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2190A - 차량의 무릎 에어백 하우징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의 무릎 에어백 하우징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2190A
KR20140132190A KR20130051395A KR20130051395A KR20140132190A KR 20140132190 A KR20140132190 A KR 20140132190A KR 20130051395 A KR20130051395 A KR 20130051395A KR 20130051395 A KR20130051395 A KR 20130051395A KR 20140132190 A KR20140132190 A KR 20140132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ther
cushion
airbag
airbag housing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1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수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51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2190A/ko
Publication of KR20140132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21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60R21/206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in the lower part of dashboards, e.g. for protecting the kne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51Kne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무릎 에어백 하우징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좌우 양단에 쿠션 테더가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에어백 쿠션과, 상기 에어백 쿠션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일면이 개구되고, 타면 외측에는 상기 쿠션 테더가 걸림되는 테더 후크가 형성된 에어백 하우징과, 양측면에 상기 쿠션 테더가 상기 테더 후크에 걸림되기 전 통과하는 테더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전개시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일측에서 탑승객 측으로 일부가 상기 에어백 하우징 측으로 회동되는 도어를 포함함으로써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제작 단가를 절감시키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무릎 에어백 하우징 어셈블리{Nee air bag housing assembly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의 무릎 에어백 하우징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 공정을 단순화시키면서도 제품의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차량의 무릎 에어백 하우징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백 시스템(Air bag system)은 차량의 주행 중 충돌사고 발생시 운전자와 스티어링 휠 사이 또는 조수석의 탑승객과 인스트루먼트 패널 사이, 그리고 운전자의 무릎부위 즉, 운전자의 무릎부위 전방쪽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순간적으로 에어백 쿠션을 부풀게하여 탑승객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장치이다.
특히, 운전자의 무릎부위를 보호하기 위한 차량의 무릎 에어백 모듈은, 에어백 쿠션의 전개를 위하여 도어의 일부가 순간적으로 절개되고 그 절개된 부분을 통하여 에어백 쿠션이 전개됨으로써 운전자의 무릎을 보호하는 장치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무릎 에어백 하우징 어셈블리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무릎 에어백 하우징 어셈블리의 다른 예를 나타낸 일부 사시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무릎 에어백 하우징 어셈블리의 일예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 하우징(10)과, 에어백 하우징(10)의 내부에 폴딩되어 수납되는 에어백 쿠션과, 에어백 하우징(10)에 리벳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50)에 의하여 결합되는 도어(20)를 포함하고, 도어(20)는 그 일부가 에어백 쿠션의 전개시 순간적으로 절개되는 동작으로 회동되어 에어백 쿠션의 전개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에어백 쿠션의 양단부에 해당하는 쿠션 테더(도 2의 도면부호 40 참조)는 에어백 하우징(10)과 도어(20)의 리벳 또는 볼트에 의한 결합시 그 사이에 배치되어 리벳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50)에 의하여 한꺼번에 고정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무릎 에어백 하우징 어셈블리는, 별도의 볼트 및 리벳과 같은 체결부재(50)를 이용하여 에어백 쿠션의 테더(40)를 고정시키는 테더 고정 작업이 필요한 조립 공정상의 문제점이 있고, 반드시 체결부재(50)를 필요로 하는 비용상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조립 공정수를 줄이고, 제품의 제작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차량의 무릎 에어백 하우징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무릎 에어백 하우징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좌우 양단에 쿠션 테더가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에어백 쿠션과, 상기 에어백 쿠션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일면이 개구되고, 타면 외측에는 상기 쿠션 테더가 걸림되는 테더 후크가 형성된 에어백 하우징과, 양측면에 상기 쿠션 테더가 상기 테더 후크에 걸림되기 전 통과하는 테더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전개시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일측에서 탑승객 측으로 일부가 상기 에어백 하우징 측으로 회동되는 도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테더 후크는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타면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백 쿠션의 쿠션 테더는 각각 상기 도어의 테더홀을 통과한 후 상기 테더 후크가 구비된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양측면 일부 및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타면 일부를 감싸면서 상기 테더 후크에 