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9059A -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 Google Patents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9059A
KR20220109059A KR1020210012290A KR20210012290A KR20220109059A KR 20220109059 A KR20220109059 A KR 20220109059A KR 1020210012290 A KR1020210012290 A KR 1020210012290A KR 20210012290 A KR20210012290 A KR 20210012290A KR 20220109059 A KR20220109059 A KR 20220109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nanoliposome
amino clay
bound
metal amin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2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철
문주영
반 빈 트란
Original Assignee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12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9059A/ko
Publication of KR20220109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90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4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oxygen, halogen, nitrogen or sulfur, e.g. cyclomethicone or phospholip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or phosphorus
    • A61K8/585Organosilicon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Liposomes
    • A61K9/1271Non-conventional liposomes, e.g. PEGylated liposomes, liposomes coated wit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3Nanosized, i.e. having sizes below 100 n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2Preparation or application process involves sonication or ultrasonic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rd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지질 이중층(lipid bilayer)을 포함하는 구형 소포(spherical vesicle) 인 나노리포좀과 상기 나노리포좀 표면, 내부 또는 외부에 물리적 또는 화학적 결합된 층상규산염의 금속아미노점토를 포함하는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NANOLIPOSOME COMBINED WITH METAL AMINO CLAY,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COSMETIC USING SAME}
본 발명은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 이상의 지질 이중층(lipid bilayer)을 포함하는 구형 소포(spherical vesicle) 인 나노리포좀과 상기 나노리포좀 표면, 내부 또는 외부에 물리적 또는 화학적 결합된 층상규산염의 금속아미노점토를 포함하는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포좀은 하나 이상의 지질 이중층을 갖는 구형 소포(spherical vesicle) 이다.
이러한 리포좀은 영양소, 화장료 및 약제학적 약물의 투여를 위한 전달체로 사용될 수 있다.
리포솜 전달체를 나노크기로 제작한 나노리포좀을 임상적 적용하였을 때 보여진 우수한 효과로 인해,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러나, 리포좀을 나노크기로 제작한 나노리포좀은 쉽게 분해되는 안정성 결여 및 고비용 생산의 문제가 남아있다.
본 출원인은 여러 연구를 통하여 나노리포좀에 금속아미노점토를 결합하여 나노리포좀의 안정성을 증진시키는 방법을 획득하였고, 또한 금속아미노점토가 결합된 나노리포좀을 저비용으로 제조하는 방법을 획득하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95858호(특허공고일: 2014년05월15일)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쉽게 분해되지 않고 안정성이 높은 금속아미노점토가 결합된 나노리포좀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활성물질을 고함량으로 수용하는 금속아미노점토가 결합된 나노리포좀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항산화도가 우수한 금속아미노점토가 결합된 나노리포좀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pH, 온도, 수용되는 활성물질 등 여러 조건에서 안정적으로 제조되는 금속아미노점토가 결합된 나노리포좀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지질 이중층(lipid bilayer)을 포함하는 구형 소포(spherical vesicle) 인 나노리포좀; 및
상기 나노리포좀 표면, 내부 또는 외부에 물리적 또는 화학적 결합된 층상규산염의 금속아미노점토;를 포함하는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으로,
상기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의 외부 직경은 2 nm 내지 950 nm이고,
상기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의 표면은 양전하를 나타내고,
상기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의 다분산 지수(polydispersity index, PDI)는 0.1 내지 0.7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은
생화학적 화합물, 생물학적 화합물 또는 화학적 화합물을 둘러싼 친수성 포어를 구성하는 내부 친수성 물질; 및
상기 내부 친수성 물질과 상기 하나 이상의 지질 이중층(lipid bilayer)으로 연결된 외부 친수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금속아미노점토는 금속 이온과 아미노실란의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금속아미노점토의 금속 이온은 마그네슘, 칼슘, 알루미늄, 철, 세륨, 타이타늄, 주석, 망간, 아연, 니켈, 구리, 및 코발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금속 이온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금속아미노점토의 아미노실란은 (3-aminopropyl)triethoxysilane, (3-aminopropyl)methoxydiethoxysilane, (3-aminopropyl)trimethoxysilane, Bis(3-triethoxysilylpropyl)amine, 및 Bis(3-trimethoxysilylpropyl)ami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부 친수성 물질은 Phosphatidic Acid(PA), Phosphatidyl Ethanolamine(PE), Phosphatidyl Choline(PC), Phosphatidyl Serine(PS), Phosphatidyl Inositol(PI), 및 Phosphatidyl Glycerol(PG)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 친수성 물질은 Phosphatidic Acid(PA), Phosphatidyl Ethanolamine(PE), Phosphatidyl Choline(PC), Phosphatidyl Serine(PS), Phosphatidyl Inositol(PI), 및 Phosphatidyl Glycerol(PG)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나 이상의 지질 이중층의 지질은 지방산으로 구성되며,
상기 지방산은 Butyric acid(C4), Valerianic acid(C5), Caproic acid(C6) Caprylic acid(C8), Capric acid(C10), Lauric acid(C12), Myristic acid(C14), Palmitic acid(C16), Oleic aicd(C18), Linoleic acid(C18), Linolenic acid(C18), Arachidic acid(C20), Behenic acid(C22), 및 Erucic acid(C2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생화학적 화합물 또는 생물학적 화합물은
비타민 C, 비타민 A, 비타민 D, 비타민 B 군, 비타민 K, 또는 비타민 E의 비타민류;
호르몬, 항체, 효소, 아미노산, 단백질, 뉴클레오타이드, 단당류, 이당류, 다당류, 및 지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탄소 기반 화합물;
무기화합물;
식품류;
또는 상기 비타민류, 상기 탄소 기반 화합물, 상기 무기화합물 및 상기 식품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복합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적 화합물은
향료, 물, 오일, 계면활성제, 보습제, 폴리올, 폴리머, 방부제, 착색물질, 연화제, 주름개선제, 항산화제, 또는 미백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구성 성분;
백신, 면역계 활성화제, 성장인자, 단일클론항체, 대체효소, 응고인자, 약학 활성 물질, 약학 활성 물질의 염, 유전자, 또는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약물 구성 성분;
또는 화학 반응 촉매, 화학 원료, 또는 화학 합성 결과물을 포함하는 화학제품 구성 성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a) 리포좀 박막 필름 공정을 수행하여 리포좀 박막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리포좀 박막을 물로 수화한 후 생화학적 화합물, 생물학적 화합물 및 화학적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활성 물질을 용액 상태로 투입하여 상기 활성 화합물이 수용된 리포좀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활성 화합물이 수용된 리포좀 용액을 초음파 처리하여 활성 화합물이 수용된 나노리포좀을 제조하는 단계;
(d) 금속아미노점토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e) 상기 활성 화합물이 수용된 나노리포좀을 상기 금속아미노점토 용액에 투입하여 활성 화합물이 수용되고 금속아미노점토가 결합된 나노리포좀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 리포좀 박막 필름 공정을 수행하여 리포좀 박막을 제조하는 단계는
레시틴, 콜레스테롤, 또는 계면활성제를 각각 또는 함께 용해시킨 용액을 혼합하여 5 ℃ 내지 90 ℃의 반응온도에서 10 분 내지 36 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용매를 증발시켜 리포좀 박막 필름인 리포좀 박막을 제조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b) 단계의 리포좀 용액의 pH는 0.5 내지 13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c) 단계의 초음파 처리 시간은 5 분 내지 3 시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d) 금속아미노점토 용액 제조하는 단계는
(ⅰ) 금속 전구체를 유기용매에 용해시켜 금속 전구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ⅱ) 상기 금속 전구체 용액에 아미노실란을 투입하고 교반하여 금속아미노점토 용액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금속아미노점토는 금속 이온(M2+, M3+, M4+)과 아미노실란이 졸-겔법을 이용하여 형성되고 상기 금속아미노점토에 금속산화물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ⅰ) 단계의 상기 금속 전구체는
마그네슘, 칼슘, 알루미늄, 철, 세륨, 타이타늄, 주석, 망간, 아연, 니켈, 구리, 및 코발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금속의 염화화합물, 탄산화합물, 질산화합물, 황산화합물 및 이들의 수화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ⅱ) 단계의 상기 아미노실란은
