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9679A - 발향 가능한 천연 추출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발향 가능한 천연 추출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9679A
KR20220109679A KR1020210012970A KR20210012970A KR20220109679A KR 20220109679 A KR20220109679 A KR 20220109679A KR 1020210012970 A KR1020210012970 A KR 1020210012970A KR 20210012970 A KR20210012970 A KR 20210012970A KR 20220109679 A KR20220109679 A KR 20220109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leaf
water
flower
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2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경석
성미경
조건우
김진현
이지현
김태훈
차영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Priority to KR1020210012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9679A/ko
Publication of KR20220109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9679A/ko
Priority to KR1020230135022A priority patent/KR202301492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향 가능한 천연 추출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발향 천연 식물의 하이드로졸(hydrosol)과 추출물(extract)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추출 복합물을 함유함으로써 발향이 가능하고 미백, 주름개선, UV에 의한 세포 손상 보호와 같은 항노화 효과를 나타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발향 가능한 천연 추출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fragrant natural extract complex,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발향 가능한 천연 추출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향 천연 식물의 하이드로졸(hydrosol)과 추출물(extract)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추출 복합물을 함유함으로써 발향이 가능하고 미백, 주름개선, UV에 의한 세포 손상 보호와 같은 항노화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화장품에 이용되는 향료들은 착향제 내에 포함되어 있는 25가지 알러젠 물질들을 기재하도록 화장품법 시행규칙이 개정(개정 2019.12.16, 시행 2020.1.1.)되어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이 착향제에는 단순히 합성 착향제 뿐 아니라 천연 에센셜 오일 또한 착향제로 분류되고 있어 단순히 천연 착향제와 합성 착향제로 구분하여 25가지 알러젠 물질 기재를 회피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착향제로 분류되지 않는 천연 추출 복합물들을 이용하여 발향이 가능하도록 화장품에 이용하는 것은 착향제를 이용하지 않고 화장품에 향을 내는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한편 우리나라는 2018년 기준 도시계획현황 통계조사를 기준으로 총인구 5,182만명중 4,759만명이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나 91.8%의 높은 비율로 대다수의 인구가 도시에 거주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따라 도시에 거주하면서 나타나는 미세먼지와 환경오염, 자외선과 같은 외부 환경에 의한 스트레스와 담배, 알코올 섭취, 수면 부족과 같은 개인의 라이프스타일(life style), 공부나 직장생활에서 오는 스트레스 등에 의해 사람의 피부는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외부적인 요인과 개인의 유전적인 소인이 더해져 개인의 최종적인 피부의 노화정도가 결정되게 된다. 특히나 외부 환경에 의한 스트레스 중 UVB(280~320nm)를 포함한 자외선에서의 피부 노출은 피부에서 광노화 뿐만 아니라 피부 암까지도 유발하는 자극원으로 알려져있다. 자세하게는 일광화상, 과색소 침착, DNA 손상, 활성산소종 형성, 피부암을 발생시키며, 피부에는 엘라스틴, 피브릴린, 콜라겐을 분해하여 탄력 감소 및 주름형성을 촉진하는 피부 노화를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외부 환경 스트레스 요인들과 개인의 내재적인 요인들은 피부의 노화뿐 아니라 피부 흑화와도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피부의 흑화란 멜라노사이트(melanocyte)내에 타이로시나제(tyrosinase)가 타이로신을 산화시켜 결론적으로 멜라노좀(melanosome)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렇게 형성된 멜라노좀은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로 전달되어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며 활성산소(active oxygen species)(ROS)를 제거하는 등의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그러나 과도하게 생성된 멜라노좀은 피부 표면에 침착되어 기미나 주근깨 등을 나타내게 되어 지양되고 있다. 특히나 아시아 여성들은 잡티가 없는 하얀 피부를 선호하는 기호가 있어 미백 화장품을 사용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난다.
따라서 착향제로 분류되지 않는 천연 식물의 추출물 및 하이드로졸들을 이용하여 화장품 내에 발향이 가능하도록 만든 천연 추출 복합물에 대한 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렇게 조성된 천연 추출 복합물이 피부에 미백과 주름개선, 세포보호와 같은 생리적인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 특허등록번호 제10-2164506호
본 발명의 목적은 발향 천연 식물의 하이드로졸(hydrosol)과 추출물(extract)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연 추출 복합물을 제공하고 이러한 천연 추출 복합물을 화장료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함유시켜 발향이 가능하고 미백 및 주름 개선, UV에 의한 세포 손상 회복과 같은 항노화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발향 천연 식물의 하이드로졸(hydrosol)과 추출물(extract)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연 추출 복합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용어, '하이드로졸(Hydrosol(Floral Water))'은 발향 천연 식물 등에서 증류법을 사용하여 추출된 에센셜 오일의 수용액 혹은 클로이드 부유물을 일컬으며, 일반적으로 아로마 식물들을 스팀 증류하여 얻어진다. 하이드로졸은 에센셜 오일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동시에 얻어지며, 에센셜 오일은 상층 부분에 떠있게 되고 이를 제거하여 물과 같은 증류액, 즉 하이드로졸을 수득한다.
본 발명에서 하이드로졸(Hydrosol) 제조방법은 발향 천연 식물인 아로마 식물의 꽃잎, 잎사귀, 줄기, 뿌리 등을 수득하여, 일정한 크기로 세절 및 세척하여 건조한다. 건조한 아로마 식물에 증류수를 넣어 수증기 증류 추출장치에서 100 oC 이상의 고온 추출을 하고 상층부의 오일이 제거된 증류액을 콘덴서를 통해 응축하여 고유의 특이 향취를 포함하는 하이드로졸을 수득한다. 하이드로졸은 보관을 위해 프로판다이올, 부틸렌글라이콜, 펜틸렌글라이콜, 1,2-헥산다이올, 에틸헥실글리세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제를 투입하여 교반하고 여과하여 보관한다.
또한, '추출물(extract)'은 발향 천연 식물 등에서 증류법을 사용하여 추출된 수상인 하이드로졸과는 다르게 침지법을 사용하여 추출된 수상을 칭한다.
