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8973A -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8973A
KR20220108973A KR1020210012101A KR20210012101A KR20220108973A KR 20220108973 A KR20220108973 A KR 20220108973A KR 1020210012101 A KR1020210012101 A KR 1020210012101A KR 20210012101 A KR20210012101 A KR 20210012101A KR 20220108973 A KR20220108973 A KR 20220108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laundry
cloth
washing machine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2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윤식
박현우
송지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12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8973A/ko
Priority to PCT/KR2021/009925 priority patent/WO2022163958A1/ko
Publication of KR20220108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89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52Control of the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06F34/05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e.g. for remote monitoring or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세탁물의 세탁 및 젖은 의류의 건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및 상기 세탁물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부를 포함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탁물을 세탁하기 위한 제1 포질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세탁물의 제1 포질에 따라 포질 별 세탁 프로파일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세탁 프로파일에 따라 세탁 행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세탁물의 탈수 단계; 상기 세탁물을 건조하기 위한 제2 포질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세탁물의 제2 포질에 따라 포질 별 건조 설정값을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도출된 건조 설정값에 따라 상기 세탁물을 건조하거나, 상기 도출된 건조 설정값을 상기 세탁장치에 연결된 제1 건조기에 전달하여 상기 건조 설정값을 가이드하거나, 상기 도출된 건조 설정값에 따라 상기 세탁장치에 연결된 제2 건조기의 건조 동작을 설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세탁물의 세탁 및 젖은 의류의 건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 일례로, 세탁장치는 세탁수를 저수하는 터브(외조)와 터브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내조)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드럼 내부에는 세탁물(포)가 구비되며, 드럼이 회전함에 따라 세제와 세탁수에 의해서 포가 세탁된다.
이러한 세탁장치는 세탁과 건조를 수행할 수 있는 건조 겸용 세탁기와 건조만을 수행할 수 있는 건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조는 고온의 열풍을 드럼 내부로 공급하여 대상물을 가열하여 수분을 증발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습공기를 세탁장치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식 건조기와 습공기에서 수분을 응축하여 다시 드럼으로 공급하는 순환식 건조기가 구비될 수 있다.
최근 세탁장치는 포질 감지를 통하여 맞춤 제어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세탁장치에서는 세탁 동작에 관한 포질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건조기에서는 건조 동작과 관련된 포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건조 동작과 관련된 포질에 대한 정보는 무선 페어링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레거시 건조기에는 적용이 어렵다.
또한, 세탁 동작에 관한 포질과 관련된 정보(세탁 포질 감지)와 건조 동작과 관련된 포질에 대한 정보(건조 포질 감지)는 각각의 세탁장치 및 건조기 제품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포질 감지 기능이 설계되어 있으므로 각각의 기기에서 세탁 포질 감지는 세탁 행정에만 활용되고, 건조 포질 감지는 건조 행정에만 활용 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 의류 관리기의 보급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가운데, 이러한 세탁 포질 감지 및 건조 포질 감지의 기능이 의류 관리기에서는 연동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세탁 포질 감지 및 건조 포질 감지의 기능을 세탁장치, 건조기 및 의류 관리기에서 종합적으로 연동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세탁 포질 감지 및 건조 포질 감지의 기능을 세탁장치, 건조기 및 의류 관리기에서 종합적으로 연동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세탁장치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추정 가능한 세탁 의류 및 건조 의류 포(세탁물) 질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세탁 행정 진입 전 포질 특성에 따른 맞춤 코스를 제안하고, 탈수 후 (건조 전) 포질 감지를 통해 건조 특성에 맞는 최적 건조 코스를 세탁장치 단일 제품에서 제어 및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세탁장치에서 추정한 건조 의류 포질 정보를 기반으로 별도의 레거시(legacy) 건조기(일례로, 무선 페어링 기능이 없는 건조기)의 기본 건조 설정/모드에 대한 추천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세탁장치에 페어링으로 연결된 건조기에서, 탈수 후 (건조 전) 포질 감지를 통해 건조 특성에 맞는 최적 건조 코스를 제어 및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세탁/건조 의류의 종합적인 포질 정보를 기반으로 의류 관리기와 연동하여 제어 및 코스 추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일례로서, 본 발명은,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및 상기 세탁물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부를 포함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탁물을 세탁하기 위한 제1 포질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세탁물의 제1 포질에 따라 포질 별 세탁 프로파일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세탁 프로파일에 따라 세탁 행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세탁물의 탈수 단계; 상기 세탁물을 건조하기 위한 제2 포질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세탁물의 제2 포질에 따라 포질 별 건조 설정값을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도출된 건조 설정값에 따라 상기 세탁물을 건조하거나, 상기 도출된 건조 설정값을 상기 세탁장치에 연결된 제1 건조기에 전달하여 상기 건조 설정값을 가이드하거나, 상기 도출된 건조 설정값에 따라 상기 세탁장치에 연결된 제2 건조기의 건조 동작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포질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세탁장치에서 탈수 후 전류분석을 통해 건조 포질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포질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세탁물의 마모 및 세탁력 고려하여 상기 세탁물을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포질을 감지하는 단계는, 전류와 온도변화 패턴 학습을 통해 건조 포질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포질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세탁물의 미건조 및 과건조를 고려하여 상기 세탁물을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세탁 프로파일 및 상기 건조 설정값을 종합한 종합 포질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종합 포질 정보에 따라 상기 세탁장치에 연결된 의류 관리기의 동작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종합 포질 정보에 따라, 상기 의류 관리기의 의류 재질에 따른 동작 모드 및 건조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다른 예로서, 본 발명은,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을 구동하는 모터; 상기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감지부; 상기 세탁물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부; 및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물을 세탁하기 위한 제1 포질을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세탁물의 제1 포질에 따라 포질 별 세탁 프로파일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세탁 프로파일에 따라 세탁 행정을 수행하고, 상기 세탁물의 탈수 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세탁물을 건조하기 위한 제2 포질을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세탁물의 제2 포질에 따라 포질 별 건조 설정값을 도출하고, 및 상기 도출된 건조 설정값에 따라 상기 세탁물을 건조하거나, 상기 도출된 건조 설정값을 상기 세탁장치에 연결된 제1 건조기에 전달하여 상기 건조 설정값을 가이드하거나, 상기 도출된 건조 설정값에 따라 상기 세탁장치에 연결된 제2 건조기의 건조 동작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 프로파일 및 상기 건조 설정값을 종합한 종합 포질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종합 포질 정보에 따라 상기 세탁장치에 연결된 의류 관리기의 동작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종합 포질 정보에 