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0402A - 자외선경화형 저점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대면적 연성 몰드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자외선경화형 저점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대면적 연성 몰드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0402A
KR20220110402A KR1020210013516A KR20210013516A KR20220110402A KR 20220110402 A KR20220110402 A KR 20220110402A KR 1020210013516 A KR1020210013516 A KR 1020210013516A KR 20210013516 A KR20210013516 A KR 20210013516A KR 20220110402 A KR20220110402 A KR 20220110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mold
resin composition
weight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3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신
박태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뉴타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뉴타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뉴타텍
Priority to KR1020210013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0402A/ko
Publication of KR20220110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04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6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poly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defined in group C08F22/00
    • C08F267/0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poly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defined in group C08F22/00 on to 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C08F2/50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with sensitis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20/28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no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20/30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52Amides or imides
    • C08F220/54Amides, e.g. N,N-dimethylacrylamide or N-isopropylacrylamide
    • C08F220/56Acrylamide; Methacrylam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10Esters
    • C08F222/1006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 C08F222/102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of dialcohols, e.g.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or 1,4-butanediol di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10Esters
    • C08F222/1006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 C08F222/103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of trialcohols, e.g. trimethylolpropane tri(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6/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 C08F226/06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 C08F226/10N-Vinyl-pyrrolid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3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 C08F230/04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containing a metal
    • C08F230/08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containing a metal containing silic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02Lithographic processes using patterning methods other than those involving the exposure to radiation, e.g. by stam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15Production of aperture devices, microporous systems or stamp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posure Of Semiconductors, Excluding Electron Or Ion Beam Exposure (AREA)

Abstract

대상 기재에 대면적의 미세 패턴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자외선경화형 저점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대면적 연성 몰드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대면적 연성 몰드 제조 방법은 대상 기재의 표면에 자외선경화형 저점도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대상 기재에 도포된 수지 조성물의 전체 영역 중 나노임프린트를 적용하여 미세패턴을 형성하기 위하여 분할한 단위 영역에 전사용 제1 마스크 몰드를 접합하고 1차 경화하는 단계, 1차 경화 공정을 완료 후 제1 마스크몰드를 분리하는 단계, 1차 경화 공정이 완료된 단위 영역에 전사용 제2 마스크몰드를 접합하고 2차 경화하는 단계, 및 1차 및 2차 경화된 단위 영역에 인접한 다른 단위 영역에 대해 제1 및 제2 마스크몰드를 이용하여 경화하는 단계를 반복하여 전체 영역에 미세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외선경화형 저점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대면적 연성 몰드 제조 방법{Ultraviolet Curable Low-Viscosity Resin Composi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argr-Area Soft Mold Using The Composition}
본 발명은 대상 기재에 대면적의 미세 패턴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자외선경화형 저점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대면적 연성 몰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전자, 광전, 자기, 표시 소자, 미세 전자기계 소자, 광학용 렌즈시크(예를 들면 프리즘 시트, 렌티큘라 렌즈 시트) 등을 제조할 때 미세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을 수행하게 되는 데, 이와 같이 기판 상에 미세 패턴을 형성하는 대표적인 기법으로는 포토리쏘그라피(photolithography) 방법이 있다.
포토리쏘그라피 방법은 회로 선폭(또는 패턴 선폭이나 크기)이 노광 공정에 사용되는 빛의 파장에 의해 결정되는데, 현재의 기술수준을 고려할 때 포토리쏘그라피 공정을 이용해서 기판 상에 초 미세패턴, 예를 들면 선폭이 100nm 이하인 초 미세 패턴을 형성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포토리쏘그라피 방법은 여러 단계의 공정(예를 들면, 기판 세정, 기판 표면처리, 감광성 고분자 코팅, 저온열처리, 노광, 현상, 세정, 고온 열처리 등)을 거쳐야만 하기 때문에 공정이 복잡하고 많은 공정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고가의 공정 장비를 필요로 한다는 문제가 있으며, 이러한 문제로 인해 제조 원가의 상승 및 생산성 저하가 초래되는 근본적인 단점을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포토리쏘그라피 방법이 갖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편 중 하나로서 나노 임프린트 리쏘그라피(nano-imprint lithography) 방법이 있다. 이 방법에서는 먼저 원하는 패턴이 형성된 규소(Si) 등의 단단한(hard) 재질의 몰드를 준비하여 열가소성 고분자 박막이 코팅된 기판과 대향시킨 후 프레스 판 사이에 넣어 고온, 고압으로 처리한 후 몰드와 기판을 분리하는 방식으로 기판의 고분자 박막에 몰드의 패턴을 전사시킨다. 나노 임프린트 리쏘그라피 방법의 장점은 Si 등의 단단한 몰드를 사용하기 때문에 초 미세 패턴을 쉽게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문헌에 보고된 바에 따르면 구현한 최소 패턴의 크기가 대략 7nm라고 제시되고 있다 (참고문헌: SY Chou, PR Krauss, W Zhang, L Guo, and L Zhang, J VacSci Technol B 15, 2897(1997)).
