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7398A - 임플란트 시술용 gps 드릴 - Google Patents

임플란트 시술용 gps 드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7398A
KR20220107398A KR1020210009990A KR20210009990A KR20220107398A KR 20220107398 A KR20220107398 A KR 20220107398A KR 1020210009990 A KR1020210009990 A KR 1020210009990A KR 20210009990 A KR20210009990 A KR 20210009990A KR 20220107398 A KR20220107398 A KR 20220107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ll
guide pin
pin
guide
dr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9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2511B1 (ko
Inventor
김노국
Original Assignee
(주)예스바이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예스바이오테크 filed Critical (주)예스바이오테크
Priority to KR1020210009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2511B1/ko
Priority to PCT/KR2021/002323 priority patent/WO2022158635A1/ko
Publication of KR20220107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7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2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2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2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0Straight hand-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2Tooth drilling or cutting instruments; 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드릴링의 각도를 안내할 수 있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은 가이드핀과, 드릴수단 및 가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핀은 드릴링의 각도를 확인하기 위한 핀이 삽입될 수 있도록 치조골에 형성된 홈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드릴수단은 일단은 회전용 공구에 장착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핀이 홈에 삽입될 수 있게 타단으로 돌출하여 상기 가이드핀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상기 가이드핀을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어 상기 치조골을 드릴링할 수 있다.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가이드핀이 상기 드릴수단에서 돌출되게 상기 가이드핀을 가압하도록 상기 수용부에 장착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이드핀이 치조골의 홈에 삽입되어 천공각도를 안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임플린트 시술용 드릴은 가이드핀을 따라 슬라이딩을 하여 드릴링을 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가이드 장치가 없더라도 찬공각도로 드릴링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임플란트 시술용 GPS 드릴{GPS Drill for operating implant}
본 발명은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드릴링의 각도를 안내할 수 있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에 대한 것이다.
임플란트 시술은 파손된 자연 치아 대신에 임플란트를 이식하는 시술을 말한다. 임플란트 시술을 하기 위해서 치조골에 드릴로 천공한 후 픽스쳐를 식립한다. 그리고 픽스쳐에 어버트먼트를 결합시킨 후 어버트먼트에 최종 보철물을 장착한다.
따라서 픽스쳐를 식립하기 위하여 치조골을 천공하는데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이 사용된다. 이때 드릴링의 천공 각도가 맞지 아니할 경우 식립된 픽스쳐는 주위의 치아와 어긋나게 된다. 따라서 드릴링의 천공각도가 중요하다. 그래서 드릴링을 하기 전 드릴링의 각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먼저 홈을 형성하여 홈에 핀을 삽입시킨 후 천공각도를 확인한다. 천공각도가 정확하면 핀을 제거하여 그 각도로 드릴링을 한다.
그런데 시술자가 임플란드 시술용 드릴을 사용하여 드릴링 시 드릴을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면서 드릴링하기가 어렵다. 그래서 드릴링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드릴링을 하기 위하여 드릴의 가이드 장치가 사용된다.
