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2549A - 1] 차량 운행 정보를 기반으로 렌터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1] 차량 운행 정보를 기반으로 렌터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2549A
KR20220112549A KR1020210016234A KR20210016234A KR20220112549A KR 20220112549 A KR20220112549 A KR 20220112549A KR 1020210016234 A KR1020210016234 A KR 1020210016234A KR 20210016234 A KR20210016234 A KR 20210016234A KR 20220112549 A KR20220112549 A KR 202201125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rental car
management server
re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6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윤호
Original Assignee
신윤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윤호 filed Critical 신윤호
Priority to KR1020210016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2549A/ko
Publication of KR20220112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25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 G06T7/001Industrial image inspection using an image reference approac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차량 관리 서버는, 차량에 장착된 차량 정보 수집 단말로부터 운행되는 렌터카에 대한 차량 운행 정보를 획득하여, 사고 또는 고장을 포함하는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차량 관리 서버는 출고되는 렌터카 차량의 스캔을 통하여 획득한 차량 외관 정보와 입고되는 렌터카 차량의 스캔을 통하여 획득한 차량 외관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이상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Description

1] 차량 운행 정보를 기반으로 렌터카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rent car based on vehicle log information}
본 발명은 렌터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차량 운행 정보를 기반으로 렌터카를 관리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렌터카 시장이 증가함에 따라 렌터카 관련 소비자 피해 사례 또한 증가하고 있다. 소비자 보호원에 따르면 국내 렌터카 사용에 대한 소비자 피해를 분석한 결과 사고에 따른 피해가 전체의 60%를 넘어선 것으로 파악되었다.
사고 내용은 다양하겠지만, 대부분 렌터카를 렌탈할 때의 차량 상태와 렌터카를 반납할 때의 차량 상태를 체크하고 이를 기준으로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렌터카에 피해가 발생할 경우 소비자에게 그 책임을 전가하는 경우가 많으며, 자기 차량 손해보험에 가입을 한 경우에도 휴차에 대한 금액은 전액 소비자가 부담하여야 한다. 또한 사고 차량에 대한 관리가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다른 사용자들이 2차 피해를 받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렌터카를 예약하는 경우에는 원하는 날짜 및 시간, 차종에 대한 선택만 제공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차종의 차량 상태, 실내 상태 등을 파악할 수 없으며, 해당 차량에 대한 이전 사용자가 발생한 고장 여부, 경제 운전 여부 등의 정보를 알려주지 않는다.
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렌터카 사고, 고장 등 관리에 대한 시스템이 요구된다.
한편 차량의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활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 자동차 시장에서 사용 중인데, 예를 들어, 보험 회사에서 차량의 정보를 활용하여 PAYD(Pay As You Drive)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렌터카 업체는 이러한 시스템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있으며, 예약한 렌터카와 실제 사용할 수 있는 렌터카가 바뀌는 등 렌터카 관리 체계도 매우 허술하다.
휴가철과 같은 렌터카 업체가 호황 시기일수록 고객 불만 사항이 더욱 증가한다. 렌터카 관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보험 회사에서 전연령 보험, 렌터카 자차 보험 등 여러 보험 서비스를 제시하고 있으나, 일반 사용자는 해당 보험이 실제 어느 정도로 도움이 되는지 알지 못하며, 활성화되고 있지 않다.
실제로 렌터카 자차 보험에 가입한 사용자가 차량 사용 중 사고로 인하여 자차 보험을 들었음에도 불구하고 렌터카 수리비 과다 청구 및 휴차로 인한 보상금액까지 피해를 본 사례가 있다. 이러한 소비자의 피해를 막기 위하여 렌터카에 대한 실제 정보를 제공해주는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차량의 운행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토대로 렌터카 관리를 수행하는 시스템 및 그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른 렌터카 관리 방법은, 렌터카 차량에 설치된 차량 정보 수집 단말로부터 차량의 운행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출고 또는 입고되는 렌터카 차량을 스캔하여 이미지를 포함하는 차량 외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운행되는 상기 렌터카 차량에 대하여 획득되는 차량의 운행 정보를 토대로 사고 및 고장을 포함하는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이벤트 발생시 이를 사용자의 단말 및 관련자의 단말로 통보하여 이벤트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렌터카 차량에 대한 반납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렌터카 출고시 획득한 차량 외관 정보와 상기 렌터카 입고시 획득한 차량 외관 정보를 토대로 이상 발생을 판단하고, 이상 발생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렌터카 관리시에, 차량의 외관 정보 및 차량의 내부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의 운행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토대로 사용자들에게 차량의 선택부터 사용에 이르기까지 차량의 실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렌터카 차량에 대한 실제 정보를 기반으로 사고 및 고장에 대하여 빠르게 대처할 수 있으며, 차량의 외관을 스캔하여 획득되는 정보를 토대로 추후 발생할 수 있는 소비자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영세 렌터카 업체를 위하여 안정적인 렌터카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해당 기술을 컴포넌트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영세 업체는 전략적 제휴 또는 특정 모델의 차량 정보 수집 단말 및 외관 스캐너 장치만 적용하면 해당기능을 쉽게 사용할 수 있어, 보다 넓은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차량의 외관 정보 및 내부 정보를 기반으로 렌터카에 대한 운행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렌터카 시장에서 발생하는 불미스러운 사태를 줄이고, 보다 투명한 렌터카 관리 및 고객 관리를 통하여 고객이 믿을 수 있고 안심할 수 있는 렌터카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렌터카 관리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렌터카 관리 시스템에서 수집되는 정보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렌터카 관리 방법에서, 차량 수집 단말이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렌터카 관리 방법에서, 차량 외관 스캔 장치와 차량 관리 서버와의 정보 송수신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외관 스캔 장치의 설치 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렌터카 관리 방법에서, 차량 관리 서버의 정보 처리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렌터카 관리 방법에 따라 제공되는 서비스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렌터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렌터카 관리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렌터카 관리 시스템에서 수집되는 정보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첨부한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렌터카 관리 시스템(1)은 차량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는 차량 정보 수집 단말(10)과 차량 정보 수집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들을 토대로 렌터카를 관리하는 차량 관리서버(20)를 포함한다. 또한 렌터카에 대한 출차 및 입차 관리를 위하여, 차량 외관 스캔 장치(30)를 더 포함한다.