따라, 상기 의류 관리기의 의류 재질에 따른 동작 모드 및 건조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포질의 감지는, 상기 탈수 과정 후 상기 전류감지부를 이용한 전류분석을 통해 건조 포질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포질의 감지는, 상기 전류감지부를 이용한 전류 및 온도변화의 패턴학습을 통해 건조 포질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건조기 및 상기 의류 관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무선통신 방식으로 상기 세탁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세탁장치에서 판단된 건조 포질 정보를 세탁장치 자체적으로 이용하거나, 해당 기능이 없는 건조기와 페어링 시 맞춤 건조 코스를 자동 설정 가능하도록 제공 및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세탁장치에서 판단된 세탁 및 건조 포질에 대한 종합적인 판단 정보를 기반으로 의류 관리기 연동 시 의류 재질 및 건조 옵션과 관련하여 맞춤 코스를 제안하거나 모드를 자동 설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외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제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제어 방법 중 레거시 건조기가 연결된 경우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제어 방법 중 제1 포질과 제2 포질의 예를 표로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제어 방법 중 레거시 건조기가 연결된 경우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제어 방법 중 레거시 건조기가 연결된 경우의 가이드 과정의 일례를 표로 나타낸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제어 방법 중 페어링 건조기가 연결된 경우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제어 방법 중 페어링 건조기가 연결된 경우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제어 방법 중 페어링 건조기가 연결된 경우의 가이드 과정의 일례를 표로 나타낸 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제어 방법 중 페어링 건조기 및 의류 관리기가 연결된 경우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제어 방법 중 페어링 건조기 및 의류 관리기가 연결된 경우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제어 방법 중 페어링 건조기 및 의류 관리기가 연결된 경우의 가이드 과정의 일례를 표로 나타낸 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제어 방법 중 의류 관리기 설정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나아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각의 도면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당업자가 적어도 2개 이상의 도면을 결합하여 다른 실시예를 구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또한, 층, 영역 또는 모듈과 같은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on)"에 존재하는 것으로 언급될 때, 이것은 직접적으로 다른 요소 상에 존재하거나 또는 그 사이에 중간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러한 의류처리장치는 세탁과 건조를 수행할 수 있는 건조 겸용 세탁기와 건조만을 수행할 수 있는 건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일례로서, 의류처리장치는 세탁장치인 것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외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세탁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 터브(20), 드럼(30), 그리고 드럼(30)을 가열하도록 구비되는 히터(7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이러한 히터(70)는 인덕션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히터(70)는 인덕션 히터에 제한되지 않고 일반적인 히터가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시스(sheath) 히터, 히트 펌프를 이용한 히터 등 다양한 히터가 구비될 수 있다.
터브(20)는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어 드럼(30)을 수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드럼(30)은 터브(2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세탁물을 수용할 수 있다. 드럼(30)의 전방에는 개구부가 구비되고, 세탁물이 드럼(30)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드럼(30)의 원주면에는 터브(20)와 드럼(30) 사이에 공기 및 세탁수가 연통되도록 통공(30h)이 형성될 수 있다.
히터(70)는 전자기장을 발생시켜 드럼(30)을 가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히터(70)는 터브(20)의 외주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탁장치는, 일례로서, 수용공간을 제공하며 전방에 개구부를 구비한 터브(20), 수용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도체로 이루어진 드럼(30), 터브(20)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드럼(30)을 전자기장으로 가열하는 인덕션 히터(7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히터(70)는 드럼(30)을 가열함으로써 세탁물의 건조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터브(20)와 드럼(30)은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터브(20)와 드럼(30)의 내주면과 외주면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는 드럼(30)이 지면과 나란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형태의 세탁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달리, 드럼(30)과 터브(20)는 후방으로 기울어진 틸팅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세탁장치는 드럼(30)을 터브(20) 내부에서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구동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40)는 모터(41)를 포함하며, 모터(41)는 스테이터와 로터를 포함할 수 있다. 로터는 회전축(42)과 연결되어 있고, 회전축(42)은 드럼(30)과 연결되어 드럼(30)을 터브(20) 내부에서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부(40)는 스파이더(43)를 포함할 수 있다. 스파이더(43)는 드럼(30)과 회전축(42)을 연결하는 구성으로 회전축(42)의 회전력을 드럼(30)에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스파이더(43)는 드럼(30)의 후벽에 적어도 일부분 삽입된 형태로 드럼(30)과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드럼(30)의 후벽은 드럼(30) 내부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파이더(43)는 드럼(30)의 회전 중심 부분에서 더욱 드럼(30) 내측으로 삽입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드럼(30)의 내부에는 리프터(50)가 구비될 수 있다. 리프터(50)는 드럼(3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리프터(50)는 세탁물을 교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드럼(30)이 회전함에 따라 리프터(50)는 세탁물을 상부로 올릴 수 있다.
상부로 이동한 세탁물은 중력에 의해서 리프터(50)와 분리되어 하부로 낙하하게 된다. 이러한 세탁물이 낙하에 의한 충격력으로 세탁이 수행될 수 있다. 물론, 세탁물의 교반은 건조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다. 세탁물은 드럼(30) 내부에서 전후로 골고루 분배될 수 있다. 따라서, 리프터(50)는 드럼(30) 후단에서 전단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제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제어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세탁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80), 제어부(80)에 의해 제어되는 입력부(77), 모터 구동부(71), 출력부(72), 통신부(73), 속도 감지부(74), 전류 감지부(75), 메모리(76)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80)는 세탁, 헹굼, 탈수 및 건조의 일련의 세탁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80)는 입력부(77)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세탁, 헹굼, 탈수 및 건조의 일련의 세탁과정을 입력받을 수 있다. 제어부(80)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알고리즘에 따라, 세탁, 헹굼, 행정을 진행할 수 있고, 또한, 제어부(80)는 상기 알고리즘에 따라 모터 구동부(71)를 제어할 수 있다.
모터 구동부(71)는 제어부(8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모터(9)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신호는 모터(9)의 목표속도, 가속 기울기(또는, 가속도), 구동시간 등을 제어하는 신호일 수 있다.
모터 구동부(71)는, 모터(9)를 구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인버터(미도시), 및 인버터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터 구동부(71)는, 인버터에 입력되는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컨버터 등을 더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버터 제어부(미도시)가 펄스 폭 변조(PWM) 방식의 스위칭 제어 신호를 인버터(미도시)로 출력하면, 인버터(미도시)는 고속 스위칭 동작을 하여, 소정 주파수의 교류 전원을 모터(9)에 공급할 수 있다.
속도 감지부(74)는 세탁조(4)의 회전속도를 감지한다. 속도 감지부(74)는 모터(9)의 회전자의 회전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모터(9)의 회전비를 변환시켜 세탁조(4)를 회전시키는 유성 기어열이 구비된 경우, 세탁조(4)의 회전속도는 속도 감지부(74)에 의해 감지된 상기 회전자의 회전속도를 상기 유성 기어열의 감속 또는 증속비를 고려하여 변환한 값일 수 있다.
