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0735A - 콘텐츠 제공 시스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기억 매체 - Google Patents

콘텐츠 제공 시스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기억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0735A
KR20220110735A KR1020227016697A KR20227016697A KR20220110735A KR 20220110735 A KR20220110735 A KR 20220110735A KR 1020227016697 A KR1020227016697 A KR 1020227016697A KR 20227016697 A KR20227016697 A KR 20227016697A KR 20220110735 A KR20220110735 A KR 20220110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user
music
script
pr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6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라 단게
히데오 나가사카
Original Assignee
소니그룹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그룹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그룹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110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07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6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1Collaborative creation, e.g. joint development of products or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3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4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2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events or environment, e.g. weather or festiv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6Advertisement cre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8Text analysis or generation of parameters for speech synthesis out of text, e.g. grapheme to phoneme translation, prosody generation or stress or intonation determin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echnology Law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기술은, 보다 간단하게, 콘텐츠와 그 코멘트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기억 매체에 관한 것이다. 크리에이터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의 식별 정보와 코멘트 정보로 이루어지는 스크립트가, 유저에 의해 열람 가능하게 소정의 기억 매체에 저장되어 있고, 유저에 의해 선택된 스크립트에 따라, 그 스크립트에 포함되는 콘텐츠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콘텐츠의 판독을, 당해 유저가 특정 서비스와의 계약에 의해 이미 획득하고 있는 권리를 이용하여 실행하여 유저에 제공하도록 제어함과 함께, 당해 콘텐츠의 제공 전이나 후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서, 그 스크립트에 포함되는 코멘트 정보에 따라 코멘트를 판독하여 유저에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콘텐츠 제공 시스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기억 매체
본 기술은, 콘텐츠 제공 시스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기억 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다 간단하게, 콘텐츠와 그 코멘트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기억 매체에 관한 것이다.
근년,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의 다양화에 수반하여, 다양한 서비스나 기기가 제공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2 참조).
특허문헌 1에는, 스트림의 재생 순서를 제어하는 시퀀스 정보에 기초하여, 재생해야 할 스트림을 자동적으로 선택하여 텔레비전 모니터에 출력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장치에서는, 시퀀스 정보에 따라, 스트림과 출력해야 할 문자열을 조합하여 출력하고 있다.
특허문헌 2에는, 프로그램 리스트로부터 취출한 어드레스를 기초로 다운로드한 하이퍼텍스트로부터 요소를 순차 추출하여 텍스트가 있을 때는 음성 합성하여 음성을 발생하고, 링크가 있으면 링크처의 소재를 취출하여 당해 소재에 대응한 출력을 행하는 것을 순차 반복하도록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국제 공개 제2004/073309호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42206호 공보
그런데, 콘텐츠와 함께 그 콘텐츠 등에 관한 코멘트를 제공할 때는, 보다 간단하게, 콘텐츠와 그 코멘트를 제공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기술은 이러한 상황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고, 보다 간단하게, 콘텐츠와 그 코멘트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기술의 일 측면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크리에이터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의 식별 정보와 코멘트 정보로 이루어지는 스크립트가, 유저에 의해 열람 가능하게 소정의 기억 매체에 저장되어 있고, 유저에 의해 선택된 스크립트에 따라, 그 스크립트에 포함되는 콘텐츠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콘텐츠의 판독을, 당해 유저가 특정 서비스와의 계약에 의해 이미 획득하고 있는 권리를 이용하여 실행하여 유저에 제공하도록 제어함과 함께, 당해 콘텐츠의 제공 전이나 후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서, 그 스크립트에 포함되는 코멘트 정보에 따라 코멘트를 판독하여 유저에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이다.
본 기술의 일 측면의 콘텐츠 제공 방법은, 크리에이터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의 식별 정보와 코멘트 정보로 이루어지는 스크립트가, 유저에 의해 열람 가능하게 소정의 기억 매체에 저장되어 있고, 유저에 의해 선택된 스크립트에 따라, 그 스크립트에 포함되는 콘텐츠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콘텐츠의 판독을, 당해 유저가 특정 서비스와의 계약에 의해 이미 획득하고 있는 권리를 이용하여 실행하여 유저에 제공하도록 제어함과 함께, 당해 콘텐츠의 제공 전이나 후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서, 그 스크립트에 포함되는 코멘트 정보에 따라 코멘트를 판독하여 유저에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이다.
본 기술의 일 측면의 기억 매체는, 컴퓨터를, 크리에이터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의 식별 정보와 코멘트 정보로 이루어지는 스크립트가, 유저에 의해 열람 가능하게 소정의 기억 매체에 저장되어 있고, 유저에 의해 선택된 스크립트에 따라, 그 스크립트에 포함되는 콘텐츠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콘텐츠의 판독을, 당해 유저가 특정 서비스와의 계약에 의해 이미 획득하고 있는 권리를 이용하여 실행하여 유저에 제공하도록 제어함과 함께, 당해 콘텐츠의 제공 전이나 후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서, 그 스크립트에 포함되는 코멘트 정보에 따라 코멘트를 판독하여 유저에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억 매체이다.
본 기술의 일 측면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기억 매체에서는, 크리에이터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의 식별 정보와 코멘트 정보로 이루어지는 스크립트가, 유저에 의해 열람 가능하게 소정의 기억 매체에 저장되어 있고, 유저에 의해 선택된 스크립트에 따라, 그 스크립트에 포함되는 콘텐츠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콘텐츠의 판독이, 당해 유저가 특정 서비스와의 계약에 의해 이미 획득하고 있는 권리를 이용하여 실행되어 유저에 제공되도록 제어됨과 함께, 당해 콘텐츠의 제공 전이나 후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서, 그 스크립트에 포함되는 코멘트 정보에 따라 코멘트가 판독되어 유저에 제공되도록 제어된다.
도 1은 본 기술의 개요를 나타낸 대표도이다.
도 2는 본 기술을 적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개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기술을 적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의한 콘텐츠 재생의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음악을 포함하는 배신을 행하는 경우의 권리 처리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VPC형 배신을 행하는 경우의 권리 처리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기술을 적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전체의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콘텐츠 제공 시스템으로 사용되는 스크립트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기술을 적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크리에이터 단말 장치의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크리에이터 단말 장치에서의 제어부의 기능적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유저 단말 장치의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유저 단말 장치에서의 제어부의 기능적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배신 서버의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배신 서버에서의 제어부의 기능적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프로그램화된 악곡과 함께 그 악곡의 전설과 후설을 제공할 때 음성 합성을 이용하는 경우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시퀀스도이다.
도 16은 프로그램 작성 툴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제1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프로그램 작성 툴에 의해 생성되는 프로그램의 스크립트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프로그램 작성 툴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제2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프로그램 작성 툴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제2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프로그램 작성 툴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제2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프로그램 작성 툴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제2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프로그램 작성 툴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제2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프로그램 작성 툴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제2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악곡의 전설과 후설이 음성 합성을 이용하여 제공 가능한 경우에, 프로그램화된 악곡을 플레이리스트로서 재생하는 경우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시퀀스도이다.
도 25는 프로그램화된 악곡과 함께 그 악곡의 전설과 후설을 제공할 때 육성을 이용하는 경우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시퀀스도이다.
도 26은 악곡의 전설과 후설이 육성을 이용하여 제공 가능한 경우에, 프로그램화된 악곡을 플레이리스트로서 재생하는 경우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시퀀스도이다.
도 27은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처리의 전체 상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8은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처리의 전체 상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9는 스크립트를 다른 음악 배신 서비스에 제공하는 경우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시퀀스도이다.
도 30은 제2 실시 형태에서의 처리의 전체 상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1은 제2 실시 형태에서의 처리의 전체 상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2는 배신 서버에서의 제어부의 기능적 구성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3은 문장 체크를 행하는 경우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시퀀스도이다.
도 34는 제3 실시 형태에서의 처리의 전체 상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5는 본 기술을 적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일 실시 형태의 다른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6은 프로그램에 삽입되는 광고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7은 프로그램에 광고를 삽입하는 경우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시퀀스도이다.
도 38은 제4 실시 형태에서의 처리의 전체 상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9는 본 기술을 적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일 실시 형태의 다른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0은 악곡 ID를 관리하여 프로그램 정보를 공유화하는 경우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시퀀스도이다.
도 41은 변형예에서의 처리의 전체 상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2는 변형예에서의 처리의 전체 상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기술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하는 것으로 한다.
1. 제1 실시 형태: 기본 구성
2. 제2 실시 형태: 다른 서비스와의 연계 기능
3. 제3 실시 형태: 최저한의 이용 허락 기능
4. 제4 실시 형태: 광고 기능
5. 변형예
6. 컴퓨터의 구성
<대표도>
도 1은 본 기술의 개요를 나타낸 대표도이다.
본 기술은, 콘텐츠를 프로그램화할 때, 유저의 서비스와의 계약이나 텍스트 음성 합성을 이용하여, 콘텐츠와 함께 그 콘텐츠 등에 관한 코멘트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간단하게, 콘텐츠와 그 코멘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에 있어서, DJ는 자신이 선곡한 악곡을 악곡 배신 서버로부터 배신함과 함께, 마이크를 사용하여 그 악곡에 관한 코멘트를 발신하고 있다. 한편, 유저는 악곡 배신 서버로부터 배신되는, DJ가 선곡한 악곡과 발신하고 있는 코멘트를 듣고 있다.
여기서, DJ는 크리에이터에 의해 작성된 가상적인 것으로 여겨지지만, DJ가 선곡한 악곡은 유저가 이미 계약하고 있는 음악 배신 서비스를 이용하여 유저에 제공되고, DJ가 발신하는 코멘트는 텍스트 음성 합성에 의해 유저에 제공되는 것이기 때문에, 보다 간단하게, 콘텐츠와 그 코멘트를 제공할 수 있다.
<1. 제1 실시 형태>
(버추얼 팟캐스트 시스템의 개요)
도 2는 본 기술을 적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개요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의 예에서는, 본 기술을 적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일 실시 형태로서, 버추얼 팟캐스트 시스템을 예시하고 있다.
버추얼 팟캐스트 시스템은, 크리에이터가 자신의 단말 장치를 조작하여, 악곡을 선택하여 문장을 쓰는 것만으로, 팟캐스트의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것이 가능한 시스템이다. 팟캐스트는, 인터넷 상에서 음성이나 동화상의 데이터 파일을 공개하는 방법 중 하나이고, 인터넷 라디오나 인터넷 TV의 일종이다. 또한, 문장은, 텍스트에 한정되지 않고, 음성 파일로서 제공되어도 상관없다.
크리에이터에 의해 작성된 팟캐스트의 프로그램은, 배신 서버에 등록된다. 이에 의해, 유저는 자신의 단말 장치를 조작하여, 배신 서버로부터 배신되는 팟캐스트의 프로그램을 재생함으로써, 그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
그런데, 팟캐스트의 프로그램을 배신하는 크리에이터로부터 보자면, 자신이 작성한 팟캐스트의 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배신하여, 보다 많은 유저가 시청해 주면 좋겠다고 생각할 것이다.
또한, 팟캐스트에서, 악곡을 배신하는 경우에는, 악곡의 저작권 처리가 배신을 행하는 크리에이터에 대하여 발생하기 때문에, 크리에이터로부터 보자면 그러한 작업은 수고이다. 그 때문에, 악곡의 저작권 처리를, 다른 사람이 대행해 주면 좋겠다고 생각할 것이다.
근년, 동화상 배신 사이트에서는, 크리에이터가 자신의 동화상 배신 채널을 개설하여, 다양한 테마의 동화상 콘텐츠를 통하여 정보 발신이 행해지고 있고, 크리에이터는, 동화상 콘텐츠를 유저에 제공하는 대가로서, 동화상의 재생 횟수에 따른 광고 수입이나, 광고주와의 타이-업 동화상의 제작에 의한 광고 수입 등의 대가를 얻고 있다.
팟캐스트의 프로그램을 배신하는 크리에이터에게도, 자신이 작성한 팟캐스트의 프로그램에 대한 대가는 극히 중요한 관심사이고, 적절한 대가가 환원되는 것을 바라고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프로그램화와, 배신 저작권 처리와, 수익화는, 팟캐스트의 프로그램을 배신하는 크리에이터에게는, 피해갈 수 없는 사항이고, 이들 사항을 용이하게 해결하기 위한 메커니즘이 요구되고 있다. 버추얼 팟캐스트 시스템에서는, 크리에이터가 팟캐스트의 프로그램을 작성하여 배신하여, 그 팟캐스트의 프로그램을 유저가 시청할 수 있도록 하면서, 크리에이터에 의한 프로그램화와, 배신 저작권 처리와, 수익화의 요망에도 따르기 위한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도 3은 버추얼 팟캐스트 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팟캐스트의 프로그램의 재생의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에서는, 팟캐스트의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트랙(Track) 중, 시간적으로 연속한 N 번째와 N+1 번째의 트랙을 도시하고 있다.
각 트랙은 전설(Warm-up), 악곡(song), 및 후설(After-song)로 구성된다.
전설은 악곡을 소개하는 전설로, 텍스트(문장)로 이루어진다. 이 예에서는, 전설로서, 「이 곡이 쓰여진 것은, ···, 그런 최고의 한 곡이네요!」인 텍스트가 기술되어 있다. 이 전설에 대응하는 텍스트는 TTS(Text To Speech)에 의해 음성으로 변환하여 소리 내어 읽는 것이 가능하다.
악곡은 그 악곡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id)와, 그 곡의 타이틀(title)과 아티스트명(artist)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1234567"인 악곡 ID를 사용함으로써, 유저가 계약하고 있는 음악 배신 서비스에 대하여, 당해 악곡 ID에 의해 특정되는 악곡의 스트리밍 배신을 요구할 수 있다.
후설은, 악곡의 시청 후의 후설로, 텍스트(문장)로 이루어진다. 이 예에서는, 후설로서, 「역시 최고네요. ···」인 텍스트가 기술되어 있다. 이 후설에 대응하는 텍스트는 TTS를 사용하여 소리 내어 읽을 수 있다.
여기서, 팟캐스트의 프로그램의 배신을 행할 때, 프로그램에 악곡을 포함시키기 위한 권리 처리로서는, 이하의 2개의 케이스가 상정된다.
첫 번째로, 악곡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의 배신을 행하는 케이스이다. 이 케이스에서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크리에이터에 의해, 악곡과 이야기(전설과 후설)를 포함하는 완전 패키지가 되는 팟캐스트의 프로그램이 작성되어, 당해 팟캐스트의 프로그램이 배신되기 때문에, 악곡의 저작권 처리가, 배신을 행하는 크리에이터에 대하여 발생한다.
두 번째로, VPC형 배신을 행하는 케이스이다. 이 케이스에서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음악 배신 서비스를 이용하여 악곡이 배신되고, 크리에이터는, 이야기(전설과 후설)를 작성하여 배신할 뿐이기 때문에, 악곡의 저작권 처리가, 크리에이터에 대하여 발생하지 않는다.
즉, 크리에이터가, 팟캐스트의 프로그램을 배신할 때, 당해 프로그램의 구성에 관한 구성 데이터와 전설과 후설이 배신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프로그램에서의 악곡의 부분은, 음악 배신 서비스에 의해 배신되게 되기 때문에, 악곡의 저작권 처리가, 크리에이터에 대해서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VPC형 배신에서는, 음악 배신 서비스에 의해 스트리밍 배신되는 악곡과, 크리에이터에 의해 배신되는 이야기(전설과 후설)는, 유저가 사용하는 유저 단말 장치에서 합성되어 프로그램화되기 때문에, 유저 단말 장치측에서 프로그램화된 팟캐스트의 프로그램에서의 악곡의 부분의 권리 처리는, 유저에 의해 행해진다.
이와 같이, VPC형 배신에서는, 팟캐스트의 배신 시에, 크리에이터는, 완전 패키지의 팟캐스트의 프로그램을 만들지 않고, 악곡의 식별 정보(악곡 ID)를 배신함으로써, 유저가 사용하는 유저 단말 장치측에서, 당해 악곡 ID에 기초하여, 음악 배신 서비스에 의해 스트리밍 배신되는 악곡이 재생되도록 하고 있다.
즉, 유저 단말 장치에서는, 당해 유저가 음악 배신 서비스와의 계약에 의해 이미 획득하고 있는 권리를 사용하여 악곡이 재생되기 때문에, 크리에이터에 대하여 악곡의 저작권 처리는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유저에게도, 자신이 계약하고 있는 음악 배신 서비스에서의 통상의 악곡 배신 범위 내에서 악곡을 재생 가능하기 때문에, 특별히 추가 요금을 지불하거나 하지 않고, 크리에이터에 의해 지시된 악곡 ID에 의해 특정되는 악곡을 재생할 수 있다. 버추얼 팟캐스트 시스템에서는, 이 VPC(Virtual Pod Cast)형 배신에 의해 팟캐스트의 프로그램 배신이 행해지도록 한다.
또한, 유저의 음악 배신 서비스와의 계약은, 유료의 유저 계약(프리미엄 유저)은 물론, 무료의 유저 계약(프리 유저)이어도, 광고가 삽입되는 것만으로, 악곡의 재생을 행할 수 있는 경우에는, 그 권리를 이용할 수 있다.
도 6은 버추얼 팟캐스트 시스템의 전체의 구성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버추얼 팟캐스트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은, 크게 나누면, 크리에이터 단말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크리에이터측의 기능과, 배신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각종 배신 서비스측의 기능과, 유저 단말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유저측의 기능으로 나누어진다.