차량 정보 수집 단말(10)은 OBD(On Board Diagnostic) 수집 단말이라고도 명명될 수 있으며, 렌터카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 관련 정보를 수집한다.
예를 들어, 차량 정보 수집 단말(10)은 렌터카 차량 하부에 장착되어 렌터
카 주행 사항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차량 관리 서버(20)로 전송한다. 정보 수집 단말(10)은 근거리 통신(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및 네트워크 통신(WiFi, CDMA, LTE 등)이 가능하여 차량의 정보를 수집하고 차량을 제어할 수 있으며 해당 데이터를 차량 관리 서버(20)로 전송한다.
차량 정보 수집 단말(10)에서 수집되는 정보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 G-센서 정보, 차량 종류에 따른 OBD-I 정보를 포함한다. GPS 정보는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차량 위치 정보이며, G-센서 정보는 차량에 설치된 G-센서로부터 획득된 정보로, 중력에 의한 가속도 정보일 수 있다.
가속도는 특정 방향으로의 직선운동에 대한 속도의 증감 비율을 의미하기 때문에, 직선 방향으로의 단위시간당 속도 증감비율을 수치로 알려준다.
중력에 의한 가속도 정보는 x축, y축, z축 정보를 포함하며, x 축 정보는 전, 후방의 충격 및 가속(+)과 감속(-)을 나타내며, y축 정보는 좌(+), 우(-) 측면으로부터의 충격과 좌, 우회전을 나타내고, z축 정보는 상(+), 하(-) 충격을 나타낸다.
OBD-I 정보는 차량 내부 정보를 나타낸다. 차량의 OBD 장치로부터 획득한 차량 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나타낸다.
차량의 내부 통신 데이터는 OBD-II(On Board Diagnostic 2)라는 단자를 통해서 추출할 수 있는데, OBD는 MIL(Malfunction Indicator Lamp) 이라고 하는 안내등을 통해서 차량의 문제를 운전자나 정비사에게 알려준다.
운전자가 차량을 운행할 때, OBD 장치는 지속적으로 차량의 상태를 감시한다. 감시 결과, 엔진 점화 계통이나, 배기 장치 등에서 문제가 감지되면, OBD 장치는 발생된 문제를 나타내는 MIL을 켜고 문제가 해결되기 전까지는 해당 MIL을 끄지 않는다.
차량 제조사에 따라서 또는 지역에 따라서 OBD 장치의 원래 목적인 엔진 계통의 이상으로 인한 필요 이상의 배기가스 발생에 대한 자체 검사 기능뿐만 아니라, 추가적으로 차량 내부의 다른 시스템들의 이상을 표시해 주기도 한다.
이러한 OBD 장치를 토대로 하는 진단 방법 OBD-II를 지원하는 모든 차량은 크게는 3 가지(예를 들어, VPW-PWM(SAE-J1850), CAN 통신 (ISO 15765, SAE-J2234), ISO 방식 (ISO 1941-2, ISO 14230-4)), 세부적으로는 5 가지의 표준 신호 방식을 사용한다. 신호 방식은 각 차량 메이커 마다, 심지어는 차량의 모델별로 다를 수 있다.
아시아에서 생산, 판매되는 차량이나 유럽에서 판매되는 차량은 대부분 ISO 방식으로 통신하며, PWM 방식은 미국의 포드자동차, VPW는 제너럴 모터사에서 주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OBD-I 정보는 표준이 아니기 때문에 차종, 메이커, 연도별 수집 방법이 모두 다를 수 있다.
차량 정보 수집 단말(10)은 차종, 메이커, 연도별 OBD-I 수집 방식이 리버스 엔지니어링(Reverse Engineering)을 통하여 모두 제공된다.
각 차량에는 OBD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GPS 및 G-센서가 포함된 차량 정보 수집 단말(10)이 장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차량 하단의 OBD 커넥터에 부착될 수 있다.
한편, 차량 외관 스캔 장치(30)는 렌터카가 출차되거나 입차되는 주차장의 출차 라인이나 입차 라인에 위치되어, 출차 라인 또는 입차 라인을 이동하는 렌터카의 외관을 스캔하고 해당 정보를 차량 관리 서버(20)로 전송한다.
