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0777A - 전기 드릴 비트 - Google Patents

전기 드릴 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0777A
KR20220110777A KR1020227022067A KR20227022067A KR20220110777A KR 20220110777 A KR20220110777 A KR 20220110777A KR 1020227022067 A KR1020227022067 A KR 1020227022067A KR 20227022067 A KR20227022067 A KR 20227022067A KR 20220110777 A KR20220110777 A KR 20220110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ly conductive
distal
proximal
drill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2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디 로리안
노아 바레어
로이 질베르만
오퍼 파츠
안바라산 두라이사미
울리히 쉬라우돌프
올리비에 프레잘
Original Assignee
콘피던트 에이비씨 엘티디.
스파인가드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피던트 에이비씨 엘티디., 스파인가드 에스.에이. filed Critical 콘피던트 에이비씨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20110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07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13Component parts
    • A61B17/1615Drill bits, i.e. rotating tools extending from a handpiece to contact the worked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13Component parts
    • A61B17/162Chucks or tool parts which are to be held in a chu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13Component parts
    • A61B17/1622Drill hand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8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invasively, e.g. using a cath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6Devices, other than using radiation, for detecting or locating foreign bodies ; determining position of probes within or on the body of the patient
    • A61B5/065Determining position of the probe employing exclusively positioning means located on or in the probe, e.g. using position sensors arranged on the probe
    • A61B5/068Determining position of the probe employing exclusively positioning means located on or in the probe, e.g. using position sensors arranged on the probe using impedanc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46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 A61B5/686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or implanted in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78B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13Component parts
    • A61B17/1626Control means; Display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17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017/00022Sensing or detecting at the treatment site
    • A61B2017/00026Conductivity or impedance, e.g. of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477Coup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801Prevention of accidental cutting or pricking
    • A61B2090/08021Prevention of accidental cutting or pricking of the patient or his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62Apparatus with built-in sensors
    • A61B2560/0468Built-in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04B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토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생크(34); 생크(34)의 원위 단부(28)에 배치되고 생크(34)에 대해 회전식으로 고정되는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coupler)(36, 436, 536, 636, 736, 836, 936, 1036); 및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38, 238, 438, 538, 838, 738, 838, 938, 1038)를 포함하는 커넥터(32, 232, 532, 632, 732, 832,932, 1032)를 포함하는 드릴 비트(drill bit)(20, 420, 520, 620, 720, 820, 920, 1020)가 제공된다.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는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에 대해 회전식으로 고정되고,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62, 862, 962, 1062)을 정의하도록 형성된다. 드릴 비트는 전기 전도성 외부 전극(44) 및 전기 전도성 내부 전극(46, 146, 246, 346, 846)을 포함하는 드릴 샤프트(30, 130, 230, 330, 430, 830)를 더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들이 또한 설명된다.

Description

전기 드릴 비트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특허 출원은 2019년 12월 2일에 출원된 미국 가 출원 62/942,520으로부터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 출원은 여기에 참조로 포함된다.
출원의 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드릴 비트(drill bits)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전기 드릴 비트에 관한 것이다.
치과 및 정형외과 수술을 포함하는 일부 외과적 수술은 뼈 및 연조직을 모두 포함하는 조직을 통해 드릴링(drilling)하는 것을 포함한다. 드릴 비트의 팁(tip)이 뼈에 유지되어 있는지 또는 뼈에서 나와 연조직을 관통했는지 여부를 외과의사가 항상 아는 것이 중요하다.
Bourlion 등의 미국 특허 7,580,743은 관통 부재가 생체의 해부학적 구조 및, 특히, 뼈 구조 - 이 구조들은 적어도 2 개의 서로 다른 전기 임피던스 영역을 가짐 - 내로 관통하는 것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장치를 설명한다. 이 장치는, 적어도 2 개의 전극에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임피던스 미터(impedance meter) - 전극들 중 적어도 하나는 관통 부재의 원위 단부에 위치됨 - , 및 임피던스 미터가 임피던스 변화를 검출하면 경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경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743 특허는 또한 장치를 위한 관통 부재 및 장치를 위한 전자 기판에 대해 설명한다.
Forman 등의 미국 특허 10,064,630은 드라이버 조립체, 드라이버, 드릴 비트, 및 의료 수술 중에 생물학적 재료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임피던스, 전압, 전압 차이, 및 이러한 정보의 변경)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커넥터 및 드릴 샤프트를 포함하는 드릴 비트를 제공한다. 커넥터는 생크(shank),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coupler),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 및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로부터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절연체를 포함한다. 생크는 일반적으로 치과용 핸드피스(dental handpiece)와 같은 수술용 드릴의 척(chuck)으로부터 토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는 생크에 대해 회전식으로 고정되고, 생크의 원위 단부에 배치된다.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는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에 대해 회전식으로 고정되고,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을 정의하도록 형성된다.
드릴 샤프트는,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에 대해 회전식으로 고정되고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로부터 드릴 샤프트로 토크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근위 인터페이스를 정의하도록 형성된다. 드릴 샤프트는 조직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원위 단부 부분을 더 정의하도록 형성된다.
드릴 샤프트는 다음을 포함한다:
·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와 전기적으로 연통하는 전기 전도성 외부 전극;
· 커넥터의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와 전기적으로 연통하고 커넥터의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된 근위 단부 부분을 갖는 전기 전도성 내부 전극; 및
· 전기 전도성 외부 전극 및 전기 전도성 내부 전극을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기 위해, 전기 전도성 외부 전극과 전기 전도성 내부 전극 사이에 방사상으로 이루어진 전기 절연층.
드릴 샤프트 및 커넥터는 조직을 관통하도록 수술용 드릴로부터 드릴 샤프트로 토크를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드릴 샤프트 및 커넥터는 임피던스, 임피던스 변화, 전압, 또는 전압의 변화와 같은, 드릴 샤프트에 의해 관통된 조직의 전기적 특성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중앙 유닛과 전기 전도성 외부 및 내부 전극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감지된 전기적 특성은 해부학적 구조 및, 특히, 적어도 2 개의 상이한 전기 임피던스 영역을 갖는 뼈 구조, 예를 들어 뼈(예를 들어, 피질골) 및 연조직 내로의 드릴 샤프트의 관통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드릴 비트가 결합된 수술용 드릴의 조작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감지된 전기적 특성은, 임피던스 측정 드릴 기술에 알려진 바와 같이, 드릴 비트의 단일 전극 및 원격 외부 피부 복귀 전극을 사용하여 측정하는 것이, 불가능하지는 않더라도, 더 어려운 조직의 국부적 전기적 특성의 측정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적용예에 따라, 다음을 포함하는 드릴 비트가 제공된다:
(a) 커넥터 - 커넥터는:
(ⅰ) 토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생크;
(ⅱ) 생크의 원위 단부에 배치되고 생크에 대해 회전식으로 고정되는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 및
(ⅲ) (1)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에 대해 회전식으로 고정되고, (2)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3)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을 정의하도록 형성된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를 포함함 - ; 및
(b) 드릴 샤프트 - 드릴 샤프트는:
(ⅰ)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에 대해 회전식으로 고정되고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로부터 드릴 샤프트로 토크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근위 인터페이스, 및
(ⅱ) 회전될 때 조직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원위 단부 부분
을 정의하도록 형성되고,
드릴 샤프트는:
(ⅰ)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와 전기적으로 연통하는 전기 전도성 외부 전극;
(ⅱ) 커넥터의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와 전기적으로 연통하고, 커넥터의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된 근위 단부 부분을 갖는 전기 전도성 내부 전극; 및
(ⅲ) 전기 전도성 외부 전극과 전기 전도성 내부 전극을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도록, 전기 전도성 외부 전극과 전기 전도성 내부 전극 사이에 방사상으로 이루어진 전기 절연층을 포함함 - .