제어부(80)는, 속도 감지부(74)로부터 전달된 현재 속도를 피드백(feedback)으로 하여, 모터(9)가 기설정된 목표속도를 추종하도록 모터 구동부(71)를 제어할 수 있다.
전류 감지부(75)는, 모터(9)에 인가되는 전류(이하, 현재 전류라고 함.)를 감지하여 제어부(80)로 전달하고, 제어부(80)는 수신된 현재 전류를 입력 데이터로 이용하여 포량과 포질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입력 데이터로써 현재 전류 값들은 모터(9)가 기설정된 목표속도를 향해 가속되는 과정에서 구한 값들을 포함한다.
토크 전류와 자속 전류를 바탕으로 한 벡터 제어에 의해 모터(9)의 회전이 제어되는 경우, 상기 현재 전류는 모터 회로에 흐르는 전류의 토크축(q축) 성분, 즉, 토크 전류(Iq)일 수 있다.
출력부(72)는 세탁기의 작동 상태를 출력하는 것이다. 출력부(72)는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는 LCD, LED 등의 화상 출력장치 또는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 부져(buzzer) 등의 음향 출력장치일 수 있다.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출력부(72)는 포량 또는 포질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메모리(76)에는 프로그램된 인공신경망, 포량 별 및/또는 포질 별 전류 패턴들, 이 전류 패턴을 바탕으로 머신 러닝 기반의 학습을 통해 구축된 데이터 베이스(DB), 머신 러닝 알고리즘, 전류 감지부(75)에 의해 감지된 현재 전류 값, 상기 현재 전류 값들을 평균한 값, 이들 평균한 값들을 파싱 룰(parsing rule)에 따라 처리한 값, 통신부(73)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76)에는 세탁기의 동작 전반의 제어를 위한 각종 제어 데이터, 사용자가 입력한 세탁설정 데이터, 세탁설정에 따라 산출되는 세탁시간, 세탁 코스 등에 대한 데이터, 세탁기의 에러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통신부(73)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73)는 인터넷 모듈, 이동 통신 모듈 등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통신부(73)는 상기 서버로부터 학습 데이터, 알고리즘 업데이트 등의 각종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80)는 통신부(73)를 통해 수신된 각종 데이터를 처리하여 메모리(76)를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73)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가 메모리(76)에 기저장된 운전 프로그램에 대한 업데이트 데이터인 경우에는 이를 이용하여 메모리(76)에 업데이트시키고, 입력된 데이터가 신규한 운전 프로그램인 경우에는 메모리(76)에 이를 추가로 저장시킬 수 있다.
딥러닝(Deep Learning)은, 인공지능을 구성하기 위한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 ANN)에 기반으로 하여 컴퓨터에게 사람의 사고방식을 가르치는 방법으로 사람이 가르치지 않아도 컴퓨터가 스스로 사람처럼 학습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술이다. 인공신경망(ANN)은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되거나 칩(chip) 등 하드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세탁장치는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 기반으로 전류 감지부(75)에 의해 감지된 전류 값들을 처리하여 세탁조(4) 내에 투입된 세탁물(포)의 특성(이하, 포 특성이라고 함.)을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포 특성은 포의 양과 포의 상태(이하, '포질'이라고도 한다)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제어부(80)는 머신 러닝 기반으로 포량 별 포질을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80)는 포량을 구하고, 다시 포질에 따라 기분류된 카테고리들 중 어느 것에 속하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이러한 포의 상태는 포의 재질, 부드러운 정도(예를 들어, 부드러운(soft) 포/뻣뻣한(hard) 포), 포가 물을 머금을 수 있는 능력(즉, 함습율), 건포와 습포 간의 부피 차, 포의 구성(즉, 부드러운 포(Soft)와 뻣뻣한 포(Hard)의 혼합비) 등의 여러 요인들을 바탕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어부(80)는, 상기 목표속도에 도달하는 시점까지 전류 감지부(75)에서 감지된 현재 전류 값을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으로 기학습된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의 입력 데이터(input data)로 사용하여 포량을 감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세탁장치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추정 가능한 세탁 의류 및 건조 의류 포질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세탁 행정 진입 전 포질 특성에 따른 맞춤 코스를 제안하고, 탈수 후 (건조 전) 포질 감지를 통해 건조 특성에 맞는 최적 건조 코스를 세탁장치 단일 제품에서 제어 및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세탁장치에서 추정한 건조 의류 포질 정보를 기반으로 별도의 레거시 건조기(일례로, 무선 페어링 기능이 없는 건조기)의 기본 건조 설정/모드에 대한 추천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세탁장치에 페어링으로 연결된 건조기에서, 탈수 후 (건조 전) 포질 감지를 통해 건조 특성에 맞는 최적 건조 코스를 제어 및 추천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장치의 제어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세탁장치의 제어 방법의 과정들은 위에서 설명한 제어부(8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세탁장치의 제어 방법의 과정들은 제어부(80)의 구성 중, 포량/포질학습모듈(81) 및/또는 포량/포질인식모듈(82)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먼저, 세탁이 시작된 후에, 세탁물(포)을 세탁하기 위한 제1 포질을 감지하는 단계(S10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포질을 감지하는 단계(S100)는, 세탁장치(100)에서 탈수 후 전류분석을 통해 포질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포질은 건조 포질일 수 있다.
또한, 제1 포질을 감지하는 단계(S100)는, 세탁물의 마모 및 세탁력 고려하여 세탁물을 분류하는 과정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포질은 도 7(a)에서 표시하는 바와 같이 분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포질을 감지하는 단계(S100)는, 먼저 제1 포질의 감지구간에 진입한 후(S101), 해당 세탁물에 대하여 효율적인 세탁 또는 최적의 세탁을 위하여 적용할 수 있는 세탁 포질을 판단할 수 있다(S102).
이후, 이와 같이 감지된 세탁물의 제1 포질에 따라 포질 별 세탁 프로파일을 설정할 수 있다(S110).
이렇게 설정된 세탁 프로파일에 따라 세탁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S120). 즉, 감지된 제1 포질에 따라 설정된 세탁 프로파일에 따라 세탁 행정을 시작하고(S121), 이후 세탁을 종료할 수 있다(S122).
이후에는 세탁물의 탈수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S130). 이러한 탈수 과정은 탈수 시작(S131)과 탈수 종료(S132)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탈수 과정(S130) 이후에는 세탁물을 건조하기 위한 제2 포질을 감지하는 단계(S14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포질을 감지하는 단계(S140)는, 먼저 제2 포질의 감지구간에 진입한 후(S141), 해당 세탁물에 대하여 효율적인 건조 또는 최적의 건조를 위하여 적용할 수 있는 건조 포질을 판단할 수 있다(S142).
또한, 제2 포질을 감지하는 단계(S140)는, 전류와 온도변화 패턴 학습을 통해 감지될 수 있다.