(3-aminopropyl)triethoxysilane, (3-aminopropyl)methoxydiethoxysilane, (3-aminopropyl)trimethoxysilane, Bis(3-triethoxysilylpropyl)amine, 및 Bis(3-trimethoxysilylpropyl)ami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을 이용한 화장료, 약물, 건강보조식품, 음식물, 또는 화학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은 수용성 용매, 지용성 용매 또는 양쪽성 용매에서 장기간 안정하게 나노리포좀 형상이 유지되므로, 안정한 활성물질 전달체로서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은 활성물질 수용 능력이 월등하고, 항산화도가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은 다양한 나노크기로 제작할 수 있어, 여러 활성물질의 전달체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 제조방법은 여러 pH 와 여러 온도에서 높은 수율로 제조될 수 있어 공정 효율이 높고, 저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과 아연-아미노점토가 결합되고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산화제인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 제조방법의 공정흐름도와 시료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연-아미노점토가 결합되고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 제조방법의 공정흐름도 및 시료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연-아미노점토가 결합되고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의 장기 안정성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연-아미노점토가 결합되고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의 DPPH 항산화도 분석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연-아미노점토가 결합되고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의 ABTS 항산화도 분석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지질 이중층(lipid bilayer)을 포함하는 나노리포좀과 상기 나노리포좀 표면, 내부 또는 외부에 물리적 또는 화학적 결합된 층상규산염의 금속아미노점토를 포함하는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은
하나 이상의 지질 이중층(lipid bilayer)을 포함하는 구형 소포(spherical vesicle) 인 나노리포좀; 및
상기 나노리포좀 표면, 내부 또는 외부에 물리적 또는 화학적 결합된 층상규산염의 금속아미노점토;를 포함하는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으로,
상기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의 외부 직경은 2 nm 내지 950 nm이고,
상기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의 표면은 양전하를 나타내고,
상기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의 다분산 지수(polydispersity index, PDI)는 0.1 내지 0.7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은 다양한 나노크기로 제작할 수 있어, 여러 활성물질의 전달체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은 수용성 용매, 지용성 용매 또는 양쪽성 용매에서 장기간 안정하게 나노리포좀 형상이 유지되므로, 안정한 활성물질 전달체로서 적용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하나 이상의 지질 이중층(lipid bilayer)을 포함하는 구형 소포(spherical vesicle) 인 나노리포좀의 구조는 구형 소포 구조이면서 내부 친수성 물질, 인지질 이중층, 외부 친수성 물질이 연속적으로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나노리포좀 표면, 내부 또는 외부에 물리적 또는 화학적 결합된 층상규산염의 금속아미노점토를 포함하는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으로 상기 층상규산염의 금속아미노점토는 상기 나노리포좀을 둘러쌀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의 외부 직경은 2 nm 내지 950 nm으로, 상기 나노리포좀의 나노크기에 금속아미노점토가 나노크기로 결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의 외부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50 nm 내지 700 nm 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nm 내지 450 nm 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은 금속아미노점토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의 외부 직경이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의 표면은 양전하를 나타내어 상기 나노리포좀의 표면 음전하를 금속아미노점토의 양전하로 과량 치환할 수 있어 상기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의 표면은 양전하를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상기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의 금속아미노점토 함량이 증가할수록 상기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의 표면은 더욱 큰 양전하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의 표면 전하는 동적광산란(DLS; dynamic light scattering) 방법을 사용하여 제타전위(Zeta potential)를 측정하여 표면의 전하(charge)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의 표면 전하는 +2 mV 내지 +50 mV 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의 표면 전하는 바람직하게는 +3 mV 내지 +45 mV 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 mV 내지 +40 mV 일 수 있다.
일예로, 금속아미노점토로서 아연-아미노점토가 0.1 wt% 내지 0.5 wt% 결합되고, 순수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ZnAC VC-NLPs)의 제타전위(Zeta potential)는 +5 mV 내지 +35 mV 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순수 비타민 C는 하기 화학구조식 1과 같이, L-ascorbic acid의 -OH 작용기가 -ONa 등으로 개질이 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Figure pat00001
(화학구조식 1)
또한, 상기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의 다분산 지수(polydispersity index, PDI)는 0.1 내지 0.7 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의 다분산 지수(polydispersity index, PDI)는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7 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5 내지 0.7 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의 다분산 지수(polydispersity index, PDI)는 분자량 분포를 나타내며, 상기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의 수평균분자량(Mn)에 대한 상기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의 중량평균분자량(Mw)의 비율(Mw/Mn)로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상기 분자량 분포가 균일한 분포를 가질수록 다분산 지수(polydispersity index, PDI) 값은 1에 수렴하게 되며, 상기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의 다분산 지수(polydispersity index, PDI)는 0.1 내지 0.7 로서 저분산 내지 균일분산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은 금속아미노점토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다분산 지수(polydispersity index, PDI)가 증가하는 균일 분산의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일예로, 금속아미노점토로서 아연-아미노점토가 0.1 wt% 내지 0.5 wt% 결합되고, 순수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ZnAC VC-NLPs)의 다분산 지수(polydispersity index, PDI)는 0.3 내지 0.7 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은 금속아미노점토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pH가 증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은 금속아미노점토의 pH는 1 내지 10 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은 금속아미노점토의 pH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9 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8 일 수 있다.
일예로, 금속아미노점토로서 아연-아미노점토가 0.1 wt% 내지 0.5 wt% 결합되고, 순수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ZnAC VC-NLPs)의 pH는 3.8 내지 7.5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은 활성물질 수용능력이 월등하다.
여기서, 상기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의 활성물질 수용능력(Encapsulation efficiency)은 활성물질의 흡광도를 자외선-가시광선 분광분석법(UV-Vis spectroscopy)으로 정량하여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상기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의 활성물질 수용능력(Encapsulation efficiency)은 20 % 내지 80 % 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의 활성물질 수용능력(Encapsulation efficiency)은 바람직하게는 30 % 내지 70 % 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 내지 60 % 일 수 있다.
일례로, 금속아미노점토로서 아연-아미노점토가 0.1 wt% 내지 0.5 wt% 결합되고, 순수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ZnAC VC-NLPs)은 비타민 C 수용능력(Encapsulation efficiency)이 38 % 내지 55 %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은 항산화도가 우수하다.
여기서, 상기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의 항산화도는 DPPH 라디칼 소거활성과 ABTS 라디칼 소거활성으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DPPH 라디칼 소거활성(2,2-diphenyl-1-picrylhydrazyl(DPPH) scavenging)은 자외선-가시광선 분광분석법(UV-Vis spectroscopy)으로 517 nm 파장에서의 흡광도로 분석할 수 있고, ABTS 라디칼 소거활성(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ABTS) scavenging)은 자외선-가시광선 분광분석법(UV-Vis spectroscopy)으로 734 nm 파장의 흡광도로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초기 대비하여 실온에서 30 일 방치하면 5 % 내지 30 % 감소할 수 있고, 초기 대비하여 37 ℃에서 30일 방치하면 45 % 내지 80 % 감소할 수 있다.
반면, 순수 비타민 C 수용액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초기에 98.4 %에서 실온에서 30 일 방치하면 50.3 %를 나타내고, 37 ℃에서 30 일 방치하면 10.2 %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순수 비타민 C 용액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초기 대비하여 실온에서 30 일 방치하면 48 % 정도 감소할 수 있고, 초기 대비하여 37 ℃에서 30일 방치하면 88 % 정도 감소할 수 있다.
일례로, 금속아미노점토로서 아연-아미노점토가 0.1 wt% 내지 0.5 wt% 결합되고, 순수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ZnAC VC-NLPs)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초기에 95 % 내지 98.5 %에서 실온에서 30 일 방치하면 55 % 내지 90 %를 나타내고, 37 ℃에서 30 일 방치하면 18 %에서 50 %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금속아미노점토로서 아연-아미노점토가 0.1 wt% 내지 0.5 wt% 결합되고, 순수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ZnAC VC-NLPs)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이 상기 순수 비타민 C 수용액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보다 월등하여 상기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의 항산화도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의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초기 대비하여 실온에서 30 일 방치하면 5 % 내지 40 % 감소할 수 있고, 초기 대비하여 37 ℃에서 30일 방치하면 45 % 내지 83 % 감소할 수 있다.
