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5417B1 - 라이소인지질 콜로이드의 상거동을 이용하여 경피흡수도가조절된 피부 외용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라이소인지질 콜로이드의 상거동을 이용하여 경피흡수도가조절된 피부 외용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5417B1
KR101405417B1 KR1020070072153A KR20070072153A KR101405417B1 KR 101405417 B1 KR101405417 B1 KR 101405417B1 KR 1020070072153 A KR1020070072153 A KR 1020070072153A KR 20070072153 A KR20070072153 A KR 20070072153A KR 101405417 B1 KR101405417 B1 KR 101405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liposome
lipid
colloid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2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8854A (ko
Inventor
심종원
조은철
김준오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70072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5417B1/ko
Publication of KR20090008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5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5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61K8/553Phospholipids, e.g.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91Micel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4Mixtures of polym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친매성을 갖는 지질성분의 극성 머리와 탄화수소사슬 소수성 꼬리가 구조적으로 비 대칭성을 갖는 지질 성분인 라이소인지질과 말단에 전자공여부가 존재하는 콜레스테롤 유도체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라이소인지질 콜로이드의 제조 시 pH 환경에 따라, 최종 제조된 콜로이드 분산액 내 리포좀과 마이셀의 비율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흡수도가 조절된 피부 외용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라이소인지질 콜로이드는 제조 조건 중 외상에 존재하는 수소이온의 농도(pH)에 따라 리포좀 구조였던 콜로이드 입자의 크기가 수백나노미터에서 수십나노미터로 변화되거나 마이셀구조로 상전이 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 라이소인지질 콜로이드는 동일한 양과 동일한 비율로 구성된 인지질 성분으로 제조하더라도 외상에 염기를 투입하여 pH를 높인 후 적절히 교반하여 일정시간이 경과하고 난 후 적당한 산으로 pH로 중화시키는 과정에서 투입되는 염기와 산의 양에 따라 최종적으로 중화된 생성물이 마이셀, 혹은 리포좀 또는 리포좀과 마이셀이 혼합된 상태를 형성하여 혼합물이 나타내는 상에 따라 유효물질의 피부흡수율이 다양하도록 경피흡수도가 조절된 피부외용제를 제조할 수 있다.
지질구조체, 리포좀, 마이셀, 피부흡수,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콜레스테롤 유도체, 상전이

Description

라이소인지질 콜로이드의 상거동을 이용하여 경피흡수도가 조절된 피부 외용제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Skin External Composition Controlled Transepidermal Absorption Using Phase Transition of Lysophospholipids based Colloid}
본 발명은 라이소인지질과 말단에 전자공여부가 존재하는 콜레스테롤 유도체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라이소인지질 콜로이드의 pH를 조절시키는 과정을 통해 리포좀 구조를 가지는 콜로이드를 마이셀로 상전이시켜 상전이된 마이셀과 리포좀의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경피흡수도가 조절된 피부 외용제를 제조하는 방법 및 피부 외용제의 경피흡수도 조절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질 성분의 대표적인 물질인 레시틴은 친수성기의 형태와 소수성기의 형태 및 탄소 수, 그리고 이의 조합에 따라 매우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친수성기를 극성을 갖는 머리부분(polar head group)으로 표현가능하고 소수성기를 탄화수소 사슬 꼬리(hydrocarbone chain tail)로 표현가능한데, 전체적인 분자에서 머리와 꼬리가 차지하는 부피를 고려할 때 원기둥형과 원뿔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원기둥 형태를 갖는 레시틴 물질들은 대표적으로 포스파티딜콜린계 레시틴을 의미하며 원뿔형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레시틴으로는 디올레오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을 들 수 있다. 