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9084A - 분실물 신고/사용제한/습득 처리를 위한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시스템 - Google Patents

분실물 신고/사용제한/습득 처리를 위한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9084A
KR20220109084A KR1020210012343A KR20210012343A KR20220109084A KR 20220109084 A KR20220109084 A KR 20220109084A KR 1020210012343 A KR1020210012343 A KR 1020210012343A KR 20210012343 A KR20210012343 A KR 20210012343A KR 20220109084 A KR20220109084 A KR 20220109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lost
cloud platform
personal information
platform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2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성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퍼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퍼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퍼플러스
Priority to KR1020210012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9084A/ko
Publication of KR20220109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90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06F21/6245Protecting personal data, e.g. for financial or medical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08Systems for anonymous communication between parties, e.g. by use of disposal contact ident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QR코드와 사용자 앱(App) 및 클라우드 플랫폼을 상호 연동하여 앱 사용자의 중요물품(각종 신분증, 출입증, 학생증, 여권 및 카드 등)의 분실신고 및 사용제한 조치에 편리함을 제공하고, 클라우드 플랫폼의 대표번호로 분실자와 습득자가 상호 익명으로 통화하여 사용자의 개인정보(전화번호)를 보호하고 분실한 중요 물품을 회수할 수 있도록 한 분실물 신고/사용제한/습득 처리를 위한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분실물 신고/사용제한/습득 처리를 위한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시스템{Cloud platform service system for report/use restriction/acquisition processing of lost items}
본 발명은 분실물 신고/사용제한/습득 처리를 위한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QR코드와 사용자 앱(App) 및 클라우드 플랫폼을 상호 연동하여 앱 사용자의 중요물품(각종 신분증, 출입증, 학생증, 여권 및 카드 등)의 분실신고 및 사용제한 조치에 편리함을 제공하고, 클라우드 플랫폼의 대표번호로 분실자와 습득자가 상호 익명으로 통화하여 사용자의 개인정보(전화번호)를 보호하고 분실한 중요 물품을 회수할 수 있도록 한 분실물 신고/사용제한/습득 처리를 위한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각종 출입증은 소속 조직(학교, 회사, 학원, 병원 방문객용 출입카드 등)의 신분증과 출입을 위한 보안카드로 이중 사용되고 있다. 여권의 경우 출입국시 출입국관리소의 출국 및 입국 신고 및 신분증 대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아울러 은행별로 다양한 신용카드가 발급되고 있으며, 교통을 위한 교통카드 등도 발급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신분증(학생증, 사원증, 회원증, 여권 등) 및 카드는 각 개인이 다양한 용도로 여러 개를 보유하고 있다.
신분증이나 카드를 분실할 경우 일일이 소속 조직의 관리자에게 전화하여 분실신고를 하는 불편이 있다. 또한, 분실된 출입증을 습득한 사람이 임의로 사용하여 범죄를 일으키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근래에는 감염병 확진자가 대학교의 학생증을 습득하여 대학교 내 도서관, 강의실 등을 출입하여 감염병을 전파하여 대학교가 폐쇄되고 접촉자가 격리되는 등 큰 사회적 피해를 발생시킨 사례도 있다.
이러한 출입증, 신분증, 여권, 카드 등의 분실 신고는 일일이 소속기관이나 담당 행정기관에 전화신고하거나 방문하여 신고하는 많은 불편함이 있고, 분실신고가 늦어지거나 할 경우 불법 습득하여 무단 사용되는 경우도 있으며, 특히 감염병의 경우는 시간을 다투는 사항으로 큰 사회적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여권은 외국 방문 시 현지에서 분실할 경우 난감한 상황이 될 뿐만 아니라 여행이나 업무차 방문인 경우 한정된 시간에서 많은 시간적, 금전적 손해가 발생되고, 특정 국가에서는 신분이 불분명한 외국인으로 오인되어 곤란한 입장이 될 수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경우 방문국 현지 한국 영사관에 전화하여 분실신고를 하여야 하나, 영사관 업무는 항상 바쁜 상황으로 전화연락을 통한 대응에 시간이 걸리기에 직접 방문하여 분실신고 및 임시 여권을 발행받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손쉽게 분실물의 신고나 사용을 제한시키고, 습득자와 분실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면서 연락을 취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바우처 카드의 경우, 대부분 정부나 지자체에서 경제적 약자들을 위해 다양한 복지수단으로서 취약계층에게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대상은 대부분이 경제적 약자로서 초, 중, 고 학생들과 노인 등의 취약계층이다.