반면, 순수 비타민 C 수용액의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초기에 99.5 %에서 실온에서 30 일 방치하면 48.2 %를 나타내고, 37 ℃에서 30 일 방치하면 9.5 %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순수 비타민 C 용액의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초기 대비하여 실온에서 30 일 방치하면 51.3 % 정도 감소할 수 있고, 초기 대비하여 37 ℃에서 30일 방치하면 90 % 정도 감소할 수 있다.
일례로, 금속아미노점토로서 아연-아미노점토가 0.1 wt% 내지 0.5 wt% 결합되고, 순수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ZnAC VC-NLPs)의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초기에 95 % 내지 99.3 %에서 실온에서 30 일 방치하면 55 % 내지 90 %를 나타내고, 37 ℃에서 30 일 방치하면 15 %에서 50 %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금속아미노점토로서 아연-아미노점토가 0.1 wt% 내지 0.5 wt% 결합되고, 순수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ZnAC VC-NLPs)의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이 상기 순수 비타민 C 수용액의 ABTS 라디칼 소거활성보다 월등하여 상기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의 항산화도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은
생화학적 화합물, 생물학적 화합물 또는 화학적 화합물을 둘러싼 친수성 포어를 구성하는 내부 친수성 물질; 및
상기 내부 친수성 물질과 상기 하나 이상의 지질 이중층(lipid bilayer)으로 연결된 외부 친수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부 친수성 물질과 상기 외부 친수성 물질은 동일 물질이거나 다른 물질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 친수성 물질과 상기 외부 친수성 물질은 2 종류 이상의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지질 이중층(lipid bilayer)은 필요에 따라 미셀(micelle) 구조 또는 역마이셀(reverse micelle) 구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금속아미노점토는 금속 이온과 아미노실란의 화합물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금속아미노점토의 금속 이온은 마그네슘, 칼슘, 알루미늄, 철, 세륨, 타이타늄, 주석, 망간, 아연, 니켈, 구리, 및 코발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금속 이온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금속아미노점토의 아미노실란은 (3-aminopropyl)triethoxysilane, (3-aminopropyl)methoxydiethoxysilane, (3-aminopropyl)trimethoxysilane, Bis(3-triethoxysilylpropyl)amine, 및 Bis(3-trimethoxysilylpropyl)ami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금속아미노점토는 금속 이온과 실란의 화합물일 수 있으며, 상기 실란의 종류는 황 함유 실란, 알킬기 함유 실란, 무기 실란, 유기 실란등이 있으며, 앞의 열거한 예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내부 친수성 물질은 Phosphatidic Acid(PA), Phosphatidyl Ethanolamine(PE), Phosphatidyl Choline(PC), Phosphatidyl Serine(PS), Phosphatidyl Inositol(PI), 및 Phosphatidyl Glycerol(PG)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 친수성 물질은 Phosphatidic Acid(PA), Phosphatidyl Ethanolamine(PE), Phosphatidyl Choline(PC), Phosphatidyl Serine(PS), Phosphatidyl Inositol(PI), 및 Phosphatidyl Glycerol(PG)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나 이상의 지질 이중층의 지질은 지방산으로 구성되며,
상기 지방산은 Butyric acid(C4), Valeric acid(C5), Caproic acid(C6) Caprylic acid(C8), Capric acid(C10), Lauric acid(C12), Myristic acid(C14), Palmitic acid(C16), Oleic aicd(C18), Linoleic acid(C18), Linolenic acid(C18), Arachidic acid(C20), Behenic acid(C22), 및 Erucic acid(C2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생화학적 화합물 또는 생물학적 화합물은
비타민 C, 비타민 A, 비타민 D, 비타민 B 군, 비타민 K, 또는 비타민 E의 비타민류;
호르몬, 항체, 효소, 아미노산, 단백질, 뉴클레오타이드, 단당류, 이당류, 다당류, 및 지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탄소 기반 화합물;
무기화합물;
식품류;
또는 상기 비타민류, 상기 탄소 기반 화합물, 상기 무기화합물 및 상기 식품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복합체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생화학적 화합물 또는 생물학적 화합물은 상기 열거한 물질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화학적 화합물은
향료, 물, 오일, 계면활성제, 보습제, 폴리올, 폴리머, 방부제, 착색물질, 연화제, 주름개선제, 항산화제, 또는 미백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구성 성분;
백신, 면역계 활성화제, 성장인자, 단일클론항체, 대체효소, 응고인자, 약학 활성 물질, 약학 활성 물질의 염, 유전자, 또는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약물 구성 성분;
또는 화학 반응 촉매, 화학 원료, 또는 화학 합성 결과물을 포함하는 화학제품 구성 성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학적 화합물은 상기 열거한 물질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과 아연-아미노점토가 결합되고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VC-Nanoliposome)은 내부 친수성 코어에 비타민 C가 수용 또는 담지되며, 내부는 인지질 이중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인지질 이중층으로 연결된 외부는 친수성 물질로 구성된 나노리포좀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아연-아미노점토가 결합되고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ZnAc combined VC-nanoliposomes)은 상기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VC-Nanoliposome) 표면에 아연-아미노점토를 물리적 결합 또는 화학적 결합시켜 수용성 용매 환경, 지용성 용매 환경 또는 양쪽성 용매 환경에서 안정한 형상으로 장기간 유지될 수 있다.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 제조방법
본 발명은 활성 화합물이 수용된 나노리포좀에 금속아미노점토를 결합시킨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 제조방법은
(a) 리포좀 박막 필름 공정을 수행하여 리포좀 박막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리포좀 박막을 물로 수화하고 pH 조절하여 생화학적 화합물, 생물학적 화합물 및 화학적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활성 물질을 용액 상태로 투입하여 상기 활성 물질이 수용된 리포좀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활성 물질이 수용된 리포좀 용액을 초음파 처리하여 활성 화합물이 수용된 나노리포좀을 제조하는 단계;
(d) 금속-아미노점토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e) 상기 활성 물질이 수용된 나노리포좀을 상기 금속-아미노점토 용액에 투입하여 활성 물질이 수용되고 금속아미노점토가 결합된 나노리포좀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 제조방법은 여러 pH 와 여러 온도에서 높은 수율로 제조될 수 있어 공정 효율이 높고, 저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또한, 상기 (a) 리포좀 박막 필름 공정을 수행하여 리포좀 박막을 제조하는 단계는
레시틴, 콜레스테롤, 또는 계면활성제를 각각 또는 함께 용해시킨 용액을 혼합하여 5 ℃ 내지 90 ℃의 반응온도에서 10 분 내지 36 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용매를 증발시켜 리포좀 박막 필름인 리포좀 박막을 제조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레시틴(Lecithin)은 인산, 콜린, 지방산, 글리세롤, 당지질, 트라이글리세라이드, 인지질로 구성된 동식물 조직에서 발생하는 황갈빛의 지방 물질군이며, 일 예로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이노시톨을 나타내지만, 상기 레시틴은 상기 열거된 예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콜레스테롤(cholesterol)은 스테롤(스테로이드와 알코올의 조합)의 하나로서 모든 동물 세포의 세포막에서 발견되는 지질이며 식물 세포의 세포막에서도 발견되는 지질로서, 합성 콜레스테롤과 천연 콜레스테롤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비이온성, 양이온성,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Tween 20(Polyoxyethylenesorbitan monolaurate) Tween 40(Polyoxyethylenesorbitan monopalmitate), Tween 60(Polyoxyethylene sorbitan monostearate), Tween 80(Polyoxyethylenesorbitan monooleate) 등이 있으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디알킬디메틸암모늄염 또는 알킬벤질메틸암모늄염 등이 있으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비누(지방산 나트륨) 모노알킬 황산염, 알킬폴리옥시에틸렌 황산염, 알킬벤젠술폰산염, 모노알킬인산염 등이 있으며, 상기 계면활성제는 상기 열거한 예에 한정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반응온도가 5 ℃ 미만이 경우 상기 리포좀 박막이 불투명할 수 있고, 상기 반응온도가 60 ℃ 초과인 경우 상기 리포좀 박막이 매우 건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응시간이 10 분 미만인 경우 상기 리포좀 박막 형성이 불충분할 수 있고, 상기 반응시간이 24 시간 초과인 경우 상기 리포좀 박막이 매우 건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의 리포좀 용액의 pH는 4 내지 9 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포좀 용액의 pH가 4 미만인 경우 알칼리성 활성 물질이 리포좀 용액에 안정적으로 수용되기 어려우며, 상기 리포좀 용액의 pH가 9 초과하는 경우 산성 활성 물질이 리포좀 용액에 안정적으로 수용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리고, 상기 (c) 단계의 초음파 처리 시간은 5 분 내지 3 시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초음파 처리 시간이 5 분 미만인 경우 상기 나노리포좀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초음파 처리 시간이 3 시간 초과인 경우 공정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d) 금속-아미노점토 용액 제조하는 단계는
(ⅰ) 금속 전구체를 유기용매에 용해시켜 금속 전구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ⅱ) 상기 금속 전구체 용액에 아미노실란을 투입하고 교반하여 금속-아미노점토 용액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금속아미노점토는 금속 이온(M2+, M3+, M4+)과 아미노실란이 졸-겔법을 이용하여 형성되고 상기 금속아미노점토에 금속산화물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ⅰ) 단계의 상기 금속 전구체는