이제까지 알려진 통상적인 방법으로 레시틴 베지클, 통칭 리포좀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레시틴 분자들이 어떤 용액상에서 분자간 소수성 인력에 의해 배열되어 이중층 구조를 형성하여야만 한다. 이렇게 레시틴 분자의 자기회합으로 지질 이중막을 구성하기에 용이한 분자형태는 원기둥형의 구조를 갖는 레시틴분자로 용액상에서 구형의 폐쇄 이중막을 형성하기 쉬운데, 이를 리포좀이라고 한다. 이 이중막이 보다 용이하게 리포좀을 구성하게 하기 위하여 막의 구조 및 곡률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성분을 혼합하기도 하는데, 여기에는 다양한 지질 구성성분의 일부를 적용할 수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 콜레스테롤 및 콜레스테롤 유도체와 다양한 보조 계면활성제를 혼합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원뿔구조를 갖는 레시틴분자는 단일성분일 때 적절한 용매조건 하에서 낮은 농도일 때 지질 이중막 구조 대신 마이셀 구조나 역마이셀 구조를 나타내고 농도가 높으면 서로 응집되어 불균일한 벌크 혼합상을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규칙적으로 배열된 이중막 구조를 이루기 위해서는 보조적인 성격의 지질구성성분의 혼합사용이 필수적인데, 원기둥형 레시틴과 혼합 사용되는 성분과 유사한 성분인 콜레스테롤 유도체들 대부분이 사용 가능하다. 원뿔형 구조를 갖는 레시틴 분자로 리포좀을 제조하는 방법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리포좀을 제조하는 방법과 동일하며 1)리피드 필름 하이드레이션법, 2)용매 증발법, 3)멤브레인 투과법, 4)계면활성제를 이용한 투석막법 5)역상 유화법 등을 들 수 있다. 원뿔형 분자 구조를 갖는 대표적인 레시틴성분인 디올레오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DOPE)은 탄화수소꼬리에 비해 극성 머리부위가 작은 원뿔구조로 세포막 침투효과를 갖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이 물질과 전자 공여부가 존재하는 양친성 물질을 혼합하여 리포좀을 제조하면 분산된 외부환경의 pH에 따라 그 구조의 변화가 나타나는 pH-감응성 리포좀의 제조가 가능한데, 세포의 대식작용에 의해서 세포질 내로 함입되어 세포 내 소화기관인 엔도좀이 형성되는 초기에 구조가 붕괴되어 포집된 약물을 세포질 내로 방출하기 때문에 높은 약물전달 효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이 리포좀은 몇몇 연구자에 의해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 약물의 세포전달만이 아니라 약물의 피부전달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 증진효과의 원인은 디올레일포스파티딜콜린 분자의 극성 머리가 탄화수소 사슬 꼬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부피를 차지하기 때문에 형성되는 비대칭적 원뿔구조가 주된 원인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러한 형태에 의한 피부흡수 증진효과와 더불어 분자의 형태는 원뿔형이지만 극성 머리보다 탄화수소꼬리의 부피가 상대적으로 더 크게 차지하는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으로 동일한 피부전달실험을 수행한 것에 대한 설명이 간략하게 언급되어 있는데, 단지 피부흡수가 증진되었다라는 결말이외에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험결과나 기타 자세한 내용의 언급은 없다.(Merja Kirjavainen, Biochimica et Biophisica Acta, 1304, 1996)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은 원래 세포벽을 분해하거나 적혈구나 리포좀의 융합을 유도하는 물질로서 알려져 있는데, 외부로부터 세포막에 접근한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분자는 일차적으로 세포막 외부에 단일층을 형성하며 흡착하고 서서히 세포 막의 구조를 역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로서 균일했던 지질 이중막에서 국부적인 상분리 효과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세포막 전체의 투과성이 높아지게 된다. 이 효과는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분자의 탄화수소사슬 길이와 탄소 사슬의 수첨화 정도에 따라 달라지며, 이 흡수 증진효과는 상대적으로 고상에 가까운 젤 상 지질 이중막을 교란하는데는 효과적이나 유동적인 액상의 지질 이중막에 대해서는 그 교란효과가 미미하다. 또한 이 효과는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레시틴 분자에 콜레스테롤이나 혹은 이와 반대구조의 리피드를 병용하면 감쇄시킬 수 있다.