이러한 정보는 차량 외관 정보라고 명명할 수 있다.
차량 관리 서버(20)는 차량 정보 수집 단말(10)로부터 전송되는 차량 내부 정보와 차량 외관 스캔 장치(30)로부터 전송되는 차량 외관 정보를 토대로 렌터카를 관리한다.
차량 관리 서버(20)는 렌터카를 이용할 수 있는 회원으로 가입되는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이름, 주소, 전화번호, 카드번호, 면허증 번호 등--를 관리하는 회원 가입 처리부(21), 렌터카에 대한 차량 내부 정보, 차량 외관 정보, 차량 위치, 예약 상황, 렌터카 총 이동 거리 정보 등 렌터카 차량에 대한 히스토리를 제공하는 렌터카 관리부(22), 렌터카를 이용하는 사용자 즉, 고객이 운행중인 렌터카의 운행 정보를 수집하는 운행 정보수집부(23), 운행중인 차량의 이벤트 발생에 대한 사고 판단, 입차/출차되는 차량의 외관 정보를 기반으로 내부 손상도를 판단하는 등의 각종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이벤트 처리부(24)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차량 관리 서버(20)는 렌터카 차량에 부착된 차량 수집 단말(10)을 통하여 차량 운행 전반에 걸친 사항을 수집한다.
수집되는 정보로는 렌터카의 운행 시간, 속도, 브레이크, 과속, 급출발, 급가속, 급정거, 급제동등의 운행 정보와 GPS 정보, G센서 정보를 포함한다.
이벤트 처리부(24)는 G 센서 정보가 허용 범위를 초과하는 중력 가속도가 발생할 경우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렌터카에 대한 내부 정보 (고장, 사고, 총 거리, 오일 교체 등)를 렌터카 이용을 예약한 사용자
즉, 예약자에게 제공하여 차량 내부 상태를 보고 예약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렌터카 관리 시스템(1)은 도 2와 같은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제공할 수 있다.
다음에는 이러한 구조를 토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렌터카 관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렌터카 관리 방법에서, 먼저, 차량 수집 단말(10)에서 수행되는 정보 수집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렌터카 관리 방법에서, 차량 수집 단말이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의 흐름도이다.
차량 정보 수집 단말(10)은 렌터카 예를 들어 차량 하단의 OBD 커넥터에 연결되는 형태로 설치되고(S101), 차량관리 서버(20)는 렌터카마다 부착된 차량 정보 수집 단말의 시리얼(Serial) 정보를 확인하여 단말이 정상 동작을 하는지를 판단한(S102) 차량 정보 수집 단말(10)이 정상 동작하지 않는 경우 차량 관리 서버(20)는 해당 렌터카의 관리자의 단말(2)로 차량 확인을 의뢰하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차량 정보 수집 단말의 장착/미장착 상태를 확인하고 미장착일 경우. 단말 등을 이용하여 차량 관리 서버(20)로 차량 정보 수집 단말이 미장착임을 알린다
(S103) 차량 관리 서버(20)는 차량 정보 수집 단말이 미장착된 차량이 확인되면, 새로운 차량 정보 수집 단말의 모델 및 시리얼 번호를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차량 정보 수집 단말을 신규 발급한다(S104) 이에 따라 관리자는 신규 발급된 시리얼 번호를 가지는 차량 정보 수집 단말을 렌터카에 장착한다.
한편, 차량 정보 수집 단말(10)이 정상 동작하는 경우, 예약된 렌터카에 관하여 예약 정보와 차량 정보 수집 단말의 시리얼 번호를 확인하고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한다(S105) 렌터카 예약 정보와 차량 정보 수집 단말의 설정이 정상 동작하지 않는 경우, 예를 들어, 현재 렌터카에 대한 정보와 차량 정보 수집 단말의 시리얼 번호가, 실질적으로 예약된 렌터카 정보와 해당 렌터카에 대한 단말의 시리얼 번호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설정이 정상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차량 정보 수집 단말의 이상 여부를 확인한다(S106)
차량 정보 수집 단말 자체에 이상이 있는 경우,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관리자 단말(2)로부터의 통보에 따라 차량 관리 서버(20)에 의하여 새로운 차량 정보 수집 단말이 발급되고, 해당 차량 정보 수집 단말이 해당 렌터카에 설치될 수 있다(S104)
차량 정보 수집 단말 자체에 이상이 없는 경우, 차량 관리 서버(20)는 차량 정보 수집 단말(10)을 리부팅하고(S170), 다시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한다(S108) 리부팅 후 정상 동작을 하는 경우, 차량 관리 서버(20)는 차량정보 수집 단말(10)을 운행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준비 모드로 동작시킨다. 한편, 리부팅 후에도 차량 정보 수집 단말이 정상 동작을 하지 않는 경우 통신 이상을 확인하고(S109), 통신 이상이 확인될 경우 해당 단말의 시리얼 번호 및 모델을 통신사에 알린다(S110) 통신 이상이 아닐 경우 해당 모델이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고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새로운 차량 정보 수집 단말에 대한 발급 처리를 수행한다(S104)
한편 단계(S105)에서 차량 정보 수집 단말(10)이 정상 동작하는 경우, 단계(S108)에서 리부팅 후에 단말이 정상동작하는 경우에, 차량의 예약 완료 및 운행이 시작되면 차량 정보 수집 단말(10)은 운행 정보(렌터카 운행 정보, GPS 정보)를 수집한다(S111) 운행 정보가 수집되지 않는 경우 차량 관리 서버(20)는 단계(S105)를 통하여 렌터카 예약 정보와 차량 정보 수집 단말의 설정이 정상인지를 재확인한다.