마그네슘, 칼슘, 알루미늄, 철, 세륨, 타이타늄, 주석, 망간, 아연, 니켈, 구리, 및 코발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금속의 염화화합물, 탄산화합물, 질산화합물, 황산화합물 및 이들의 수화물일 수 있다.
또한, (ⅱ) 단계의 상기 아미노실란은
(3-aminopropyl)triethoxysilane, (3-aminopropyl)methoxydiethoxysilane, (3-aminopropyl)trimethoxysilane, Bis(3-triethoxysilylpropyl)amine, 및 Bis(3-trimethoxysilylpropyl)ami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금속아미노점토는 금속 이온과 실란의 화합물일 수 있으며, 상기 실란의 종류는 황 함유 실란, 알킬기 함유 실란, 무기 실란, 유기 실란등이 있으며, 앞의 열거한 예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산화제인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 제조방법의 공정흐름도와 시료 사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레시틴(Lecithin), 콜레스테롤(Cholesterol) 또는 계면활성제인 Tween 80을 유기용매에 각각 또는 함께 용해시킨 후 증발하여 박막 필름을 형성한 다음, 비타민 C 수용액으로 상기 박막 필름을 재수화(Rehydration)하여 비타민 C가 수용된 리포좀(VC-Liposomes) 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비타민 C가 수용된 리포좀(VC-Liposomes) 용액을 초음파처리하여 나노크기의 리포좀인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VC-NLPs) 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연-아미노점토가 결합되고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 제조방법의 공정흐름도 및 시료 사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아연전구체와 유기아미노실란을 반응시켜 아연-아미노점토 용액(Zinc-aminoclay solution)을 제조한 다음,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을 상기 아연-아미노점토 용액(Zinc-aminoclay solution)에 적하하여 아연-아미노점토가 결합되고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ZnAC VC-NLPs)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을 이용한 화장료, 약물, 건강보조식품, 음식물, 또는 화학제품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을 이용한 화장료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을 이용한 화장료는 향료, 물, 오일, 계면활성제, 보습제, 폴리올, 폴리머, 방부제, 착색물질, 연화제, 주름개선제, 항산화제, 또는 미백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구성 성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을 이용한 약물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을 이용한 약물은
백신, 면역계 활성화제, 성장인자, 단일클론항체, 대체효소, 응고인자, 약학 활성 물질, 약학 활성 물질의 염, 유전자, 또는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약물 구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은
비타민 C, 비타민 A, 비타민 D, 비타민 B 군, 비타민 K, 또는 비타민 E의 비타민류;
호르몬, 항체, 효소, 아미노산, 단백질, 뉴클레오타이드, 단당류, 이당류, 다당류, 및 지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탄소 기반 화합물;
무기화합물;
식품류;
또는 상기 비타민류, 상기 탄소 기반 화합물, 상기 무기화합물 및 상기 식품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복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을 이용한 음식물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을 이용한 음식물은 음료와 식품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을 이용한 화학제품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을 이용한 화학제품은
화학 반응 촉매, 화학 원료, 또는 화학 합성 결과물을 포함하는 화학제품 구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수정, 변경될 수 있다.
<분석방법>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의 입자 크기 분석은 동적광산란(DLS; dynamic light scattering) 방법으로 Malvern Zetasizer NanoZS(Malvern Instruments, Malvern, UK) 분석 장치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다분산 지수(polydispersity index, PDI)는 < 0.7을 신뢰성으로 간주하였다.
그리고, 제타전위(Zeta potential)는 동적광산란(DLS; dynamic light scattering) 방법으로 Malvern Zetasizer NanoZS(Malvern Instruments, Malvern, UK) 분석 장치를 사용하여 표면의 전하(charge)를 측정하였다.
또한, 활성물질 수용능력(Encapsulation efficiency)은 비타민 C의 자외선-가시광선 분광분석법(UV-Vis spectroscopy; Cary 50 Bio, VARIAN)으로 270 nm 흡광도로 정량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항산화도는 DPPH 라디칼 소거활성(2,2-diphenyl-1-picrylhydrazyl(DPPH) scavenging) 및 ABTS 라디칼 소거활성(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ABTS) scavenging) 방법으로 517 nm와 734 nm 파장의 각 흡광도의 감소로 분석하였다.
<준비예> 아연-아미노점토 용액 제조
아연 전구체인 염화아연(ZnCl2) 8.4 g 수용액과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APTES) 15 mL를 에탄올 용액을 실온 혼합하고 6 시간 ~ 8 시간 동안 교반하여 아연-아미노점토 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실시예 1>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VC-NLPs) 분산액 제조
레시틴(Lecithin) 1000 mg, 콜레스테롤(Cholesterol) 200 mg과 계면활성제인 Tween 80 300 mg을 에탄올에 함께 용해시킨 후 증발시켜 리포좀 박막 필름을 형성한 다음, 물, 산소, 빛에 가장 안정성이 떨어지는 항산화제인 순수 비타민 C 수용액을 사용하여 상기 리포좀 박막 필름을 재수화(Rehydration)하여 순수 비타민 C가 수용된 리포좀(VC-Liposomes)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여기서, 상기 순수 비타민 C는 상기 화학구조식 1과 같이, L-ascorbic acid의 -OH 작용기가 -ONa 등으로 개질이 되지 않은 상태이다.
그리고, 이때 사용한 순수 비타민 C 수용액은 0.5 wt%(비타민 C/물 질량비 = 0.5 mg/99.5 mg) 100 mg 이였다.
그 후, 상기 순수 비타민 C가 수용된 리포좀(VC-Liposomes) 분산액을 40분 동안 펄스 초음파처리하여 나노크기의 리포좀인 순수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 (VC-NLPs)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 실시예 6> 아연-아미노점토가 결합되고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ZnAC VC-NLPs) 분산액 제조
하기 표 1과 같은 함량으로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순수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 분산액(VC-NLPs)을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아연-아미노점토 용액에 적하하여 아연-아미노점토가 결합하고 순수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ZnAC VC-NLPs)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형상 Liposome Nanoliposome Nanoliposome Nanoliposome Nanoliposome Nanoliposome Nanoliposome
Encapsulation efficiency (%) 35.4 43.5 44.6 44.4 45.3 43.3 44.3
순수 비타민 C 함량 (wt%) 0.22 0.27 0.28 0.28 0.30 0.27 0.28
ZnAC 함량 (wt%) 0 0 0.1 0.2 0.3 0.4 0.5
<비교예 1> 비타민 C 가 수용된 리포좀(VC-Liposomes) 분산액 제조
레시틴(Lecithin) 1000 mg, 콜레스테롤(Cholesterol) 200 mg과 계면활성제인 Tween 80 300 mg을 에탄올에 함께 용해시킨 후(확인하여 주세요) 증발하여 박막 필름을 형성한 다음, 0.5 wt% 비타민 C 수용액(비타민 C/물 질량비 = 0.5 mg/99.5 mg) 100 mg으로 상기 박막 필름을 재수화(Rehydration)하여 순수 비타민 C가 수용된 리포좀(VC-Liposomes)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순수 비타민 C 수용액 제조
0.5 wt% 순수 비타민 C 수용액(비타민 C/물 질량비 = 0.5 mg/99.5 mg) 100 mg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실험예 1> 아연-아미노점토가 결합되고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ZnAC VC-NLPs) 분산액 pH 측정
상기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6에서 제조한 아연-아미노점토가 결합되고 순수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ZnAC VC-NLPs) 분산액의 pH를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6에서 제조한 아연-아미노점토가 결합되고 순수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ZnAC VC-NLPs) 분산액의 pH는 3.89 내지 6.98 이였다.
<실험예 2> 아연-아미노점토가 결합되고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ZnAC VC-NLPs) 분산액의 비타민 C 수용능력(Encapsulation efficiency) 분석
상기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6에서 제조한 아연-아미노점토가 결합되고 순수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ZnAC VC-NLPs) 분산액의 비타민 C 수용능력(Encapsulation efficiency)은 비타민 C의 자외선-가시광선 분광분석법(UV-Vis spectroscopy; Cary 50 Bio, VARIAN)으로 270 nm 흡광도로 정량하여 분석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상기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6에서 제조한 아연-아미노점토가 결합되고 순수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ZnAC VC-NLPs) 분산액의 비타민 C 수용능력을 분석하기 위하여, 먼저 순수 비타민 C 수용액을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순수 비타민 C의 표준 곡선에 기초하여 420 nm의 파장에서 자외선-가시광선 분광분석법으로 분석하여 상층액(Ms) 중의 순수 비타민 C 의 양을 측정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6에서 제조한 아연-아미노점토가 결합되고 순수 비타민 C를 수용한 나노리포좀(ZnAC VC-NLPs) 분산액(MO)의 비타민 C 함량을 270 nm의 파장에서 자외선-가시광선 분광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나노리포좀의 비타민 C 수용 효율(EE)은 상기 비타민 C를 수용한 나노리폼좀 분산액(Mo)의 비타민 C 함량과 순수 비타민 C 수용액의 원심분리 후 상층액(MS)에서의 비타민 C 함량 차이에 의해 분석하였다.
여기서, 나노리포좀의 비타민 C 수용 효율(EE)은 하기 식 1로 계산되었다.
Figure pat00002
(식 1)
상기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6에서 제조한 아연-아미노점토가 결합되고 순수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ZnAC VC-NLPs)의 비타민 C 수용 효율(EE)은 43.3 % 내지 45.3 % 이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형상 Liposome Nanoliposome Nanoliposome Nanoliposome Nanoliposome Nanoliposome Nanoliposome
순수 비타민 C 함량 (wt%) 0.22 0.27 0.28 0.28 0.30 0.27 0.28
ZnAC 함량 (wt%) 0 0 0.1 0.2 0.3 0.4 0.5
pH 3.52 3.56 3.89 4.66 5.46 6.45 6.98
Encapsulation efficiency (%)
35.4

