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2845A - Heat exchanger with horizontally positioned receiver dryer - Google Patents

Heat exchanger with horizontally positioned receiver dry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2845A
KR20220112845A KR1020227025137A KR20227025137A KR20220112845A KR 20220112845 A KR20220112845 A KR 20220112845A KR 1020227025137 A KR1020227025137 A KR 1020227025137A KR 20227025137 A KR20227025137 A KR 20227025137A KR 20220112845 A KR20220112845 A KR 20220112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receiver dryer
collector
heat exchange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51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마렉 글루호브스키
안드제이 주고비츠
보이치에흐 오칼라
Original Assignee
발레오 오토시스테미 에스페. 제트.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오토시스테미 에스페. 제트.오.오. filed Critical 발레오 오토시스테미 에스페. 제트.오.오.
Publication of KR20220112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284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408Multi-circuit heat exchangers, e.g. integrating different heat exchange sections in the same unit or heat exchangers for more than two fluids
    • F28D1/0426Multi-circuit heat exchangers, e.g. integrating different heat exchange sections in the same unit or heat exchangers for more than two fluids with units having particular arrangement relative to the large body of fluid, e.g. with interleaved units or with adjacent heat exchange units in common air flow or with units extending at an angle to each other or with units arranged around a central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4Condensers with an integrated receiver
    • F25B2339/0441Condensers with an integrated receiver containing a drier or a fil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4Condensers with an integrated receiver
    • F25B2339/0443Condensers with an integrated receiver the receiver being positioned horizont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8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vehicles
    • F28D2021/0084Condensers

Abstract

열교환기는 제1 섹션(110), 제2 섹션(120) 및 리시버 드라이어(130)를 포함한다. 제1 섹션(110)은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배열된 제1 세트의 튜브(112)를 포함하고, 제1 세트의 튜브(112)의 에지는 제1 공기 유입 표면(X)을 규정한다. 제2 섹션(120)은 제2 세트의 튜브(122)를 포함하고, 제2 세트의 튜브(122)의 에지는 제2 공기 유입 표면(Y)을 규정한다. 리시버 드라이어(130)는 제1 튜브 세트(112)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1 섹션(110)과 제2 섹션(120) 사이의 유체 연통을 구성한다. 제1 공기 유입 표면(X)과 제2 공기 유입 표면(Y)은 제1 공기 유입 표면(X)에 수직인 방향으로 볼 때와 제2 공기 유입 표면(Y)에 수직인 방향으로 볼 때 중첩되지 않는다.The heat exchanger includes a first section 110 , a second section 120 and a receiver dryer 130 . The first section 110 includes a first set of tubes 112 arrang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the edges of the first set of tubes 112 defining a first air inlet surface X. The second section 120 includes a second set of tubes 122 , the edges of the second set of tubes 122 defining a second air inlet surface Y. The receiver dryer 130 is disposed parallel to the first tube set 112 and constitutes fluid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section 110 and the second section 120 . The first air inlet surface (X) and the second air inlet surface (Y) overlap when view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air inlet surface (X) and when view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air inlet surface (Y). doesn't happen

Description

수평으로 위치된 리시버 드라이어를 갖는 열교환기Heat exchanger with horizontally positioned receiver dryer

본 발명은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가열 환기 및 공조 유닛용의, 수평으로 위치된 리시버 드라이어를 갖는 응축기에 관한 것이다.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 exchang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denser with a horizontally positioned receiver dryer for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units in vehicles.

예를 들어, 자동차의 차실을 위한 종래의 공조 시스템은 응축기, 증발기, 팽창 장치, 압축기 및 히터를 포함한다. 압축기는 냉매 가스를 고압 및 고온까지 펌핑한다. 그 후, 냉매 가스는 응축기로 들어가고, 이 응축기에서 냉매 가스는 (주변 공기 또는 특정 저온 냉각제 회로를 통해) 열 에너지를 외부 환경으로 내보내고 냉각되어 액체 상태로 응축된다. 이후 팽창 밸브는 냉매 액체가 적절한 유량으로 흐르도록 조절하여, 냉매 액체의 팽창으로 인해 냉매 액체의 압력을 감소시키며, 최종적으로, 냉각된 액체 냉매는 증발기로 흘러들어가며, 이 증발기에서는 냉각된 액체 냉매가 증발한다. 액체 냉매가 증발함에 따라 냉매는 공조될 인클로저(구체적으로, 차량 공조 시스템의 경우에는 차실) 내부의 공기로부터 열에너지를 추출하거나 흡수하고, 이 냉매가 압축기로 되돌아가는, 상기 사이클을 반복한다. 이 프로세스에서 차실 내부로부터 열이 추출되고 차실 외부로 방출되어, 결과적으로 차실 내부의 공기가 냉각된다. For example, a conventional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vehicle interior includes a condenser, an evaporator, an expansion device, a compressor, and a heater. The compressor pumps the refrigerant gas to high pressure and high temperature. The refrigerant gas then enters the condenser, where it expels thermal energy (either through ambient air or through a specific low-temperature refrigerant circuit) into the external environment, is cooled and condensed into a liquid state. Then the expansion valve adjusts the refrigerant liquid to flow at an appropriate flow rate, reducing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liquid due to the expansion of the refrigerant liquid, and finally, the cooled liquid refrigerant flows into the evaporator, where the cooled liquid refrigerant is evaporates As the liquid refrigerant evaporates, the refrigerant extracts or absorbs thermal energy from the air inside the enclosure to be air-conditioned (specifically, a vehicle cabin in the case of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and the refrigerant returns to the compressor, repeating the above cycle. In this process, heat is extracted from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nd released to the outside, resulting in cooling of the air inside the vehicle.

일반적으로 팽창 밸브로 구성된 기존의 공조 시스템은 공조 루프에서 응축기와 팽창 밸브 사이에 통상적으로 위치하는, 공조 시스템의 고압 섹션에 배치되는 리시버 드라이어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열교환기, 특히 응축기는 응축기의 출구측을 따른, 특히 응축기의 한 쌍의 컬렉터의 출구 컬렉터의 길이를 따른 리시버 드라이어로 구성된다. 리시버 드라이어는 입구 및 출구를 갖는 기밀 용기 형태의 관형 케이싱을 포함한다. 입구는 응축기의 응축 섹션을 규정하는 제1 통로로부터 출구 컬렉터의 제1 부분을 통해 일부 비응축 냉매, 분진 및 비압축성 수분(존재하는 경우)과 함께 액체 냉매를 수용한다. 반면에, 출구는 비압축성 수분 및 분진이 제거된 액체 냉매를 출구 컬렉터의 제2 섹션을 통해 응축기의 과냉각 섹션을 규정하는 제2 통로로 전달한다. Existing air conditioning systems, which typically consist of expansion valves, consist of a receiver dryer disposed in the high pressure section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typically located between the expansion valve and the condenser in the air conditioning loop. In general, a conventional heat exchanger, in particular a condenser, consists of a receiver dryer along the outlet side of the condenser, in particular along the length of the outlet collector of a pair of collectors of the condenser. The receiver dryer comprises a tubular casing in the form of an airtight container having an inlet and an outlet. The inlet receives liquid refrigerant along with some non-condensable refrigerant, dust and incompressible moisture (if present) from a first passage defining a condensing section of the condenser through a first portion of the outlet collector. The outlet, on the other hand, delivers the incompressible moisture and dust free liquid refrigerant through a second section of the outlet collector to a second passage defining a subcooling section of the condenser.

그러나, 이러한 종래 구성의 응축기와 관련된 다양한 결점이 있다. 특히, 리시버 드라이어가 컬렉터를 따라 배치된 종래의 응축기는 부피가 크다. 리시버 드라이어가 컬렉터를 따라 배치된 종래의 응축기는 일반적으로 컬렉터에 고정되고, 그렇기 때문에 패키징 상의 제약에 기초하여 리시버 드라이어의 위치를 조정하는 유연성을 제공하지 못한다. 리시버 드라이어가 컬렉터를 따라 배치된 종래의 응축기는 차량 전방의 한정된 공간으로 인해 패키징 문제에 직면하였고, 차량이 전기차인 경우(전기차의 전방 부분이 예를 들어 화물 공간과 같은 활용도로 이용됨)나, 응축기가 더 나은 열교환을 달성하기 위해 동일 평면형 비충첩 구성으로 배치되어 있는 두 개의 개별 코어를 포함하는 경우에, 패키징 문제가 더욱 악화된다.However, there are various drawbacks associated with the condenser of this conventional configuration. In particular, conventional condensers with receiver dryers arranged along the collectors are bulky. Conventional condensers with receiver dryers disposed along the collector are generally fixed to the collector and therefore do not provide the flexibility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receiver dryer based on packaging constraints. Conventional condensers with receiver dryers arranged along the collector face packaging problems due to the limited space in front of the vehicle, and when the vehicle is an electric vehicle (the front part of the electric vehicle is used for a utility such as cargo space, for example), the condenser The packaging problem is further exacerbated when the P2 includes two separate cores arranged in a coplanar, non-overlapping configuration to achieve better heat exchange.

따라서, 컴팩트한 구성을 달성하고 차량 전방의 한정된 공간에 패키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응축기의 컬렉터에 대해 위치될 수 있는 리시버 드라이어를 갖는 응축기가 필요하다. 또한, 패키징 제약에 기초하여 리시버 드라이어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하는 리시버 드라이어를 갖는 응축기가 필요하다.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condenser with a receiver dryer that can be positioned relative to the collector of the condenser to achieve a compact construction and to allow packaging in a confined space in front of the vehicle. There is also a need for a condenser with a receiver dryer that provides the flexibility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receiver dryer based on packaging constraints.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차량 전방의 한정된 공간에 패키징할 수 있도록 응축기의 컬렉터에 대하여 위치설정할 수 있는 리시버 드라이어를 구비한 응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denser having a receiver dryer positionable with respect to the collector of the condenser for packaging in a confined space in front of a vehicl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컬렉터를 따라 수직으로 배치된 리시버 드라이어를 갖는 종래의 응축기와 관련된 단점을 제거한 리시버 드라이어를 갖는 응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denser having a receiver dryer that eliminates the disadvantages associated with conventional condensers having a receiver dryer disposed vertically along the collecto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패키징 제약에 기초하여 리시버 드라이어의 위치를 조정하는 유연성을 제공하는 리시버 드라이어를 구비한 응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denser with a receiver dryer that provides flexibility in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receiver dryer based on packaging constraints.

