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8233A - 무선충전기를 이용한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충전기를 이용한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8233A
KR20220108233A KR1020210009961A KR20210009961A KR20220108233A KR 20220108233 A KR20220108233 A KR 20220108233A KR 1020210009961 A KR1020210009961 A KR 1020210009961A KR 20210009961 A KR20210009961 A KR 20210009961A KR 20220108233 A KR20220108233 A KR 20220108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wireless charger
user
charging
operation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9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6722B1 (ko
Inventor
김동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루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루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루프
Priority to KR1020210009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6722B1/ko
Publication of KR20220108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8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6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6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2Matching criteria, e.g. proximity measures
    • G06K9/620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충전기를 이용한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충전기를 이용하여 영유아나 독거노인 등 보호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이나 비콘 등의 사용자단말을 인식하고 귀가, 외출, 이상 행동 등의 상태 정보를 보호자에게 알려주어 보호 관찰이 가능토록 해줄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충전기를 이용한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User monitoring system using wireless charger}
본 발명은 무선충전기를 이용한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영유아나 독거노인 등 보호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이나 비콘 등의 사용자단말을 인식하고 귀가, 외출, 이상 행동 등의 상태 정보를 보호자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핵가족화 및 고령화로 인해 배우자나 친족 없이 홀로 사는 독거노인들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맞벌이 가정에서는 어린 자녀 홀로 학교나 학원을 다녀와야 하는데, 이러한 독거노인이나 어린이들은 보호자의 감시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
즉 세대 내에 있더라도 아프거나 사고를 당했을 경우 도움을 요청하기가 어렵고, 집으로 귀가하지 않을 경우 이를 즉시 알아채지 못해 추가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다.
이를 위해 GPS를 이용하여 보호자가 피보호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된 바 있다. 즉 스마트폰을 소지하거나 위치 발신 기능이 있는 악세서리를 착용한 어린이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보호자단말로 안내 해 줌으로써, 원거리에서도 아이들의 안전한 통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하지만, GPS 신호는 오차범위가 크고 실내에서는 탐지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실제 집에 들어가지 않고 집 근처에 머물러 있는 경우에도 귀가로 착각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사용자의 위치를 모니터링 하는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2004131호(2019.07.20. '어린이 안전귀가 시스템')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세대 내에 설치되는 무선충전기를 통해 사용자의 귀가, 외출, 이상 행동 등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기를 이용한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은, 사용자단말의 배터리 충전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여 귀가 및 외출 알림 정보를 발생시키는 무선충전기; 및 상기 무선충전기로부터 귀가 및 외출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보호자단말 측으로 전송하는 운용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무선충전기는, 상기 사용자단말의 배터리 충전을 수행하는 충전모듈; 상기 운용서버와 통신채널을 연결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 상기 사용자단말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모듈; 및 상기 사용자단말의 블루투스 신호 세기를 통해 귀가 또는 외출 알림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운용서버 측으로 전송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운용서버는, 상기 무선충전기와 통신채널을 연결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회원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회원정보를 통해,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된 귀가 또는 외출 알림 정보를 상기 무선충전기에 매칭된 보호자단말 측으로 제공하는 제어알림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운용서버의 제어알림부는, 상기 사용자단말의 외출이 확인되었을 경우 설정된 시간 이내에 귀가하는지 확인하고, 설정된 시간 이내에 귀가하는 것이 확인되지 않을 경우 상기 보호자단말 측으로 이상 상황 알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충전기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충전기의 제어모듈은 상기 움직임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움직임 감지 정보를 상기 운용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운용서버의 제어알림부는 상기 움직임 감지 정보를 분석하여 이상 상황 발생 여부를 확인하며, 움직임 감지 정보에 대한 이상 상황 발생시 상기 보호자단말 측으로 이상 상황 알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 상기 무선충전기의 제어모듈은 상기 충전모듈을 통해 충전이 이루어질 경우 충전 정보를 상기 운용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운용서버의 제어알림부는 상기 충전 정보를 분석하여 이상 상황 발생 여부를 확인하며, 충전 정보에 대한 이상 상황 발생시 상기 보호자단말 측으로 이상 상황 알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 상기 무선충전기는, 상기 무선충전기 전방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충전기의 제어모듈은 상기 충전 정보를 상기 운용서버 측으로 전송할 시, 충전 시작 시점에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촬영 정보를 함께 전송하며, 상기 운용서버는 상기 충전 정보를 분석할 시, 상기 촬영 정보에 포함된 사람이 기 등록된 사용자와 동일 인물인지 판단한 후 동일 인물일 경우에만 상기 충전 정보에 대한 분석을 실시할 수 있다.
