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7272B1 - 중소형 폐가전 재활용 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중소형 폐가전 재활용 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7272B1
KR101947272B1 KR1020170088595A KR20170088595A KR101947272B1 KR 101947272 B1 KR101947272 B1 KR 101947272B1 KR 1020170088595 A KR1020170088595 A KR 1020170088595A KR 20170088595 A KR20170088595 A KR 20170088595A KR 101947272 B1 KR101947272 B1 KR 101947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shing
crusher
fixed
separa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8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7302A (ko
Inventor
최원희
박지환
정인상
김만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수도권자원순환센터
한국전자제품자원순환공제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수도권자원순환센터, 한국전자제품자원순환공제조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수도권자원순환센터
Priority to KR1020170088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7272B1/ko
Publication of KR20190007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7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7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7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065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rotatable bowls, e.g. meat c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Abstract

본 발명은 중소형 폐가전 재활용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중소형 폐가전을 포함하는 투입 원료를 파쇄기로 공급하기 위한 투입부와, 상기 투입부로부터 공급된 투입 원료를 파쇄하기 위한 파쇄기와, 상기 파쇄기에서 파쇄된 파쇄물로부터 철계금속을 분리하기 위한 자력 선별기와, 상기 자력 선별기를 거친 파쇄물로부터 비철계금속과 비금속을 분리하여 선별하기 위한 와전류 선별기를 포함하는 중소형 폐가전 재활용 처리시스템으로서, 상기 파쇄기는, 파쇄기 케이스의 중앙을 가로질러 양 측벽에 고정되며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동력수단과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둘레에 방사 방향으로 회전축과 나란하게 연장되어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축; 상기 고정축을 둘레면에 지지하고 회전축의 교차방향으로 축 결합되는 디스크부; 및, 상기 디스크부의 사이 공간에 위치한 고정축에 교대로 위치하며 상기 고정축에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로 축 결합되는 파쇄 해머를 포함하는 파쇄수단을 구성한 중소형 폐가전 재활용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중소형 폐가전 재활용 처리시스템{RECYCLING PROCESSING SYSTEM FOR WASTEHOUSEHOLD ELECTRICAL APPLIANCES}
본 발명은 비파쇄 상태로 공급된 중소형 폐가전을 파쇄하여 소재별로 자동 선별하는 중소형 폐가전 재활용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재활용 플라스틱의 회수율을 향상시키고 처리 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는 중소형 폐가전 재활용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이 발전하고 고도의 경제화 사회로 성장하면서 산업 폐기물이나 전자, 가전제품 폐기물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재활용은 중요한 과제이고, 이를 위하여 재활용 설비가 이용되며 여기에서 수집된 철, 비철금속 및 플라스틱 등은 재활용에 사용된다. 재활용 설비의 기기 중에서 폐기물을 파쇄하는 장치가 구비되고, 파쇄장치에 의해 파쇄된 상기 철계금속, 비철계금속 및 플라스틱 등의 파쇄물을 소재별로 선별하는 선별장치가 구비된다.
상기 선별장치 중에는 상기 파쇄장치에 의해 파쇄된 파쇄물로부터 철을 회수하는 자력 선별기와, 비철계금속과 플라스틱을 선별하는 와전류(eddy current) 선별기가 구비된다.