일부 적용예의 경우, 생크는 토크를 수용하기 위한 비-원형 단면의 근위 축 방향 부분을 정의하도록 형성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생크는 토크를 수용하기 위한 원형 단면의 근위 축 방향 부분을 정의하도록 형성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드릴 샤프트의 근위 인터페이스는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를 통해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에 회전식으로 고정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는 드릴 샤프트의 근위 인터페이스에서 드릴 샤프트에 통합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 및 드릴 샤프트는 드릴 샤프트의 근위 인터페이스에서 함께 결합되는 별도의 피스(piece)들을 포함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커넥터 및 드릴 샤프트는 제거 가능하게 서로 결합될 수 있는 별도의 피스들을 포함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전기 전도성 내부 전극의 근위 단부 부분 및 커넥터의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는 서로 직접 결합되는 별도의 피스들을 포함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전기 전도성 내부 전극의 근위 단부 부분은 커넥터의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와 일체형이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커넥터는,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된 내부 전기 접촉부를 더 포함하고,
전기 전도성 내부 전극의 근위 단부 부분은 내부 전기 접촉부를 통해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와 전기적으로 연통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내부 전기 접촉부는 접촉 스프링을 포함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접촉 스프링은 전기 전도성 내부 전극의 근위 단부 부분과 축 방향으로 접촉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접촉 스프링은 전기 전도성 내부 전극의 근위 단부 부분과 측 방향으로 접촉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전기 전도성 내부 전극은 커넥터의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로부터 근위로 돌출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전기 전도성 내부 전극은 커넥터의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 내에 리세스되어(recessed) 있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전기 전도성 내부 전극은 커넥터의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와 같은 높이이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생크의 근위 단부와 생크의 원위 단부 사이에서 측정된 생크의 길이는 5 내지 30 mm이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생크의 근위 단부와 생크의 원위 단부 사이에서 측정된 생크의 길이는 5 내지 30 mm이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드릴 샤프트의 근위 인터페이스와 드릴 샤프트의 원위 팁 사이에서 측정된 드릴 샤프트의 길이는 3 내지 80 mm이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전기 전도성 내부 전극은 드릴 샤프트의 근위 단부와 같은 높이이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전기 전도성 내부 전극은 드릴 샤프트의 근위 단부 내에 리세스되어 있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전기 전도성 내부 전극은 드릴 샤프트의 근위 단부로부터 근위로 돌출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드릴 샤프트의 근위 인터페이스와 드릴 샤프트의 원위 팁 사이에서 측정된 드릴 샤프트의 길이는 생크의 근위 단부와 드릴 샤프트의 원위 팁 사이에서 측정된 드릴 비트의 길이의 25 % 내지 95 %와 같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커넥터는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로부터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절연체를 포함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는 절연체를 통해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에 회전식으로 고정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는 측 방향 기계적 연결을 통해 절연체를 통해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에 회전식으로 고정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는 축 방향 기계적 연결을 통해 절연체를 통해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에 회전식으로 고정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절연체는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 및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를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도록 구성된 절연 링을 포함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절연체는 코팅을 포함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절연체는 비-전도성 접착제를 포함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커넥터는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로부터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비-전도성 스페이서(spacer)를 포함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비-전도성 스페이서는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와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 사이에 하나 이상의 빈 갭(empty gap)을 정의함으로써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로부터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를 부분적으로 전기적으로 절연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은 커넥터의 중심 종축을 360 도로 둘러싼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은 원형의 외부 단면을 가지고 있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위를 향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는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근위에 배치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는 근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을 정의하도록 형성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근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은 커넥터의 중심 종축을 360 도로 둘러싼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근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근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은 원형의 외부 단면을 가지고 있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근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근위를 향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드릴 시스템은 수술용 드릴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것이고, 드릴 시스템은 접촉 홀더를 더 포함하고, 이 접촉 홀더는 (a) 수술용 드릴에 기계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b)
근위 및 원위 전기 커넥터 - 접촉 홀더는 커넥터가 접촉 홀더에 의해 수용될 때 근위 및 원위 전기 커넥터를 근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 및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과 각각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도록 구성됨 - 를 포함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원위 전기 커넥터는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근위 전기 커넥터는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또는 원위 및 근위 전기 커넥터는 각각의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원위 전기 커넥터는 브러시를 포함하고, 원위 전기 커넥터는 브러시를 포함하고, 또는 원위 및 근위 전기 커넥터는 각각의 브러시를 포함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원위 전기 커넥터는 강성 접촉부를 포함하고, 원위 전기 커넥터는 강성 접촉부를 포함하고, 또는 원위 및 근위 전기 커넥터는 각각의 강성 접촉부를 포함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근위를 향하는 근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을 정의하도록 형성되고,
접촉 홀더는 커넥터가 접촉 홀더에 의해 수용될 때 근위 전기 커넥터를 근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과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도록 구성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근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은 전체적으로 근위를 향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근위 전기 커넥터는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위를 향하고,
접촉 홀더는 커넥터가 접촉 홀더에 의해 수용될 때 원위 전기 커넥터를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과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도록 구성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은 전체적으로 원위를 향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원위 전기 커넥터는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접촉 홀더는 접촉 홀더를 수술용 드릴에 기계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된 클램프를 포함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접촉 홀더는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채널을 정의하도록 형성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드릴 시스템은 수술용 드릴을 더 포함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는 생크와 전기적으로 연통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드릴 비트는 수술용 드릴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것이고, 커넥터의 생크는 수술용 드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드릴 시스템은 수술용 드릴을 더 포함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드릴 시스템은 수술용 드릴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것이고, 드릴 시스템은 접촉 홀더를 더 포함하고, 접촉 홀더는 (a) 수술용 드릴에 기계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b)
원위 전기 커넥터 - 접촉 홀더는 커넥터가 접촉 홀더에 의해 수용될 때 원위 전기 커넥터를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과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도록 구성됨 - ; 및
수술용 드릴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수술용 드릴 전기 커넥터를 포함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원위 전기 커넥터는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원위 전기 커넥터는 브러시를 포함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원위 전기 커넥터는 강성 접촉부를 포함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위를 향하고,
접촉 홀더는 커넥터가 접촉 홀더에 의해 수용될 때 원위 전기 커넥터를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과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도록 구성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은 전체적으로 원위를 향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원위 전기 커넥터는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접촉 홀더는 접촉 홀더를 수술용 드릴에 기계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된 클램프를 포함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드릴 시스템은 수술용 드릴을 더 포함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접촉 홀더는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채널을 정의하도록 형성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드릴 시스템은 수술용 드릴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것이고, 드릴 시스템은 접촉 홀더를 더 포함하고, 접촉 홀더는 (a) 수술용 드릴에 기계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b)
근위 및 원위 전기 커넥터 - 접촉 홀더는 커넥터가 접촉 홀더에 의해 수용될 때 근위 및 원위 전기 커넥터를 생크 및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과 각각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도록 구성됨 - 를 포함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위를 향하고,
접촉 홀더는 커넥터가 접촉 홀더에 의해 수용될 때 원위 전기 커넥터를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과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도록 구성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은 전체적으로 원위를 향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원위 전기 커넥터는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수술용 드릴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드릴 시스템이 제공되고,
드릴 시스템은 접촉 홀더를 더 포함하고, 접촉 홀더는 (a) 수술용 드릴에 기계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b) 원위 전기 커넥터를 포함하고,
접촉 홀더는 커넥터가 접촉 홀더에 의해 수용될 때 원위 전기 커넥터를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과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도록 구성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위를 향하고,
접촉 홀더는 커넥터가 접촉 홀더에 의해 수용될 때 원위 전기 커넥터를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과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도록 구성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은 전체적으로 원위를 향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원위 전기 커넥터는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드릴 시스템은 척을 포함하는 수술용 드릴을 더 포함하고, 생크는 척으로부터 토크를 수용하도록 척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적용예에 따라, 위에서 설명된 임의의 적용예들의 드릴 비트를 사용하는 방법이 추가로 제공되며, 이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생크를 수술용 드릴의 척에 결합하는 단계;
근위 및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를 중앙 유닛과 전기적으로 통하도록 결합하는 단계;
드릴 샤프트의 원위 단부 부분을 조직 내로 관통시키도록 수술용 드릴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중앙 유닛을 사용하여, 전기 전도성 외부 및 내부 전극을 통해 감지된 조직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는 단계.
본 발명은 도면들과 함께 취해진, 그 실시예들에 대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완전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적용예에 따른 드릴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적용예에 따른 도 1a 및 도 1b의 드릴 시스템의 드릴 비트의 개략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적용예에 따른 도 2a 및 도 2b의 드릴 비트의 드릴 샤프트의 개략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적용예에 따른 도 2a 및 도 2b의 드릴 비트의 커넥터의 개략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적용예에 따른 도 1a 및 도 1b의 드릴 시스템의 접촉 홀더의 개략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적용예에 따른 도 5a 내지 도 5c의 접촉 홀더의 단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적용예에 따른 도 5a 내지 도 5c의 접촉 홀더, 도 2a 및 도 2b의 드릴 비트의 일부, 및 도 도 1a 및 도 1b의 수술용 드릴의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적용예에 따른 다른 접촉 홀더의 단면도이다.
도 6d는 본 발명의 적용예에 따른 또 다른 접촉 홀더, 도 2a 및 도 2b의 드릴 비트의 일부, 및 도 1a 및 도 1b의 수술용 드릴의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6e 내지 도 6f는 본 발명의 적용예에 따른 또 다른 접촉 홀더의 예시이다.
도 6g는 본 발명의 적용예에 따른 다른 접촉 홀더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적용예에 따른 다른 접촉 홀더의 개략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적용예에 따른 또 다른 접촉 홀더의 개략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적용예에 따른 또 다른 접촉 홀더의 개략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적용예에 따른 다른 접촉 홀더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적용예에 따른 중앙 유닛을 더 포함하는 도 1a 및 도 1b의 드릴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적용예에 따른 드릴 샤프트의 개략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d는 본 발명의 각각의 적용예에 따른 다른 드릴 샤프트의 개략도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각각의 적용예에 따른 또 다른 드릴 샤프트의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각각의 적용예에 따른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도 14a 및 도 14b의 드릴 샤프트의 개략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적용예에 따른 드릴 비트의 개략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적용예에 따른 다른 드릴 비트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8a 및 도 18b는 본 발명의 적용예에 따른 또 다른 드릴 비트의 개략도이다.
도 19a 및 도 19b는 본 발명의 적용예에 따른 또 다른 드릴 비트의 개략도이다.
도 20a 및 도 20b 및 도 20c는 본 발명의 각각의 적용예에 따른 다른 드릴 비트의 각각의 구성의 개략도이다.
도 21a 및 도 21b는 본 발명의 적용예에 따른 또 다른 드릴 비트의 개략도이다.
도 22a 및 도 22b는 본 발명의 적용예에 따른 또 다른 드릴 비트의 개략도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적용예에 따른 드릴 시스템(10)의 개략도이다. 드릴 시스템(10)은 드릴 비트(20) 및 치과용 핸드피스(도시된 바와 같음) 또는 다른 유형의 수술용 드릴, 예를 들어 정형외과용 수술용 드릴(도시되지 않음)과 같은 수술용 드릴(22)을 포함한다. 도 1a 및 도 1b는 수술용 드릴(22)의 척(24)에 고정된 드릴 비트(20)를 도시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수술용 드릴(22)은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것들과 같이 통상적인 것이다. 선택적으로, 척(24)은 드릴 기술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콜릿(collet)을 포함하지만, 다른 적용예의 경우, 드릴 기술에 또한 알려진 바와 같이 척은 콜릿을 포함하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적용예에 따른 드릴 비트(20)의 개략도인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도록 한다.