본 설명에서, 제1 요소 및 제2 요소와 같은 일부 요소 또는 파라미터는 색인이 달릴 수 있다. 이 경우,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이 색인은 유사하지만 동일하지는 않은 요소를 구별하고 요소의 이름을 지정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이들 용어는 본 발명을 배반함이 없이 전환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색인으로부터 우선 순위의 개념을 추론해서는 안 된다. 또한, 이 색인은 본 발명의 요소를 장착하거나 사용하는 데 있어서의 순서를 내포하지 않는다. In this description, some elements or parameters, such as the first element and the second element, may be indexed. In this case, unless otherwise specified, this index is only for identifying and naming elements that are similar but not identical. No concept of precedence should be inferred from these indexes as these terms may be interchanged without betraying the present invention. Also, this index does not imply an order for mounting or using the el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가 개시된다. 열교환기는 제1 섹션, 제2 섹션 및 리시버 드라이어를 포함한다. 제1 섹션은 수평으로 배열된 제1 세트의 열교환 튜브를 포함하고, 제1 세트의 열교환 튜브의 에지는 제1 공기 유입 표면을 규정한다. 제2 섹션은 제2 세트의 열 교환 튜브를 포함하고, 제2 세트의 열 교환 튜브의 에지는 제2 공기 유입 표면을 규정한다. 리시버 드라이어는 제1 세트의 열교환 튜브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1 섹션과 제2 섹션 사이의 유체 연통을 구성한다. 제1 공기 유입 표면과 제2 공기 유입 표면은 제1 공기 유입 표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볼 때와 제2 공기 유입 표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볼 때 중첩되지 않는다. A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The heat exchanger includes a first section, a second section and a receiver dryer. The first section includes a first set of heat exchange tubes arranged horizontally, an edge of the heat exchange tubes of the first set defining a first air inlet surface. The second section includes a second set of heat exchange tubes, the edges of the second set of heat exchange tubes defining a second air inlet surface. The receiver dryer is disposed parallel to the first set of heat exchange tubes and constitutes fluid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section and the second section. The first air inlet surface and the second air inlet surface do not overlap when view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air inlet surface and when view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air inlet surface.

제1 섹션 및 제2 섹션은 서로에 대해 동일 평면에 있고, 한 쌍의 공통 컬렉터를 연결하고 있으며, 한 쌍의 공통 컬렉터 각각의 내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배플에 의해 규정된다. The first section and the second section are coplanar with respect to each other, connecting the pair of common collectors, and defined by at least one baffle disposed inside each of the pair of common collectors.

일반적으로 리시버 드라이어는 제1 섹션과 제2 섹션의 앞뒤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다. In general, the receiver dryer is disposed either in front of or behind the first section or the second section.

대안적으로, 리시버 드라이어는 제1 섹션 및 제2 섹션 중 어느 하나의 길이방향 측면을 따라 인접하게 배치된다. Alternatively, the receiver dryer is disposed adjacently along a longitudinal side of either the first section or the second section.

구체적으로, 리시버 드라이어는 한 쌍의 공통 컬렉터를 연결하고, 제1 입구 및 제 2 입구가 열교환기의 동일 측 및 배플의 상이한 측에 형성되며, 제1 입구 및 제2 입구는 제1 섹션 및 제2 섹션에 각기 유체를 공급한다. Specifically, the receiver dryer connects a pair of common collectors, the first inlet and the second inlet are formed on the same side of the heat exchanger and different sides of the baffle, and the first inlet and the second inlet are connected to the first section and the second inlet Supply fluid to each of the 2 sections.

또한, 열교환기는, In addition, the heat exchanger,

· 출구 컬렉터에 형성된 제1 출구와 리시버 드라이어 사이의 연결을 구성하는 가요성 도관 형태의 제1 연결 라인과; a first connecting line in the form of a flexible conduit for forming a connection between the receiver dryer and the first outlet formed in the outlet collector;

· 리시버 드라이어와 입구 컬렉터에 형성된 제2 입구 사이의 연결을 구성하는 가요성 도관 형태의 제2 연결 라인을 포함한다. and a second connecting line in the form of a flexible conduit making up a connection between the receiver dryer and the second inlet formed in the inlet collector.

대안적으로, 열교환기는,Alternatively, the heat exchanger is

· 출구 컬렉터 및 리시버 드라이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채널 형태의 제1 연결 라인―채널은 출구 컬렉터에 형성된 제1 출구와 리시버 드라이어 사이의 연결을 형성함―과; a first connecting line in the form of a channel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outlet collector and the receiver dryer, the channel forming a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outlet formed in the outlet collector and the receiver dryer;

· 리시버 드라이어 및 입구 컬렉터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채널 형태의 제2 연결 라인―채널은 리시버 드라이어와 입구 컬렉터에 형성된 제2 입구 사이의 연결을 형성함―을 포함한다. a second connection line in the form of a channel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receiver dryer and the inlet collector, the channel forming a connection between the receiver dryer and a second inlet formed in the inlet collecto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섹션 및 제2 섹션은 서로에 대해 비중첩 구성으로 배열된 별개의 코어이고, 제1 섹션 및 제2 섹션의 각각은 열교환 유체를 위해 각기 제1 컬렉터 쌍과 제2 컬렉터 쌍의 별개 쌍으로 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ection and the second section are separate cores arranged in a non-overlapping configuration with respect to each other, each of the first section and the second section being a respective first collector pair for a heat exchange fluid. and a separate pair of second collector pairs.

구체적으로, 제1 섹션 및 제2 섹션은 서로에 대해 동일 평면 구성으로 배열된 별개의 코어이다. Specifically, the first section and the second section are separate cores arranged in a coplanar configuration with respect to each other.

일반적으로 리시버 드라이어는 제1 섹션과 제2 섹션의 앞뒤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다. In general, the receiver dryer is disposed either in front of or behind the first section or the second section.

대안적으로, 리시버 드라이어는 제1 섹션과 제2 섹션 사이에 배치된다. Alternatively, the receiver dryer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section and the second section.

그렇지 않으면, 리시버 드라이어는 제1 섹션 및 제2 섹션 중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 측면들 중 하나를 따라 인접하게 배치된다. Otherwise, the receiver dryer is disposed adjacently along one of the longitudinal sides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section and the second section.

구체적으로, 리시버 드라이어는 제1 컬렉터 쌍의 제1 출구 컬렉터를 제2 컬렉터 쌍의 제2 입구 컬렉터에 연결한다. Specifically, the receiver dryer connects the first outlet collector of the first collector pair to the second inlet collector of the second collector pair.

추가로 열교환기는, In addition, the heat exchanger,

· 제1 출구 컬렉터에 형성된 제1 출구와 리시버 드라이어 사이의 연결을 구성하는 제1 가요성 도관 형태의 제1 연결 라인과;a first connecting line in the form of a first flexible conduit making up a connection between the receiver dryer and the first outlet formed in the first outlet collector;

· 리시버 드라이어와 제2 입구 컬렉터에 형성된 제2 입구 사이의 연결을 구성하는 제2 가요성 도관 형태의 제2 연결 라인을 포함한다. and a second connecting line in the form of a second flexible conduit making up a connection between the receiver dryer and a second inlet formed in the second inlet collector.

대안적으로, 열교환기는,Alternatively, the heat exchanger is

· 제1 출구 컬렉터 및 리시버 드라이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채널 형태의 제1 연결 라인―채널은 제1 출구 컬렉터에 형성된 제1 출구와 리시버 드라이어 사이의 연결을 구성함―과; a first connecting line in the form of a channel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outlet collector and the receiver dryer, the channel forming a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outlet formed in the first outlet collector and the receiver dryer;

· 리시버 드라이어 및 제2 입구 컬렉터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채널 형태의 제2 연결 라인―채널은 리시버 드라이어와 제2 입구 컬렉터에 형성된 제2 입구 사이의 연결을 구성함―을 포함한다. a second connection line in the form of a channel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receiver dryer and the second inlet collector, the channel constituting a connection between the receiver dryer and the second inlet formed in the second inlet collector.