렌터카 운행 시간 동안 운행 정보가 문제없이 수집되는 경우, 차량 정보 수집 단말(10)은 차량 운행 정보를 트립(시동 On~Off) 단위로 차량 관리 서버(20)로 전송한다.
또한 차량 정보 수집 단말(10)은 차량 운행 정보를 토대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판단하고(S112), 차량 운행정보를 토대로 이벤트(사고 또는 차량 고장 등, 예를 들어, G-센서 이상 등)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관리 서버(20)로 해당 이벤트 내역 및 GPS 정보를 전송한다(S113) 차량 관리 서버(20)는 해당 이벤트 내역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판독하고(S114), 사고인지 고장인지를 판단하고, 사고인 경우에는 사고 정도를 판단한다.
이후 차량 관리 서버(20)는 판단 정보를 토대로 긴급 출동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렌터카에 대한 차량 운행 정보는 트립(시동 On ~ Off) 단위로 전송되기 때문에 차량의 운행 종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차량 운행이 종료되면 차량 정보 수집 단말(10)은 차량 운행 종료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차량관리 서버(20)로 전송한다.
렌터카 운행이 종료되는 경우(S115), 차량 정보 수집 단말(10)은 해당 렌터카의 반납 여부를 확인한다(S116)
여기서 반납은 예약 시간과 상관없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반납에 따라 해당 렌터카에 대하여 반납이 이루어졌음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기록된다.
차량 정보 수집 단말(10)은 렌터카 반납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트립 단위로 정보를 수집하여 전송한 다. 그러나 렌터카 반납이 완료된 경우, 반납 완료 정보에 차량 관리 서버(20)로 전송하고 반납 절차를 시작한다(S117) 반납시, 반납 완료 정보 외에 최종 이동 거리, 고장, 사고 등의 정보를 함께 전송하여 예약 대기 인원에게 해당 차량의 총 이동 거리 및 차량 내부 정보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반납 절차가 완료되면 서비스를 종료한다(S118)
다음에는 차량 외관 스캔 장치(30)와 차량 관리 서버(20)와의 정보 송수신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렌터카 관리 방법에서, 차량 외관 스캔 장치와 차량 관리 서버와의 정보 송수신 과정의 흐름도이다.
차량 외관 스캔 장치(30)는 렌터카 주차장의 출차 라인 및 입차 라인에 설치되어 출차되거나 입차되는 차량을 스캔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외관 스캔 장치의 설치 예를 나타낸 도이다.
예약 완료된 렌터카는 렌터카 주차장에서 출차를 위하여 외부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 경우, 도 5에서와 같이, 출차 라인에 장착된 차량 외관 스캔 장치(30)를 통과하게 된다. 차량 외관 스캔 장치(30)는 스캐너 위를 차량이 지나가면 차량 외관을 스캔한다. 차량 외관 스캔 장치(30)에 의하여 스캔되는 영역(A1)은 도 5와 같으며, 이를 위하여, 차량 외관 스캔 장치(300가 우측 스캔 센서와 하부 스캔 센서를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차량 외관 스캔 장치(30)는 차량의 스캔 결과인 이미지를 포함하는 차량 외관 정보를 차량 관리 서버(20)로 전송하며, 이외에도 렌터카 관리자와 렌터카 사용자의 단말(2, 3)들로 전송할 수 있다.
렌터카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즉, 예약자가 렌터카 예약을 마치고 차량을 인도받는다(S201) 예약자는 차량 관리 서버(20)로부터 제공되는 렌터카 예약 사이트를 통하여, 렌터카에 대한 차량 거리, 고장, 사고 등의 세부 내역을 확인하고 차량을 예약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예약자)는 차량 관리 서버(20)에서 제공하는 해당 차량의 이전 사용자가 차량을 사용하고 반납하는 과정에서 렌터카 차량 주차장으로 입차될 때 스캔된 차량 외관정보를 확인하고 차량을 예약할 수 있다. 차량 관리 서버(20)는 사용자(예약자)가 소정 차량에 대한 예약을 신청하면 신청된 차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예약 정보를 렌터카 관리자의 단말(2)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단말(2)에 의하여 수신된 예약 정보를 토대로 신청된 차량에 대한 차량 출고 준비를 한다(S202)
사용자가 렌터카 주차장으로부터 예약한 차량을 출고할 경우, 차량은 렌터카 주차장의 출/입차 차단기(도시하지않음)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출차 라인 및 입차 라인에 설치된 차량 외관 스캔 장치(30)가 출고되는 차량을 스캔하여 해당하는 차량 외관 정보를 차량 관리 서버(2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출/입차 차단기의 하단 및 좌, 우측 기둥에 설치된 스캔 센서가 차량을 스캔하고, 해당 이미지를 포함하는 차량 외관 정보가 차량 관리 서버(20)로 전송되며, 또한 예약자의 단말(3)로 전송될 수도 있다(S204) 여기서, 사용자 및 관리자의 어플리케이션에 이상이 있는 부분은 체크된다. 그리고 스캔에 따라 획득한 이미지로부터 이상이 있는 외관(전, 후, 좌, 우, 하단) 부분이 체크되고, 체크 사항 및 이미지를 포함하는 차량 외관 정보가 차량 관리 서버(20)로 전송된다.