또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적용예에 따른 드릴 비트(20)의 드릴 샤프트(30)의 개략도인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적용예에 따른 드릴 비트(20)의 커넥터(32)의 개략도인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도록 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드릴 비트(20)의 커넥터(32)는 다음을 포함한다:
· 일반적으로 수술용 드릴(22)의 척(24)으로부터 토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생크(34);
· 생크(34)에 대해 회전식으로 고정되고, 생크(34)의 원위 단부(28)에 배치된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36); 및
·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36)에 대해 회전식으로 고정되고,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36)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된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38).
커넥터(32)는 회전 운동 및 토크를 수술용 드릴(22)로부터 드릴 비트(20)로 전달하고, 도 11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되는, 드릴 비트(20)와 중앙 유닛(21) 사이에서 전기 신호의 전송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예시적인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드릴 비트(20)를 수술용 드릴(22)에 기계적으로 결합 가능한 접촉 홀더(26)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전형적으로,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38)는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62)을 정의하도록 형성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36)는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62)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근위에, 예를 들어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62)에 대해 전체적으로 근위에 배치된다. 다른 적용예의 경우,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36)는 도 20a 내지 도 2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62)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근위에 배치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36)는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62)의 적어도 일부와 동일한 축 방향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드릴 샤프트(30)는 다음을 정의하도록 형성된다:
·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36)에 대해 회전식으로 고정되고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36)로부터 드릴 샤프트(30)로 토크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근위 인터페이스(40), 및
· 예를 들어 (예를 들어 절단 및/또는 연삭에 의해) 회전되거나 또는 진동될 때 조직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원위 단부 부분(42); 조직은 뼈(예를 들어, 피질골) 및/또는 연조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드릴 샤프트(30)는 다음을 포함한다:
·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38)와 전기적으로 연통하는 전기 전도성 외부 전극(44);
· 커넥터(32)의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36)와 전기적으로 연통하고 커넥터(32)의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38)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된 근위 단부 부분(48)을 갖는 전기 전도성 내부 전극(46); 및
· 전기 전도성 외부 전극(44) 및 전기 전도성 내부 전극(46)을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기 위해, 전기 전도성 외부 전극(44)과 전기 전도성 내부 전극(46) 사이에 방사상으로 이루어진 전기 절연층(150)(도 3a 및 도 3b에 표시됨).
일부 적용예의 경우, 전기 전도성 내부 전극(46)의 근위 단부 부분(48)은 커넥터(32)의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36)와 직접 전기적으로 연통한다(구성은 도시되지 않음). 다른 적용예의 경우, 전기 전도성 내부 전극(46)의 근위 단부 부분(48)은 예를 들어 생크(34)(구성은 도 17에 도시됨) 또는 접촉 스프링(82)(구성은 도 2b, 도 6b, 도 13a 내지 도 13c 및 도15에 도시됨)과 같은 드릴 비트(20)의 다른 요소를 통해 커넥터(32)의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36)와 간접적으로 전기적으로 연통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드릴 샤프트(30)는 정확히 하나의 전기 전도성 내부 전극(46)을 포함하고, 다른 적용예의 경우, 드릴 샤프트(30)는 복수의 전기 전도성 내부 전극(46)을 포함하는데, 즉, 예를 들어, 일부 정형외과용 드릴 비트와 같이, 2 개 초과의 전극을 수용하기에 충분히 큰 직경을 갖는 드릴 비트를 갖는 적용예들의 경우 다중 극성이다.
선택적으로, 드릴 샤프트(30)는 깊이 표시로 표시될 수 있다.
드릴 샤프트(30)의 원위 단부 부분(42)은 원위 팁(52)을 정의하도록 형성된다. 전형적으로, 원위 팁(52), 및 선택적으로 전기 전도성 외부 전극(44)의 원위 부분은 조직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원위 팁(52)은 날카롭다. 대안적으로, 원위 팁(52)은 무디지 않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전기 전도성 외부 전극(44)은 투관침(적용예 3 개의 표면), 드릴 비트, 또는 실린더로서 형성된다.
도 2a 및 도 2b, 도 3a 내지 도 3c, 도 12a 및 도 12b, 도 13a 내지 도 13d, 도 14a 및 도 14b, 도 15, 도 16, 도 20a 내지 도 20c, 도 21a 및 도 21b, 및 도 22a 및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부 적용예의 경우, 전기 전도성 내부 전극(46)은 드릴 샤프트(30)의 원위 단부 부분(42)에서 전기 전도성 외부 전극(44)으로부터 돌출되어, 전기 전도성 내부 전극(46)은 드릴 샤프트(30)의 원위 팁(52)을 정의하도록 형성된다.
생크(34)는 어댑터를 통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척(24)으로부터 토크를 수용하기 위한 근위 축 방향 부분(35)을 정의하도록 형성된다. 생크(34)는 범용 생크 또는 맞춤형 생크일 수 있다. 근위 축 방향 부분(35)은 단면이 원형이 아니거나 또는 단면이 원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면이 원형인 근위 축 방향 부분(35)은 토크를 수용하기 위해 1 내지 10 mm의 외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생크(34)의 외부 직경은 1.5 내지 4mm, 예를 들어 1.6 내지 3 mm, 예를 들어 2.35 mm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부 적용예의 경우, 생크(34)의 외부 직경은 다음과 같다:
· 커넥터(32)의 외부 직경의 90 % 미만, 예를 들어 70 % 미만, 예를 들어 50 % 미만, 예를 들어 30 % 미만, 예를 들어 25 % 미만과 같이, 커넥터(32)의 외부 직경 미만, 및/또는
· 커넥터(32)의 외부 직경의 적어도 30 %와 같이, 적어도 10 %, 예를 들어 적어도 20 %(예를 들어, 커넥터(32)의 외부 직경의 약 25 %).
다른 적용예의 경우, 생크(34)의 외부 직경은 커넥터(32)의 외부 직경과 같거나(구성은 도시되지 않음), 또는 커넥터(32)의 외부 직경보다 크다(구성은 도시되지 않음).
도 2b를 참조하도록 한다. 드릴 비트(20)가 치과용 드릴 비트인 것들과 같은 일부 적용예의 경우, 생크(34)의 근위 단부(29)와 생크(34)의 원위 단부(28) 사이에서 측정된 생크(34)의 길이(L1)는:
· 5 내지 30 mm, 예를 들어, 10 내지 20 mm, 예를 들어, 15 mm이고, 및/또는
· 생크(34)의 근위 단부(29)와 드릴 샤프트(30)의 원위 팁(52) 사이에서 측정된 드릴 비트의 길이(L2)의 적어도 5 %, 예를 들어, 적어도 10 %, 예를 들어 적어도 15 %, 예를 들어, 적어도 20 %, 예를 들어 적어도 25 %; 길이(L2)의 95 % 이하, 예를 들어 70 % 이하, 예를 들어 60 % 이하, 예를 들어 50 % 이하, 예를 들어 45 % 이하; 및/또는 길이(L2)의 5 % 내지 70 %, 예를 들어 10 % 내지 60 %, 예를 들어 15 % 내지 50 %, 예를 들어 20 % 내지 45 %, 예를 들어 25 % 내지 45 %, 예를 들어 40 %와 같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적용예의 경우, 드릴 샤프트(30)의 근위 인터페이스(40)와 드릴 샤프트(30)의 원위 팁(52) 사이에서 측정된 드릴 샤프트(30)의 길이(L3)는:
· 3 내지 80 mm, 예를 들어, 5 내지 65 mm, 예를 들어 13 mm이고, 및/또는
· 길이(L2)의 적어도 50 %와 같이, 적어도 25 %; 생크(34)의 근위 단부와 드릴 샤프트(30)의 원위 팁(52) 사이에서 측정된 드릴 비트(20)의 길이(L2)의 95 % 이하, 예를 들어, 90 % 이하; 및/또는 30 % 내지 95 %, 예를 들어 50 % 내지 90 %, 예를 들어 48%와 같다.
드릴 비트(20)가 정형외과용 드릴 비트인 것들과 같은 일부 적용예의 경우, 생크(34)의 근위 단부(29)와 생크(34)의 원위 단부(28) 사이에서 측정된 생크(34)의 길이(L1)는:
· 5 mm 내지 50 mm, 예를 들어 10 mm 내지 30 mm, 예를 들어 20 mm이고, 및/또는
· 생크(34)의 근위 단부(29)와 드릴 샤프트(30)의 원위 팁(52) 사이에서 측정된, 드릴 비트(20)의 길이(L2)의 5 % 내지 70 %, 예를 들어 10 % 내지 50 %와 같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적용예의 경우, 드릴 샤프트(30)의 근위 인터페이스(40)와 드릴 샤프트(30)의 원위 팁(52) 사이에서 측정된 드릴 샤프트(30)의 길이(L3)는:
· 25 내지 500 mm, 예를 들어, 30 내지 300 mm, 예를 들어, 150 mm이고, 및/또는
· 생크(34)의 근위 단부와 드릴 샤프트(30)의 원위 팁(52) 사이에서 측정된 드릴 비트(20)의 길이(L2)의 30 % 내지 95 %, 예를 들어 50 % 내지 90 %와 같다.
도 2b를 참조하도록 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드릴 샤프트(30)의 근위 인터페이스(40)는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38)를 통해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36)에 회전식으로 고정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적용예의 경우,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38) 및 드릴 샤프트(30)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릴 샤프트(30)의 근위 인터페이스(40)에서 함께 결합되는 별도의 피스들을 포함한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도록 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커넥터(32)는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36)로부터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38)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절연체(50)를 포함한다. 이러한 적용예들 중 일부의 경우,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38)는 (선택적으로 기계적 연결을 위해 접착제를 사용하여) 절연체(50)를 통해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36)에 회전식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적용예들 중 일부의 경우,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38)는 측 방향 기계적 연결부(53)(예를 들어, 도 17에 도시됨), 축 방향 기계적 연결부(54)(예를 들어, 도 19a 및 도 19b에 도시됨), 및/또는 측 방향 기계적 연결부(53) 및 축 방향 기계적 연결부(54) 모두(예를 들어, 도 2b, 도 4b, 도 6b, 도 6d, 도 6e, 도 6g, 도 13a 및 도 13b, 도 13d, 도 15, 도 16, 도 20b, 도 20c, 도 21b, 및 도 22b에 도시됨)를 통해 절연체(50)를 통해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36)에 회전식으로 고정된다.