본 발명에서 추출물(Extract) 제조방법은 발향 천연 식물인 아로마 식물의 꽃잎, 잎사귀, 줄기, 뿌리 등을 수득하여, 일정한 크기로 세절 및 세척하여 건조한다. 건조한 아로마 식물을 정제수, 에탄올, 부틸렌글라이콜 및 프로판다이올, 펜틸렌글라이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에 투입하여 40 oC - 100 oC 사이의 온도에서 추출하여 고유의 특이 향취를 포함하는 추출물을 수득한다. 수득한 추출물은 저온에서 냉침하여 여과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용어, '천연 추출 복합물'이란 아로마 식물과 같은 발향 천연 식물 등에서 증류법, 침지법등 다양한 수단으로 발향이 가능하도록 추출된 하이드로졸(hydrosol)과 추출물(extract)을 포함하는 천연물들의 복합 조성물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용어, '항노화'는 피부 상태의 개선이나 완화와 같은 의미를 뜻하며, 구체적으로 피부의 주름개선, 미백, 보습, 탄력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증상 개선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하이드로졸은, 발향 천연 식물인 라임수, 비터오렌지꽃수, 오렌지꽃수, 오렌지수, 왕귤수, 레몬수, 만다린수, 편백수, 솔잣나무잎수, 두송열매수, 구주소나무잎수, 선백리향잎수, 동백꽃수, 귤꽃수, 위치하젤잎수, 위치하젤수, 위치하젤꽃수, 에버라스팅꽃수, 쟈스민꽃수, 센티드제라늄꽃수, 센티드제라늄수, 서양장미꽃수, 다마스크장미꽃수, 파인애플수, 코코넛수, 라즈베리수, 캐모마일꽃수, 애엽수, 카렌둘라꽃수, 수레국화꽃수, 병풀잎수, 캐모마일꽃수, 유칼립투스잎수, 라벤더꽃수, 라벤더수, 라반딘꽃수, 레몬버베나잎수, 레몬버베나수, 레몬밤꽃과 잎 및 줄기수, 로즈마리잎수, 세이지잎수, 세이지수, 클라리꽃과 잎 및 줄기수, 페퍼민트잎수, 티트리잎수, 회향수, 팔각회향수, 인삼수, 바닐라열매수, 피나무꽃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발향 천연 식물인 다마스크장미꽃봉오리추출물, 다마스크장미추출물, 다마스크장미꽃추출물, 프렌치로즈꽃추출물, 장미꽃추출물, 사향장미잎추출물, 영실추출물, 장미추출물, 코코넛추출물, 산딸기추출물, 카제푸트열매추출물, 블랙베리추출물, 블랙베리잎추출물, 장딸기열매/잎추출물, 라즈베리추출물, 라즈베리잎추출물, 멍석딸기추출물, 블루베리추출물, 블루베리잎추출물, 하이부쉬블루베리추출물, 덩굴월귤열매추출물, 서양톱풀추출물, 서양톱풀꽃추출물, 아그리모니추출물, 아그리모니잎추출물, 캐모마일꽃추출물, 캐모마일꽃수, 쓴쑥추출물, 청호추출물, 유기노추출물, 사철쑥꽃추출물, 쑥잎추출물, 타라곤잎/줄기추출물, 타라곤뿌리추출물, 요모기잎추출물, 쑥캘러스추출물, 애엽추출물, 애엽수, 알파인웜우드추출물, 쑥추출물, 불가리스쑥과 슈크로오스발효추출물, 카렌둘라추출물, 카렌둘라꽃추출물, 수레국화꽃추출물, 병풀추출물, 병풀잎추출물, 병풀잎수, 캐모마일추출물, 캐모마일꽃추출물, 캐모마일꽃과 잎추출물, 캐모마일꽃과 잎 및 줄기추출물, 캐모마일잎추출물, 국화꽃추출물, 레몬그라스추출물, 레몬그라스추출물, 레몬그라스잎추출물, 레몬그라스잎과 줄기추출물, 유칼립투스잎추출물, 좁은잎페퍼민트검꽃과 잎 및 줄기추출물, 히솝추출물, 라벤더추출물, 라벤더꽃추출물, 라벤더꽃과 잎 및 줄기추출물, 라반딘꽃추출물, 더치라벤더꽃과 잎 및 줄기추출물, 프렌치라벤더추출물, 레몬버베나꽃추출물, 레몬버베나잎추출물, 레몬버베나잎수, 레몬밤추출물, 레몬밤꽃과 잎 및 줄기추출물, 레몬밤잎추출물, 로즈마리추출물, 로즈마리꽃추출물, 로즈마리잎추출물, 세이지추출물, 세이지잎추출물, 베르가못민트잎추출물, 박하추출물, 박하꽃과 잎 및 줄기추출물, 박하잎추출물, 콘민트추출물, 페퍼민트캘러스배양추출물, 페퍼민트추출물, 페퍼민트꽃과 잎 및 줄기추출물, 페퍼민트잎추출물, 페니로얄추출물, 애플민트잎추출물, 양박하꽃과 잎 및 줄기추출물, 스피어민트추출물, 스피어민트잎추출물, 서양고추나물추출물, 서양고추나물꽃과 잎 및 줄기추출물, 티트리추출물, 티트리꽃과 잎 및 줄기추출물, 티트리잎추출물, 회향추출물, 회향잎추출물, 회향뿌리추출물, 회향씨추출물, 스파이크드진저릴리추출물, 팔각회향추출물, 월계수잎추출물, 오레가노꽃추출물, 오레가노잎추출물, 오레가노잎과 잎 및 줄기추출물, 인삼열매추출물, 인삼캘러스배양추출물, 인삼형성층세포배양추출물, 인삼꽃추출물, 인삼잎과 줄기추출물, 산삼배양근추출물, 인삼씨추출물, 인삼싹추출물, 바닐라콩추출물, 바닐라꽃추출물, 바닐라열매추출물, 발삼캐나다추출물, 로즈우드추출물, 침향추출물, 서던우드추출물, 위치하젤껍질과 잎추출물, 위치하젤껍질과 잎 및 잔가지추출물, 위치하젤껍질과 잔가지추출물, 백단향목부추출물, 피나무추출물, 피나무꽃추출물, 피나무추출물, 헬리크리섬꽃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이드로졸 및 추출물은, 천연 추출 복합물 총 중량대비 60중량% 내지 90중량%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함량이 60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뇌파의 안정화에 의한 스트레스 발생시 생성되는 베타파 감소를 통한 스트레스 완화의 심리적 안정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90중량%를 초과할 경우 이취 및 안정도상 변취에 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이드로졸과 추출물로 구성된 천연 추출 복합물은 화장료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함유되며, 화장료 조성물은 발향이 가능하고 미백, 주름개선 효능, UVB에 의한 세포 사멸에서 인간유래 피부각질형성세포(Human Epidermal keratinocyte)를 보호하는 항노화 효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추출 복합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대비 5중량% 내지 10중량%의 범위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5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뇌파의 안정화에 의한 스트레스 발생시 생성되는 베타파 감소를 통한 스트레스 완화의 심리적 안정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10중량%를 초과할 경우 이취 및 안정도상 변취에 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추출 복합물 제조방법은,