비철계금속과 플라스틱 선별 공정이 신뢰성 있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철계금속은 자력 선별기에 의해 완전히 제거되어야 한다. 그러나, 자력 선별기에 의한 1회의 자력 선별로는 철계금속을 완전히 제거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만약, 철계금속이 완전히 제거되지 못한 상태에서 파쇄물이 와류 선별기로 유입되는 경우, 와류 선별기로 유입된 철계금속은 와류 선별기의 비철계금속과 플라스틱 선별 동작을 방해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재활용 공정에서는 자력 선별기를 여러 대 설치하여 철계금속을 완전히 제거하려는 공정을 추가할 수 있으나, 공정수 및 공정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재활용 공정은 투입된 가전 폐기물을 파쇄기를 거치면서 조각 상태로 완전히 파쇄하여, 철계금속, 비철계금속 및 플라스틱 선별 공정을 수행한다. 이로 인해 비 파쇄 또는 부분 파쇄 상태에서 수거하여 재활용 처리하는 것이 더 용이한 부품 및 소재들도 완전히 파쇄된 상태로 재활용 처리해야 하므로, 추가 공정 및 재활용 설비의 처리 용량 증대의 문제점이 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2002-0053697호(2002.07.05)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파쇄기 자체의 내구성 및 파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소형 폐가전 재활용 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와류 선별기로부터 비철계금속과 비금속의 용이한 선별을 도모하고, 철계금속의 분리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중소형 폐가전 재활용 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소형 폐가전을 포함하는 투입 원료를 파쇄기로 공급하기 위한 투입부와, 상기 투입부로부터 공급된 투입 원료를 파쇄하기 위한 파쇄기와, 상기 파쇄기에서 파쇄된 파쇄물로부터 철계금속을 분리하기 위한 자력 선별기와, 상기 자력 선별기를 거친 파쇄물로부터 비철계금속과 비금속을 분리하여 선별하기 위한 와전류 선별기를 포함하는 중소형 폐가전 재활용 처리시스템으로서, 상기 파쇄기는, 파쇄기 케이스의 중앙을 가로질러 양 측벽에 고정되며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동력수단과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둘레에 방사 방향으로 회전축과 나란하게 연장되어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축; 상기 고정축을 둘레면에 지지하고 회전축의 교차방향으로 축 결합되는 디스크부; 및, 상기 디스크부의 사이 공간에 위치한 고정축에 교대로 위치하며 상기 고정축에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로 축 결합되는 파쇄 해머를 포함하는 파쇄수단;을 구성한 중소형 폐가전 재활용 처리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파쇄기 케이스는 비파쇄 상태의 투입 원료를 파쇄하기 위한 작업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파쇄수단이 위치하는 파쇄부; 및, 상기 파쇄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투입구로 투입되는 투입 원료를 안내하는 공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파쇄부에는 파쇄기 케이스 벽체의 내측으로 파쇄에 따른 충격 에너지를 흡수 및 분산시키기 위해 완충부재가 부착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파쇄기 케이스의 벽체 내측에 파쇄 해머에 의해 파쇄된 파쇄물이 충돌하는 복수의 돌출핀이 돌출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와전류 선별기는, 일측롤러와 타측롤러 사이를 순환하는 컨베이어 벨트의 배출부 측에 마련된 타측롤러의 롤러축과 별도로 방사 방향으로 배열된 영구자석을 포함하여 회전하면서 와전류를 형성시키는 자석회전부; 및,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교차되는 폭방향으로 설치되며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파쇄물에 포함된 잔여 철계금속을 견인하는 복수의 가이드바;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와류 선별기의 컨베이어의 배출부 측에는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하면서 낙하 위치를 달리하는 비철계금속과 비금속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판이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분리판은 힌지에 의해 각도 조절이 가능한 동시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중소형 폐가전 재활용 처리시스템에 의하면, 파쇄기 자체의 내구성 및 파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파쇄기 케이스 내에 완충부재를 설치하여 파쇄에 따른 충격 에너지를 흡수 및 분산시켜 파쇄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파쇄 해머를 통해 투입 원료의 1차 파쇄를 수행하고, 파쇄기 케이스 내의 돌출핀을 통해 2차 파쇄를 수행함으로써, 파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와류 선별기로부터 비철계금속과 비금속의 용이한 선별을 도모하고, 철계금속의 분리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중소형 폐가전 재활용 처리시스템의 주요부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소형 폐가전 재활용 처리시스템용 파쇄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중소형 폐가전 재활용 처리시스템용 파쇄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쇄기의 파쇄수단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중소형 폐가전 재활용 처리시스템용 파쇄기의 파쇄 해머의 배치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와류 선별기의 선별 원리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소형 폐가전 재활용 처리시스템은, 투입부(100)와, 파쇄기(200)와, 자력 선별기(300)와, 와전류 선별기(400)를 포함한다.