여전히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도록 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절연체(50)는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38) 및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36)를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도록 구성된 절연 링(72)을 포함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커넥터(32) 및 드릴 샤프트(30)는 예를 들어 의료 제공자에 의한 수술 절차 전에 또는 동안 예를 들어 드릴 비트(20)의 조립 동안 제거 가능하게 서로 결합될 수 있는 별도의 피스들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커넥터(32)는 제조 동안 제거 가능하게 또는 영구적으로 서로 결합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전기 전도성 내부 전극(46)의 근위 단부 부분(48) 및 커넥터(32)의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36)는 (예를 들어, 압입에 의해 또는 전도성 접착제를 사용하여) 서로 직접 결합되는 별도의 피스들을 포함한다.
도 2b를 참조하도록 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커넥터(32)는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36)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38)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된 내부 전기 접촉부(80)를 더 포함한다. 전기 전도성 내부 전극(46)의 근위 단부 부분(48)은 내부 전기 접촉부(80)를 통해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36)와 전기적으로 연통한다.
이러한 적용예들 중 일부의 경우, 내부 전기 접촉부(80)는 접촉 스프링(82)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접촉 스프링(82)은 도 2b 및 이하에서 설명되는 도 13a, 도 13d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전도성 내부 전극(46)의 근위 단부 부분(48)과 축 방향으로 접촉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 및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도록 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62)은 커넥터(32)의 중심 종축(56)을 360 도로 둘러싼다. 이러한 적용예들 중 일부의 경우,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62)은 도 2a 및 도 2b 및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는 것과 같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한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적용예에서,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62)은 원형의 외부 단면을 갖는다. 예를 들어, 원형의 외부 단면은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62)을 따라 일정한 직경을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62)은 원형 원통형(도시된 바와 같음)이거나, 또는 원형 단면은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62)을 따라 다양한 직경을 가질 수 있고, 이 경우에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62)은 약간만 수정하여 하기에서 설명되는 도 22a 및 도 22b에 도시된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1062)의 구성에서와 같이 원추형이고 및/또는 모따기될 수 있다.
청구범위를 포함하여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향하는(faces)"이라 함은 가리키는(points) 것을 의미하고, 향하는 방향으로 배향된다. 예를 들어, 드릴 비트의 중심 종축에 수직인 표면이 드릴 비트의 근위 단부를 향해 근위 방향으로 배향될 때 표면은 근위를 향한다. 유사하게, 표면이 드릴 비트의 중심 종축으로부터 멀리 가리킬 때 표면은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한다. 표면이 드릴 비트의 중심 종축에 대해 각을 이룰 때, 표면은 부분적으로 근위 및 부분적으로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원위 및 부분적으로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할 수 있다.
여전히 도 2a 및 도 2b 및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도록 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36)는 근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60)을 정의하도록 형성된다. 이들 적용예들 중 일부의 경우, 근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60)은 커넥터(32)의 중심 종축(56)을 360 도로 둘러싼다. 이러한 적용예들 중 일부의 경우, 근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60)은 전체적으로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는 것과 같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한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적용예들에서, 근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60)은 원형의 외부 단면을 갖는다. 예를 들어, 원형의 외부 단면은 근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60)을 따라 일정한 직경을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근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60)은 원형 원통형이거나(도 2a 및 도 2b 및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음); 또는 원형 단면은 근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60)을 따라 다양한 직경을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근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60)은 원추형이고 및/또는 모따기될 수 있다(구성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22a 및 도 22b에 도시된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1062)의 구성과 유사함).
다시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도록 하고,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적용예에 따른 드릴 시스템(10)의 접촉 홀더(26)의 개략도인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도록 한다. 접촉 홀더(26)는 드릴 비트(20)의 커넥터(32)로부터 도 11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되는 중앙 유닛(21)으로 전기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커넥터(32)는, 수술용 드릴의 특별한 개조 또는 수정에 대한 필요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임의의 수술용 드릴(예를 들어, 치과용 핸드피스)에 기계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는 점에서, 부분적으로 보편적이다. 이러한 적용예들의 경우, 커넥터(32)는 일반적으로 수술용 드릴에 전기적으로 결합되지 않고, 대신에 도 11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되는 중앙 유닛(21)에만 결합된다. 대안적으로, 수술용 드릴은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드릴 비트(20)로부터 전기 신호를 전달하도록 부분적으로 맞춤화된다.
접촉 홀더(26)의 단면도인 도 6a, 및 본 발명의 적용예에 따른 접촉 홀더(26), 드릴 비트(20)의 일부, 및 수술용 드릴(22)의 일부의 단면도인 도 6b를 또한 참조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적용예에 따른 접촉 홀더(126)의 단면도인 도 6c를 참조하도록 한다. 아래에 설명된 것 외에는, 접촉 홀더(126)는 접촉 홀더(26)와 동일하며, 필요한 부분만을 수정하여 그 특징 중 임의의 것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용예에 따른 접촉 홀더(626)의 단면도인 도 6d를 참조하도록 한다. 아래에 설명된 것 외에는, 접촉 홀더(626)는 접촉 홀더(126)와 동일하고, 필요한 부분만을 수정하여 그 특징 중 임의의 것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용예에 따른 접촉 홀더(726)의 예시인 도 6e 내지 도 6f를 참조하도록 한다. 아래에 설명된 것 외에는, 접촉 홀더(726)는 접촉 홀더(126)와 동일하고, 필요한 부분만을 수정하여 그 특징 중 임의의 것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용예에 따른 접촉 홀더(826)의 단면도인 도 6g를 참조하도록 한다. 아래에 설명된 것 외에는, 접촉 홀더(726)는 접촉 홀더(126)와 동일하고, 필요한 부분만을 수정하여 그 특징 중 임의의 것을 구현할 수 있다.
접촉 홀더(26, 126, 626, 726, 826)는 도 1a 및 도 1b, 도 6b, 도 6d, 도 6e 및 도 6g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술용 드릴(22)에 기계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접촉 홀더(26, 126, 626, 726, 826)는 접촉 홀더를 수술용 드릴(22)에 기계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된 클램프(84)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접촉 홀더(26, 126, 626, 726, 826)는 나사로 고정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수술용 드릴(22)에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g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부 적용예의 경우, 접촉 홀더(26, 126, 626, 726, 826)는 근위 및 원위 전기 커넥터(88A, 88B)를 포함한다. 원위 전기 커넥터(88A, 88B)는 선택적으로 와이어(18 및/또는 16)를 통해 커넥터(32)와 중앙 유닛(21) 사이에서 전기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와이어는 접촉 홀더(26) 및/또는 중앙 유닛(21)에서 분리 가능하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커넥터(32)는 와이어(18, 16)에 의한 것보다는, 중앙 유닛(21)에 무선으로 연결되며, 이 경우 와이어의 적어도 일부는 일반적으로 제공되지 않는다.
도 6a 내지 도 6g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부 적용예의 경우, 근위 및 원위 전기 커넥터(88A 및/또는 88B)는 전도성 중합체와 같은 다른 전도성 재료를 포함하는 강성 접촉부 또는 탄소 접촉부와 같은 각각의 강성 접촉부를 포함한다.
도 6a 내지 도 6d 및 도 7에 도시된 구성에서, 근위 및 원위 전기 커넥터(88A, 88B)는 이 구성에서 전체적으로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는 대응하는 전기 접촉 표면과 전기 접촉을 형성하기 위해 전체적으로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근위 및 원위 전기 커넥터(88A, 88B)의 이러한 배향은 또한 대응하는 전기 접촉 표면이 부분적으로만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는, 예를 들어 도 22a 및 도 22b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비스듬히 배향되는 구성에 일반적으로 적합하다. 전기 접촉 표면이 원위 또는 근위를 향하는 구성의 경우, 근위 및 원위 전기 커넥터(88A, 88B)는 도 6e 내지 도 6g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전기 접촉을 형성하기 위해 이에 따라 배향된다.
도 6a 내지 도 6c 및 도 6e 내지 도 6g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일부 적용예의 경우, 접촉 홀더(26)에 대해 도 6b에, 접촉 홀더(726)에 대해 도 6e 내지 도 6f에, 그리고 접촉 홀더(826)에 대해 도 6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32)가 접촉 홀더(26, 126, 726, 828)에 의해 수용될 때, 접촉 홀더(26, 126, 726 또는 828)는 근위 및 원위 전기 커넥터(88A 및 88B)를 근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60) 및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62)과 각각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6d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일부 다른 적용예의 경우, 접촉 홀더(626)는, 커넥터(32)가 접촉 홀더(626)에 의해 수용될 때, 근위 전기 커넥터(88A)를 커넥터(32)의 생크(34)와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위해, 생크(34)는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36)(근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60)을 정의하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음)와 전기적으로 연통한다. (근위 전기 커넥터(88A)가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근위 전기 커넥터(88A)는 대안적으로 필요한 부분만을 수정하여 여기에 설명된 다른 구성들 중 임의의 것을 가질 수 있다.)
도 6e 내지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부 적용예의 경우, 커넥터(32)가 접촉 홀더(726)에 의해 수용될 때, 접촉 홀더(726)는 근위 전기 커넥터(88A)를 근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60)의 근위를 향하는 부분(73)과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적용예들 중 일부의 경우, 근위 전기 커넥터(88A)는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되는 것과 같은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블레이드의 자연 탄력성은 일반적으로 근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60)의 근위를 향하는 부분(73)과 양호한 전기 접촉으로 블레이드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대안적으로, 근위 전기 커넥터(88A)는 대안적으로 필요한 수정을 가하여 브러시 또는 강성 접촉부와 같이 여기에 설명된 다른 구성들 중 임의의 것을 가질 수 있다.