크리에이터 단말 장치에서는, 크리에이터(PodCaster)의 조작에 따라, 프로그램 작성 툴과 음성 작성 툴이 실행되어, 팟캐스트의 프로그램이 생성된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작성 툴은, 악곡 배신 서비스로부터 제공되는 선곡용의 악곡 리스트(카탈로그)로부터 선택된 악곡의 악곡 ID와, 음성 작성 툴에 의해 음성 합성 시의 음조정이 이루어진 당해 악곡의 전설과 후설의 텍스트에 기초하여, 팟캐스트의 프로그램을 생성하여, 프로그램 배신 서비스에 등록한다.
음성 작성 툴은, 음성 배신 서비스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작성용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TTS의 음조정 기능을 제공한다. 크리에이터는, 음성 작성 툴을 조작하여, TTS의 음조정 기능을 이용함으로써, 유저측에서 재생되는 TTS 음성을, 자신이 원하는 음성으로 할 수 있다.
프로그램 배신 서비스는 프로그램 작성 툴에 의해 등록된 팟캐스트의 프로그램을, 유저 단말 장치에 배신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악곡 배신 서비스는 유저 단말 장치를 사용하는 유저가 계약(가입)하고 있는 음악 배신 서비스에 상당한다. 악곡 배신 서비스는 유저 단말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응하여, 팟캐스트의 프로그램에 설정된 악곡 ID에 의해 특정되는 악곡을 배신한다. 또한, 악곡 배신 서비스는 선곡용의 악곡 리스트를, 크리에이터 단말 장치에 제공한다.
음성 배신 서비스는 팟캐스트의 프로그램에 설정된 악곡의 전설과 후설의 텍스트를 음성 합성하여 얻어지는 TTS 음성을, 유저 단말 장치에 배신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음성 배신 서비스는 음성 작성용의 데이터를, 크리에이터 단말 장치에 제공한다.
유저 단말 장치에서는, 유저(Listener)의 조작에 따라, 프로그램 렌더러가 실행되어, 팟캐스트의 프로그램이 재생된다.
프로그램 렌더러는, 프로그램 배신 서비스에 의해 공개되어 있는 팟캐스트의 프로그램 중에서 원하는 프로그램을 재생할 때, 당해 프로그램의 구성에 관한 구성 데이터(재현 데이터)에 기초하여, 악곡 배신 서비스로부터 배신되는 악곡과, 음성 배신 서비스로부터 배신되는 TTS 음성의 렌더링을 행한다.
이에 의해, 팟캐스트의 프로그램이 재생(재현)되어, 유저에 의해, 시청 가능하게 된다. 또한, 유저 단말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렌더러는, 재생 플레이어라고도 할 수 있다.
도 7은 팟캐스트의 프로그램 구성을 기술한 스크립트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버추얼 팟캐스트 시스템에서는, 프로그램화될 악곡의 악곡 ID와, 그 악곡의 전설과 후설이 세트로 되어 복수 설정됨으로써, 팟캐스트의 프로그램이 구성되어 있다. 이 팟캐스트의 프로그램 구성은, 도 7에 도시한 스크립트에 의해 기술된다.
도 7에 있어서, 스크립트에는,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로서, 첫머리에, 프로그램의 타이틀이나 소유자, 공개일, 악곡의 배신원이 되는 서비스명 등이 기술된다.
스크립트에는,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에 이어, 트랙에 관한 정보가 기술된다. 도 7에서는, N개의 트랙 중, 첫 번째의 트랙의 기술 예를 도시하고 있다.
트랙에는, 대상의 트랙 번호(Number)와, 전설(Warm-up)과, 악곡(song)과, 후설(After-song)에 관한 정보가 기술된다.
악곡(song)에는, 그 악곡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id)와, 그 곡의 타이틀(title)과 아티스트명(artist)에 관한 정보 등이 기술된다. 예를 들어, "1234567"인 악곡 ID를 기술함으로써, "serviceA"인 음악 배신 서비스에 대하여, 당해 악곡 ID에 의해 특정되는 악곡의 배신을 요구할 수 있다.
전설(Warm-up)과 후설(After-song)에는, 그 악곡에 관한 코멘트에 대응하는 코멘트 정보가 기술된다. 예를 들어, 전설로서, 「이 곡이 쓰여진 것은, ···, 그런 최고의 한 곡이네요!」인 텍스트를 기술하고, 후설로서, 「역시 최고네요. ···」인 텍스트를 기술함으로써, TTS 서비스를 이용하여, 이들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소리 내어 읽을 수 있다.
도 7에서는, 첫 번째의 트랙만을 기술, 즉, 1곡째의 악곡에 관한 정보의 기술예를 도시했지만, 2곡째 이후의 악곡에 대해서도, 1곡째의 악곡과 마찬가지로, 악곡마다, 악곡 ID와 전설과 후설을 세트로 하여 기술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악곡의 악곡 ID와, 그 악곡에 관한 전설과 후설로 이루어지는 스크립트가, 크리에이터가 사용하는 크리에이터 단말 장치에 의해 생성되어, 프로그램 배신 서비스에 등록됨으로써, 유저에 공개된다.
한편, 당해 유저가 사용하는 유저 단말 장치에서는, 프로그램 배신 서비스에 의해 공개되어 있는 스크립트에 따라, 악곡 ID가 나타내는 악곡이, 당해 유저가 음악 배신 서비스와의 계약에 의해 이미 획득하고 있는 권리를 이용하여, 스트리밍 배신되도록 제어함과 함께, 전설과 후설의 TTS 음성이 제공되도록 제어한다.
바꾸어 말하면, 스크립트에는, 악곡의 악곡 ID와, 전설과 후설이 텍스트로 기술되어 있을 뿐, 팟캐스트의 프로그램에서 재생되는 악곡이나 음성의 데이터 그 자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유저 단말 장치에서는, 스크립트에 기술된 악곡 ID와 전설과 후설이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악곡이나 음성의 데이터가 재생됨으로써, 크리에이터가 작성한 프로그램이 재현되고 있다.
또한, 이미 존재하는 플레이리스트의 악곡(의 악곡 ID)에 대하여, 전설과 후설이 부가된 스크립트를 생성함으로써, 플레이리스트를 프로그램화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유저는 악곡의 전설과 후설을 입력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플레이리스트를 프로그램화할 수 있다.
(시스템의 구성)
도 8은 본 기술을 적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의 예로서, 버추얼 팟캐스트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8에 있어서, 콘텐츠 제공 시스템(1)은 크리에이터 단말 장치(10), 유저 단말 장치(20), 프로그램 배신 서버(30A), 악곡 배신 서버(30B), 및 음성 배신 서버(30C)로 구성된다.
콘텐츠 제공 시스템(1)에 있어서, 크리에이터 단말 장치(10)와, 유저 단말 장치(20)와, 프로그램 배신 서버(30A), 악곡 배신 서버(30B), 및 음성 배신 서버(30C)는, 네트워크(50)를 통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다.
크리에이터 단말 장치(10)는 스마트폰, 태블릿 단말기, 퍼스널 컴퓨터 등의 기기이고, 크리에이터에 의해 사용된다.
크리에이터 단말 장치(10)는 크리에이터의 조작에 따라, 팟캐스트의 프로그램의 스크립트를 생성하여, 네트워크(50)를 통하여 프로그램 배신 서버(30A)에 송신(업로드)한다.
유저 단말 장치(20)는 스마트폰, 태블릿 단말기, 음악 플레이어, 게임기, 퍼스널 컴퓨터 등의 기기이고, 유저에 의해 사용된다.
유저 단말 장치(20)는 유저의 조작에 따라, 네트워크(50)를 통하여 프로그램 배신 서버(30A)에 액세스하여, 팟캐스트의 프로그램의 스크립트를 수신(다운로드)한다.
프로그램 배신 서버(30A)는, 프로그램 배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1개 또는 복수의 서버로 구성된다. 프로그램 배신 서비스는 팟캐스트의 프로그램을 배신하는 서비스이고, 프로그램 배신 사업자에 의해 제공된다.
프로그램 배신 서버(30A)는, 네트워크(50)를 통하여 크리에이터 단말 장치(10)로부터 송신(업로드)되는 프로그램의 스크립트를 수신하고, 유저 단말 장치(20)를 사용하는 유저가 열람 가능하게 기억 매체에 등록한다.
프로그램 배신 서버(30A)는, 네트워크(50)를 통하여 유저 단말 장치(20)로부터 송신되는 프로그램의 재생 요구를 수신한 경우, 당해 프로그램의 스크립트를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하고, 재생 요구원의 유저 단말 장치(20)에 배신한다.
악곡 배신 서버(30B)는 음악 배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1개 또는 복수의 서버로 구성된다. 음악 배신 서비스는 인터넷을 통하여 악곡을 배신하는 서비스이고, 온라인 음악 사업자에 의해 제공된다. 예를 들어, 음악 배신 서비스는 정액제의 스트리밍의 무제한 듣기 형식으로 제공된다.
악곡 배신 서버(30B)는 네트워크(50)를 통하여 유저 단말 장치(20)로부터 송신되는 악곡의 배신 요구를 수신한 경우, 수신한 배신 요구에 따른 악곡을 특정하고, 당해 악곡의 스트리밍 데이터를, 배신 요구원의 유저 단말 장치(20)에 배신한다.
음성 배신 서버(30C)는 음성 배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1개 또는 복수의 서버로 구성된다. 음성 배신 서비스는 인터넷을 통하여 TTS 음성이나 육성 등의 음성을 배신하는 서비스이고, 음성 배신 사업자에 의해 제공된다.
음성 배신 서버(30C)는 네트워크(50)를 통하여 유저 단말 장치(20)로부터 송신되는 음성의 배신 요구를 수신한 경우, 수신한 배신 요구에 따른 음성을 취득하고, 당해 음성의 데이터를, 배신 요구원의 유저 단말 장치(20)에 배신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프로그램 배신 서버(30A)와, 악곡 배신 서버(30B)와, 음성 배신 서버(30C)를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배신 서버(30)라고 칭하여 설명한다. 또한, 프로그램 배신 사업자와, 온라인 음악 사업자와, 음성 배신 사업자는, 동일한 사업자이어도 되고, 상이한 사업자이어도 된다.
네트워크(50)는 인터넷, 인트라넷, 또는 휴대 전화망 등의 통신망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의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한 기기 간의 상호접속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크리에이터 단말 장치의 구성)
도 9는 도 8의 크리에이터 단말 장치(10)의 구성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크리에이터 단말 장치(10)에 있어서, CPU(Central Processing Unit)(101), ROM(Read Only Memory)(102), 및 RAM(Random Access Memory)(103)은, 버스(104)에 의해 서로 접속된다.
CPU(101)는 ROM(102)이나 기억부(107)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크리에이터 단말 장치(10)의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RAM(103)에는, 각종 데이터가 적절히 기억된다.
버스(104)에는 또한, 입출력 I/F(110)가 접속된다. 입출력 I/F(110)에는, 입력부(105), 출력부(106), 기억부(107), 통신부(108), 및 근거리 무선 통신부(109)가 접속된다.
입력부(105)는 각종 입력 데이터를, 입출력 I/F(110)를 통하여 CPU(101)을 포함하는 각 부에 공급한다. 예를 들어, 입력부(105)는 조작부(111), 카메라부(112), 및 센서부(113)를 갖는다.
조작부(111)는 크리에이터에 의해 조작되어, 그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데이터를 CPU(101)에 공급한다. 조작부(111)는 물리적인 버튼이나 터치 패널 등으로 구성된다.
카메라부(112)는 그것에 입사되는 피사체로부터의 광을 광전 변환하여, 그 결과 얻어지는 전기 신호에 대한 신호 처리를 행함으로써 촬영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카메라부(112)는 이미지 센서나 신호 처리부 등으로 구성된다.
센서부(113)는 공간 정보나 시간 정보 등의 센싱을 행하고, 그 센싱의 결과 얻어지는 센서 데이터를 출력한다.
센서부(113)는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 등을 포함한다. 가속도 센서는, XYZ축의 3방향의 가속도를 측정한다. 자이로 센서는, XYZ축의 3축의 각속도를 측정한다. 또한, 관성 계측 장치(IMU: Inertial Measurement Unit)를 마련하여, 3방향의 가속도계와 3축의 자이로스코프에 의해, 3차원의 가속도와 각속도를 측정해도 된다.
또한, 센서부(113)에는, 크리에이터의 음성 등의 음을 검출하는 음 센서(마이크로폰), 생물이 갖는 심박수, 체온, 또는 자세와 같은 정보를 측정하는 생체 센서, 근접하는 것을 측정하는 근접 센서, 자장(자계)의 크기나 방향을 측정하는 자기 센서 등의 각종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06)는 입출력 I/F(110)를 통하여 CPU(101)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각종 정보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출력부(106)는 표시부(121), 및 음출력부(122)를 갖는다.
표시부(121)는 CPU(101)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화상 데이터에 대응한 화상 등을 표시한다. 표시부(121)는 액정 패널이나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패널 등의 패널부와 신호 처리부 등으로 구성된다.
음출력부(122)는 CPU(101)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음 데이터에 대응한 음을 출력한다. 음출력부(122)는 스피커나 출력 단자에 접속되는 헤드폰 등으로 구성된다.
기억부(107)는 CPU(101)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각종 데이터나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CPU(101)는 기억부(107)로부터 각종 데이터를 판독하여 처리하거나,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한다.
기억부(107)는 반도체 메모리 등의 보조 기억 장치로서 구성된다. 기억부(107)는 내부 스토리지로서 구성되어도 되고, 메모리 카드 등의 외부 스토리지이어도 된다.
통신부(108)는 CPU(101)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50)를 통하여 다른 기기와 통신을 행한다. 통신부(108)는 셀룰러 방식의 통신(예를 들어 LTE-Advanced나 5G 등)이나,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등의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에 대응한 통신 모듈로서 구성된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109)는 Bluetooth(등록 상표)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규격에 의한 무선 통신을 행하고, 각종 데이터를 주고받기한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크리에이터 단말 장치(10)의 구성은 일례로, 예를 들어, 입력부로서 마이크로폰을 마련하거나, GPU(Graphics Processing Unit) 등의 화상 처리 회로나, 전원 회로 등을 마련하거나 해도 상관없다.
도 10은 크리에이터 단말 장치(10)에서의 제어부(100)의 기능적 구성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어부(100)의 기능은, CPU(101)에 의해, 프로그램 작성 툴이나 음성 작성 툴 등의 프로그램이 실행됨으로써 실현된다.
도 10에 있어서, 제어부(100)는 입력 접수부(151), 악곡 정보 취득부(152), 프로그램 생성부(153), 음성 정보 취득부(154), 음성 생성부(155), 및 등록부(156)를 갖는다.
입력 접수부(151)는 입력부(105)로부터 공급되는, 크리에이터의 조작에 대응한 조작 데이터를 접수하여, 프로그램 생성부(153)에 공급한다.
악곡 정보 취득부(152)는 악곡 배신 서버(30B)와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108)로부터 공급되는, 악곡에 관한 악곡 정보를 취득하여, 프로그램 생성부(153)에 공급한다. 악곡 정보는 악곡 배신 서버(30B)로부터 수신한 악곡 리스트나 악곡 ID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생성부(153)는 입력 접수부(151)로부터 공급되는 조작 데이터에 기초하여, 악곡 정보 취득부(152)로부터 공급되는 악곡 정보나, 전설과 후설에 관한 코멘트 정보를 처리함으로써, 팟캐스트의 프로그램의 스크립트를 생성하여, 등록부(156)에 공급한다.
음성 정보 취득부(154)는 음성 배신 서버(30C)와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108)로부터 공급되는, 전설과 후설의 음성에 관한 음성 정보를 취득하여, 음성 생성부(155)에 공급한다. 음성 정보는 음성 배신 서버(30C)로부터 수신한 음성 합성 시나 음성 작성 시의 음성에 관한 정보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음성 생성부(155)는 음성 정보 취득부(154)로부터 공급되는 음성 정보를 처리함으로써, 크리에이터가 전설과 후설을 설정하기 위한 음성을 생성하여, 프로그램 생성부(153)에 공급한다.
프로그램 생성부(153)는 팟캐스트의 프로그램을 생성할 때, 음성 생성부(155)로부터 공급되는 음성을 사용하여, 크리에이터에 대하여 전설과 후설의 설정에 관한 정보(음성 합성 시의 음성 등)를 제공함으로써, 당해 프로그램의 스크립트를 생성하여, 등록부(156)에 공급한다.
등록부(156)는 통신부(108)를 제어하여, 프로그램 생성부(153)로부터 공급되는 프로그램의 스크립트를, 네트워크(50)를 통하여 프로그램 배신 서버(30A)에 업로드함으로써 등록한다.
(유저 단말 장치의 구성)
도 11은 도 8의 유저 단말 장치(20)의 구성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에 있어서, 유저 단말 장치(20)의 구성은, 도 9에 도시한 크리에이터 단말 장치(10)의 구성과 대응하고 있다. 즉, CPU(201) 내지 근거리 무선 통신부(209)는 상술한 CPU(101) 내지 근거리 무선 통신부(109)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는 유저 단말 장치(20)에서의 제어부(200)의 기능적 구성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어부(200)의 기능은, CPU(201)에 의해, 프로그램 렌더러 등의 프로그램이 실행됨으로써 실현된다.
도 12에 있어서, 제어부(200)는 프로그램 취득부(251), 악곡 취득부(252), 음성 취득부(253), 렌더러부(254), 및 제시 제어부(255)를 갖는다.