(S1)발향 천연 식물을 이용한 하이드로졸 제조단계;
(S2)발향 천연 식물을 이용한 추출물 제조단계;
(S3)상기 (S1) 및 (S2) 단계를 통해 각각 제조된 하이드로졸과 추출물을 프로판다이올, 부틸렌글라이콜, 펜틸렌글라이콜, 1,2-헥산다이올, 에틸헥실글리세린으로부터 선택된 1개 이상의 용매에서 교반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S1) 단계는,
발향 천연 식물을 일정한 크기로 세절 및 세척하여 건조하고,
건조한 식물에 증류수를 넣어 수증기 증류 추출장치에서 고온 추출을 한 다음,
오일이 제거된 증류액을 응축하여 고유의 특이 향취를 포함하는 하이드로졸을 수득하는 단계로 제조되며,
제조된 하이드로졸은 프로판다이올, 부틸렌글라이콜, 펜틸렌글라이콜, 1,2-헥산다이올, 에틸헥실글리세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제를 이용하여 여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S2) 단계는,
발향 천연 식물을 일정한 크기로 세절 및 세척하여 건조하고,
건조한 식물을 정제수, 에탄올, 부틸렌글라이콜 및 프로판다이올, 펜틸렌글라이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에 투입하여 40 oC - 100 oC 사이의 온도에서 추출하여 고유의 특이 향취를 포함하는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로 제조되며, 제조된 추출물은 저온에서 냉침하여 여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천연 추출 복합물은 하이드로졸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제1형 Procollagen(Procollagen Type 1) 합성 증가, UVB 노출에 의해 감소된 세포의 생존율 회복, α-MSH에 의해 유도된 멜라닌생성을 감소시키는 항노화 효과를 나타내어 피부상태 개선과 화장료 조성물에 향을 내기 위한 목적에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추출 복합물을 UVB를 일정시간 쬐어주어 세포사멸이 유도된 인간유래 피부각질형성세포인 HaCaT에 농도별로 처리하여 세포의 생존율을 측정하고,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이 UVB 환경에서 세포 보호 효과를 가지는지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추출 복합물과 양성 대조군(positive control)인 TGF-β를 인간 진피섬유아세포(Human dermal fibroblast)에 농도별로 처리하여 제1형 프로콜라겐(Procollagen Type 1) Elisa kit를 통하여 제1형 프로콜라겐(procollagen) 합성능 변화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생쥐 흑색종세포(Murine melanoma cell)인 B16F10에 α-MSH를 처리하여 멜라닌 합성을 유도하고 기존에 멜라닌 합성을 억제한다고 알려져 있는 알부틴(Arbutin)과 코직산(Kojic acid)을 처리하여 비교군을 설정한 뒤,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추출 복합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해당 물질이 멜라닌합성 저해능이 있는지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실시예 1> 천연 추출 복합물의 제조
<실시예 1-1> 하이드로졸(hydrosol(Floral Water)) 제조
하이드로졸(hydrosol)을 제조하기 위해, 발향 천연 식물인 라임수, 비터오렌지꽃수, 오렌지꽃수, 오렌지수, 왕귤수, 레몬수, 만다린수, 편백수, 솔잣나무잎수, 두송열매수, 구주소나무잎수, 선백리향잎수, 동백꽃수, 귤꽃수, 위치하젤잎수, 위치하젤수, 위치하젤꽃수, 에버라스팅꽃수, 쟈스민꽃수, 센티드제라늄꽃수, 센티드제라늄수, 서양장미꽃수, 다마스크장미꽃수, 파인애플수, 코코넛수, 라즈베리수, 캐모마일꽃수, 애엽수, 카렌둘라꽃수, 수레국화꽃수, 병풀잎수, 캐모마일꽃수, 유칼립투스잎수, 라벤더꽃수, 라벤더수, 라반딘꽃수, 레몬버베나잎수, 레몬버베나수, 레몬밤꽃과 잎 및 줄기수, 로즈마리잎수, 세이지잎수, 세이지수, 클라리꽃과 잎 및 줄기수, 페퍼민트잎수, 티트리잎수, 회향수, 팔각회향수, 인삼수, 바닐라열매수, 피나무꽃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꽃잎, 잎사귀, 줄기, 뿌리 등 적절한 부위를 수득하고, 이를 일정한 크기로 세절 및 세척하여 건조한다.
건조한 식물에 증류수를 넣어 수증기 증류 추출장치에서 100 oC 이상의 고온 추출을 하고 상층부의 오일이 제거된 증류액을 콘덴서를 통해 응축하여 고유의 특이 향취를 포함하는 하이드로졸을 수득한다.
하이드로졸은 보관을 위해 프로판다이올, 부틸렌글라이콜, 펜틸렌글라이콜 1,2-헥산다이올, 에틸헥실글리세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제를 투입하여 교반하고 여과하여 보관한다.