등록특허 제10-0893287호(등록일자 2009년 04월 07일) 공개특허 제10-2013-0076437호(공개일자 2013년 07월 08일)
종래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의 경우 드릴링의 천공 각도를 유지 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가이드 장치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의 경우 가이드 장치 없이 드릴링할 경우 천공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드릴링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별도의 가이드 장치가 없어도 처음 한번 정확하게 정한 위치에 천공 각도를 일정하기 유지하면서 드릴링을 할 수 있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은 가이드핀과, 드릴수단 및 가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핀은 드릴링의 각도를 확인하기 위한 핀이 삽입될 수 있도록 치조골에 형성된 홈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드릴수단은 일단은 회전용 공구에 장착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핀이 홈에 삽입될 수 있게 타단으로 돌출하여 상기 가이드핀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상기 가이드핀을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어 상기 치조골을 드릴링할 수 있다.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가이드핀이 상기 드릴수단에서 돌출되게 상기 가이드핀을 가압하도록 상기 수용부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핀은 상기 드릴링의 각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홈에 삽입되도록 일단은 상기 드릴수단에서 노출되고 타단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된 핀가이드부와, 상기 핀가이드부 보다 폭이 두껍도록 상기 핀가이드부의 타단에 결합된 핀헤드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드릴수단의 수용부는 상기 핀헤드부가 이탈되지 않도록 구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에 있어서, 상기 드릴수단은 드릴부와, 자루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릴부는 일단에 상기 핀헤드부를 수용할 수 있게 상기 수용부를 형성하는 제1수용홈이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핀헤드부가 상기 제1수용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가이드핀이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을 안내할 수 있게 제1수용홈과 연통된 관통공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상기 치조골을 드릴링할 수 있는 날이 형성된다. 상기 자루부는 일단은 회전용 공구에 장착될 수 있으며, 타단은 상기 제1수용홈과 연통하여 상기 수용부를 형성하는 제2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드릴부의 일단과 착탈할 수 있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에 있어서,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가이드핀이 상기 드릴수단에서 돌출되게 상기 가이드핀을 지지하도록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자력으로 상기 가이드핀이 상기 드릴수단에 돌출되게 상기 가이드핀을 가압할 수 있게 상기 수용부와 상기 가이드핀에 결합된 한 쌍의 자석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이드핀이 치조골의 홈에 삽입되어 천공각도를 안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임플린트 시술용 드릴은 가이드핀을 따라 슬라이딩을 하여 드릴링을 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가이드 장치가 없더라도 한번 정한 각도로 정확하게 천공각도를 유지하면서 드릴링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분리단면도,
도 3은 도 1의 실시예를 사용한 동작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은 가이드핀(10)과, 드릴수단(20) 및 가압수단(30)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을 사용하기 전에 먼저 치조골(1)의 픽스쳐를 식립할 위치에서 천공각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홈(3)을 형성한다. 그리고 홈(3)에 핀(미도시)을 삽입하여 천공각도를 확인한다.
본 실시예의 가이드핀(10)은 드릴링의 각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치조골(1)에 형성된 홈(3)에 삽입되기 위함이다. 즉 가이드핀(10)은 드릴링시 드릴링의 각도를 안내한다. 이를 위하여 가이드핀(10)은 핀가이드부(11)와 핀헤드부(13)를 구비한다. 핀가이드부(11)는 드릴수단(20)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홈(3)에 삽입될 수 있게 바 형태이며, 핀헤드부(13)는 핀가이드부(11)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핀가이드부(11)의 단부에 결합된다.
드릴수단(20)은 홈(3)에 삽입된 가이드핀(10)의 각도를 따라 치조골(1)을 드릴링한다. 이를 위하여 드릴수단(20)은 내부에 수용부(27)가 형성되고, 드릴부(21) 및 자루부(25)를 구비한다.
드릴부(21)는 외주면에 치조골(1)을 드릴링할 수 있는 날이 형성되고, 자루부(25)는 일단은 회전용 공구에 장착될 수 있고 타단이 드릴부(21)에 탈착할 수 있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자루부(25)는 드릴부(21)에 나사 결합된다.
수용부(27)는 핀헤드부(13)가 이탈되지 않게 수용하며 핀가이드부(13)가 홈(3)에 삽입될 수 있게 드릴수단(20)에서 돌출되어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안내한다. 즉 가이드핀(10)은 수용부(27)의 내부에서 일직선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수용부(27)는 제1수용홈(27a)와, 제2수용홈(27b) 및 관통공(27c)을 구비한다. 제1수용홈(27a)은 핀헤드부(13)를 수용할 수 있게 드릴부(21)의 일단에 형성된다. 제2수용홈(27b)는 핀헤드부(13)를 수용할 수 있으며 제1수용홈(27a)과 연통하도록 자루부(25)의 타단에 형성된다. 관통공(27c)은 핀가이드부(11)가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핀가이드부(11)의 슬라이딩을 안내하고 핀헤드부(13)가 수융부(27)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드릴부(21)의 타단에서 제1수용홈(27a)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즉 핀헤드부(13)의 두께가 핀가이드부(11) 보다 두껍기 때문에 관통공(27c)을 통과할 수 없어서 핀헤드부(13)는 수용부(27)를 이탈하지 못한다.