프로그램 취득부(251)는 프로그램 배신 서버(30A)와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208)로부터 공급되는, 유저의 조작에 따른 팟캐스트의 프로그램의 스크립트를 취득하여, 렌더러부(254)에 공급한다.
악곡 취득부(252)는 악곡 배신 서버(30B)와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208)로부터 공급되는, 악곡 ID에 따른 악곡의 스트리밍 데이터를 취득하여, 렌더러부(254)에 공급한다.
음성 취득부(253)는 음성 배신 서버(30C)와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208)로부터 공급되는, 전설과 후설에 대응한 음성 데이터를 취득하여, 렌더러부(254)에 공급한다.
렌더러부(254)는 프로그램 취득부(251)로부터 공급되는 프로그램의 스크립트에 기초하여, 음성 취득부(253)로부터 공급되는 전설의 음성 데이터와, 악곡 취득부(252)로부터 공급되는 악곡의 스트리밍 데이터와, 음성 취득부(253)로부터 공급되는 후설의 음성 데이터에 대한 렌더링 처리를 행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데이터를, 제시 제어부(255)에 공급한다.
제시 제어부(255)는 렌더러부(254)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를, 출력부(206)에 공급함으로써, 유저에 대하여 프로그램을 제시한다.
예를 들어, 제시 제어부(255)는 전설의 음성 데이터와, 악곡의 스트리밍 데이터와, 후설의 음성 데이터를, 음출력부(222)에 공급함으로써, 프로그램화된 악곡의 음과 함께, 당해 프로그램에 설정된 전설과 후설의 음을, 당해 악곡의 전후에 출력하여 제시할 수 있다.
(배신 서버의 구성)
도 13은 도 8의 배신 서버(30)의 구성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배신 서버(30)는 도 8에 도시한 프로그램 배신 서버(30A), 악곡 배신 서버(30B), 및 음성 배신 서버(30C) 중 어느 것의 서버에 상당하는 것이다.
배신 서버(30)에 있어서, CPU(301), ROM(302), RAM(303)은, 버스(304)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버스(304)에는 또한 입출력 I/F(310)가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I/F(310)에는, 입력부(305), 출력부(306), 기억부(307), 통신부(308), 및 드라이브(309)가 접속되어 있다.
입력부(305)는 마이크로폰, 키보드, 마우스 등으로 구성된다. 출력부(306)는 스피커,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된다.
기억부(307)는 HDD(Hard Disk Drive)나 반도체 메모리 등으로 구성된다. 통신부(308)는 무선 LAN 등의 무선 통신, 또는 이더넷(등록 상표) 등의 유선 통신에 대응한 통신 모듈로서 구성된다.
드라이브(309)는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의 리무버블 기록 매체(311)를 구동한다.
도 14는 배신 서버(30)에서의 제어부(300)의 기능적 구성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어부(300)의 기능은, CPU(301)에 의해, 각 서비스의 프로그램이 실행됨으로써 실현된다.
도 14에 있어서, 제어부(300)는 요구 접수·응답부(351), 배신 처리부(352), 및 데이터베이스(353)를 갖는다.
요구 접수·응답부(351)는 크리에이터 단말 장치(10) 또는 유저 단말 장치(20)와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308)로부터 공급되는 각종 요구를 접수하여, 배신 처리부(352)에 공급한다.
배신 처리부(352)는, 요구 접수·응답부(351)로부터 공급되는 각종 요구에 따른 배신 처리를 행한다.
데이터베이스(353)는 HDD나 반도체 메모리 등의 대용량의 스토리지로 이루어지는 기억부(307)에 기록된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배신 서버(30A)의 데이터베이스(353)에는, 팟캐스트의 프로그램의 스크립트 등이 저장된다. 또한, 악곡 배신 서버(30B)의 데이터베이스(353)에는, 음악 배신 서비스에 의해 제공되는 악곡이 악곡 ID에 대응지어 저장된다. 또한, 음성 배신 서버(30C)의 데이터베이스(353)에는, 음성 합성 시나 음성 작성 시의 음성에 관한 정보, 전설이나 후설의 음성 데이터 등이 저장된다.
배신 처리부(352)는, 배신 처리를 행할 때, 데이터베이스(353)에 저장된 각종 데이터를 처리하여, 각종 요구에 따른 응답을 생성하여, 요구 접수·응답부(351)에 공급한다.
요구 접수·응답부(351)는 통신부(308)를 제어하여, 배신 처리부(352)로부터 공급되는 각종 요구에 따른 응답을, 네트워크(50)를 통하여 요구원의 크리에이터 단말 장치(10) 또는 유저 단말 장치(20)에 송신한다.
다음으로, 콘텐츠 제공 시스템(1)의 각 장치에서 실행되는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제1 예)
도 15는 프로그램화된 악곡과 함께 그 악곡의 전설과 후설을 제공할 때 음성 합성을 이용하는 경우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시퀀스도이다.
도 15에 있어서, 프로그램 작성 툴은, 크리에이터 단말 장치(10)에 의해 실행되고, 프로그램 렌더러는, 유저 단말 장치(20)에 의해 실행된다. 또한, 도 15에 있어서, 프로그램 배신 서비스는 프로그램 배신 서버(30A)에 의해 제공되고, 음악 배신 서비스는 악곡 배신 서버(30B)에 의해 제공되고, TTS 서비스는 음성 배신 서버(30C)에 의해 제공된다.
크리에이터 단말 장치(10)에서는, 제어부(100)에 의해 프로그램 작성 툴이 실행되고, 스텝 S11 내지 S13의 처리가 실행된다.
프로그램 작성 툴은, 악곡 배신 서버(30B)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악곡 리스트를 취득하여, 크리에이터에 제시한다(S11).
프로그램 작성 툴은, 크리에이터에 의해 악곡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악곡의 악곡 ID와, 크리에이터에 의해 입력된 당해 악곡의 전설과 후설의 텍스트에 기초하여, 팟캐스트의 프로그램의 스크립트를 생성하여(S12), 프로그램 배신 서버(30A)에 등록한다(S13).
이에 의해, 프로그램 배신 서버(30A)에서는, 크리에이터에 의해 작성된 팟캐스트의 프로그램의 스크립트가 데이터베이스(353)에 저장되어, 유저 단말 장치(20)를 사용하는 유저에 의해 열람 가능하게 된다.
유저 단말 장치(20)에서는, 제어부(200)에 의해 프로그램 렌더러가 실행됨과 함께, 당해 프로그램 렌더러가, 각 배신 서버(30)와 협동하여 동작함으로써, 스텝 S14 내지 S25의 처리가 실행된다.
프로그램 렌더러에서는, 유저의 조작에 의해, 프로그램 배신 서버(30A) 상에서 열람 가능하게 공개되어 있는 팟캐스트의 프로그램의 재생이 지시된 경우, 프로그램 배신 서버(30A)로부터 배신되는 당해 프로그램의 스크립트가 수신된다(S14, S15).
프로그램 렌더러는, 수신한 스크립트의 첫머리에 설정되는 전설에 기초하여, 음성 배신 서버(30C)에 대하여, 당해 전설의 텍스트 음성 합성을 요구한다(S16).
음성 배신 서버(30C)에서는, 프로그램 렌더러로부터의 요구에 응하여, 전설의 텍스트 음성 합성이 행해지고(S17), 그 음성 합성의 결과가 배신된다(S18).
이에 의해, 프로그램 렌더러에서는, 음성 배신 서버(30C)로부터 배신되는 음성 합성의 결과가 수신되어, 렌더링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프로그램화된 악곡에 설정된 전설의 부분의 TTS 음성이 재생된다.
다음으로, 프로그램 렌더러는, 수신한 스크립트의 전설 다음에 설정되는 악곡 ID에 기초하여, 유저가 계약하고 있는 음악 배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악곡 배신 서버(30B)에, 당해 악곡 ID에 의해 특정되는 악곡의 배신을 요구한다(S19).
악곡 배신 서버(30B)에서는, 프로그램 렌더러로부터의 요구에 응하여, 유저에 의한 음악 배신 서비스와의 계약에 의해 획득하고 있는 권리가 확인되고(S20), 당해 유저가 정당한 권리를 갖고, 악곡 ID에 의해 특정되는 악곡의 재생이 가능하다고 판정한 경우, 당해 악곡의 스트리밍 배신이 행해진다(S21).
이에 의해, 프로그램 렌더러에서는, 악곡 배신 서버(30B)로부터 배신되는 악곡의 스트리밍 데이터가 수신되어, 렌더링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악곡 ID에 의해 특정되는 악곡이, 프로그램화된 악곡으로서 재생된다.
그 후, 스트리밍 배신되는 악곡의 재생이 완료되면, 프로그램 렌더러가, 수신한 스크립트의 악곡 ID 다음에 설정되는 후설에 기초하여, 음성 배신 서버(30C)에, 당해 후설의 텍스트의 음성 합성을 요구한다(S22).
음성 배신 서버(30C)에서는, 프로그램 렌더러로부터의 요구에 응하여, 후설의 텍스트의 음성 합성이 행해지고(S23), 그 음성 합성의 결과가 배신된다(S24).
이에 의해, 프로그램 렌더러에서는, 음성 배신 서버(30C)로부터 배신되는 음성 합성의 결과가 수신되어, 렌더링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프로그램화된 악곡에 설정된 후설의 부분의 TTS 음성이 재생된다.
또한, 팟캐스트의 프로그램의 스크립트에는, 복수의 악곡마다의 악곡 ID가 그 악곡의 전설과 후설의 텍스트와 함께 프로그램화되어 있기 때문에, 스텝 S16 내지 S24의 처리가 완료된 후에, 처리는, 스텝 S16의 처리로 되돌아가(S25), 악곡 ID의 수에 따라 스텝 S16 내지 S25의 처리가 반복된다.
이에 의해, 프로그램 렌더러에서는, 스크립트에 설정된 악곡 ID마다, 전설, 악곡, 후설의 순으로 재생이 반복하여 행해져, 유저에 의해, 팟캐스트의 프로그램이 시청 가능하게 된다.
이상, 프로그램화된 악곡과 함께 그 악곡의 전설과 후설을 제공할 때 음성 합성을 이용하는 경우에, 각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였다.
(프로그램 작성 툴의 UI의 예)
도 16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크리에이터 단말 장치(10)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작성 툴의 상세를 설명한다.
도 16은 프로그램 작성 툴의 유저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의 제1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6에 있어서, 프로그램 작성 화면(410)은 프로그램 작성 툴의 실행 시에 표시되는 화면으로, 크리에이터의 조작에 따라, 팟캐스트의 프로그램을 작성하기 위한 UI이다.
프로그램 작성 화면(410)은 조작 에어리어(411), 타이틀 설정 에어리어(412), 오프닝 토크 설정 에어리어(413), 설정 완료 악곡·전설 후설 에어리어(414), 및 악곡·전설 후설 설정 에어리어(415)를 갖는다.
조작 에어리어(411)는 프로그램에 설정할 악곡을 조작하여 듣기 위한 영역이다. 조작 에어리어(411)는 악곡의 재생 또는 정지를 위한 버튼, 이전 악곡과 다음 악곡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 재생 중인 악곡의 위치를 나타내는 시크 바 등을 포함한다.
타이틀 설정 에어리어(412)는 프로그램의 타이틀을 설정하기 위한 영역이다.
오프닝 토크 설정 에어리어(413)는 오프닝 토크를 설정하기 위한 영역이다. 예를 들어, 오프닝 토크 설정 에어리어(413)에서는, 오프닝 토크의 음성 파일이 설정되지만, 오프닝 토크가 필요 없는 경우에는 반드시 설정하지는 않아도 상관없다.
설정 완료 악곡·전설 후설 에어리어(414)는 설정 완료의 악곡과 그 악곡의 전설과 후설이 표시되는 영역이다.
예를 들어, 설정 완료 악곡·전설 후설 에어리어(414-1)에서는, "Song1"인 악곡에 대하여, "Speech File1"인 전설과 "Speech File2"인 후설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설정 완료 악곡·전설 후설 에어리어(414-2)에서는, "Song2"인 악곡에 대하여, "Speech File3"인 전설과 "Speech File4"인 후설이 설정되어 있다.
악곡·전설 후설 설정 에어리어(415)는 악곡과 그 악곡의 전설과 후설을 설정하기 위한 영역이다.
예를 들어, 악곡·전설 후설 설정 에어리어(415)는 악곡의 카탈로그로부터 원하는 악곡의 파일을 선택하기 위한 악곡 추가 버튼("Add Music from Song Catalog"), 원하는 전설을 설정하기 위한 전설 추가 버튼("Add Speech File before"), 및 원하는 후설을 설정하기 위한 후설 추가 버튼("Add Speech File after") 등을 포함한다.
또한, 전설과 후설은, 크리에이터의 입력 조작에 따른 텍스트 형식의 파일로서 설정되는 것 이외에, 예를 들어, 크리에이터의 음성 입력 등에 따라, 음성 형식의 파일로서 설정되어도 상관없다.
크리에이터에 의해, 이 프로그램 작성 화면(410)이 조작됨으로써, 예를 들어, 도 17에 도시한 프로그램의 스크립트가 작성된다.
도 17에서는, 팟캐스트의 프로그램으로서, 오프닝 토크("Opening Talk File") 다음에, 1곡째의 전설("Speech File1")과, 1곡째의 악곡("Song1")과, 1곡째의 후설("Speech File2")이 그 순으로 재생되고, 또한, 2곡째의 전설("Speech File3")과, 2곡째의 악곡("Song2")과, 2곡째의 후설("Speech File4")이 그 순으로 재생되도록 프로그램화되어 있다.
그런데, 이 프로그램 작성 툴은, 크리에이터가 계약하고 있는 음악 배신 서비스에 의해 배신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이하, 음악 배신 애플리케이션이라고도 함)의 기능으로서 제공해도 된다. 도 18 내지 도 23은 크리에이터 단말 장치(10)에 의해 실행되는 음악 배신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으로서 제공되는 프로그램 작성 툴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8에 있어서, 악곡 재생 화면(510)은 음악 배신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으로서 제공되는 화면으로,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50)를 통하여 음악 배신 서비스에 의해 배신되는 악곡을 재생하기 위한 UI이다. 악곡 재생 화면(510)은 재생 대상 악곡 에어리어(511), 및 악곡 조작 에어리어(512)를 갖는다.
재생 대상 악곡 에어리어(511)는 재생 대상의 악곡의 타이틀이나 아티스트명, 재킷의 화상 등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이다.
악곡 조작 에어리어(512)는 악곡을 조작하기 위한 영역이다. 악곡 조작 에어리어(512)는 악곡의 재생 또는 정지를 위한 버튼, 이전 악곡과 다음 악곡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 재생 중인 악곡의 위치를 나타내는 시크 바 등을 포함한다.
악곡 재생 화면(510)에 있어서, 크리에이터에 의해 소정의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 도 19에 도시한 플레이리스트 선택 화면(520)이 표시된다.
도 19에 있어서, 플레이리스트 선택 화면(520)은 음악 배신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으로서 제공되는 화면으로, 원하는 플레이리스트를 선택하기 위한 UI이다. 플레이리스트 선택 화면(520)은 플레이리스트 일람 에어리어(521)를 갖는다.
플레이리스트 일람 에어리어(521)는 음악 배신 서비스에 의해 제공되는 플레이리스트, 또는 크리에이터 자신 혹은 다른 유저가 작성한 플레이리스트(공개된 플레이리스트) 등의 일람을 표시하여, 선택하기 위한 영역이다.
이 플레이리스트 일람 에어리어(521)에 표시된 플레이리스트 중에서, 도면 중의 프레임 F1로 둘러싸인 "70 SOUL"의 플레이리스트가 선택된 경우, 도 20에 도시한 플레이리스트 편집 화면(530)이 표시된다.
도 20에 있어서, 플레이리스트 편집 화면(530)은 음악 배신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으로서 제공되는 화면으로, 선택 대상의 플레이리스트를 편집하기 위한 UI이다. 플레이리스트 편집 화면(530)은 악곡 일람 에어리어(531), 및 악곡 추가 버튼(532)을 갖는다.
악곡 일람 에어리어(531)는 선택 대상의 플레이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악곡의 일람을 표시하여, 선택하기 위한 영역이다. 악곡 추가 버튼(532)은 선택 대상의 플레이리스트에, 새로운 악곡을 추가할 때 조작되는 버튼이다.
이 악곡 일람 에어리어(531)에 표시된 악곡 중에서, 도면 중의 프레임 F2로 둘러싸인 원하는 악곡이 선택되어, 선택 대상의 악곡의 편집 버튼(533)이 조작된 경우, 도 21의 악곡·전설 후설 편집 화면(540A) 또는 도 22의 악곡·전설 후설 편집 화면(540B)이 표시된다.
도 21에 있어서, 악곡·전설 후설 편집 화면(540A)은 선택 대상의 악곡의 전설과 후설을 편집하기 위한 UI이다. 악곡·전설 후설 편집 화면(540A)은 전설 기술 에어리어(541A), 및 후설 기술 에어리어(542A)를 갖는다.
전설 기술 에어리어(541A)는 선택 대상의 악곡에 대하여, 전설의 텍스트를 기술하기 위한 영역이다.