본 발명의 다른 특징, 세부사항 및 이점은 이하의 본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추론될 수 있다.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고려하면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면 본 발명 및 이에 수반되는 많은 이점이 더 잘 이해될 것이므로 그에 대한 보다 완전한 이해를 쉽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축기의 개략도를 도시하며, 여기서 응축 섹션과 과냉각 섹션은 서로에 대해 동일 평면에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응축기의 개략도를 도시하며, 여기서 응축 섹션과 과냉각 섹션은 서로에 대해 동일 평면에 있지만 도 1a 및 도 1b에 예시된 배열과는 다르게 배열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응축기의 개략도를 도시하며, 여기서 응축 섹션과 과냉각 섹션은 서로에 대해 동일 평면에 있고 리시버 드라이어는 응축 섹션 및 과냉각 섹션의 앞이나 뒤에 배치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응축기의 개략도를 도시하며, 여기서 응축 섹션 및 및 과냉각 섹션은 서로에 대해 동일 평면에 있지만 도 3에 도시된 배열과는 다르게 배열된다.
도 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응축기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5b는 도 5a의 응축기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6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응축기의 개략도를 도시하며, 여기서 리시버 드라이어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배열과 다르게 배열된다.
도 6b는 도 6a의 응축기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응축기의 개략도를 도시하며, 여기서 리시버 드라이어는 도 5a, 도 5b 및 도 6a, 6b에 도시된 배열과 다르게 배열된다.
도 7b는 도 7a의 응축기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면은 구현하기에 충분히 상세한 방식으로 본 발명을 개시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하며, 상기 도면은 필요한 경우 본 발명을 더 잘 규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 개시된 실시예로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Other features, detail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ferre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many attendant advantages will be better understood and may facilitate a more complete understanding thereof upon reference to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1A and 1B show a schematic diagram of a conde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condensing section and the subcooling section are coplanar with respect to each other.
2a and 2b show a schematic diagram of a condens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condensing section and the subcooling section are coplanar with respect to each other but arranged differently from the arrangement illustrated in FIGS. 1a and 1b.
3 shows a schematic diagram of a condens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condensing section and the subcooling section are coplanar with respect to each other and the receiver dryer is arranged before or after the condensing section and the subcooling section.
FIG. 4 shows a schematic diagram of a condens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condensing section and and the subcooling section are coplanar with respect to each other but arranged differently from the arrangement shown in FIG. 3 .
5a shows a schematic diagram of a condens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b shows an isometric view of the condenser of Fig. 5a;
Fig. 6a shows a schematic diagram of a condens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receiver dryer is arranged differently from the arrangement shown in Figs. 5a and 5b.
Fig. 6b shows an isometric view of the condenser of Fig. 6a;
Fig. 7 shows a schematic diagram of a condens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receiver dryer is arranged differently from the arrangement shown in Figs. 5a, 5b and 6a, 6b.
Fig. 7b shows an isometric view of the condenser of Fig. 7a;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rawings disclose the present invention in a manner detailed enough to be embodied, which drawings, if necessary, serve to better define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제1 응축기 섹션, 제2 응축기 섹션 및 리시버 드라이어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또는 응축기를 구상한다. 제1 섹션은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배열된 제1 세트의 열교환 튜브를 포함하고, 제1 세트의 열교환 튜브의 에지는 제1 공기 유입 표면을 규정한다. 제2 섹션은 제2 세트의 열교환 튜브를 포함하고, 제2 세트의 열교환 튜브의 에지는 제2 공기 유입 표면을 규정한다. 리시버 드라이어는 제1 세트의 열교환 튜브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1 섹션과 제2 섹션 사이의 유체 연통을 구성한다. 제1 공기 유입 표면과 제2 공기 유입 표면은 제1 공기 유입 표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볼 때와 제2 공기 유입 표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볼 때 중첩되지 않는다. 그러나, 본 발명은 또한 패키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열교환기의 열교환 튜브에 대해 수평으로 위치하고 이 열교환 튜브와 유체 소통해야 하는 요소로 구성된 모든 열교환기에 적용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envisions a heat exchanger or condenser comprising a first condenser section, a second condenser section and a receiver dryer. The first section includes a first set of heat exchange tubes arrang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an edge of the first set of heat exchange tubes defining a first air inlet surface. The second section includes a second set of heat exchange tubes, the edges of the second set of heat exchange tubes defining a second air inlet surface. The receiver dryer is disposed parallel to the first set of heat exchange tubes and constitutes fluid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section and the second section. The first air inlet surface and the second air inlet surface do not overlap when view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air inlet surface and when view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air inlet surfac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all heat exchangers which consist of an element which must be positioned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heat exchange tube of the heat exchanger and must be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heat exchange tube in order to solve the packaging problem.

도 1a는 열교환기, 특히 차량을 위한 공조 시스템용 응축기(100)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응축기(100)는 일반적으로 차량의 전방 부분에 배치된다. 응축기(100)는 제1 통로(pass)를 규정하는 제1 응축기 섹션 또는 응축 섹션(110), 제2 통로를 규정하는 제2 응축기 섹션 또는 과냉각 섹션(sub cooling section: 120) 및 리시버 드라이어(130)를 포함한다. 응축 섹션(110) 및 과냉각 섹션(120)은 각각 제1 세트의 열교환 튜브(112) 및 제2 세트의 열교환 튜브(122)를 포함한다. 적어도 제1 세트의 열교환 튜브(112)는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배열된다. 리시버 드라이어(130)는 제1 세트의 열교환 튜브(112) 및 제2 세트의 열교환 튜브(122)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평행하게 수평으로 배치되고 이들 사이에서 유체 연통을 구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리시버 드라이어(130)는 수평으로 배치된 제1 통로 및 제2 통로 중 한 통로의 열교환 튜브 세트와 평행하게 수평으로 배치된다. 1a shows a schematic diagram of a heat exchanger, in particular a condenser 100 for a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vehicle. The condenser 100 is generally arranged in the front part of the vehicle. The condenser 100 includes a first condenser section or condensing section 110 defining a first pass, a second condenser section or sub cooling section 120 defining a second pass and a receiver dryer 130 ) is included. The condensing section 110 and the subcooling section 120 each include a first set of heat exchange tubes 112 and a second set of heat exchange tubes 122 . At least the first set of heat exchange tubes 112 are arrang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The receiver dryer 130 is disposed parallel to and horizontally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set of heat exchange tubes 112 and the second set of heat exchange tubes 122 and establishes fluid communication therebetween. More specifically, the receiver dryer 130 is horizontally arranged parallel to the heat exchange tube set of one of the horizontally arranged first passage and the second passa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응축 섹션(110)과 과냉각 섹션(120)은 서로에 대해 동일 평면에 있다. 또한, 응축 섹션(110)과 과냉각 섹션(120)은 한 쌍의 공통 컬렉터(collector: 140a, 140b)를 연결하고 있으며, 한 쌍의 공통 컬렉터(140a, 140b) 각각의 내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배플(142a, 142b)에 의해 규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배플(142a)은 한 쌍의 공통 컬렉터(140a, 140b) 중 입구 컬렉터(140a)의 내측에 배치되어 그 컬렉터의 내부를 제1 부분(144a)과 제2 부분(146a)으로 분할한다. 유사하게, 제2 배플(142b)은 한 쌍의 공통 컬렉터(140a, 140b) 중 출구 컬렉터(140b)의 내측에 배치되어 그 컬렉터의 내부를 제1 부분(144b) 및 제2 부분(146b)으로 분할한다. 입구 컬렉터(140a)의 제1 부분(144a)은 화살표 A로 표시된 흐름 방향을 따라 제1 입구(114a)로부터 증기 냉매를 수용하여 제1 세트의 열교환 튜브(112)에 분배한다. 응축 섹션(110)을 통한 유체 흐름이 I자 유동(I-flow)인 경우, 증기 냉매가 화살표 B로 표시된 흐름 방향을 따라 응축 섹션(110)의 열교환 요소를 통해 유동함에 따라, 증기 냉매가 응축된다. 첨부 도면 및 대응하는 설명에서는 응축 섹션(110)을 통한 냉매 흐름이 I자 유동으로 도시되고 설명된다. 그러나, 응축 섹션(110)을 통한 냉매 흐름은 I자 유동에 제한되지 않으며 응축 섹션(110)을 통한 흐름은 I자 유동 대신에 U자 유동 또는 임의의 다른 유동일 수 있다. 응축 섹션(110)을 빠져나가는 응축된 냉매는 출구 컬렉터(140b)의 제1 부분(144b)에 의해 포집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ensing section 110 and the subcooling section 120 are coplanar with respect to each other. In addition, the condensing section 110 and the supercooling section 120 connect a pair of common collectors 140a and 140b, and at least one pair of common collectors 140a and 140b disposed inside each It is defined by baffles 142a and 142b. More specifically, the first baffle 142a is disposed inside the inlet collector 140a among the pair of common collectors 140a and 140b to form the inside of the collector with the first part 144a and the second part 146a. split into Similarly, the second baffle 142b is disposed inside the outlet collector 140b of the pair of common collectors 140a and 140b to divide the inside of the collector into a first portion 144b and a second portion 146b. split A first portion 144a of the inlet collector 140a receives vapor refrigerant from the first inlet 114a along the flow direction indicated by arrow A and distributes it to the first set of heat exchange tubes 112 . When the fluid flow through the condensing section 110 is an I-flow, as the vapor refrigerant flows through the heat exchange element of the condensing section 110 along the flow direction indicated by arrow B, the vapor refrigerant condenses do.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corresponding description, refrigerant flow through the condensing section 110 is shown and described as an I-flow. However, refrigerant flow through the condensing section 110 is not limited to an I-flow and the flow through the condensing section 110 may be a U-flow or any other flow instead of an I-flow. The condensed refrigerant exiting the condensing section 110 is collected by the first portion 144b of the outlet collector 140b.

일부 냉매 증기 및 비압축성 수분(있는 경우)을 포함하는 응축된 냉매는 제1 출구(114b)를 통해 출구 컬렉터(140b)의 제1 부분(144b)을 빠져나가고 화살표 C로 표시된 흐름 방향을 따라 유동함으로써 리시버 드라이어(130)의 입구(130a)로 들어간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가요성 도관(172a) 형태의 제1 연결 라인은 출구 컬렉터(140b)의 제1 부분(144b)에 형성된 제1 출구(114b)를 리시버 드라이어(130)의 입구(130a)에 연결한다. 응축된 냉매가 화살표 D로 표시된 흐름 방향을 따라 리시버 드라이어(130)를 통과함에 따라 비압축성 수분 및 분진(debris)이 제거된다. 수분 및 분진이 제거된 응축 냉매는 리시버 드라이어(130)의 출구(130b)를 통해 나와서 화살표 E로 표시된 흐름 방향을 따라 유동하는 것에 의해 과냉각 섹션(120)으로 진입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가요성 도관(172b) 형태의 제2 연결 라인은 리시버 드라이어(130)의 출구(130b)를 입구 컬렉터(140a)의 제2 부분(146a)에 형성된 제2 입구(124a)에 연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 드라이어(130)와 제1 출구(114b) 및 제2 입구(124a) 사이의 제1 및 제2 연결 라인은 입구 컬렉터(140a), 출구 컬렉터(140b) 및 리시버 드라이어(130) 중 적어도 하나에 통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연결 라인은, 예를 들어 입구 컬렉터(140a), 출구 컬렉터(140b) 및 리시버 드라이어(130) 중 적어도 하나의 벽 상에 형성된 내부 채널 또는 측면 채널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연결 라인은 입구 컬렉터(140a), 출구 컬렉터(140b) 및 리시버 드라이어(130) 중 적어도 하나의 벽에 공압출될 수 있다. 입구 컬렉터(140a)의 제2 부분(146a)은 수분 및 분진이 제거된 냉매를 과냉각 섹션(120)으로 분배한다. 과냉각 섹션(120)에서, 응축 냉매는 과냉각되고 과냉각 냉매는 출구 컬렉터(140b)의 제2 부분(146b)에 포집된다. 출구 컬렉터(140b)의 제2 부분(146b)에 포집된 과냉각 냉매는 제2 출구(124b)를 통해 배출된다. The condensed refrigerant comprising some refrigerant vapor and incompressible moisture (if any) exits the first portion 144b of the outlet collector 140b through the first outlet 114b and flows along the flow direction indicated by arrow C. It enters the inlet (130a) of the receiver dryer (130). More specifically, the first connection line in the form of a first flexible conduit 172a connects the first outlet 114b formed in the first portion 144b of the outlet collector 140b to the inlet 130a of the receiver dryer 130. connect to As the condensed refrigerant passes through the receiver dryer 130 along the flow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 D, incompressible moisture and dust are removed. The condensed refrigerant from which moisture and dust have been removed enters the supercooling section 120 by flowing out through the outlet 130b of the receiver dryer 130 and flowing along the flow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 E. More specifically, a second connection line in the form of a second flexible conduit 172b connects the outlet 130b of the receiver dryer 130 to a second inlet 124a formed in the second portion 146a of the inlet collector 140a. connect to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lines between the receiver dryer 130 and the first outlet 114b and the second inlet 124a are an inlet collector 140a, an outlet collector 140b and It may be integrated into at least one of the receiver dryers 130 . Specifically,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lines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n inner channel or a side channel formed on a wall of at least one of the inlet collector 140a, the outlet collector 140b, and the receiver dryer 130. . More specifically,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lines may be co-extruded to the wall of at least one of the inlet collector 140a , the outlet collector 140b and the receiver dryer 130 . The second portion 146a of the inlet collector 140a distributes the refrigerant from which moisture and dust have been removed to the supercooling section 120 . In the subcooling section 120 , the condensed refrigerant is supercooled and the supercooled refrigerant is collected in the second portion 146b of the outlet collector 140b . The supercooled refrigerant collected in the second portion 146b of the outlet collector 140b is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outlet 124b.