물로 스캔된 이미지는 프린트될 수 있다.
한편, 예약 종료된 차량 반납시 해당 차량이 렌터카 주차장의 출/입차 차단기를 다시 통과하면, 입차 라인에 설치된 차량 외관 스캔 장치(30)가 입고되는 차량을 스캔하여 차량 외관 정보를 차량 관리 서버(20)로 전송한다(S205, S206)
이 때, 해당 차량의 출고시 획득한 이미지를 포함하는 차량 외관 정보도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차량 관리 서버(20)는 출고시의 차량 외관 정보와 입고시 차량 외관 정보를 비교 및 분석하여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S207), 이상 유무의 결과를 사용자의 단말(3) 또는 관리자의 단말(2)로 전송한다(S208) 따라서 관리자와 사용자는 차량 관리 서버(20)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토대로 차량 외관 정보 이상 부분을 확인한다(S208) 또한 차량 관리 서버(20)는 차량의 외관 정보를 바탕으로 내부 고장 여부를 판단한다(S209) 즉, 외관 이상으로 발생한 내부 고장 발생 유무를 판단한다.
외관 이상으로 인하여 내부 고장이 발생한 경우, 고장 내역 및 수리 방법,
일정, 진행 상황 등을 포함하는 진단 결과를 사용자(고객)의 단말(3)로 전송한다. 즉, 차량 관리 서버(20)는 외관 정보 이상으로 인한 내부 손상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 및 관리자의 단말(3, 2)로 전송한다(S210,S211)
외관 정보가 이상이 있으나 내부 손상이 없는 경우 해당 고객에게 외관 이상에 대한 결과 및 차량 수리전반에 대한 내용을 고지한다. 외관 정보 이상 및 내부 손상 여부가 이상인 경우 해당 고객에게 외관 손상으로 인하여 발생한 내부 손상에 대한 내역을 고지한다.
한편 단계(S208)에서, 출고시의 차량 외관 정보 및 입고시의 차량 외관 정보를 비교한 결과 이상이 없는 경우, 이상 없음을 사용자의 단말(3)로 통보한다(S213) 이후, 서비스가 종료된다(S214)
다음에는 차량 관리 서버(20)의 정보 [0056] 처리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렌터카 관리 방법에서, 차량 관리 서버의 정보 처리 과정의 흐름도이다.
렌터카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도 6에서와 같이, 차량 관리 서버(20)에 의하여 제공되는 예약 사이트에 접속하여 렌터카 예약을 한다(S401) 사용자는 렌터카 예약을 위하여 신규 회원 가입을 하거나 로그인 하며(S402), 신규 회원 가입을 하는 경우 사용자 정보를 차량 관리 서버(20)로 제공하며, 차량 관리 서버(20)는 사용자 정보를 회원 가입 처리부(21)에 저장 및 관리한다(S402-1) 차량 관리 서버(20)는 기존 회원의 경우 회원정보, 대여, 고장, 사고 등의 내역 정보를 제공한다(S402-1)
사용자는 차량 관리 서버(20)의 웹 페이지로부터 제공되는 렌터카에 대한 내부 정보 및 차량 외관 정보를 토대로, 원하는 차량을 예약한다(S403) 차량 외관 정보는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은 차량 외부 스캔 장치(30)로부터 획득된 것으로, 차량의 외관 이상 유무 내역을 제공한다(S403-1) 렌터카 내부 정보는 차량 정보 수집 단말(10)을 통하여 수집된 운행 정보를 토대로 한 것으로, 차량의 총 이동거리, 고장, 사고, 수리, 교체품 교체 내역등을 포함한다(S403-2)
따라서, 사용자는 이와 같이 제공되는 차량 외관 정보 및 차량 내부 정보를 토대로 원하는 차량에 대한 렌트 예약을 할 수 있다.
렌터카 예약이 완료되고 사용자 즉, 예약자가 예약 차량을 출차하면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차량 외관 스캔 장치(30)로부터 해당 차량 외관 정보가 전송되며, 차량 관리 서버(20)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차량 외관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도시하지 않음)에 저장하고, 차량 외관 정보를 토대로 해당 차량의 외관 이상 여부를 판단하여 체크리스트를 생성 및 제공한다(S404)
즉, 렌터카 출/입차 차단기에 설치된 차량 외관 스캔 장치에 의하여 통과되
는 차량에 대한 스캔이 이루어지면서 해당 이미지가 차량 관리 서버(20)로 전송되며(S404-1), 차량 관리 서버(20)는 이미지로부터 이상 여부를 체크하고 체크 리스트를 생성한다(S404-2)
한편 렌터카 운행이 시작되면 차량 관리 서버(20)는 차량의 운행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한다(S405) 운행중의 렌터카에 설치된 차량 정보 수집 단말(10)은 차량의 정보를 수집하여 차량 관리 서버(20)로 전송한다(S405-1)
차량 정보 수집 단말(10)은 수집된 차량의 운행 정보를 토대로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이벤트가 발생하면 바로 차량 관리 서버(20)로 통보한다(S406) 예를 들어, 운행 중 이벤트는 G 센서가 기준치 이상으로 움직였거나 차량 고장 정보 (DTC 코드)가 발생한 경우일 수 있다.