예를 들어, 크리에이터 단말 장치(10)가 터치 패널을 갖는 스마트폰 등의 기기인 경우, 크리에이터는, 터치 패널이 중첩된 표시부(121)에 표시되는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탭 조작하여, 원하는 전설을 텍스트 입력할 수 있다. 혹은, 크리에이터 단말 장치(10)가 클라우드 상의 음성 인식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서비스를 이용 가능한 경우에는, 당해 음성 인식 서비스를 이용하여, 크리에이터에 의한 원하는 전설의 음성 입력을 텍스트로 변환해도 상관없다.
혹은, 크리에이터 단말 장치(10)가 키보드를 갖는 퍼스널 컴퓨터 등의 기기인 경우에는, 크리에이터는, 키보드를 조작하여, 원하는 전설의 코멘트를 입력하면 된다.
후설 기술 에어리어(542A)는 선택 대상의 악곡에 대하여, 후설의 텍스트를 기술하기 위한 영역이다. 후설 기술 에어리어(542A)에는, 크리에이터에 의한 소프트웨어 키보드의 조작이나 음성 입력의 조작 등에 따른 원하는 후설의 텍스트가 입력된다.
또한, 도 22에 있어서, 악곡·전설 후설 편집 화면(540B)은 선택 대상의 악곡의 전설과 후설을 편집하기 위한 UI이다. 악곡·전설 후설 편집 화면(540B)은 전설 기술 에어리어(541B), 및 후설 기술 에어리어(542B)를 갖는다.
전설 기술 에어리어(541B)는 선택 대상의 악곡에 대하여, 전설의 텍스트를 기술하기 위한 영역이다. 전설 기술 에어리어(541B)에는, 크리에이터에 의한 소프트웨어 키보드의 조작이나 음성 입력의 조작 등에 따른 원하는 전설의 텍스트가 입력된다.
후설 기술 에어리어(542B)는 선택 대상의 악곡에 대하여, 후설의 텍스트를 기술하기 위한 영역이다. 후설 기술 에어리어(542B)에는, 크리에이터에 의한 소프트웨어 키보드의 조작이나 음성 입력의 조작 등에 따른 원하는 후설의 텍스트가 입력된다.
이렇게 하여, 크리에이터는, 플레이리스트의 각 악곡에, 전설과 후설의 텍스트를 추가함으로써, 플레이리스트를 프로그램화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악곡·전설 후설 편집 화면(540A, 540B)은 악곡에 대하여 전설과 후설을 설정하기 위한 UI의 일례로, 다른 UI에 의해 전설과 후설을 설정해도 상관없다.
도 20의 설명으로 되돌아가서, 플레이리스트 편집 화면(530)에 있어서, 크리에이터에 의해 소정의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 도 23에 도시한 플레이리스트 설정 화면(550)이 표시된다.
도 23에 있어서, 플레이리스트 설정 화면(550)은 음악 배신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으로서 제공되는 화면으로, 프로그램화된 플레이리스트에 관한 각종 설정을 행하기 위한 UI이다. 플레이리스트 설정 화면(550)은 설정 에어리어(551)를 갖는다.
설정 에어리어(551)에는, 프로그램화된 플레이리스트의 이름의 변경, 프로그램화된 플레이리스트의 공개, 프로그램화된 플레이리스트의 삭제 등을 설정하기 위한 항목을 포함한다. 이 설정 에어리어에 표시된 항목 중에서, 도면 중의 프레임 F3으로 둘러싸인 「공개함」이 탭 조작된 경우, 프로그램화된 플레이리스트가 다른 유저에 공개된다.
이에 의해, 프로그램화된 플레이리스트의 스크립트, 즉, 프로그램의 스크립트가, 프로그램 배신 서버(30A)의 데이터베이스(353)에 저장되어, 유저 단말 장치(20)를 사용하는 유저에 의해 열람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음악 배신 서비스가 제공하는 음악 배신 애플리케이션의 일 기능으로서, 프로그램의 크리에이션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리에이터는, 음악 배신 서비스의 프리미엄 유저로서 플레이리스트를 프로그램화하여 각 악곡에 전설과 후설을 설정하고, 프로그램화된 플레이리스트의 스크립트를 공개할 수 있다. 이때, 음악 배신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스크립트에 설정되는 악곡 ID는, 크리에이터가 계약하고 있는 음악 배신 서비스에 의해 관리되는 악곡의 ID로 여겨진다.
(제2 예)
도 24는 악곡의 전설과 후설이 음성 합성을 이용하여 제공 가능한 경우에, 프로그램화된 악곡을 플레이리스트로서 재생하는 경우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시퀀스도이다.
도 24에 있어서, 프로그램 작성 툴과 프로그램 렌더러가, 크리에이터와 유저의 각 단말 장치에서 각각 실행되고, 프로그램 배신 서비스와, 음악 배신 서비스와, TTS 서비스가, 각 배신 서버에 의해 각각 제공되는 것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예와 마찬가지이다.
도 24의 스텝 S31 내지 S33에서는, 도 15의 스텝 S11 내지 S13과 마찬가지로, 프로그램 작성 툴에 의해, 프로그램의 스크립트가 생성되어, 프로그램 배신 서버(30A)에 등록되어 있다.
프로그램 렌더러에서는, 유저의 조작에 의해, 프로그램 배신 서버(30A) 상에서 열람 가능하게 공개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재생이 지시된 경우, 프로그램 배신 서버(30A)로부터 배신되는 당해 프로그램의 스크립트가 수신된다(S34, S35). 여기서는, 예를 들어, 유저에 의해, 프로그램을, 플레이리스트로서 재생하도록 지시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프로그램 렌더러는, 유저가 계약하고 있는 음악 배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악곡 배신 서버(30B)에 대하여, 수신한 스크립트에 설정되는 악곡 ID에 의해 특정되는 악곡의 배신을 요구한다(S36).
악곡 배신 서버(30B)에서는, 프로그램 렌더러로부터의 요구에 응하여, 유저에 의한 음악 배신 서비스와의 계약에 의해 획득하고 있는 권리가 확인되고(S37), 당해 유저가 정당한 권리를 갖고, 악곡 ID에 의해 특정되는 악곡의 재생이 가능하다고 판정한 경우, 당해 악곡의 스트리밍 배신이 행해진다(S38).
이에 의해, 프로그램 렌더러에서는, 악곡 배신 서버(30B)로부터 배신되는 악곡의 스트리밍 데이터가 수신되어, 렌더링이 행해짐으로써, 악곡 ID에 의해 특정되는 악곡이 재생된다.
또한, 프로그램의 스크립트에는, 복수의 악곡의 악곡 ID가 재생순으로 리스트화되어 있기 때문에, 스텝 S36 내지 S38의 처리가 완료된 후에, 처리는, 스텝 S36으로 되돌아가(S39), 악곡 ID의 수에 따라 스텝 S36 내지 S39의 처리가 반복된다.
이에 의해, 프로그램 렌더러에서는, 스크립트에 설정된 악곡 ID의 순으로, 악곡의 재생이 반복하여 행해져, 유저에 의해, 플레이리스트로서 재생되는 악곡이 시청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유저에 의해 플레이리스트 재생의 요구를 접수했을 때는, 당해 유저에 의해 선택된 스크립트에 따라, 그 스크립트에 포함되는 전설과 후설의 판독은 행하지 않고, 그 스크립트에 포함되는 악곡 ID가 나타내는 악곡이 판독되어 유저에 제공된다.
이상, 악곡의 전설과 후설이 음성 합성을 이용하여 제공 가능한 경우에, 프로그램화된 악곡을 플레이리스트로서 재생하는 경우에 있어서, 각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였다.
(제3 예)
도 25는 프로그램화된 악곡과 함께 그 악곡의 전설과 후설을 제공할 때 육성을 이용하는 경우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시퀀스도이다.
도 25에 있어서, 프로그램 작성 툴과 프로그램 렌더러가, 크리에이터와 유저의 각 단말 장치에서 각각 실행되고, 프로그램 배신 서비스와, 음악 배신 서비스가, 각 배신 서버에 의해 각각 제공되는 것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예와 마찬가지이다. 한편, 도 25의 제3 예에서는, 도 15에 도시한 제1 예와는 달리, 음성 배신 서버(30C)에 의해, TTS 서비스 대신에 육성 배신 서비스가 제공된다.
도 25의 스텝 S51 내지 S53에서는, 도 15의 스텝 S11 내지 S13과 마찬가지로, 프로그램 작성 툴에 의해, 팟캐스트의 프로그램의 스크립트가 생성되어, 프로그램 배신 서버(30A)에 등록된다.
단, 도 25의 시퀀스도에서는, 악곡의 전설과 후설을, 텍스트로서 스크립트에 포함하는 것은 아니고, 크리에이터의 육성으로 전설과 후설을 소리 내어 읽고 있기 때문에, 그 음성 데이터(의 파일)가 음성 배신 서버(30C)에 등록된다(S54).
즉, 프로그램 배신 서버(30A)에 등록되는 스크립트에는, 악곡을 특정하는 악곡 ID와 함께, 전설과 후설의 육성의 음성 데이터에 대한 링크 정보가 설정된다.
도 25의 스텝 S55, S56에서는, 도 15의 스텝 S14, S15와 마찬가지로, 프로그램 렌더러에서는, 프로그램 배신 서버(30A) 상에서 열람 가능하게 공개되어 있는 팟캐스트의 프로그램의 재생이 지시된 경우, 프로그램 배신 서버(30A)로부터 배신되는 당해 프로그램의 스크립트가 수신된다.
프로그램 렌더러는, 수신한 스크립트의 첫머리에 설정되는 전설의 링크 정보에 기초하여, 음성 배신 서버(30C)에 액세스하여, 당해 전설의 육성 배신을 요구한다(S57).
음성 배신 서버(30C)에서는, 프로그램 렌더러로부터의 요구에 응하여, 크리에이터에 의해 등록된 전설의 육성의 음성 데이터가 처리되고(S58), 그 육성의 음성 데이터가 배신된다(S59).
이에 의해, 프로그램 렌더러에서는, 음성 배신 서버(30C)로부터 배신되는 전설의 육성의 음성 데이터가 수신되어, 렌더링이 행해짐으로써, 프로그램화된 악곡에 설정된 전설의 부분의 육성이 재생된다.
도 25의 스텝 S60 내지 S62에서는, 도 15의 스텝 S19 내지 S21과 마찬가지로, 프로그램 렌더러에서는, 수신한 스크립트의 전설 다음에 설정되는 악곡 ID에 기초하여, 악곡 배신 서버(30B)로부터 스트리밍 배신되는 악곡의 재생이 행해진다.
그 후, 스트리밍 배신되는 악곡의 재생이 종료되면, 프로그램 렌더러가, 수신한 스크립트의 악곡 ID 다음에 설정되는 후설의 링크 정보에 기초하여, 음성 배신 서버(30C)에 액세스하여, 당해 후설의 육성 배신을 요구한다(S63).
음성 배신 서버(30C)에서는, 프로그램 렌더러로부터의 요구에 응하여, 크리에이터에 의해 등록된 후설의 육성의 음성 데이터가 처리되고(S64), 그 육성의 음성 데이터가 배신된다(S65).
이에 의해, 프로그램 렌더러에서는, 음성 배신 서버(30C)로부터 배신되는 후설의 육성의 음성 데이터가 수신되어, 렌더링이 행해짐으로써, 프로그램화된 악곡에 설정된 후설의 부분의 육성이 재생된다.
또한, 팟캐스트의 프로그램의 스크립트에는, 복수의 악곡의 악곡 ID가 그 곡의 전설과 후설의 육성의 링크 정보와 함께 프로그램화되어 있기 때문에, 스텝 S57 내지 S65의 처리가 완료된 후에, 처리는, 스텝 S57의 처리로 되돌아가(S66), 스텝 S57 내지 S66의 처리가 반복된다.
이에 의해, 프로그램 렌더러에서는, 스크립트에 설정된 악곡 ID마다, 전설, 악곡, 후설의 순으로 재생이 반복하여 행해져, 유저에 의해, 팟캐스트의 프로그램이 시청 가능하게 된다.
이상, 프로그램화된 악곡과 함께 그 악곡의 전설과 후설을 제공할 때 육성을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각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였다.
(제4 예)
도 26은 악곡의 전설과 후설이 육성을 이용하여 제공 가능한 경우에, 프로그램화된 악곡을 플레이리스트로서 재생하는 경우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시퀀스도이다.
도 26에 있어서, 프로그램 작성 툴과 프로그램 렌더러가, 크리에이터와 유저의 각 단말 장치에서 각각 실행되고, 프로그램 배신 서비스와, 음악 배신 서비스와, 육성 배신 서비스가, 각 배신 서버에 의해 각각 제공되는 것은, 도 25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3 예와 마찬가지이다.
도 26의 스텝 S71 내지 S74에서는, 도 25의 스텝 S51 내지 S54와 마찬가지로, 프로그램 작성 툴에 의해, 프로그램의 스크립트가 프로그램 배신 서버(30A)에 등록됨과 함께, 크리에이터의 육성으로 소리 내어 읽어진 전설과 후설의 음성 데이터(의 파일)가 음성 배신 서버(30C)에 등록되어 있다.
프로그램 렌더러에서는, 유저의 조작에 의해, 프로그램 배신 서버(30A) 상에서 열람 가능하게 공개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재생이 지시된 경우, 프로그램 배신 서버(30A)로부터 배신되는 당해 프로그램의 스크립트가 수신된다(S75, S76). 여기서는, 예를 들어, 유저에 의해, 프로그램을, 플레이리스트로서 재생하도록 지시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프로그램 렌더러는, 유저가 계약하고 있는 음악 배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악곡 배신 서버(30B)에, 수신한 스크립트에 설정되는 악곡 ID에 의해 특정되는 악곡의 배신을 요구한다(S77).
악곡 배신 서버(30B)에서는, 프로그램 렌더러로부터의 요구에 응하여, 유저에 의한 음악 배신 서비스와의 계약에 의해 획득하고 있는 권리가 확인되고(S78), 당해 유저가 정당한 권리를 갖고, 악곡 ID에 의해 특정되는 악곡의 재생이 가능하다고 판정한 경우, 당해 악곡의 스트리밍 배신이 행해진다(S79).
이에 의해, 프로그램 렌더러에서는, 악곡 배신 서버(30B)로부터 배신되는 악곡의 스트리밍 데이터가 수신되어, 렌더링이 행해짐으로써, 악곡 ID에 의해 특정되는 악곡이 재생된다.
또한, 프로그램의 스크립트에는, 복수의 악곡의 악곡 ID가 재생순으로 리스트화되어 있기 때문에, 스텝 S77 내지 S79의 처리가 완료된 후에, 처리는, 스텝 S77로 되돌아가(S80), 스텝 S77 내지 80의 처리가 반복된다.
이에 의해, 프로그램 렌더러에서는, 스크립트에 설정된 악곡 ID의 순으로, 악곡의 재생이 반복하여 행해져, 유저에 의해, 플레이리스트로서 재생되는 악곡이 시청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유저에 의해 플레이리스트 재생의 요구를 접수했을 때는, 당해 유저에 의해 선택된 스크립트에 따라, 그 스크립트에 포함되는 전설과 후설의 판독은 행하지 않고, 그 스크립트에 포함되는 악곡 ID가 나타내는 악곡이 판독되어 유저에 제공된다.
이상, 악곡의 전설과 후설이 육성을 이용하여 제공 가능한 경우에, 프로그램화된 악곡을 플레이리스트로서 재생하는 경우에 있어서, 각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였다.
(처리의 전체 상)
도 27과 도 28은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처리의 전체 상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7과 도 28에 도시한 처리는, 본 기술을 적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의 크리에이터 단말 장치(10)(의 제어부(100))와, 유저 단말 장치(20)(의 제어부(200))와, 배신 서버(30)(의 제어부(300))가 협동하여 동작함으로써 실현된다.
즉, 이 처리는, 제어부(100), 제어부(200), 및 제어부(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제어부에 의해 실행된다.
콘텐츠 제공 시스템(1)에서는,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크리에이터 단말 장치(10)를 사용하는 크리에이터로부터의 입력이 있는 경우(S211의 「"예"」), 그 입력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식별 정보와, 그 콘텐츠의 전설과 후설에 대응하는 코멘트 정보로 이루어지는 스크립트가 생성되고(S212), 그 스크립트가, 유저 단말 장치(20)를 사용하는 유저에 의해 열람 가능하게 소정의 기억 매체에 저장된다(S213).
여기서, 콘텐츠는, 음악 배신 서비스에 의해 배신되는 악곡 등을 포함하고, 그 콘텐츠의 식별 정보는 악곡을 식별 가능한 악곡 ID 등을 포함한다. 또한, 전설과 후설은, 콘텐츠에 관한 코멘트의 일례이고, 전설과 후설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설정되어 있으면 된다. 예를 들어, 악곡을 프로그램화할 때, 악곡 단위로 전설 또는 후설을 삽입하는 것 이외에, 전설로서 내레이션 등을 삽입하고 나서, 3곡 연속으로 악곡을 재생하거나, 4곡 연속으로 악곡을 재생한 후에, 후설로서 곡의 감상 등을 삽입하거나 해도 된다.
코멘트 정보는 코멘트를 나타내는 텍스트, 또는 크리에이터의 육성에 대한 링크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코멘트 정보는 콘텐츠에 관한 코멘트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설명하지만, 반드시 콘텐츠에 관련되는 것으로는 한정되지 않고, 콘텐츠에 관계되지 않는 코멘트에 대응하는 것이라도 상관없다. 소정의 기억 매체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배신 서버(30A)의 기억부(307)(의 데이터베이스(353))로 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1)에서는,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저 단말 장치(20)를 사용하는 유저에 의해, 소정의 기억 매체에 저장된 스크립트에 대한 재생 요구가 이루어진 경우(S231의 「"예"」), 먼저, 스크립트에 포함되는 코멘트 정보에 따라 전설이 판독되어, 당해 유저에 제공하도록 제어된다(S232).