도 1a 내지 도 4는 응축 섹션(110) 및 과냉각 섹션(120)에 대한 리시버 드라이어(130)의 상이한 위치를 도시하며, 여기서 응축 섹션(110) 및 과냉각 섹션(120)는 서로에 대해 상이한 구성으로 배열된다. 특히, 도 1a, 도 1b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부 경우에 응축 섹션(110)는 하부에 배치되는 반면, 도 2a, 도 2b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른 경우에는 과냉각 섹션(120)이 하부에 배치된다.1A-4 show different positions of the receiver dryer 130 relative to the condensing section 110 and the subcooling section 120, wherein the condensing section 110 and the subcooling section 120 are in different configurations relative to each other. are arranged In particular, in some cases as shown in Figs. 1a, 1b and 3, the condensing section 110 is disposed below, whereas in other cases, as shown in Figs. 2a, 2b and 4, the subcooling section 120 ) is placed at the bottom.

구체적으로, 도 1a 및 도 1b는 응축 섹션(110)과 과냉각 섹션(120)이 서로에 대해 동일 평면에 있는 상이한 실시예들에 따른 응축기(100)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리시버 드라이어(130)는 응축 섹션(110) 및 과냉각 섹션(120) 중 어느 하나의 길이방향 측면을 따라 그 길이방향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냉각 섹션(120)이 상부에 배치되고, 리시버 드라이어(130)가 각각 응축 섹션(110) 및 과냉각 섹션(120) 중 어느 하나의 길이방향 측면을 따라 그 길이방향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Specifically, FIGS. 1A and 1B show a schematic diagram of a condenser 100 according to different embodiments in which the condensing section 110 and the subcooling section 120 are coplanar with respect to each other. The receiver drier 130 may be disposed along a longitudinal side of any one of the condensing section 110 and the subcooling section 120 and adjacent the longitudinal side thereof.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1A and 1B , the supercooling section 120 is disposed thereon, and the receiver drier 130 is configur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ny one of the condensing section 110 and the supercooling section 120 , respectively. disposed adjacent to the longitudinal side thereof along the side.

추가로, 도 2a 및 도 2b는 응축 섹션(110)과 과냉각 섹션(120)이 서로에 대해 동일 평면에 있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응축기(100)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냉각 섹션(120)이 하부에 배치되고, 리시버 드라이어(130)가 각각 응축 섹션(110) 및 과냉각 섹션(120) 중 어느 하나의 길이방향 측면을 따라 그 길이방향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Additionally, FIGS. 2A and 2B show a schematic view of a condenser 100 according to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condensing section 110 and the subcooling section 120 are coplanar with respect to each other.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2A and 2B , the supercooling section 120 is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and the receiver drier 130 is configur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ny one of the condensing section 110 and the supercooling section 120 , respectively. disposed adjacent to the longitudinal side thereof along the side.

아울러, 도 3 및 도 4는 응축 섹션(110)과 과냉각 섹션(120)이 서로에 대해 동일 평면에 있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응축기(100)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리시버 드라이어(130)는 응축 섹션(110) 및 과냉각 섹션(120) 중 적어도 하나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냉각 섹션(120)은 상부에 배치되고, 리시버 드라이어(130)는 하부에 배치된 응축 섹션(110)의 전방에 배치된다. 그러나, 리시버 드라이어(130)는 또한 응축 섹션(11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추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냉각 섹션(120)은 하부에 배치되고, 리시버 드라이어(130)는 상부에 배치된 응축 섹션(110)의 전방에 배치된다. 그러나, 리시버 드라이어(130)는 또한 응축 섹션(11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 드라이어(130)는 응축 섹션(110) 대신 과냉각 섹션(120)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FIGS. 3 and 4 show a schematic view of a condenser 100 according to fur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condensing section 110 and the subcooling section 120 are coplanar with respect to each other. The receiver dryer 130 may be disposed in front or behind at least one of the condensing section 110 and the supercooling section 120 .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 , the supercooling section 120 is disposed at the top, and the receiver dryer 13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condensing section 110 disposed at the bottom. However, the receiver dryer 130 may also be disposed behind the condensing section 110 . 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 the supercooling section 120 is disposed at the bottom, and the receiver dryer 13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condensing section 110 disposed at the top. However, the receiver dryer 130 may also be disposed behind the condensing section 110 .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er dryer 130 may be disposed in front or behind the supercooling section 120 instead of the condensing section 110 .

