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0307A - 에어백, 에어백 조립체 및 에어백 조립체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에어백, 에어백 조립체 및 에어백 조립체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0307A
KR20220110307A KR1020227024253A KR20227024253A KR20220110307A KR 20220110307 A KR20220110307 A KR 20220110307A KR 1020227024253 A KR1020227024253 A KR 1020227024253A KR 20227024253 A KR20227024253 A KR 20227024253A KR 20220110307 A KR20220110307 A KR 20220110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lator
airbag
flange
opening structure
she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4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가 보루수
미갈 로닉잭
안드레아스 카로우스
스티븐 파브로비치
자컵 크위에씨엔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ublication of KR20220110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03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60R2021/2172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the cover being connected to the surrounding part and to the module, e.g. floating mou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내측 및 외측을 갖는 외피를 포함하는 에어백이 설명된다. 외피는 팽창기 부착 영역(11)을 가지며, 팽창기용 개구부 구조(12)가 제공된다. 에어백은 플랜지 및 개구부 구조를 통해 연장되고 플랜지에 부착되는 팽창기를 더 포함하는 에어백 조립체의 일부이다. 쉽고 자동화가능한 장착 과정의 가능성을 제공하기 위해, 개구부 구조(12)는 기본적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2개 이상의 절개부를 포함하여 부착 영역이 절개부에 의해 분리되는 2개 이상의 플랩 섹션(16)을 갖는다. 이러한 플랩 섹션(16)은 장착 과정에서 분리되어 당겨져 팽창기를 플랜지에 부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백, 에어백 조립체 및 에어백 조립체 조립 방법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에어백, 청구항 10에 따른 에어백 조립체, 및 청구항 13에 따른 이 에어백 조립체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발명은 우선 정면 에어백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스티어링 휠 내부에 위치되는 운전석 에어백에 관한 것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이제부터 종래 기술이 설명될 때, 운전석 에어백 및 운전석 에어백 조립체에 대해서만 참조된다.
이러한 운전석 에어백 조립체는 항상 외피와 팽창기 조립체를 갖는 에어백을 포함하고, 에어백의 외피와 팽창기 조립체는 서로 연결된다. 이 에어백 조립체는 일반적으로 하우징을 갖는 수용 구조에 연결되지만 이는 본 출원에서 관심이 없으므로 여기서는 에어백의 구조 및 이러한 에어백 및 팽창기 조립체를 포함하는 에어백 조립체의 구조에 대해서만 논의한다. 이러한 에어백의 외피는 전개된 에어백의 하부층이 스티어링 휠에 의해 지지되고 상부층이 운전자를 향하는 충격층이 되도록 하부층 및 상부층으로 가장 흔히 구성된다. 에어백의 외피는 기본적으로 닫혀 있기 때문에 당연히 내측과 외측이 있다.
팽창기 조립체는 팽창기 본체가 있는 팽창기와 이 팽창기 본체에서 연장되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경우가 가장 많다. 종종, 팽창기 본체는 팽창기 본체의 제1 섹션이 외피 내부에 위치되고 팽창기 본체의 제2 섹션이 외피 외부에 위치하도록 에어백 내로 연장된다. 이러한 이유로, 외피, 즉 하부층은 팽창기용 개구부 구조를 갖는 팽창기 부착 영역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이 구조는 단순히 팽창기 본체(보통 원형)의 단면에 일치하는 구멍이다. 종종, 플랜지는 외피 내부에 위치하고 스터드는 팽창기용 구멍 근처의 외피의 부착 구멍을 통해 이 플랜지로부터 연장되어 에어백이 이러한 스터드를 통해 팽창기 조립체에 부착된다. 안전상의 이유로 일반적으로 전체 에어백 모듈이 조립되기 직전에 팽창기(일반적으로 불꽃 가스 발생기)가 에어백에 부착되어 추가 조립 단계를 위해 에어백 조립체를 안전하게 보관할 필요가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종래 기술로부터 출발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고도의 자동화로 쉽게 조립될 수 있는 이러한 에어백을 구비한 에어백 및 에어백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과제는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에어백 및 청구항 10의 특징을 갖는 에어백 조립체에 의해 해결된다. 이 에어백 조립체를 조립하는 방법은 청구항 13에 정의되어 있다.