가이드핀(10)이 수용부(27)에서 슬라이딩을 할 수 있으므로 가이드핀(10)이 홈(3)에 삽입된 상태에서 드릴수단(20)이 치조골(1)을 드릴링하면 드릴수단(20)은 치조골(1)의 내부로 삽입되고, 드릴수단(20)이 치조골(1)의 내부로 삽입된 양만큼 가이드핀(10)은 수용부(27) 내부로 삽입되어 진다.
가압수단(30)은 수용부(27)에 수용되어 가이드핀(10)이 관통공(27c)을 통하여 돌출될 수 있게 가이드핀(10)을 가압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가압수단(30)은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가이드핀(10)이 홈(3)에 삽입될 수 있게 수용부(27)에서 돌출되도록 가이드핀(10)을 가압할 수 있게 수용부(27)에 장착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가이드핀(10)이 가압수단(30)에 의하여 드릴수단(20)에서 돌출된다. 그래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릴링하기 위하여 가이드핀(10)을 홈(3)에 삽입한다.
가이드핀(10)이 수용부(27)의 내부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으므로 드릴링을 진행하면 드릴수단(20)은 가이드핀(10)을 따라 치조골(1)의 내부로 삽입됩니다. 이때 드릴수단(20)이 치조골(1)의 내부로 삽입된 양만큼 가이드핀(10)은 상대적으로 드릴수단(20)의 수용부(27) 내부로 삽입된다. 따라서 가이드핀(10)이 드릴링의 각도를 안내하는 역할을 하여 드릴수단(20)은 가이드핀(10)을 따라 드릴링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시술자는 별도의 가이드 장치가 없어도 천공각도를 유지하면서 드릴링을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의 경우 가압수단(30)은 스프링으로 구성되었지만 도 4의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가압수단(30)은 한 쌍의 자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서로 동일한 극성이 서로 마주보도록 핀헤드부와 수용부에 장착되어 자력으로 가이드핀을 가압할 수 있다.
1 : 치조골 3 : 홈
10 : 가이드핀 11 : 핀가이드부
13 : 핀헤드부 20 : 드릴수단
21 : 드릴부 25 : 자루부
27 : 수용부 27a : 제1수용홈
27b : 제2수용홈 27c : 관통공
30 ; 스프링

Claims (5)

  1. 드릴링의 각도를 확인하기 위한 핀이 삽입될 수 있도록 치조골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기 위한 가이드핀과,
    일단은 회전용 공구에 장착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핀이 홈에 삽입될 수 있게 타단으로 돌출하여 상기 가이드핀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상기 가이드핀을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어 상기 치조골을 드릴링할 수 있는 드릴수단과,
    상기 가이드핀이 상기 드릴수단에서 돌출되게 상기 가이드핀을 가압하도록 상기 수용부에 장착된 가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핀은 상기 드릴링의 각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홈에 삽입되도록 일단은 상기 드릴수단에서 노출되고 타단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된 핀가이드부와, 상기 핀가이드부 보다 폭이 두껍도록 상기 핀가이드부의 타단에 결합된 핀헤드부를 구비하며,
    상기 드릴수단의 수용부는 상기 핀헤드부가 이탈되지 않도록 구속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수단은
    일단에 상기 핀헤드부를 수용할 수 있게 상기 수용부를 형성하는 제1수용홈이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핀헤드부가 상기 제1수용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가이드핀이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을 안내할 수 있게 제1수용홈과 연통된 관통공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상기 치조골을 드릴링할 수 있는 날이 형성된 드릴부와,
    일단은 회전용 공구에 장착될 수 있으며, 타단은 상기 제1수용홈과 연통하여 상기 수용부를 형성하는 제2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드릴부의 일단과 착탈할 수 있게 결합되는 자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가이드핀이 상기 드릴수단에서 돌출되게 상기 가이드핀을 지지하도록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5. 제1헝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자력으로 상기 가이드핀이 상기 드릴수단에 돌출되게 상기 가이드핀을 가압할 수 있게 상기 수용부와 상기 가이드핀에 결합된 한 쌍의 자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KR1020210009990A 2021-01-25 2021-01-25 임플란트 시술용 gps 드릴 KR102462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990A KR102462511B1 (ko) 2021-01-25 2021-01-25 임플란트 시술용 gps 드릴
PCT/KR2021/002323 WO2022158635A1 (ko) 2021-01-25 2021-02-24 임플란트 시술용 gps 드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990A KR102462511B1 (ko) 2021-01-25 2021-01-25 임플란트 시술용 gps 드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7398A true KR20220107398A (ko) 2022-08-02