도 6g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일부 적용예의 경우, 접촉 홀더(826)는 커넥터(32)가 접촉 홀더(826)에 의해 수용될 때 원위 전기 커넥터(88B)를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62)의 원위를 향하는 부분(71)과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들 적용예들 중 일부의 경우, 원위 전기 커넥터(88B)는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되는 것과 같이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블레이드의 자연 탄력성은 일반적으로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62)의 원위를 향하는 부분(71)과 양호한 전기 접촉으로 블레이드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대안적으로, 원위 전기 커넥터(88B)는 대안적으로 필요한 수정을 가하여 브러시 또는 강성 접촉부와 같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른 구성들 중 임의의 것을 가질 수 있다.
접촉 홀더(726, 826)가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스프링(58A, 58B)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일부 적용예의 경우, 예를 들어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자체 탄력성을 제공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상을 푸시하는 스프링과 같은 스프링들 중 하나 또는 둘 모두가 제공되지 않는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적용예의 경우, 접촉 홀더(26, 126, 626, 726 또는 826)는 커넥터(32)가 접촉 홀더(26 또는 126)에 의해 수용될 때 원위 전기 커넥터(88B)를 전기 전도성 외부 전극(44)과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도록 구성된다(전기 전도성 외부 전극(44)은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38)와 전기적으로 연통함)(구성은 도시되지 않음).
도 6a 내지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부 적용예의 경우, 접촉 홀더(26, 126, 626)는 원위 전기 커넥터(88A, 88B)가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더(90)를 포함한다. 접촉 홀더(26, 126, 626)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더(90)를 푸시하도록 배열되고 편향되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58)을 더 포함하여, 이에 따라,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 전기 커넥터(88A 및 88B)를 근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60) 및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62)과 각각 전기적으로 접촉시키고, 안정적으로 진행되는 전기 연결을 보장한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도 6d에 도시된 구성에서, 근위 전기 커넥터(88A)는 근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60)보다는, 커넥터(32)의 생크(34)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구성에서, 단일 스프링(58)은 단일 슬라이더(90)를 푸시하고, 이는 차례로 원위 전기 커넥터(88A 및 88B) 둘 모두를 푸시한다. 도 6c 내지 도 6d에 도시된 구성에서, 2 개의 각각의 스프링(58A 및 58B)은 2 개의 각각의 슬라이더(90A 및 90B)를 푸시하고, 이는 차례로 원위 전기 커넥터(88A 및 88B)를 각각 푸시한다.
대안적으로, 일부 적용예의 경우, 도 6c 및 도 6d에 도시된 구성은 접촉 홀더(126)가 슬라이더(90)를 포함하지 않고 스프링(58)이 원위 전기 커넥터(88A 및 88B)를 각각 직접 푸시하도록 수정된다(구성은 도시되지 않음).
여전히 도 6a 내지 도 6g를 참조하도록 하고,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적용예에 따른 접촉 홀더(226)의 개략도인 도 7을 참조하도록 한다. 아래에 설명된 것 외에는, 접촉 홀더(226)는 도 6a 내지 도 6d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접촉 홀더(26, 126)와 유사하고, 필요한 부분만을 수정하여 그 특징 중 임의의 것을 구현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g에 도시된 구성에서, 접촉 홀더(26, 126)는 커넥터(32)를 수용하기 위한 채널(86)을 정의하도록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채널(86)은 채널(86)을 통한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36)와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38) 사이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 플라스틱과 같은 비-전도성 재료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채널(86)은 전도성 재료를 포함하며, 이 경우 채널(86)과 커넥터(32) 사이의 전기적 접촉은 이러한 전도성 요소들 사이의 빈 갭에 의해,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전도성 재료로 채워진 이러한 전도성 요소들 사이의 갭에 의해 방지된다.
채널(86)은 예를 들어 원통형 또는 원추형일 수 있다.
대조적으로, 도 7에 도시된 구성에서, 접촉 홀더(226)는 채널을 정의하도록 형성되지 않고, 대신에 커넥터(32)에 대해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접촉 홀더(226)는 커넥터(32)를 수용하기 위한 만입부(286)를 정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 도 9a 및 도 9b, 및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되는 접촉 홀더(326, 426, 526)는 각각 필요한 수정을 가하여 접촉 홀더(226)의 비-채널 특징을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적용예에 따른 접촉 홀더(326)의 개략도인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도록 한다. 아래에 설명된 것 외에는, 접촉 홀더(326)는 도 6a 내지 도 6d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접촉 홀더(26, 126)와 유사하고, 필요한 부분만을 수정하여 그 특징 중 임의의 것을 구현할 수 있고, 및/또는 필요한 부분만을 수정하여 접촉 홀더(626, 726, 및/또는 826)의 특징 중 임의의 것을 구현할 수 있다. 이 구성에서, 근위 전기 커넥터(88A) 및/또는 원위 전기 커넥터(88B)는 각각의 블레이드(394)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블레이드(394)는 탄성이 있고, 전기 커넥터(88A, 88B)와 근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60) 및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62) 각각의 연속적인 전기 접촉을 보장한다. 외부 표면당 여러 개의 전기 접촉 지점들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스프링(58)은 제공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제공되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이 구성에서, 와이어(18)는 제공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제공되지 않는다.
이제 본 발명의 적용예에 따른 접촉 홀더(426)의 개략도인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도록 한다. 아래에 설명된 것 외에는, 접촉 홀더(426)는 도 6a 내지 도 6d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접촉 홀더(26, 126)와 유사하고, 필요한 부분만을 수정하여 그 특징들 중 임의의 것을 구현할 수 있고, 및/또는 필요한 부분만을 수정하여 접촉 홀더(626, 726, 및/또는 826)의 특징 중 임의의 것을 구현할 수 있다. 이 구성에서, 근위 전기 커넥터(88A) 및/또는 원위 전기 커넥터(88B)는 각각의 브러시(494)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스프링(58)은 제공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제공되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구성에서 와이어(18)는 제공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제공되지 않는다.
하나 초과의 전기 커넥터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구성들 중 임의의 것에서, 전기 커넥터는 강성 접촉부, 블레이드, 및/또는 브러시를 임의의 조합으로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1a 및 도 1b, 도 2a 및 도 2b, 및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도록 하고, 또한, 본 발명의 적용예에 따른 접촉 홀더(526)의 개략도인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도록 한다. 아래에 설명된 것 외에는, 접촉 홀더(526)는 도 6a 내지 도 6d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접촉 홀더(26, 126, 626)와 유사하고, 필요한 부분만을 수정하여 그 특징 중 임의의 것을 구현할 수 있고, 및/또는 필요한 부분만을 수정하여 접촉 홀더(626, 726, 및/또는 826)의 특징 중 임의의 것을 구현할 수 있다. 접촉 홀더(626)는 또한 필요한 부분만을 수정하여 도 8a 및 도 8b 및 도 9a 및 도 9b를 각각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접촉 홀더(326 및/또는 426)의 특징 중 임의의 것을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36)는 생크(34)와 전기적으로 연통한다(도 2a 및 도 2b 및 도 4a 및 도 4b 참조). 이러한 적용예들 중 일부의 경우, 커넥터(32)의 생크(34)는 수술용 드릴(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도 1a 및 도 1b에 도시됨).
일부 적용예의 경우, 접촉 홀더(526)는 원위 전기 커넥터(88B)를 포함한다. 접촉 홀더(526)는 커넥터(32)가 접촉 홀더(526)에 의해 수용될 때 원위 전기 커넥터(88B)를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62)과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도록 구성된다. 접촉 홀더(526)는 수술용 드릴(22)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수술용 드릴 전기 커넥터(88C)를 더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척(24)을 통해, 수술용 드릴(22)은, 생크(34)가 수술용 드릴(22)에 결합되고 커넥터(32)가 접촉 홀더(526)에 의해 수용될 때, 수술용 드릴 전기 커넥터(88C)와 전기적으로 연통하도록 커넥터(32)의 생크(34)를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이 구성에서, 접촉 홀더는,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36)와의 전기적 연결이 근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60)을 통해서가 아닌 생크(34)를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근위 전기 커넥터(88A)를 포함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에서,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36)는 근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60)을 정의하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된 접촉 홀더의 다양한 구성들은, 예를 들어, 접촉 홀더가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의 근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 및/또는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의 구성에 따라, 필요한 수정을 가하여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적용예에 따른 중앙 유닛(21)을 더 포함하는 드릴 시스템(10)의 개략도인 도 11을 참조하도록 한다. 드릴 시스템(10)은 수술용 드릴(22)을 포함하거나 또는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중앙 유닛(21)은 전극들 사이의 전류의 통과를 허용하는 조직 구조의 용량을 나타내는 전기적 특성을 연속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드릴 비트(20)의 전기 전도성 외부 전극(44) 및/또는 전기 전도성 내부 전극(46)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회로(23)를 포함한다. 중앙 유닛(21)은 드릴 비트(20)로부터 수신된 측정된 특성들을 처리하고 실시간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피드백은 예를 들어, 오디오 및/또는 시각 및/또는 촉각과 같이 인간 사용자에 의해 감지되는 신호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피드백은 보조 장치, 예를 들어 전동 드릴, 내비게이션 시스템, 또는 로봇 시스템의 제어 유닛에 전달되는 전자 신호일 수 있다. 전류의 통과를 허용하기 위한 조직 구조의 용량을 나타내는 전술한 전기적 특성은 예를 들어 전압 또는 전류를 통해 측정된 임피던스일 수 있다.