여기서, 소정의 기억 매체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배신 서버(30A)의 기억부(307)(의 데이터베이스(353))로 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립트의 코멘트 정보에 따라 판독되는 전설은 TTS 음성 또는 육성 등의 음성을 포함한다.
계속해서, 콘텐츠 제공 시스템(1)에서는, 스크립트에 포함되는 콘텐츠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콘텐츠의 판독이, 유저가 특정 서비스와의 계약에 의해 이미 획득하고 있는 권리를 이용하여 실행되어, 당해 유저에 제공하도록 제어된다(S233).
여기서, 콘텐츠 식별 정보는 악곡을 식별 가능한 악곡 ID 등을 포함한다. 또한, 예를 들어, 특정 서비스는 음악 배신 서비스이고, 유저가 이미 획득하고 있는 권리는, 유료의 프리미엄 유저나, 무료의 프리 유저의 권리 등을 포함한다.
또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1)에서는, 당해 콘텐츠의 제공 후에는, 스크립트에 포함되는 코멘트 정보에 따라 후설이 판독되어, 당해 유저에 제공하도록 제어된다(S234).
여기서, 스크립트의 코멘트 정보에 따라 판독되는 후설에는, TTS 음성 또는 육성 등의 음성을 포함한다. 또한, 코멘트 정보가 나타내는 코멘트(전설이나 후설 등의 텍스트)를 외국어로 변환(번역)하여, 유저에 제공해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 시스템측에서 유저의 프로파일을 파악하고 있는 경우에, 당해 유저의 모국어를 알고 있을 때는, 코멘트를 모국어로 변환하여 텍스트로 유저에 제공해도 되고, 혹은, 텍스트를 TTS에 의해 음성 합성하여 그 음성 합성 결과를 유저에 제공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콘텐츠를 프로그램화할 때, 유저의 서비스와의 계약이나 텍스트 음성 합성 등을 이용하여, 콘텐츠와 함께 그 콘텐츠 등에 관한 코멘트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보다 간단하게, 콘텐츠와 그 코멘트를 제공할 수 있다.
<2. 제2 실시 형태>
프로그램화된 악곡을 배신하는 사업자는, 팟캐스트의 프로그램을 배신하는 사업자와 동일한 사업자에 한정되지 않고, 상이한 사업자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어떤 음악 배신 서비스에 의해 제공되는 특정 음악 배신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작성한 프로그램의 스크립트를, 다른 음악 배신 서비스에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작성된 프로그램의 스크립트가, 특정 음악 배신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음악 배신 서비스뿐만 아니라, 다른 음악 배신 서비스로부터도 참조 가능하게 저장되도록 한다. 그 때, 특정 음악 배신 애플리케이션이 인식 가능한 악곡 ID 등의 식별 정보에 더하여, 악곡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메타데이터가 함께 저장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이 메타 데이터로서는, 곡명, 작사가, 작곡가, 아티스트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음악 배신 서비스에서는, 당해 다른 음악 배신 서비스와 계약하고 있는 유저가 사용하는 유저 단말 장치(20)로부터의 재생 요구에 응하여, 메타데이터에 포함되는 곡명 등의 정보를 사용하여, 자기가 관리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악곡을 특정하고, 특정한 악곡을 스트리밍 배신하면 된다.
또한, 유저와, 다른 음악 배신 서비스와의 계약에 의해, 그 악곡 재생에 관계되는 저작권 처리는 해소 완료로 여겨진다. 또한, 이러한, 다른 음악 배신 서비스로부터 배신된 악곡의 재생에 따른 수입의 일부가, 특정 음악 배신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한 음악 배신 서비스에 환원되거나, 그 일부가 크리에이터에 환원되거나 해도 된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서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1)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의 구성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콘텐츠 제공 시스템(1)의 각 장치에서 실행되는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배신 사업자가 상이한 경우의 처리의 흐름)
도 29는 어떤 음악 배신 서비스를 이용하여 작성한 스크립트를 다른 음악 배신 서비스에 제공하는 경우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29의 예에서는, 프로그램 작성 툴과 프로그램 렌더러가, 크리에이터와 유저의 각 단말 장치에서 각각 실행되고, 프로그램 배신 서비스와, 음악 배신 서비스와, 육성 배신 서비스가, 각 배신 서버에 의해 각각 제공되는 것은, 도 25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3 예 등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도 29의 예에서는, 음악 배신 서비스 A를 제공하는 A사의 악곡 배신 서버(30B-1)와, 음악 배신 서비스 B를 제공하는 B사의 악곡 배신 서버(30B-2)가 마련되고, 프로그램 배신 서버(30A)는, A사에 의해 제공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유저 단말 장치(20)에서는, B사에 의해 제공되는 음악 배신 애플리케이션으로서의 프로그램 렌더러가 실행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도 29의 스텝 S91 내지 S94에서는, 도 25의 스텝 S51 내지 S54와 마찬가지로, 크리에이터 단말 장치(10)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작성 툴에 의해, 프로그램의 스크립트가 A사의 프로그램 배신 서버(30A)에 등록됨과 함께, 크리에이터의 육성으로 소리 내어 읽어진 전설과 후설의 음성 데이터(의 파일)가 음성 배신 서버(30C)에 등록되어 있다.
유저 단말 장치(20)에서는, B사의 프로그램 렌더러가 실행되고, 유저의 조작에 의해, A사의 프로그램 배신 서버(30A) 상에서 열람 가능하게 공개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재생이 지시된 경우, A사의 프로그램 배신 서버(30A)로부터 배신되는 당해 프로그램의 스크립트가 수신된다(S95, S96).
이 스크립트에는, 프로그램화된 악곡에 관하여, 악곡 ID 이외에, 콘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메타데이터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메타 데이터로서는, 곡명, 작사가, 작곡가, 아티스트명 등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7에 도시한 스크립트에서의 "title"이나 "artist" 등의 항목에 지정되는 정보를, 메타데이터로서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B사의 프로그램 렌더러는, 수신한 스크립트에 기초하여, 유저가 계약하고 있는 음악 배신 서비스 B를 제공하는 B사의 악곡 배신 서버(30B-2)에, 메타데이터에 의해 특정되는 악곡의 배신을 요구한다(S97).
악곡 배신 서버(30B-2)에서는, B사의 프로그램 렌더러로부터의 요구에 응하여, 유저에 의한 음악 배신 서비스 B와의 계약에 의해 획득하고 있는 권리가 확인되고, 당해 유저가 정당한 권리를 갖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메타데이터를 사용한 악곡의 특정이 행해진다(S98).
악곡 배신 서버(30B-2)에서는, 음악 배신 서비스 B에 의해 배신하고 있는 악곡을 대상으로 하여, 메타데이터를 사용한 악곡의 검색이 행해짐으로써, 메타데이터에 의해 악곡을 특정할 수 있는 경우, 유저 단말 장치(20)에 대하여, 당해 악곡의 스트리밍 배신이 행해진다(S99).
이 경우, B사의 프로그램 렌더러에서는, 당해 악곡의 제공 전에, 스크립트에 설정되는 전설의 링크 정보에 기초하여, 음성 배신 서버(30C)에 액세스함으로써, 프로그램화된 악곡에 설정된 전설의 부분의 육성이 재생된다(S101 내지 S102). 계속해서, B사의 프로그램 렌더러에서는, B사의 악곡 배신 서버(30B-2)로부터 스트리밍 배신된 악곡의 재생이 행해진다.
그 후, 스트리밍 배신되는 악곡의 재생이 종료되면, B사의 프로그램 렌더러에서는, 스크립트에 설정되는 후설의 링크 정보에 기초하여, 음성 배신 서버(30C)에 액세스함으로써, 프로그램화된 악곡에 설정된 후설의 부분의 육성이 재생된다(S103 내지 S105).
또한, 스텝 S97 내지 S106의 처리가 반복됨으로써, B사의 프로그램 렌더러에서는, 스크립트에 설정된 악곡 ID마다, 전설, 악곡, 후설의 순으로 재생이 반복하여 행해져, 유저에 의해, 팟캐스트의 프로그램이 시청 가능하게 된다.
한편, 스텝 S98의 처리에서, B사의 악곡 배신 서버(30B-2)에 의해, B사의 프로그램 렌더러로부터의 요구에 포함되는 메타데이터에 의해 악곡을 특정할 수 없었던 경우에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처리가 행해진다.
첫 번째로, B사의 악곡 배신 서버(30B-2)는, B사의 프로그램 렌더러에 대하여 그 취지를 응답하고, 특정할 수 없었던 악곡과 그 악곡의 전설과 후설의 재생이 스킵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유저 단말 장치(20)에서는, B사의 프로그램 렌더러에 의해, 대상의 악곡이 스킵되어, 다음 악곡(또는 다음 악곡의 전설)의 재생이 개시된다.
두 번째로, B사의 악곡 배신 서버(30B-2)는, A사의 악곡 배신 서버(30B-1)로부터, 메타데이터에 대응한 악곡의 샘플 곡이, 유저 단말 장치(20)에 배신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유저 단말 장치(20)에서는, B사의 프로그램 렌더러에 의해, 유저가 미 계약의 음악 배신 서비스 A로부터 배신되는 샘플 곡이 재생된다.
또한, 도 29의 예에서는, 프로그램화된 악곡과 함께 그 악곡의 전설과 후설을 제공할 때 육성을 이용하는 경우를 나타냈지만, 악곡의 전설과 후설이 음성 합성을 이용하여 제공되어도 상관없다.
(처리의 전체 상)
도 30과 도 31은 제2 실시 형태에서의 처리의 전체 상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0과 도 31에 도시한 처리는, 본 기술을 적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의 크리에이터 단말 장치(10)(의 제어부(100))와, 유저 단말 장치(20)(의 제어부(200))와, 배신 서버(30)(의 제어부(300))가 협동하여 동작함으로써 실현된다.
콘텐츠 제공 시스템(1)에서는,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크리에이터 단말 장치(10)를 사용하는 크리에이터로부터의 입력이 있는 경우(S311의 「"예"」), 그 입력에 기초하여, 제1 서비스가 인식 가능한 콘텐츠의 식별 정보와, 콘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메타 데이터와, 콘텐츠의 전설과 후설에 대응하는 코멘트 정보로 이루어지는 스크립트가 생성되고(S312), 그 스크립트가, 유저 단말 장치(20)를 사용하는 유저에 의해 열람 가능하게 소정의 기억 매체에 저장된다(S313).
여기서, 콘텐츠는, 음악 배신 서비스에 의해 배신되는 악곡 등을 포함하고, 그 콘텐츠의 식별 정보는 악곡을 식별 가능한 악곡 ID 등을 포함한다. 또한, 전설과 후설은, 콘텐츠에 관한 코멘트의 일례이고, 전설과 후설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설정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제1 서비스는, 예를 들어, A사가 제공하는 음악 배신 서비스 A이다. 또한, 메타데이터에는, 곡명 등이 포함된다. 소정의 기억 매체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배신 서버(30A)의 데이터베이스(353)로 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1)에서는, 도 3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서비스와 계약하고 있는 유저에 의해, 소정의 기억 매체에 기록된 스크립트에 대한 재생 요구가 이루어진 경우(S331의 「"예"」), 콘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제2 서비스가 관리하는 콘텐츠 중에서, 대응하는 콘텐츠를 특정하는 처리가 행해지고(S332), 대응하는 콘텐츠를 특정할 수 있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333).
여기서, 제2 서비스는, 예를 들어, B사가 제공하는 음악 배신 서비스 B이다. 또한, 콘텐츠는, 음악 배신 서비스에 의해 배신되는 악곡 등을 포함하고, 메타데이터에는, 곡명 등이 포함된다.
스텝 S333의 판정 처리에서, 대응하는 콘텐츠를 특정할 수 있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유저가 제2 서비스와의 계약에 의해 이미 획득하고 있는 권리를 이용하여, 당해 콘텐츠의 판독이 실행되어, 당해 유저에 제공하도록 제어된다(S334).
즉, 유저가 이미 획득하고 있는 권리는, B사가 제공하는 음악 배신 서비스 B에서의 유료의 프리미엄 유저나, 무료의 프리 유저의 권리 등을 포함하고, 유저 단말 장치(20)에서는, 음악 배신 서비스 B로부터 배신되는 악곡이 재생된다.
한편, 스텝 S333의 판정 처리에서, 대응하는 콘텐츠를 특정할 수 없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당해 콘텐츠 및 대응하는 코멘트의 판독이 스킵되도록 제어되거나, 혹은, 제1 서비스가 관리하는 당해 콘텐츠에 대응하는 샘플 데이터의 판독이 실행되어, 유저에 제공하도록 제어된다(S335).
즉, 유저 단말 장치(20)에서는, 재생 대상의 악곡과 그 악곡의 전설과 후설이 스킵되거나, 혹은, A사가 제공하는 음악 배신 서비스 A로부터 배신되는 샘플 곡이 재생된다.
<3. 제3 실시 형태>
프로그램화된 악곡에 설정되는 전설과 후설에 대하여, 예를 들어, 비방 중상 용어 등의 악곡의 전설이나 후설로서 어울리지 않는 워드나 문맥 등을 자동으로 특정하고, 그러한 워드나 문맥 등이 특정된 문장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프로그램의 작성 단계에서 경고를 표시하거나, 프로그램의 등록 단계에서 등록을 불허가로 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이 등록된 후에, 악곡의 저작권자 등으로부터, 특정 전설이나 후설과 악곡의 연속 재생을 허가하지 않는 취지의 지적이 있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그 전설이나 후설만 재생을 금지하거나(악곡의 재생은 가능), 그 전설, 악곡, 후설의 순의 재생을 금지하거나, 악곡 그 자체의 재생을 금지하거나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팟캐스트의 프로그램 등록이나 제공을 행할 때, 최저한의 이용 허락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배신 서버의 다른 구성)
도 32는 배신 서버(30)에서의 제어부(300)의 기능적 구성의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2에서는, 도 14와 마찬가지로, 제어부(300)가 요구 접수·응답부(351), 배신 처리부(352), 및 데이터베이스(353)를 갖고 있지만, 문장 체크부(161)가 더 마련되어 있다.
프로그램 배신 서버(30A)에 있어서, 배신 처리부(352)는, 프로그램 작성 툴로부터 프로그램의 스크립트 등록이 요구되었을 때, 당해 프로그램의 스크립트에 포함되는 전설과 후설의 텍스트를, 문장 체크부(161)에 공급한다.
문장 체크부(161)는, 배신 처리부(352)로부터 공급되는 전설과 후설의 텍스트에 대하여, 문장 체크 처리를 행하고, 그 문장 체크의 결과를, 배신 처리부(352)에 공급한다.
이 문장 체크 처리에서는, 예를 들어, 형태소 해석이나 구문 분석을 포함하는 자연 언어 처리 등이 행해지고, 전설이나 후설의 텍스트의 문장이 해석되어, 비방 중상 용어 등의 단어나 문맥(문의) 등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가 체크된다.
배신 처리부(352)는, 문장 체크부(161)로부터 공급되는 문장 체크의 결과가, 전설과 후설의 문장으로서 어울림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 프로그램 작성 툴로부터 등록이 요구된 프로그램의 스크립트를, 데이터베이스(353)에 저장한다.
또한, 문장 체크부(161)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배신 서버(30A)의 내부에 마련할 수 있지만, 외부의 서버로서 마련되도록 하여, 프로그램 배신 서버(30A)로부터의 요구에 응하여, 문장의 체크를 행하고, 그 문장 체크의 결과를 응답하도록 해도 상관없다.
(문장 체크를 행하는 경우의 처리의 흐름)
도 33은 문장 체크를 행하는 경우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시퀀스도이다.
도 33의 예에서는, 프로그램 작성 툴과 프로그램 렌더러가, 크리에이터와 유저의 각 단말 장치에서 각각 실행되고, 프로그램 배신 서비스와, 음악 배신 서비스와, TTS 서비스가, 각 배신 서버에 의해 각각 제공되는 것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예 등과 마찬가지이지만, 프로그램 배신 서버(30A)에서는, 문장 체크에 관한 처리도 실행된다.
크리에이터 단말 장치(10)에서는, 프로그램 작성 툴이 실행되고, 각 배신 서버(30)와 협동하여 동작함으로써, 스텝 S111 내지 124의 처리가 실행된다.
프로그램 작성 툴은, 악곡 배신 서버(30B)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악곡 리스트를 취득하여, 크리에이터에 제시한다(S111).
프로그램 작성 툴은, 크리에이터에 의해 악곡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악곡의 악곡 ID와, 크리에이터에 의해 입력된 당해 악곡의 전설과 후설의 텍스트에 기초하여, 팟캐스트의 프로그램의 스크립트를 생성하여(S112), 프로그램 배신 서버(30A)에 대하여 등록 의뢰를 행한다(S113).
이때, 프로그램 배신 서버(30A)에서는, 프로그램 작성 툴에 의해 등록이 요구된 전설과 후설의 텍스트를, 문장 체크부(361)에 보냄으로써, 전설과 후설의 문장 체크를 요구한다(S114).
문장 체크부(361)에서는, 문장 체크의 요구에 응하여, 전설과 후설의 텍스트의 문장 체크가 행해지고(S115), 그 문장 체크의 결과를 통지한다(S116).