본 발명의 기본 아이디어는 에어백 조립체가 두 개의 개별 부품으로 완전히 조립될 때 팽창기와 이 팽창기에 부착되는 플랜지를 제공하여, 먼저 플랜지를 에어백의 외피에 부착하거나 사전 조립한 다음 플랜지에 팽창기를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플랜지는 외피의 내측에 위치하므로 조립 과정에서 팽창기가 외피의 개구부 구조를 통해 이동해야 한다. 원칙적으로 개구부 구조는 단순히 충분히 큰 구멍의 형태일 수 있지만 이 경우 에어백이 팽창될 때 너무 많은 가스를 잃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개구부 구조는 기본적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2개의 절개부, 특히 슬릿을 포함하여, 부착 영역이 이러한 절개부에 의해 분리되는 적어도 2개의 플랩 섹션을 갖는다. 이러한 플랩 섹션은 팽창기를 플랜지에 조립하는 동안 개구부 구조가 확대되도록 반경 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당겨질 수 있다. 이 "외향 당김 공정"을 위해 자동 취급 장치가 사용될 수 있고 이를 위해 각각의 플랩 섹션이 바람직하게는 조작 구멍 형태의 취급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립이 완료되면 플랩 섹션은 일반적으로 팽창기 본체의 생성 표면에 대해 놓이고 충분한 가스 기밀이 달성된다.
본 발명은 이제 도면을 고려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될 것이다. 수치는 다음을 보여준다:
도 1 에어백 외피의 하부층에 대한 평면도,
도 2 플랜지,
도 3 저면에서 본 평면도에서 팽창기,
도 4 도 1에 도시된 외피의 팽창기 부착 영역,
도 5 도 4의 팽창기 부착 영역과 동일한 축척으로 확대된 도 2의 플랜지,
도 6 도 4 및 도 5에 따른 축척의 도 4의 팽창기,
도 7 R 방향에서 본 도 6의 팽창기의 측면도,
도 8 다시 참조 부호가 없는 도 4의 팽창기 부착 영역,
도 9 도 5의 플랜지가 파선으로 나타나도록 외피 내부에 배치되고, 핸들링 머신의 후크 4개가 있는 도 8의 팽창기 부착 영역,
도 10 후크가 외피의 플랩 섹션 조작 구멍에 결합된 후 도 9에 도시,
도 11 플랩 섹션이 플랜지의 일부가 보일 수 있도록 후크에 의해 바깥쪽으로 당겨진 후 도 10에 도시,
도 12 도 11에 도시된 것과 플랜지의 중앙 구멍에 배치되는 팽창기 본체,
도 13 팽창기 본체가 회전 운동에 의해 플랜지에 고정된 후 도 12에 도시,
도 14 도 13의 평면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5 후크를 제거한 후 도 14에 도시, 및
도 16 부착 영역의 다른 실시예.
도 1은 "저면"에서 본 평면도에서 에어백의 외피(10)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1의 상세, 즉 팽창기 부착 영역(11)을 도시한다. 이 팽창기 부착 영역(11)은 플랜지(플랜지에 대해서는 후술함)로부터 연장되는 스터드용 부착 구멍(20)을 갖는다. 이 실시예에서, 이음매(19)의 일부는 팽창기 부착 영역 및 부착 구멍(20) 주위로 연장된다. 종종, 팽창기 부착 영역(11)은 이 부착 영역을 충분히 견고하게 만들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다층화된다. 팽창기 부착 영역(11)의 내부에는 개구부 구조(12)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개구부 구조(12)는 중심 구멍(18) 및 이 중앙 구멍(18)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4개의 슬릿(14)을 포함한다. 이들 슬릿(14)은 서로 수직인 2개의 직선 상에 위치되며, 이 2개의 라인의 교차점은 중앙 구멍(18)의 중심을 정의한다. 이러한 대칭이 선호되지만 엄격하게 필수는 아니다.