출구 컬렉터(140b)의 제1 부분(144b)에 형성된 제1 출구(114b)는 제1 가요성 도관(172a)을 통해 리시버 드라이어(130)의 입구(130a)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가요성 도관(172a)의 단부들과 출구 컬렉터(140b)의 제1 부분(144b) 상에 형성된 제1 출구(114b) 및 리시버 드라이어(130)의 입구(130a) 사이의 연결은 착탈 가능한 연결이다. 유사하게, 리시버 드라이어(130)의 출구(130b)는 제2 가요성 도관(172b)을 통해 입구 컬렉터(140a)의 제2 부분(146a)에 형성된 제2 입구(124a)에 연결된다. 제2 가요성 도관(172b)의 단부들과 제2 부분(146a)에 형성된 제2 입구(124a) 및 리시버 드라이어(130)의 출구(130b) 사이의 연결은 착탈 가능한 연결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리시버 드라이어(130)는 한 쌍의 공통 컬렉터(140a, 140b)를 연결하며, 각각 응축기(100)의 동일측 및 배플(142a)의 양측에 형성된 제1 및 제2 입구(114a, 124a)는 응축 섹션(110) 및 과냉각 섹션(120)에 유체를 공급한다. 제1 출구(114b)를 리시버 드라이어(130)의 입구(130a)에 연결하는 가요성 도관(172a),및 리시버 드라이어(130)의 출구(130b)를 제2 입구(124a)에 연결하는 제2 가요성 도관(172b) 대신에, 강성 파이프를 사용하여 이러한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패키징상의 제약으로 인해 리시버 드라이어(130)의 위치를 조정하는 유연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은 응축기(100)에 인접하게 배치된 다른 요소들의 작동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한정된 공간에서 컴팩트한 구성 및 편리한 패키징을 보장한다. 추가로, 이러한 구성은, 리시버 드라이어(130)가 전체 응축기 어셈블리의 분리 없이 수리를 위해 교체되거나 제거될 수 있기 때문에, 쉬운 서비스 가능성을 위해 리시버 드라이어(130)의 빠르고 편리한 교체 또는 제거를 가능하게 한다. A first outlet 114b formed in the first portion 144b of the outlet collector 140b is connected to the inlet 130a of the receiver dryer 130 via a first flexible conduit 172a.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outlet 114b formed on the ends of the first flexible conduit 172a and the first portion 144b of the outlet collector 140b and the inlet of the receiver dryer 130 . The connection between 130a is a detachable connection. Similarly, the outlet 130b of the receiver dryer 130 is connected via a second flexible conduit 172b to a second inlet 124a formed in the second portion 146a of the inlet collector 140a. The connection between the ends of the second flexible conduit 172b and the second inlet 124a formed in the second portion 146a and the outlet 130b of the receiver dryer 130 is a detachable connection. With this configuration, the receiver dryer 130 connects a pair of common collectors 140a and 140b, and first and second inlets 114a formed on the same side of the condenser 100 and on both sides of the baffle 142a, respectively. , 124a supplies fluid to the condensing section 110 and the supercooling section 120 . A flexible conduit 172a connecting the first outlet 114b to the inlet 130a of the receiver dryer 130, and a second connecting the outlet 130b of the receiver dryer 130 to the second inlet 124a Instead of flexible conduit 172b, a rigid pipe may be used to form this connection. This configuration provides flexibility in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receiver dryer 130 due to packaging constraints. This configuration ensures a compact configuration and convenient packaging in a limited space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operation of other elements disposed adjacent to the condenser 100 . Additionally, this configuration allows for quick and convenient replacement or removal of the receiver dryer 130 for easy serviceability, as the receiver dryer 130 can be replaced or removed for repair without disassembling the entire condenser assembly. .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상이한 실시예에 따른 응축기(100)를 도시한다. 응축기(100)는 제1 통로를 규정하는 제1 응축기 섹션 또는 응축 섹션(110), 제2 통로를 규정하는 제2 응축기 섹션 또는 과냉각 섹션(120) 및 리시버 드라이어(130)를 포함한다. 응축 섹션(110)과 과냉각 섹션(120)는 별도의 코어로 형성된다. 응축 섹션(110)은 제1 컬렉터 쌍(150a, 150b) 사이에 배치된 제1 세트의 열교환 요소, 특히 열교환 튜브(112)를 포함한다. 제1 세트의 열교환 튜브(112)는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배열되고, 제1 세트의 열교환 튜브의 에지는 제1 공기 유입 표면(X)을 규정한다. 유사하게, 과냉각 섹션(120)은 제2 컬렉터 쌍(160a, 160b) 사이에 배치된 제2 세트의 열교환 요소, 특히 열교환 튜브(122)를 포함하며, 제2 세트의 열교환 튜브의 에지는 제2 공기 유입 표면(Y)을 규정한다. 제1 컬렉터 쌍(150a 및 150b)은 응축 섹션(110)을 규정하는 제1 코어의 대향하는 측면들에 배치되는 반면, 제2 컬렉터 쌍(160a 및 160b)은 과냉각 섹션(120)을 규정하는 제2 코어의 대향하는 측면들에 배치된다. 리시버 드라이어(130)는 관형 케이싱(132), 입구(130a), 출구(130b), 건조제 재료, 필터, 및 관형 케이싱(132) 내부에 유지되는 흡입 튜브를 포함한다. 리시버 드라이어(130)의 내부 세부 및 이 리시버 드라이어(130) 내부에 유지되는 요소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지 않으므로 첨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며 다음 설명에서 세부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5a and 5b show a condenser 100 according to different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enser 100 includes a first condenser section or condensing section 110 defining a first passage, a second condenser section or subcooling section 120 defining a second passage, and a receiver dryer 130 . The condensing section 110 and the supercooling section 120 are formed as separate cores. The condensing section 110 comprises a first set of heat exchange elements, in particular heat exchange tubes 112 , disposed between a first pair of collectors 150a , 150b . The first set of heat exchange tubes 112 are arrang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the edges of the first set of heat exchange tubes defining a first air inlet surface X. Similarly, the subcooling section 120 comprises a second set of heat exchange elements, in particular heat exchange tubes 122 , disposed between the second pair of collectors 160a, 160b, the edges of the second set of heat exchange tubes having a second Define the air inlet surface (Y). A first pair of collectors 150a and 150b is disposed on opposite sides of the first core defining a condensing section 110 , while a second pair of collectors 160a and 160b defines a subcooling section 120 . 2 are disposed on opposite sides of the core. The receiver dryer 130 includes a tubular casing 132 , an inlet 130a , an outlet 130b , a desiccant material, a filter, and a suction tube held within the tubular casing 132 . The internal details of the receiver dryer 130 and the elements held inside the receiver dryer 130 are no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re not described in detail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s they do not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및 도 5b를 다시 참조하면, 제1 컬렉터 쌍(150a, 150b)의 제1 입구 컬렉터(150a)는 응축 섹션(110)을 규정하는 제1 코어의 제1 열교환 튜브 세트(112)에 냉매 증기를 분배한다. 한편, 제1 컬렉터 쌍(150a, 150b)의 제1 출구 컬렉터(150b)는 응축 섹션(110)을 규정하는 제1 코어의 제1 열교환 튜브 세트(112)로부터 냉매를 수집한다. 유사하게, 제2 컬렉터 쌍(160a, 160b)의 제2 입구 컬렉터(160a)는 과냉각 섹션(120)을 규정하는 제2 코어의 제2 열교환 튜브 세트(122)에 응축 냉매를 분배한다. 한편, 제2 컬렉터 쌍(160a, 160b)의 제2 출구 컬렉터(160b)는 과냉각 섹션(120)을 규정하는 제2 코어(120)의 제2 열교환 튜브 세트(122)로부터 과냉각 냉매를 수집한다. 적어도 제1 컬렉터 쌍(150a, 150b)은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열된다. 일반적으로, 응축 섹션(110)을 규정하는 제1 코어와 과냉각 섹션(120)을 규정하는 제2 코어는 모두 차량의 전방에 배치되며 모두 램 에어를 직접 공급받는다. 구체적으로, 제1 공기 유입 표면(X)과 제2 공기 유입 표면(Y)은 제1 공기 유입 표면(X)에 수직인 방향으로 보았을 때와 제2 공기 유입 표면(Y)에 수직인 방향으로 보았을 때 중첩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응축 섹션(110)을 규정하는 제1 코어와 과냉각 섹션(120)을 규정하는 제2 코어는 응축 섹션(110)과 과냉각 섹션(120)을 통한 냉매 흐름이 직렬 유동이 되도록 서로에 대해 배열되는 반면, 응축 섹션(110)과 과냉각 섹션(120)을 통한 공기 흐름은 평행 흐름이다. 응축 섹션(110)을 규정하는 제1 코어와 과냉각 섹션(120)을 규정하는 제2 코어가 서로에 대해 비중첩 구성으로 배치된 응축기는, 제 1 코어 및 제 2 코어가 중첩 구성으로 배치된 응축기와 비교해서 개선된 열교환 효율을 나타내는데, 그 이유는 비중첩 구성의 양 코어가 공기에 직접 노출되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제1 코어 및 제2 코어가 중첩 구성으로 배치된 응축기는, 중첩 구성으로 제1 코어 뒤에 배치된 제2 코어로의 공기 흐름에 대해 제1 코어가 장벽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감소된 열교환 효율을 나타낸다. 그러나 비중첩 코어를 갖는, 차량 전방에 배치된 응축기는 중첩 코어를 갖는 응축기와 비교해서 차량의 횡방향으로 비교적 많은 공간을 차지하며, 리시버 드라이어(130)와 같은 다른 요소에 대한 패키징 문제를 야기한다. 따라서, 패키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컴팩트한 구성으로 리시버 드라이어(130)를 배열할 필요가 있다. 또한, 서로에 대해 비중첩 구성으로 배치된 제1 코어 및 제2 코어의 그러한 구성은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코어들을 콤팩트하게 패키징할 수 있게 한다. 추가로, 서로에 대해 비중첩 구성으로 배치된 제1 코어 및 제2 코어의 그러한 구성은 양 코어를 차량의 좌측 및 우측 휠베이스에 장착하거나 또는 차량의 폭을 따라 대체로 서로 이격되게 장착할 수 있게 한다. Referring again to FIGS. 5A and 5B , the first inlet collector 150a of the first pair of collectors 150a , 150b is provided with a first set of heat exchange tubes 112 of a first core defining a condensing section 110 of refrigerant. distribute the vapor. On the other hand, the first outlet collector 150b of the first collector pair 150a , 150b collects the refrigerant from the first set of heat exchange tubes 112 of the first core defining the condensing section 110 . Similarly, the second inlet collector 160a of the second pair of collectors 160a , 160b distributes the condensed refrigerant to a second set of heat exchange tubes 122 of the second core defining the subcooling section 120 .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outlet collector 160b of the second collector pair 160a, 160b collects the supercooled refrigerant from the second set of heat exchange tubes 122 of the second core 120 defining the supercooling section 120 . At least the first collector pair 150a, 150b is arranged substantially vertically. Generally, the first core defining the condensing section 110 and the second core defining the supercooling section 120 are both disposed at the front of the vehicle and are both directly supplied with ram air. Specifically, the first air inlet surface (X) and the second air inlet surface (Y) are view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air inlet surface (X) a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air inlet surface (Y). They do not overlap when viewed. More specifically, the first core defining the condensing section 110 and the second core defining the supercooling section 1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uch that the refrigerant flow through the condensing section 110 and the supercooling section 120 is a series flow. , whereas the air flow through the condensing section 110 and the supercooling section 120 is a parallel flow. A condenser in which a first core defining a condensing section 110 and a second core defining a subcooling section 120 are disposed in a non-overlapping configuration with respect to each other is a condenser in which the first core and the second core are disposed in an overlapping configuration. shows improved heat exchange efficiency compared to , because both cores in the non-overlapping configuration are directly exposed to air. Specifically, a condenser in which the first core and the second core are disposed in an overlapping configuration has reduced heat exchange efficiency because the first core acts as a barrier to the air flow to the second core disposed behind the first core in the overlapping configuration. indicates However, a condenser placed at the front of the vehicle, with a non-overlapping core, takes up relatively more spac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vehicle compared to a condenser with an overlapping core, and causes packaging problems for other elements such as the receiver dryer 130 .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rrange the receiver dryer 130 in a compact configuration to solve the packaging problem. Also, such a configuration of the first core and the second core arranged in a non-overlapping configuration with respect to each other makes it possible to compactly package the cor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Additionally, such a configuration of the first core and the second core disposed in a non-overlapping configuration with respect to each other allows for mounting both cores to the left and right wheelbases of the vehicle or gener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width of the vehicle. do.