투입부(100)는 투입원료로서 전기밥솥, 소형 식기세척기, 팩시밀리 등의 중소형 폐가전을 수용하며 컨베이어(500) 등을 통해 파쇄기(200)로 공급한다. 파쇄기(200)는 상기 투입부(100)로부터 공급된 투입 원료를 파쇄한다. 자력 선별기(300)는, 상기 파쇄기(200)에서 파쇄된 파쇄물로부터 철계금속을 분리한다. 와전류 선별기(400)는, 상기 자력 선별기(300)에서 철계금속이 분리된 파쇄물로부터 비철계금속과 비금속을 분리한다. 여기서, 비금속은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와전류 선별기(400)는 상기 자력 선별기(300)에서 분리되지 않은 잔여의 철계금속을 분리 선별한다.
상기 각각의 설비에는, 비파쇄 상태의 중소형 폐가전을 이송, 파쇄기(200)에서 파쇄된 파쇄물을 이송 등을 위해 컨베이어(500)가 설치된다. 상기 컨베이어(500)는 서로 이격 설치되어 있는 롤러들 사이를 순환하는 벨트와, 상기 벨트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 등의 구동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투입부(100)로부터 공급된 투입 원료인 중소형 폐가전을 파쇄하기 위한 파쇄기(200)는 일측에 배치되는 투입구와 타측에 배치되는 배출구를 가지는 파쇄기 케이스(210)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파쇄기 케이스(210)의 내부에는 회전 가능한 회전축(221)이 파쇄기 케이스(210)의 중앙을 가로질러 양 측벽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221)의 둘레에 방사 방향으로 회전축(221)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복수의 고정축(222)이 고정된다.
상기 회전축(221)은 회전동력수단(모터, 미도시)의 구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풀리(p)와 회전 관성력을 증대하기 위한 플라이휠(w)에 의해 회전하게 되며, 상기 회전축(221)의 양단에 베어링부(b)가 설치되어 회전축(221)의 회전을 가이드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221)의 중심에는 상기 고정축(222)을 둘레면에 지지하는 디스크부(223)가 상기 회전축(221)의 교차되는 방향으로 축 결합된다. 상기 디스크부(223)는 회전축(221) 상에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되는데, 임의의 등간격이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디스크부(223)는 둘레면을 따라 상기 고정축(222)이 결합되는 복수의 제1축결합구멍(223a)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축(222)에는 회전축(221)의 작동에 따른 강한 회전 원심력에 의해 투입되는 투입 원료를 타격하여 파쇄하는 복수의 파쇄 해머(224)를 포함하는 파쇄수단(220)이 설치된다.
상기 디스크부(223)의 제1축결합구멍(223a)에 고정축(222)이 가로질러 축 결합되는데, 상기 디스크부(223)의 사이 공간에 방사상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고정축(222)에 파쇄 해머(224)가 교대로 위치하여 교차되는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축 결합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파쇄 해머(224)가 교대로 위치하게 될 경우 파쇄 동작시 인접한 파쇄 해머(224)끼리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파쇄 해머(224)가 회전하면서 회전축(221)에 충돌 손상을 가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파쇄 해머(224)는 부채꼴 형상으로서, 투입 원료를 파쇄하는 해머 머리부의 반대측에 제2축결합구멍(224a)이 형성되어 고정축(22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2축결합구멍(224a)에는 고정축(222)과 파쇄 해머(224)의 마찰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부싱(225)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파쇄 해머(224)는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축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중소형 폐가전을 잘게 파쇄하는 것이 아니라, 중소형 폐가전 내의 인쇄회로기판 등이 비파쇄 또는 부분 파쇄 상태로 분리될 수 있을 정도로 중소형 폐가전을 파쇄하는 기능을 하며, 투입 원료인 중소형 폐가전의 파쇄 크기는 파쇄 해머(224)의 배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수행된다.