프로그램 배신 서버(30A)에서는, 문장 체크부(361)로부터의 응답에 기초하여, 문장 체크의 결과가, 프로그램 작성 툴에 통지된다(S117). 이에 의해, 프로그램 작성 툴에서는, 문장 체크의 결과가 표시된다(S118).
예를 들어, 문장 체크부(361)는, 전설과 후설의 문장으로서 어울리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불허가인 취지를 통지한다.
이 불허가의 통지 시에는, 체크된 문장에서의 불허가가 된 개소를 통지해도 된다. 이 불허가 개소를 포함하는 불허가 통지는, 프로그램 작성 툴에 통지되어, 크리에이터에 대하여, 당해 크리에이터에 의해 입력된 악곡의 전설과 후설이 불허가인 것과, 그 불허가가 된 개소의 문장이 제시된다.
크리에이터는, 프로그램 작성 툴에 의해 제시된 통지에 기초하여, 프로그램화할 악곡의 전설과 후설의 문장을 수정할 수 있다.
프로그램 작성 툴은, 크리에이터에 의해 수정된 악곡의 전설과 후설의 텍스트에 기초하여, 팟캐스트의 프로그램을 재생성하여(S119), 프로그램 배신 서버(30A)에 대하여 다시 등록 의뢰를 행한다(S120).
이때, 프로그램 배신 서버(30A)는, 프로그램 작성 툴에 의해 등록이 요구된 전설과 후설의 텍스트를, 문장 체크부(361)에 보냄으로써, 전설과 후설의 문장 체크를 요구한다(S121).
문장 체크부(361)에서는, 문장 체크의 요구에 응하여, 전설과 후설의 텍스트의 문장 체크가 행해지고(S122), 그 문장 체크의 결과를 통지한다(S123).
예를 들어, 문장 체크부(361)는, 전설과 후설의 문장으로서 어울린다고 판정한 경우, 허가인 취지를 통지한다.
프로그램 배신 서버(30A)에서는, 문장 체크부(361)로부터의 허가 통지에 기초하여, 프로그램 작성 툴로부터 재등록이 의뢰된 수정 후의 악곡의 전설과 후설의 텍스트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의 스크립트가 데이터베이스(353)에 저장되어, 유저 단말 장치(20)를 사용하는 유저에 의해 열람 가능하게 된다(S124).
(처리의 전체 상)
도 34는 제3 실시 형태에서의 처리의 전체 상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4에 도시한 처리는, 본 기술을 적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의 크리에이터 단말 장치(10)(의 제어부(100))와, 배신 서버(30)(의 제어부(300))가 협동하여 동작함으로써 실현된다.
콘텐츠 제공 시스템(1)에서는, 도 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크리에이터 단말 장치(10)를 사용하는 크리에이터로부터의 입력에 따른 스크립트가 생성된 경우(S411의 「"예"」), 그 스크립트에 포함되는, 콘텐츠의 전설과 후설에 대응하는 코멘트 정보가 나타내는 코멘트의 내용이 분석되고(S412), 그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당해 코멘트의 내용이 콘텐츠에 관한 코멘트로서 어울리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413).
여기서, 콘텐츠는, 음악 배신 서비스에 의해 배신되는 악곡 등을 포함한다. 또한, 전설과 후설은, 콘텐츠에 관한 코멘트의 일례이고, 전설과 후설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설정되어 있으면 된다.
스텝 S413의 판정 처리에서, 당해 코멘트의 내용이 콘텐츠에 관한 코멘트로서 어울린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그 코멘트 정보를 포함하는 스크립트가, 유저 단말 장치(20)를 사용하는 유저에 의해 열람 가능하게 소정의 기억 매체에 저장된다(S414).
즉, 프로그램화할 악곡의 전설이나 후설에, 비방 중상 용어 등의 워드나 문맥 등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전설이나 후설에 어울린다고 판단되어, 그 프로그램의 스크립트가, 프로그램 배신 서버(30A)의 데이터베이스(353)에 등록된다.
한편, 스텝 S413의 판정 처리에서, 당해 코멘트의 내용이 콘텐츠에 관한 코멘트로서 어울리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그 취지가, 크리에이터가 사용하는 크리에이터 단말 장치(10)에 통지된다.
즉, 프로그램화할 악곡의 전설이나 후설에, 비방 중상 용어 등의 워드나 문맥 등이 포함된 경우에는, 그것들이 자동으로 특정되어, 프로그램 작성 툴에 의한 프로그램의 작성 단계에서 경고를 표시하거나, 프로그램의 등록 단계에서 등록을 불허가로 하거나 한다.
<4. 제4 실시 형태>
팟캐스트의 프로그램에는, 광고를 삽입해도 된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화된 악곡에 설정되는 전설 또는 후설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내용을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에 따라, 관련되는 광고를, 전설의 앞, 또는 후설의 뒤에 삽입할 수 있다.
프로그램에 삽입될 광고는, 예를 들어, 스크립트에 텍스트로 기술할 수 있고, 전설과 후설의 텍스트의 음성 합성과 동일한 음소에 기초하여, 음성 합성을 행할 수 있다.
즉, 유저 단말 장치(20)에서는, 유저에 의해 선택된 프로그램의 스크립트에 따라, 그 스크립트에 포함되는 전설과 후설을 특정 음성으로 음성 합성하여 유저에 제공한 경우에, 광고의 텍스트도, 당해 특정 음성으로 음성 합성하여 유저에 제공하도록 한다.
(시스템의 다른 구성)
도 35는 본 기술을 적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일 실시 형태의 다른 구성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5에서는, 도 8과 마찬가지로, 콘텐츠 제공 시스템(1)이 크리에이터 단말 장치(10), 유저 단말 장치(20), 프로그램 배신 서버(30A), 악곡 배신 서버(30B), 및 음성 배신 서버(30C)를 포함하고 있지만, 광고 배신 서버(30D)가 더 마련되어 있다.
광고 배신 서버(30D)는, 광고 배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1개 또는 복수의 서버로 구성된다. 광고 배신 서비스는 인터넷을 통하여 광고를 배신하는 서비스이고, 예를 들어, 광고 배신 사업자에 의해 제공된다.
예를 들어, 광고 배신 서버(30D)는, 프로그램 배신 서버(30A)로부터의 요구에 응하여, 광고 관리용이나 광고용의 데이터베이스(353)에 의해 관리하고 있는 광고를 특정하고, 특정한 광고(광고 본문)를 배신한다.
또한, 광고 배신 서버(30D)는, 도 13과 도 14에 도시한 배신 서버(30)의 구성과 제어부(300)의 기능적 구성과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고 있다.
(광고의 예)
도 36은 팟캐스트의 프로그램의 스크립트에 삽입되는 광고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팟캐스트의 프로그램의 스크립트에는, 프로그램화될 악곡(song)과, 그 악곡의 전설(Warm-up)과 후설(After-song)이 세트로 되어 기술되지만, 도 36에서는, 후설의 뒤에, 광고의 텍스트가 삽입되어 있다.
도 36의 예에서는, 전설에, 「···, 지금도 여름에 듣고 싶어지는, ···」인 텍스트가 포함되고, 후설에, 「···더운 여름이 정말로 즐거워지는 곡이네요!」인 텍스트가 포함되어 있고, 이들 텍스트가 분석된다.
프로그램의 스크립트에서는, 이들 텍스트의 분석 결과에 따라, 「여름」인 키워드에 관한 광고로서, 「여름의 더운 날에는, 역시 맥주. 목 넘김이 상쾌한 X사의 드라이!」인 텍스트로 이루어지는 맥주의 광고가 삽입되어 있다. 또한, 맥주의 광고 텍스트와 함께, X사의 맥주에 관한 웹페이지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도 기술되어 있다.
여기서, 전설과 후설의 텍스트를 음성 합성하여 TTS 음성을 소리 내어 읽는 경우에는, 그 텍스트에 대한 자연 언어 처리 등에 의해, 텍스트의 문장 분석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육성 배신 시에 육성의 분석을 하는 경우에 비하여, 보다 정확한 분석을 행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전설과 후설의 텍스트를 분석함으로써, 보다 관련이 깊은 광고를 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곡을 들으면서, 와인을 마시고 싶네요.」인 전설이나 후설의 내레이션이 있는 경우에, 와인의 광고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삽입된 광고의 텍스트를, 음성 합성하여 TTS 음성을 소리 내어 읽을 때는, 그대로 소리 내어 읽어도 상관없지만, 예를 들어, DJ의 어조에 맞추어 소리 내어 읽거나, 방언으로 소리 내어 읽거나 해도 된다. 혹은, 광고의 TTS 음성의 어조를, 전설이나 후설의 TTS 음성의 어조와 맞추어도 된다.
또한, 도 36의 예에서는, 후설의 뒤에 광고를 삽입한 경우를 나타냈지만, 광고는, 임의의 장소에 삽입할 수 있고, 특히 악곡과의 관계로부터, 광고를, 전설의 앞, 또는 후설의 뒤에 삽입하는 것이 적합하다.
(프로그램에 광고를 삽입하는 경우의 처리의 흐름)
도 37은 프로그램에 광고를 삽입하는 경우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시퀀스도이다.
도 37의 예에서는, 프로그램 렌더러가, 유저 단말 장치(20)에서 실행되고, 프로그램 배신 서비스와, 음악 배신 서비스와, TTS 서비스가, 각 배신 서버에 의해 각각 제공되는 것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예 등과 마찬가지이지만, 광고 배신 서비스와 광고 관리 DB를 제공하는 광고 배신 서버(30D)가 마련되어 있다.
프로그램 배신 서버(30A)에서는, 유저에 의해 조작되는 프로그램 렌더러에 의해, 열람 가능하게 공개하고 있는 팟캐스트의 프로그램의 재생이 지시된 경우, 당해 프로그램의 스크립트가 분석된다(S131, S132).
프로그램 배신 서버(30A)에서는, 당해 프로그램의 스크립트 분석 결과에 따른 요구를, 광고 배신 서버(30D)에 송신함으로써, 광고 관리 데이터베이스(353)로부터, 워드·광고 리스트가 취득된다(S133, S134).
예를 들어, 스크립트의 분석 시에는, 스크립트에 설정된 전설과 후설의 텍스트의 문장이 해석되어, 그 문장에 포함되는 단어나 문의가 추출되고, 또한, 프로그램에서의 광고의 삽입 장소가 결정된다. 또한, 광고 관리 데이터베이스(353)에는, 단어나 문의가 광고 ID와 대응지어져 있기 때문에, 워드·광고 리스트로서, 전설과 후설에 대응한 광고 ID가 취득된다.
또한, 프로그램 배신 서버(30A)에서는, 광고 ID를 포함하는 요구를, 광고 배신 서버(30D)에 송신함으로써, 광고(광고 본문)가 취득된다(S135, S136).
즉, 광고 배신 서버(30D)에서는, 광고 ID와 광고 본문이 대응지어져 광고 데이터베이스(353)에 의해 관리되고 있기 때문에, 프로그램 배신 서버(30A)는, 전설과 후설에 대응한 광고 ID에 의해 특정되는 광고 본문을 취득하여, 결정한 삽입 장소에 삽입할 수 있다(S137). 광고가 삽입된 프로그램의 스크립트는, 프로그램 렌더러에 송신된다(S138).
스텝 S139 내지 S147에서는, 도 15의 스텝 S16 내지 S24와 마찬가지로, 프로그램 렌더러에서는, 프로그램의 스크립트에 설정된 전설, 악곡 ID에 의해 특정되는 악곡, 후설의 순으로 재생이 행해져, 당해 프로그램이 시청 가능하게 된다.
또한, 프로그램의 스크립트에는, 후설의 뒤에, 광고의 텍스트가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프로그램 렌더러는, TTS 서비스를 제공하는 음성 배신 서버(30C)에, 당해 광고의 텍스트의 음성 합성을 요구한다(S148).
음성 배신 서버(30C)에서는, 프로그램 렌더러로부터의 요구에 응하여, 광고의 텍스트의 음성 합성이 행해지고(S149), 그 음성 합성의 결과가 배신된다(S150).
이에 의해, 프로그램 렌더러에서는, 음성 배신 서버(30C)로부터 배신되는 음성 합성의 결과가 수신되어, 렌더링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프로그램에 삽입된 광고의 부분의 TTS 음성이 재생된다.
또한, 팟캐스트의 프로그램의 스크립트에는, 복수의 곡의 악곡 ID가 그 곡의 전설과 후설의 텍스트와 함께 프로그램화되어 있기 때문에, 스텝 S139 내지 S150의 처리가 완료된 후에, 스텝 S139의 처리로 되돌아가(S151), 악곡 ID의 수에 따라 스텝 S139 내지 S151의 처리가 반복된다.
이에 의해, 프로그램 렌더러에서는, 프로그램의 스크립트에 설정된 악곡 ID마다, 전설, 악곡, 후설의 순으로 재생이 반복하여 행해져, 유저에 의해, 팟캐스트의 프로그램이 시청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전설의 앞이나 후설의 뒤 등에, 전설이나 후설에 관련된 광고가 삽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광고의 TTS 음성도 재생되기 때문에, 유저에 대하여, 전설이나 후설, 악곡과, 광고를 링크시킬 수 있다. 또한, 광고는, 음성 출력에 한정되지 않고, GUI(Graphical User Interface)로서 제시해도 되고, 예를 들어, 음악 배신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의 소정의 영역에 광고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전설이나 후설 등의 코멘트의 육성의 음성 데이터를 배신하는 경우에는, 그 육성의 음성 데이터를 학습 소재로 함으로써, 특정 음악을 작성하고, 그 특정 음악에 의해 음성 합성을 행하는 TTS를 작성해도 된다. 이 TTS에 의해, 음성 배신 서버(30C)가 광고의 텍스트를 음성 합성하여, 유저 단말 장치(20)에 배신하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유저가 좋아하는 육성에 가까운 음성으로 광고가 제공되기 때문에, 광고의 컨버전율의 향상 등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또한, 도 37에 도시한 시퀀스도에서는,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해, 프로그램 배신 서비스와 프로그램 분석에 관한 처리가 모두, 프로그램 배신 서버(30A)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이들 처리는, 별개의 서버에 의해 실행되어도 된다. 또한, 광고 배신 서비스와 광고 관리 DB에 관한 처리가 모두, 광고 배신 서버(30D)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이들 처리는, 별개의 서버에 의해 실행되어도 된다.
(처리의 전체 상)
도 38은 제4 실시 형태에서의 처리의 전체 상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8에 도시한 처리는, 본 기술을 적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의 유저 단말 장치(20)(의 제어부(200))와, 배신 서버(30)(의 제어부(300))가 협동하여 동작함으로써 실현된다.
콘텐츠 제공 시스템(1)에서는, 도 3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저 단말 장치(20)를 사용하는 유저에 의해, 소정의 기억 매체에 저장된 스크립트에 대한 재생 요구가 이루어진 경우(S511의 「"예"」), 그 스크립트에 포함되는 코멘트 정보가 나타내는 코멘트의 내용이 분석된다(S512).
여기서, 코멘트에는, 콘텐츠로서의 악곡의 전설과 후설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이들 전설과 후설의 텍스트의 문장이 해석되어, 그 문장에 포함되는 단어나 문의가 추출됨으로써, 전설과 후설의 내용이 분석된다.
그리고, 콘텐츠 제공 시스템(1)에서는, 코멘트의 내용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광고 배신 서버(30D)로부터 광고 데이터(광고 본문)가 취득되고(S513), 당해 광고 데이터가, 제공될 코멘트의 앞 또는 뒤에, 유저에 제공하도록 제어된다(S514).
<5. 변형예>
팟캐스트의 프로그램의 스크립트에 기술되는 악곡 ID 등의 콘텐츠 식별 정보로서, 각 레코드 회사가 보유하는 오리지날의 ID를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시스템의 다른 구성)
도 39는 본 기술을 적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일 실시 형태의 다른 구성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9에서는, 도 8과 마찬가지로, 콘텐츠 제공 시스템(1)이 크리에이터 단말 장치(10), 유저 단말 장치(20), 프로그램 배신 서버(30A), 악곡 배신 서버(30B), 및 음성 배신 서버(30C)를 포함하고 있지만, ID 관리 서버(31)가 더 마련되어 있다.
ID 관리 서버(31)는,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음악 배신 서비스마다 사용되는 악곡 ID를 연관지어 관리한다. ID 관리 서버(31)는, 유저 단말 장치(20) 등의 기기로부터의 요구에 응하여, 관리하고 있는 악곡 ID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ID 관리 서버(31)는, 도 13에 도시한 배신 서버(30)의 구성과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고 있다.
(프로그램 정보를 공유화하는 경우의 처리의 흐름)
도 40은 악곡 ID를 관리하여 프로그램 정보를 공유화하는 경우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시퀀스도이다.
도 40의 예에서는, 프로그램 작성 툴과 프로그램 렌더러가, 크리에이터와 유저의 각 단말 장치에서 각각 실행되고, 프로그램 배신 서비스와, 음악 배신 서비스가, 각 배신 서버에 의해 각각 제공되는 것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예 등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도 40의 예에서는, 음악 배신 서비스 A를 제공하는 A사의 악곡 배신 서버(30B-1)와, 음악 배신 서비스 B를 제공하는 B사의 악곡 배신 서버(30B-2)가 마련되고, 프로그램 배신 서버(30A)는 A사에 의해 제공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프로그램 ID의 관리를 행하는 ID 관리 서버(31)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유저 단말 장치(20)에서는, B사에 의해 제공되는 음악 배신 애플리케이션으로서의 프로그램 렌더러가 실행되고 있는 것으로 한다.