이러한 나노 임프린트 기술은 기존의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기술에 비해 초미세 패턴을 비교적 간단한 공정을 통해 생성해 낼 수 있어 고생산성, 저비용의 이점을 두루 갖추고 있는 바 차세대 반도체 및 평판 디스플레이용 회로 형성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다만, 나노 크기의 패턴을 갖는 몰드를 제작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e-빔 리소그래피 공정은 주로 6인치(inch) 또는 8인치 이하급으로 이루어져 있어, 이를 이용하여 미세패턴을 대면적화 하고자 할 때에는 비용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거나 장비상의 한계 등으로 일정 크기 이상의 대면적 미세패턴은 제작 자체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전사하고자 하는 패턴이 3차원의 복잡한 가공이 필요한 경우에도 이를 대면적으로 한 번에 가공하기 위해서는 시간이 오래 걸리고, 비용도 늘어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문헌1] 한국등록특허 제10-0568581호(2006.03.31. 등록) [문헌2] 한국등록특허 제10-0731737호(2007.06.18. 등록)
없음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나노임프린트를 적용하여 미세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전체 영역을 복수개의 단위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단위 영역에 대해 한 쌍의 마스크 몰드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전사시켜 미세 패턴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전체 영역에 대해 대면적의 미세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자외선경화형 저점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대면적 연성 몰드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경화형 저점도 수지 조성물은, (1) 아크릴계 모노머 100 중량%, (2) 규소 함유 아크릴레이트 10 내지 30 중량%, (3) 아크릴계 올리고머 5 내지 20 중량%, 및 (4) 광중합 개시제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모노머 70 중량%는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N-비닐-2-피롤리돈, N,N-디메틸아크릴아마이드 및 벤질아크릴레이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성분 (1) 내지 (4)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점도는 10 내지 100 cPs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대면적 연성 몰드 제조 방법은, (a) 대상 기재의 표면에 자외선경화형 저점도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b) 대상 기재에 도포된 수지 조성물의 전체 영역 중 나노임프린트를 적용하여 미세패턴을 형성하기 위하여 분할한 단위 영역에 전사용 제1 마스크 몰드를 접합하고 1차 경화하는 단계, (c) 상기 1차 경화 공정을 완료 후 상기 제1 마스크몰드를 분리하는 단계, (d) 상기 1차 경화 공정이 완료된 단위 영역에 전사용 제2 마스크몰드를 접합하고 2차 경화하는 단계, 및 (e) 상기 1차 및 2차 경화된 단위 영역에 인접한 다른 단위 영역에 대해 상기 (b) 내지 (d) 단계를 반복하여 전체 영역에 미세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외선경화형 저점도 수지 조성물은 아크릴계 모노머 100 중량%, 규소 함유 아크릴레이트 10 내지 30 중량%, 아크릴계 올리고머 5 내지 20 중량%, 및 광중합 개시제 1 내지 10 중량%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마스크몰드 자외선을 투과시키는 투과부와 자외선을 차단하는 차단부로 이루어진 마스크부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제1 마스크몰드의 투과부는 상기 제2 마스크몰드의 차단부에 대응됨과 동시에 상기 제1 마스크몰드의 차단부는 상기 제2 마스크몰드의 투과부에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스크부는 투과부와 차단부가 교대로 배열된 체크 무늬 또는 줄 무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외선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기재와의 부착력이 탁월하고 피조물과의 이형성이 우수한 몰드 제조에 사용될 수 있고, 특히 모노머 함유량이 높은 저점도의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대면적 연성 몰드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할한 단위 영역에 대해 한 쌍의 마스크몰드를 이용한 1차 및 2차 경화 공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여 대면적 연성 몰드의 전체 영역에 대해 미세패턴을 충실하고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경화형 저점도 수지 조성물를 이용한 대면적 연성 몰드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마스크몰드의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면적 연성 몰드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분할된 단위 영역을 순차적으로 경화시켜 단위 미세패턴을 형성하고, 이렇게 단위 미세페턴을 이어 붙여 전체 미세패턴을 형성하여 대면적 몰드를 제조 시 저점도 수지 조성물이 공정 효율에 유리하다. 이를 고려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경화형 저점도 수지 조성물은 이형 특성과 패턴 재현 특성이 우수한 조성물은 아크릴계 모노머, 규소 함유 아크릴레이트, 아크릴계 올리고머, 및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지 조성물의 성분 비율을 제시하며, 실시예에 따르면 모노머 함유량이 높은 저점도의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며, 예를 들어 점도가 10 내지 100 cPs 이다.