한편, 상기 파쇄기 케이스(210)는 투입 원료를 파쇄하기 위한 작업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파쇄수단(220)이 위치하는 파쇄부(211)와, 상기 파쇄부(211)의 상부에 설치되고 투입구로 투입되는 투입 원료를 안내하는 공급부(212)로 분할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파쇄기 케이스(210)의 파쇄부(211)는 투입 원료에 의한 파쇄 충격에너지가 크게 분포되는 공간이므로 파쇄기 케이스(210) 벽체(213)의 내측으로 파쇄에 따른 충격 에너지를 흡수 및 분산시키기 위해 일정한 두께를 가진 고무소재 등의 완충부재(214)가 부착되고, 외측으로 충격소음을 차폐하기 위한 차음부재(미도시)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쇄기 케이스(210)의 벽체(213)의 내측 전체에는 파쇄 효율을 보다 더 증대시키기 위해 복수의 돌출핀(215)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핀(215)은 파쇄 해머(224)에 맞아 1차 파쇄된 파쇄물이 충돌하면서 재차 파쇄되도록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돌출핀(215)은 투입 원료가 돌출핀(215)에 충돌하여 파쇄되므로 직접적으로 내벽에 충격을 주지 않게 됨에 따라 내벽을 보호하는 기능도 할 수 있다.
상기 파쇄기 케이스(210) 내의 고정축(22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파쇄 해머(224)는 일렬로 규칙적으로 대칭을 이루어 배치되거나(도 5a 참조) 서로 비대칭을 이루어 불규칙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도 5b 참조).
파쇄기(200)에서 파쇄된 파쇄물은 컨베이어(500) 벨트를 따라 이동하면서 자력 선별기(300)로 공급되어 파쇄물로부터 철계금속을 1차 분리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중소형 폐가전 재활용 처리시스템에는 상기 자력 선별기(300)에서 철계금속이 1차 분리된 파쇄물로부터 비철계금속과 비금속을 분리하여 선별하기 위한 와전류 선별기(400)가 구성된다.
상기 와전류 선별기(400)는 자석에 붙지 않는 비철계금속(Al, Mg, Sn, Cu, Pb)과 플라스틱 등의 비금속을 분리하기 위해 설치된다. 아울러, 자력 선별기(300)에서 분리되지 않은 잔여 철계금속을 분리하기 위한 구조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와전류 선별기(400)는, 일측롤러(405)와 타측롤러(410) 중 금속이 배출되는 컨베이어(500)의 배출부 측에 마련된 타측롤러(410)의 롤러축(420)과 별도로 방사 방향으로 배열된 영구자석(430)을 포함하는 자석회전부(401)가 구비된다. 상기 자석회전부(401)의 회전에 의해 영구자석(430)이 회전하면서 와전류가 형성된다.
진동피더(402)의 진동에 의해 컨베이어(500)로 균일하게 분포되어 투입되는 금속이 컨베이어(500) 벨트를 따라 이송되어 자석회전부(401)의 자기장 내로 들어오면 금속의 내부에 와전류가 생성된다.
따라서, 컨베이어(500)를 따라 이송되는 비철계금속의 경우, 내부에 생성되는 와전류와 자석회전부(401)에서 생성된 자기장이 반발하여 컨베이어(500) 벨트로부터 튕겨나가 컨베이어(500)로부터 멀리 떨어져 낙하하게 된다(A방향).
반면, 비금속의 경우 자기장의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컨베이어(500)를 따라 이동되어 컨베이어(500) 하부에 컨베이어(500)의 속도에 비례하여 낙하하게 된다(B방향).