<실시예 1-2> 추출물(Extract)의 제조
발향 천연 식물인 다마스크장미꽃봉오리추출물, 다마스크장미추출물, 다마스크장미꽃추출물, 프렌치로즈꽃추출물, 장미꽃추출물, 사향장미잎추출물, 영실추출물, 장미추출물, 코코넛추출물, 산딸기추출물, 카제푸트열매추출물, 블랙베리추출물, 블랙베리잎추출물, 장딸기열매/잎추출물, 라즈베리추출물, 라즈베리잎추출물, 멍석딸기추출물, 블루베리추출물, 블루베리잎추출물, 하이부쉬블루베리추출물, 덩굴월귤열매추출물, 서양톱풀추출물, 서양톱풀꽃추출물, 아그리모니추출물, 아그리모니잎추출물, 캐모마일꽃추출물, 캐모마일꽃수, 쓴쑥추출물, 청호추출물, 유기노추출물, 사철쑥꽃추출물, 쑥잎추출물, 타라곤잎/줄기추출물, 타라곤뿌리추출물, 요모기잎추출물, 쑥캘러스추출물, 애엽추출물, 애엽수, 알파인웜우드추출물, 쑥추출물, 불가리스쑥과 슈크로오스발효추출물, 카렌둘라추출물, 카렌둘라꽃추출물, 수레국화꽃추출물, 병풀추출물, 병풀잎추출물, 병풀잎수, 캐모마일추출물, 캐모마일꽃추출물, 캐모마일꽃과 잎추출물, 캐모마일꽃과 잎 및 줄기추출물, 캐모마일잎추출물, 국화꽃추출물, 레몬그라스추출물, 레몬그라스추출물, 레몬그라스잎추출물, 레몬그라스잎과 줄기추출물, 유칼립투스잎추출물, 좁은잎페퍼민트검꽃과 잎 및 줄기추출물, 히솝추출물, 라벤더추출물, 라벤더꽃추출물, 라벤더꽃과 잎 및 줄기추출물, 라반딘꽃추출물, 더치라벤더꽃과 잎 및 줄기추출물, 프렌치라벤더추출물, 레몬버베나꽃추출물, 레몬버베나잎추출물, 레몬버베나잎수, 레몬밤추출물, 레몬밤꽃과 잎 및 줄기추출물, 레몬밤잎추출물, 로즈마리추출물, 로즈마리꽃추출물, 로즈마리잎추출물, 세이지추출물, 세이지잎추출물, 베르가못민트잎추출물, 박하추출물, 박하꽃과 잎 및 줄기추출물, 박하잎추출물, 콘민트추출물, 페퍼민트캘러스배양추출물, 페퍼민트추출물, 페퍼민트꽃과 잎 및 줄기추출물, 페퍼민트잎추출물, 페니로얄추출물, 애플민트잎추출물, 양박하꽃과 잎 및 줄기추출물, 스피어민트추출물, 스피어민트잎추출물, 서양고추나물추출물, 서양고추나물꽃과 잎 및 줄기추출물, 티트리추출물, 티트리꽃과 잎 및 줄기추출물, 티트리잎추출물, 회향추출물, 회향잎추출물, 회향뿌리추출물, 회향씨추출물, 스파이크드진저릴리추출물, 팔각회향추출물, 월계수잎추출물, 오레가노꽃추출물, 오레가노잎추출물, 오레가노잎과 잎 및 줄기추출물, 인삼열매추출물, 인삼캘러스배양추출물, 인삼형성층세포배양추출물, 인삼꽃추출물, 인삼잎과 줄기추출물, 산삼배양근추출물, 인삼씨추출물, 인삼싹추출물, 바닐라콩추출물, 바닐라꽃추출물, 바닐라열매추출물, 발삼캐나다추출물, 로즈우드추출물, 침향추출물, 서던우드추출물, 위치하젤껍질과 잎추출물, 위치하젤껍질과 잎 및 잔가지추출물, 위치하젤껍질과 잔가지추출물, 백단향목부추출물, 피나무추출물, 피나무꽃추출물, 피나무추출물, 헬리크리섬꽃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적절한 부위를 수득하여, 일정한 크기로 세절 및 세척하여 건조한다.
건조된 발향 천연 식물에 정제수, 에탄올, 부틸렌글라이콜 및 프로판다이올, 펜틸렌글라이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에 투입하여 40 oC - 100 oC 사이의 온도에서 추출하여 고유의 특이 향취를 포함하는 추출물을 수득한다. 수득한 추출물은 저온에서 냉침하여 여과한다.
<실시예 1-3> 하이드로졸(Hydrosol(Floral Water))과 추출물(Extract)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천연 추출 복합물 제조
상기 실시예1-1 및 실시예1-2를 통해 각각 제조되어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하이드로졸과 천연물을 프로판다이올, 부틸렌글라이콜, 펜틸렌글라이콜, 1,2-헥산다이올, 에틸헥실글리세린으로부터 선택된 1개 이상의 용매에서 상온에서 교반하여 혼합한다.
종류 함량
시료예1 (%) 시료예2 (%) 시료예3 (%)
다마스크장미꽃수 61.2 15 10
헬리크리섬꽃추출물 - - 15
라벤더꽃추출물 - 59.16 -
라벤더꽃수 1 - -
쑥잎추출물 - 49.66
동백나무꽃추출물 9.8 9.3 9.3
레몬밤잎추출물 3 - -
프로판다이올 - 15 14.5
부틸렌글라이콜 15 - -
펜틸렌글라이콜 9.8 0.5 0.5
1,2-헥산다이올 0.2 1 1
에틸헥실글리세린 - 0.04 0.04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하이드로졸 및 추출물은, 천연 추출 복합물 총 중량대비 60중량% 내지 90중량%의 범위로 포함된다.
60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뇌파의 안정화에 의한 스트레스 발생시 생성되는 베타파 감소를 통한 스트레스 완화의 심리적 안정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90중량%를 초과할 경우 이취 및 안정도상 변취에 대한 문제점이 있다.
