내 엑스선 촬영장치
KR100766332B1 (ko) 파노라마, 씨티 및 두부계측 겸용 엑스선 촬영장치
KR100907821B1 (ko) 치과 의료진단용 복합영상 촬영장치
KR100707796B1 (ko) 파노라마 및 씨티 겸용 엑스선 촬영장치
KR100794563B1 (ko) 파노라마 및 씨티 겸용 엑스선 촬영장치
US7572058B2 (en) Patient positioning device of a panoramic dental X-ray apparatus
KR20110125822A (ko) 치과용 엑스선 영상 촬영장치용 엑스선 조사범위 표시장치
EP2708188B1 (en) X-ray imaging apparatus
KR101192461B1 (ko) 엑스선을 구강 외부에서 검출하는 구강 내 엑스선 촬영장치
JP2015188611A (ja) デジタルパノラマx線撮影装置及び歯科用ct装置
KR101660129B1 (ko) X선 촬영장치
KR20070072730A (ko) 엑스선 촬영장치를 이용한 촬영방법
KR101660130B1 (ko) X선 촬영장치
KR101192495B1 (ko) 구강 내 엑스선 파노라마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촬영방법
KR20100055975A (ko) 치과용 엑스선 ct 촬영장치
KR100861410B1 (ko) 엑스선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두부계측 촬영방법
KR20130102919A (ko) 치과용 복합영상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팔로 촬영방법
KR101642293B1 (ko) 치과 의료진단용 복합영상 촬영장치
KR20220163829A (ko) 엑스선 영상촬영장치
JP3004001U (ja) 歯科用x線画像診断装置における口腔内センサーホルダー
KR20170105756A (ko) 3차원 광차 엑스선 ct 촬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