또한, 제2 포질을 감지하는 단계(140)는, 세탁물의 미건조 및 과건조를 고려하여 세탁물을 분류하는 과정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포질은 도 7(b)에서 표시하는 바와 같이 분류될 수 있다.
이후에는 이와 같이 감지된 세탁물의 제2 포질에 따라 포질 별 건조 설정값을 도출하는 과정(S150)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면 이와 같이 도출된 건조 설정값에 따라 세탁장치 자체적으로 세탁물을 건조할 수 있다. 즉, 세탁장치(100)에 건조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면, 도출된 건조 설정값에 따라 세탁물을 건조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일례로, 세탁장치(100)에 건조 기능이 포함되어 있지 않고, 이 세탁장치(100)에 레거시(legacy) 건조기(일례로, 무선 페어링 기능이 없는 건조기)가 연결된 경우, 이 레거시 건조기의 기본 건조 설정/모드에 대한 추천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추천 가이드는 레거시 건조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러한 레거시 건조기는 세탁장치(100)와 물리적인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통신할 수 있는 건조기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세탁장치(100)에 건조 기능이 포함되어 있지 않고, 이 세탁장치(100)에 이 세탁장치(100)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건조기(일례로, 무선 페어링(이하, 페어링 건조기)을 통하여)가 연결되는 경우, 위에서 도출된 건조 설정값에 따라 세탁장치(100)에 연결된 건조기의 건조 동작을 설정할 수 있다.
즉, 건조기가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먼저 판단하고(S170), 건조기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건조 관리모드가 턴온(turn on) 될 수 있다(S181). 그리고 연결된 건조기에 따라 설정 가이드(레거시 건조기) 또는 맞춤 모드 제어(이하, 페어링 건조기)를 수행할 수 있다(S180).
한편, 포질 별 건조 설정값을 도출하는 과정(S150) 이후, 세탁 프로파일 및 건조 설정값을 종합한 종합 포질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S16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종합 포질 정보는 레거시 건조기나 페어링 건조기에 전달되어 건조 시 이용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세탁장치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추정 가능한 세탁 의류 및 건조 의류 포질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세탁 행정 진입 전 포질 특성에 따른 맞춤 코스를 제안하고, 탈수 후 (건조 전) 포질 감지를 통해 건조 특성에 맞는 최적 건조 코스를 세탁장치 단일 제품에서 제어 및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세탁장치에서 추정한 건조 의류 포질 정보를 기반으로 별도의 레거시 건조기(일례로, 무선 페어링 기능이 없는 건조기)의 기본 건조 설정/모드에 대한 추천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세탁장치에 페어링으로 연결된 건조기에서, 탈수 후 (건조 전) 포질 감지를 통해 건조 특성에 맞는 최적 건조 코스를 제어 및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세탁장치와 건조기에 의류 관리기가 연결된 경우에 세탁/건조 의류의 종합적인 포질 정보를 기반으로 의류 관리기와 연동하여 제어 및 코스 추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세탁장치의 제어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세탁장치의 제어 방법의 과정들은 위에서 설명한 제어부(8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세탁장치의 제어 방법의 과정들은 제어부(80)의 구성 중, 포량/포질학습모듈(81) 및/또는 포량/포질인식모듈(82)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세탁이 시작된 후에, 세탁물(포)을 세탁하기 위한 제1 포질을 감지하는 단계(S20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S200 단계 내지 S250 단계는 위에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S100 단계 내지 S150 단계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포질 별 건조 설정값을 도출하는 과정(S250) 이후, 세탁 프로파일 및 건조 설정값을 종합한 종합 포질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S26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종합 포질 정보는 의류 관리기에서 이루어지는 의류 관리 동작 모드를 고려하여 종합된 포질 정보일 수 있다.
이후, 세탁장치(100)에 의류 관리기가 연결(연동)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종합 포질 정보에 따라 세탁장치(100)에 연결된 의류 관리기의 동작을 설정하는 단계(S280)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세탁장치(100)에 의류 관리기가 연결(연동)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270), 의류 관리기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먼저, 의류 관리 연동 모드가 턴온(turn on) 될 수 있다(S281).
이후, 의류 관리기를 통하여 종합 포질 정보 기반 관리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S282). 따라서, 종합 포질 정보에 따라, 의류 관리기의 의류 재질에 따른 동작 모드 및 건조 모드를 설정(제어)할 수 있다(S283). 즉, 의류 관리기에서 종합 포질 정보에 따른 맞춤 모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S283).
한편, 이와 같이, 의류 건조기가 연결되어 제어되는 경우에도, 이 의류 제어기의 동작(제어) 전에, 건조기 상태에 따라 설정 가이드(레거시 건조기) 또는 맞춤 모드 제어(이하, 페어링 건조기)를 수행할 수도 있다(S180).
즉,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출된 건조 설정값에 따라 세탁장치 자체적으로 세탁물을 건조할 수 있다. 즉, 세탁장치(100)에 건조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면, 도출된 건조 설정값에 따라 세탁물을 건조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건조 과정은 세탁장치(100)에 의류 관리기가 연결(연동)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S270) 전후에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일례로, 세탁장치(100)에 건조 기능이 포함되어 있지 않고, 이 세탁장치(100)에 레거시(legacy) 건조기(일례로, 무선 페어링 기능이 없는 건조기)가 연결된 경우, 이 레거시 건조기의 기본 건조 설정/모드에 대한 추천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추천 가이드는 레거시 건조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다른 예로, 세탁장치(100)에 건조 기능이 포함되어 있지 않고, 이 세탁장치(100)에 이 세탁장치(100)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건조기(일례로, 무선 페어링(이하, 페어링 건조기)을 통하여)가 연결되는 경우, 위에서 도출된 건조 설정값에 따라 세탁장치(100)에 연결된 건조기의 건조 동작을 설정할 수 있다.
즉, 건조기가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먼저 판단하고(S170), 건조기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건조 관리모드가 턴온(turn on) 될 수 있다(S181). 그리고 연결된 건조기에 따라 설정 가이드(레거시 건조기) 또는 맞춤 모드 제어(이하, 페어링 건조기)를 수행할 수 있다(S180).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제어 방법 중 레거시 건조기가 연결된 경우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제어 방법 중 제1 포질과 제2 포질의 예를 표로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제어 방법 중 레거시 건조기가 연결된 경우의 동작 순서도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제어 방법 중 레거시 건조기가 연결된 경우의 가이드 과정의 일례를 표로 나타낸 도이다.
본 실시예는, 위에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예 중에서, 세탁장치(100)에 건조 기능이 포함되어 있거나 또는 세탁장치(100)에 레거시(legacy) 건조기(200)(일례로, 무선 페어링 기능이 없는 건조기)가 연결된 경우에 해당한다.
