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7864A - 폐 광케이블 재활용 장치 - Google Patents

폐 광케이블 재활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7864A
KR20220107864A KR1020210011070A KR20210011070A KR20220107864A KR 20220107864 A KR20220107864 A KR 20220107864A KR 1020210011070 A KR1020210011070 A KR 1020210011070A KR 20210011070 A KR20210011070 A KR 20210011070A KR 20220107864 A KR20220107864 A KR 202201078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cable
unit
disposed
housing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1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9491B1 (ko
Inventor
박기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엠텍
Priority to KR1020210011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9491B1/ko
Publication of KR20220107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7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9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9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5/00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 H01B15/005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by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18Coaxial cables; Analogous cables having more than one inner conductor within a common outer condu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5/00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 H01B15/008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by crush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 광케이블을 재활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폐 광케이블의 외피를 탈피하는 탈피기와, 상기 탈피된 폐 광케이블을 절단하는 파쇄기와, 상기 절단된 폐 광케이블을 이송하는 컨베이어와, 상기 절단된 폐 광케이블을 선별하는 선별기를 포함하여 외피를 용이하게 분리하는 한편 코어 역시 소정의 재료로 분리 및 선별할 수 있어 재활용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절감할 수 있는 폐 광케이블 재활용 장치이다.

Description

폐 광케이블 재활용 장치{REGENERATING DEVICE FOR WASTED OPTICAL CABLES}
본 발명은 폐 광케이블을 재활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폐 광케이블의 외피를 탈피하는 탈피기와, 상기 탈피된 폐 광케이블을 절단하는 파쇄기와, 상기 절단된 폐 광케이블을 이송하는 컨베이어와, 상기 절단된 폐 광케이블을 선별하는 선별기를 포함하여 외피를 용이하게 분리하는 한편 코어 역시 소정의 재료로 분리 및 선별할 수 있어 재활용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절감할 수 있는 폐 광케이블 재활용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광 케이블이라고 하는 것은 빛을 운반하는 케이블을 말하는 것으로서, 상기 광 케이블은 코어와 외피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광 케이블에 투입된 빛은 코어와 외피사이의 굴절률 차이에 의한 전반사를 이용해 빛을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광 케이블은 사용량이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으며 대략 10여년을 주기로 교체되고 있어 폐 광케이블이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다.
상기 폐 광케이블을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외피를 코어로부터 분리하여 각각 재활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외피를 코어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종래에는 수작업에 의하는 경우가 많아 폐 광케이블을 재활용하기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코어 역시 다양한 재료로 구성되는 필요로 하는 재료 예를 들어 철과 알류미늄 등을 분리 및 수거를 위해 역시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 역시 있었다.
한편, 상술한 폐 광케이블 재활용 기술 자체는 널리 알려진 것으로서 특히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는 바, 이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한국 등록 특허 제10-2049409호 한국 공개 특허 제10-2020-0078926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폐 광케이블의 외피를 탈피하는 탈피기와, 상기 탈피된 폐 광케이블을 절단하는 파쇄기와, 상기 절단된 폐 광케이블을 이송하는 컨베이어와, 상기 절단된 폐 광케이블을 선별하는 선별기를 포함하여 외피를 용이하게 분리하는 한편 코어 역시 소정의 재료로 분리 및 선별할 수 있어 재활용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절감할 수 있는 폐 광케이블 재활용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폐 광케이블(W)의 외피(W1)를 탈피하는 탈피기(10)와, 상기 탈피된 폐 광케이블(W)을 절단하는 파쇄기(70)와, 상기 절단된 폐 광케이블을 이송하는 컨베이어(80)와, 상기 절단된 폐 광케이블을 선별하는 선별기(90)를 포함하고, 상기 파쇄기(70)는 상기 탈피된 폐 광케이블(W)을 1차 파쇄하여 특정 길이로 절단하는 제1파쇄기(71)와 상기 1차 절단된 폐 광케이블을 2차 파쇄하여 특정 길이로 절단하는 제2파쇄기(72)와, 상기 2차 절단된 폐 광케이블을 3차 파쇄하여 분말 형태로 파쇄하는 제3파쇄기(73)와, 상기 3차 파쇄된 폐 광케이블을 4차 파쇄하는 제4파쇄기(74)를 포함하고, 상기 선별기(90)는 상기 제1파쇄기(71)와 제2파쇄기(72) 사이에 배치되어 자력에 의해 철을 선별하는 제1자력 선별기(93)와, 제2파쇄기(72)와 제3파쇄기(73) 사이에 배치되어 자력에 의해 철을 선별하는 제2자력 선별기(94)와, 상기 제4파쇄기(74) 후방에 배치되어 타공망에 의해 파쇄된 폐 광케이블을 선별하는 타공망 선별기(91)와, 상기 타공망 선별기(91)의 후방에 배치되어 비중에 의해 알루미늄을 선별하는 비중 선별기(92)를 포함하는 폐 광케이블 재활용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기 컨베이어(80)는 상기 제1파쇄기(71)와 제2파쇄기(72) 사이에 배치되는 제1컨베이어(81)와, 상기 제2파쇄기(72)와 제3파쇄기(73) 사이에 배치되는 제2컨베이어(8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자력 선별기(93)는 상기 제1컨베이어(81)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컨베이어(81) 상에 배치되어 이동하는 폐 광케이블 중 철을 선별하고, 상기 제2자력 선별기(94)는 상기 제2컨베이어(82) 상에 배치되어, 이동하는 폐 광케이블 중 철을 선별한다.