한편,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의 전체적인 구조는 원뿔형이지만 1개의 탄소사슬에 의해 극성 머리가 차지하는 영역이 꼬리보다 더 큰 구조로 DOPE와 반대의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물에 분산되었을 때 임계마이셀형성농도(CMC) 이상에서 마이셀을 형성하고 콜레스테롤 및 기타 유도체와 일정 몰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할 경우 제조조건에 따라 다층막 리포좀(MLV) 혹은 단일막 리포좀(SUV)으로 제조가 가능하다. 이 리포좀은 포집된 물질의 막 투과성을 측정하였을 때, 포스파티딜콜린으로 제조된 리포좀에 비해 매우 투과성이 낮은 지질막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 물질은 피부에서 히알루론산의 분비를 촉진시키고(일본 공개 특허공보 평 8-67621) 라미닌5의 생산을 증가시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 98-101910, 98-345677)
본 발명자들은 유기용매, 혹은 오일 및 기타 추가적인 흡수 조절물질의 첨가가 없이 순수하게 동일한 조성에서 염기의 첨가 후 산으로 중화하는 과정에서 염기의 첨가로 인해 변화되는 pH의 범위에 따라 라이소인지질 리포좀을 마이셀로 일부 혹은 전체를 상전이시킬 수 있고, 상전이된 마이셀과 리포좀의 비율에 따라 종래의 원뿔형 레시틴 기반 리포좀 전달시스템이 갖는 뛰어난 피부흡수 증진능을 그대로 나타내도록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대로 약물의 피부흡수를 억제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라이소인지질 및 말단에 전자공여부가 존재하는 콜레스테롤 유도체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라이소인지질 콜로이드의 pH를 염기 및 산으로 조절하여 상전이된 마이셀과 리포좀의 비율을 조절하여 경피흡수도가 조절된 피부 외용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라이소인지질 및 말단에 전자공여부가 존재하는 콜레스테롤 유도체가 90 : 10 ~ 50 : 50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이루어진 라이소인지질 콜로이드의 pH를 염기 및 산으로 조절하여 상전이된 마이셀과 리포좀의 비율을 조절하여 리포좀 구조를 가지는 라이소인지질 콜로이드의 일부 또는 전체를 마이셀로 전환시켜 피부외용제의 경피흡수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라이소인지질 및 말단에 전자공여부가 존재하는 콜레스테롤 유도체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라이소인지질 콜로이드의 pH를 염기를 이용하여 6.0 내지 10.0 으로 조절한 후 산으로 중화하는 방법으로 상전이된 마이셀과 리포좀의 비율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흡수도가 조절된 피부 외용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라이소인지질 및 말단에 전자공여부가 존재하는 콜레스테롤 유도체가 90 : 10 ~ 50 : 50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이루어진 라이소인지질 콜로이드의 pH를 염기를 사용하여 6.0 내지 10.0 으로 조절한 후 교반하고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 산을 사용하여 중화시켜 초기에 대부분 리포좀 구조를 가지는 콜로이드의 일부 혹은 전부를 마이셀로 전환시킨 혼합물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피부외용제의 경피흡수도 조절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라이소인지질 콜로이드의 초기 pH는 4.5~5.5 로, 상기 pH를 6.0 내지 10.0 으로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어지는 염기로는 트리에탄올아민, 트리히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 수산화나트륨 및 수산화칼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염기를 사용하나, 트리에탄올아민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염기의 사용량은 라이소인지질 콜로이드 전체 무게의 0.01 내지 1.00 중량%의 양으로, 0.01 중량% 미만으로 사용하면, 중성 인지질이 갖는 완충효과를 극복하지 못하여 pH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가 있고, 1.00 중량% 초과 사용하면 중화시 과량의 산을 투입하여야 하므로 전체 용액상의 최종적인 물질의 농도 조절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라이소인지질 콜로이드의 성상이 전체가 리포좀이거나 상전이된 마이셀에 비하여 리포좀의 비율이 우세한 경우 pH는 7이하이고, 상기 라이소인지질 콜로이드의 성상이 전체가 마이셀이거나 상전이된 마이셀의 비율이 리포좀에 비해 우세한 경우 pH는 7이상이다.