실시예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아크릴계 모노머 100 중량%, 규소 함유 아크릴레이트 10 내지 30 중량%, 아크릴계 올리고머 5 내지 20 중량%, 및 광중합 개시제 1 내지 10 중량%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아크릴계 모노머 70 중량%는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N-비닐-2-피롤리돈, N,N-디메틸아크릴아마이드 및 벤질아크릴레이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상기 규소 함유 아크릴레이트는 자외선 경화시 크로스 링킹이 가능하며 타 혼합물과의 상용성이 양호한 범위에서 성분 비율을 변경하고, 상기 아크릴계 올리고머는 경화 속도 및 수축율의 조절을 위하여 점도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수준에서 성분 비율을 변경하며, 상기 광중합 개시제는 자외선에 의해 중합이 개시되는 범위에서 성분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경화형 저점도 수지 조성물를 이용한 대면적 연성 몰드 제조 방법은, 대상 기재의 표면에 자외선경화형 저점도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S10), 대상 기재에 도포된 수지 조성물의 전체 영역 중 나노임프린트를 적용하여 미세패턴을 형성하기 위하여 분할한 단위 영역에 전사용 제1 마스크 몰드를 접합하고 1차 경화하는 단계(S20), 1차 경화 공정을 완료 후 제1 마스크몰드를 분리하는 단계(S30), 1차 경화 공정이 완료된 단위 영역에 전사용 제2 마스크몰드를 접합하고 2차 경화하는 단계(S40), 1차 및 2차 경화된 단위 영역에 인접한 다른 단위 영역에 대해 제1 및 제2 마스크몰드를 이용하여 경화하는 단계를 반복하여 전체 영역에 미세패턴을 형성하는 단계(S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한 쌍의 마스크몰드를 이용하여 분할된 단위 영역에 대해 1차 경화 공정과 2차 경화 공정을 실행한다.
도 2a를 참고하여, 한 쌍의 마스크몰드(m1)(m2)는 자외선을 차단하는 차단부(10)와 자외선을 투과시키는 투과부(11)로 이루어진 마스크부(k1)(k2)를 각각 구비한다.
제1 마스크몰드(m1)의 마스크부(k1)는 차단부(10)와 투과부(11)가 교호로 반복되는 체크 무늬로 형성되고, 제2 마스크몰드(m2)의 마스크부(k2) 역시 차단부(10)와 투과부(11)가 교호로 반복되는 체크 무늬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1 마스크몰드(m1)의 투과부(11)는 제2 마스크몰드(m2)의 차단부(10)에 대응됨과 동시에 제1 마스크몰드(m1)의 차단부(10)는 제2 마스크몰드(m2)의 투과부(11)에 대응되도록 마련된다.
대상 기재(1)의 단위 영역(1a)에 제1 마스크몰드(m1)의 마스크부(k1)를 정렬시킨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면 대상 기재(1)의 단위 영역(1a)에 체크 무늬에 대응하여 미세패턴이 형성된다. 자외선 조사에 의한 광에너지는 300 ~ 2,000 mJ/Cm2 이다.
그런 다음 대상 기재(1)의 단위 영역(1a)에 제2 마스크몰드(m2)의 마스크부(k2)를 정렬시킨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면 대상 기재(1)의 단위 영역(1a)에 남아 있는 영역에 미세패턴이 형성됨에 따라 단위 영역(1a) 전체에 미세패턴이 형성된다.