<실험예 1 및 결과> 재료 및 실험방법
<재료>
세포배양에 필요한 Dulbecco Modified Eagle Medium(DMEM)과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 트립신-EDTA(Trypsin-EDTA), Dulbecco's Phosphate Buffered Saline(DPBS)은 미국의 Gibco사에서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Fibroblast Basal Medium(FBM), FGM-2 SingleQuot Kit Supplement & Growth Factors는 LONZA에서 구매 하였으며 세포생존율 측정 Kit는 한국의 두젠바이오(Dogen)에서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제1형 프로콜라겐(Procollagen Type 1) 측정 kit는 일본의 Takara에서 구매하여 이용하였다. α-MSH, 알부틴(Arbutin), 코직산(Kojic acid)은 Sigma-Aldrich로부터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세포배양>
인간유래 피부각질형성세포인 HaCaT, 생쥐 흑색종세포인 B16F10을 페니실린(100 IU/mL), 생쥐 대식세포(Murine macrophage)인 RAW 264.7을 스트렙토마이신(100 ug/mL), 10% FBS (fetal bovine serum)를 함유하는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를 넣고 37℃, 5%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배양기 내에서 배양하였다. 인간 진피섬유아세포를 페니실린(100 IU/mL), 스트렙토마이신(100 ug/mL), 보조제(supplement)를 함유하는 Fibroblast Basal Medium(FBM) 배지를 넣고 37℃, 5%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배양기내에서 배양하였다.
<실험예 2 및 결과> 천연 추출 복합물의 세포 독성 평가
(WST-1 assay) 96well plate에 인간 진피섬유아세포를 6 × 103cells/well씩, HaCaT을 1.5 × 104cells/well씩, RAW 264.7을 6 × 104cells/well씩, B16F10을 1.5 × 104cells/well씩 분주한 후, 세포 배양조건에서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배양액을 버리고 PBS로 세척한 다음 인간 진피섬유아세포는 보조제를 함유하지 않은 FBM 배지를, HaCaT, B16F10, RAW264.7 세포는 FBS를 함유하지 않은 DMEM 배지를 사용하여 세포를 기아상태로 만들어주었다. 다음 날, 일정 농도의 시험물질을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지에 10배 희석시킨 WST-1 시약을 각 well에 100 ul씩 넣고 2시간 배양 후,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는 대조군(control)과 비교하여 각각의 세포마다 독성이 나타나는 지점이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RAW 264.7에서는 낮은 시료예 1의 농도인 2.5%에서도 세포가 20% 사멸하나 인간 진피섬유아세포 HaCaT에서는 시료예 1의 2.5% 처리에서도 큰 세포독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B16F10에서는 시료예 1의 10% 처리에서도 세포사멸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세포 생존율을 수치화한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물질  농도 세포 생존율 (%)
NHF HaCat B16F10 RAW 264.7
대조군(Control) 100.0±1.5 100.0±1.0 100.0±2.6 100.0±0.1
시료예1 (%) 20 26.9±0.5 21.6±0.3 20.9±0.5 13.1±0.5
10 54.0±0.9 49.9±0.3 104.7±3.2 19.2±0.6
5 89.2±2.5 74.7±3.7 114.3±2.8 61.0±1.5
2.5 97.4±2.9 94.8±3.0 103.8±0.7 80.3±1.3
1.25 97.8±1.2 106.7±3.3 106.6±1.2 96.8±2.6
<실험예 3 및 결과> 인간유래 피부각질형성세포의 UVB 노출환경에서 천연 추출 복합물에 의한 세포 보호 효과
세포보호 평가 (WST-1 assay) 96well plate에 HaCaT을 1.5 × 104cells/well씩 분주한 후, 세포 배양조건에서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배양액을 버리고 PBS로 세척한 다음 FBS를 함유하지 않은 DMEM 배지를 사용하여 세포를 기아상태로 만들어주었다. 다음 날, 일정량의 UVB 조사 후 일정 농도의 시험물질을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지에 10배 희석시킨 WST-1 시약을 각 well에 100 ul씩 넣고 2시간 배양 후,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는 UVB 처리에 의한 생존율이 약 17% 감소하였던 HaCaT 세포의 생존율이 제공된 시료예 1의 처리 농도에 따라 세포의 생존율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시료예 1의 1% 처리는 UVB에 의해 감소되었던 세포 생존율을 12% 회복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HaCaT 세포의 생존율 변화는 표 3과 도 1에 자세하게 나타내었다.
시험물질 농도 세포 생존율 (%)
대조군(Control) 100±2.0
UVB 83.1±0.8
시료예1 (%) 1 95.1±1.6
0.5 89.8±2.6
0.25 85.7±1.8
<실험예 4 및 결과> 인간 진피섬유아세포의 천연 추출 복합물에 의한 제1형 프로콜라겐(Procollagen Type 1) 생성 촉진 효과
제1형 프로콜라겐 생성능 평가를 위해 96well plate에 인간 진피섬유아세포를 6 × 103cells/well씩 분주한 후, 세포 배양조건에서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배양액을 버리고 PBS로 세척한 다음 보조제를 함유하지 않은 FBM 배지를 사용하여 세포를 기아상태로 만들어주었다. 다음 날, 일정 농도의 시험물질을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제1형 프로콜라겐 Elisa kit를 이용하 여 실험 후,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최종 제1형 프로콜라겐의 양은 일정 단백질 당 제1형 프로콜라겐의 양으로 환산하여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였다.
실험결과는 시료예 1의 처리 농도에 따라 농도의존적으로 제1형 클로콜라겐 생성이 증가하였으며 0.4%의 농도에서 최고 60.8%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세한 제1형 프로콜라겐 생성량 변화는 표 4와 도 2에 나타내었다.
시험물질 농도 제1형 프로콜라겐 생성량(%)
대조군(Control) 100±3.7
TGF-β (ng/ml) 10 259.4±6.8
시료예1 (%) 0.4 160.8±3.9
0.2 121.6±4.2
0.1 89.2±5.3
<실험예 5 및 결과> 천연 추출 복합물에 의한 멜라닌 생성 억제능 확인
Melanin assay 24well plate에 B16F10을 2 × 104cells/well씩 분주한 후, 세포 배양조건에서 배 양하였다. 24시간 후, 멜라닌 생성 과정을 촉진하는 α-MSH 100 nM과 함께 일정 농도의 시험물질을 처리하여 72시간 배양하였다. 72시간 후, 세포 배양액을 immunoplate에 옮겨 세포 외 멜라닌(Release melanin)의 양을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배지를 제거하고 남은 세포는 PBS로 세척 후, 1N의 수산화나트륨을 100 ul를 넣고 용해시켰다. 용해시켜 얻은 세포 내 멜라닌(Cellular melanin)의 양을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 외 멜라닌 양과 세포 내 멜라닌 양을 일정 단백질 당 멜라닌 양으로 환산하여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α-MSH에 의해 175.1% 증가한 멜라닌 생성량이 시료예 1의 5% 농도에서 최고 136.9% 감소하였다. 멜라닌 생성량은 표 5와 도 3에 자세하게 나타냈다.