또한, 염기의 사용으로 변화된 pH를 중화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산으로는 무기산 또는 유기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되는 무기산으로는 염산, 황산 또는 인산 등이 있으며, 유기산으로는 시트릭산, 포름산, 숙신산, 초산, 젖산 또는 주석산 등이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유기산을 사용하며, 유기산 중에서도 화장품용 원료로서 널리 사용되며 피부자극을 유발할 가능성이 적은 시트릭산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라이소인지질 콜로이드는 통상적인 리포좀이 포집할 수 있는 물질을 모두 포집 가능하며, 상기 라이소인지질 콜로이드의 내부에 유용성 생리활성 성분 또는 수용성 생리활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수용성 생리활성 성분 및 유용성 생리활성 성분은 리포좀으로 포집 가능한 물질로서 화장료 및 약물로써 사용가능한 모든 효능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생리활성 성분은 비타민 C, 리도케인하이드로클로라이드, 코직산, 알부틴, 마치현 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및 녹차추출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유용성 생리활성 성분은 레티놀, 레티닐 팔미테이트, 코엔자임 Q10, 비타민 E 아세테이트, 대황, 제네스틴, 카페 인, 헤스페리틴, 헤스페리딘, 카테킨 및 이소플라본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 라이소인지질 콜로이드를 전부 마이셀 형태로 전환시킨 상태에서는 수용성 생리활성 성분을 마이셀 내부로 포집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포집되지 않은 수용성 물질의 경우에도 마이셀, 혹은 리포좀의 형태를 갖는 레시틴 콜로이드 자체가 피부흡수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유효성분의 피부흡수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결과가 이미 다수 보고되어 있는 만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피부흡수 조절기능에는 큰 문제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른 라이소인지질 콜로이드는 리포좀 상태로 제조하는 경우 입도의 평균 분포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는데, 제조시의 수소이온 농도(pH)와 용매조성, 교반 속도에 따라 20nm이상 1000nm 미만의 크기로 조절 가능하다.
상기 라이소인지질은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라이소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라이소포스파티딜글리세롤 및 라이소포스파티딜세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이다. 또한, 상기 말단에 전자공여부가 존재하는 콜레스테롤 유도체는 올레익산, 스테그마스테릴숙시네이트, 콜레스테릴헤미숙시네이트 및 이의 염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콜레스테릴헤미숙시네이트이다.
상기 라이소인지질은 수상에서 자기회합에 의해 마이셀을 형성하지만, 콜레 스테롤 유도체의 혼합사용에 의해 베지클 구조의 리포좀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콜레스테릴 헤미숙시네이트로 대표되는 말단에 전자공여부가 존재하는 콜레스테롤 유도체는 용액상의 수소이온 농도에 따라 전자의 공여가 가능한 물질로 주변의 수소이온의 농도가 높을 때, 말단의 카르복시기에 수소가 첨가되어 용해도가 변화되는 성분이다. 상기 라이소인지질과 콜레스테롤 유도체를 90 : 10 ~ 50 : 50의 중량비로 적절히 배합하여 제조한 라이소인지질 콜로이드는 배합되는 라이소인지질과 콜레스테롤 유도체의 혼합 비율과 용액상의 pH 조건에 따라 리포좀으로부터 마이셀과 리포좀이 혼합된 상 또는 마이셀 구조를 갖도록 유도될 수 있다. 상기 리포좀으로부터 마이셀로의 상 변화는 비가역적으로, 리포좀 상태일 때 마이셀 구조로 재 조합을 유도할 수 있으나, 상태가 열역학적으로 안정한 마이셀로 완전히 변화된 이후에는 다시 리포좀으로 전환 시킬 수 없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라이소인지질/말단에 전자공여부가 존재하는 콜레스테롤 유도체 기반 리포좀은 주위의 pH가 높아지는 경우 콜레스테롤 유도체가 전자를 공여하지 못하고 전기적으로 음전하를 띠게 되어 물에 대한 성질이 친화적으로 변화되기 때문에 지질 성분들이 안정한 이중막을 유지하지 못하고 마이셀로 상전이되는 현상이 나타나 전체 용액상이 유백색의 현탁액에서 투명하게 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라이소인지질 콜로이드 시스템은 리포좀의 형태를 가질 때 피부흡수 증진능이 증가하는 반면, 마이셀 구조를 가질 때 피부흡수 증진능이 감소하며, 사용되는 유효물질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유효물질의 피부흡수율을 최소 -200%에서 최대 200%까지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현상은 다음과 같은 여러가지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으로 생각되는데, 마이셀 구조의 라이소인지질 콜로이드의 경우 그 상이 대부분 임계마이셀농도 이상에서 제조되므로 마이셀 이외에도 다수의 자유로운 라이소인지질 분자와의 혼합상을 형성할 것이다. 상기 라이소인지질 콜로이드를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 마이셀에 효과적으로 포집될 수 있는 분배계수의 유효물질은 피부로 전달되는 현상이 매우 늦고, 유효물질이 포집된 마이셀은 작은 크기에도 불구하고 하드-쉘 타입의 콜로이드로서 피부투과가 용이하지 않다. 또한 외부에 자유롭게 존재하는 라이소인지질 분자가 피부 최외각의 지질층에 배향하여 층을 형성할 경우, 오히려 피부의 장벽을 효과적으로 교란하지 못하고 약물의 피부흡수를 저해하는 현상을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반면, 상기 라이소인지질 콜로이드들이 리포좀 형태를 유지할 경우, 피부장벽의 지질층과 접촉하였을 때, 층간의 융합에 의한 지질 혼합효과 및 마이크로 상분리가 용이하게 발생하여 피부지질층을 유동적으로 변화시키고, 고농도의 전달체가 피부에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피부 표면에서의 농도 구배 효과가 증가되어 전달체에 포집된 유효물질의 피부전달이 전체 용액상에 존재하는 유효물질과 함께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예측된다.