또, 상기 무선충전기는, 상기 무선충전기 전방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충전기의 제어모듈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촬영 정보를 상기 운용서버 측으로 전송하고, 상기 운용서버의 제어알림부는 상기 촬영 정보를 분석하여 미등록 사용자의 촬영 여부를 확인하며, 미등록 사용자가 확인되면 상기 미등록 사용자에 대한 체류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은, 세대 내에 설치되는 무선충전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단말과 무선충전기 사이의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외출하였는지, 귀가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즉시 보호자단말에 알려 줄 수 있다. 이때 GPS 기능을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사용자가 세대 인근에 위치하였을 경우에도 귀가로 판단하는 오류 발생 가능성 없이, 실제 세대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만 귀가로 판단할 수 있어서, 판단 정확도가 높아진다.
또한 단순히 사용자의 귀가 및 외출 여부만 알려주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움직임 패턴이나 충전기 사용 패턴까지 함께 고려하여 분석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건강 상태가 악화되는 등 세대 내에서 발생하는 사고에 대해서도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충전 패턴을 감지할 때에는, 무선충전기에 탑재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제 충전을 시도하는 사용자가 누구인지 함께 파악하고 분석하기 때문에, 패턴 분석의 오류를 크게 줄여줄 수가 있다.
더불어 무선충전기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서 미리 등록된 사용자가 아닌 제3자의 영상이 확인되었을 경우에는 체류 정보를 저장해 두어 범죄 및 감염병 예방을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무선충전기와 운용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3 내지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더불어 이하에서 설명하게 되는 각 구성부와 서버 및 시스템은 반드시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독립적인 구성부나 서버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또는 하나 이상의 서버 또는 하나 이상의 시스템의 집합으로 구현되거나 일부가 공유될 수도 있음을 밝히는 바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2는 도1에 도시된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무선충전기와 운용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은 무선충전기(20) 및 운용서버(40)를 포함한다.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다루어지는 용어에 대하여 정의하도록 한다.
먼저 '사용자'란 보호가 필요한 자, 또는 모니터링 대상이 되는 자를 말하며, 예컨대 가족과 떨어져 홀로 생활하는 독거노인이나 환자를 사용자라고 칭하며, 어린이나 영유아들도 사용자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단말'이란 독거노인, 환자, 어린이 등이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 또는 비콘 등의 단말을 말한다. 스마트폰 또는 비콘 등의 사용자단말(10)은 공통적으로 고유ID를 갖는 블루투스 신호를 발신하게 되며, 이하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단말(10) 중 스마트폰을 대표로 하여 설명토록 한다.
또한 '보호자'란 사용자의 상태를 살펴보고 필요시 구호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자를 말한다. 예컨대 독거노인, 환자, 또는 어린이의 가족이 보호자가 될 수도 있고 교사, 복지시설의 담당자, 구호기관 종사자 등이 보호자가 될 수도 있다.
또 '보호자단말'이란 보호자가 소지하고 있으며, 운용서버(40)로부터 알림 정보를 받아 출력할 수 있는 단말을 말한다. 이러한 보호자단말(50)로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실시하기에 따라 데스크톱 컴퓨터나 노트북 등이 보호자단말(50)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보호자단말(50)에는 사용자 모니터링 서비스 이용을 위해 운용서버(40)에서 제공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치된 상태일 수 있다.
무선충전기(20)는 사용자가 생활하는 공간, 예컨대 세대 내에 설치되어 사용자단말(10)의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다만 본 발명에서 다루어지는 무선충전기(20)는 통상의 무선충전기 기능 외에 사용자 모니터링 서비스를 위한 추가 구성을 더 포함하고 있다. 무선충전기(20)의 자세한 구성 설명은 이하에서 다시 하도록 한다.