응축 섹션(110)을 규정하는 제1 코어는 냉매 증기를 수용하고 응축 냉매를 일부 비압축성 수분과 비응축 냉매 및 분진(있는 경우)과 함께 리시버 드라이어(130)의 입구(130a)로 전달한다. 리시버 드라이어(130)는 제1 열교환 튜브 세트(112)에 평행하게 수평으로 배치되어, 서로에 대해 비중첩 구성으로 배열된 제1 코어 및 제2 코어로 인해 발생하는 패키징 문제를 해결한다. 리시버 드라이어(130)는 그것을 통과하는 냉매 증기로부터 비압축성 수분 및 분진을 제거하고 증기 냉매로부터 응축 냉매를 분리한다. 과냉각 섹션(120)을 규정하는 제2 코어는 유체 흐름 방향으로 리시버 드라이어(130)의 출구(130b)의 하류에 배치되어, 이 출구에 연결된다. 리시버 드라이어(130)는 일반적으로 브래킷 또는 지지 요소에 의해 과냉각 섹션(120)을 규정하는 제2 코어에 연결된다. 과냉각 섹션(120)을 규정하는 제2 코어는 응축 섹션(110)을 규정하는 제1 코어로부터의 응축 냉매를 과냉각하며, 이 응축 냉매로부터 리시버 드라이어(130)에 의해 비압축성 수분 및 미응축 냉매가 제거된다. 응축 섹션(110)을 규정하는 제1 코어와 과냉각 섹션(120)을 규정하는 제2 코어는 전체 구조에 강도를 부여하기 위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코어 및 제2 코어는 브래킷 또는 지지 요소에 의해 연결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코어 및 제2 코어는 차량 프레임에 독립적으로 장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제1 공기 유입 표면(X)에 수직인 방향으로 볼 때 및 제2 공기 유입 표면(Y)에 수직인 방향으로 볼 때 제1 공기 유입 표면(X)과 제2 공기 유입 표면(Y)이 중첩되지 않는 한, 응축 섹션(110)을 규정하는 제1코어에 대한, 과냉각 섹션(120)을 규정하는 제2 코어의 임의의 특정 구성 및 배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응축 섹션(110)과 과냉각 섹션(120)을 통한 공기 흐름은 평행한 유동이며, 특히 응축 섹션(110)과 과냉각 섹션(120)은 모두 램 공기를 직접 공급받는다. The first core defining the condensing section 110 receives the refrigerant vapor and delivers the condensed refrigerant along with some incompressible moisture and non-condensable refrigerant and dust (if any) to the inlet 130a of the receiver drier 130. The receiver dryer 130 is disposed horizontally and parallel to the first set of heat exchange tubes 112 to solve the packaging problem caused by the first and second cores arranged in a non-overlapping configuration with respect to each other. The receiver dryer 130 removes incompressible moisture and dust from the refrigerant vapor passing therethrough and separates the condensed refrigerant from the vapor refrigerant. A second core defining the subcooling section 120 is disposed downstream of and connected to the outlet 130b of the receiver dryer 130 in the direction of fluid flow. The receiver dryer 130 is connected to a second core defining the subcooling section 120 generally by a bracket or support element. The second core defining the supercooling section 120 supercools the condensed refrigerant from the first core defining the condensing section 110 , and incompressible moisture and non-condensed refrigerant are removed from the condensed refrigerant by the receiver dryer 130 . do. The first core defining the condensing section 110 and the second core defining the supercooling section 120 may be interconnected to impart strength to the overall structure. In one embodiment, the first core and the second core are connected by a bracket or support ele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core and the second core are independently mounted to the vehicle fram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st air inlet surface (X) and a second air inlet when view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air inlet surface (X) a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air inlet surface (Y). It is not limited to any particular configuration and arrangement of the second core defining the supercooled section 120 relative to the first core defining the condensing section 110 , as long as the surfaces Y do not overlap. The air flow through the condensing section 110 and the subcooling section 120 is a parallel flow, in particular, both the condensing section 110 and the subcooling section 120 are directly supplied with ram air.

응축 섹션(110)을 규정하는 제1 코어는 제1 입구 컬렉터(150a)로부터 냉매 증기를 수용한다. 제1 입구 컬렉터(150a)는 그 위에 구성되고 그와 유체 연통하는 제1 입구(152a)를 포함한다. 제1 입구(152a)는 냉매 증기를 제1 입구 컬렉터(150a)로 공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a를 참조하면, 냉매 증기는 화살표 A로 표시된 흐름 방향을 따라 제1 입구(152a)로부터 제1 입구 컬렉터(150a)로 진입한다. 이후, 제1 입구 컬렉터(150a)는 대응하는 헤더와 함께, 응축 섹션(110)을 규정하는 제1 코어에 증기 냉매를 분배한다. 응축 섹션(110)을 규정하는 제1 코어를 통한 유체 흐름이 I자 유동인 경우, 증기 냉매가 응축 섹션(110)을 규정하는 코어의 열교환 요소를 통해 화살표 B로 표시된 흐름 방향을 따라 유동함에 따라 증기 냉매가 응축된다. 비록 첨부 도면 및 대응하는 설명에서는 응축 섹션(110)을 규정하는 코어의 열교환 요소를 통한 냉매 흐름이 I자 유동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지만. 응축 섹션(110)을 규정하는 코어를 통한 냉매 흐름은 I자 유동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응축 섹션(110)을 규정하는 코어를 통한 흐름은 I자 유동 대신에 U자 유동 또는 임의의 다른 유동일 수 있다. 증기 냉매가 화살표 B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 섹션(110)을 규정하는 제1 코어의 제1 열교환 튜브 세트(112)를 통해 흐를 때, 공기는 상기 및 외부 열교환 튜브들(112)을 지나 흐르고, 열교환 튜브(112) 내부를 흐르는 증기 냉매는 응축된다. 응축 섹션(110)을 규정하는 제1 코어를 빠져나가는 응축 냉매는 제1 출구 컬렉터(150b)에 의해 수집된다. 제1 출구 컬렉터(150b)는 그 위에 구성되고 그와 유체 연통하는 제1 출구(152b)를 포함한다. 일부 냉매 증기, 분진 및 비압축성 수분(존재하는 경우)을 포함하는 응축 냉매는 화살표 C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출구(152b)를 통해 토출되어 리시버 드라이어(130)의 입구(130a)로 들어간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출구(152b)는 제1 가요성 도관(172a)을 통해 리시버 드라이어(130)의 입구(130a)에 연결되며, 응축 냉매는 일부 비압축성 수분, 분진 및 비응축 냉매 증기와 함께(만약 존재하는 경우) 화살표 C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출구(152b)로부터 리시버 드라이어(130)의 입구(130a)로 흐른다. 그 후, 일부 비압축성 수분 및 비응축 냉매 증기와 함께 응축 냉매는 화살표 D로 표시된 흐름 방향으로 리시버 드라이어(130)를 통해 흐르고, 리시버 드라이어(130)를 통해 흐르면서 비압축성 수분 및 분진이 응축 냉매로부터 제거된다. 수분 및 분진이 제거된 응축 냉매는 리시버 드라이어(130)로부터 토출되고, 화살표 E로 표시된 흐름 방향을 따라 유동하는 것에 의해 과냉각 섹션(120)으로 들어간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입구 컬렉터(160a)는 그 위에 형성되고 그와 유체 연통하는 제2 입구(162a)를 포함하며, 제2 가요성 도관(172b) 형태의 제2 연결 라인은 리시버 드라이어(130)의 출구(130b)를 제2 입구(162a)에 연결한다. 제2 입구 컬렉터(160a)는 수분 및 분진이 제거된 응축 냉매를 과냉각 섹션(120)으로 분배한다. 과냉각 섹션(120)에서는 응축 냉매가 과냉각된다. 제2 출구 컬렉터(160b)에 수집된 과냉각 냉매는 제2 출구 컬렉터(160b)의 제2 출구(162b)를 통해 유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 드라이어(130)와 제1 출구 컬렉터(150b)에 형성된 제1 출구(152b) 및 제2 입구 컬렉터(160a)에 형성된 제2 입구(162a) 사이의 제1 및 제2 연결 라인이 제1 출구 컬렉터(150b), 제2 입구 컬렉터(160a) 및 리시버 드라이어(130) 중 적어도 하나에 통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연결 라인은 내부 채널 또는 측면 채널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출구 컬렉터(150b), 제2 입구 컬렉터(160a) 및 리시버 드라이어(130) 중 적어도 하나의 벽들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연결 라인은 제1 출구 컬렉터(150b), 제2 입구 컬렉터(160a) 및 리시버 드라이어(130) 중 적어도 하나의 벽들 상에 공압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 드라이어(130)가 각각 응축 섹션(110) 및 과냉각 섹션(120)을 규정하는 제1 및 제2 코어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A first core defining a condensing section 110 receives refrigerant vapor from a first inlet collector 150a. The first inlet collector 150a includes a first inlet 152a configured thereon and in fluid communication therewith. The first inlet 152a supplies refrigerant vapor to the first inlet collector 150a. 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5A , the refrigerant vapor enters the first inlet collector 150a from the first inlet 152a along the flow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 A. As shown in FIG. The first inlet collector 150a then distributes the vapor refrigerant to the first core defining the condensing section 110 together with the corresponding header. If the fluid flow through the first core defining the condensing section 110 is an I-flow, vapor as the vapor refrigerant flows along the flow direction indicated by arrow B through the heat exchange element of the core defining the condensing section 110 . The refrigerant is condensed. Although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corresponding description the refrigerant flow through the heat exchange element of the core defining the condensing section 110 is shown and described as an I-flow. The refrigerant flow through the core defining the condensing section 110 is not limited to I-flow, and the flow through the core defining the condensing section 110 may be a U-flow or any other flow instead of an I-flow. . As the vapor refrigerant flows through the first set of heat exchange tubes 112 of the first core defining the condensation section 110 as shown by arrow B, air flows past the and outer heat exchange tubes 112 and , the vapor refrigerant flowing inside the heat exchange tube 112 is condensed. Condensed refrigerant exiting the first core defining the condensing section 110 is collected by a first outlet collector 150b. The first outlet collector 150b includes a first outlet 152b configured thereon and in fluid communication therewith. Condensed refrigerant comprising some refrigerant vapor, dust and incompressible moisture (if present) is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outlet 152b and enters the inlet 130a of the receiver dryer 130 as shown by arrow C. More specifically, the first outlet 152b is connected to the inlet 130a of the receiver dryer 130 through a first flexible conduit 172a, and the condensed refrigerant is combined with some incompressible moisture, dust and non-condensed refrigerant vapor. (if present) flows from the first outlet 152b to the inlet 130a of the receiver dryer 130 as shown by arrow C. Then, the condensed refrigerant along with some incompressible moisture and non-condensed refrigerant vapor flows through the receiver dryer 130 in the flow direction indicated by arrow D, and as it flows through the receiver dryer 130, the incompressible moisture and dust are removed from the condensed refrigerant . The condensed refrigerant from which moisture and dust have been removed is discharged from the receiver dryer 130 and enters the supercooling section 120 by flowing along the flow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 E.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inlet collector 160a includes a second inlet 162a formed thereon and in fluid communication therewith, and a second connection line in the form of a second flexible conduit 172b is connected to the receiver dryer 130 . ) of the outlet (130b) is connected to the second inlet (162a). The second inlet collector 160a distributes the condensed refrigerant from which moisture and dust are removed to the supercooling section 120 . In the subcooling section 120, the condensed refrigerant is supercooled. The supercooled refrigerant collected in the second outlet collector 160b flows out through the second outlet 162b of the second outlet collector 160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between the receiver dryer 130 and the first outlet 152b formed in the first outlet collector 150b and the second inlet 162a formed in the second inlet collector 160a and a second connection line may be integrated into at least one of the first outlet collector 150b , the second inlet collector 160a , and the receiver dryer 130 . More specifically,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lines may be formed as inner channels or side channels, 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first outlet collector 150b, the second inlet collector 160a and the receiver dryer 130 . can be formed on the walls of More specifically,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lines may be co-extruded on the walls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outlet collector 150b , the second inlet collector 160a , and the receiver drier 130 .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 receiver dryer 130 may be disposed in front or behind the first and second cores defining a condensing section 110 and a supercooling section 120 , respectively.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 드라이어(130)는 각각 응축 섹션(110) 및 과냉각 섹션(120)을 규정하는 제1 및 제2 코어 중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 측면을 따라 그 길이방향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Further,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er dryer 130 extends along a longitudinal sid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res defining a condensing section 110 and a supercooling section 120, respectively, in its longitudinal direction. It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side.