시험물질 농도 멜라닌 생성량 (%)
대조군(Control) 100.0±4.1
α-MSH 275.1±2.1
알부틴 (uM) 500 106.8±4.1
코직산 (ug/ml) 200 124.5±4.3

시료예1 (%)
5 138.2±3.5
2.5 282.1±9.1
1.25 325.0±5.2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추출 복합물은 하이드로졸(hydrosol)과 추출물(extract)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제1형 프로콜라겐 합성 증가, UVB 노출에 의해 감소된 세포의 생존율 회복, α-MSH에 의해 유도된 멜라닌생성을 감소시키는 항노화 효과를 나타내어 피부상태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추출 복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예를 설명하나, 다른 여러 가지 제형으로 응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형예 1> 유연화장수(스킨토너)
하기 표 6에 따른 함량으로 통상적인 방법으로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추출 복합물(시료예 1)이 향을 대체하므로 따로 가용화제가 첨가되지 않아도 투명한 형태의 유연화장수를 제조할 수 있다.
배합성분 함량 (중량 %)
시료예 1 10
글리세린 5
부틸렌글라이콜 3
프로판다이올 2
방부제 및 색소 적량
정제수 To 100
<제형예 2> 젤크림(수분크림)
하기 표 7에 따른 함량으로 통상적인 방법으로 젤크림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추출 복합물(시료예 1)이 향을 대체하므로 따로 가용화제가 첨가되지 않아도 투명한 형태의 젤크림을 제조할 수 있다.
배합성분 함량 (중량 %)
시료예 1 10
글리세린 5
부틸렌글라이콜 3
프로판다이올 2
카보머 0.4
트리에탄올아민 0.4
방부제 및 색소 적량
정제수 To 100
<제형예 3> 크림
하기 표 8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크림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추출 복합물 (시료예 1)이 향료를 대체하는 바 제형내에 착향제로 분류되는 성분은 포함되지 않는다.
배합성분 함량 (중량 %)
시료예 1 10
글리세린 5
부틸렌글라이콜 3
프로판다이올 2
카보머 0.4
트리에탄올아민 0.4
폴리솔베이트60 1.2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4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10
방부제 및 색소 적량
정제수 To 100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추출 복합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대비 5중량% 내지 10중량%의 범위로 포함된다.
5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뇌파의 안정화에 의한 스트레스 발생시 생성되는 베타파 감소를 통한 스트레스 완화의 심리적 안정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10중량%를 초과할 경우 이취 및 안정도상 변취에 대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Claims (14)

  1. 발향 천연 식물의 하이드로졸(hydrosol)과 추출물(extract)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추출 복합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졸은, 발향 천연 식물인 라임수, 비터오렌지꽃수, 오렌지꽃수, 오렌지수, 왕귤수, 레몬수, 만다린수, 편백수, 솔잣나무잎수, 두송열매수, 구주소나무잎수, 선백리향잎수, 동백꽃수, 귤꽃수, 위치하젤잎수, 위치하젤수, 위치하젤꽃수, 에버라스팅꽃수, 쟈스민꽃수, 센티드제라늄꽃수, 센티드제라늄수, 서양장미꽃수, 다마스크장미꽃수, 파인애플수, 코코넛수, 라즈베리수, 캐모마일꽃수, 애엽수, 카렌둘라꽃수, 수레국화꽃수, 병풀잎수, 캐모마일꽃수, 유칼립투스잎수, 라벤더꽃수, 라벤더수, 라반딘꽃수, 레몬버베나잎수, 레몬버베나수, 레몬밤꽃과 잎 및 줄기수, 로즈마리잎수, 세이지잎수, 세이지수, 클라리꽃과 잎 및 줄기수, 페퍼민트잎수, 티트리잎수, 회향수, 팔각회향수, 인삼수, 바닐라열매수, 피나무꽃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추출 복합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발향 천연 식물인 다마스크장미꽃봉오리추출물, 다마스크장미추출물, 다마스크장미꽃추출물, 프렌치로즈꽃추출물, 장미꽃추출물, 사향장미잎추출물, 영실추출물, 장미추출물, 코코넛추출물, 산딸기추출물, 카제푸트열매추출물, 블랙베리추출물, 블랙베리잎추출물, 장딸기열매와 잎추출물, 라즈베리추출물, 라즈베리잎추출물, 멍석딸기추출물, 블루베리추출물, 블루베리잎추출물, 하이부쉬블루베리추출물, 덩굴월귤열매추출물, 서양톱풀추출물, 서양톱풀꽃추출물, 아그리모니추출물, 아그리모니잎추출물, 캐모마일꽃추출물, 캐모마일꽃수, 쓴쑥추출물, 청호추출물, 유기노추출물, 사철쑥꽃추출물, 쑥잎추출물, 타라곤잎과 줄기추출물, 타라곤뿌리추출물, 요모기잎추출물, 쑥캘러스추출물, 애엽추출물, 애엽수, 알파인웜우드추출물, 쑥추출물, 불가리스쑥과 슈크로오스발효추출물, 카렌둘라추출물, 카렌둘라꽃추출물, 수레국화꽃추출물, 병풀추출물, 병풀잎추출물, 병풀잎수, 캐모마일추출물, 캐모마일꽃추출물, 캐모마일꽃과 잎추출물, 캐모마일꽃과 잎 및 줄기추출물, 캐모마일잎추출물, 국화꽃추출물, 레몬그라스추출물, 레몬그라스추출물, 레몬그라스잎추출물, 레몬그라스잎과 줄기추출물, 유칼립투스잎추출물, 좁은잎페퍼민트검꽃과 잎 및 줄기추출물, 히솝추출물, 라벤더추출물, 라벤더꽃추출물, 라벤더꽃과 잎 및 줄기추출물, 라반딘꽃추출물, 더치라벤더꽃과 잎 및 줄기추출물, 프렌치라벤더추출물, 레몬버베나꽃추출물, 레몬버베나잎추출물, 레몬버베나잎수, 레몬밤추출물, 레몬밤꽃과 잎 및 줄기추출물, 레몬밤잎추출물, 로즈마리추출물, 로즈마리꽃추출물, 로즈마리잎추출물, 세이지추출물, 세이지잎추출물, 베르가못민트잎추출물, 박하추출물, 박하꽃과 잎 및 줄기추출물, 박하잎추출물, 콘민트추출물, 페퍼민트캘러스배양추출물, 페퍼민트추출물, 페퍼민트꽃과 잎 및 줄기추출물, 페퍼민트잎추출물, 페니로얄추출물, 애플민트잎추출물, 양박하꽃과 잎 및 줄기추출물, 스피어민트추출물, 스피어민트잎추출물, 서양고추나물추출물, 서양고추나물꽃과 잎 및 줄기추출물, 티트리추출물, 티트리꽃과 잎 및 줄기추출물, 티트리잎추출물, 회향추출물, 회향잎추출물, 회향뿌리추출물, 회향씨추출물, 스파이크드진저릴리추출물, 팔각회향추출물, 월계수잎추출물, 오레가노꽃추출물, 오레가노잎추출물, 오레가노잎과 잎 및 줄기추출물, 인삼열매추출물, 인삼캘러스배양추출물, 인삼형성층세포배양추출물, 인삼꽃추출물, 인삼잎과 줄기추출물, 산삼배양근추출물, 인삼씨추출물, 인삼싹추출물, 바닐라콩추출물, 바닐라꽃추출물, 바닐라열매추출물, 발삼캐나다추출물, 로즈우드추출물, 침향추출물, 서던우드추출물, 위치하젤껍질과 잎추출물, 위치하젤껍질과 잎 및 잔가지추출물, 위치하젤껍질과 잔가지추출물, 백단향목부추출물, 피나무추출물, 피나무꽃추출물, 피나무추출물, 헬리크리섬꽃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추출 복합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졸 및 상기 추출물은, 천연 추출 복합물 총 중량대비 60중량% 내지 90중량%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추출 복합물.