걸림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더 후크가 형성된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양측면에는 상기 쿠션 테더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에는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일단부가 걸림되는 복수개의 후크 홀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백 하우징에는 상기 복수개의 후크 홀에 걸림되는 복수개의 결합 후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무릎 에어백 하우징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에어백 쿠션의 쿠션 테더를 고정시킴에 있어서 별도의 체결부재를 요하지 않으므로 제품의 제작 단가를 절감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무릎 에어백 하우징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에어백 쿠션의 쿠션 테더를 고정시킴에 있어서 체결부재를 이용한 고정작업을 요하지 않고 고리 형상의 쿠션 테더를 간단하게 에어백 하우징에 형성된 테더 후크에 걸리도록 고정시킴으로써 조립 공정수를 줄이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무릎 에어백 하우징 어셈블리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무릎 에어백 하우징 어셈블리의 다른 예를 나타낸 일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무릎 에어백 하우징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무릎 에어백 하우징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구성 중 에어백 하우징 및 도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A-A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무릎 에어백 하우징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무릎 에어백 하우징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무릎 에어백 하우징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구성 중 에어백 하우징 및 도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A-A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무릎 에어백 하우징 어셈블리(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좌우 양단에 쿠션 테더(140)가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에어백 쿠션(130)과, 에어백 쿠션(130)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일면이 개구되고, 타면 외측에는 쿠션 테더(140)가 걸림되는 테더 후크(150)가 형성된 에어백 하우징(120)과, 양측면에 쿠션 테더(140)가 테더 후크(150)에 걸림되기 전 통과하는 테더홀(115)이 각각 형성되고, 에어백 쿠션(130)의 전개시 에어백 하우징(120)의 일측에서 탑승객 측으로 일부가 에어백 하우징(120) 측으로 회동되는 도어(1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에어백 하우징(120)과 도어(110)의 사이에 에어백 쿠션(130)이 폴딩되어 수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이 수용공간에는 에어백 쿠션(130)을 전개시키기 위하여 압축 공기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미도시)도 함께 수납된다.
에어백 하우징(120)의 일단부에는 결합 후크(121)가 복수개 형성되고, 도어(110)에는 에어백 하우징(120)의 결합 후크(121)가 각각 삽입되어 걸림되는 복수개의 후크 홀(111)이 형성된다. 에어백 하우징(120)의 타단부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어(110)와 나사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에어백 하우징(120)과 도어(110) 사이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수납되는 에어백 쿠션(130)은 전개되면 운전자의 무릎을 보호하기 위하여 운전자의 무릎을 향하여 전개되는데, 이때, 에어백 쿠션(1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쿠션 테더(140)가 상술한 바와 같이 좌우 양단에 구비된다.
쿠션 테더(140)는 고리 형상의 직물 재질로 형성되고, 에어백 하우징(120)에 각각 고정됨으로써 에어백 쿠션(130)의 전개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미도시 되었지만, 에어백 쿠션(130)은 적어도 2장의 직물 시트가 봉제되어 그 사이로 압축 공기가 주입되도록 구비되고, 쿠션 테더(140)는 2장의 직물 시트를 봉제할 때 좌우 양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함께 봉제되고, 일부가 고리 형상으로 외부로 노출된다.
이와 같은 에어백 쿠션(130)은 에어백 하우징(120)과 도어(110) 사이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1차적으로 수납된 후, 쿠션 테더(140)가 각각 도어(110)에 형성된 테더홀(115)을 통과하여 에어백 하우징(120)의 테더 후크(150)에 걸림된다.
여기서, 테더 후크(150)는 쿠션 테더(140)가 용이하게 걸림될 수 있도록 에어백 하우징(120)의 타면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테더 후크(150)는 에어백 쿠션(130)의 전개시 적어도 에어백 쿠션(130)의 전개력에 대항할 수 있는 정도의 강도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어백 하우징(120) 및 테더 후크(15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다.
에어백 쿠션(130)의 쿠션 테더(140)는 각각 도어(110)의 테더홀(115)을 통과한 후 테더 후크(150)가 구비된 에어백 하우징(120)의 양측면 일부 및 에어백 하우징(120)의 타면 일부를 감싸면서 쿠션 테더(140)에 걸림되면서 조립된다.
테더 후크(150)가 형성된 에어백 하우징(120)의 양측면에는 쿠션 테더(140)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홈(123)이 형성될 수 있다. 유동방지홈(123)의 내부로 쿠션 테더(140)가 각각 삽입됨으로써 테더 후크(150)에 쿠션 테더(140)를 걸림 조립할 때 가위치를 설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무릎 에어백 하우징 어셈블리(100)의 조립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특히, 도 5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에어백 하우징(120) 및 도어(110)의 사이에 형성된 수용공간(바람직하게는 하부에 위치된 도어(110)의 상부공간)에 에어백 쿠션(130)을 폴딩시킨 후 수납시킨다.
다음으로, 에어백 쿠션(130)의 좌우 양단부에 형성된 쿠션 테더(140)를 도어(110)의 양측면에 형성된 테더홀(115)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시킨다.