이러한 복지카드를 수령하여 PC 상에서 카드번호 등을 입력하여 소유자 등록을 하고, 만일 분실 시 바우처 카드 운영 대행 은행으로 전화신고를 하여 습득자가 무단으로 사용치 못하게 하는 방법이 있지만, 인터넷을 통한 은행업무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들이 많아 PC를 통한 수령카드의 등록 및 사용법을 모르거나 불편한 부분이 많아 사용자 등록을 안 하는 경우도 많다.
대부분의 바우처 카드의 경우 복지 대상자가 주민센터나 구청 등의 지자체를 직접 방문하여 수령하고 있다.
이때 복지 담당 공무원들로부터 바우처 카드의 인터넷 등록 방법 등을 고지받거나 팸플릿과 같은 설명서를 받지만 대부분은 은행이 바우처 카드의 대행업무를 하고 있고, 노인이나 중, 고학생들은 비경제 인구이다 보니 인터넷 금융업무를 잘 모르거나 익숙하지 않다.
따라서 바우처 카드와 같은 복지 카드에 대하여, 인터넷이나 컴퓨터 등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라도 좀 더 간편하게 사용자 등록을 하기 위한 방법도 요구되고 있다.
분실물을 좀 더 쉽게 찾기 위해서 종래에 제안된 기술이 하기의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에는 고유코드를 이용하기 때문에 개인 정보의 노출 없이 물품에 표시를 하고 분실물을 용이하게 찾을 수 있으며, 분실물 알림 또는 채팅 서비스 제공 시에는 사용자 또는 습득자의 계정 정보를 비노출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와 습득자가 개인 정보 노출의 위험 없이 안전하게 분실물 반환을 위한 연락을 취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특허문헌 1> 은 분실물에 대하여 쉽게 분실 신고를 하고, 분실물에 대하여 타인이 사용하는 것을 신속하게 제한(사용 잠금)하는 것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04979(2015.03.17. 등록)(메신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한 분실물 찾기 서비스 제공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신분증 및 카드의 분실 신고 및 사용 제한의 어려움과 분실물의 회수 어려움을 해결하고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QR코드와 사용자 앱(App) 및 클라우드 플랫폼을 상호 연동하여 앱 사용자의 중요물품(각종 신분증, 출입증, 학생증 및 여권 등)의 분실신고 및 사용제한 조치에 편리함을 제공하고, 클라우드 플랫폼의 대표번호로 분실자와 습득자가 상호 익명으로 통화하여 사용자의 개인정보(전화번호)를 보호하고 분실 중요 물품을 회수할 수 있도록 한 분실물 신고/사용제한/습득 처리를 위한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실물 신고/사용제한/습득 처리를 위한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시스템"은,
분실물의 신고와 사용제한 또는 습득 처리 시 익명통화 기능을 위한 정보가 내장되며, 물건에 부착되는 식별코드;
상기 식별코드를 스캔하여 획득한 웹 사이트에 접속하고, 접속된 착신자와 대표번호 익명통화 기능을 이용하여 통화를 하는 발신 단말;
분실물의 신고와 사용제한 또는 습득 처리를 위한 개인정보 보호앱을 설치하고, 상기 개인정보 보호앱을 통해 상기 식별코드의 발행 요청과 분실물의 신고 및 사용제한을 처리하며, 대표번호 익명통화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발신 단말과 통화를 하는 착신 단말;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 개인정보 보호앱을 이용하여 발행 요청된 식별코드를 발행하고,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 분실물의 신고 및 사용제한이 발생하면 관련 서버에 분실물의 신고 및 사용제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해주고, 발신 단말에 의해 습득 정보가 발생하면 상기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간의 대표번호 익명통화 기능으로 통화를 중개해주어 습득자와 분실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식별코드는 고유번호, 익명통화 서비스 제공 플랫폼의 URL, 사용자 영역의 해쉬태그 및 제조사의 제품코드가 내장된 QR 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대표번호 익명통화 기능은 발신 단말의 정보가 개인정보 보호정보로 변환되어 착신 단말로 전송되며, 착신 단말의 정보도 개인정보 보호정보로 변환되어 발신 단말로 전송되고, 양자가 익명통화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개인정보 보호정보는 "대표번호와 전화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서버는,