도 2b를 참고하여, 대상 기재(1)의 좌측 상단에 대해 제1 마스크몰드(m1)와 제2 마스크몰드(m2)를 사용하여 미세패턴을 형성하고(A1)(A2), 그런 다음 대상 기재(1)의 우측 상단에 대해 제1 마스크몰드(m1)와 제2 마스크몰드(m2)를 사용하여 미세패턴을 형성한다(A3)(A4). 이렇게 대상 기재(1)의 좌우측 상단에 위치한 단위 영역에 대해 미세패턴을 형성한 이후 대상 기재(1)의 좌우측 하단에 대해 제1 마스크몰드(m1)와 제2 마스크몰드(m2)를 사용하여 반복하여 미세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A5)(A6)(A7)(A8).
도 2c를 참고하여, 한 쌍의 마스크몰드(m11)(m21)는 자외선을 차단하는 차단부(10)와 자외선을 투과시키는 투과부(11)로 이루어진 마스크부(k11)(k21)를 각각 구비하되, 제1 마스크몰드(m11)의 마스크부(k11)는 차단부(10)와 투과부(11)가 교호로 반복되는 줄 무늬로 형성되고, 제2 마스크몰드(m21)의 마스크부(k21) 역시 차단부(10)와 투과부(11)가 교호로 반복되는 줄 무늬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1 마스크몰드(m11)의 투과부(11)는 제2 마스크몰드(m21)의 차단부(10)에 대응됨과 동시에 제1 마스크몰드(m11)의 차단부(10)는 제2 마스크몰드(m21)의 투과부(11)에 대응되도록 마련된다.
대상 기재(1)의 단위 영역(1a)에 제1 마스크몰드(m11)의 마스크부(k11)를 정렬시킨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면 대상 기재(1)의 단위 영역(1a)에 줄 무늬에 대응하여 미세패턴이 형성된다. 그런 다음 대상 기재(1)의 단위 영역(1a)에 제2 마스크몰드(m21)의 마스크부(k21)를 정렬시킨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면 대상 기재(1)의 단위 영역(1a)에 남아 있는 영역에 미세패턴이 형성됨에 따라 단위 영역(1a) 전체에 미세패턴이 형성된다.
도 2d를 참고하여, 대상 기재(1)의 좌측 상단에 대해 제1 마스크몰드(m11)와 제2 마스크몰드(m21)를 사용하여 미세패턴을 형성하고(B1)(B2), 그런 다음 대상 기재(1)의 우측 상단에 대해 제1 마스크몰드(m11)와 제2 마스크몰드(m21)를 사용하여 미세패턴을 형성한다(B3)(B4). 이렇게 대상 기재(1)의 좌우측 상단에 위치한 단위 영역에 대해 미세패턴을 형성한 이후 대상 기재(1)의 좌우측 하단에 대해 제1 마스크몰드(m11)와 제2 마스크몰드(m21)를 사용하여 반복하여 미세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B5)(B6)(B7)(B8).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면적 연성 몰드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a)에서 대상 기재(P1)에 자외선경화형 저점도 수지 조성물(10)을 도포한다.
대상 기재(P1)는 폴리에스터(PET)를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수지 조성물(10)은 모노머 함유량이 높은 저점도의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며, 예를 들어 점도가 10 내지 100 cPs 이다. 실시예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아크릴계 모노머 100 중량%, 규소 함유 아크릴레이트 10 내지 30 중량%, 아크릴계 올리고머 5 내지 20 중량%, 및 광중합 개시제 1 내지 10 중량%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아크릴계 모노머 70 중량%는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N-비닐-2-피롤리돈, N,N-디메틸아크릴아마이드 및 벤질아크릴레이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상기 규소 함유 아크릴레이트는 자외선 경화시 크로스 링킹이 가능하며 타 혼합물과의 상용성이 양호한 범위에서 성분 비율을 변경하고, 상기 아크릴계 올리고머는 경화 속도 및 수축율의 조절을 위하여 점도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수준에서 성분 비율을 변경하며, 상기 광중합 개시제는 자외선에 의해 중합이 개시되는 범위에서 성분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도 3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지 조성물(1)을 도포한 후 분할된 단위 영역(1a)에 제1 마스크몰드(m1)를 정렬한 후 접합한다.