상기에서, 상기 탈피기(100)는 중공의 케이스(110)와, 상기 케이스(110) 내부에 배치되어 폐 광케이블(W)의 외피를 절삭하여 탈피하는 절삭부(120)와, 상기 케이스(110)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절삭부(120)를 회전시키는 절삭부 구동부(130)와, 상기 케이스(120)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절삭부(1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140)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110)는 중공 형상인 케이스 본체(111)와, 상기 케이스 본체(111) 일 측에 형성되어 탈피 대상의 폐 광케이블(W)이 투입되는 제1개방부(112)와, 상기 케이스 본체(111)의 타 측에 형성되어 탈피된 폐 광케이블(W)이 배출되는 제2개방부(113)를 포함하고, 상기 절삭부(120)는 중공 형상이고 길이 방향 양 측면은 개방된 절삭부 본체(121)와 상기 절삭부 본체(121)에 진입하여 폐 광케이블의 외피를 절삭하는 블레이드 유닛(122)과 상기 블레이드 유닛(122)을 전후진하는 구동부(123)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상기 절삭부 본체(121)는 반경 방향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블레이드 유닛(122)이 출입하는 출입공(121-1)과 반경 방향 타 측에 형성되어 절삭된 외피가 배출되는 배출공(121-2)을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 유닛(122)은 폐 광케이블(W)의 외피(W1)에 접하여 상기 외피(W1)를 절삭하는 블레이드(122-1)와, 상기 블레이드(122-1) 일 측에 구비되어 폐 광케이블의 크기를 감지하는 크기 감지부(122-2)와, 상기 블레이드(122-1)의 일 측에서 돌출하고 절삭부 본체(121) 외부에 배치되는 돌출판(122-3)과, 상기 돌출판(122-3)과 절삭부 본체(121)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 지지부(122-4)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123)는 상기 블레이드(122-1)에 연결되는 연동 바아(123-1)와, 상기 연동 바아(123-1)를 전후진하는 액츄에이터(123-2)를 포함하되, 상기 연동 바아(123-1)는 상기 케이스 본체(111)의 제3개방부(114)를 통해 전후진한다.
상기에서, 상기 절삭부 구동부(130)는 케이스 본체(111) 일 측에 구비되어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 액츄에이터(131)와, 상기 구동 액츄에이터(131)에 연동되고 절삭부 본체(121)에 결합되어 상기 절삭부 본체(121)를 회전시키는 기어 유닛(132)을 포함하고, 상기 기어 유닛(132)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구동 액츄에이터(131)에 의해 회전되는 제1기어(132-1)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기어(132-1)와 연동되며 상기 절삭부 본체(121)와 결합하는 제2기어(132-2)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상기 지지 프레임(14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기어(132-2)의 진동을 감쇄하는 제1진동 감쇄부(4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진동 감쇄부(400)는 상기 지지 프레임(140)과 제2기어(132-2)의 마주보는 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자기 부상부(410)를 포함하고, 상기 자기 부상부(410)는 동일한 자극을 구비하여 상호 척력이 발생한다.
상기에서, 상기 제1진동 감쇄부(400)는 지지 프레임(140)에 설치되고 중공 형상이며 제2기어(132-2) 방향 측면은 개방된 하우징(430)과, 상기 하우징(430) 내부에 구비되고 유체가 충진된 유체 충진 튜브(450)와, 상기 유체 충진 튜브(450) 상에 배치되는 판체 형상의 연동 플레이트(460)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 플레이트(460)와 제2기어(132-2)의 대향되는 측면에 상기 자기 부상부(410)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에서, 상기 연동 플레이트(460)를 관통한 후 상기 유체 충진 튜브(450)에 삽입되는 분출 튜브(48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출 튜브(480)는 중공 형상으로서 상하측은 개방되고 상기 연동 플레이트(460)를 관통한 후 상기 유체 충진 튜브(450)내부에 삽입되는 분출 튜브 본체(481)와, 상기 분출 튜브 본체(481) 상에 배치되고 상기 연동 플레이트(460) 상에 노출되는 분출 커버(482)를 포함하며, 상기 분출 커버(482)는 상향 만곡된 원호 형상으로서 원주 방향으로 다수 개의 분출공(482-1)이 형성된다.