이벤트 발생 정보가 수신되면, 차량 관리 서버(20)는 이벤트 발생으로 인해 차량 정보 수집 단말(10)로부터 전송받은 운행 정보를 기반으로 사고 또는 고장 사항을 분석한다(S407)
이벤트 발생으로 인하여 차량 정보 수집 단말(1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는 GPS 정보를 포함한다(S407-1)
이벤트 발생 여부는 G 센서의 중력 가속도가기준치 이상으로 움직일 경우 등이며, 차량 정보 수집 단말(10)은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벤트 기준으로 일정 시간(이벤트 발생 전, 후 기준 시간)에 수집한 차량 운행 정보를 차량 관리 서버(20)로 전송한다.
한편 렌터카 예약 종료 전 차량 입고를 위한 준비가 이루어지며, 차량 입고가 완료되면(S408), 해당 차량이 출/입차 차단기를 통과하면서 차량 외관 스캔 장치(30)가 차량을 스캔하여 차량 외관 정보를 차량 관리 서버(20)로 전송한다.
차량 관리 서버(20)는 해당 차량 외관 정보를 토대로 외관 손상을 판단한다(S409) 외관 손상 판단이 완료되면 해당 차량의 차량 정보 수집 단말(10)을 통해 전송받은 운행정보를 활용하여 외관 손상과 연계할 수 있는 차량 내부 이상 유무를 판단한다(S410)
이후, 차량 관리 서버(20)는 도 7에서와 같이, 차량 내/외관 이상 결과를 사용자 및 관리자의 단말(3, 2)로 전송한다(S411)
수신되는 정보를 토대로, 차량 내/외관 이상이 발생한 경우, 사용자와 관리자는 해당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S412)
또한 차량 관리 서버(20)는 내/외관 이상 발생 상황 및 이상으로 판단한 근거를 사용자 및 관리자에게 고지한다(S413)
내/외관 이상이 전혀 없는 경우, 차량 관리 서버(20)는 사용자의 운전 패턴 및 운행 정보를 기반으로 경제, 안전 운전 점수를 판단한다(S413-1)
한편, 렌터카 사용자와 관리자가 차량 내/외관 이상 상황을 실제 차량에서 확인하면, 차량 관리 서버(20)는 해당 차량의 수리를 위해 입고 처리를 할 수 있다 (S414) 그리고 차량 관리 서버(20)는 차량 수리가 진행되는 동안 차량 정비사의 단말(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제공되는 세부 수리 내역을 사용자의 단말(3)로 통보한다(S415)
한편 차량 관리 서버(20)는 내/외관에 이상을 발생한 사용자의 운행정보 기반 경제, 안전 운전 점수를 판단할 수 있다(S416)
해당 점수를 기반으로 사용자 정보를 업데이트 하고 공지할 수 있다(S417) 이후 서비스가 종료된다(S418)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렌터카 관리 방법에 [0068] 따라 제공되는 서비스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서비스 과정에서,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은 정보들이 송수신될 수 있다.
차량 관리 서버(20)에서 제공되는 사이트를 통하여 사용자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회원 가입 그리고 제공되는 차량 관련 정보들(차량 내부 및 외관 정보 등)을 토대로 렌터카 예약이 이루어진다.
도 8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단말을 통하여 이미지를 바탕으로 자동 생성된 외관상태 체크를 확인하며(S501,S502), 스캔된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이를 차량 관리 서버(20)로 통보하여(S503, S504) 차량 외관 스캔 장치(30)가 차량을 스캔하도록 할 수 있다(S505)
또한 사용자는 차량 외관상태를 체크하고 또한 차량 내부 정보(선택한 차량 총 이동 거리(Km), 고장 내역, 수리내역 등)를 확인한다(S506)
차량 내부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해당 차량이 신규 차량일 수 있다(S507)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사용자는 원하는 차량을 예약할 수 있으며, 예약된 렌터카에 대한 관리자의 단말(2) 및 사용자의 단말(2)로 전송되면서 출고 처리가 이루어진다(S508) 차량이 출고되면서 차량 외관 스캔 장치(30)에 의하여 차량 스캔이 이루어지고 해당하는 차량 외관 정보가 차량 관리 서버(20)로 전송된다.