4개의 슬릿(14)은 중앙 구멍(18)으로부터 연장되는 4개의 플랩 섹션(16)을 정의한다. 이들 플랩 섹션(16) 각각은 눈물방울 형상을 갖는 조작 구멍(17)을 포함한다. 이음매(19)의 섹션은 슬릿(14) 및 조작 구멍(17) 주위로 연장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연속 이음매(19)가 제공되는 것은 이것이 생산을 효율적으로 만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만, 원칙적으로는 별개의 이음매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 및 도 5는 플랜지(40)를 도시한다. 플랜지(40)에는 4개의 스터드(42)가 부착 구멍(20)의 패턴과 일치하는 패턴으로 배치된다. 스터드(42)는 플랜지에 속하는 것으로 또는 플랜지에 부착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플랜지(40)는 중앙 구멍(44)을 갖고, 도시된 실시예에서 후술할 팽창기 본체(32)와 플랜지(40)는 베이어닛 결합에 의해 서로 연결되기 때문에, 리세스(46)는 중앙 구멍(44)으로부터 연장된다. 플랜지(40)(스터드 제외)는 일반적으로 스탬핑된 금속의 평평한 부분이다.
도 6 및 도 7은 기본적으로 실린더 형태인 팽창기 본체(32)를 갖는 팽창기(30)를 도시한다. 부착 돌출부(34)는 방금 언급한 베이어닛 결합의 일부로서 팽창기 본체(32)로부터 연장된다.
제1 조립 단계에서 플랜지(40)는 스터드(42)가 부착 구멍(20)을 통해 연장되는 방식으로 외피의 내측에 위치된다. 플랜지(40)와 외피(10) 사이에 추가 장착 수단이 원하는 경우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랜지(40)는 외피의 내측에 접착될 수 있다. 플랜지는 개구부 구조(12)를 통해 외피에 삽입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부 층을 하부 층에 재봉하기 전에 먼저 플랜지(40)를 에어백 외피의 하부 층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는 플랜지가 에어백의 외피 내부에 위치하고 스터드(42)가 부착 구멍(20)을 통해 연장된 상황을 나타낸다. 플랜지(40)의 중앙 구멍(44)이 팽창기 부착 영역(11)의 개구부 구조(12) 뒤에 위치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추가로 도 9에는 4개의 후크(50)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들 후크(50) 각각은 조작 구멍(17) 중 하나에 결합되도록 할당된다. 도 9는 방사상 외측 위치에 있는 후크(50)를 도시한다.
도 10은 후크(50)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동된 후 에어백의 외피를 향해 그리고 다시 약간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된 후의 도 9와 동일한 것을 도시하며, 후크의 후크 섹션은 중앙 구멍(18)의 내부 에지(18a) 둘레와 조작 구멍(17) 내로 연장된다.
이 상태에서, 후크(50)는 리세스(46)가 있는 중앙 구멍(44)이 더 이상 외피(10)에 의해 덮이지 않을 때까지 플랩 섹션(16)이 열리도록 방사상 외측으로 다시 이동된다. 이것은 도 11에 나와 있다.
이제, 팽창기 본체(32)는 플랜지(40)의 중앙 구멍(44)에 삽입되고 회전되어 베이어닛 결합이 닫힐 수 있다(도 12 및 도 13 참조). 여기서 팽창기(30)와 플랜지(40) 사이의 베이어닛 결합이 바람직한 실시예이지만, 팽창기(30)와 플랜지(40) 사이에 다른 종류의 부착물도 제공될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이제, 후크(50)는 플랩 섹션(16)으로부터 분리되어 팽창기 본체(32)의 생성 표면에 접할 때까지 후크가 뒤로 구부러진다(도 15). 이제 에어백 조립체의 조립 과정이 끝났다.