상기에서, 상기 하우징(430)은 지지 프레임(130)에 설치되고 중공 형상이며 제2기어(132-2) 방향 측면은 개방된 제1하우징(431)과 상기 제1하우징(431) 내부에 구비되고 제1하우징(431)과 동일 형상이되 크기는 작은 제2하우징(432)을 포함하며, 상기 유체 충진 튜브(450)와 연동 플레이트(460)는 상기 제2하우징(432)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에서, 상기 제1하우징(431)과 제2하우징(432) 사이에 구비되는 제2진동 감쇄부(6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진동 감쇄부(600)는 상기 제1하우징(431)측에 구비되는 베이스 하우징(610)과, 상기 베이스 하우징(610) 내부에 구비되는 제1감쇄 패드(620) 및 제2감쇄 패드(630)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하우징(610)은 일 측은 개방되고 반대측은 폐쇄된 중공의 ㄷ 자 형상인 베이스 하우징 본체(611)와, 상기 베이스 하우징 본체(611) 내측 상하측면에 요홈된 제1요홈부(612) 및 제2요홈부(613)을 포함하여, 상기 베이스 하우징 본체(611) 중 개방된 측면은 상기 제2하우징(432)을 향하고, 반대 방향인 폐쇄된 측면은 제1하우징(431)에 고정되고, 상기 제2하우징(432)에는 돌출 바아(443)가 돌출되어 상기 제1감쇄 패드(620)에 접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해 종래보다 보다 용이하게 폐 광케이블을 재활용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 광케이블 재활용 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 광케이블 재활용 장치 중 탈피기에 대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 광케이블 재활용 장치 중 제어부에 대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 광케이블 재활용 장치 중 제1진동 감쇄부에 대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 광케이블 재활용 장치 중 제2진동 감쇄부의 베이스 하우징에 대한 단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 광케이블 재활용 장치 중 제2진동 감쇄부의 베이스 하우징과 감쇄 패드 및 돌출 바아의 결합에 대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 광케이블 재활용 장치 중 제2진동 감쇄부의 베이스 하우징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 광케이블 재활용 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 광케이블(W)의 외피(W1)를 탈피하는 탈피기(10)와, 상기 탈피된 폐 광케이블(W)을 절단하는 파쇄기(70)와, 상기 절단된 폐 광케이블을 이송하는 컨베이어(80)와, 상기 절단된 폐 광케이블을 선별하는 선별기(90)를 포함한다. 즉, 1차적으로 상기 탈피기(10)에 의해 외피(W1)를 폐 광케이블(W)로부터 제거하여 외피(W1)를 분리한다. 상기 분리된 외피(W1)는 따로이 배출되어 재활용된다. 상기 외피(W1)가 탈피된 폐 광케이블(W)은 파쇄기(70)에 의해 파쇄된다. 이때, 상기 파쇄되는 폐 광케이블(W)은 소정의 선별기(90)를 통해 철이나 알루미늄 등으로 분류되고 선별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해 보다 편리하게 폐 광케이블을 재활용할 수 있다.
상기 파쇄기(70)는 다수 개 구비되어 폐 광케이블(W)을 소정의 크기로 절단할 수 있다. 이러한 파쇄기(70)는 상기 탈피된 폐 광케이블(W)을 1차 파쇄하여 특정 길이로 절단하는 제1파쇄기(71)와 상기 1차 절단된 폐 광케이블을 2차 파쇄하여 특정 길이로 절단하는 제2파쇄기(72)와, 상기 2차 절단된 폐 광케이블을 3차 파쇄하여 분말 형태로 파쇄하는 제3파쇄기(73)와, 상기 3차 파쇄된 폐 광케이블을 4차 파쇄하는 제4파쇄기(7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파쇄기(71)와 제2파쇄기(72) 그리고 제3파쇄기(73)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 형태로 된 파쇄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파쇄기의 이 높이와 너비 등을 조절하여 절단되는 폐 광케이블(W)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제3파쇄기(73)에 의해 분말형태로 파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4파쇄기(74)는 망치 형상의 구성을 구비한 후 타격하여 보다 크기가 작은 분말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선별기(90)는 상기 제1파쇄기(71)와 제2파쇄기(72) 사이에 배치되어 자력에 의해 철을 선별하는 제1자력 선별기(93)와, 제2파쇄기(72)와 제3파쇄기(73) 사이에 배치되어 자력에 의해 철을 선별하는 제2자력 선별기(94)와, 상기 제4파쇄기(74) 후방에 배치되어 타공망에 의해 파쇄된 폐 광케이블을 선별하는 타공망 선별기(91)와, 상기 타공망 선별기(91)의 후방에 배치되어 비중에 의해 알루미늄을 선별하는 비중 선별기(9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파쇄기(71)와 제2파쇄기(72) 사이에는 소정의 크기로 파쇄된 폐 광케이블(W)이 이동되며, 이러한 폐 광케이블(W)에 포함된 철을 상기 제1자력 선별기(93)와 제2자력 선별기(94)에 의해 회수한다. 이때, 상기 제1자력 선별기(93)와 제2자력 선별기(94)는 자력에 의해 철을 당겨 철을 분리할 수 있다. 상기 타공망 선별기(91)는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메쉬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타공망 선별기(91)에 의해 분말 형태의 폐 광케이블을 선별할 수 있다. 상기 비중 선별기(92)는 비중에 의해 폐 광케이블에서 알루미늄을 선별할 수 있다. 즉, 상기 알루미늄은 분말화된 폐 광케이블의 비중과 상이한 점을 이용하여 상기 비중 선별기(92)에 의해 선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베이어(80)는 상기 제1파쇄기(71)와 제2파쇄기(72) 사이에 배치되는 제1컨베이어(81)와, 상기 제2파쇄기(72)와 제3파쇄기(73) 사이에 배치되는 제2컨베이어(8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자력 선별기(93)는 상기 제1컨베이어(81)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컨베이어(81) 상에 배치되어 이동하는 폐 광케이블 중 철을 선별하고, 상기 제2자력 선별기(94)는 상기 제2컨베이어(82) 상에 배치되어, 이동하는 폐 광케이블 중 철을 선별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피기(100)는 중공의 케이스(110)와, 상기 케이스(110) 내부에 배치되어 폐 광케이블(W)의 외피를 절삭하여 탈피하는 절삭부(120)와, 상기 케이스(110)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절삭부(120)를 회전시키는 절삭부 구동부(130)와, 상기 케이스(120)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절삭부(1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140)을 포함한다. 