43.5

44.6

44.4

45.3

43.3

44.3
<실험예 3> 아연-아미노점토가 결합되고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ZnAC VC-NLPs) 입자 크기 분석
상기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6에서 제조한 아연-아미노점토가 결합되고 순수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ZnAC VC-NLPs) 분산액의 입자 크기는 동적광산란(DLS; dynamic light scattering) 방법으로 Malvern Zetasizer NanoZS(Malvern Instruments, Malvern, UK) 분석 장치를 사용하여 분석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상기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6에서 제조한 아연-아미노점토가 결합되고 순수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ZnAC VC-NLPs) 분산액을 증류수로 희석한 후 25 ℃에서 90 °각도의 광을 조사하여 동적광산란 측정하여 입자 크기를 분석하였다. 이때, 동적광산란 측정은 3회 이상 반복적으로 측정하여 입자 크기를 분석하였다.
상기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6에서 제조한 아연-아미노점토가 결합되고 순수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ZnAC VC-NLPs)의 입자 크기는 245 nm 내지 305 nm 이였다.
<실험예 4> 아연-아미노점토가 결합되고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ZnAC VC-NLPs) PDI 분석
상기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6에서 제조한 아연-아미노점토가 결합되고 순수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ZnAC VC-NLPs)의 다분산 지수(polydispersity index, PDI)는 동적광산란(DLS; dynamic light scattering) 방법으로 Malvern Zetasizer NanoZS(Malvern Instruments, Malvern, UK) 분석 장치를 사용하여 분석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상기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6에서 제조한 아연-아미노점토가 결합되고 순수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ZnAC VC-NLPs) 분산액을 증류수로 희석한 후 25 ℃에서 90 °각도의 광을 조사하여 동적광산란 측정하여 다분산 지수(polydispersity index, PDI)를 분석하였다.
상기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6에서 제조한 아연-아미노점토가 결합되고 순수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ZnAC VC-NLPs)의 다분산 지수(polydispersity index, PDI)는 0.41 내지 0.69 이였다.
<실험예 5> 아연-아미노점토가 결합되고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ZnAC VC-NLPs) 제타전위(Zeta potential) 분석
상기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6에서 제조한 아연-아미노점토가 결합되고 순수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ZnAC VC-NLPs) 분산액의 제타전위(Zeta potential)는 동적광산란(DLS; dynamic light scattering) 방법으로 Malvern Zetasizer NanoZS(Malvern Instruments, Malvern, UK) 분석 장치를 사용하여 분석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상기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6에서 제조한 아연-아미노점토가 결합되고 순수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ZnAC VC-NLPs) 분산액을 증류수로 희석한 후 25 ℃에서 90 °각도의 광을 조사하여 제타전위(Zeta potential) 측정하여 전하량을 분석하였다.
상기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6에서 제조한 아연-아미노점토가 결합되고 순수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ZnAC VC-NLPs)의 제타전위(Zeta potential)는 +5.8 내지 +30.12 이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형상 Liposome Nanoliposome Nanoliposome Nanoliposome Nanoliposome Nanoliposome Nanoliposome
순수 비타민 C 함량 (wt%) 0.22 0.27 0.28 0.28 0.30 0.27 0.28
ZnAC 함량 (wt%) 0 0 0.1 0.2 0.3 0.4 0.5
Particle size (nm) 911 210 245 253 286 296 305
PDI 0.36 0.32 0.41 0.48 0.58 0.65 0.69
Zeta potential (mV)
-2.9