도 16은 팽창기 부착 영역(11)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1 실시예에 대한 주요 차이점은 단지 2개의 슬릿(14) 및 따라서 2개의 플랩 섹션(16)만이 제공된다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플랩 섹션이 바깥쪽으로 당겨질 수 없기 때문에 슬릿(14)은 추가 절개부(15)에서 끝난다. 이 추가 절개부는 플랜지로 덮일 수 있으므로 충분한 가스 기밀에 도달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와 다른 차이점은 조작 구멍(17)이 슬릿 형상이지만 조작 구멍의 형상은 선택의 문제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완전히 자동화될 수 있고 매우 늦게 팽창기를 부착할 수 있는 간단한 조립 방법이 제공됨을 알 수 있다.
참조 번호 목록
10 에어백 외피
10a 내측
10b 외측
11 팽창기 부착 영역
12 개구부 구조
14 슬릿
15 추가 절개부
16 플랩 섹션
17 조작 구멍
18 중앙 구멍
18a 내부 에지
19 이음매
19a 개구부 구조를 둘러싼 이음매 부분
20 부착 구멍
30 팽창기
32 팽창기 본체
34 베이어닛 결합 부착 돌출부
40 플랜지
42 스터드
44 중앙 구멍
46 베이어닛 결합용 리세스
50 후크

Claims (13)

  1. 내측과 외측을 갖는 외피를 포함하는 에어백으로서, 상기 외피의 팽창기 부착 영역(11)에 팽창기용 개구부 구조(12)가 구비되며,
    상기 개구부 구조(12)는 기본적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2개 이상의 절개부를 포함하여 상기 부착 영역이 상기 절개부에 의해 분리되는 2개 이상의 플랩 섹션(16)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2. 제1항에 있어서, 3개의 절개부가 제공되어 상기 부착 영역이 3개의 플랩 섹션(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3. 제1항에 있어서, 4개의 절개부가 제공되어 상기 부착 영역이 4개의 플랩 섹션(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가 슬릿(14)이고, 각각의 슬릿이 직선을 정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모든 직선이 공통 중심점을 갖는 것이 추가로 바람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기 부착 영역은 상기 개구부 구조(12) 외부에 부착 구멍(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작 수단이 각각의 플랩 섹션(16)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수단은 조작 구멍(1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 구조는 상기 절개부가 연장되는 중앙 구멍(18)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 구조(12)는 이음매 또는 이음매(19a) 부분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둘러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에어백, 및 생성 표면을 갖는 팽창기 본체(32)를 갖는 팽창기(30)를 갖는 팽창기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팽창기 본체(32)는 상기 팽창기 본체의 제1 섹션이 상기 외피(10)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개구부 구조를 통해 연장되고, 상기 팽창기 본체(32)의 두 번째 섹션은 상기 외피(10) 외부에 위치하며, 상기 플랩 섹션(16)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팽창기 본체(32)의 생성 표면에 대해 놓이는, 에어백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기 조립체는 상기 외피(10)의 내측(10a)에 위치되는 플랜지(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는 바람직하게는 중앙 구멍(4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다만 제5항을 참조하여, 스터드(42)는 상기 플랜지(40)로부터 상기 부착 구멍(20)을 통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조립체.
  13. 제11항 또는 제12항의 에어백 조립체를 조립하기 위해,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외피(10) 및 외피(10)의 내측(10a)에 위치되는 플랜지(40)를 포함하는 하위조립체를 제공하는 단계,
    팽창기(30)를 제공하는 단계,
    플랩 섹션(16)을 바깥쪽으로부터 서로 분리되게 당김으로써 삽입구가 생성되거나 확대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삽입구를 통해 팽창기 본체(32)의 일부를 밀어넣는 단계, 및
    상기 팽창기 본체(32)를 상기 플랜지(40)에 부착하는 단계.