이후,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운행되는 차량에 대한 차량 정보 수집이 이루어지며, 운행 중에 비상 상황 이벤트(예를 들어 비상 상황 이벤트는 긴급 상황과 일반 상황으로 관리될 수 있으며, 긴급상황은 고장, 사고 등의 이벤트를 포함하고, 일반상황은 연료 부족, 오일 부족 등의 이벤트를 포함함)가 발생되면(S509) 차량 관리 서버(2))에 의하여 고장 출동 서비스가 이루어진다(S510) 이에 따라 새로운 차량으로의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다(S511)
또한 차량 관리 서버(20)는 긴급 상황일 경우(S512) 렌터카 및 보험사 직원의 단말(도시하지 않음)로 통보하고 특히, 차량 정보 수집 단말(10)로부터 제공되는 차량의 위치에 관련된 GPS 정보와 함께 이벤트 상세 정보를 제공하여 긴급출동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한다(S513, S514)) 또한 차량 관리 서버(20)는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의 가족들 단말로 사고 발생을 통지할 수 있다(S515) 그리고 사고에 따른 렌터카 보험 및 법률 자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S516)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긴급 출동 서비스가 종료된다(S517)
한편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차량 관리 서버(20)는 계속하여 차량 운행 정보를 수집하며(S518), 해당차량의 예약 종료일을 확인하여(S519), 예약 종료일이 아닌 경우에는 계속하여 운행되는 차량의 정보를 수집하며(S520), 예약 종료일인 경우에는 사용자의 단말(3)로 예약 종료 시점을 알람한다(S521) 이 경우, 차량 관리서버(20)는 차량의 GPS 정보를 기반으로 가장 가까운 입고 센터를 알려 줄 수 있다. 사용자에게 보내는 알람은 렌터카 반납 예정 시각, 가까운 입고 센터, 연장 여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통보에 따라 사용자가 렌터카 사용 연장을 요청하면(S522), 차량 관리 서버(20)는 계속하여 해당 차량에 대한 운행 정보를 수집하면서 이벤트 발생 여부를 체크한다.
한편, 예약 종료 시점 통보에 따라 렌터카 사용 연장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도 9에서와 같이, 차량 반납 처리가 이루어지며(S523), 반납 처리에 따라 렌터카 주차장으로 해당 차량이 입고되면서 차량 외관 스캔 장치(30)가 입고되는 차량을 스캔하여 해당 차량 외관 정보를 차량 관리 서버(20)로 전송한다(S524)
차량 관리 서버(20)는 출고 및 입구시의 차량 외관 정보들을 토대로 이상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S525),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사용자의 단말(3)로 이를 통보하면서(S526), 이상 수리 및 교체에 따른 벌금, 해당 법률 공지 및 자문 서비스를 제공한다(S527) 차량 관리 서버(20)는 차량 외관 수리 및 보수에 관한 모든 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단말(3)로 고지한다. 그리고 관계법, 수리 및 보수 금액 등 세부 내용을 해당 사용자에게 고지한다(S528)
한편 차량 관리 서버(20)는 차량 수리에 따른 과대 수리 및 비용 청구가 이루어진 경우에는(S529) 이에 대한 해당 법률 공지 및 자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단계(S525)에서, 차량에 이상이 없는 경우 차량 반납이 종료되며(S530), 차량 관리 서버(20)는 사용자 경제운전 지수를 판별한다(S531) 구체적으로 차량 관리 서버(20)는 운행 정보를 토대로 해당 사용자의 렌터카 사용 기간 동안 경제적으로 운전하였는지 판단한다. 경제 운전 지수는 급출발, 급제동, 과속, 안전벨트 착용 유무, CO2 배출량 등을 활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경제운전 지수가 높은 해당 사용자는 추후에 우선 예약 및 할인 가능함을 고지한다(S532, S533)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9)

  1. 차량 관리 서버가, 렌터카 차량에 설치된 차량 정보 수집 단말로부터 차량의 운행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차량 관리 서버가, 차량 외관 스캔 장치를 이용하여 출고 또는 입고되는 렌터카 차량을 스캔하여 이미지를 포함하는 차량 외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차량 관리 서버가, 운행되는 상기 렌터카 차량에 대하여 획득되는 차량의 운행 정보를 토대로 사고 및 고장을 포함하는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량 관리 서버가, 이벤트 발생시 이를 사용자의 단말 및 관련자의 단말로 통보하여 이벤트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
    상기 차량 관리 서버가, 상기 렌터카 차량의 반납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렌터카 출고시 획득한 차량 외관 정보와 상기 렌터카 입고시 획득한 차량 외관 정보를 토대로 이상 발생을 판단하고, 이상 발생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차량 관리 서버가 상기 렌터카의 예약 종료일에서,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 예약 종료 시점을 알람하고, 상기 렌터카의 GPS 정보를 기반으로 입고 정보―상기 입고 정보는 렌터카 반납 예정 시각, 입고 센터, 연장 여부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를 통보하는 단계;
    상기 차량 관리 서버가 입고된 렌터카에 대한 차량 운행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의 경제 운전 지수―상기 경제 운전 지수는 급출발, 급제동, 과속, 안전벨트 착용 유무, CO2 배출량을 토대로 결정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관리 서버가 상기 경제 운전 지수를 토대로 해당 사용자에 대한 우선 예약 및 할인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렌터카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는 상기 렌터카의 운행 시간, 속도, 브레이크, 과속, 급출발, 급가속, 급정거, 급제동,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 G(gravity) 센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렌터카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관리 서버가, 상기 G 센서 정보에 따른 중력 가속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
    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렌터카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정보 수집 단말이, 상기 발생된 이벤트를 기준으로 설정 시간―상기 설정 시간은 이벤트 발생 전 및 이벤트 발생 후의 시간을 포함함―동안 수집한 차량 운행 정보를 상기 차량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렌터카 관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운행 정보를 차량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정보 수집 단말이, 상기 렌터카의 GPS 정보를 상기 차량 운행 정보에 포함시켜 상기 차량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관리 서버가, 사용자와 관련된 사람들에 해당하는 단말로 상기 이벤트 발생을 통보하는 단계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렌터카 관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관리 서버가, 렌터카마다 부착된 차량 정보 수집 단말의 시리얼(Serial)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단말이 정상 동작을 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관리 서버가, 상기 단말이 정상 동작하는 경우, 상기 렌터카에 대한 정보와 상기 단말의 시리얼 정보가, 예약된 렌터카에 관한 예약 정보―상기 예약 정보는 예약된 렌터카의 정보와 해당 렌터카에 대한 차량 정보수집 단말의 시리얼 번호를 포함함―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최종확인하는단계를 포함하는, 렌터카 관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관리 서버가, 상기 차량 운행 정보를 트립(시동 On~Off)단위로 수집하는, 렌터카 관리 방법.