도 5a는, 응축 섹션(110)과 과냉각 섹션(120)을 규정하는 별도의 코어가 동일 평면에 있고 각각에 대해 나란하게 배치되는 반면, 리시버 드라이어(130)는 과냉각 섹션(120)을 규정하는 코어의 제1 길이방향 측면을 따라 이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응축기(100)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응축 섹션(110)과 과냉각 섹션(120)을 규정하는 별도의 코어는 동일 평면에 있으며 나란히 배치되고 서로 인접한다. 도 5b는, 응축 섹션(110)과 과냉각 섹션(120)을 규정하는 별도의 코어가 동일 평면에 있고 서로에 대해 나란히 배치되며, 리시버 드라이어(130)는 과냉각 섹션(120)을 규정하는 코어의 제1 길이방향 측면을 따라 이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는 응축기(100)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5A shows that separate cores defining a condensing section 110 and a supercooling section 120 are coplanar and arranged side by side with each other, whereas the receiver dryer 130 is a core defining a subcooling section 120 . It shows a schematic view of a condenser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ranged adjacent to and along a first longitudinal side of the . In another embodiment, the separate cores defining the condensing section 110 and the subcooling section 120 are coplanar and positioned side by side and adjacent to each other. FIG. 5b shows that separate cores defining a condensing section 110 and a supercooling section 120 are coplanar and positioned side-by-side with respect to each other, and the receiver dryer 130 is a third of the core defining a subcooling section 120 . 1 shows an isometric view of a condenser 100 arranged along a longitudinal side and adjacent to this side.

도 6a는, 응축 섹션(110) 및 과냉각 섹션(120)을 규정하는 별도의 코어는 동일 평면에 있고 서로에 대해 나란히 배치되는 반면, 리시버 드라이어(130)는 과냉각 섹션(120)을 규정하는 코어의 제2 길이방향 측면을 따라 이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응축기(100)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과냉각 섹션(120)을 규정하는 코어의 제1 및 제2 길이방향 측면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다. 도 6b는, 응축 섹션(110) 및 과냉각 섹션(120)을 규정하는 코어들은 동일 평면에서 서로에 대해 나란히 배치되는 반면, 리시버 드라이어(130)는 과냉각 섹션(120)을 규정하는 코어의 제2 길이방향 측면을 따라 이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는, 응축기(100)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6A shows that the separate cores defining the condensing section 110 and the supercooling section 120 are coplanar and positioned side by side with respect to each other, whereas the receiver dryer 130 is of the core defining the subcooling section 120 . It shows a schematic view of a condenser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rranged along and adjacent to a second longitudinal side thereof. The first and second longitudinal sides of the core defining the subcooled section 120 are disposed opposite one another. 6b shows that the cores defining the condensing section 110 and the supercooling section 120 are arranged side by side with respect to each other in the same plane, while the receiver dryer 130 is a second length of the core defining the supercooling section 120 . It shows an isometric view of the condenser 100 , arranged adjacent to this side along the directional side.

도 7a는, 응축 섹션(110) 및 과냉각 섹션(120)을 규정하는 별도의 코어는 동일 평면에 있고 서로에 대해 나란히 배치되는 반면, 리시버 드라이어(130)는 응축 섹션(110) 및 과냉각 섹션(120)을 규정하는 코어들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응축기(100)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7b는, 응축 섹션(110) 및 과냉각 섹션(120)을 규정하는 코어들이 동일 평면에 있고 서로에 대해 나란히 배치되는 반면, 리시버 드라이어(130)는 응축 섹션(110) 및 과냉각 섹션(120)을 규정하는 코어들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응축기(100)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FIG. 7A shows that the separate cores defining the condensing section 110 and the subcooling section 120 are coplanar and positioned side by side with respect to each other, whereas the receiver dryer 130 is the condensing section 110 and the subcooling section 120 . ) shows a schematic diagram of a condenser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rranged between the cores defining FIG. 7B shows that the cores defining the condensing section 110 and the supercooling section 120 are coplanar and disposed side-by-side with respect to each other, while the receiver dryer 130 has the condensing section 110 and the subcooling section 120. It shows an isometric view of the condenser 100 , arranged between the defining cores.

당업자라면, 위에서 규정한 바와 같은 열교환기 또는 응축기(100)에 여러 수정 및 개선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며, 열 교환기 또는 응축기가 제1 섹션, 제2 섹션 및 리시버 드라이어를 포함하는 한 이러한 수정 및 개선은 본 발명의 범위 및 영역 안이라고 여전히 고려될 것이다. 제1 섹션은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배열된 제1 세트의 열교환 튜브를 포함하고, 제1 세트의 열교환 튜브의 에지는 제1 공기 유입 표면을 규정한다. 제2 섹션은 제2 세트의 열교환 튜브를 포함하고, 제2 세트의 열교환 튜브의 에지는 제2 공기 유입 표면을 규정한다. 리시버 드라이어는 제1 세트의 열교환 튜브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1 섹션과 제2 섹션 사이의 유체 연통을 구성한다. 제1 공기 유입 표면과 제2 공기 유입 표면은 제1 공기 유입 표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볼 때와 제2 공기 유입 표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볼 때 중첩하지 않는다. A person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apply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to the heat exchanger or condenser 100 as defined above, as long as the heat exchanger or condenser comprises a first section, a second section and a receiver dryer. are still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ection includes a first set of heat exchange tubes arrang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an edge of the first set of heat exchange tubes defining a first air inlet surface. The second section includes a second set of heat exchange tubes, the edges of the second set of heat exchange tubes defining a second air inlet surface. The receiver dryer is disposed parallel to the first set of heat exchange tubes and constitutes fluid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section and the second section. The first air inlet surface and the second air inlet surface do not overlap when view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air inlet surface and when view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air inlet surface.

어떤 경우이든,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이 문서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된 실시예로 제한될 수도 없고 제한되어서도 안 된다. 본 발명은 임의의 균등한 수단 및 임의의 기술적으로 작동하는 수단의 조합으로 확산되어야 한다. In any case, the present invention cannot and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pecifically described in this document as other embodiments may exist. The invention should be spread by any equivalent means and combination of any technically operative means.

Claims (15)