즉, 케이스(110) 내부에서 절삭부(120)가 회전하며 폐 광케이블(W)의 외피(W1)를 절삭한다. 상기 절삭부(120)는 절삭부 구동부(130)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외피(W1)를 절삭한다. 이러한 절삭부(120)는 지지 프레임(140)에 의해 케이스(110)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케이스(110)는 중공 형상인 케이스 본체(111)와, 상기 케이스 본체(111) 일 측에 형성되어 탈피 대상의 폐 광케이블(W)이 투입되는 제1개방부(112)와, 상기 케이스 본체(111)의 타 측에 형성되어 탈피된 폐 광케이블(W)이 배출되는 제2개방부(113)와, 상기 케이스 본체(111)의 또 다른 타 측에 형성되어 상기 절삭부(120)가 진입하는 제3개방부(114)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개방부(112)는 케이스 본체(111)의 도면상 좌측에 배치되고, 제2개방부(113)는 케이스 본체(111)의 도면상 우측에 배치된다. 즉, 폐 광케이블(W)이 케이스 본체(111)의 도면상 좌측에서 투입되고 도면상 우측으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 본체(111) 일 측에는 별도의 개방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여 절삭된 외피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폐 광케이블(W)의 외피(W1)는 절삭부(120)에 의해 절삭되어 분리된다. 이러한 절삭부(120)는 중공 형상이고 길이 방향 양 측면은 개방된 절삭부 본체(121)와 상기 절삭부 본체(121)에 진입하여 폐 광케이블의 외피를 절삭하는 블레이드 유닛(122)과, 상기 블레이드 유닛(122)을 전후진하는 구동부(123)를 포함한다. 즉, 상기 블레이드 유닛(122)이 폐 광케이블(W)의 외피(W1)에 접하여 상기 외피(W1)를 절삭한다. 한편, 상기 블레이드 유닛(122)이 상기 외피(W1)에 접하기 위해 상기 구동부(123)에 의해 전후진된다. 이때, 상기 절삭부 본체(121)는 반경 방향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블레이드 유닛(122)이 출입하는 출입공(121-1)과 반경 방향 타 측에 형성되어 절삭된 외피가 배출되는 배출공(121-2)을 포함한다.
상기 블레이드 유닛(122)은 폐 광케이블(W)의 외피(W1)에 접하여 상기 외피(W1)를 절삭하는 블레이드(122-1)와, 상기 블레이드(122-1) 일 측에 구비되어 폐 광케이블의 크기를 감지하는 크기 감지부(122-2)와, 상기 블레이드(122-1)의 일 측에서 돌출하고 절삭부 본체(121) 외부에 배치되는 돌출판(122-3)과, 상기 돌출판(122-3)과 절삭부 본체(121)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 지지부(122-4)를 포함한다. 즉, 상기 크기 감지부(122-2)에 의해 폐 광케이블(W)의 크기 또는 외피(W1)의 두께를 측정한다. 상기 측정된 크기 또는 두께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122-1)를 절삭부 본체(121) 내부 방향으로 전후진하여 상기 블레이드(122-1)가 외피(W1)에 접하도록 한다. 이러한 블레이드(122-1)는 구동부(123)에 의해 전후진한다. 상기 구동부(123)는 널리 알려진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부(123)와 크기 감지부(122-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CON)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CON)에 의해 크기 감지부(122-2)에 의해 획득된 정보를 판단하여 상기 구동부(123)를 구동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CON)에 의해 절삭부 구동부(130)와 폐 광케이블 공급부(SU)를 제어한다. 즉, 상기 절삭부(120)는 절삭부 구동부(130)에 의해 회전된다. 이러한 절삭부 구동부(130)는 제어부(CON)에 의해 제어되어 적절한 속도로 회전된다. 또한, 상기 폐 광케이블(W)은 폐 광케이블 공급부(SU)에 의해 공급되어 상기 공급되는 속도는 제어부(CON)가 상기 폐 광케이블 공급부(SU)를 제어하여 적절한 속도로 상기 폐 광케이블(W)이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블레이드 유닛(122)은 구동부(123)에 의해 전후진된다. 이러한 구동부(123)는 상기 블레이드(122-1)에 연결되는 연동 바아(123-1)와, 상기 연동 바아(123-1)를 전후진하는 액츄에이터(123-2)를 포함한다. 상기 연동 바아(123-1)는 볼팅 등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게 블레이드 유닛(122)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동 바아(123-1)는 상기 케이스 본체(111)의 제3개방부(114)를 통해 전후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레이드(122-1)가 승하강 할때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탄성 지지부(12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지지부(122-4)를 설치하기 위해 블레이드(122-1)의 일 측에서 돌출하고 절삭부 본체(121) 외부에 배치되는 돌출판(122-3)이 설치된다. 이러한 돌출판(122-3)과 절삭부 본체(121) 사이에 상기 탄성 지지부(122-4)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 지지부(122-4)는 널리 알려진 스프링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지지부(122-4)에 의해 블레이드(122-1)가 상기 연동 바아(123-1)에 접촉하여 하강할 때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상기 연동 바아(123-1)가 후퇴(즉, 상승)한 후 상기 블레이드(122-1)가 원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이러한 절삭부(120)는 절삭부 구동부(130)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절삭부 구동부(130)는 케이스 본체(111) 일 측에 구비되어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 액츄에이터(131)와, 상기 구동 액츄에이터(131)에 연동되고 절삭부 본체(121)에 결합되어 상기 절삭부 본체(121)를 회전시키는 기어 유닛(132)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 액츄에이터(131)는 널리 알려진 전동 모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액츄에이터(131)에 의해 발생된 회전력은 기어 유닛(132)을 통해 절삭부 본체(121)를 회전시킨다. 