인터넷공유기(30)는 무선충전기(20) 인근에 설치되어 무선충전기(20)가 운용서버(40)와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중계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인터넷공유기(30)로 통상의 와이파이 공유기가 사용될 수 있다.
운용서버(40)는 사용자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에서 운용하는 서버를 말하며, 운용서버(40)는 각각의 세대에 설치된 무선충전기(20)와 서비스 정보를 주고받아 분석하고, 필요시 보호자단말(50) 측으로 알림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다.
도2를 참조하여 무선충전기(20)와 운용서버(40)의 자세한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무선충전기(20)는 충전모듈(21), 통신모듈(22), 블루투스모듈(23), 제어모듈(24), 마이크(25), 스피커(26), 움직임감지센서(27) 및 카메라(28)를 포함한다. 이러한 무선충전기(20)의 각 기능 구성들은 무선충전기(20)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내에 탑재되는데, 본체는 스탠드형, 거치대형, 받침대형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충전모듈(21)은 사용자단말(10)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충전모듈(21)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유도방식으로 사용자단말(10)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통신모듈(22)은 인터넷공유기(30)와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해 마련된다. 예컨대 인터넷공유기(30)가 와이파이 공유기라면, 통신모듈(22)은 와이파이 신호 처리를 지원하며, 이를 통해 운용서버(40)에 접속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실시하기에 따라 인터넷공유기(30) 없이 무선충전기(20)에 랜선 접속 포트가 마련되어 있고, 통신모듈(22)이 랜선을 통해 유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처리할 수도 있다.
블루투스모듈(23)은 사용자단말(10)의 블루투스 신호를 인식하고, 사용자단말(10)의 고유ID를 획득하기 위해 마련된다.
제어모듈(24)은 무선충전기(2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기 위해 마련된다. 예컨대 제어모듈(24)은 블루투스모듈(23)을 통해 사용자단말(10)의 블루투스 신호가 인식되면, 신호의 세기를 파악하고 일정 이상의 신호 세기일 경우 운용서버(40) 측으로 귀가 알림 정보(또는 재실 알림 정보)를 전송 처리한다. 또한 제어모듈(24)은 마이크(25)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정보를 운용서버(40) 측으로 전송하고, 운용서버(40)를 통해 보호자단말(5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정보를 스피커(26)를 통해 출력 처리하여 무선충전기(20)와 보호자단말(50) 간의 양방향 음성 통화를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24)은 움직임감지센서(27)를 통해 감지되는 움직임 감지 정보를 운용서버(40) 측으로 전송하거나, 카메라(28)에서 촬영된 촬영 정보를 운용서버(40) 측으로 전송 처리할 수 있다.
마이크(25)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기 위해 마련되며, 스피커(26)는 운용서버(40)를 통해 보호자단말(5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정보를 출력하거나, 기타 안내 정보를 출력하기 위해 마련된다.
움직임감지센서(27)는 무선충전기(20)가 설치된 장소 인근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움직임감지센서(27)로는 적외선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카메라(28)는 무선충전기(20) 인근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마련된다. 무선충전기(20)의 본체 형태에 따라 다르겠지만 카메라(28)는 본체에 사용자단말(10)이 올려진 상태에서도 가려지지 않고 전방을 촬영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실시하기에 따라 카메라(28)는 무선충전기(20)의 본체와 떨어진 위치에 별도로 설치된 후 유무선 통신 방식으로 제어모듈(24)에 촬영 정보가 전송될 수도 있다.
운용서버(40)는 여러 세대에 설치된 무선충전기(20)들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분석하고, 필요시 담당 보호자단말(50)로 알림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운용서버(40)는 통신부(41), 제어알림부(42) 및 데이터베이스(43)를 포함한다.
통신부(41)는 유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무선충전기(20)로부터 기기정보, 귀가 알림 정보, 외출 알림 정보, 움직임 감지 정보, 충전 정보, 촬영 정보 등을 수신하거나, 보호자단말(50) 측으로 귀가 알림, 외출 알림, 이상 상황 알림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다.