상기 발신 단말에서 식별코드를 통해 접속이 이루어지면, 웹 화면을 통해 습득물 관련 정보를 표시해주고, 습득자가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입력한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대표번호 익명통화 기능을 통해 "대표번호와 전화 식별정보"로 변환하여 발신 단말로 전송하여, 습득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QR코드와 사용자 앱(App) 및 클라우드 플랫폼을 상호 연동하여 앱 사용자의 중요물품(각종 신분증, 출입증, 학생증, 여권, 카드 등)의 분실신고 및 사용제한 조치에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클라우드 플랫폼의 대표번호로 분실자와 습득자가 상호 익명으로 통화하여 사용자의 개인정보(전화번호)를 보호하고 분실 중요 물품을 회수할 수 있도록 도모해주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실물 신고/사용제한/습득 처리를 위한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서버의 실시 예 개략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 서버에서 분실물 신고/사용제한/습득 처리를 개인정보 보호 방법으로 처리해주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분실시 QRcall 앱의 원 터치 분실신고로 사용 제한 조치를 취하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교통카드/바우처 카드 등의 분실 시 QRcall앱의 원 터치분실신고로 사용 제한 조치를 취하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분실물 습득자가 QR 코드 스캔으로 분실자와 익명 통화하고 분실을 회수해주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공공정보 민간활용 개방 및 공동인증제도에 따른 QR코드 적용 가능 서비스 모델 예시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분실물 신고/사용제한/습득 처리를 위한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실물 신고/사용제한/습득 처리를 위한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시스템"의 개략 구성도로서, 식별코드(10), 발신 단말(20),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서버(30), 관련 서버(40) 및 착신 단말(50)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코드(10)는 분실물의 신고와 사용제한 또는 습득 처리 시 익명통화 기능을 위한 정보가 내장되며, 물건에 부착되는 코드이다.
이러한 식별코드는 고유번호, 익명통화 서비스 제공 플랫폼의 URL, 사용자 영역의 해쉬 태그 및 제조사의 제품코드가 내장된 QR 코드로 구현할 수 있다.
발신 단말(20)은 상기 식별코드(10)를 스캔하여 획득한 웹 사이트에 접속하고, 접속된 착신자와 대표번호 익명통화 기능을 이용하여 통화를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발신 단말(20)은 분실물을 습득한 습득자가 사용하는 단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발신 단말(20)은 휴대전화,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집 또는 사무실 전화와 같은 연락 가능한 수단으로 구현할 수 있다.
착신 단말(50)은 분실물의 신고와 사용제한 또는 습득 처리를 위한 개인정보 보호앱(App)인 QRcall 앱을 설치하고, 상기 개인정보 보호앱을 통해 상기 식별코드(10)의 발행 요청과 분실물의 신고 및 사용제한을 처리하며, 대표번호 익명통화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발신 단말(20)과 통화를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착신 단말(50)은 물건을 분실한 분실자가 사용하는 단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착신 단말(50)은 휴대전화,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집 또는 사무실 전화와 같은 연락 가능한 수단으로 구현할 수 있다.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 서버(30)는 상기 착신 단말(50)로부터 개인정보 보호앱을 이용하여 발행 요청된 식별코드를 발행하고, 상기 착신 단말(50)로부터 분실물의 신고 및 사용제한이 발생하면 관련 서버(40)에 분실물의 신고 및 사용제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해주고, 발신 단말(20)에 의해 습득 정보가 발생하면 상기 발신 단말(20)과 착신 단말(50) 간의 대표번호 익명통화 기능으로 통화를 중개해주어 습득자와 분실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대표번호 익명통화 기능은 발신 단말의 정보가 개인정보 보호정보로 변환되어 착신 단말로 전송되며, 착신 단말의 정보도 개인정보 보호정보로 변환되어 발신 단말로 전송되고, 양자가 익명통화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개인정보 보호정보는 "대표번호와 전화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서버(30)는 상기 발신 단말(20)에서 식별코드(10)를 통해 접속이 이루어지면, 웹 화면을 통해 습득물 관련 정보를 표시해주고, 습득자가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입력한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대표번호 익명통화 기능을 통해 "대표번호와 전화 식별정보"로 변환하여 발신 단말(50)로 전송하여, 습득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한다.