이후, 도 3a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마스크몰드(m1)의 마스크부(k1)에 자외선을 조사한다. 마스크부(k1)의 투과부(11)를 통해 자외선이 단위 영역으로 일부 투과되나, 차단부(10)에 의해 일부 자외선은 차단된다. 이에 따라 분할된 단위 영역에서 투과부(11)에 대응되는 영역에 대해서 자외선 경화에 의해 미세패턴이 형성된다. 제1 마스크몰드(m1)에 의한 1차 경화가 완료되면 제1 마스크몰드(m1)를 대상 기재(P1)로부터 분리한다.
그런 다음 도 3b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경화 공정이 완료된 단위 영역(1a)에 제2 마스크몰드(m2)를 정렬한 후 접합한다. 제2 마스크몰드(m2)는 자외선을 차단하는 차단부(10)와 자외선을 투과시키는 투과부(11)로 이루어진 마스크부(k2)를 구비한다. 제2 마스크몰드(m2)의 투과부(11)는 제1 마스크몰드(m1)의 차단부(10)에 대응됨과 동시에 제2 마스크몰드(m2)의 차단부(10)는 제1 마스크몰드(m1)의 투과부(11)에 대응되도록 마련된다.
그런 다음 도 3b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마스크몰드(m2)의 마스크부(k2)에 자외선을 조사한다. 마스크부(k2)의 투과부(11)를 통해 자외선이 단위 영역(1a)으로 일부 투과되나, 차단부(10)에 의해 일부 자외선은 차단된다. 이때 1차 경화 공정에서 미세패턴이 형성되지 않은 남아 있는 영역에 마스크부(k2)의 투과부(11)가 대응되며, 남아 있는 영역은 자외선 경화에 의해 미세패턴이 형성된다.
도 3b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마스크몰드(m2)에 의한 2차 경화가 완료되면 제2 마스크몰드(m2)를 대상 기재(P1)로부터 분리한다. 그러면 단위 영역(1a) 전체에 미세패턴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단위 영역(1a)에 대해 제1 및 제2 마스크몰드(m1)(m2)를 이용하여 1차 경화 공정과 2차 경화 공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하나의 단위 영역(1a) 전체에 대해 미세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c (g) 및 도 3c (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다른 단위 영역(1b)에 대해서 제1 마스크몰드(m1)를 이용하여 1차 경화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다른 단위 영역(1b)에 대해 미세패턴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도 3c (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마스크몰드(m1)를 분리하고 다른 단위 영역(1b)에 제2 마스크몰드(m2)를 정렬한다.
이후 도 3d (j)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마스크몰드(m2)의 마스크부(k2)에 자외선을 조사하면 마스크부(k2)의 투과부(11)를 통해 자외선이 단위 영역(1a)으로 일부 투과되나, 차단부(10)에 의해 일부 자외선은 차단된다. 이때 1차 경화 공정에서 미세패턴이 형성되지 않은 남아 있는 영역에 마스크부(k2)의 투과부(11)가 대응되며, 남아 있는 영역은 자외선 경화에 의해 미세패턴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3d (k)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단위 영역(1b) 전체에 미세패턴이 형성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나노임프린트를 적용하여 미세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전체 영역을 복수개의 단위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단위 영역에 대해 한 쌍의 마스크 몰드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전사시켜 미세 패턴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전체 영역에 대해 대면적의 미세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수지 조성물
10 : 차단부
11 : 투과부
m1, m2 : 마스크 몰드
k1, k2 : 마스크 몰드
P1 : 대상 기재

Claims (7)

  1. (1) 아크릴계 모노머 100 중량%,
    (2) 규소 함유 아크릴레이트 10 내지 30 중량%,
    (3) 아크릴계 올리고머 5 내지 20 중량%, 및
    (4) 광중합 개시제 1 내지 10 중량%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경화형 저점도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모노머 70 중량%는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N-비닐-2-피롤리돈, N,N-디메틸아크릴아마이드 및 벤질아크릴레이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경화형 저점도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1) 내지 (4)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점도는 10 내지 100 cPs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경화형 저점도 수지 조성물.