제어알림부(42)는 무선충전기(20)로부터 수신된 정보들을 분석하고 알림 정보를 생성하여 보호자단말(50) 측으로 전송 처리하며, 필요시 무선충전기(20)와 보호자단말(50) 사이의 양방향 음성 통화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된다.
데이터베이스(43)는 무선충전기(20)를 사용하는 사용자 및 이에 연계되는 보호자 등의 회원정보들을 저장하기 위해 마련된다. 예컨대 데이터베이스(43)에는 등록된 무선충전기(20)의 기기정보, 사용자단말(10)의 블루투스 고유아이디 정보, 보호자 아이디, 보호자 연락처, 사용자단말(10)이나 보호자단말(5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영상정보, 그리고 제3자의 체류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43)에 저장되는 각각의 정보들은 이하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3 내지 도7을 통해 도1 및 도2에 도시된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 모니터링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토록 한다.
먼저 도3은 사용자의 귀가 또는 외출 상황을 보호자단말(50)에 안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설명하기에 앞서 운용서버(40)의 데이터베이스(43)에는 무선충전기(20)의 기기 정보가 미리 등록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는 보호자단말(50)의 회원정보도 저장된 상태라고 가정한다. 또한 사용자단말(10)의 블루투스 모드는 항상 활성화 되어 있는 상태이고, 보호자단말(50)에는 서비스 이용을 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치된 상태라고 가정한다.
무선충전기(20)의 제어모듈(24)은 블루투스모듈(23)과 연동하여 주기적으로 사용자단말(10)의 블루투스 신호를 확인<S305>한다. 즉 블루투스모듈(23)에서 블루투스 신호를 스캔하면 블루투스 신호를 발신하고 있는 인근의 기기들이 검색되고, 검색된 기기들의 고유아이디가 함께 획득된다. 이때 제어모듈(24)은 블루투스 신호가 확인되는 기기들 중 미등록된 타 기기들에 대해서는 무시하고, 등록이 이루어진 사용자단말(10)에 대해서만 신호 세기를 확인한다. 즉 사용자단말(10)이 무선충전기(20)와 가까워지면 블루투스모듈(23)에서 감지되는 신호 세기가 커질 것이고, 사용자단말(10)이 무선충전기(20)와 멀어진다면 신호 세기는 작아지거나 아예 스캔이 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제어모듈(24)은 블루투스모듈(23)에서 스캔되는 사용자단말(10)의 블루투스 신호가 일정 세기 이상인지 확인<S305>하고, 만약 미리 설정된 신호 세기 이상인 것이 감지되면<S310>, 운용서버(40) 측으로 귀가 알림 정보를 전송<S315>한다. 물론 사용자단말(10)이 계속 실내에 위치하고 있었던 것이라면 별도의 귀가 알림을 하지 않거나, 재실 알림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운용서버(40)의 통신부(41)에서 무선충전기(20)로부터 귀가 알림 정보를 수신하면, 제어알림부(42)는 귀가 알림 정보에 포함된 무선충전기(20)의 기기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3)에서 확인하고, 해당 기기와 연계된 보호자단말(50) 측으로 귀가 알림 정보를 전송<S320>한다. 보호자단말(50)에서 귀가 알림 정보가 수신되면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푸시 기능을 통해 알림 신호가 울릴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안전하게 집에 귀가하였음을 보호자가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제어모듈(24)에서 블루투스 신호의 세기를 확인한 결과 일정 세기 미만인 것이 확인<S310>되었다면, 운용서버(40) 측으로 외출 알림 정보를 전송<S325>하고, 운용서버(40)의 제어알림부(42)는 보호자단말(50) 측으로 외출 알림 정보를 전송<S330>한다.
이에 따라 보호자단말(50)에서는 원격에서 사용자의 귀가 및 외출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무선충전기(20)의 제어모듈(24)은 블루투스모듈(23)에서 사용자단말(10)의 블루투스 신호가 확인되지 않아 외출 상황인 경우에도, 주기적인 스캔을 통해 사용자의 귀가를 확인하여 귀가 알림 정보가 운용서버(40)에 전송되도록 한다. 즉 운용서버(40)의 제어알림부(42)는 무선충전기(20)로부터 외출 알림 정보가 수신된 이후 설정된 시간 이내에, 또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귀가 알림 정보가 수신되는지 확인<S335>하며, 만약 설정 시간 이내에 귀가가 확인되지 않는다면<S340>, 제어알림부(42)는 보호자단말(50) 측으로 이상 상황 알림 정보, 즉 미귀가 안내 정보를 전송<S345>한다.