이러한 기어 유닛(132)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구동 액츄에이터(131)에 의해 회전되는 제1기어(132-1)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기어(132-1)와 연동되며 상기 절삭부 본체(121)와 결합하는 제2기어(132-2)를 포함한다. 즉, 상기 구동 액츄에이터(131)에 의해 제1기어(132-1)가 회전하고 이에 의해 제2기어(132-2)가 순차적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제1기어(132-1)와 제2기어(132-2)는 상호 직교되는 방향으로 구비되며 이를 위해 널리 알려진 베벨 기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절삭부 구동부(130)에 의해 절삭부 본체(121)가 회전되며, 상기 절삭부 본체(121)는 지지 프레임(14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지지 프레임(140)은 상기 절삭부 본체(121)의 길이 방향으로 1쌍(141,142)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 프레임(140)은 판체 형상의 지지부 본체(140-1)와, 상기 지지부 본체(140-1)와 절삭부 본체(121)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절삭부 본체(12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BRG)을 포함한다. 이러한 지지 프레임(140)에 의해 상기 절삭부 본체(121)가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한편, 상기 제2기어(132-2)에 의해 절삭부 본체(121)가 회전되며, 이러한 제2기어(132-2)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혹은 폐 광케이블 자체에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진동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절삭부 본체(121) 역시 진동될 수 있어 외피를 정밀하게 절삭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2기어(132-2)의 진동을 감쇄하는 제1진동 감쇄부(400)를 구비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진동 감쇄부(400)는 상기 지지 프레임(140)과 제2기어(132-2)의 마주보는 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자기 부상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자기 부상부(410)는 동일한 자극을 구비하여 상호 척력이 발생하며, 이러한 척력에 의해 상기 지지 프레임(140)과 제2기어(132-2)는 상호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즉, 외부에서 진동이 가해지는 경우라도 상기 제2기어(132-2)는 지지 프레임(140)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어 진동을 감쇄시킬 수 있고,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절삭부 본체(121) 역시 진동을 감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진동 감쇄부(400)는 상기 지지 프레임(140)에 설치되고 중공 형상이며 제2기어(132-2) 방향 측면은 개방된 하우징(430)과, 상기 하우징(430) 내부에 구비되고 유체가 충진된 유체 충진 튜브(450)와, 상기 유체 충진 튜브(450) 상에 배치되는 판체 형상의 연동 플레이트(4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연동 플레이트(460)와 제2기어(132-2)의 대향되는 측면에 상기 자기 부상부(410)가 각각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제2기어(132-2) 측으로 과도한 하중이나 진동이 부가되어 제2기어(132-2)가 연동 플레이트(460)에 접하더라도 상기 연동 플레이트(460)가 유체 충진 튜브(450)에 접하면서 진동을 감쇄할 수 있다. 상기 유체 충진 튜브(450) 내부에는 널리 알려진 압축성 유체(예를 들어 공기)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추가적으로 상기 연동 플레이트(460)를 관통한 후 상기 유체 충진 튜브(450)에 삽입되는 분출 튜브(4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분출 튜브(480)는 중공 형상으로서 상하측은 개방되고 상기 연동 플레이트(460)를 관통한 후 상기 유체 충진 튜브(450)내부에 삽입되는 분출 튜브 본체(481)와, 상기 분출 튜브 본체(481) 상에 배치되고 상기 연동 플레이트(460) 상에 노출되는 분출 커버(48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출 커버(482)는 상향 만곡된 원호 형상으로서 원주 방향으로 다수 개의 분출공(482-1)이 형성된다. 이러한 분출 튜브(480)에 의해 과도한 외력이나 진동이 부가되더라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즉, 상술된 바와 같이 유체 충진 튜브(450)에는 압축성 유체가 충진된다. 그런데, 외부로부터 과도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유체 충진 튜브(450)가 연동 플레이트(460)에 의해 과도하게 압축되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성능이 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유체 충진 튜브(450) 내부에 충진된 유체가 상기 분출 튜브(480)를 통해 배출되어 상기 압축성 유체의 압력을 낮출 수 있고 이에 의해 외력 등을 감쇄할 수 있는 성능을 회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출 커버(482)는 상술된 바와 같이 원호 형상을 가지며 분출공이 형성되어 유체를 다양한 방향으로 분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유체가 상기 제2기어(132-2)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는 냉각수로도 기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진동 감쇄부(400)가 구비되는 하우징(430)은 제1하우징(431)과 제2하우징(432)을 포함한다. 상기 제1하우징(431)은 지지 프레임(130)에 설치되고 중공 형상이며 제2기어(132-2) 방향 측면은 개방된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2하우징(432)은 상기 제1하우징(431) 내부에 구비되고 제1하우징(431)과 동일 형상이되 크기는 작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유체 충진 튜브(450)와 연동 플레이트(460)는 상기 제2하우징(432) 내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제1하우징(431)과 제2하우징(432) 사이에는 제2진동 감쇄부(600)가 구비된다. 즉, 상술된 제1진동 감쇄부(400)에 의해 외력이나 진동을 1차 감쇄하고, 상기 제2진동 감쇄부(600)에 의해 외력이나 진동이 2차 감쇄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외피를 절삭할 수 있다.