본 발명에 따른 라이소인지질 콜로이드는 피부외용제 전체 중량 중 0.1~10중량%로 함유될 수 있으며, 상기 함량이 0.1 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를 인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고, 10 중량%을 초과하면 피부외용제를 구성하는 여타의 물질들이 희 석되는 효과를 고려하여야 하므로 처방의 자유도가 낮아지거나 지나친 피부장벽교란 효과에 의한 피부자극이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라이소인지질 콜로이드는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하는 어떠한 제형에도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어 현탁액, 용액, 유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왁스 및 스프레이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라이소인지질 콜로이드 분산액은 동일조성임에도 불구하고 pH의 조절에 따른 콜로이드 상의 변화에 의해 유효물질의 피부흡수를 증진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는 기능을 갖도록 제조가 가능하며, 대부분의 통상적인 리포좀이 포집가능한 모든 유효물질의 포집 및 흡수율 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피부에 적용될 유효물질의 종류와 필요에 따라 피부흡수경향이 최적화된 피부외용제의 제공이 가능하다.
이하, 제조예 및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제조예 및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내지 4]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콜로이드 분산액의 제조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인지질)과 콜레스테릴헤미숙시네이트(CHEMS)을 하기 표 1에 기재된 무게조성비율로 사용하여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을 용해시키기 위한 용매인 에탄올에 용해시킨 후 정제수(B)에 상기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이 용해되어 있는 에탄올 용액(A)을 교반하면서 서서히 투입하여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콜로이드 분산액(A+B)을 제조하였다. 이후 제조된 콜로이드 분산액에 염기로서 트리에탄올아민(C)을 첨가하여 교반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이에 산으로서 시트릭산(D)을 첨가하여 교반하여 중화시켰다.
유효성분의 포집을 위해서는 에탄올에 용해되는 물질의 경우 지질이 녹아있는 에탄올 용액에 같이 용해시켜 제조하고 수상에 용해되는 물질의 경우에는 정제수에 이를 용해시킨 후 지질이 녹아있는 에탄올용액을 투입하여 제조할 수 있다.
[표1]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기반 콜로이드 혼합물 제조 처방(용매 증발법)
Figure 112007052318886-pat00001
상기 표 1의 무게조성비율로 사용하여 각각의 산과 염기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된 제조예 1과 제조예 2의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콜로이드 분산액은 높은 pH 조건에서 콜레스테릴헤미숙시네이트의 물에 대한 친화도가 증가하여 용액상이 유백색의 현탁액에서 투명하게 변해 콜로이드들의 리포좀 구조가 마이셀로 상전이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제조예 3 및 제조예 4의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콜로이드 분산액은 리포좀의 형태로, 전체 용액상이 유백색의 현탁액을 유지하고 있었다.