KR1020227024253A 2019-12-19 2020-12-16 에어백, 에어백 조립체 및 에어백 조립체 조립 방법 KR202201103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9135132.4A DE102019135132A1 (de) 2019-12-19 2019-12-19 Gassack, Gassackbaugruppe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r Gassackbaugruppe
DE102019135132.4 2019-12-19
PCT/EP2020/086338 WO2021122685A1 (en) 2019-12-19 2020-12-16 Airbag; airbag assembly and method for assembling an airbag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0307A true KR20220110307A (ko) 2022-08-05

Family

ID=74181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4253A KR20220110307A (ko) 2019-12-19 2020-12-16 에어백, 에어백 조립체 및 에어백 조립체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872950B2 (ko)
EP (1) EP4077065A1 (ko)
KR (1) KR20220110307A (ko)
CN (1) CN114746312A (ko)
BR (1) BR112022010324A2 (ko)
DE (1) DE102019135132A1 (ko)
WO (1) WO2021122685A1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6671A (en) * 1991-10-17 1993-07-13 Trw Inc. Air bag structure and method of forming
JP3279643B2 (ja) 1992-05-27 2002-04-30 オートリブ デベロップメント アクテボラゲット エアバッグ
US5642900A (en) * 1995-10-31 1997-07-01 General Motors Corporation Air bag attachment to module
US5678848A (en) * 1996-01-17 1997-10-21 Morton International, Inc. Air bag module with combined assembly and mounting hardware
DE19905025C2 (de) 1999-01-28 2003-11-13 Takata Petri Ag Airbagmodul
DE29910711U1 (de) * 1999-06-18 1999-10-28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Baueinheit für ein Gassack-Modul und Gassack-Modul
US6726242B2 (en) * 2002-04-27 2004-04-27 Tk Holdings, Inc. Integral airbag exhaust vent
US6877765B2 (en) * 2002-09-11 2005-04-12 Autoliv Asp, Inc. Load path control for inflatable airbag
US7823909B2 (en) 2007-10-15 2010-11-02 Autoliv Asp, Inc. High strength airbag attachment for use with flanged infla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22081A1 (en) 2023-01-26
CN114746312A (zh) 2022-07-12
DE102019135132A1 (de) 2021-06-24
EP4077065A1 (en) 2022-10-26
WO2021122685A1 (en) 2021-06-24
US11872950B2 (en) 2024-01-16
BR112022010324A2 (pt) 2022-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46248A (en) Airbag assembly
US7270344B2 (en) Airbag module
US6431582B1 (en) Simplified driver side air bag assembly
KR102380056B1 (ko) 사이드 에어백 모듈 및 차량 시트
US6929285B2 (en) Air bag
JP2003034208A (ja) エアバッグ
EP1679237A2 (en) Airbag and airbag apparatus
JP3760727B2 (ja) オーナメントを備えたエアバッグカバー
JP6726543B2 (ja) エアバッグ
EP2197711B1 (en) High strength airbag attachment for use with flanged inflators
US20090250908A1 (en) Cover to wheel attachment method for improved gap control
US5642900A (en) Air bag attachment to module
JP2020179712A (ja)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KR20220110307A (ko) 에어백, 에어백 조립체 및 에어백 조립체 조립 방법
US5263738A (en) Air bag device for an automotive vehicle
US5853190A (en) Fastenerless driver air bag cover and easy to assemble air bag module assembly
US6921103B2 (en) Airbag module
CN112789199B (zh) 后侧安全气囊设备
US5971428A (en) Vehicle steering wheel for equipment with an integrated gas bag restraint system
KR20140132190A (ko) 차량의 무릎 에어백 하우징 어셈블리
JP6782611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2020019350A (ja) エアバッグ
KR20130080981A (ko) 에어백 장치 및 에어백 조립체
JP2020050183A (ja) エアバッグ
JPH08310326A (ja)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