한편, 세탁장치(100)에 건조 기능이 포함된 경우나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도 본 실시예는 적용될 수 있다. 일례로, 레거시 건조기(200)의 건조 성능이 세탁장치(100)에 포함된 건조 기능보다 우수하거나, 다른 어떤 이유에 의하여 세탁장치(100)의 건조 기능을 이용하지 않고 레거시 건조기(200)를 이용하여 세탁물의 건조를 수행하는 경우에도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과정(S100 내지 S180)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경우에 따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세탁이 시작된 후에, 세탁물(포)을 세탁하기 위한 제1 포질을 감지하는 단계(S10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포질을 감지하는 단계(S100)는, 세탁장치(100)에서 탈수 후 전류분석을 통해 포질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텀블링 모션(텀플링 구동)이 적용될 수 있다. 드럼의 텀블링 구동은, 드럼이 대략 40 내지 46 RPM으로 회전함에 따라 드럼 내부의 포(세탁물)가 들어져 올려진 후 낙하하도록 하는 구동이라 할 수 있다. 즉, 텀블링 구동은 포의 낙하 및 드럼과의 마찰을 통한 기계력에 의해서 세탁이나 포적심이 수행되는 구동이라 할 수 있다. 포가 드럼 내에서 교반되는 구동이므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구동이라 할 수 있다.
이때, 습한 세탁물은 드럼의 높은 회전수에서의 구동과 상대적으로 낮은 회전수의 구동에서의 전류 차이가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물에서 물풍선 현상이 발생한다면 이러한 물풍선 현상이 발생한 세탁물을 높은 회전수로 구동할 때와 낮은 회전수로 구동할 때의 구동을 위한 전류는 차이가 크게 발생할 수 있다. 반면, 건조된 세탁물은 드럼의 높은 회전수에서의 구동과 상대적으로 낮은 회전수의 구동에서의 전류 차이가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세탁물의 다양한 포질을 감지 또는 분류할 수 있다.
한편, 습도 및 온도 센서 데이터를 활용하여, 세탁물의 포질별 데이터 패턴 차이를 딥러닝(deep learning) 알고리즘으로 학습하여 부하(포)를 판단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딥러닝은, 인공지능을 구성하기 위한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 ANN)에 기반으로 하여 컴퓨터에게 사람의 사고방식을 가르치는 방법으로 사람이 가르치지 않아도 컴퓨터가 스스로 사람처럼 학습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술이다.
세탁장치(100)는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 기반으로 전류 감지부(75)에 의해 감지된 전류 값들을 처리하여 세탁조(4) 내에 투입된 세탁물(포)의 특성(이하, 포 특성이라고 함.)을 파악할 수 있다.
제어부(80)는 머신 러닝 기반으로 포량 별 포질을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80)는 포량을 구하고, 다시 포질에 따라 기분류된 카테고리들 중 어느 것에 속하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이러한 포의 상태는 포의 재질, 부드러운 정도(예를 들어, 부드러운(soft) 포/뻣뻣한(hard) 포), 포가 물을 머금을 수 있는 능력(즉, 함습율), 건포와 습포 간의 부피 차, 포의 구성(즉, 부드러운 포(Soft)와 뻣뻣한 포(Hard)의 혼합비) 등의 여러 요인들을 바탕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포질은 세탁을 위한 세탁 의류 포질로서, 도 7(a)에서 표시하는 바와 같이 분류될 수 있다.
세탁장치(100)는 이와 같이 감지된 세탁물의 제1 포질에 따라 포질 별 세탁 프로파일을 설정할 수 있다(S110).
세탁장치(100)는 이렇게 설정된 세탁 프로파일에 따라 세탁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S120). 즉, 감지된 제1 포질에 따라 설정된 세탁 프로파일에 따라 세탁 행정을 시작하고(S121), 이후 세탁을 종료할 수 있다(S122).
이후에는 세탁물의 탈수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S130). 이러한 탈수 과정은 탈수 시작(S131)과 탈수 종료(S132)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탈수 과정(S130) 이후에는 세탁물을 건조하기 위한 제2 포질을 감지하는 단계(S14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포질을 감지하는 단계(S140)는, 먼저 제2 포질의 감지구간에 진입한 후(S141), 해당 세탁물에 대하여 효율적인 건조 또는 최적의 건조를 위하여 적용할 수 있는 건조 포질을 판단할 수 있다(S142).
또한, 제2 포질을 감지하는 단계(140)는, 세탁물의 건조 특성을 고려한 분류 과정에 해당할 수 있다. 일례로, 제2 포질을 감지하는 단계(140)는 미건조 및 과건조를 고려하여 세탁물을 분류하는 과정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포질은 도 7(b)에서 표시하는 바와 같이 분류될 수 있다.
이후에는 이와 같이 감지된 세탁물의 제2 포질에 따라 포질 별 건조 설정값을 도출하는 과정(S150)이 수행될 수 있다.
세탁장치(100)에 건조 기능이 포함된 경우(건조기 콤비 제품)에는 이와 같이 감지된 건조 포질(제1 포질)을 이용하여 세탁장치(100) 내에서 건조 기능을 적용할 수 있다. 즉, 세탁장치(100)는 분류된 제1 포질에 근거하여 맞춤 건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세탁장치(100)에 레거시 건조기(200)가 연결된 경우, 이 레거시 건조기(200)를 이용하여 세탁물의 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세탁장치(100)에 건조 기능이 포함되어 있지 않거나, 건조 기능이 포함된 경우라도 레거시 건조기(200)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레거시 건조기(200)에 기본 건조 설정/모드에 대한 추천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추천 가이드는 음성으로 안내되거나 레거시 건조기(2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레거시 건조기(200)는 세탁장치(100)와 물리적인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통신할 수 있는 건조기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기본 건조 설정/모드에 대한 추천 가이드를 이용하여 레거시 건조기(20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세탁장치(100)의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탈수 후 건조 대상이 되는 의류에 대한 포질 감지를 통해 레거시 건조기(200)에 맞춤 건조를 위해 기본 설정(건조 시간/강도)에 대한 코스를 추천할 수 있다.
즉, 세탁장치(100)에서는 건조기(200)에 일반적으로 적용 가능한 건조 옵션, 즉, 공통 건조 인자에 대해 추정된 건조 포질 인식 정보를 기반으로 추천 코스를 제안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이와 같이 세탁장치(100)에 레거시 건조기(200)가 연결된 경우에 수행 단계를 간략히 나타내고 있다.
즉, 위에서 설명한 세탁 과정 중에서 세탁이 종료된 이후(S122), 세탁장치(100)에서는 세탁/건조를 위한 제1 포질 및 제2 포질을 추정할 수 있고, 레거시 건조기(200)에 건조 가이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S182).
이러한 구체적인 건조 가이드는 세탁물의 건조와 관련된 공통 인자로서, 예를 들어, 온도/시간을 가이드할 수 있다(S183).