[제조예 5 및 6] 수용성 물질을 포집하고 있는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기반 콜로이드의 역상유화 제조
수용성 물질을 높은 비율로 리포좀에 포집하기 위해서 10%의 은행잎추출물 수용액(B)을 하기 표 2에 기재된 무게조성비율로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과 콜레스테릴헤미숙시네이트이 녹아있는 메틸렌클로라이드 : 에탄올(무게비 10 : 1)의 혼합 용액(A)에 가하고 균질교반기로 교반하여 제조된 유중수형(w/o) 형태의 반고상 베이스를 pH를 조절하는 성분인 트리에탄올아민이 용해되어 있는 정제수(C)에 투입하고 교반한 후 시트릭산(D)을 첨가하여 교반하여 중화시켰다. 그 다음, 감압 증류로 메틸렌클로라이드와 에탄올을 제거하여 유효성분인 은행잎추출물이 함유된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기반 콜로이드를 역상유화법으로 제조하였다.
[표2]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기반 콜로이드 혼합물 제조 처방(역상 유화법)
Figure 112007052318886-pat00002
상기 제조예 1에서와 같이, 트리에탄올아민 및 시트릭산의 첨가량에 따라 제조예 5는 유백색의 현탁액을 나타내어 리포좀 형태를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반면, 제조예 6는 유백색의 현탁액에서 투명하게 변하여 마이셀의 형태로 상전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기반 리포좀의 수용성 물질에 대한 피부흡수 증진 효과 비교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인지질)과 콜레스테릴헤미숙시네이트(CHEMS) 및 디올레오일포스파티딜콜린(DOPE)를 하기 표 3에 기재된 무게조성비율로 사용하여 인지질 성분들을 용해시키기 위한 용매인 에탄올에 용해시킨 후(A) 코직산이 함유된 정제수(B)에 트리에탄올아민을 투입한다.(C) 상기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이 용해되어 있는 에탄올 용액(A)과 코직산 수용액(B)의 혼합용액(C)을 교반하면서 감압 증류로 에탄올을 제거하여 유효성분인 코직산이 함유된 실시예 1의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콜로이드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또한, 대조군 1 및 2는 하기 표 3의 무게조성비율로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코직산에 의하여 전체 혼합물의 pH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트리에탄올아민을 첨가하였다.
상기 실시예 1의 역 원뿔형의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LPC)리포좀과 대조군인 원통형 구조를 갖는 리피드(포스파티딜콜린; 대조군 1)로 제조한 리포좀 및 원뿔형 구조를 갖는 리피드(디올레오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대조군 2)로 제조한 리포좀의 피부흡수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프란츠 타입 경피흡수실험 장치(Frantz-type diffusion cell) 위에 기니아피그의 전층피부를 올리고 제조된 각 시료들을 동일량(6mL) 가한 뒤 일정 온도(32.5℃)하에서 18시간동안 방치하였다. 각각의 시료는 0.5, 1, 3, 6, 12, 18시간 경과 시 마다 일정량 채취하여 그 양을 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로 분석하여 투과된 코직산의 양을 측정하여 도 4에 나타내었다.
[표 3]
Figure 112007052318886-pat00003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으로 제조한 리포좀인 실시예 1의 경우 원뿔형구조의 디올레오일에탄올아민 기반 리포좀인 대조군 2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피부흡수율을 나타내었으나, 원통형 구조의 리피드 기반 리포좀인 대조군 1에 비해서는 2.5배 이상의 흡수량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2-3]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기반 리포좀 마이셀의 피부흡수 비교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인지질)과 콜레스테릴헤미숙시네이트(CHEMS) 및 디올레오일포스파티딜콜린(DOPE)을 하기 표 4에 기재된 무게조성비율로 사용하여 인지질 성분들을 용해시키기 위한 용매인 에탄올에 용해시킨 후(A), 유효성분인 리도케인 하이드로클로라이드가 함유된 정제수에 투입한 후(B) 이 혼합용액(A+B)을 교반하면서 pH를 조절하는 성분인 트리에탄올아민(C)을 투입한다.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시트릭산(D)을 첨가하여 교반하여 중화시켰다. 그 다음, 감압 증류로 에탄올을 제거하여 유효성분인 리도케인이 함유된 실시예 2 및 3의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콜로이드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또한, 대조군 3 및 4는 하기 표 4의 무게조성비율로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2 및 3의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LPC)리포좀 및 마이셀과 대조군 3 및 4의 리포좀의 피부흡수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투과된 리도케인의 양을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여 도 5에 나타내었다.