따라서, 서로 대비되어 이격되는 거리에 따라 비철계금속과 비금속을 분리하여 선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와전류 선별기(400)의 컨베이어(500)의 배출부 측에는 컨베이어(500)를 따라 이송하면서 낙하 위치를 달리하는 비철계금속과 비금속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판(440)이 설치된다. 상기 분리판(440)은 힌지에 의해 각도 조절이 가능한 동시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은 복수의 자력선별 공정을 통해 철계금속을 완전히 분리한 후, 와전류 선별기(400)로 도입하는 공정이 아니기 때문에, 컨베이어(500)를 따라 이송되는 파쇄물에는 자성체를 띈 철계금속이 잔존하고, 이러한 철계금속은 상기 자석회전부(401)의 영구자석(430)에 의해 타측롤러(410) 주위의 컨베이어(500) 벨트에 달라붙어서 비철계금속과 비금속의 분리를 방해할 수 있다. 즉, 컨베이어(500) 벨트에 달라붙어 떨어지지 않는 철계금속이 와전류 선별기(400)에 의한 선별 공정을 방해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철계금속의 선별 분리를 위하여, 상기 컨베이어(500) 벨트에 교차되는 폭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개의 가이드바(450)를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바(450)는 컨베이어(500) 벨트의 전체 폭과 대응하는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바(450)는 상기 타측롤러(410) 주위에 달라붙어 회수되지 않는 철계금속을 견인하여 이동하게 되고, 타측롤러(410) 내 영구자석(430)의 자력이 미치지 않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재활용 저장챔버(600)로 철계금속을 낙하시켜 선별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자력선별 공정을 거치지 않으면서도 와류 선별기에서 잔여 철계금속을 분리할 수 있고, 잔여 철계금속에 의한 비철계금속 및 플라스틱 등의 비금속 분리 방해를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파쇄기(200) 자체의 내구성 및 파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파쇄기 케이스(210) 내에 완충부재(214)를 설치하여 파쇄에 따른 충격 에너지를 흡수 및 분산시켜 파쇄기(2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파쇄 해머(224)를 통해 투입 원료의 1차 파쇄를 수행하고, 파쇄기 케이스(210) 내의 돌출핀(215)을 통해 2차 파쇄를 수행함으로써, 파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함께, 와전류 선별기(400)로부터 비철계금속과 비금속의 용이한 선별을 도모하고, 잔여 철계금속의 분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의 기재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실시 또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투입부 200 : 파쇄기
300 : 자력 선별기 400 : 와류 선별기
500 : 컨베이어 600 : 재활용 저장챔버

Claims (7)

  1. 중소형 폐가전을 포함하는 투입 원료를 파쇄기로 공급하기 위한 투입부와, 상기 투입부로부터 공급된 투입 원료를 파쇄하기 위한 파쇄기와, 상기 파쇄기에서 파쇄된 파쇄물로부터 철계금속을 분리하기 위한 자력 선별기와, 상기 자력 선별기를 거친 파쇄물로부터 비철계금속과 비금속을 분리하여 선별하기 위한 와전류 선별기를 포함하는 중소형 폐가전 재활용 처리시스템으로서,
    상기 파쇄기는,
    파쇄기 케이스의 중앙을 가로질러 양 측벽에 고정되며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동력수단과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둘레에 방사 방향으로 회전축과 나란하게 연장되어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축;
    상기 고정축을 둘레면에 지지하고 회전축의 교차방향으로 축 결합되는 디스크부; 및,
    상기 디스크부의 사이 공간에 위치한 고정축에 교대로 위치하며 상기 고정축에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로 축 결합되는 파쇄 해머를 포함하는 파쇄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파쇄기 케이스 벽체의 내측으로 파쇄에 따른 충격 에너지를 흡수 및 분산시키기 위해 완충부재가 부착되고,
    상기 파쇄기 케이스의 벽체 내측에 파쇄 해머에 의해 파쇄된 파쇄물이 충돌하는 복수의 돌출핀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파쇄 해머가 상기 고정축에 의해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1축결합구멍과, 상기 파쇄 해머의 해머 머리부의 반대측에 상기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제2축결합구멍과, 상기 제2축결합구멍에 설치되어 고정축과 파쇄 해머의 마찰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부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소형 폐가전 재활용 처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기 케이스는,
    비파쇄 상태의 투입 원료를 파쇄하기 위한 작업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파쇄수단이 위치하는 파쇄부; 및,
    상기 파쇄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투입구로 투입되는 투입 원료를 안내하는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소형 폐가전 재활용 처리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전류 선별기는,
    일측롤러와 타측롤러 사이를 순환하는 컨베이어 벨트의 배출부 측에 마련된 타측롤러의 롤러축과 별도로 방사 방향으로 배열된 영구자석을 포함하여 회전하면서 와전류를 형성시키는 자석회전부; 및,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교차되는 폭방향으로 설치되며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파쇄물에 포함된 잔여 철계금속을 견인하는 복수의 가이드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소형 폐가전 재활용 처리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와전류 선별기의 컨베이어의 배출부 측에는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하면서 낙하 위치를 달리하는 비철계금속과 비금속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소형 폐가전 재활용 처리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은 힌지에 의해 각도 조절이 가능한 동시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소형 폐가전 재활용 처리시스템.