이렇게 운용서버(40)로부터 이상 상황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보호자단말(50)에서 출력되면, 보호자는 사용자단말(10) 측으로 별도로 연락을 취하여 안전 상황을 확인하거나, 사용자의 행방을 찾는 후속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사용자단말(10)에는 서비스 이용을 위한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필요는 없으나, 만약 사용자단말(10)에도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다면, 외출 시 사용자의 위치 정보가 실시간으로 운용서버(40)로 전송되고, 보호자단말(50)에서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4는 무선충전기의 움직임감지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이상 상황을 알릴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세대 내에 위치하고 있다면, 무선충전기(20)의 움직임감지센서(27)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S405>된다. 이렇게 움직임감지센서(27)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제어모듈(24)은 운용서버(40) 측으로 움직임 감지 정보를 전송<S410>하고, 운용서버(40)의 제어알림부(42)는 무선충전기(20)로부터 수신된 움직임 감지 정보를 분석<S415>하여 이상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예컨대 제어알림부(42)는 움직임 감지 정보 분석을 통해 정해진 시간대에서 설정된 회수 이상의 움직임이 발생하였는지, 또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움직임이 발생하였는지 등을 확인한다.
만약 제어알림부(42)의 움직임 감지 정보 분석 결과에 따라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이 확인<S420>되었다면, 제어알림부(42)는 보호자단말(50) 측으로 즉시 이상 상황 알림 정보를 전송<S425>하여 출력되도록 한다.
즉 도3의 과정을 통해 사용자단말(10)이 실내에 위치하고 있어서, 귀가 또는 재실 상황인 것이 확인되었다 하더라도, 활동이 이루어져야 할 시간에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다는 것은 사용자의 신체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도4의 과정을 통해 움직임 감지 정보 분석을 통해 이상 상황을 탐지하고 보호자단말(50)로 즉시 알려줄 수 있도록 한다면, 적절한 후속조치가 즉시 이루어져 불의의 사고를 막아줄 수 있다.
도5는 무선충전기의 충전 여부를 분석하여 이상 상황을 알릴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즉 무선충전기(20)의 본래 기능은 사용자단말(10)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단말(10)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사용자단말(10)을 무선충전기(20)의 본체에 접근시키게 된다. 즉, 사용자단말(10)이 본체에 올려지면 충전모듈(21)에서 무선 충전을 지원하게 되며, 제어모듈(24)은 충전모듈(21)을 통해 충전 기능이 활성화 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제어모듈(24)에서 충전 여부를 감지<S505>하게 되면, 운용서버(40) 측으로 충전 정보를 전송<S510>한다. 충전 정보에는 무선충전기(20)의 기기 정보와 함께 충전 시작 시각, 충전 종료 시각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후 운용서버(40)의 제어알림부(42)는 무선충전기(20)로부터 수신되는 충전 정보를 분석<S515>한다. 즉 제어알림부(42)는 사용자단말(10)이 정해진 시간대에 충전이 이루어지는 지, 또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충전이 이루어지는지, 또는 충전 후 충분한 시간이 지났는데도 충전 종료를 시키지 않는 상황 등을 확인한다.
만약 제어알림부(42)의 충전 정보 분석 결과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이 확인<S520>되었다면, 제어알림부(42)는 보호자단말(50) 측으로 이상 상황 알림 정보를 전송<S525>하여 출력되도록 한다.