그리고, 다음으로 쿠션 테더(140)를 에어백 하우징(120)의 타면으로 끌어올려 에어백 하우징(120)의 타면에 돌출 형성된 테더 후크(150)에 걸림시킨다.
마지막으로, 에어백 하우징(120) 및 도어(110)를 체결부재 등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체결시키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무릎 에어백 하우징 어셈블리(100)의 조립 과정이 완성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무릎 에어백 하우징 어셈블리(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쿠션 테더(140)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체결부재를 요하지 않으므로 제품의 제작 단가를 절감시킴은 물론, 도어(110)의 테더홀(115)을 통과하여 에어백 하우징(120)의 테더 후크(150)에 간단히 걸림시키는 동작으로 조립되는 바, 조립 공수를 절감하여 조립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을 갖는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무릎 에어백 하우징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100: 에어백 하우징 어셈블리 110: 도어
111: 후크 홀 115: 테더홀
120: 에어백 하우징 121: 결합 후크
123: 유동방지홈 130: 에어백 쿠션
140: 쿠션 테더 150: 테더 후크

Claims (5)

  1. 좌우 양단에 쿠션 테더가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에어백 쿠션과;
    상기 에어백 쿠션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일면이 개구되고, 타면 외측에는 상기 쿠션 테더가 걸림되는 테더 후크가 형성된 에어백 하우징과;
    양측면에 상기 쿠션 테더가 상기 테더 후크에 걸림되기 전 통과하는 테더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전개시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일측에서 탑승객 측으로 일부가 상기 에어백 하우징 측으로 회동되는 도어를 포함하는 차량의 무릎 에어백 하우징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테더 후크는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타면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차량의 무릎 에어백 하우징 어셈블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쿠션의 쿠션 테더는 각각 상기 도어의 테더홀을 통과한 후 상기 테더 후크가 구비된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양측면 일부 및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타면 일부를 감싸면서 상기 테더 후크에 걸림되는 차량의 무릎 에어백 하우징 어셈블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테더 후크가 형성된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양측면에는 상기 쿠션 테더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홈이 형성된 차량의 무릎 에어백 하우징 어셈블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는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일단부가 걸림되는 복수개의 후크 홀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백 하우징에는 상기 복수개의 후크 홀에 걸림되는 복수개의 결합 후크가 형성된 차량의 무릎 에어백 하우징 어셈블리.
KR20130051395A 2013-05-07 2013-05-07 차량의 무릎 에어백 하우징 어셈블리 KR201401321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1395A KR20140132190A (ko) 2013-05-07 2013-05-07 차량의 무릎 에어백 하우징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1395A KR20140132190A (ko) 2013-05-07 2013-05-07 차량의 무릎 에어백 하우징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2190A true KR20140132190A (ko) 2014-11-17

Family

ID=52453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51395A KR20140132190A (ko) 2013-05-07 2013-05-07 차량의 무릎 에어백 하우징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219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6179A (ko) * 2017-09-27 2019-04-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무릎 에어백 장치
KR102320377B1 (ko) * 2020-05-29 2021-11-03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무릎 에어백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6179A (ko) * 2017-09-27 2019-04-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무릎 에어백 장치
KR102320377B1 (ko) * 2020-05-29 2021-11-03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무릎 에어백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78858A (en) Air bag with tearable and non-tearable tethers
US7293794B2 (en) Cover attachment
KR101287594B1 (ko) 에어백 모듈을 위한 유연성 하우징
US20070007753A1 (en) Flexible housing for an airbag module
US20150291119A1 (en) Curtain airbag device
US20170080891A1 (en) Airbag device
US10053043B2 (en) Airbag for a front passenger seat
US8888128B1 (en) Airbag for vehicle
US9039039B2 (en) Airbag apparatus
JP2007022306A (ja)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US9278662B2 (en) Airbag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KR20210135303A (ko)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
US20130320655A1 (en) Airbag device
JP2006341715A (ja) エアバッグ装置
US20170327073A1 (en) Curtain Air-Bag Device
JP2019059434A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KR20150054575A (ko) 차량용 에어백
KR20140132190A (ko) 차량의 무릎 에어백 하우징 어셈블리
JP2007223533A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0990569B1 (ko) 조수석 에어백 모듈
JP5760929B2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1708241B1 (ko) 차량용 엠블렘 어셈블리
US20200198568A1 (en) Airbag device
KR101676661B1 (ko) 무릎 에어백장치
KR20130080981A (ko) 에어백 장치 및 에어백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