KR1020170088595A 2017-07-12 2017-07-12 중소형 폐가전 재활용 처리시스템 KR101947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595A KR101947272B1 (ko) 2017-07-12 2017-07-12 중소형 폐가전 재활용 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595A KR101947272B1 (ko) 2017-07-12 2017-07-12 중소형 폐가전 재활용 처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7302A KR20190007302A (ko) 2019-01-22
KR101947272B1 true KR101947272B1 (ko) 2019-05-08

Family

ID=65320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8595A KR101947272B1 (ko) 2017-07-12 2017-07-12 중소형 폐가전 재활용 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72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0774A (ko) * 2019-11-19 2021-05-27 주식회사 카비 와전류를 이용한 비철금속 선별장치
KR102369787B1 (ko) 2021-04-15 2022-03-03 (주)영일자원 폐가전제품 파쇄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4693A (ja) * 2004-03-12 2005-09-22 Mitsubishi Electric Corp 廃家電品による再生プラスチック、再生プラスチックの製造方法及び再生プラスチックを用いた機器
KR100717248B1 (ko) * 2005-11-16 2007-05-15 (주)클린랜드 폐 오일필터 및 윤활유 빈용기 처리시스템의 파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6179A (ja) * 1996-09-02 1998-03-24 Teisa Sangyo Kk アルミ選別装置の磁性物除去方法
JP4660925B2 (ja) 2000-12-27 2011-03-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廃家電再資源化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4693A (ja) * 2004-03-12 2005-09-22 Mitsubishi Electric Corp 廃家電品による再生プラスチック、再生プラスチックの製造方法及び再生プラスチックを用いた機器
KR100717248B1 (ko) * 2005-11-16 2007-05-15 (주)클린랜드 폐 오일필터 및 윤활유 빈용기 처리시스템의 파쇄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0774A (ko) * 2019-11-19 2021-05-27 주식회사 카비 와전류를 이용한 비철금속 선별장치
KR102298216B1 (ko) * 2019-11-19 2021-09-30 주식회사 카비 와전류를 이용한 비철금속 선별장치
KR102369787B1 (ko) 2021-04-15 2022-03-03 (주)영일자원 폐가전제품 파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7302A (ko) 2019-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79677B1 (en) Shredder dust treatment process
CA2923948C (en) Comminuting device
WO2012131906A1 (ja) 廃電子機器から有価金属を回収する方法
US8777142B2 (en) Device for mechanical separation of material conglomerates from materials of different density and/or consistency
US6325306B1 (en) Variable size reduction apparatus and process
KR101947272B1 (ko) 중소형 폐가전 재활용 처리시스템
JP2018118223A (ja) 電気電子部品屑の処理方法
US5678773A (en) Wast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CN103201039A (zh) 用于改进废金属工业中的分离材料的品质的方法
JP2014205123A (ja) 破砕機及びその運転方法
EP3702038A1 (en) Shredder
JPH10137610A (ja) 破砕不適物選別破砕方法とその破砕装置
JP4210531B2 (ja) 金属類廃棄物の処理設備
JP2013091006A (ja) 分別破砕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分別破砕方法
EP0703004A1 (en) Wast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CN1649673A (zh) 用于处理材料或复合材料和混合物的方法和装置
KR20210060074A (ko) 폐전선으로부터 동 회수 장치
JP2017154083A (ja) 打撃部材を有する破砕機
KR102284160B1 (ko) 폐자재 재활용 장치
KR102307715B1 (ko) 폐석고보드 파분쇄장치
KR101217600B1 (ko) 재활용품 처리 장치
JP2902273B2 (ja) ハンマークラッシャー
JP7253362B2 (ja) シュレッダーダストの処理方法及び処理設備
JP6629177B2 (ja) 竪型破砕機
KR20220127057A (ko) 플라스틱 파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