이러한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 서버(3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실자가 착신 단말(50)에 개인정보 보호앱을 설치하고, 상기 개인정보 보호 앱을 이용하여 분실물의 신고와 사용제한 처리에 편리함을 도모하고, 습득자와 익명 통화를 위한 식별 코드(10)의 발생 정보를 제공하면, 고유번호와 익명통화 서비스 제공 플랫폼의 URL, 사용자 영역의 해시 태그, 제조사의 제품 코드 등을 내장한 QR 코드를 생성하여 등록하거나, 상기 개인정보 보호앱을 통해 구입된 물품의 미등록된 QR코드를 스캔하여 제공하면 QR코드 정보에 고객 정보와 익명통화 서비스 제공 플랫폼의 URL 및 사용자 영역의 해시 태그 정보를 부가하여 식별코드를 생성하여 등록하는 식별코드 등록부(31), 분실자가 사용하는 착신 단말(50)로부터 전송된 분실 신고 및 사용제한 정보를 접수하는 분실 신고/사용제한 접수부(32), 습득자가 사용하는 발신 단말(20)로부터 습득한 물건에 포함된 QR 코드를 통해 접속이 이루어지면, 습득 신고 정보를 접수하는 습득신고 접수부(33), 상기 습득신고 접수부(33)에서 접수된 QR 코드의 진위를 검증하는 식별코드 검증부(34), 상기 분실 신고/사용제한 접수부(32)에서 접수한 분실 신고 및 사용제한 정보를 기초로 관련 서버(40)를 탐색하고, 탐색한 관련 서버(40)에 분실 신고와 분실물의 사용 제한을 신고하는 분실신고/사용제한 처리부(35), 상기 발신 단말(20)의 발신 정보를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개인정보 보호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착신 단말(50)의 착신 정보를 개인정보 호호를 위한 개인정보 보호정보로 변환하는 개인정보 변환부(36), 및 상기 개인정보 변환부(36)에서 변환한 보호정보를 기반으로 인터넷 프로토콜 사설 교환망(IP-PBX)을 이용하여 전화를 중개해주는 익명통화 중개부(37)를 포함할 수 있다.
관련 서버(40)는 각종 신분증, 출입증, 학생증, 여권 및 카드 등의 분실물을 관리하는 서버로서, 관공서 서버, 카드를 처리하는 은행 서버, 출입증을 관리하는 회사 서버, 학생증을 관리하는 학교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에에 따른 분실물 신고/사용제한/습득 처리를 위한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시스템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분실물의 신고나 사용제한을 편리하게 처리하고, 익명으로 습득자와 통화를 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착신 단말(50)은 개인정보 보호앱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고, 상기 개인정보 보호앱을 이용하여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 서버(30)에 접속하여, 식별코드(10)를 등록한다.
여기서 식별코드(10)를 등록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개인정보 보호앱을 통해 개인 정보를 제공하고 제품의 코드 정보 등을 제공한 후 식별코드(10)의 발행을 요청하거나, 구입된 물품의 미등록된 QR 코드를 스캔하여 제공하고 식별코드(10)의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식별코드(10)의 요청이 발생하면,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서버(30)의 식별코드 등록부(31)는 식별코드를 생성하여 발행하거나 등록한다.
예컨대, 개인정보(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등)와 제조사의 제품 코드 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코드 발생정보가 수신되면, 식별코드의 고유번호를 생성하고, 익명통화 서비스 제공 플랫폼의 URL, 클라우드 플랫폼 내의 고객 고유영역에 접속할 수 있는 사용자 영역의 해시 태그, 제조사의 제품 코드 및 생성한 고유번호 등을 암호화하여 내장한 QR 코드를 생성하여 등록한다. 생성된 식별코드(10)인 QR 코드는 스티커, 태그, 라벨 형태 등으로 제작하여 사용자에게 우편발송하거나 생성된 QR 코드를 이메일로 사용자에게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는 식별 코드를 스티커로 제작한 것으로 가정한다.
다른 방법으로서, 상기 개인정보 보호앱을 통해 구입된 물품의 미등록된 QR코드를 스캔하여 제공하면, QR코드 정보에 고객 정보와 익명통화 서비스 제공 플랫폼의 URL 및 사용자 영역의 해시 태그 정보를 부가하여 식별코드를 생성하여 등록할 수 있다.