중앙 유닛(21)은 드릴 비트(20)를 사용하여, 임피던스, 임피던스 변화, 전압 또는 전압 변화와 같은 드릴 비트(20)에 의해 관통된 조직의 전기적 특성들을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 유닛(21)은 임피던스 및/또는 임피던스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임피던스 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된 전기적 특성은 드릴 비트(20)가 해부학적 구조 및, 특히, 뼈(예를 들어, 피질골) 및 연조직과 같은 적어도 2 개의 다른 전기 임피던스 영역을 갖는 뼈 구조로 관통하는 것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수술용 드릴(22)의 조작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감지된 전기적 특성은, 임피던스 측정 드릴 기술에 알려진 바와 같이, 드릴 비트의 단일 전극 및 원격 외부 피부 복귀 전극을 사용하여 측정하는 것이, 불가능하지는 않더라도, 더 어려운 조직의 국부적 전기적 특성의 바이폴라 측정을 가능하게 한다.
이제 본 발명의 적용예에 따른 드릴 샤프트(130)의 개략도인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도록 한다. 드릴 샤프트(130)는 위에서 설명된 드릴 샤프트(30)의 일 구현예이고, 필요한 수정을 가하여 그 특징 중 임의의 것을 구현할 수 있다. 이 구성에서, 드릴 샤프트(130)의 전기 전도성 내부 전극(146)은 드릴 샤프트(130)의 근위 단부와 같은 높이에 있다.
이제 본 발명의 각각의 적용예에 따른 드릴 샤프트(230)의 개략도인 도 13a 내지 도 13d를 참조하도록 한다. 드릴 샤프트(230)는 위에서 설명된 드릴 샤프트(30)의 일 구현예이고, 필요한 수정을 가하여 그 특징 중 임의의 것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드릴 샤프트(230)의 전기 전도성 내부 전극(246)은 드릴 샤프트(230)의 근위 단부로부터 근위로 돌출된다.
도 13a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일부 적용예의 경우, 전기 전도성 내부 전극(246)은 커넥터(32)의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38) 내에 리세스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전기 전도성 내부 전극(246)의 원위 단부는 커넥터(32)의 전기 전도성 커플러(38)의 원위 단부보다 더 원위에 배치된다.
도 13b 및 도 13c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다른 적용예의 경우, 전기 전도성 내부 전극(246)은 커넥터(232)의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238)로부터 근위로 돌출된다. 다시 말해서, 커넥터(232)의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238)의 원위 단부는 전기 전도성 내부 전극(246)의 원위 단부보다 더 원위에 배치된다.
도 13d에 도시된 것과 같은 또 다른 적용예의 경우, 전기 전도성 내부 전극(246)은 커넥터(32 또는 232)의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38 또는 238)와 같은 높이에 있다.
다시 도 13b 및 도 13c를 참조하도록 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커넥터(232)는 접촉 스프링(282)을 포함하는 내부 전기 접촉부(280)를 포함한다. 접촉 스프링(282)은 전기 전도성 내부 전극(246)의 근위 단부 부분(248)과 측 방향 접촉한다.
이제 본 발명의 각각의 적용예에 따른 드릴 샤프트(330)의 개략도인 도 14a 및 도 14b 및 도 15를 참조하도록 한다. 드릴 샤프트(330)는 위에서 설명된 드릴 샤프트(30)의 일 구현예이고, 필요한 부분만을 수정하여 그 특징 중 임의의 것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드릴 샤프트(330)의 전기 전도성 내부 전극(346)은 드릴 샤프트(330)의 근위 단부 내에 리세스되어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적용예에 따른 드릴 비트(420)의 개략도인 도 16을 참조하도록 한다. 아래에 설명된 것 외에는, 드릴 비트(420)는 일반적으로 도 1a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드릴 비트(20)와 유사하고, 필요한 부분만을 수정하여 그 특징들 중 임의의 것뿐만 아니라,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른 드릴 비트들의 특징들 중 임의의 것도 구현할 수 있다.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438)는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436)에 대해 회전식으로 고정되고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436)로부터 드릴 샤프트(430)로 토크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드릴 샤프트(430)의 근위 인터페이스(440)에서 드릴 비트(420)의 드릴 샤프트(430)에 통합된다. 이것은 또한 위에서 설명된 도 13b 내지 도 13d, 및 이하에서 설명되는 도 17, 도 18a 및 도 18b, 도 19a 및 도 19b, 및 도 20a 내지 도 20c에 도시된 구성의 경우이다.
이제 본 발명의 적용예에 따른 드릴 비트(520)의 개략적인 단면도인 도 17을 참조하도록 한다. 아래에 설명된 것 외에는, 드릴 비트(520)는 도 1a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드릴 비트(20)와 일반적으로 유사하고, 필요한 부분만을 수정하여 그 특징들 중 임의의 것뿐만 아니라,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른 드릴 비트들의 특징들 중 임의의 것도 구현할 수 있다.
드릴 비트(520)의 커넥터(532)는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536)로부터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538)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절연체(550)를 포함한다. 절연체(550)는 코팅 또는 비-전도성 접착제(552)를 포함한다.
이제 본 발명의 적용예에 따른 드릴 비트(620)의 개략도인 도 18a 및 도 18b를 참조하도록 한다. 아래에 설명된 것 외에는, 드릴 비트(620)는 일반적으로 도 1a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드릴 비트(20)와 유사하고, 필요한 부분만을 수정하여 그 특징들 중 임의의 것뿐만 아니라,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른 드릴 비트들의 특징들 중 임의의 것도 구현할 수 있다.
드릴 비트(620)의 커넥터(632)는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636)로부터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638)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비-전도성 스페이서(650)를 포함한다. 커넥터(632)는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638)와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636) 사이에 빈 갭(654)을 정의함으로써 부분적으로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636)로부터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638)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도록 구성된다. 빈 갭(65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632) 주위로 전체적으로 연장될 수 있거나, 또는 커넥터(632)의 일부 주위에서만 연장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빈 갭(654)은 2 개 이상의 빈 갭(654)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빈 갭(654)은 일반적으로 커넥터(632)의 주변부 주위에 위치된다. 전형적으로, 비-전도성 스페이서(650)는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638)와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636) 사이에 기계적 결합을 제공한다.
이제 본 발명의 적용예에 따른 드릴 비트(720)의 개략도인 도 19a 및 도 19b를 참조하도록 한다. 아래에 설명된 것 외에는, 드릴 비트(720)는 일반적으로 도 1a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드릴 비트(20)와 유사하고, 필요한 부분만을 수정하여 그 특징들 중 임의의 것뿐만 아니라,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른 드릴 비트들의 특징들 중 임의의 것도 구현할 수 있다.
드릴 비트(720)의 커넥터(732)는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736)로부터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738)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절연체(75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738)는 축 방향 기계적 연결을 통해 절연체(750)를 통해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736)에 회전식으로 고정된다.
이제 본 발명의 각각의 적용예에 따른 드릴 비트(820)의 각각의 구성의 개략도인 도 20a 및 도 20b 및 도 20c를 참조하도록 한다. 아래에 설명된 것 외에는, 드릴 비트(820)는 일반적으로 도 1a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드릴 비트(20)와 유사하고, 필요한 부분만을 수정하여 그 특징들 중 임의의 것뿐만 아니라,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른 드릴 비트들의 특징들 중 임의의 것도 구현할 수 있다.
드릴 비트(820)의 커넥터(832)는 근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860)을 정의하도록 형성되는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838) 및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836)를 포함한다. 커넥터(832)는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836)로부터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838)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절연체(850)를 더 포함한다. 절연체(850)는 필요한 부분만을 수정하여 여기에 설명된 다른 절연체들의 특징들 중 임의의 것을 구현할 수 있다.
근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86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근위를 향하는 것과 같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근위를 향한다. 이러한 적용예들 중 일부의 경우, 근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860)은 커넥터(832)의 중심 종축을 360 도로 둘러싼다.
전형적으로,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838)는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862)을 정의하도록 형성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862)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한다. 선택적으로,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862)은 추가적으로 근위 및/또는 원위를 향하고; 예를 들어,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862)은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는 부분(863), 근위를 향하는 부분(865), 및/또는 원위를 향하는 부분(871)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근위를 향하는 부분(865)은 근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860)을 둘러싼다.
도시된 것과 같은 일부 적용예의 경우, 근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860)은 (예를 들어 도시된 것과 같은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862)을 정의할 수 있는) 커넥터(832)의 반경 방향 최외측 표면에 도달하지 않는다. 다른 적용예의 경우, 근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860)은 커넥터(832)의 반경 방향 최외측 표면에 도달한다(구성은 도시되지 않음).
도 20c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일부 적용예의 경우, 드릴 비트(820)의 드릴 샤프트(830)는 드릴 비트(820)의 커넥터(832)의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836)와 일체형인 근위 단부 부분(848)을 갖는 전기 전도성 내부 전극(846)을 포함한다.
이제 본 발명의 적용예에 따른 드릴 비트(920)의 개략도인 도 21a 및 도 21b를 참조하도록 한다. 아래에 설명된 것 외에는, 드릴 비트(920)는 일반적으로 도 1a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드릴 비트(20)와 유사하고, 필요한 부분만을 수정하여 그 특징들 중 임의의 것뿐만 아니라,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른 드릴 비트들의 특징들 중 임의의 것도 구현할 수 있다.
드릴 비트(920)의 커넥터(932)는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962)을 정의하도록 형성되는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938) 및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936)를 포함한다. 커넥터(932)는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936)로부터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938)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절연체(950)를 더 포함한다. 절연체(950)는 필요한 부분만을 수정하여 여기에 설명된 다른 절연체들의 특징들 중 임의의 것을 구현할 수 있다.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96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원위를 향하는 것과 같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위를 향한다. 이러한 적용예들 중 일부의 경우,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962)은 커넥터(932)의 중심 종축을 360 도로 둘러싼다.
전형적으로,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936)는 근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960)을 정의하도록 형성된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근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96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한다. 선택적으로, 근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960)은 추가적으로 근위 및/또는 원위를 향하고; 예를 들어, 근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960)은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는 부분(967), 원위를 향하는 부분(969), 및/또는 근위를 향하는 부분(973)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원위를 향하는 부분(969)은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962)을 둘러싼다.