이러한 제2진동 감쇄부(600)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하우징(431)측에 구비되는 베이스 하우징(610)과, 상기 베이스 하우징(610) 내부에 구비되는 제1감쇄 패드(620) 및 제2감쇄 패드(6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 하우징(610)은 일 측은 개방되고 반대측은 폐쇄된 중공의 ㄷ 자 형상인 베이스 하우징 본체(611)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 하우징 본체(611) 내측 상하측면에 요홈된 제1요홈부(612) 및 제2요홈부(613)가 추가적으로 구비된다. 이러한 베이스 하우징 본체(611) 중 개방된 측면은 상기 제2하우징(432)을 향하고, 반대 방향인 폐쇄된 측면은 제1하우징(431)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 하우징 본체(611)는 볼트 등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거나 혹은 용접 등에 의해 영구적으로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2하우징(432)에는 돌출 바아(443)가 돌출되어 상기 제1감쇄 패드(620)에 접하게 된다. 즉, 상기 돌출 바아(443)가 상기 제1감쇄 패드(620)에 접하게 되어 외력에 의해 제1하우징(431) 또는 제2하우징(432)이 경사지는 경우라도 상기 돌출 바아(443)가 제1감쇄 패드(620)에 접하면서 충격이 흡수된다. 또한, 상기 제1감쇄 패드(620) 일측에는 제2감쇄 패드(630)가 추가적으로 구비되어 있어 상기 제1감쇄 패드(620)와 제2감쇄 패드(630)에 의해 돌출 바아(443)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탈피기 110 : 케이스
120 : 절삭부 121 : 절삭부 본체
122 : 블레이드 유닛 123 : 구동부
130 : 절삭부 구동부 131 : 구동 액츄에이터
132 : 기어 유닛 140 : 지지 프레임
400 : 제1진동 감쇄부 410 : 자기 부상부
430 : 하우징 431 : 제1하우징
432 : 제2하우징 450 : 유체 충진 튜브
460 : 연동 플레이트 480 : 분출 튜브
600 : 제2진동 감쇄부 610 : 베이스 하우징
620 : 제1감쇄 패드 630 : 제2감쇄 패드

Claims (10)

  1. 폐 광케이블(W)의 외피(W1)를 탈피하는 탈피기(10)와, 상기 탈피된 폐 광케이블(W)을 절단하는 파쇄기(70)와, 상기 절단된 폐 광케이블을 이송하는 컨베이어(80)와, 상기 절단된 폐 광케이블을 선별하는 선별기(90)를 포함하고,
    상기 파쇄기(70)는 상기 탈피된 폐 광케이블(W)을 1차 파쇄하여 특정 길이로 절단하는 제1파쇄기(71)와 상기 1차 절단된 폐 광케이블을 2차 파쇄하여 특정 길이로 절단하는 제2파쇄기(72)와, 상기 2차 절단된 폐 광케이블을 3차 파쇄하여 분말 형태로 파쇄하는 제3파쇄기(73)와, 상기 3차 파쇄된 폐 광케이블을 4차 파쇄하는 제4파쇄기(74)를 포함하고,
    상기 선별기(90)는 상기 제1파쇄기(71)와 제2파쇄기(72) 사이에 배치되어 자력에 의해 철을 선별하는 제1자력 선별기(93)와, 제2파쇄기(72)와 제3파쇄기(73) 사이에 배치되어 자력에 의해 철을 선별하는 제2자력 선별기(94)와, 상기 제4파쇄기(74) 후방에 배치되어 타공망에 의해 파쇄된 폐 광케이블을 선별하는 타공망 선별기(91)와, 상기 타공망 선별기(91)의 후방에 배치되어 비중에 의해 알루미늄을 선별하는 비중 선별기(92)를 포함하는 폐 광케이블 재활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80)는 상기 제1파쇄기(71)와 제2파쇄기(72) 사이에 배치되는 제1컨베이어(81)와, 상기 제2파쇄기(72)와 제3파쇄기(73) 사이에 배치되는 제2컨베이어(8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자력 선별기(93)는 상기 제1컨베이어(81)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컨베이어(81) 상에 배치되어 이동하는 폐 광케이블 중 철을 선별하고, 상기 제2자력 선별기(94)는 상기 제2컨베이어(82) 상에 배치되어, 이동하는 폐 광케이블 중 철을 선별하는 폐 광케이블 재활용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피기(100)는 중공의 케이스(110)와, 상기 케이스(110) 내부에 배치되어 폐 광케이블(W)의 외피를 절삭하여 탈피하는 절삭부(120)와, 상기 케이스(110)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절삭부(120)를 회전시키는 절삭부 구동부(130)와, 상기 케이스(120)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절삭부(1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140)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110)는 중공 형상인 케이스 본체(111)와, 상기 케이스 본체(111) 일 측에 형성되어 탈피 대상의 폐 광케이블(W)이 투입되는 제1개방부(112)와, 상기 케이스 본체(111)의 타 측에 형성되어 탈피된 폐 광케이블(W)이 배출되는 제2개방부(113)를 포함하고,