-3.1

+5.8

+15.56

+22.25

+26.5

+30.12
<실험예 6> 아연-아미노점토가 결합되고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ZnAC VC-NLPs) 장기안정성 분석
상기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6에서 제조한 아연-아미노점토가 결합되고 순수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ZnAC VC-NLPs)의 장기 안정성 측정을 위하여 초기 시료, 실온에서 30 일 동안 보관 후 시료 및 37 ℃에서 30 일 동안 보관 후 시료의 각 사진을 비교하여 도 4에 나타내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 1의 순수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VC-NLPs)의 장기 안정성 측정을 위하여 초기 시료, 실온에서 30 일 동안 보관 후 시료 및 37 ℃에서 30 일 동안 보관 후 시료의 각 사진을 비교하여 도 4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비교예 2의 순수 비타민 C 수용액의 장기 안정성 측정을 위하여 초기 시료, 실온에서 30 일 동안 보관 후 시료 및 37 ℃에서 30 일 동안 보관 후 시료의 각 사진을 비교하여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는 상기 실시예 1의 순수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 상기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6에 따른 아연-아미노점토가 결합되고 순수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 및 비교예 2의 순수 비타민 C 수용액의 장기 안정성을 나타내는 각각의 사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6에서 제조한 아연-아미노점토가 결합되고 순수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ZnAC VC-NLPs)은 초기 시료와 비교하여, 실온에서 30 일 동안 보관 후 시료 및 37 ℃에서 30 일 동안 보관 후 시료의 색상의 변화가 적어 장기안정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실시예 1의 순수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VC-NLPs)은 초기 시료와 비교하여 실온에서 30 일 동안 보관 후 시료 및 37 ℃에서 30 일 동안 보관 후 시료의 색상이 변화되어 장기안정성이 미흡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상기 비교예 2의 순수 비타민 C 수용액은 초기 시료와 비교하여 실온에서 30 일 동안 보관 후 시료 및 37 ℃에서 30 일 동안 보관 후 시료의 색상 변화가 증대되어 장기안정성이 미흡함을 확인하였고, 특히 37 ℃에서 30 일 동안 보관 후 시료의 색상이 매우 변화되어 열안정성이 매우 미흡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7> 아연-아미노점토가 결합되고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ZnAC VC-NLPs) 항산화도 측정
상기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6에서 제조한 아연-아미노점토가 결합되고 순수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ZnAC VC-NLPs)의 항산화도 측정을 위하여 초기 시료, 실온에서 30 일 동안 보관 후 시료 및 37 ℃에서 30 일 동안 보관 후 시료의 DPPH 항산화도 및 ABTS 항산화도를 측정하여 도 5 및 도 6에 나타내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 1의 순수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VC-NLPs)의 항산화도 측정을 위하여 초기 시료, 실온에서 30 일 동안 보관 후 시료 및 37 ℃에서 30 일 동안 보관 후 시료의 DPPH 항산화도 및 ABTS 항산화도를 측정하여 도 5 및 도 6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비교예 2의 순수 비타민 C 수용액의 항산화도 측정을 위하여 초기 시료, 실온에서 30 일 동안 보관 후 시료 및 37 ℃에서 30 일 동안 보관 후 시료의 DPPH 항산화도 및 ABTS 항산화도를 측정하여 표 4, 도 5 및 도 6에 나타내었다.
상기 항산화도는 DPPH 라디칼 소거활성(DPPH scavenging) 및 ABTS 라디칼 소거활성(ABTS scavenging) 방법으로 517 nm와 734 nm 각 파장의 흡광도의 감소로 분석하였다.
여기서, 상기 DPPH 항산화도 측정은 DPPH 200 mg을 메탄올 50 mL에 용해시키고, 순수 비타민 C 100 ㎕ 용액 또는 상기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6에서 제조한 ZnAC VC-NLPs 분산액 100 ㎕를 DPPH 용액 0.9 mL에 투입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혼합물을 실온의 어두운 곳에 15 분 동안 방치하여 DPPH ZnAC VC-NLPs 반응액을 제조하였다. 그 후, 상기 DPPH ZnAC VC-NLPs 반응액을 517 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비교를 위하여 증류수 0.1 mL에 DPPH 용액 0.9 mL를 투입하여 DPPH 비교액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기 DPPH 항산화도 측정은 상기 DPPH ZnAC VC-NLPs 반응액과 상기 비타민 C 용액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DPPH scavenging)을 각각 상기 DPPH 비교액과 비교하여 하기 식 2로 분석하였다.
Figure pat00003
(식 2)
여기서, 상기 Ao는 상기 DPPH 비교액의 517 nm에서의 흡광도이고, 상기 A는 상기 DPPH ZnAC VC-NLPs 반응액 또는 상기 비타민 C 용액의 517 nm에서의 흡광도이다.
또한, 상기 ABTS 항산화도 측정은 2.4 mM 과황산칼륨(Potassium persulfate) 수용액과 7 mM ABTS 메탄올 용액을 준비한 후, 상기 두 용액을 같은 양으로 혼합하여 실온에서 14 시간 동안 숙성하여 작업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작업용액은 자외선-가시광선 분광계로 734 nm에서 흡광도 0.75가 측정되도록 메탄올로 희석하여 희석 작업용액을 제조하였다.
여기서, 신선한 ABTS 용액을 ABTS 항산화도 측정에 사용하였다.
상기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6에서 제조한 ZnAC VC-NLPs 분산액 100 ㎕과 상기 희석 작업용액 0.9 mL를 1.5 mL 튜브에 넣어 7분 동안 반응시킨 후, 734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6에서 제조한 ZnAC VC-NLPs 분산액 100 ㎕과 상기 희석 작업용액 0.9 mL로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혼합물을 실온의 어두운 곳에 7 분 동안 방치하여 ABTS ZnAC VC-NLPs 반응액을 제조하였다. 그 후, 상기 ABTS ZnAC VC-NLPs 반응액을 734 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비교를 위하여 증류수 0.1 mL에 ABTS 용액 0.9 mL를 투입하여 ABTS 비교액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기 ABTS 항산화도 측정은 상기 ABTS ZnAC VC-NLPs 반응액과 상기 비타민 C 용액의 ABTS 라디칼 소거활성(ABTS scavenging)을 각각 상기 ABTS 비교액과 비교하여 하기 식 3으로 분석하였다.
Figure pat00004
(식 3)
여기서, 상기 Ao는 상기 ABTS 비교액의 734 nm에서의 흡광도이고, 상기 A는 상기 ABTS ZnAC VC-NLPs 반응액 또는 상기 비타민 C 용액의 734 nm에서의 흡광도이다.
비교예 2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형상
순수 비타민 C 수용액
Nanoliposome