[표 4]
Figure 112007052318886-pat00004
상기 표 4의 무게조성비율을 사용하여 제조된 실시예 2의 마이셀 및 실시예 3의 리포좀 간의 pH 오차범위는 ±1.0을 벗어나지 않았으며, 실시예 2의 마이셀 용액의 경우 pH 7.8을 나타내었고, 실시예 3의 리포좀의 경우 pH 7.0을 나타내었다.
도 4로부터, 실시예 2인 마이셀 용액은 대조군 4로 설정된 물과 에탄올의 혼합용매에 함유된 리도케인의 흡수에 비해 -200% 이하의 피부흡수율을 나타내었고, 실시예 3인 리포좀 분산액은 대조군 4에 비해 200%의 피부흡수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이 실시예 3인 라이소인지질 콜로이드 리포좀 분산액은 디올레오일 포스파티딜에탄올 아민 리포좀 분산액인 대조군 3에 비해서는 약 15%정도 낮은 피부흡수율을 나타내었다.
도 1 - 제조예 3의 pH 약산성에서 리포좀 구조를 형성한 라이소인지질 콜로이드의 투과전자현미경사진
도 2 -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Lysophosphatidylcholine)의 분자구조
도 3 - 실시예 1, 대조군 1 및 대조군 2의 시간에 따른 코직산의 피부투과량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4 - 실시예 2, 실시예 3, 대조군 3 및 대조군 4의 시간에 따른 리도케인의 피부투과량을나타내는 그래프

Claims (12)

  1. 피부 외용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라이소인지질과 말단에 전자공여부가 존재하는 콜레스테롤 유도체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라이소인지질 콜로이드의 성상을 산과 염기를 이용한 pH의 변화에 의해 리포좀 혹은 마이셀로 조절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흡수도가 조절된 피부 외용제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라이소인지질과 말단에 전자공여부가 존재하는 콜레스테롤 유도체가 90 : 10 ~ 50 : 50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흡수도가 조절된 피부 외용제의 제조방법.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리포좀 우세 pH는 7 이하이고, 마이셀 우세 pH는 7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흡수도가 조절된 피부 외용제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염기는 트리에탄올아민, 트리히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 수산화나트륨 및 수산화칼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흡수도가 조절된 피부 외용제의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은 염산, 황산 및 인산으로부터 선택되는 무기산 또는 시트릭산, 포름산, 숙신산, 초산, 젖산, 주석산으로부터 선택되는 유기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흡수도가 조절된 피부 외용제의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라이소인지질 콜로이드 분산액은 피부외용제 전체 중량 중 0.1~10중량%을 차지하는 것으로 하는 피부외용제의 제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라이소인지질 콜로이드는 전체 콜로이드 분산액 중량 중 0.01~10중량%를 차지하는 것으로 하는 피부외용제의 제조방법.
  9. 제 1항, 제 2항 및 제 4항 내지 제 8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소인지질 콜로이드의 내부에 유용성 생리활성 성분 또는 수용성 생리활성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흡수도가 조절된 피부 외용제의 제조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유용성 생리활성 성분 또는 수용성 생리활성 성분은 비타민 C, 리도케인하이드로클로라이드, 코직산, 알부틴, 마치현 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녹차추출물, 레티놀, 레티닐 팔미테이트, 코엔자임 Q10, 비타민 E 아세테이트, 대황, 제네스틴, 카페인, 헤스페리틴, 헤스페리딘, 카테킨 및 이소플라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흡수도가 조절된 피부 외용제의 제조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소인지질은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라이소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라이소포스파티딜글리세롤 및 라이소포스파티딜세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고; 상기 말단에 전자공여부가 존재하는 콜레스테롤 유도체는 올레익산, 스테그마스테릴숙시네이트, 콜레스테릴헤미숙시네이트 및 이의 염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흡수도가 조절된 피부 외용제의 제조방법.
  12. 라이소인지질과 말단에 전자공여부가 존재하는 콜레스테롤 유도체가 90 : 10 ~ 50 : 50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이루어진 라이소인지질 콜로이드의 성상을 염기를 이용한 pH변화에 의해 리포좀 혹은 마이셀로 조절하여 경피흡수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의 경피흡수도 조절방법.