    상기 절삭부(120)는 중공 형상이고 길이 방향 양 측면은 개방된 절삭부 본체(121)와 상기 절삭부 본체(121)에 진입하여 폐 광케이블의 외피를 절삭하는 블레이드 유닛(122)과 상기 블레이드 유닛(122)을 전후진하는 구동부(123)를 포함하는 폐 광케이블 재활용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부 본체(121)는 반경 방향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블레이드 유닛(122)이 출입하는 출입공(121-1)과 반경 방향 타 측에 형성되어 절삭된 외피가 배출되는 배출공(121-2)을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 유닛(122)은 폐 광케이블(W)의 외피(W1)에 접하여 상기 외피(W1)를 절삭하는 블레이드(122-1)와, 상기 블레이드(122-1) 일 측에 구비되어 폐 광케이블의 크기를 감지하는 크기 감지부(122-2)와, 상기 블레이드(122-1)의 일 측에서 돌출하고 절삭부 본체(121) 외부에 배치되는 돌출판(122-3)과, 상기 돌출판(122-3)과 절삭부 본체(121)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 지지부(122-4)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123)는 상기 블레이드(122-1)에 연결되는 연동 바아(123-1)와, 상기 연동 바아(123-1)를 전후진하는 액츄에이터(123-2)를 포함하되, 상기 연동 바아(123-1)는 상기 케이스 본체(111)의 제3개방부(114)를 통해 전후진하는 폐 광케이블 재활용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부 구동부(130)는 케이스 본체(111) 일 측에 구비되어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 액츄에이터(131)와, 상기 구동 액츄에이터(131)에 연동되고 절삭부 본체(121)에 결합되어 상기 절삭부 본체(121)를 회전시키는 기어 유닛(132)을 포함하고,
    상기 기어 유닛(132)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구동 액츄에이터(131)에 의해 회전되는 제1기어(132-1)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기어(132-1)와 연동되며 상기 절삭부 본체(121)와 결합하는 제2기어(132-2)를 포함하는 폐 광케이블 재활용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14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기어(132-2)의 진동을 감쇄하는 제1진동 감쇄부(4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진동 감쇄부(400)는 상기 지지 프레임(140)과 제2기어(132-2)의 마주보는 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자기 부상부(410)를 포함하고,
    상기 자기 부상부(410)는 동일한 자극을 구비하여 상호 척력이 발생하는 폐 광케이블 재활용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진동 감쇄부(400)는 지지 프레임(140)에 설치되고 중공 형상이며 제2기어(132-2) 방향 측면은 개방된 하우징(430)과, 상기 하우징(430) 내부에 구비되고 유체가 충진된 유체 충진 튜브(450)와, 상기 유체 충진 튜브(450) 상에 배치되는 판체 형상의 연동 플레이트(460)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 플레이트(460)와 제2기어(132-2)의 대향되는 측면에 상기 자기 부상부(410)가 각각 구비되는 폐 광케이블 재활용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플레이트(460)를 관통한 후 상기 유체 충진 튜브(450)에 삽입되는 분출 튜브(48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출 튜브(480)는 중공 형상으로서 상하측은 개방되고 상기 연동 플레이트(460)를 관통한 후 상기 유체 충진 튜브(450)내부에 삽입되는 분출 튜브 본체(481)와, 상기 분출 튜브 본체(481) 상에 배치되고 상기 연동 플레이트(460) 상에 노출되는 분출 커버(482)를 포함하며,
    상기 분출 커버(482)는 상향 만곡된 원호 형상으로서 원주 방향으로 다수 개의 분출공(482-1)이 형성되는 폐 광케이블 재활용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430)은 지지 프레임(130)에 설치되고 중공 형상이며 제2기어(132-2) 방향 측면은 개방된 제1하우징(431)과 상기 제1하우징(431) 내부에 구비되고 제1하우징(431)과 동일 형상이되 크기는 작은 제2하우징(432)을 포함하며,
    상기 유체 충진 튜브(450)와 연동 플레이트(460)는 상기 제2하우징(432) 내부에 구비되는 폐 광케이블 재활용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431)과 제2하우징(432) 사이에 구비되는 제2진동 감쇄부(6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진동 감쇄부(600)는 상기 제1하우징(431)측에 구비되는 베이스 하우징(610)과, 상기 베이스 하우징(610) 내부에 구비되는 제1감쇄 패드(620) 및 제2감쇄 패드(630)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하우징(610)은 일 측은 개방되고 반대측은 폐쇄된 중공의 ㄷ 자 형상인 베이스 하우징 본체(611)와, 상기 베이스 하우징 본체(611) 내측 상하측면에 요홈된 제1요홈부(612) 및 제2요홈부(613)을 포함하여,
    상기 베이스 하우징 본체(611) 중 개방된 측면은 상기 제2하우징(432)을 향하고, 반대 방향인 폐쇄된 측면은 제1하우징(431)에 고정되고,
    상기 제2하우징(432)에는 돌출 바아(443)가 돌출되어 상기 제1감쇄 패드(620)에 접하는 폐 광케이블 재활용 장치.