도시된 것과 같은 일부 적용예의 경우,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962)은 (예를 들어 도시된 것과 같은 근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960)을 정의할 수 있는) 커넥터(932)의 반경 방향 최외측 표면에 도달하지 않는다. 다른 적용예의 경우,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962)은 커넥터(932)의 반경 방향 최외측 표면에 도달한다(구성은 도시되지 않음).
이제 본 발명의 적용예에 따른 드릴 비트(1020)의 개략도인 도 22a 및 도 22b를 참조하도록 한다. 아래에 설명된 것 외에는, 드릴 비트(1020)는 일반적으로 도 1a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드릴 비트(20)와 유사하고, 필요한 부분만을 수정하여 그 특징들 중 임의의 것뿐만 아니라,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른 드릴 비트들의 특징들 중 임의의 것도 구현할 수 있다.
드릴 비트(1020)의 커넥터(1032)는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1062)을 정의하도록 형성되는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1038) 및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1036)를 포함한다. 커넥터(1032)는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1036)로부터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1038)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절연체(1050)를 더 포함한다. 절연체(1050)는 필요한 부분만을 수정하여 여기에 설명된 다른 절연체들의 특징들 중 임의의 것을 구현할 수 있다.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1062)은 부분적으로 원위를 향하는데, 즉, 비스듬하다.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1062)의 원형 단면은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1062)을 따라 다양한 직경을 갖는다. 예를 들어,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1062)은 원추형이고 및/또는 모따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적용예의 경우, 근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1060)은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1062)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비스듬할 수 있다.
이러한 적용예들 중 일부의 경우,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1062)은 커넥터(1032)의 중심 종축을 360 도로 둘러싼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1036)는 여기에 설명된 근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의 특징들 중 임의의 것을 가질 수 있는 근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1060)을 정의하도록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여기에 참조로 포함되는 2019년 12월 2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 출원 62/942,520에 설명된 기술들 및 장치는 여기에 설명된 기술들 및 장치와 조합된다.
당업자는 본 발명이 위에서 구체적으로 도시되고 설명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오히려, 본 발명의 범위는 위에서 설명한 다양한 특징들의 조합 및 하위 조합 모두뿐만 아니라, 전술한 설명을 읽을 때 당업자에게 발생하는 선행 기술에 없는 그 변형들 및 수정들도 포함한다.

Claims (78)

  1. 커넥터 및 드릴 샤프트를 포함하는 드릴 비트(drill bit)로서,
    (a) 상기 커넥터는,
    (ⅰ) 토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생크(shank);
    (ⅱ) 상기 생크의 원위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생크에 대해 회전식으로 고정되는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coupler);
    (ⅲ) (1) 상기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에 대해 회전식으로 고정되고, (2) 상기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3)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을 정의하도록 형성된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
    를 포함하고,
    (b) 상기 드릴 샤프트는,
    (ⅰ) 상기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에 대해 회전식으로 고정되고, 상기 토크를 상기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로부터 상기 드릴 샤프트로 전달하도록 구성된 근위 인터페이스(interface);
    (ⅱ) 회전될 때 조직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원위 단부 부분
    을 정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드릴 샤프트는,
    (ⅰ) 상기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와 전기적으로 연통하는 전기 전도성 외부 전극;
    (ⅱ) 상기 커넥터의 상기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와 전기적으로 연통하고 상기 커넥터의 상기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된 근위 단부 부분을 갖는 전기 전도성 내부 전극;
    (ⅲ) 상기 전기 전도성 외부 전극과 상기 전기 전도성 내부 전극을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도록, 상기 전기 전도성 외부 전극과 상기 전기 전도성 내부 전극 사이에 방사상으로 마련되는 전기 절연층
    을 포함하는 것인, 드릴 비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크는, 상기 토크를 수용하기 위한 비-원형 단면의 근위 축 방향 부분을 정의하도록 형성되는 것인, 드릴 비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크는, 상기 토크를 수용하기 위한 원형 단면의 근위 축 방향 부분을 정의하도록 형성되는 것인, 드릴 비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 샤프트의 상기 근위 인터페이스는 상기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를 통해 상기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에 회전식으로 고정되는 것인, 드릴 비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는 상기 드릴 샤프트의 상기 근위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드릴 샤프트에 통합되는 것인, 드릴 비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 및 상기 드릴 샤프트는, 상기 드릴 샤프트의 상기 근위 인터페이스에서 함께 결합되는 별도의 피스(piece)들을 포함하는 것인, 드릴 비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및 상기 드릴 샤프트는, 제거 가능하게 서로 결합될 수 있는 별도의 피스들을 포함하는 것인, 드릴 비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전도성 내부 전극의 상기 근위 단부 부분 및 상기 커넥터의 상기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는, 서로 직접 결합되는 별도의 피스들을 포함하는 것인, 드릴 비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전도성 내부 전극의 상기 근위 단부 부분은 상기 커넥터의 상기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와 일체형인 것인, 드릴 비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상기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된 내부 전기 접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기 전도성 내부 전극의 상기 근위 단부 부분은 상기 내부 전기 접촉부를 통해 상기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와 전기적으로 연통하는 것인, 드릴 비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전기 접촉부는 접촉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인, 드릴 비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스프링은 상기 전기 전도성 내부 전극의 상기 근위 단부 부분과 축 방향으로 접촉하는 것인, 드릴 비트.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스프링은 상기 전기 전도성 내부 전극의 상기 근위 단부 부분과 측 방향으로 접촉하는 것인, 드릴 비트.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전도성 내부 전극은 상기 커넥터의 상기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로부터 근위로 돌출되는 것인, 드릴 비트.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전도성 내부 전극은 상기 커넥터의 상기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 내에 리세스되어(recessed) 있는 것인, 드릴 비트.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전도성 내부 전극은 상기 커넥터의 상기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와 같은 높이인 것인, 드릴 비트.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크의 근위 단부와 상기 생크의 원위 단부 사이에서 측정된 상기 생크의 길이는 5 mm 내지 30 mm인 것인, 드릴 비트.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크의 근위 단부와 상기 생크의 원위 단부 사이에서 측정된 상기 생크의 길이는 5 mm 내지 30 mm인 것인, 드릴 비트.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 샤프트의 상기 근위 인터페이스와 상기 드릴 샤프트의 원위 팁 사이에서 측정된 상기 드릴 샤프트의 길이는 3 mm 내지 80 mm인 것인, 드릴 비트.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전도성 내부 전극은 상기 드릴 샤프트의 근위 단부와 같은 높이인 것인, 드릴 비트.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전도성 내부 전극은 상기 드릴 샤프트의 근위 단부 내에 리세스되어 있는 것인, 드릴 비트.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전도성 내부 전극은 상기 드릴 샤프트의 근위 단부로부터 근위로 돌출되는 것인, 드릴 비트.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 샤프트의 상기 근위 인터페이스와 상기 드릴 샤프트의 원위 팁 사이에서 측정된 상기 드릴 샤프트의 길이는, 상기 생크의 상기 근위 단부와 상기 드릴 샤프트의 원위 팁 사이에서 측정된 상기 드릴 비트의 길이의 25 % 내지 95 %와 같은 것인, 드릴 비트.
  24.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로부터 상기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절연체를 포함하는 것인, 드릴 비트.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는 상기 절연체를 통해 상기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에 회전식으로 고정되는 것인, 드릴 비트.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는 측 방향 기계적 연결에 의해 상기 절연체를 통해 상기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에 회전식으로 고정되는 것인, 드릴 비트.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는 축 방향 기계적 연결에 의해 상기 절연체를 통해 상기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에 회전식으로 고정되는 것인, 드릴 비트.
  28.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는, 상기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와 상기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를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도록 구성된 절연 링(isolation ring)을 포함하는 것인, 드릴 비트.
  29.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는 코팅을 포함하는 것인, 드릴 비트.
  30.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는 비-전도성 접착제를 포함하는 것인, 드릴 비트.
  31.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로부터 상기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비-전도성 스페이서(spacer)를 포함하는 것인, 드릴 비트.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도성 스페이서는, 상기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와 상기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 사이에 하나 이상의 빈 갭(empty gap)을 정의함으로써 상기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로부터 상기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를 부분적으로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것인, 드릴 비트.
  33.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은 상기 커넥터의 중심 종축을 360 도로 둘러싸는 것인, 드릴 비트.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는 것인, 드릴 비트.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은 원형의 외부 단면을 갖는 것인, 드릴 비트.
  36.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위를 향하는 것인, 드릴 비트.
  37.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는 상기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근위에 배치되는 것인, 드릴 비트.
  38.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는 근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을 정의하도록 형성되는 것인, 드릴 비트.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근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은 상기 커넥터의 중심 종축을 360 도로 둘러싸는 것인, 드릴 비트.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근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는 것인, 드릴 비트.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근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은 원형의 외부 단면을 갖는 것인, 드릴 비트.
  42.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근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근위를 향하는 것인, 드릴 비트.
  43. 제38항에 따른 드릴 비트를 포함하는 드릴 시스템(drill system)으로서,
    상기 드릴 시스템은 수술용 드릴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드릴 시스템은 접촉 홀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촉 홀더는 (a) 상기 수술용 드릴에 기계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접촉 홀더는 (b) 근위 전기 커넥터 및 원위 전기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 홀더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접촉 홀더에 의해 수용될 때 상기 근위 전기 커넥터 및 원위 전기 커넥터를 상기 근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 및 상기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과 각각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인, 드릴 시스템.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 전기 커넥터가 블레이드(blade)를 포함하거나,
    상기 근위 전기 커넥터가 블레이드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원위 전기 커넥터 및 상기 근위 전기 커넥터가 각각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인, 드릴 시스템.