Nanoliposome

Nanoliposome

Nanoliposome

Nanoliposome

Nanoliposome
순수 비타민 C
함량 (wt%)
0.22 0.27 0.28 0.28 0.30 0.27 0.28
ZnAC 함량 (wt%) 0 0 0.1 0.2 0.3 0.4 0.5


초기
시료
DPPH scavenging (%)
98.4

97.9

96.9

97.3

98.1

96.8

95.9
ABTS scavenging (%)
99.5

98.3

99.2

97.1

97.2

97.6

95.2


실온
(30일)
DPPH scavenging (%)
50.3

55.2

68.7

69.6

72.3

78.6

87.5
ABTS scavenging (%)
48.2

55.1

63.2

67.3

76.1

75.8

89.8


37oC
(30일)
DPPH scavenging (%)
10.2

18.3

20.35

35.6

45.6

48.7

49.8
ABTS scavenging (%)
9.5

15.4

18.9

29.6

38.7

45.2

46.1
도 5는 상기 실시예 1의 순수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 상기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6에 따른 아연-아미노점토가 결합되고 순수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 및 비교예 2의 순수 비타민 C 수용액의 DPPH 항산화도 분석 그래프이다.
여기서, M1은 상기 실시예 2의 0.1 wt% ZnAC VC-NLPs 이고, M2는 상기 실시예 3의 0.2 wt% ZnAC VC-NLPs 이고, M3는 상기 실시예 4의 0.3 wt% ZnAC VC-NLPs 이고, M4는 상기 실시예 5의 0.4 wt% ZnAC VC-NLPs 이고, M5는 상기 실시예 6의 0.5 wt% ZnAC VC-NLPs 이다.
또한, VC-LPs는 상기 실시예 1의 VC-NLPs 이고, VC solution은 상기 비교예 2의 순수 비타민 C 용액이다.
표 4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6에 따른 아연-아미노점토가 결합되고 순수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ZnAC VC-NLPs)의 아연-아미노점토 함량이 증가될수록 초기 시료의 DPPH 항산화도와 비교하여 실온에서 30 일 동안 보관 후 시료의 DPPH 항산화도는 거의 감소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상기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6에 따른 아연-아미노점토가 결합되고 순수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ZnAC VC-NLPs)의 아연-아미노점토 함량이 증가될수록 초기 시료의 DPPH 항산화도와 비교하여 37 ℃에서 30 일 동안 보관 후 시료의 DPPH 항산화도는 적게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 1의 순수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VC-NLPs)의 실온에서 30 일 동안 보관 후 시료 및 37 ℃에서 30 일 동안 보관 후 시료의 DPPH 항산화도는 상기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6에 따른 아연-아미노점토가 결합되고 순수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ZnAC VC-NLPs)의 실온에서 30 일 동안 보관 후 시료 및 37 ℃에서 30 일 동안 보관 후 시료의 DPPH 항산화도와 비교하여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비교예 2의 순수 비타민 C 수용액의 항산화도는 초기 시료에서 실온에서 30 일 동안 보관 후 시료 및 37 ℃에서 30 일 동안 보관 후 시료로 갈수록 DPPH 항산화도가 급격히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6은 상기 실시예 1의 순수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 상기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6에 따른 아연-아미노점토가 결합되고 순수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 및 비교예 2의 비타민 C 수용액의 ABTS 항산화도 분석 그래프이다.
여기서, M1은 상기 실시예 2의 0.1 wt% ZnAC VC-NLPs 이고, M2는 상기 실시예 3의 0.2 wt% ZnAC VC-NLPs 이고, M3는 상기 실시예 4의 0.3 wt% ZnAC VC-NLPs 이고, M4는 상기 실시예 5의 0.4 wt% ZnAC VC-NLPs 이고, M5는 상기 실시예 6의 0.5 wt% ZnAC VC-NLPs 이다.
또한, VC-LPs는 상기 실시예 1의 VC-NLPs 이고, VC solution은 상기 비교예 2의 순수 비타민 C 용액이다.
표 4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6에 따른 아연-아미노점토가 결합되고 순수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ZnAC VC-NLPs)의 아연-아미노점토 함량이 증가될수록 초기 시료의 DPPH 항산화도와 비교하여 실온에서 30 일 동안 보관 후 시료의 DPPH 항산화도는 거의 감소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상기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6에 따른 아연-아미노점토가 결합되고 순수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ZnAC VC-NLPs)의 아연-아미노점토 함량이 증가될수록 초기 시료의 ABTS 항산화도와 비교하여 37 ℃에서 30 일 동안 보관 후 시료의 ABTS 항산화도는 적게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 1의 순수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VC-NLPs)의 실온에서 30 일 동안 보관 후 시료 및 37 ℃에서 30 일 동안 보관 후 시료의 ABTS 항산화도는 상기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6에 따른 아연-아미노점토가 결합되고 순수 비타민 C가 수용된 나노리포좀(ZnAC VC-NLPs)의 실온에서 30 일 동안 보관 후 시료 및 37 ℃에서 30 일 동안 보관 후 시료의 ABTS 항산화도와 비교하여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비교예 2의 순수 비타민 C 수용액의 항산화도는 초기 시료에서 실온에서 30 일 동안 보관 후 시료 및 37 ℃에서 30 일 동안 보관 후 시료로 갈수록 ABTS 항산화도가 급격히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고,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2)