KR1020210011070A 2021-01-26 2021-01-26 폐 광케이블 재활용 장치 KR102539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070A KR102539491B1 (ko) 2021-01-26 2021-01-26 폐 광케이블 재활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070A KR102539491B1 (ko) 2021-01-26 2021-01-26 폐 광케이블 재활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7864A true KR20220107864A (ko) 2022-08-02
KR102539491B1 KR102539491B1 (ko) 2023-06-02

Family

ID=82845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1070A KR102539491B1 (ko) 2021-01-26 2021-01-26 폐 광케이블 재활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949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311A (ko) * 1999-10-12 2000-01-15 김경두 폐전선 및 폐통신케이블의 분리가공방법
KR100981572B1 (ko) * 2009-08-21 2010-09-10 강호근 전선 절단 탈피장치
KR20100010264U (ko) * 2009-04-10 2010-10-20 명등호 폐전선의 동 회수장치
KR20170089733A (ko) * 2016-01-27 2017-08-04 (주) 진흥이엔지 절연전선용 활선 자동박피기
KR101848306B1 (ko) * 2017-10-23 2018-04-12 신유호 광케이블 탈피장치
KR102049409B1 (ko) 2019-06-17 2019-11-27 박순철 폐광케이블로부터 재활용을 위한 자원 추출공정
KR20200078926A (ko) 2018-12-24 2020-07-02 주식회사 건양기술공사 건축사사무소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자원회수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311A (ko) * 1999-10-12 2000-01-15 김경두 폐전선 및 폐통신케이블의 분리가공방법
KR20100010264U (ko) * 2009-04-10 2010-10-20 명등호 폐전선의 동 회수장치
KR100981572B1 (ko) * 2009-08-21 2010-09-10 강호근 전선 절단 탈피장치
KR20170089733A (ko) * 2016-01-27 2017-08-04 (주) 진흥이엔지 절연전선용 활선 자동박피기
KR101848306B1 (ko) * 2017-10-23 2018-04-12 신유호 광케이블 탈피장치
KR20200078926A (ko) 2018-12-24 2020-07-02 주식회사 건양기술공사 건축사사무소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자원회수장치
KR102049409B1 (ko) 2019-06-17 2019-11-27 박순철 폐광케이블로부터 재활용을 위한 자원 추출공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9491B1 (ko) 2023-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8306B1 (ko) 광케이블 탈피장치
US8152085B2 (en) Crusher
KR102154643B1 (ko) 폐전선 재활용 장치
KR20220107864A (ko) 폐 광케이블 재활용 장치
US2002006288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ovesized wood chips
KR20130091769A (ko) 복합 재료를 분리하기 위한 장치
KR102272376B1 (ko) 스티로폼 파쇄장치
KR101931622B1 (ko) 폐광케이블의 재활용 시스템
US5566610A (en) Apparatus for baling loose materials
US4824028A (en) Shredding process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said process
CN109107712A (zh) 一种新型单双轴撕碎机及其工作方法
US5695131A (en) Shredder separator
KR101947272B1 (ko) 중소형 폐가전 재활용 처리시스템
JP3974901B2 (ja) 光ファイバーケーブルのリサイクル方法および装置
KR102154648B1 (ko) 폐전선 재활용을 위한 흡인 진동 선별기
CN211070343U (zh) 大型桶式存储介质销毁装置
KR102203763B1 (ko) 잔해물 걸림이 없는 파봉장치
JP5838658B2 (ja) ドラム式磁気選別機
KR102223404B1 (ko)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자원회수장치
CN108022700A (zh) 一种废弃电力线缆的切破回收机
JP2002103092A (ja) 金属ごみ圧縮処理装置
JP2008168196A (ja) 廃タイヤ切断装置
JP2000126642A (ja) シュレッダーダスト処理装置
CN215657075U (zh) 一种棒材机组导卫装置
KR101659768B1 (ko) 동관 추출용 와이어 기반 파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