도 9는 이와 같은 가이드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다. 일례로, 감지 포질에 따라, 단계별로 건조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세탁물의 포질이 소수성으로 감지된 경우, 제1단계 건조 동작을 안내할 수 있다. 즉, "수분 함유가 적은 의류이니 건조 정도는 약으로 설정하고 건조 시간은 30분 정도로 추천합니다"와 같은 멘트를 안내하거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세탁물의 포질이 친수성으로 감지된 경우, 제2단계 건조 동작을 안내할 수 있다. 즉, "수분 함유가 많은 의류이니 건조 정도는 중으로 설정하고 건조 시간은 40분 정도 추천합니다"와 같은 멘트를 안내하거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제어 방법 중 페어링 건조기가 연결된 경우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제어 방법 중 페어링 건조기가 연결된 경우의 동작 순서도이다. 또한,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제어 방법 중 페어링 건조기가 연결된 경우의 가이드 과정의 일례를 표로 나타낸 도이다.
본 실시예는, 위에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예 중에서, 세탁장치(100)에 페어링(pairing) 건조기(210)가 연결된 경우에 해당한다.
한편, 세탁장치(100)에 건조 기능이 포함된 경우나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도 본 실시예는 적용될 수 있다. 일례로, 페어링 건조기(210)의 건조 성능이 세탁장치(100)에 포함된 건조 기능보다 우수하거나, 다른 어떤 이유에 의하여 세탁장치(100)의 건조 기능을 이용하지 않고 페어링 건조기(210)를 이용하여 세탁물의 건조를 수행하는 경우에도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과정(S100 내지 S180)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경우에 따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세탁이 시작된 후에, 세탁물(포)을 세탁하기 위한 제1 포질을 감지하는 단계(S10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포질을 감지하는 단계(S100)는, 세탁장치(100)에서 탈수 후 전류분석을 통해 포질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포의 상태는 포의 재질, 부드러운 정도(예를 들어, 부드러운(soft) 포/뻣뻣한(hard) 포), 포가 물을 머금을 수 있는 능력(즉, 함습율), 건포와 습포 간의 부피 차, 포의 구성(즉, 부드러운 포(Soft)와 뻣뻣한 포(Hard)의 혼합비) 등의 여러 요인들을 바탕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포질은 세탁을 위한 세탁 의류 포질로서, 도 7(a)에서 표시하는 바와 같이 분류될 수 있다.
세탁장치(100)는 이와 같이 감지된 세탁물의 제1 포질에 따라 포질 별 세탁 프로파일을 설정할 수 있다(S110).
세탁장치(100)는 이렇게 설정된 세탁 프로파일에 따라 세탁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S120). 즉, 감지된 제1 포질에 따라 설정된 세탁 프로파일에 따라 세탁 행정을 시작하고(S121), 이후 세탁을 종료할 수 있다(S122).
이후에는 세탁물의 탈수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S130). 이러한 탈수 과정은 탈수 시작(S131)과 탈수 종료(S132)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탈수 과정(S130) 이후에는 세탁물을 건조하기 위한 제2 포질을 감지하는 단계(S14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포질을 감지하는 단계(S140)는, 먼저 제2 포질의 감지구간에 진입한 후(S141), 해당 세탁물에 대하여 효율적인 건조 또는 최적의 건조를 위하여 적용할 수 있는 건조 포질을 판단할 수 있다(S142).
또한, 제2 포질을 감지하는 단계(140)는, 세탁물의 건조 특성을 고려한 분류 과정에 해당할 수 있다. 일례로, 제2 포질을 감지하는 단계(140)는 미건조 및 과건조를 고려하여 세탁물을 분류하는 과정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포질은 도 7(b)에서 표시하는 바와 같이 분류될 수 있다.
이후에는 이와 같이 감지된 세탁물의 제2 포질에 따라 포질 별 건조 설정값을 도출하는 과정(S150)이 수행될 수 있다.
세탁장치(100)에 건조 기능이 포함된 경우(건조기 콤비 제품)에는 이와 같이 감지된 건조 포질(제1 포질)을 이용하여 세탁장치(100) 내에서 건조 기능을 적용할 수 있다. 즉, 세탁장치(100)는 분류된 제1 포질에 근거하여 맞춤 건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세탁장치(100)에 페어링 건조기(210)가 연결된 경우, 위에서 도출된 건조 설정값에 따라 세탁장치(100)에 연결된 건조기의 건조 동작을 설정할 수 있다.
즉, 건조기가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먼저 판단하고(S170), 페어링 건조기(210)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건조 관리모드가 턴온(turn on) 될 수 있다(S181). 그리고 세탁장치(100)에서는 페어링 건조기(210)의 맞춤 모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S180). 또는 세탁장치(100)에서 전달된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페어링 건조기(210)에서 맞춤 모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S180).
구체적으로, 건조기가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먼저 판단하고(S170), 페어링 건조기(210)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페어링 과정이 먼저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페어링 건조기(210)가 제어 가능하게 연결된 경우, 포질 정보가 페어링 건조기(210)로 전달될 수 있다. 이후, 건조 관리모드가 턴온(turn on) 될 수 있다(S181).
이와 같은 페어링 과정은 무선통신 방식에 의한 연결 과정일 수 있다. 일례로, 와이파이(Wi-Fi)에 의한 무선 연결 과정에 해당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1을 참조하면, 이와 같이 세탁장치(100)에 페어링 건조기(210)가 연결된 경우에 수행 단계를 간략히 나타내고 있다.
즉, 위에서 설명한 세탁 과정 중에서 세탁이 종료된 이후(S122), 세탁장치(100)에서는 세탁/건조를 위한 제1 포질 및 제2 포질을 추정할 수 있다.
이후, 페어링을 통하여 페어링 건조기(210)에 포질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S183).
그러면, 세탁장치(100)에서 전달된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페어링 건조기(210)에서 맞춤 모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S180).
이러한 맞춤 모드 제어는 세탁물의 건조와 관련된 공통메뉴로서, 예를 들어, 건조 온도/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S184).
도 12는 이와 같은 메뉴 설정의 일례를 나타낸다. 일례로, 감지 포질에 따라, 페어링 건조기(210)의 설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감지된 건조 포질이 소수성인 경우에, 제1단계 건조 수행 단계로서 자동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단계 설정으로서, 일례로, 건조 정도는 '약', 건조 시간은 30분이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감지된 건조 포질이 친수성인 경우에, 제2단계 건조 수행 단계로서 자동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제2단계 설정으로서, 일례로, 건조 정도는 '중', 건조 시간은 40분이 설정될 수 있다.