  45.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 전기 커넥터가 브러시(brush)를 포함하거나,
    상기 원위 전기 커넥터가 브러시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원위 전기 커넥터 및 상기 근위 전기 커넥터가 각각의 브러시를 포함하는 것인, 드릴 시스템.
  46.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 전기 커넥터가 강성 접촉부를 포함하거나,
    상기 원위 전기 커넥터가 강성 접촉부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원위 전기 커넥터 및 상기 근위 전기 커넥터가 각각의 강성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인, 드릴 시스템.
  47.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근위를 향하는 근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을 정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접촉 홀더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접촉 홀더에 의해 수용될 때 상기 근위 전기 커넥터를 상기 근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과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인, 드릴 시스템.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근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은 전체적으로 근위를 향하는 것인, 드릴 시스템.
  49.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근위 전기 커넥터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인, 드릴 시스템.
  50.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위를 향하고,
    상기 접촉 홀더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접촉 홀더에 의해 수용될 때 상기 원위 전기 커넥터를 상기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과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인, 드릴 시스템.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은 전체적으로 원위를 향하는 것인, 드릴 시스템.
  52.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 전기 커넥터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인, 드릴 시스템.
  53.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홀더는, 상기 접촉 홀더를 상기 수술용 드릴에 기계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된 클램프(clamp)를 포함하는 것인, 드릴 시스템.
  5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홀더는 상기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채널을 정의하도록 형성되는 것인, 드릴 시스템.
  55.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 시스템은 상기 수술용 드릴을 더 포함하는 것인, 드릴 시스템.
  56.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는 상기 생크와 전기적으로 연통하는 것인, 드릴 비트.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 비트는 수술용 드릴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커넥터의 상기 생크는 상기 수술용 드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인, 드릴 비트.
  58. 제57항에 따른 드릴 비트를 포함하는 드릴 시스템으로서,
    상기 드릴 시스템은 상기 수술용 드릴을 더 포함하는 것인, 드릴 시스템.
  59. 제57항에 따른 드릴 비트를 포함하는 드릴 시스템으로서,
    상기 드릴 시스템은 수술용 드릴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드릴 시스템은 접촉 홀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촉 홀더는 (a) 상기 수술용 드릴에 기계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접촉 홀더는 (b) 원위 전기 커넥터 및 상기 수술용 드릴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수술용 드릴 전기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 홀더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접촉 홀더에 의해 수용될 때 상기 원위 전기 커넥터를 상기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과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인, 드릴 시스템.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 전기 커넥터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인, 드릴 시스템.
  61.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 전기 커넥터는 브러시를 포함하는 것인, 드릴 시스템.
  62.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 전기 커넥터는 강성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인, 드릴 시스템.
  63.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위를 향하고,
    상기 접촉 홀더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접촉 홀더에 의해 수용될 때 상기 원위 전기 커넥터를 상기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과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인, 드릴 시스템.
  64.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은 전체적으로 원위를 향하는 것인, 드릴 시스템.
  65.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 전기 커넥터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인, 드릴 시스템.
  66.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홀더는, 상기 접촉 홀더를 상기 수술용 드릴에 기계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된 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인, 드릴 시스템.
  67.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 시스템은 상기 수술용 드릴을 더 포함하는 것인, 드릴 시스템.
  68.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홀더는 상기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채널을 정의하도록 형성되는 것인, 드릴 시스템.
  69. 제57항에 따른 드릴 비트를 포함하는 드릴 시스템으로서,
    상기 드릴 시스템은 수술용 드릴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드릴 시스템은 접촉 홀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촉 홀더는 (a) 상기 수술용 드릴에 기계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접촉 홀더는 (b) 근위 전기 커넥터 및 원위 전기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 홀더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접촉 홀더에 의해 수용될 때 상기 근위 전기 커넥터 및 상기 원위 전기 커넥터를 상기 생크 및 상기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과 각각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인, 드릴 시스템.
  70.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위를 향하고,
    상기 접촉 홀더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접촉 홀더에 의해 수용될 때 상기 원위 전기 커넥터를 상기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과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인, 드릴 시스템.
  71.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은 전체적으로 원위를 향하는 것인, 드릴 시스템.
  72.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 전기 커넥터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인, 드릴 시스템.
  73.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드릴 비트를 포함하는 드릴 시스템으로서,
    상기 드릴 시스템은 수술용 드릴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드릴 시스템은 접촉 홀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촉 홀더는 (a) 상기 수술용 드릴에 기계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접촉 홀더는 (b) 원위 전기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 홀더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접촉 홀더에 의해 수용될 때 상기 원위 전기 커넥터를 상기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과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인, 드릴 시스템.
  74.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위를 향하고,
    상기 접촉 홀더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접촉 홀더에 의해 수용될 때 상기 원위 전기 커넥터를 상기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과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인, 드릴 시스템.
  75.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 전기 전도성 외부 접촉 표면은 전체적으로 원위를 향하는 것인, 드릴 시스템.
  76.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 전기 커넥터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인, 드릴 시스템.
  77.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드릴 비트를 포함하는 드릴 시스템으로서,
    상기 드릴 시스템은, 척(chuck)을 포함하는 수술용 드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생크는 상기 척에 결합되어 상기 척으로부터 토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드릴 시스템.
  78. 제1항 내지 제77항 중 어느 한 항의 드릴 비트를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생크를 수술용 드릴의 척에 결합하는 단계;
    상기 근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 및 상기 원위 전기 전도성 커플러를 중앙 유닛과 전기적으로 통하도록 결합하는 단계;
    상기 드릴 샤프트의 상기 원위 단부 부분을 조직 내로 관통시키도록 상기 수술용 드릴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상기 중앙 유닛을 사용하여, 상기 전기 전도성 외부 전극 및 상기 전기 전도성 내부 전극을 통해 감지된 상기 조직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27022067A 2019-12-02 2020-12-02 전기 드릴 비트 KR202201107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942520P 2019-12-02 2019-12-02
US62/942,520 2019-12-02
PCT/IL2020/051241 WO2021111439A1 (en) 2019-12-02 2020-12-02 Electrical drill bi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0777A true KR20220110777A (ko) 2022-08-09

Family

ID=73854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2067A KR20220110777A (ko) 2019-12-02 2020-12-02 전기 드릴 비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409214A1 (ko)
EP (1) EP4069106A1 (ko)
KR (1) KR20220110777A (ko)
CN (1) CN115066213A (ko)
BR (1) BR112022010759A2 (ko)
CA (1) CA3160381A1 (ko)
WO (1) WO202111143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4720B1 (ko) * 2022-09-01 2023-01-03 허채헌 임플란트용 밀링 버
KR102484721B1 (ko) * 2022-09-01 2023-01-03 허채헌 임플란트용 스레딩 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23025312A2 (pt) 2021-06-02 2024-02-27 Confident Abc Ltd Instrumentos e sistemas de corte rotativo elétricos
US20230095197A1 (en) * 2021-09-28 2023-03-30 Spineguard Universal adapter for handheld surgical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35732B1 (fr) 2002-02-11 2004-11-12 Spinevision Dispositif permettant le suivi de la penetration d'un moyen de penetration dans des elements anatomiques
DE10303964A1 (de) * 2003-01-31 2004-08-19 Wolfgang Prof. Dr. Oettinger Medizinische Bohrvorrichtung und medizinisches Bohrverfahren
US8326414B2 (en) * 2007-04-20 2012-12-04 Warsaw Orthopedic, Inc. Nerve stimulating drill bit
FR2967341B1 (fr) * 2010-11-16 2021-05-21 Spineguard Systeme de determination de la qualite d'une structure osseuse d'un sujet et systeme de consolidation d'une structure osseuse d'un sujet comprenant un tel systeme de determination
US10064630B2 (en) 2013-03-15 2018-09-04 Teleflex Medical Devices S.À R.L. Driver assemblies, drivers, intraosseous device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voltages and/or impedances in biological materia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4720B1 (ko) * 2022-09-01 2023-01-03 허채헌 임플란트용 밀링 버
KR102484721B1 (ko) * 2022-09-01 2023-01-03 허채헌 임플란트용 스레딩 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409214A1 (en) 2022-12-29
WO2021111439A1 (en) 2021-06-10
CA3160381A1 (en) 2021-06-10
CN115066213A (zh) 2022-09-16
EP4069106A1 (en) 2022-10-12
BR112022010759A2 (pt) 2022-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10777A (ko) 전기 드릴 비트
JP4335013B2 (ja) 生体の骨構造内への貫入手段の貫入状態の検査を可能にするドリル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貫入手段、電子カード
US6292701B1 (en) Bipolar electrical stimulus probe with planar electrodes
CA2601626C (en) Surgical tool arrangement
JP5210301B2 (ja) マイクロ切除及び誘発電位監視システム
US8672937B2 (en) Cool-tip thermocouple including two-piece hub
US7717932B2 (en) Instrument and system for surgical cutting and evoked potential monitoring
US8419746B2 (en) Exploration device to monitor the penetration of an instrument in an anatomic structure
JP4328726B2 (ja) 選択的両極性焼灼器を有する内視的生検鉗子装置
US8187268B2 (en) Electrosurgical apparatus having a temperature sensor
JP7202694B2 (ja) 医療手技における使用のためのハンドヘルドデバイス
CN103826562A (zh) 具有偏移传导元件的电外科装置
KR20020005467A (ko) 전극-조직 접촉 검출 시스템 및 방법
US20210219993A1 (en) Handheld devices for use in medical procedures
US20020177887A1 (en) Combination needle for peripheral nerve block
US20220409254A1 (en) Intraoperative monitoring and screw placement apparatus
JP2023525339A (ja) 刺激性標的針
JP2024506167A (ja) 医療手技において使用するためのハンドヘルドデバイス
CN115530921A (zh) 液电碎石用电极导线及液电碎石装置
JP2021101802A (ja) 経頭蓋電気刺激用電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