KR102462511B1 KR102462511B1 (ko) 2022-11-01

Family

ID=82549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9990A KR102462511B1 (ko) 2021-01-25 2021-01-25 임플란트 시술용 gps 드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62511B1 (ko)
WO (1) WO2022158635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287B1 (ko) 2007-08-07 2009-04-17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다단구조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드릴
KR20130076437A (ko) 2011-12-28 2013-07-0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조골 확장용 드릴
KR20140035984A (ko) * 2014-02-05 2014-03-24 이준호 간편한 임플란트 시술 장치
KR101586081B1 (ko) * 2015-07-29 2016-01-15 왕제원 치과 임플란트 가이드장치
KR101841747B1 (ko) * 2017-12-22 2018-03-23 왕제원 임플란트용 픽스쳐 식립을 위한 방향확인 핀과 가이드 탭 드릴 키트
KR20190010996A (ko) * 2017-07-24 2019-02-01 (주)예스바이오테크 치과 시술용 드릴
KR20200069744A (ko) * 2018-12-07 2020-06-17 주식회사 디오 임플란트용 트레파인 드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373887T3 (es) * 2008-05-21 2012-02-09 Nexilis Ag Dispositivo y procedimiento para mejorar cavidades.
KR101457011B1 (ko) * 2012-04-06 2014-11-04 오상훈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구 천공 가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공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287B1 (ko) 2007-08-07 2009-04-17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다단구조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드릴
KR20130076437A (ko) 2011-12-28 2013-07-0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조골 확장용 드릴
KR20140035984A (ko) * 2014-02-05 2014-03-24 이준호 간편한 임플란트 시술 장치
KR101586081B1 (ko) * 2015-07-29 2016-01-15 왕제원 치과 임플란트 가이드장치
KR20190010996A (ko) * 2017-07-24 2019-02-01 (주)예스바이오테크 치과 시술용 드릴
KR101841747B1 (ko) * 2017-12-22 2018-03-23 왕제원 임플란트용 픽스쳐 식립을 위한 방향확인 핀과 가이드 탭 드릴 키트
KR20200069744A (ko) * 2018-12-07 2020-06-17 주식회사 디오 임플란트용 트레파인 드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58635A1 (ko) 2022-07-28
KR102462511B1 (ko) 2022-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92094B2 (ja) インプラント挿入を準備または実行する器具を備える装置
US7942668B2 (en) Drill template arrangement
CA2622296C (en) Apparatus for preparing a prosthetic stem cavity in a femur
CN105101897B (zh) 用于在骨元件上铰孔的系统、方法和装置
US8821159B2 (en) Dental implant guiding device
JP4891339B2 (ja) 歯科用ハンドピース
US10085819B2 (en) Dental drill system
JP2015522354A (ja) ドリルガイド
US20100151412A1 (en) Set of dental drills
KR20100031484A (ko) 축 방향 조절식 공구 홀더
US11359404B2 (en) Door hardware locating tool
KR101705871B1 (ko) 임플란트 가이드 어셈블리
KR102462511B1 (ko) 임플란트 시술용 gps 드릴
US10016255B2 (en) Dental surgery device
CN111132637B (zh) 底板试件夹持装置及包括它的膝关节植入物手术器械套组
KR102068684B1 (ko) 치과용 픽스쳐 드라이버
KR20090121523A (ko)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장치
TWI705800B (zh) 植牙導引工具組及其植牙導引套
AU2019331756B2 (en) Apparatus for zygomatic implantation and method
CN211023205U (zh) 植牙导引工具组及其植牙导引套
US20210353384A1 (en) Handpiece, system and method for dental implant guided surgery
CN215503341U (zh) 插入深度控制机构、插入装置及手术机器人
NZ774224B2 (en) Apparatus for zygomatic implantation and method
JP2001224600A (ja) 髄内釘の調整具及び髄内釘の取付装置
KR20080009377A (ko) 임플란트 식립유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