사용자는 발행받은 식별 코드(10) 스티커를 중요물품(예를 들어, 카드, 여권, 신분증, 출입증, 학생증 등)에 부착한다. 여기서 식별 코드(10)의 개수는 기본개수가 설정되어 있으며, 기본 개수를 초과하는 식별 코드의 발행 요청 시 별도의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QR 코드 스티커를 우편으로 수령할 경우, QR 코드 스티커는 이미 고객용으로 가입된 스티커이기에 사용자는 개인의 중요물품에 부착하고, 개인정보 보호 앱의 관리자 모드에서 QR코드를 부착하는 물품의 종류별 명칭(이어폰, 학생증, 사원증, 여권, 휴대전화, 계약서류 등)을 부여하고 저장함과 동시에 서비스가 시작된다.
사용자는 식별 코드(10)가 부착된 물건을 분실하면, 상기 착신 단말(50)에 설치된 개인정보 보호앱을 실행하여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 서버(30)에 접속하고, 상기 개인정보 보호앱의 기능 중 분실 신고 및 사용 제한 기능을 선택하여, 분실 신고 및 사용 제한을 요청한다. 이때, 분실물이 어느 것인지를 구분하여 제공해야 한다.
교통카드, 바우처 카드(일명 복지카드) 또한 신분증과 같이 QR 코드가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 서버(30)에 동일하게 등록되어 있으며, 분실신고/사용제한 접수부(32)는 분실자가 신고한 내용을 접수한다. 여기서 분실물을 활용하여 타인이 도용할 우려가 있는 분실물에 대해서는 분실 신고와 사용제한을 동시에 하고, 타인이 도용하여 사용할 수 없는 분실물에 대해서는 신고만 한다.
분실신고/사용제한 처리부(35)는 접수된 분실 신고 정보 또는 사용 제한 정보를 기초로, 관련 서버(40)를 탐색한다.
예컨대, 분실 신고 및 사용 제한 정보의 대상 품목이 카드이면, 식별 코드에 포함된 카드사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카드를 운영하는 카드 운영회사의 관리시스템에 자동 접속을 한다. 이후, 분실신고 및 사용 제한 정보를 제공하여 카드 분실 신고 및 사용제한을 대행해준다. 여기서 분실 신고 및 사용제한 신고 시 본인임을 인증받는 과정을 거쳐 본인인증이 되면 각종 카드를 관리하는 운영회사의 시스템에서 분실 신고를 접수하고, 이의 사용을 방지하기 위해 해당 카드를 분실카드로 등록한다. 분실물이 교통 카드일 경우, 교통카드 관리 시스템에서 각각의 교통카드 리더기로 분실 신고 정보를 전송하여, 지하철, 버스, 택시 및 편의점 등과 같은 사용처의 리더기로 인식불가 코드를 전송하여, 습득자가 습득한 교통 카드를 임의로 사용할 수 없도록 한다.
한편, 개인정보 보호 앱을 설치하지 않은 분실물을 습득한 습득자가 발신 단말(20)을 이용하여 분실물에 부착된 식별 코드(10)를 촬영하면, URL을 통해 자동으로 식별 코드(10)에 내장된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 서버(30)에 접속된다.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 서버(30)는 접속 정보를 기초로 분실물임을 판단하고, 습득신고 접수부(33)에서 발신 단말(20)의 화면에 분실물이라는 정보를 표출해준다. 여기서 분실물 정보의 표출시 분실물의 습득을 신고할 수 있는 정보 화면을 표출해주어, 습득자가 쉽게 분실물의 습득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분실된 신분증입니다. 빈칸의 연락처 란에 습득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확인버튼을 클릭하여 주시면 연결이 안 될 경우 회신할 수 있음"이라는 메시지를 표출해준다. 습득자는 이러한 메시지를 보고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도 있으며, 불필요하다 생각되면 전화번호를 입력하지 않을 수도 있다.
습득자가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공지사항에 대한 확인버튼을 클릭하면, 스마트폰에 접속한 웹 화면 하단에 전화버튼이 디스플레이되며, 스마트폰 하단의 전화번호 버튼을 누르시면 통화가 연결됩니다라는 문구가 기본적으로 표시된다.
필요에 따라 별도의 칸에 분실자가 등록해 놓은, 습득자에 대한 별도의 부탁의 글로 개인적인 후사나 감사함 등을 적어놓을 수도 있다.
이는, 습득자로 하여금 수신 가능한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정보가 될 수 있으며, 습득자가 확인버튼을 누르면 사용자 웹 화면 하단의 전화연결버튼을 클릭할 수 있도록 진하게 활성화하고, 이를 클릭하면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 서버(30)의 개인정보 변환부(36)에서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익명통화 기능을 위해 "대표번호와 전화 식별정보"로 변환한다.