즉 사용자단말(10)이 실내에 위치하고 있더라도, 장시간 사용자단말(10)의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는다거나, 충전을 시작하였지만 종료를 시키지 않는 상황이라는 것은 사용자 신체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도5의 과정을 통해 충전 패턴을 분석한 후 이상 징후가 발생하였을 시 보호자단말(50)로 안내해 준다면, 적절한 후속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6은 카메라를 통해 충전을 시도하는 사용자를 파악한 후 충전 정보가 분석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무선충전기(20)의 제어모듈(24)은 충전모듈(21)을 통해 사용자단말(10)의 충전이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감지<S605>한다. 또한 제어모듈(24)은 충전모듈(21)을 통해 사용자단말(10)의 충전이 시작되는 시점에서 카메라(28)를 통해 촬영된 촬영 정보를 획득<S610>하고 일시적으로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한다. 즉 사용자단말(10) 충전을 위해서는 사용자가 무선충전기(20) 인근으로 접근해야 할 것이고, 이에 따라 카메라(28)를 통해 사용자의 안면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제어모듈(24)에서 충전 정보와, 충전 시작 시점의 촬영 정보가 획득되면 운용서버(40) 측으로 충전 정보와 촬영 정보를 전송<S615>한다.
이후 운용서버(40)의 제어알림부(42)는 무선충전기(20)로부터 수신한 충전 정보와 촬영 정보를 분석<S620>하여 사용자단말(10)의 충전 패턴을 확인한다. 이때 제어알림부(42)는 충전 정보를 통해 주기적으로 사용자단말(10)의 충전이 이루어진 것이 확인된다 하더라도, 미리 등록된 사용자에 의한 충전 시도가 아닌 경우에는 충전 패턴 분석에서 제외시킨다.
즉 운용서버(40)의 데이터베이스(43)에는 사용자단말(10) 또는 보호자단말(5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영상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알림부(42)는 접수된 사용자의 영상정보를 통해 미리 사용자의 안면 인식을 위한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충전 정보와 함께 무선충전기(20)에서 촬영된 촬영 정보가 접수되면, 촬영 정보에 포함된 사람의 얼굴을 분석하고, 분석된 사람이 미리 등록된 사용자와 동일 인물인지 판단하게 된다.
만약 촬영 정보에 포함된 사람이 미리 등록된 사용자와 동일 인물인 것이라고 판단이 이루어진다면, 제어알림부(42)는 수신된 충전 정보를 통해 정상적인 충전 패턴 분석을 실시하고, 이상 상황 발생시<S625> 보호자단말(50)로 안내<S630>한다.
반면 촬영 정보에 포함된 사람이 미리 등록된 사용자가 아닌 것으로 판단이 이루어진다면, 제어알림부(42)는 수신된 충전 정보에 대한 충전 패턴 분석을 실시하지 아니한다. 즉 충전 시점에 획득한 촬영 정보에 타인이 촬영되었다는 것은, 사용자단말(10)의 충전이 아닌 제3자의 충전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를 포함하여 충전 패턴을 분석한다면 분석 결과에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을 뿐이다.
즉 도5의 과정을 통해 사용자단말(10)의 충전 여부를 감지하고, 운용서버(40)에서 충전 패턴을 분석한 후 이상 상황을 알려줄 수 있도록 하고 있지만, 운용서버(40)에서는 무선충전기(20)의 기기정보 획득은 가능하더라도, 실제 충전이 이루어지는 단말이 미리 등록된 사용자단말(10)인지, 아니면 제3자의 단말인지는 알 수 없다. 따라서 도6의 과정과 같이 충전이 이루어진 시점에서 획득한 촬영 정보를 함께 이용한다면 정당한 사용자의 충전 패턴만을 취합하여 올바른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7은 무선충전기의 카메라에서 획득한 촬영 정보를 통해 제3자의 세대 방문 여부를 확인하고, 체류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무선충전기(20)의 제어모듈(24)은 일정 시간 간격으로, 또는 실시간으로 카메라(28)의 촬영 정보를 운용서버(40) 측으로 전송<S705>하고, 운용서버(40)의 제어알림부(42)는 무선충전기(20)로부터 수신된 촬영 정보를 분석한다.