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천연 추출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추출 복합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대비 5중량% 내지 10중량%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발향과 미백, 주름개선 효능, UVB에 의한 세포 사멸에서 인간유래 피부각질형성세포를 보호하는 항노화 효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S1) 발향 천연 식물을 이용한 하이드로졸 제조단계;
    (S2) 발향 천연 식물을 이용한 추출물 제조단계;
    (S3) 상기 (S1) 및 (S2) 단계를 통해 각각 제조된 하이드로졸과 추출물을 프로판다이올, 부틸렌글라이콜, 펜틸렌글라이콜, 1,2-헥산다이올, 에틸헥실글리세린으로부터 선택된 1개 이상의 용매에서 교반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추출 복합물 제조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S1) 단계는,
    발향 천연 식물을 일정한 크기로 세절 및 세척하여 건조하고,
    건조한 식물에 증류수를 넣어 수증기 증류 추출장치에서 고온 추출을 한 다음,
    오일이 제거된 증류액을 응축하여 특이 향취를 포함하는 하이드로졸을 수득하는 단계로 제조되며,
    제조된 하이드로졸은 프로판다이올, 부틸렌글라이콜, 펜틸렌글라이콜, 1,2-헥산다이올, 에틸헥실글리세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제를 이용하여 여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추출 복합물 제조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S1) 단계의 하이드로졸을 제조하는데 이용되는 발향 천연 식물은,
    라임수, 비터오렌지꽃수, 오렌지꽃수, 오렌지수, 왕귤수, 레몬수, 만다린수, 편백수, 솔잣나무잎수, 두송열매수, 구주소나무잎수, 선백리향잎수, 동백꽃수, 귤꽃수, 위치하젤잎수, 위치하젤수, 위치하젤꽃수, 에버라스팅꽃수, 쟈스민꽃수, 센티드제라늄꽃수, 센티드제라늄수, 서양장미꽃수, 다마스크장미꽃수, 파인애플수, 코코넛수, 라즈베리수, 캐모마일꽃수, 애엽수, 카렌둘라꽃수, 수레국화꽃수, 병풀잎수, 캐모마일꽃수, 유칼립투스잎수, 라벤더꽃수, 라벤더수, 라반딘꽃수, 레몬버베나잎수, 레몬버베나수, 레몬밤꽃과 잎 및 줄기수, 로즈마리잎수, 세이지잎수, 세이지수, 클라리꽃과 잎 및 줄기수, 페퍼민트잎수, 티트리잎수, 회향수, 팔각회향수, 인삼수, 바닐라열매수, 피나무꽃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추출 복합물 제조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S2) 단계는,
    발향 천연 식물을 일정한 크기로 세절 및 세척하여 건조하고,
    건조한 식물을 정제수, 에탄올, 부틸렌글라이콜 및 프로판다이올, 펜틸렌글라이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에 투입하여 40 oC - 100 oC 사이의 온도에서 추출하여 특이 향취를 포함하는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로 제조되며,
    제조된 추출물은 저온에서 냉침하여 여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추출 복합물 제조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S2) 단계의 추출물을 제조하는데 이용되는 발향 천연 식물은,
    다마스크장미꽃봉오리추출물, 다마스크장미추출물, 다마스크장미꽃추출물, 프렌치로즈꽃추출물, 장미꽃추출물, 사향장미잎추출물, 영실추출물, 장미추출물, 코코넛추출물, 산딸기추출물, 카제푸트열매추출물, 블랙베리추출물, 블랙베리잎추출물, 장딸기열매와 잎추출물, 라즈베리추출물, 라즈베리잎추출물, 멍석딸기추출물, 블루베리추출물, 블루베리잎추출물, 하이부쉬블루베리추출물, 덩굴월귤열매추출물, 서양톱풀추출물, 서양톱풀꽃추출물, 아그리모니추출물, 아그리모니잎추출물, 캐모마일꽃추출물, 캐모마일꽃수, 쓴쑥추출물, 청호추출물, 유기노추출물, 사철쑥꽃추출물, 쑥잎추출물, 타라곤잎과 줄기추출물, 타라곤뿌리추출물, 요모기잎추출물, 쑥캘러스추출물, 애엽추출물, 애엽수, 알파인웜우드추출물, 쑥추출물, 불가리스쑥과 슈크로오스발효추출물, 카렌둘라추출물, 카렌둘라꽃추출물, 수레국화꽃추출물, 병풀추출물, 병풀잎추출물, 병풀잎수, 캐모마일추출물, 캐모마일꽃추출물, 캐모마일꽃과 잎추출물, 캐모마일꽃과 잎 및 줄기추출물, 캐모마일잎추출물, 국화꽃추출물, 레몬그라스추출물, 레몬그라스추출물, 레몬그라스잎추출물, 레몬그라스잎과 줄기추출물, 유칼립투스잎추출물, 좁은잎페퍼민트검꽃과 잎 및 줄기추출물, 히솝추출물, 라벤더추출물, 라벤더꽃추출물, 라벤더꽃과 잎 및 줄기추출물, 라반딘꽃추출물, 더치라벤더꽃과 잎 및 줄기추출물, 프렌치라벤더추출물, 레몬버베나꽃추출물, 레몬버베나잎추출물, 레몬버베나잎수, 레몬밤추출물, 레몬밤꽃과 잎 및 줄기추출물, 레몬밤잎추출물, 로즈마리추출물, 로즈마리꽃추출물, 로즈마리잎추출물, 세이지추출물, 세이지잎추출물, 베르가못민트잎추출물, 박하추출물, 박하꽃과 잎 및 줄기추출물, 박하잎추출물, 콘민트추출물, 페퍼민트캘러스배양추출물, 페퍼민트추출물, 페퍼민트꽃과 잎 및 줄기추출물, 페퍼민트잎추출물, 페니로얄추출물, 애플민트잎추출물, 양박하꽃과 잎 및 줄기추출물, 스피어민트추출물, 스피어민트잎추출물, 서양고추나물추출물, 서양고추나물꽃과 잎 및 줄기추출물, 티트리추출물, 티트리꽃과 잎 및 줄기추출물, 티트리잎추출물, 회향추출물, 회향잎추출물, 회향뿌리추출물, 회향씨추출물, 스파이크드진저릴리추출물, 팔각회향추출물, 월계수잎추출물, 오레가노꽃추출물, 오레가노잎추출물, 오레가노잎과 잎 및 줄기추출물, 인삼열매추출물, 인삼캘러스배양추출물, 인삼형성층세포배양추출물, 인삼꽃추출물, 인삼잎과 줄기추출물, 산삼배양근추출물, 인삼씨추출물, 인삼싹추출물, 바닐라콩추출물, 바닐라꽃추출물, 바닐라열매추출물, 발삼캐나다추출물, 로즈우드추출물, 침향추출물, 서던우드추출물, 위치하젤껍질과 잎추출물, 위치하젤껍질과 잎 및 잔가지추출물, 위치하젤껍질과 잔가지추출물, 백단향목부추출물, 피나무추출물, 피나무꽃추출물, 피나무추출물, 헬리크리섬꽃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추출 복합물 제조방법.