KR1020070072153A 2007-07-19 2007-07-19 라이소인지질 콜로이드의 상거동을 이용하여 경피흡수도가조절된 피부 외용제의 제조방법 KR101405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2153A KR101405417B1 (ko) 2007-07-19 2007-07-19 라이소인지질 콜로이드의 상거동을 이용하여 경피흡수도가조절된 피부 외용제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2153A KR101405417B1 (ko) 2007-07-19 2007-07-19 라이소인지질 콜로이드의 상거동을 이용하여 경피흡수도가조절된 피부 외용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854A KR20090008854A (ko) 2009-01-22
KR101405417B1 true KR101405417B1 (ko) 2014-06-12

Family

ID=40488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2153A KR101405417B1 (ko) 2007-07-19 2007-07-19 라이소인지질 콜로이드의 상거동을 이용하여 경피흡수도가조절된 피부 외용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54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2311B1 (ko) * 2011-12-16 2020-08-10 (주)아모레퍼시픽 텐저레틴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10200928A (zh) * 2019-07-23 2019-09-06 成秋宸 染料木素纳米冻干粉在抑制皮肤瘢痕形成和皮肤纤维化中的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0074A (ko) * 1988-06-30 1990-01-30 원본미기재 초미세 리포좀 형태의 양쪽친화성 지질의 분산 콜로이드계를 제조하는 방법
US6296870B1 (en) 1997-02-06 2001-10-02 Duke University Liposomes containing active agent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0074A (ko) * 1988-06-30 1990-01-30 원본미기재 초미세 리포좀 형태의 양쪽친화성 지질의 분산 콜로이드계를 제조하는 방법
US6296870B1 (en) 1997-02-06 2001-10-02 Duke University Liposomes containing active ag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854A (ko) 2009-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rotta et al. Deformable liposomes for dermal administration of methotrexate
Manconi et al. Niosomes as carriers for tretinoin. I. Preparation and properties
EP1410790B1 (en) Submicron-liposome containing triterpenoid and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Du Plessis et al. The influence of lipid composition and lamellarity of liposomes on the physical stability of liposomes upon storage
Firooz et al. Novel drug delivery strategies for improving econazole antifungal action
US5665379A (en) Lipid particle forming matrix, preparation and use thereof
JP4237446B2 (ja) トコフェロール誘導体を用いてナノ乳化粒子を安定化させる方法及びナノ乳化粒子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組成物
CN102397168B (zh) 用于化妆品的带电荷柔性纳米脂质体及其制备方法
WO1988007362A1 (en) Non-crystalline minoxidil composition and method of application
CA2193359A1 (en) Compositions for applying active substances to or through the skin
KR102037354B1 (ko) 생리활성물질 봉입을 위한 나노지질전달체 및 이의 제조방법
EP0892638A1 (en) Liposome-based topical vitamin d formulation
EP0514506B1 (en) Lipid formulation system
Shaikh et al. Aceclofenac organogels: in vitro and in vivo characterization
Gupta et al. Glycerosomes: Advanced Liposomal Drug Delivery System.
JP2009120584A (ja) 連続水相と分散脂肪相とを含むエマルジョンの形態の化粧品組成物、及びその調製方法
KR101509579B1 (ko) 온도 감응성 고분자를 이용한 피부지질유사 막의 라멜라형 비수계 액정상 캡슐기재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EP3241565A2 (en) Hybrid-type multi-lamellar nanostructure of epidermal growth factor and liposo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EP2407158A1 (en) Ph-responsive liposome
KR101405417B1 (ko) 라이소인지질 콜로이드의 상거동을 이용하여 경피흡수도가조절된 피부 외용제의 제조방법
WO2014028608A1 (en) Method of treating skin disorders using nanoscale delivery devices and transdermal enhancing compositions
KR101032623B1 (ko) pH 반응형 공중합체와 인지질로 구성된 이중 캡슐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4083326B (zh) 一种包载蛋白类药物的脂质体的制备方法
KR20200070091A (ko) 생리활성물질 봉입을 위한 나노지질전달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70101426A (ko) 에스터화 레시딘을 이용한 나노리포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