  1. 하나 이상의 지질 이중층(lipid bilayer)을 포함하는 구형 소포(spherical vesicle) 인 나노리포좀; 및
    상기 나노리포좀 표면, 내부 또는 외부에 물리적 또는 화학적 결합된 층상규산염의 금속아미노점토;를 포함하는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으로,
    상기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의 외부 직경은 2 nm 내지 950 nm이고,
    상기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의 표면은 양전하를 나타내고,
    상기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의 다분산 지수(polydispersity index, PDI)는 0.1 내지 0.7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은
    생화학적 화합물, 생물학적 화합물 또는 화학적 화합물을 둘러싼 친수성 포어를 구성하는 내부 친수성 물질; 및
    상기 내부 친수성 물질과 상기 하나 이상의 지질 이중층(lipid bilayer)으로 연결된 외부 친수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아미노점토는 금속 이온과 아미노실란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아미노점토의 금속 이온은 마그네슘, 칼슘, 알루미늄, 철, 세륨, 타이타늄, 주석, 망간, 아연, 니켈, 구리, 및 코발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금속 이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아미노점토의 아미노실란은 (3-aminopropyl)triethoxysilane, (3-aminopropyl)methoxydiethoxysilane, (3-aminopropyl)trimethoxysilane, Bis(3-triethoxysilylpropyl) amine, 및 Bis(3-trimethoxysilylpropyl) ami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친수성 물질은 Phosphatidic Acid(PA), Phosphatidyl Ethanolamine(PE), Phosphatidyl Choline(PC), Phosphatidyl Serine(PS), Phosphatidyl Inositol(PI), 및 Phosphatidyl Glycerol(PG)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친수성 물질은 Phosphatidic Acid(PA), Phosphatidyl Ethanolamine(PE), Phosphatidyl Choline(PC), Phosphatidyl Serine(PS), Phosphatidyl Inositol(PI), 및 Phosphatidyl Glycerol(PG)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지질 이중층의 지질은 지방산으로 구성되며,
    상기 지방산은 Butyric acid(C4), Valeric acid(C5), Caproic acid(C6) Caprylic acid(C8), Capric acid(C10), Lauric acid(C12), Myristic acid(C14), Palmitic acid(C16), Oleic aicd(C18), Linoleic acid(C18), Linolenic acid(C18), Arachidic acid(C20), Behenic acid(C22), 및 Erucic acid(C2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생화학적 화합물 또는 생물학적 화합물은
    비타민 C, 비타민 A, 비타민 D, 비타민 B 군, 비타민 K, 또는 비타민 E의 비타민류;
    호르몬, 항체, 효소, 아미노산, 단백질, 뉴클레오타이드, 단당류, 이당류, 다당류, 및 지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탄소 기반 화합물;
    무기화합물;
    식품류;
    또는 상기 비타민류, 상기 탄소 기반 화합물, 상기 무기화합물 및 상기 식품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복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적 화합물은
    향료, 물, 오일, 계면활성제, 보습제, 폴리올, 폴리머, 방부제, 착색물질, 연화제, 주름개선제, 항산화제, 또는 미백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구성 성분;
    백신, 면역계 활성화제, 성장인자, 단일클론항체, 대체효소, 응고인자, 약학 활성 물질, 약학 활성 물질의 염, 유전자, 또는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약물 구성 성분;
    또는 화학 반응 촉매, 화학 원료, 또는 화학 합성 결과물을 포함하는 화학제품 구성 성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
  11. (a) 리포좀 박막 필름 공정을 수행하여 리포좀 박막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리포좀 박막을 물로 수화한 후 생화학적 화합물, 생물학적 화합물 및 화학적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활성 물질을 용액 상태로 투입하여 상기 활성 물질이 수용된 리포좀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활성 물질이 수용된 리포좀 용액을 초음파 처리하여 활성 화합물이 수용된 나노리포좀을 제조하는 단계;
    (d) 금속아미노점토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e) 상기 활성 물질이 수용된 나노리포좀을 상기 금속아미노점토 용액에 투입하여 활성 물질이 수용되고 금속아미노점토가 결합된 나노리포좀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 제조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a) 리포좀 박막 필름 공정을 수행하여 리포좀 박막을 제조하는 단계는
    레시틴, 콜레스테롤, 또는 계면활성제를 각각 또는 함께 용해시킨 용액을 혼합하여 5 ℃ 내지 60 ℃의 반응온도에서 10 분 내지 24 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용매를 증발시켜 리포좀 박막 필름인 리포좀 박막을 제조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 제조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리포좀 용액의 pH는 4 내지 9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 제조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초음파 처리 시간은 5 분 내지 3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 제조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d) 금속아미노점토 용액 제조하는 단계는
    (ⅰ) 금속 전구체를 유기용매에 용해시켜 금속 전구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ⅱ) 상기 금속 전구체 용액에 아미노실란을 투입하고 교반하여 금속아미노점토 용액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금속아미노점토는 금속 이온(M2+, M3+, M4+)과 아미노실란이 졸-겔법을 이용하여 형성되고 상기 금속아미노점토에 금속산화물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 제조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ⅰ) 단계의 상기 금속 전구체는
    마그네슘, 칼슘, 알루미늄, 철, 세륨, 타이타늄, 주석, 망간, 아연, 니켈, 구리, 및 코발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금속의 염화화합물, 탄산화합물, 질산화합물, 황산화합물 및 이들의 수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 제조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ⅱ) 단계의 상기 아미노실란은
    (3-aminopropyl)triethoxysilane, (3-aminopropyl)methoxydiethoxysilane, (3-aminopropyl)trimethoxysilane, Bis(3-triethoxysilylpropyl)amine, 및 Bis(3-trimethoxysilylpropyl)ami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 제조방법.
  18. 제 1 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을 이용한 화장료.
  19. 제 1 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을 이용한 약물.
  20. 제 1 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21. 제 1 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을 이용한 음식물.
  22. 제 1 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을 이용한 화학제품.




KR1020210012290A 2021-01-28 2021-01-28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KR202201090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2290A KR20220109059A (ko) 2021-01-28 2021-01-28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2290A KR20220109059A (ko) 2021-01-28 2021-01-28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9059A true KR20220109059A (ko) 2022-08-04

Family

ID=82834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2290A KR20220109059A (ko) 2021-01-28 2021-01-28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090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03101A (zh) * 2023-07-20 2023-08-18 北京大学第三医院(北京大学第三临床医学院) 一种金-硅质体-聚己内酯支架体系及其制备方法和用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858B1 (ko) 2009-04-03 2014-05-15 우한 도칸 파마슈티컬 컴퍼니 리미티드 다당류 리포솜, 이의 제조 방법 및 용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858B1 (ko) 2009-04-03 2014-05-15 우한 도칸 파마슈티컬 컴퍼니 리미티드 다당류 리포솜, 이의 제조 방법 및 용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03101A (zh) * 2023-07-20 2023-08-18 北京大学第三医院(北京大学第三临床医学院) 一种金-硅质体-聚己内酯支架体系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16603101B (zh) * 2023-07-20 2023-10-03 北京大学第三医院(北京大学第三临床医学院) 一种金-硅质体-聚己内酯支架体系及其制备方法和用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ot et al. Inter-relationships between compositi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functionality of lecithin ingredients
JP5226693B2 (ja) ミトコンドリア機能の改善のためのカルジオリピン含有リポソーム
KR101695836B1 (ko) 경피흡수용 고분자-리포좀 나노복합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EP2413719B1 (fr) Procede de preparation de capsules lipidiques fonctionnalisees
Liang et al. Design and Synthesis of Lipidic Organoalkoxysilanes for the Self‐Assembly of Liposomal Nanohybrid Cerasomes with Controlled Drug Release Properties
Zhang et al. Influence of phospholipids structure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in vitro digestibility of lactoferrin-loaded liposomes
KR20220109059A (ko) 금속아미노점토 결합된 나노리포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KR20180021282A (ko) 레티놀 함유 멀티라멜라 소포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0110118A1 (ja) リポソームの製造方法
Arsić et al. Influence of liposomes on the stability of vitamin A incorporated in polyacrylate hydrogel
Zuccarello et al. The influence of fluorescent silica nanoparticle surface chemistry on the energy transfer processes with lipid bilayers
Song et al. Carboxymethyl chitosan‐decorated proliposomes as carriers for improved stability and sustained release of flaxseed oil
KR100768151B1 (ko) 에스터화 레시딘을 이용한 나노리포좀
WO2020150834A1 (en) Lecithin vesicles
Mokdad et al. Anti-inflammatory effects of free and liposome-encapsulated Algerian thermal waters in RAW 264.7 macrophages
CN111249174A (zh) 双壳-核结构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WO2021070778A1 (ja) ナノディスク
Gortzi et al.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phospholipid-sterol-protein membrane resembling system
CN111374946A (zh) 脂质体、组合物以及脂质体制造方法
Kucuk et al. Incorporation of Biologically Active Ingredient Gallic Acid Into Nano-scale Lipid Vesicles
KR101405417B1 (ko) 라이소인지질 콜로이드의 상거동을 이용하여 경피흡수도가조절된 피부 외용제의 제조방법
CN104586766A (zh) 一种酶活性稳定的超氧化物歧化酶制剂
KR102577778B1 (ko) 키토산 코팅 고체 지질 나노입자를 코어로 하는 pH 감응-방출제어형 캡소좀
CN116426038B (zh) 一种协同稳定的淀粉基皮克林乳液及其在医药、食品领域的应用
US20220117932A1 (en) Lecithin Ves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