  4. (a) 대상 기재의 표면에 자외선경화형 저점도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b) 대상 기재에 도포된 수지 조성물의 전체 영역 중 나노임프린트를 적용하여 미세패턴을 형성하기 위하여 분할한 단위 영역에 전사용 제1 마스크 몰드를 접합하고 1차 경화하는 단계,
    (c) 상기 1차 경화 공정을 완료 후 상기 제1 마스크몰드를 분리하는 단계,
    (d) 상기 1차 경화 공정이 완료된 단위 영역에 전사용 제2 마스크몰드를 접합하고 2차 경화하는 단계, 및
    (e) 상기 1차 및 2차 경화된 단위 영역에 인접한 다른 단위 영역에 대해 상기 (b) 내지 (d) 단계를 반복하여 전체 영역에 미세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면적 연성 몰드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경화형 저점도 수지 조성물은 아크릴계 모노머 100 중량%, 규소 함유 아크릴레이트 10 내지 30 중량%, 아크릴계 올리고머 5 내지 20 중량%, 및 광중합 개시제 1 내지 10 중량%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면적 연성 몰드 제조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마스크몰드 자외선을 투과시키는 투과부와 자외선을 차단하는 차단부로 이루어진 마스크부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제1 마스크몰드의 투과부는 상기 제2 마스크몰드의 차단부에 대응됨과 동시에 상기 제1 마스크몰드의 차단부는 상기 제2 마스크몰드의 투과부에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면적 연성 몰드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부는 투과부와 차단부가 교대로 배열된 체크 무늬 또는 줄 무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면적 연성 몰드 제조 방법.
KR1020210013516A 2021-01-29 2021-01-29 자외선경화형 저점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대면적 연성 몰드 제조 방법 KR202201104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3516A KR20220110402A (ko) 2021-01-29 2021-01-29 자외선경화형 저점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대면적 연성 몰드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3516A KR20220110402A (ko) 2021-01-29 2021-01-29 자외선경화형 저점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대면적 연성 몰드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0402A true KR20220110402A (ko) 2022-08-08

Family

ID=82845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3516A KR20220110402A (ko) 2021-01-29 2021-01-29 자외선경화형 저점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대면적 연성 몰드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10402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8581B1 (ko) 2003-04-14 2006-04-07 주식회사 미뉴타텍 미세패턴 형성 몰드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작된 몰드
KR100731737B1 (ko) 2006-02-13 2007-06-25 주식회사 미뉴타텍 섀도우 마스크 기능을 갖는 자외선 경화 수지 몰딩용 복합몰드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이용한 패턴 형성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8581B1 (ko) 2003-04-14 2006-04-07 주식회사 미뉴타텍 미세패턴 형성 몰드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작된 몰드
KR100731737B1 (ko) 2006-02-13 2007-06-25 주식회사 미뉴타텍 섀도우 마스크 기능을 갖는 자외선 경화 수지 몰딩용 복합몰드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이용한 패턴 형성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81625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reating a large area imprint without a seam
JP4580411B2 (ja) ソフトモールド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68581B1 (ko) 미세패턴 형성 몰드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작된 몰드
JP5255197B2 (ja) インプリントリソグラフィ
JP5276436B2 (ja) 中間スタンプによるパターン複製
JP5973561B2 (ja) 相異するようにパターン硬化された微細構造化物品を作製する方法
KR100929381B1 (ko) 몰드 시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몰드 시트 제조방법
TWI730185B (zh) 結構的微影製造
JP5964953B2 (ja) 非連続的なトポグラフィーを有する微細構造化ツールを作成するための方法、及びこれにより製造される物品
US20080299467A1 (en) Mask mol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method for forming large-sized micro pattern using mask mold
JP2000194142A (ja) パタ―ン形成方法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7513509A (ja) 大領域リソグラフィのデバイスおよび方法
TWI633400B (zh) 製造浮凸圖像印刷元件之方法
KR20100056483A (ko) 임프린트 방법 및 기판 가공 방법
JP2008542081A5 (ko)
JP4879511B2 (ja) リソグラフィ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JP2010074162A (ja) ナノインプリントを用いたパターン成形方法とパターン成形のためのモールド製作方法
KR20220110402A (ko) 자외선경화형 저점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대면적 연성 몰드 제조 방법
KR102463923B1 (ko) 임프린트 패턴 형성 방법 및 임프린트 장치
US2022005771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amp generation and curing
JP2011165831A (ja) パターン形成方法
JP7378824B2 (ja) 微細パターン成形方法、インプリント用モールド製造方法およびインプリント用モールド並びに光学デバイス
EP3739386A1 (en) A stamp material for nanolithography
KR20080098212A (ko) 포토리소그래피와 나노임프린트 리소그래피를 결합한리소그래피 방법
Miller et al. Industrial applications demanding low and high resolution features realized by soft UV-NIL and hot embos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