운용서버(40)에서 촬영 정보를 분석한다는 것은, 데이터베이스(43)에 저장된 사용자의 영상 정보와 동일 인물이 촬영 정보에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이다. 만약 무선충전기(20)로부터 수신되는 촬영 정보에 포함된 사람이 미리 등록된 사용자일 경우에는 별도의 촬영 정보 저장 과정은 거치지 않는다. 반면 무선충전기(20)로부터 수신되는 촬영 정보에 미등록된 사용자가 포함된 것이 확인되었다면<S710>, 제어알림부(42)는 해당 촬영 정보를 포함하는 체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3)에 저장<S715>한다. 제어알림부(42)가 데이터베이스(43)에 저장하는 체류 정보란 촬영된 영상정보와 함께 제3자가 최초로 촬영된 시간과 종료 시간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무선충전기(20)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고 제3자가 촬영되었을 경우 데이터베이스(43)에 저장해 놓는 이유는, 범죄 예방 및 감염병 예방을 위한 조치이다. 즉 데이터베이스(43)에 저장해 놓은 체류 정보는 사용자의 세대 내에서 범죄가 발생하였을 경우 증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고, 감염병이 유행할 시 사용자와 접촉한 사람들을 파악하는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은, 세대 내에 설치되는 무선충전기(2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단말(10)과 무선충전기(20) 사이의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외출하였는지, 귀가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즉시 보호자단말(50)에 알려 줄 수 있다. 이때 GPS 기능을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사용자가 세대 인근에 위치하였을 경우에도 귀가로 판단하는 오류 발생 가능성 없이, 실제 세대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만 귀가로 판단할 수 있어서, 판단 정확도가 높아진다.
또한 단순히 사용자의 귀가 및 외출 여부만 알려주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움직임 패턴이나 충전기 사용 패턴까지 함께 고려하여 분석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건강 상태가 악화되는 등 세대 내에서 발생하는 사고에 대해서도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충전 패턴을 감지할 때에는, 무선충전기(20)에 탑재된 카메라(28)를 이용하여 실제 충전을 시도하는 사용자가 누구인지 함께 파악하고 분석하기 때문에, 패턴 분석의 오류를 크게 줄여줄 수가 있다.
더불어 무선충전기(20)의 카메라(28)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서 미리 등록된 사용자가 아닌 제3자의 영상이 확인되었을 경우에는 체류 정보를 저장해 두어 범죄 및 감염병 예방을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가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 사용자단말
20 : 무선충전기
21 : 충전모듈
22 : 통신모듈
23 : 블루투스모듈
24 : 제어모듈
25 : 마이크
26 : 스피커
27 : 움직임감지센서
28 : 카메라
30 : 인터넷공유기
40 : 운용서버
41 : 통신부
42 : 제어알림부
43 : 데이터베이스
50 : 보호자단말

Claims (6)

  1. 사용자단말의 배터리 충전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여 귀가 및 외출 알림 정보를 발생시키는 무선충전기; 및
    상기 무선충전기로부터 귀가 및 외출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보호자단말 측으로 전송하는 운용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무선충전기는,
    상기 사용자단말의 배터리 충전을 수행하는 충전모듈;
    상기 운용서버와 통신채널을 연결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
    상기 사용자단말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모듈; 및
    상기 사용자단말의 블루투스 신호 세기를 통해 귀가 또는 외출 알림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운용서버 측으로 전송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운용서버는,
    상기 무선충전기와 통신채널을 연결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회원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회원정보를 통해,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된 귀가 또는 외출 알림 정보를 상기 무선충전기에 매칭된 보호자단말 측으로 제공하는 제어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기를 이용한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용서버의 제어알림부는, 상기 사용자단말의 외출이 확인되었을 경우 설정된 시간 이내에 귀가하는지 확인하고, 설정된 시간 이내에 귀가하는 것이 확인되지 않을 경우 상기 보호자단말 측으로 이상 상황 알림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기를 이용한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기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충전기의 제어모듈은 상기 움직임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움직임 감지 정보를 상기 운용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운용서버의 제어알림부는 상기 움직임 감지 정보를 분석하여 이상 상황 발생 여부를 확인하며, 움직임 감지 정보에 대한 이상 상황 발생시 상기 보호자단말 측으로 이상 상황 알림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기를 이용한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기의 제어모듈은 상기 충전모듈을 통해 충전이 이루어질 경우 충전 정보를 상기 운용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운용서버의 제어알림부는 상기 충전 정보를 분석하여 이상 상황 발생 여부를 확인하며, 충전 정보에 대한 이상 상황 발생시 상기 보호자단말 측으로 이상 상황 알림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기를 이용한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기는,