즉, 여기서 대표번호 익명통화 기능을 위해 미리 설정된 번호이다.
여기서 개인정보 보호정보로 발신 단말의 전화번호만을 대표번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면, 분실자가 스펨 번호로 오인하여 전화를 받지 않을 우려가 있다. 따라서 해당 대표번호가 분실물 습득 전화라는 것을 인지시켜 줄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전화 식별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전화 식별정보의 예시로, 이어폰 습득전화, 여권 습득전화, 학생증 습득 전화, 교통카드 습득전화 등이 될 수 있다.
익명통화 중개부(37)는 상기 개인정보 변환부(36)에서 변환한 보호정보를 기반으로 인터넷 프로토콜 사설 교환망(IP-PBX)을 이용하여 전화를 중개해준다. 여기서 전화 중개라 함은 IP-PBX를 이용하여 상기 발신 단말(20)과 착신 단말(50) 간의 문자 전송이나, 전화를 연결해주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발신 단말(20)에는 익명통화 기능으로 다시금 분실자의 전화정보를 대표번호를 통하여 발신 단말(2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실자와 습득자가 상호 대표번호를 통한 익명통화가 되도록 하여, 물품습득을 위한 후속 조치(연락처 교환 등)를 취하면 분실된 물품의 회수가 용이해 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 서버에서 분실물 신고/사용제한/습득 처리를 개인정보 보호 방법으로 처리해주는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분실시 QRcall 앱의 원 터치(One Touch) 분실신고로 사용 제한 조치를 취하는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서 교통카드/바우처 카드 등의 분실 시 QRcall앱의 원 터치분실신고로 사용 제한 조치를 취하는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분실물 습득자가 QR 코드 스캔으로 분실자와 익명 통화하고 분실을 회수해주는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서 공공정보 민간활용 개방 및 공동인증제도에 따른 QR코드 적용 가능 서비스 모델 예시 도이다.
한편, 분실 카드에 인쇄된 QR 코드를 스캔하여 분실한 사람에게 연락이 되어 회수될 경우에는 분실한 사람은 충전된 금액의 손실을 방지하게 되며 혹여 분실을 걱정하여 교통 카드 등에 많은 금액을 충전하지 않는 카드 사용자도 충전 금이 증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 교통카드 운영사에게도 이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클라우드 플랫폼의 대표번호를 통하여 소유자에게 대표번호로 전화연결하여 분실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함과 동시에 분실물 습득이 가능토록 하고, 습득자의 정보 노출도 방지하여 습득자의 정보도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 WEB 접속 화면에서 신고내용을 확인할 수 있고 이때, 스마트폰으로 접속된 화면의 전화연결 버튼을 클릭하여 익명으로 분실자와 직접통화하고 회수토록 하면 취약층의 바우처 카드의 분실에 따른 복지혜택 미수혜 피해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취약계층을 간접적으로나마 지원하여줄 수 있다.
본 발명은 물건 습득자와 분실자의 개인정보인 전화번호를 대표번호로 변환하여 전화를 중개해줌으로써, 개인정보인 전화번호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개인정보 보호를 최적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10: 식별 코드
20: 발신 단말
30: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 서버
31: 식별코드 등록부
32: 분실 신고/사용제한 접수부
33: 습득신고 접수부
34: 식별코드 검증부
35: 분실신고/사용제한 처리부
36: 개인정보 변환부
37: 익명통화 중개부

Claims (5)

  1. 분실물의 신고와 사용제한 또는 습득 처리 시 익명통화 기능을 위한 정보가 내장되며, 물건에 부착되는 식별코드;
    상기 식별코드를 스캔하여 획득한 웹 사이트에 접속하고, 접속된 착신자와 대표번호 익명통화 기능을 이용하여 통화를 하는 발신 단말;
    분실물의 신고와 사용제한 또는 습득 처리를 위한 개인정보 보호앱을 설치하고, 상기 개인정보 보호앱을 통해 상기 식별코드의 발행 요청과 분실물의 신고 및 사용제한을 처리하며, 대표번호 익명통화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발신 단말과 통화를 하는 착신 단말; 및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 개인정보 보호앱을 이용하여 발행 요청된 식별코드를 발행하고,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 분실물의 신고 및 사용제한이 발생하면 관련 서버에 분실물의 신고 및 사용제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해주고, 발신 단말에 의해 습득 정보가 발생하면 상기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간의 대표번호 익명통화 기능으로 통화를 중개해주어 습득자와 분실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물 신고/사용제한/습득 처리를 위한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시스템.