그러면, 이와 같은 설정에 따라 페어링 건조기(210)가 동작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제어 방법 중 페어링 건조기 및 의류 관리기가 연결된 경우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제어 방법 중 페어링 건조기 및 의류 관리기가 연결된 경우의 동작 순서도이다. 또한,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제어 방법 중 페어링 건조기 및 의류 관리기가 연결된 경우의 가이드 과정의 일례를 표로 나타낸 도이다.
본 실시예는, 위에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예 중에서, 세탁장치(100)에 페어링(pairing) 건조기(210) 및 의류 관리기(300)가 연결된 경우에 해당한다.
한편, 세탁장치(100)에 건조 기능이 포함된 경우나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도 본 실시예는 적용될 수 있다. 일례로, 페어링 건조기(210)의 건조 성능이 세탁장치(100)에 포함된 건조 기능보다 우수하거나, 다른 어떤 이유에 의하여 세탁장치(100)의 건조 기능을 이용하지 않고 페어링 건조기(210)를 이용하여 세탁물의 건조를 수행하는 경우에도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일례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나 메뉴 버튼을 통해 의류 관리기(300)의 연동 동작을 사전에 설정하면 해당 세탁/건조 모드는 추후 의류 관리 모드를 고려하여 포질 정보를 종합하여 저장하고, 의류 관리기(300)의 연동을 통해 해당 정보를 의류 관리기의 동작 모드 및 제어에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과정(S200 내지 S280)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경우에 따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세탁이 시작된 후에, 세탁물(포)을 세탁하기 위한 제1 포질을 감지하는 단계(S20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포질을 감지하는 단계(S200)는, 세탁장치(100)에서 탈수 후 전류분석을 통해 포질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포의 상태는 포의 재질, 부드러운 정도(예를 들어, 부드러운(soft) 포/뻣뻣한(hard) 포), 포가 물을 머금을 수 있는 능력(즉, 함습율), 건포와 습포 간의 부피 차, 포의 구성(즉, 부드러운 포(Soft)와 뻣뻣한 포(Hard)의 혼합비) 등의 여러 요인들을 바탕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포질은 세탁을 위한 세탁 의류 포질로서, 도 7(a)에서 표시하는 바와 같이 분류될 수 있다.
세탁장치(100)는 이와 같이 감지된 세탁물의 제1 포질에 따라 포질 별 세탁 프로파일을 설정할 수 있다(S210).
세탁장치(100)는 이렇게 설정된 세탁 프로파일에 따라 세탁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S220). 즉, 감지된 제1 포질에 따라 설정된 세탁 프로파일에 따라 세탁 행정을 시작하고(S221), 이후 세탁을 종료할 수 있다(S222). 이후에는 세탁물의 탈수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S230).
탈수 과정(S230) 이후에는 세탁물을 건조하기 위한 제2 포질을 감지하는 단계(S24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포질을 감지하는 단계(240)는, 세탁물의 건조 특성을 고려한 분류 과정에 해당할 수 있다. 일례로, 제2 포질을 감지하는 단계(240)는 미건조 및 과건조를 고려하여 세탁물을 분류하는 과정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포질은 도 7(b)에서 표시하는 바와 같이 분류될 수 있다.
이후에는 이와 같이 감지된 세탁물의 제2 포질에 따라 포질 별 건조 설정값을 도출하는 과정(S250)이 수행될 수 있다.
세탁장치(100)에 페어링 건조기(210)가 연결된 경우, 위에서 도출된 건조 설정값에 따라 세탁장치(100)에 연결된 건조기(210)의 건조 동작을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페어링 건조기(210)의 건조 과정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후, 세탁장치(100) 또는 건조기(210)에 의류 관리기(300)가 연결(연동)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종합 포질 정보에 따라 세탁장치(100) 또는 건조기(210)에 연결된 의류 관리기의 동작을 설정하는 단계(S280)가 수행될 수 있다.
도 13은 의류 관리기(300)가 페어링 건조기(210)에 연결된 예를 설명하고 있다. 이후, 이러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즉, 페어링 건조기(210)에 의류 관리기(300)가 연결(연동)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270), 의류 관리기(300)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먼저, 의류 관리기 연동 모드가 턴온(turn on) 될 수 있다(S281).
이후, 의류 관리기(300)를 통하여 종합 포질 정보 기반 관리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S282). 따라서, 종합 포질 정보에 따라, 의류 관리기(300)의 의류 재질에 따른 동작 모드 및 건조 모드를 설정(제어)할 수 있다(S283). 즉, 의류 관리기(300)에서 종합 포질 정보에 따른 맞춤 모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S283).
이와 같은 페어링 과정은 무선통신 방식에 의한 연결 과정일 수 있다. 일례로, 와이파이(Wi-Fi)에 의한 무선 연결 과정에 해당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4를 참조하면, 이와 같이 세탁장치(100)에 페어링 건조기(210) 및 의류 관리기(300)가 순차적으로 연결된 경우에 수행 단계를 간략히 나타내고 있다.
먼저, 의류 관리기 연동 모드가 턴온(turn on) 될 수 있다(S281). 이러한 의류 관리기 연동 모드는 세탁/건조가 완료(S281-1)되기 전에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세탁과정의 수행 전에 미리 설정될 수도 있다.
의류 관리기(300)의 의류 재질에 따른 동작 모드 및 건조 모드가 설정(제어)될 수 있다(S283). 즉, 의류 관리기(300)에서 종합 포질 정보에 따른 맞춤 모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S283).