ID 관리 서버(31)에는, A사의 악곡 배신 서버(30B-1)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음악 배신 서비스 A에서 사용되는 악곡 ID와, B사의 악곡 배신 서버(30B-2)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음악 배신 서비스 B에서 사용되는 악곡 ID가 각각 수신된다(S171, S172). 이들 악곡 ID는 A사와 B사 각각이 보유하는 오리지날의 ID로 여겨진다.
ID 관리 서버(31)에서는, 악곡 마스터 ID를 사용하여, 음악 배신 서비스 A에서 사용되는 악곡 ID와, 음악 배신 서비스 B에서 사용되는 악곡 ID가 연관지어 관리된다.
스텝 S173 내지 S175에서는, 도 15의 스텝 S11 내지 S13과 마찬가지로, 크리에이터 단말 장치(10)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작성 툴에 의해, A사의 악곡 배신 서버(30B-1)로부터 송신되는 악곡 리스트 등에 기초하여, A사의 악곡 ID가 부여된 악곡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의 스크립트가 생성되어, A사의 프로그램 배신 서버(30A)에 등록되어 있다.
이때, 유저 단말 장치(20)에서는, B사의 프로그램 렌더러가 실행되고, 음악 배신 서비스 B와 계약하고 있는 유저의 조작에 의해, 프로그램 배신 서버(30A) 상에서 열람 가능하게 공개되어 있는 팟캐스트의 프로그램의 재생이 지시된 경우, 프로그램 배신 서버(30A)로부터 배신되는 당해 프로그램의 스크립트가 수신된다(S176, S177).
B사의 프로그램 렌더러는, 수신한 스크립트에 설정된 A사의 악곡 ID의 리스트를 ID 관리 서버(31)에 송신하여, 악곡 ID의 변환을 요구한다(S178).
ID 관리 서버(31)에서는, 프로그램 렌더러로부터의 요구에 응하여, A사의 악곡 ID의 리스트를, B사의 악곡 ID의 리스트로 변환하여, B사의 프로그램 렌더러에 송신한다(S179, S180).
즉, 프로그램의 스크립트에 설정된 악곡 ID가 A사의 오리지날의 ID인 한편, 유저는 B사의 음악 배신 서비스 B와 계약하고 있기 때문에, 이대로는, 음악 배신 서비스 B를 이용하여, 당해 악곡 ID에 의해 특정되는 악곡을 재생할 수는 없다.
그래서, ID 관리 서버(31)는, ID 변환에 의해, A사의 오리지날의 악곡 ID를, B사의 오리지날의 악곡 ID로 변환함으로써, B사의 음악 배신 서비스 B를 이용하여, 스크립트에 설정된 A사의 악곡 ID에 의해 특정되는 악곡을 재생 가능하게 하고 있다.
프로그램 렌더러는, 음악 배신 서비스 B를 제공하는 악곡 배신 서버(30B-2)에 대하여, 변환 후의 악곡 ID에 의해 특정되는 악곡의 배신을 요구한다(S181).
B사의 악곡 배신 서버(30B-2)에서는, 프로그램 렌더러로부터의 요구에 응하여, 유저에 의한 음악 배신 서비스 B와의 계약에 의해 획득하고 있는 권리가 확인되고(S182), 악곡 ID에 의해 특정되는 악곡의 재생이 가능하다고 판정한 경우, B사의 프로그램 렌더러에 대하여, 당해 악곡의 스트리밍 배신이 행해진다(S183).
이에 의해, B사의 프로그램 렌더러에서는, B사의 악곡 배신 서버(30B-2)로부터 배신되는 악곡의 스트리밍 데이터가 수신되어, 렌더링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악곡 ID에 의해 특정되는 악곡이 재생된다.
또한, 여기서는, 설명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생략했지만, 팟캐스트의 프로그램의 스크립트에서는, 악곡 ID가, 전설과 후설의 텍스트와 함께 프로그램화되어 있기 때문에, 그 악곡 ID에 의해 특정되는 악곡을 소개하는 전설의 부분의 음성이 재생된 후에, 당해 악곡의 재생이 행해져, 당해 악곡의 재생 후에 후설의 부분의 음성이 재생되게 된다.
또한, 팟캐스트의 프로그램의 스크립트에는, 복수의 악곡의 악곡 ID가, 그 악곡의 전설과 후설의 텍스트와 함께 프로그램화되어 있기 때문에, 스텝 S181 내지 S183의 처리가 완료된 후에, 스텝 S181로 되돌아가(S184), 스텝 S181 내지 S184의 처리가 반복된다.
이에 의해, B사의 프로그램 렌더러에서는, 프로그램의 스크립트에 설정된 A사의 악곡 ID마다, 전설, 악곡(B사의 음악 배신 서비스 B에 의해 배신되는 악곡), 후설의 순으로 재생이 반복하여 행해진다.
(처리의 전체 상)
도 41과 도 42는 변형예에서의 처리의 전체 상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1과 도 42에 도시한 처리는, 본 기술을 적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의 크리에이터 단말 장치(10)(의 제어부(100))와, 유저 단말 장치(20)(의 제어부(200))와, 배신 서버(30)(의 제어부(300))와, ID 관리 서버(31)(의 제어부)가 협동하여 동작함으로써 실현된다.
콘텐츠 제공 시스템(1)에서는, 도 4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크리에이터 단말 장치(10)를 사용하는 크리에이터로부터의 입력이 있는 경우(S611의 「"예"」), 당해 크리에이터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제1 서비스가 인식 가능한 제1 콘텐츠 식별 정보와, 그 콘텐츠의 전설과 후설에 대응하는 코멘트 정보로 이루어지는 스크립트가 생성되고(S612), 당해 스크립트가, 유저에 의해 열람 가능하게 소정의 기억 매체에 저장된다(S613).
여기서, 콘텐츠는, 음악 배신 서비스에 의해 배신되는 악곡 등을 포함하고, 그 콘텐츠의 식별 정보는 악곡을 식별 가능한 악곡 ID 등을 포함한다. 또한, 전설과 후설은, 콘텐츠에 관한 코멘트의 일례이고, 전설과 후설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설정되어 있으면 된다.
코멘트 정보는 코멘트를 나타내는 텍스트, 또는 육성에 대한 링크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서비스는, 예를 들어, A사가 제공하는 음악 배신 서비스 A이다. 소정의 기억 매체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배신 서버(30A)의 데이터베이스(353)로 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1)에서는, 도 4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서비스와 계약하고 있는 유저에 의해, 소정의 기억 매체에 저장된 스크립트에 대한 재생 요구가 이루어진 경우(S631의 「"예"」), 제1 콘텐츠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제2 서비스가 인식 가능한 제2 콘텐츠 식별 정보가 특정되고(S632), 제2 서비스가 관리하는 콘텐츠로부터, 제2 콘텐츠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가 특정되고(S633), 유저가 제2 서비스와의 계약에 의해 이미 획득하고 있는 권리를 이용하여, 당해 콘텐츠의 판독이 실행되어, 유저에 제공하도록 제어된다(S634).
여기서, 제2 서비스는, 예를 들어, B사가 제공하는 음악 배신 서비스 B이고, 유저가 이미 획득하고 있는 권리는, 유료의 프리미엄 유저나, 무료의 프리 유저의 권리 등을 포함한다.
(기타의 변형예)
또한, 유저 단말 장치(20)에 있어서, 프로그램 렌더러에 의해 악곡을 재생할 때는, 캐릭터나 화상을 부가함으로써, 비디오 자키(VJ: Video Jockey)화도 가능하다.
<6. 컴퓨터의 구성>
상술한 흐름도의 각 스텝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할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하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각 장치의 컴퓨터에 인스톨된다.
컴퓨터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패키지 미디어 등으로서의 리무버블 기록 매체에 기록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 인터넷, 디지털 위성 방송과 같은, 유선 또는 무선의 전송 매체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컴퓨터에서는, 프로그램은, 리무버블 기록 매체를 드라이브에 장착함으로써, 입출력 I/F를 통하여, 기억부에 인스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의 전송 매체를 통하여, 통신부에 의해 수신하여, 기억부에 인스톨할 수 있다. 그 밖에, 프로그램은, ROM이나 기억부에, 미리 인스톨해 둘 수 있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서, 컴퓨터가 프로그램에 따라서 행하는 처리는, 반드시 흐름도로서 기재된 순서에 따라 시계열로 행해질 필요는 없다. 즉, 컴퓨터가 프로그램에 따라서 행하는 처리는, 병렬적 혹은 개별로 실행되는 처리(예를 들어, 병렬 처리 혹은 오브젝트에 의한 처리)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그램은, 하나의 컴퓨터(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것이라도 되고, 복수의 컴퓨터에 의해 분산 처리되는 것이라도 된다. 또한, 프로그램은, 먼 곳의 컴퓨터에 전송되어 실행되어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이란, 복수의 구성 요소(장치, 모듈(부품) 등)의 집합을 의미하고, 모든 구성 요소가 동일 하우징 내에 있는지 여부는 무관하다. 따라서, 별개의 하우징에 수납되어,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장치 및 1개의 하우징 내에 복수의 모듈이 수납되어 있는 1개의 장치는, 모두, 시스템이다.
또한, 본 기술의 실시 형태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기술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기술은, 1개의 기능을, 네트워크를 통하여 복수의 장치에 의해 분담, 공동으로 처리하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구성을 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흐름도에서 설명한 각 스텝은, 1개의 장치에 의해 실행하는 것 외에, 복수의 장치에 의해 분담하여 실행할 수 있다. 또한, 1개의 스텝에 복수의 처리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그 1개의 스텝에 포함되는 복수의 처리는, 1개의 장치에 의해 실행하는 것 외에, 복수의 장치에 의해 분담하여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는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효과가 있어도 된다.
또한, 본 기술은 이하와 같은 구성을 취할 수 있다.
(1)
크리에이터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의 식별 정보와 코멘트 정보로 이루어지는 스크립트가, 유저에 의해 열람 가능하게 소정의 기억 매체에 저장되어 있고,
유저에 의해 선택된 스크립트에 따라, 그 스크립트에 포함되는 콘텐츠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콘텐츠의 판독을, 당해 유저가 특정 서비스와의 계약에 의해 이미 획득하고 있는 권리를 이용하여 실행하여 유저에 제공하도록 제어함과 함께, 당해 콘텐츠의 제공 전이나 후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서, 그 스크립트에 포함되는 코멘트 정보에 따라 코멘트를 판독하여 유저에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2)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저에 의해 선택된 스크립트에 따라, 그 스크립트에 포함되는 상기 코멘트 정보로서의 텍스트를 음성 합성하여 유저에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콘텐츠 제공 시스템.
(3)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저에 의해 선택된 스크립트에 따라, 그 스크립트에 포함되는 상기 코멘트 정보로서의 음성 데이터에 대한 링크 정보에 액세스하여 음성 데이터를 판독하여 유저에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콘텐츠 제공 시스템.
(4)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저에 의해 플레이리스트 재생의 요구를 접수했을 때는, 상기 유저에 의해 선택된 스크립트에 따라, 그 스크립트에 포함되는 상기 코멘트 정보에 따른 코멘트의 판독은 행하지 않고, 그 스크립트에 포함되는 콘텐츠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콘텐츠를 판독하여 유저에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콘텐츠 제공 시스템.
(5)
상기 제어부는,
크리에이터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의 식별 정보와, 그 콘텐츠를 소개하는 전설에 대응하는 제1 코멘트 정보와, 그 콘텐츠의 재생 후의 후설에 대응하는 제2 코멘트 정보로 이루어지는 스크립트가, 유저에 의해 열람 가능하게 소정의 기억 매체에 저장되어 있고,
유저에 의해 선택된 스크립트에 따라, 그 스크립트에 포함되는 상기 제1 코멘트 정보에 따라 전설을 판독하여 유저에 제공하고,
상기 제1 코멘트 정보에 이어지는 콘텐츠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콘텐츠를 판독하여 유저에 제공하고,
상기 콘텐츠 식별 정보에 이어지는 상기 제2 코멘트 정보에 따라 후설을 판독하여 유저에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콘텐츠 제공 시스템.
(6)
상기 제어부는,
크리에이터에 의해 생성된, 특정 서비스가 인식 가능한 콘텐츠 식별 정보와 코멘트 정보로 이루어지는 스크립트가, 유저에 의해 열람 가능하게 소정의 기억 매체에 저장되어 있고,
유저에 의해 선택된 스크립트에 따라, 그 스크립트에 포함되는 콘텐츠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콘텐츠의 판독을, 당해 유저가 상기 특정 서비스와의 계약에 의해 이미 획득하고 있는 권리를 이용하여 실행하여 유저에 제공하도록 제어함과 함께, 당해 콘텐츠의 제공 전이나 후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서, 그 스크립트에 포함되는 상기 코멘트 정보에 따라 코멘트를 판독하여 유저에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콘텐츠 제공 시스템.
(7)
상기 제어부는,
크리에이터에 의해 생성된, 제1 서비스가 인식 가능한 콘텐츠 식별 정보, 콘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메타데이터, 및 코멘트 정보로 이루어지는 스크립트가, 유저에 의해 열람 가능하게 소정의 기억 매체에 저장되어 있고,
당해 스크립트가, 상기 제1 서비스와는 상이한 제2 서비스와 계약을 맺고 있는 유저에 의해 선택되었을 때는, 상기 메타데이터에 의해 상기 제2 서비스가 관리하는 콘텐츠에 의해, 대응하는 콘텐츠를 특정하고, 당해 유저가 상기 제2 서비스와의 계약에 의해 이미 획득하고 있는 권리를 이용하여 콘텐츠의 판독을 실행하여 유저에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6)에 기재된 콘텐츠 제공 시스템.
(8)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크립트가, 상기 제2 서비스와 계약을 맺고 있는 유저에 의해 선택되었을 때, 상기 메타데이터에 의해 상기 제2 서비스가 관리하는 콘텐츠로부터, 대응하는 콘텐츠를 특정할 수 없었던 때는, 당해 콘텐츠, 및 대응하는 코멘트의 판독도 스킵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7)에 기재된 콘텐츠 제공 시스템.
(9)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크립트가, 상기 제2 서비스와 계약을 맺고 있는 유저에 의해 선택되었을 때, 상기 메타데이터에 의해 상기 제2 서비스가 관리하는 콘텐츠로부터, 대응하는 콘텐츠를 특정할 수 없었던 때는, 상기 제1 서비스가 관리하는 당해 콘텐츠에 대응하는 샘플 데이터의 판독을 실행하여 유저에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7)에 기재된 콘텐츠 제공 시스템.
(10)
상기 제어부는,
크리에이터에 의해 생성된 상기 스크립트가 상기 소정의 기억 매체에 저장되기 전에, 당해 스크립트에 포함되는 상기 코멘트 정보가 나타내는 코멘트 내용을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에 관한 코멘트로서 어울리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에, 그 취지를 상기 유저에 통지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1) 내지 (9)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콘텐츠 제공 시스템.
(11)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에 관한 코멘트로서 어울리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당해 코멘트가 어울리지 않는 개소를 상기 유저에 통지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10)에 기재된 콘텐츠 제공 시스템.
(12)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에 관한 코멘트로서 어울리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당해 코멘트에 대응하는 상기 코멘트 정보를 포함한 스크립트가, 상기 소정의 기억 매체에 저장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상기 (10) 또는 (11)에 기재된 콘텐츠 제공 시스템.
(13)
상기 제어부는,
유저에 의해 선택된 스크립트에 포함되는 상기 코멘트 정보가 나타내는 코멘트의 내용을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에 따라, 광고 배신 서버로부터 취득한 광고 데이터를, 상기 콘텐츠의 유저에의 제공 전에, 제공될 코멘트의 앞, 또는 상기 콘텐츠의 유저에의 제공 후에, 제공될 코멘트의 뒤에, 유저에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1) 내지 (12)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콘텐츠 제공 시스템.
(14)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저에 의해 선택된 스크립트에 따라, 그 스크립트에 포함되는 상기 코멘트 정보로서의 텍스트를 특정 음소로 음성 합성하여 유저에 제공하고,
상기 광고 데이터로서의 텍스트도, 상기 특정 음소로 음성 합성하여 유저에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13)에 기재된 콘텐츠 제공 시스템.
(15)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저에 의해 선택된 스크립트에 포함되는 상기 코멘트 정보로서의 텍스트의 내용을 분석하는
상기 (13) 또는 (14)에 기재된 콘텐츠 제공 시스템.
(16)
특정 콘텐츠를 식별하는 마스터 식별 정보와, 당해 특정 콘텐츠를 각 서비스가 각각 인식 가능한 콘텐츠 식별 정보가,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대응지어 관리되고 있고,
상기 제어부는,
크리에이터에 의해 생성된, 제1 서비스가 인식 가능한 제1 콘텐츠 식별 정보 및 코멘트 정보로 이루어지는 스크립트가, 유저에 의해 열람 가능하게 소정의 기억 매체에 저장되어 있고,
당해 스크립트가, 상기 제1 서비스와는 상이한 제2 서비스와 계약을 맺고 있는 유저에 의해 선택되었을 때는, 상기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따라, 상기 제1 콘텐츠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제2 서비스가 인식 가능한 제2 콘텐츠 식별 정보를 특정하고,
상기 제2 서비스가 관리하는 콘텐츠에 의해, 당해 제2 콘텐츠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특정하고,
당해 유저가 상기 제2 서비스와의 계약에 의해 이미 획득하고 있는 권리를 이용하여 콘텐츠의 판독을 실행하여 유저에 제공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콘텐츠 제공 시스템.