  2. 청구항 1에서, 상기 식별코드는 고유번호, 익명통화 서비스 제공 플랫폼의 URL, 사용자 영역의 해시 태그 및 제조사의 제품코드가 내장된 QR 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물 신고/사용제한/습득 처리를 위한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시스템.
  3. 청구항 1에서, 상기 대표번호 익명통화 기능은 발신 단말의 정보가 개인정보 보호정보로 변환되어 착신 단말로 전송되며, 착신 단말의 정보도 개인정보 보호정보로 변환되어 발신 단말로 전송되어, 양자가 익명통화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물 신고/사용제한/습득 처리를 위한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시스템.
  4. 청구항 3에서, 상기 개인정보 보호정보는 "대표번호와 전화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물 신고/사용제한/습득 처리를 위한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시스템.
  5. 청구항 1에서,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서버는,
    상기 발신 단말에서 식별코드를 통해 접속이 이루어지면, 웹 화면을 통해 습득물 관련 정보를 표시해주고, 습득자가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입력한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대표번호 익명통화 기능을 통해 "대표번호와 전화 식별정보"로 변환하여 발신 단말로 전송하여, 습득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물 신고/사용제한/습득 처리를 위한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시스템.

KR1020210012343A 2021-01-28 2021-01-28 분실물 신고/사용제한/습득 처리를 위한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시스템 KR202201090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2343A KR20220109084A (ko) 2021-01-28 2021-01-28 분실물 신고/사용제한/습득 처리를 위한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2343A KR20220109084A (ko) 2021-01-28 2021-01-28 분실물 신고/사용제한/습득 처리를 위한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9084A true KR20220109084A (ko) 2022-08-04

Family

ID=82837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2343A KR20220109084A (ko) 2021-01-28 2021-01-28 분실물 신고/사용제한/습득 처리를 위한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0908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979B1 (ko) 2013-02-01 2015-03-24 선병일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한 분실물 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979B1 (ko) 2013-02-01 2015-03-24 선병일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한 분실물 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02874A (ko) 자격증명 서비스 제공자를 통한 자격증명 검증 및 발행
US20060200582A1 (en) Unique identifier addressing and messaging enabling transfer of digital communication, content, and commerce
JP2014515142A (ja) 端末によってエンティティを認証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JP2011134003A (ja) 宅配物受取システム
JP2002032596A (ja) 電子商取引方法および電子商取引に用いられるプロフィール変換装置
WO2018078517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 internet identity based on the user&#39;s existing verifiable identity
JP4719164B2 (ja) 配送物受渡管理システム及び配送物受渡管理プログラム
JP6871296B2 (ja) 仲介サーバ、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KR20160008824A (ko) 온라인을 통한 경조사 알림 토탈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1041074A (ja) 身分証明システムおよび認証局サーバならびに身分証明方法
KR20220109084A (ko) 분실물 신고/사용제한/습득 처리를 위한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시스템
KR20150082775A (ko)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이체방법 및 시스템
JP5193935B2 (ja) 領収書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080017530A (ko) 개인이나 회사, 단체 등의 실제 정보를 하나의가상아이디로 통합하여 서비스하는 방법
JP2005173678A (ja) 来訪者事前特定システム
JPH11175626A (ja) 個人情報管理システム
WO2010140191A1 (ja) 情報通信ネットワーク
US20100223193A1 (en) Card-not-present fraud prevention
JP2004295507A (ja) 携帯機器を用いた身分証明方法,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130026002A (ko) 이동전화장치로 주소명판을 읽어들여 주소지에 대응하는 코드 계정에 저장된 우편물 파일 혹은 데이터를 관리하는 주소지 기반의 메일 사서함 서비스
CN110678887A (zh) 名片信息管理系统和名片信息管理程序
KR20020037651A (ko) 통신상의 문서 발행과 그 문서의 진위성 검증을 위한서비스 제공 방법
JP4718131B2 (ja) 個人情報管理システム
KR101340313B1 (ko) 메시지 통합관리 장치 및 방법
WO2017058093A1 (en) Identification method and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