  13. 제 8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천연 추출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추출 복합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대비 5중량% 내지 10중량%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10012970A 2021-01-29 2021-01-29 발향 가능한 천연 추출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0967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2970A KR20220109679A (ko) 2021-01-29 2021-01-29 발향 가능한 천연 추출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230135022A KR20230149272A (ko) 2021-01-29 2023-10-11 발향 가능한 천연 추출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2970A KR20220109679A (ko) 2021-01-29 2021-01-29 발향 가능한 천연 추출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5022A Division KR20230149272A (ko) 2021-01-29 2023-10-11 발향 가능한 천연 추출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9679A true KR20220109679A (ko) 2022-08-05

Family

ID=8282649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2970A KR20220109679A (ko) 2021-01-29 2021-01-29 발향 가능한 천연 추출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230135022A KR20230149272A (ko) 2021-01-29 2023-10-11 발향 가능한 천연 추출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5022A KR20230149272A (ko) 2021-01-29 2023-10-11 발향 가능한 천연 추출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2010967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4506B1 (ko) 2019-02-12 2020-10-13 한국프라임제약주식회사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4506B1 (ko) 2019-02-12 2020-10-13 한국프라임제약주식회사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9272A (ko) 2023-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202708B (zh) 包含植物细胞复合体培养物的皮肤改善用化妆品组合物
JP5970148B2 (ja) チロシナーゼ活性阻害剤、メラニン産生抑制剤、及びSCFmRNA発現抑制剤
KR20210004672A (ko) 식물 캘러스 고압 균질 파쇄물을 포함하는 외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825256B1 (ko) 차풀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차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주름방지용 화장료조성물
KR20150064515A (ko) 목련목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742029B1 (ko) 레스베라트롤 생합성 발아현미를 함유하는 피부노화 및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415996B1 (ko) 화산석 송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68532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51274A (ko) 효소 처리된 차나무 뿌리 유래 사포닌 분획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805872B1 (ko) 엽록소가 제거된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093500A (ko) 노루오줌 추출물
KR101974502B1 (ko) 회리바람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용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81541B1 (ko) 산소 정화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109679A (ko) 발향 가능한 천연 추출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20059656A (ja) メラニン分解促進剤
KR20230140853A (ko) 아세틸 헥사펩타이드-8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 케어 조성물
KR101619710B1 (ko) 튤립나무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333189B1 (ko) 상백피 및 호장근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기능성 조성물
KR102168533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81692B1 (ko) 희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진정, 피부보습 또는 피부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26179B1 (ko) 해녀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45955B1 (ko) 쥐손이풀 추출물, 윈터그린 추출물, 및 캐너비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콜라게네이즈의 활성을 억제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19711B1 (ko) 오미자 나무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479095B1 (ko) 때죽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ÇANKAYA Obtaining Cosmetic Raw Materials from the Natural Resources of Turkey and Getting Them to the Indust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