도 15는 이와 같은 종합 포질 정보에 따른 맞춤 모드 제어의 일례를 나타낸다. 일례로, 종합 포질 정보에 따라, 의류 관리기(390)의 설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종합 포질 정보는 세탁 포질(제1 포질)과 건조 포질(제2 포질)을 종합한 정보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의류 관리기(300)의 제어 모드가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류 관리기(300)의 무빙 행거 횟수(고급 의류 모드)가, '약', '중', '강'으로 설정될 수 있고, 스팀량(스타일링)이 '약(기능성)', '중(일반)', '강(코트)'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의류 관리기(300)의 건조 모드가 '표준(자동 건조)', '강(눈/비 모드; 강제 건조)'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세탁 포질과 건조 포질이 조합되는 종합 포질 정보에 따라 해당 모드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 포질이 1단계(섬세)이고 건조 포질이 1단계(소수성)로 수집된 경우, 의류 관리기(300)의 제어 모드는, 무빙 행거 횟수, '약', 스팀량, '약' 및 건조 모드, '표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도 15에서는, 일례로서, 세탁 포질이 5단계이고 건조 포질이 3단계인 경우의 설정, 그리고 세탁 포질이 1단계이고 건조 포질이 3단계인 경우의 설정을 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설정이 이루어지면 의류 관리기(300)에서 이러한 설정에 따라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제어 방법 중 의류 관리기 설정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의류 관리기(300)의 설정 모드의 예를 구체적으로 표시하고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의류 관리기 연동 모드가 턴온(turn on) 된 경우, 의류 관리기(300)의 설정 창에서 의류재질 설정(310) 및 건조모드 설정(320)은 세탁장치(100)에서 직접 전달되거나 페어링 건조기(210)를 통하여 전달되는 종합 포질 정보에 의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사용자가 종합 포질 정보에 따라 의류 관리기(300)를 동작시키지 않고 설정의 변경을 원하면, 수동으로 설정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세탁장치 단일 제품에서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세탁 행정에 필요한 포질(제1 포질) 감지 및 건조 설정에 필요한 건조 포질(제2 포질)에 대한 판단을 하나의 제품에서 추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
세탁장치에서 판단된 건조 포질 정보를 세탁장치 자체적으로 이용하거나, 해당 기능이 없는 건조기와 페어링 시 맞춤 건조 코스를 자동 설정 가능하도록 제공 및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세탁장치에서 판단된 세탁 및 건조 포질에 대한 종합적인 판단 정보를 기반으로 의류 관리기 연동 시 의류 재질 및 건조 옵션과 관련하여 맞춤 코스를 제안하거나 모드를 자동 설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 터브 30: 드럼
50: 리프터 70: 히터
75: 전류 감지부 80: 제어부
81: 포량/포질학습모듈
82: 포량/포질인식모듈

Claims (15)

  1.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및 상기 세탁물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부를 포함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탁물을 세탁하기 위한 제1 포질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세탁물의 제1 포질에 따라 포질 별 세탁 프로파일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세탁 프로파일에 따라 세탁 행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세탁물의 탈수 단계;
    상기 세탁물을 건조하기 위한 제2 포질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세탁물의 제2 포질에 따라 포질 별 건조 설정값을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도출된 건조 설정값에 따라 상기 세탁물을 건조하거나, 상기 도출된 건조 설정값을 상기 세탁장치에 연결된 제1 건조기에 전달하여 상기 건조 설정값을 가이드하거나, 상기 도출된 건조 설정값에 따라 상기 세탁장치에 연결된 제2 건조기의 건조 동작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질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세탁장치에서 탈수 후 전류분석을 통해 건조 포질을 감지하는 것을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질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세탁물의 마모 및 세탁력 고려하여 상기 세탁물을 분류하는 것을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포질을 감지하는 단계는, 전류와 온도변화 패턴 학습을 통해 건조 포질을 감지하는 것을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포질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세탁물의 미건조 및 과건조를 고려하여 상기 세탁물을 분류하는 것을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 프로파일 및 상기 건조 설정값을 종합한 종합 포질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종합 포질 정보에 따라 상기 세탁장치에 연결된 의류 관리기의 동작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종합 포질 정보에 따라, 상기 의류 관리기의 의류 재질에 따른 동작 모드 및 건조 모드를 설정하는 것을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9.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을 구동하는 모터;
    상기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감지부;
    상기 세탁물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부; 및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물을 세탁하기 위한 제1 포질을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세탁물의 제1 포질에 따라 포질 별 세탁 프로파일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세탁 프로파일에 따라 세탁 행정을 수행하고, 상기 세탁물의 탈수 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세탁물을 건조하기 위한 제2 포질을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세탁물의 제2 포질에 따라 포질 별 건조 설정값을 도출하고, 및 상기 도출된 건조 설정값에 따라 상기 세탁물을 건조하거나, 상기 도출된 건조 설정값을 상기 세탁장치에 연결된 제1 건조기에 전달하여 상기 건조 설정값을 가이드하거나, 상기 도출된 건조 설정값에 따라 상기 세탁장치에 연결된 제2 건조기의 건조 동작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 프로파일 및 상기 건조 설정값을 종합한 종합 포질 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종합 포질 정보에 따라 상기 세탁장치에 연결된 의류 관리기의 동작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종합 포질 정보에 따라, 상기 의류 관리기의 의류 재질에 따른 동작 모드 및 건조 모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질의 감지는, 상기 탈수 과정 후 상기 전류감지부를 이용한 전류분석을 통해 건조 포질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포질의 감지는, 상기 전류감지부를 이용한 전류 및 온도변화의 패턴학습을 통해 건조 포질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건조기는, 무선통신 방식으로 상기 세탁장치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KR1020210012101A 2021-01-28 2021-01-28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2010897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2101A KR20220108973A (ko) 2021-01-28 2021-01-28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PCT/KR2021/009925 WO2022163958A1 (ko) 2021-01-28 2021-07-29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2101A KR20220108973A (ko) 2021-01-28 2021-01-28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8973A true KR20220108973A (ko) 2022-08-04

Family

ID=82653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2101A KR20220108973A (ko) 2021-01-28 2021-01-28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108973A (ko)
WO (1) WO2022163958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12980A1 (de) * 2016-07-15 2018-01-18 Henkel Ag & Co. Kgaa Erfassen und/oder Überwachen der Belastung eines Textilstücks während eines Behandlungszyklus
CN109594280A (zh) * 2017-09-30 2019-04-09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衣物处理设备识别衣物的方法及衣物处理设备
JP2019071972A (ja) * 2017-10-12 2019-05-16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衣類処理装置
KR20190090734A (ko) * 2019-06-13 2019-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90106924A (ko) * 2019-08-30 2019-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포질에 따라 의류 처리 코스를 제어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63958A1 (ko) 2022-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5239B2 (en) Automatic dryer control based on load information
AU2004210559A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50000033A1 (en) Washing method in washing machine including semi-drying cycle and control apparatus therefor
CN110924053B (zh) 人工智能洗衣机及其控制方法
CN106574414A (zh) 滚筒洗衣机
JPH07222888A (ja) 洗濯機の乾燥制御方法
US11718945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camera,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20108973A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1485372A (zh) 一种衣物处理设备的干衣控制方法
CN114369925B (zh) 洗衣机的控制方法、装置及洗衣机
JP4973684B2 (ja) 洗濯乾燥機
JP6736805B2 (ja) 洗濯乾燥機
CN110924065B (zh) 人工智能衣物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
KR102569216B1 (ko) 인공지능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JP2022074798A (ja) 洗濯機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5334346A (ja) 乾燥機能付き洗濯機
CN111809344A (zh) 一种干衣方法及采用所述干衣方法的洗干一体机
US20240175197A1 (en) Dryer performance customer feedback
US20240167209A1 (en) Clothes trea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369592B1 (ko) 비젼 기반으로 부하를 인식하고 자동코스를 제공하는 인공지능 세탁기
KR20240076643A (ko) 의류처리시스템 및 의류처리시스템의 제어방법
JP4552364B2 (ja) 洗濯乾燥機
JP2002119788A (ja) 洗濯乾燥機
KR20230000820A (ko)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240076649A (ko) 의류처리시스템 및 의류처리시스템의 진단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