열교환기(100)로서,
·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배열된 제 1 세트의 열교환 튜브(112)를 포함하는 제 1 섹션(110)―제 1 세트의 열교환 튜브(112)의 에지는 제 1 공기 유입 표면(X)을 규정함―과;
· 제2 세트의 열교환 튜브(122)를 포함하는 제2 섹션(120)―제2 세트의 열교환 튜브(112)의 에지는 제2 공기 유입 표면(Y)을 규정함―과;
· 상기 제 1 세트의 제1 열 교환 튜브(112)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섹션(110)과 상기 제2 섹션(120) 사이의 유체 연통을 구성하기에 적합한 리시버 드라이어(130)를 포함하는 열교환기(100)에 있어서,
제1 공기 유입 표면(X)에 수직인 방향으로 볼 때와 제2 공기 유입 표면(Y)에 수직인 방향으로 볼 때 상기 제1 공기 유입 표면(X)과 상기 제2 공기 유입 표면(Y)은 중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As a heat exchanger (100),
A first section (110) comprising a first set of heat exchange tubes (112) arrang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an edge of the first set of heat exchange tubes (112) defining a first air inlet surface (X); class;
· a second section (120) comprising a second set of heat exchange tubes (122), an edge of the second set of heat exchange tubes (112) defining a second air inlet surface (Y);
a receiver dryer 130 disposed parallel to the first set of heat exchange tubes 112 and adapted to establish fluid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section 110 and the second section 120; In the heat exchanger 100 comprising:
the first air inlet surface (X) and the second air inlet surface (Y) when view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air inlet surface (X) a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air inlet surface (Y) characterized in that they do not overlap
heat exchang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섹션(110) 및 제 2 섹션(120)은 서로에 대해 동일 평면상에 있고, 한 쌍의 공통 컬렉터(140a, 140b)를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한 쌍의 공통 컬렉터(140a, 140b)의 각각의 내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배플(142a, 142b)에 의해 규정되는
열교환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section 110 and the second section 120 are coplanar with each other, and connect a pair of common collectors 140a and 140b, and the pair of common collectors 140a and 140b. defined by at least one baffle (142a, 142b) disposed inside each of
heat exchang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130)는 상기 제1 섹션(110) 및 상기 제2 섹션(120)의 전방 및 후방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열교환기.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receiver dryer 130 is disposed in any one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first section 110 and the second section (120)
heat exchang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130)는 상기 제1 섹션(110) 및 상기 제2 섹션(120) 중 어느 하나의 길이방향 측면을 따라 이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열교환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receiver dryer 130 is disposed along a longitudinal side of any one of the first section 110 and the second section 120 adjacent to this side.
heat exchang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130)는 한 쌍의 공통 컬렉터(140a, 140b)를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섹션(110) 및 제2 섹션(120)에 각기 유체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제1 입구(114a) 및 제2 입구(124a)가 열교환기(100)의 동일측 및 배플(142a)의 상이한 측에 형성되는
열교환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receiver dryer 130 is configured to connect a pair of common collectors 140a and 140b, and a first inlet 114a configured to supply fluid to the first section 110 and the second section 120, respectively. and the second inlet 124a is formed on the same side of the heat exchanger 100 and on a different side of the baffle 142a.
heat exchanger.
제5항에 있어서,
· 상기 출구 컬렉터(140b)에 형성된 제1 출구(114b)와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130) 사이의 연결을 구성하기에 적합한 가요성 도관(172a) 형태의 제1 연결 라인과;
·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130)와 상기 입구 컬렉터(140a)에 형성된 제2 입구(124a) 사이의 연결을 구성하기에 적합한 가요성 도관(172b) 형태의 제2 연결 라인을 더 포함하는
열교환기.
6. The method of claim 5,
a first connecting line in the form of a flexible conduit (172a) suitable for establishing a connection between the receiver dryer (130) and a first outlet (114b) formed in the outlet collector (140b);
a second connection line in the form of a flexible conduit (172b) suitable for establishing a connection between the receiver dryer (130) and a second inlet (124a) formed in the inlet collector (140a);
heat exchanger.
제6항에 있어서,
· 상기 출구 컬렉터(140b)와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130)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출구 컬렉터(140b)에 형성된 상기 제1 출구(114b)와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130) 사이의 연결을 구성하기에 적합한 채널 형태의 제1 연결 라인과;
·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130) 및 상기 입구 컬렉터(140a)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130)와 상기 입구 컬렉터(140a)에 형성된 제2 입구(124a) 사이의 연결을 구성하도록 구성된 채널 형태의 제2 연결 라인을 포함하는
열교환기.
7. The method of claim 6,
to form a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outlet 114b formed in the outlet collector 140b and the receiver dryer 130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outlet collector 140b and the receiver dryer 130 a first connecting line in the form of a suitable channel;
A channel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receiver dryer 130 and the inlet collector 140a and configured to constitute a connection between the receiver dryer 130 and a second inlet 124a formed in the inlet collector 140a. comprising a second connecting line of the form
heat exchang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섹션(110) 및 상기 제 2 섹션(120)은 서로에 대해 비중첩 구성으로 배열된 별도의 코어이고, 상기 제 1 섹션(110) 및 상기 제2 섹션(120)의 각각은 열교환 유체를 위한 별도의 제1 컬렉터 쌍(150a 및 150b) 및 제2 컬렉터 쌍(160a 및 160b)으로 구성되는
열교환기.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ection 110 and the second section 120 are separate cores arranged in a non-overlapping configuration with respect to each other, and each of the first section 110 and the second section 120 is a heat exchange fluid. consisting of separate first collector pairs 150a and 150b and second collector pairs 160a and 160b for
heat exchang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섹션(110) 및 제2 섹션(120)은 서로에 대해 동일 평면 구성으로 배열되는 별도의 코어인
열교환기.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ection 110 and the second section 120 are separate cores arranged in a coplanar configuration with respect to each other.
heat exchang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130)는 상기 제1 섹션(110) 및 상기 제2 섹션(120)의 전방과 후방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열교환기.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receiver dryer 130 is disposed in any one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first section 110 and the second section 120
heat exchang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130)는 상기 제1 섹션(110)과 상기 제2 섹션(120) 사이에 배치되는
열교환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receiver dryer 13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section 110 and the second section 120 .
heat exchang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130)는 상기 제1 섹션(110) 및 상기 제2 섹션(120) 중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 측면들 중 어느 하나를 따라 인접하게 배치되는
열교환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receiver dryer 130 is disposed adjacently along any one of the longitudinal sides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section 110 and the second section 120 .
heat exchang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130)는 제 1 컬렉터 쌍(150a, 150b)의 제 1 출구 컬렉터(150b)를 제2 컬렉터 쌍(160a, 160b)의 제 2 입구 컬렉터(160a)에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열교환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receiver dryer 130 is configured to connect a first outlet collector 150b of a first collector pair 150a, 150b to a second inlet collector 160a of a second collector pair 160a, 160b.
heat exchanger.
제13항에 있어서,
· 상기 제1 출구 컬렉터(150b)에 형성된 제1 출구(152b)와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130) 사이의 연결을 구성하기에 적합한 가요성 도관(172a) 형태의 제1 연결 라인과;
·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130)와 상기 제2 입구 컬렉터(160a)에 형성된 제2 입구(162a) 사이의 연결을 구성하기에 적합한 가요성 도관(172b) 형태의 제2 연결 라인을 더 포함하는
열교환기.
14. The method of claim 13,
a first connecting line in the form of a flexible conduit (172a) suitable for establishing a connection between the receiver dryer (130) and a first outlet (152b) formed in the first outlet collector (150b);
a second connection line in the form of a flexible conduit (172b) suitable for establishing a connection between the receiver dryer (130) and a second inlet (162a) formed in the second inlet collector (160a);
heat exchanger.
제13항에 있어서,
· 상기 제1 출구 컬렉터(150b)와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130)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출구 컬렉터(150b)에 형성된 제1 출구(152b)와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130) 사이에 연결을 구성하기에 적합한 채널 형태의 제1 연결 라인과;
· 상기 제2 입구 컬렉터(160a)와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130)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130)와 상기 제2 입구 컬렉터(160a)에 형성된 제2 입구(162a) 사이에 연결을 구성하기에 적합한 채널 형태의 제2 연결 라인을 더 포함하는
열교환기.
14. The method of claim 13,
A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outlet 152b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outlet collector 150b and the receiver dryer 130 and formed in the first outlet collector 150b and the receiver dryer 130 is connected. a first connection line in the form of a channel suitable for construction;
A connection between the second inlet 162a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second inlet collector 160a and the receiver dryer 130, and formed in the receiver dryer 130 and the second inlet collector 160a Further comprising a second connection line in the form of a channel suitable for configuration
heat exchanger.
KR1020227025137A 2020-01-22 2021-01-21 Heat exchanger with horizontally positioned receiver dryer KR20220112845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461504.1 2020-01-22
EP20461504.1A EP3855095B1 (en) 2020-01-22 2020-01-22 A heat exchanger with horizontally positioned receiver drier
PCT/EP2021/051338 WO2021148539A1 (en) 2020-01-22 2021-01-21 A heat exchanger with horizontally positioned receiver dri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2845A true KR20220112845A (en) 2022-08-11

Family

ID=69192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5137A KR20220112845A (en) 2020-01-22 2021-01-21 Heat exchanger with horizontally positioned receiver drye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855095B1 (en)
KR (1) KR20220112845A (en)
CN (1) CN114981598A (en)
WO (1) WO2021148539A1 (en)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304676B1 (en) * 1998-10-06 2001-03-28 Magneti Marelli Climat Srl CONDENSER FOR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S, WITH AN INTEGRATED ACCUMULATOR AND A SUB-COOLING SECTION.
FR2863041B1 (en) * 2003-11-27 2006-08-25 Valeo Thermique Moteur Sa VERTICAL CIRCULATION CONDENSER OF REFRIGERATING FLUID, IN PARTICULAR FOR AUTOMOBILE VEHICLE.
DE10357176A1 (en) * 2003-12-06 2005-06-30 Modine Manufacturing Co., Racine capacitor
CN2775569Y (en) * 2005-02-04 2006-04-26 法雷奥汽车空调湖北有限公司 Parallel flow condenser for optimizing refrigerant flow direction
JP2008281326A (en) * 2007-04-11 2008-11-20 Calsonic Kansei Corp Refrigerating unit and heat exchanger used for the refrigerating unit
CN201983538U (en) * 2011-03-22 2011-09-21 芜湖精博热传导技术有限公司 Integrated automotive air conditioning condenser
KR101316859B1 (en) * 2011-12-08 2013-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ondenser for vehicle
CN102519182A (en) * 2011-12-20 2012-06-27 芜湖博耐尔汽车电气系统有限公司 Parallel flow condenser for automobile air conditioner
EP2784413A1 (en) * 2013-03-28 2014-10-01 VALEO AUTOSYSTEMY Sp. Z. o.o. Heat exchanger, especially condenser
EP2927631B1 (en) * 2014-03-31 2018-09-12 VALEO AUTOSYSTEMY Sp. Z. o.o. Heat exchanger, especially a condenser
CN104697227A (en) * 2015-03-17 2015-06-10 浙江国祥空调设备有限公司 Evaporation condensation high-efficiency screw water chilling unit with deep supercooling device
JP6572031B2 (en) * 2015-07-09 2019-09-04 株式会社ケーヒン・サーマル・テクノロジー Capacitor
CN209600211U (en) * 2019-03-28 2019-11-08 空调国际(上海)有限公司 Two-way heat exchanger with liquid storage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981598A (en) 2022-08-30
WO2021148539A1 (en) 2021-07-29
EP3855095A1 (en) 2021-07-28
EP3855095B1 (en) 2023-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229407B (en) Duplex heat exchanger
AU740183B2 (en) Heat exchanger
US9335077B2 (en) Condenser with first header tank and second header tank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ndenser
US20170130974A1 (en) Residential outdoor heat exchanger unit
JPH05223474A (en) Heat exchanger for cooling drier in compressed air facility and tube/plate type heat exchanger aiming at usage in heat exchanger
JP4052706B2 (en) Subcool system capacitor
JP4254015B2 (en) Heat exchanger
EP2054679A1 (en) Plate heat exchanger and heat exchanger plant
JP2013204825A (en) In-cabin heat exchanger and between-header connection member of in-cabin heat exchanger
WO2018128035A1 (en) Outdoor unit and refrigeration cycle device
KR20220112845A (en) Heat exchanger with horizontally positioned receiver dryer
JP3926854B2 (en) Air-cooled condenser
JPH09178299A (en) Liquid receiving part integral type condenser
US10240826B2 (en) Heat exchanger
WO2015168234A1 (en) Improved heat exchanger
JP2018200132A (en) Condenser
JP4043577B2 (en) Subcool system capacitor
JP3217691B2 (en) Heat exchanger with receiver
JPH085198A (en) Air conditioning heat exchanger
JP6776949B2 (en) Condenser
CN107514841B (en) Heat exchanger assembly
CN218780456U (en) Dehumidifier
JPH10220919A (en) Condenser
KR100858514B1 (en) Receiver drier - integrated condenser
JP3550611B2 (en) Heat exchanger for air compress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