    상기 무선충전기 전방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충전기의 제어모듈은 상기 충전 정보를 상기 운용서버 측으로 전송할 시, 충전 시작 시점에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촬영 정보를 함께 전송하며, 상기 운용서버는 상기 충전 정보를 분석할 시, 상기 촬영 정보에 포함된 사람이 기 등록된 사용자와 동일 인물인지 판단한 후 동일 인물일 경우에만 상기 충전 정보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기를 이용한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기는,
    상기 무선충전기 전방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충전기의 제어모듈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촬영 정보를 상기 운용서버 측으로 전송하고, 상기 운용서버의 제어알림부는 상기 촬영 정보를 분석하여 미등록 사용자의 촬영 여부를 확인하며, 미등록 사용자가 확인되면 상기 미등록 사용자에 대한 체류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기를 이용한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210009961A 2021-01-25 2021-01-25 무선충전기를 이용한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 KR102556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961A KR102556722B1 (ko) 2021-01-25 2021-01-25 무선충전기를 이용한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961A KR102556722B1 (ko) 2021-01-25 2021-01-25 무선충전기를 이용한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8233A true KR20220108233A (ko) 2022-08-03
KR102556722B1 KR102556722B1 (ko) 2023-07-19

Family

ID=82847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9961A KR102556722B1 (ko) 2021-01-25 2021-01-25 무선충전기를 이용한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672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7638A (ko) * 2010-10-12 2012-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크래들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22953A (ko) * 2014-08-19 2016-03-03 주식회사 알씨엔 가택 설치용 지능형 가택감독장치
KR102077594B1 (ko) * 2019-06-12 2020-02-17 아바드(주) 스마트단말기 기반의 IoT 지능형 독거노인 안심서비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7638A (ko) * 2010-10-12 2012-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크래들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22953A (ko) * 2014-08-19 2016-03-03 주식회사 알씨엔 가택 설치용 지능형 가택감독장치
KR102077594B1 (ko) * 2019-06-12 2020-02-17 아바드(주) 스마트단말기 기반의 IoT 지능형 독거노인 안심서비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6722B1 (ko) 2023-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80847B2 (en) Processing alarm signals
CN202650162U (zh) 一种防盗报警系统
KR20200028338A (ko) 모니터링 및 컨시어지 서비스를 위한 확장가능 시스템들 및 방법들
JP6146552B1 (ja) 被監視者監視システムの操作受付装置および該方法ならびに被監視者監視システム
CN111971647A (zh) 语音识别设备、语音识别设备的协作系统和语音识别设备的协作方法
JP5924820B2 (ja) トイレ見守り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るトイレ見守り装置
US10783759B2 (en) Intruder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1300596B1 (ko) 원패스 비상호출 시스템
KR102556722B1 (ko) 무선충전기를 이용한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
JP2002175581A (ja) 生活見守りシステム
JP6663703B2 (ja) 見守りシステム
KR20200049189A (ko) 가전 기기
JP6123962B1 (ja) 被監視者監視システムの中央処理装置および該方法ならびに被監視者監視システム
JP2011175597A (ja) 警備システム
JP2009033660A (ja)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4410045B2 (ja) 設備用端末、設備監視システム及び端末通信管理方法
KR20210023374A (ko) 독거노인을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
KR101744312B1 (ko) 음향인식 기반의 자동 통화 시스템
CN109982035A (zh) 一种快速定位的养老院监控系统
US11442129B1 (en) Systemic certainty of event convergence
US10970993B2 (en) Method for managing the assistance to a person in response to the emission of an alert
KR20120013864A (ko) 휴대폰 및 사용자 프로파일, 서비스 서버를 이용한 스마트 안심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3893373B2 (ja) 携帯端末管理装置
KR101935421B1 (ko) 공동주택용 통신시스템
JPWO2017033852A1 (ja) 被監視者監視システムの操作受付装置および該方法ならびに被監視者監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