(17)
상기 콘텐츠는, 악곡을 포함하고,
상기 코멘트는, 상기 악곡에 설정되는 전설과 후설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포함하고,
상기 특정 서비스는, 상기 유저가 계약하고 있는 음악 배신 서비스를 포함하고 있는
상기 (1) 내지 (16)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콘텐츠 제공 시스템.
(18)
상기 크리에이터에 의해 사용되는 제1 단말 장치와,
상기 유저에 의해 사용되는 제2 단말 장치와,
상기 스크립트를 저장한 상기 소정의 기억 매체를 갖는 제1 서버와,
상기 콘텐츠를 배신하는 제2 서버
를 포함하는 상기 (1) 내지 (17)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콘텐츠 제공 시스템.
(19)
크리에이터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의 식별 정보와 코멘트 정보로 이루어지는 스크립트가, 유저에 의해 열람 가능하게 소정의 기억 매체에 저장되어 있고,
유저에 의해 선택된 스크립트에 따라, 그 스크립트에 포함되는 콘텐츠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콘텐츠의 판독을, 당해 유저가 특정 서비스와의 계약에 의해 이미 획득하고 있는 권리를 이용하여 실행하여 유저에 제공하도록 제어함과 함께, 당해 콘텐츠의 제공 전이나 후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서, 그 스크립트에 포함되는 코멘트 정보에 따라 코멘트를 판독하여 유저에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20)
컴퓨터를,
크리에이터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의 식별 정보와 코멘트 정보로 이루어지는 스크립트가, 유저에 의해 열람 가능하게 소정의 기억 매체에 저장되어 있고,
유저에 의해 선택된 스크립트에 따라, 그 스크립트에 포함되는 콘텐츠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콘텐츠의 판독을, 당해 유저가 특정 서비스와의 계약에 의해 이미 획득하고 있는 권리를 이용하여 실행하여 유저에 제공하도록 제어함과 함께, 당해 콘텐츠의 제공 전이나 후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서, 그 스크립트에 포함되는 코멘트 정보에 따라 코멘트를 판독하여 유저에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억 매체.
1: 콘텐츠 제공 시스템
10: 크리에이터 단말 장치
20: 유저 단말 장치
30: 배신 서버
30A: 프로그램 배신 서버
30B: 악곡 배신 서버
30C: 음성 배신 서버
30D: 광고 배신 서버
31: ID 관리 서버
50: 네트워크
100: 제어부
101: CPU
102: ROM
103: RAM
104: 버스
105: 입력부
106: 출력부
107: 기억부
108: 통신부
109: 근거리 무선 통신부
110: 입출력 I/F
111: 조작부
112: 카메라부
113: 센서부
121: 표시부
122: 음출력부
151: 입력 접수부
152: 악곡 정보 취득부
153: 프로그램 생성부
154: 음성 정보 취득부
155: 음성 생성부
156: 등록부
200: 제어부
201: CPU
202: ROM
203: RAM
204: 버스
205: 입력부
206: 출력부
207: 기억부
208: 통신부
209: 근거리 무선 통신부
210: 입출력 I/F
211: 조작부
212: 카메라부
213: 센서부
221: 표시부
222: 음출력부
251: 프로그램 취득부
252: 악곡 취득부
253: 음성 취득부
254: 렌더러부
255: 제시 제어부
300: 제어부
301: CPU
302: ROM
303: RAM
304: 버스
305: 입력부
306: 출력부
307: 기억부
308: 통신부
309: 드라이브
310: 입출력 I/F
351: 입력 접수부
352: 배신 처리부
353: 데이터베이스
361: 문장 체크부

Claims (20)

  1. 크리에이터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의 식별 정보와 코멘트 정보로 이루어지는 스크립트가, 유저에 의해 열람 가능하게 소정의 기억 매체에 저장되어 있고,
    유저에 의해 선택된 스크립트에 따라, 그 스크립트에 포함되는 콘텐츠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콘텐츠의 판독을, 당해 유저가 특정 서비스와의 계약에 의해 이미 획득하고 있는 권리를 이용하여 실행하여 유저에 제공하도록 제어함과 함께, 당해 콘텐츠의 제공 전이나 후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서, 그 스크립트에 포함되는 코멘트 정보에 따라 코멘트를 판독하여 유저에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저에 의해 선택된 스크립트에 따라, 그 스크립트에 포함되는 상기 코멘트 정보로서의 텍스트를 음성 합성하여 유저에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저에 의해 선택된 스크립트에 따라, 그 스크립트에 포함되는 상기 코멘트 정보로서의 음성 데이터에 대한 링크 정보에 액세스하여 음성 데이터를 판독하여 유저에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저에 의해 플레이리스트 재생의 요구를 접수했을 때는, 상기 유저에 의해 선택된 스크립트에 따라, 그 스크립트에 포함되는 상기 코멘트 정보에 따른 코멘트의 판독은 행하지 않고, 그 스크립트에 포함되는 콘텐츠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콘텐츠를 판독하여 유저에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크리에이터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의 식별 정보와, 그 콘텐츠를 소개하는 전설에 대응하는 제1 코멘트 정보와, 그 콘텐츠의 재생 후의 후설에 대응하는 제2 코멘트 정보로 이루어지는 스크립트가, 유저에 의해 열람 가능하게 소정의 기억 매체에 저장되어 있고,
    유저에 의해 선택된 스크립트에 따라, 그 스크립트에 포함되는 상기 제1 코멘트 정보에 따라 전설을 판독하여 유저에 제공하고,
    상기 제1 코멘트 정보에 이어지는 콘텐츠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콘텐츠를 판독하여 유저에 제공하고,
    상기 콘텐츠 식별 정보에 이어지는 상기 제2 코멘트 정보에 따라 후설을 판독하여 유저에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크리에이터에 의해 생성된, 특정 서비스가 인식 가능한 콘텐츠 식별 정보와 코멘트 정보로 이루어지는 스크립트가, 유저에 의해 열람 가능하게 소정의 기억 매체에 저장되어 있고,
    유저에 의해 선택된 스크립트에 따라, 그 스크립트에 포함되는 콘텐츠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콘텐츠의 판독을, 당해 유저가 상기 특정 서비스와의 계약에 의해 이미 획득하고 있는 권리를 이용하여 실행하여 유저에 제공하도록 제어함과 함께, 당해 콘텐츠의 제공 전이나 후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서, 그 스크립트에 포함되는 상기 코멘트 정보에 따라 코멘트를 판독하여 유저에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크리에이터에 의해 생성된, 제1 서비스가 인식 가능한 콘텐츠 식별 정보, 콘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메타데이터, 및 코멘트 정보로 이루어지는 스크립트가, 유저에 의해 열람 가능하게 소정의 기억 매체에 저장되어 있고,
    당해 스크립트가, 상기 제1 서비스와는 상이한 제2 서비스와 계약을 맺고 있는 유저에 의해 선택되었을 때는, 상기 메타데이터에 의해 상기 제2 서비스가 관리하는 콘텐츠에 의해, 대응하는 콘텐츠를 특정하고, 당해 유저가 상기 제2 서비스와의 계약에 의해 이미 획득하고 있는 권리를 이용하여 콘텐츠의 판독을 실행하여 유저에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크립트가, 상기 제2 서비스와 계약을 맺고 있는 유저에 의해 선택되었을 때, 상기 메타데이터에 의해 상기 제2 서비스가 관리하는 콘텐츠로부터, 대응하는 콘텐츠를 특정할 수 없었던 때는, 당해 콘텐츠, 및 대응하는 코멘트의 판독도 스킵하도록 제어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크립트가, 상기 제2 서비스와 계약을 맺고 있는 유저에 의해 선택되었을 때, 상기 메타데이터에 의해 상기 제2 서비스가 관리하는 콘텐츠로부터, 대응하는 콘텐츠를 특정할 수 없었던 때는, 상기 제1 서비스가 관리하는 당해 콘텐츠에 대응하는 샘플 데이터의 판독을 실행하여 유저에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크리에이터에 의해 생성된 상기 스크립트가 상기 소정의 기억 매체에 저장되기 전에, 당해 스크립트에 포함되는 상기 코멘트 정보가 나타내는 코멘트 내용을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에 관한 코멘트로서 어울리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에, 그 취지를 상기 유저에 통지하도록 제어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에 관한 코멘트로서 어울리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당해 코멘트가 어울리지 않는 개소를 상기 유저에 통지하도록 제어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에 관한 코멘트로서 어울리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당해 코멘트에 대응하는 상기 코멘트 정보를 포함한 스크립트가, 상기 소정의 기억 매체에 저장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유저에 의해 선택된 스크립트에 포함되는 상기 코멘트 정보가 나타내는 코멘트의 내용을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에 따라, 광고 배신 서버로부터 취득한 광고 데이터를, 상기 콘텐츠의 유저에의 제공 전에, 제공될 코멘트의 앞, 또는 상기 콘텐츠의 유저에의 제공 후에, 제공될 코멘트의 뒤에, 유저에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저에 의해 선택된 스크립트에 따라, 그 스크립트에 포함되는 상기 코멘트 정보로서의 텍스트를 특정 음소로 음성 합성하여 유저에 제공하고,
    상기 광고 데이터로서의 텍스트도, 상기 특정 음소로 음성 합성하여 유저에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저에 의해 선택된 스크립트에 포함되는 상기 코멘트 정보로서의 텍스트의 내용을 분석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특정 콘텐츠를 식별하는 마스터 식별 정보와, 당해 특정 콘텐츠를 각 서비스가 각각 인식 가능한 콘텐츠 식별 정보가,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대응지어 관리되고 있고,
    상기 제어부는,
    크리에이터에 의해 생성된, 제1 서비스가 인식 가능한 제1 콘텐츠 식별 정보 및 코멘트 정보로 이루어지는 스크립트가, 유저에 의해 열람 가능하게 소정의 기억 매체에 저장되어 있고,
    당해 스크립트가, 상기 제1 서비스와는 상이한 제2 서비스와 계약을 맺고 있는 유저에 의해 선택되었을 때는, 상기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따라, 상기 제1 콘텐츠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제2 서비스가 인식 가능한 제2 콘텐츠 식별 정보를 특정하고,
    상기 제2 서비스가 관리하는 콘텐츠에 의해, 당해 제2 콘텐츠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특정하고,
    당해 유저가 상기 제2 서비스와의 계약에 의해 이미 획득하고 있는 권리를 이용하여 콘텐츠의 판독을 실행하여 유저에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는, 악곡을 포함하고,
    상기 코멘트는, 상기 악곡에 설정되는 전설과 후설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포함하고,
    상기 특정 서비스는, 상기 유저가 계약하고 있는 음악 배신 서비스를 포함하고 있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리에이터에 의해 사용되는 제1 단말 장치와,
    상기 유저에 의해 사용되는 제2 단말 장치와,
    상기 스크립트를 저장한 상기 소정의 기억 매체를 갖는 제1 서버와,
    상기 콘텐츠를 배신하는 제2 서버
    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19. 크리에이터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의 식별 정보와 코멘트 정보로 이루어지는 스크립트가, 유저에 의해 열람 가능하게 소정의 기억 매체에 저장되어 있고,
    유저에 의해 선택된 스크립트에 따라, 그 스크립트에 포함되는 콘텐츠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콘텐츠의 판독을, 당해 유저가 특정 서비스와의 계약에 의해 이미 획득하고 있는 권리를 이용하여 실행하여 유저에 제공하도록 제어함과 함께, 당해 콘텐츠의 제공 전이나 후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서, 그 스크립트에 포함되는 코멘트 정보에 따라 코멘트를 판독하여 유저에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20. 컴퓨터를,
    크리에이터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의 식별 정보와 코멘트 정보로 이루어지는 스크립트가, 유저에 의해 열람 가능하게 소정의 기억 매체에 저장되어 있고,
    유저에 의해 선택된 스크립트에 따라, 그 스크립트에 포함되는 콘텐츠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콘텐츠의 판독을, 당해 유저가 특정 서비스와의 계약에 의해 이미 획득하고 있는 권리를 이용하여 실행하여 유저에 제공하도록 제어함과 함께, 당해 콘텐츠의 제공 전이나 후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서, 그 스크립트에 포함되는 코멘트 정보에 따라 코멘트를 판독하여 유저에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억 매체.
KR1020227016697A 2019-12-02 2020-11-18 콘텐츠 제공 시스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기억 매체 KR202201107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218214 2019-12-02
JPJP-P-2019-218214 2019-12-02
PCT/JP2020/042907 WO2021111872A1 (ja) 2019-12-02 2020-11-18 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コンテンツ提供方法、及び記憶媒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0735A true KR20220110735A (ko) 2022-08-09

Family

ID=76222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6697A KR20220110735A (ko) 2019-12-02 2020-11-18 콘텐츠 제공 시스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기억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391440A1 (ko)
EP (1) EP4071751A4 (ko)
JP (1) JPWO2021111872A1 (ko)
KR (1) KR20220110735A (ko)
CN (1) CN114556400A (ko)
WO (1) WO20211118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62357A (zh) 2019-12-06 2022-07-15 索尼集团公司 信息处理系统、信息处理方法以及存储介质
WO2021111906A1 (ja) * 2019-12-06 2021-06-10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コンテンツ提供方法、及び記憶媒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2206A (ja) 2001-05-18 2002-11-29 Fujitsu Ltd 情報提供プログラム、情報提供方法、および記録媒体
WO2004073309A1 (ja) 2003-02-14 2004-08-26 Sharp Kabushiki Kaisha ストリーム出力装置及び情報提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8895A (ja) * 2003-05-23 2004-12-09 Clarion Co Ltd 車載再生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070260460A1 (en) * 2006-05-05 2007-11-08 Hyatt Edward C Method and system for announcing audio and video content to a user of a mobile radio terminal
JP4799515B2 (ja) * 2007-03-30 2011-10-26 株式会社ドワンゴ コメント配信システム、コメント配信方法
US20080256109A1 (en) * 2007-04-13 2008-10-16 Google Inc. Dynamic Podcast Content Delivery
GB0709174D0 (en) * 2007-05-12 2007-06-20 Univ Edinburgh Automated disc jockey
US8712776B2 (en) * 2008-09-29 2014-04-29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ve text to speech synthesis
US8606792B1 (en) * 2010-02-08 2013-12-10 Google Inc. Scoring authors of posts
US9159313B2 (en) * 2012-04-03 2015-10-13 Sony Corporation Playback control apparatus, playback control method, and medium for playing a program including segments generated using speech synthesis and segments not generated using speech synthesis
JP5851467B2 (ja) * 2013-09-20 2016-02-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クライアント端末
US11321515B2 (en) * 2019-11-10 2022-05-03 ExactNote, Inc. Information restructuring, editing, and storage systems for web browse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2206A (ja) 2001-05-18 2002-11-29 Fujitsu Ltd 情報提供プログラム、情報提供方法、および記録媒体
WO2004073309A1 (ja) 2003-02-14 2004-08-26 Sharp Kabushiki Kaisha ストリーム出力装置及び情報提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1111872A1 (ko) 2021-06-10
US20220391440A1 (en) 2022-12-08
EP4071751A4 (en) 2023-01-25
CN114556400A (zh) 2022-05-27
EP4071751A1 (en) 2022-10-12
WO2021111872A1 (ja) 202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68787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synchronizing and sharing media items
US9380410B2 (en) Audio commenting and publishing system
US20070294374A1 (en) Music reproducing method and music reproducing apparatus
JP2019091014A (ja) マルチメディアを再生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108292322A (zh) 使用从查看环境捕捉的信号的媒体数据文件的组织、检索、注释和呈现
WO2021111872A1 (ja) 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コンテンツ提供方法、及び記憶媒体
US20230186358A1 (en) Verified-Party Content
US20170177175A1 (en) System and method for editing and generating multimedia contents according to digital playbooks
JP4932435B2 (ja) コンテンツ提供サーバ及びコンテンツ提供プログラム
KR20130020433A (ko) 멀티미디어 패키지 제작 장치 및 방법, 멀티미디어 패키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1196843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KR20090000745A (ko) 인터넷을 이용한 사용자 녹음방식의 소리책 제작 시스템 및방법
KR101520788B1 (ko) 동영상 동기화 재생 방법
KR20000012324A (ko) 인터넷에서 서적 내용의 멀티미디어형 정보를 제공하는방법 및 그 시스템
US20200302933A1 (en) Generation of audio stories from text-based media
WO2021157380A1 (ja) 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コンテンツ提供方法、及び記憶媒体
JP6234080B2 (ja) 複数のデジタルコンテンツを提供可能な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た方法
WO2021111906A1 (ja) 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コンテンツ提供方法、及び記憶媒体
KR20180014966A (ko) 미발표 신곡 공유 및 가수 발굴 오디션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168687B1 (ko) 독자 중심 도서 콘텐츠 제작 및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독자 중심 도서 콘텐츠 제작 및 제공 방법
KR20170088255A (ko) 온라인 기반의 연기자 대본 리딩을 위한 전자 대본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04046233A (ja) 通信カラオケ再生端末
WO2015001609A1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配信装置、及びコンテンツ操作プログラム
JP2010211772A (ja) オリジナルコンテンツの生成指示のための方法、サーバ装置、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4078361A (ja) 情報端末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