  8. 상기 이상 발생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관리 서버가, 상기 렌터카 출고시 획득한 차량 외관 정보에서 차량 외관에서 이상이 발생한 부분을 획득하고, 상기 이상이 발생한 부분을 토대로 내부 고장 발생 유무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차량 관리 서버가, 내부 고장이 발생한 경우, 고장 내역, 수리 방법, 그리고 수리 일정을 포함하는 진단결과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 통보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관리 서버가, 상기 출고시의 차량 외관 정보 및 입고시의 차량 외관 정보를 비교한 결과 이상이 없는경우, 이상 없음을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렌터카 관리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관리 서버가, 렌터카에 대한 내부 정보 및 차량 외관 정보를 제공하여 렌터카 예약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차량 외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예약된 렌터카의 출차시, 상기 예약된 렌터카의 차량을 스캔하여 차량외관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하며,
    상기 렌터카 내부 정보는 차량의 총 이동거리, 고장, 사고, 수리, 교체품 교체 내역을 포함하는, 렌터카 관리방법.
KR1020210016234A 2021-02-04 2021-02-04 1] 차량 운행 정보를 기반으로 렌터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125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234A KR20220112549A (ko) 2021-02-04 2021-02-04 1] 차량 운행 정보를 기반으로 렌터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234A KR20220112549A (ko) 2021-02-04 2021-02-04 1] 차량 운행 정보를 기반으로 렌터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2549A true KR20220112549A (ko) 2022-08-11

Family

ID=82803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6234A KR20220112549A (ko) 2021-02-04 2021-02-04 1] 차량 운행 정보를 기반으로 렌터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1254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0431B1 (ko) 2022-12-06 2023-07-03 유재철 렌터카 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0431B1 (ko) 2022-12-06 2023-07-03 유재철 렌터카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1159B1 (ko) 차량 운행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렌터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EP1197822B1 (en) On-vehicle breakdown-warning report system
CN108469802B (zh) 一种车辆信息远程监控与故障诊断系统
CN1826514B (zh) 车辆诊断方法、车辆诊断系统、车辆及中心
CN108885764B (zh) 远程信息处理系统及其相应的方法
US11847695B2 (en) Credit screening support system, vehicle-mounted device, vehicle, server, credit screening support method, credit screening support program, and storage medium
JP6773024B2 (ja) 記録装置、記録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070126559A1 (en) Vehicular abnormality notifica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and vehicle-mounted apparatus
KR102442847B1 (ko) 건설기계의 소모품 유지보수 일정정보 조정 방법 및 서버
JP6841729B2 (ja) 車両管理システム
KR20220112549A (ko) 1] 차량 운행 정보를 기반으로 렌터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23126301A (ja) 保険料設定サーバ、保険料設定方法、保険料設定プログラム
KR102312695B1 (ko) 영업용 차량을 위한 통합 관리 시스템
KR20220119553A (ko) 안정적인 렌터카 서비스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렌터카서비스 관리 시스템
JP2009003503A (ja) 安全運転教育提供方法、及びこれを利用する自動車保険情報システム
KR20080053082A (ko) 텔레매틱스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JP2006244344A (ja) 自動車保険情報システム、交通情報システム及び自動車保険情報収集方法
WO2020075309A1 (ja) 車両遠隔制御システム、車載器、車両、サーバ、車両遠隔制御方法、車両遠隔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CN112767561A (zh) 一种长途汽车的智能系统及方法
US20190066122A1 (en) System for remotely monitoring emissions performance of a vehicle
JP2020201869A (ja) 車両管理システム及び車両管理装置
KR100637706B1 (ko) 무선 인식 태그를 이용한 통행 요금 징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129170A (ko) 차량용 디지털 운행 기록 장치 및 이의 차량 개별 관제 방법
JP7107674B2 (ja) 管理システム
JP2024504221A (ja) コネクテッドカーを利用したレンタカー運営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